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송배전기술사 고시 출제경향 분석 및 대학 교과과정 반영에 대한 고찰

        권준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재 정부에서 엔지니어링 산업의 육성과 관련하여 대학교육, 일, 기술자격의 연계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관련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엔지니어링 인력양성의 기초가 되는 대학의 공학교육과 기술사제도 연계방안에 대하여 조사하게 되었다. 특히 발송배전기술사 고시 출제경향분석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기공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서 기술사 자격과 대학 교과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발송배전기술사 출제경향 분석 절차로 1980년대부터 2010년까지 주요 주제에 대한 출제경향 변화를 5년 단위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최근 10년간 자주 출제되는 분야 및 출제비중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보면 송전분야 30(%), 기초이론 16(%), 변전분야 14(%), 발전분야 14(%), 기타 관련분야 11(%), 신경향분야(신재생에너지, 가변유연송전시스템 등) 9(%)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자료를 기초로 하여 발송배전기술사 고시와 대학 교과과정 연계 시 보완해야할 교과과정과 학습교재를 추천하였으며, 올바른 학습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Current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connect college education, work, and technical qualification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engineering industry; however, the data related to it are limited. Thereupon, this paper conducted research on methods to connect the engineer system and engineering education at college which is the basis in the cultivation of engineering manpower. In particular, with comparative examination on the questioning tendency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xam and the curriculum of Electric Engineer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gineer’s license and college curriculum. As the procedure of analyzing the questioning tendency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xam,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the questioning tendency on chief topics from the 1980’s till 2010 in the unit of 5 years. Particularly, this study examined frequently asked fields for the recent 10 years and questioning grav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order was power transmission 30(%), basic theory 16(%), substation 14(%), generation 14(%), other related fields 11(%), and new tendency (new renewable energy and variable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etc.) 9(%). Based on these data analyzed, this study recommends the curriculum and learning materials to be complemented to connect the Professional Engine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xam and the college curriculum and also suggests proper learning methods.

      •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 투어 앱 제작 : Establishment of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유미희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대학 캠퍼스에 오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 녹지의 수목, 식물의 사계절을 체험하게 하여 학생들의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아름다운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를 사진과 영상으로 제작한 앱으로 간접 체험함으로써 서울시립대학교 구성원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녹지 투어 앱에 관한 설문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앱 제작의 기획 단계에 적용하여 제작 범위와 내용설정에 반영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2020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카메라와 드론, 액션캠 등을 사용하여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내 수목과 식물을 4천 장의 자료사진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만드는 이미지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구성 내용으로 계절별 캠퍼스 풍경을 담은 계절 이야기, 수목으로 이루어진 산책길 이야기, 다양한 테마로 구성된 정원 이야기, 오래되고 아름다운 나무 이야기 등이다. 사진 이미지와 함께 드론과 스트리밍 액션캠을 사용한 영상 이미지를 추가 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모든 자료와 조사된 내용을 기반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진화시킬 수 있는 형태의 모바일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게시판의 기능을 링크와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구성 제작하였다. 주요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코로나19, 녹지 투어, 대학 캠퍼스, 소통과 치유, ABSTRACT Since early 2020,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come to the university campus due to COVID-19. Except for the special occasions, e.g. midterm and final exams, most of the lectures were done untact, which made students lose sense of belong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beautiful campus greenery.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so that all members of the university can communicate under untact situation COVID-19 caused. Scope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was decid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by some 20 students. Some 4,000 image materials of the campus greenery were prepared by cameras, drones and action cams from June 2020 to November 2021. A homepage and a mobile applic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mage materials. The main compositions of the application include stories of seasonal campus landscapes, tree-based walks, old and beautiful trees, and garden stories with various themes. This mobile application and the homepage would be a starting point for green cummunications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Seoul. Key words: application, homepage, COVID-19, campus green, communication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서울시 기술교육원의 시설규모 평가 연구

