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부 대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태도·행동의 특성과 성경험 예측요인 연구

        강효윤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대한 실태와 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들의 영역별 성지식점수를 분석한 결과, 성심리(M=77.42)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고, 생식생리(M=76.16), 피임·낙태(M=71.40)순으로 나타난 반면 성병·AIDS(M=55.92), 성폭력(M=61.51)에 대한 성지식은 낮았다. 특히 성지식의 하위분류 중 성심리와 성병·AIDS에서 남학생이, 임신과 성폭력 그리고 전체 성지식에서는 여학생이 더 높은 성지식 점수를 나타냈다.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이나 성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러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과 초·중·고·대학교 성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보다 오히려 성지식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2. 대학생들의 영역별 성태도를 분석한 결과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이 있는 학생들에게서 더 개방적인 성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성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성태도가 개방적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남학생이나 고학년일수록, 사회계열이며 종교가 없을수록 성태도가 자유로웠다. 3. 대학생들의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을 분석한 결과 여성잡지를 제외한 다른 성관련 매체에서 남학생들의 접촉경험이 여학생들과 상당한 격차를 내며 많게 나타났다. 특히 군필 및 보충역이었던 학생들과 남고나 남녀공학에서는 분반출신인 남학생들의 경우, 성별에서의 남학생들의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성 집단에서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을 양성적으로 더욱 부추기는 환경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4. 대학생들의 성경험을 분석한 결과 자위행위, 성교, 피임 등 대체적인 성경험에 있어서 남학생들의 경험이 더 많았고 군필 및 보충역일수록, 남고나 남녀공학의 분반 출신인 남학생, '남성 집단'의 출신인 남학생에게 성경험이 더 많았다.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부모의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성경험이 더 많았다. 5. 대학생들의 성고민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성고민 해결방법에서 남학생은 '이성과의 성관계를 통해' 나 '운동, 취미생활' 등을 여학생보다 더 많이 선호하여, 적극적인 해결방법으로 성고민을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여학생은 상대적으로 성고민 해결방법을 주변 사람들과 의논하거나 혼자 고민하는 경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냈다. 6. 대학생들의 성교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 학교의 성교육이 남학생에게 점점 신뢰와 흥미를 잃어 남학생은 오히려 성관련 매체, 친구들을 통해 말초적이며 자극적, 흥미위주의 불명확한 성지식을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교육 희망 강좌로 남학생들은 '피임방법, 성병예방', '남녀 신체적, 심리적 특성 차이', '배란, 월경, 몽정, 사정', '자위행위, 남녀 성행위기법'등의 순서에 반해 여학생들은 '피임방법, 성병예방', '성희롱, 성폭력 예방 및 대처', '올바른 이성교제', '남녀 신체적, 심리적 특성 차이', '임신, 출산과정' 등의 순으로 원하는 성교육 내용차이가 남, 여 간에 많이 나타났다. 7. 성경험 예측요인 결과로, 자위행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자 고등학교, 남녀공학의 분반, 합반 출신의 학생들, 군필 및 보충역일수록, 부모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인터넷 포르노 사이트와 성인만화 접촉경험, 학년, 성행위 태도, 성심리 지식, 여성잡지 접촉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성교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군필 및 보충역, 컴퓨터용 포르노CD경험, 학년, 성행동 태도, 순결 성태도, 이성교제 여부 순이었다. 피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군필 및 보충역, 성 관련서적, 포르노 비디오 접촉경험, 학년, 성행위 태도, 순결 성태도, 이성교제 여부 순이다. 성병의 요인분석의 결과로, 성행위 태도가 보수적일수록 성병 경험이 더 많게 나타났다. 원하지 않는 성교 경험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컴퓨터 포르노CD접촉 경험, 이중적 성 가치관 태도 순이다. 임신을 한(시킨) 경험의 미치는 요인은 부모 성태도가 보통일 경우, 부모가 개방적인 성태도의 경우, 군필 및 보충역, 성행위 태도, 순결 성태도, 성인만화 접촉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인공유산을 한(시킨) 경험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목고 출신의 학생인 경우, 군필 및 보충역, 순결 성태도, 인터넷 포르노 사이트 경험 순이다.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은 성경험의 하위분류마다 주요인으로 선택되어져 오히려 학교에서의 성교육 경험보다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이 성경험에 상당히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나타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개방적인 성태도를 나타나는 것은 성경험에 비례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추후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급격하게 늘고 있는 네티즌들이 인터넷을 통해 잘못된 성지식을 얻고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인터넷 상에서 건전한 성문화 정착을 위한 정부차원에서 제도적인 장치 마련과 인터넷 매체의 담당자들이 상업성 위주의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성윤리를 고취시키고 건강한 성문화가 정립되도록 스스로 반성과 자각할 필요가 있겠다. 2. 대학교내에서 학생들이 실제 희망하는 성강좌의 내용에 기초한 성교육을 정규교과과정으로 편성하고 성교육 전담교사 양성 및 교사들의 성상담을 중심으로 한 재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가정의 부모를 위한 전문적인 교과과정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3. 성지식, 태도, 행동에 대한 남녀 차이를 서로 이해하기 위해 이성교제 시효과적인 성적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적절한 학습기회와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4. 순결을 일반적으로 강요하는 교수법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에게 절실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 스스로 주체적으로 사고하여 합리적으로 자신의 판단과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5. 남성 집단의 성행동, 성매체 접촉여부나 성경험 등을 조사하여 남성 집단의 성의식과 행동 등이 가지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해결점을 찾아야겠다. 특히 이것은 남, 여 간의 이중적 가치를 일으킬 수 있기에 더욱 절실한 과제이다. The teenagers were forced to inhibit sexuality through school education, but when they become university students, their ideas of the issue shift due to the sense of freedom. Furthermore, the period of when they start working and marrying is delayed, despite the fact that the period when they begin to explore sexual curiosity and urge is faster. Therefore, there are worries about this problem of sexualit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university students overcome this problem and we, who are able to sexual behaviors in a healthful and responsible way, must aid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ex education and sex consult program, so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identify on the variables affecting sexual intercourse. This study selected questionnaires to get information.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650 students studying at th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ay 2005 to June 2005. For reference, the basic questionnaires were made up of total 95 questions about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troubles, educ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ir sexual knowledge of psychology, on the other hand their sexual knowledge of venereal disease and HIV/AIDS, sexual abuse was shown as low scores. And the male students had a higher sexual knowledge of psychology, venereal disease and HIV/AID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sexual knowledge of physiology, pregnancy, sexual abuse and the overall sexual knowledge than male students. And the main sources of sexual information were friends, internet, books and magazines.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s of sexual media contact or experiences of other sexual behaviors have higher their sexual knowledge scores than the students who have not experiences or had experiences of school sexual education. 2. The sexual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sexual media such as pornography, sexual magazines, sexual books, internet and computer pornography CD showed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than those students who were not. The mor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sexual behaviors showed the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than those students who have not.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re male students, the older students, the more social departments' students, the more liberal on sexual attitudes of intercourse, sexual morality, sexual doublethink, lewdness media. Christian students had a conservative sexual attitudes rather than any other students who have a different religion. 