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화가 완료된 도시지역 토지적성평가 수립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이세광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ABSTRACT The Study of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mpleted of Development Lee, Se Kwang International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The study began when asked whether the results of the land aptitude Assessmen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 completed urban area, meet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land aptitude evaluation and are appropriate as basic data for the urban basic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Land Suitability Assessment comprehensively analyzed environmental ecological, phys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examined the location status, establishment status, an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and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to select optional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mpleted its metropolitanization, so there are no managed areas and agricultural and forestry area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and aptitude assessment for the green area,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tendency were shown. In terms of urban planning, green areas are located in areas that need conservation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protect animals and plants,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protect farmland, preserve it, and prevent urban sprawl. As a result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these areas were assessed with some developmental tendencies. Seco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cided to select the distance from the Biotop Class 1 in consideration of the city'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its policy direction to preserve green areas. Although it was induced to preserve natural green areas, the results of the land aptitude evaluation were derived from the development aptitude of the "라" and "마" class for a certain area (0.28fi) of the first grade of Biotop land.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land aptitude assessment alone did not represent the values derived from the selection of optional indicator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o the green area using qualitative absolute assessment (designation of the conservation target area) could be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The establishment of a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mandatory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was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green area designation, even if the selection of optional indicators and qualitative absolute evaluation of separate conservation areas were adde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view relevant regulations, such as exclusion from the establishment of a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such as Seoul, where only the preservation area remains subject to a land aptitude assessment, since the average of land aptitude and standard deviation are converted to standardized values. 국문초록 이 연구는 개발이 완료된 도시지역인 서울특별시의 토지적성평가 결과가 토지적성평가의 근본적인 목적에 부합하는지와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의 기초자료로서 적합한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서울특별시의 토지적성평가에 대한 서울시 환경 생태적·물리적·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입지현황, 수립현황, 수립의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선택지표 선택을 위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사례에서 기도시화가 완료되어 관리지역과, 농림지역등이 존재하지 않고 보전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녹지지역만을 평가대상으로 토지적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개발성향의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녹지지역은 자연환경 및 경관의 보호, 휘기 및 멸종위기 야생 등 동식물의 보호, 환경오염의 예방, 농경지보호, 보전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에 입지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역이 토지적성평가 결과 일부 개발성향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서울시는 녹지지역을 보전해야 한다는 정책방향을 고려하여 서울시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비오톱1등급지와의 거리를 선택지표로 결정하여 자연녹지지역을 보전하려고 유도하였으나 토지적성평가 결과는 비오톱1등급 토지의 일정면적(0.28㎢)이 “라”,마“등급의 개발적성으로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토지적성평가의 정량적평가 결과만으로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선택지표의 선택으로는 평가결과 값을 유도한 대로 나타내지 못하였기에 정성적 절대평가(보전대상지역 지정 부록1참조 )를 활용한 녹지지역을 최대한 보전할 수 있었다. 현재 국토계획법 규정에 따라 전 국토에 대해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토지적성평가 수립에 대해 기개발이 완료된 도시지역에서의 토지적성평가의 수립은 지역적합성을 반영한 선택지표 선택과 별도보전지역 지정에 따른 정성적 절대평가를 추가하더라도 녹지지역 지정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 값이 나타났다. 따라서 토지적성평가 전체 평가대상 토지의 적성값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곡선상의 표준화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은 적성등급의 비율이 일정하게 나타나므로 보전지역만이 토지적성평가 대상으로 남은 서울시와 같은 도시지역에서는 토지적성평가 수립에서 제외하는 등 관련 규정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도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물리적 요소에 따른 보행만족도 변화 : -서울시내 3개 주요 광장을 중심으로-

        이하정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has firstly started from the simple question in a view of a pedestrian that we want to walk or stay somewhere which is unconsciously and unintentionally perceived and determined. A Gwanghwamun Square, built under the municipal urban environmental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has been used for various cultural events, social/political gatherings by particular interest groups, and sometimes pan-national gathering purpose. Seoul Square and Cheonggye Square, being operated and managed under Seoul municipal government as well as Gwanghwamun Square, have been specially recognized by citizens featured with its location, historical background, social recognition and other multiple factors despite it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s our daily place excluding its extraordinary nature of these squares,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question that those squares are where we want to walk and stay and they are places to naturally lead the steps of pedestrians. It was remarkable that these places seem isolated rather than being harmonized as a public space excluding significant events such as peaceful gatherings or world cup cheering. Therefore, I thought its main cause is coming from internal/external physical characteristics featuring Gwanghwamun Square and finally hypothesized that walkability of the pedestrian is influenced by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pen space with a logic of the research as follow. Firstly, advanced research on pedestrian’s walkability will be studied, and key factor securing walkability of urban open space will be comprehended. Secondly, phys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walk