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받아 올림과 받아 내림에 관한 기초학력 보정도구 개발 및 적용

        정유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받아 올림과 받아 내림에 관한 기초학력 보정도구 개발 및 적용 정 유 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동 환) 본 연구에서는 수와 연산 영역 중 받아 올림과 받아 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 셈의 부진아의 오류 유형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보정도구를 개발∙적용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초등학교 교사 58명을 대상으로 보정 도구의 필요성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정도구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력 보정도구가 더 활발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학생 수준에 맞는 체계적인 문항이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기초학력 보정도구는 교사가 따로 많 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편리하게 만들어야 한다. 셋째, 기초학력 보 정도구는 교사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높아야 한다.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라 개발한 보정도구는 총 24단계이며, 보정도구 1 ~ 보정 도구15는 덧셈, 보정도구 16 ~ 보정도구 24는 뺄셈을 학습하기 위한 단계이다. 학생 수준에 맞는 체계적인 문항을 위해 받아 올림, 받아 내림의 학습내용이 등장하는 1학년 2학기 덧셈과 뺄셈(1), 덧셈과 뺄셈(2) 차시별 학습 내용을 참 고하여 보정도구 단계를 만들고, 연구 학생의 이해도에 따라 보정도구의 단계 를 더 추가했다. 교사의 설명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조선을 적극 활용했으며 받 아 올림과 받아 내림의 계산 원리를 이해하고 알고리즘을 이해하기 위한 연산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보정도구를 활용하여 A학생에게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받아 내림 보정도구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 A는 10의 보수개념 을 익힌 상태였으며, 진단도구 적용 결과 십 몇 – 몇과 같이 작은 숫자의 뺄셈 은 해결 가능하나 몇십 몇 – 몇, 몇십 몇 – 몇십 몇의 계산이 되지 않았다. 보 정도구 18번을 적용했을 때 십 몇 – 몇 계산도 잘 되지 않았다. 연속 2문제를 틀린 후 보정도구 16 보정도구 17을 적용시켰다. 숫자를 10과 몇으로 분해한 후 계산하며 받아 내림의 계산 원리를 이해한 후 보정도구 18, 보정도구 19, 보정도구 20, 보정도구 21은 어려움 없이 해결했다. 보정도구 22 받아 내림이 있는 몇십 몇 – 이십 몇을 계산할 때 학생이 받아 내림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 하지 않고 무조건 받아 내림을 하는 오류를 보였고, 이에 보정도구 22을 회수 한 후 보정도구 23를 제시했다. 받아 내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섞인 문항을 제시했을 때 학생은 학습해서 숙지하고 있던 받아 내림의 원리 또한 헷갈리는 모습을 보였고, 이에 보정도구 23에 문항별로 (받아 내림 O/X) 표시하는 칸을 추가하여 제시했다. 그 결과 총 20문항 중 20문항을 정답으로 맞추었고, (받아 내림 O/X) 표시하는 칸이 있는 보정도구 24 적용 결과 총 20문항 중 18문항 정답, 2문항 오답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받아 내림 O/X) 표시하는 칸 을 없앤 보정도구 24을 제시한 결과 학생은 총 20문항 중 18문항 정답, 2문항 오답인 반응을 보였다. 진단도구 결과대로 보정도구를 제시했음에도 보정도구 문항을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앞 단계의 보정도구를 해결하면서 다 음 문항을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정도구가 학생의 받아 내림의 계산 원리 와 알고리즘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받아 올림 보정도구를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도구 적용 결과 학생 A는 계산 원리 및 알고리즘을 이해하지 못한 학생 이다. 보정도구 8 두 수의 합이 10인 세 수의 덧셈을 적용했을 때는 총 13문 항 중 정답이 1문항, 오답이 12문항이었다. 이 때 보정도구 5~ 보정도구 7처럼 합이 10이 되는 두 수를 동그라미 치며 계산해야 한다고 이야기 한 결과 총 20문항 중 20문항이 정답이었다. 덧셈 보정도구를 15단계까지 적용시킨 결과 받아 올림에 대한 개념 및 알고리즘의 이해가 되었으며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게 되었다. 개발된 보정도구는 받아 올림과 받아 내림 부진 학생에게 적용시켰을 때 계산 원리 이해 및 알고리즘 적용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키워드: 받아 올림, 받아 내림, 보정도구 * 이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2015 개정 초등수학 지도서 분석 : TLO-KMath 분석틀 중심으로-