3. More male students have more experiences of the various sexual media except female magazine than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who were exposed at the males' group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or spend their school days at a not mixed-sex school or a boys' high school have many experiences of the various sexual media. 4. Generally the sexes and grade of students influenced the experience rates of sexual intercourse. Male students had much experience higher rates of intercourse, masturbation, contraception on sexual intercourse than female students, and older students had higher experience rates of intercourse, masturbation, contraception. The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of parents had much higher rates on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sexual troubles, sexual troubles stori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sexes. For example, male worried about 'insufficiency of sexual knowledge' and 'excessive interesting about sex' in order. However, female worried about 'virginity' and 'the guilty of thinking about sexual curiosity' in order. According to the way to solve sexual troubles, the overall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onded 'I consult with peer or senior when I have sexual troubles'.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I try to solve sexual trouble alone, because I don't know who is the best person and I'm not sure they can help me.' The difference of sex to solve the sexual troubles is that much male students want to solve it through more positive solution like 'through intercourse' or 'exercises or exciting habits' than female students. These conscious gap showed really much difference btween male and female. 6. A number of students are unsatisfied with sexual educations even now, specially male students. And, those male students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sexual education programs.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bout course that they want to listen. The courses which male students want to listen are about 'a contraceptive measure, prevention of venereal diseases', 'the differences of man and woman's body and mind', 'ovulation, menstruation, night pollution, ejaculation', and 'masturbation, how to sexual intercourse' in order, on the other hand female want to courses about 'a contraceptive measure, prevention of venereal diseases', 'what is sexual harassment and how to keep it', 'what is right relationships with opposite sex', 'the differences of man and woman's body and mind', and 'pregnancy, the course of childbirth' in order. Therefore b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 many differences which they want to stories of sexual education. 7. Into result on the variables forecasting sexual intercourse, variables forecasting masturbation is much higher experiences influence of that as 'male students spend their school days at the boys' high school' than the girls' high school. And the variables forecasting were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than any other students who had not, as 'the students on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of parents' than the students on more conservative sexual attitudes of parents, as 'experiences of internet porno site's contact and experiences of the adult cartoon's (animation) contact', as 'grade', as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as 'sexual knowledge of psychology', as 'experiences of female magazine's contact'.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intercourse were identified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as 'experiences of computer porno CD's contact', as 'grade', as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and as 'sexual attitudes of morality', as 'experiences of meeting with the opposite sex friend'.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contraception were identified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as 'experiences of sexual book's contact' and experiences of porno video's experiences contact', as 'grade', as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and as 'sexual attitudes of moralitys' attitudes, as 'experiences of meeting with the opposite sex friend'.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venereal disease find that.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were showed more conservative, experiences of venereal diseases made higher.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Subjects on students did not want to experiences of intercourse were identified as 'experiences of computer porno CD's contact', as 'sexual attitudes of doublethink'.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experiences were pregnant with child or got female with child were identified as 'the students on more medial sexual attitudes of parents' and 'the students on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of parents' than the students on conservative sexual attitudes of parents,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as'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and as 'sexual attitudes of morality, as 'experiences of the adult cartoon's(animation) contact'. The students are more watch an adult cartoons, on the other hand experiences of pregnant with child or got female with child are more reduce.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induced abortion were identified as 'students spend their school days at the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 than the academic high school,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as 'sexual attitudes of morality', as 'experiences of internet porno site contact'. If the subjects have more low experiences of internet porno site, they have a lot of more induced abortion. The older students, it make the higher sexual attitudes. And it show proportional to sexual intercours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1. Many people are touch wrong sexual knowledge on the internet, so we have to make institution to prevent it and establish right sexual culture through the government. 2. The courses which the university students want to listen have to be opened at the university, and the education through an expert about sex(most of the sexual consultants) have to be started consistently for parents, not just students. The role of family and school should be extended in sexual education and consultation. So education program is needed for parents and sexual education teachers. 3. The systematic system and a proper sexual education have to be offered to students to understand each other's differences lik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It is needed to educate the students for effective self expression, consultation, and mutual comprehension about male and female person to solve the troubles and conflicts in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due to differences of man and woman's sexual attitude. 4. At the university, the professor have to change their teaching way which just demand students to keep their purity to help what they really need. Sexual consultants have to respect and consider university student's changing values and viewpoint of sexuality.

