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聖潔敎會의 聖潔論 理解에 對한 歷史的 硏究 :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중심으로

        안을수 성결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5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신학의 전통에 서 있다. 그러나 1921년 성결교단으로 설립된 후 한국성결교회는 1921년 교단화 되어 성결교회로 칭하였을 때는 더욱 성결의 복음이 강조된 바 사중복음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 교단신학의 핵심으로 고착되었다.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은 이신득의(justification by faith)가 가장 중요한 개신교 교리라는 점에 동의할 것이다. 그러나 이 교리는 하나님의 은총과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그것이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평가 절하하고, 성화의 의미를 가볍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성결교회 ‘성결론’형성 과정을 성결론 형성배경과 성결교회 초기문서, 주요한 지도자들의 신학을 통해, 성결의 은혜는 첫째, 신자들에게 체험되는 그 무엇이며, 둘째, 성결은 중생한 신자들에게 주어지는 “제 2의 축복(the second blessing)이라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성결의 본질에 있어서는 성화적 성격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연구하였다.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은 18세기 웨슬리의 부흥운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그 후 1830년대에 팔머(Phoebe Palmer) 여사의 집에서 열린 화요성결교집회에서는 수많은 성결 지도자들이 배출되었고, 팔머 여사의 성결운동은 1860년대에 일어난 전국성결촉진 캠프집회연합회(The National Camp Meeting Association for the Promotion of Holiness)로 계승되었는데, 성결운동의 직접적인 배경은 바로 이 단체였다. 그리고 19세기, 20세기를 거치는 동안 1907년 이 땅에 성결교회(당시, 염곡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가 세워질 때부터 창립자들을 통하여 전파되어진 것은 성결을 핵심으로 한 사중복음(중생?성결?신유?재림의 복음)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에 대한 성경적 정의와 신학적 정의를 연구하여 성결의 개념을 이해하였다. 또한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 이해 배경을 위해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 형성에 영향을 준 요한 웨슬리의 부흥운동과 웨슬리안 성결론, 만국성결연맹과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한국성결교회의 초기문서 즉, 초기?활천?과 동양선교회 교리급 조례, 헌장(헌법)에 나타난 성결론을 연구 하였다. 그런 후에 한국성결교회의 주요 인물들의 성결론을 해방 이전 인물에 나타난 성결론과 해방 이후 인물에 나타난 성결론을 나눠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는 성결은 순간적 체험이다.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의 헌장에 의하면 성결과 성령세례에 대해 ‘성결’은 ‘거룩’ ‘정결’ ‘성령세례’ ‘불세례’ ‘완전한 사랑’ 등의 말로도 표현하지만 이 은혜는 중생 후 또는 동시에 신앙으로 말미암아 받는 순간적 체험이라고 하였다. 그렇다. 성결은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 웨슬리도 성화(성결)의 과정에 대하여, 첫째로 로마 카톨릭의 입장을 비판하면서, 이는 사람의 행위나 공로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1925년「?理及條例」 ‘신앙개조 (총16절)’8절에서도 ‘성결’내용을 보면 중생 후 순간에 받을 경험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한국성결교회의 주요 인물들도 성결은 순간적인 동시에 일시적이나, 성화는 순간이 아닌 시간적으로 무기한으로서 날마다 향상되는 과정으로 보았다. 그러나 한국성결교회는 성결은 순간적 체험이지만 점진적인 성화의 과정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완전성화의 개인적인 체험을 강조하다해서 개인주의나 분파주의로 빠져서도 안 된다. 왜냐하면 우리의 사명은 성결의 복음과 그 능력을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온전한 성결(성화)은 동기에서의 완전이다. 온전한 성화는 하나님과의 신앙의 관계, 또는 동기에서 이해한다. 온전한 성결(성화)는 행동의 결과에서의 완전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의 헌장에 의하면 성결이라 함은 하나님과 같은 절대적 성결을 뜻함이 아니라고 하였다. 즉, 온전한 성결은 하나님과 같은 절대적 성결을 뜻함이 아니고(사57:15), 하나님의 성결을 상대로 하여 받는 상대적 성결을 가르치는 것이다(벧전1:15). 웨슬리도 온전한 성화를 인간의 연약성(infirmities)을 가지고 있는 그대로의 인간으로서의 완전 즉, 하나님과의 신앙의 관계, 또는 동기에서 이해한다. 셋째. 성결은 전도와 사회봉사의 원동력이다.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의 헌장에 의하면 성결이라 함은 하나님께 봉사하기에 현저한 능력을 주시는 은총이라고 하였다. 웨슬리가 강조하는 성결도 전도와 봉사 곧 홀리시틱한 전도(Holistic Evangleism)의 원동력이 되었다. 웨슬리는 메소티스트가 교회와 사회를 변화시키는 성결의 누룩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믿었다. 성결에 대한 이와 같은 웨슬리의 강조는 전도와 사회참여를 통하여 18세기 영국전역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와 같이 성결은 전도와 사회봉사의 원동력이다. 한국성결교회는 이 땅에 처음 발을 내딛을 때부터 성결운동과 복음 전도에 집중하여 짧은 역사 속에서도 비약적인 부흥을 가져왔고, 한국교회에 영향을 끼치는 교단으로 성장하였다. 따라서 한국성결교회는 다시 한 번 성결을 강조한 사중복음을 중심으로 성결운동과 전도사역이 회복되고, 성결운동을 체험신앙과 참신자화 운동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할 때 비로소 한국성결교회는 다시 한 번 성결교회의 특징에 근거하여 활발하게 성결운동과 함께 교회 부흥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Korea Holiness Church is imbued with the tradition of Wesley Theology. However, having been established as the Holiness Church Association in 1921, it came to focus more on evangelism of holiness and came to regard the four gospel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as the core of its theology. Most Christians will agree that justification by faith is the most important dogma of Protestantism. As this dogma, however, overly stresses the grace of and belief in God, it could devaluate the life of a Christian and the meaning of sanctifi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ormation of Korea Holiness Church's "theory of sanctification" was studied, and the early documents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theologies of its founders were examined so that the doctrine's components could be identified, which include the following premises: (1) The grace of holiness can be experienced by the faithful (2) Holiness is the second blessing that is given to the faithful who have been regenerated and (3) The intrinsic value of holiness is sanctification. Korea Holiness Church's theory of sanctification originated from Wesley's 18th-century revival movement. Later, many Holiness Church leaders were nurtured in Tuesday's Korea Holiness Church Meeting, which was regularly held in the house of Phoebe Palmer in the 1830s. Mrs. Palmer's Holiness Movement was replaced in the 1860s by the National Camp Meeting Association for the Promotion of Holiness. Then, through the 19th and 20thcenturi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ea Holiness Church in 1907 (Yeomgok Oriental Missionary Society at that time), the four gospel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came to focus on holiness, as propagated by its founders. The researcher came to understand Korea Holiness Church's concept of holiness by researching on the definition of the theory of sanctification in the Bible and in theology books. Moreover,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Korea Holiness Church's theory of sanctification, the researcher studied John Wesley's revival movement, the doctrine of Wesleyan holiness,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Oriental Missionary Society, as well as the early documents of Korea Holiness Church, including the early Hwalcheon (Way to Heaven) journals and the discussion of the theory of sanctification in the Ordinances of Dogma and the constitutions of Oriental Missionary Church. Thereafter, the researcher also studied the major characters behind Korea Holiness Church, classifying them into those who appeared before the people before the liberation and those who did so after the liber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the following important conclusions regarding Korea Holiness Church's theory of sanctification: (1) Holiness is a momentary experience. The constitution of Jesus Korea Sungkyul Church of Christianity refers to holiness or baptism by the Holy Spirit as "holiness," "divination," "baptism by the Holy Spirit," "baptism by fire," or "perfect love," but it also refers to this grace as a momentary experience of regeneration and/or faith. As such, holiness occurs momentarily due to the grace of God and one's faithin Him. As for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holiness), Wesley criticized the view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regarding the matter and instead stressed that sanctification is brought forth by one's faith, which is a grace from God. In Article 8 of Reconstruction of Faith in the 1925 Ordinances of Dogma (consisting of 16 articles in all), it is stated that holiness is a momentary experience that one goes through after regeneration. Further, the founders of Holiness Church showed that holiness can be held only momentarily and temporarily but that sanctification is not momentary at all but is unlimited in time and progresses every day. Although Holiness Church considers holiness a momentary experience, the Church stresses that the process of its sanctification should not be ignored. Moreover, it should not lead to individualism or factionalism even as it stresses the individual experience of perfect sanctification because the Church's mission is to spread the gospel of holiness and a person's ability to attain it, from its individual aspect to its social aspect. (2) Perfect holiness (sanctification) is the perfection of the motivation of holiness. Perfect sanctification must be understoo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one's faith in Him or one's motivation for such. Perfect holiness (sanctification) does not mean perfect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Korea Holiness Church of Christianity, holiness does not mean absolute holiness, like that of God. In other words, perfect holiness is not absolute holiness like God's (Credo 57:15) but the relative holiness received from the holiness of God (Bethel 1:15). Wesley also understands perfect sanctification as one's relationship with God based on one's faith in Him, or as one's motivation, considering that human beings have infirmities. (3) Holiness is the driving force behind evangelism and volunteer services in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Jesus Korea Sungkyul Church of Christianity, holiness is like a grace of God that gives remarkable abilities to a person so that he or she can serve others out of love for God. The holiness that Wesley stressed also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holistic evangelism, or evangelism and service. Wesley also believed that Methodists should play a core role in spreading holiness, which will create meaningful changes in the church and society. The emphasis that Wesley placed on holiness was felt throughout the U.K. in the 18thcentury through the spread of evangelism and social involvement. Likewise, holiness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evangelism and volunteer services in the society. From its foundation, Holiness Church focused so much on the holiness movement and the evangelism of gospels that it succeeded in bringing forth a swift revival in a short time and has grown into an influential religious association in the Korean Church. Therefore, Korea Holiness Church should revive its holiness movement and evangelical mission based on its four important gospels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which are focused on holiness. It should also turn the holiness movement into an experiential- and real-faith movement. By doing so, Holiness Church will be able to revive the holiness movement based on its own characteristics as a church.

