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관광객이 지각한 제주 게스트하우스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

        선정호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전을 통해 관광산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어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여행객들에게 여행지의 정보와 상황을 정확히 알려주며 SNS를 통해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을 통하여 신뢰성과 만족도의 정보를 여행 전에 알 수 있다. 코로나로 인해 국내관광객이 가장 선호하는 여행지이며 이용률이 높은 제주도의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관광객이 지각한 제주 게스트하우스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적 감정이 매개변수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최근 1년 이내 제주소재 게스트하우스 이용경험이 있는 관광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미 회수된 69부를 제외하고 회수된 331부의 설문지만 조사에 활용하였다. 2020년 2월1일부터 2021년 3월31일까지 두 달간 조사를 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인구통계변수 측정을 위해 명목척도와 비율척도를 활용하였다. 제주 게스트하우스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 긍정적 감정, 재방문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표본의 일반적 특성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관광객이 지각한 제주 게스트하우스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 는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관광객이 지각한 제주 게스트하우스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관광객이 지각한 제주 게스트하우스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서 긍정적 감정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관광객이 지각한 제주 게스트하우스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다양한 투어 및 체험프로그램, 조식 및 저녁식사, 게스트하우스의 외관이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직원의 서비스는 완전매개변수로 긍정적 감정이 매개변수 로 역할을 할 때 직원의 서비스의 만족도는 긍정적 감정을 통해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게스트하우스는 호텔과 달리 체험 또는 경험에 대한 기대감이 높으며 만족도에 따라 긍정적 감정을 가지게 하고 재방문의도에도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관광객이 이용하는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국내 게스트하우스 재방문율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방문 동기, 관광지 선택속성, 만족도 차이 : 제주도 관광객을 중심으로

        윤보영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tourism is increasingly seen as a significant role with the growth in household income, the need to enjoy leisure lifestyle and the tendenc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the demands of experienced traveler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distinctive. On this account, they want to have an exceptional service to meet their own customized needs compared to the past. Jeju Island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tourist attractions among travelers. In order to become more attractive tourist destination, specific and specialized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to satisfy the growing needs of tourists.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lifestyle type affects visitor’s motivatio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nd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on marketing strategies to boost Jeju island’s tourism bus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segment the lifestyle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 items. To this end, the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directly to visitors returning from their trip at Jeju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each. Also, hypotheses were verified by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u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First,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three clusters. In terms of a sort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 classified it into three cluster using K-means clustering analysis. Each clus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uris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and we could obtain the conclusion that each cluster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its life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Out of the total 239,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110 members, the second group of 56 members, and the third group of 73 members. Cluster 1 is moderate in change and trend, and family-centered tendencies are neither very active nor passive, and this moderate group get along well with any groups, and those who are unmarried tend to be seen more than married in any group. Cluster 2 is an active group in every aspect, with its most active change, trend, sociality and very loyal to the family. Both the unmarried and the married are occupying Cluster 2 in similar numbers. Cluster 3 is a passive family-centered group that shows a passive and closed tendency in change, socialization, and pursuit of fashion, but considers family members important, and is more likely to be married than unmarried who care about their families. Among these three clusters, the active group had the largest figures of all factor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study, market segmentation according to lifestyle is a variable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and attitudes of tourists in their decisions and behavi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Jeju island tourists into subdivided clusters based on their lifestyle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ourism motivatio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 satisfaction by subdivided clusters. The subdivided markets by lifestyle were verified by the reasonable result obtained in attemp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nd they are evidently characterized by figuring out the differences in visitor's motivatio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and the respective lifestyle of the subdivided markets. In addition, using these categorized touris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promotional strategies and to ensure it remaions desirable and competitive as a destination to drive demand for travel into Jeju island.