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 실감형 콘텐츠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박유나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 문 요 약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실감형 콘텐츠란,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인간의 오감을 극대화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콘텐츠를 말한다. 그동안 우리가 경험했던 3D 영상의 이미지가 아닌 그보다 더 입체적이고 실감적이며 오감까지 느낄 수 있는 실재보다 더 실제같은 생동감까지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로써 우리의 감성과 지성을 자극시킬 것이다. 2020년 1월에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COVID-19)로 인해 문화예술계의 위기가 찾아왔다. 역사 이래 경험해 보지 못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이 아닌 비대면이란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면서 문화예술을 비대면 콘텐츠로 경험하고 체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물리적 공간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문화예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형 문화예술공간을 구축하여 4차산업과 또 다른 펜데믹에 대응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 문화예술공간의 장소적 제약을 벗어나 물리적 공간과 비물리적 공간의 상호작용으로 실감형 콘텐츠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 사례를 통해 우리의 오감을 자극하고 실제와 유사한 경험을 체험하고 시연(공연)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1차 문화기술산업 종사자 인식조사와 2차 실감콘텐츠 제작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2장은 문화예술공간과 정보통신기술의 개념 및 특성 등의 이론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문화예술계의 위기를 파악하였다. 3장은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 사례를 알아보고 우리나라 문화기술 콘텐츠 산업의 변화 동인과 제작 현황 및 개선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4장은 기존 문화예술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며, 공간 조성 기획과 실감형 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기술산업 종사자와 실감콘텐츠 제작 전문가 두 집단의 조사 결과활용도가 높은 장르별로 융복합/IT가 선정되었고, 콘텐츠 활용도 순위 중 가상·증강·혼합현실이 가장 높았으며, 콘텐츠 개발 과정에서 어려웠던 부분으로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전문인력 미비가 가장 높았다. 문화기술 산업 전망의 5점 척도 기준으로 4점 ‘좋다’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고, 문화기술 콘텐츠의 전망과 더불어 사업을 확대시킬 예정이라는 평가가 높았다. 또한 정부에 바라는 점으로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과 융복합 뉴콘텐츠 활용을 강화해야 한다는 평가가 높았다. 두 집단 모두 실감 콘텐츠의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보급화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유의하였고, 실감콘텐츠의 연구개발과 공간 마련으로 문화기술산업의 발전을 위해 체험과 시연 또는 공연이 가능한 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관련 기업의 경영난으로 심도있는 연구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주요 실감형 콘텐츠 사례를 통해 사람과 공간을 연결해 주는 실감형 문화예술공간 구축 방안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였지만, 실질적인 문화예술공간 구축과 활성화 방안으론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비롯해 보다 더 다양한 문화기술 융합콘텐츠가 활성화되길 바란다. 주제어: 실감콘텐츠, 융합, 인터렉션, 정보통신기술, 문화예술공간, 코로나19

      •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발전방안 : 한국무용 중심으로

        문지원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 中 한국무용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류 무용단 (보무 - 춤을 알리다)’, ‘정동극장 (시즌 - 궁:장녹수전)’, 국립무용단 (향연)을 비교분석하여 각 무용공연의 특징을 살피고 개선점을 찾아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발전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무용 작품들을 선정하고 분석하여 이 시대에 걸 맞는 한국무용만의 전통적인 특색이 담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사)보훈무용예술협회의‘2018 무담(舞談) - 춤 이야기 中 대통령상 수상자, 2018 당대(黨代)의 춤(이 시대의 춤)’ 기획을 통해 연관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발전방안을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통문화를 보존·전승 시켜야함은 물론 문화적 수준에 맞게 재창조하고 발굴하는 등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두 번째, 시대적인 트렌드에 맞게 단지 눈으로만 즐기는 공연이 아닌, 관객들이 체험하고, 함께 소통하는 등 적극적으로 교감할 수 있는 공연으로 다가가야 한다. 세 번째, 전통문화 콘텐츠와 다양한 문화상품과의 패키지 결합을 통하여 관객모집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네 번째, 문화콘텐츠 창작인력을 육성하여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수준 높은 작품을 기획해야 한다. 위의 결과가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 발전 방안으로 해답이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예술 발전 방안으로 문화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한층 더 공연예술이 발전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약이 따른다. 현재 국내자료 중에 전통문화 콘텐츠에 관련된 선행연구가 미비하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본 논문은 참고문헌들을 토대로 결과를 유추하고 예측하였기에 현실적으로 객관화 및 일반화 적용에는 다소 제한이 있다. 주제어 : 전통문화, 문화콘텐츠, 공연예술, 무용예술, 무용공연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ree kinds of performances in order to develop Korean dance performance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performances and found improvement points and suggested ways to develop performing art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through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o do this, we selected and analyzed Korean dance work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developed a program with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that is suitable for this era and studied the development plan. Also, I tri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performance of dance (dance of this age) performed by the Association of Veteran Performing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development plan of performing art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First, we must make efforts to preserve and transmit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to recreate and discover it in