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건대학원 졸업생들의 교육효과와 학습만족도

        유영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보건대학원 교육과정의 효과증대를 위해 교육효과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구명하고자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Y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6년간 보건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한 사람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전자우편 발송하였으며 20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보건대학원 교육과정 이수한 후 전반적인 평가는 ‘태도’에 대한 교육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연구’, ‘이론’, ‘실무’ 부문의 순으로 교육효과가 높았으며, 학습만족도는 ‘수강태도’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전반적 만족, 강사의 자질, 교육과정의 순이었다. 그러나 ‘이론’과 ‘실무’ 부문의 교육효과는 기대감에 비해 습득정도가 낮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효과와 학습만족도는 연령이 많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모든 부문에서 교육효과와 학습만족도가 높았다. 특히 수강태도와 전반적 만족부문에서 학습만족도가 높았으며, 보건정책학과는 다른 학과에 비해 이론과 태도부문의 교육효과와 수강태도, 교육과정 등의 학습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셋째, 조직/환경적 특성에 따른 교육효과와 학습만족도는 조직분위기가 지원풍토와 상호 신뢰하는 풍토라고 응답한 군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군에 비해 모든 부문에서 교육효과와 학습만족도가 높았다. 이와 더불어 조직분위기가 승진기회풍토와 능동적 질문풍토라고 응답한 경우는 학습만족도와도 관련이 있었으며, 정기교육프로그램이 있다고 응답한 군은 없다고 응답한 군에 비해 수강태도, 교육과정, 전반적 만족의 학습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전반적으로 교육주제와 교육을 주관하는 개인 및 학교의 유명도가 영향을 준다고 인식할수록 모든 부문에서 교육효과와 학습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교육실시시기와 동료들의 참여여부, 비용부담주체가 교육효과와 관련이 있었으며, 학습만족도는 교육을 실시하는 위치와 교육실시 시기와도 관련이 있었다. 다섯째, 교육효과의 영향요인은 근무경력, 상호신뢰풍토의 조직분위기, 교육을 주관하는 개인 및 학교의 유명도, 교육을 실시하는 위치이었다.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은 상호신뢰풍토의 조직분위기, 직장의 정기교육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교육과정 참여특성 중 교육주제, 교육을 주관하는 개인 및 학교의 유명도, 교육을 실시하는 시기가 학습만족도와 정(正)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보건대학원 졸업생들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졸업생들이 근무하는 병원의 분위기가 상호신뢰풍토의 분위기로 유의하게 고려되어져야 하며, 특히 직장에 정기교육프로그램이 있고 교육에 대한 평가가 수반 될수록 교육효과와 학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교육주제와 교육을 주관하는 개인 및 학교의 유명도가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볼 때, 시대의 흐름과 수요자 요구에 적합한 교육과목과 교재개발이 필요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핵심어: 교육효과(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학습만족도(learner satisfaction), 보건대학원

      • 몽골 일개 의과대학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 규정 개선방안 : 우리나라 일개 의과대학의 규정 비교를 중심으로

        공혜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Clinical trials ultimately aim to develop medicine, treat diseases through it, and physical well-being of humans and clinical trials on humans should take ethical conditions into account. Since humans do experiments on human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re is room for danger to occur to the subjects during its process. Hence starting with the enactment of the Nuremberg Code as a result of numerous tragic experiments in which human dignity has not been preserved, it has consistently emphasized the protection of subjects by enacting ethical guidelines for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research on human subjects must be reviewed in advance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h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the research carried out by each institution and recommends that researchers affiliated with the institution follow the ethical guidelines that must be followed. In this study, each research institutions that conducts research on humans in Korea and Mongolia was selected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clinical trial were compared and reviewed. It also examined the main contents of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and analyzed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o see how much the institution's regulations reflects ethical principles centering on clauses related to the study subjects, researchers and govern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ngolia has tried to establish proper research ethics in Mongolia since the concept of research ethics was first introduced in 1997, but the operation regulations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a medical school in Mongolia are mixed with guidelines for clinical experiments and rules for the role and rights of the Board, which required improve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o protect the research subjects,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researchers, and present ethical guidelines. Second, it was deemed necessary to prepare institution-specific regulations for vulnerable subjects, including the consent of legal representatives, and to provide proper treatment and compensation methods if damaged by research. Third, it is expected to be needed to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of curriculum as the responsible researcher of the trial by legislating education content and duration including Goo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it was hard to take an in-depth approach, such as identifying gaps between actual oper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based on data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However, there is significance in that the rules on the regulations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Mongolia that has not been studied could be studied based on international ethical standards. 임상 시험은 궁극적으로 의학의 발전과 이를 통한 질병의 치료, 인간의 신체적 안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인간이 연구의 주체이자 대상이기에 임상 시험 과정에서 대상자에게 위험이 발생할 여지가 있어 윤리적 조건들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우리는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었던 여러 역사적 사건을 통해 <뉘른베르크 강령>의 제정을 시작으로 임상시험 윤리 규칙들을 제정하며 피험자 보호에 대해 계속해서 강조해오고 있다. 국제적인 윤리 지침에 따르면 인간 대상 연구를 위해서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사전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기관생명윤리위원회는 각 기관에서 수행되는 연구에 대해 가장 일차적인 책임을 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해당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가 따라야 하는 윤리 지침을 마련하여 준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몽골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 중 기관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기관 1개소를 각각 선정하여 임상시험 심의 규정을 비교 ․ 검토하였다. 