space and environment will be comprehended and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be verified by this research will be extracted. Thirdly, numeric value will be surveyed by applying the extrac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n Seoul Square, Cheonggye Square, and Gwanghwamun Square. The survey will be conducted by Google Map, Naver Map, and site visiting. Fourthly, walkability on three squares will be verified by question survey and their walkability will be comprehended by analyzing survey result with advanced research cas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verified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considered for urban planning at the initial stage. Keywords: Open Space, Square Plaza, Walkabi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alk Space 본 연구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지각하고 결정지어지는 ‘이 길을 걷고 싶은가’ 또는 ‘이 곳에 머물고 싶은가’ 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광화문 광장에서는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기도 하고, 때로는 특정 이해집단의 사회․정치적 집회의 장소로 쓰이며, 범국민적인 화합의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광화문광장과 함께 서울시 관리 하에 운영되는 서울광장과 청계광장 역시 그 규모와 형태는 다르지만 광장의 위치, 역사적 배경, 기타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요소들로 인하여 서울시민들에게 특별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광장이 지닌 이러한 특수성을 배제하고, 우리의 일상의 장소로 생각하였을 때, 과연 이 광장이 정말 가고 싶은 장소인지 머물고 싶은 장소인지, 보행자의 발걸음을 자연스럽게 이끌게 하는 곳인지 의문이 들었다. 국민적 화합을 도모하는 평화적 시위, 월드컵응원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광화문광장은 ‘화합’보다는 ‘격리’의 모습으로 비추어지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경험에 비추어, 이러한 원인을 광화문광장을 구성하는 내외부 물리요소라고 생각하였고, 이에 오픈스페이스는 보행환경의 특정 물리적요소가 보행자의 보행성(wal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이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보행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는 데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둘째, 보행공간 및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본 연구의 대상에 적용할 물리요소를 선별한다. 셋째, 선별된 물리요소를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조사한다. 조사는 구글맵, 네이버지도,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수행한다. 넷째, 3개 광장을 대상으로 보행자 설문을 통하여 대상지의 보행선호도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선행연구사례와 비교분석하여 보행성 확보여부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여 보행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보행공간 물리요소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도시계획 초기단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주제어: 오픈스페이스, 광장, 보행성, 보행공간의 물리적요소

      • 녹지 면적과 기온의 비교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계획의 고찰 :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이초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mot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intuitively analyzed how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for climate changes responses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rban park plan of Seou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area index and the heat island related index was analyz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green area and extreme temperature using ArcGIS Pr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index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eme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over area and green cover rate with extreme temperature was -0.68(p=0.000), showing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temperature in the city, and a total of 9 indicators related to green space were comprehensively sorted out to selec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as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n this stud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each autonomous district corresponds to this result, and the two autonomous districts showed low values ​​in terms of satisfaction as well.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a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desperately need to secure green areas. Afterwards, the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to review the park and green area expansion plans for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In the「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re were plans to expand parks in Dongdaemun-gu(4.35%) and Yeongdeungpo-gu(3.87%), So this thesis emphasized that the policy to expand parks and green areas should be pursued as planned by 2030. In addition, Suggest that the park creation plan using idle land, which is being promot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underprivileged area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for the above two autonomous districts.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도시열섬 저감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여 서울시의 도시공원계획을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ArcGIS Pro를 이용하여 녹지와 극한 기온의 공간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녹지 지표와 열섬 관련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 지표가 극한 기온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별히 녹피면적 및 녹피율이 극한 기온과 갖는 상관계수는-0.68(p=0.000)로 나타나 강한 음의 상관성을 가졌다. 이에, 도시 내 녹지와 기온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9개의 녹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를 본 연구의 녹지 취약 자치구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실제 자치구별 만족도가 이 결과에 상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비교분석을 하였고, 두 자치구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저조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는 녹지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후,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고찰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에 해당하는 공원녹지 확충 계획을 검토하였다.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동대문구(4.35%), 영등포구(3.87%)로 공원확충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2030년까지 계획대로 공원녹지를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공원 소외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계획은 위 두 자치구를 대상으로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Social and Economic Value of Urban Parks in Tashkent City, Uzbekistan