        이종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2015 개정 초등수학 지도서 분석 -TLO-KMath 분석틀 중심으로- 이 종 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성 준) 본 연구는 수학 지도서를 교사 지식의 지원과 교육적 특징 측면에서 분석하는 TLO-KMath 분석틀을 활용하여 C출판사 수학 검정 지도서 6학년 2학기에서 수와 연산, 도형, 측정 3가지 영역 각각 1개의 단원을 선정하여 교사 지식의 지원과 교육적 특징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분석하였고, 지도서의 앞으로 나아가 야 할 방향, TLO-KMath 분석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6학년 2학기 수학 지도서 중 수와 연산, 도형, 측정 3가지 영역에서 각 1개의 단원을 TLO-KMath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둘째, 수와 연산, 도 형, 측정 3개 단원을 분석한 결과, 각 단원의 특징 및 차이를 비교하여 영역에 따른 특징이 있는지 탐색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한 6-2 C출판사 수학 검정 지도서에서 선택한 3개의 단원에서 보 면 주를 이루는 내용은 교수를 위한 수학 내용 지식,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관 한 교사 지식, 수학 교과적 담화에 관한 교사 지식, 수학 평가에 관한 지식이 가장 많았고, 맞춤형 수학 수업에 관한 교사 지식과 수학 공동체에 관한 교사 지식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수학에서의 공학 도구, 교구 활용에 관한 지식은 특정 차시에 등장하거나 한 단원 내내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수학 공동체를 구성하여 이끌어갈 수 있는 부분이 수학 수업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생각하나, 실질적으로 수학 공동체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지 못하다고 느꼈고 학생들이 오개념이 자주 형성되거나 어려움을 느끼는 차시에서는 맞춤형 수학 수업에 관한 교사 지식이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이론적인 배경을 구체적 으로 제시하는 정도에서 그치는 점이 아쉬웠다. 둘째, 분수의 나눗셈에서는 이 전에 배운 개념을 새롭게 접근하고 있고, 공간과 입체, 원의 넓이는 생소한 개 념을 익숙하게 접근하고 있다. 그 점에서 단원의 개관을 보면, 제시되는 방식의 차이가 있다. 세 단원 모두 공학 도구를 활용한 활동이 적다보니 공학 도구 활 용에 관한 지식도 사실상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수학에서 계산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앞으로 살아가며 겪게 되는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직 접 계산하기보다 도구를 활용하여 계산하는 상황에 더 많이 생기는데 아이들이 접해볼 기회가 적어 이 부분에서 지도서의 보완이 필요하다. * 키워드 : TLO-KMath, 교육적 특징, 지도서, 교사 지식의 지원 * 본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메타버스를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인식・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경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메타버스를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인식・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 경 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과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소 금 현)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 에게 적용하여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인식・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연구 를 실시하였으며,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인식・태도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사전검 사와 사후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생물다양성 에 대한 지식・인식・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프로그램 적용 전과 비교 해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인식・태도 전 영역이 모 두 향상되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다. 본 프로그램 적용 전과 비교하였을 때 적용 후 자신감, 자기 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조절 등 자기효능감 전 영역이 향상되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생물다양성 에 대한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학생 면담 분석 결과 프로그램 시행 전보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생물다양성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었고,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실천 의지를 가지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생물 다양성에 대한 지식・인식・태도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 단된다. * 키워드 : 메타버스,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인식・태도, 자기효능감 * 이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 사학위논문임.