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발전과 국민 소득향상으로 휴양 및 관광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관광객들의 다양한 여행경험으로 기호가 다양해지고 까다로워짐에 따라 본인 취향에 맞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받길 원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의 변천과정에서 제주도는 여행객들 사이에서 여전히 손꼽히는 국내 인기 관광지이다. 이러한 인기에 부합해 증가하는 관광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관광지로 자리 잡기 위해선 관광지로써 좀 더 많은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방문 동기, 관광지 선택속성, 만족도 살펴보고, 결과 분석을 토대로 제주도 관광시장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해 라이프스타일을 세분화하였고, 측정항목 간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 여행을 마치고 귀가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에서 설문지를 직접 배부하였다. 이에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일원 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을 추출하였고,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3개의 군집 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비계층적 군집분석인 K-means 군집분석을 이용해 3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집단은 방문 동기, 관광지 선택속성, 만족도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군집의 라이프스타일 성향에 따라 각각의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239명 중 1군집은 110명, 2군집은 56명, 3군집은 73명으로 구성되었다. 군집 1은 변화와 유행 추구에 중도적이며, 가족 중심적 성향도 아주 적극적이거나 수동적이지 않은 집단으로 어느 집단에서나 잘 어울리는 중도형 집단으로 기혼보다는 미혼에서 더 많은 성향을 나타나고 있다. 군집 2는 변화, 유행뿐만 아니라 사교성도 가장 적극적이고 가족에게도 매우 충실하여 모든 면에서 능동적인 집단으로 기혼, 미혼에서 균등한 성향을 나타나고 있다. 군집 3은 변화, 사교 그리고 유행 추구 등에서는 수동적이고 폐쇄적 성향을 보이지만 가족만큼은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극적 가족중심형 집단으로 미혼보다는 가족을 생각하는 기혼이 많은 성향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3군집 중 적극형 집단이 모든 요인에서 가장 큰 수치를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 세분화에 대한 관광객의 결정 및 행동에서 관광객의 심리와 태도를 알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변수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타일을 기반으로 제주도 관광객을 군집분석을 통해 세분화된 군집으로 분류하고, 세분화된 군집별로 방문 동기, 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도한 검증에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화된 시장이 도출되었고 이에 따른 방문 동기, 관광지 선택속성,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세분시장별 중요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함으로써 세분화된 시장의 특징이 좀더 명료해졌다는 점도 본 연구의 성과라 하겠다. 아울러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다 다차원적으로 입체화된 관광객의 특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광객들에게 보다 매력적인 관광지로 자리 잡기 위한 관광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와인관여도가 와인관광객의 방문동기, 와인관광지 평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갑수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Impacts of wine involvement on wine tourists motives, winery evaluation and satisfaction Kab-Soo, Jung Department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Tourism Sejong University Modern people’s tourism experiences are getting various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and leisure time. Overcoming the passive tourism which is about simply viewing tourist spots in the past, it has been changed to the active tourism which is about learning, experiencing and participating in special activities from the tourist attraction. In such situation, the demands of the tourist products which provide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through tourism that overcomes the meaning of simple leisure are largely increased. As the social interest in ‘wine’ is highly increased owing to the desire for health with the current trend of ‘well-being’, there is not only simple drinking and sampling, but also studies combined with various areas. In tourism and leisure areas, products related to wine are released. In order to consider and apply such current situation and satisfy modern people’s various desires, this study focu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IT (Special Interest Tourism) which was expected to be more revitalized and presenting suggestions and market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wine tourism as one area of SIT. Owing to its economic usefulness and the ripple effect, the wine tourism has been a subject of studies and continuous activities focusing on foreign wineries. Even though tourism activities and studies linked to wine educational institutes and school institutes can be seen domestically due to such interest in wine, most of them are mainly the contents about studies and proposals through foreign cases. Among domestic representative wineries, Gyeongbuk Yeongcheon, Daebu-do and Chungbuk Yeongdong, this study analyzed the tourists of Chateau Mani in Chungbuk Yeongdong which had active activities like the wine train linked to KoRail. Even though the concept of the involvement level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reas and treated importantly in marketing area for a long time, there are not many studies by using domestic involvement and wine as a variable.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impact of the level of wine involvement on tourism motives, selection attribut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marketing suggestions by looking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direction for domestic wine tour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wine involvement on tourists’ motives, evalua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tourists who completed the tour from Chateau Mani. Collecting 285 questionnaires (95%) from total 300, total 281 questionnaires (93.6%) were used for this study after excluding four insincere responses. In order to verify the study these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 middle and high) in accordance with tourists’ level of wine involvement, which were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analysis. In the results of theses verification,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motives