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학생 인성교육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최광호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1992년 발표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현대의 사제 양성』에서 강조되고 있듯이, 오늘날 ‘신학생 인성 교육’은 여러 교육 분야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오늘날의 시대 상황을 들여다보면, 사회가 외형적으로 급격히 발전함에도, 인간의 정신적 삶은 오히려 더 각박해지고, 불평등과 소외현상이 깊어져가고 있다. 특히 한국의 젊은이들은 물질만능주의와 개인주의, 그리고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환경 등으로, 인성이 올바르게 성숙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제를 지망하는 신학생들에게, 올바른 인성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요청은 여러 설문조사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008년에 대구대교구가 실시한 신앙생활 실태 설문결과를 보면, 본당 운영을 위해 필요한 교육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가장 높은 비율인 69.5%의 신자들이 ‘인성 교육과 대인 관계 기술’이라 응답한 바가 있다. 그리고 ‘갓등 2020 프로젝트 자료집’에서 교구 사제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살펴보면, 신학생 인성 교육의 필요도에 대한 질문에, 가장 높은 비율인 75.36%의 사제들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논자는 ‘오늘날 신학생 인성 교육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고, 신학생 인성 교육을 위해 어떠한 내용을 가르쳐야 하며, 이를 어떠한 방법으로 교육 할 것인가?’하는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논자로 하여금, 오늘날 요청되는 신학생 인성 교육의 목표·내용·방법에 대하여 교회법적 연구를 하도록 이끌었다. 논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본 논문을 통하여,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한 1983년 현행 교회법전의 법원(Fontes)들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들을 비롯한 현대의 교회문헌들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현재 수원 가톨릭 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 교육을 조명해보고, 오늘날 교회와 사회가 요구하는 인성을 갖춘 ‘영혼의 참된 목자’를 길러내기 위한 길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는, 신학생 인성 교육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해 봄으로써, 교회법에서 언급하고 있는 ‘신학생 인성 교육’이라는 용어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formatio’는 피교육자들이 특정한 자격에 합당한 능력을 갖추어나갈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고, ‘humana’는 하느님의 모상으로서 공동체 안에서 성숙되어가는 인간, 그리고 하느님의 은총이 필요한 존재인 인간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된 용어이다. 특별히 ‘humana’는 교회법적인 개념 이해에서 몇 가지 특징들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humana’는 각 개인마다 다르기에 그 차이가 인정되긴 하지만, 성직자로 양성되기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humana’의 성숙을 갖춰야 한다. 그리고 ‘humana’의 성숙은 영성 · 지성 교육과 더불어 이루어져야 하고, ‘humana’는 끊임없이 완성되어가는 실재이기에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formatio humana’의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한 교회법적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는 현행 교회법을 중심으로 목표·내용·방법으로 구분하여 간략히 살펴보았다. 우선 신학생 인성 교육의 목표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을 닮은 사제’가 될 수 있도록 신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는, ‘기본적인 인간적 품성 교육’, ‘올바른 인간관계 형성 능력 교육’, ‘독신 생활에 대한 교육’ 등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인성 교육 내용을 신학생들에게 올바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올바른 규율이 적용된 공동생활을 통한 교육’, ‘영성· 지성 교육과 함께 이뤄지는 교육’ 등이 있다. 이상의 ‘신학생 인성 교육에 관한 개념이해’는, 이어질 법원과 교회의 가르침을 이해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제2장에서는 신학생 인성 교육과 관련한 현행 교회법 조항들의 법원 이해가 시도되었다. 즉 오늘날 신학생 인성 교육에 관한 교회법 조항들의 근본이 되는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들과, 현대의 가르침들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며 수용되었는지 연구하였다. 