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분석

        김지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개설과목, 강의계획서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봄으로써,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기능과 음악교육전공의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두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대학원간 과목 수, 교과교육학·교과내용학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과목 수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음악교육전공에 맞게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이 적절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F, G 학교는 교과교육학과목이 92%, 97%를 넘는 반면에 교과내용학과목은 1개 밖에 개설되지 않았고, C, D, J, K, O학교는 교과내용학과목이 교과교육학과목보다 30%이상 많게 나타나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각 교육대학원마다 과목의 개설이 일률적이지 못한 것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편성에 있어 뚜렷한 기준 없이 교과목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육과정이 중등학교 교사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면서 현 실정은 중등학교의 음악과교육과정과 거리감이 있다.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목적은 음악교사는 물론이고 음악교육자, 음악교육학자의 양성도 당연히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육과정은 중등교원 양성을 위한 중등교원 선발시험과목 위주로 편성되어 있어 학교현장에서 필요한 과목이 부족하다. 셋째, 국악과목의 개설이 부족하다.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음악과교육과정에서 우리의 전통음악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 와서는 음악교과서에서 국악을 30%이상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분석 결과, 전체 103개 과목 중에서 국악 관련 과목은 15개(14.6%)로 교과교육학과목 6개, 교과내용학과목 9개로 되어 있었다. 이중 교과내용학과목인 '국악이론'(8개 학교개설)을 제외하면 개설비중이 매우 작은 편으로 나타났다. 비록 국악 관련 과목들이 예전에 비해 많이 개설되었다 하지만 중등학교 현장과 발맞추기 위해서는 아직 부족하다. 넷째,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비 개설과목을 살펴본 결과, 총 과목수가 많은 학교일수록 비 개설과목수도 많은 편이었다. 2001~2003년까지의 3년간을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번도 개설하지 않았다는 것은 보여주기 위한 교육과정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강의계획서 분석 결과, 대부분이 과목해설과 실제내용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교과교육학과목의 수업내용은 학교별로 크게 다르지 않았고 교재는 4~5개 과목을 제외하고는 학교마다 교재사용이 다양했다. 교과내용학과목의 수업내용 역시 학교별로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교재는 학교마다 매우 다양했다. 특기 실기관련 과목들은 교수의 재량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재의 선택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intended to achieve specific functions and curriculum appropriate to educational goals of Music Education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urriculum, courses, and syllabuses and then suggesting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graduate schools in the number of courses, and the proportion of music education courses to music courses. A great number of courses didn't always mean a good quality of education, rather the proportion of music education courses to music courses should be appropriate for a major in music education. However, the proportion of music education courses in F and G graduate schools was more than 92% and 97% respectively, while there was only one music course. There was a problem with C, D, J, K, and O graduate schools since the proportion of music courses was 30% higher than that of music education courses. The reason each graduate school has different curriculum like this is that there are no specific standard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in graduate schools. Second, there is a wide gap between the present curriculum and the one for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lthough the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s concentrates on training middle school teachers. The purposes of music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are to train music educators and music scholars, to say nothing of music teachers.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has been organized focusing only on the courses for middle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o there is a lack of the courses necessary for practical teaching. Third, the cours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not provided insufficiently. Since the 6th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music has been emphasized. Coming to the 7th curriculum, it is supposed to include Korean traditional music course more than 30% among the entire music education course. As an analysis result, among total one hundred and three subjects, there were fifteen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urses(14.6%), six courses for music education courses and nine courses for music courses. It was revealed that, among these courses, there were only a few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urses except for pedagogy of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provided by eight schools). Still, the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urses weren't enough to keep pace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muddle schools, although they were being provided more than before.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systematic and substantial curriculum. The courses that are not opened were examined and the more a school had a lot of courses, the more it had unopened ones, too. It was shown that the schools hadn't opened those courses, although the research period was as many as three years from 2001 to 2003. Consequent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schools had a curriculum only for display. Fifth, syllabuses were analyzed,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its introduction to the courses and substantial content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lectures on courses for music education courses among schools, and each school used different textbooks except the ones for 4 or 5 subjects. Similarl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lectures on courses for music courses among schools, but there were few schools that used the same textbooks. There was a very big difference in selecting a textbook for specialty and practical skill-related courses, since the decision was made by instructors.

