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의 수요자 중심적 교과과정 및 관련 변인분석

        이진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5

        교육대학원의 미용교육과정은 질 높은 전문 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전문화와 세분화가 필요하며, 교원양성기관으로서 학교현장과 연계된 체계적인 교수법 개발과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교육만족도와 요구를 교육과정, 영역별 교과과목,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 및 취업관리의 5가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령, 차수, 현직교사 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과정 만족도, 영역별 교과과목 만족도, 수업운영 만족도, 교육여건 만족도, 졸업요건 만족도는 모두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용교육대학원 학생들은 현재 교육대학원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으로 교원 양성기관으로서 예비교사를 교육하는 기능에 가장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될 기능으로는 ‘다양한 교육 수요자를 위한 차별성 있는 교육 기능의 분화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교육대학원을 교육과정, 교과과목,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논문지도 및 학위취득)요건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각 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수업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여건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각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수업운영의 경우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여건의 경우 행정지원 및 요구수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거나 차수(학기)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직교사와 비 현직교사에 대한 교육만족도와 요구도는 대체적으로 비 현직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미용교사의 재교육 및 계속교육과 비현직교사의 양성교육을 분리하여 운영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미용교육을 전공으로 하는 수요자에게 교원자격 관련 법령에 관련한 정보와 무시험검정 합격기준 등의 취득학점관련 정보를 자율적인 참여로 획득할 수 있도록 행정서비스를 구축하고 정보안내를 비롯한 행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미용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은 학교교육현장과 연계된 체계적인 교수법 개발을 위한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이 균형적인 비율로 편성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미용교육대학원에 적합한 전문적이고 특화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미용교육 현장 경험과 연구경력을 가진 전임교수(강사)진의 확충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을 높이기 위해 각 변수를 철저히 관리하여 교육과정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진행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교수자의 인상관리 요인에 따른 학업성취도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희영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현대 사회에서의 4차 산업혁명은 미래사회의 변화를 대표하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교육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의 핵심요소는 교사이며 교육계에서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 고 흔히 이야기 한다. 학생은 교사를 절대적인 존재로 생각하기 때문에 학생의 역할 모델이 되고, 학생의 동일시 대상이 된다. 즉 교사의 말투, 표정, 걸음걸이, 행동가지 등은 학생의 모방 대상이 된다고 본다. 이처럼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다. 모든 교육에 있어서도 교사의 이러한 외적 이미지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만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미용교육에 있어서는 더 중요하다고 보여 진다. 사람은 타인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받으려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타인에게 긍정적으로 보이고자 하는 행동을 ‘인상관리’라고 한다. 현재 인상관리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른 학문에서의 연구는 찾아볼 수 있지만 교육학에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를 대상으로 교수자의 인상관리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를 살펴보고, 각 인상관리 요소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수자의 수업진행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미용교사상의 질을 결정하고 미용 교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성과를 보이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예비조사는 2022년 2월 20일부최근 현대 사회에서의 4차 산업혁명은 미래사회의 변화를 대표하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교육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의 핵심요소는 교사이며 교육계에서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 고 흔히 이야기 한다. 학생은 교사를 절대적인 존재로 생각하기 때문에 학생의 역할 모델이 되고, 학생의 동일시 대상이 된다. 즉 교사의 말투, 표정, 걸음걸이, 행동가지 등은 학생의 모방 대상이 된다고 본다. 이처럼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다. 모든 교육에 있어서도 교사의 이러한 외적 이미지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만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미용교육에 있어서는 더 중요하다고 보여 진다. 사람은 타인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받으려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타인에게 긍정적으로 보이고자 하는 행동을 ‘인상관리’라고 한다. 현재 인상관리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른 학문에서의 연구는 찾아볼 수 있지만 교육학에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를 대상으로 교수자의 인상관리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를 살펴보고, 각 인상관리 요소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수자의 수업진행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미용교사상의 질을 결정하고 미용 교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성과를 보이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예비조사는 2022년 터 2월 25일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S대학 미용학과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이를 토대로 수정 및 보완하여 본 조사는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31까지 국내에 거주하는 미용을 전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온라인 257부, 오프라인 153부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총 410부 중 응답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33부를 제외하고 총 37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여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연령은 ‘20대’, ‘30대’, ‘10대’와 ‘50대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출신고는 ‘일반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기타(기독교 학교, 자퇴)’, ‘자율 고등학교’, ‘특수목적 고등학교’ 순이었고, 직업은 ‘학생’, ‘직장인‘, ‘자영업’과 ‘주부’, ‘기타(에이트)’, ‘공무원/교사’ 순이었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 ‘고등학교 재학/졸업’과 ‘전문대 재학/졸업’, ‘대학원 석·박사 재학/졸업’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수자의 인상관리,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학업성취도는 교수자의 인상관리의 비언어적, 타인중심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고, 위협적과는 유의미란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자기증진과의 상관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학업성취도의 지식 및 기술, 태도는 교수자의 인상관리의 타인중심, 비언어적과는 정의 상관이, 위협적과는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의 인상관리,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학업성취도는 교수자의 인상관리의 비언어적, 타인중심 순으로 상관이 높았고 위협적과는 유의미한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자기증진과의 상관은 유의 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학업성취도의 지식 및 기술, 태도는 교수자의 인상관리의 타인중심, 비언어적과는 정의 상관이, 위협적과는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결과 비언어적, 타인중심 순으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자의 인상관리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만족도는 교수자의 인상관리의 비언어적, 타인중심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고 위협적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자기증진과의 상관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섯째, 학업성취도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업성취도의 지식 및 기술, 태도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세부 전공별로 나누어서 연구를 진행한다면 교육현장에 있어서 활용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비언어적 인상관리 요인이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인상관리 변인을 다루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둔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인상관리를 활용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인상관리 변인들이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 인상관리를 통한 교육학에 관련된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자들은 인상관리에 대한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