        오타벡 압두호디예비치 코디로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Urban parks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in cities by providing essential green spaces, recreational opportunities, and environmental benefits.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socio-economic value of urban parks in Tashkent city, Uzbekistan. Existing literature highlights the multifaceted value of urban parks. Studies demonstrate their contribution to human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tress reduction, and social interaction facilitation (B.A. Revich, 2023). Urban green spaces help contribute to improved air quality and improve overall community health. Trees in urban parks remove up to 711,000 tons of air pollutants from the air annually at a value of $3.8 billion to cities. Urban forests also facilitate stormwater management, reducing water pollution, protecting drinking water, and decreasing the rates of waterborne diseases. These spaces in cities also help cool our cities, reducing the heat-island effect (R. Paden, 2022). Tashkent boasts a significant amount of urban greenery, particularly evident within its central districts. Many of the city's parks are established and date back to the Soviet era. However, recent development has seen the incorporation of new green spaces alongside these existing areas. While a substantial portion of Tashkent's greenery lies within private courtyards, the city nonetheless offers an abundance of public parks and gardens for exploration by both tourists and resid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the positive effects that city parks in Tashkent, Uzbekistan have on society and the economy. This will probably involve putting a dollar amount on the different advantages parks bring, like: better health for the public because parks encourage people to be active and spend time in nature, which can lead to fewer people being obese, having heart disease, and other long-term health problems. Higher property values since research has shown that houses and buildings near parks tend to be worth more money. Lower crime rates because parks can be safe places for people to relax and connect with their community, which can help to bring down crime. In methodology part,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Hedonic model was implemented to estimate the impact of parks on property values and to compare the property values in specific non park or park access neighborhoods.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specific park users to understand usage patterns and preferences. This thesi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socio-economic value of urban parks in Tashkent city. The findings inform urban planning and park management strategies to optimize the benefits derived from these green spaces.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prioritization of park maintenance and investment decisions,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improve park accessibility and usability,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for public health and well-being in policy discussions. This study finds that urban parks in Tashkent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community engagement by attracting residents for leisure activities. Additionally, these parks play a crucial role in fostering business prosperity, creating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ncreasing property values. 도시 공원은 필수적인 녹색 공간, 여가 활동 기회 및 환경적 편익을 제공함으로써 도시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내 도시 공권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조사한다. 기존 자료에서는 도시 공원의 다면적 가치를 조명하였다. 이들 연구에서는 도시 공원이 신체 활동 촉진, 스트레스 감소, 사회적 상호작용 강화를 통해 인간의 건강과 웰빙에 기여한다고 밝혔다(B.A. Revich, 2023). 도시 녹색 공간은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고 지역 사회 주민의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해 준다. 도시 공원 내 나무는 매년 대기로부터 최대 711,000톤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데,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미화 38억 달러에 달한다. 도시 삼림은 우수 관리, 물 오염 완화, 음용수 보호, 수인성 질병 발병률 축소에도 기여한다. 도시의 녹색 공간은 열섬 효과를 줄여 도시를 시원하게 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R. Paden, 2022). 타슈켄트는 상당한 수준의 도시 녹지를 자랑하는데, 중심 지구의 녹화가 특히 인상적이다. 시내 공원 중 다수는 소비에트 연방 시절에 조성된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도 새 녹색 공간을 기존 녹지에 통합하는 등과 같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타슈켄트의 녹지 중 상당 부분은 민간 부문 소유지 안에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슈켄트는 관광객 및 거주민이 즐길 수 있는 풍부한 시민 공원과 정원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내 도시 공원이 사회 및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같은 측정에는 시민들이 자연 속에서 활동하며 여가를 보내도록 장려하여 비만, 심장병 및 기타 만성적인 건강 문제를 겪는 사람의 수 줄임으로써 시민들의 건강을 개선하는 등 공원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이점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작업이 포함될 것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공원 근처에 있는 주택 및 건물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향을 보여 재산 가치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은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지역 사회와 연결되는 안전한 장소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범죄율 하락에도 기여한다. 조사 방법론 측면에서는 복합적인 접근법을 채택하였다. 헤도닉 모형(Hedonic model)을 통해 공원이 부동산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추산하고 공원 접근성이 좋지 못한 지역과 양호한 지역 간에 부동산 가치를 비교하였다. 특정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용 패턴과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본 논문은 타슈켄트 내 도시 공권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소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조사 결과에서는 도시 녹색 공간에서 비롯되는 편익을 최적화하는 도시 계획 및 공원 관리 전략들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공원 유지 관리 및 투자 결정을 우선순위화하고, 공원 접근성 및 효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며, 공중 보건 및 복지 관련 정책에서 도시 공원이 가지는 중요성을 조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타슈켄트 내 도시 공원은 거주민의 여가 활동을 유치함으로써 지역 사회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 크게 일조한다. 또한 도시 공원은 비즈니스를 촉진하고 새로운 고용 기회를 창출하며 재산 가치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Implement car free zone to the pub street in Siem Reap

        Chouchhan, Pakrigna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전 세계 곳곳의 도시들이 자동차 운행 금지 및 보행 전용 구역(카 프리 존)의 이행 경험을 보다 더 잘 파악하는 데 관심을 표명해 왔다. 카 프리 존(car free zone)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는 도시 계획의 개념 중 하나이다. 카 프리 존을 도입하고 공공 공간을 확대함으로써 도시를 보다 활기차고 생동감 있게 만들 수 있다. 정부는 도시의 보행 편의성을 강화하는 다수의 의욕적인 프로젝트를 이행해 왔다. 그와 같은 프로젝트는 도시를 더욱 매력적이고 살기 좋게 만들기도 한다. 최근 몇 년 간 전 세계적으로 보행 편의성의 중요성이 커졌다. 시민, 지역 사회 및 정부가 그와 같은 활동적인 이동(도보, 자전거 등)의 환경적, 사회적 및 경제적 이점을 점점 더 깊이 인식하게 되고 더 많은 보행 가능 장소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으로 인해 씨엠립의 인구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씨엠립의 펍 스트리트(Pub Street)에 카 프리 존을 설치하는 정책 및 기준을 마련했다. 씨엠립은 다수의 관광지 및 유적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도시 환경이 조밀하다. 그리고 승용차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보다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든다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카 프리 존은 공공 구역에 레크리에이션, 쇼핑 및 보행 기능을 제공하는 개념이지만 도시 계획에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개념에 중점을 두고 카 프리 존 선정 및 설계를 위한 기준을 모색하는 동시에 카 프리 존에 대한 인식 제고를 강조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보행자 친화적인 카 프리 존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 및 태도 변화 촉진 2. 카 프리 존에서의 관광객 만족도에 대한 기준 평가, 개발 및 설계 3. 카 프리 존 개선을 위한 지속 가능한 개발 방안 모색 카 프리 존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네 이해 당사자(정부, 도시 계획 전문가, 관련 기관 및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따라서 두 가지 연구 방법론(정량적 연구 방법과 정성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시 계획 전문가를 포함한 70명의 사람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했다. 