      • 부자가정의 가족기능과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지연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부자가정의 가족기능과 부-자녀 간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아동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아동복지실 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부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총 107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100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가족기능은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의 하위영역으로 측정하였으며, 의사소통은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으로 구성하여 합산한 점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학교적응은 학교흥미, 학업·성적태도, 규범준수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아동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부-자녀 간 의사소통, 학교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의사소통집단별 학교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족기능과 부-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가사를 돕는 부자가정 아동은 전체 조사 아동의 7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자가정이 된 사유 중 이혼, 별거·가출이 88.0%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2) 아동의 학교수준에 따라 가족적응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아동의 출생순위에 따라 가족적응성과 부-자녀 간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막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동의 가사시간에 따라 부-자녀 간 의사소통에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사를 하지 않는 아동이 의사소통을 가장 개방적으로 하고 있었다. 5) 부와 의사소통하는 시간에 따라 가족응집정과 가족적응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소통 시간이 많을수록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이 높게 나타났다. 6) 부자가정이 된 사유에 따라 학교흥미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부모가 이혼한 가정의 아동의 경우 별거·가출한 가정의 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7) 의사소통집단에 따라 학교흥미와 학교적응 전체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개방형 의사소통집단이 문제형 의사소통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8) 가족기능과 부-자녀 간 의사소통 가운데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기능의 하위요소 중 가족응집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부자가정 아동의 가사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서비스와 이혼한 가정의 아동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아동의 학교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하며, 부와 막내의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더불어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해 개방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교육해야 한다. 이와 함께 부자가정의 가족응집성을 높이기 위해 가족구성원이 서로 친밀감을 느끼고 정서적 유대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 family function and open-communication in single father family and to draw a plan fo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derive child welfare practical implication. Among the collected 107 data of single father family data from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to high school student, 100 data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this research. Family function was divided into two subordinate domains as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hile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as splitted into two subordinate domains as open and close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divided into school interest, attitude and law-observance. For analysis of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surveyed people was grasped and the general properties of children and family,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chool adjustment and difference of communication group were inspected. Finall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or family function 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effect to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According to the survey of general properties, 78% children does housework in single father family and the value for the cases of divorce, live separately, leaving home was 88.0% that shows up in many reason of turn to single father family 2) According to school grade of children,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 in family adaptability, and degree of family adaptability increases in proportion to school grade of children. 3) According to birth order of children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 in family adaptability 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last born was lowest. 4) According to housework time of children,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n i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t was observed that children don't doing housework communicated with his father more unreservedly than those who doing housework. 5) According to communication time with father,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n i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and It was unequivocal that a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increase as increasing communication time. 6) According to reason of turn to single father family,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n in school interest. Especially,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show more low school interest than children from live separated and leaving home families. 7) According to communication group,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n in school interest and general school adjustment, and open-communication group was more higher grade than close-communication group. 8) The factor which influence the school adjustment among the family function 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as family cohesion. According to the base on this study, practical meaning is like this. There is a requirement of services to help children to reduce their houseworking time in single father family as well as support the children in divorced family. There is also a high demand for a section intervention in the children grade and programs for relation improvement between father and the last born. Also, there must be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increase of open community skill for children as well as a special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mutually affinity and emotional relation of the family members in order to increase the cohesion of a family.