또한 국제적인 윤리 지침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해당 기관의 심의 규정이 윤리원칙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연구대상자 관련 조항, 연구자 관련 조항과 운영 체계 및 거버넌스 관련 조항을 중심으로 심의 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째, 몽골은 1997년 처음 연구 윤리의 개념이 도입된 이래로 시행 규칙 및 관련법을 개정해 나가며 몽골에 적절한 의료 윤리를 설정하고자 노력해왔으나 몽골 A 의과대학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규정은 임상시험을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과 위원회의 역할과 권리 규정이 혼재되어 있어 연구대상자를 보호하고 연구자의 책임을 강화하며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개선된 운영 규정 마련이 필요해보였다. 둘 째, 법적 대리인의 동의를 포함한 취약한 피험자에 대한 기관 규정 마련, 연구로 인해 해를 입었을 경우 적절한 치료와 배상 방법 마련 등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적극적인 대상자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셋째, GCP 교육을 포함한 최소한의 교육 내용과 기간 등을 법제화함으로써 연구의 진행에 대한 책임자로서의 자격을 강화할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자료 조사와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비교․분석하여 실제 운영과의 간극을 파악하는 등의 심층적인 접근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몽골의 기관윤리위원회 운영 규정을 국제적인 윤리기준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외래환자의 병원 선택요인과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 선택요인 : 서울시내 소재 1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윤여룡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환자들이 생각하는 일반적인 대학병원의 선택 기준과 S대학교병원(이하 'S병원'이라 한다) 선택 요인, 그리고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의 선택 요인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는 것이었다. 설문은 2003년 4월 14일부터 4월 16일 사이에 S병원 외래환자를 단순 무작위 선택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본인(또는 보호자)이 직접 기입하게 한 후 수거하였다. 설문지는 500매를 배포하여 수거된 463매를 분석하였다.(회수율 93%) 분석은 각 문항별 척도의 백분율, 평균 등을 EXCEL 프로그램과 SPSS 10.K 등으로 분석하였다. 각 문항간의 유의성은 χ²검정, T 검정 및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설문응답자는 남자가 237명(51.5%), 여자가 223명(48.5%)이었다. 연령별로는 34세 이하가 118명(26.0%), 35-49세가 155명(34.1%), 50세-64세가 124명(27.3%), 65세 이상이 57명(12.6%)으로 65세 이상 고령환자의 응답률이 낮았다. 교육수준별로는 중졸이하가 50명(11.0%), 고졸이 161명(35.5%), 대졸이 202명(44.5%), 대학원졸 이상이 41명(9.0%)으로 고학력자가 많았다. 직업별로는 전문 기술 행정직이 118명(26.6%), 서비스 생산직 기타가 102명(23.0%), 개인자영업이 92명(20.8%), 전업주부가 131명(29.6%)이었다. 소득수준은 200만원 미만이 143명(33.0%), 200-399만원이 188명(43.4%), 400만원 이상이 102명(23.6%)이었다.(무응답은 백분율에서 제외함, 이하 같음) 2. 병원 선택의 의사 결정자와 대중매체의 영향 병원의 선택자는 본인이 선택한 경우가 48.8%, 부모 형제 등 가족이 선택한 경우가 33.0%로써, 본인이나 가족이 선택한 경우가 81.8%이었다. 타의료기관(의사)의 추천이나 주변사람의 추천으로 S병원을 선택한 경우는 각각 12.1%, 5.1%이었다. 병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신문이나 TV 등 대중매체의 영향을 받았는가의 질문에 영향이 있었다는 응답이 65.5%로서 별로 영향 없음과 무 영향을 합한 34.5%보다 많았다. 3. 대학병원의 선택 기준과 S병원의 선택 요인 환자들의 대학병원 선택 기준의 첫째가 권위(실력)있는 의사이었다. 그 다음으로 종합적인 진료와 현대적 의료장비, 명성과 신뢰성, 의사의 상세한 설명 순이었다. S병원의 선택 이유도 첫 번째는 권위(실력)있는 의사이었고, 그 외에 명성과 신뢰성, 종합적인 진료, 이용상의 편리성, 현대적 의료장비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병원 선택의 주된 요인이 대부분 서로 같았다. 4. S병원 재이용 이유와 이용 권유 S병원의 재이용과 이용권유의 빈도를 보면, 반드시 재이용과 재이용의 합이 84.1%이었으며, 반드시 권유와 권유의 합이 75.8%이었다. 최근 1년간 3회 이상 재이용하게 된 이유로서는 진료의 연속성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그 외는 진료결과가 좋아서, 권위(실력)있는 의사, 의사의 상세한 설명, 종합적인 진료, 명성과 신뢰성 등이었다. 전반적 만족도와 재이용 및 이용권유의 관계를 보면, 매우 만족할 경우에는 재이용(96.9%)하고 타인에게 이용을 권유(81.3%)하나 매우 불만인 경우는 재이용과 이용권유가 전무(0.0%)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병원선택 요인으로서 직원의 친절, 편의시설과 현대적 의료장비 직원의 친절과 편의시설, 대기시간 등을 대학병원의 선택기준 또는 재이용 이유로 선택한 경우는 매우 적었다. 특히 대학병원의 선택기준에서 65세 이상, 대졸과 대학원졸 이상, 전문 기술 행정직, 400만원 이상 소득자, 중환자 군에서는 직원의 친절, 짧은 대기시간, 싼 진료비 등에 대하여는 거의 선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에 있어서 친절의 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 같다. 왜냐하면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들은 무엇보다 먼저 질병의 치료가 시급하고 중요하기 때문에 직원의 친절 등은 크게 염두에 두지 않게 되고, 특히 S병원의 오랜 전통과 최근 3년 연속 브랜드파워 1위(매일경제신문, 2003년 3월 6일자)에 선정된 명성, 신뢰성 때문에 직원의 친절함은 어느 정도 기대수준 이상일 것이라고 당연시하였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의료기관 이용 후 친절함에 있어서 심각한 결함이 있을 경우 환자들은 재이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소문 등으로 나쁜 평을 하여 다른 환자가 병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크게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 부분에서는 친절함과 시설 등 진료환경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사립 대형병원의 선택 이유를 조사 연구하여 그 결과와 비교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환자들이 친절하고 편의시설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병원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그 부분에 고객가치(비중)를 두고 선택하였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사의 상세한 설명과 현대적 의료장비는 대학병원의 선택과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 선택의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것은 환자들이 자신의 진료내용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고 하는 욕구와 권리의식이 강하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첨단 의료장비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는 것을 환자들도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관에서는 앞으로 여기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려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6. 의료시장 개방에 대한 태도 의료시장의 개방에 대한 조사에서 찬성 56.5%(247명), 반대 6.9%(30명), 생각하지 않음 36.6%(160명)로써 찬성이 반대의 8.19배이었다.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 직업, 소득수준, 서울과 지방에 관계없이 찬성이 반대보다 많았다.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대중매체의 영향이 클수록 의료시장 개방의 찬성률이 더 높았다. 직업적으로는 개인자영업과 전문 기술 행정직의 찬성률이 높았고 전업주부와 서비스 생산직 등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의료시장 개방의 찬성 이유로서 첫째가 의료에 대한 환자(국민)의 선택권 보장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권위(실력)있는 의사, 세계적 명성과 신뢰성, 의사의 상세한 설명, 현대적 의료장비, 편리한 진료절차 등이 주요 이유이었다. 반대의 주된 이유는 비싼 진료비(50.5%)때문이었다 전반적 만족도와 의료시장 개방에 대한 태도를 보면 크게 불만인 경우는 의료시장개방에 모두 찬성(100.0%)하였고 반대한 경우가 없었다. 대중매체의 영향 정도와 의료시장 개방에 대한 찬성 태도를 보면 대중매체의 영향이 많은 군의 찬성률(63.6%)이 영향이 없는 군의 찬성률(45.9%)보다 높았다. 7. 외국병원 이용에 대한 태도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의 적극 이용은 5.4%, 이용은 48.3%, 생각해보지 않음은 32.8%, 별로 이용하지 않음은 10.3%, 전혀 이용하지 않음은 3.2%이었다. 전반적 만족도에서 크게 불만인 경우 외국병원을 이용하지 않겠다고 한 경우가 없이, 적극이용(66.7%)과 이용(33.3%)만 선택하였다. 8. 