결론적으로, 씨엠립의 카 프리 존은 중심 업무 지구(CBD)이자 역동적이고 인기 있는 레저 공간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카 프리 존은 승용차 대신 대중 교통을 이용하도록 장려하고 보행자 중심의 도시로 탈바꿈시킴으로써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홍보하는 장이 될 것이다. 정부가 도시를 보다 매력적이고 활기차게 만들기 위한 새로운 도시 계획 체계를 수립하는 한 가지 방법이기도 하다. Cities in other part of the world have expressed interest in bette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implementing car free zone and pedestrian policy. Car free zone is one of the concepts in the city planning for promoting sustainable growth. Introducing car free zone and expanding public spaces, we can make the city more lively and vibrant. Government has completed multiple ambitious projects to enhance the walkability of the city. It is also about making the city more attractive and liveable. Walkability has gained greater prominence in cities throughout the world in recent years. People, communities and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such active mobility, and have begun to demand more walkable places. In this research is created policy and criteria of the car free zone to Pub Street in the Siem Reap because of Siem Reap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migration from rural areas to the city. City has many tourists’ attraction sites and it has origins and history high-density urban environments and a common goal to make this city more sustainable by reducing reliance on private vehicle. Car free zone is the concept which provides public area for recreation, shopping, and walking, but this concept is partially adopted in the city plan, so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is concept and find the criteria for choosing and designing the car free zone with emphasize on increasing the public awareness towards car free zones. This thesis aims to 1. promote pedestrian-friendly in car free zone on walkable for changing people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2. assess and develop design criteria for tourist satisfaction in car free zone 3. find the solu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improve the car free zone There are 4 stakeholders are participated in this car free zone such as government, experts and urban planner, authority, and people to be successful in this project. So, we use two kinds of research methodology i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 selected 70 people in this research’s target, one expert, and one urban planner. In conclusion, car free zone in Siem Reap will become the CBD (central business district), vibrant and popular leisure spot. Car free zone will be a part of promo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ity with encouraging people for using public transport instead of private vehicle and improve walkable city. Only one way that government has conducted a new system of urban planning for making this city more attractive and liveable.

      • A Data and Design-Based Violent Crime Prevention Framework for South African Cities : Analysing Socioeconomic and Spatial Disparities' Impact on Crime Rates, a Case of Gauteng Province

        아펠렐레 센김보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South African cities continue to grapple with violent crime, despite past reductions. This thesis delves into the influence of spatial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on these crime rates, proposing a data-driven and design-informed framework for prevention. Focusing on Gauteng Province,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state-of-the-art in data and design solutions and explores their potential for adaptation and application within the South African context. The thesis unfolds in three main sections. The first establish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defining key concepts like violent crime and urban safety. It explores established methods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rime, highlighting the power of spatial analysis techniques like hotspot mapping. The literature review delves into existing data analytics solutions, design principles such as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and the integration of mixed methods for violence prevention. This review lays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the potential of data- driven solutions like hotspot mapping to locate high-crime areas, the effectiveness of CPTED principles in enhancing public space safety, and the importance of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for a holistic comprehension of crime. The second section employs a quantitative approach,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violent crime rates and various spatial and socioeconomic factors within Gauteng Province. The analysis utilizes data from the national census and the South African Police Service (SAPS). While the study reveals non-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nections between crime rates and factors like income distribution, population density, and household infrastructure, the potential for multicollinearity hinders achieving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overall model. Recognizing these limitations, the third section adopts a triangulation approach. It examines an existing case study from Cape Town townships, the Violence Prevention through Urban Upgrading (VPUU) project. This analysis aims to understand the key interventions employed in this successful project and assess their potential for extrapolation and application on a city or regional scale. Additionall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urban planning and city development specialists utilizing design and data/ICT-driven solutions. These interviews explore crucial questions: How can we effectively measure the impact of ICT infrastructure like CCTV cameras or smart lighting on crime rates? Beyond ICT, what other relevant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to the built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to create a more comprehensive data picture? Furthermore, the interviews delve into current data mining and analysis practices for crime prevention in South Africa, identifying potential best practices and challenges. Finally, with Cape Town serving as a model for urban development prioritizing crime prevention, the research examines the transferability of interventions from community scales to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the growing popularity of data-driven solutions within smart cities, the interviews explore the potential for South African cities to integrate existing environmental-based solutions like those used in VPUU with data-driven approaches. The concluding section, informed by the aforementioned studies, discusses the applicability of state-of-the-art solutions. It outlines Data-Driven