      • 협동조합 생존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시 일반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윤석진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협동조합기본법 상 일반협동조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 무엇인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협동조합은 ‘재 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이다. 2012년 협동조 합기본법이 제정된 후 약 16,700개 이상의 일반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하지 만, 현재까지 일반협동조합의 생존과 관련된 연구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협동조합의 생존 여부를 종속변수로 한다. 또한 창업기업과 사회적기업의 생존요인을 바탕으로 일반협동조합의 조직 내ž외부 요소를 독 립변수로 설정하여 일반협동조합의 생존과 관련된 요인은 무엇인지, 또 각 요인은 조합의 생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는 서울시 일반협동조합을 대상으로 하며 각 조합의 기초 자료는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등록자료를 이용하고, 기업의 운영여부는 서울시 협동조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2년 부터 2017년까지 6년간 설립된 802개의 일반협동조합이며, 설립된지 5~10년 이 지난 2022년을 기준으로 생존 영향요인을 분석할 예정이다.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 각 요 인과 생존의 관계를 파악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되지 않았던 일반협동조합의 생존영향요인을 탐색 적으로 연구하여 협동조합의 질적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으나, 해산 협동조합의 종료시점이 포함되지 않아 COX의 위험비례모형 등 추가 적인 분석을 진행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부양의무자 기준의 타당성 비판

        정종운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그동안의 시행과정을 거치면서 기초생활보장이 절실히 요청되는 빈곤층을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러한 주요 원인은 대상자 선정기준인 부양의무자 기준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은 기초보장법 부양의무자 기준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현행 기준이 빈곤층의 국가부양을 실현하기 위한 선정기준으로 적합한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부양의무자 기준의 타당성 평가를 위한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부양을 지향하는 기초보장법에서 사적부양의 완화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법적 안정성의 기준으로 평가한다. 둘째, 기초보장법 내에서 시행되는 사적부양이지만 사적부양의 상위법인 민법의 규정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법적 체계성으로 평가한다. 셋째, 사적 부양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현실 적합성으로 평가하고 현실 적합성에 있어서는 일반가구의 부양현실과 빈곤가구의 부양현실을 나누어 그 적합성을 평가한다. 이 연구에서 부양의무자 기준이 기초보장법의 선정기준으로 타당한가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보호법의 전개과정에서는 사적부양 요구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기준에 머물던 것들이 기초보장법에 들어와서 사적부양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기초보장법의 부양의무자 기준은 법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기초보장법의 부양의무자 기준은 부양범위와 부양능력, 부양정도에 있어서 상위법인 민법의 규정보다 사적부양 책임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고 적용과정에서도 당사자간의 협의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요구하고 있어서 민법의 규정에 위배된다. 따라서 기초보장법의 부양의무자 기준은 법적 체계성에 문제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일반적인 가구의 부양현실은 자녀와 부모를 중심으로, 자신의 경제적 능력기반 내에서 부양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부양의무자 기준은 부양범위에 있는 모든 부양의무자에게 정해진 소득과 재산기준에 따라 정해진 부양비를 요구하고 있어서 일반가구의 부양현실에 비추어 현실 적합성을 지녔다고 보기 어렵다. 넷째, 빈곤가구의 부양현실은 자녀의 부모 부양조차도 일반적이지 않았다. 또한 소득과 재산기준을 모두 초과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소득기준만 약간 초과하여 부양능력 있음으로 판정이 되어도 실질적인 부양비 지원은 어려웠다. 최저생계비까지 부양하기는 더욱 불가능 하였으므로 부양의무자기준의 부양범위와 능력기준과 부양정도는 빈곤가구의 부양현실에 대한 현실 적합성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적부양을 명시한 민법의 적용과 일반적인 부양현실로 볼 때 부양범위는 자녀와 부모간의 관계에만 적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둘째, 부양의무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소득기준에 있어서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소득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사실상 부양능력이 있음으로 결정되어도 부양비지원이 불가능하므로 현실적인 대안이 요청된다. 셋째, 부양의무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에 있어서 재산기준은 상한선에 대한 기준만 두고 폐지되어야 한다. 실제로 소득으로 전환되지 않는 재산은 부양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며, 재산을 처분해서 부양 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지나친 강요이기 때문이다. 넷째, 현재 부양의무자 기준이 현실과 괴리되는 원인은 부양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부양의무자 기준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먼저 사적부양 현실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외국 공공부조의 경우 개인책임의 원칙을 고수하고 수급자 선정기준을 강화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사적부양 의무를 동원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사적부양 의무를 동원하지 않고도 진행될 수 있는 기초보장법의 선정기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Law is said to disregard the poor, and the standard to determine who is responsible for support is the key cause to invite such a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ke a critical look at the validity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Law standard of determining who was responsible for support, and to assess whether the current standard served to provide national support to the poor. Specifically, it's attempted to delve into its legal security, namely whether it continued to relieve private support responsibility, its legal system, namely whether it complied with the civil law that was the higher law about private support, and its reality, namely whether it matched with realities about private support by the poor class and non-poor cla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Assistance Law had given less weight to private support, or the requirement for that was just for form's sake. But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Law demands it,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re's something wrong with the legal security of this law's standard of determining who is responsible for support. Second, the law imposes more responsibility on private support than the civil law, which is the higher one, and it also runs counter to the civil law in that it demands private support unilaterally without consultation between the parties concerned. Accordingly, it could be said that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Law standard of determining who is responsible for support is inappropriate in light of legal system. Third, parents and their children care for each other in general based on their financial capabilities, but the law demands a fixed amount of supporting expenses from every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support, according to his or her income and properties. As a consequence, it couldn't be said that the law faces up to reality. Fourth, it's not common in poor families that adult children actually care for their parents, and their income and properties rarely exceed what's specified in the law. Even in case their income is just slightly more than that, they are hardly eligible for any substantial national support as they are regarded as being capable of caring for their parents. Furthermore, it's impossible to provide a minimum living cost, and there is something wrong with the law's re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it's reasonable to impose the responsibility of support on parents and their children only in light of the relevant civil law and realities. Second, evaluating one's ability of supporting based on minimum living cost is unrealistic, since financial aid is not possible though it's judged that he or she has such an ability. More realistic approaches are called for. Third, one's properties shouldn't be one of the factors to evaluate his or her ability of supporting, and there should be a property ceiling only. As a matter of fact, any kinds of properties that couldn't be converted into real income could make no contribution to support, and calling on one to take the responsibility by disposing of his or her properties is neither rational nor realistic. Fourth, there is a wide gap between reality and the standard of determining who is responsible for support, since reality is never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make it work better,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support should thoroughly be investigated. Finally, public assistance in other nations doesn't accentuate private support, even though they stick to the principle of personal responsibility and reinforcce the criteria of selecting beneficiaries. It's requested to research how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Law could be successful without relying on private support.