      • 음악학습·음악연주 자기효능감, 직업선택 의지가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유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research examines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nd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or music teacher and investigate how these three factors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of master's degree students who majored in music or music education. Also, the differences in these three factors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t-test. A total of 129 music(n=53) and music education(n=76) students completed a online survey. The measures of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and performing are from Ritchie & Williamon(2010). And the measure of career maturity is from Lee & Han(1997) who explained career maturity with five sub-factors: decisiveness, aim, certainty, preparedness, and independency. As a result of analysis by SPSS Statistics 29.0, several points imply certain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and performing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student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ependency, where music education students’ is lower than music studen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ependency suggests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ir careers depending on the major they select.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xhibit a tendency to b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nd circumstance. In terms of field-dependence-independence, individuals who are field-dependent may face difficulties in articulating their vocational interests(Witkin, 1973), The comparatively lower score in independency among music education students could have an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as music teach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independency. In addition, among career maturity sub-factors, music major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convincing, while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aim. The lowest score in convincing among music major students suggests that, despite being enrolled in master's degree courses, they lack a certain belief in their potential success as professional musicians. And the lowest score in aim among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uggest that, even though they have made a firm decision to become music teacher, it implies that they are not clear about what they aim to achieve through the profession. Third,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especially preparedness and independency.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especially convinc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er score in independency among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can be improved through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Furthermore,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can help improve the lowest score in convincing among music major students. It is important to enhance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s the lack of it can be lead to stage anxiety(Ritchie & Williamon, 2010). Fifth,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or music teacher does not directly impact overall career maturity score, but rather specific sub-factors. Intention to pursue a musician have impact on aim, independency, while intention to pursue a music teacher have impact on decisive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a higher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demonstrate a clearer and more independent pursuit of specific aspects such as self-develop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ir profession. Similarly, those with a stronger intention to become music teachers exhibit a firm determination and resolve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 teacher.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career maturity,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nd learning. Specifically, music major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particularly in terms of convincing, while music education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in terms of independency.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음악전공,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 직업선택 의지를 파악한 후, 이러한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Likert 7점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배포한 결과, 53명의 음악전공, 76명의 음악교육전공, 총 129명의 연구대상이 모집되었다.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 문항은 Ritchie & Williamon(2010)이 개발한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는 이기학, 한종철(1997)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전공 대학원생과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모두 ‘높음’으로 나타났으며,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모두 ‘보통’ 수준을 보였다.