        이진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요 약 제 목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서울시 기술교육원의 시설규모 평가 연구 청년, 여성 및 은퇴자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직업교육기관은 전국적으로 공공부문 95개 기관과 민간부문 6,444 기관이 운영 중에 있으며 해 마다 직업교육훈련기관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그 교육훈련기관 중 공공 훈련기관의 중요성이 다른 어느 때 보다 사회적 역할이 더 커지고 있다. 공공직업훈련기관에서의 NCS기반의 직업훈련은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목적은 공공 직업훈련기관 중 서울시의 대표적인 공공직업교육 기관인 4개 기술교육원의 시설을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훈련체계로 전환할 경우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제17조, 제19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5조, 제17조의 규정에 따른 근로자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훈련과정(집체훈련) 인정을 위한 주요 심사 5항목을 관련기관에 새롭게 심사 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1, 2012, 2013년 고시된 NCS의 기반위에 훈련시설기준을 통해서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훈련시설기준을 토대로 현 서울시 4개 기술교육원의 필요면적 적정성을 검토하고 둘째, 기술교육원의 필요면적 적정성 검토 후 향후 개선방향 제시하며 셋째, 신설직종(직무) 개발 시 비교 고찰하여 그 개선방향을 제시 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훈련시설기준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중부기술교육원은 분석대상 8개학과 중 NCS기준으로 적합한과는 한 개의 학과도 없었다. 6개학과의 강의실 신설과 증설이 요구되었으며 실습실은 3개학과 5개실이 신설이 요구 되었고. 6개실의 증설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북부기술원의 경우는 분석대상 6개학과 중 NCS기준으로 적합한과는 한 개의 학과도 없었으며, 6개학과 중 3개학과 강의실 3개의 신설과 2개학과의 증설이 요구되었다. 또한 실습실은 2개의 학과가 증설이 요구 되었다. 동부기술교육원은 분석대상 6개학과 중 NCS기준으로 적합한 학과는 외식산업학과만 만족하였다. 강의실은 4개학과가 증설이 요구되었으며, 실습실은 2개 학과 3개실의 신설이 요구되었고, 2개학과 2개실의 증설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부기술원은 분석대상 8개학과 중 2개학과는 NCS 훈련기준으로 적합한 학과로 분석되었으며 나머지 6개학과는 강의실과 실습실 증설이 요구되었다. 강의실은 2개학과가 증설이 요구되며, 실습실은 5개학과가 증설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4개 기술원을 종합하면 분석대상 총 28개 학과 중 NCS 훈련기준에 적합한 학과는 3개의 학과이고 나머지 25개의 학과는 실을 신설하거나 증설해야 NCS 훈련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서울시 산하 기술교육원의 직업훈련체계가 NCS기반의 훈련체계로 가기 위한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정원을 44명에서 30명으로 축소하는 방안이다. 30명으로 축소할 경우 실습실은 28학과 중 6개학과만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각 기술원별 단기과정 축소이다. 현재 각 기술원별 정규과정이 아닌 3개월 과정의 단기과정을 3-4학과를 개설하고 있는데, 단기과정을 1-2개학과 축소할 경우 공용강의실을 1-2개 확보하여 강의실 신설과 증설을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분산된 학과 배치를 유사 직종별로 학과를 재배치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기술교육원의 학과 간 실의 운영형태를 풀라톤형으로 계획하면 가능하다 하겠다. 정부와 서울시의 직업훈련 정책이 NCS기반의 직업훈련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만드는 과정에서 교육 현장의 경험을 반영하기 위하여 직업훈련 교사의 참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훈련기관 실무자 중심의 공청회를 개최하여 내실화 있는 NCS기반의 직업훈련이 마련되어야겠다.

      • LED-IT 및 Zigbee 센서 기반 실내형광등 그룹제어에 대한 연구

        서승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조명은 현재 인류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유효사용 기술 중 하나이다. 이러한 조명은 태양광에 의한 주광조명(晝光照明)과 인공광원을 통해 생성되는 인공조명(人孔照明)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전기에너지를 통해 생성되어지는 인공조명의 제어기술과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기술과 실험을 통한 구현에 대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전기적인 에너지원을 기초로 하여 LED 조명에 대한 연속적인 밝기기법과 조명간의 그룹 제어기술, 조명제어를 하기위하여 Zigbee 통신을 통한 제어기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객체 정보에 따른 일체형 LED 조명의 제어회로를 설계하여 구현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일차적으로 객체를 감지하기위하여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사물을 감지하며,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LED조명의 개별 및 그룹을 컨트롤 하였다. 추가적으로 영상정보전송 장치와 연계하고, 사용자의 PC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하기위한 기술을 구현하였다. 전체적인 시스템은 MPU(Micro Process Unit)를 통하여 제어되어지며, 적외선 센서와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환경에 맞게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LED 조명이 MPU와 연동되어 제어신호를 받아 조도제어 기능을 수행하였다. 객체감지에 따른 입출력신호는 개별적으로도 수행이 가능할 뿐 아니라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그룹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조명은 Zigbee 통신을 통한 그룹또는 개별적으로 연계되어 출력에 대한 신호를 받아 조명으로 표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인체의 감지 및 입력신호가 없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최소한의 조명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조도 제어를 하도록 구성하였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은 LED조명의 연속적인 조도 제어를 하기위하여 MPU를 이용한 PWM제어와 그룹를 위한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물에 대한 감지를 하기위한 감지부로 구성된다. 즉, 입력신호를 통하여 MPU의 제어부를 거쳐 LED 조명의 제어하도록 하였다.

