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캠퍼스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만족도 분석 :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주변의 경우

        김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 비교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건축물관리대장과 지적도를 기준으로 시설이용특성을 비교 검토하였고 연구대상지를 이용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두 대학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통계적인 방법으로써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분석을 위해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두 대상지의 시설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일반주거지역으로써 주 용도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공동주택(연립주택), 근린생활시설, 복합시설, 기타 등으로 유사하게 분포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주변지역의 주 용도에서 다가구용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의 비율이 홍익대학교에 비해 낮게 나타난 반면, 근린생활시설과 복합시설의 비율은 연세대학교 주변이 홍익대학교 주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주변의 전체 층별 비율을 볼 때 지상1층의 비율이 가장 높고, 지상2층, 지하1층, 지상3층, 지상4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홍익대학교 주변의 전체 층별 비율에서는, 지상1층의 비율이 가장 높고, 지하1층, 지상2층, 지상3층, 지상4층, 지상5층, 지상6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주변의 최고층은 지상6층인데 비해 홍익대학교 주변의 경우는 지상8층까지 이루어져, 지하철과의 연계가 개발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론된다. 두 대학 모두 최하층과 최상층은 근린생활시설로 이용되는 공통점을 나타내었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세대학교 주변의 이용자들은 대학시설로의 접근 시 편리함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가이미지보다 연세대학교의 특성을 느끼는 것이 연세대학교주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홍익대학교 주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주변 이미지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시설로의 접근시 편리함과 녹지공간 및 미적공간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를 포함한 전체만족도의 경우에는 연세대학교보다 홍익대학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추론되었다. 학생보다는 비 학생이 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에서는 대학시설로의 접근 시 편리성과 대학주변거리로서의 청결성, 녹지공간 및 미적공간, 대학가 이미지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대학가 이미지’가 대학가의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near Yonsei University campus and Hongik University campus. As for the data, Building-Management-Register and acreage map near Yonsei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ages in two sites. To obtain a sample for the survey study, users who dwell in two sites were selected. For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wo university campuses, the T-test was us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were analyzed through Linear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esent facilities using conditions in two sites shows that the main conditions used in the general residential area are Individual housings consisting of one residence (often called detached), complex housing consisting of more than two residences, multi-family housing, villa, community facility, multiplex facility, and more. The percentages for the results are very similar among the seven forms.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the rates of detached, complex housing consisting of more than two residences, multi-family housing, and villa, were measured lower than in the case of Hongik University. However, the rates of the community facility and multiplex facility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were higher than that of Hongik University. The resulting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building stories in Yonsei University shows that the rate of 1F is highest, followed by 2F, B1, 3F, 4F, while in Hongik University, the rate of 1F is highest, followed by B1, 2F, 3F, 4F, 5F, 6F. The Highest story in Yonsei University is 6F. On the other hand, 8F is the highest story in Hongik University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subway system had influenced the development in this case. Both Universities have similarities in using the highest and lowest story as a community facility. Through Linear Regression, the convenience of reaching University facilities had greatly affected the satisfaction level for respondents from Yonsei University.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Yonsei University itself had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more than that of image of campus. On the other hand, although convenience, open space, and aesthetic space also did have an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for respondents from Hongik University,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influence was the image of campus. In the total satisfaction level, Yonsei University ranks higher than Hongik University.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ose who were not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Convenience, cleanliness, open space, aesthetic space, and image of campus influenced the total satisfaction levels.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the appearance or image of a campus was a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to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표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연구

        권연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의 목적은 지속 가능한 대학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지속 가능한 지표에 대한 개발을 통하여 국내 대학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증진시키는데 있다.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은 기존의 환경상태를 유지하거나 더 나은 상태로 발전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대학교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 사례와 환경지표에 대한 선행연구 동향을 통하여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개발은 먼저 국외 대학과 국가 및 국제기관 등에서 실시한 환경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대학교에 적용 가능한 지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지표 중에서 원주캠퍼스의 쟁점조사 및 특성을 고려하여 원주캠퍼스에서 적용할 수 있는 1차 환경지표를 다시 도출하였다. 원주캠퍼스의 1차 환경지표로 도출된 목록 중에서 현재 자료조사 상태를 파악하여 2차 환경지표를 ○: 자료 조사가 이루어진 지표, △: 자료 조사가 불충분한 지표, ●: 자료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표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환경지표를 토대로 대상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또한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지표를 도출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로 선정된 목록들 중에서 ○와 △로 표시된 지표들을 중심으로 실제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국내 대학에서는 최초로 시도되는 연구이기 때문에, 자료수집 및 지표간의 관계설정 등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앞으로 국내 대학교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자료구축 및 지속적인 발전 노력이 수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o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 Universities through sustainable indicators development. The sustainable university is university whose long term prospect for continuing to exist is good.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development of Wonju campus wa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bout environmental indicators development and accomplishment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Korea universities. Wonju campus Environmental indicators were adopted by selecting university environmental indicators based on preceding study and then by reselecting of the presented indicators concerning about characteristic and questionnaires of Wonju campus. Finally it presented ○: data collected indicators, △: data insufficiently collected indicators, ●: data not collected indicators. Also, this study discussed evaluation grade concentrated on indicators presented ○ and △. But it is difficult to data collecting and relation establishment among indicators because it is initiated in korea. In conclusion, sustainable indicators development in korea universities needs to be continuingly conducted.