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평균 5.74(SD=.67)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평균 5.40(SD=.86)점이었으며,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평균 5.66(SD=.82)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평균 5.30(SD=.98)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음악전공 대학원생과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는 모두 ‘보통’ 수준으로 전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독립성은 음악교육전공이 음악전공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음악전공과 음악교육전공을 비교했을 때,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독립성이 유의하게 낮은 것은 이들이 상대적으로 부모나 주변의 영향에 의하여 진로를 선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의존적 인지경향을 가진 사람은 독립적 인지경향을 가진 사람보다 불분명한 직업적 흥미를 보여준다는 것을 고려한다면(Witkin, 1973), 낮은 독립성은 후일 교직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독립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음악전공의 경우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평균 4.54점, 음악교육전공의 경우 목적성이 평균 4.5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대학원 석사과정에 진학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음악가로서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설령 음악교사가 되겠다는 확고한 결정을 했을지라도, 직업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별로도 부분적으로 유의하였다.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준비성과 독립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에 영향을 주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음악교육전공의 상대적으로 낮은 독립성이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던 음악전공 대학원생은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확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의 결여는 무대 불안과 같은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Ritchie & Williamon, 2010)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와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모두 전체 진로성숙도 점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과 독립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결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가 높은 사람일수록 직업을 통한 자기계발, 대인관계 등과 같이 직업을 통해 구체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며, 직업선택에 있어서 독립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가 높은 사람일수록, 중등음악교사가 되고자 하는 확고한 결정과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실제 전문음악가 혹은 중등음악교사로서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과 직업 환경을 이해하고 결정하기 위한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음악학습 자기효능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한다. 특히 음악전공 대학원생은 확신성 측면에서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은 독립성 측면에서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수준과 교직 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여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수준과 교직 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 교육대학원 10개의 학교를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음악교육 대학원생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일반적 사항, 진로결정수준, 교직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 자유 기술로 총 6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수집된 유효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은 재학생의 경우 3.85, 졸업생의 경우 4.17로 졸업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높았으며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합친 음악교육 대학원생 전체의 진로결정수준은 3.98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교직 선택 동기는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내재적 동기가 가장 높았고, 이타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그 다음을 이었다. 재학생의 경우 내재적 동기가 4.12, 이타적 동기 4.01, 외재적 동기 3.63으로 외재적 동기가 가장 낮았다. 졸업생은 내재적 동기 4.30, 이타적 동기 4.22였고, 재학생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외재적 동기가 가장 낮은 3.40의 결과가 나왔다. 음악교육 대학원생 전체의 수치 또한 앞선 재학생, 졸업생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 진학하는데 있어 내재적 동기가 가장 강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공 만족도에서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높은 평균을 보였다. 재학생의 경우 4.00, 졸업생은 4.02로 재학생과 졸업생 간 전공 만족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교과내용 만족과 외재적 인식 만족에서의 차이 또한 찾아볼 수 없었다. 넷째, 이 세 변인 간 상관관계에 있어 높은 상관관계는 전공 만족도와의 관계였다. 재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수준과 전공 만족도와의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외재적 동기와 전공 만족도의 관계가 가장 낮았다. 졸업생의 경우 또한 내재적 동기와 전공 만족도 간 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진로결정수준과 외재적 동기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진로결정수준과 교직 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수준, 교직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는 의의를 가지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유지와 내재적 동기, 이타적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연구동향 분석 :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왕현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최근 6년(2010년~2015년)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160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차후 음악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교육대학원 및 음악교육전공의 설치여부를 조사하고, 국회도서관과 각 대학교의 도서관 사이트를 통하여 음악교육전공 논문 3,160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립한 분류기준에 따라 17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은 음악교육론, 교육과정 및 교과서·지도서, 특수음악교육, 음악교육공학, 교수·학습 방법, 통합학습 및 기타지도, 가창, 기악, 감상, 창작, 국악, 다문화, 유아음악교육,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 국가정책, 기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역 내에서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또한 영역에 의한 연도별, 지역별, 학교별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별 연구동향 분석에서는 기악 영역이 382편(12.1%), 교육과정 및 교과서·지도서 영역이 375편(11.9%), 통합학습 및 기타지도 영역이 361편(11.4%)으로 상위 3개 영역에 집계되었다. 가창, 기악, 감상, 창작, 국악 등 실기 연구의 여러 영역은 음악교육론과 같은 이론 연구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영역에 의한 연도별 연구동향 분석에서는 2010·2011년에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지도서 영역이, 2012·2013년에는 통합학습 및 기타지도 영역이, 2014·2015년에는 기악 영역이 그 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영역에 의한 지역별 연구동향 분석에서는 15개 지역 중 서울의 논문편수가 1,173편(37.1%)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 259편(8.2%), 충북 253편(8%), 부산 228편(7.2%)의 순으로 논문이 배출되었다. 영역에 의한 53개교의 학교별 연구동향 분석에서는 한국교원대학교가 193편(6.1%)으로 1위, 경희대학교가 173편(5.5%)으로 2위, 이화여자대학교가 163편(5.2%)으로 3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100편 이상의 논문을 배출한 학교는 수도권에서 8개교, 비수도권에서 3개교로 권역 간 교육적 격차를 보였다.