      • 미용실 유형별 미용실종사자들이 기대하는 미용관련학과 교육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미용실과 일반 미용실을 중심으로

        김기운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is 21st century, lots of people are focusing on creating their own competitive images and, that has been the cause to expand the size of beauty industry. The Korean beauty industry has been constantly experiencing rapid changes and developments and now, as this industry tries to get rid of its old nature of small scale, it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popularized targeting high-end customers while working on some connection with more systematic, educational operation system. In the past, most of beauty salons would not be bigger than 16㎡~33㎡ and, there were not any organized training or education programs to grow beauty experts working in beauty salons. In addition, mostly, only one employee would deal with new hair-dos of all others customers in the salons. However, since 1992, a franchise beauty salon was introduced to Korea and, more people came to a salon to ask for some different, personal service. For that reason, in order to satisfy the customers with different service, each of the franchise salons started to give technical education and service training to stylists and partners. Recently, some of the franchise beauty salons have grown so much in size as big as hundreds ㎡ that they have hundreds of employees working for them. In other words, the beauty salons in Korea are being changed into a place where people would create new trends and fashion for their own while they can rest comfortably, rather than a place where people would only get a new hair-do and go home. Such development of the beauty salons made working in the beauty industry one of the dream jobs in Korea and, many students with high education background are trying to get in this industry. The study aimed to propose a basic reference to develop curricula on beauty arts that would satisfy needs of employees in hair beauty salons. The study categorized the salons by type and class, looking into present curricula and education contents in departments of beauty arts, actual needs asked by beauty salon employees and differences observed from those actual needs and the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21 days from February 18 to March 10 in 2013, targeting a total of 300 franchise beauty salon employees in Seoul and Gyeonggi. With SPSS 19, the study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alysis and cros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looked into what would be considered most importantly when each beauty salon employs new staff.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general beauty salons would emphasize the professionalism that this new staff member has acquired from one's major as they would prefer community college graduates with profound knowledge on ones' majors. The general beauty salon also appeared to put more weight on image when it tries to hire people. For the franchise beauty salons, personality was the major qualification and, the salons loved community college graduates with profound knowledge on ones' majors. However, for the image, they would consider it either importantly or not so much importantly at the same time. From the results, the study learned that when it comes to recruitment, the general beauty salons would go for professionalism and external images of new staff while the franchise beauty salons would emphasize the personality the most, considering the image either importantly or not so much importantly depending on circumstances of those franchise beauty salon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what the beauty salons would emphasize the most when they hire new staff for each position in the salons. For regular staff, designers and other positions, the personality was the greatest qualification while for beginner designers and chief managers, the professionalism was considered most heavily. For academic background, the community college graduates were favored the most while image was highlighted by both the general beauty salons and the franchise beauty salons. Regarding the personality importance, 'very much important' was observed with the regular staff, designers, chief managers and other positions while 'important' was asked for the beginner designers. The results, after all, confirmed that employees in any positions in the salons should have a good personality. Third, for training and eduction that the beauty salon employees wanted to be conducted by beauty arts departments, both the salons wanted some education that would be practical enough to be immediately used in the field but, other than that, the general beauty salons would go for education focusing on creativity while the franchise beauty salons would want education more on personality. For subjects to be necessarily opened, both salons chose psychology and, psychology and marketing were demanded for all those positions. Considering the results the above, the study realized that the beauty arts departments need to design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that would give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to be immediately used in the actual field and that the students need to cultivate personality studying psychology so that they could efficiently deal with minds and mental states of the customers as ones working for the service industry. Fourth, the results on the beauty salons' satisfaction with curricula of the beauty arts departments reported that the franchise beauty salons put a greater emphasis on the personality and manner than the general beauty salons, saying that students need to practice technical skills more at school.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al education and the theoretical education of the beauty arts departments, both the salons answered that they were moderately satisfied. Since what the students in the beauty arts majors would learn at school is certainly related to the employee training in the real field, some practical curricula should be designed. Fifth, the satisfacti 21세기는 자신의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는 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하여 많은 소비층이 뷰티산업으로 유입되어 미용 산업 규모가 확대되었다(김보연, 2011) . 