      • 한국성결교회의 구원의 서정

        권용국 성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구원이라는 말은 과거를 살아간 사람들, 오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그리고 미래를 살아갈 사람들에게도 여전히 적용되는 보편적인 용어이다. 인류는 저마다 삶에 있어서 풍요와 자유를 원하며 또한 누리고 있지만 여전히 기독교에 있어서 구원은 현대인에게 삶의 궁극적 의미와 목적을 제시하고 바라볼 수 있는 무엇인가를 던져주고 있다. 그것은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죄에 의한 짓눌림 그리고 그 짓눌림으로부터의 구원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인간을 죄의 속박에서 구원하기 위해 이 땅에 오시고 십자가상에서 죽으시고 부활과 승천을 통해 이룩해 놓으신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공로를 믿고 받아드리는 것이 구원에 이르는 참된 길이다. 이제 이 사실을 믿는 사람들에게 이 구원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의 문제가 곧 구원의 서정 또는 구원의 과정의 문제이다. 한국 성결교회에 있어서 구원의 서정 또는 그 과정과 완성의 신학적 입장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했던 것은 명확한 구원관의 입장을 밝혀 자신의 신앙의 위치를 깨달아 신앙생활의 혼돈 없이 자신의 삶을 하나님께 드리는 성결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과제는 오늘날 한국성결교회가 취하고 있는 구원의 서정에 관한 입장이 무엇인가를 논증하는 것이었다.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제1장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연구방법이 다루어 졌다. 제2장에서는 구원의 서정의 의미를 먼저 정의하고, 그 성경적 기초에 대한 논쟁을 소개하였다. 성경은 "구원의 순서"에 대하여 명확히 말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해 완전한 구원의 순서를 제시해주고 있지 않지만 그 기초를 제공해주고 있다고 보는 견해와 벌까우어(G. C. Berkouwer, 1903-1996)와 같이 구원의 순서를 정하는 것 자체가 성경이 허락하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구원의 서정을 신학적으로 몰입하면 구원자체가 가지고 있는 풍요로움을 해친다고 보는 견해를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구원의 서정에 대한 개혁주의의 입장을 다루되 칼빈(John Calvin),과 칼빈니즘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존 칼빈의 구원서정은 ‘소명과 신앙-중생과 회심-칭의-성화-예정-부활’의 순서이다. 인간구원의 순서는 바울의 로마서 8:30을 근거로 한다. ‘칭의’는 논리적으로 우선하며, 중생이 회심보다 선행한다. 회개도 전적인 하나님의 선물인 것이다. 다음 제4장에서는 알미니우스의 주장을 알아본 후 웨슬리가 주장하는 구원의 서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분석하되, 그의 신학사상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알미니우스는 칭의(의인) 앞에 회개, 믿음을 두면서 구원의 순서를 ‘하나님의 부름- 회개- 믿음- 칭의(의인)- 양자’로 설명하고 있다. 알미니우스는 자력으로써 구원을 얻을 수 있는 능력과 구원에 있어서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함으로써 그리스도의 객관적인 구속이 아닌 인간의 신앙에 의해 구원을 얻는다고 가르친다. 한편 웨슬리는 “선행적 은총- 회개- 의인과 신생- 성화-완전- 영화”라는 도식으로 인간의 구원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웨슬리 신학은 성결을 강조하는 구원론 중심의 신학이다. 구원의 핵심은 성결 (성화, 그리스도인의 완전)이다. 죄인이 칭의 되고 거듭날 뿐 아니라 성결한 신앙의 단계까지 성장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칭의와 중생이 제1차적 변화라면 성결은 제2차적 은총의 체험이다. 제5장에서는 웨슬리의 주장과 개혁주의와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칼빈 신학에서 논의되는 구원의 서정은 ‘롬8:29-30’을 그 근거로 한다. 즉, 하나님께서 정하시고, 부르시고, 의롭다하시고, 영화롭게 하셨다는 것이다. 이 사상을 논리적으로 발전시켜 칼빈 신학에서 세부적으로 단계순서를 규정하는데 1) 예정, 2) 소명, 3) 중생, 4) 믿음, 5) 회개, 6) 칭의, 7) 성화, 8) 견인, 9) 영화이다. 웨슬리가 말하는 구원은 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거룩하고 겸손, 온유, 참는 사랑으로 의롭게 되는 순간부터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결국 마음의 모든 죄가 씻겨 순수한 사랑으로 충만해 진다. 그 후 계속 성장하여 그리스도의 형상을 입을 때까지 증가한다. 이런 구원 이해에서 구원관, 의인, 성화교리가 나왔는데 웨슬리는 성화에 비중을 둔다. 웨슬리는 구원순서를 1) 선행은총, 2) 회개, 3) 칭의, 4) 신생(중생), 5) 점진적 성화, 6) 성결, 7) 영화로 요약한다. 마지막으로 제 6장에서는 성결교회의 역사적, 신학적 배경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역사적 배경 논의에서 만국성결교회, 동양선교회, 한국 성결교회는 공통의 신앙기반을 공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성결교회는 사중복음을 심프슨(A. B. Simpson)이 아니라 냅(M. W. Knapp)과 리스(S.C. Ress)의 만국사도성결회를 통하여 이어 받았음이 분명하기 때문에 동양선교회와 오늘의 성결교회의 신학에 대한 영향과 형성은 근원적으로 요한 웨슬리 신학이 분명하다. 그리고 신학적 배경 논의에서는 웨슬리의 성경적 복음신앙을 다루었다. 웨슬리 신학은 성결을 강조하는 구원론 중심의 신학이다. 즉 신학의 중심은 구원론이며, 그 구원의 핵심은 성결(성화, 그리스도인의 완전)이다. 죄인이 칭의 되고 거듭날 뿐 아니라 성결한 신앙의 단계까지 성장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한영태 교수는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적 정립에 있어서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한국 성결교회 신학의 뿌리는 웨슬리 신학이며, 한국 성결교회 신학의 미래도 웨슬리 신학에서 찾아야만 되고, 또한 한국성결교회의 전도 표제로서 사중복음이 성결교회 교리의 전부는 아니지만 교리 중의 중요한 부분이며, 중요한 신학적인 개념이 함축되어 있음을 인식해야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한국성결교회의 구원의 서정이 웨슬리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했고, 또한 사중복음에 대한 구원론적 해석을 통하여 신유와 재림을 웨슬리의 구원의 서정 중 각각 점진적 성화와 영화에 연결시킴으로써 한국성결교회의 교리인 사중복음을 구원의 서정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적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형성된 바탕 위에서 구원의 순서를 세부적으로 예지예정- 부르심(선행적 은총)- 회개- 믿음- 중생- 의인(칭의)- 성결(성화)- 온전한 구원라는 단계를 제시하였고 그 신학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 성결교회 신학에 있어서 사중복음이 웨슬리 신학을 근원으로 하여 형성된 중요한 신학적 개념 및 교리로 보고 제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구자는 한국성결교회의 구원의 서정 논의가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그 목적 점을 두고 있으므로 웨슬리 신학을 근거로 하는 성결교회신학의 구원론뿐만 아니라 기독론에도 초석이 됨을 확신한다. 나아가 학문적 발전에만 치중하는 오늘의 신학에서 성경의 본래적 주체인 인간구원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채워야 할 것을 강조한다. 