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자가정의 가족기능과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지연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부자가정의 가족기능과 부-자녀 간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아동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아동복지실 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부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총 107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100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가족기능은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의 하위영역으로 측정하였으며, 의사소통은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으로 구성하여 합산한 점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학교적응은 학교흥미, 학업·성적태도, 규범준수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아동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부-자녀 간 의사소통, 학교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의사소통집단별 학교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족기능과 부-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가사를 돕는 부자가정 아동은 전체 조사 아동의 7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자가정이 된 사유 중 이혼, 별거·가출이 88.0%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2) 아동의 학교수준에 따라 가족적응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아동의 출생순위에 따라 가족적응성과 부-자녀 간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막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동의 가사시간에 따라 부-자녀 간 의사소통에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사를 하지 않는 아동이 의사소통을 가장 개방적으로 하고 있었다. 5) 부와 의사소통하는 시간에 따라 가족응집정과 가족적응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소통 시간이 많을수록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이 높게 나타났다. 6) 부자가정이 된 사유에 따라 학교흥미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부모가 이혼한 가정의 아동의 경우 별거·가출한 가정의 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7) 의사소통집단에 따라 학교흥미와 학교적응 전체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개방형 의사소통집단이 문제형 의사소통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8) 가족기능과 부-자녀 간 의사소통 가운데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기능의 하위요소 중 가족응집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부자가정 아동의 가사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서비스와 이혼한 가정의 아동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아동의 학교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하며, 부와 막내의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더불어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해 개방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교육해야 한다. 이와 함께 부자가정의 가족응집성을 높이기 위해 가족구성원이 서로 친밀감을 느끼고 정서적 유대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 family function and open-communication in single father family and to draw a plan fo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derive child welfare practical implication. Among the collected 107 data of single father family data from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to high school student, 100 data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this research. Family function was divided into two subordinate domains as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hile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as splitted into two subordinate domains as open and close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divided into school interest, attitude and law-observance. For analysis of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surveyed people was grasped and the general properties of children and family,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chool adjustment and difference of communication group were inspected. Finall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or family function 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effect to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According to the survey of general properties, 78% children does housework in single father family and the value for the cases of divorce, live separately, leaving home was 88.0% that shows up in many reason of turn to single father family 2) According to school grade of children,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 in family adaptability, and degree of family adaptability increases in proportion to school grade of children. 3) According to birth order of children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 in family adaptability 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last born was lowest. 4) According to housework time of children,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n i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t was observed that children don't doing housework communicated with his father more unreservedly than those who doing housework. 5) According to communication time with father,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n i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and It was unequivocal that a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increase as increasing communication time. 6) According to reason of turn to single father family,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n in school interest. Especially,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show more low school interest than children from live separated and leaving home families. 7) According to communication group, meaningful differences was shown in school interest and general school adjustment, and open-communication group was more higher grade than close-communication group. 8) The factor which influence the school adjustment among the family function 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as family cohesion. According to the base on this study, practical meaning is like this. There is a requirement of services to help children to reduce their houseworking time in single father family as well as support the children in divorced family. There is also a high demand for a section intervention in the children grade and programs for relation improvement between father and the last born. Also, there must be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increase of open community skill for children as well as a special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mutually affinity and emotional relation of the family members in order to increase the cohesion of a family.
일부 대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태도·행동의 특성과 성경험 예측요인 연구