      • 보육료 지원 확대가 자녀양육부담 완화와 여성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소득계층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경임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보육료 지원정책이 영유아 가구의 자녀양육부담을 완화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증진시키는 정책목표를 실질적으로 달성하고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보육료 지원의 영향이 소득계층별로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고 소득집단을 구분하여 그 차이를 파악하였다. 한국복지패널 4차(2008년 기준)부터 8차(2012년 기준)까지의 원자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보육료 지원정책이 자녀양육부담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보육료를 지원받는 비율, 영유아가 이용하는 보육∙교육서비스의 유형, 각 가구가 자녀보육을 위해 실질적으로 지출한 금액, 그리고 이러한 지출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보육료 지원정책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영유아 어머니의 경제활동 참여여부와 참여형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정부의 보육료 지원확대는 전체 가구의 실질적인 보육비 부담을 감소시키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소득계층별로 살펴보면 보육료 지원이 확대되면서 소득집단 간 보육비 격차는 일정수준 해소되었으나 일반가구의 보육비 감소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소득층 가구의 가구소득 대비 보육비 부담률은 여전히 일반가구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보육료를 전액 또는 차등 지원하더라도 부모가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발생하여 저소득층 가구의 보육에 대한 부담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여성경제활동 참여율은 일반가구와 저소득층 가구 모두 상승했지만, 일반가구는 ‘양질’의 상용직 비율이 높고, 저소득층 가구는 ‘질 낮은’의 임시•일용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정부가 보육료 지원정책을 통해 기대했던 여성경제활동 참여율 제고의 효과가 부분적인 성공에 그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저소득층 가구의 보육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서는 추가비용까지 포함한 현실적인 보육비용을 지급해야 하며, 영유아를 키우고 있는 저소득층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보육료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여성인력에 대한 재취업 교육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같은 보완적인 정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 childcare subsidy policy actually achieves the goal to alleviate the burden of Child-rearing for the households with infants and increase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It particularly considered that the childcare subsidy has different influence on different income bracket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come group.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using Korea Welfare Panel Study from Wave 4(2008) to Wave 8(2012) data to suggest the findings.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hildcare subsidy policy on the alleviation of burden of Child-rearing, it analyzed the ratio of childcare subsidy, the types of child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used by infants, the actual expenses of each household for childcare, and the ratio of these expenses to income.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hildcare subsidy policy on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it analyzed th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mothers of infants and their type of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 government’s enlargement in childcare subsidy has reduced the practical burden of child-rearing for the entire households and increased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Considering each income bracket, however, the increase in childcare subsidy has alleviated the divide in childcare expenses between the income groups, but the childcare expenses have decreased more for general households. The burden of childcare expenses compared to household income is still higher for low-income households. For that reason, there are additional expenses the parents should pay even if the government pays the entire childcare expenses or provides graduated subsidy, and the burden of expenses remains higher for low-income households.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has increased for both general and low-income households, but general households have more ‘high-quality’ regular job while low-income households have more ‘low-quality’ temporary/ irregular job. This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which is what the government intended to achieve through the childcare subsidy policy, may only be partially successfu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alistic childcare subsidy should be paid including all of the additional expenses in order to lower the burden for low-income households. Also, childcare subsidy has a limit to increase th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low-income women who are rearing inf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lementary policies, such as back-to-job training and creation of quality jobs.

      •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한진수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장애인복지는 수용과 보호의 이념에서 재활이념을 넘어 장애인이 주체적인 삶을 중요시하는 자립생활이념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이것은 이전의 이념들과 달리 실제 당사자인 장애인이 중심이 된 이념으로서 자기결정권, 당사자주의, 중증장애인중심, 사회통합을 핵심적 가치로 한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 시작되어 오늘날에 정착화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1980년대 도입되기 시작하여 1990년대를 거치면서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한국에서도 1990년대 일본으로부터 자립생활이 도입되기 시작하여 오늘날 정부의 공식적 정책의제로 거론되고 있으며, 자립생활센터들의 활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나 일본이 중증장애인이 중심이 되어 자립생활이념을 발전시켜온데 비해 한국은 일부 관련 전문가들이나 경증장애인들에 의해 도입되고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중증장애인이 자립생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거나 자립생활이념이 왜곡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중증장애인이 중심이 된 자립생활이념의 실현과 중증장애인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자립생활관련 교육을 받았거나 관련 서비스를 받기 시작한지 6개월 이상 된 중증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눈덩이 표집방법과 의도적 표집방법 등을 통하여 6명의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1시간 정도의 심층면접과 참여 관찰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세계보건기구가 제안한 ICF의 분류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활동, 참여, 의식영역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후 Colaizzi가 제시한 5단계의 분석방법을 통하여 자립생활 이전과 이후의 변화양상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개인의 개별적 환경적 특성들인 성별, 학력, 거주형태 등에 따라 변화양상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활동, 참여, 의식적 차원에서 자립생활 이후 변화양상을 보면 활동의 차원에서의 변화양상은 지식의 학습과 적용, 일반적 과업과 요구, 의사소통, 이동성, 자기관리 등의 영역에서 활동의 양과 기회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정생활과 관련된 활동은 공통된 변화양상을 찾을 수 없었다. 