이제 한국 성결교회는 하나님의 은혜와 성령의 끊임없는 역사에 힘입어 세속화 시대에 자신을 지키며, 땅 끝까지 이 복음을 전하여,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전적인 타락을 깨닫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선행적 은혜를 거절하지 않고 순응하여 초기구원(중생)은 물론 온전한 구원에 이르는 승리의 삶을 살아가도록 이끌어야 The word, “salvation” is the universal term for those who lived in the past, live today, and will live in the future. People want and enjoy freedom and prosperity in their life but salvation in Christianity still presents and throws ultimat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to the modern people. It will be the oppression by sin against which people cannot help themselves. It is the true way to salvation to believe and accept the work of Jesus Christ achieved by coming down to the earth to redeem human beings from the bondage of sin, dying on the cross, and resurrecting and ascending to the heaven again. Now, how is this salvation achieved in those who believe the above truth? It is just the question on the course or process of salvation. The intentional goal for which I have studied the subject, “what is the theological position of the Korea Sungkyul Church on the course or process of salvation?” is to show its obvious position on salvation and to achieve holiness toward God with no chaos in our religious life. This study has been made with knowledge that the fourfold Gospel is a important source of theology and doctrine in the Korea Sungkyul Church, formed from Wesley’s theological philosophy Holiness Church. The commitmen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position on the course of salvation the Korea Sungkyul Church takes today. For this purpose, in Chapter One, issues, research purposes, methods are introduced. In Chapter Two, I defined the meaning of “the order of salvation” first and introduced the debates on the biblical basis of "the order of salvation." Upon the question, “Does the Bible provide the order of salvation clearly?”, two views were introduced: One view asserts that it provides a basic foundation on the order of salvation, not provisions in details. On the other hand, G.C. Berkouwer ( 1903-1996) argues that the Bible does not allow any trial itself to decide the order of salvation because the excessive study on it destroys the richness of salvation itself. In Chapter Three, regarding the order of salvation, I analyzed John Calvin and Calvinism in the position of reformed christology. John Calvin asserted that calling and faith ? regeneration and repentance ? justification ? sanctification ? predestination ? resurrection. The process of salvation is based upon “Rome 8:29-30. Justification logically proceeds, and generation is followed by repentance. Also, repentance is entirely a God’s gift. Next, in Chapter Four, I analyzed Arminius’ theory and then I analyzed Wesley’s theory on the course of salvation in details and how his theological philosophy is embedded in the order of salvation that he explained. Arminius placed repentance and faith ahead of justification (righteousness) and explained the order of salvation as “ calling by God ? repentance ? faith ? justification (righteousness) ? adoption. Emphasizing the ability to obtain salvation by oneself and the freewill of a human being in salvation, Arminius taught salvation can be obtained by faith of a human, not objective redemption of Jesus Christ. On the other hand, John Wesley explained the process of salvation with the following chart: “total corruption of humanity ?preventing grace ? repentance ? imputed justification and regeneration ? sanctification ? perfection ? glorification.” Wesley’s theology is a soteriology-centered theology which emphasizes on holiness. There is holiness (sanctification, Christian perfection) in the core of his soteriology. Wesley taught a sinner should be justified, regenerate, and grow up to holiness. While justification and regeneration are the first change, holiness is the second gracious experience. In Chapter Five, I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Wesleyan theology and Reformism theology regarding the course of salvation. In Calvinism, the process of salvation is based upon “Rome 8:29-30: predestined, called, justified, and glorified. This idea was evolved into a logical sequence of salvation in detail as follows: 1) predestination, 2) calling, 3) regeneration, 4) Faith, 5) repentance, 6) justification, 7) sanctification, 8) perseverance, 9) glorification. On the other hand, Wesley summarized the theological outline of the process of salvation several times, for his theological interests were to guide human beings to the way of salvation, and to show and help to walk on the right way that they should choose. Wesley’s salvation are starting with the moment that it becomes justified with holi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t love for God and man, growing gradually up, eventually resulting in fullness of pure love while all the sins in heart are washed away. Then it continues to grow until putting up the image of Christ. Wesley’s theological philosophy, such as soteriology,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me from this understanding of salvation. Wesley placed the weight of his theological philosophy on holiness. Wesley summarized the order of salvation as follows: 1) preventing grace, 2) repentance, 3) justification, 5) newborn (regeneration), 5) gradual sanctification, 6) holiness, and 7) glorification. Finally, in Chapter Six,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Korea Sungkyul Church was described. In discuss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it can be verified that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and the Korea Sungkyul Church have one religious base in common. Since the Korea Sungkyul Church inherited the fourfold gospel from S.C.Ress, not Simpson, it is clear that the theology of John Wesley gave the great impact on forming the theology of the Oriental Missionary Union and the Korea Sungkyul Church. And in discussing the theological background, I analyzed the biblical evangelism of John Wesley and fourfold gospel. Wesleyan theology is a salvation-centered theology that emphasizes holiness. That is, there is soteriology in the center of his theology, and

