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기관 웹사이트 리뉴얼에 대한 GUI연구 :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을 중심으로

        김승덕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시대의 변화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은 하루가 다르게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인터넷 보급의 확산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게 하면서 사람들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변화시켰다. 인터넷의 발전은 교육기관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학교에 관한 정보수집이나 입학을 위해 더 이상 학교를 방문하지 않아도 학교의 홈페이지를 활용해 정보수집과 입학을 위한 원서접수가 가능해 졌으며, 학교생활에 필요한 정보나 여러 제반사항을 홈페이지를 통해 학생과 학교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교육기관 중 대학과 대학원의 경우는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많은 돈을 투자하여 광고를 하고 있다. 그러한 광고를 통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보도록 홈페이지의 접속을 유도하고 있다. 광고를 접한 사람들이 직접 대학에 찾아가거나 지인들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하기보다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기 때문이다. 대학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차별화를 위해 사용자를 배려하지 않거나 체계적이지 못한 구조와 무질서한 화면구성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학교 이미지 실축과 학생에 대한 무성의함으로 보여 질수 있다. 이런 저해요소를 리뉴얼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이해와 체계적인 UI를 활용하여 학교의 이미지 개선과 인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기관 중 디자인대학원 홈페이지에 관한 개념과 특성, 리뉴얼에 대한 중점사항과 UI요소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 디자인대학원 UI를 분석하고,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홈페이지를 리뉴얼하여 교육기관 홈페이지로써의 보다 바람직한 GUI를 제시하였다. Temporal changes and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 changing the world each day. In particular, the spread of Internet distribution has helped overcome temporal and spatial restrictions and changed people'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evelopment of Internet had great effects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It became possible to use a school website to get information and submit an application for admission without visiting the school any more, and there are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he school through the website in terms of necessary information for school life and many other things. Among many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make heavy investment in advertising through various media in keener competition. They are attracting connection to their websites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through the advertising. That is because those getting access to the advertising ge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the website rather than by personally visiting the universities or from acquaintances. With keener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there are some unsystematic structures and unorderly screen compositions without consideration of users in pursuit of differentiation, which can damage the image of school and be seen as insincere to students. For these damaging factors, it is necessary to use systematic UI in addition to the user-centered understanding through renewal to improve the image of school and enhance reliability.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s and properties of the website for graduate school of design among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mportant things for renewal, and UI elements to analyze UI for the domestic graduate school of design, renewed the website for graduate school of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and presented more desirable GUI as a website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 BRIDGE 사업의 성공요인 분석 :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윤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전문가 지원 및 지식재산권 실용화 지원을 통해 대학의 창의적 자산을 고도화하고 창의적 자산의 기술이전 및 창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부의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사업(BRIDGE)”을 살펴보고, 사업성과가 우수한 대학의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다른 대학으로의 성과확산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BRIDGE 사업 평가 최우수대학인 성균관대학교의 사업실적보고서 분석 및 사업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대학의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인 우수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균관대학교는 BRIDGE 사업을 통하여 우수한 기술사업 성과를 거두었고 전담인력 확보, 창의적 자산의 분류 세분화, 사업화를 위한 BM 모델 구축 등의 다양한 지원, 적극적 해외 마케팅, 외부 네트워크를 활용한 교내창업 투자유치 등이 우수성과를 내기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university creative asset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ject(BRIDG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aims to enhance the creative assets of universities through supporting experts and the practical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o promote technology transfer and entrepreneurship of creative assets. Analyzing the success and failure cases of a certain excellent university, this study will help attempting to expand the results to other universitie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successful cases in which the university'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usiness performance report of Sungkyunkwan University, and interviews with project manag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ngkyunkwan University achieved excellent technical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BRIDGE project, and various support such as securing dedicated personnel, subdividing the classification of creative assets, and building BM models for commercialization, active overseas marketing, and attracting investment for in-campus startups using external networks. It has been shown that this is an important factor for achieving excellence.

