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체주의 특성을 응용한 아트마스크 작품 연구 : 프랭크 게리 작품을 중심으로

        신나리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오늘날 사회는 문화가 다양화되고 개방성을 띄면서 비주류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예술분야의 전반에서 종래의 관습과 가치관을 초월한 전위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미술 분야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가장 대표적인 사조인 ‘해체주의(de-constructivism)’가 등장하였다. 해체주의는 기존의 것을 해체하고 탈구축하여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것으로써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철학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오늘날에는 문학, 예술, 건축, 패션, 미용 등의 전 분야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접목되어 새로운 디자인 재해석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메이크업 분야와 접목시켜 예술적 가치를 논하기에는 아쉬움이 있다. 현대의 메이크업은 단순한 미의 추구에서 벗어나 하나의 작품으로 가치를 지니고 작가의 사상과 당시의 사회 배경을 투영할 수 있는 독특한 디자인을 점차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체주의 대표 건축가인 프랭크 게리 건축물의 조형성을 활용하여 아트마스크를 제작함으로써 메이크업에 접목할 수 있는 분야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다양한 시도로 새로운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하며 그 영역을 확대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고찰과 선행 논문 분석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였고,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 해체주의 특성과 프랭크 게리 건축의 조형성을 살린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체주의 특성 중 디자인 개념에 적용 가능한 특성을 차연, 상호텍스트성, 불확정성, 탈현상 총 4가지로 분류하였으며, 해체주의가 미술, 패션, 건축이라는 수단을 통하여 대중들과 어떤 방법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여러 장르간의 융합을 통한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랭크 게리 작품 세계에 영향을 미친 성장 배경을 알아보고 그의 창조적 디자인 개념을 자연 그대로의 이미지 반영, 자유로운 형태 선호, 우연적인 형태 창출로 설명하였다. 또한, 작품적 특징을 모더니즘 계승 및 일탈 시기, 재료 물성 추구 시기, 형태언어 적립시기, 디지털 테크놀로지 적용 시기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개념과 시기별 특징을 토대로 그의 작품을 건축의 조형적 특성으로 분석하여 정형성이 가진 형태와 질서를 왜곡·붕괴시켜 유기적인 형태를 의미하는 비정형성, 의미의 혼합과 재구성 이질적 재료의 혼합으로 표현되는 중첩성, 무게중심 이탈, 방향성의 왜곡을 통한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탈중력성, 형태 변화 없이 크기를 축소, 확대하여 흐름을 유도하는 스케일의 변형, 우연의 창출, 자유로운 해석의 열린 사고를 지향하는 형태의 유희로 분류하였다. 셋째, 해체주의 특성을 응용한 아트마스크 작품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 Ⅰ은 우주의 이미지를 워터 마블링을 이용하여 나타냈으며, 우연적이고 유기적이며 비선형적인 형상으로 차연과 형태의 유희를 표현하였다. 작품 Ⅱ는 ‘데어 노이에 촐 호프’와 ‘네셔널 네덜란덴 빌딩’에서 영감을 얻어 홀로그램 종이의 구겨짐과 철판의 휘어짐을 통하여 비선형적인 움직임과 물성을 강조하고 구조적인 모습을 나타낸 작품으로 차연과 탈중력성을 표현하였다. 작품 Ⅲ은 색이 다른 3개 마스크의 단차와 서로 다른 굵기의 철사를 이용하여 상호텍스트성과 비정형성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마스크의 형태와 질서를 왜곡·붕괴시켜 유기적인 형태를 표현하였다. 작품 Ⅳ는 일그러트린 마스크에 조각낸 메탈을 이어 붙여 상호텍스트성과 탈중력성을 나타냈다. 불안정한 상태와 물결치듯 이어져 있는 조각으로 움직이는 듯 한 율동성을 느낄 수 있다. 작품 Ⅴ는 팔과 다리 등의 신체를 중첩시켜 이목구비를 나타낸 것으로 다의적인 해석을 의도하고 재료와 형태의 무한한 확장을 통하여 불확정성과 중첩성, 형태의 유희를 표현하였다. 작품 Ⅵ은 프랭크 게리 건축물에서 볼 수 있는 색채와 사각형을 발전시켜 ‘월트 디즈니 콘서트 홀’이 연상되도록 의도한 작품으로 불확정성과 중첩성, 스케일의 변형을 표현하였다. 작품 Ⅶ은 주변에서 쉽고 값싸게 구할 수 있으나 오브제로 잘 사용하지 않는 나무껍질을 주재료로 하여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 작품으로 탈현상과 스케일의 변형을 표현하였다. 작품 Ⅷ은 비비드한 컬러의 핫피스와 반짝이를 사용하여 해골의 정형적인 이미지를 해체한 것으로 구성방식의 파괴를 보여 주고자 하였으며 탈현상과 비정형성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사조와 건축, 메이크업이라는 분야가 어우러져 하나의 새로운 융합 예술작품으로써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표현의 범위와 재료의 한계를 뛰어넘은 무한한 메이크업 디자인의 가능성과 아트마스크 작품을 통한 메이크업의 영구적인 전시와 더불어 예술의 한 분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에 따른 바디아트 작품제작

        오은비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오늘날 문화 콘텐츠들은 끊임없는 발전으로 다문화시대라는 새로운 인식 속에서 다양한 이미지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바디아트 디자인은 이러한 과도한 이미지의 혼잡 속에서 작가의 의도보다는 감상자의 주관적인 시선 아래 해석되고 있다. 바디아트 디자인에 있어서 시각적 형태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예술적 감성을 감상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써 인간의 시각적 인지력을 사전에 감안하여 디자인에 착수해야하는데, 이러한 시각적 형태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 게슈탈트 이론이다. 본 연구는 게슈탈트 이론에 따른 바디아트 작품을 제작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현대미술로 구분되어지고 있는 미적 표현 요소인 바디아트 분야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 지각체제화의 집단화 법칙 특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지각 효과를 바디아트에 활용하여 예술적 표현 형식으로 구체화 시키는데 의의를 갖는다. 연구의 결과로 게슈탈트 이론의 개념 및 특성을 종합하여 이론적 고찰함으로써 집단화 법칙에 따라 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착시, 중첩, 반복 3가지의 유형으로 중복되어 나타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페이스 페인팅 3점, 바디페인팅 2점 총 5점의 바디아트 디자인을 계획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Ⅰ은 연속성과 반복의 상징적인 시지각 요소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 공간, 시간을 포괄하고 지구 밖의 공간인 우주를 모티브로 디자인하였다. 작품 Ⅱ는 지역성과 특수성의 한계를 벗어나서 재해석되는 오리엔탈을 주제로 원형의 오브제를 사용하여 서로 근접한 형태로 배열하여 근접성의 시지각 효과로 표현하였다. 