대학병원 선택 요인과 외국병원 선택 요인에 대하여 외래환자들의 대학병원의 선택기준을 보면 첫째가 권위(실력)있는 의사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종합적인 진료와 현대적 의료장비, 명성과 신뢰성, 의사의 상세한 설명 순이었다. S병원 선택 이유에서도 첫 번째로 권위(실력)있는 의사를 선택하고, 그 외에 명성과 신뢰성, 종합적인 진료, 이용상의 편리성, 현대적 의료장비 등이 주요 이유이었다. 그런데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병원 선택 요인으로써도 환자들은 권위(실력)있는 의사를 첫 번째로 선택하고, 세계적 명성과 신뢰성, 의사의 상세한 설명, 현대적 의료장비, 편리한 진료절차 등을 주요 요인으로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병원의 선택기준과 S병원의 선택 이유, 의료시장 개방시의 외국병원 선택 요인을 보면 환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의사의 권위(실력)였으며, 그 다음으로 명성과 신뢰성, 종합적인 진료, 현대적인 의료장비, 의사의 상세한 설명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요인들은 의료의 질 보장과 관련이 있는 것이므로, 결국 환자들이 3차 의료기관인 대학병원을 선택하는 이유와 외국병원 선택 이유는 의료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의료시장개방의 찬성 이유로써 가장 많이 선택한 환자(국민)의 선택권 보장도 의료의 질을 보장받기 위하여 다양한 선택권을 가지려는 권리 의식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조사대상이 서울소재 1개 대학병원을 방문한 외래환자들이기 때문에 결과의 해석에 제한이 있으며, 둘째, 소아나 치과 환자들을 설문에 포함하지 않았고, 셋째, 고령환자들은 설문에 응답하기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면담 조사 등을 하여 고령환자들의 설문응답률을 높여야 하는 데 그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향후 제안점으로는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서울소재 1개 국립대학병원의 성인 외래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향후에는 입원환자와 소아환자 뿐만 아니라 S병원처럼 오랜 전통은 없지만 근래에 대기업체에서 신설하여 친절함과 시설 등 진료환경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사립 대형병원의 환자와 중소규모 병원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병원 선택 요인과 의료시장 개방시의 외국병원 선택요인을 조사 연구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고령환자나 중환자 등 설문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환자의 응답률을 높이기 위하여 면담 등을 추가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있기를 바라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전반적 만족도와 S병원 선택 이유 등을 부록으로 첨부해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lection of University hospitals in general, 'S' University hospital(From after, it is called 'S hospital') and to examine the factors for selecting a foreign hospital when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is opened i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4 to April 16, 2003 by randomly selecting outpatients of 'S' hospital. We distributed prepared questionnaire and had the patient(or guardian) to write the answers and collected them. We distributed a total of 500 sheets and received 463 sheets (93% retrieval rate). We then analyzed the percentage, average, etc. of each item using EXCEL and SPSS 10.K.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rvey respondents were 51.5%(237persons) male and 48.5%(223 persons) female. Their age range 15 years to 87 years old, 34 years or under were 26.0% (118persons, including under 20 years 5 persons), 35-49years were 34.1%(155 persons), 50-64years were 27.3%(124persons) and over 65years old were 12.6% (57persons). Subjects education level ranged from middle school graduates or less were 11.0%(50persons), high school graduates were 35.5%(161persons), college graduates were 44.5%(202persons), post graduates were 9.0%(41persons). As for occupation, professional administrators were 26.6%(118persons), service/manufacturers were 23.0%(102persons), private business owners were 20.8%(92persons) and housewives were 29.6%(131persons). 2. Hospital selection decision maker and impact of mass media When selecting a hospital, patient or family members made the decision 81.8% of the respondents. Hospital selection by the patient was 48.8% and by a family member such as parents and siblings were 33.0%. 12.1% and 5.1% of people selected 'S' hospital from recommendations by healthcare institutions(physicians) and acquaintances, respectively. When asked if they were influenced by mass media such as newspaper or TV, 285persons(65.5%) answered positively while 150persons(34.5%) answered negatively. 3. Reasons for revisiting 'S' hospital and recommendation When looking at the frequency of revisit and recommendation made to others at 'S' hospital, 84.1%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revisit the hospital and 75.8% answered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 hospital to others. The primary reason for revisiting the hospital three times or more in the past year was due to continuous treatment. Other reasons included satisfying treatment outcome, physician expertise,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comprehensive treatment, reputation and trust. When we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revisit/recommendation, it was verified that satisfied patients revisit the hospital and recommend it to others. 4. Employee kindness, convenient facilities and up-to-date medical devices as factors of hospital selection Very few chose employee kindness, convenient facility and standby time etc. as their selection criteria or revisit factor at university hospitals. Those who are 65years or older, college graduates and postgraduates, professionals and managers, high income earners that make 4 million won or more per month, an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did not choose employee kindness, short stand-by time and cheap medical cost as important factors for selecting university hospital. Physician's thorough explanation and up-to-date medical devices, however, were important factors for selecting foreign hospitals when the medical market is opened and Criteria for selecting University hospitals. 5. Attitudes of Medical Market Opening In a survey about medical market opening 56.5%(247persons) were for the opening, 6.9%(30persons) were against it, and 36.6%(160persons) replied that they have not thought about i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ge and those who were more influenced by the mass media are, the higher the approving rate for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opening. The reasons for agreeing on the medical market opening are firstly, the right of patients to choose in the medical market field. Other major factors are physician expertise, worldwide reputation and trust,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up-to-date medical devices, convenient treatment process etc. Those who are opposed to the medical market opening chose expensive medical costs (50.5%) as a factor.