      • AHP / IPA 기반 철도제조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연구

        김명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655

        국내 철도차량부품·장치 제조 산업은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으로 대다수의 소규모 영세기업이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지 못하여 수익성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기업내 자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기보다는 해외 선진국 기술 제품을 수입하여 국내 철도 운영기관에 납품하는 형태로 생존하고 있다. 또한 철도 제조 중소기업의 규모는 평균 종사자 수 50인 미만 업체가 전체의 96% 수준으로 영세하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철도 핵심부품·장치 제조 산업은 해외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부품조달의 어려움, 조달비용 증가, 국내 기술력의 저조함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동안 정부에서는 국내 철도부품 강소기업 육성방안, 철도차량산업 육성방안 등 국내 철도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지원 및 노력을 추진해왔지만, 차량 탑재품 수출이후 유지보수품 수출업체가 전체의 16% 수준(10~50억원 미만), 기타 수출까지 합쳐서 수출실적 전체의 24% 수준으로 미미한 상황이다. 철도차량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부품·장치 제조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생태계 개선에 중요한 요소이며, 안전한 철도 운영을 위해서도 제조 중소기업이 기술사업화를 통해 품질기준에 맞는 부품을 국산화된 기술로 생산하여 부품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철도 산업 개선에 대한 선행연구는 부품·장치 위주로 분석되지 않아 미흡한 부분이 많다. 또한 현 철도산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연구와 동시에 정부의 철도산업 발전 정책이 제대로 반영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와 유사한 제조 중소기업, 기술개발업의 활성화 요인들을 철도분야에 접목시켜 철도부품·장치 제조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활성화 요인을 기업내부/외부요인과 기술적 요인으로 나누어 계층적 구조화에 반영하였으며, AHP 기법을 활용하여 어떤 요인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요인에 대한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중요도와 수행만족도를 IPA Matrix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HP 종합중요도 분석 결과, 중소기업 사업 전문가 그룹과 운영기관 전문가 그룹에서 ‘기술적 요인’이‘기업내부 요인’,‘외부지원 요인’보다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철도차량부품·장치 제조 중소기업에게는 기술적 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해 기술사업화를 위한 핵심적인 요인으로 파악된다. 중소기업, 운영기관 전문가 입장에서는 철도차량 부품·장치 기술력이 경쟁 기술에 비하여 기능적으로 우수하여야 하며, 타 업체에서 쉽게 복제할 수 없는 기술력을 갖추는 것과 동시에 검증된 안전성과 신뢰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적 요인’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내부 요인에 대한 종합중요도를 살펴보면, 중소기업 사업전문가와 학계·연구기관 전문가는 ‘사업화 능력’이 중요도가 높에 평가하였고, 운영기관 전문가는 ‘기술개발 능력’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중소기업, 학계·연구기관 전문가들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기술의 제품을 마케팅을 통해 홍보하고 이를 판매하는 능력을 향상시켜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기관 전문가 입장에서는 철도는 국민생활과 밀접하고, 안전은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만큼 부품·장치의 인증(품질/안전성/성능)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개발 능력’이 중요하게 분석됐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외부지원 요인에 대한 종합중요도를 살펴보면 중소기업 사업 전문가는 ‘인력양성 지원’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고, 다른 두 집단 전문가(운영기관, 학계·연구기관)는 ‘연구개발 지원’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IPA 분석에서도 철도 전문인력과 연구개발 지원은 2사분면 노력 집중화의 지향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철도 전문인력 양성의 경우 철도부품기획 최종보고서 SWOT 분석에서도 Weakness 영역에 위치하여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집중해야 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진행될 국가 R&D 지원에 앞서 철도 제조 중소기업들의 역량에 따라 정부지원의 우선순위, 정책적 우선순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정책적 제언들은 향후 철도 부품 제조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domestic railway parts and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is mainly focused on SMEs, and the majority of them are suffering from profitability because they can not build economies of scale. In addition, they have survived in the form of importing technology products from overseas advanced countries and delivering them to domestic railway operators rather than having in-house technology. The average number of the members of railway manufacturing SMEs is less than 50, which is 96% of entire industry. As a result, the railway core parts and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is highly dependent on foreign countries, and experiences difficulties in parts procurement, increase in procurement costs, and poor domestic technology. In the meantime, the 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railway industry, such as raising domestic railway components industry, and raising the railway car industry. However, since exports of in-vehicle products, exports of maintenance and repair goods totaled only 16%(less than 1~5 billion won) and other exports, which is only 24% of total exports. In order to develop the railway vehicle industry,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SME parts manufacturing companies. Also, for safe railway operation, it is important for manufacturing SMEs to commercialize parts to meet quality standards and to secure the stability of parts supply by producing them with domestic technology. However, previous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he railway industry has not focused on parts and devic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whethe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ailway industry can be identified and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whether the government's railway industry development policy is properly refle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ctivation factors of manufacturing SM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dustry similar to railway were utilized into the railway field, and the factor of activat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railway parts and equipment manufacturing SMEs was derived. The derived activation factors are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echnical factors, and are reflected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It was analyzed that which factors are most important by using AHP technique. In additi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of SME workers were analyzed by IPA Matri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AHP importance analysis, 'technical factor' is more important than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support factors' in SME business expert group and operator expert group. In other words, technological factors of railway vehicle parts and equipment manufacturing SMEs are found to be a key factor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ared to other factors. This is because that for SMEs and operators, it is necessary to be functionally superior to those of competing technologies and to have technical strength that can not be copied easily by other companies as well as with secured safety and reliability. As for the importance of internal factors, SME business expert group and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 expert group highl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commercialization ability', and the operator expert group highl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This is because, SMEs and academics and research institutes judged that companies could grow into a global enterprise by improving their ability to promote and sell the products of their own technology through marketing. For the experts of the operators, it is considered that 'skill development ability' is important because the railwa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eople's life and the certification(quality/safety/performance) of parts and devices protecting life and property is important. Nex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xternal support factors, SME business expert group evaluat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pport' as important, and operator expert group and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evaluated 'R&D support' as important. In the IPA analysis, railroad experts and R&D support are located in the direction of concentration of efforts in the second quadrant. The railway manpower training is analyzed as being in the Weakness area in the SWOT analysis of the railway component planning final report, which is a factor to be focus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priority of the government support and policy priorities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railway manufacturing SMEs before the future R&D support. Th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will utiliz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trategy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SMEs for railway parts and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 An Analytical Resistance of Soil on Square Pile Installation in Clay