      •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 분석 및 역량모델 개발

        박세련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대학 내에는 다양한 유해화학물질과 새로운 물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가가 아닌 학생들이 이러한 화학물질을 다루기 때문에 각 종 안전사고 및 화재, 폭발 등의 발생확률이 높다. 또한 대학시설은 비교적 출입이 자유로워 테러 등 사회재난의 잠재적 위험에도 항상 노출되어 있다. 화재, 폭발, 테러 등 재난 발생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관리가 미흡하며, 국내외의 대학교 대상의 재난관리 역량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 관리를 위하여 선행적으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모델 개발을 위하여 성균관대학교를 대상으로 법령, 조직, 매뉴얼, 재난자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대학교의 총체적인 재난안전관리 현황을 파악하였고, 업무중심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재난단계별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업무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업무분류를 기준으로 기존의 재난관리 역량 모델을 적용하여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11개 역량을 도출하였고, 11개의 각 역량에 대한 정의, 핵심활동, 임무로 구성된 역량기술서를 개발하였다.

      •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 현황 분석연구 :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김보람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presents a way of dance department course using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investigation of graduate students for meet fast changing fashion. In this thesis, several universities’ education goal and study course are compared. And then conducts a questionnaire to the each university students for introduce a result. These investigations have been proposed in six Seoul region universities, Kyunghee, Kookmin, Sungkyunkwan, Sookmyung and Hanyang University and four another region universities, Kangwon, Pusan, Chonbuk and Chungnam University. The investigation analysis result for each school is as follows. First, each school’s education goal is make a dance specialist that has practical skill and theory. And structure of education goal is three-separated. So each school doesn’t have any difference. Second, basic theory takes most of part in subject classification table. For this reason, present education course need to establish other field school subjects. Third, previous and present research results comparison are not much different to each other. So we know the education course improvement dosen’t take effect. Fourth, some another problems are appeared. For example, class is become formalism and un-subdivision, lack of depth study and an uncertain way. For solve these problems, this thesis present a model education course of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University divides dance department and dance education course, so they can establish field and education as a same category. Domestic graduate schools establish uniform education goals and similar education courses, but New York University has two divided education course as a practice and theory. Their education subject number is less then domestic universities so they can depth study. Also they make active relationship to local community, solve graduate students’ way problem naturally. Through these researches, this thesis introduces some results. First, we need to establish a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education goal. Above research target schools don’t have different things in their dance course because they are teaching practical skills and theory under the same name of ‘Dance Department’. And another domestic graduate department dance is almost same. Second, we should open subdivisional and systematic courses to meet efficient