and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wine involvement. When the level of wine involvement was high, there was positive impact on absorbance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theoretical and marketing discussions in relation with the level of wine involvement were conducted Keywords: SIT(Special Interest Tourism), involvement, tourism motives, selection attribute, satisfaction 국문초록 와인관여도가 와인관광객의 방문동기, 와인관광지 평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 갑 수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호텔경영학과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인한 현대인들의 여행 경험이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의 단순한 관광지를 주유 관람하는 정적관광에 그치지 않고, 관광지에서의 특별활동에 참가하고 경험하고, 배우는 것을 중시하는 동적관광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단순한 여가의 의미에서의 여행이 아닌, 여행을 통한 자기발전과 자기실현을 할 수 있는 관광상품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웰빙’ 바람과 함께 건강에 대한 욕구로 인한 ‘와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크게 증가되어 단순한 음용과 시음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어 연구 되고 있다. 관광 및 레저 분야에서도 역시 와인과 연계된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 상황을 고려하고 반영함과 동시에 추후 현대인들의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특수목적관광(SIT)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그 분야중 하나인 와인관광에 대한 마케팅 전략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와인관광은 이미 경제적 효용과 파급 효과로 인하여, 해외 와인 생산지를 중심으로 꾸준한 활동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와인에 대한 관심으로 인한 와인교육기관과 학교기관 연계를 통한 연구 및 관광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해외사례를 통한 연구 및 제언들에 관한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와인생산지 경북영천, 대부도, 충북영동 중 이미 코레일과 연계하여 와인기차등 활발한 활동을하고 있는 충북영동의 샤토마니 방문객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또한, 관여수준의 개념이 오래도록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마케팅 분야에서 중요시 제시되어 왔음에도 국내의 관여도와 와인을 변수로 이용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와인에 대한 관여수준이 관광동기및, 선택속성, 만족도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 인해 향후 국내 와인관광에 효과적인 발전방향을 강구하고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와인관여도에 따른 관광자들의 동기 및 평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샤토마니 와인관광자들중 투어를 완료한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가 배포되어 285부(95.0%)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답변이 불성실한 응답 4부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 총 281부(93.6%)를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관광객들의 와인관여수준에 따라 세 그룹(저,중,고)으로 분류 하였고, 이후 분석에서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가설검증결과, 와인관여 수준에 따라 동기 및 만족도 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와인관여수준이 높을수록 몰입 및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해서 와인관여수준과 관련된 여러 이론적 . 마케팅적 논의를 진행 하였다. Keywords: SIT(Special Interest Tourism), 관여도, 관광동기, 속성, 만족도

      • 국내 관광객이 지각한 한·일 관계갈등이 일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일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조절효과

        정유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number of domestic tourists visiting Japan has surged in the last five years, but in 2019, a full-fledged boycott of Japan began as political tens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tensified. As this has further revealed negative feelings about Japan, the number of domestic tourists visiting Japan has decreased dramatically, and the tourism and aviation industries involved have also been hit har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erception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affects the way domestic tourists are visiting Japan, and further examines how negative feelings about Japan play an effect. Since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intention of domestic tourists to visit Japan is very inadequat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an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intention of visiting Japan based on negative feelings about Japan by domestic tourists,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used as a resource for the recovery of tourism in the tourism industry. In order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domestic tourists, and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hus, the entire 300-part questionnaire was utilized in this study, it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regulatory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domestic tourists to visit Japan. This means that the more domestic tourists perceive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e lower their intention to visit Japan. Second, negative feelings about Japan failed to play a role as a regulatory variable in the perception of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and its effect on the intention of domestic tourists to visit Japan. In other words, the negative sentiment toward Japan is that it serv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of visiting Japan, not as a regulatory variable, in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rok-Japan relations conflict to the intention of domestic tourists to visit Japa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e must find realistic alternatives because the rok-Japan relationship and the negative feelings toward Japan do not help much with the intention of visiting Japan. Measures should be made to prevent Japan's destruction of the white state designation to South Korea,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political conflict, and various media should not disparage Japan or provoke negative sentiment. Of course, political conflicts will not be resolved immediately, but officials in the tourism industry will have to create a variety of imagery and convey them to potential customers. The modern tourism industry is called the chimney-free golden industry, but at the same time it is at the crossroads of many times of uncertainty.