강효윤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대한 실태와 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들의 영역별 성지식점수를 분석한 결과, 성심리(M=77.42)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고, 생식생리(M=76.16), 피임·낙태(M=71.40)순으로 나타난 반면 성병·AIDS(M=55.92), 성폭력(M=61.51)에 대한 성지식은 낮았다. 특히 성지식의 하위분류 중 성심리와 성병·AIDS에서 남학생이, 임신과 성폭력 그리고 전체 성지식에서는 여학생이 더 높은 성지식 점수를 나타냈다.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이나 성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러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과 초·중·고·대학교 성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보다 오히려 성지식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2. 대학생들의 영역별 성태도를 분석한 결과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이 있는 학생들에게서 더 개방적인 성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성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성태도가 개방적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남학생이나 고학년일수록, 사회계열이며 종교가 없을수록 성태도가 자유로웠다. 3. 대학생들의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을 분석한 결과 여성잡지를 제외한 다른 성관련 매체에서 남학생들의 접촉경험이 여학생들과 상당한 격차를 내며 많게 나타났다. 특히 군필 및 보충역이었던 학생들과 남고나 남녀공학에서는 분반출신인 남학생들의 경우, 성별에서의 남학생들의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성 집단에서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을 양성적으로 더욱 부추기는 환경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4. 대학생들의 성경험을 분석한 결과 자위행위, 성교, 피임 등 대체적인 성경험에 있어서 남학생들의 경험이 더 많았고 군필 및 보충역일수록, 남고나 남녀공학의 분반 출신인 남학생, '남성 집단'의 출신인 남학생에게 성경험이 더 많았다.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부모의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성경험이 더 많았다. 5. 대학생들의 성고민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성고민 해결방법에서 남학생은 '이성과의 성관계를 통해' 나 '운동, 취미생활' 등을 여학생보다 더 많이 선호하여, 적극적인 해결방법으로 성고민을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여학생은 상대적으로 성고민 해결방법을 주변 사람들과 의논하거나 혼자 고민하는 경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냈다. 6. 대학생들의 성교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 학교의 성교육이 남학생에게 점점 신뢰와 흥미를 잃어 남학생은 오히려 성관련 매체, 친구들을 통해 말초적이며 자극적, 흥미위주의 불명확한 성지식을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교육 희망 강좌로 남학생들은 '피임방법, 성병예방', '남녀 신체적, 심리적 특성 차이', '배란, 월경, 몽정, 사정', '자위행위, 남녀 성행위기법'등의 순서에 반해 여학생들은 '피임방법, 성병예방', '성희롱, 성폭력 예방 및 대처', '올바른 이성교제', '남녀 신체적, 심리적 특성 차이', '임신, 출산과정' 등의 순으로 원하는 성교육 내용차이가 남, 여 간에 많이 나타났다. 7. 성경험 예측요인 결과로, 자위행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자 고등학교, 남녀공학의 분반, 합반 출신의 학생들, 군필 및 보충역일수록, 부모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인터넷 포르노 사이트와 성인만화 접촉경험, 학년, 성행위 태도, 성심리 지식, 여성잡지 접촉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성교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군필 및 보충역, 컴퓨터용 포르노CD경험, 학년, 성행동 태도, 순결 성태도, 이성교제 여부 순이었다. 피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군필 및 보충역, 성 관련서적, 포르노 비디오 접촉경험, 학년, 성행위 태도, 순결 성태도, 이성교제 여부 순이다. 성병의 요인분석의 결과로, 성행위 태도가 보수적일수록 성병 경험이 더 많게 나타났다. 원하지 않는 성교 경험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컴퓨터 포르노CD접촉 경험, 이중적 성 가치관 태도 순이다. 임신을 한(시킨) 경험의 미치는 요인은 부모 성태도가 보통일 경우, 부모가 개방적인 성태도의 경우, 군필 및 보충역, 성행위 태도, 순결 성태도, 성인만화 접촉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인공유산을 한(시킨) 경험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목고 출신의 학생인 경우, 군필 및 보충역, 순결 성태도, 인터넷 포르노 사이트 경험 순이다.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은 성경험의 하위분류마다 주요인으로 선택되어져 오히려 학교에서의 성교육 경험보다 성관련 매체 접촉경험이 성경험에 상당히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나타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개방적인 성태도를 나타나는 것은 성경험에 비례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추후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급격하게 늘고 있는 네티즌들이 인터넷을 통해 잘못된 성지식을 얻고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인터넷 상에서 건전한 성문화 정착을 위한 정부차원에서 제도적인 장치 마련과 인터넷 매체의 담당자들이 상업성 위주의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성윤리를 고취시키고 건강한 성문화가 정립되도록 스스로 반성과 자각할 필요가 있겠다. 2. 대학교내에서 학생들이 실제 희망하는 성강좌의 내용에 기초한 성교육을 정규교과과정으로 편성하고 성교육 전담교사 양성 및 교사들의 성상담을 중심으로 한 재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가정의 부모를 위한 전문적인 교과과정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3. 성지식, 태도, 행동에 대한 남녀 차이를 서로 이해하기 위해 이성교제 시효과적인 성적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적절한 학습기회와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4. 순결을 일반적으로 강요하는 교수법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에게 절실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 스스로 주체적으로 사고하여 합리적으로 자신의 판단과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5. 남성 집단의 성행동, 성매체 접촉여부나 성경험 등을 조사하여 남성 집단의 성의식과 행동 등이 가지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해결점을 찾아야겠다. 특히 이것은 남, 여 간의 이중적 가치를 일으킬 수 있기에 더욱 절실한 과제이다. The teenagers were forced to inhibit sexuality through school education, but when they become university students, their ideas of the issue shift due to the sense of freedom. Furthermore, the period of when they start working and marrying is delayed, despite the fact that the period when they begin to explore sexual curiosity and urge is faster. Therefore, there are worries about this problem of sexualit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university students overcome this problem and we, who are able to sexual behaviors in a healthful and responsible way, must aid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ex education and sex consult program, so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identify on the variables affecting sexual intercourse. This study selected questionnaires to get information.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650 students studying at th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ay 2005 to June 2005. For reference, the basic questionnaires were made up of total 95 questions about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troubles, educ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ir sexual knowledge of psychology, on the other hand their sexual knowledge of venereal disease and HIV/AIDS, sexual abuse was shown as low scores. And the male students had a higher sexual knowledge of psychology, venereal disease and HIV/AID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sexual knowledge of physiology, pregnancy, sexual abuse and the overall sexual knowledge than male students. And the main sources of sexual information were friends, internet, books and magazines.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s of sexual media contact or experiences of other sexual behaviors have higher their sexual knowledge scores than the students who have not experiences or had experiences of school sexual education. 