        쏭사요 손탄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초록 연약지반에 사각 항타말뚝 시공에 따른 말뚝-지반 관입저항 분석 Thongxayo Sonthanou Prof. Kook Hwan Cho, Ph.D., P.E. 철도건설공학과 철도전문대학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말뚝은 특히 매립지 및 연약지반에서 건물, 교량, 연안 구조물과 같은 인프라시설의 건설시 널리 사용되는 기초방식이다.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도가 높은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는 것은 기초의 설계, 시공 및 전반적인 건설비용 추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말뚝의 설계시, 현장 및 실내실험 결과를 통한 정적 분석에 의해 말뚝의 지지력을 예측하고 있는 실정이다. 말뚝기초의 설계는 주로 말뚝의 지지력 산정이 주를 이룬다.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해 정적 및 동적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자주 사용되며 보편적인 방법이다. 앞서 언급한 계산방법은 넓은 적용성을 갖고 있으나, 변수에 대한 여러 가지 가정과 정확성이 다른 수많은 공식으로 인해 실용적인 적용이 어렵다. Hiley 공식은 이론적으로 1차원 응력파동 이론에 기초한다. 지반공학에서 Hiley 공식을 적용하여 말뚝항타시 발생할 수 있는 말뚝의 균열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해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말뚝의 쿠션-말뚝-지반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므로 지반에 따른 저항조건에 적절한 해머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말뚝항타시 관입저항 및 항타횟수에 대한 예측은 조사된 지반조건 및 두 가지 해머 종류에 따라 항타과정에서 수행되게 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계산식을 통한 이론값을 검증하고 현장계측 데이터의 비교•분석을 통해 말뚝항타시 해머 타입에 따른 효율 및 말뚝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항타인자를 결정하는 것에 있다. 이론값 및 현장계측 값의 비교결과,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실제 현장에 적용할 경우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 충분한 지반조사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지반정수를 얻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항타말뚝, 말뚝 지지력, 말뚝침하, 말뚝-지반 상호작용. Summary Title: An Analytical Resistance of Soil on Square Pile Installation in C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square pile driven and settlement of pile foundation have been studied independently. The pile-soil system will be modeled by the installation of a driven pile in the site. Stress level, the blow count and the duration of the driving process predictions will be done depending on the hammer selection for the modeled soil profile condition. The goal of the study is to choose efficient hammer as well as with the efficient driving parameters not to cause any damage to pile during driving. The results will be compared with the actual driving parameters and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will be discussed. Driving resistance against penetration and blow count predictions are performed during driving process depending on two different hammer types and depending on the modeled soil profile condition. The goal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obtained calculation based results with the actual field data in order to be able to test the efficiencies of the hammer types as well as with to determine the efficient driving parameters not to cause any damage to pile during driving. At the end of the study it is observed that the predictions and actual data match with some appropriate calibration.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site investigation in-situ tests defining the actual soil condition must be reliable in order to get an accurate analysis result. Abstract Piles are widely used in construction of foundations for infrastructure such as buildings, bridges and offshore structures particularly at fill and soft soil sites. Hence accurate and reliable determination of pile capacity is very important for design, construction and the overall estimate of the cost of these foundations. It is common in design practice to predict pile capacity by static analysis in advance of pile driving based on the results of in-situ and laboratory tests. Pile foundation design mainly depends on the determination of bearing capacity. In this manner determination of pile capacity by static and dynamic formula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 known oldest methods. Although those mentioned calculation methods have wide application areas, they have weaknesses in practical application results due to a great number of different dynamic formulas having several different assumptions and different degrees of accuracy. Also their lack of providing any information about the pile drivability bring out the necessity of usage of more comprehensive solution provided for impact driven piles by the Hiley equation. Hiley equation theoretically based on the one dimensional stress wave theory. In geotechnical engineering one of the application areas of the Hiley equation analysis is the drivability studies in order to be able to decide hammer selection to prevent possible damages during pile driving. Hiely equation analysis considers the hammer cushion-pile-soil system to be abl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hammer size for the given pile dimensions and soil resistance conditions. Pile-soil system is model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a driven pile in the field. Driving resistance against penetration and blow count predictions are performed during driving process depending on two different hammer types and depending on the modeled soil profile condition. The goal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obtained computer based results with the actual field data in order to be able to test the efficiencies of the hammer types as well as with to determine the efficient driving parameters not to cause any damage to pile during driving.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site investigation in-situ tests defining the actual soil condition must be reliable in order to get an accurate analysis result. Keywords: pile driving, pile load capacity, settlement of piles, soil-pile interaction.