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believe that studies that suggest a broader range of implications will be needed. 최근 5년간 일본을 방문하는 국내 관광객 수는 매우 급증하였으나, 2019년 한국과 일본의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면서 본격적인 일본 불매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로 인한 일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더욱 드러나면서 일본을 방문하는 국내 관광객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었고, 이에 따라 관련된 관광업계 및 항공업계 역시 큰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일 관계 갈등 지각이 일본 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일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어떠한 조절효과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일 관계 갈등 지각에 대한 국내 관광객의 일본 방문 의도와 관련 된 선행 연구가 매우 미흡하기에, 본 연구가 국내 관광객의 일본에 대한 부정적 감정에 따른 일본 방문 의도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공되길 바라며 동시에 관광 산업의 관광 회복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고자 국내 관광객을 대상으로부터 2020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였고 전체 300부의 설문 자료가 본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증 분석을 위해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또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조절회귀분석을 분석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관계 갈등 지각은 국내 관광객의 일본 방문 의도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국내 관광객이 한·일 관계 갈등을 지각할수록 일본을 방문 할 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한·일 관계 갈등 지각과 국내 관광객의 일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서 일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조절 변수로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즉 일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한·일 관계 갈등 지각이 국내 관광객의 일본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 변수로서의 역할이 아닌 일본 방문 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일 관계와 일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일본을 방문하는 의도에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 정치적 갈등의 시발점인 일본의 한국에 대한 백색 국가 지정 파기를 막기 위한 대책을 만들어야 하고, 다양한 매체들은 일본을 너무 폄하하거나 부정적 감정을 자극 시켜서는 안될 것이다. 물론 정치적 갈등 해소가 바로 이루어지지는 않겠지만, 관광산업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은 다양한 관광 동기 이미지를 만들어서 잠재 고객들에게 전달해야 할 것이다. 현대 관광 산업은 굴뚝 없는 황금 산업이라 불리지만 동시에 수많은 불확실성 시대의 기로에 놓여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광범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 코로나19 환경에서 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영석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is study,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COVID-19 pandemic is widespread, which attribute factors are important and satisfied tourists in selecting tourist destinations by identifying the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to which new attribute factors related to quarantine are added. This is a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overall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tourism industry stakeholders to establish tourism policies and marketing strategies in “COVID-19 Daily Life” by identifying how the travel involvement affects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he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tourism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ith domestic travel experience after the spread of the COVID-19 epidemic in Korea, and 244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obtained. For the collected data, the paired sample t-tes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s a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were derived from five factors: quarantine level, tourism experience, access convenienc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upport facilities. Also, tourism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travel involvement were identified as single factors respectively through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hat the quarantine level factor among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is that tourists'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quarantine due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have been factorized into a new variable for selecting tourist destinations. The impact of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n overall tourism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in order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ccess convenience, quarantine level, and tourism experience, while support facilities had no significant impact. In addition, overall tourism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involvement between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tourism satisfaction is that the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ravel involvement is positively (+) effective, and the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support facilities and travel involvement is negatively (-) effective. These research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ourism policies and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survival that enable stakeholders in the tourism industry, which are suffering from the spread of COVID-19, to actively respond to the prolonged the age of epidemic disease.