예전의 미용실의 규모는 5평∼10평 남짓한 협소한 공간에서 주먹구구식의 경영방식으로 1인이 머리를 하는 곳으로 인식되어 왔으나(정훈, 2000), 1992년 이후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등장은 국내 미용실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층의 증가로 각각의 프랜차이즈에서는 차별화된 고객서비스를 실천할 수 있도록 스타일리스트와 파트너에게 기술교육 및 서비스교육을 진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몇백평의 공간뿐만 아니라 수백 명의 종업원을 거느린 대형 프랜차이즈 미용실도 등장하고 있다. 이렇듯 급격하게 변화와 신장을 거듭하고 있는 우리나라 미용 산업은 과거의 영세성을 벗어나 다양화, 대중화, 고급화, 연계성을 통해 한층 더 체계적이고 교육적인 운영 시스템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허병회 2004). 이런 우리나라 미용실의 발전은 미용실이 단순한 용모를 다듬는 장소에서 새로운 유행과 패션을 창조하고 건강한 안락감을 주는 장소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용실의 발전은 결국 인기직종으로 부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고학력의 미용지망생이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정훈, 2000). 이에 본 연구는 헤어 미용실 종사자들이 기대하는 미용관련 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미용실을 유형별, 직급별로 나누어 신규직원 채용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와 원하는 미용관련학과의 현행 교과과정과 교육내용, 미용실 종사자의 실제적인 요구와 학교 교육과의 차이성에 대하여 연구·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프랜차이즈 미용실 종사자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2013년 2월 18일부터 3월 10일까지 총 2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1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 유형별로 신규 채용 시 중요 요소를 분석한 결과, 일반 미용실은 전공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전공의 깊이에 대한 선호도로 전문대 졸업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규 채용 시 이미지에 대하여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미용실은 인성을 가장 중요시 생각하고, 전공의 깊이에 대한 선호도로 전문대 졸업생을 가장 선호하고, 이미지에 대하여는 중요하다는 의견과 보통이다는 의견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일반 미용실은 직원 채용 시 현장에 바로 투입 될 수 있는 전공 전문성과 직원의 외모적 이미지를 중요시 하고, 프랜차이즈 미용실은 직원 채용 시 인성을 가장 중요시 생각하고, 이미지에 대하여서도 중요하다는 의견과 보통이다는 의견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 직급별 신규 채용 시 중요 요소를 분석한 결과 스텝과 디자이너, 기타직급은 인성을, 초급 디자이너와 원장은 현장에서 바로 적용될 수 있는 전공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 학력은 모두 전문대졸을 선호하였으며, 이미지 중요도 또한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의 중요도에서는 스텝과 디자이너, 원장, 기타직급은 매우 중요하다, 초급 디자이너는 중요하다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모든 직급이 인성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용실 종사자들이 원하는 미용관련학과 교육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미용실 유형별로 가장 원하는 교육에 대해서는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는 교육으로 동일하나, 그 다음으로 일반 미용실은 창의력을 발휘 할 수 있는 교육, 프랜차이즈 미용실은 인성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과목으로는 미용실 유형별로는 모두 심리학을 선택하였고, 직급별로는 심리학과 마케팅을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미용관련학과에서 배운 교육이 미용실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인성교육 부분과 서비스 산업으로써 고객의 마음과 고객의 심리상황을 이해하는 심리학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미용실 유형별 미용관련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일반 미용실보다는 프랜차이즈 미용실이 인성 매너부분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완이 필요한 과목은 기술적이고 실기 테크닉 부분이었으며, 현재 미용관련학과의 실기 교육과 이론 교육의 만족도는 모두 보통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관련학과의 교육이 미용실 현장의 직원교육과 무관 하지 않음으로 현장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이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직급별 미용관련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직급별로 인성·매너 과목 필요성에 전반적으로 매우 필요하다고 나타났고, 모든 직급이 기술적인 면·실기 테크닉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용관련학과의 실기 교육과 이론 교육의 만족도는 모두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학

      • 청소년극 <꿈꾸러기>를 활용한 연극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중심으로 -

        김예원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theat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youth play <!-- Not Allowed Tag Filtered --><Dreamer> - Focusing on improving sociality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 Kim Ye Won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Theater and Fil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Anyang Korea Advisor; Prof. Lee Won Hyeon This research endeavors to scrutinize the augmentation of sociality in adolescents. characterized as an amalgamation of law-abiding behavior, cooperative spirit, sociability, and autonomy, fostered through engagement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study seeks to judiciously select and suitably adapt youth play productions for application within a diverse array of creative experiential context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ir efficacy in enhancing adolescent sociality. The intent of this scholarly inquiry is to propose a specialized drama education program tailor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is envisioned to be underpinned by a series of case studies in classroom settings, employing these modified youth play works as pivotal tools to reinforce sociality among adolescent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ensuing era marked by rapid societal transformation, the role of sociality during adolescence assumes an increasingly pivotal position. Specifically, the sociality of adolescents not only exert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as they transition to adulthood but also plays a formative role in shaping the culture of peer relationships within the educational milieu. This encompasses aspec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with educators,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endeavors, adherence to institutional norms, and the overarching evolution of interpersonal dynamics. Collectively, these elements are integral to the socialization process as adolescents navigate the path to adulthood. Particularly notable is the middle school phase characterized by a more heterogeneous environment compared to elementary education. Here, students encounter an expanded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and are subject to prolonged instructional periods. Consequently the requisite scope of sociality transcends mere rudimentary interpersonal interactions extending to a more comprehensive range of social competencies demanded across diverse academic subjects and activities. Additionally, the adaptation to peer relationships during this stage becomes a critical component of their social,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The researcher, cognizant of the prevailing necessity and challenges, successfully elicited efficacious outcomes in augmenting sociality during adolescenc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n array of programs inclusive of a drama education program. The empirical evidence underscored the imperative for rejuvenating drama education initiativ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observed paucity of engagement in theatrical pursuits within the autonomous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in schools. Historical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dedicated