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the attitudes for medical market opening, those who were strongly dissatisfied agreed 100.0% on market opening and none disagreed. When observing the relation between the influencing amount of mass media and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opening, those who were highly influenced by mass media(63.6%) agreed more on medical market opening than those who were uninfluenced(45.9%). 6. Attitudes of using foreign hospitals Patients who responded that they will actively use foreign hospitals were 5.4%, take advantage of them were 48.3%, have not thought about it were 32.8%, will not use foreign hospitals very much were 10.3% and will not use foreign hospitals at all were 3.2%. For overall satisfaction, out of those who were highly dissatisfied with Korean hospitals, none responded that they will not use foreign hospitals. They would actively use foreign hospitals(66.7%) and use foreign hospital(33.3%). When patients were dissatisfied with Korean hospitals, 70.4%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would actively use foreign hospitals. When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Korean hospitals, the sum of above criteria was 44.3%. 7. Factors for selecting university hospitals and foreign hospitals As for selection criteria of university hospitals, first was physician's expertise, next was comprehensive treatment and up-to-date medical devices, reputation and trust,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in order. As for reasons for selecting 'S' hospital, first was physician's expertise, next were reputation and trust, comprehensive treatment, convenience, and up-to-date medical devices. And, factors for selecting foreign hospitals when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is opened was firstly, physician's expertise, next were global reputation and trust,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up-to-date medical devices and convenient treatment procedure. Key factors for selecting a hospital were the same for most cases. In conclusion, when we look at selection criteria of university hospitals and reasons for selecting 'S' hospital, factors for selecting foreign hospitals upon medical market opening is that patients think that physicians expertise, reputation and tradition, reliability, comprehensive treatment, up-to-date medical devices, physicians detailed explanation etc. in order are the most important.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guaranteeing medical quality. So we could conclude that patients select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y hospitals and foreign hospitals because medical quality is guaranteed. Therefore, guaranteeing right to choose which most people selected as the reason for agreeing on medical treatment market opening is considered as their right to enjoy a variety of options and to ensur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outpatients that visited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So there may be a limitation in representing the outpatients. Secondly, pediatrics and dental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survey. Thirdly, there were limited interviews with senior patients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ey have difficulty filling out survey questionnair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that large private hospitals that big corporations have established do not have long tradition as 'S' hospital, but they are renowned for their services and convenient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research results on outpatients from these hospitals. I hope additional studies on this topic will be done in the future.

      • 의료기관의 설립주체에 따른 조세제도 형평성 분석 : 일부 병원 조세부담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의 의료기관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개인병원에서부터 비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의료법인, 사회복지법인, 학교법인, 공공의료법인 등의 서로 다른 다양한 설립주체가 있으며 이 모든 의료기관들은 국민보건향상을 위한 중추적 중심기관으로서, 의료전달체계의 주 공급자로서 민간의료기관이 국가를 대신하여 국민보건의료를 책임지는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의료현실은 민간의료기관들에 대하여 기여만큼의 인정을 해주지 못하고 있으며 의료법에서는 의료법인을 비영리법인으로 규정하면서 세법상의 조세지원은 영리법인과 동일한 정책을 위주로 적용하고 있고, 조세지원을 받고 있는 의료기관들도 여러 가지 설립주체에 따라 동일한 조세지원을 받지 못하는 법적인 모순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병원계에 비우호적인 정책 결정과 비현실적인 보험수가가 의료기관 경영의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정부는 다양한 분야에 걸친 의료정책의 변화를 예고하였으며 이에 발맞춰 의료환경과 병원경영의 투명성 및 정상화를 향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병원 채산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 대안 중 비교적 용이한 민간기부금의 확대유인과 의료기관에 대한 조세감면 중에서 의료기관관련 조세제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설립주체에 따른 조세제도 분석 및 일부 의료기관의 조세부담 조사를 통하여 그 차이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조세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현황파악, 의료기관의 비영리성 및 비영리법인에 대한 조세제도 조사 그리고 의료기관 조세관련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의료기관 설립주체별 조세제도 및 준조세를 분석하고 더불어 실제 일부 의료기관의 조세부담조사를 행하여 의료기관 조세부담 형평성을 분석한 후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세법과 관련하여 의료사업으로부터의 수익을 의료사업에 재투자할 수 있도록 순수의료 목적에 국한하여 그 비용의 일정 부분을 고유목적사업준비금으로 손금 산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리고 사단법인, 재단법인, 의료법인에 대한 손금산입의 범위도 학교법인, 사회복지법인, 국립대학교 병원 및 서울대학교 병원과 형평있게 조정한다. 둘째, 조세특례제한법과 관련하여 기부금의 손금 인정 한도액을 사회복지법인, 의료법인, 사단법인, 재단법인의 경우도 학교법인, 국립대학교 병원 및 서울대학교 병원과 동등한 기준으로 적용하여 민간 기부금의 유인이 활성화 되도록 한다. 셋째, 소득세법과 관련하여 대학·전문대학 및 이에 준하는 학교의 교원이 받는 연구보조비 중 총 급여의 일정 범위를 근로 소득의 범위에서 제외하듯이 대학 교수의 신분이고 소득발생의 유형이 같으면 대학부속병원이 아닌 병원으로부터의 소득도 총 급여의 범위에 포함하여 비과세 소득의 계산과표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부가가치세법과 관련하여 부가가치세법 상 면세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효과는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나 현재 의료행위에 대한 면세는 부분적 면세이고 의료 수익에 부가가치가 없는 점을 감안하면 환자가 부가세를 전액 부담하는 형태가 되므로 의료를 위한 재화나 용역의 공급에 대하여는 영세율을 적용한다. 또한 대리납부부가세는 면세사업자의 경우 과세사업처럼 매입세액공제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과세 제외를 하도록 하여야 하며 과세사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의료 관련 용역 제공 시는 의료용역을 면세범위에 포함시켜 면세처리 되어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섯째, 지방세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병원이나 국립대학교 병원과 같이 사회복지법인, 의료법인에 대해서는 사업소세와 대도시 지역에서의 등록세 비과세를, 학교법인에 대해서는 대도시 지역에서의 등록세 비과세 처리를 제시한다. 