management of the education goal. Graduate curriculum need to establish several detail divisions for give a chance of a depth study to students. Third, we need to expand the introduction of Interdisciplinary system. The most of universities’ course have relationship to only art field. Large relationship to medical, educational, compute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is essential for study for week position. Finally, a down-to-earth education course system that related to society is necessary. The graduate course must be efficient when graduates go to the filed. Former dance education is set much value on basic theory. But now a day, dance education is enlarging its work space to management, administration, planning, science, medicine and computer by directly or indirectly. Establishment of systematic education course helped to enlarge graduate student’s workspace So we can give a help to enlarge graduate student’s workspace through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education course. 본 연구는 현행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 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현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교과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지역의 6개 대학인 경희대학교, 국민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와 지방의 4개 대학인 강원대학교, 부산대학교, 전북대학교, 충남대학교의 대학원 교육목표와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각 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각 학교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의 교육목표는 실기와 이론을 겸비한 무용 전문인력 양성으로 거의 같은 목표를 설립하고 있었으며, 교과과정에서는 3분법적인 구조로 학교간의 차별성이 없었다. 둘째, 과목분류표에서 기초이론분야의 교과목 개설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어 현 교과과정은 타 분야의 교과목 개설이 시급하다. 셋째, 선행연구의 교과과정 개정에 따른 만족도 응답결과와 현재의 조사결과가 차이를 보이지 못하고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음을 볼 때 교과과정의 개선은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 문헌연구와 조사분석 결과를 통해 형식적이고 비 세분화된 수업과 심도 있는 연구의 부족, 불확실한 진로라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뉴욕대학교의 교과과정을 모델로 제시 한다. 뉴욕대학교는 무용학과와 무용교육학과를 분리하여 현장과 교육이라는 두 가지 범위가 하나의 울타리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교과과정을 설립하고 있다. 두 학교의 교과과정을 비교해보면 국내 대학원은 획일화된 교육목표와 비슷한 교과과정을 설립하고 있는 반면, 뉴욕대학교는 교육목표에 따른 실기와 이론이 두 개의 학과로 분리되어 설립 되어있다. 교과목 수 에서는 국내 교과목 보다 적어, 적은 과목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꾀 하고 있다. 또한 뉴욕대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활발하여 국내 대학원 교과과정에서 문제점으로 나타나는 졸업 후의 현실적인 문제를 적극 해결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립한다. 위의 연구대상학교는 ‘무용학과’라는 명칭 하에 실기와 이론을 모두 교육하고 있어 차별화된 특징이 없으며,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은 거의 같은 구조로 교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교과목을 개설한다.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립했다면 이에 부응하는 교과목을 개설해야 할 것이다. 대학원 교과과정은 다양한 분야의 교과목 개설보다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교과목 개설로 학생들에게 심도 있는 연구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제간 과정의 도입을 확대해야 한다. 대학원 교과과정 중 타 학문과의 연계과정이 있는 학교는 많지 않았으며, 미술, 연극, 영화분야 등의 예술분야로만 연계가 되어 있는 실정이다. 의학, 교육학, 컴퓨터, 행정, 경영에 관련된 학과와 연계를 넓혀 미흡하고 부족한 분야로의 연구가 확대 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와 연계되는 현실적인 교과과정을 설립해야 한다. 대학원 교과과정은 대학원생들이 졸업 후 사회에 나아가서 실제로 활용 할 수 있어야 한다. 예전의 기초이론을 중시했던 무용교육도 이제는 현 시대에 발 맞춰나갈 수 있는 경영, 행정, 기획, 과학, 의학, 컴퓨터 등 여러 분야를 직접, 간접적으로 접목하여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러한 분야의 교육은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닌 체계적인 교과과정 개설로 졸업 후의 활동영역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 미디어 평판이 대학교 평판에 미치는 영향