      • 청소년 창작극 공연제작 과정연구 <너랑 똑같은 자식 낳아봐> : 아우구스또 보알의 토론연극이 청소년 교육에 주는 시사점

        강이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청소년 창작극 공연제작 과정연구 <너랑 똑같은 자식 낳아봐> -아우구스또 보알의 토론연극이 청소년 교육에 주는 시사점 강 이 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공연예술교육전공 (지도교수 심 상 교) 본 연구는 부산 거주 고등학생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Augusto Boal 의 토론연극 중 심으로 청소년 창작극 제작과정을 연구한다. 연구의 관점은 청소년문제의 교육방안 연 구와 그 효과성에 대해 초점을 둔다. 최근 소년범죄가 지능화되는 유형과 잔혹한 행위 등 촉법소년들에 의한 범죄에 대한 뉴스가 자주 보도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 활용될 Augusto Boal 의 토론연극은 상호침투(osmosis), 메타식스(metaxis), 유추적 감응 (analogical induction)의 세 가지 전제하에 토론연극을 경험해보면서 청소년들이 무대 위에서 억압된 감정을 충분히 표출하는 특성이 당 연구관점과 연결된다. 청소년들이 무 대에서 억압된 감정을 극적 상황 안에서 마음껏 표출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실제로 청소년들은 연구 과정에서 끊임없이 참여하며, 자신의 가정과 학교 등에서 겪고 있는 갈등을 드러내고, 서로 간의 토론과 연극을 통하여 갈등에 대응하였으며, 특정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극을 재구성해보는 경험과 이러한 토론상황이 지속되면서,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창작극이 완성될 수 있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토론연극 프로그램을 10차시로 적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참여자의 연습 과정 및 공연 현장에서 관객과 만나는 토론연극을 통하여, 이번 연구의 결과 및 그 효과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 Boal 의 토론연극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겪는 주요한 억압 기제가 잘 드러났 으며, 청소년 창작극이란 공연 매체를 통해 의사소통 표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 둘째, A. Boal 의 토론연극을 통하여, 청소년 자신들이 겪는 문제 상황들과 직면하였으 며, 이러한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A. Boal 의 토론연극을 통하여, 청소년의 토론 능력 및 자기 표현향상 능력과 태 도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 시대가 안고 있는 청소년문제를 바르게 이해하고, 건강한 방향을 제시하며, 나아가 청소년들의 질적 삶에 가치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한다. * 키워드 : 아우구스또 보알, 토론연극, 청소년문제, 교육연극 * 이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 수학 교육용 앱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수학 교육용 앱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 도 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동 환)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육용 앱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자 초등학 교 1학년 2학기 수학 교육과정에 나오는 덧셈과 뺄셈 단원을 선택 및 재구성하여 연구를 설계하였으며 총 2가지 교육용 앱을 도입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덧셈과 뺄셈을 학습하며 생길 수 있는 오개념이 다양하고 받아올림과 받 아내림의 과정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시각적인 효과와 더불어 게임 형태의 교 육용 앱을 조작하며 재미있고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는 과정은 기존의 수업 형태 와 비교하였을 때 수학적 개념을 체계화, 내면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아울 러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둘째, 수학 교육용 앱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수학적 태도 검사 결과 능력, 자신감, 수학의 즐거움 등 여러 요인에서 그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수학 교육용 앱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 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수학 시간 에 대한 인식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키워드 : 교육용 앱,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적 태도. * 이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 사학위 논문임.