      • 사중복음의 21세기 통전적 성결선교신학적 해석

        정진웅 성결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study is to interpret 'Four-fold Gospel' of Korean Sungkyul Churches with a tool of the holistic hermeneutics for the 21st century. The 21st century needs a new theological answer for the post-modern era by the new interpretation. First of all, the study defines the 21st century of a missional situation as the challenge of pluralism and postmodernism, It discusses a necessity of the holistic theology of mission. With regard to interpretation of Four-fold Gospel, first, the gospel of 'regeneration'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for new life" to revive human lives emphasizing the Holy Spirit's role for salvation. Additionally, 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the gospel of regeneration can be expressed mostly by planting new churches. Second, the gospel of sanctification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of new ability." It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being able to win the souls in the spiritual warfare.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gospel of sanc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the educational missions of Sungkyul Churches. Third, the gospel of divine healing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of new body," It has been able to be interpreted extensively as various aspects such as cure and recovery in the meaning of normal divine healing, The study has asserted that the gospel of divine healing should go together with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missions. Finally, the gospel of the second coming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of new greeting', It has been further emphasized as the gospel of personal end cosmic eschatology. The researcher has suggested that it should discover the Christian mission about ecosystem and strengthen the missional works about the cosmic eschatology. Christianity moves from the southern region to the northern area in terms of geography of the missional works in the 21st century. Especially, South Korea has been strongly considered as the proper nation for the world missions in the diversified societies. Therefore, the Korean Sungkyul Churche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to make the people be mission-oriented with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Four-fold Gospel.' and to serve people all over the world. 본 연구는 한국성결교회 100년을 지나가면서 선교지향적 교회로서의 사명을 공고히 하기 위한 필요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며 한국성결교회의 ‘사중복음’을 21세기에 적합한 통전적 성결선교신학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1세기는 ‘이미’와 ‘아직’의 중간 시대이기에 새로운 신학적 정답을 요구하고 있고 다원주의 세계관이 지배적인 이 시대에 현대적이고 전통적인 복음주의적 성향을 가진 성결교회의 신학도 새로운 해석을 통한 세상과의 소통이 필요한 것이다. 선교는 본래부터 통전적인 사역이며 부분적인 구원이 있을 수 없는 것처럼, 부분적인 선교도 없다. 복음적 위임과 문화적 위임이라는 양분화된 입장의 분리가 아닌 통합적 방법으로 이해되고 다원화된 사회 구조 속에서 다양한 원리나 분산된 주장들을 하나로 새로운 통합된 방법이나 전략을 모색해 나가는 통전적이고 전인적인 신학이 필요하다. 이에 성결교회의 역사적이고 교리적인 배경 속에서 선교적인 배경과 요소들을 발견하고 그 전통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는 진행된다. 더 나아가 발견된 선교적 요소들을 사중복음의 해석과 연합시켜 확장된 선교로 적용했다. 본 연구는 먼저 21세기의 선교적 상황을 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선교지형의 변화로 정의하며 통전적 선교신학의 필요성을 논한다. 다음으로 성결교회의 선교신학적 배경인 18세기의 웨슬리안 성결운동을 시작으로 19세기 성결부흥운동과 20세기 복음주의 운동의 흐름 속에서 사중복음이 성결교회의 신학으로 확립되었음을 고찰한다. 동양선교회(O.M.S)로부터 시작하는 한국성결교회의 선교적 태생과 정체성을 역사적 연구를 통해 제시함으로 사중복음의 21세기 통전적 성결선교신학적 해석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한 연구를 배경으로 사중복음을 해석하는데, 먼저 중생은 ‘새 생명의 복음’으로 정의하고 영혼구원우선 사상이 중심이 되는 생명을 살리는 복음임을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했다. 또한 중생의 복음은 교회개척을 통하여 가장 잘 표현되어질 수 있음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성결은 ‘새 능력의 복음’으로 정의하고 영적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이 되는 복음임을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했다. 또한 성결의 복음은 성결교육선교를 통하여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신유는 ‘새 몸의 복음’으로 정의하면서 특별신유와 일반신유로 나누어 고찰했다. 특별신유는 학문적으로 규정하거나 증명하기 어렵지만 그것을 강조하고 믿음과 능력으로 실행하는 복음임을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했다. 또한 신유는 일반신유의 의미에서 치유와 회복으로 다방면으로 확대 해석될 수 있지만 특별히 기독교사회복지 선교로 나아가는 복음이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재림은 ‘새 맞이의 복음’으로 정의하고 복음주의 신학, 즉 전통적인 신학에서 강조되는 개인종말의 복음으로서 더욱 강조되어야 하는 것임을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해 해석했다. 재림의 복음은 생태계에 대한 청지기적 사명을 발견하고 우주적 종말에 대한 선교를 강화해야 하는 복음임을 제시했다. 21세기는 기독교가 남반부에서 북반부로 이동하는 선교지형의 변동이 있는 시대이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한국 교회는 선교를 통해서 탄생한 교회 역사가 있고, 선교사 파송국가와 선교현장 교회의 중간적 과정을 거쳐 왔으며,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원주의 사회의 세계선교에 적합한 국가적 교회임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성결교회는 웨슬리를 중심으로 유럽의 신학과 성결부흥 운동을 중심으로 미국의 신학이 합쳐진 채로 아시아에 들어온 선교지향적 교회라는 태생적 전통을 가지고 있기에 전 세계를 섬길 사명이 막중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 웨슬리 사회윤리와 성결교회