여섯째, 관세와 관련하여 대학병원이외의 수련병원 지정 의료기관에 대해서도 학술연구용 물품의 관세 감면율 적용과 국내 제작이 곤란한 첨단의료기기의 경우 조세특례제한법상의 관세 경감 규정에 따라 탄력세율을 적용하여 면세 처리해 줄 것을 제시한다. 이상의 세법별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우리라 의료기관 관련세제의 전체적인 개선방향을 말하면 의료사업이 비영리법인의 주요고유목적사업인 경우는 단체의 설립형태 또는 등록 부처에 차이가 있어도 동등한 세제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 형평성을 제고하는 방안일 것이다. 또한 외국의 경우와 같이 영리와 비영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여 비영리법인의 경우는 확실한 세제상 혜택을 주되 의료기관은 경영의 투명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다양한 설립 주체 중 의료법인과 사회복지법인 두 기관의 조세부담을 실제로 조사하여 조세부담의 형평성을 분석하고자 한 데 의미가 있으며 일부 기관만을 분석하였으므로 의료기관 전체로 확대 해석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고 하겠다. 향후 의료기관의 다양한 설립주체별로 빠짐없이 실제 조세부담 내역을 조사하여 세목의 타당성 검토 및 조세부담의 형평성을 분석하도록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바이다. In korea, We have various kinds of medical institutions ranging from a private commercial hospital to a medical corporation, a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a public service medical institution which are all non-profit. All of these medical institutes as backbones to the national health improvement and medical delivery system's main providers take their social role and function by taking charge of national health and medical care on behalf of the nation. Despite all their efforts and contribution, it is true that civil medical institutes are not rewarded enough for their efforts. For example, our medical law has some contradiction with the taxation law. According to the medical law, a medical corporation is non-profit organization but the taxation law considers medical corporation as a profit organization in taxational support. And taxational support for medical institutes a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establishing subjects. Policies that are unfavorable to hospitals and unrealistic fee schedule of medical insurance have been major problems of the hospital. The government recently made an announcement that many changes of medical policies in various fields were imminent. Now, it is required that hospitals should try to be transparent and normal in their management. This research will consider motives to increase civil donation and tax redu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an efforts to improve their payability. It intends to analyze problems in the taxation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and suggest better measures about them. For this, the status of medical institutes in Korea, their non-profitableness and taxation system for non-profit corporations have been examined. The taxation system and quasi tax, applied to each establishing subjects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se studies and documents on the taxation of medical institutes. In addition, the equity problems of taxation among medical institutes and solutions to them are suggested he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corporation tax, profits form medical practice should be allowed to be taken into account a deduction as a reserve fund for the object of essential project. Second, in relation to the regulation law on tax reduction and exemption, the limit of a donation considered a deduction to social welfare corporations or medical corporations should be decided by the same standard as national or public hospitals. Third, in relation to income tax, subsidies for research, which are given to the staffs of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are excluded from their earned income in a given portion of the total income. Likewise, professors' incomes from not only university hospitals but other hospitals should be included in the total and the standard of assessment of tax exemption. Fourth, in relation to value added tax, the effects of goods and services, exempted from taxation are for final consumers. But tax exemption on medical practice is partial and there are no added values to medical profits, patients actually pay all value including. No tax rates should be given to the goods and services provided medically. When medically related services are supplied by taxation business,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range of tax exemption. Fifth, in relation to local tax, the business office tax and registered tax in the metropolitan area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medical institutes lik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other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hould be exempted from taxation. And the registered tax in the metropolitan area of the educational foundation also should be exempted. Sixth, in relation to customs duty medical institutes designated as training hospitals like university hospitals should be given a reduction on articles for academic researches and high-technology medical instruments that are hard to make domestically. These should be exempted from taxation by applying flexible tax rates of customs duties reduction provisions. After considering measures to improve the medical institute related system of taxation, we reached this conclusion. If medical institutes' practice is a non-profit corporations' main original purpose , they should have equal status in taxation though they have different forms of establishment and registration. And medical institutes should choose between profit and non-profit. If they choose to be non-profit, the institutes can get some taxational benefit.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have transparent managements. This research was quite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equity of taxation by investigating medical corporations and social welfare corporations' tax expenses. But the research had some limits in that it analyzed only a few institutes. The next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the actual tax burdens of all kinds of institutes and analyze the propriety of tax article and the equity of taxation.

