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배경은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2009학년도부터 약학대학 수업연한은 6년(2+4)으로 연장되어 약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은 다른 학과 등에서 2년 동안 소양교육을 이수 받은 뒤 별도의 약학교육 입문시험을 거쳐 약학대학으로 입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적 기준에 상응하는 전문직능인 약사를 양성하기 위한 약학대학의 학제개편에 알맞은 신입생 선발을 위한 합리적인 입문시험안과 선수과목안 및 입학요건에 대한 고찰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약학대학의 입문시험, 선수과목, 입학요건과 전형방법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의치학 전문대학원의 입문시험, 선수과목, 입학요건 및 전형방법을 조사, 비교하여 우리나라 약학대학 입문안의 합리적인 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 캐나다, 일본의 약학대학의 입문시험 및 선수과목, 입학요건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을 하였고, 우리나라의 의치학 전문대학원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의 입문시험과 선수과목 등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의 약학대학의 입문시험과 의치학 전문대학원의 입문시험을 비교, 검토,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하다고 사료되는 국내 약학대학 입문시험의 안, 선수과목의 안, 지원자격의 안, 전형방법의 안을 개발, 제시하였다. Background In 2009, the pharmacy education will be prolonged from 4 years to 6 years. To enter pharmacy, applicant must have completed 2 years of prepharmacy in a university or colleg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 for admission of pharmacy school - admission examination, initiative subjects, requirement for admission - through case study of pharmacy admission standard of foreign countries and medical, dental special graduate school admission standard. Methods Overall information regard to foreign pharmacy admission guideline and medical, dental special graduate school admission standard was studied with their official web site. Conclusion With the study of admission system - admission test, institution subject - between foreign pharmacy and interior medical, dental special graduate school. I proposed our pharmacy admission test must composed of language part, natural science I, II containing general biology, general chemistry, organic chemistry, general physics. also pharmacy initiative subject proposal must compose english, physics, chemistry, mathematics.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배수연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연구배경 및 목적: 지속적인 의약품의 수요증가와 국내외의 제도 변화로 인하여 제약업계에서도 신약개발을 위한 노력을 지속중이며 또한 해외시장 진출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신약개발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성공확률은 낮은 고위험사업이다. 이러한 신약개발의 비용증가는 주로 임상시험단계의 비용증가 때문이다. 임상시험을 지연시키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예측하기 어려운 요소가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임상시험 계획서를 규제기관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고 연구시작을 위하여 준비하는 스타트업 단계에서는 사전준비가 잘 되어있고 정보가 제대로 주어진 경우,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올바른 국가의 선정이 이뤄지면, 소요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연구방법: 향후 국내 제약사가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 국가를 기사 및 문헌들을 통하여 선정한 뒤 문헌을 통하여 각 국가별 규정을 검색하고, 고려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각 국가의 규제기관 웹페이지를 검색하고 정리한 내용들을 실제 제출된 문서목록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각국의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절차는 큰 틀에서는 모든 국가에서 국가산하의 규제기관과 각 기관의 윤리위원회의 승인 이후 임상시험이 진행이 된다는 것은 동일하였다. 다만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 등의 남미 4개 국가는 각 기관의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이후에만 국가산하 규제기관에 신청이 가능하여, 동시에 진행이 가능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비교하여 승인받는데 까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제출문서의 경우에도 임상시험을 위해 필요한 계획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는 자료 및 임상시험용 의약품에 관한 자료, 시험자에 대한 자료 등으로 유사하였지만, 세부적인 요구 사항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었다. 승인 이후 임상시험용 의약품이나 임상시험에 사용될 의료기기 등의 수입을 위한 수입 허가증이나, 중앙실험실로 보내는 시료를 위한 수출 허가증에 대한 요구 사항도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결론: 국가별로 조금씩 상이한 요구문서와 승인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다지역 임상시험을 진행하고자 할 때, 각 회사의 상황에 맞는 진출목표 국가를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그 국가에서의 의약품 허가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신약 판매허가를 위한 각 국가별 세부정보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continuous increase in demand for medicine and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systems,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been making efforts to develop new drugs, has also begun to turn its attention to overseas markets. However, development of new drugs is a high-risk business that takes a lot of expense and time, and the probability of success is low. The increase in the cost of these new drug development is mainly due to the increase in costs at the clinical trial stages. There are many reasons for delaying clinical trials, but most are difficult to predict. However, in the start-up phase when clinical trial application is submitted to the regulatory body and prepare for the start of the clinical trial,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if the preparation process is good and information is given properly. Method: After determining the countries that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likely to advance into in the future through articles, the regulations of each country are search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try to summarize considerations through the regulations. In addition, searched and summarized information through searching web pages of each country’s regulatory agency,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submitted document list. Results: The approval process for clinical trials application per each country, was the same in all countries with the fact that the clinical trials should be carried out after the approval of national regulatory of each country agencies and ethical committees of each institution. However, the four South American countries, such as Brazil, Mexico, Argentina and Chile can submit application to regulatory agency only after they have been approved by the ethics committee of each institution, so it takes longer time compare to Russia, Ukraine and South Africa where it can be submitted to both regulatory agency and ethics committee in parallel. In case for required document, although the submission documents are similar with protocol, data confirming safety and efficacy, information of investigational product, investigators’ information and informed consent form, etc. The detailed requirements differed from country to country. After approval, requirement of the license to import investigational drug and/or medical device which will be used for clinical trials, and export license for shipping out samples to the laboratory located outside of the country is also different among countries. Conclusion: It would be possible to select countries according to each company’s situation in order to carry out multi-regional clinical trial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t request of documents and approval timeline. It will ultimately help establish a new drug approval plan in the country. However, additional specific information for new drug approval needs to be further investigated.