작품 Ⅲ은 근접성의 특성을 활용하여 선과 선이 근접하였을 때의 시지각 효과와 새로운 형태의 결합인 중첩의 표현기법으로 나무표면을 오브제로 사용하여 어둠 속에서 빛나는 물체를 인식하였을 때의 광활한 느낌을 묘사하여 바디아트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작품 Ⅳ는 동일한 형태라는 집단 속에서 개별적으로 유사한 형태가 나타나지만 공통된 집단으로 지각되도록 유사성의 특성을 살려 디자인하였으며, 명암을 통하여 시지각의 지각과정에서 지각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착시현상이 부각되도록 표현하였다. 작품 Ⅴ는 연속성의 특성을 기호화 된 문양을 반복 조합하여 그루핑 되어 시각화 되도록 형태의 유희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의 특성을 바디아트 작품에 적용함으로써, 바디아트의 예술성과 구조성을 응용할 수 있는 기반과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시지각을 활용한 바디아트 디자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되며, 이와 같은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에 기반을 둔 상징적 추상 작업의 발전을 기대한다.

      • 포스트모더니즘 특성을 응용한 아트마스크 작품 연구 : 마틴 마르지엘라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유경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현대사회는 고도로 발달된 산업화와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정보화라는 새로운 물결을 맞이하여, 예술분야의 전반에서 정형화되고 형식화된 기존의 관습에서 탈피하는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미술 분야에서도 단일체계에 반대하여 다양한 가치 체계를 추구하는 가장 대표적인 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이 등장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동시에 모더니즘의 한계를 초월하고 극복하는 것으로써 전통적인 관습에 대한 파괴, 동일성과 일원성을 해체하여 다양한 양식과 주체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가져왔다. 오늘날에는 문학, 건축, 음악, 무용, 패션, 미용, 영화 등의 다양한 장르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와 어우러져 새로운 디자인 재해석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메이크업 분야와 접목시켜 하나의 예술 가치를 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모더니즘 특성이 드러나는 패션 디자이너인 마틴 마르지엘라의 작품을 활용하여 아트마스크를 제작함으로써 아트마스크가 메이크업 디자인의 한 분야로 관심을 받을 수 있고 여러 장르간의 융합을 통해 아트마스크 디자인 개발에 다양한 시도의 계기를 만들어 메이크업 분야의 조형적 예술 가치는 높이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고찰과 선행논문 분석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였고, 다양한 소재와 조형적 기법을 활용해 포스트모더니즘과 마틴 마르지엘라 작품의 특성에 맞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알아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이 미술, 패션이라는 수단을 통하여 대중들과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 하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간의 융합을 통한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포스트모더니즘 특성 중 디자인 개념에 적용 가능한 특성을 다원주의, 상호텍스트성, 몰형식성, 혼성모방 총 4가지로 분류하였다. 둘째, 마틴 마르지엘라의 활동 내용을 알아보고 그의 신념을 누구에게나 착장의 기회를 제공, 익명성을 통한 상업화 비판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작품적 특징을 마틴 마르지엘라의 주된 기법인 리사이클링 패션(recycling fashion)을 통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개념과 특징을 바탕으로 그의 작품의 특성을 다원주의, 상호텍스트성, 몰형식성, 혼성모방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포스트모더니즘 특성을 응용한 아트마스크 작품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 Ⅰ은 마틴 마르지엘라의 작품의 소재인 스타킹과 속눈썹을 중첩시켜 익명성과 소재의 다양성을 나타내어 다원주의를 표현하였다. 작품 Ⅱ는 리사이클링 기법을 활용한 것으로 잡지를 사용하여 다수의 양식이 서로 공존하는 다원주의를 나타내었다. 작품 Ⅲ은 여성과 남성을 나타내는 소재인 수염, 레이스, 허리띠 등을 오브제로 사용하여 성의 혼합을 나타내는 상호텍스트성을 표현하였다. 작품 Ⅳ는 비닐로 된 에어캡의 투과와 반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관찰자로 하여금 다의적인 해석을 유도하고 소재들이 서로 상호작용함을 통해 상호텍스트성을 나타내었다. 작품 Ⅴ는 의복의 조형개념을 파괴한 것과 같이 얼굴의 조형개념을 파괴하여 눈을 평면적이면서 비대칭으로 배치하여 몰형식성을 표현하였다. 작품 Ⅵ은 패션의 구성법을 무시한 드러난 솔기, 지퍼 등을 오브제로 이용하고 마스크의 형태 또한 변형시켜 미완성과 부조화를 나타내어 몰형식성을 나타내었다. 작품 Ⅶ은 과거에 유행한 파워숄더를 차용하여 둥근 형태의 마스크를 사각 형태로 바꿈으로써 고정관념을 파괴하고 복고적 요소를 나타내어 혼성모방을 표현하였다. 작품 Ⅷ은 여러 문화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를 차용해 민속성, 지역성, 토속성 등 문화의 다양성이 나타나고 다양한 문화가 서로 공존되는 현상을 나타내어 혼성모방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예술사조와 패션, 아트마스크라는 분야가 어우러져 새로운 융합 문화 예술작품으로써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일회성이 아닌 영구적인 전시와 더불어 재료의 한계와 표현의 범위를 뛰어넘어 아트마스크 디자인 연구에 새로운 사고의 발상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의 계기를 만들어 주고자 한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패션 상품 특성을 고려한 경험디자인 요소 분석

        이수진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스마트폰 시대를 넘어 이제는 착용하는 기기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각광받게 되는 시기가 도래하였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컴퓨팅의 개념에서 유래한 단어로 착용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하는데, 2000년대 전후를 기점으로 웨어러블 컴퓨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딱딱하고 기계적인 외관, 무거운 착용감, 기술적인 한계 등의 이유로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아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스마트폰 시장의 포화로 인해 성장이 정체되고 기존 PC산업이 침체를 보이자 새로운 이익 창출을 위한 차세대 모바일 기기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구글, 애플, 삼성 등의 글로벌 IT기업과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상용화에 초점을 맞춘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들이 하나둘씩 출시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기어, 애플 워치와 같은 스마트 워치류, 핏빗 사의 플랙스, 나이키의 퓨얼밴드 등의 피트니스 트래킹 기능을 주로한 스마트 밴드류, 구글 글래스, 오클리 고글, 소니 스마트 글래스 등의 스마트 글래스류가 대표적인 사례로서 시장의 출발점을 끊었으며, 그 외의 다양한 액세서리 형태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나 다른 디지털 기기들과는 달리 인간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패션처럼 항상 착용해야 하는 형태로 개발되어야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순히 첨단 기술이 구현되고, 착용할 수 있는 형태라고 하여도 소비자들에게는 아직까지 그저 낯설고 불필요한 도구로 느껴질 뿐이다. 