      • 우리나라 중학생의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과 흡연 실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최소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과 흡연 실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로 2008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국민건강증진연구소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미국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주관으로 실시한 세계청소년흡연조사(Global Youth Tobacco Survey, GYTS)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 소재25개교, 6개 광역시의 25개교, 7개 지역의 25개교 총75개 중학교를 선정하여 무작위 추출에 의해 학급을 선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전체 흡연율은 494명(8.3%)이고 남자는 312명(9.7%), 여자는 182명(6.7%)이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흡연군의 비중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흡연여부와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점수는 흡연군에서 저집단(0-1점)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비흡연군에서는 고집단(4-5점)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요인과 흡연교육이수여부와 관련하여 부모가 흡연하지 않은 군에서 비흡연군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친구의 흡연여부에서 흡연군은 “가까운 친구 대부분“이 흡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에서의 금연 메시지 여부는 흡연군과 비흡연군 모두 ”약간 보거나 들었다“가 가장 높은 차이로 나타났다. 담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관련 수업이수여부에서는 흡연군과 비흡연군 모두에서 ”있다“가 가장 높은 차이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과 흡연여부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점수는 고집단에 비해 저집단에서 흡연할 위험이 2.45배 높았고 흡연관련수업을 이수하지 않은 군에서 흡연할 위험이 1.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을 대상으로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과 흡연 실태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로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을 체계적인 흡연예방 교육 자료로 제작하여 청소년 흡연예방교육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가정에서도 유대관계를 가지고 흡연의 문제점에 대해 확실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뚜렷한 지식을 가지고 자녀들의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해 구강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금연을 유도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수술실 간호사의 동료평가 도구개발

        이윤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조직에 있어서 인적자원은 활용범위가 무한한 잠재력을 지녔다는 측면에서 인적자원의 관리가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병원조직에 있어서 인사관리는 병원관리의 핵심분야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병원인력의 다수를 차지하는 간호인력의 관리를 위해 간호사의 업무성과에 대한 평가는 공정하고 신뢰성을 가진 도구로 행해져야 한다. 현재의 상사에 의한 인사고과제도는 객관성과 정확성이 결여될수 있으며 일방적인 평가는 피평가자로 하여금 평가의 공정성에 대해 불만의 소지가 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타당성이 높은 평가방식과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기존평가도구문항들의 추상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업무분석을 토대로한 평가도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성과에 대한 평가를 하는데 있어 현재의상사에 의한 인사고과와 함께 동료평가를 시행, 반영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에서 평가도구를 개발하게 되었다. 도구문항의 개발은 문헌고찰과 기존 평가도구들의 분석과 수술실 간호 업무분석을 토대로 능력과 태도의 2개 영역으로 분류되고 능력 영역에서는 다시 전문성, 업무수행력, 개선창의력의 세가지 중분류 영역으로 나누었고 각 영역에 해당하는 22개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태도영역에서는 간호윤리, 근무자세, 협조성, 정보공유, 물자절약, 친절봉사의 6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해당하는 11개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작성된 예비문항은 수술실 간호과장 1인과 수간호사 7인으로 구성된 8명의 전문가집단의 타당도조사를 거쳐 일 대학병원의 3개 전문센타의 1년이상 경력의 수술실 간호사 90명을 대상으로 실무자집단의 타당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검증 결과 예비평가도구의 33문항에 대해 전문가집단과 1년이상 경력의 실무자집단의 타당도검증은 모든 문항에서 80%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각 문항별 타당도는 80 ∼ 98의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신뢰도검증 결과 평가도구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 α 0 .9645였으며 문항별 신뢰도는 0.9628 ∼ 0.9646으로 개발된 도구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타당도조사를 통해 확정된 평가도구의 33개 항목에 대해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영역, 소영역별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대상자는 1차 설문조사와 마찬가지로 일 대학병원의 3개 전문센타 수술실 간호사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차 설문 조사를 통해 확정된 영역별 가중치는 능력과 태도영역이 55 : 45로 결정되었고 그에따른 세부영역의 가중치를 결정하였으며 3인의 보건대학원 교수와 33개 문항을 다시 검토하고 상의하여 3개 문항을 삭제하고 통합 수정하여 30개 문항을 동료평가도구로 확정지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술실 간호사의 동료평가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로 검증되어 타직종과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거나 도구문항이 추상적이고 포괄적이며 애매모호하고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은 현 인사고과제도에 좀 더 공정하고 평가에 정확성을 기할수 있도록 동료평가를 병행함으로서 제도적 보완을 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t was getting important in a organization that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for the reason of that manpower had unlimited potentials. Especially the management of the human resource holds a key post as a core part in the hospital unit. It should be valued fairly and impartially on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that in order to manage the nursing manpower a majority of hospital labors. In the recent years, it might be a lack of objectivity and accuracy that the performance evaluation by only his/her supervisor. A employee could be dissatisfied with the result by one-sided evaluatio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make proper and objective method and manual of People Performance Evaluation (PPE). The PPE items had to base on accurate job analysis because the existed evaluation tool was not quantitative either tangible. This study was to enhance a fair and impartiality of PPE for operating room nurses by supervisor as well as by coworkers (Peer Evaluation). Develop of evaluation tool was base on a clinical research, existed evaluation tools, and operating room nursing analysis. The study divided in two classification : ability and attitude. Ability was divided three parts - specialization, job performance, innovation and it has 22 items. Attitude was divided six parts - nursing ethics, her conduct, cooperation, information sharing, economy in expenditure, kindness service and it has 11 items. The 33 items were reviewed by expert panels. (one operation room (OR) manager and seven OR head-nurses).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tool 90 OR nurses participated who worked at least one year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 tool, the expert panels and OR nurses agreed more than 80% on 33 item each. It was high that the CVI of evaluation tool was 91. The validity of each item was 80 ~ 98% In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tool, the Cronbach a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9645. In the reliability of each item was 0.9628 ~ 0.9646. In a second research about finalized 33 items, it gave a weight index to major and minor classification. It was re-asked 1st participants.