        조은영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승자가 모든 것을 가져가는 승자독식의 시대가 도래 하면서 주도권을 획득한 조직과 그렇지 못한 조직과의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조직들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경영활동을 하고 있다. 이에 조직들은 재무적 성과 뿐 아니라 비재무적인 성과에도 관심을 갖고 있는데 평판 관리가 그 모범을 제시할 수 있다. 높은 평판을 지닌 조직은 낮은 평판을 지닌 조직보다 미디어 관계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하며 가시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 밝혀졌다. 최근에는 평판을 구축하는데 미디어가 유용하다는 도구적 관점에서 확대되어 미디어가 조직의 평판에 영향을 준다는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대학교 역시 성장을 위해 활발한 광고, 홍보활동을 진행하여 그 규모가 해마다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렇게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활동 결과의 양적 확대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미디어 활동 결과물에 대한 질적 평가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또한 대학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대학교 평가기관과 언론사의 대학평가 내에 평판 측정지표를 넣어 평가하고 있으나 대학평판만의 측정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미디어 평판지수과 함께 대학교 평판을 측정하여 대학교의 미디어 활동이 평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0대 사립대학인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국어대, 한양대(가나다순)의 기사를 수집해 델라야 미디어링크와 평판연구소의 미디어 평판지수 측정 유목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미디어 평판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대학교 평판을 측정하기 위해 고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1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미디어평판지수는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성균관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국어대, 이화여대, 경희대, 서강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평판지수는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경희대, 한양대, 한국외국어대, 중앙대, 서강대, 이화여대, 인하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미디어 평판지수는 대학교 평판지수에 55%의 설명력을 갖고 있으며 강력한 미디어평판지수를 지닐수록 평판지수가 높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교의 보도 빈도와 매체 현저성은 대학교 미디어평판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미디어평판지수가 대학평판에 55%의 영향력으로 월등한 미디어평판지수를 지닌 대학은 평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5%이 영향력은 미디어가 긍정적인 내용 뿐 아니라 중립적, 부정적 내용을 제공하는 정보제공과 감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성균관대, 경희대, 서강대는 미디어 속의 위치와 모습보다 수험생의 평가가 긍정적인 반면 한양대, 중앙대, 이화여대, 인하대는 미디어 속의 위치와 모습보다 수험생의 평가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미디어 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하고, 후자의 경우 수험생들이 대학 정보를 접하는 접점을 파악하여 평판을 상승 시킬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함을 뜻한다. 본 연구의 대학교 미디어평판지수와 대학평판지수 측정 시도가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 있어 실무자와 학자들의 관심을 제고 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There has been a research result that the reputation of university serves as a critical factor for students to choose a university they want to enter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putation of university. It is media that spreads the reputation. The media reputation index with the concept that media affects the reputation has recently been developed, based on which a research on the effect of media on the reputation of university has been conducted. For this, the media reputation index has been measured by collecting news articles of Chosun, Joongang and Donga Dailies regarding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Inha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Hanyang University. And then,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200 high school students to measure the reputation of above-mentioned univers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media reputation index on the reputation of universities. First,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Korea University topped the list of media reputation indexes, followed by Yonsei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Inha University. Second, the university reputation index has been released in the order of Korea University, Yonsei Univesity, Sungkyunkwan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Third, the media reputation index of university has 55% of impact on the university reputation index with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dia reputation index and the university reputation index. In conclusion, Sungkyunkwan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have obtained more favorable evaluations among students preparing for college entrance than among the media while Hanyang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Inha University have shown the other way around. The underlying implication is that the former universities require more aggressive media relations while the latter ones need additional strategic communications with students or their potential customers. I hope this study encourages the interest and attention among university officials and scholars.