참여의 차원에서의 변화양상은 의사소통, 이동성, 대인관계, 공동체 및 시민생활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참여의 정도가 자립생활 이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교육, 노동과 고용의 영역에서는 변화의 정도가 적거나 공통적인 변화양상을 찾을 수 없었다. 의식적 차원에서의 변화양상은 욕구가 증가하고, 자신의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사회에 대한 다양한 의식을 갖게 되는 등의 변화양상들이 발견되었다. 장애인들의 개별적 환경적 특성에 따른 변화양상의 차이는 성, 교육, 거주형태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발견되었다. 성별에 따라 참여의 영역에서 대인관계, 공동체 및 시민생활 그리고 의식영역에서 변화양상의 차이가 큰 것으로 발견되었다. 학력에 따라서는 활동의 영역에서 일반적 과업과 요구수행, 참여의 영역에서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의식 영역에서 차이가 큰 것으로 발견되었다. 거주형태에 따라서는 혼자서 생활하는 것과 가족과 같이 생활하는 것 간에 활동의 영역에서 가정생활과 관련된 활동의 수행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자립생활 이전과 이후의 변화양상에 영향을 주는 자립생활 관련 서비스로는 PAS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활동, 참여, 의식적 차원 간 일정한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있었다. 자립생활이 중증장애인에게 주는 변화양상에 관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네 가지의 함의를 얻을 수 있다. 첫째 PAS의 중요성과 국가적 차원의 보장을 위한 제도화, 둘째 참여의 차원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사회로의 참여의 확대를 위한 대책 마련, 셋째 여성장애인에게 주어지는 이중적 차별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책 마련, 넷째 정규교육의 중요성과 저학력 성인 장애인에 대한 교육대책 등이다. The paradigms on welfare for the disabled has been changing rapidly. In the past, the disabled were sometimes segregated, sometimes prot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government welfare policy. These days,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has been more emphasized. So a new paradigm has emerged. The IL paradigm cherishes (1)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disabled, (2) parteienprinzip, especially the severely-disabled, and (3)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America had developed the paradigm in 1970's. Japan had adopted the IL paradigm in 1980's. The Korean government has taken up the IL paradigm and begun the independent living center since the late 1990's. But there is a major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former two countries. In America and Japan, the independent living has been firmly established even among the severly-disabled. In Korea, however, the independent living is only for the mildly-disabled, and the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play major role in introducing independent living program.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independent living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severly-disabled This study adop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y snowball and intentional sampling 6 interviewees were chosen among the severly-disabled who had or have been provided with the independent living service for more than 6 months. They were interviewed for about one hour respectively. In addition, supplement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The severly-disabled have experienced some changes through their independent living. Their changes are divided into three levels ―activity, participation, and consciousnes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laizzi's 5-step analysis method. Som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gender, education, and residence―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the activity level, the quantity and chances of activity by PAS are increased in such areas as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general tasks and demands, communication, mobility, and self-care. But in the domestic life, they don't have any change in common. In the participation level, after the independent living, the extent is expanded in the community, social and civic life ― communication, mo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re is no or little change in education, work, and employment. In the consciousness level, needs are increased, the views on their disabilities become positive, and the social consciousness is develops. Amo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gender is the most important. Gender plays a great rol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munity, social and civic life. Education mak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level―(1)general tasks and demands in the activity level, (2)communication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participation level, and (3)needs, disability, social consciousness in the consciousness level. Residence ―whether the disabled live alone or together with family members― is important in the activities related with the domestic life. Among the various services, PAS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t living. There is a certain link among the three levels―activity, participation, and consciousness. Through this study, the alternative policies are drawn: (1)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AS, (2)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3) the special care for the women disabled, (4) th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life 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adult disabled deprived from education.