substantial efforts towards fostering individuals endowed with both creativity and moral fiber equipped to seamlessly navigate the fluid landscape of an ever-changing society. This overarching objective was prominently featur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was geared towards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s, as well a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placed a strong emphasis on developing competencies that mirror the varied demands of a dynamically transforming socie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re is a sustained emphasis on the imperative for pedagogical innovation that nurtures the capacity to actively engage with societal transformations, in alignment with the competencies envisaged for future societies. This approach encompasses the fortific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real-life experiences, with a primary focus on cultivating a proactive human ethos characterized by creativity and inclusiveness designated as fundamental competencies and objectives. In this context,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accentuates the vital role of foundational attributes in the augmentation of life-relevant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an empathetic and collaborative educational approach it seeks to enhance inclusivity and comprehension. These objectiv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ssential competencies developed through drama education. The essence of drama education transcends the mere accomplishment of dramatic functions or the mastery of its techniques. It entails engaging learners in the comprehensive journey of drama education wher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re pivotal, thereby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of social competencies and the amplification of sociality. The drama education program critically facilitates individual recognition of roles within communal contexts cultivates appropriate social relationships promotes cooperative and constructive communication, and necessitates the aptitude to adapt to a dynamically evolving society. Consequently, acknowledging the imperative for a diversified array of drama education programs an expansion of these initiatives is advocated. In alignment with this rationale, a pertinent youth play production was judiciously selected to serve the objectives of this investigation culminating in the formulation of a bespoke drama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 conducted by the investigator who concurrently assumes the role of a drama pedagogue, was implemented with a cohort comprising 6 pupils from C Middle School in Gyeonggi-do and 28 pupils from G Middle School in Seoul. Each instructional session, extending for a duration of 90 minutes, was systematically executed over a span of 10 sessions. In an effort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sess the augmentation in participants' sociality, a series of pre-study and post-study surveys were deployed. The ensuing data was meticulously scrutinized employing a mixed-methods research paradigm. Furthermore, to ascertain and reinforce the credibility and pedagogical soundness of the drama education program comprehensive feedback and critical reviews were sought from seasoned educational experts. This input was subsequently disseminated and discussed with the respective educational facilitators at the involved institution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cholarly inquir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drawing upon the thematic essence and societal reflections encapsulated in the youth play production <!-- Not Allowed Tag Filtered --><Dreamer> the researcher adeptly foregrounded social issues through the lens of adolescent experience, discerning societal challenges as they pertain to the adolescent demographic. This perspective eschewed the conventional view of adolescents as societal problems, instead highlighting the societal context in which they exist. This nuanced approach demonstrated its efficacy in bolstering sociality during adolescence. Moreover, the integration of drama education within the realm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s, as delineated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manifested discernible pedagogical impacts. This transcended the mere execution of drama's functional aspects, extending to the augmentation of sociality, inclusive of pivotal skills such as communicative,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competencies. Secondly,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utilizing a specifically designed sociality measurement instrument consisting of 20 closed-ended pre- and post-survey questions. The empirical data revealed an initial average rating of 3.14 on a 5-point scale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youth play <!-- Not Allowed Tag Filtered --><Dreamer> drama education program. Subsequent to the program's conclusion a marked enhancement in sociality was observed with scores escalating to 3.30, signifying a substantial increment of 0.16 points. Further in-depth analysis, conducted via open-ended surveys and responses anchored in the participants' post-program experiential narratives elucidated positive shifts across seven pivotal dimensions intrinsic to adolescent sociality: community integration, self-awareness, autonomy, interpersonal interaction, empathy towards others,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mpathic engagement. Thirdly, the participants engaged in the drama education program exhibited significant advancements in their self-expression capabilitie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es of rehearsing and enacting character roles within the production not only fostered both internal and external emotional empathy and communicative exchanges but also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lf-confidence. Consequently, through this research the investigator ha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a drama education program employing the youth play production <!-- Not Allowed Tag Filtered --><Dreamer> is effective in fostering sociality during adolescence. Moreover, in recognizing the critical importance of drama education, there exists an expectation for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varied and substantial drama education initiatives. These initiatives are to be incorporated within the ambit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a contributing to the ongoing enhancement and rejuvenation of drama education. This perspective underscores the commitment to expanding the pedagogical repertoire in a way that enriches the educational landscape and addresses the evolving developmental needs of adolescents. 