2. The sexual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sexual media such as pornography, sexual magazines, sexual books, internet and computer pornography CD showed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than those students who were not. The mor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sexual behaviors showed the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than those students who have not.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re male students, the older students, the more social departments' students, the more liberal on sexual attitudes of intercourse, sexual morality, sexual doublethink, lewdness media. Christian students had a conservative sexual attitudes rather than any other students who have a different religion. 3. More male students have more experiences of the various sexual media except female magazine than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who were exposed at the males' group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or spend their school days at a not mixed-sex school or a boys' high school have many experiences of the various sexual media. 4. Generally the sexes and grade of students influenced the experience rates of sexual intercourse. Male students had much experience higher rates of intercourse, masturbation, contraception on sexual intercourse than female students, and older students had higher experience rates of intercourse, masturbation, contraception. The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of parents had much higher rates on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sexual troubles, sexual troubles stori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sexes. For example, male worried about 'insufficiency of sexual knowledge' and 'excessive interesting about sex' in order. However, female worried about 'virginity' and 'the guilty of thinking about sexual curiosity' in order. According to the way to solve sexual troubles, the overall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onded 'I consult with peer or senior when I have sexual troubles'.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I try to solve sexual trouble alone, because I don't know who is the best person and I'm not sure they can help me.' The difference of sex to solve the sexual troubles is that much male students want to solve it through more positive solution like 'through intercourse' or 'exercises or exciting habits' than female students. These conscious gap showed really much difference btween male and female. 6. A number of students are unsatisfied with sexual educations even now, specially male students. And, those male students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sexual education programs.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bout course that they want to listen. The courses which male students want to listen are about 'a contraceptive measure, prevention of venereal diseases', 'the differences of man and woman's body and mind', 'ovulation, menstruation, night pollution, ejaculation', and 'masturbation, how to sexual intercourse' in order, on the other hand female want to courses about 'a contraceptive measure, prevention of venereal diseases', 'what is sexual harassment and how to keep it', 'what is right relationships with opposite sex', 'the differences of man and woman's body and mind', and 'pregnancy, the course of childbirth' in order. Therefore b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 many differences which they want to stories of sexual education. 7. Into result on the variables forecasting sexual intercourse, variables forecasting masturbation is much higher experiences influence of that as 'male students spend their school days at the boys' high school' than the girls' high school. And the variables forecasting were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than any other students who had not, as 'the students on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of parents' than the students on more conservative sexual attitudes of parents, as 'experiences of internet porno site's contact and experiences of the adult cartoon's (animation) contact', as 'grade', as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as 'sexual knowledge of psychology', as 'experiences of female magazine's contact'.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intercourse were identified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as 'experiences of computer porno CD's contact', as 'grade', as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and as 'sexual attitudes of morality', as 'experiences of meeting with the opposite sex friend'.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contraception were identified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as 'experiences of sexual book's contact' and experiences of porno video's experiences contact', as 'grade', as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and as 'sexual attitudes of moralitys' attitudes, as 'experiences of meeting with the opposite sex friend'.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venereal disease find that.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were showed more conservative, experiences of venereal diseases made higher.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Subjects on students did not want to experiences of intercourse were identified as 'experiences of computer porno CD's contact', as 'sexual attitudes of doublethink'.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experiences were pregnant with child or got female with child were identified as 'the students on more medial sexual attitudes of parents' and 'the students on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of parents' than the students on conservative sexual attitudes of parents,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as' 'sexual attitudes of behaviors' and as 'sexual attitudes of morality, as 'experiences of the adult cartoon's(animation) contact'. The students are more watch an adult cartoons, on the other hand experiences of pregnant with child or got female with child are more reduce. The variables forecasting of induced abortion were identified as 'students spend their school days at the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 than the academic high school, as 'male students who have finished army service', as 'sexual attitudes of morality', as 'experiences of internet porno site contact'. If the subjects have more low experiences of internet porno site, they have a lot of more induced abortion. The older students, it make the higher sexual attitudes. And it show proportional to sexual intercours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1. Many people are touch wrong sexual knowledge on the internet, so we have to make institution to prevent it and establish right sexual culture through the government. 