즉,기술 중심의 혁신을 이뤄오던 관점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접근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에 있어 주로 착용성과 기능 등에 초점이 맞추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패션의 특성과 감성을 고려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 상품적 특성을 고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를 발굴하고, 분석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향후 행보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 메이크업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연구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이유림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국내 메이크업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의 서명을 대상으로 메이크업 분야의 연구동향을 계량서지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립중앙도서관의 소장 자료의 통합 검색이 가능한 국가전자도서관에 검색어 ‘메이크업’을 입력하여 1984년 7월부터 2015년 7월까지의 기간 동안 생산된 1,113건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수집하였다. 1,113건의 학위논문의 서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대학별 논문 발표 현황, 단어 출현 빈도, 동시 출현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Krkw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한 논문의 서명에 나타난 단어를 도출하고 도출 된 단어들을 단어 간 유사성 및 연관성, 단어의 상하위 관계 등에 따라 분류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류 된 단어들을 모두 포괄하는 최상위 단어를 연구 분야의 분류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세부분석 시기를 1984년-1999년, 2000년-2004년, 2005년-2009년, 2010년-2015년의 4시기로 나누었다. 단어 추출 및 단어 빈도, 동시 출현 빈도 분석에는 Krkwic과 그 하위프로그램인 KrTitle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크업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도별 논문 발표 현황을 살펴본 결과, 메이크업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의 수는 1984년 관련 논문이 처음 발표된 이래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4년-2006년에는 논문 수의 감소와 증가가 반복되었다. 둘째, 메이크업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의 대학별 논문 발표 현황을 살펴본결과, 1편 이상의 메이크업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을 발표한 대학은 79개교 였으며, 한성대학교가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이크업 관련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1984년-1999년에는 메이크업 예술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메이크업 과학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메이크업 교육과 메이크업 예술의 연구관계는 미미하였으며, 그 외 분야의 연구관계는 없었다. 2002년-2004년에는 이전 16년간 발표된 논문에 비해 5배 이상 증가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시기에는 메이크업 예술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 되었으며, 메이크업 교육에 관한 연구가 가장 저조하였다. 각 연구 분야 모두 서로간의 연구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 중 메이크업과 메이크업 예술, 메이크업 예술과 메이크업 산업, 메이크업 심리의 순으로 연구관계가 활발하게 나타났다. 반면, 메이크업 과학과 메이크업 교육의 연구관계는 미미했다. 2005년-2009년도 이전 기간과 마찬가지로 메이크업 예술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메이크업 과학에 관한 연구가 가장 저조하였다. 연구관계 역시 이전 기간과 큰 변화 없이 메이크업과 메이크업 예술, 메이크업 예술과, 메이크업 산업, 메이크업 심리의 순으로 연구관계가 활발하게 나타났다. 연구 기간 중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 된 2010년-2015년 역시 메이크업 예술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전 기간에 비해 연구량이 증가 하였으나 메이크업 과학의 연구가 가장 적게 진행되었다. 연구관계는 메이크업 산업과 메이크업 예술이 가장 많은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이크업 산업과 메이크업 심리, 메이크업 예술과 메이크업 심리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메이크업 과학과 메이크업 교육은 여전히 약한 연구관계를 나타냈으며, 메이크업 교육과 메이크업, 메이크업 예술과 메이크업 산업, 메이크업 심리, 메이크업 과학, 메이크업과 메이크업과학의 연구관계도 비교적 미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발표된 메이크업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지향해야 할 학문적 과제와 방향을 발견하고 메이크업의 학문적 자리매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학위논문으로 제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므로 동향분석 결과에 있어서도 그 범위가 제한적인 점, 분석 결과 포괄적인 연구동향은 알 수 있었으나 각 연구분야별 세부 연구동향의 파악이 미진한 점 등의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향후 보다 완성도 높은 메이크업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서는 학위논문뿐만 아니라 저널 및 학술지 등으로 연구대상을 넓혀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논문의 서명 분석에서 논문의 초록 분석, 목차 분석, 본문 분석 등으로 분석 대상 범위를 점차 넓혀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이용한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면 더욱 더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며, 