청소년극 <꿈꾸러기>를 활용한 연극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중심으로 -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극영화교육전공 김예원 지도교수 이원현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청소년들의 준법성과 협동성, 사교성 그리고 자주성의 결정체인 사회성 향상에 기여함을 전제로 하여본 연구자가 실제 수업 현장에서 활용한 중학교 대상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코로나 팬데믹 시대를 지나 더욱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사회에서 청소년기의 사회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청소년기의 사회성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의 사회화 형성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에서 경험하는 또래 집단 및 교사와의 관계 형성, 학습활동, 학교 규칙 등에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중학교 시기는 초등학교의 환경보다 다양한 구성원과 어우러지며 학습자가 경험하게 되는 교과의 종류도 늘어나 수업 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단순한 대인관계에 필요한 사회성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각 교과 및 활동에서 요구되는 사회성 기술의 범위가 넓어지며, 또래 관계 적응 영역이 사회적, 정서적, 행동적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필요성과 문제점을 인식하여 청소년기 사회성 향상을 위한 청소년극 연극교육 프로그램 적용으로 효과적인 사회성 향상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으며, 설문 조사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청소년에 특화된 청소년극 연극교육 프로그램이 주효함을 알 수 있었다. 앞서 교육부에서 운영하였던 2009년도 개정 교육과정 인재상과 2015년도 개정 교육과정 역량에서의 공통점은 창의적인 인재로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 안에서의 다양한 사회요구를 반영시키는 데에 있어서 창의와 인성을 함께 지닌 인재를 키워내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육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삶과 연계한 역량 교육의 강화를 핵심역량이자 목표로 하여 창의성과 포용성을 갖춘 주도적인 인간상을 중점으로 두고 있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역량에서 언급되는 삶과 연계한 역량 교육의 강화에 있어 기초소양을 강조하고, 공감과 상호협력적 교육을 통하여 포용력과 이해력 증진은 연극교육이 함양하는 핵심역량과 연관된다. 이는 연극의 기능을 단순 성취하고, 습득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가 연극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을 통해 협업하고 소통해 나아가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여 사회성 향상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공동체 안에서의 개인적 역할을 인식하게 하고, 올바른 사회적 관계성을 포함하여 서로 협력하고 긍정적 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확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에 적합한 청소년극 작품을 선정하고,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극 강사로 출강하였던 경기도 소재 C 중학교 6명, 서울시 소재 G 중학교 28명을 대상으로 한 회기당 90분씩 2차시 총 10회기의 수업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사회성 향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 사전, 사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위하여 교육 전문가의 피드백과 검토를 받았으며, 해당 학교의 담당 교사와 설문 내용을 공유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 관점에서 사회적 시사점과 문제점을 주요하게 다룸으로 학생들의 사회성 향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 있어 연극교육 통한 교육적 효과를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연극의 기능을 단순 성취하는 것이 아닌 의사소통, 행동, 정서, 인지적 기능으로서의 사회적 기술을 비롯하여 사회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기 사회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인 공동체, 자기인식, 자율성, 상호작용, 타인 이해, 소통, 공감 총 7개의 범주에서 긍정적인 변화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을 위한 사회성 측정 도구로 혼합연구를 진행하여 20개의 문항으로 폐쇄형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총 5점 척도에서 평균 3.14 결과가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후 사회성은 3.30으로 나타나 0.16점의 향상을 보여 유의한 결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청소년극 <꿈꾸러기>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자기표현 능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작품의 등장인물의 역할을 맡아 연습하고 발표하는 과정에서 내·외적 정서적 공감 및 소통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자신감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본 연구자는 청소년극 <꿈꾸러기>를 활용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기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연극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중등학교 교육과정 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연극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연극교육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기대한다.

      • 미용NCS교육기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IPA)분석 : 미용특성화고등학교 중심으로

        김보배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급속한 사회 변화는 문제 해결력 있는 고급인력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에 NCS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도록 하였다. 직업능력은 NCS의 핵심으로 직무수행능력과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한 개념이다. 직업기초능력은 앞서 말한 사회적 변화에 발맞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 본 결과 학생의 경우 자원관리능력에서 시간관리능력이 중요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학생은 기술능력에서 실행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숙련에 영향이 있는 기본적인 업무수행에 필요한 기술 및 절차를 이해하는 능력인 기술이해능력의 숙련이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다. 두 집단 모두 중요도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비중을 두고 있으나 실행도는 중요도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이는 학생들에게 직업기초능력의 개념과 필요성을 이해시키고 교육활동의 연관성에 대해 인지시켜야 한다고 사료된다. 둘째, 직업기초능력 중 학생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자원관리능력에서 시간관리능력이다. 이는 고등학생들의 시간관리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미용 산업의 특성상 기술숙련이 중요한 요인이므로 미용직무의 기본적인 업무수행에 필요한 기술 및 절차를 이해하는 기술능력의 실행도가 높게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생과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의 하위요인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경우 중요도는 자기개발능력에서 자아인식능력을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행도는 대인관계능력에서 고객서비스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미용서비스업 발전으로 고객의 서비스 기대치 향상으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직업기초능력 전체 영역이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았다. 가장 큰 차이의 영역은 시간관리능력이다. 따라서 직업기초능력교육에서 학생들의 시간관리의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시간관리가 잘 되어 질 수 있도록 관리함이 필요하다. 교사의 경우, 고등학생들의 진로 미결정 비율이 높고 진로설정과 직업선택의 혼란이 심하므로 자기개발능력영역 중 경력개발능력에서 가장 높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정확한 진로결정 및 직업선택을 위한 자기개발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섯째, 학생과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매트릭스 결과는 가장 집중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영역은 학생은 조직이해능력이고 교사는 집중개선 영역에 분포하는 능력이 없었다. 낮은 중요도와 낮은 실행도를 나타내는 저순위영역은 학생은 수리능력, 교사는 조직이해능력으로 나타났다. 직업기초능력의 저순위영역은 학생에게 지속적으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실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학생과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매트릭스를 통해 조직이해능력이 집중 개선 영역이므로 학생의 조직이해능력을 높이기 위해 미용산업의 국제적 감각을 향상시키고 미용산업의 체제를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교과목으로 개설함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 산업의 직무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용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시 직업 기초눙력 중 의사소통 능력, 시간관리능력 등을 높이는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하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IPA특성상 중요도와 실행도의 상대적인 위치만을 사분면에 표시하여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한 것으로 향후 중요도가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이 필요하다.