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염병이 유행하는 환경에서 방역과 관련된 새로운 속성요인이 추가된 관광지 선택속성을 파악함으로써 관광객이 관광지 선택에 있어 어떠한 속성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만족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전반적인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전반적인 만족도가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와 같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더불어, 여행관여도 조절변수가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도 사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여 관광산업의 이해관계자들이 ‘코로나19 일상’ 에서의 관광정책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설문도구를 개발했으며 코로나19 전염병 국내 확산 이후 국내여행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244부의 유효표본을 획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지 선택속성은 방역수준, 관광체험, 접근편의, 지역특성, 지원시설의 5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관광만족도, 행동의도, 여행관여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각각 단일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관광지 선택속성 중 방역수준 요인은 코로나19 라는 전염병의 확산으로 관광객의 방역에 대한 관심과 만족이 관광지를 선택하는 새로운 변수들로 요인화되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관광지 선택속성이 전반적인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지역특성, 접근편의, 방역수준, 관광체험 순으로 관광만족도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원시설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관광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도 사이에서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선택속성 중 지역특성과 여행관여도 간 상호작용 변수가 정(+)적으로, 지원시설과 여행관여도 간 상호작용 변수는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광산업의 이해관계자들이 장기화된 코로나19 유행 상황 속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광정책을 수립하고 생존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방한 일본인 관광객이 지각한 국가이미지, 자아이미지, 한류문화 관여도가 관광 태도 및 관광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관광을 중심으로

        최주상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 초록 방한 일본인 관광객이 지각한 국가이미지, 자아이미지, 한류문화 관여도가 관광 태도 및 관광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관광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레저스포츠경영학과 리조트개발전공 최 주 상 1990년대 중반부터 이슈가 되어 온 한류문화를 통해 증대된 한국에 대한 관심이, 2007년부터 최근까지 지속된 엔고현상등 경제적 상황과 아시아권 신흥국의 경제성장에 힘입어 한국방문 여행객의 지속적인 증가가 이루어졌다. 2012년 기준으로 1,114만명의 외래객이 한국을 방문하였는데, 한국관광공사에서 발간한 2011년 방한관광시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329만명), 중국(222만명), 미국(66만명)의 순이었다. 사회적 발전에 따라 관광자의 니즈는 다양해졌고 사회․ 경제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를 반영한 의료관광과 미용관광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 상황을 고려하고 반영함과 동시에 향후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의 미용관광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하여 미용관광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그에 대한 마케팅 전략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미용관광산업은 이미 경제적 효용과 그 파급효과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꾸준한 활동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세계적인 미용 및 의료(성형) 기술수준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연구 및 마케팅적 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며, 관련 서적이나 자료 또한 해외자료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방한 외래 관광객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용관광을 의사면허의 필요성 유무에 따라 관리형 미용관광과 의료형 미용관광으로 분리하여 소비자행동의 이론인 태도와 행동의도가 방한 일본인 관광객이 지각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자아이미지, 한류문화 관여도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함으로 인해 향후 국내 미용관광시장에 효과적인 발전방향을 강구하고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을 방문해 관광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 및 김포공항을 통해 일본으로 돌아가는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23부가 배포되어 223부(100%)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의 성실성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 총 223부(100%)를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가이미지, 자아이미지, 한류문화 관여도를 요인분석하여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가설검증결과, 국가이미지, 자아이미지, 한류문화 관여도가 미용관광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관광 태도와 미용관광 행동의도사이에 강력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해서 미용관광 태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여러 이론적, 마케팅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 소득과 환율변동이 방한 일본인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안소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 고 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대표되는 관광산업은 한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가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 산업으로서 고용기회 확대, 세수증대, 외화획득의 용이함 등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의 확충, 외국과의 문화교류 등으로 국민생활 전반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현재의 관광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환경변화와 함께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국마다 관광객 수요 증대를 위한 정책 및 방안을 세우는 등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래 관광수요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시대적 흐름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며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방한 일본인 관광객 수요변화예측은 일본인 관광객이 국내 방한 관광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수요확대를 전망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인 관광객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수요예측은 향후 바람직한 한·일 관광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방한 일본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①원/엔화의 연도별 환율, ②연도별 1인당 실질 GDP, ③원/엔화의 분기별 환율, ④분기별 1인당 실질 GDP 변수를 이용하여 방한일본인 관광객 수요를 예측하고 있다. Eviews 5.0을 통한 분석에서 우선 불안정한 시계열의 회귀분석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성적 회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위근 검정인 ADF검정을 하였는데 단위근을 갖는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여 모든 시계열 변수가 불안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시계열변수들을 1차 차분하고 단위근 검정을 해본 결과 귀무가설을 기각하여 단위근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변수들간의 장기적 균형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Johansen의 공적분 검정법을 사용하여 검정한 결과 수준변수들 간에 서로 공적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준변수들 모두 차수가 같은 공통의 1차 적분관계에 있기 때문에 수준변수들로 구성된 방정식을 도출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연도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엔화 환율과 GDP의 증감이 방한 일본인 관광객 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연도별 데이터의 경우 1인당 실질 GDP가 1%변화할 때 방한일본인관광객수가 0.311%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기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엔화 환율이 방한 일본인 관광객수에 미치는 영향은 원/엔화 환율이 1%증가 할 때 일본인의 한국으로의 관광은 0.405%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분기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1인당 실질 GDP증감이 방한 일본인 관광객수에 미치는 영향은 1인당 실질 GDP의 1% 상승은 방한 일본인 관광객 수의 2.211%의 상승을 나타내주고 있다. 