Strategies such as Predictive Modelling, which aims to integrate data-driven predictions with targeted built-environment interventions to address socioeconomic and spatial disparities in crime hotspot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like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and Geo-Detector are explored for identifying crime hotspots and tailoring urban design solutions like improved lighting, strategic surveillance placement, and increased public amenities to address specific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factors contributing to crime in those areas. The thesis further proposes Data-Driven Policing, a strategy that integrates data analysis with targeted urban design solutions (addressing factors like housing, poverty, and social makeup) and leverages machine learning for resource allocation. By combining these approaches, South African cities can develop a comprehensive method for tackling violent crime at its root causes. Design-based solutions are also explored. These include Environmental Design, a place-based approach that leverages existing environmental design programs like Cape Town's VPUU and data-driven approaches like CPTED principles and granular analysis. This method aims to tailor urban improvements like better lighting, reduced abandoned buildings, and increased natural surveillance in public spaces, ultimately fostering safer and more vibrant communities with lower crime rates. Urban Planning and Design strategies integrate data-driven urban planning (considering factors such as alcohol outlet density) with social cohesion efforts and mixed-use development to create safer and more vibrant communities. Final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offer a promising approach. This strategy utilizes data-driven urban design with elements such as free Wi-Fi, digital signage, and citizen participation platforms. These technologies promote community vigilance,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with authorities, ultimately fostering safer and more empowered communities. Through this comprehensive examination, the thesis proposes a framework integrating data-driven and design-informed solutions for violent crime prevention in South African cities. This framework acknowledges the influence of spatial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and offers a multi-pronged approach for tackling crime at its root causes, fostering safer and more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s. Keywords: Violent Crime, Design and Data-based Approach, Spatial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South African Cities 과거에 비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아공의 도시들은 여전히 폭력 범죄와 씨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높은 범죄율에 공간적 및 사회경제적 격차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데이터에 기반하고 설계에 입각한 예방 체제를 제시한다. 아울러 하우텡 주(Gauteng Province)에 중점을 두고 첨단 데이터 및 설계 솔루션을 조사하고 남아공 내에서 이를 적응화하고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부분에서는 이론적 토대를 밝히고 폭력 범죄 및 도시 안전과 같은 핵심 개념을 정의한다. 또한 범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존의 방법을 조사하고 핫스팟 매핑과 같은 공간 분석 기법의 강점을 조명한다. 자료 검토를 통해 기존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탐색하고 환경 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 및 복합 폭력 예방 방법의 통합과 같은 설계 원칙을 규명한다. 이러한 검토는 범죄율이 높은 지역을 찾는 핫스팟 매핑과 같은 데이터 기반 솔루션의 잠재력, 공용 공간 안전 강화와 관련한 CPTED 원칙의 효과, 종합적인 범죄 파악을 위한 정성적 및 정량적 데이터의 통합이 가지는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정성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하우텡 주의 폭력 범죄율과 다양한 공간적 및 사회경제적 요인 간의 관계를 탐구한다. 분석에서는 국가 인구 조사와 남아공 경찰청(SAPS)의 데이터를 활용한다. 연구 결과 범죄율과 여러 요인(예: 소득 분포, 인구밀도, 가구 인프라)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음이 밝혀졌지만,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으로 인해 전체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는 데 지장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세 번째 부분에서는 삼각검증법을 채택하였다. 아울러 케이프타운 지역의 기존 사례 연구 중 하나인 도시 개량을 통한 폭력 예방(Violence Prevention through Urban Upgrading, VPUU) 프로젝트를 조사하였다. 분석의 목적은 성공적인 이 프로젝트에 채택된 주요 개입 조치를 파악하고 도시 또는 지역 규모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잠재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설계 및 데이터/ICT 기반 솔루션을 활용하여 도시 계획 및 도시 개발 전문가와 반정형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서 다룬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 CCTV 카메라 또는 스마트 조명과 같은 ICT 인프라가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보다 종합적인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ICT 외에 환경 구축과 관련된 어떤 사회경제적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가? 또한 인터뷰에서는 남아공 내에서의 범죄 예방을 위한 현재의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 관행을 규명함으로써 잠재적인 모범 사례와 도전 과제를 식별하였다. 끝으로, 범죄 예방에 우선 순위를 둔 도시 개발 모델로서 케이프타운이 담당하는 역할에 중점을 두고 지역공동체 수준 개입으로부터 지역 개발 전략으로의 전이성을 조사하였다. 인터뷰를 통해서는 스마트 도시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데이터 기반 솔루션의 맥락에서 남아공 도시들이 VPUU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기존의 환경 기반 솔루션을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에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전술한 연구 및 분석을 바탕으로 첨단 솔루션의 적용성을 설명한다. 아울러, 데이터 기반 예측을 기존 환경 개입 조치와 통합하여 범죄 다발 지역에서의 사회경제적 및 공간적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예측적 모델링과 같은 데이터 기반 전략을 요약하여 설명한다. 범죄 다발 지역을 식별하고 조명 개선, 전략적 감시 수단 배치, 공공 편의 시설 증대와 같은 도시 설계 솔루션의 맞춤화를 통해 해당 지역의 범죄에 기여하는 특정한 환경 및 사회경제적 요인을 해결할 목적으로 커널 밀도 추정(KDE) 및 지리적 탐지기와 같은 공간 분석 기법을 탐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목표 도시 설계 솔루션(주택, 빈곤, 사회 구성 문제의 요인을 해결하는 솔루션)과 통합하고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전략인 데이터 기반 치안(Data-Driven Policing)을 제안한다. 남아공 도시들은 이러한 접근법들을 결합함으로써 폭력 범죄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인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설계 기반 솔루션도 탐색하였다. 케이프타운의 VPUU와 같은 기존 환경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장소 기반 접근 방식인 환경 설계(Environmental Design)와 CPTED 원칙 및 세분화 분석과 같은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방법의 목적은 조명 개량, 폐 건물 축소, 공공 장소에서의 자연 감시 증대와 같은 도시 개선을 맞춤화하여 궁극적으로 범죄율이 낮아진 보다 안전하고 보다 역동적인 지역공동체를 조성하는 것이다. 도시 계획 및 설계 전략에서는 데이터 기반 도시 계획을 (주류판매점 밀도와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사회 통합 노력 및 복합 용도 개발과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역동적인 지역 사회를 조성한다. 끝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접근법이 유망하다. 이 전략은 무료 Wi-Fi, 디지털 서명, 시민 참여 플랫폼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반 도시 설계를 활용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지역 사회 경계, 정보 공유, 당국과의 협력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안전하고 자율적인 지역 사회를 조성하는 데 일조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 데이터에 기반하고 설계에 입각한 남아공 도시 내 폭력 범죄 예방을 위한 솔루션이 통합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공간적, 사회경제적 격차가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범죄의 근원을 해결하여 보다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 항만과 도시의 연계성을 고려한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방안연구