      • 대학 이미지 제고 및 홍보를 위한 신문광고 디자인에 관한 연구

        나옥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사회발전, 정보화, 지식경쟁의 심화, 수험생의 감소와 개혁의 요구로 인하여 대학의 모습은 변화하고 있다. 이제 대학도 시장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 생존자체가 위협받게 될지도 모른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과 우려는 대학광고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큰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이미지 제고와 효과적인 홍보활동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신문에 나타난 대학광고를 대상으로 현재 대학광고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학광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의 대학 홍보활동에 유의미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8년 10월 1일부터 2010년 9월 30일까지 주요 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게재된 대학광고를 자료로 활용, 분석하여 대학광고의 현황을 파악해 보았다. 표현형식의 분류인 증언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우송대학교, 동국대학교 광고를 사례로 제시하였으며, 유명인추천에서는 단국대학교 외 4개 대학의 신문광고를 활용, 유머는 서울산업대학교, 성결대학교, 경인여자대학, 동덕여자대학교의 신문광고를 제시하였다. 실생활에서는 동국대학교, 동양공업전문대학, 성균관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신문광고를 제시하였고, 수상ㆍ권위 부여에서는 고려대학교 외 5개 대학의 신문광고를, 경쟁적 과시의 사례로는 연세대학교 외 4개 대학의 신문광고를 제시하였다. 조형적 구성형식의 분류인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의 사례는 경희대학교 외 9개 대학의 신문광고를 활용, 사진(photograph) 사례로는 연세대학교, KAIST, 서강대학교 신문광고를 활용하였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에서는 홍익대학교 외 5개의 대학의 신문광고를, 심볼마크(symbol mark), 로고타입(logotype)에서는 연세대학교외 5개 개학의 광고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이 밖에 기타 표현전략인 공고형(public announcement format)의 사례로는 중앙대학교 외 12개 대학광고를, 이미지형 광고는 고려대학교 외 11개의 대학광고를, 복합형 광고는 숭실대학교 외 11개의 대학광고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환경의 변화에 따라, 대학광고가 어떠한 표현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는지에 관해 실태를 고찰해 본 바 각 대학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교육수요자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광고 표현소구 형태가 다양해지고 양도 많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레이아웃의 다양화와 공고형 광고의 진화, 이미지형, 복합형 광고의 증대 등을 통하여 대학광고가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현소구 형태의 다양화와 더불어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메시지 개발과 실증조사를 통한 교육수요자 니즈(needs)의 파악이 요구되어지며, 특정시기의 광고집중으로 인한 교육수요자의 싫증은 광고의 효과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광고전략의 변화와 지속적인 광고전략을 통한 대학의 이미지 형성 등을 통해 단기적인 효과보다는 누적적이고 장기적인 효과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Entering the 21st century, university is changing on the requisition of social revolution, informationization, excessive competition of knowledge, decrease in tesk-taker and demand of reform. Now, university know that if they were not have action of market change, their survive would be intimidated. This interest and concern serve as changing realization about university advertisement.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dition of advertisement of news' university advertisement in order to improve image of university and find effective measures. And will be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university advertisement. For this, I analyze how to carry university advertisement according to changing university enviroment. This study refer to university advertisement in The JoonAng, Josun, DongAh Ilbo From October 1, 2008 to September 30, 2010. As a result, I know that university advertisement diversifys form and is on the increase to induce interest of education consumers and bring advantage of university into relief. Also, university advertisement is changing through diversity of rayout, evolution of notice way advertisement and increasing of image way and complex way advertisement.

      • ISO22301을 기반으로 한 대학교의 BCM 적용

        권정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2001년 국제무역센터 9.11테러는 조직의 경영자에게 업무연속성에 대한 개념을 인지시키기에 충분했다. Black Swan의 저자인 Nassim Nocholas Taleb이 주장한대로 상상하기 어려운 사건이 발생할 것이라는 이론은 불과 5년도 되지 않아 후쿠시마 원전사건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통해 ISO는 2012년, ISO 22301 업무연속성관리 요구사항을 발행하였고 국·내외적으로 높은 관심사가 되었다. 국내에서는 업무 중단으로 인한 피해가 큰 금융, IT기업을 위주로 업무연속성관리를 도입하고 있으며, 미국의 NIPP와 같은 해외의 선례를 따라 최근 정부에서도 중소기업과 공공시설의 업무연속성관리를 도입하려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그 범위가 공공시설에 대한 법률로 제한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대학교는 많은 인구와 연구 자료가 있고, 재산과 인명을 지켜야 할 사회적 의무가 있다. 또한 대학교는 외부인도 출입이 가능하여 개방적이고, 다량의 화학가스 및 방사선에 노출되어있다. 해외 다수의 대학은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고 업무연속성관리를 도입하여 대학교의 안전 분야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도입한 사례가 없어 대학교 업무연속성관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케이스 스터디로 ISO 22301 분석과 해외대학의 적용사례를 활용하여 성균관대학교에 업무연속성관리를 적용하였다. 대학교의 중요 업무와 리스크를 식별하고, 업무 연속성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다. 케이스 스터디의 결과와 한계를 통해 대학교의 업무연속성관리의 도입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대학캠퍼스 건물의 내부휴게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중반이후 현상설계 작품을 중심으로