주요 임상성과 변수별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질 보정 수명차이(QALY) 비교분석
최지영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which surrogate outcomes most informative for assessing QALY(Quality-Ajusted Life Years) and the impact on QALY differences depending on surrogate outcomes in first-line treatment for CML. In addition, perform QALY analysis of Nilotinib versus Imatinib for newly diagnosed Philadelphia chromosome-positive chronic myeloid leukemia in the chronic phase. Key words : surrogate outcomes, QALY, CML(chronic myeloid leukemia) Methods Reports published were searched through MEDLINE and selected on the basis that they addressed a treatment effectiveness/efficacy question, that they included a CEM(Cost effective model) and that the CEM was primarily based on a surrogate outcome. Most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surrogate outcomes in Pharmacoeconomic studies was extracted from Heath Technology Assessment(HTA) 2009 report. Surrogate outcome (MMR, CCyR) in CML first-line treatment were assessed according to two published validation framework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JAMA) criteria and Outcomes Measures in Rheumatology Clinical Trials(OMRACT) scoring schema. After that, the literature search for obtaining effectiveness outcomes and utility weights was mainly undertaken in Pubmed. Effectiveness outcomes were used to analysis for QALY of Nilotinib versus Imatinib for newly diagnosed chronic myeloid leukemia. Then a Markov model was used to simulate outcomes in a hypothetical cohort of newly diagnosed CML patients over life time. The model contains 14 health states: 1st line CP, 2nd line CP intolerant, 2nd line CP resistant, 2nd line AP, No TKI, No TKI AP, No TKI BC, Transplant CP, Transplant AP, Transplant BC, Post transplant CP, Post transplant AP, Post transplant BC, CML death. QALY differences analysis depending on surrogate outcome(MMR, CCyR) were performed on Nilotinib versus Imatinib for newly diagnosed CML. Results Analyses according to two published validation frameworks (JAMA, OMERACT) showed CCyR is more informative and apparent surrogate outcome in newly diagnosed CML patients. The search for obtaining effectiveness outcomes in Pubmed only yielded 18 articles, and 1 of them were selected. Saglio et al, 2010, which met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our review. The Evaluating Nilotinib Efficacy and Safety in Clinical Trials-New Diagnosed Patients(ENESTnd) trial is the first and only head-to-head study of Imatinib versus Nilotinib for treatment of newly diagnosed, Ph+ CML-CP patients. In ENESTnd, The endpoint was the rate of MMR, defined as the value of ≤0.1% of BCR-ABL ratio on the International Scale. The major secondary endpoint was the rate of CCyR by 12 months based on bone marrow cytogenetics. In QALY analyses based on MMR, Nilotinib was 2.28 more QALYs than Imatinib, which means that for 832 days a given patient will have a perfect well-being in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mental domains. Also, In QALY analysis based on CCyR, Nilotinib was 2.34 more QALYs than Imatinib, which means that for 854 days a given patient will have a perfect well-being in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mental domains. QALY difference depending on surrogate outcome(MMR, CCyR) was 0.06 QALYs. Nilotinib provided higher projected survival over imatinib and reduces the risk of CML death.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QALY differences between MMR and CCyR. However, it will have high impact on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ICER). Even though, Nilotinib has better effectiveness than Imatinib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CML, proving cost effectiveness may be difficult. 정책 결정권자들의 약물의 효과와 비용 효과(cost-effectiveness)성을 평가․승인하기 위해서는 최종임상지표(final patient-relevant outcome)향상에 대한 근거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료는 장기간의 추적조사와 고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최근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표적 항암제와 같은 혁신적 신약의 개발로 빠른 시간에 약효와 비용 효과성에 대한 평가가 대두되고 있다. 이와 함께 최종임상지표를 직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대체임상지표(surrogate outcome)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고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대체임상지표의 사용에 대한 불확실성의 위험성으로 잘못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위험을 여러 연구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골수성 백혈병 치료제로 이러한 대체임상지표별 경제성평가의 최종결과(final outcome)값인 QALY를 산출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서 적절한 대체임상변수의 평가방법을 모색해보고 이러한 대체임상변수 사용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기위한 연구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대체임상변수를 사용한 경제성평가 지침을 고찰하여 이러한 권고지침들에 따라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의 대체임상변수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2009년에 발표된 HTA의 대체임상변수 사용에 대한 연구 문헌을 고찰하여 평가항목을 연구하고 이러한 관점으로 본 연구의 대체임상변수인 MMR과 CCyR을 평가하였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골수줄기 세포의 과증식이라는 조혈모세포의 이상을 보이는 질병으로 Philadelphia 염색체(BCR-ABL 유전자)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악정종양이다. 