      • e-learning을 기반으로 한 중학교 미술 감상 수업방안 연구

        정호선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wave of the 21st century's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has transformed our society into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ies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social economic structure and education. Korea's education, which is suppos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ivating autonomous and creative Koreans, is changing in its contents, methods and environment, to cope with such social changes and demands. These changes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times are being reflected in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rt education is also seeking new changes in line with the trends, using various education media. In particular, unlike the past education curriculums based on practical expression technique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the use of various media and methods, the teaching of various conceptions and the connection with other areas for effective learning. Besides these, the use of e-learning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improving various and broad thinking skills required in the information era will help learners reach learning goals effectively by promoting their creative thinking and various learning activities. Meanwhile, the use of IT technologies is essential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data and information since new knowledges and information are rapidly circulating with the advancement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us, school education is responsible to cultivate students' ability of processing data and information and creating new knowledges, using IT technologies. The study focused on how to devis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middle school art appreciation education by using e-learning, which is recently being highlighted. Teachers need to try to devise thoroughly analy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ultivate their ability to use teaching materials, tools and devices for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e-learning. Therefore, this thesis tried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plans for middle school art appreciation education by using e-learning which is being emphasized in the recent school education to accomplish the basic goal of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the cultivation of autonomous and creative Koreans who will lead the 21st century's global and information era." For this, chapter Ⅱ examin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school art education and investigated art concept elements and activities mostly proposed in appreciation textbook uni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art education. Chapter Ⅲ defined the concept of e-learning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e-learning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search the application plans of e-learning. Chapter Ⅳ examined the effect and limits of e-learning and proposed effective class guidance plans through the case survey analysis of art appreciation class models and Web sites using e-learning. Finally, based on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chapter Ⅴ investigated the improvements and counterplan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e-learning. As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effective counterplans for improving students' art appreciation ability by confirm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Internet and concretely proposing art appreciation education plans using Internet-based e-learning. 21세기 정보화, 지식화의 물결은 우리사회를 지식 정보화 사회로 발전시켰다. 정보 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사회경제 구조의 변화와 아울러 교육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의 육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위치에 놓여있는 교육은 그 내용과 방법, 환경 등에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대처하며 변모하고 있다. 나아가 이 같은 교육의 시대적 변화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도 반영되고 있으며 미술교육도 정보화 사회의 시대적 흐름에 맞게 다양한 교육매체를 이용한 새로운 변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과거 실기표현 중심의 교육과정과 달리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다양한 매체와 방법의 활용, 다양한 발상지도, 다른 영역과의 연계성을 살린 지도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다양하고 폭넓은 사고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교수 학습과정에서 e-learning을 활용하면 학습자들의 창의적인 사고와 다양한 학습 활동을 촉진시킴으로써 기대되는 학습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식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새롭게 등장한 지식과 정보가 빠르게 유통되고 있으므로 자료와 정보를 수집, 처리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자료와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만들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주어야 한다. 