        조현우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존 웨슬리 신학에 있어서 믿음과 윤리사이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특히 사회윤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국사회는 도덕불감증이라고 할 만큼 커다란 충격을 주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 실상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이다. 즉 현대 사회는 심각한 윤리의 부재이요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위기에 대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입장에서는 한국교회의 위기와 불가분의 관계인 듯하다. 신학의 자유화와 사회의 세속화로 인하여 기독교인의 과제중 하나인 신앙과 삶에 대한 일치를 못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교회는 책임성을 가져야 한다. 또 보수적 교단인 예수교 대한 성결교회(이하 ‘성결교회’라 함)의 목사로서도 강한 책임감 느낀다. 그래서 성결교회의 사회윤리를 연구하게 되었다. 성결교회의 사회윤리를 연구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웨슬리의 사회윤리를 택하였다. 그 이유는 성결교회는 웨슬리 전통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웨슬리의 사회윤리라 함은 광의적으로 웨슬리 자신과 19세기 미국 성결운동, 20세기 부흥운동과 21세기 초의 성결교회까지 망라한다고 할 수 있다. 웨슬리 신학의 중심은 구원론이다. 여기에 있어서 구원으로 이끄는 하나님의 선행적 은총에서 순종에 대한 책임은 인간에게 있다. 그리고 구원론의 핵심은 성결(성화, 그리스도인의 완전) 이며 웨슬리는 이것을 사회적 성결이라고 하였다. 웨슬리에게 있어서의 사회윤리는 개인이 중생을 통한 개인적, 내면적 신앙의 기본적 과정에서 그치지 않고 삶 속에 적용되어 사회화 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성결과 사랑으로써, 세상과 분리되면서도 세상 속으로 찾아들어가 섬기는 성육신적인 사랑을 말하는 것이다. 웨슬리는 산상수훈 설교에서 “기독교는 사회적 종교” 라고 하였다.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내적 성결이 삶 속에서 적용되어져야 하는 사회적 종교이며, 행위 없는 신앙은 신앙이 아니고, 죽은 신앙이고 마귀의 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신앙과 그에 따르는 행위를 강조한 웨슬리는 보수적인 신앙을 유지 하면서도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추진하였다. 이에 이 논문은 웨슬리 사회윤리를 한국 사회의 윤리부재 상황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 한다. 비윤리적이요 혼돈된 이 사회에서 교회 역할과 기독교인의 삶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웨슬리의 사회윤리 신학 일 것이다. 성결교회의 배경이라 할 수 있는 웨슬리와 미국에서의 19세기 성결운동이 윤리와 종교적 경험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런데 다음세대에서는 그 관심을 영혼구원을 위한 부흥운동 쪽으로 이동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근본주의가 출현하게되고 복음주의적 사회참여가 쇠퇴하게 되었다. 사회 윤리적 책임이 발전되지 못하고 사회 윤리적 유산이 계승되지 못한 것이다. 19세기 성결운동의 과정이 성결교회 형성의 배경이라면, 그 당시 복음주의적 사회 활동가들의 소중한 유산도 당연히 전수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성결교회에서는 그동안 사회윤리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부인 할 수 없다. 성결교회에서의 사회윤리는 상당히 미약하였으며 특히 사회구호적인 면보다는 사회구조적인 측면이 더욱 미약했었다고 할 수 있다. 성결교회가 어려운 환경과 여건 그리고 많은 아픔들을 가운데서도 부흥하여 1,000여개 교회와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16개 교단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사회윤리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중생을 통한 개인 영혼구원을 강조하는 교리적인 특성이 많이 작용했을 것이다. 이제 웨슬리의 신학적 전통에 있는 성결교회(예성)는 교단적인 자신감을 가지고, 어떤 모양으로라도 웨슬리 사회윤리를 재조명 하여야 할 것이다. 성결을 신학의 특징으로 하는 성결교회가, 성도 개개인들의 성결은 물론이고 성결한 개인들이 자신들의 사회에서 성결의 영향력을 발휘하며 살아갈 수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사회 성결을 주도하는 교단으로 성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겠다. 신앙과 삶에 대한 일치로 인하여 18세기, 19세기에서 보았던 뜨거운 부흥과 교회와 사회의 갱신을 보게 되기를 소원하며, 성결운동이 21세기 복음주의적 사회운동화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oriented to the relation between faith and ethics, especially on the social ethics in John Wesleyan theology. Recently, many shocking incidents such as immoral hazards have happened in Korea; a modern society seems to be critically away from ethics and to be in a serious crisis. The causes of these crises might have been derived from the various kinds of facts. But in Christian point of view, it relates to the crisis in the Korean churches. The freedom of the theology and the secularism of the faith have brought the discrepancy between faith and Christian life. Korean churches must have a responsibility to this situation. Especially I, as a pastor of Jesus Korea SungKyul Church(JKSKC here after mentioned) which is one of the most Korean conservative Christian bodies, have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This makes me today study on this social ethics in SungKyul Church. As a method of study, I took Wesleyan social-ethics method because JKSKC is based on Wesleyan tradition. In a large sense, this contains Wesleyanism itself, American trend of movements in 19th century, the restoration movement in 20th century, and the SungKyul Church in the first decade of 21st century. The central idea of Wesleyan theology is the Salvation. In the process of gracious God, the responsibility of obedience is just on human beings. And the core of the Salvation is on holiness(sanctification, completeness of Christians) which is, Wesley called it, the social sanctification. To Wesley, social ethics means, applying to daily life, that a Christian through the basic process of personal, internal born-again, has grown to socialization. This means the love of incarnation, which separates us away from the earth and goes to serve into the human life. John Wesley in his sermons on the Mount argued that "Christianity is essentially a social religion." Christianity is basically a social religion in which internal sanctification must be applied to in-life, and the faith without act is both dead and evil's faith. Wesley stressed both faith itself and its succeeding acts. He was conservative in faith, but also promoted his social activities positively. In this thesis, I try to propose, as an alternative plan, Wesleyan social-ethics to the community of Korean churches. Surely in this immoral and chaotic society, Wesleyan social-ethics theology might lead its directions to grow up a Christian life. Wesleyanism and the American holiness movement in 19th century was oriented to ethics and religious experience. But, in the latter generation, this was changed into the restoration movement for the salvation of the personal spirit. In this trend fundamentalism came into being, but evangelical social participation was declined. This means that the responsibility of social ethics has not grown up and its inheritance has not succeeded. The Evangelical movement in 19th century has succeeded on the basis of today's background of SungKyul Church. So its precious inheritance of Evangelical social activities must be inherited. But, unfortunately, there is also negative point of view to social ethics. At that time, there was insufficiency of social ethics, especially in the sense of social structure rather than social relief. About 1,000 Jesus Korea SungKyul churches over the country, one of 16 major religious bodies in Korea, have developed through the various kinds of difficulties, owing to the Holiness tenet stressing on the personal spiritual salvation through born-ag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JKSKC, based on Wesleyan theology must have a pride and remarkably try to restore Spirituality, with harmonizing personal spiritual salvation and social ethics. A tenet of JKSKC is oriented to "Holiness unto the Lord." It is necessary for a Christian both to live moral life and to exert influence on society. Surely, this will result in the leading JKSKC in Korea. I wish in Korea evangelical social movement through the Spiritual Restoration will grow up in 21st century, just as done in 18th and 19th century.