1993년 최초의 TKI인 imatinib의 도입으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환자의 생존율과 치료양상은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또한 검사방법의 발달로 치료를 하는 동안 질병의 진행 또는 장기간 유익성과 관련하여 판단할 수 있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imatinib의 IRIS 추적조사를 통해 이러한 반응과 질병진행과 생존율과 관련된 연구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치료시 특정시점의 반응지표를 대체임상변수로 각 반응지표별로 경제성평가의 최종결과값인 QALY를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약제는 2세대 TKI인 nilotinib을 선정하였고 비교약제로 imatinib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시행하기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선정된 임상문헌에서 효과값을 추출하였다.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전이확률은 기존의 imatinib의 대규모 임상시험인 IRIS 추적조사를 통한12개월째 BCR-ABL ratio에 따른 7년째의 EFS(event free survival)자료를 바탕으로 생존함수를 적용하여 구축하였다. MMR과 CCyR별로 평가한 QALY값은 imatinib과 nilotinib을 비교하였을때 0.06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변수별 QALY 차이는 적으나 경제성평가 시 ICER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경제성평가 시 이러한 적절한 대체임상변수의 선택이 중요하며 적절성에 대한 평가지침과 적용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향후 보다 타당한 연구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손현순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ance on Clinical Evaluation for assessing safety and efficacy of investigational new drug for the treatment of adult chronic hepatitis B that is one of important diseases in Korea. Considerations and detailed methods at individual study phase in the planning and conducting clinical studies of anti-viral agent for the treatment of adult chronic hepatitis B are studied. Guidance on Clinical Eval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Chapter 1 describing general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clinical studies of chronic hepatitis B drug are conducted, Chapter 2 to Chapter 4 describing study phase-specific points should be considered at phase 1, phase 2 and phase 3 clinical study respectively, and Chapter 5 describing non phase-specific points to be considered at every study phases. Clinical studies for chronic hepatitis B drug should be conducted in compliance with relevant clinical regulations and guidelines in order to protect study subjects and designed in order to evaluate safety and efficacy of drug scientifically. Individual study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study protocol developed appropriately for a study phase, including study purpose and background, subject selection, design, randomization and blindness, comparative drug selection, study period, observations and evaluations, efficacy criteria, safety evaluation, etc. Clinical efficacy of chronic hepatitis B drug should be evaluated by clinical symptoms and signs, liver function tests, serologies, HBV DNA level, biopsy, etc. and safety should be evaluated by adverse drug reactions and laboratory abnormalities, etc. Guidance on Clinical Eval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written document describing detailed methods recommended at the clinical development stage of chronic hepatitis B drug. It will be a guidance explaining minimal requirements for clinical studies necessary at the drug development process on drug developer side as well as a standard for reviewing safety and efficacy data of investigational drug more consistently and more objectively on reviewer side.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중대한 질환의 하나인 성인 만성 B형 간염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발 신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임상시험 평가지침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성인 만성 B형 간염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의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시행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구체적인 실시방법들을 시험단계별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임상시험 평가지침의 제 1장 총칙 부분에서는 만성 B형 간염 치료제의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데 있어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일반적인 사항들을, 제 2장부터 4장까지는 만성 B형 간염 치료제의 제 1상, 제 2상 및 제 3상 임상시험 각각의 단계별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기술하였으며, 제 5장 각론에서는 모든 임상시험 단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들을 기술하였다. 만성 B형 간염 치료제의 임상시험은 개발 신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피험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관련규정을 준수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임상시험은 각 단계별로 적절한 임상시험계획서를 개발하여 실시되어야 하며, 이 임상시험계획서에는 시험의 목적 및 배경, 피험자 선정, 디자인, 무작위화 및 맹검, 대조약 선정, 시험기간, 관찰항목 및 방법, 효과 판정 기준, 안전성 평가 등을 포함해야 한다. 만성 B형 간염치료제의 임상적 효과는 임상증상, 간기능검사, 항원항체검사, HBV DNA 검사, 간조직 검사 등에 근거하여 평가되며, 안전성은 발생된 이상반응과 임상검사치 이상변동 유무에 의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임상시험 평가지침은 만성 B형 간염치료제의 임상개발단계에서 권장되는 세부적인 방법들을 문서화한 것으로서, 신약개발자에게는 신약개발과정에서 필요한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데 있어 최소한의 요구조건을 설명해 주는 안내서가 될 수 있고, 자료 검토자에게는 개발 신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 자료를 좀 더 일관되고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김원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식약청이 임상시험 활성화 목적으로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 의지를 표명한 후, 신고제 도입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더불어 국민의 안전에 대한 시민단체의 우려가 동시에 있었다. 