accordance with cultural level. Second, it is not a performance that is enjoyed only by eyes, but the audience must approach the performance that can actively communicate such as experiencing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ruit audiences by combin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with various cultural products. Fourth, cultural contents creators should be fostered and high quality works us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should be planned. The above results can not be a solution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as a way of developing performing arts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hopes that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will be further developed. The above results can not be a solution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as a way of developing performing arts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hopes that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will be further develop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Currently, there are few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mong domestic materials,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Since this paper deduces and predicts the results based on the reference documents,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application of objectification and generalization in practice. Key words : Traditional culture, Culture contents, Performing arts, Dancing arts, Dance performance

      • 예술인 복지정책을 통한 원로예술인들의 지원정책에 대한 연구

        윤송미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 문 요 약 예술인 복지정책을 통한 원로예술인들의 지원정책에 대한 연구 문화가 있는 삶은 인간 내면의 생활을 풍요롭게 만든다. 우리의 예술인들의 삶이 질적으로 향상되고 그들의 지위가 존중 될 수 있을 때 문화 예술인들은 질적 가치가 있는 창작 활동을 할 수가 있다. 예술인의 사회적 권리가 직접적으로 1970년대 언급되어, 예술인 지위에 대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검토, 현재 국내의 문화예술 방향에 염두를 두고 있으며, 예술 소외 계층 을 지원 하여 국민들의 질이 높은 문화예술을 문화예수를 향유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지원조건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예술인들의 권리가 인정되고 예술창작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술인의 사회적 가치와 역할에 새롭게 의미를 부여 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술 활동은 인간들이 살아가면서 공유할 수 있는 가치가 있기에 최소한의 가치는 인정되어야 한다. 오늘날 예술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해진 장르와 장르구분의 파괴 및 장르간의 융 복합으로 인해 여러 형태로 구분 되어 진다 . 예술의 개념과 범주가 그만큼 다양해, 예술인을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예술 복지정책에 해당이 되는 예술인 에게 법적, 제도적 기준의 특성에 따라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를 보장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 100세 시대에 접어든 이 시대에 그들의 열정과 예술혼을 인정하고, 존중하여 다 시 한번 그들이 춤을 사랑하고, 무대를 사랑할 때, 그들의 예술세계가 빛날 수 있다. 인생의 황혼길 에 접어든 원로예술인들과, 모든예술인 들의 복지정책은 부족함이 없어야한다. 나라가 발전하고 국민들의 위상이 높아진 이때에, 우리의 것을 외면하고, 예술인들의 업적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우리의 정신도 버리는 것이라 생각한다. 예술인의 복지 정책과 원로 예술인들의 복지 정책을 돌아보면서, 어떤 한곳에만 치우치지 않고 고영하게 지원이 분배 되어 모든 예술인들의 삶의 질은 높아진다. 예술인들의 복지정책과 원로 예술인들의 복지 정책을 돌아보면서 예술인의 복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인들의 질적인 예술 활동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둘째, 우리의 전통예술이 계승 발전할 수 있도록, 초등교육부터 시작할수 있도록 하여,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가 요구된다. 셋째, 중요무형문화제 보유자들만 대우받고, 그렇치못한 음지의 원로 예술인은 외면당하는 일이 없도록, 국가의 지속적인 관심과 해택이 고루 분배 되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길 바란다. 넷째, 우리의 모등 예술은 소중하다. 그 업적을 길이 보존하고 더욱더 가치 있게 계승시켜 우리의 것, 우리의 예술인들이 더욱 빛났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예술 복지를 위해 예술인들의 가치가 제 조명되고, 우리의 전통 문화와 예술인들의 존귀함을 후대에까지 길이 추앙 받기를 바란다. 주제어 : 예술복지, 예술인과 원로 예술인, 전통문화 Life with culture enriches inner life of mankind. When the quality of artists' lives is improved and their status can be respected, people in cultural and artistic career can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of qualitative value. The social rights of artists have been directly referred to in the 1970s, and the issue of the status of artists has been examined in detail, and currently attention is directed to domestic culture and arts. Although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of arts is undergoing for citizens to be able to enjoy the high quality of culture and art, the support is still insufficient. To appreciate the rights of artists and the value of artistic creation, it is no wonder to give new meaning to the social values ​​and roles of artists. The least value of artistic activities should be acknowledged because there is a sharable value for human being. Today, arts are divided into various forms due to the genre more varied than before, and the destruction and convergence of genres. The concept and category of arts are so diverse that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artist as a word. Therefore, it is very significant to guarantee the social status of artis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egal and institutional standards for the artists who fall under the artistic welfare policy. In so called the age of 100 era, their artistic world can be distinguished when their passion and artistic soul are acknowledged and they love dancing and stage. There should be no shortage of welfare policies of senior artists and all artists who