      • 뉴실버세대의 디지털미디어 수용과정에서 감성적 가치 요인이 미치는 영향

        허원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50655

        The perspective of the silver generation pursuing a socially healthy and happy lifestyle is changing as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s towards the potential of the old market as the society experiences the rapid phenomenon of aging society. The new silver generation achiev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is more economically rational than the silver generation. The new silver generation is emerging as a new consumer class that can flexibly react to social changes such as the advent of digital media. The popularization of the smart phone, which is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digital media, highlights the necessity of studies on digital media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However,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research is that while studies mainly approach through an external perspective concer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re is a lack of studies regarding the accommodation of digital media.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inner needs that can influence the new silver generation's accommodation of digital media. In this study, the emotional value factors influencing the new silver generation's inner needs were clarified utilizing the value of LOV and VASL2, and the lifestyle system. By using this factor as the external variable of the technology accommodating model, the influence on accommodation of digital media was analyzed. Also by performing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general adult users, the silver generation, and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 validity of whether the emotional factors can represent the new silver generation or not was verified. First, the emotional value factor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were drawn based on LOV value items and VALS2 lifestyle items. Through factorial analysis, the following seven emotional value items were drawn: effort and self-esteem, respect for others, appearance, external factors, social participation, responsibility, and use of media and information. Next, using the seven factors as external variables, the influence of emotional value factors on the accommodation of digital media by general users, silver generation and new silver generation were analyzed respectively.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external variables and perceived utility of general users, out of seven factors, five factors of effort and self-esteem, respect for others, appearance, external factors, and use of media and information appeared to be influencing the perceived utility.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external variables and usability, out of seven factors, four factors of appearance, external factors, respect for others and use of media and information appeared to be influencing the perceived usability. Considering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usability, utility and attitude towards usage, the perceived utility and usability seemed to highly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s usage. Considering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utility, attitude towards usage and purposes of usage, perceived utility and attitude towards usage, both seemed to highly influence the purposes of usag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ult was that among the new generation's emotional value factors, appearance, external variables, respect for others, and use of media and information factors can also be applied to general users.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external variables and perceived utility of silver generation, out of seven factors, only three factors of effort and self-esteem, appearance, and social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influencing the perceived utility.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external variables and usability, out of seven factors, three factors of effort and self-esteem, appearance, and social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influencing the perceived usability. The perceived usability influenced the perceived utility, and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usability, perceived utility and attitude towards usage, perceived usability and utility seemed to highly influence attitude towards usage.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utility, attitude towards usage and purposes of usage, perceived utility and attitude towards usage, both seemed to highly influence purposes of usage.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external variables and perceived utility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out of seven factors, three factors of effort and self-esteem, appearance, and external variables appeared to be influencing the perceived utility.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external variables and usability, out of seven factors, three factors of effort and self-esteem, appearance, and social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influencing the perceived usability. The perceived usability influenced the perceived utility, and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usability, perceived utility and attitude towards usage, perceived usability and utility seemed to highly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s usage.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utility, attitude towards usage and purposes of usage, perceived utility and attitude towards usage, both seemed to highly influence the purposes of usage. The primary emotional value factors influencing the new silver generation's accommodation of digital media were three factors of effort and self-esteem, appearance, and social participation. Emotional value factors such as effort and self-esteem, and appearance, implies that they are greatly influencing the new silver generation in that smart phones are being used as an integrated digital media of the 21st century. The social participation factor reflects the new silver generation's needs of desiring to become a meaningful member of the society. By using the smart phone, they feel that they are being accepted as a member of the society. While general users were influenced by four factors of appearance, use of media and information external variables and respect for others, the n 우리나라는 급속한 노령화 현상으로 노년시장의 잠재력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건강하고 즐거운 생활을 추구하고자 하는 실버세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뉴실버세대는 실버세대보다 높은 교육수준과 경제력으로 합리적 생활을 하며 디지털미디어의 출현과 같은 환경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하는 새로운 소비 집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미디어의 대표적 상징인 스마트 폰의 대중화는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미디어 관련 연구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와 관련한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은 주로 뉴실버세대의 신체적 특징과 같은 외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관점을 지향하고 있으며 디지털미디어 수용이라는 본질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이를 충분히 이해하는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뉴실버세대의 디지털미디어 수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인 사용자의 내면적 니즈를 찾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뉴실버세대의 내면적 니즈에 영향을 주는 감성적 가치 요인을 List of Value(LOV)와 Values and Lifestyles(VASL)2의 가치 및 라이프스타일 체계를 통해 밝혀내고, 그 결과를 기술수용모델의 외부변수로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미디어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 성인사용자 및 실버세대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감성적 요인이 뉴실버세대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인지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우선 뉴실버세대의 감성적 가치 요인은 LOV의 가치 항목들과 VALS2의 라이프스타일 항목들을 기초로 뉴실버세대의 특징에 맞는 감성적 가치항목을 도출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기 노력 및 자긍심, 타인존중, 외모ㆍ외향, 외부요인, 사회참여, 책임감, 매체의 활용 및 정보의 총 7가지로 도출하였다. 이후 7가지 요인들을 외부변수로 사용하여 디지털미디어 수용에 있어서 감성적 가치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일반유저, 실버세대,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 유저를 대상으로 적용한 외부변수와 지각된 유용성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7개의 요인 중 자기노력 및 자긍심, 타인존중, 외모ㆍ외향, 외부요인, 매체활용 및 정보 5개 요인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부변수와 지각된 용이성과의 관계에서는 7개의 요인 중 외모ㆍ외향, 외부요인, 타인존중, 매체활용 및 정보의 4개 요인이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태도와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태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각된 유용성, 이용태도와 이용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태도 모두 이용의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뉴 실버세대의 감성적 가치요인 중 외모ㆍ외향, 외부요인, 타인존중, 매체활용 및 정보의 요인은 일반유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외부변수와 지각된 유용성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7개의 요인 중 자기노력 및 자긍심, 외모ㆍ외향, 사회참여 3개 요인만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변수와 지각된 용이성과의 관계에서는 7개의 요인 중 자기노력 및 자긍심, 외모ㆍ외향, 사회참여의 3개 요인이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태도와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태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지각된 유용성, 이용태도와 이용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태도 모두 이용의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외부변수와 지각된 유용성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7개의 요인 중 자기노력 및 자긍심, 외모ㆍ외향, 외부요인 3개 요인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변수와 지각된 용이성과의 관계에서는 7개의 요인 중 자기노력 및 자긍심, 외모ㆍ외향, 사회참여의 3개 요인이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태도와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일반유저와 마찬가지로 이용태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각된 유용성, 이용태도와 이용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태도 모두 이용의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뉴실버세대의 디지털미디어 수용에 있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감성적 가치요인은 자기노력 및 자긍심, 외모ㆍ외향, 사회참여 3개의 요인으로 밝혀졌다. 자기노력 및 자긍심 그리고 외모ㆍ외향의 감성적 가치요인은 21세기 융합 디지털미디어인 스마트폰을 일반 사용자들과