신고제 도입 전 임상시험 관리제도 보완의 필요성이 있는 지 제도적으로 점검하고 신고제 도입 및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각계 의견 파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임상시험 관리 제도를 외국의 제도와 비교 평가하고, 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한 각계의견을 조사하여 현행 임상시험 관리제도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현행 임상시험 관리제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리당국의 홈페이지를 통해 현행 규정 자료집을 수집하여 비교 조사했다. 국내 임사이험 관리 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 KAIRB 공청회 참석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해 기사를 검색하여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관한 각계의 의견을 수집했다. 국내외 관리제도 비교 결과 및 의견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현행 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했다. 외국의 임상시험 관리 제도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교한 결과 현재의 임상시험 승인제도 자체는 효율성 및 완결성 측면에서 외국의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사후관리 측면에서는 외국에 비해 임상시험 실태조사 지침, 실태조사 결과 현황이 공개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었다.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해서는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관리 제도의 강화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임상시험 등록제(clinical trial registry) 운영 측면에서 식약청은 주간 임상시험 승인현황을 공지하고 있으며, 식약청이 운영하는 임상시험정보방을 통해서 시험 제목, 대상질환, 시험 단계 등의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관련 시험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공개되는 정보의 내용은 외국에 비해 다소 제한적이다.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관한 각계 의견으로는 임상시험의 산업적 가치를 평가할 때 임상시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 절차적 규제완화를 통한 임상시험 처리 속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국민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국내 임상시험 관리 개선방안 및 신고제 도입에 관한 의견 설문조사에서는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관하여 응답자의 75.6%가 국내 임상시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으며 응답자의 61.2%가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찬성했다. 동시에, 신고제 도입을 위해 선행적 기반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81.8%로 나타났으며, 신고제 도입을 위한 선행적 기반환경 조성으로 IRB 등록 및 인증제 도입과 IRB 심사위원 정기 교육 의무화에 대한 선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시험 관리 제도 현황을 외국과 비교하고 개선 필요성에 대한 각계 의견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앞으로 임상시험 관리 제도를 다음과 같이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고제 도입을 위해서 사전에 신고 절차를 계획하고 임상시험 승인 관련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 신고제 도입을 위한 기반환경 조성으로 심사위원회 관리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신고제 도입 시 임상시험 실시 현황 정보를 공개하여 국민이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요건에 부합하는 수준의 임상시험 등록제를 운영해야 한다. 임상시험 사후 관리 강화를 위해서 식약청의 실태조사 기능을 강화하고 실태조사 관리 정보를 공개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결론적으로 임상시험 신고 절차(안),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련 규정 개선(안), 임상시험 등록제 운영방안, 실태조사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앞으로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관하여 각계가 적극적으로 논의하기 바라며, 이 연구 결과가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신고제 도입을 위한 임상시험 관리제도의 개선 일환으로 신고제 운영 절차 및 심사위원회 관리 강화 방안, 임상시험 등록제 운영에 관한 세부 방안, 실태조사 관리 강화 방안 등이 보다 구체적으로 신중하게 논의되기를 바란다.
홍정유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임상시험에 종사하는 실무자인 CRC와 CRA의 의견을 중심으로 스크리닝 탈락의 원인과 개선점을 반영한 대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10월 12일부터 총 2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개설된 신약개발 임상연구원 모임카페를 통해 네이버 오피스폼으로 제작, 총 52부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국립암센터 임상연구 코디네이터실에 오프라인 설문지로 총 10부가 배부/회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는 직군별 CRC 31부, CRA 31부로 총 6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스크리닝 탈락률을 축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아래의 3가지 제안점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와 정책적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보다 명확한 연구계획서 설계를 위해 연구자(기관)과 Sponsor(의뢰사)간의 Direct communication tool과 전담 Medical Coordinator를 마련하여 연구계획서의 완성도를 높인다. 둘째, 사전 스크리닝에 대한 기관 Process를 마련한다. 셋째, 기관 검사결과와 중앙 검사결과의 허용범위를 사전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alternatives reflecting the reason and improvement of screening Failure focusing on the opinions of CRC and CRA who work in actual clinical Trial through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 weeks from October 12th, 2017. The questionnaire was made with Naver office form. It collected 52 copies of the responses at the Internet cafe for new medicine development clinical researchers opened in the portal site Naver. It also distributed and collected ten copies from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department of National Cancer Center.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31 CRC copies and 31 CRA copies totaling 62 copies. Based on this, I made the following three proposals to reduce screening failure rate. It is expected that many trials and policy help are needed to practice it. First, it should have the direct communication tool between a researcher (institution) and a sponsor and a dedicated medical coordinator for clearer design of research plan and improve the completeness of research plan. Second, it should prepare an institutional process for pre~screening. Third, it should previously discuss the results of institutional tests and the acceptable range of the results of the central trial.