최근 주목되고 있는 e-learning을 활용하여 미술 감상 교육을 중학교 미술 감상 교육의 효율적인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안하는 데 주안을 두었다.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철저히 분석된 구안과 e-learning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에 필요한 교수 자료, 도구와 기자재 활용 능력에 대한 교사의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 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취지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의 육성'을 위해 최근 학교교육현장에서 강조되고 있는 e-learning을 활용하여 중학교 미술 감상교육의 효율적인 수업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Ⅱ장에서는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을 통해 최근 학교 미술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고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제시되는 미술 개념요소와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e-learning 활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e-learning의 개념 정의와 e-learning을 활용한 감상교육의 교육적 의의 및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e-learning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 모형 및 웹사이트 사례조사 분석을 통해 그 효과 및 한계점에 대해 검토하고 효율적인 수업지도안을 제시해 보았다. 끝으로 Ⅴ장에서는 상기 내용들을 바탕으로 e-learning 활용 미술 감상교육의 개선점 및 대안점을 모색하였다. 이상과 같이 인터넷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e-learning 활용 미술 감상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미술 감상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오르프 슐베르크를 활용한 유아음악 교수법 연구

        윤지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칼 오르프(Carl Orff)의 음악 세계와 음악 교육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슐베르크의 곡을 편곡하여 유아들에게 적용함으로써 오르프 교육을 우리 나라에 적용시켜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유아의 연령에 따른 음악적 능력 및 발달 단계를 살펴보았으며, 세부적으로는 유아의 리듬 발달, 음정 및 음역 발달, 가락 발달, 악기 연주발달을 연령별로 알아 보았다. 또한 오르프의 음악 교육 방법과 교육 사상을 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오르프 음악교수법의 기본이 되는 말하기, 노래 부르기, 신체 동작, 즉흥 연주 등을 살펴 보았으며 오르프의 악기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위의 이론을 바탕으로 오르프 슐베르크의 제 1권 중 몇곡을 유아들에게 맞도록 악기 편성과 멜로디를 편곡하였으며 유아들에게 체계화된 음악 교육 과정과 환경에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유치원 만 3, 4, 5세로 구성된 4 그룹을 8월 2일부터 9월 24일까지 1주일에 2회씩 16회에 걸쳐서 이 지도안을 실제 적용하였다. 유아를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음악적인 이론을 설명하기 보다는 말 리듬, 신체 표현, 노래 부르기, 즉흥 연주를 통해 지도하였으며, 이러한 지도 계획에 따라 유아 음악 교육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오르프 교육 이론을 적용한 수업 지도안에 따라 만 3, 4, 5 세의 유아를 지도한 결과 오르프 악기를 사용한 수업에 매우 많은 흥미를 느꼈으며, 일정 박을 몸으로 느끼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음악 교육을 함에 있어서 일방적인 언어 지도보다는 신체 표현, 즉흥 연주, 노래 부르기를 통한 지도가 더욱 효과적이며 개념화가 명확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유치원의 교육 과정을 살펴 보면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인적인 교육을 위해 교육 과정과 수업 지도안이 더 많이 연구,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for the purpose to study the world and education theory of Carl Orff's music, to apply Orff's education onto our country with the application of arrangement of Schulwerk's music onto Korean preschoolers' education. This research studied the musical ability and progress stage according to preschoolers' age in theoretical background, and studied the development of rhythm, musical interval, compass, tone and instrument playing according to preschoolers' age in details. In addition, the musical education method and theory of Orff has been studied through variable documentary records. It has been also studied of speech, singing, gesture, improvisation which are basis of Orff's musical teaching method, and his instrument as well. With the above theoretical basis, the researcher rearranged the instruments and melody of some music in Orff-Schulwerk vol.1 , and studied teaching plan to make preschoolers experienced with systematical music education course and circumstances. This teaching plan has been applied onto preschoolers aged from 3 to 5 consisted of 4 groups, from Aug 2nd to Sept. 24th with 16 times in total over twice a week. The preschoolers teaching method was also taken by speech, rhythm, gesture, improvisation rather than by musical theory, which indicates an desirable direction for preschoolers musical education. Resulted from classes applied Orff's education theory, the preschoolers aged from 3 to 5 show much higher interest in classes utilizing Orff's instrument and it was more helpful to make them feel a rhythm. It was found gesture, improvisation and singing are more effective and show clearer concept rather than one sided language education in musical education Having found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it is learned the portion covered with music has been increased. Thus, education course and teaching plan requires further studying and development for education for the whole man

      • 제7차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 분석