      • 수학 연산 보드게임이 연산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4학년 소수의 덧셈과 뺄셈을 중심으로

        정유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수학 연산 보드게임이 연산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4학년 소수의 덧셈과 뺄셈을 중심으로 정 유 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동 환)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학년 2학기 소수의 덧셈과 뺄 셈 단원 내용과 관련된 수학 연산 보드게임을 제작하여 적용하고, 그 활동이 학생들의 연산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학 연산 보드게임이 초등학생의 수학 기초 연산 능력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수학 연산 보드게임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태도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연산 보드게임 활동은 기초 연산 능력 중 속도의 상승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해당 보드게임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빠른 계산이 필요 하여, 학생들이 빠르게 문제를 풀이하는 능력이 길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수학 연산 보드게임은 기초 연산 능력 중 정확도의 상승에도 약간의 영향을 미 친다. 유의미한 영향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정확도 측정값의 변화 방향이 대부 분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타났으므로, 적용 기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의미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동반된다면, 정확도 역시 상승할 것으로 보 인다. 셋째, 수학 연산 보드게임은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꾸는 데 효과적이다. 보드게임을 적용한 학반은 수학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였다. 수학 연산 학습지를 푼 학반은 오히려 수학적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아무런 활동을 제공하지 않은 학반은 수학적 태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넷째, 수학 연산 학습에 있어서 연산 강화 활동을 제공 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 단원 학습 이후 아무런 복습이나 피드백 없이 넘어가 는 것보다는 추가적인 학습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도움 이 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다섯째, 제작한 보드게임은 꾸준히 추가적으로 검 토·수정해야 한다. 실제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반복적인 실시를 통 해 더 효과적인 방향을 찾아 검토와 수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이른바 ‘수포자’라고 불리는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는 시기이다. 학 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스스로의 연산 능력 을 길러 나갈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따라서 수학 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보드 게임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수학 수업이 제공될 수 있도록 계 속해서 수정·검토·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키워드 : 수학 연산 보드게임, 연산 능력, 수학적 태도 * 본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치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승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치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 승 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과 리더십전공 (지도교수 박 상 완) 감성리더십은 리더와 구성원의 조직 내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구성 원들의 감성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함으로서 직무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과종사자인 치위생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치위생사들의 직무만족 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치과계의 인력난을 낮출 수 있는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에서 근무하는 치위생사 80명으로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이 직의도에 관한 설문지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치위생사의 배경 변인은 백분율로 산정하고 치위생사 가 지각하는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한 정도는 평균 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차 이는 t-test, ANOVA를 이용하여 Bonferrini 사후검정을 진행하였다. 변수들의 상 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도구는 Cronbach’α값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이직 의도의 정도는 감성리더십이 3.17점으로 파악되었고,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자기인식능력이 가장 높은 평균을 도출하였다. 직무만족에 대한 분석에서는 3.02 점, 이직의도는 3.25점으로 산출되었다. 