2. The courses which the university students want to listen have to be opened at the university, and the education through an expert about sex(most of the sexual consultants) have to be started consistently for parents, not just students. The role of family and school should be extended in sexual education and consultation. So education program is needed for parents and sexual education teachers. 3. The systematic system and a proper sexual education have to be offered to students to understand each other's differences lik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It is needed to educate the students for effective self expression, consultation, and mutual comprehension about male and female person to solve the troubles and conflicts in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due to differences of man and woman's sexual attitude. 4. At the university, the professor have to change their teaching way which just demand students to keep their purity to help what they really need. Sexual consultants have to respect and consider university student's changing values and viewpoint of sexuality.
협동조합 생존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시 일반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윤석진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본 연구는 협동조합기본법 상 일반협동조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 무엇인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협동조합은 ‘재 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이다. 2012년 협동조 합기본법이 제정된 후 약 16,700개 이상의 일반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하지 만, 현재까지 일반협동조합의 생존과 관련된 연구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협동조합의 생존 여부를 종속변수로 한다. 또한 창업기업과 사회적기업의 생존요인을 바탕으로 일반협동조합의 조직 내ž외부 요소를 독 립변수로 설정하여 일반협동조합의 생존과 관련된 요인은 무엇인지, 또 각 요인은 조합의 생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는 서울시 일반협동조합을 대상으로 하며 각 조합의 기초 자료는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등록자료를 이용하고, 기업의 운영여부는 서울시 협동조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2년 부터 2017년까지 6년간 설립된 802개의 일반협동조합이며, 설립된지 5~10년 이 지난 2022년을 기준으로 생존 영향요인을 분석할 예정이다.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 각 요 인과 생존의 관계를 파악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되지 않았던 일반협동조합의 생존영향요인을 탐색 적으로 연구하여 협동조합의 질적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으나, 해산 협동조합의 종료시점이 포함되지 않아 COX의 위험비례모형 등 추가 적인 분석을 진행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기독교 종립 대학 채플 개선 방안 연구 : 한신대학교 일반대학 채플 사례연구와 ‘확장형 채플 수업’을 중심으로
강은미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박사
본 논문은 국내 기독교 대학의 채플 교과가 직면한 위기의 원인을 분석 하고,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인 분석과 대안 제시를 위해 다음 두 가지 주제를 깊이 있게 탐구할 것이다. 첫째, 채플 교과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되는 세속화 (secularization)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세속화란 사회, 문화적 변화 속에 서 기독교와 같은 종교들이 점점 사회적 영향력을 상실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동안 종교사회학자들은 세속화를 분석하고, 다양한 평가와 해석을 시도했 다. 종교의 영향력 상실과 소멸을 주장하는 ‘세속화론’과 종교의 본질적 기 능인 영적 돌봄과 치유는 세속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여전히 추구 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탈세속화론’ (후기 세속화론, post-secular)이 크게 대립하고 있다. 많은 종교 사회학자뿐만 아니라 실천신학, 대학 선교학과 관 련한 연구자들은 ‘탈세속화론’을 주로 옹호하고 있다. 그들은 세속화 상황 속에서 기독교 대학 채플이 직면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더 이상 기존 종교 교리와 예배 문화를 일방적으로 학습자들에게 전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현대인들은 기존 종교의 교리와 문화를 거부하면서도 그동 안 종교가 영성 전통에서 제공해 온 자아정체감, 영적 안녕감과 공동체성은 여전히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따라서 본 논문 은 이론적 배경으로 이러한 3가지 방향(주제)을 심화시키기 위해 기독교 영 성 전통과 공동체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 신학적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자아정체성, 영적 안녕감, 공동체성을 체화하는 전인적 인성 함양의 장 으로서 채플 교과의 목표 전환을 주장하며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입장 에서 재해석해 보려고 한다. 둘째, 본 논문은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신대학교 일반대학 채플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할 것이다. 먼저 한신대학교의 채플 현황과 변화를 위한 그동안의 노력과 현황을 정리할 것이다. 이어서 자아정 체성, 영적 안녕감,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하는 채플 교과 개발을 위한 준비 단계로 학습자 평가와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 해 그 유효성을 검증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속화 시대에 소형 채플과 비교과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해 학습자들과 더욱 친밀하게 공감하고, 전 인적 인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확장형 채플’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점점 개신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추락해가는 세속화 상황 속에서 기독교 대학들이 제시하는 교과목들의 위기 극복을 위 한 대안 마련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생협 조합원 활동가 커뮤니티 연구 : 확장된 브랜드 커뮤니티 개념 적용
신효진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갖고 있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생협)은 조합원의 필요와 욕구 충족을 위해 존재하며, 조합원이 소유권을 갖고 있는 조직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협동조합의 특성에 더해 국내 생협의 두드러지는 특징의 하나가 조합원 활동가의 존재이다. 조합원인 동시에 생협의 운영 과정에서 능동적·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조합원 활동가는 생협의 역동성을 이끌어내는 당사자이다. 생협에서의 소비경험 축적이 활동으로 확장되며, 조합원 활동가는 집단의 형태로 발전되어, 일종의 커뮤니티를 통해 생협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천한다. 이때 조합원 활동가는 생협의 조합원인 동시에 생협의 이름으로 진행되는 다양한 활동의 기획자이며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로서 생협의 활동 방향과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당사자가 된다. 최근 소비자의 역할변화와 그에 따른 기업 관계에서의 지위역전 현상이 나타나면서 기업은 변화된 소비자와 전략적·장기적인 관계 구축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개별 소비자와 일대일 관계 구축 유지의 어려움을 겪는 기업은 특정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자발적으로 형성한 브랜드 커뮤니티를 활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조합원 활동가가 소속된 특정 생협 브랜드를 바탕으로 어떤 소비자 집단보다 적극적으로 생산·판매 관련 활동에 참여하며 그와 관련된 의사를 표현하는 집단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에 그동안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조합원 활동가의 소비자로서의 역할과 위치에 주목해 이들이 만드는 생협의 모습을 브랜드 커뮤니티 개념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생협 커뮤니티의 특징을 심층면접과 문헌조사의 질적 연구로 확인하는 <연구 1>과 생협 커뮤니티의 지속가능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조합원 활동가의 참여의도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양적 연구로 살펴보는 <연구 2>로 구성되었다. 