are at the dusk of life. At this time when the nation has developed and the status of the people has risen, it might be to abandon our mind not to acknowledge the achievements of the artists. Looking at the welfare policies of artists and the welfare policies of elderly artists, the quality of life of all artists is heightened, as the support is distributed in a pragmatic manner without being shifted to any one place. Looking back at the welfare policies of artists and senior artists, the conclusions of the welfare of artist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system should be continued for the qualitative artistic activities of artists. Second, education should begin on the level of elementary education so that traditional arts could be inherited and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changed. Third, it should be avoided that only the holder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are treated, while the underprivileged senior artists are ignored. Therefore the continuing interest and support of the nation should not be inclined, but distributed equally. Fourth, all kinds of arts are valuable. The achievements should be preserved and inherited valuably for a long time to stand out domestic artists. Lastly, the value of artists should be illuminated for welfare of artists, and the dign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ists should be venerated to the later generations. Key words: arts welfare, artists and senior artists, traditional culture

      • 실황 공연에서 다수의 스피커 시스템을 이용한 이머시브 사운드의 구현 연구 - 음원의 위치 구현을 중심으로 -

        김효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실황 공연 환경에서 다수의 스피커 시스템을 이용한 이머시브 사운드의 재생 시 음원의 위치 구현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머시브 사운드 기술이 적용된 사운드 드라마 ⟪알퐁소 도데의 별⟫의 배경 사운드 디자인을 제작하면서 이머시브 사운드 구현에 관한 연구하였다. 특히 본 공연은 시각장애인을 관객으로 지정하였다. 그러므로 관객이 공연을 충분히 즐기고 몰입할 수 있도록 음원의 배치 디자인을 이머시브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헤드폰을 이용한 이머시브 사운드 구현과 개개인의 청취 환경에 대한 논의는 제외하고 대형 공연장에서 실황 공연 시 다수의 스피커 시스템을 이용한 이머시브 사운드 구현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기존 대극장 공연장에 다수의 스피커를 추가로 설치하여 이머시브 사운드 시스템을 구성하고 관객에게 효과적인 이머시브 사운드 전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황 공연을 하는 공연장에 이머시브 사운드 시스템을 설치하여 기존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보다 더 입체적인 사운드를 전달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실황 공연에서 이머시브 사운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선정과 설치, 사운드 제작 과정을 연구하여 관객에게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음향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3D 임펄스 측정을 통해 음원의 위치에 따른 주파수별 방향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이머시브 사운드 제작을 과정을 연구하여 3D 사운드 믹싱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머시브 사운드 기술을 적용한 공연 제작 모델을 소개 함으로써 공연의 경험재로서의 가치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형 공연장의 이머시브 사운드 구현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이머시브 사운드 시스템의 설계 및 설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져서 관객에게 공간감과 몰입감을 높인 음향 환경을 제공하는 전용 공연장이 구축되길 바란다. 또한, 이머시브 사운드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공연 콘텐츠가 제작되기를 기대한다.

      • 민간예술단체의 자생력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 :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홍자연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As a result of the negative changes in the environments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roughout the world, the entire arts and culture sector suffered from a contraction and financial difficulty. Cultural arts organizations, which are in such a harsh environment,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find various ways of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contents and funding for the continued artistic activities in the future. Private arts organizations are in a position to secure self‐viability through financing themselves and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limited public cultural budgets an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u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securing self‐viability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private arts organizations due to the contraction of culture and arts industry due to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nd limited public funds. To do this, this study searched for the type of corporation, how it operates, and how to create various sources of funds for private arts organizations. This study also analyzed aspects of creative performances contents of practical private arts organizations and operation methods, and cases of private arts organizations that succeeded in creating financial funds. This study was to prove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project of "Bomu (報舞) – Let know dance", a 15th anniversary performance of private dance arts organization, Ryu Dance Troupe. Therefor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securing the self‐viability of private arts organizations. The first is to grow into a culture and art enterprise by entering into various overseas markets and exploring new markets. Second, it is to secure the self‐viability of cultural arts organizations by using social