약학교육 6년제 학제개편에 따른 실무실습교육의 도입방안
이옥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2009년에 실시하는 약대 6년제 개편에 대비하여 실무실습교육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무실습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재 실습현황과 외국의 실무실습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약학교육 평가기관인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eutical Education(ACPE)의 약학대학 인증기준과 9개 대학의 커리큘럼과 실습내용, 학점, 시기, 지도자의 구성인원을 비교분석하였다. 일본약학교육의 모델코어커리률럼을 통하여 실습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독일약학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미국의 ACPE기준에서는 약사의 사명으로서 의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환자와 상담하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과 의약품 적정 공급및 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커리큘럼에 대하여는 예비실습과 본실습으로 나뉘어 약국과 병원, 제약회사등에서 실습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독일의 약학교육과정은 4년간의 수업과정을 마치고 1년 약국에서 실습하도록 정하여져 있고 실무지침서에는 조제와 제제, 검사, 처방해석, 상담과정중 마주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다. 일본의 모델코어커리큘럼에는 실습항목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2006년도부터 시작한 약대 6년제는 4년제와 병합하여 시행되며 실습기간은 6개월이다. 일본의 지도약제사 기준에서는 실무경험 5년이상으로 현재 약국에서 근무하고 있고 학생 실습 지도에 열의를 가지고 있고 평소 직능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학생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6년제 학제개편에 따른 실무실습교육방안의 제시에서는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하여 효율적인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목표로 정하였다. 커리큘럼에서는 필수과목을 6개월 실습하고 선택과목을 6개월간 다양한 환경에서 실습하도록 하였다. 필수과목에서는 병원 3개월, 약국 2개월, 제약회사 실습 1개월로 정하였다. 시설설비기준으로는 우수약국기준에 맞고 적당한 환자의 수가 있어야 하며 여러 질환의 환자가 있는 약국이고 적당한 교육실이 있어야 한다. 지도자의 조건으로는 5년이상의 실무경력과 병원약사회와 대한 약사회로부터 인증을 받은 약사이어야 한다. 병원실습에서는 조제와 복약지도, 의약정보, 임상약동학에 관하여 실습하며 약국실습에서는 조제와 복약지도, 일반의약품의 상담과 판매에 관한 내용을 실습한다. 실무실습에 필요로 하는 실무지침서에는 실습내용과 목표, 실습일정표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6년제 개편에 앞서 지도자 양성이 시급하며 일본의 인증약사제도를 도입하여 3년간의 교육을 시킬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미국의 경우에서와 같이 졸업후의 교육제도도 도입하여 선택실무실습의 내용이 다양하게 되어야 겠다. 우리나라의 교육현황과 실습현황을 연구하고 미국과 독일과 일본의 대학의 현황과 지도자 조건, 실무지침서를 비교분석하여 2009년부터 시행되는 6년제에서 실무실습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재교육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센터와 재교육을 맡을 기관이 설립되도록 준비하여야겠다. Introduc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pharmacy practice training program that is suitable for the 6-Year curriculum pharmacy education in Korea starting from 2009. Methods: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ACPE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eutical Education) and the curricular of the pharmacy schools of several different countries were reviewed to develop the curricula of pharmacy practice that is suitable for the 6-Year curriculum pharmacy education in Korea starting from 2009. Results: A model pharmacy practice curricular was developed based on ACPE standards and the core curriculum of pharmacy practice of Japan. This study described the objective, scope and the duration of practice training as well as the requirements of the training site and the qualifications of preceptorship. This study described the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of practice training in details for the institution, community and pharmaceutical practice. The preceptors for the practice training should be certified for their qualification and knowledge by an authorized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nd The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It is critical that the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s to train the preceptors be developed. Conclusion: The pharmacy practice training program that is suitable for the 6-Year curriculum pharmacy education in Korea have been developed.