간접적인 법원 연구는 성경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비록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이미 성경과 교부문헌에서부터 신학생 인성 교육의 방향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특별히 서간과 교부들의 문헌을 통해, 초기 교회의 성직자들은 신자들에게 모범이 될 수 있는 올바른 인성을 갖추어야 함이 명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학생 교육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라테란 공의회와 트렌토 공의회 때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트렌토 공의회 제23차 회기 때에 신학교 교령이 반포되고, 본격적으로 신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하며 신학교 교육의 큰 전환점을 맞이한다. 하지만 이 시기의 교육은 성직자의 직무 수행에 주된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즉 사제 직무 수행에 문제가 되지 않는 인성을 갖춘 사제를 길러내는 것이 교육의 주된 목표였던 것이다. 이처럼 사제의 직무 수행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신학생 인성 교육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사제직 본질에 바탕을 두게 된다. 즉 그리스도와의 관계 안에서 신학생들의 교육을 바라본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사제 양성 교령』에서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이 교령은, 합당한 직무 수행을 위한 교육의 차원을 넘어,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사제로 교육하는 것’이 신학생 교육임을 명시한 것이다. 하지만 『사제 양성 교령』은 신학생 인성 교육이 영성 교육 과정 안에서 이뤄져야 함을 가르치며, 인성 교육을 영성 교육의 하나로서 언급하고 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제3장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 발표된 교회 문헌들을 통해, 현대 사회에 가까워질수록 신학생들의 인성 교육이 더욱 강조되어가고, 결국 독립적인 분야로서 명시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신학생 인성 교육에 관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문헌들을 살펴보며, 신학생 인성 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리고 방법이 어떻게 제시되어 가는지 연구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먼저 신학생 인성 교육은 『독신 생활 양성 지침』에서부터 본격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약 20년 후에 발표된『현대의 사제 양성』에서는, 인성 교육이 가장 중요한 교육으로서 명시되기에 이른다. 한국 가톨릭교회 역시 이러한 『현대의 사제 양성』의 가르침에 따라, 『한국 사제 양성 지침』을 통해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독립적인 교육 분야로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인성 교육을 독립적으로 부각시키며, 교회는 인성 교육의 목표를 더욱 심화시켜 나갔다. 인성 교육의 목표는, 영성적인 차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닮는 것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사람들과도 올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제가 되는 것’까지도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성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역시, 영성적인 차원의 교육과 더불어 인간관계 형성 능력에 관련한 교육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4장은 앞선 연구들의 결과를 근거로,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특별히 수원 가톨릭 대학교의 인성 교육 현실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법원과 교회의 가르침에서 발견한 법 정신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제언을 하였다. 우선 현재 수원 가톨릭 대학교의 신학생 인성 교육 목표가 독립적인 형태로 명시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리고 인성 교육 내용은 재정리 및 보완의 필요가 있었기에, 앞선 연구를 근거로 일곱 가지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성 교육 방법은 5가지 분야, 즉 공동체 생활을 통한 교육, 성교육, 영성 교육과 함께 이뤄지는 교육, 지성 교육과 함께 이뤄지는 교육, 세상과의 접촉을 통한 교육으로 구분하여 제언을 하였다. 논문을 마치며, 신학생 인성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인성 교육 지도자와 신학생 각자의 적극적인 노력과, 양자간의 ‘상호 신뢰 및 협력 관계 형성’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과 관계 형성이 올바로 이뤄질 때, 다른 교육 방법들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럼으로써 인성 교육의 내용들이 신학생들의 삶에서 체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신학생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간적인 완전함을 닮아, 세상 모든 이들과 올바른 사랑의 관계를 맺어나갈 수 있는 ‘영혼의 참된 목자’로서 성숙되어 나갈 것이다.