funds such as crowd funding. Third, it is a change in the form of a corporation, such as a social enterprise or a cooperative, which is a direction of the social economy due to the nature of culture and art in which the public domain is important. Fourth, there is a way to create a network through cultural sympathy in communities and to develop potential audience by meeting through cultural arts education. The above results cannot be the answer to a measure of securing the self‐viability for private arts organizations. However, it is hopeful that this performance and research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prepare management strategies for securing the self‐viability of private arts organizations and to prepare for the future in a developmental direction. keyword: private arts organizations, private dance organization, self‐viability, securing measure, public funds 국 문 요 약 민간예술단체의 자생력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 -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 대내외적인 정치, 경제, 사회 전반으로 부정적 환경변화에 따라 문화예술계 전체의 위축과 재원확보의 어려움이 야기되었다. 이처럼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는 문화예술단체는 앞으로의 지속적인 예술활동을 위해 다양한 콘텐츠개발과 운영방법의 모색, 재원조성에 대한 필수성이 높아지고 있다. 민간예술단체는 한정된 공공의 문화예산과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발맞춰 스스로 재원조성의 방법과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통하여 자생력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내외적 정치·경제·사회의 변화에 따른 문화예술계의 위축, 한정된 공공재원으로 인한 민간예술단체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자생력 확보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민간예술단체의 법인유형과 운영방식, 단체의 다양한 재원조성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실질적인 민간예술단체의 창의적인 공연콘텐츠 측면과 운영방법, 재원조성에 성공한 민간예술단체의 사례를 분석했다. 민간무용예술단체인 류 무용단의 15주년 기념공연인 ‘보무(報舞) - 춤을 알리다.’를 기획을 통해 연관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민간예술단체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다양한 해외시장진출 및 판로 개척을 통한 문화예술기업으로의 성장이다. 두 번째, 크라우드펀딩과 같은 소셜펀드를 활용하여 문화예술단체의 자생력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공공영역이 중시되는 문화예술의 특성상, 사회적 경제의 한 방향인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과 같은 법인의 형태로의 변경이다. 네 번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만남으로 지역사회에서 문화적 교감을 통한 네트워크를 형성 및 잠재된 관객을 개발하는 방법이 있다. 위의 결과가 민간예술단체의 자생력 확보방안으로 예술단체의 자립을 위한 모든 해답이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번 공연과 연구를 통해 민간 예술단체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경영 전략을 마련하고, 발전적 방향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 주제어 : 민간예술단체, 민간무용단체, 자생력, 확보방안, 공공재원

      • 한·중 공연 포스터를 통해 본 이미지 홍보 비교 연구

        서명요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this study, the Korean performance market is already very mature and normative, and we want to study posters that have visual effects on excellent works from all over the world, as well as continuously learning from Korea. Koreans are willing to pay a certain fee and reserve tickets for various performing arts. Watching various performances has also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entertainment life of the Korean public. Therefore, when performances are held in Korea, many spectators gather, and they want to see performances on various themes in stages or on a daily basis. This allowed various cultural performances to have a great development space and trend in Korea. Also, there is a virtuous cycle as more copyright introduction repertoires with high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and performing arts with nat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constantly being staged in the Korean performance market. In other words, the performance culture is showing a stable and passionate development trend due to high expectations for the performance culture of the Korean public. On the other hand, China's pursuit of spiritual culture began to be expressed in different stages as people's economic living standards slowly rose after reform and opening. At that time, the level of education was incomplete, so people's cultural and knowledge ratings would not have been constant. Therefore, even if many works in the performance market were optimistic, the level of artistic significance was not very high. While many famous and artistic works outside the country were highly capitalized, the public's acceptance was low, so there were performances that did not resonate well in the Chinese market in the 1990s and could not withstand. As a result, performances in inland China mainly consisted of China's most traditional or premiere performances. However, great works of art abroad gradually lost space to develop in China, leading to a vicious circle. Previously, there were many small-capital production performances because there were no solid supporters. Small-capital production could not add influence to the work through the recruitment of famous actors, but it also did not have enough capital, causing numerous problems in producing works and marketing actors. However, now, especially in recent 20 years, performances that have been welcomed in China have already moved away from traditional or premiere performances, and idol celebrities' concerts are belatedly drawing keen attention from the audience. Overseas premium repertoires are also gradually landing in the Chinese performance market, increasing the number of performing arts lovers. With the opening of the Chinese cultural market and the growing public interest in art, some repertoires are commercially supported, and the government is also helping the quality of the cultural market by implementing policies for nurturing the cultural and artistic market. Comparing the current domestic performance market situ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in China began belatedly, but many things were learned by referring to other countries' cases in the performance culture market. Among them are neighboring friendly countries, South Korea. As a result, both countries are currently showing good progress.