        이태동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current many metropolises has the exchange trace of the man of the mankind and goods. And one area is this important role the port. The man and goods flocking due to the function of the port got to build the city. And the port function generated the added-value, that is another additional, and the important intermediary which gets to grow as the metropolis came to the port. The traditional aspects of port continued to 20 century before. But the port attribute showed the aspect of transition as the development of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of the navigation light and transport technique, and etc. after 20 century as 'the cargo-only' and 'the massification / enlarging' and 'the fossil fuel recycling'. And 'the port arou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e local resident indifference', and 'the port around falling behind',that is the harbors environment problem of the port region, got to happen by the factor which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is negative. The discussion on the world greenhouse gas regulation got to proceed with the climate change anger according to the fossil fuel consumption of the mankind in the improving of environment necessity of this port. And subject of this regulation and correspondence came to the port. The aspect of the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in the city and port dimension and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re revealing the tendency that it is similar. The eco-friendly city in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improvement dimension, environment-friendly port concept including the air quality about the city and port, quality of water, and etc. were drawn in the first stage. And while the demand for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happened after 1,990~2,000`s on a full scale, the green port which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notion of development unites to the existing harbors environment problem solving was draw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green port is progressing world. And the business related to this with is proceeded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level of association including IMO, IAPH, PIANC, and etc. and the green 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area and port according to the area, nation, and port is hosting the construction project variously. In this study, the Green port construction project which it is among the world progress was investigated prior to against LA / LB port, Rotterdam port, and port of the Singapore etc. identity total 9 places. The major harbors were propelling the various businesse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n order to conclude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and traditional port problem. And it was focusing much efforts and had ties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ncluding the this effect is the traditional port problem air quality, water pollution, in which and etc. and is pushing forward strongly and especially, moreover, was the alternative business of the fossil fuel through the introduction including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etc.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In this way, the greenhouse gas, environmental load, energy / recycling of resource, and scene / green the green port for each port sorted the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the spatial domain with each sectional according to the single business (Z1~Z3) and associated business (R1~R3) and detailed technique. And the technology was classified as H / W and soft ware according to the physical element reflection or not of the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current green port was trying to check whether it was distributed over any place according to the spatial domain. Or not. Through this, Z 3 (the city single) area and R 3 (the port-city link) area where there is the association nature was pushing ahead with the business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isoenergetic / recycling of resource much. And with promote the business including the hydrophile,that is the requirement of the community, security of the green area, and etc. on the laser trabeculoplasty it was analyzed in addition. In this way, it converted again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sustainable port guideline for the port administrator' making the item in PIANC and the public trust was trying to be secured. The survey which the analyzed green port hangs out the construction project on 1,2 rounds was carried out.By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he shipping-port divided into the expert and city-building expert you and the first investigation investigated and analyze the importance which the green port for each detail business is right for the construction. As to the second investigation, the local resident and city-port was trying to appreciate the preference of the Green port construction project of the expert. In the case of the investigation result expert military, and the importance which is high in the energy field which is very relevant to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that is the circle purpose of the green port, revealed the preference. And moreover, it was concerned about the hydrophile and security of the green area in the viewpoint with the c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est which is high in the solution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that is the traditional port problem, was displayed. And subsequently, it was concerned about the hydrophile and green area security. Moreover, because of recognize the adaptation problem as the grade of rank like the existing harbors environment problems, it was analyzed as one in which the change of the awareness is needed for the response efficient of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related regulation which is being strengthened. Accordingly, the new green port concept and detail business which did and has 'joint management system', 'the improving of environment (the existing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implication)', and detail section of 'the stability / marketability' was presented. Moreover, after fitting to the concept of the new green port and securing the linkage method of the port and city through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port and city and interchange, the business management according to PDCA cycle according to the laser trabeculoplasty was presented. Keyword : Green port, Eco port, port, port, city, relation 현재의 많은 대도시는 인류의 사람과 재화의 교류흔적이며, 이러한 주요한 역할을 한 영역이 항만이다. 