      • 水原과 華城의 固有地名 硏究 : 梅花里의 地名解釋을 중심으로

        조응경 水原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Both 水原 and 華城郡 are place names which are related to 'water'. They reflect the geographical features which protrude from the land, and are adjacent to the West Sea. They refer to villages where there is an abundantance of water, or villages which protrude into the sea. They adopted different literal names because of 'Chaja pyogibup'. However, they orginated from the same derivation in meaning. We may trace the origin of '水原' from '牟水國' in '馬韓' over the period of tree kingdoms. '牟水' was spelled '買忽' during the Kogureou period and it was changed to 水城 or 水州 while changing from the Chinese lettering system when King Kyoung-duck ruled Shilla. Therefore '水' of '牟水國' and '買' of '買忽' are the 'Cha-eum' borrowed sound of the same word. When King Chung-jo ruled the country, '華城' was also used with 水原. '水' of 水原, meaning 'water'. '華' of 華城 was read '곶' in the fifteenth Century, and the meaning of 곶 [花ㆍ華] was used as a variation of it, meaning 곶(串). All these examples show that '梅' and '花' were used as Chaja-pyugi, which borrows sounds and meaning from the old letters. First, '梅' was changed by Chaja-pyugi, with 買 or 牟, meaning water. When 買 is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it corresponds to'水'. Thus, we may find that '梅' of 梅花里, in Hwasung-gun, Seoshin-myun, is Chaja-pyugi, and corresponds to '買' when it is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meaning '水'. Second, '花(華)' was changed to '串' by Chaja-pyugi without changing the meaning. 고지ㆍ곶(串) was the same sound as 곶[花] in the fifteenth Century, and 곶 was read with various sounds, such as 곳ㆍ□ㆍ��花]. '梅' of 梅花里 is Chaja-pyugi of '買' and means '水'. '花' of 梅花里 is Chaja-pyugi of '串' and means '華'. That is, 곶[串ㆍ岬] was changed to 곶(花ㆍ華) and then changed to 꽃(花ㆍ華). All this information show that '水' of '水原' means 'water' and '華' of '華城' means 곶(串). Therefore, the derivation of '梅花' is '水原ㆍ華城' and the place names of '水原ㆍ華城' imply 'water valley'

      • 유무선 연동 웹 클러스터링 환경에서의 QoS 향상을 위한 연구

        김승수 水原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7

        대부분의 인터넷 시스템은 한 대의 서버에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유선 인터넷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현재 관계형 통합시스템의 구조는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 경비 등의 이유로 인하여 하나의 서버에 DBMS 모듈이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특정한 서비스의 경우 접속량이 폭주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대처하여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서버로는 안정된 서비스를 하기가 어려운 경향이 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응용분야가 다양화됨에 따라 기존의 중앙집중방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는 처리하기 복잡한 다양한 기능들이 요구되고 있다. 경쟁력 있는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확장성(Scalability)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대의 저가형 일반 서버를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와 Web이 분산된 QoS 클러스터 서버그룹으로 인터넷 서비스의 안정성과 서비스의 질(Quality of Service)을 높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서버그룹을 확장시킬 수 있는 향상된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중앙집중형 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서버의 부하분산을 구현하여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 나라에서는 휴대전화가 일반화되었고, 젊은 세대는 모바일 정보통신을 생활의 일부로 인식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생활 속에 자리잡은 휴대 통신과 웹이 일체화되지 않고 있었으나 차츰 이들을 하나로 융합시켜서 이제는 언제, 어디서나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환경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제안된 QoS 클러스터 서버그룹 시스템은 대학 원서접수 시스템과 합격자발표 시스템에 적용시켜 보았다. 데이터베이스는 MicroSoft SQL Server 2000을 사용하였으며, 대학 인터넷 원서접수는 ASP(Active Server Page)를 사용하였고, 대학 교내에서 이루어지는 원서접수는 VB(Visual Basic)를 사용하였으며, 대학 모바일 원서접수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을 사용하여 유선, 무선 그리고 교내 로컬 원서접수를 통합하여 효율을 극대화 시켰다. QoS 클러스터 서버그룹을 사용하면 급격히 증가하는 서비스 요청과 서버의 과부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적인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Most Internet systems are based on wired Internet and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consisting of one Database in a server. Recently,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Integrated systems has tended to put the DBMS module into one server because of the cost and time of system development. But, it causes heavy traffic in the case of specification service. Also, It is difficult to provide steady service to the user using just one server.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database system technologies and a variety of database applications, it is required that existing centralized database systems can't process. The salability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o construct competitive Internet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vanced distributed integrated system which divides several cheaper servers into a database and a web server in QoS cluster server groups, which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er groups and to improve QoS and the stability of the Internet service. We have overcome the problem of an existing centralized system and have implemented the load balance of the server and compare and analyse the performance. The proposed system uses Microsoft SQL Server 2000 for database, ASP for Internet acceptance of an application, Visual Basic for offline acceptance of an application, WML for mobile acceptance of an application, which maximizes efficiency through integration of wired, wireless and local acceptance in university.