생협의 현재를 드러내기 위해 현재 활동하고 있는 조합원 활동가(한살림서울, 한살림성남용인과 아이쿱 서울 및 수도권 권역의 지역생협 소속)를 연구 대상으로 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장에 친환경 유기농산물이라는 새로운 시장 영역을 만들어내는 생협의 역동성과 먹거리를 비롯한 공공성 관련 사회적 이슈, 지역 기반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는 조합원 활동가라는 독특한 소비자로부터 기인한다. 이러한 조합원 활동가들이 만들어 가는 생협 커뮤니티는 브랜드 커뮤니티의 특징-동류의식, 의례와 전통, 도덕적 책임감-을 갖고 있었다. 생협 커뮤니티의 조합원 활동가들은 주로 전업주부들이며, 이들은 결혼 후 출산과 육아, 가사노동으로 전업주부가 되면서 느낀 고립감에 대한 해소, 어린 자녀와 함께 문턱 없이 어울릴 수 있는 가까운 모임에 대한 만족감, 비슷한 관심사와 가치관을 가진 동료들과의 관계 형성 욕구라는 비교적 유사한 경로로 생협 커뮤니티와 접점을 형성하게 됐다. 동질성에 바탕을 둔 생협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는 생협 커뮤니티, 그리고 다른 조합원 활동가들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강화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의 참여 경로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생협의 가치와 방향성이 반영된 모임과 활동에서 만들어지고 전달되는 생협의 의례와 전통은 조합원 활동가들이 생협 커뮤니티와 구성원들에 대해 갖는 도덕적 책임감과 의무감에 의해 강화되었다. 또한 주류 시장에서 틈새시장이라는 생협의 위치가 갖는 특징과 협동조합이라는 독특한 조직 형태의 차이에서 비롯된 생협 커뮤니티만의 독특한 특징이 추가로 확인됐다. 지역 단위 생협들이 결합된 연합회/본부의 구조는 커뮤니티의 이중구조를 가져왔다. 조합원 활동가들은 특정 상황이나 입장에 따라 생협 커뮤니티를 이중적으로 호명하고 있었다. 한편, 브랜드 커뮤니티와 달리 면대면 상호작용이 활발한 생협 커뮤니티는 조합원 활동가의 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지역적 특징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별 법인격을 갖고 있거나 체계적인 조직구조를 갖고 있는 생협 커뮤니티는 조합원 활동가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의 무게와 강도에 따른 책임감의 스펙트럼이 보이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연구 2>는 <연구 1>에서 밝힌 생협 커뮤니에 참여하고 있는 조합원 활동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생협 커뮤니티의 특성을 브랜드 커뮤니티 특성 요인(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활동보상성, 목적성)을 통해 살펴보고, 그에 따라 생협 커뮤니티의 태도적 몰입(감정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과 참여 지속의도에 갖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생협 커뮤니티 참여 동기와 참여 방식(자원활동가, 조직활동가)에 따른 생협 커뮤니티 특성에 대한 인식, 태도적 몰입, 참여 지속의도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였다. 조합원 활동가들이 인지하는 생협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활동보상성, 목적성의 특성은 생협 커뮤니티의 태도적 몰입, 참여 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감정적 몰입에는 활동가 간 상호작용성과 목적성, 규범적 몰입에는 생협과 활동가 간 상호작용성과 정보제공성, 지속적 몰입에는 활동가 간 상호작용성, 생협과 활동가 간 상호작용성, 활동보상성, 정보제공성의 영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한편, 생협 커뮤니티 태도적 몰입은 전체적으로 생협 커뮤니티의 참여 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조합원 참여 동기 군집(낮은동기형, 이타적동기형, 다중동기형), 참여 방식(자원활동가, 조직활동가)에 따른 생협 커뮤니티 특성, 태도적 몰입, 참여 지속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다중동기형 집단과 조직활동가 집단에서 생협 커뮤니티 몰입과 참여 지속의도가 높게 나타남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생협의 조합원 활동가라는 특정한 소비자 집단에 주목하여 이들이 중심이 된 생협 커뮤니티를 조명하고 그 특징을 구체화했다는 점, 브랜드 커뮤니티의 확장된 개념을 적용하려 시도했으며 그 안에서 소비자 역할의 진화 사례로 생협 커뮤니티를 규명하려 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생협 커뮤니티 조합원 활동가들이 활동하게 되는 다양한 동기를 확인하고, 그 동기가 생협 커뮤니티 특성, 몰입, 참여 지속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를 갖는다.
구조조정기 서울지하철노조의 변화 : 자주형 노조에서 순응형 탈정치적 노조로
장경태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4 국내석사
이 논문은 노동자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안겨주지 못하고, 민주적이지도 못한 노조 집행부가 어떻게 유지되고 어떠한 이유로 재신임되는지를 밝히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국가에 의해 시민으로 설 수 있는 교육의 기회가 없었던 한국의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연유한다. 민주주의의 성숙은 사회구성원에 대한 집요한 투자인 교육과 훈련이 있어야 가능하다. 그러나 국가와 자본은 노동운동이 똑똑해지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으며, 똑똑해지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모든 자원을 동원하였다. 그렇다고 노동운동 내부에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자정능력의 싹을 키워냈다는 증거는 없었다. 그러나 노동운동이 민주화운동의 중심에 있다는 일반화된 믿음 역시 존재한다. 그럴만한 원인이 없는데 그럴 것이라는 진단은 노동운동만은 민주주의를 실행할 유전적인 능력을 갖고 있다는 사회적 미신이 존재한다는 말과 같다. 한국의 노동운동이 87년 갑작스런 돌출 이후 내리 하향추세를 보이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미신을 거둬낼 때 가능하다. 한국의 노동운동은 사회적 약자였기 때문에 가질 수 있었던, 즉 노동문제 해결이 사회 민주주의와 양립할 수 있는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정규직 노동자들은 작업장에서 시민권 확보를 포기하는 대신 중류층 삶의 보장을 선택했다. 대기업 정규직 노동자들은 시간강사들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엄두를 내지 못하는 높은 임금을 대가로 사회적으로 똑똑해지는 길을 포기한 것이다. 그 결과 노동운동은 비정규직노동과 이주 노동자, 실업자 문제에 대해 조직적으로 배제하고, 중소기업 노동자와 함께 하는 산업별노동조합체제를 거부하는 이기주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경제주의에 몰입된 노동운동은 날로 강화되는 국가와 자본의 구조조정 압력에 정책적 대응능력을 상실한 채 제한된 실리를 추구하고 있다. 노동운동의 사회적인 이슈 제기능력 부재는 사회적 고립을 자초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경향은 국가와 자본의 강압적인 노동통제 이외에 노동운동 내부에 민주주의를 가능하지 못하게 만드는 어떤 요인이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게 했다. 한국의 노동운동은 조합원에 대한 교육보다 임금협상에 치중했다. 임금협상에 중심을 두는 기업별노조주의 노동운동은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등한시하게 했다. 노동운동의 이러한 관성은 97년 경제위기 이후 변화된 국가의 통제와 사회구조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했으며 정책능력의 상실을 가져왔다. 노조창립이후 강한 정치 지향을 추구하던 서울 지하철노조가 99년 급격하게 탈정치화로 돌아선 배경에는 바로 한국 노동운동의 단기적 이익추구가 초래한 노조운동의 역량약화 추세와 맞물려있다. 또한 노동운동의 역량약화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노조의 권리를 억제했던 국가의 노동정책과 맞물려 있기도 하다. 이 연구는 김대중 정부의 구조조정 시기에 일어났던 지하철노조의 노선변화를 다루고 있다. 김대중 정부는 경제위기 극복이라는 명분으로 노사관계에 직접적으로 개입했으며 정책 내용은 노동자를 탈정치화시키는 것이었다. 탈정치화는 노동조합을 연대주의에서 경제적 이기주의로 변하게 만들었다. 노조의 사회적 고립을 강화하게 만드는 탈정치화는 국가와 노조 지도자, 노동자 간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낸 총체적인 결과물이다. 탈정치화는 노동자의 판단을 제약하면서 실리를 안겨주지도 못하고, 노동자를 소외시키는 노조집행부를 노동자의 손으로 구성하게 만드는 비합리적인 상황을 만들었다. 노조 지도자와 노동자의 비합리적인 담합은 노조 본연의 역할을 상실하게 했다. 탈정치화의 작동체제는 국가의 사회적 압력으로 노동자를 불안하게 만든다. 사회적 앎의 미비와 내면화된 역사적 실패 경험은 노동자들로 하여금 자기 완결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을 하게 만들면서 체념상태로 떨어뜨린다. 노조 지도자와 국가의 담합은 노동자에게 환상을 제공하였으며 노조 지도자는 이를 자신의 사회적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자원으로 변용했다. 국가와 자본은 노조가 자기 본연의 역할을 찾지 못하도록 담합을 추구하는 노조 지도자를 적극 지원했다. 지하철노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노동운동의 성장을 가로 막고 있는 원인이 무엇인지 설명해줄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국가는 노동운동이 건강한 사회세력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했던 가장 강력한 행위자였다. 