백진이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Background : Medication error can be caused at all levels during the medical procedure such as doctor's diagnosis, prescription, compounding of medicine and medication, but especially at the level of prescription.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iques, the types and ranges of choice for drugs have widened to the extent that it became more difficult for doctors to acquire sufficient knowledge on all sorts of drugs and to make appropriate use of them.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 which is designed to support doctors for prescrip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use of drugs and patient's profile, would facilitate to reduce the number of medication errors. Purpose :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ongoing states of the CDSS preparation in our country and considers how to enrich both health medical information and contents of the knowledgebase for drug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CDSS in Korea. Method :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HIRA), Firstdis, FirstDataBank Homepag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KSHP),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KPIC), Druginfo, Kimsonline and others are researched to find out the substances of the basic medical knowledge provided in our country. It also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lan for constructing the CDSS in Korea, based on the project schedule propounded by Health & Medical Informational Project Promotion Group. In addition, it looked into various documents and reports to investigate the instrumental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DSS as well as the situations in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Result : Considering the building process of the basis for the pharmaceutic knowledge, it notices that KFDA, HIRA, KPIC, KSHP and other informational companies for drugs are providing the information on various medicines and drugs on the internet; and most of hospitals in Korea are creating and managing its own codes according to the lists of drugs used in each hospital. However, this kind of medical knowledge is not suitable as a medical Knowledgebase generally available, due to the fact that the terms used are not standardized and do not include all drugs used domestically. Firstdis, which is co-founded by the Drug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of Sookmyung University and the cooperation between academics and industries, is currently providing together with FirstDataBank of the US, the American and Korean medical information databases, but at the expensive costs, so it is deemed that further Knowledgebase should be built in the way that it caters better for the reality of our nation. While most of the domestic hospitals are adopting the CDSS programs, primarily centering around the 3rd level hospitals, code numbers and terms of drugs used are not standardized as they are largely depending on self-developed programs. At the governmental dimension, it is undertaking the project with a view to formulating a comprehensive plan for enriched health medical information of 2005 and providing the optimal health and medical service for the people. As a component task, it is also conducting the development of the CDSS at the moment Conclusion : The CDSS must include basic pharmaceutic information(such as dosage,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side effect and drug interaction), and send an alert signal for improper prescrip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rofile of a patient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Moreover, the CDSS should ultimately result in the reduction of medication error so as to decrease the death rates and costs for treatment.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CDSS be developed in the manner that it is linked to electronic prescribing and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that can be shared between hospitals interactively, so that the patient can receive the optimal medication treatment. 배경 : 의료과오(medication error)는 의사의 진료, 처방 단계, 의약품의 조제, 투여 등 의료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처방 단계에서 많이 발생한다. 의학 기술의 발달로 약물의 종류와 약물 선택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의사들이 모든 의약품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습득하고, 환자 진료에 활용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따라서 의약품 사용과 환자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의 처방을 지원해 주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이하 CDSS)을 사용하면 의료 과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목적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CDSS의 준비현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CDSS의 구축과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보건 의료 정보화와 의약품 지식 기반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보건복지부, 식약청, 심평원, 퍼스트디스, FirstDataBank, 병원약사회, 약학정보원, 드러그인포, 킴스온라인 등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에서 제공되고 있는 의약품 지식 기반의 내용을 조사하였고, 보건의료정보화사업추진단의 사업 계획서 등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임상결정지원시스템 구축 현황과 계획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미국, 영국의 현황과 임상결정지원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필요한 요소 등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문헌과 보고서를 참고하였다. 결과 : 의약품 지식기반 구축 상태를 살펴보면 식약청, 심평원, 약학 정보원, 한국병원 약사회, 의약품 정보 업체 등에서 인터넷을 통해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병원들은 대부분 각 병원에서 사용되는 의약품의 목록을 상품명에 따라 자체 코드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약품 지식 기반은 용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국내에서 사용하는 모든 약물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공통으로 이용 가능한 의약품 지식 기반으로써 적합하지 않다. 숙명여대 의약정보연구소와 산학협력으로 설립한 회사 퍼스트디스는 미국의 FirstDataBank와 함께 우리나라에 미국의 의약정보데이터베이스와 한국의 의약정보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료를 지불하여야 하고, 좀 더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지식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병원에서는 3차 병원을 중심으로 CDSS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데 대부분 병원 자체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물 코드 번호와 용어의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다. 정부 차원에서는 2005년 보건의료정보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국민에게 최적의 보건 의료 제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며 세부 과제로서 임상지원시스템 개발을 진행 중이다. CDSS가 효과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전자처방과 연계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신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을 위해서는 환자의 serum creatinine(혈중 크레아티닌), 나이, 체중, 성별 등에 기반을 둔 creatinine clearance(크레아티닌 청소율) 값으로 신기능을 평가하여 신기능에 따라 금기가 되는 약물이나 잘못된 용량이 처방되었을 때 ‘경고’ 시그널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신독성이 있는 약물이 처방될 때, 환자의 신기능과 체중을 고려하여 약물 용량을 조절하는 규칙을 개발해야 한다. 약물 상호작용, 중복 처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을 등급별로 나누어 의사가 처방을 했을 때 상호작용 등급과 기전이 자동 검색되어 경고창이 뜨도록 하고, 환자 정보와 처방 기록 등을 병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병원에서 처방 받은 약물에 대해서도 중복 약물, 상호 작용이 검색되어야 한다. 또한 연령과 체중에 따른 표준 약물 용량과 연령 금기 약물의 정보를 구축하여 CDSS에 포함시켜야 하고, 환자의 알레르기 상호작용을 CDSS에 적용시키기 위해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자료들을 모두 코드화 시키고, 자료를 모아 알레르기와 과민 반응 간에 차이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서 경고는 과민 반응이 아닌 진짜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서만 제시한다. 의사가 경고를 무시했을 경우를 대비해 그 이유에 대한 메뉴를 만들어 해당하는 이유를 선택하게 하고, 환자의 알레르기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한다.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은 각각의 환자에 대한 보편적인 알레르기 목록을 공유할 수 있게 하여 여러 지역에서 알레르기 목록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 불편을 줄여준다. 결론 : CDSS는 기본적인 약물 정보(용량, 약동학적 정보, 부작용, 상호작용 등)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환자 정보에 따라 부적절한 처방에 대해 경고 시그널을 발생시키고, 대안 등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CDSS가 궁극적으로 의료 과오를 줄여 사망률과 치료비를 감소시키고, 환자에게 최적의 약물 요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병원 간에 상호공유가 가능한 EHR 및 전자처방(electronic prescribing)과 연계된 CDSS 개발이 필요하다.