      • 英語科 듣기 評價 問項 分析과 改選 方向 :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중심으로

        이인숙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07

        'Fluency over Correctness' is the agenda of th Foreign(English,) Language Education under the Sixth Educational Program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also emphasizes comprehension over production. This means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which had relied heavily upon translation and grammar for last 50 years and whose objective is to equip linguistic competence, not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to say, communication becomes the most important goal of English education. English Education under the new educational program is based on Krashen's Natural Approach. It proposes that the second language should be acquired in the same way as children learn their mother tongue. Thus, according to Krashen (1983) the following is the most ideal and proper comprehensible input : 1. It should be comprehensible. 2. It should be relevant and meaningful to the acquirer. 3. It should be provided in sufficient quantity.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propose a model for the problems in the listening part of the English Test in the SAT( Scholarly Aptitude Test) in Korea. The English Test in the SAT sets up its major objectives as follows : First, it should include questions measuring a student'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nglish. Secondly, it should emphasize fluency rather than correctness in using English and measure whether a student can comprehend a whole passage rather than fragmentary details. Thirdly, it should have various types of questions which can measure a student's comprehensive ability in English, including four skills of language. The actual questions in the English Test in the SAT, however fall short of its theoretical objectives. Above all, it focuses on questioning the rough idea of the passage and neglects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English. It leads students to solve some questions by mere guessing, not by full understanding. Thus, by the analysis of listening problems from the year of 1994 to 1998, we try to find a couple of problems in the SAT in terms of the style as well as the subject and to make a proposal for improvement First of all,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the subject. First, questions do not conside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 and the West. Second, similar subjects keep selected such as time, place, and so on. We also have problems in the style of script. First, there are too many key words which can give students crucial clues too easily. Second, the answer can be found just by listening the first sentence or the last sentence. Third, questions asking the atmosphere of the contents can be too easily detected. In other words, students tend to learn the techniques with which they can infer the right answer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 contents, the questions ignoring comprehensive study of English. Thus, to meet its original goal, the English Test in the SAT must include such types of questions as can measure the students' comprehension ability based on fluency, The improvement of the listening part of the English Test in the SAT can be made with the material related to the cultur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questions which can be answered only by understanding the general meaning of the contexts. Thus, I suggest that the problems proper to and familiar with the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should be studied and chosen in the test. There are some of the topics which I propose to meet the criteria : 1. A dialogue between students and the clerk of the fast food store. 2. A description of pop music and movie. 3. A dialogue between friends about their future. 4. A plan of the weekend and school life. The thesis is organized in this way. In chapters 2 we introdu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stening to foreign language. The agenda of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of the 6th Education Program under Krashen's Natural approach is discussed in chapter 3. After examining the problems of the English tests in the SAT from 1994 to 1998, we make propos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st in chapter 5. We conclude the thesis with the summary in the chapter 6.

