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과학과 물질영역 6.7차 비교 분석 : 3.4학년 중심으로

        이하룡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4학년 자연교과서와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4학년 과학교과서 물질 영역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재 학교에서 사용중인 과학교과서가 제시한 탐구과정과 탐구활동을 통해 아동이 과학적 지식을 제대로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는가를 고찰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 방법으로는 제 6차 교육과정 자연교과서 3·4학년과 제 7차 과학교과서 3·4학년 중 물질영역에서 교과 내용, 지문 및 삽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6·7차 교과 내용을 비교해 보면,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년에 따라 학생의 발달 단계와 집중력의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3∼4학년에서는 한 주제의 내용 크기를 작게 하여 16개로 하고, 내용을 현상 중심 및 활동 중심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교과 내용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교과서의 지문을 Romey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영역I과 영역II가 고른 분포를 보여 주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것으로 보아 제 6차 교육과정 문제점으로 제시된 집필 시 문장에 대한 고려의 부족을 개선하였다. 섯째, 교과서 내용 분석 결과는 제 6차와 같이 7차에서도 탐구과정영역이 강조되어 있었으며, 특이한 점은 7차에서 예상/추리가 조금 더 심도있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교과서 삽화분석 결과는 제 7차의 경우 6차보다 동기 유발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과학을 접하는 아동에게 흥미롭다는 인식을 높이기 위함이라 사료되며 바람직한 방향으로 삽화가 제시되었다. 주요어 교육과정, 교과 내용, 지문, 삽화 ※ 본 논문은 2022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ell students can acquire scientific knowledge from the process and activity presented in the textbook. This is achieved by analysing comparison of the material area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s'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with tha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s'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ntents, teacher's instruction and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in the material area in both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s' 3rd and 4th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6th national curriculum's conten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composed by phenomenon and activity focused. The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and abilities of concentration are considered and one topic in the textbooks is divided into 16 small contents. Theref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ems to have desirable changes. Secondly, the teacher's instruction in the textbook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impartial distribution in part I and part II according to Romey's analysis. This shows that some problems of writing textbooks that were pointed in the 6th curriculum have been improved in the texts of the 7th curriculum. Thirdly,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emphasizes inquiry process as the 6th national curriculum di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owever, more deeply deals with expecting and inferring. Finally, the analysis of illustration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motive induction is high. This is also desirable approach to give students more interests in studying science. Key words: curriculum, teacher's instruction, content of the textbooks, illustra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in August, 2001.

      • 그림책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교육이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김필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 요약 및 주제어 그림책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교육이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김 필 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지도교수 김 소 향 )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성과 교육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 그림책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교육이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연구 대상은 P시에 소재한 M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20명(실험집단)과, Y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20명(통제집단)이고 실험집단에 대해 매주 4~5시간씩 4회기, 총 18시간 동안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준오와 홍광표(2020)가 개발한 유아 컴퓨팅 사고력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는 사전검사에서 t-검증을 통해 알아보았고,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그림책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교육이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팅 사고력의 하위 요인인 추상화, 자동화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교육이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아 언플러그드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제어 : 컴퓨팅 사고력, 언플러그드 교육, 그림책 * 이 논문은 2021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발전방안