      •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유희경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knowledge management appears as an important concept for strengthening the core competence of an enterprise in the knowledge economy era of the 21st century. Hence, enterprises’ interest is increase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s a practical instrument of the knowledge management.Recently, the university library is transforming rapidly from the traditional library into the digital library to provide many resources of information, but confines itself to stereotypeduniform contents and temporarylimited information services. Thus,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provide the knowledge information that can meet its members’ tasks and studies, and has to convert its hardware-based information services into the software-based information services reflecting its members’ inherent administrative experiences and know how. With respect to this,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introduce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promotes the culture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the library itself and its members.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examining the existing studies,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explores an analysis of conditions of system use and a plan for the furtherance of the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We have carried out, as methods of study, the analysis of log data, interviews with employees, and research with professors and lecturers from Yonsei University.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og data, we can find out that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has only a few effects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ecause its availability ratio is low, and its active functions and provided data types have few differences from those provided by the traditional library. With respect to this, we have evaluated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partly modifying DeLone & McLean’s (1992) mode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uccess in the information system. Then, we have groped for a plan for the furtherance of the system.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with respect to system properties,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needs to improve its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and to provide user-based interface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econd, with respect to knowledge properties,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needs to increase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knowledge by providing specialized knowledge by themes,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informalinternal knowledge and implicit knowledge to provide them.Third, for the furtherance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on the side of strategies of knowledge management, it is desirable for the library to expand personnel responsible for services, and introduce a team-based organization consisting of knowledge-managers by themes. Especially for the furtheranc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needs the university members’ voluntary and cooperative culture for knowledge sharing. Thus, in order to cultivate the voluntary knowledge-sharing culture, the provision of systematic compensation for evaluation is needed.Lastly, in order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effectively support virtual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a main method of education in the future, the methodical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ity library’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integrated operation, is necessary. 21세기 지식경제시대에 기업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기반으로 지식경영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경영의 실천도구로서 지식관리시스템에 대한 기업의 관심 또한 높아져 있다.최근 대학도서관은 전통적 도서관에서 디지털 도서관으로 빠르게 변모하며 많은 정보자원들을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형화되고 획일적인 컨텐츠와 일회적이고 제한적인 정보서비스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대학구성원의 업무와 연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현재의 하드웨어 중심적인 정보서비스에서 대학 구성원들의 내재된 실무경험과 노하우에 의한 소프트웨어 중심적인 지식정보서비스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에 지식관리시스템이 도입되고, 대학구성원들과 도서관 간에 활발한 지식공유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국내 최초의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인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시스템 활용현황 분석 및 향후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로그데이터 분석과 실무자 인터뷰, 그리고 연세대학교 교수와 강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로그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의 이용률은 저조한 실정이고,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이나 제공되는 자료 유형 등도 전통적인 도서관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해 온 것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DeLone & McLean(1992)이 제시한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모델 중 일부를 수정하여 시스템 특성, 지식 특성, 지식경영 전략의 측면에서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을 평가하고, 향후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연구 결과 첫째, 시스템 특성과 관련하여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은 접근성(Accessibility)과 편의성(Ease of Use)을 향상시키고,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둘째, 지식 특성과 관련하여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은 주제분야별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비공식내부 지식이나 암묵지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지식의 품질과 다양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셋째, 지식경영 전략의 측면에서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향후 서비스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주제별 지식관리사서로 구성된 팀 기반의 조직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의 사용을 장려하는 경영층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지식관리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식공유를 위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문화가 요구되는데, 향후 자발적 지식공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평가보상의 마련이 요구된다.마지막으로 대학도서관이 미래의 주된 교육방식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상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과 가상교육 시스템 간의 유기적 연계 및 통합 운영이 필요하다.

