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64 청포도 와인' 상품화의 문화적 맥락 분석

        오유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sees ‘264 White Wine’ as a means of expressing culture and a consumer product containing symbols and aims to analyze the multilayered sociocultural context and meaning of its commercialization. This wine is a ‘reproductive product using the motif and image of a literary work’, <!-- Not Allowed Tag Filtered --><Cheong-po-do> written by Yi Yuk-sa, a resistance poet from Andong. Consumer goods contain codes and symbols expressing cultural categories and principles, therefore, the developm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264 White Wine, a cultural product, is cultural.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264 White Wine, ‘wine’ having Western symbols was selected as the object of commercialization, and it was the result of accepting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Wine has been imported into Korean society since modern times, and wine is considered as a symbol containing Western symbols and codes, and consuming wine in Korean society is associated with consuming ‘Western culture’. In the situation that it was unfavorable to sell the raw fruit of green grape, the choice to produce wine as an alternative was influenced by globalization. Two changes in the bottle and label design of 264 White Wine are also the result of visualization and representation to follow the mainstream design of imported wine within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Second, 264 White Wine developed based on the representative poem of resistance by an activist for independence and national poet implies nationalistic meaning. The method of naming 264 White Wine is an indirect and implicit method which connects the number, ‘264’, with the poet, ‘Yi Yuk-sa’, and also the raw material, ‘green grape’, with the poem, <!-- Not Allowed Tag Filtered --><Cheong-po-do>. Also, the producer combines the bitterness and sour taste resulted from brewing without removing the skin with the hard life of the national poet and his resistant literary work. This is to awaken consumers to a sense of national resistance through social empathy and consciousness arising from the colonial experience. Third, 264 White Wine has the context of regionalism that is associated with the local identity of Andong, the region where the wine is developed and produced and the hometown of the poet, Yi Yuk-sa. In 264 White Wine, the local identity of Andong that is claimed to be ‘the sacred pla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capital of spiritual culture’ is combined with Yi Yuk-sa’s poem, <!-- Not Allowed Tag Filtered --><Cheong-po-do> which is set in his hometown. The context of regionalism is also revealed in that the motif is the poem of Yi Yuk-sa who is considered to be a representative of Andong City and that both the raw material production and wine brewing are carried out in Dosan-myeon, Andong City. Fourth,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264 White Wine, the developer and producer is a member of Yi Yuk-sa’s clan, and in the phenomenon, the consciousness of the clan did work. As a member of the clan promoted the business, the development of 264 White Wine could escape from the criticism of commerciality that might have arisen for using the poem of the nationalistic poet. This is because the consciousness of the clan works, which extends the action of an individual belonging to the community of a clan and homogenizes it to that of the entire community. Fifth, in the realm of nationalism and regionalism, there is a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ymbol created by the developer and producer and the meaning of it that consumers think of, however, the background of commercialization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the fact that the developer and producer is a member of Yi Yuk-sa’s clan are hidden behind consumers.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ignifiant expressed by the developer-producer and the signifier accepted by the consum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ims to find out how the products were developed using the image of a poem written by a local nationalistic poet and how the sociocultural flow and context provided the multilayered meanings. 