        문남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은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의 의미와 다문화주의·상호문화주의의 개념적 고찰을 토대로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의 정책적 기반과 정책현황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정책 구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문화시대의 사회통합이란 다양한 관점이나 신념체계, 관심영역 등이 상호 열린 소통을 통해 이루어내는 또다른 차원의 정체성이다. 통합의 정도에는 개인차나 상대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그 본질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이민자와 기존 사회구성원과의 상호성에 있다. 이를 구별하지 않으면 통합의 개념은 쉽게 동화나 포섭의 의미와 혼용될 수 있게 된다. 사회통합은 다차원적 개념으로 social inclusion, social integration, social cohesion 세가지 차원에서 구성요소를 정의하면 이민자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포용성’ 차원,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다양성의 조화’ 차원, 이민자들이 소속감을 느끼고 우리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사회적 결속’ 차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문화주의는 한 지리적 공간에 둘 이상의 복수문화가 공존 내지 병존하는 현상을 가리키며, 정태적인 문화의 경계(cultural boundary)를 전제로 한다. 그에 반해 상호문화주의는 한 지리적 공간에서 둘 이상의 복수문화가 서로 접촉하여 서로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접촉과 상호대화와 상호작용과 상호융합을 통해 새로운 혼종문화(hybrid culture)를 탄생시키는 역동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는 이질적인 문화들이 부딪히고 섞이는 사회나 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다루는 과정에서 제출된 사회통합 모델로 대립적 관계 혹은 대안적 관계보다는 각각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함께 어우러져야 할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 부산지역 결혼이민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부산광역시에서정책환경과 제도적 기반 확충은 물론 다양한 지역 특색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차원적 사회통합 구성요소에서 언급한 사회적 포용성 차원, 다양성 조화 차원, 사회적 화합 차원에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프로그램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포용성과 다양성 조화 차원의 한국문화 적응에 초점을 맞추어 자녀 양육 관련 영역,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영역, 한국어 교육 관련 언어영역 등의 정책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020년 부산시민의 외국인주민 수용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주민에 대한 세부 정책의 필요와 개선에 대한 요구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경제활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주민에 대한 부산시민의 수용성은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 외국인과 접촉 경험이 있는 사람,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 학생과 사무·경영·전문직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런 수용성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발전방안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민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응 지원이 아닌 실질적인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에 통합의 한 축인 내국인주민의 참여가 있어야 하고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주민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상호소통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주민 간 상호이해를 위한 소통 촉진으로 양자 간 소통 공간의 확대는 기초 기반을 튼튼히 한다는 점에서 꼭 필요하다. 셋째, 상호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내국인주민들이 결혼이민자의 문화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결혼이민자에 대해 편견을 갖지 않도록 타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예산의 효율적 운용이라는 측면에서 결혼이민자 지원사업 시행 관련 중앙부처의 유관기관과 민간기관과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다양한 연계,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라고 본다. 결혼이민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공공과 민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은 단지 결혼이민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성과 과정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논의는 내국인주민의 합의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해야 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초등학교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수준 연구