      •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안신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87

        국내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개편에 관한 통시적인 연구가 없으므로 이 연구는 일개 의과대학에서 1970년 이후로 진행된 교육과정의 개편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1) 교육과정 개편 전개의 시기를 구분하고, 2) 각 시기별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편의 핵심 과제들과 특징을 설명하며 동시에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통해서 관통하고 있는 지향점을 밝히고 3) 교육과정 개편이라는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규명하여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을 선도적인 방향으로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 최초의 서양의학교육기관이자 지속적으로 선도적인 의학교육 개편을 해왔다고 평가받고 있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하 연세의대)를 선정하였다. 교육과정 개편의 내용을 필요성의 인식과 목적의 설정, 설계와 실행 및 평가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구분된 시기별로 분석한 후 비교하였다. 각 시기별 변화요인은 Kurt Lewin의 변화관리모델에 기반한 역장분석(force-field analysis)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다시 통시적으로 비교하였다. 1970년 이후 연세의대에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편의 전개는 네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교육과정 개편의 결과로 드러난 교육과정 유형을 보면 1) 교과목중심 교육과정 시기(1, 2차, 1970-1995), 2) 장기-계통바탕 통합교육과정 시기(3차, CDP2004, 1996-2010), 3) 성과중심교육과정 시기(4차, CDP2013, 2010-현재)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연세의대가 의학교육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개편을 진행했음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개편은 교육계획위원회(1, 2차 시기)와 CDP 사업단(3, 4차 시기)이 주도했다. 제1차 시기는 1970년에서 1983년까지로 관습적 의학교육에서 교육학적인 접근을 도입하였고, 교육과정과 교수 전원에 대한 심도있는 평가가 이루어진 후 그에 근거해 교육계획위원회를 개설했다.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의학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제정하고 학생중심교육을 지향하며 강의시간 감축, 임상실습의 확대, 통합교육과목 도입, 선택과목 확대 및 자율시간 도입 을 결정했으나 실행과정에 한계를 노정하였다. 1984년에서 1995년까지 진행된 제2차 개편은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 외적요인에 대응하는 보완적 성격을 지닌다. 3차 개편은 1996년 의학교육학과 개설과 의과대학 인증평가제도 시행 이후에 CDP사업단 주도로 진행되었다. CDP2004는 1996년에서 2010년에 걸쳐 장기-계통바탕의 통합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도입하면서 강의시간의 대폭 감소와 자율시간 확대, PBL과 선택과목의 확대 등 제1차 개편에서 시도했던 학생중심 교육제도를 강화하고 실행하였다. 4차 개편, CDP2013은 201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학생중심, 성과바탕, 연구중심의 통합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CDP2004의 교육과정 틀을 유지하되 절대평가제도의 도입, 연구력 교육과정 및 DMH교육과정 및 학습공동체를 도입했다. 모든 교육과정이 필수와 선택으로 운영되고, 모든 학생들을 개별적으로 학습지도하는 학생중심의 교육이 강화되었다. 이처럼 1차 교육개편 이후로 현재까지 통합교육과 강의시간의 감축, 선택과목의 확대, 자율시간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다루며 학생중심의 의학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교육계획위원회의 교육관련 기획과 실행 기능 중 실행기능은 CDP2004 이후 도입된 광혜교육위원회에 이관되었으며, 의학교육학과는 이론적 제시와 학문적 연구, 교육지원실은 행정적 지원을 이루는 구조를 구축하였다. 시기별 변화에 있어 추진요인은 외부적으로는 세계적인 의학교육의 새로운 흐름, 의학교육인증평가기준의 변화, 사회적 변화가 있었으며, 연세의대는 이에 주도적으로 반응하였다. 내부적으로는 1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이루어진 심도 있는 교육 평가 이후,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와 그에 근거한 비판적 성찰이 지속되어왔다. 이러한 성찰은 연세의대의 문화적 전통이 교육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며, 국내최초로 설립된 의학교육학과에서 영입한 교육학전문가들과 협업하여 더욱 전략적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발전은 교육과정 개편이 CDP라는 구조화된 사업으로 구현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교육과정 개편에서 주된 저항요인은 교육목적을 구현함에 있어 다른 의견을 지닌 교수들과 그 교수들의 인식의 바탕이 되는 관행과 문화(미국과 한국의 비교, 교실중심의 문화, 상대평가 기반 문화)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소통과 대응과정에서의 절차적 정당성은 변화관리에서 주요한 과제였다. 이상의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서 연세의대가 당대 의학교육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교육과정 개편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1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도입한 학생중심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향함 또한 확인하였다. 국내 최초의 현대적 의학교육기관이라는 역사적 기원, 그리고 교육을 강조하는 문화적 전통, 이는 학생중심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흐름을 이루었다. 이러한 가치지향은 여러 가지 저항요인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개편과 개선을 위해 끊임없는 비판적 성찰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가운데 연세의대가 최초로 개설한 의학교육학과는 ‘학생중심 교육의 지향과 그를 위한 비판적 성찰’을 교육학적 전문성에 근거하여 전략적인 방안으로 모색하는 과정을 순환하게 했다. 연세의대는 이런 흐름을 통해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편 및 선도적인 의학교육 제도의 도입과 창안을 이루어 올 수 있었다.