이 연구는 ‘264 청포도 와인’을 문화의 표현 수단이자 기호가 담긴 소비재로 보고, 그 상품화의 다층적인 사회문화적 맥락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 와인은 안동 출신 저항시인 이육사의 시 <청포도>를 모티프로 한 ‘문학작품의 이미지를 활용한 재현적 상품’이다. 소비재에는 문화적인 범주와 원리를 표현하는 코드와 기호가 함축되어 있고, 따라서 문화상품인 264 청포도 와인의 개발과 생산, 소비는 문화적인 작업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64 청포도 와인의 개발 과정에서 서구의 기호를 담고 있는 ‘와인’이 상품화의 대상으로 선택된 것은 세계화의 영향을 수용한 결과이다. 와인은 근대 이후 한국 사회에 수입되었으니, 그것은 서구의 기호와 코드를 담은 상징물이었고, 따라서 한국사회에서 와인을 소비하는 것은 ‘서양문화’를 수용하는 것이다. 청포도 생과를 판매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그 대안으로 와인을 생산하기로 한 선택과 결정은 세계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와인병과 라벨 디자인의 변경 또한 세계화의 영향 속에서 수입 와인의 주류적 디자인을 따라가려는 가시화와 표상화의 결과이다. 둘째,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시인의 대표적인 저항시에서 착안하여 개발된 264 청포도 와인에는 민족주의적 의미가 담겨 있다. 264 청포도 와인의 작명방식은 숫자 ‘264’와 시인 ‘이육사’를 연결하고, 원재료명인 ‘청포도’를 시 <청포도>와 연결하는 간접적이면서 중의적인 것이다. 또한, 생산 주체는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양조하여 생기는 쓴맛과 떫은맛을 민족시인의 고된 생애, 그의 저항적 문학작품과 결합한다. 이는 식민지 경험에서 나오는 사회적인 공감과 의식을 통해 소비자에게 민족적인 저항의식을 일깨우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264 청포도 와인에는 와인이 개발·생산되는 지역이자 시인 이육사의 고향인 안동의 지역 정체성과 결합하는 지역주의의 맥락이 작용한다. 264 청포도 와인에는 ‘독립운동의 성지’이자 ‘정신문화의 수도’로 표방되는 안동의 지역 정체성과 고향을 배경으로 한 이육사의 시 <청포도>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안동의 대표인물로 상정되는 이육사의 시를 모티프로 삼았다는 점과 원재료 생산과 와인 양조가 모두 안동시 도산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지역주의의 맥락이 드러나고 있다. 넷째, 이육사와 같은 문중 구성원이 264 청포도 와인의 상품화 과정에서 개발·생산자가 된 것은 문중의식이 작동한 현상이다. 264 청포도 와인의 개발은 문중 구성원이 주도하여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할 때 문중의 유산이나 자산을 사용하는 것이 상당한 적합성을 가진다고 평가되었다. 이는 문중이라는 혈연공동체에 속한 개인의 사업 구성과 실천을 문중 전체로 확대하여 이해할 뿐만 아니라, 264 청포도 와인 개발과 생산이 이육사의 삶과 정신을 알리는 데도 나쁘지 않다는 문중의식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민족주의나 지역주의 영역에서는 개발자 겸 생산자가 생산한 기표(記標)와 소비자가 생각하는 기의(記意) 사이에 상호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반면, 세계화의 영향 속에서 개발된 상품화 배경과 개발자 겸 생산자가 이육사 문중 구성원이라는 사실은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않고 있다. 이는 개발자 겸 생산자가 표현하는 기표와 소비자가 받아들이는 기의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지역 출신 민족시인의 시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어떻게 상품을 개발하였으며, 어떠한 사회문화적 흐름과 맥락 속에서 다층적인 의미가 부여되었는지를 구명하고자 한 시도이다.

      • 전통시장의 위기와 상인들의 문화적 대응 : 경상북도 안동시 '구시장'의 사례

        최현욱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경북 안동시 구시장을 대상으로 진행된 복합적 문화 공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전통시장은 새로운 소비공간의 등장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으로 쇠락·정체된 공간이 되었다. 국가와 지역사회, 상인과 상인조직 같은 시장에 관계된 주체들은 시장이 마주한 위기를 그저 방관하지 않았다. 2004년 현존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이 신설되면서 시장 지원이 본격화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시설현대화에부터 공모형 지원사업을 기반으로 한 복합적 문화 공간화 등이 있다. 이를 통해서 시장은 외부적 환경부터 문화적 속성 부여까지 많은 부분에서 진전을 이룰 수 있었다. 구시장에서도 2000년대 초반 시설현대화 이후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 등의 지원사업을 통해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실천이 진행되어왔다. 지금까지 제반 시설 확충, 문화행사 진행, PB상품 개발, 상인 의식개선 교육 등 시장 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이렇게 변화하는 시장의 환경에 조응해 상인들은 다양한 적응전략을 세워 미래를 대비하는 모습을 보인다. 시장 변화의 과정에서 상인들을 포함한 국가, 지역사회, 미디어, 언론 등의 주체들은 관계망을 형성해왔으며, 이를 토대로 시장 활성화와 저변 확대를 견인하였다. 또한, ‘상권 르네상스’ 사업을 통해서 복합적 문화 공간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렇듯 시장 변화를 견인한 국책 사업과 주체들의 실천은 이후의 시장 변화에서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focuses on Andong area’s old market becoming complex cultural space. Due to various causes including the appearance of new space of consumption, traditional market became the space of deterioration and stagnation. Nation, local community, merchants, and association of merchants did not overlook the crisis of the traditional market. After enactment of [A Special Law for Fostering Traditional Market and Shopping District] in 2004, support for market became full-scal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and public contest of supporting business are the representative case. Thanks to these efforts, traditional market could make progress in many parts, such as external environment and cultural attributes. In early 2000, after th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various actions have been taken with support project such as ‘project for fostering culture tourism market.’ Since then, there have been many trials for activating market spaces such as expanding infrastructure, progressing cultural events, development of private brand goods,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merchant’s consciousness. Along with changes of market environment, merchants are preparing the future with various adaptative strategy. During the process of market’s change, subjects like merchants, nation, local community, media, and press formed the network and this resulted in activation of the market and expansion of the base. They are also pursuing market’s transformation to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Renaissance of market area’ project. Thus, national projects and practices of many subjects which led the change of the market function as important momentum in changes of the market afterwards.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역적 실천 양상과 대안의 전망 : 안동시 송천초등학교와 미래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구가은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안동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실천 양상을 분석하여 그 대안적 성격과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실천을 이어온 안동시 송천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2021년 ‘안동미래교육지구’ 사업의 전개에서 나타나는 교육현장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교육을 매개로 협력 및 연대하는 공동체이다. 현대사회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력적 관계에 기반한 교육 실천을 통해 대안의 전망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를 커먼즈 체계 내 공동체문화 실천의 한 양상으로 바라보며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이 가지는 대안적⋅미래지향적 측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혁신교육의 흐름과 마을교육공동체의 부상에 대하여 이론적 정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안동지역 교육공동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송천초등학교의 교육 실천사례를 서술한다. 이어 ‘안동미래교육지구’ 사업을 통해 드러난 각 주체들의 공동체문화 실천사례를 바탕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의 의의와 대안의 전망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은 해체된 관계성을 다시 연결하고 재생산하며 미래적 가능성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더불어 지역사회와 마을이 품고 있는 민속적 가치를 교육현장 속에서 새롭게 재발견⋅재구성해내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민속의 현대적 양상에 주목하여 마을교육공동체가 지니는 대안적⋅민속적 가치를 조망하였다는 의의를 담고 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aspects of practic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Andong and considere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n alternative. For that, with the case of Songcheon Elementary School in Andong that has continued its educational practice, this author has examined concrete aspects found at the site of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Ando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n 2021.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a group of people in which various types of agents from schools or the local community cooperate in unity with education as a medium. In order to solve educational problems arising in contemporary society, we are producing the prospect of alternatives through educational practice grounded on cooperative relationship. Viewing it as an aspect of practicing community culture within the commons’ system, this researcher has attempted to understand alternative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s which the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equipped with. Concrete discussion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of all, this author arranged theories about the trends of innovative education and the ris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xt,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 community in Andong, this study described educational practice with the example of Songcheon Elementary School. After that, based on the cases of practicing community culture by different types of agents found in ‘the Ando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its prospect as an alternativ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s practice reconnects dismantled relationships and reproduces relationships and also extends future possibilities. Moreover, it rediscovers and reconstructs ethnological value that the community and village are equipped with at the site of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vestigated alternative and ethnological value that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has focusing on the modern aspects of folklore.