      • 팀창업교육의 경험과 의미 : HBM사회적협동조합의 실천공동체 구성 과정

        윤숙희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협동조합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협동조합은 일자리 창출과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 제공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협동조합 창업과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협동조합 창업교육은 창업지식과 기술 전달에 초점을 둔 일반 창업교육과 달라야 하며 설립 절차에만 치중한 기존 협동조합 교육과도 다른 차별화된 교육모델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조합 창업지원 기관 중 하나인 HBM사회적협동조합의 팀창업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의 경험이 어떤 변화와 의미를 가지는지 확인하고 행위주체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학습과 실천이 일어나는 실천공동체의 관점에서 팀창업교육의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HBM팀창업교육은 창업지식과 기술보다 소통과 협업, 시장 기회보다 장기적 비전과 미션을 강조하는 창업교육으로 협동과 연대를 핵심으로 하는 협동조합 운영에 효과적 교육 방식임을 발견했다. 또한, HBM팀창업교육은 사회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팀학습을 설계하고 촉진하여 개인과 팀의 역량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협동조합 운영의 실천을 공유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실천공동체를 구성해 나간다. 교육 참여자들은 사회적 문제해결과 공동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협동조합 창업을 선택했으며 창업교육을 통해 협동조합 설립과 운영에 대한 아이디어와 노하우를 공유하고 학습하는 실천공동체로 진입하게 된다. 본 연구는 협동조합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재한 가운데 HBM팀창업교육 참여자들의 경험과 의미를 근거이론 접근으로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팀창업교육이 실천공동체 구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협동조합 창업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협동조합 창업은 경제적 동기나 개인적 성취가 아닌 공동의 필요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결사의 형태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일반 창업과 다르다. 따라서 창업교육의 내용과 방법도 달라야 함을 확인했다. 협동조합 창업교육은 조합원 모두가 소통하고 협업하는 공동의 의사결정 과정을 학습하고 경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여성노동자의 생애와 배움 : 야학에 참여한 중년 여성의 생애체험에 대한 사례연구

        이영미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논문은 '1960, 7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여성노동자들의 공장체험과 이후 삶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1960, 70년대 일반적인 여성노동자들의 체험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본 연구는 한 야학에 참여한 여성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과정에서 "배움"이라는 중요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의 체험이 수렴되는 중년에 시도한 "배움"은 과거로부터 이어진 현재까지의체험이 갈등적으로 드러나는 중요한 매개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구술자들의 전 생애를 중심으로 그리고 이들의 주관적 체험에 주목하는 '생애사재구성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생애체험과 '배움'의 생애사적 의미를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1960, 7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배움'의 의미는 단순히 '배우지 못한 한'의의미가 아님을 보여준다. 사례연구는 이들의 생애과정에서 체험한 가부장적 성역할 구조 속에서도 갈등적으로 존재했던 욕망이 좌절되는 체험과 복합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존연구의 경우 노조체험자와 달리일반여성노동자들의 체험을 '희생'의 관점에서 설명해 왔다. 그러나 전 생애사적 맥락에서 살펴볼 때 당시의 일반적인 여성노동자들의 희생과 욕망이라는 이분법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은 사회· 경제적 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발현되는 문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여성들은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대공장 중심의 소수의 노조체험자나 모범근로자와 달리 사회적 관계로부터 차단되었으며, 자신의 문제를 사회·정치적인 문제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갈등적인 문제를전통적인 가족구조 속에서 이해하며, 가족으로부터의 보상이나 원망 또는 개인적 노력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런 갈등은 결혼 이후에도 계속해서 재생산되며 결국 이것은 결국 중년의 나이에 '야학'이라는 공간을 통해 지체된 형태의 보상과 인정, 자기실현을 성취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1990년대 이후 이 여성들이 야학에 참여하는 것은 단순히 개인들의 배우지 못한 한으로 이해할 수 없다. 이것은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이 지배한 가족, 사회, 작업장 속에서 자기욕망과 자기실현의 욕구를 해소할 수 없었던 1960, 70년대 사회적으로 희생된 세대의 집단적인 보상과인정의 욕구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중년 여성들의 '배움'이 가지는 의미는 사회적인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현재 이 여성들이 대다수 참여하고 있는 '야학'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 역시 재 고찰 할 필요가 제기된다.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presented here is to introduce women's life experiences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 70's and the interpretation of "learning" in their lives. "Learning" become the key word because it is the important medium which discordantly represents the life experience connecting the past to the pres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terpretation of "Learning" in Female factory workers in the 1960, 70's does not simply depict " a grudge against not having a chance to learn." To these labor women, 'learning' is related with complex experiences in their youth. They suffered the frustration of forcing to give up their desires under a patriarchal system. These sufferings caused them to realize their ideals later and have a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for their past. Existing studies have explained the female laborers in terms of 'sacrifice' unlike laborers unions. However, it is clear that we can not explain the dichotomy between their 'sacrifice' and 'desire'. Female factory workers didn't have any chance their problem to be understood and explained as a social and political problem and were excluded from social relations unlike workers in a laborers union who have been the subjects of existing studies. Therefore, they try to understand their conflicts under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to overcome their complaints and compensation through family. But this conflict was reproduced after marriage. After all, they try to realize their ideal through a night school in their middle age. Thus, participating a night school after 1990 is not because of just 'a grudge against not having a chance to learn. It represents the desire of compensation and recognition for 'sacrificed groups in social in the 1960, 70's'when they were not able to purse their desires and self accomplishment under the pressure of traditional gender role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meanings of their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a society and that the social implications of a night school should be reconsidered.