      • 성결의식 관점에서 본 속죄일(יום הכפרים)의 신학적 의미에 관한 고찰

        가혜영 성결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성결의식관점에서 속죄일에 나타난 신학적 의미를 재조명 하고자 한다. 속죄일의 가장 큰 의미와 목적은 대속(כפר)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이 거룩함을 유지하여 하나님으로 부터 영혼의 안식을 얻기 위함이다. 속죄일의 대속(代贖)이란 일 년 동안 부정한 예배(제사)자들이 오염시킨 성소를 정화하고 범죄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속죄하는데 의의가 있다(레 16:16, 19). 속죄일의 대속은 속죄제(חטאת)와 아사셀(עזאזל), 번제(עלה)를 통하여 나타난다. 그중에서 본 연구는 속죄일 성결의식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대속(כפר)과 속죄제(חטאת), 아사셀(עזאזל)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Ⅱ장에서 다루는 속죄일의 성결의식에 주목적은 대속(כפר)이다. 속죄일의 성결의식은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 중에 계속 임재하시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스라엘 희생제사 의식은 피흘림과 대속의 상징성을 중요시 하였고, 재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성결의식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대근동에서 정결제의 공통된 특징은 희생제가 중심이지만, 이스라엘의 희생제는 오직 한 분 야웨께만 희생 제물을 드리며, 죄로 인한 사람의 생명을 대신하여 동물의 생명을 희생하여 피를 드리는 희생제이다. Ⅲ장은 כפר에 관한 연구로 제의적으로 부정한 경우나 부지중(גגהשׁ, עלם)에 실수로 범과한 경우에 드리는 제의들이다. 번제는 그 사람이 부정해진 경우 하나님의 은총에 의해 열납되기 위해 드린다. 속죄제는 부지중에 야웨의 명령을 범한 경우에 드린다. 속건제는 불성실하거나 그릇, 부지중 죄를 범한 경우에 드리게 된다. כפר의 결과로 얻어지는 חטא, טהר, שׁקד는 거룩의 정도에 따라서 사용되는 언어로 사람과 장소를 구분하여 쓰지 않는다. כפר의 목적어는 כפר 의식으로 인하여 그 거룩의 정도에 따라 חטא나 טהר에 그치거나 שׁקד에 이르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כפר는 이 세 의미를 내포할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 단어로 사용된다. כפר는 חטאת 제의에서 거룩한 것과 속된 것을 구별하고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을 구별함으로써 이스라엘 공동체를 대속하기 위한 제의이다. כפר와 דם(피)이 문맥에서 피 처리에 관한 동사로써 피를 뿌리는 נזה 의식과 피를 바르는 נתן 의식의 상징적 의미는 성소나 지성소의 כפר와 관련된다. 속죄일에 제단의 정화는 נזה, נתן 모두가 행해진다(레 16:18-19). נזה 의식은 지성소와 관련되고, נתן 의식은 성소나 바깥 제단과 관련된다는 것은 נזה 행위가 נתן 행위보다 더 강력한 כפר를 가진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נזה 의식과 נתן 의식은 단순히 성소의 정화에 그치지 않고, 성소의 정화를 통하여 예배자의 속죄와 정화 모두 관련된다. Ⅳ장은 חטאת에 관한 연구이다. חטאת는 כפר를 통해 장소와 예배자를 정결하고 거룩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חטאת 제의를 일반적인 חטאת, 특별한 계층의 사람을 거룩하게 כפר하는 제사장 위임식, 그리고 모든 사람을 거룩하게 כפר하는 속죄일 חטאת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일반적인 חטאת는 예배자를 정결케 하였고, 제사장 위임식 때 진행되는 חטאת는 단과 제사장을 정결하고 거룩하게 하였다. 속죄일에 진행되는 חטאת는 단과 예배자를 정결·거룩케(성결케) 한다는 것을 연구하고, 각각의 חטאת 의식들의 성격, 절차, 결과 등을 다루었다. Ⅴ장은 속죄일의 성결의식에 대해 다루었다. 거룩한 백성을 위한 속죄일 의식에서 죄의 소멸의식은 חטאת 의식을 통한 성결의식과 עזאזל의식을 통한 산 제물 의식이다. 두 의식은 모두 חטאת 의식으로 서로 연속성 상에서 이해하며 죄를 완전히 떠나보내어 소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자복(ידה)과 용서(סלח)의 의식은 자신의 잘못과 중심을 말로 고백하는 의식으로 속죄일 의식에 기도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안수(סמך)는 자신의 죄를 전가하는 특성과 상징에 대해서, 그리고 야웨 하나님의 용서에 대해 말하고 있다. 즉, 성결의식은 거룩한 삶을 향한 것으로 속죄일의 특성인 정결과 성결에 대하여, 거룩은 규례된 언약으로 공동체적인 성격을 띠며 언약을 지킬 때 속죄일의 기능도 나타난다. 이스라엘은 영원한 큰 안식(בתוןשׁ בתשׁ)을 얻고 거룩의 언약을 지키기 위하여 속죄일에는 노동을 금하고 금식하며 사회정의를 실현하여 거룩한 삶의 원동력으로 삼았다. 결과적으로 속죄일의 성결의식은 속죄일의 목적인 이스라엘의 거룩성 회복과 영원한 안식을 얻게 한다. 뿐만 아니라 한 해를 마감하고 시작하는 시점에서 금식을 동반한 안식(노동으로 부터의 쉼)은 속죄일의 성결의식이 이날의 새로운 중요성을 부여하며, 하나님께서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라는 명령을 준행케 한다는 것이다.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Day of Atonement” -Consideration about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Day of Atonement(יום הכפרים) through Holy Ritual Point of View- Sungky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 of Philosophy Ga, Hea Young This research sheds a new light on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day of atonement from the holy ritual point of view. The main purpose of the day of atonement is redemptio