      • A STUDY ON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MONGOLIAN UNIVERSITIES USING KANO MODEL AND PCSI INDEX

        빌렉자르갈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Kano 모델과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PCSI index)를 활용한 몽골 대학들의 교육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국문 초록 최근 몇 년 동안 우리 세계는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정치적, 사회적, 기술적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 구조를 재편하고 개인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쳐 수요와 요구의 지형을 변화시켰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요구 사항을 인식하고 해결하는 방법이 크게 발전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에 맞춰 교육 서비스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 대학의 교육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도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그체적으로 교육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정의하고, 개선을 위한 주요 서비스 품질 특성을 식별하고, 교육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 포함된다.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PCSI index)는 제안된 전략 템플릿을 알리고 Kano, Timko 및 SERVQUAL과 같은 기존 모델의 통찰력을 활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 대학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Kano와 Timko 모델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SERVQUAL 모델을 기반으로 품질 속성을 분류하고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PCSI는 Kano 모델에서 식별된 속성을 사용하여 개선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PCSI 지수는 서비스 기능이 완전히 충족되었을 때 서비스 기능이 고객 만족도를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114명 이상의 학부생이 참여했다. 현재 학생들의 교육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장 만족스러운 특성은 '대학교재자원 활용 준비도' 0.83이었고, 가장 불만족스러운 특성은 대학 캠퍼스의 청결도(-0.81)였다.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에 따르면, 학생 만족도 향상에 가장 유의미한 잠재력을 지닌 캐릭터는 '대학인증 자격'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은 서비스 개선을 위해 학생 만족도 개선지수를 기반으로 향후 실행 전략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계산된 PCSI 지수 결과를 바탕으로몽골 대학 내 학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PCSI 지수는 교육 서비스 내에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강력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걸쳐 서비스 품질을 분석하고 향상시키는 더 폭넓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핵심 주제어: 서비스 품질, 고객만족, SERVQUAL 모델, Kano 모델, Timko 모델,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 ABSTRACT In recent years, our world has undergone profound political, social, and technological shifts that resonate on a global scale. These transformations have reshaped the fabric of societies and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on individual lives, altering the landscape of demands and needs. Consequently, how these needs are recognized and addressed has evolved significantly. As a result, there is an imperative for a fresh perspective in comprehending educational services to align with these dynamic chan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in Mongolian higher educational services. This involves defining the current degree of satisfaction, identifying key quality characteristics for enhancement, and proposing a strategic framework for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index) will inform the proposed strategy template and leverage insights from established models such as Kano, Timko, and SERVQUAL. The Kano and Timko model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mong students in Mongolian national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 aimed to classify quality attributes based on the SERVQUAL model and calculate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Additionally, the PCSI assesses improvement possibilities using the attributes identified by the Kano model. The PCSI index measures how much a service feature can enhance the degree of customer satisfaction when the feature is completely fulfilled. More than 114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when measuring students' current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The most satisfactory characteristic was 'Readiness for use of university teaching material resources ' 0.83, while the most unsatisfactory was Cleanliness of the university campus ' (-0.81). According to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the character with the most significant potential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was 'University accreditation status’. Therefore, the university needs to revise its future implementation strategy based on the PCSI student satisfaction index to improve its services. Based on the calculated PCSI results, our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enhancing student satisfaction within Mongolian national universities. The PCSI index, introduced in this study, not only serves as a powerful tool for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in educational services but also holds broader applicability for analyzing and enhancing service quality across various sectors.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박명훈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 요약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안동대학교 대학원 생활복지학과 가족·아동 상담전공 박 명 훈 인간의 발달 과정 동안 특히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의 시기를 지나 초기 성인기로 들어서는 과도기적인 단계로서 역할변화 및 환경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한다(김순혜, 김정원, 2003). 