연구동향 파악을 통한 메이크업의 학문적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make-up area in bibliometrical way through analysis of words appearing in the titles of Master’s and Doctor’s theses related to make-up. For this purpose, the keyword ‘make-up’ was inputted in the National Electronic Library from National Assembly Library,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A total of 1,113 Korean Master’s and Doctor’s theses were collected from July of 1984 to July of 2015. A bibliometrical analysis of the titles of 1,113 theses was executed on the frequency of words and the annual presentation status by university. The analysis used Krkwic Program to classify the upper and lower relationship, the relativity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words that were derived from collected theses. A topmost word, which is comprehensive of all the words in prior research, was set up as classification standard of research, and the detailed analysis period was divided into 4 terms: 1984-1999, 2000-2004, 2005-2009, 2010-2015. Krkwic and KrTitle Program were used in word extraction, word frequency and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f annual research presentation for Master’s and Doctor’s degree related to make-up shows the continuous increase of number of theses after the first thesis in 1984, and the fluctuation during 2004-2006. Second, the situation of the research presentation of universities for Master’s and Doctor’s degree related to make-up is that 79 universities presented theses, and Hansung University presented the most theses. Third,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Master’s and Doctor’s degree related to make-up shows an active research related to make-up arts but no research about make-up science during 1984-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up education and make-up art was not observed much, and there were no research relations in other areas. During 2002-2004, more than five times of theses were presented in comparison with the past 16 years. Research of make-up arts was most actively performed in this period, and research of make-up education was out of interest. It was shown that various research areas had relations between them and the relation between make-up and make-up arts came first, followed by the relation between make-up arts and make-up industry, and make-up psychology. The relation between make-up science and make-up education, on the contrary, was not apparent. An active research of make-up arts was also seen during 2005-2009, but there were few studies on make-up science. Research relationship did not have much change and research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make-up and make-up arts, make-up arts, make-up industry, and make-up psychology. During 2010-2015, when the most theses were presented, research on make-up arts was still most active and the number of these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period, but research on make-up science was still insignificant. As for research relationship, make-up industry and make-up arts had the most intimate relations, followed by make-up industry and make-up psychology, and make-up arts and make-up psychology. On the contrary, make-up science and make-up education showed weak research relation, and the research relations of make-up education and make-up, make-up arts and make-up industry, make-up psychology, make-up science, and make-up and make-up science were relatively in apparent. Based on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f Master’s and Doctor’s theses related to make-up, presented up to now, this study tried to contribute to academic spot of make-up by discovering the academic direction and assessment. However, this study was done on the basis of theses and research target came with the limited range of trend analysis result. Research trend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ut there is still limit due to the lack of grasp of detailed research trend per research area. Thus, to grasp the research trend of Master’s and Doctor’s theses related to make-up with higher quality, research target must be broadened for future researchers. Furthermore, if research trend analysis using bibliometrical method is performed on the analysis of target range such as abstract analysis, contents analysis and body analysis, more significant research can be performed and it will be help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make-up by grasping research trend.