넷째, 본 연구결과에서 방한 일본인 관광객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환율의 보다는 1인당 실질 GDP의 요인의 탄력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일괄적인 관광계획이나 정책의 수립은 지양하고 각 요인에 따른 세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원/엔화 환율과 1인당 실질GDP는 수치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대상이 아니라 타 산업 정책과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외생요인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원/엔화 환율의 변동과 GDP의 변화에 주목하고 원/엔화와 1인당 실질GDP의 상승과 하락에 따른 한국관광시장의 일본관광시장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주시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quarterly data and yearly data of the number of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GDP per person real adjusted for each season, and exchange rate of Yen against Korean won currency from 1980 to 2008 to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demand of Japanese tourists to visit Korea with respect to income and change of exchange rate as well as estimating the elasticity to forecast the demand of Japanese tourists following the change of exchange rate and modification of GDP.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verification on the unit for variables prior to the regression analysis used ADF (Augmented Dickey-Fuller) verification method, and the verification of co-integration used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reduction of demand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in 2003 was attributed from the other external factors in SARS rather than the correlation of GDP or exchange rate that the result figure in 2003 was processed as the dummy variabl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increase of income in the annual data influenced on the tourism demand, but the change of exchange rate of Yen against Won currency was shown to have weak correlation with the tourism demand, and when analyzing the data for each quarter, the change of income and the change of exchange rate displayed the influence on the demand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In particular, when 1% of Won/Yen exchange rate in the analysis of data for each quarter, the number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increased 0.045%, and when actual GDP per each Japanese increased 1%, the number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increased 2.211%. In this result of research, the influence on the demand of tourism for Japanese was higher with respect to the elasticity of factors for actual GDP per person, rather than the exchange rate. The exchange rate of Won/Yen and income are not the subject to manage quantitatively but have strong external nature that needs to be considered together with other industrial policies that it needs to make continuous attention and response to minimize the impact to the tourism market following the change of exchange rate and income.ㅃ

      • 대학원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생만족, 행동의도와의 관계 : 서울 소재 관광관련학과 대학원 학생 대상

        이은주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Service Quality, Studen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ing on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in Seoul Province Lee, Eun-ju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Thesis Director: Prof. Kim, Seong-hyeok With the coming of the 21st century, the tourist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thus, there need to be elites who can lead the tourist industry and subsequently the concern for its related educational field as the foundation is on an upward tre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the weight &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also offer the information useful for setting up developmental directivity of more effective tourism education by analyzing what influence has on studen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the educational factor, administrative factor and relational directivity between a professor and student of the special graduate school related to touris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ll component factors i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tuden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fluential relations of behavioral intention. This proves the importance of student satisfaction in school unit.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the tourism-related graduate students, there existed a difference in student-perceiv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urth, the component factors i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were found not to have a big influence on students' general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service. It explains that students' satisfaction is low on the whole. Fifth,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re exis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consequent on students'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four responses, such as movement, disregard, defiance, and faithfulness according to students'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a significant influence of behavioral intention on satisfaction. As mentioned above, students' satisfaction is low in comparison with the student-perceived importance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there exist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so school authorities have to make efforts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thus, conclusively, if the highly-perceived items in their general importance should be more revital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there will come out the result of much higher satisfaction.