      • 교육기관에서의 성공적인 ERP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ERP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배성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71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발달은 우리 삶에 있어서 많은 것을 급속도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사회조직에 있어서 정보기술의 이용을 통한 효율화 효과는 눈부실 정도이다. 마이클 해머의 리엔지어링(Reengineering) 이래로 기업에서는 업무를 효율화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조조정 등의 경영개선 활동(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과 함께 전사적 자원 관리라고 불리는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의 도입에 많은 관심을 기울 리고 있다. 또한, 비단 기업뿐 아니라 대학에서도 ERP 도입이 하나의 트랜드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이미 전체 고등교육기관의 33%인 663여 개가 넘는 대학이 이미 도입하였거나, 최근에 도입을 앞두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인적 자원부에서 최근 오는 2007년에는 대학 강의실의 70%를 온라인학습이 가능한 이른바 e강의실로 바꾸고 대학 행정업무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 대학정보화 활성화 종합 방안(e-Campus Vision 2007)을 발표하였다. 이 사업은 2007년까지 총 사업비로 국고와 민자를 포함해 총 7,98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대학의 ERP 도입이 최근 모바일 캠퍼스 구축과 함께 대학정보화의 관심사로 부상되고 있지만, 그 효용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았다. 이미 ERP를 도입한 연세대의 사례를 보아도 ERP의 도입은 끝났지만 도입 초기 기대만큼 활용하고 있지 못해 타 대학에서도 ERP 도입은 추이를 지켜보자는 분위기이다. 연세대 정보화 팀의 관계자는 “연세대의 환경에 공장자동화에 강점을 지닌 SAP의 ERP 솔루션이 초기에는 잘 맞지 않았다”며 애초 ERP 솔루션은 공장자동화를 위해 만들어진 만큼 대학환경에 적용시키기에 다소 무리가 따르는 것 같다. 회계 부분의 투명성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투자비만큼의 효용성을 내고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언급하였다. 공장은 볼트 하나, 나사 하나를 모두 입력시켜 전체적인 자산상태를 점검하고 그에 따르는 비용이 산출될 수 있지만 대학의 자산이라는 것이 워낙 유동적이고 소소해 모든 자산을 입력시키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것 때문이다. 또한 대학의 조직과 문화가 기업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런 외부적인 요인 역시 ERP 시스템의 도입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기업을 상대로 한 정보시스템 구현의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깊게 연구되어 왔으나,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렇다 할 연구를 찾기 힘들었다. 이는 교육기관의 ERP도입이 근래에 출현한 분야이며, 아직까지 필요성이 비교적 적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교육기관으로 최초로 ERP 도입을 실시한 연세대학교의 사례를 대상으로 보탬이 될 부분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기관에서의 ERP구현의 주요성공요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구축방안에 대해서 모색하는데 있다.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is rapidly changing numerous aspects of our life. Particularly, many organizations including enterprises are seeking efficiency by means of ERP (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System. The introduction of ERP is emerging as a trend in universities, as well.In the case of USA, over 663 universities, 33 % of its tot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lready introduced the system or are recently planning to introduce it. In the case of Korea to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nounced a comprehensive plan (e-Campus Vision 2007) for the activation of university informationization whose main points are to change by 2007 70 % of university lecture rooms into the so-called e-lecture rooms where on-line learning is possible and to introduce the ERP system stage by stage for the maximization of collegial administration efficiency. However,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experienced trial and error in its introduction. For the reduction of such trial and error in the introduction of ERP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looked into factors for the success of ERP introduc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case studies with Yonsei University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The study showed that organization-environmental factors, system gap, support from the outside, and user characteristics, which are success factors in ordinary enterprises, are also applied to educational institutions.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they have many resources hard to quantify, and that their culture of organization disagrees with that of ordinary enterprises.