      • Pablo Picasso 작품을 응용한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백지은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95

        논 문 개 요 새로운 예술양식의 발견은 신선한 예술적 시각을 통해 이루어지며 피카소는 파격적인 회화 형태로 대중의 예술적인 감성을 충족시키고 다양한 미술양식을 선보인 선구자이다. 피카소의 미술양식과 표현방법은 대중예술의 일부로 활발히 재창조 되고 있는데 본 연구자는 뷰티 분야 중 회화적인 형태인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순수미술의 조형적인 요소들을 응용하여 새로운 이미지의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창작하고자한다.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은 실제 메이크업의 표현과 가상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이자 작품의 자유성, 예술성, 대중성을 동반한 대중예술로써 인간이 갈망하는 미적·예술적 욕구 충족이 가능한 예술형태이다. 메이크업을 위한 드로잉은 예술적 가치보다 계획성을 위한 기록의 용도가 중시되었으므로 대중적인 예술성을 갖춘 형태로 보기 어려웠다. 현대에는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형성되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품성을 목적으로 한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함으로써 뷰티 메이크업을 창의적으로 시각화하고 예술성을 더한 작품으로 표현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피카소의 독창적인 회화형태의 특성을 분석하고, 작품을 제작하여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의 예술성과 다양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피카소의 독창적인 표현방법과 감각적인 색채 사용을 뷰티 메이크업과 접목한 작품으로 제작하여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을 표현해보고자 한다. 실질적인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과 인터넷 자료를 바탕으로 시기별로 나타나는 피카소의 회화적인 특성과 색채를 분류하였고, 피카소의 작품 속 인물의 이미지를 변형, 응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초기, 청색 시기, 장미 시기, 큐비즘, 신고전주의, 초현실주의 총 6시기로 구분 한 후, 모티브 작품을 선정하여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중 2개의 작품을 제작한 시기는 청색 시기, 초현실주의로 총 8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1 <An Expressionless Face>는 초기 회화형태의 작품으로 점묘법과 화려한 색채를 사용하여 무희의 화려한 모습을 나타낸 작품으로 현대적인 요소들을 더하여 표현하였다. 작품 2, 3은 청색 시기의 회화 형태의 작품으로 2가지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었으며, 단조로운 구성과 푸른 색채를 주요색으로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청색 시기의 첫 번째 작품 <A Aurora Woman>은 가상의 공간에 있는 여인의 모습을 상상하여 표현하였으며 두 번째 작품 <Modern Harlequin>은 현대적인 이미지로 재해석된 할리퀸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작품 4 <Shining Faces>은 장미 시기의 회화 형태의 작품으로 여인이 단장하는 모습을 그린 피카소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세 명의 여인들의 구성으로 메이크업의 변화과정을 표현하였다. 세 명의 인물구조는 청색 시기의 단조롭고 차가운 분위기보다 따뜻하고 풍성한 분위기를 위한 구성으로 각 다른 얼굴 각도로 여성의 곡선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5 <Cubism>은 큐비즘의 회화적 특징을 담은 작품으로 강렬한 메이크업과 입체적인 도형을 더해 여인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유리가 깨진 것과 같은 이미지를 주는 도형을 더해 입체적인 구성을 나타내었고, 강렬한 시선의 인물표현과 최소한의 음영표현으로 3차원적인 큐비즘의 형태를 강조하였다. 작품 6 <Lover and Flowers>는 신고전주의에 나타나는 고전적인 분위기의 작품으로 피카소의 당시 연인 올가의 모습과 꽃의 이미지를 더해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작품 7, 8은 초현실주의 회화 형태의 작품으로 2가지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었고, 초현실주의 첫 번째 작품 <Sweet Dream>은 기하학적인 표현과 인물을 이목구비를 간소화하여 표현한 작품으로 피카소의 원색사용과 달리 파스텔 톤의 색채구성으로 분위기를 전환하여 나타내었다. 두 번째 작품 <Lady of My Last Fantasy>는 드로잉 작업 후, 잡지를 오려붙인 콜라주 작품으로 현대적인 요소들을 더한 여인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을 구성한 색채는 원작과 동일한 색채를 활용하였지만 사용된 위치는 변형시켜 표현하였다. 자동차 헤드라이트 사진으로 눈동자를 나타냈고, 의상과 헤어스타일은 모티브작품에 나타나는 요소들을 현대적인 사진으로 콜라주 하였다.