      • 교회공동체의 새 복음화를 위한 문화선교에 대한 고찰

        김민휘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2012년 10월 11일에서 2013년 11월 24일까지 교회는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개막 50주년을 기념하며 ‘신앙의 해’(Year of Faith)를 보내고 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제13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를 소집하면서 그 주제를 “그리스도 신앙의 전수를 위한 새로운 복음화”(The New Evangelization for the Transmission of theChristian Faith)로 선정하였다. 이 회의는 2012년 10월 7일부터 28일까지 로마에서 열렸다.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사목 방향은 최근 교황청 새복음화촉진평의회(2010년 9월 21일 설립)를 신설한 것에서 보여주듯이 계속해서 ‘새로운 복음화’에 맞추어져 있다. 이것은 무신론, 종교 냉소주의, 탈그리스도교, 세속주의, 상대주의 등 현재 서구 교회가 겪고 있는 신앙의 근원적인 위기에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아시아 교회, 구체적으로는 한국 교회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보편 교회의 문제와 지역 교회의 문제가 별개의 것이 될 수 없고 복음화의 문제가 남의 이야기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이제 세계는 더 이상 단일한 문화 체계 안에서 우리의 것만을 고집하거나 배타적, 폐쇄적인 국수주의적 문화를 고집할 수 없게 되었다. 즉, 세상에 더욱 개방되고 열린 다문화적 생활방식을 요청받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문화라는 삶의 터전에서 살아가는 신앙인에게도 현실의 위기이다. 문화는 시대의 언어이며, 공기와도 같은 것이다. 오늘날 세상을 ‘복음화한다’는 것은 교회가 인간 삶의 총체적인 장(場)인 문화를 복음의 빛으로 조명하는 것도 포함하고 있다. 문화에는 사람의 ‘혼(魂)’이 담겨 있으며, 사람들은 문화를 통해 서로 교감을 나누고 이해하며 상호 소통한다. 그리스도인에게 문화는 복음 을 전하는 ‘매개체(媒介體)’이다. 논자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오늘날 선교의 맥락은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정신 아래,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문화에대해 알고 가톨릭 신앙정신으로 바라보는 문화선교에 주목하였다. 복음정신에 입각하여, 이 시대의 새로운 문화들에 대해 교회가 문화를 매개체로 하여 선교와 사목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화선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위해 본 연구는 총4장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에서는 문화의 개념과 근거, 문화와 복음의 상호 관계성을 고찰하였다. 문화는 인간이 삶을 영위하면서 산출되는 모든 것의 총제이며, 문화는 신앙이 실천되는 장소이며 영성이 꽃피우는 우리 삶의 자리이기에 그 연관성은 매우 깊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복음은 문화를 통하지 않고서는 전해질 수 없고, 문화는 복음의 빛으로 변혁되어야 하기에 그리스도인의 신앙이 실천되는 구체적인 자리인 문화는 복음화의 영역에 속해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복음은 문화라는 옷을 입고 나타나며, 이미 문화화되어 선포된 복음은 그것을 다시 받아들이는 사람들안에서, 그리고 그들에 의해 문화화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제 2장에서는 복음으로 문화를 복음화하기 전 단계로 선교의 개념과 새로운 복음화 모델로서 복음에 의한 문화화, 복음을 통한 문화화, 복음에 대한 문화화라는 세 가지 문화의 복음화에 모델에 대해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복음의 원천인 성경을 통해 선교의 근거와 선교의 모범이자 최초의 선교사이신 예수 그리스도, 이방인의 사도로서 문화선교의 모델인 바오로 사도의 선교활동을 살펴봄으로서 문화선교의 전체적인 의미와 근거를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선교 교령」과 교황 바오로 6세의 「현대의 복음 선교」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회의 선교 사명」이라는 문헌을 통해 교회 교도권의 선교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한국교회의 문화선교의 실태와 현황에 대해 먼저 직접적 측면에서 교회의 인식부족과 인프라 부족의 문제 등을 살펴보고, 간접적 측면으로 2011년 한국 천주교회 통계자료와 2011년 수원교구 통계자료를 통해 드러난 각종 지표들을 비교․분석하여 문화선교적인 현실과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세속화 현상, 교회의 중산층화와 소외 계층의 발생, 지배와 소유의 문화, 집단적 이기주의, 성직자의 권위주의 등은 드러난 한국교회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문화선교의 실천적 측면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회의 외적인 차원으로 먼저 교회문화 운동에 주목하였다. 평신도들이 주축이 되어 1968년 한국 평협이 결성되었고, 이후 ‘내 탓이오 운동’, ‘똑바로 운동’ 등을 주도하면서 세상에 교회문화를 알리는데 앞장 서왔다.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 이후 지금도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는 ‘바보의 나눔 운동’과 책 읽는 교회를 세상에 알린 ‘신심서적 읽기 운동은 각각 사랑과 나눔의 정신과 능동적인 도서선교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단순히 종교적 공간의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당 공간을 문화적으로 활용한 교회 내 여러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더불어, 교회 장례문화를 통해 성당을 삶과 죽음이 함께 공존하는 연대적 전례공간으로 만들어 교회가 새로운 추모문화를 만들어가는 시대적 요청을 받고 있음도 주목해야 한다. 한편 평생 교육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교회 내 사도직 활동과 영성생활 등을 위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가톨릭센터의 사례는 성당 공간의 활용이라는 측면과 더불어 신자 재교육과 가톨릭문화 함양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 실시되고 있는 성지 순례의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성지가 가지고 있는 거룩한 장소라는 개념이외에도 문화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성지를 발굴 개발하려는 성지 확장의 추세를 살펴볼수 있었다. 성지는 거룩한 영역으로서 신자들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유산의 의미로 인식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보화시대인 오늘날 문화선교에 있어서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교회는 신앙과 삶에 총체적 도전을 가하는 미디어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만 한다. 그러나 연구조사 사례에서 드러나듯이 상당수의 신학생들과 사제들은 대학교 내 미디 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때문에 미디어 교육과정이 신학교 양성과정 안에서 도입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구와 미디어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교회 내적 차원에서는 문화선교적 관점으로 양성해야함을 선교 의식 함양을 위한 사제 양성, 쇄신, 개방된 마음과 폭넓은 협력정신의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문화란 삶의 뜻을 추구한 것이요, 그 삶의 뜻을 주는 것은 복음이다. 그러하기에 문화의 실체는 복음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복음이 선포되고 가르치는 내용은 세기를 통하여 계속되는 그리스도인들의 생생한 경험으로 더욱 풍요해지는 것이므로 만민선교를 위한 사람들의 회심과 복음화를 위해서 언제나 새로운 것이다. 시대의 징표로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환경에서 문화와 복음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하느님 나라 건설에 있어서 인류의 모든 문화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복음과 복음 선교가 어떠한 문화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해서 모든 문화와 융합할 수 없다는 말은 아니다. 오히려 예속되지 않으면서, 그 속에 침투 작용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문화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하느님의 기쁜 소식인 복음을 전하는 문화 선교적 자세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며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세상에 복음을 선포하는 가톨릭 신앙의 고유성을 잃지 않으면서 세상의 문화를 바라보는 사랑의 대화를 통해 문화선교를 이룰 수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만 할 것이다.