      • 대학과목선이수(advanced placement) 제도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의 경우를 중심으로

        황소형 연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71

        현재 우리의 교육은 수월성과 공평성이 공존할 수 없다는 잘못된 교육 철학으로 인해서 뛰어난 재능을 지닌 학생을 위한 체계적 제도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AP 제도의 도입은 평준화 체제 하에서 부족했던 다양성과 자율성, 학교 선택권의 문제에서 한발 더 나아가 평준화가 추구하는 보편교육에 수월성을 가미하고자 하는 움직임의 결과이다.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AP 제도에 대해 조사하였고, 미국과 한국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AP 제도의 사례와 그 시사점을 검토하고, 현재 수강생의 AP 제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우리의 현실에 맞는 AP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설문조사는 2006년 여름방학 중 연세대학교에서 생물, 물리, 화학 3개의 과목을 수강한 학생 중 총 55명의 수강생을 표본 집단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SPSSWIN 12.0 프로그램을 통한 빈도분석․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다.일반적 사항에서 학년을 보면 고1 23.6%, 고2 76.4%, 고3 0%로 나타났고, 총 98.2%의 학생들이 과학에 흥미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P과정에 대해서 알게 된 경로는 학교 선생님을 통해서가 70.9%로 가장 많았고, 인터넷은 3.6%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AP 과정을 수강하게 된 동기에 대해서는 평소 과학에 흥미를 가지고 있어서 듣게 되었다(58.2%)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수강과목별로 수업에의 이해도를 살펴보면 70%이상 이해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화학(60%), 생물(57.9%), 물리(25.1%)의 순으로 화학과 생물에 비해 물리과목이 낮게 나타났다. 수업수준은(p<.01) 생물 63.2%, 물리 25%, 화학 25%의 학생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수업수준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한 18.2%의 학생들 중 90%가 수업이 너무 어려우므로 수준을 낮춰야 한다고 하였다.집중하고 적극적을 참여한다고 응답한 학생을 수강과목별(p<.05)로 보면 생물 73.7%, 물리 31.3%, 화학 35%로 생물 과목의 수업 태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런 수업태도는 수업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현재의 강의식 수업방식에 대해 만족하는 학생은 10.9% 정도였고, 원하는 수업방식으로 전체 50.9%가 실험수업을 선택했다. 수강과목별로 살펴보면(p<.05) 실험 수업의 경우는 물리(68.8%), 화학(65.0%), 생물(21.1%)로 나타났고, 시청각 수업은 생물(31.6%), 화학(20.0%), 물리(0.0%)의 순서로 나타났다.모르는 문제의 해결방법에 있어서 40%의 학생들은 모르는 문제는 ‘AP 과정의 담당교수님에게 여쭈어본다’고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혼자 교과서나 참고서를 통해 해결한다’(23.6%), ‘학원이나 과외를 통해 해결한다’(14.5%) 등으로 응답한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수업에 있어서의 만족도는 ‘70%이상’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45.5%로 가장 많았다. 수업에 대해서 70% 이상 만족한다고 답한 학생의 퍼센트를 각 과목별로 보면(p<.01) 생물이 9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물리와 화학이 각각 50%로 나타났다.AP 과정이 학교에서 가능하다면 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 ‘수강과목별로 살펴보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학생은 생물에서 66.7%, 물리 31.1%, 화학 35%로 나타났고, 부정적으로 응답한 학생은 물리 31.3%, 화학 30%, 생물 22.2%로 나타났다.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결론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첫째, 미국의 College Board와 같은 AP제도의 통합 운영 주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주체가 확정된다면, 관련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 등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AP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둘째, 정부에서 AP 제도를 대입자료로 활용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공언한 상태에서 이 제도의 도입이 실패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AP 제도를 수시합격자를 위한 예비 대학교로 활용하는 등 다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셋째, 우리 나라의 여건상 아직 일반 고등학교에서 AP 과정이 실시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특목고의 경우에는 과학영재고와 KAIST의 경우처럼 대학과 고등학교간 1대1 연계를 통해 AP 과정을 개설하고, 일반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대학에 AP 과정을 개설하여 학생들이 가서 듣거나 여러 고등학교가 하나의 대학교와 연계하여 AP 과정을 개설하는 방법 등이 있을 것이다.넷째, 학생들의 흥미를 키워 주기 위해서는 실험수업과 같은 흥미 있는 교육과정, 협동 학습이나 세미나와 같은 토의 형식의 수업과정의 개발이 요구 된다.다섯째, 수업수준과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볼 때, 학생들의 선발에 있어서 학교의 성적이나 자기소개서만 볼 것이 아니라 선수학습 정도 등도 충분히 고려하는 수강생 선발에 대한 뚜렷한 기준의 제시가 필요할 것이다. Currently in Korea, there is few system for gifted students because of the mistaken educational philosophy that excellence and equity can not exist together. The introduction of AP is the result of attempting to add excellence to general education that equalization pursues, taking a step forward from the matters of diversification, voluntariness, and school option of which the equalization system is short.Based on the literature studies and the preceding researche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P system. It reviewed the cases of the AP systems which are being operated in the U.S. and Korea, together with their suggestions. It had a survey to examine th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AP system, through which it studied the ways to operate the AP system suitable for the Korean circumstances.