      • 안토니오가우디 작품의 자연유기적인 구조형태를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연구

        박주영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논 문 개 요 미(美)의 욕구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명의 발달과 산업화 및 경제성장으로 인해 패션, 메이크업 등으로 진화해 왔다. 뿐만 아니라 현 정보화시대에서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급변하는 트렌드의 추세를 가져오게 되었고 미의 욕구는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하는 하나의 문화로 형성 되었다. 메이크업은 문화 발달로 인하여 자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수단을 넘어 예술분야와 접목하여 좀 더 발전한 아트메이크업 형태를 보이고 있다. 아트메이크업은 신체를 대상으로 내적 이미지의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 형태로서 다양한 소재와 기법으로 신체를 장식하고 개성적인 자아를 표현하는 미의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아트메이크업은 미술 양식이나 조형적인 요소를 응용하여 자유롭고 주관적인 개성 표현과 미적 가치를 나타내는 새로운 메이크업 예술 활동으로 표현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예술 분야와 메이크업을 연관시켜 새로운 아트메이크업을 창작하는 활동이 많이 이루어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 디자인의 구조적 형태를 고찰하여 메이크업과 연관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아트메이크업을 창작하여 발전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건축 디자인 중 자연에서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근대 건축을 창조한 인물 중 하나인 안토니오 가우디의 건축 디자인을 모티브로 삼았다. 안토니오 가우디가 활동한 19세기말 20세기 초반의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의 역사와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 건축 디자인의 구조 형태 특징을 기하학 형태, 곡선 형태, 아치 형태로 분류하여 메이크업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구조 형태 특징을 응용하여 창의적인 아트메이크업 작품을 제작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아르누보 양식의 개념과 배경을 바탕으로 안토니오 가우디 건축 작품의 자연적인 구조 형태를 연구하고 국내·외 전문서적과 선행연구 논문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안토니오 가우디 건축의 자연 유기적인 구조 형태 특징과 아트메이크업 정의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구조 형태 특징과 메이크업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특징요소들을 적용하여 새로운 아트메이크업 작품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안토니오 가우디 건축 작품의 자연적인 구조 형태를 3가지로 분류하여 7작품을 제작하였다.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작품Ⅰ과 작품Ⅱ, 곡선 형태를 응용한 작품Ⅲ과 작품Ⅳ, 아치 형태를 응용한 작품Ⅴ, 작품Ⅵ, 작품Ⅶ을 디자인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제작에 있어 안토니오 가우디 건축 작품의 자연적인 구조형태를 응용하였고 여러 가지의 메이크업 재료와 오브제, 기법을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지금까지 건축과 메이크업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한 연구사례가 적었지만 앞으로 메이크업 연구는 일반적인 소재를 벗어나 건축 작품의 구조 형태 특징과 메이크업의 연관성을 연구하여 건축의 구조 형태 분야와 메이크업이 접목된 작품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져 한 분야에 국한 되지 않고 넓은 분야의 예술형태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 앤디워홀(Andy Warhol) 작품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신정연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95

        네일아트는 손톱 위의 작은 공간에 표현하는 예술로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직장인뿐만 아니라 주부, 대학생들까지 대중화가 되기 시작했다. 과거의 네일아트는 단순하게 손과 손톱을 정리하는 시대였다면 오늘날의 네일아트는 개성적이고 창의적이며 예술적 감각이 가미된 조형 예술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력과 예술적인 감각의 디자인의 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으나 네일 전문가들에게 이 부분은 미흡한 부분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네일 디자인을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독창적으로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는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화려한 색채와 대중적인 소재, 반복적인 기법 등을 사용한 앤디워홀의 작품은 현대의 네일아트와 유사점이 많아 네일아트 디자인으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 동안 팝아트나 앤디워홀에 관련된 논문들은 복식, 메이크업 등에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네일아트를 접목시킨 논문이 적었기에 앤디워홀의 작품 이미지를 주제로 창의 적인 네일 디자인 작품을 제작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국내외 전문서적과 선행연구 논문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팝아트의 배경을 바탕으로 앤디워홀의 작품세계를 연구하고 네일아트의 개념과 표현기법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앤디워홀 작품을 응용하여 네일아트 작품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앤디워홀 작품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Ⅰ은 ‘Female Head was stamp’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오똑한 코와 긴 속눈썹, 보라색 글리터를 사용하여 복고적인 머리모양의 모습을 나타낸 작품으로 현대적인 요소들을 더하여 표현하였다. 작품Ⅱ은 ‘구두 광고’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현대적이고 도시적인 여성의 구두를 표현하였다. 작품Ⅲ은 ‘In the Bottom of My Garden’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핑크 천사와 꽃을 사랑의 신 큐피드로 재해석 하여 표현하였다. 