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poster design have been varied and varied. This reflects the unique social life and mindset of the Korean people. It also shows the process and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aesthetic culture of a nation. It also created a visually beautiful and brilliant ethnic culture and form so that the public could feel the lifestyle of thought and culture in a limited two-dimensional plane. Good posters have the ability to combine shapes, colors, and as few characters as possible, and then convey key information. Too many fonts or pictures are used, which distracts the eye and only causes only visual confusion. "By spreading advertisements, poster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creating a common human culture, promoting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different cultures, and strengthening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around the world."The interaction between the image in the poster 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does not represent one function as one picture. Its existence and promotional role, unlike simple and intuitive paintings, is to consciously build and organize a good organization of image and cultural implications in a particular historical environment to create highly readable expressions. A good performance promotional poster should not be just a performance advertisement, but a work of art that requires a skilled artistic sense to exist even if it is independent.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공연시장은 이미 매우 성숙하고 규범적인 상태로써 세계 각국의 우수한 작품을 흔히 내한 공연함과 동시에 끊임없이 학습하고 나아가 민족문화 특색을 지닌 자국의 공연작품 또한 보유하고 있으므로 그에 시각적인 영향을 주는 포스터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에 한국인들은 기꺼이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각종 공연예술의 표를 예매한다. 다양한 공연 관람 또한 일찍이 한국 대중의 오락 생활 중 필수불가결한 부분이 되었다. 따라서 한국 현지에서 공연이 열리면 많은 관중이 모이고 그들은 단계적이거나 일상적으로 다양한 주제의 공연작품을 관람하고자 한다. 이는 각종 문화 공연들로 하여금 한국 내에서 훌륭한 발전공간과 추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현재는 높은 문화예술 가치를 지닌 더 많은 판권 도입 레퍼토리와 자국의 민족문화 특색을 지닌 공연 예술작품이 한국 공연시장에서 끊임없이 무대 위로 올려지고 있고 한국 본토의 공연예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선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시 말해 한국 대중의 공연문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 공연문화가 안정적이고 열정적인 발전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사람들의 경제생활 수준이 서서히 상승함에 따라 정신문화에 대한 추구가 각기 다른 단계로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교육수준이 불완전하여 사람들의 문화 수준과 지식 등급이 일정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공연시장에서 많은 작품이 흥행에 낙관적이라 하더라도 예술적 함의 수준은 그다지 높지 못하였다. 수많은 국외의 유명하고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품들은 고자본인 반면 국민들의 수용 정도가 낮아 90년대 중국 시장 내에서 좋은 반향을 얻지 못했고 버티지 못하는 공연장들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중국 내륙에서의 공연은 중국의 가장 전통적인 공연이나 초연 공연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국외의 훌륭한 예술작품은 점차 중국 내에서 발전할만한 공간을 잃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었다. 이전에는 견고한 지지층이 없어 소자본 제작 공연이 많았다. 소자본 제작은 유명 배우 섭외를 통해 작품에 영향력을 더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본 또한 충분하지 않아 작품제작과 배우 마케팅 등을 진행함에 있어 수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현재, 특히 최근 20년간 중국 내에서 환영받는 공연은 이미 전통적인 공연이나 초연 공연에서 벗어나 아이돌 연예인의 콘서트가 뒤늦게 관중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국외 프리미엄 레퍼토리 또한 점차 중국 공연시장에 상륙하고 있어 공연예술 애호가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중국 문화시장이 개방되고 예술에 대한 대중의 눈이 점차 높아져 일부 레퍼토리는 상업적 지지를 받기도 하고, 정부 또한 문화예술시장의 양성 발전을 위한 정책을 실시해 문화시장의 양질의 발전을 돕고 있다. 현재 한·중 양국의 국내 공연시장 상황을 비교해 보면 중국 내륙의 공연예술 발전가도는 뒤늦게 시작되었지만, 공연문화 시장의 발전 방식에서는 여타 국가의 사례를 참고해 많은 내용을 학습하였다. 그 중 이웃인 우호국가 한국이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양국 모두 현재 양호한 발전추세를 보이고 있다. 포스터 디자인에 담긴 문화적 함의는 매우 다양하고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는 한 민족 특유의 사회생활과 사고방식을 반영함을 보여준다. 또한, 한 민족의 미적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체계적인 수립을 보여준다. 또한, 대중이 제한적인 2차원 평면에서 사상 문화의 생활상을 느낄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아름답고 찬란한 민족 문화와 형태를 만들어냈다. 