      • 알코올 중독 관련 주종 및 주종별 알코올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신성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음주인구의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알코올로 인한 폐해도 크지고 있다. 음주로 인한 대표적인 폐해가 알코올 중독자이다. 현재 알코올 중독에 관한 정확한 통계가 없다. 정부에서 350만명 정도로 추정해 사용할 뿐이다. 알코올 중독을 야기하는 술이 어떤 것인지, 어떤 술이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을 많이 발생시켰는지 조사한 적이 없다.$$a$$a알코올 중독자 600명을 설문조사해 중독을 야기한 술이 어떤 것인지를 조사했다. 국세청과 관세청의 자료를 활용해 2003년 국내 주류 공급량과 순수 알코올 공급량, 주종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의 비율을 산출했다.$$a$$a그 결과 알코올 중독자의 85.9%가 치료 서비스를 받기 한 달 전에 가장 많이 마신 술로 소주를 꼽았다. 맥주는 6.6%에 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탁주, 양주 등이었다.$$a$$a알코올 중독자들의 44%는 소주를 많이 마시는 이유로 값이 싸고 빨리 취해서라고 답했다. 입맛에 맞아서 소주를 마신다는 사람도 35.1% 였다. 구하기가 쉬워서라고 답한 사람은 7.1%, 주변에서 많이 마시기 때문이라고 답한 사람은 6.2% 였다.$$a$$a소주를 마시다 알코올 중독자가 된 사람 중 42.7%가 월소득이 100만원을 밑돌았다. 101만~200만원인 사람은 33.4% 였다.$$a$$a2003년 기준으로 주종 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을 조사했다. 이를 산출하기 위해 먼저 주종별 알코올 공급량부터 조사했다. 2003년 국내에서 생산됐거나 수입된 알코올은 314만㎘로 맥주가 60.9%, 소주가 29.6%, 탁주와 약주가 6.02%, 위스키 1.2% 였다.$$a$$a술에 들어있는 알코올 함유량(맥주 4도, 소주 22도)을 뽑은 게 순수 알코올 공급량이다. 2003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은 2537만6978㎏이다. 주종 별로는 소주가 63.6%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맥주가 23.8%, 위스키 4.8%, 탁주와 약주 4.1%, 청주 1.2% 등이다.$$a$$a연세대 보건대학원 이락현이 산출한 2003년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은 24조2719억원이다.$$a$$a순수 알코올 공급량의 주종 별 비율에 따라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을 나눠 주종별 비용을 구했다. 소주가 15조4345억원, 맥주가 5조7840억원, 위스키가 1조1724억원 등이었다.$$a$$a소주가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의 대부분을 야기하는데도 우리나라의 소주 주세는 맥주보다 18% 포인트 낮게 책정돼 있다. 소주는 주로 소득이 낮은 계층이 많이 마시기 때문에 값을 올릴 경우 소비를 줄일 수 있다.$$a$$a정부는 2005년 중순 소주세를 인상하려다 서민에게 부담을 준다는 반대에 부닥쳐 인상 방침을 철회한 적이 있다. 이번 연구는 소주 세율을 올리면 서민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 수도 있지만 낮은 가격 때문에 서민들이 알코올 중독과 같은 사회 경제적 폐해를 더 본다는 점을 밝혀냈다.$$a$$a Drinking population is growing every year. Ill effects due to alcohol is also increasing. The major ill effect caused by drinking is cultivating alcoholics. There is no concret statistics on alcoholics. Korean government suggests an estimated number of 3,000,000. There has never been any study on the types of alcohol that cultivate alcoholics or on the kinds of alcohol that costs socioeconomic expenses.$$a$$aThis thesis analyses the socioeconomic expenses of alcohol in detail and depth. The result is that 85.9% of alcoholics ranked soju as the main type of alcohol they had drunk the most, a month before their medical treatment. Beer was counted by only 6.6% of alcoholics. Makkolli and whiskey came next. Asked why they drank soju the most, 44% of alcoholics replied that is was cheap and it made them get drunk faster. 35.1% of alcoholic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the taste. 5.8% answered it was easy to buy and 5.1% pointed out it was commonly drank by others.$$a$$a42.7% of alcoholics who preferred soju had monthly income of less than 1,000,000 won. Only 33.4% earned between 1,010,000~2,000,000 won. It could be easily understood that soju is the principle factor leading to alcoholics and the main reason for its popularity is the low price.$$a$$a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by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as of 2003 had been examined. First, amount of alcohol supply of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was calculated. Total amount of alcoholic beverages manufactured or imported in 2003 was 3,140,000㎘: beer accounted for 60.9%, soju 29.6%, makkolli and clear strained rice wine 6.02% and whiskey 1.2%.$$a$$a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is drawn from alcohol content in alcoholic beverages: beer 4% and soju 22%. 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in 2003 was 25,376,978㎏. By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soju had the largest portion, which accounted for 63.6%. Beer 23.8%, whiskey 4.8%, makkolli and rice wine 4.1% and clear strained rice wine 1.2% followed.$$a$$aLee Lak-Hyun of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calculated that socioeconomic expenses in 2003 amounted to 24 trilllion won.$$a$$aSocioeconomic expenses of types of alcohol can be derived from dividing socioeconomic expenses by the portion of 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of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Soju accounts for 15.4 trillion, beer 5.78 trillion, whiskey 1.17 trillion won.$$a$$aLiquor tax of soju is allotted 18% point less than beer although soju arouses most of the socioeconomic expenses of alcohol. Consumption of soju could be reduced by raising price since soju is usually drunk by the low-income bracket.$$a$$aIn mid 2005 Korea government planned to raise tax on soju, but the policy had failed and withdrawn due to opposition that it would give burden on the common people. This thesis made clear that raising soju tax might put economic burden on the populace but at the same time the low price of soju could lead to more socioeconomi ill effects such as cultivating alcoholics$$a$$a

      • 한국인에서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추정의 유효성

        황인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과 보행이 불가능하여 신장의 측정이 어려운 사람에게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을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며, 선정된 대상을 임의로 두 군으로 배정하여 한 군에서 유도된 공식을 다른 군에 적용하는-교차타당성만을 평가했던-이전의 연구방법과는 다르게, 보행 및 신장의 측정이 가능한 성인에게서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을 유도하고 이것의 교차타당성 평가 뿐 아니라 실제 좌식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나 노인에게 적용하여 그 임상적 타당성까지 평가한 최초의 연구이다.공식 유도 및 교차타당성 평가는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이 멈추었다고 판단되는 20세부터 69세까지의 남녀 5063명(남자 2532명, 여자 2531명)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5세 또는 10세 간격으로 층화한 후 각 연령대에서 임의로 20%를 추출하여 교차타당군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80%에서 공식을 유도하였다. 임상적 타당성 평가는 두 종류의 대상군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65세 이상의 건강한 노인 군과 나이제한 없는 20세 이상의 보행이 불가능한 군이 그 대상이었다. 노인 군의 경우 2008년 4월 한 달 동안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외래 및 종합검진센터에 내원한 65세 이상의 남녀 33명(남자 7명, 여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신장의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 병력 및 과거병력이 없고, 홀로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자들이었다. 보행불가능군의 경우 동일 기간 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 세브란스병원 중환자실과 재활의학과에 입원해 있는 남녀 39명(남자 25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적어도 연구기간동안 좌식생활을 하고 있었고, 좌식생활을 하기 이전의 신장을 의무기록을 통해 조회할 수 있는 자들이었다. 대상자에 선정된 모든 사람들의 키, 몸무게, 나이, 그리고 무릎 키를 기록하였다. 공식유도군에서 나이와 무릎키를 독립변수, 키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선형 회귀식을 유도하고, 이 식에 대하여 교차 타당성 평가 및 임상적 타당성 평가를 시행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한국인에서 나이와 무릎키를 이용하여 신장을 유추하는 공식은 남녀모두에서 매우 높은 타당도를 보였으며, 이는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와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임상적으로 타당하게 적용되었다.