그렇지만 국가의 강력한 배제정책에 조응할 수 있었던 반합리적이며 낡은 질서들이 노동운동 내부에 없었다면 국가의 정책이 작업장에서 성공적으로 추진되지 못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의미는 계속되었던 국가의 비민주적 정책에 의해 노동운동 내부에 심어놓은 낡은 질서가 경제적 위기상황에 어떤 성질을 띠면서 나타나는지에 대한 문제제기이며, 이 연구를 기초로 노동운동을 정직하게 들여다보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노동운동의 발전은 바로 우리 내부에 대한 정직한 성찰이 있을 때 가능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a labour union's administrative structure, which is both undemocratic and unable to achieve economic advantage for its rank and file membership, can continue to merit the trust of that membership. The scope of the study encompasses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Korea, a country in which adequate opportunities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s of citizenship and human rights have been absent. For democracy to become firmly embedded in society it is imperative for certain prescribed educational and training functions to be made accessible to the members of that society. In Korea, however, the state and capital have been unwilling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ocial awareness and political competence within the labour movement. On the contrary, the state-capital nexus has mobilised all available resources in order to impede that social awakening and growth. At the same time, there has been no evidence of such enhancement emerging spontaneously from within the movement itself. Despite this circumstance, it is apparent that the widely held belief that trade unions are located at the very centre of all democratic movements is matched by the social superstition that democracy itself can only flourish to its fullest extent within a labour movement environment. It is only by exposing and eradicating social heterodoxies such as this that a coherent examination can be conducted into the reason why the sudden rise in the number of trade unions which took place in Korea after 1987 has now shown a tendency towards reversal. The concept of democracy and the resolution of labour questions in Korea are closely related insofar as the membership of the Korean labour movement is comprised of social minorities. Yet, since the 1990s, the mainstream labour movements in Korea have abandoned the quest for citizenship in the workplace and have, instead, opted to exclude such social minority groups as casual workers, migrant labourers, and the unemployed. Furthermore, Korean mainstream labour movements have demonstrated a willingness to maintain the enterprise union regime and reject the industrial-level model. They have also limited their endeavours to the purely economic interests of their members; and in the process have lost the alternative policy-making capabilities which have assumed increasing importance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restructuring pressures imposed by the state-capital nexus. The inevitable outcome of this is that Korean trade unions have themselves become a root cause of social isolation. It would appear that there are factors intrinsic to the current trade union structure in Korea which conspire against the implementation and enhancement of the democratic principle. Korean trade unions have tended to concentrate upon wage negotiations at shop-floor level rather than upon educational programmes designed to enhance labour movement awareness and political consciousness among rank and file members. It is a model of enterprise unionism which excludes the dissemination of class-oriented factors. The reasons why the Seoul Subway Trade Union has developed characteristics of depoliticisation since 1997, in contrast to its ideological profile during the early years following its formation, are to be found in the general decline of its influence due to a policy of pursuing only short-term interests, and by the policies of the state to regulate trade union rights in an effort to overcome a national economic crisi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policy changes that took place within the Seoul Subway Trade Union during the restructuring period of the Kim Dae-jung government. That administration was determined to depoliticise the Korean labour movement as a measure to counter the economic crisis, and intervened directly in the conduct of industrial relations. The depoliticisation of trade unions has made them resort to economic egocentrism rather than focus upon an enhanced solidarity within the labour movement. It can, therefore, be asserted that depoliticisation, and an accelerating social isolation, are the result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 trade union leaders, and rank and file workers. The depoliticisation of workers has also given rise to an irrational situation in which their judgements have become limited, and they themselves produce union leaders who alienate them further. The irration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 union leaders and their rank and file membership has caused the union to aband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functions of a trade union. The process of depoliticisation initiated by the state has introduced increasing social pressures which have destabilised workers. The lack of social understanding and political awareness, and the internalised historical experiences of failed revolutions, generates within workers a self-fulfilling prophesy of disappointment. Workers have been misled by the true nature of the collusion between their union leaders and the state, and the union leaders have been able to utilise this misunderstanding in order to maintain their own social status. In turn, however, the state-capital nexus has succeeded in manipulating the union leaders to such an extent that they have lost sight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is study of the changes which have taken place in the Seoul Subway Trade Union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critically examining reasons for impeding the growth of the labour movement. The state has been the most influential actor preventing trade unions from developing as meaningful and coherent social forces. However, if there had not been irrational and reactionary elements within the labour movement who were in harmony with the state's strongly exclusionary policies, those policies could not have been enacted successfully. This study will explain how such reactionary elements, deeply embedded in trade unions and sustained by the state's undemocratic policies concerning labour, show certain characteristics during economic crises. It will provide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n which to consider the labour movement from a new and unequivocal perspective. An analysis such as this is imperative for the future growth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labour movement.