      • ‘푸다오辅导’라는 한∙중 문화접경지대 : 아시아 대중의 일상적 문화번역 연구

        김숙경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논문은 한국 유학생과 중국 대학생이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푸다오라는 상호교류 현장을 포착하여 일상적 차원의 문화번역 행위를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푸다오란 일반적으로 한국 유학생과 중국 대학생 간의 중국어 과외교습을 말하는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언어교습만이 아니라 압축적인 문화습득을 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문화번역과 슈츠의 이방인 이론을 배경으로 삼았으며 중국 선전에서 공부하고 있는 한국 유학생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푸다오 활동을 통해 압축적인 문화 습득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학생들도 중국이라는 사회세계에 진입하기 위해 적극적인 푸다오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푸다오가 단순한 언어 습득을 위한 활동뿐 아니라 집약적인 문화교류를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둘째, 양 문화가 소통하고 교차하게 되면서 이들이 지니고 있었던 자연적 태도, 즉 습관적인 사고의 흐름을 방해받게 되어 기존의 의식과 관행에 변화가 생긴다는 것이다. 이는 자국 중심주의의 사고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확보하게 된 것이라 하겠다. 셋째, 이들이 행하고 있는 자국문화와 상대문화 번역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자국문화 번역을 통해 자문화를 상대화하고 빠른 객관화를 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그 형성 맥락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상대문화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었다. 이들이 상대문화를 번역할 때에는 양 문화의 차이점을 가장 먼저 전형화하였고 이는 문화의 차이가 소통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간파하고 있는 것이라 해석된다. 넷째, 자연적 태도를 수정하였으나 상대 문화에 완벽하게 유효한 지침을 확보하지 못한 이들은 고향집단의 자연적 태도와도 다르고 새로운 집단의 그것과도 다른 재구성된 자연적 태도를 지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한국이나 중국의 습성적인 제도로부터 탈구된 인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푸다오라는 문화교류를 통해 적극적으로 상대 문화에 적응하고자 한 학생들은 자문화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한국과 중국 사이의 상호 우호적인 공통 감각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이들은 일상적인 언어와 사고로 활동하는 일반인 문화번역가로서 양국의 ‘일상적 의사소통의 기초’를 다지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everyday cultural exchanges works among ordinary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who encounter and interact by playing a role as provider and recipient of Fudao. The ‘Fudao’, meaning a private one-on-one Chinese language exchange, is being used more significantly in that it also implies an acculturation. To analyze its processes, this paper draws as its background on the theories of cultural translation and of the “The Stranger” by A. Schutz, and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Korean and Chinese students who stay in Shenzhen and engage in Fudao activities. Through this analytical process, this paper reaches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finds out that the Fudao activities of the students are actually interwoven in a compressive culture acquisi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Korean students, even after their problem of language gap has somewhat reduced, still engage in active Fudao activities in order to enter into Chinese society, which means the Fudao functions not only as an activity for language acquisition but also that for an intensive cultural exchange. Secondly, as the two cultures communicate and cross-link, each cultural bearer’s pre-existing consciousness and practice would change, because their natural attitude, habitual thought-streams get interfered. This provides each side with the significant opportunity to think outside the box of nation-centrism. Thirdly, this paper analyses each side’s translating processes of their own and the counterpart’s cultures. They could reach a higher level of comprehension of the counterpart’s culture through relativisation and rapid generalization of their own culture that had been acquired by its translation, through reaching a higher level of comprehension of its formative contexts. When the Fudao-ing students translated the counterpart’s culture, they first and foremost stereotyped cultural differences carried by each culture.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ir seeing through the fact that cultural differences act as a communication barrier. Fourthl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students who haven’t yet acquired perfectly efficient guidelines vis-à-vis the counter-culture, even though they succeeded in modifying their pre-existing natural attitude, come to acquire a newly reconstructed natural attitude which is apart both from the natural attitude of the native group and from that of the new group. This indicates the potential of a dislocated consciousness off from customary institutions of Korea or those of China. Thus, the students who wanted to adapt actively to the counter-culture through the cultural exchange of Fudao could step outside the box and make recognition of each other’s differences, which brought forth a mutually neighbourly common sense between the two sid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expects that those Fudao-ing students, as cultural translators in action with conventional language and thinking, would strengthen the ‘basis of everyday communication’ for both countries. Keywords Fudao, stranger, cultural borderlands, cultural translation, natural attitude, dislocation, cultural recipes, cultural patterns, cultural exchange

      •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최경옥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복지를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은 대인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접근을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첫번째는, 지역사회의 조직적 차원(group level)이고, 두번째는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개인적 차원(indivisual level)의 지역사회 사회자본이다.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구조적 차원(structural dimention)과 인지적 차원(cognitive dimen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지역조사와 청소년 설문조사의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두 지역을 선정한 후 지역 주민들의 지역사회 사회자본 수준을 네트워크(network), 참여(participation), 호혜성(reciprocity), 신뢰성(Trustworthiness)를 통해 문헌과 통계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두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81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사회적 역량 수준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두 차원이며 구조적 사회자본은 동네참여(neighborhood participation)를 통해, 인지적 사회자본은 동네인식(perceived neighborhood)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7월 16일부터 23일까지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각 변수의 수준을 파악하였고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구조적 사회자본(동네참여)와 인지적 사회자본(동네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구조적 사회자본(동네참여)과 인지적 사회자본(동네인식)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 두 차원 모두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며 두 차원의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높은 동네에 사는 청소년들은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많이 내면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 차원의 사회자본을 확대하기 위한록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모임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위해 학교, 단체, 사회복지 기관 등 여러 네트워크가 함께 연대해야 한다. 둘째,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역량을 강화 하기 위해 청소년의 네트워크와 호혜성,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많이 개발하고 지역사회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친구관계와 이웃관계를 긍정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청소년들이 동네참여를 활발하게 할 수 있고 동네에 대한 소속감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사회자본 외에도 학교사회자본과 가족 내 사회자본이 청소년 사회적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에서 학교사회복지를 확대하고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부모교육 등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노원구에 있는 두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고 그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에 대해서만 접근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를 다른 지역이나 다른 청소년에까지 일반화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조사하였으며 청소년 복지를 위해서 지역사회 차원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주요어 : 청소년, 지역사회 사회자본, 사회적 역량, 구조적 사회자본, 인지적 사회자본, 동네참여, 동네인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