      • 과정드라마(Process Drama)를 통한 연극 교육 활성화 연구 : 중등학교 수업 적용을 중심으로

        이현지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focuses on process drama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at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suggests its application to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focusing on its educational effects. With the advent of the special situation of COVID-19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esent era requires a change in the method of education. Moving with the change to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takes place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Ministry of Education paid attention to ‘theatre’ as a subject that can develop six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nurtur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a future-oriented human resource. For school teachers, however, theater class is limited to Korean language lesson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is implemented as general elective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is means that theater education is still considered unfamiliar in schools. At the same time, it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discuss the theater education method linked to schools. By recognizing these problems and analyzing them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author of this study discovered the utility of process drama as a method of theater education in the larger context of school culture and arts. Especially, this study understands th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on process drama, which is currently focused on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intends to focus in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at can be achieved when using process drama in secondary school drama classe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education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prepared for the future even in the present difficult time. It argues that breaking from the past education method which involved Korean youths simply memorizing printed knowledge and raising test scores, we should use the process drama related to convergent education to gain a deep insight into life and strive to solve the complex problems facing society. This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use of process drama is useful for revitalizing theater education in the future, as shown through the blueprint for nurtu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uggested through the previous revision curriculum and major changes such as the creation of a theater curriculum that leans on i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process drama is used in a clas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t makes it possible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adolescence as it is a method suitable for the trend which emphasizes integrated (convergent) art education that characteristically works with future growth. Second, process drama covers from current problems to future problems and can promote creative problem-solving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essential structures of esthetic engagement, critical detachment, and various characteristics used during activities. In order to derive these results, this study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drama in literature and presents a case study of process drama for revitalization of domestic theater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ourse drama will be confirmed with this, and that various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ater as a school subject in the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연극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과정드라마(Process Drama)에 주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대상 수업 적용을 제언하는 연구이다. 현시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함께 ‘코로나19’ 라는 특수한 상황이 도래함으로써 교육의 방식도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변화 흐름 속에서 교육부는 미래 지향적 인재상인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6가지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과목으로 ‘연극’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연극 수업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국어 단원으로 한정되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엔 일반선택으로 시행되는 정도이다. 이는 연극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여전히 생소하게 여겨진다는 것이며, 동시에 현장과 연계된 연극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함과 동시에 다각도의 분석을 통하여 현시대의 학교문화예술의 큰 흐름에서 연극 교육 방법으로 과정드라마(Process Drama)가 지닌 효용성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아나 초등 대상에 집중되어있는 과정드라마에 대한 연구가 중등학교 대상으로의 확대가 필요함을 인식하며, 중등학교 연극 수업에서 과정드라마 활용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효과성에 대해 집중 논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현재의 어려운 시기에서도 교육은 지속, 발전되어야 하며 미래를 대비하여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우리의 청소년들이 단순히 활자화된 지식을 암기하고 시험점수를 높여야 했던 과거의 교육방식이 아닌, 융합교육과 연관된 과정드라마를 활용하여 삶에 대해 깊이 있게 통찰하며, 사회에서 당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는 앞선 개정 교육과정들을 통해 주장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청사진과 여기에 기대어선 연극교과의 신설과 같은 주요한 변화들을 통해, 과정드라마의 활용이 미래 연극 교육 활성화를 위해 효용성이 있다는 믿음에서 나타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크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 과정드라마가 활용된다면 그 특성적으로 미래 성장과 함께하는 통합(융합)예술교육이 강조되는 흐름에 알맞은 방법으로써 중요한 청소년기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과정드라마는 본질적 구조인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 활동 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특성들을 통하여 당면한 문제부터 미래의 문제까지 아우르며 중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과정드라마의 특성을 문헌연구하고 국내연극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정드라마 수업사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과정드라마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 진행되는 후속 연구에서도 연극교과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으면 한다.