      • 시추조사 자료를 이용한 서울지반 특성 연구 : 우면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정원영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본문은 서울시 일원에서 이루어지는 지하철공사, 도시계획시설사업이나 민간시행 주택사업 등 토목․건축공사 시에 지반조사에 수백억 원의 비용을 들여 수행하였으나, 해당 사업에서만 사용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고 사장된 지반조사 자료를 시추주상도를 활용하여 서울의 지반정보를 최초로 Data base화한 Geo-Seoul에 추가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 13,403공을 구축하였고, 금회 1023공의 자료를 추가로 구축하여 보다 정밀하게 Data base화된 서울지반의 암반선 특성과 지반의 깊이별 파쇄도(RQD)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어느 특정지역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1,023공 중 시추자료가 가장 많은 서초구 우면택지개발지구를 대상으로 Rook work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차원의 지반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면지구 택지개발 지역의 기반암은 선캄브리아기의 흑운모호상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추결과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경암으로 구성되어 3차원 지층모델링 분석결과 암반선은 지하 4.3m~27.0m로 심도가 단지별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파쇄도(RQD)의 분포는 전체 0~100%로 나타났으며, 지하수위는 1단지에서는 깊은 심도인 지하 24.4m~36.0m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단지에서는 1.3m~4.1m 심도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인근 양재천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11개 자치구 지역의 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하였으며 주로 지하철 9호선 송파~강동구간, 우면택지개발사업, 도로건설사업 등 상대적으로 넓게 작성하였으며 향후 기구축된 지반정보에 금회 연구한 결과를 포함한 지속적인 지반정보의 구축 및 활용을 통해 서울시가 추진하는 도로계획, 도시철도 건설사업 등 모든 신규사업에서의 유용한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핵심용어 : 지반정보, 정밀도, 3차원 지층모델링, 파쇄도 In this study, Utilizations based on the soil properties on the basis of pre-built geo-mechanical databas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ve been consider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soil information database, collecting data systematically and standardizing them as well as preparing legal mechanism for newly established database has to be preceded. As seen in this study considered,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way of practical use through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geo-technical are needed to achieve the effect of database establishment. 1. About 1023 borehole data in seoul using data input program was built in database. these database and existing database of 13403 holes integrated 2. Properties of soil information in Seoul as well as the position of solid foundation, crush strength, a underground water level were analyzed using Geo-Seoul, geo-mechanical information data system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it shows that the higher data density is, the more clear result achieved, and that accuracy of drilling lo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uild database. 3. After building soil information databas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Utilizations is needful. Development of the system, which is available to analyze three-dimensional soil information using raw data would be a good example. To enhance applic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interpreting three- dimensional modeling and Discretization of areas and giving a property to it is needed. 4. To build new database, It is necessary for testing raw data of primary drilling map. And it is very important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database through confirming input data. 5.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o-myeon, one of the research areas show that artificial reclamation has piled up irregularly at the top of that area and good shape of crack and joint can be founded in weak foundation. 6. At the conclusion, it appears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establish new database additionally and to manage them because of lack of manpower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xisting database would be a help for analyzing economic feasibility of new busines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참여권 보장을 위한 전자정보 압수수색 집행 방안에 관한 연구