작품Ⅳ는 ‘Basket of Flowers’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얼룩진 듯 한 테두리 선과 노란색 배경에 장미 바구니와 큰 나비를 접목한 디자인으로 따스한 봄날에 장미 꽃밭에 와 있는 느낌을 표현하였다. 작품Ⅴ는 ‘Superman’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슈퍼맨이 주인공으로 등장 하며 빠른 속도감이 있는 느낌을 표현하기 위하여 얼굴보다 손을 크게 하여서 원근법을 표현하였다 작품 Ⅵ는 ‘Campbel Soup Cans’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켐벨 스프를 도미노 형식으로 재해석 하여 표현하였고 몇 방울 떨어뜨린 스프로 배경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Ⅶ는 ‘Flower’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대량 복제가 가능한 실크스크린 기법을 반영하여 디자인은 비슷하지만 색감을 다르게 구성하는 것으로 화려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작품 Ⅷ는 ‘Brillo Soap pads Boxes’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다른 크기의 입체적인 상자를 제작하여 손톱 위에 여러 각도로 연출함으로서 각진 네모상자와 대비된 회화적인 느낌을 표현하였다. 작품 Ⅸ는 ‘Green Coca-Cola Bottles’ 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미국의 상징 코카콜라와 자유의 여신상, 미국 국기를 같이 구성하여 미국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Ⅹ는 ‘Dollar Sign’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행운의 2달러를 접목시키고 돈을 극단적으로 표현하여 돈을 사랑하는 앤디워홀의 작품을 재구성 하였다. 작품 ?는 ‘Marilyn Monroe’ 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마를린 먼로의 화려함과 섹시한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다리와 입술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고혹적인 여성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는 ‘Elvis Presley’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록큰롤의 제왕이라 불리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얼굴을 중심으로 록 음악 장르에서 보여 지는 무거운 색상과 화려한 무대 이미지를 응용하여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작품 XIII은 ‘마오 쩌 둥’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마오 쩌 둥의 얼굴을 여러 가지 색감과 다양한 표정으로 디자인을 하여 익살스러운 느낌을 표현하였고, 배경은 불규칙한 패턴을 사용하여 팝아트의 화려한 색채를 강조하였다. 작품 XIV은 ‘Mik Jag-ger’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그림을 오려 붙인 콜라주 작품으로 세련되게 표현하였다. 작품 XV은 ‘두개골’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으로 죽음의 문턱 까지 갔다 온 앤디워홀의 죽음에 대한 심리적인 측면이 반영된 작품이며 강한 색조 대비와 해골장식등을 통해 어두운 분위기를 만들어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앤디워홀의 작품이 네일아트 디자인의 발상에 모티브로 접목할 수 있음을 알아보았고 새로운 디자인과 표현력을 네일아트 디자인으로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과 계기를 제공하였다.

      • 코크리에이션(Co-creation)에 기초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 실증연구를 통한 요인 도출

        김미현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95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개발에 있어 소비자의 관여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제 소비자의 역할은 수동적으로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를 소비하는 차원을 넘어 능동적인 품질관리자, 공동생산자 및 공동 마케터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를 비즈니스 파트너로 인식하고, 소비자와의 코크리에이션(Co-creation)을 통해 공동의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팀 브라운(Tim Brown)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새로운 소비자들을 더 이상 '소비자', '사용자', '고객'으로 규정짓기보다는 창조의 과정에 활발히 참여하는 존재로 보고, 디자인 과정에 있어 소비자의 활발한 협력을 강조한 바 있다. 과거 리서치의 대상이었던 소비자는 이제 디자인 개발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파트너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디자인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던 1960년 초에서 1970년 후에 성행한 1, 2세대 방법론이 소비자의 요구사항(Wants)을 단순히 조사하여 디자인에 수용하려 했다면, 1970년 후반 시작 된 3세대 방법론은 디자인 프로세스에 소비자를 참여시켜 소비자의 니즈(Needs)를 발견하는 트렌드를 보인다. 디자인방법론은 개발자,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소비자관점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서비스디자인은 사회적, 산업적 관점에서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어 고객 경험에 초점을 둔 인간 중심적 디자인 접근방식이다. 따라서 총체적접근이 요구되고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솔루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에서 진행 된 코크리에이션 방법론을 적용한 디자인 연구는 코크리에이션 위한 특정 도구에 대한 것이나 코크리에이션 효과에 대한 것 등으로 국한되어 있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따라서 코크리에이션 방법론을 디자인개발 전체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코크리에이션을 통한 서비스디자인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코크리에이션 방법론을 적용했을 때 디자인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도출함으로써 코크리에이션 지향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1)코크리에이션 방법론이 적용된 서비스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기존 디자인방법론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특징을 도출하고, (2)실증연구의 주제를 “성신여대 이동서비스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으로 선정한 뒤, 전체 디자인 프로세스를 4단계(발견-정의-개발-전달)로 나누어 세부 분석함으로써 코크리에이션 방법론을 평가하고, (3)실증연구에 참여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설문 및 FGI를 실행한 뒤, 도출 된 내용을 마일즈와 휴버만(Miles and Huberman)의 질적 자료 분석과정에 근거하여 분석함으로써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 코크리에이션 방법론의 특성을 도출하고 디자인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도출한다. 