        이혜원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에서 진로교육이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가를 알아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제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5종의 고등학교 경제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분석을 위한 준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2001년 장석민이 델파이 조사를 통해 진행한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화 연구”에서 제시한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분석은 빈도수와 문장수, 도표 및 그림, 탐구활동의 네 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이루어졌으며, 경제교과의 단원별 진로교육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단원별 분석과 5종의 고등학교 경제교과서를 비교하기 위한 출판사별 분석을 하였다.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교과서에서의 진로교육은 분석 기준에 비추어 보았을 때 영역 편중적 성향을 보였다. 5종 출판사 모두 “자아 이해(Ⅰ)” 영역은 전혀 다루지 않고 있었으며, “일과 직업 세계(Ⅱ)” 영역의 경우엔 전체 진로교육 관련 내용의 3/4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각 단원별로 다루는 진로교육 요소의 비중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국민 경제의 활동과 경제 변동”을 다루는 4단원이 모든 분석 항목에 있어 2.5배에서 많게는 4.5배까지 차이를 보이며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관련 용어 및 개념의 설명을 중심으로 하는 암기위주의 인지적 교육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출판사별로 진로교육과 관련된 학습 요소를 다루는 양이 모든 분석 항목에 있어 2배에서 많게는 3배까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동일한 학습 주제와 내용이라고 할지라도 교과서 집필자의 의도에 따라 진로교육의 효과를 달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의 이해와 응용(Ⅴ-2)” 영역에서 경제이론교육과 진로교육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등학교 경제교과가 일차적으로는 경제이론을 전달하는 교과이지만, 집필자가 교과서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진로교육의 효과 또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교 내에서의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더해가는 이 시점에 경제교육 속에서 진로교육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면 더할 나위없는 이상적 교육의 모습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은 진로교육과 관련된 경제교육 내용 개선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다른 교과와의 비교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그 의의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areer education is being dealt in the high school economics studies textbooks under the 7thKorean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complete the objective, 5 different economics studies textbooks of high school under the 7thKorean national curriculum were selected. Then, after reviewing the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to prepare for the analysis, the thesis called "The Purpose and Content of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suggested in the "Construction of Objective and Content Criteria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analyzed using Delphi method by Suk-Min Chang in 2001, was selected as the basic framework for this analys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4 different categories, which are frequency, number of sentences, graph and picture, and research process. Also, chapter analysis to study the content of career education in each chapter of the textbooks and textbook analysis to compare 5 different economics studies textbooks are perform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in each textbook. First, based on comparison standard, the career education in economics studies textbook puts emphasis on certain areas. None of 5 textbooks cover the "Self-understanding (I)" area. On the other hand, "World of Work and Job (II)" area is the most covered area which is studied in 3 quarters of whole career education-related content. Secondly, each textbook has different emphasis on the component of career education covered in each chapter. The chapter 4, "Activity of National Economic and Economic Change,"was covered mostly with 2.5 times to 4.5 times more amount than other chapters. However, most of education was done based on memorizing related terminology and description of the concept. Thirdly, it was shown that each publisher has different amount of content related to the career education. In every area analyzed, there was about 2 to 3 times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ontent in each textbook. Therefore, even with the same subject and content,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may be varied based on the purpose of the author. Lastly, both education on theories of economics studies and career education are effectively achieved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Rational Decision Making Model (V-2)." Throughout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primary purpose of high school economics studies textbooks is to convey the economics theory,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how the writer organize the textbook. The importance and need of career education within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If students can learn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while studying economics studies, it would be ideal educational experience.