급성 파라콰트중독환자의 치료지침에 따른 임상적 효과의 평가
강남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연구배경 : 파라콰트는 4급 암모늄계의 제초제로 치사량이 20%용액 10mL 정도로 추정되는 치명적인 약물이다. 파라콰트 중독은 위장관, 간, 폐, 신장 등 다발장기손상을 야기하여 사망을 초래한다. 단일 원인에 의하여는 가장 많은 수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성공적인 파라콰트 중독 치료법을 찾고자 많은 시도들이 있지만 아직까지 치료방법이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목 적 : 파라콰트 중독 치료를 위한 여러 가지 시도 중 최근 항산화제인 deferoxamine과 N-acetyl-L-cysteine이 추가되어 치료에 사용되고 있어 추가되어진 약물이 급성 파라콰트 중독환자의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임상적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파라콰트 중독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치료지침에 의하여 치료를 받은 환자군, 기존의 치료지침에 deferoxamine을 추가하여 치료받은 환자군, 기존의 치료지침에 deferoxamine과 N-acetyl-L-cysteine을 추가하여 치료받은 환자군 등 3군으로 분류하고 환자의 입원 치료 당시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환자의 연령, 성별, 노출경위, 노출경로, 약물중독 후 1차병원까지 걸린 시간, 약물중독 후 본원에 도착했을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조사하였다. 파라콰트 노출량,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 입원기간 중 임상증상과 내원 직후와 마지막 follow-up시 시행한 헤모글로빈, 백혈구 수, pH, PaCO2, PaO2, arterial O2 saturation, 혈중요소질소, 크레아티닌,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총 빌리루빈, 아밀라제, 리파제 등의 임상검사를 조사하였다. 치료결과는 회복과 사망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사망률을 비교하였으며 사망은 사망 및 임종직전 전원 또는 임종직전 퇴원도 포함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2.3±15.6세였고 파라콰트 평균 노출량은 36.5±36.2mL이었다. 자살을 목적으로 음독한 경우가 74.5%였으며 전체환자 중 2명을 제외하고는 경구로 음독하였다. 파라콰트 노출 후 1차병원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6.9±18.5시간이었으며 파라콰트 노출 후 본원에 도착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22.4±34.8시간이었다. 입원기간동안 나타난 임상증상은 구강내 작열감(65.6%)과 구강내 궤양(62.4%)이 가장 많았고 호흡곤란, 연하곤란, 오심, 구토 등이었다. 모든 군에서 노출량이 증가할수록,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가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초기 임상검사결과는 사망률과 비교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마지막 follow-up시 시행한 임상검사결과는 사망과의 관계가 확실하였다. 기존의 치료법에 항산화제인 deferoxamine, N-acetyl-L-cysteine의 추가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지만 약물이 추가될수록 사망률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 파라콰트 중독시 노출량 및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는 중독의 임상적 증상 및 예후를 예견할 수 있어 치료의 방향 및 강도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자로 평가되었다. 임상검사결과도 파라콰트 중독의 중증도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중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치료지침에 항산화제(deferoxamine, N-acetyl-L-cysteine)의 추가치료는 파라콰트 중독시 사망률을 감소시켰으며 앞으로 임상적 활용을 적극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 Background: Paraquat(1,1’-dimethyl 4,4’-bipyridium dichloride) is widely used as a potent herbicide of Quaternary nitrogen compounds. It is presumed that ingestion of greater than 10mL of 20% paraquat solution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In humans, paraquat poisoning could cause multi-organ failures in kidney, liver, lung and corrosive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mucosa. Even though many studies focus on successful treatment protocols,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so far. Objective: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cteine, has been administered recently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protocol in paraquat intox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how these additional antioxidants have influence on the mortality of paraquat poisoning. Methods: A total of 157 patients with acute paraquat intoxication were treated with one of three protocols: conventional protocol(Group Ⅰ), conventional protocol with deferoxamine(Group Ⅱ), conventional protocol with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Group Ⅲ). This study was analyzed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for demographics, cause of paraquat exposure, route of paraquat exposure, time intervals between intoxication and first medical treatment, time intervals between intoxication and Soonchunhyang Chunan hospital (SCH), symptoms and signs in admission. Exposure to paraquat was assessed by the amount ingested and the urine paraquat test.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hemoglobin, WBC, pH, arterial blood gas,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total bilirubin, amylase and lipase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emergency room visit and last follow-up. Outcomes after acute paraquat poisoning were determined as survival and death. Death included death, hopeless transfer and hopeless discharge. Results: Mean age of paraquat intoxication patients was 42.3±15.6 years old. Mean amount of paraquat exposure was 36.5±36.2mL. Paraquat was used for suicidal purpose in 74.5% of paraquat intoxication. Most of patients ingested paraquat orally. Time to the first medical treatment averaged 6.9±18.5 hours, and time to SCH averaged 22.4±34.8 hours. The major clinical presentations were sore throat (65.6%) and oral cavity ulceration (62.4%), and other symptoms included dyspnea, swallowing difficulty, nausea and vomiting. All groups showed same trends as the followings: the higher amount of paraquat exposure and the higher extent of paraquat detected in urine led to the higher mortality. The results of initial clinical test were more or less correlated with mortality. And clinical tests upon last follow-up were in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rtality. It was found that the more number of added antioxidants would led to the lower mortality though addition of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e, to conventional protocol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amount of paraquat exposure and the extent of paraquat detected in urine could predict clinical symptoms and prognosis in acute paraquat poisoning. Thus, those two factors could help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reatment.