        김광호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인의 일상생활은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기기들을 통해 점차 정보시스템 안으로 들어가 있다. 이런 변화들로 인해 현대인의 생각과 행위가 전자정보로 기록되어 남게 되었다. 기존의 유체물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방대하고 세세한 정보들이 전자 증거로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2011년 형사소송법 개정에서는 전자정보를 증거로서 수집하기 위한 “원칙적 선별압수, 예외적 매체압수” 압수방법이 규정되었다. 전자정보의 수집 시 기존 유체물의 압수 수색과는 달리 정보의 대량성으로 인해 혐의사실과 관련 있는 정보뿐만 아니라 그와는 전혀 무관한 정보들이 대량으로 압수될 우려가 있고 피압수자의 사생활 침해를 유발할 수가 있다. 전자정보의 압수·수색 과정에서 범죄와 무관한 막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사법통제가 요구되고 있다. 형사소송법 제106조에서 관련성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지만 요구되는 사법적 통제가 충분하지 못하고, 전자정보의 구체적인 증거 수집절차도 충분하지 못하다. 지속적으로 전자정보의 증거 수집 절차 등에 대한 입법적 공백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하여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입법이 시급히 필요하다. 현재 전자정보의 압수·수색 절차에 대한 입법의 미비는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입법공백이 일부분 채워지고 있다. 대법원 판례는 전자정보의 ‘압수’ 개념을 기존 압수물과 다르게 ‘저장매체를 반출하여 혐의사실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 복사 출력할 때’까지의 전 과정으로 보고 있고, 압수의 전 과정에 지속적인 피압수자의 참여권 보장을 적법요건으로 제시하여 이를 준수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사기관 사무실에서 저장매체의 전자정보 탐색 과정에서 피압수자의 참여권 미보장, 혐의사실관련 구분 없는 재복제, 혐의사실과 무관한 정보 출력 등을 중대한 위법처분으로 판단하고 영장에 기한 압수·수색 전체를 취소하는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이 같은 대법원의 전자정보 압수·수색에 대한 적법요건을 실무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해석하였을 경우 수사기관의 전자 증거수집을 매우 어렵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있어 실체적 진실 규명을 통한 형사 사법의 정의 실현을 어렵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각각의 어려움이 있는 피압수자의 권익보호와 형사 사법 정의 실현이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압수·수색 과정별로 어떠한 방식으로 참여권을 보장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사기관이 피압수자가 배제된 상태에서 저장매체 내 전자정보에 대한 열람 및 복제나 출력 등을 방지하는 위한 방안으로 저장매체 내 전자정보에 대한 사용 이력 관리 체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정보의특성, 전자정보의 압수·수색 방식, 전자정보의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살펴보고 압수수색 절차에서의 참여권 범위, 참여권 보장 관련 대법원 주요판례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한 궁극적으로는 전자정보의 압수·수색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법규가 형성되는 것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비정형 건축 외장공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Lessons Learned에 관한 연구