이처럼 대학생 시기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과 위기 상황에서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시켜주는 완충요인이자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중요성이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변화를 맞는 대학생 시기의 적응과 대인관계를 비롯한 삶의 만족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변인이기 때문에, 대학생 시기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 변인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부모애착과 거부민감성을 선정하여, 부모애착에 따른 영향을 받는 자아존중감이 거부민감성을 거쳐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앞으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거부민감성을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A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도구로는 옥정(1998)이 수정·보완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IPPA-R)와 한기백(2013)이 번안한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RSES)를 사용하였으며, Downey와 Feldman(1996)이 개발한 척도를 한국문화에 맞게 타당화한 박명진과 양난미(2017)의 거부민감성 척도(RSQ)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거부민감성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직접적으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모애착이 거부민감성에 영향을 주고, 다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부모애착 수준에 따라 거부민감성이라는 인지적 취약성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매개변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부모애착 관계 형성을 통한 낮은 자아존중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는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입에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향후 중요한 타인과 맺은 애착관계 속에서 거부민감성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높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핵심어(keyword) : 대학생, 부모애착, 거부민감성, 자아존중감

      • 대학생 정서관리를 위한 에듀테크 설계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박정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다양하고 복잡한 심리정서를 경험하는 대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정서적 대처를 통해 정서경험을 지속적으로 축적하며 정서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시 지원하는 에듀테크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설계⋅개발 연구방법론의 유형Ⅱ를 적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선 선행문헌 분석을 통해 정서관리를 위한 모델을 도출한 뒤, 이에 따라 사례분석 및 기능분석 결과로 도출된 테크놀로지를 분류 및 종합하여 초기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개발하였다. 그렇게 개발된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에 대한 내적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낸 후, 개발된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이 적용된 에듀테크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전체적인 타당성을 검토하는 절차를 거쳤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 로 대학생 정서관리를 위한 에듀테크 설계원리 및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대학생 정서관리를 위한 에듀테크 설계원리로는 4개 영역 에 대한 12개의 원리와 33개의 상세원리, 132개의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개발하였다. 대학생의 정서관리를 위한 영역은 정서인식, 정서이해, 정서조절⋅표현, 정서성찰의 4개 영역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서인식을 지원하는 ① 정서명명의 원리와 ② 정서진단의 원리, 정서이해를 지원하는 ③ 원인파악의 원리, ④ 결과추론의 원리, 정서조절⋅표현을 지원하는 ⑤ 인지교정의 원리와 ⑥ 전환의 원리, ⑦ 이완의 원리, ⑧ 긍정화의 원리, ⑨ 자원활용의 원리, ⑩ 관계의 원리, 정서성찰을 지원하는 ⑪ 피드백의 원리, ⑫ 통찰의 원리를 도출하여 이에 대한 상세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에듀테크 프로토타입은 각각의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융통성 있게 반영하여 마이홈과 감정정보, 감정서랍, 감정기록, 감정케어, 커뮤니티, 마이정보, 설정 총 8가지 메뉴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메뉴는 대학생의 정서관리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융통성 있게 여러 설계원리 및 에듀테크 설계지침을 통합하여 구현되거나 맥락에 따라 변형되어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 이론 및 정서관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정서관리를 위한 모델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에 흩어져있던 정서 관련 테크놀로지를 종합하여 에듀테크 설계원리 및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에듀테크 설계원리와 프로 토타입은 정서관리뿐만 아니라 정서역량 개발이나 정서 지원 등을 위한 에듀테크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대학생, 정서, 정서관리, 에듀테크, 설계원리, 프로토타입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tech design principles and prototype for providing ongoing support to college students’ emotional management that continuously accumulate emotional experiences by clearly recognizing their emotions and appropriately dealing with them. To address this goal, This study was used typeⅡ of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ly, deriving a model for emotional management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Then, categorizing and consolidating technologies identified through case analysis and functional analysis according to these model to create initial design principles and EduTech design guidelines. And expert validation of these principles and Edutech design guidelines was conducted twice. Finally, the prototype integrating these principles and guidelines was implemented and conducted expert validation. From these proceeding, This study was developed final Edutech design principles and prototype. Consequently, the Edutech design principles for college students’ emotional management were developed to 12 design principles about four emotional management areas and 132 Edutech design gudielines about 12 design principles. The emotional management area were consists emotion