항만의 기능으로 인하여 모여드는 사람과 재화는 도시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항만기능은 또 다른 파생적인 부가가치를 발생시켜 항만은 대도시로서 성장하게 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전통적인 항만의 모습은 20세기 이전까지 지속되었으나, 20세기 이후 항공 등의 교통기술 및 운송기술의 발전 등으로 항만속성은 ‘화물전용화’, ‘대량화/대형화’, 및 ‘화석연료화’의 변화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환경 부정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항만지역의 항만환경문제인 ‘항만주변 환경오염’, ‘지역주민 무관심화’, ‘항만주변 낙후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항만의 환경개선 필요성에 인류의 화석연료소비에 따른 기후변화심화는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규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하게 되었으며, 항만 또한 이러한 규제 및 대응의 대상이 되었다. 도시 및 항만차원에서의 환경문제해결 및 기후변화대응의 양상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도시 및 항만에 대한 대기질, 수질 등의 환경오염방지 및 개선차원의 친환경 도시, 친환경 항만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1990~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면서 기존의 항만환경 문제해결에 기후변화대응 및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결합한 녹색항만(Green port)이 도출되었다. 녹색항만 구축사업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IMO, IAPH, PIANC 등의 국제기구 및 협회차원에서도 이와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 국가, 항만별로도 각 지역 및 항만의 특성을 고려한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는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사업을 LA/LB, 로테르담 항, 싱가포르 항 등 총 9곳의 항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통하여 주요 항만들은 온실가스 배출과 전통적인 항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등의 도입을 통한 화석연료의 대체사업을 많이 주력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효과가 전통적인 항만문제인 대기질, 수질 오염 등의 환경오염문제와도 연계가 되어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조사된 항만별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공간적 영역을 기준하여 각 영역별로는 단독사업(Z1~Z3)와 연계사업(R1~R3), 세부기술별로는 온실가스, 환경부하, 에너지/자원순환, 경관/녹지 구분하였으며, 기술의 물리적 요소 반영여부에 따라 H/W, S/W로 기술을 분류하였으며, 현재의 녹색항만 구축사업이 공간적 영역별로 어떠한 곳에 분포가 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시와 연계성이 있는 Z3(배후도시단독)영역과 R3(항만-배후도시연계)영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 에너지/자원 순환과 관련된 사업을 많이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지역사회의 요구사항인 친수, 녹지공간의 확보 등의 사업을 장기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이렇게 분석된 사항을 PIANC(국제수상교통시설협회)에서 만든 ‘항만운영자를 위한 지속가능한 항만 가이드라인’의 분류체계로 다시 변환하여 공신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1,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계층화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세부사업별 녹색항만 구축에 맞는 중요도를 해운-항만 전문가 및 도시-건축 전문가 군으로 나누어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2차 조사는 지역주민 및 도시-항만 전문가를 대상으로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사업의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전문가 군의 경우 녹색항만의 원 취지인 온실가스 배출과 연관성이 높은 에너지 분야에 높은 중요도 및 선호도를 보였으며, 또한 도시와의 관점에서는 친수, 녹지공간의 확보에 관심을 보였다. 반면 지역주민들의 경우 전통적인 항만문제인 환경오염문제의 해결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어서 친수, 녹지공간 확보에 관심을 보였다. 또한 조사결과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 문제를 기존 항만환경문제들과 같은 위계로 인식하고 있었기에 강화되고 있는 기후변화대응관련 규제의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을 기반으로 하고 ‘통합관리체계’, ‘환경개선(기존 환경문제 해결 포함)’, ‘안정성/시장성’의 세부부문을 가지는 새로운 녹색항만개념과 세부사업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녹색항만의 개념에 맞추어서 항만과 도시의 네트워크 구성 및 교류를 통하여 항만과 도시의 연계방안을 확보후 장기계획에 따른 PDCA사이클에 따른 사업운영을 제시하였다.

      • 지방공공부문 부채비율과 대내외적 지표 간의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 도시개발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인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방자치제가 정착되는 가운데 지역 공공서비스를 공급하는 지방공기업 및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지방분권에 따른 지역복지 증진, 지역경제 활성화 욕구가 커지면서 지방공기업의 사업범위는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 대부분이 고령화를 겪는 입장에서 복지지출에 의한 중앙 및 지방정부의 부채의존 지향적 재정지출은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중앙정부 교부금 등에 의존하는 지방정부와 지방공기업의 재정관리 및 부채증가는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적 충격요인 발생 시 중앙정부를 직접적으로 재정위험에 빠뜨릴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기존 지방재정, 재정위기, 지방도시개발공사 관련 선행연구들은 비교적 제한된 시점 하에서 지역인구, 지방정부 예산 증감 등 미시적이고 특정분야에 집중된 지표를 통해 지방정부와 지방공기업 간의 재정적 상관성을 분석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 재정건전성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현장사례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비율과 대내외적 지표들간의 중기적 상관관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와 관련된 2003년부터 2017년까지의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를 구축하고 분석함을 통해 한정된 기간 및 데이터로 진행된 선행연구들의 자료 추출 기간 및 범위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비율 대비 경제·사회·정책적 지표의 상관도와 선형관계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유로존 재정위기 이후 행정안전부 등 중앙정부가 지방공기업 재정건전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온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반해, 지방정부의 부동산개발사업 등을 대부분 위탁받아 수행하는 종속적 관계로 인해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비율과 다수의 재무적 지표는 대규모 신도시 및 택지개발사업이 마무리되던 2010년대 이후 점진적으로 유사한 증감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 온 지방공공부문 부채와 증감 영향요인들 간의 관련도를 분석하고 실증연구의 시발점이 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대내외적 환경과 시점의 변화에 따라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변화시킨다면 높은 재정건전성이 요구되는 지방 공공부문의 합리적 재정운영 및 위기대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Amid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the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local governments that provide local public services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desire to promote local welfare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decentralizing the business scope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in the future. With most of the developed countries agi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ebt-dependent fiscal spending is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In particular, increased financial management and debt growth of local and local governments, which rely on central government subsidies, such as Korea, may act as a direct source of financial risk for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event of unpredictable external shocks. In this study, prior studies and field cases related to local financial soundness were extensively reviewed. In addition, it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debt ratio of Sudogwon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and the medium-term internal·external indicato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pplement the data extraction period and scope of prior studies conducted with limited time and data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analysis of various time series data related to Sudogwon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liabilities and factors affecting growth and is the starting point for specific case studies. I expect that changing the subject and method of research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and timing will help rational financial operation and crisis response of local public sectors that require high fiscal soundness.