      •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문주련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 이후,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관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대한 어려움은 무엇인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을 위한 요구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위해 본 연구자와 라포 형성이 잘 이루어진 총 15명의 현직 교사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2021년 1월 2일부터 10월 31일까지 10개월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대면 면담과 전화 면담 또는 실시간 온라인 화상 회의(zoom)방식으로 2∼3차례에 걸친 1:1 개별 면담과 2∼3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소집단의 면담 형태로 나누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분석적 귀납방법을 통하여 자료 속에 함축된 의미에 맞는 주제나 용어를 찾아내는 개방적 코딩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아교사가 인식한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놀이성에 대한 인식, 교사의 사전 경험 및 배경 지식의 정도, 놀이 및 유아의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는 발문 및 의사소통의 기술과 같은 교사의 역량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 대 아동 비율과 보조 및 지원 인력의 여부가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의 다양한 업무와 역할에 대한 균형적 인식과 적절한 안배가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대한 어려움은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 교사는 유아의 놀이 상황에 개입이 가능한 시점과 멘트, 방법 등의 상호작용 기술적 측면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교사는 언제, 어떻게, 무슨 말로 유아의 놀이 상황에 끼어들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 상황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거나 놀이의 흐름을 바꾸는 등의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는 유아와의 놀이 중 예고치 않게 튀어나오는 돌발 상황 및 질문에 대한 당혹감을 나타내었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교실에서는 유아의 흥미와 요구 위주의 놀이가 펼쳐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놀이 주제와 범위가 매우 광범위해졌다. 또한 유아의 생각을 미리 예측하기 어렵다는 어려움까지 더해지면서 교사는 미처 준비되지 않은 상황과 상호작용에 대해 당황하고, 능숙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을 통해 교사의 역할을 잘 이행하지 못하였다는 죄책감에 빠지기도 하였다. 셋째, 교사는 교실 속 여러 명의 유아를 동시에 상대해야 하는 환경에서 느끼는 상호작용에 대한 버거움을 느꼈다. 한 명의 교사와 다수의 아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교실 환경 속에서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신속하고 민감하게 지원해주지 못하고, 모든 유아에게 골고루 상호작용을 해주지 못했다는 데에서 오는 미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교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필수로 이루어지는 놀이 장면 관찰과 기록에 소모하는 정신적, 육체적 에너지로 인해 정작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소홀하게 된다는 고충을 토로하였다.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보다 더 잘 지원하고, 이끌어주기 위해 관찰과 기록을 하는데 오히려 그러한 행위로 과도한 에너지가 소모되어 유아의 놀이를 신속하게 지원하고, 발달을 위한 적절한 상호작용을 할 수 없는 번 아웃 상태가 되어버린다. 위의 내용을 토대로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을 위한 세 가지 요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할 의무가 있는 교사(임부연 외, 2020)의 핵심 역량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비롯한 국가수준의 다양한 배움의 기회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앞서 언급한 상호작용 기술의 부족,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배경지식 등을 보완하기 위해 교사는 끊임없이 노력하고, 배워야 한다. 이러한 배움의 기회는 교사 개인이 아닌 국가 수준에서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현재 교사 대 아동의 법정비율에서 교사의 비율은 늘리고, 아동의 비율을 줄이는 제도적인 지원을 요구하였다. 이는 예전부터 현장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꾸준히 언급한 내용이지만 현재까지도 크게 개선되지 않은 부분이다. 현재와 같이 높은 교사 대 아동비율은 교사의 업무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개개인의 유아를 세심히 챙기지 못하는 등 유아의 발달 행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교육의 질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 개개인의 흥미와 개성이 더욱 강조되는 교육과정인 만큼 이를 위한 제도적인 개선이 시급하다. 셋째, 교사들은 멀티 플레이어와 같이 동시에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교사의 행정적, 부수적 업무들을 분담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여분의 인력 지원을 요구하였다. 한 명의 교사가 수행해야 하는 여러 가지 역할에는 그만한 업무량도 함께 존재한다. 방대한 양의 업무는 교사의 컨디션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곧 유아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질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기 때문에 현장에서 교사의 업무를 분담할 수 있는 여분의 인력 투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대해 탐색해봄으로써,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공립, 직장, 민간 어린이집 교사와 공·사립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만 진행한 연구이므로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교사 면담자료만을 토대로 분석한 교사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라는 제한점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추후에는 보다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실제 현장 상황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생생한 사례를 담은 후속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핵심역량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문한나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사회는 인터넷과 네트워크가 발달됨에 따라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발맞춰 다양한 교육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의 교육 동향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미래 인재를 키워내기 위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흘러가고 있다. 2015년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었고, 6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하여 각 교과에 맞게 교과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용 교과의 경우,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핵심역량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핵심역량은 인재 양성 교육 시 필요한 요건이므로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NCS를 기반으로 한 미용 교육과 더불어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역량 교육을 통해 미용 전문인을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 미용 산업체들이 생각하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핵심역량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하여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에게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을 제안하고, 향후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핵심역량을 활용한 미용 교육과정 및 방법 설계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핵심역량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본 결과,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교사, 미용 산업체 모두 의사소통역량이 다양한 미용 현장에서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이라 하였고, 현재 미용 현장에서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는 핵심역량이라 하였다. 이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용 전문인을 양성하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상 의사소통역량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핵심역량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과 미용 산업체는 자기관리역량으로 나타났고,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는 창의적 사고 역량으로 나타났다. 즉,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되지 못하는 역량인 자기관리역량과 창의적 사고 역량의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각각의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IPA 매트릭스에서 주목해야 하는 제2사분면은 집중개선 영역으로 최우선적이게 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는 부분으로써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은 자기관리역량, 미용 산업체은 지식정보처리역량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들을 포함한 미용 교육 과정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교사, 미용 산업체 모두 핵심역량의 중요도는 높게 인식되고 있으나,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고 있다. 