둘째,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년수에 따른 감성리더십에서는 하위요인인 사회적인식능력에서 10년이상 4.25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년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에서는 10 년이상 3.6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혼상태에 따른 이직의 도 차이에서 미혼 3.33점, 기혼 2.94점으로 산출되어 미혼의 이직의도가 기혼보 다 높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이직의도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은 정적(+)상관관계를, 이직의도는 부적(-)상관관계를 보 여주었다. 넷째,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무만족에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자기관리능력 β=.372(<.05) 관계관리능력 β=.317(<.05)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직의도에서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소 인 자기인식능력은 β=-.469(<.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 을 미쳤고, 결혼(미혼)은 β=.283(<.01)로 나타나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간괸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치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간관리 자의 감성리더십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치위생사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키워드: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이직의도 * 이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 학위 논문임

      •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정당화 유형 및 오류 분석

        박지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정당화 유형 및 오류 분석 박 지 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성 준) 본 연구는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정당화 유형과 오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2020학년도 P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분야에 지원한 학생 206명 중 1차 심사에 통과한 40명을 잠재적 수학영재로 정의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력 검사에서 이들이 작성한 답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 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수학적 정당화를 분석한다. 둘째,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오류 유형을 분석한다. 다섯 가지의 정당 화 유형과 여섯 가지의 오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4, 5학년 잠재적 수학영재 학생들의 경우 정당화 단계가 3수준인 포괄적 정당화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연역적 정당화, 귀납적 정 당화와 정당화가 없는 단계, 마지막으로 권위적 정당화 순이었다. 40명 중 2절반 이 상이 3, 4수준의 정당화에 이르렀다. 4수준인 연역적 정당화는 식의 조작과 단순 연 역이 일부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그 논리가 결론까지 완성도를 갖고 이어지지는 못 했다. 둘째, 정당화 수준과 검사문항 점수는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정당화 수준이 높을수록 검사 문항의 점수가 높았으며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0.83의 유 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검사 문항의 특성상 설명 즉, 증명의 과정에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정당화를 한 학생이 높은 점수를 부여받은 것으로 분 석된다. 셋째, 검사 문항에 대해 잠재적 수학영재 40명의 학생 중 최종 합격한 20 명의 학생과(그룹A) 불합격한 20명의 학생(그룹B)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룹 A와 B의 1번 문항 평균 점수가 동일한 것으로 보아 불합격한 20명의 학생들 도 영재로 선발되지는 못하였으나 충분히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 째,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오류의 대부분을 차지한 경우는 논리적으 로 부적절한 추론을 한 경우였다. 문제해결과정에서 타당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비약이 있거나 논리적 추론이 막히면 중단하고는 했다. 보다 많은 문항을 분석한다면 수학적 정당화 수준과 점수의 분포에 대해 더 많은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잠재적 수학영재들이 다양한 수학적 정당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여러 유형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문항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키워드 : 잠재적 수학영재, 문제해결, 수학적 정당화, 오류 * 본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 위 논문임.

      •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이혜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이혜림(지도교수 김 소 향)이 연구를 실시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 경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율성, 창의성, 놀이전문성의 일반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 과, 유아교사의 자율성의 평균은 4.10점, 창의성은 3.62점, 놀이전문성의 평균은 4.26점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평균이 중간 이상 값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 구모형의 측정변수에 대한 표본의 분표경향을 살펴본 결과 왜도는 모든 변수가 2 이하이고, 첨도는 모든 변수가 7이하이므로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 그리고 놀이전문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먼저 