보육료 지원 확대가 자녀양육부담 완화와 여성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소득계층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경임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보육료 지원정책이 영유아 가구의 자녀양육부담을 완화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증진시키는 정책목표를 실질적으로 달성하고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보육료 지원의 영향이 소득계층별로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고 소득집단을 구분하여 그 차이를 파악하였다. 한국복지패널 4차(2008년 기준)부터 8차(2012년 기준)까지의 원자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보육료 지원정책이 자녀양육부담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보육료를 지원받는 비율, 영유아가 이용하는 보육∙교육서비스의 유형, 각 가구가 자녀보육을 위해 실질적으로 지출한 금액, 그리고 이러한 지출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보육료 지원정책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영유아 어머니의 경제활동 참여여부와 참여형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정부의 보육료 지원확대는 전체 가구의 실질적인 보육비 부담을 감소시키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소득계층별로 살펴보면 보육료 지원이 확대되면서 소득집단 간 보육비 격차는 일정수준 해소되었으나 일반가구의 보육비 감소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소득층 가구의 가구소득 대비 보육비 부담률은 여전히 일반가구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보육료를 전액 또는 차등 지원하더라도 부모가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발생하여 저소득층 가구의 보육에 대한 부담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여성경제활동 참여율은 일반가구와 저소득층 가구 모두 상승했지만, 일반가구는 ‘양질’의 상용직 비율이 높고, 저소득층 가구는 ‘질 낮은’의 임시•일용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정부가 보육료 지원정책을 통해 기대했던 여성경제활동 참여율 제고의 효과가 부분적인 성공에 그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저소득층 가구의 보육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서는 추가비용까지 포함한 현실적인 보육비용을 지급해야 하며, 영유아를 키우고 있는 저소득층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보육료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여성인력에 대한 재취업 교육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같은 보완적인 정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 childcare subsidy policy actually achieves the goal to alleviate the burden of Child-rearing for the households with infants and increase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It particularly considered that the childcare subsidy has different influence on different income bracket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come group.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using Korea Welfare Panel Study from Wave 4(2008) to Wave 8(2012) data to suggest the findings.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hildcare subsidy policy on the alleviation of burden of Child-rearing, it analyzed the ratio of childcare subsidy, the types of child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used by infants, the actual expenses of each household for childcare, and the ratio of these expenses to income.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hildcare subsidy policy on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it analyzed th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mothers of infants and their type of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 government’s enlargement in childcare subsidy has reduced the practical burden of child-rearing for the entire households and increased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Considering each income bracket, however, the increase in childcare subsidy has alleviated the divide in childcare expenses between the income groups, but the childcare expenses have decreased more for general households. The burden of childcare expenses compared to household income is still higher for low-income households. For that reason, there are additional expenses the parents should pay even if the government pays the entire childcare expenses or provides graduated subsidy, and the burden of expenses remains higher for low-income households.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has increased for both general and low-income households, but general households have more ‘high-quality’ regular job while low-income households have more ‘low-quality’ temporary/ irregular job. This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which is what the government intended to achieve through the childcare subsidy policy, may only be partially successfu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alistic childcare subsidy should be paid including all of the additional expenses in order to lower the burden for low-income households. Also, childcare subsidy has a limit to increase th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low-income women who are rearing inf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lementary policies, such as back-to-job training and creation of quality jobs.
‘푸다오辅导’라는 한∙중 문화접경지대 : 아시아 대중의 일상적 문화번역 연구
김숙경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이 논문은 한국 유학생과 중국 대학생이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푸다오라는 상호교류 현장을 포착하여 일상적 차원의 문화번역 행위를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푸다오란 일반적으로 한국 유학생과 중국 대학생 간의 중국어 과외교습을 말하는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언어교습만이 아니라 압축적인 문화습득을 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문화번역과 슈츠의 이방인 이론을 배경으로 삼았으며 중국 선전에서 공부하고 있는 한국 유학생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푸다오 활동을 통해 압축적인 문화 습득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학생들도 중국이라는 사회세계에 진입하기 위해 적극적인 푸다오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푸다오가 단순한 언어 습득을 위한 활동뿐 아니라 집약적인 문화교류를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둘째, 양 문화가 소통하고 교차하게 되면서 이들이 지니고 있었던 자연적 태도, 즉 습관적인 사고의 흐름을 방해받게 되어 기존의 의식과 관행에 변화가 생긴다는 것이다. 이는 자국 중심주의의 사고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확보하게 된 것이라 하겠다. 셋째, 이들이 행하고 있는 자국문화와 상대문화 번역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자국문화 번역을 통해 자문화를 상대화하고 빠른 객관화를 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그 형성 맥락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상대문화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었다. 이들이 상대문화를 번역할 때에는 양 문화의 차이점을 가장 먼저 전형화하였고 이는 문화의 차이가 소통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간파하고 있는 것이라 해석된다. 