      • 관광숙박시설 특례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 : 서울시 2010~2012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사업지를 대상으로

        김정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의 특례 규정이 서울시 내에서는 일부 지역에 국한해서 실질적인 공급효과를 불러올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도시경관에 있어서도 가로변 건축물들의 층수, 높이 등이 다양화 될 것으로 예상한다. 주거환경 차원에서는 고층 개발로 인해 인접대지와의 사이에 완충지대가 없이 관광숙박시설이 직접 주거지역에 접하는 사례를 확인하였다. 주차대수기준의 완화와 관련해서는 주차대수 수요가 설치한 부설주차장의 규모를 초과하는 사례지를 통해 그 범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논의가 활발한 담론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2012년 11월 21일 인천공항으로 1,000만 명 째에 해당하는 관광객이 입국했다. 정부는 연말까지 1,130만 명의 입국을 예상하고 있다. 관광숙박시설은 친환경산업이라고 불리는 관광산업의 기반시설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과 함께 범죄와 사고를 유발하는 위해시설이 될 수 있다는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문화관광부의 관광숙박시설 수급분석연구(2012)에 의하면 서울시 전체에서 2012년과 2013년에 걸쳐 객실 수 100실 규모의 사업지 123 곳에서 동시다발적인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규모공급을 위한「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이하 ‘관광특별법’) 및 「관광진흥법」의 용적률과 용도지역별 도입용도 특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위계를 뛰어 넘지는 않았으나 동법시행령에 대한 ‘특례 조치(special exception)’ 에 해당한다. 이러한 특례는 특별법 제정 시 관광숙박시설의 주요 공급처로 고려한 서울시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당 연구에서는 총 18개 사업지를 사례로 하여 유형별로 구분하고 관광특별법을 적용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한 여러 지표를 도시계획과 주거환경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도시계획차원에서 살펴보면 첫째, 서울시의 지구단위계획은 용도와 밀도를 구분하여 지역의 여건에 맞게 수립하여 왔으나 관광특별법의 용적률 체계는 지역별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용적률을 부여함으로써 기존 도시계획과의 정합성이 결여되고 도시공간구조의 위계를 벗어나는 문제를 확인하였다. 상위계획별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일반건축허가지역에서의 용적률 증가가 187%로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는 12%에 머무르고 있고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에서는 용적률의 증가가 없다. 도시공간구조의 위계를 나누는 기준의 역할을 하는, 역세권에 위치하는 관광숙박시설의 경우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지하철 이용이 시설이용에 편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외국인 관광객에게 던지는 중요한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비역세권과 위계가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지역별 높이계획의 유형과 밀접하게 관계하는 내용으로 일반건축허가지역 중 가로구역최고높이지역에서 높이계획의 여유로 인해 개발밀도의 상향이 용이한 반면 지구단위계획구역과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 내에서는 최고높이가 용적률 상향의 범위를 제한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밀도계획의 제어를 높이계획이 맡고 있는 것이다. 별도의 높이완화 없이는 관광특별법의 특례가 일반건축허가지역에 국한해서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 올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도시경관에 있어 가로변 건축물의 높이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가로변 인접건축물과의 높이차가 크기 때문이다. 여러 용도지역 중에서도 제3종일반주거지역의 경우 인접건축물과의 상대적인 밀도차로 높이차가 타 용도지역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주거환경차원에서는 첫째, 인접지역과의 사이에 완충지대가 없이 관광숙박시설과 그 부대시설인 유흥업소가 직접 일반주거지역에 접하게 되는 문제점을 우선 도출하였다. 특히 일반상업지역과 제3종일반주거지역의 용도지역에 걸치는 경우인 사례지에서는 용도지역제를 통해 주거환경을 보호하고자 한 도시계획의 근본적인 취지가 한층 무색해질 개연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부 사례지에서는 밀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차대수의 완화로 계획대수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주차대수 수요가 설치한 부설주차장의 규모를 초과하는 사례지를 통해 그 범위를 확인하였다. 과도한 주차대수의 완화는 결국 건축물 이용자의 불편을 야기하게 되고 이는 외부주차장의 이용이나 불법노상주차현상을 일어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겠다. 장기적으로도 산업과 지역여건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건축물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앞으로 기상업화된 역세권 또는 도시공간위계를 고려한 제한된 지역에 특례를 부여하는 방안과 함께 관광특별법의 목적달성을 위한 실현화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 장기적으로「국토계획법」에 근거하는 도시계획제도가 「관광특별법」및 「관광진흥법」상의 정책취지에 부합하는 내용으로 개정되어 관광숙박시설이 주거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조기공급의 이슈를 관련도시계획의 틀 내에서 종합적으로 담아내야 할 것이다. 「관광진흥법」의 특별조치가 가지는 목적을 수용하면서 용도지역제도의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내로 제도를 개선할 수 있겠다. 그리고 타분야(역사문화 및 산업경제)와의 통합작업을 통해 관광숙박시설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이는 우수한 문화관광자원이 갖추어진 지역에 대중교통과 연계하고 보행접근이 용이하면서 편의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경쟁력 있는 관광숙박시설의 공급으로 귀결된다. 도시계획분야가 역사문화·관광산업분야와 함께하는 통합적인 접근과 대안을 마련하여야 하는 시기이다. 주요어 : 관광숙박시설, 용도용적제, 특례, 밀도, 주거환경,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 관광진흥법, 호텔, 용적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