      • 북 아트를 활용한 다문화 이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박혜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문개요 현재 우리 사회는 세계화․국제화로의 진입과 함께 국제결혼의 증가라는 현상 하에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혼재되어 다문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단일민족 우위론을 바탕으로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강조하고 자기 민족 중심의 교육을 해왔다. 그 결과 아직도 외국 문화와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시각이 배타적이고 부정적이다. 이것은 우리 사회가 다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교육이 부족한 상태에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기 때문이다. 이제 외국인이 110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우리나라는 세계화․정보화․문화화 속에서 다른 인종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극복하고 세계의 사람들과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문화 다원주의적 의식을 길러 나가야 한다. 그리고 다인종적, 다문화적 사고와 상호존중과 배려가 교육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이 시기에 우리는 교육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실천적이고 다각적인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다문화사회를 이해하고 각기 다른 문화 속에서 서로의 문화를 존중함과 동시에 문화적 정체성을 갖도록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학습자들이 생활 주변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북 아트(Book Arts)를 활용한 활동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구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논문을 구성하였다. 서론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제Ⅱ장에서는 다문화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전반적인 내용과 다문화 사회에 맞는 교육의 중요성과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을 통해서 자기의 생각, 느낌, 이야기들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형태의 독창적인 예술 책을 만드는 활동인 북 아트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는 방안으로써 북 아트를 제작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제Ⅳ장에서는 우리나라와 외국의 북 아트 교육을 통해 북 아트가 교육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북 아트 활동이 주는 교육적 효과와 북 아트 수업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봄으로써 북 아트 수업의 교육적 의의를 알 수 있다. 제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문화사회를 이해하며, 다른 나라의 문화를 접해 볼 수 있는 북 아트를 활용한 교수․학습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제Ⅵ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고찰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 더불어 다문화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우리와 다른 타인에 대해 알아가며 그들의 문화와 생각을 이해하고 인정함으로써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는 안목과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A Study of Art Education Program Using Books Arts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Hyeyoung Park Art Education Major, Art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Hyangmi Kim At present our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is creates a mix of diverse races and cultures. For a long time Korea has emphasized its long history and tradition based on a homogeneous nationalism and has conducted its own ethnic-oriented education. As a result the average Korean’s view of foreign cultures and foreign residents is still exclusive and negative. This is because Korean society has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era under which inclusive understanding of, and education on, multicultural diversity is insufficient. Currentlythere are more than 1.1 million foreign residents living in Korea. Thus Koreaneeds to overcome the spirit of homogenous nationalism and prejudice against other ethnic groups in this global, informational and cultural society. Korea needs to nurture cultural pluralism where Koreans can co-exist with other peoples from around the world. At this time we are developing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thinking. Mut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are rising as an important task of education but we need a practical and multi-angled multicultural education both in school and society. In this regard,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an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how to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respect each others’cultures despite their differences while simultaneously helping everyone develop a cultural identity.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find an effective teaching plan focusing on activities using book arts to which learners can have an easy access in their surroundings as a way to understand multicultural society. This paper is composed as follows: The introduction lays outthe necessity, goal and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Chapter II investigates the overall content on how to understan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explains the importance and value of an education that suits a multicultural society. Chapter III looks into book arts activitiesin which people express their ideas, feelings and stories by writing and drawing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thereby creates a variety of unique artists’books. It encourages students to produce artists’ books as a way to help them understand multicultural society. Chapter IV looks into how book arts have been applied to education by investigatingKorean and foreign book arts education. It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book arts activities and the teacher’s rolein book arts classes. By so doing it finds the educational meaning of book arts classes. Based on the studies above, chapter V suggests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using book arts through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have some contact with other countries’ cultures. The concluding chapter VI suggests a plan to initiate a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investigative results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students will get to know other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understand and recognize their cultures and ideas. By doing this they can nurture views and attitudes that respect the differences of others.