즉, 핵심역량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식은 높으나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방법 및 방안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시행하는 단순 교과 또는 NCS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미용 교과 핵심역량 교육을 적용·보완한 미용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메타버스-게더타운을 활용한 연극교육 연구 :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나수아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연극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식한 교육적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기술의 발전과 전 세계를 강타한 팬데믹은 메타버스 시대를 가속화 하였고, 교육현장에서는 메타버스의 다양한 활용사례들이 나타났다. 현재까지 비대면 환경에서의 수업들은 어느 정도 안정감을 찾게 되었지만, 실재감이 부족한 비대면 수업들은 참여자의 학습집중도 저하와 그에 따른 피로감을 야기시키기도 하였다. 교육부는 예측할 수 없는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 혁신적 측면에서 모든 교과에 디지털 소양 강화를 위한 2022년 개정 교육과정안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교육적 변화의 방향에 맞추어 앞으로 중등 교급에서의 디지털을 활용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최근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과 관련 연구들은 점차적으로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지만, 연극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비대면 연극교육의 사례를 분석하고, 메타버스 교육의 특징들을 조사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연극수업에서 가장 적합한 플랫폼으로 게더타운을 선정, 소개한다. 여기서 무엇보다 게더타운에서 연극교육에 활용 가능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메타버스-게더타운을 활용한 연극수업을 설계한다. 이때 활용되는 희곡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이며,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본 설계된 수업을 진행한 뒤 참여자들의 사후 설문조사와 인터뷰 그리고 교수자의 인터뷰를 행하고, 이에 따른 결과의 분석을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연극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한 교육적 효과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나타난 메타버스-게터타운 연극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한 교육적 효과는, 실재감 있는 가상공간에서 능동적 자기 참여에 따른 몰입으로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그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교수자는 수업에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수업에 활용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한다. 그리고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가상공간과 극적 상황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완성도 있는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메타버스-게더타운을 활용한 연극교육「한여름 밤의 꿈」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 한 학생들이 메타버스 환경에 쉽게 적응하고 교수자가 쉽게 프로그램을 구현할 플랫폼의 선정이 중요하다. 둘째, 메타버스 맵의 공간 구성과 음향효과의 오브젝트가 연극의 극적 몰입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 셋째, 선정된 메타버스의 플랫폼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수업 설계를 하는 교사의 플랫폼에 대한 이해도가 중요하다. 마지막 넷째, 교육적 효과를 위한 적절한 회차 구성이 중요하다. 급진적인 새로운 변화 속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은 이미 다각적으로 시작되었다. 무엇보다 창의, 융합 교육의 대안적 모델인 연극교육은 실제 현장 교육에 의한 소통실현의 가능성을 바로 메타버스 활용의 교육을 통해 찾아 나갈 것이며, 다양한 교육적 효과들도 발견될 것이다.

      •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공감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예림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급변하는 사회에 대처하는 우수한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미용 산업의 교육환경에서 질 높은 교육이 요구된다. 이러한 교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핵심역량이 필요하며 대학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국내 대학의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14일부터 4월 17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총 448부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의 하위요인 중 협업역량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나 미용 전공 대학생의 역할 파악과 자료 공유 및 협력하는 팀워크 능력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미용 전공 대학생의 인지적 공감과 자신감 수준이 높게 나타나 미용 전공 대학생이 지적인 추리와 상상력이 풍부하고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협업역량 수준이 탁월한 경우 공감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협업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 전공 대학생의 협업역량 및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협력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학습 활동, 의견 전달 및 수용 능력 고취가 가능한 교육, 상대방의 입장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도와주는 교육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하다. 셋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문역량 수준이 탁월하거나, 전문역량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전문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문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전공 지식 습득 및 이해를 촉진시키고 자기주도 및 자기관리 방법을 지도할 수 있는 미용 교육과정의 개발, 전공별 다양한 교내 대회 개최,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과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 발견을 위한 노력 및 자신의 정서·행동 통제를 할 수 있는 교과 활동 프로그램 고안이 필요하다. 넷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중 시민의식 높을수록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봉사 실천 및 희생적 태도가 좋은 학생일수록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용 전공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는 공동체에 봉사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사회적 민감성을 이해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중 협업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미용과가 있는 대학교에서는 협업역량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고안과 교육과정 개편을 통하여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se day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to nurture professionals in the beauty industr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uch education, core competence is essential. Therefore, colleges must provide curriculum aimed at improving core competenci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from March 14 to April 17, 2023. A total of 448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teamwork’ was the highest. In other words, teamwork skills needed for defining their roles, data sharing, and collaboration were high. In addition, since cognitive empathy and confidence were high, the students’ trust in problem-solving ability is high with intellectual reasoning and rich imagination. Second, as the level of teamwork was high, empathy was the greatest. In other words, as empathy was higher, teamwork increased accordingly. Therefore, to enhance such teamwork and empathy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it is necessary to launch a training program aiming to provide learning activities and opinions and enhance the acceptance ability for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to understand others’ stances and emotions. Third, as the level of professional competence was higher, problem-solving ability increased, and vice versa. To enhance such professional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required to develop curriculum which can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ir major and learn self-administration and self-control methods, host various competitions by academic major and make efforts to define and improve problem-solving issues.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control their emotions and behavior is also necessary. Fourth, as citizenship improved, empathy increased. In other words, as volunteer and sacrificial attitudes increased with interest in social issues, empathy was also higher.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ty and provid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ocial sensitivity to improve the students’ empathy and citizenship.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teamwork is a key element among core competencies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Therefore, colleges are anticipated to develop and provide a teamwork-related curriculum and help students build their core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