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55 students who took subjects of biology, physics and chemistry at Yonsei University during summer vacation in 2006.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by use of SPSSWIN 12.0 were mad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23.6% of the participants were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76.4% in the second grade and 0.0% in the third grade, and 98.2% of them were interested in science.In relation to the routes that they got to know the AP course, 70.9% of them replied that they got the information through their school teachers, and 3.6%, through Internet. 58.2% answered that their interest in science made them take the AP course. Regarding the extent of their understanding the classes, the respondents who replied that they understood over 70% in chemistry was understandable most with 60%, 57.9% for biology and 25.1% for physics. Compared with chemistry and biology, their understanding of physics was low. Regarding the level of the classes (p<.01), 63.2% of the respondents thought biology was appropriate, 25% thought physics was appropriate, and 25% thought chemistry was appropriate. Out of 18.2% of the respondents who replied that the class level was not appropriate, 90% replied that the classes were too difficult so the level should be lowered.Out of the students who repli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classes concentrically actively, 73.7% were found to show a good learning attitude in the class of biology, 31.3% in the class of physics, and 35% in the class of chemistry (p<.05).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attitude was related with the level of the class.10.9%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lecture-type classes and 50.9% wanted that experiment-based classe. By subject (p<.05), 68.8% for physics, 65.0% for chemistry and 21.1% for biology replied that they wanted experiment-based classes, and 31.6% for biology, 20.0% for chemistry and 0.0% for physics replied that they wanted audio-visual education.In relation to how to solve a difficult problem, 40%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asked the AP class teacher, which was followed by that they tried to find a solution by themselves through textbook or reference book(23.6%) and by that they found a solution through a private institute or private tutor(14.5%).45.5%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lasses by over 70%, and by subject (p<.01), biology was most satisfactory (94.7%), which was followed by physics and chemistry (50% respectively).Regarding the question asking their ideas of opening the AP course in high school, 66.7% of the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biology, 31.1% to physics, and 35% to chemistry. 31.3% of the students showed negative idea to physics, 30% to chemistry. and 22.2% to biology.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proposed the following operating methods:First, an integrated operating body for the AP system like the college board in the U.S. is necessary. If this body is organized, more efficient operation of AP will be possible through construction of Internet website.Second, in order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P system not to fail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not use the AP system as data for college entrance, a method to use the AP system as preliminary college for the students who enter a college through irregular selection should be prepared.Third, it will be very difficult that the AP course is opened in general high school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Korea. Therefore, the AP course will be able to be opened through one-to-one connection between a special purpose high school and a college like Korea Science Academy and KAIST, or through connection between several high schools and a college.Fourth,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tudent-attracting curriculum such as experiment classes and curriculum of discussion type like cooperative learning, or seminar.Fifth, in consideration of the class level and the extent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lasses,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clear criteria for selecting students such as not only academic reports and cover letter, but also preceding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