      • 대학 스포츠 동아리 참여와 재미요인 및 신체적 자기개념의 관계

        박성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ports club participants Physical self description and enjoyment facto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ome test were operated. First, participation level followed by University sports club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 were operat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s the result, men than women, higher grades than lower grades, physical Education students than other part of Education students, and participation group of group event than participation group of an individual event had higher participation level. Seco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 followed by University sports club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 t-test and one-way ANOVA was operated. As the result, higher the enjoyment factor, the low rank factors such as perceived competence, team chemistry, victory and competition, practice and its' benefit and support from parents appeared to get higher rate. Third, to examine differences of physical self description followed by University sports club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 t-test and one-way ANOVA was operated. Its' result was that higher the participation period, low rank factors of physical self description such as sports competence, endurance, through out the body, appearance,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appeared to get higher rate. Fourth, to examine the effects of enjoyment factors to physical self descrip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operated. It came out that enjoyment factors measurement variable which is perceived competence,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low rank factors of physical self description. On the whole, students with higher participation rate in University sports club, participate in group events than individual events, and students that have joined a group with more than 50 members had higher rate in the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this gave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self description. Analysing differences of enjoyment factors and physical self description followed by sport club participants participation rate at the same time throughout this study, made it able to expand the understanding towards experiences realized by University sports club. However, in the succeeding study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University students enjoyment factors effect physical self description with more various factors.

      •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연구

        한은성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the quality of classes, college welfare and administration services vary according to the variables (gender, school year, major), and therefore to provide useful data for college manage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00 students, who are sophomore or junior of four-year college located in Kyung-In province. Credibility of this survey turned out to be quite high. (Cronbach ∝ .83). The results of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vealed that college-life satisfaction on the whole does not vary as gender, school year, major or the reason of college choice. Second, the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class does not vary as gender and school year, but showed quit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hen analyzed with the variables such as major and the reason of college choice. Third,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nistration and welfare service, it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when analyzed with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school year, but there is a crucial difference with the variables such as major and the reason of college choic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is a major decisive factor of college competitiveness and a main issue that college need to put the priority over any other policy goals. College education improvement provide satisfaction with the students and, furthermore, is a main mission of college as a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can be made by students themselves out of their own activeness. It is not that college provide the satisfaction with students. Basically closer attention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staffs and improvement of professors' research environment are needed to improve college education level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lleg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for students to effort themselves for the college education improvement. In conclusion, all the members need to work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collge education.