좋은 포스터는 도형과 색채, 그리고 최대한 적은 문자를 주로 활용하여 결합한 후 주요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너무 많은 글꼴이나 그림이 사용되면 시선이 어지럽히고 시각적 혼란만 초래한다. "광고의 전파로써 벽보는 인류 공통의 문화를 창출하고 서로 다른 문화의 소통과 교류를 촉진하며 세계 각국의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포스터 속 이미지와 문화적 함의 간의 상호작용은 하나의 기능을 하나의 그림으로서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이것의 존재와 홍보 역할은 단순하고 직관적인 그림과는 달리 특정한 역사적 환경 속에서 의식적으로 이미지와 문화 함의의 좋은 조직을 건설하고 구성하여 가독성이 강한 표현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좋은 공연 홍보 포스터는 단순한 공연 광고가 아니라 독립시켜도 숙련된 예술적 감각이 존재해야 하는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치어리딩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종훈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나라의 치어리딩은 대학 응원단을 중심으로 한국형 액션 치어리딩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외국형 치어리딩이 우리나라에 유입되면서 한국 치어리딩의 형태 및 경험 연령대가 다양해 졌다. 치어리딩의 저변확대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치어리딩은 양적으로 급성장 하였지만, 그에 비하여 질적 수준은 양적 성장에 비하여 미비한 실정이다. 치어리딩의 양적 성장에 발맞추어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 올바른 교육이 진행되어야만 한다. 학교교육프로그램으로서 치어리딩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결과물에 중점을 둔 종목별 심화프로그램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치어리딩은 음악과 무용의 예술적 기반 아래 기술적 요소인 스포츠가 융합되어 있는 종합공연 문화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통합문화예술교육 방법론으로 치어리딩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하여 학교교육프로그램으로 적합한 치어리딩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의 치어리딩 프로그램 개발은 치어리딩의 종목별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 치어리딩의 최근동향을 살펴본 후 치어리딩 프로그램에 대한 SWOT분석을 통하여 목표 및 전략을 설정하였다. 예술분야 개별 프로그램 및 대상별 교육프로그램의 단계별 학습을 기본으로, 순수 치어리딩의 체험 및 기초학습을 중점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새로이 제시한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의 프로그램은 복합적 분과와의 융합을 통한 치어리딩의 흥미를 유발하고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치어리딩 프로그램이다. 특히, 제시한 교육프로그램 모델은 치어리딩의 내·외부적인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더불어 타 프로그램의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는 물론 통합문화예술교육의 최종목표인 전인적 교육실현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프로그램 개발은 급성장한 한국 치어리딩의 질적 상승에 가장 필요한 치어리딩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제시로서 현재 공교육에서 실행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의 연관관계를 가진다. 한국의 치어리딩은 미국의 경우처럼 무한한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본 모델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어린이에게는 흥미를 증대시키고, 청소년에게는 부정적 잉여에너지 발산을 유도하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학습자에게 치어리딩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켜 엘리트 선수를 육성하고, 올바른 인성정립과 바른 사회인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초를 다지게 할 수 있다. 통합 치어리딩 프로그램으로 치어리딩의 질적 향상은 물론 한국 치어리딩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치어리딩 교육프로그램의 제시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후속연구도 꾸준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In Korea, the focus of cheerleading has primarily been centered on the university cheering squad. However, the form of Korean cheerleading and the participating age groups became varied as foreign cheerleading has flowed into Korea since the middle of 2000s. In consequence, cheerleading has formed the quantitative growth. Though, the quality level of cheerleading is still poor. The cheerleading program as a school education program falls into the same category as the majority of intensive athletic programs focused on performance. But cheerleading is a composite performance culture program. And it blends a technical sport element and artistic music and dance. For the reason, this study is suggested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process in culture and arts. It goes with development and research. Also, it is fitted in school education program. The development of cheerleading program toward the integrated culture & arts education made it analyse the cheerleading cases by sport types after examining recent trend of Korean cheerleading, and establish the objective and strategy through SWOT analysis of cheerleading program. Through step-by-step tiered education in individualized programs in the field of the arts, as well as targeted programs, this study will propose a curriculum centered on the experience of pure cheerleading and its foundational skills. The newly suggested integrated culture & arts education is an integrated cheerleading program which is able to induce interest in cheerleading through the convergence with the complex division as well as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model can expect internal·external positive effect of cheerleading.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reach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as a final objective of integrated culture & arts education as well as increase the capacity for learning across various disciplines. The development of program by an integrated culture & arts education relates with the comprehensive education executed in the present public education by the suggestion of education program model of cheerleading is needed most in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fast-growing Korean cheerleading. Korean cheerleading expects the eternal growth such as United States. This model program will be effective in increasing children's interest in the sport and will provide an outlet for the youths’ negative surplus energy. Furthermore, an integrated cheerleading program will be helpful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eerleading.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elements of education as they can be applied to cheerleading be studied consistently in the future.