      • 레티 카우만(Lettie B. Cowman)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

        김시은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레티 카우만(Lettie Burd Cowman)은 19세기 말 미국의 사회운동이 활발히 일어나던 시기에 태어나 하나님의 소명을 받고 1901년 동양 땅 일본에 도착하여 남편 카우만(Chalres Elmer Cowman)과 함께 사역한 동양선교회(OMS)의 시초가 되는 인물이다. 당시 여성으로서의 존재감은 바닥이었던 조선에서 복음을 선포한 레티 카우만의 활동은 21세기 여성사역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되어준다. 예수님은 그 어떠한 불평등적 요소와 조건에 상관없이 자신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모든 자에게 사역하였다. 교회도 마찬가지로 성별 양극화 현상으로 기울어가는 비성경적 시대상에 남성과 여성 모두가 동역자이자 협력자로서 함께 돕는 선한 영향을 미치는 사역의 형태를 나타내야 한다. 하나님의 일 하심에 있어서는 성별로 인해 남자와 여자가 가진 한계로 사역의 영역을 구분하지 않으셨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사역은 생물학적 차이를 제외한 모든 면을 고려하여 하나님께서 사용하실 ‘준비된 자’가 그 사역에 쓰임 받는 것이다. 진정한 교회는 ‘동일한 사람’으로 창조하신 남자와 여자가 연합하여 본질 되신 그리스도를 가르치고, 전파하며, 삶으로 표현해 내도록 도와주는 곳이다. 본 연구는 레티 카우만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의 역사를 고찰하여 현대 한국교회 여성사역의 발전 인식을 고취시킴으로 여성사역의 활동과 영역을 적극적으로 확장시키고 넓혀가는 데 기여하기 위한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방식과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여 레티 카우만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의 역사적 흐름을 분석하고 현 예수교대한성결교단 소속 여성사역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여성사역자들의 실제 상황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레티 카우만이 보여준 제한 없는 하나님의 사역과 그 행보는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자들의 소명의식을 확립하고 사명감을 고취시키는 촉매제 역할이 되어준다. 여성사역자들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사회인식의 발전과 동떨어진 교회의 여성사역자에 대한 인식은 역사적으로 깊은 뿌리를 두는 가부장적 유교문화의 관습이 가지는 병폐를 보여준다. 하나님의 창조 세계 가운데 사회와 함께 존재하는 교회는 진리의 불변성을 주장함과 동시에 시대가 가져오는 문화와 인식의 변화에 유연성을 함양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의 마지막은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사역자로서 남성사역자와 연합하여 서로를 보완하는 사역의 변화를 제시한다. Lettie Burd Cowman was bor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United States underwent active social movements. She became a founder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OMS) together with her husband, Charles Elmer Cowman in Japan after she had received a call from God for a missionary in the Eastern land of Asia. She proclaimed the gospel in Joseon, the last dynastic kingdom of Korea where the rights of women were violated and the voices of women were hardly heard. Her missionary works done in Joseon provid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women's ministry in the 21st century. Jesus served all who absolutely needed Him regardless of any condition and inequality. Likewise, a church should represent a form of cooperative ministry that men and women as real partners and colleagues, support each other spreading a positive influence in a non-biblical era where gender polarization has been severe. Thus, God's work is for those who are ready to be "His servant" taking every aspect into consideration except for the biological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o conclude, the church we must pursue is a place where men and women who were created to be equal by God unite as the most beloved creature of God, in order to teach about Jesus, spread His message and help people to admit Jesus in their lives. The paper aims for the women's ministry to expand territories and be activated through rearranging awareness of women's missionary works inspired by the history of Lettie Burd Cowman and the Korean Women's ministry of Sungkyul(‘Holiness’) Church. The paper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through the survey. The literature review focuses on the historical analysis of Lettie Cowman's life work and the Korean Sungkyul women's ministry. The survey targeted the current women minister in Sungkyul Churches to fully understand the real-world situation. The unrestricted ministry of God and His actions shown by Lettie Cowman serve as a catalyst for establishing a sense of calling and emphasizing a sense of duty for female ministers of the Korean Sungkyul Church. The number of female ministers has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years. However, the churches which lack adaptability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awareness still have perceptions towards female ministers and it shows the ills of patriarchal Confucian culture that are deeply rooted. The church, which belongs to the society amidst the world God created should insist on the immutability of truth and simultaneously foster flexibility in the continuous changes of culture and awareness of women’s role in every territory.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the paper suggests a change of ministry in which male and female ministers unite as being on the same page sharing an identical understanding of the role in church and undertaking an identic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remedy and make up for each other.

      • 이명직과 김응조의 신유론 비교

        김혁 성결대학교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한국성결교회는 타 교단과 다르게 교파적 배경이 없이 선교단체였던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이라는 이름으로 1907년에 성결운동과 복음전도 운동으로 시작하였다. 이렇게 출발한 운동이 교단을 형성하고 발전하였다. 성장을 거듭하던 한국성결교회는 1961년 분열이라는 큰 아픔을 겪으면서 두 교단(예성, 기성)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두 교단은 2020년 현재, 대한민국의 정통적인 교단으로 그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교단이 분열된 후에 서로의 신학적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를 했다. 특히 교단의 핵심인 사중복음에 관하여서는 지속해서 연구하고 있다. 사중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그리스도인의 생활에 대해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이는 교단의 핵심 교리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교단의 핵심 교리인 사중복음 중에서 제 3주제인 ‘신유’에 대해서 더 심도있게 연구 하였다. 본 연구자는 신유를 연구함에 두 교단(예성,기성)의 대표적인 인물인 이명직과 김응조를 비교하며 연구하였다. 연구는 두 인물의 신유에 대한 신학 사상과 해석, 적용을 살펴보았다. 그들의 교리적, 체험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는 신유에 대한 두 인물의 1차 자료와 선행 연구된 문헌 자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방법과 범위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성결교회 신유론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한국성결교회에 신유론의 유입된 과정을 살폈다. 19세기 성결운동과 신유운동을 연구하며 그 당시 영향을 주었던 대표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한국성결교회에 영향을 주었던 동양선교회의 설립과정과 중요인물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주요인물들을 연구하면서 신유론이 한국성결교회에 유래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제3장과 4장에서 이명직과 김응조의 신유론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그의 삶과 그들이 주장하는 신유론의 형성과정, 주석과 설교에 나타난 신유론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신유론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이명직과 김응조의 신유론에 대한 상이성과 동일성을 교리적, 신유체험적 영역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 결론으로 전체의 내용을 요약했다. 그리고 이명직과 김응조의 신유론을 평가하였다. 한국성결교회의 ‘신유’는 두 인물이 동일하게 성경에 근거해서 신유의 개념을 정의해 주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신유를 적용하면서 강조하는 방향은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교리, 신앙체험의 영역을 통해서 규명하였다.