실증연구결과 첫째 서비스디자인 과정에서 코크리에이션의 방법론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주요요인으로 (1)개방형 운영방식 (2)공동 목표의 추구 (3)참여자의 아이디어 촉진 (4)의사결정력이 도출되었다. 둘째, 4개의 주요요인은 서비스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4단계(발견-정의-개발-전달) 전 단계에 걸쳐 디자인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개의 주요요인은 각각의 프로세스에 따라 중요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발견단계에서는 디자인 가능성의 확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개방형운영방식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단계에서는 디자인 콘셉트의 수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아이디어촉진과 공동 목표의 추구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다양한 프로토타이핑이 이루어지는 개발단계의 경우, 참여자의 아이디어 촉진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 개발이 끝나는 전달단계에서는 공동 목표의 추구와 개방형 운영방식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표현주의 회화적 기법을 응용한 분장이미지 연구 : 오페라 천생연분을 중심으로

        정혜숙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논 문 개 요 현대에는 문화산업이 미래주도적인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른 산업 발전의 원동력으로서도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중 공연예술은 신 한류 열풍을 주도하는 문화예술의 핵심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공연예술에서의 무대분장은 표현기법의 다양화로 인해 예술성의 한 분야로써 공연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무대공연 중 오페라의 경우 스토리가 주로 노래로 전해지는 극의 특성상 의사 전달 능력이 다소 부족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페라 극에서는 분명한 상황 설정과 인물의 정확한 성격전달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보여 줄 수 있어야 하는데 무대분장이 바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페라 <천생연분>의 무대분장을 분석해보고 표현주의의 사상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방향을 제시하여 한국적인 무대 분장디자인을 시도해 보았다. 작품의 색채표현에 있어서 심리를 나타내는 색의 조합으로 주목성을 높이고 상징적 표현을 사용하였고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 인간에게 존재하고 공존하고 있는 내적인 측면과 외적인 측면이 하나의 모습으로 형상화 하는데 가면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노끈을 가지고 조형화하였다. 사용되어진 노끈은 색노끈으로써 그 꼬임을 변형시켜 인물의 내면이 갖고 있는 욕구와 감정들을 작품에 표현하였다. 표현주의적 이미지를 형상화한 가면과 평면적 응용작품은 극을 통해 전달되는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시각화한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국내 문헌 및 선행논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표현주의의 회화적 기법의 특징을 살펴보고 무대분장의 개념과 분장디자인의 구상을 분석한다. 실제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2006년 10월에 공연한 오페라 <천생연분>의 작품분석과 분장디자인에 적용된 나무꼭두에 대해 분석 및 나무꼭두를 모티브로한 주요 캐릭터의 이미지의 무대분장 표현방법을 서술하고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연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표현 기법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포토샵의 사용으로 새로운 캐릭터와 스토리를 만들어 하나의 작품으로써 이미지 디자인를 구상하고 제작하였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김 판서의 청렴결백하고 근면한 선비의 곧은 이미지를 파란색노끈으로 직선과 수평 방향으로 꼬임을 주었고 사자의 형상과 바다의 모습을 배경으로 내면의 감정을 극대화 시켜 표현한 작품이다. 맹 진사는 탐욕적이고 권력 지향적 이미지를 얼굴전체에 좌우, 일정한 방향 없이 검정색과 빨간색노끈으로 꼬임을 주어 강렬한 카리스마를 느끼게 했고 연구자가 주관적 해석을 더하여 감정 상태를 이미지화 하였다. 서향은 내면의 아름다움을 가진 이미지를 빨간색노끈으로 꽃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여러 모양의 도형들을 다양하고 자유롭게 조합함으로써 그녀의 자아를 율동감 있게 음악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몽완은 부유하고 우유부단한 모습과 명랑의 이미지를 노란색노끈으로 꼬임의 율동감을 주었고 우스꽝스러운 모양과 얼굴표정 등을 배경으로 넣어 낙관적인 모습을 극대화 시키면서 조화롭게 표현하였다. 서동은 강직함과 수수한 이미지를 갈색노끈으로 이마부분에 꼬임을 주어 이상향을 꿈꾸는 인물을 극대화 시켜 낮은 신분에 안주하기 보다는 자신의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며 현실을 뛰어넘는 서동의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이다. 이쁜이는 애정이 풍부하고 발랄한 이미지를 빨간색노끈으로 얼굴전체에 꼬임의 변화를 주었고 사랑에 대한 갈망을 선의 강조와 꽃의 모양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오페라 <천생연분>의 작품에 나타난 꼭두인형의 모티브에 표현주의 회화기법을 응용하여 다양한 디자인 요소와 예술적인 조형미를 활용함으로써 창의적인 분장이미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국내 공연예술분야의 분장디자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한 분야에 국한 되지 않고 넓은 분야의 예술형태로 발전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