      • 기업의 문화예술 교육기부 컨설팅 적용 연구 :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성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기업의 교육 기부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창의적인 탐구능력과 서로 배려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향후 문화예술분야의 기부가 교육형태의 기부로 활성화 되도록 기업에게 그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 시스템을 분석하여 각 기업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컨설팅 하였다. 기존의 기부형태에 교육기부가 없는 기업에게는 기존의 진행하던 프로그램을 교과목이 융합된 교육기부 프로그램으로 컨설팅 하였고, 기존의 기부형태에 교육기부가 있는 기업에게는 기존의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교과목과 융합하여 기존 교육의 단점을 완화하고 교육 수준의 질을 높였다. SK 에너지, 제주유나이티드 FC, 대한축구협회 기업은 스포츠와 연계된 프로그램 컨설팅 요청하여 스포츠와 교과목이 융합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고, 딜로이트 기업은 기존의 경제 프로그램을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컨설팅 요청하여 음악비지니스와 관련된 활동과 융합하여 기존 교육의 단점을 완화하고 교육 수준의 질을 높였다. 설계를 바탕으로 교사용 자료, 활동 세부내용, 파워포인트, 활동지, 참고 이론 등을 제작하였다. 기업의 교육 적용에서는 이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이 교육할 수 있도록 수혜기관과 매칭 하여 시범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기업의 만족도를 설문지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수혜기관의 교육 적용에서는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반응과 활동을 기록하고, 수업 이후 융합교육의 효율성 및 교육의 질을 바탕으로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기업들은 기부형태에 있어서 다양성을 발굴해 나가는 것에 앞장서야 하며 국가도 기업과 수혜기관에 많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기업은 사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교육기부를 활발히 하여 국가와 기업의 미래인 아이들의 교육을 지원하고, 교과목과 융합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와 더 가까이 소통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을 쌓고, 미래지향적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갈 수 있다. Education services of corporates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and help to cultivate creative research skills and thoughtful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form of cultural arts education. This study develops and consults programs customized to each corporates by analyzing their CSR systems. To corporates that originally did not provide education service, programs combining their current CSR with curricular subjects were suggested. To corporates that already provided education service, programs combining their current education CSR with curricular subjects were suggested in order to minimize the weaknesses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SK Energy, Jeju United FC and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have requested sports related education program therefore w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combining sports and curricular subjects. Deloitte has requested to develop current economy education program into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refore it was combined with music business related activities in order to reduce the weak point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Class material such as instructor's manual, activities details, Powerpoint slides, activity sheets, reference theories and so on were designed with plans. In application of corporates, corporates were paired with beneficiary institutions and conducted test sessions utilizing these materials and level of satisfaction of corporates was surveyed afterwards. In application of beneficiary institutions, student behavior and reactions were recorded during sess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were collected with surveys based on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education. In conclusion, corporates need to step forward in developing diversity in donating education and governments need to provide national support to corporates and beneficiary institutions. In order to gain trust from society, corporates should actively provide education service and continuously supporteducation of children who are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corporates. They should also develop convergence program and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gain trust to build social capital and construct a future-oriented system.

      • 스트릿댄스 영역의 확장을 위한 공연예술 측면에서의 활성화방안

        백지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내 스트릿댄스는 1980년대 미국에서 유입되어 소규모 집단을 중심으로 비주류문화로 자리 잡아가다가 1990년대 후반부터 대중매체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노출되기 시작했다. 이후 국내 스트릿 댄서들의 세계대회 우승 기록 등이 쌓이면서 점차 하위문화에서 주류 대중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국내의 스트릿댄스가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문화산업영역으로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다른 장르와의 융·복합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릿댄스의 저변확대와 외형적, 사회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스트릿댄스가 독립적 공연예술 장르로서의 가치 확립과 내부적 시스템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릿댄스가 국내에 도입 된 이후 한국의 문화적 상황 속에서 스트릿댄스가 어떻게 형성, 발전해 왔는지 그 과정의 입체적 분석을 통하여 스트릿댄스의 독립 공연 장르로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문화산업으로의 스트릿댄스에 대한 1단계 SWOT분석을 통하여 독립 공연 장르로 발전하기 위한 목표 및 전략방안을 설정하였다. 2단계 중심전략을 통해 국내 스트릿댄스 공연예술로의 발전방안과 전문 인력 양성 및 저변 강화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3단계 통합분석으로 스트릿댄스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스트릿댄스 공연예술 측면의 내·외부적 발전방안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적 요인으로 전문 인력 양성과 저변 강화를 통한 발전방안이 필요하다. 다양한 인재양성 교육을 통해 예술 관련 직업군의 확대가 필요하며, 스트릿댄스 공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성된 전문 인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또한 예술분야 실연자의 복지교육과 지원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활성화를 위한 외부적 요인으로 독립적 예술장르로 발전하기 위한 예술적 측면의 강화방안이 필요하다. 스트릿댄스의 독자적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공연상품을 제작하고 한류 공연상품으로 활용되어야하며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종합예술 및 융·복합 공연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 활성화의 기회 확대를 위해 스트릿댄스 행사 등을 소도시로 분산하여 지역 간의 교류를 높이고 관광상품 등으로 개발해야 한다. 위와 같은 스트릿댄스의 내·외부적인 연구는 스트릿댄스 문화의 올바른 안착을 위한 기반으로 사회적 자립도 상승과 문화적 가치 확립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급격히 성장한 국내 스트릿댄스의 질적 향상은 물론 한국 스트릿댄스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스트릿댄스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국내 스트릿댄스의 확장과 발전을 기대한다. The street dance in Korea was first introduced from the US in the 1980's, established itself as a non-mainstream culture among small groups then started getting public exposure through the media in the late 1990's. Later, this subculture became one of main-stream cultures gradually as local street dancers started to gain world competition records. For this reason, the local street dance became recognized for its cultural and economical value that allowed for active promotion in the culture industrial field, and even fusion and mix of street dance with other genres are being produced. Despite street dance's ground expansion and growth in soci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street dance faces difficulties in standing alone as a performing art that establishes its own values and builds its own internal system. This study includes a multi-dimensional analysis based on how street dance