놀이성과 창의성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율성과 놀이 전문성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놀이전문성도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자율성이 높을수록 창의성이 높은 양상을 보이고, 자율성 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도 높은 양상을 보이며, 창의성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도 높은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놀이전문성도 높아진다는 유의 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놀이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영향력의 크기를 파 악한 결과 자율성, 창의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변인을 살펴본 결과, 자율성 의 하위변인인 ‘학습지도’, ‘연구 및 연수활동’, ‘학급경영’과 창의성의 하위변인인 ‘독창성’, ‘자기확신’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의 강화가 교사의 놀이전문성을 증진시키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강화하기 위 한 교사교육 및 교사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놀이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 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자율성, 창의성, 놀이전문성 *본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 문제 상황 및 시각적 모델 관점에서 본 초등 수학 3종 검정교과서 비교·분석 : 분수의 나눗셈 단원을 중심으로

        신유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문제 상황 및 시각적 모델 관점에서 본 초등 수학 3종 검정교과서 비교·분석 - 분수의 나눗셈 단원을 중심으로 - 신 유 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동 환) 본 연구는 검정교과서 3종을 차시 흐름, 분수의 나눗셈 문제 상황 및 시각적 모델 관점에서 비교·분석을 했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I, C, M 교과서이고, 초 등학교 6학년 교과서에 있는 분수의 나눗셈 단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3 가지 종류의 교과서의 6학년 1학기 1단원, 6학년 2학기 1단원의 내용을 비교· 분석했다. 차기 교과용 도서 개발에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 구 문제를 설정했다. 1. 분수의 나눗셈 단원의 차시 흐름을 교과서별로 비교 분석한다. 2. 분수의 나눗셈 문제 상황의 문장제 문제를 교과서별로 비교 분석한다. 가. 문장제 문제의 비율 나. 실생활 맥락 소재의 차이 다. 분수의 나눗셈 문장제 유형의 차이 3. 시각적 모델의 표현 방법을 교과서별로 비교 분석한다. 4. 교사와 학생 대상으로 어떤 시각적 모델을 선호하는지 조사한다. 연구 문제 1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6학년 1학기에는 제수가 자연수인 분수의 나눗셈을 배우는데, I, C 교과서는 동치 분수로 바꾸어 계산하는 과정을 먼저 배운 이후에 분수의 곱셈으로 나타 내어 계산하는 방법을 배운다. 하지만, M 교과서는 분수의 곱셈으로 나타내어 계산하는 내용을 먼저 배운 이후에 이를 활용해서 분수의 곱셈으로 나타내어 계산하도록 유도한다. 6학년 2학기에서는 제수가 분수인 분수의 나눗셈을 배우는데, 세 가지 교과서 모두 2 차시에서는 분자끼리 나누어 떨어지는 동분모 분수의 나눗셈을 배운다. 하지만 C 교과서는 2 차시에서 분자끼리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를 모두 다룬다. 제수가 단위분수인 문제는 M 교과서와 C 교과서 에서만 다루는 내용이다. 연구 문제 2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문장제 문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교과서별로 크게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6학년 1학기 교과서를 비교해보았을 때, M 교과서가 38.46%로 제일 높았 다. 6학년 2학기 교과서를 비교해보았을 때, C 교과서는 41.93%로 C 교과서가 제일 높았다. 둘째, 교과서별 실생활 맥락 소재의 활용 횟수와 비율을 비교해 본 결과 유 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6학년 1학기에 활용된 실생활 맥락 소재를 살펴보면, 총 11가지 분류 중 I 교과서는 6가지 소재를 사용했고 M 교과서와 C 교과서는 4가지 소재를 사용했다. 6학년 2학기에 활용된 실생활 맥락 소재를 살펴보면, 총 11가지 분류 중 I 교과서는 4가지 소재를 사용했고 M 교과서는 6가지 소재 를 사용했으며, C 교과서는 3가지 소재만 사용했다. 셋째, 각 교과서에서 다룬 분수의 나눗셈 문장제 문제의 유형에도 차이가 있었다. 6학년 1학기에서 다루는 문장제 문제의 유형 대부분은 등분제 문제였다. I 교과서와 M 교과서에서는 카테시안 곱의 역 문제도 한 번씩 다루었다. 6학년 2학기에서 I 교과서와 M 교과서는 포함제 유형을 가장 많이 다루었지만, C 교 과서에서는 단위 비율의 결정 유형을 가장 많이 다루었다. 연구 문제 3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6학년 1학기 분수의 나눗셈 단원에서 세 가지 교과서 모두 가장 많이 활용 한 시각적 모델은 영역 모델 중 등분할 모델이다. 6학년 2학기 분수의 나눗셈 단원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시각적 모델은 길이 모델과 이중 척도 모델이었다. 연구 문제 4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 대상 설문을 진행했을 때 학생들이 주로 선호하는 시각적 모델은 길이(막대) 모델이었다. 이중 척도 모델 중에서 수직선이 활용된 경우 낮은 선호 도를 보였다. 둘째, 교사 대상 설문을 진행했을 때도 교사들이 길이(막대) 모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고, 경력이 높을수록 그 경향성이 높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각각의 시각적 모델에 대한 응답의 비율이 고르게 분포했다. 많은 교사가 이중척도 모델이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설명을 위한 논리적 완결성을 인정하지만, 한 눈에 보기 어렵고 단계적으로 설명을 해야 해서 복잡하다는 이유로 선호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 키워드: 검정교과서 분석, 분수의 나눗셈, 문장제 문제, 시각적 모델 * 이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