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은 65세 이상의 노인 뿐 아니라 실제 보행이 불가능하고 신장을 측정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향후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에 대한 유효성 뿐 아니라 그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으며, 신장의 측정이 불가능한 사람들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한 신체계측 시 무릎키 측정을 포함시켜야 하겠다. Information on height is prerequisite in metabolic and nutritional assessment of patients. Practical difficulties are often encountere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 arising from the disability of standing straightly. This study was designed for validating height-estimated equation using knee height in elderly over 65 years old and handicapped pers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perform the clinical validation applied in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 as well as cross validation of the equation for predicting height using knee height induced by healthy adults. This study is discriminated from the previous study in that only cross validation, which an equation induced by randomly selected group was applied to the other group.A total of 5063 people (2532 males, 2531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0 to 69 years who are determined to stop grow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rom the SIZE KOREA 2004 database published by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validation group and cross validation group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Clinical validation was performed through two groups; 33 healthy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7 males, 26 females) and 39 handicapped people over 20 years (25 males, 14 females). Height, age, and knee height were recorded in all subjects. Regression model was induced with age and knee heigh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eight as a dependent variable. Cross validation and clinical validation we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is equation.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ing;It shows that height-estimated equation using knee height in Korean has high validity on both sex, and that equation was applied efficiently to the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s.Henceforth, there is a need of study that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height estimation using knee height, and it should be included measuring knee height on anthropometry of handicapped person and elderly for assessing their nutritional status.

      • 식품섭취빈도조사의 타당도 연구

        심지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평소 식이 섭취 특히, 지질과 지방산의 섭취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타당도를 각각 개별 영양소와 식품 섭취의 수준에서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기준방법으로는 반복측정한 식이기록을 이용하였으며, 1998년∼1999년 동안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했던 30세 이상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사 실시 이후 두 번에 걸쳐 3일 식이기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남자 34명, 여자 52명이었다. 개발된 식품섭취빈도조사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방법 간 평균 섭취량과 각각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통해 측정한 열량, 지질 및 지방산의 섭취량은 식이기록의 결과에 비해 과대 추정되었다. 열량의 섭취를 보정하기 전과 비교하여 보정 후의 관련성이 높아졌으며, 지질의 섭취에 대한 상관계수는 남자 0.56, 여자 0.33으로 평가되고 지방산의 종류별로 분류 시 다불포화지방산은 남자 0.26, 여자 0.22, 단일불포화지방산은 남자 0.39, 여자 0.30, 포화지방산은 남자 0.40, 여자 0.55로 평가되었다. 기존의 연구와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식품섭취빈도조사의 타당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상관계수 0.5∼0.7 정도의 적절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의 원인은 본 연구에서 결과 분석 시 기준방법으로 선정한 식이기록 간의 일치도가 낮아서 상관계수 산출에 식이기록의 개인내 변동과 개인간 변동의 비를 고려하지는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만약 이를 고려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한다면 두 방법간의 관련성은 보다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개인의 일상적인 식품 섭취 측정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방법 간 식품군의 평균 섭취량을 비교하였는데, 평균 섭취량은 식이기록의 결과에 비해 식품섭취빈도조사에서 전반적으로 과대 추정되었다. 그러나 패류, 떡류, 가공육류 등 일부 식품은 오히려 식이기록의 섭취량이 보다 많게 측정되었으며, 식이기록의 측정오류를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산출된 평균 식이기록과 식품섭취빈도조사의 상관계수는 남자에서 평균 0.22, 여자는 평균 0.29로 관찰되었다. 개인의 식품섭취 총량 보정 전후의 관련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식품에 따른 상관계수는 밥이나 과일, 커피 등 섭취빈도가 잦고 섭취량이 일정한 경우 0.5이상의 높은 관련성을 보인 반면, 패류, 떡류, 가공육류 등 섭취빈도가 일정하지 않고 계절이나 요일에 따른 변이가 큰 식품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품섭취빈도조사지는 포화지방산과 지질의 섭취량 추정에는 용이하지만 다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 추정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품 섭취에 대한 타당도 검증에 있어서 특히 섭취빈도가 불규칙적인 식품은 섭취량 추정이 어렵지만 규칙적으로 소비되는 식품의 섭취는 개발된 식품섭취빈도조사 설문을 통해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다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불규칙적으로 소비되는 식품의 일상적인 섭취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조사방법이나 기준방법, 측정오류의 보정 방법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to estimate an individual's usual nutrient and food intake. The total number of 86 subjects(34 men, 52 women) were given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n completed two 3-day diet records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2∼20 months. Thi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specially assess fat/fatty acid intakes and asked about consumption of 93 food items with food frequency of 9 categories from 'almost never' to 'three times a day'. To obtain food intake measurements from the diet records that were compare with those from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 divided individual food items from both methods into 36 food groups, based on the similarity of nutrient profil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e compared mean intakes calculated from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ith those derived from the two 3-day diet records. Also, we us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se two methods. As a result of analysis, energy, total fat and fatty acids were overestimated by the questionnair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after energy adjustment for nutrients ranged from 0.26(polyunsaturated fatty acid) to 0.56(total fat) among men and from 0.22(polyunsaturated fatty acids) to 0.55(saturated fatty acid) among women. On the food intake level, most of the foods intakes from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re overestimated, but a few of them(eg, rice cakes, processed meat, shell fish, etc.) were underestimat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djusted for total intake volume ranged from -0.20(shell fish) to 0.81(coffee) among men and from -0.04(potatoes and starches) to 0.72(coffee) among women. Foods consumed regularly had lower within-person variation and tended to have higher observed correlation coefficients. In contrast, irregularly consumed foods tended to be low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not useful for evaluating some infrequently consumed foods. A result of this study, ou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s moderately valid in assessing total fat and saturated fatty acid intak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