      • 내부 정렬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배정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인터넷을 이용한 웹의 활용가치가 각 산업분야에 인식되면서 웹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기존의 컴퓨터 보조 수업(CAI) 프로그램들이 인터넷을 통한 웹기반 교육(Web Based Instruction) 프로그램으로 개발되고 있는데, 이는 인터넷상의 정보획득이 보편화되었으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더욱 다양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 전산학과 저학년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자료구조 과목에서 자료처리에 사용되는 내부 정렬(Internal Sort) 알고리즘을 주제로 한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프로그램은 내부 정렬 알고리즘들의 특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부 정렬 알고리즘에 대한 이론 학습과 정렬과정을 직접 시뮬레이션 해 볼 수 있는 실습 과정으로 구성되었는데 특히 웹의 멀티미디어적 특성을 살림으로써 학습자가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고 정렬 알고리즘을 직접 실행해 볼 수 있다. World Wide Web상에서의 교육을 가능하게 해 주는 본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내부 정렬 알고리즘 이론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웹을 이용한 원격 교육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s applications of the world wide web by means of the internet to many areas usually make jobs done easier, several systems based on the web are also developed for each application field. For education, the early method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s has been improving into web based instructions through the web, which means we can get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web at any moment and at any place where a compute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In this thesis, we developed a web based instruction system that simulates the principal behavior of each step of some internal sorting algorithms, which are fundamental problem-solving approaches to understand basic data structures for students in the first or second year of the course at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The system displays the movement of each element graphically and dictates to a user what is going on for each step when the sorting algorithm is running, and has interactive buttons to start, stop, and continue the sorting procedure. The web based instruction system makes students easier under-stood the theory of the internal sorting algorithms through the world wide web. Therefore, we have proposed a new application of the web to education using multimedia techniques.

      • 놀이가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 : 6~7세 유아 중심으로

        이상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음악적인 능력은 대부분 유아기 때에 성장하므로 조기 음악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기 음악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 유아음악교육은 단지 악기위주의 음악활동만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놀이활동을 통하여 음악학습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아들이 음악적 개념을 자연스럽게 익히고 풍부한 음악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본론에서는 놀이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 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유아들의 음악 수업시간에 적용할 유아 음악놀이 지도안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6∼7세를 중심으로 음악놀이집단과 주입식 교육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누어 실습하고 평가한 후 그 평가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어떤 지도방법이 유아의 음악활동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실습을 통한 음악활동에서의 통계결과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놀이를 이용한 유아집단의 음악활동을 살펴보면 비교집단에 비해 탁월한 수업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놀이를 이용한 집단의 유아들은 주입식 교육의 유아들에 비해 훨씬 수업에 활기가 있었다. 둘째, 수업시간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셋째, 유아들 스스로 협동하고 질서를 지키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평균점수을 살펴보면 놀이6과 놀이13을 제외한 모든 놀이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놀이를 이용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주입식 교육의 획일적인 음악교육에 비해 놀이를 이용한 음악교육이 더 좋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활동 방법의 한 방안을 제시한 것이므로 이러한 내용을 학습 현장의 모든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음악 놀이의 융통성과 창의적인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As musical ability grows at babyhood for the most part, the importance of early music education is emphasized all the more. But, in spite of this importance of early music education, baby music education is made only with music activity centering around musical instrument at education spot. Thus, this study aimed at motivating music study through the play activity of babies and enabling them to learn musical concept naturally and to do rich music experience. In the main discourse of this thesi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lay education. This researcher studied and presented the guidance plan of baby music play which will be applied to the lesson hours of music for babies on the basis of it. And, this researcher practiced and evaluated by classifying into the group for music play and the group to be made with cramming education centering around 6 years old - 7 years old at real education spot and then analyzed the evaluation data. Thus, this researcher examined which guidance method is helpful to the music activity of babies. As for the statistics result at music activity through practice, result that there is not any difference between 2 groups appeared. However, to examine the music activity of baby group to use play, lesson result to be excellent than comparison group could be discovered. First, in lesson, babies at group to use play were far active in comparison with the babies of cramming education. Second, they participated in lesson positively and actively. Third, this researcher could see the form that babies cooperate and keep order for themselves. And, to examine average score, the score of experiment group to use play showed high in comparison with comparison group in all the plays except play 6 and play 13. Therefore, this researcher obtained the result that music education to use play is better than the uniform music education of cramming education.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presented one plan of method of music activity. So, it may not be proper to apply this contents to all the situations of study spot as it is. Thus, the flexibility and creative efforts of music play are required all the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