      • 敎師의 士氣昻揚에 관한 實證的 硏究 : 京畿道 水原市, 安養市의 中等 敎師를 中心으로

        이재교 水原大學校 行政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8607

        1.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mmed up in the three items : (1) to identify the factors causing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low morale, (2) to examine the major problems relating to the teachers' low morale (3) to contrive the ideas of raising the teachers' morale and increasing the efficency of performance of their duties. 2. Procedures To find out the factors causing the teachers' low morale, the writer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it. The factors affecting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morale are generally known as follows : (1) types of leadership (2) salary (3) promotion (4) job security (5) human relations (6) working conditions (7) welfare and fringe-benefit (8) social status (9) teaching load and counseling (10) location of school. To meet with the purpose if this research, a form of opinionnaire called KTO (Korean Teacher Opinionnaire) developed by Korean Federation of Educational Associations was used. Out of 100 items of Original KTO, 37 items were selected and slightly modified. The total of 460 teachers from two cities and two counties in Kyong-ki Province was randomly chosen. Out of 460 respondents, 384 were found to be available. Selected materials were tested by five variables : (1) sex (2) region (3) age (4) rank (5) educational background (whther they graduated from the teachers' college or not)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were dealt with by chi square technique,the value of which is considered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3.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Women teachers and the teachers working in the outskirts think of the location of school as one of the factors causing the teachers' low morale. In the area of salary, the male teachers, the younger teachers, the lower ranking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didn't graduate from the teachers' college consider it as one of the causes of low morale. In terms of promotion, the male teachers, the teachers working in the cities, the older teachers, the higher ranking teachers consider promotion as one factor causing teachers' low morale. As for the teaching load and extra-curricular work, the teachers working in the countrysides, the older teachers, the higher ranking teachers,and the teachers who got qualifications through a cetificate examination think that these are one factor of their low morale. As for social status, the teachers working in the cities, the lower ranking teachers, and the teachers from the teachers' college consider social status as a factor of their low morale. Finally, the teachers working in the cities, the yonger teachers, the teachers from the teachers' college, and the lower ranking teachers regard the management types of educational bureaucrats (or administrators) as a factor causing low morale.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es, some ideas of boosting the teachers' morale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 Firstly, the level of the teachers' salary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employees of business companies and even lower than that of government officials. Consequently, independent salary system must be established in a spirit of a favorable treatment of the teachers. Secondly, the problem of promotion system lies in narrow changes of winning promotion. This could be solved by building more small-scale schools, and by devising proper measures to favor older low ranking teachers. Thirdly, because school is different from other government offices, advice, consultation, cooperation and service will be more desirable than order. So school managers' democratic management of shcools will help boost the teachers' morale. Fourthly, the working conditions are very poor and extra work is too many. When these conditions improve, the teachers' abilities could be shown to the greatest extent and the future of education, or the future of the nation will be more promising.