      • 관광 목적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의 관광 정보 탐색 행동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파워를 조절변수로

        Li, Zhen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관광객의 관광 목적이 온라인 여행 포탈을 통한 관광 정보탐색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파워에 따른 관광 정보 탐색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 및 참고 문헌 등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체계를 갖추었다. 그리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c-trip과 Qunar사이트를 이용 해서 방한 관광 상품을 구매하는 중국인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 방식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2021년 01월 05일부터 02월 05일까지 한달간 실시하였으며, 총 348부의 유효표본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분석은 설문 조사를 통해 회수된 유효 표본을 가지고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학과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둘쨰, 관광 목적, 관광 정보 탐색, 재방문 의도, 심리적 파워 변수들에 대한 측정 모델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관광목적과 관광 정보 탐색의 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관광 정보탐색과 재방문 의도의 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분석하였고, 관광 정보 탐색과 재방문 의도 사이 심리적 파워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학 특성을 파악한 결과, 대학교를 졸업(56%)한 20~29세(32%) 여성(63%) 저소득(연 10만 위안)인구가 제일 많았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최근 3년간 온라인 여행포탈1~2개를 사용한 횟수는 1~3회, 사용한 시기는 3년 이상인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저렴한 가격으로 관광 상품 구입이 가능한 이유로는 온라인 여행 포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행 포탈에서 가장 많이 구매한 것은 이동 와이파이다. 단순한 관광 목적을 가지고 한국을 방문한 관광객 중에서 동반자는 가족(26%)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셋째, 신뢰도 분석결과는 Cronbach'a > 0.6 기준으로 관광 목적, 관광 정보 탐색, 재방문 의도, 심리적 파워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분석의 결과, 관광 목적은 일탈·휴식, 사교·한류소비, 지식 확대 체험, 단순 방문 등 4개의 요인으로 묶인다. 관광 정보 탐색은 여행지의 물리적 환경 정보 탐색, 사회·경제·문화·이벤트·쇼핑 정보 탐색, 여행지 정보 탐색, 여행 경비·일정 정보 탐색 4개의 요인로 묶인다. 재방문 의도는 한 가지 요인으로 축약되었고, 심리적 파워는 한가지 요인으로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가설1에 대한 검증 결과, 관광 목적이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 활동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목적의 하위 요인인 일탈·휴식, 사교·한류 소비, 지식확대체험 등 관광 정보 탐색의 모든 하위 요인이 관광 정보 탐색 활동에 대해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단순 방문 목적은 관광 정보 탐색에 대해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나탔다. 다섯째, 가설2에 대한 검증 결과, 중국인 관광객들의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중국인 관광객들의 온라인 여행 포탈을 이용한 관광 정보 탐색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파워가 순수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파워가 높을수록 관광 정보 탐색은 재방문 의도에 대한 정적 영향이 약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역량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영향 : 관광해설만족의 매개효과

        조남오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가 주5일제로 여가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현대인들은 늘어난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해 여러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그중 가장 큰 활동은 여행으로 여행의 비율은 급증하였다. 시간만 보내는 단순한 여가 보다는 개인의 발전을 위한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해 문화관광의 역할은 아주 크다. 시간이 지날수록 해외여행의 비율은 국내여행보다 많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국내여행의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 문화관광을 즐기기 위해서는 문화관광해설사가 큰 역할을 하고있다. 국가와 지자체로부터 지역의 곳곳에 문화관광해설사를 분포하고 교육하며 실천에 옮기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관광여행의 발전에 좋은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 국내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역량이 관광해설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라 해당 관광지에 관광객들의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역할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해설사의 해설역량들중 긍정적인 결과를 낳기 위해서는 어떠한 항목이 중요한지를 깨닫고 발전시키기 위해 개개인의 차원을 넘어 국가와 지자체들의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공되길 바라고 동시에 국내여행의 큰 발전이 이루어지길바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고자 1년이내 국내에서 문화관광해설을 들어본 국내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2020년 2월말부터 한달간 선물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지 330부를 배포하였다. 그리하여 307부의 설문지가 최종 본 연구에 활용되었고 실증분석을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또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분석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역량은 3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졌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역량은 관광해설만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역량은 재방문의도에 첫번째, 두번째 요인인 커뮤니케이션 및 자발적태도, 전문지식과 사명감 만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세번째 요인인 친절한태도는 비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역량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관광해설만족의 매개효과로는 두번째 분석결과 중 유의한 양(+)의 결과를 갖고 있는 변수들만 투입하였고 비유의적인 결과가 나와서 오직 해설만족을 통해서만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완전매개의 효과를 갖고 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해설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관광해설사는 관광객들에게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야하며, 자발적인 태도를 보여야한다. 또한 전문지식과 사명감을 갖고 해설할때에 만족도가 월등히 높았기 떄문에 끊임없이 연구하고 공부하여야한다. 국가와 지차체의 입장에서는 꾸준한 관리와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관광지중 비슷한 수의 관광해설사가 분포되어있는 지역을 뽑아 설문에 응하였기 때문에 지역적인 한계점이 있다. 조금더 넓은 지역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1년 안에 해설을 받은 관광객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지만 개개인의 지각의 정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을 것임으로 해설을 들은 기한을 세분화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있다. 이런 한계점들을 보완할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