넷째, 자연적 태도를 수정하였으나 상대 문화에 완벽하게 유효한 지침을 확보하지 못한 이들은 고향집단의 자연적 태도와도 다르고 새로운 집단의 그것과도 다른 재구성된 자연적 태도를 지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한국이나 중국의 습성적인 제도로부터 탈구된 인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푸다오라는 문화교류를 통해 적극적으로 상대 문화에 적응하고자 한 학생들은 자문화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한국과 중국 사이의 상호 우호적인 공통 감각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이들은 일상적인 언어와 사고로 활동하는 일반인 문화번역가로서 양국의 ‘일상적 의사소통의 기초’를 다지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everyday cultural exchanges works among ordinary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who encounter and interact by playing a role as provider and recipient of Fudao. The ‘Fudao’, meaning a private one-on-one Chinese language exchange, is being used more significantly in that it also implies an acculturation. To analyze its processes, this paper draws as its background on the theories of cultural translation and of the “The Stranger” by A. Schutz, and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Korean and Chinese students who stay in Shenzhen and engage in Fudao activities. Through this analytical process, this paper reaches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finds out that the Fudao activities of the students are actually interwoven in a compressive culture acquisi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Korean students, even after their problem of language gap has somewhat reduced, still engage in active Fudao activities in order to enter into Chinese society, which means the Fudao functions not only as an activity for language acquisition but also that for an intensive cultural exchange. Secondly, as the two cultures communicate and cross-link, each cultural bearer’s pre-existing consciousness and practice would change, because their natural attitude, habitual thought-streams get interfered. This provides each side with the significant opportunity to think outside the box of nation-centrism. Thirdly, this paper analyses each side’s translating processes of their own and the counterpart’s cultures. They could reach a higher level of comprehension of the counterpart’s culture through relativisation and rapid generalization of their own culture that had been acquired by its translation, through reaching a higher level of comprehension of its formative contexts. When the Fudao-ing students translated the counterpart’s culture, they first and foremost stereotyped cultural differences carried by each culture.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ir seeing through the fact that cultural differences act as a communication barrier. Fourthl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students who haven’t yet acquired perfectly efficient guidelines vis-à-vis the counter-culture, even though they succeeded in modifying their pre-existing natural attitude, come to acquire a newly reconstructed natural attitude which is apart both from the natural attitude of the native group and from that of the new group. This indicates the potential of a dislocated consciousness off from customary institutions of Korea or those of China. Thus, the students who wanted to adapt actively to the counter-culture through the cultural exchange of Fudao could step outside the box and make recognition of each other’s differences, which brought forth a mutually neighbourly common sense between the two sid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expects that those Fudao-ing students, as cultural translators in action with conventional language and thinking, would strengthen the ‘basis of everyday communication’ for both countries. Keywords Fudao, stranger, cultural borderlands, cultural translation, natural attitude, dislocation, cultural recipes, cultural patterns, cultural exchange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최경옥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본 연구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복지를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은 대인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접근을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첫번째는, 지역사회의 조직적 차원(group level)이고, 두번째는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개인적 차원(indivisual level)의 지역사회 사회자본이다.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구조적 차원(structural dimention)과 인지적 차원(cognitive dimen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지역조사와 청소년 설문조사의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두 지역을 선정한 후 지역 주민들의 지역사회 사회자본 수준을 네트워크(network), 참여(participation), 호혜성(reciprocity), 신뢰성(Trustworthiness)를 통해 문헌과 통계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두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81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사회적 역량 수준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두 차원이며 구조적 사회자본은 동네참여(neighborhood participation)를 통해, 인지적 사회자본은 동네인식(perceived neighborhood)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7월 16일부터 23일까지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각 변수의 수준을 파악하였고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구조적 사회자본(동네참여)와 인지적 사회자본(동네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구조적 사회자본(동네참여)과 인지적 사회자본(동네인식)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 두 차원 모두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며 두 차원의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높은 동네에 사는 청소년들은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많이 내면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 차원의 사회자본을 확대하기 위한록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모임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위해 학교, 단체, 사회복지 기관 등 여러 네트워크가 함께 연대해야 한다. 둘째,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역량을 강화 하기 위해 청소년의 네트워크와 호혜성,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많이 개발하고 지역사회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친구관계와 이웃관계를 긍정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청소년들이 동네참여를 활발하게 할 수 있고 동네에 대한 소속감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사회자본 외에도 학교사회자본과 가족 내 사회자본이 청소년 사회적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에서 학교사회복지를 확대하고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부모교육 등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노원구에 있는 두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고 그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에 대해서만 접근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를 다른 지역이나 다른 청소년에까지 일반화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조사하였으며 청소년 복지를 위해서 지역사회 차원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주요어 : 청소년, 지역사회 사회자본, 사회적 역량, 구조적 사회자본, 인지적 사회자본, 동네참여, 동네인식
Black & Scholes 옵션가격결정 모형을 활용한 협동조합 자기자본 가치 평가
강도현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18세기 중반 근대적 개념의 협동조합이 출현한 이후 양적 및 질적으로 큰 성장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 현장에서는 협동조합을 주식회사를 비롯한 일반적인 기업과는 다르게 특수한 조직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여전하다. 물론 협동조합이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일반적인 기업과는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협동조합 또한 시장 참여를 통해 생존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금융 접근성 등 현대 자본주의 시장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요소를 필요로 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협동조합을 주제로 한 다양한 이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반적인 경영 및 경제학 관점으로 협동조합을 해부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재무학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인 기업 가치 측정을 협동조합에 적용하였다. 재무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이론 중 하나인 Black & Scholes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협동조합 자본의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일반적인 경영학 이론으로 협동조합의 자기자본 가치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대표적인 생협 두 곳을 선정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예측 값이 현실과 부합할 뿐만 아니라 협동조합의 사회적 특성 또한 드러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