awareness, emotion Recognition, emotion regulation⋅expression, and emotion reflection. Principles supporting emotion recognition included 1) Emotion Labeling and 2) Emotion Diagnosis, principles supporting emotion understanding included 3) Cause Identification and 4) Outcome Inference, principles supporting emotion regulation⋅expression included 5) Cognitive Correction and 6) Transition, 7) Relaxation, 8) Positivization, 9) Resource Utilization, 10) Relationship, and principles supporting emotional reflection included 11) Feedback and 12) Insight. And Edutech design guidelines were developed these 12 principles. The Edutech prototype applying these Edutech design principles was structured into eight menus-My home, Emotional Information, Emotion Drawer, Emotion Record, Emotional Care, Community, My Information, and Settings. Each munu was designed to effectively support college students’ emotional management by integrating multiple design principles and Edutech design guidelin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eriving an model of emotional management from theories and prior research and consolidating dispersed emotional technologies into design principles and a prototype according to model of emotional management. Additionally, the developed EduTech design principles and prototype offer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EduTech, not only for emotional management but also for enhancing emotional competency and support, providing a cornerstone for future developments. * Keywords: College student, Emotion, Emotional Management, Edutech, Design Principle, Prototype

      •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

        김민기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안동에서 시작된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주체와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매달 이루어지는 ‘안동문화지킴이’의 정기활동을 참여관찰하고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안동문화지킴이’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이 재발견한 것이다.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지역민이 문화유산 보호의식을 가지고 참여하는 집단적 문화실천이기 때문이다. 이 활동에 참여하는 지역민은 안동문화유산의 보호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진다. 이들은 이런 의식을 가지고 더 많은 지역민이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을 재발견 하도록 하는 것은 지역민이 지역정체성의 유지에 참여하도록 하고, 지역민이 국가나 소유자와는 다른 목조건축물 보호주체가 되며, 안동사회에 문화유산 보호와 활용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둘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목조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보호와 관리 운동으로 평가된다. 활동주체가 지역민이므로 국가주도의 문화유산 보호보다 지속 가능성이 크다. 이 활동은 지역민의 자원봉사로 이루어지며 지속 가능한 보호와 관리를 지향하고 있고, 이를 위해 제도적 지원을 받고 있다. 셋째,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은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 찾기와 활용 기반을 만드는 것이다. 이들은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교육하기 위해서 활동 대상을 선택하면서 문화유산이 가진 공공적 가치가 무엇인지 고민한다. 그리고 문화유산을 직접 보호·관리하고 지역민에게 교육해서,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를 알리고 그에 맞게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에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의 어려움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활동 후속 세대 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지역민에 의한 문화유산 보호활동이 지속되기 위해서 후속 세대 양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청소년과 청년층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에도 청년층의 활동 참여는 그 연속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안동문화지킴이’는 이런 과제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비교적 젊은 지역민을 실무진으로 초빙하거나 안동대학교에 문화유산 보호동아리를 결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둘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표방하는 목적과 실제 활동 사이에 거리감이 있다. 이들의 활동은 주목적과 실제 활동내용이 좀 다르고, 대표 활동인 ‘한 가족 한 문화재 지킴이’ 활동의 대외적 위상과 실제 활동도 좀 다르고,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에서 다루어지는 내용과 실제 활동내용이 좀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은 문화유산 보호활동을 위한 문화운동으로서 일정한 한계를 드러낸다. 그것은 엘리트 중심의 활동이라는 점,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제도권에 포섭되는 점, 다량의 문화유산을 소유하고 있는 안동의 주요 문중구성원들이 활동에 거의 동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안동문화지킴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 2인칭 대명사 대체 용법을 중심으로

        린샨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以中國人學習者爲對象的韓語稱呼語敎育方案 -以第二人稱爲中心- 林 杉 國立安東大學院 一般大學院 國語國文學科 韓國語敎育 中韓兩國歷史以來就是有這很深厚文化淵源的,雖然曾經長期彼此隔絶,但由於1992年8月建交以來,兩國關係迅速發展,中韓不斷開展高層往來,增進互信共識,拓展合作領域,深化合作層次。在政治,經濟,文化,科技等領域合作廣泛,幷且兩國元首一直同意順應兩國關係發展的现實需要和長遠要求,將中韓全面合作夥伴關係提升爲戰略合作夥伴關係,共同開創中韓關係更加美好的未來。在中韓友好的大趨勢下,韓語已經成爲重要的合作交流工具,爲了讓中國人與韓國人之間更好的交流,所以本論文以中國韓語學習者爲研究對象,對代替第二人稱的呼稱語進行研究,來幇助中國學生更好更快的學習韓語。 第一章,本論文中提出代替第二人稱呼稱語的必要性,幷且提出研究方法。 第二章,導出韓語的呼稱語的概念,本論文是以韓語的社會稱呼與爲中心,分析韓語和中文的社會呼稱語的概念和區別。 第三章,提出中國第二人稱與韩國第二人稱的概念,分類整理幷且將中文和韓語進行比較。 第四章,分析敎材。在首尒大學韓國語敎材,延世大學韓國語敎材,慶熙大學韓國語敎材的對話文中找出呼稱語的事例進行分析,幷總結出代替第二人稱呼稱語在现實生活中的使用頻繁,在敎材中却沒有進行學習的弊端。 第四章,制定代替第二人稱呼稱語的教育方案,本教育方案是以中級中國人韓語學習者爲中心的,考慮初級不懂的這些詞匯的用法,高級又都知道如何正確使用呼稱語,所以就以中級爲中心來進行敎學。 第五章,通過總結兩次測試的結果,證明我的代替第二人稱呼稱語敎育方案是有效果的,對中國學生日程生活中正確使用呼稱語是有幇助的。而且,本敎育方案是以電視劇,電影爲題材,制定特定的使用呼稱語的環境,使學生對上課内容産生興趣,從而學會如何正確的使用呼稱語。 本論文是以安東大學韓語學堂中級班10名學生爲調査對象進行的,因爲調査人數比較少,范圍比較小,所以調査結果的普遍性和正確性會有偏差。幷且本論文的敎育方案僅僅選用了最常用的5個呼稱語來進行學習,生活當中還有很多可以代替第二人稱的呼稱語,在不同情况用法是不同的。在这一點上來看,我的論文還有一定的局限性。希望本研究對今後學習韓語的中國人在第二人稱代替呼稱語方面有一定的幇助和參考價値。以後,會以更新的方式和方法來研究呼稱語,幷制定更有效果的敎育方案。敬請期待!