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critical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paraquat poisoning and predict corresponding prognosis. Additional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e, to conventional protocol contributed to decreasing the mortality of paraquat poisoning, so it is positively recommended that these antioxidants should be widely used in clinical aspects. KEYWORDS: paraquat, deferoxamine, N-acetyl-L-cysteine
한국과 인도의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 비교
박선영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인류의 역사는 새로운 질병의 출현과 그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으로부터 시작되고 발전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는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 신약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신약의 출현이 사회적, 경제적으로 이룩해 낸 성과는 여러 차례 인류를 멸망의 위기에서 구해내곤 하였다. 이러한 신약 개발에 대한 의지는 지난 10년 동안 세계적으로 신약개발 프로젝트의 수가 약 2배 증가하고,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국가들도 폭넓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하게 임상시험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임상시험 신흥국인 인도와 아시아에서 이미 임상시험의 허브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한국의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를 비교하고, 그 원인을 파악해 봄으로써, 한국과 인도의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업무 환경에 보다 긍정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 만족도 연구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5단계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응답 문항을 작성하였고, 설문 문항에는 성별, 나이, 학력, 근무 연수, 한 달 평균 수입, 직무 형태, 전공, 기업 형태 등의 일반적인 사항과 하루 실제 업무 시간, 업무 관련 교육의 횟수, 교육 횟수에 대한 만족 정도, 업무 시작 동기 등의 업무 실태가 포함되었다. 직무 만족도는 로크(Locke)의 직무 만족도 요인 중 업무요인, 승진요인, 동료요인, 리더십요인, 임금요인의 5가지 요인에 전반적 직무 만족도를 묻는 한 문항과 이직의도를 묻는 문항을 포함시켜 총 18개 문항을 중심으로 직무 주제어: 한국과 인도의 임상시험 종사자, 직무만족도, 이직 의도 만족도 및 이직 의도를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한국과 인도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를 비교하였다. 한국과 인도의 요인 별 직무 만족도 분석 결과, 임금 만족도는 한국에서 더 높고, 전반적 직무 만족도, 업무 만족도, 승진 만족도, 동료 만족도, 리더십 만족도는 인도에서 더 높았다. 이직 의도는 한국에서 더 높게 분석되었으며, 두 국가에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 기업의 형태와 연령, 승진요인과 동료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연령이 증가하고 근무 연수가 길어짐에 따라, 근무 기업의 형태 등의 업무 환경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고, 승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욕구 충족이 안 될 때 이직을 하려고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업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임상시험 업무 종사자들의 인력 관리를 위해서는 성과에 따른 적절한 승진과 더불어 긍정적인 업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와 회사, 임상시험기관, 임상시험 종사자들 개개인의 다각도의 노력과 제도적 개선, 새로운 업무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시급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India.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00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150 employees in India respective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14th to Nov 11st. The data from 135 respondents in Korea and 73 respondents in India equated to a response rate of 65% and 48.6% in Korea and India respectively. This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d mean comparison per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by a t-test and ANOVA. Multiple regression is used to investigate what kind of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urnover intention. Results In the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orea and India, overall job satisfaction is higher in India (3.51 vs. 3.47). All elements of job satisfaction, such as, task factor (3.42 vs. 3.12), leadership factor (3.83 vs. 3.58), colleague factor (4.27 vs. 4.06), and promotion factor (3.49 vs. 3.29) are higher in India. The only exception is the wage factor (2.58 vs. 2.90) which is higher in Korea. The score reflecting turnover intention is lower in India than in Korea (2.90 vs. 3.22). Turnover intention in Korea is affected by promotion factor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However, in India, the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the category the company belongs to. Overall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age, prospect of promotion, colleague factors and the category the company belongs to. The employees under 30-year-old age working at global 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have had lower score of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nclusio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turnover rate in Korea and India, it is suggested that suitable promotion by successful achievement, continuous education for experienced employees and training for new employees at a CTC (Clinical Trial Center) at a hospital, government agency or further education be gi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