      • 한국성결교회 「성결과 비전」유치부 교재 분석 연구 : 마리아 해리스 이론을 중심으로

        김세경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한국성결교회의 '성결과 비전' 유치부 교재를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교육목회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성결과 비전'은 성결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성결교단의 근간이 되는 사중복음을 우리의 삶 속에서 생활화하며, 각 교육의 주제별로 특성화 하여 교수-학습 전개의 효율성을 모색하는 커리큘럼이다. '성결과 비전' 유치부 교재는 유아 발달에 맞는 커리큘럼의 연구가 미흡하며, 교육목회적인 다섯 커리큘럼(코이노니아, 레이투르기아, 디다케, 케리그마, 디아코니아)을 균형 있게 학습하지 못하고, 신앙과 삶이 연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결과 비전' 유치부 교재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계획되어질 한국성결교회 유치부 계단공과의 기초적 근거가 되는데 있다. ‘curriculum’이라는 단어는 ‘달려야 할 코스’라는 뜻으로 커리큘럼 이론에서는 ‘출발점에서 일정한 목표점을 향해 달리는 유목적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지루(Henry A.Giroux)의 전통주의적 입장, 개념-경험주의적 입장, 재개념주의적 입장으로 흘러왔다. 교회교육을 위한 기독교 커리큘럼은 기독교적 삶으로 양육하는 목적을 가지고, 그리스도 중심으로 성경의 원리를 따라 사람들을 하나님의 임재하심 가운데로 인도하여야 하는 커리큘럼이다. 기독교 커리큘럼의 흐름은 일반 커리큘럼과 크게 다를 바 없으나 최근에는 협의의 커리큘럼의 이해를 넘어 교회학교를 포함한 교회 전체를 하나의 교육하는 기관으로 보고 교회의 여러 목회적 기능들을 교육적 관점에서 구조화하려는 광의의 커리큘럼의 이해로 전개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회중형성과 변형을 위한 교육목회 커리큘럼'(Fashion Me A People: Curriculum in the Church, 1989)이 있다. 해리스는 교회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을 ‘교회생활의 전과정’으로 정의하고, 신앙공동체에 속한 구성원(회중) 전체의 삶의 특징들이 커리큘럼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오순절 성령강림과 함께 형성된 원시 기독교공동체의 삶의 형태를 교육목회 차원에서 구조화하여 커리큘럼 이론으로 발전시키고 있는데, 즉 공동체가 지닌 공유성에 기초한 코이노니아(Koinonia) 커리큘럼, 예전과 관련된 레이투르기아(Leiturgia) 커리큘럼, 가르침의 사역과 관련된 디다케(Didache) 커리큘럼, 복음의 선포와 관련된 케리그마(Kerygma) 커리큘럼, 섬김에의 봉사와 관련된 디아코니아(Diakonia) 커리큘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목회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성결과 비전' 유치부 교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예견되어 진다. 먼저 교회교육과 가정신앙교육을 연계해야 하며, 절기교육과 예배가 연계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유아 발달에 맞는 다양한 교수매체와 놀이 활동이 개발되고, 보완되어야 하며, 새로운 성경 이야기 교수법 개발과 함께 유아발달에 맞는 교육주제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의 신앙과 삶을 연계시키는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This paper studied ‘Sungkyul and Vision’ which is a Christian Education textbook designed for children and taught in Sungkyul Church with an analysis on Christian Education curricula. ‘Sungkyul and Vision’ is specially designed for children to efficiently help them establish their identities as a christian and practice gospels. But ‘Sungkyul and Vision’textbook has such problems as lack of studying on curriculum fit for infantile development, unbalanced learning five christian education curricula-Koinonia, Leiturgia, Didache, Kerygma and Diakonia- and poor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fa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ckground for the curricula and the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 taught in Holiness Church by critically analyzing ‘Sungkyul and Vision’ textbook. The word 'curriculum' means the course to run, which means purposed course runn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constant goal in a curriculum theory. This has been streamed out of the Giroux's traditional, conceptual-empirical and reconceptual position. Christian curriculum for church education with the purpose to lead people to live as christian is a kind of Christ-focused and bible-based curriculum, with which people could be lead to presence of God, Recent tendency of christian curriculum move to wide-meaning beyond narrow-meaning, regarding church as educational institutes and trying to form various ministerial functions of church in an educational view point. Fashion Me a People: Curriculum in the Church By Maria Harris is well-known. Harris has defined curriculum for Christian Education as 'the whole course of church life', and defined that curriculum is consisted of particularities of all the church members, who have belonged to faith community It reconstructed the educational ministry from the typical life style of primitive christian community begun forming with the coming of pentecostal Holy Spirit, and developed into curriculum theory. In other words these are Koinonia based on commonness of community, Leiturgia associated with liturgy, Didache with educational ministry, Kerygma with protesting gospel, and Diakonia with sergeantship.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 order to make improvement in the above area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A curriculum similar to "playing house" in which children can learn how to practice religion in home environment in order to better connect the education in the church with religious education at home. And special pray programs with emphasis on discipline. More diverse teaching means and curricular designed for every growth stage of children. New approaches to studying the Bible and more customized study themes to children. More curricula which can help children connect their lives with religion.

      • 성결교회 교회론의 교육신학적 체계 연구

        김영배 성결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성결교회의 교회론을 교육신학적인 체계로 연구함으로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하의 교회가 기독교교육의 현장으로서 교회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교육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회는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를 거쳐 현 시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의 전통을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유지 및 계승 발전해왔다. 교회의 머리가 그리스도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교회는 일반적인 사회조직과는 목적과 구조 및 특성이 매우 다름을 알 수 있다. 교회는 하나님의 특별한 소명을 받은 선택된 사람들의 모임으로, 그 소명을 이루는 것에 교회의 존재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회의 정체성과 목적의식은 각 시대의 상황 하에 기능적인 변화는 가져왔으나, 본질적인 보편의 교회에 대한 공통성은 거의 변화가 없이 유지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의 신학들은 교회가 변화하는 시대적, 문화적 상황 속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에 대해 반응 및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했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이는 교회의 정체성 및 구조와 목적, 기능을 다루는 교회론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고, 나아가 새로운 교회론에 대한 제시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성결교회의 교회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변화하는 시대 속에 성결교회를 포함한 대부분의 교회들이 침체 및 쇠퇴를 경험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해결에 교회론이 효과적으로 기여 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교회론의 관념적이며 본질적인 내용이 현장인 교회와 사회에 교육 및 제시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성결교회의 신학적 주제인 사중복음이 교회론의 실천까지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중복음은 성결교회의 교회론의 본질에 있어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교회론의 기능적인 면에 있어서는 불분명하다. 이는 앞에서 설명했듯이 일반적으로 교회론이 현 시대와 사회적 상황이라는 현장적인 측면에 대한 어려움이며, 이는 사중복음이 내포된 성결교회의 교회론도 동일하다. 셋째, 성결교회 교회론은 교회내의 구성원들의 개인적 사죄와 영혼구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교회 및 공동체 구성원의 공적 또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게 나타난다. 이는 성결교회의 신학적 맥락인 복음주의의 특성이기도 한데, 사회에 대한 참여를 전도로 제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 시대의 상황은 교회의 사회적 책임도 요구하고 있다는 것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교육신학적 접근을 제안한다. 본 연구자가 연구의 도구로 사용하는 교육신학은 기독교교육학에서 신학을 바라보는 관점으로서 새로운 신학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교육신학은 기존의 신학적인 토대 위에 기독교교육학의 방법을 신학적으로 숙고 및 조명하거나, 신학적인 내용 및 구조를 기독교교육의 방법으로 현장 속에 신학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신학은 신학과 교육 사이의 갈등과 한계 속에서 양자가 만나는 자리를 찾는 것이 과제인데, 은준관의 교육신학은 바르트의 구조 우선이나, 폴 틸리히의 과정 우선이 아닌 넬스 페레의 상호 보완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은준관은 구조와 과정을 교회라는 신앙공동체에서 서로의 가능성을 새롭게 찾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성결교회 교회론을 교육신학적인 관점으로 연구할 때 신학적인 내용인 구조적 측면과, 기독교교육학적인 방법인 과정적 측면, 그리고 양자가 만나 기독교교육과 신학화가 일어나는 교회 공동체라는 현장적 측면으로 그 체계를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성결교회의 교회론이 교육신학적 체계를 통해서 교회 공동체 내의 구성원에게 정체성 및 목적의식을 함양하고, 변화하는 시대와 사회에 대해서 복음을 신학화하는 작업을 교육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필요하며, 나아가 이 시대와 상황이 요구하는 교회와 신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