        박창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type of campus facilities varies depending upon their functions. Out of them, campus buildings play a crucial role in education and research. Especially, educational basic facilities and research facilities are most available and used by students and campus personnel. Although intramural rest places of campus building have direct influences on the activities of users, there have been little literatures or studies on them. In addition, it is usual that the rest places on the campus have not been planned until the finished arrangement of major rooms, i.e. there has been lack of consideration about the planning of intramural rest places due to the higher priority of major room planning. In regard of these points, this study addresses a set of new research and lecture buildings as designed recently on the campus, and looks through how the intramural rest places have been addressed in terms of campus planning. Furthermore, the study focuses on analyzing surveyed data to seek for the way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t places on the campus. For the resolution of ques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intramural rest places by the consideration of analysis framework(Space Syntax Model), the conceptual and glossarial summary of rest places and the consideration of design drawing for case buildings(472 rest places around 24 buildings on 7 campuses) according to literatures. Then, it classified intramural rest places into a few categor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For the classified data, RA of each rest places was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Space Syntax Model and the calculated RA values were analyzed. Through these courses, the study searched for the ways to enhance the spatial adjustability(integration, efficiency) of rest place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unit type of rest places, it was shown that they were mostly available as open type, followed by semi-open type and outdoor rest place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classifying the shape of whole building into traffic lines and nodal points, it was found that the building with 3 or more traffic lines had lower availability than anything else, because it required more nodal points along a little higher complexity and zoning formed at increased nodal points between building masses. Thirdly,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rest places on traffic lines, it was found that hall type was most excellent in the level of availability.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floor height, it was also found that hall-like open rest places and outdoor places like rooftop garden functioned as a factor to enhance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spaces. Summing up, these conclusions will help the follow-up studies make spatial creation planning that may enhance the spatial efficiency and availability of intramural rest places on the campus.

      • 대학교 sign system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옥외사인을 중심으로

        서선영 成均館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this study, I intend to lay out a scheme of design that can represent the more scientific and effective Sign system by investigating how the current exterior Sign system in University was actually designed and instituted for the readability of night-time users and vehicle users, as well as understanding its problems. The literature study, scene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research of Civilization & Society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were excuted as an investigation object. Likewise, the literature study and scene examination of six Universities in Seoul were excuted as an example of other Universities. Above all, by the literature study I investigated the function, characteristics and stylistic analysis etc. of University Campus for a theoretical articles, and examined the conception, purpose and function etc. of Sign syste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sign. I provided the photographs after analyzing the physical elements stylistically as the design and instituted position etc. of the orientational, directional, & designating Signs among the elements of the existing exterior Sign system in University. For this, from February to April in 2004 I executed the scene examination of six Universities that were selected for its comparative object. I tried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 and design of the existing Sign system by an interview with Exterior Sign Materials Management-Team, and staffs in charge of Sign design in Sungkyunkwan University as the investigation object in this study. Also, I investigated the used situation of the exterior Sign system by the response that the users of Civilization & Society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presented. For the questionnaire research, I classified the questions about the existing instituted Sign into 23 items, and then I inquired into the viewpoint of the students, staffs of campus, graduate students and general persons who use the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To simplify the suggested scheme of Sign system that can be easily seen to nignt-time users and vehicle us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n the literature study, scene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f you consider night-time users, the sign must be instituted with a light for the readability of night-time. Sencond, the sign must be instituted on the place within 10°, that is the most natural recognition angle, when the distant is 100M in vehicles. Third, the sign must be intentionally designed if you consider the functionality together with the modeling characteristic of Sign system, and also it must preserve uniformity. For this, the simple design that does not give any confusion for information must be chosen, and the identity color of University must be used. Fourth, the excessive abuse of information to forward information brings about the deterioration of communication effects. Consequently, in this study I intended to show a scheme on that the sign can give an actual assistance to users by means of complementing the functionality to the modeling characteristic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original identities of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