        안지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 산업에서 증가 추세에 있는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공사에 대한 효율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정형 건축물은 Prametric Modeling이라 불리는 BIM 모델링 기법의 발달에 의해 실제 구축이 가능한 수치적 해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설계사례가 증가하게 되었고, 한 도시 혹은 국가의 랜드마크로써 건축물이 가지고 오는 사회·문화·경제적 파급효과로 인해 세계적으로 많은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가 추진 중에 있다. 비정형 건축물의 엄청난 파급효과를 대표하는 사례가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이다. 빌바오 시(市)는 구겐하임 미술관을 통해 7백만 명의 관광객 유치, 4천명의 고용효과 등을 창출하면서 ‘빌바오 효과’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엄청난 경제적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이러한 파급효과에 반해 아직까지 비정형 건축물을 설계자의 의도대로 정교하게 시공하는 기술력이 부족하고, 공사비나 공기 등 많은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MIT Stata Center(2004)의 경우, 시공결함으로 막대한 추가 공사비가 투입되었고, 월트 디즈니 콘서트홀(2003)은 완공까지 투입된 공사비가 초기 공사비보다 250% 증가하였다. 이미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어느 정도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국외보다 국내의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 현실은 더욱 열악하다. 국내의 비정형 건축은 이제 막 시작단계에 불과하여 실제 구축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고, 엔지니어링 기술의 대다수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 프로세스나 시공법에 대한 자료조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건축물의 전체 형태를 이루고 구조 부재의 위치를 결정짓는 외장공사에 대해 Case Study를 수행하여 효율성 저해 요인과 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 수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비정형 건축물의 개념 및 선행연구 분석, 건설 산업에서의 효율성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예비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비정형 건축 외장 패널의 제작방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3단계로 정리하였다. 2) 국외의 비정형 건축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 사례의 Case Study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볼 사항과 효율성을 판단할 지표를 정의하였다. 3) 국내에서 진행 중인 비정형 프로젝트 3곳과 비정형 외장패널의 대표유형 4가지를 적용한 Mock-Up 제작 사례에 대한 Case Study를 실시하여 비정형 건축 외장공사의 효율성 저해 요인을 도출하였다. 4) Case Study 결과와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 관련 전문가 WorkShop을 통해 효율성 제고 방안 4가지를 제시하였다. 국외 비정형 건축 사례를 통해 정의된 효율성 판단 지표는 기술적 지표, 제도적 지표, 사회/문화적 지표, 환경적 지표의 4가지로 구분되었다. 이에 따라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와 관련된 전문가 14인과의 개별 면담, 집단 워크샵을 실시하여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의 외장공사에서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효율성 저해 요인은 1) 생산자가 배재된 설계 프로세스, 2) 공사비 예측의 불확실성, 3) 설계-생산 간 데이터의 단절, 4) 설계·시공 기술의 지식 공유 기피의 4가지로 대표할 수 있었다. 도출된 효율성 저해요인에 대하여 제시한 제고 방안은 아래와 같다. 1) BIM 기반의 협업체계 구축 : BIM이 필수적인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에 맞는 별도의 협업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IPD(Integrated Project Delivery)와 같이 초기 설계단계부터 프로젝트 전 참여자가 참여할 수 있는 협업체계를 제시하였다. 2) BIM 데이터의 효율적 활용방안의 모색 : 3D로 작성되는 초기 설계 데이터가 2D화 되면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비정형의 기하학적 규칙(좌표값 등)을 설계도서에 기록하고 시공사가 이를 해석하여 모델을 재구축하는 방식의 Geometry Rule-based Control Process를 제안하였다. 3) 제작방법 정립을 통한 견적기준의 마련 :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공사비 산정방법은 비정형 건축의 특성을 반영하기 못하기 때문에 제작방법 혹은 비정형 유형별로 공사비 견적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4) 기술지식 축적 및 전문 인력의 관리 : 기술력 우위 선점이나 낮은 기술력의 공개를 기피하는 비정형 관련 전문업체의 문화를 타파하기 위해 국가적 PMIS 도입과 인센티브제도의 도입 등을 제안하여 비정형 건축 관련한 기술 축적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 비정형 건축 외장공사에 존재하는 효율성 저해요인을 파악하였고, 그에 따른 효율성 제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에서 제시한 효율성 제고 방안들이 완벽하게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에 적합한 형태가 되기까지 많은 개선과 발전이 요구되나, 국내 비정형 건축 공사가 걸음마 단계인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트 초기 계획단계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비정형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보편적 데이터로써 This study is proposed ways to improve efficiency of Free-Form facade construction that increasing tren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ree-Form building design is increased by development of prametric Modeling(one of BIM techniques) that can be numerical analysis. And many Free-Form architecture project is in progress around the world because of its social·cultural·economical ripple effect. The typical example of great ripple effect is 'guggenheim museum' in Bilbao, Spain. They are successful that attract 7 million tourist and create 4,000 employment. So many people called this success "Bilbao Effect". But construction technique(as designed) is insufficient and many problems like cost, duration to build the Free-Form buildings. MIT Stata Center(2004) have to pay many additional cost to fix the defects of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Walt disney concert hall(2003) was increased 250% than early stage cost estimation. Domestic situation is worse than overseas that they have solution through the trial and error in Free-Form project. Domestic Free-Form architecture is in infancy and there is no complete case. And many of Free-Form project depend on overseas engineering technique. In this Study, draw obstacle factors and provide ways to improve efficiency through case study about Free-Form Facade construction. Detailed research oder is below. 1) Free-Form building's fundamental concept & precedent study, and precedent study analysis on the efficienc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preliminary considerations. And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methode of Free-Form panel. 2) Define efficiency judgment index & check point in domestic case study through overseas case analysis. 3) Draw the obstacle factors through the case study that are 3 in progress cases and 1 Mock-Up case. 4) Provide ways to improve efficiency of Free-Form building through experts workshop and case study's results. Defined efficiency judgment index are technical index, institutional index, social/curtural index, and environmental index. There are many factors by detailed efficiency index. Based on this index and factors, perform the experts workshop and talked with 14 people, and then draw the obstacle factors of Free-Form building's Facade. The obstacle factors are 1) Design process without manufacturer, 2) Uncertainty to predict construction cost, 3) Data severance between design-manufacturing, 4) Avoid knowledge sharing. Provided ways to improve efficiency according to drew obstacle factors. 1) Build the cooperation system based on BIM : BIM is essential to build Free-Form building, so we provide cooperation system like IPD that can be cooperated all participants in project on early stage. 2) Seek the efficient utilization methode with BIM data : Provide Geometry Rule-based Control Process that record irregular geometry rules(including coordinates) on the design books and contractors interpret it and reconstruct the model. 3) Prepare the estimation standard by Setting up the manufacturing method : Domestic methods of estimating can't reflect the Free-Form characteristic. So we provide estimation standard by manufacturing method or Free-Form types. 4) Technical knowledge accumulation and experts management : Introduce national PMIS and incentive program to accumulate technical knowledge on the Free-Form buildings. Through this study, grasp the obstacle factors existing in the Free-Form facade construction. And set up basic data for using Free-Form building project by providing ways to improve efficiency. They need to upgrade completely suitable for Free-Form buildings. But consider that domestic Free-Form construction situation is in the initial ste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higher usage in the early planning stage of the project. Further study is going to be performed that can be used for universal data through more case study on the Free-Form building project. And facade construction as well as whole construction of Free-Form building's study seeking ways to improve efficiency have to b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