came to form and develop after its establishment in the Korean cultural backgrou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street dance of becoming an independent performance genre. The first step SWOT analysis of street dance as a culture industry has been carried out to set a strategic plan that can develop street dance as an independent genre. The second step core strategy suggests the development plan for street dance as a performing art and the need for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reinforcement base. Lastly, the third step provides an integrated analysis to suggest an activation plan for the overall development strategy of street dance. The result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development plan for street dance performing art are as follows. Firstly, a development plan for creat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strengthening its base is necessary as an internal factor. Expanding on art related occupations is necessary through various human resource education, and traine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need to be actively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dance performances. In addition, welfare education and business support needs to be carried out for the art field performers. Secondly, strengthening the plan for the street performing art to develop as an independent art genre is necessary as an external factor to activate this plan. Performance material can be produced from developing independent contents of street dance to be utilized as Korean performance product, and street dance needs to expand into combination arts of fusion and mix performa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modern technology. Also, it is important to distribute the street dance events and such in towns for the increase in geographical interaction and develop it as a tourist product in order to expand the chances in regional activation. The internal and external study of street dance as mentioned above allows the increase of social independence in its suitable position and the positive effect of establishing its cultural value, which will not only enhance the quality of street dance from rapid growth, but also help the development of street dance in Korea. The study of street dance in Korea needs to be consistently carried out in the future for the hopeful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street dance in Korea.

      • 향교의 역사문화적공간 특성에 기반한 문화유산 활용 방안 :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을 중심으로

        김희재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Since 2008, the Cultural assets Administration has started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and public subscription as well to provide various standards and direction in utilization of the cultural assets. Under the influence of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which has run over 10 years continuously, the cultural assets which used to be considered something to be preserved has been utilized and come into the life. Thus, it set up environment to enjoy cultural assets. Hyanggyo is the government-run school with its clear intention of establishment and role and has long history. It’s used as place for preservation society and Confucian scholars and features local characteristics. Such place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has extended to the quantitative growth-centered policy and been utilized as historic resource depending on Hyanggyo’s function and its roles. With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and shifting concept from the cultural assets to cultural heritage over time, the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has relieved common idea that cultural assets are obstacles in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Hyanggyo utilizations project has been developed and it turned into place where the public visited. In this way, this study discovered how to utilize Hyanggyo based on its historic and cultural space characteristics. The concept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space has its own specificity, the historicity which is not easily recognized in real life. Also, it has space concept as it’s established with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this study, the literature search and case analysis came up with three elements: Space (Hardware)·Contents (Software)·Manpower (Humanware). Hyanggyo has its restricted space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stablishment and historic function, but needs to create future value and be changed with influx of modernization. For the same reason, it’s required to combine three elements as stated above and set up the integrated business administration system to strengthen competitive power for Hyanggyo. To sum up,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 and cultural space. Moreover, it’s necessary to combine three elements as stated above and reflect them to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Therefore, Hyanggyo should foster its power as the historic and cultural space and go through the branding process in the long term to go forward into future assets from the past. 2008년부터 문화재청에서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사업 공모를 통해 문화재 활용방안에 대하여 여러 기준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10년 이상의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영향으로 보존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였던 문화재가 활용되고 생활 속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문화재를 향유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향교는 설립의도와 명확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관립학교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공간은 보존회와 유림 중심의 활동 공간으로 활용되었고, 지역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 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은 양적 성장 중심의 정책으로 확대되었으며, 향교의 기능과 역할에 따라 역사자원으로 활용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문화재의 개념에서 문화유산의 개념으로 변화되는 대외적인 환경변화와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문화재가 지역의 장애물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완화하였다. 또한, 향교 활용사업 콘텐츠가 개발되고 대중이 찾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향교의 역사문화적공간 특성을 기반으로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역사문화적공간의 개념은 실생활에서 체감하기보다 역사성이라는 특수함을 지니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간(space)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Hardware)·콘텐츠(Software)·인적자원(Humanware) 세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향교 공간은 설립의도와 역사적 기능에 따라 제한적이지만 현대적 흐름에 따라 적합한 미래 가치를 만들고 변화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출된 세가지 요소를 융합하여 통합적 경영체계 구축을 통해 향교 고유의 경쟁력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즉, 문화재 활용사업이 역사문화공간의 특성을 기반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세가지 도출된 구성요소를 융합하여 문화재 활용사업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역사문화공간으로서 자생력을 얻고 장기적으로 브랜드화의 과정으로 발전하여 과거의 역사에서 미래의 유산으로 나아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