      • 實業界高校와 專門大學의 連繫敎育 改善 方案 硏究

        나승찬 水原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Articulation education between technical high schools and 3-year colleges was launched as the Educational Reformation Committee proposed a plan to strengthen vocational education as a part of the 2^(nd) Educational Reform Plans on the 9^(th) of February 1996. Articulation education between technical high schools and 3-year colleges, which are representativ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was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has been continued until now.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basic contents of the Educational Reform Plans and to examine whether the plans would activate articulation education system by improving it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articulation education. The contents of research to attain the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articulation education and its current state, and examined articulation education system in the U.S.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articulation education and analyzed the causes of the problem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problems, this study looked for plans to activate articulation education.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literature analysis materials on the current operation of articulation education. Thus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s such as reports from articulation education model schools,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articulation education fro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ses from specialists' previous researches, publications on the Educational Reform Plans from the Educational Reformation Committee, government document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laws and regulations in operation related to artic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main problems in articulation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deviating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ubstanti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by developing students' vocational abilities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talents, articulation education turned into a means for 3-year colleges to recruit students and the method of articulation was limited to the organization of special classes. Second, articulation between technical high schools and 3-year colleges was perfunctory. That is, there was no actual connec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pecial classes, sharing of facilities, etc. Third, it was found that although it is important to restructure the educational curriculums of technical high schools in accordance with students' level and abilities so that basic vocational education is carried out substantially in high school as the elementary stage of articulation education between technical high schools and 3-year colleges,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had been concentrated on 3-year colleges and technical high schools failed to play a leading role.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this study looked for plans to improve articulation education and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articulation education announced by the Educational Reformation Committee. First, the basic direction of articulation education should be switched from supplier-centered to consumer (learner)-centered. Second, the goals of articulation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in the direction that learners' right to learn is practically guaranteed. If articulation programs are limited to specific major subjects it is hard to expect the effect of articulation education. Thus it is required to link basic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nd language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vocational abilities. Third, as for the methods of articulation education, the autonomy of involved institutions should be guaranteed and the operational methods of articulation need to be diversified. For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technical high schools should be fully autonomous in operating educational curriculums and select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by applying the autonomous school system or adding special provisions to the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Act and, based on this, that current articulation education support concentrated on 3-year colleges should be directed to technical high schools. In addition, as it costs a huge amount of money to reorganize existing educational curriculums and to restructure the operation of schools, the government's support for articulation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in the dimens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individual schools must make the best efforts to utilize local resourc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macroscopic direction for the future of articulation educ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and the original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articulation education.

      • 大學 캠퍼스 綜合配置計劃에 關한 硏究

        신형석 水原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7

        대학인구의 증가와 교육과정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학과의 증설 등과 같은 변화로 인해 기존대학은 규모를 확대하고 시설을 보강했으며, 많은 대학들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대학 캠퍼스계획은 사회 어느 부문보다도 급격한 속도로 변화되는 대학캠퍼스의 성장과 변화에 임기응변식의 단기적인 대처와 논리적 분석이 결여된 계획기준의 획일적인 적용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로 캠퍼스의 바람직한 활동의 발생을 저해시킴은 물론 대학본래의 기능마저 저해시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캠퍼스계획의 보다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건축적 해석이 시작되는 스페이스 프로그램과 전체적 골격을 형성하는 기본계획 즉 토지이용계획, 동선계획, 배치계획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특성과 대학시설의 조직 및 캠퍼스의 성장과 발전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캠퍼스계획의 성격과 유형 및 캠퍼스 마스타플랜의 내용과 구성요소에 대해 고찰하고, 셋째, 국내 캠퍼스계획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소요공간 추정계획, 시설배치계획, 동선계획 및 외부공간계획에서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넷째, 앞의 분석내용을 토대로 하여 각 항목별로 캠퍼스 종합배치계획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원칙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는 대학 캠퍼스계획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방법을 제시함으로 단지계획 즉, 건물의 배치계획이나 옥외공간의 계획에 대한 해결방안의 모색에 많은 도움을 주며, 앞으로 신설될 대학 캠퍼스의 배치계획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은 물론 기존 대학 캠퍼스의 성장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The existing universities enlarged the scope, filled up the facilities. And many new universities are founded by increase of university students, the change of curriculum and extension of installations for new curriculum. However, the planning for university campus hinders desirable activities in campus and also the origin function of university, because of the problems caused by an application of a uniform planning standard that lacks in logical analysis and such a short step as the occasion demands for the growth and the change of the university campus changing more rapidly than any other field in society. This dissertation is for space program beginning from architectural explanation and basic planning concluding a general structure - planning for land utility, circulation planning, and building layout planning in order to find the practical solution for the applicable campus plan. The contents of this dissertation is summarized below. First,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facilities and the expansi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ampus. Second, I studied the personalities of campus planning as well as the contents and factors of the campus master plan. Third, through the case study of domestic campus planning,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about space programming, facility layout planning, circulation planning and exterior space planning. Fourth, I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es, I set up the directions of comprehensive campus master plan and suggest the principles according to that direction. This study will help a lot to grope the solutions for site planning, the building layout planning or open space planning, and will not only furnish basic data about site planning of the new university campus that will be built in the future, but be reference documents that cope with the growth and the change of the existing university cam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