      • 정신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아동기 외상 경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서이빈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아동기에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화, 외상 후 성장, 정서적 자기노출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정신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동기 외상은 18세 이하의 아동에게 부모나 주 양육자가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신체적·정서적 학대, 신체적·정서적 방임, 성 학대를 가한 것을 의미한다(이유경, 2006). 연구대상은 경북소재 대학 재학생 중 아동기에 외상을 경험한 남녀 대학생 447명으로, 남자 157(35.1%)명, 여자 290(64.9%)명이었으며,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2.32(SE = 1.76)세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측정 도구는 아동기에 외상 경험이 있는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한국판 아동기 외상 질문지(K-CTQ),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하기 위해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그리고 정신화 척도(K-Ments)와 정서적 자기노출 척도(DDI)를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자기 보고형 설문지로 만들어졌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의 상관분석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6을 사용하였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4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화와 외상 후 성장 및 정서적 자기노출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정신화의 각 하위요인과 외상 후 성장 및 정서적 자기노출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기에 외상 경험을 한 대학생의 정신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아동기에 외상 경험을 한 대학생의 정신화가 정서적 자기노출에(B = .334, p < .001), 정서적 자기노출은 외상 후 성장에 (B = .330, p < .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아동기에 외상 경험을 한 대학생의 정신화가 직접적으로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는 것(B = .825→.715, p < .001)으로 나타나, 정신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신화의 각 하위 요인별(자기 정신화, 타인 정신화, 정신화 동기)로도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을 때, 정신화의 각 하위요인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정서적 자기노출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정신화 수준이 높을수록 직접적으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정신화와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이 매개하여 긍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정신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외상 후 성장에 필요한 인지와 정서의 통합적 요인인 정신화가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외상을 경험한 개인이 사건과 관련된 정서적 반응을 충분히 표현함으로써 외상 경험의 문제를 긍정적으로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식으로 인지적 재평가를 돕는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아동기에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이 외상 후 성장으로 다가가는 방법을 모색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정서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in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rauma in childhoo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discl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entaliz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Childhood trauma refers to repeated and continuous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physical and emotional neglect, or sexual abuse by a parent or primary caregiver on a child under the age of 18 (Yukyeong Lee, 2006).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trauma in their childhood among students of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buk Province, 157 males (35.1%) and 290 females (64.9%) respectively.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2.32 (SE= 1.76) year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include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K-CTQ) to select research subjects who had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the Post-Traumatic Growth Scale (K-PTGI) to measure post-traumatic growth, and Mentalization scale (K-Ments)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scale (DDI). The measurement tool was made of a self-report questionnaire, SPSS 26 was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survey,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mentaliz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emotional self-exposure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each sub-factor of mentaliz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emotional self-exposure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exp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rauma in childhood and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rauma in childhood had an effect on emotional self-disclosure (B = .334 , p < .001),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had an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B = .330, p < .001). At this time, the direct effect of mentaliz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rauma in childhood was found to decrease (B = .825→.715, p < .001), indicating that emotional self-disclosure par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mentaliz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And whe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exposure was examined in the effect of each sub-factor of mentalization (self-mentalization, mentalization of others, motivation for mentaliz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emotional self-exposure was shown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each sub-factor of mentaliz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iz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it directly affects post-traumatic growth, and that emotional self-exposur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having an effect on experiencing positive and high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verifying that mentalization, an integrated factor of cognition and emotion necessary for post-traumatic growth, has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in the absence of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 The Additional significance lies in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exposure that helps cognitive reappraisal in a way that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express their emotional reactions related to the event in full measure, making them think the issue of experiencing the trauma in a positive way once again.  Furthermore, it will be helpful to develop a basic program that can help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rauma in childhood find a way to approach post-traumatic growth so that they can live an emotionally healthy life with a psychological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