        전선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교사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사의 책무성의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사의 발달 단계는 어떠한가? 2.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수준은 어떠한가? 3. 초등학교 교사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수준은 어떠한가?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교사발달과 교사발달단계,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교사발달 이론을 통해 교사발달 개념 및 교사발달단계의 하위영역을 살펴보았다.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이론을 통해서는 책무성의 개념,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의 개념과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서 두 변인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다. 문헌 연구를 토대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시 교육청 관내 소재 초등학교 교사 347명을 대상으로 성별, 결혼 여부, 학급규모, 경력, 직위, 대학원 진학 여부별로 무선표집 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주희(2003)가 사용한 교사발달 단계 질문지와 이유진(2003)이 자작한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Sta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 for WINDOW) 프로그램(Ver 10.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본적으로 사용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증(Post-Hoc Test)으로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발달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안정·침체, 성장, 성숙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별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로는 남자교사가, 결혼여부로는 기혼교사가, 교직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은 교사가,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교사가, 대학원 진학여부로는 졸업교사가 교사발달의 하위영역인 성장, 성숙, 승진지향, 안정·침체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교사발달단계를 생존단계는 경력 1년이상 6년이하, 성장단계는 7년이상 12년이하, 성숙단계는 13년이상 20년이하, 승진지향단계는 21년이상 26년이하, 안정·침체 단계는 27년이상의 교사로 구분하였는데, 이와 같은 구분은 통계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관료적 책무성, 도덕적 책무성, 전문적 책무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개인별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로는 여자교사가, 결혼 여부로는 기혼교사가, 경력으로는 경력이 높은 교사가, 직위로는 부장교사가 교육적 책무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발달경향의 하위영역과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하위영역은 직업적 좌절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교사의 관료적 책무성과 고객지향적 책무성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전문적 책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도덕적 책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침체 집단의 교사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전문적 책무성과 도덕적 책무성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고, 생존과 성장 단계 집단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경력이 낮은 교사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수기회를 제공 하고 보다 체계적인 교사발달 저해요인을 규명하여 교과 및 생활지도의 미숙함을 보완, 전문적인 교사발달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겠다. 둘째, 교사의 책무성 수준은 교사자신이 인식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인식의 주관성을 배제할 수 없었기에 보다 객관적인 책무성 수준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모든 발달단계 교사들의 책무성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은 편이지만 성장 및 생존단계 교사집단의 책무수준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교사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투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by the development stag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are the development stag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What are the levels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3. What are the levels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by development stag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solve these questions, various books related to the subject were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research, I examined the concept of teacher development and the low areas of the development stage of teachers. I looked into the concept of teachers' educational accountability and the types of it. Finally, I inquir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stages of teachers and teachers'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rough the relevant earlier studie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using the books related to the subject, questionnaires of the development stages of teachers by Joo-hee, Jung(2003) and that of teachers' educational accountability by You-jin, Lee distributed to 347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ndomly chosen from schools in Busan. After the survey, the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a statical package program called SPSS/WIN(ver.10.0). For this research, first, this study us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Second this study used T-tests and F-tes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teachers. To do the Post-Hoc Test, the Scheffe-test was conducted. Finally, this study used Pearson's coefficient of co-relations and an analysis of one-way variates to inestigate into the levels of the teachers'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teachers development, in order of preference, showed security-inactivity, growth and mastery. The differences in personal backgrounds showed that those who were male, married, had managerial careers, university graduates preferred growth, mastery, promotion-driven and security-inactivity which are included low areas of the teacher development. Also, this study classified the teacher development by their careers: the survival stage(0-6 years), the growth stage(7-12 years), mastery stage(13-20 years), the promotion-driven stage(21-26 years), security-inactivity stage(over 27). The above classification about teacher development turned out statistically appropriate results. Second, the general trends of teachers' educational accountability, in order of preference, showed bureaucratic accountability, moral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 accountability. The differences in personal backgrounds showed that those who were female, married and had managerial careers felt strongly towards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 areas of teacher development and the low areas of teachers' educational account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career-breakdown included one of the low areas of teacher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development and the bureaucratic and the student-directed accountability of teach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and moral account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 teachers of security-inactivity groups felt stronger professional and moral accountability than teachers of other groups. The teachers of survival and growth groups felt less stronger professional and moral accountability than teachers of other groups. On this basis, it is suggested that: First,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organizational policies are strongly needed, and the most effective and continuous in-service training system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at the survival and growth stage. In addition, supervisors should seek obstacles that may occur during teacher development and develop a profession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by studying the strategies of teacher development. Second, teachers recognized the levels their accountability very highly This means that some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with a subjective vie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urveys for teachers' accountability to be based on more objective criteria. Third, teachers at the growth, promotion-driven, and security-inactivity stages had higher levels of teachers accountability than those of the survival and mastery stages. Thus there should be developments of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at the survival and mastery stages in order to meet more than average level of teachers' accountability.

      •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성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 성 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과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순 식)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N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22명을 연구집단, 다른 1개 학급 22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집단에 대해서는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을 10차시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 대해서는 교육과정에 의거한 일반 과학 수업 10차시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은 과학지식을 전달하는 일방적이고 획일화된 수업이 아니라, 학생들이 학급 구성원들과 함께 재미있는 상상의 세계를 펼치고, 자유로운 이야기를 만들어가면서 획득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작품제작에 활용하는 학생 주도적 수업방법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동기가 향상되었다고 생각된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은 학생들이 학습활동의 주체가 되어 스토리를 만들고 공유하며, 여기에서 얻어진 새로운 아이디어를 작품으로 만들어 보는 수업이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다고 생각된다. 셋째,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에 대한 참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연구집단 학생들 중 82%의 학생들이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흥미도 역시 83%의 학생들이 수업이 흥미로웠다고 답했다. 또한 수업의 참여도를 묻는 질문에도 82%의 학생들이 열심히 참여했다고 답했다. 이것은 학생들이 수업의 중심이 되어 자신이 만들고 싶은 작품을 만들고, 학급 구성원들이 만든 작품을 스토리를 통해서 공유할 수 있었기 때문에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토리텔링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추후 스토리텔링과 메이커 수업의 장점을 살린 다양한 수업 전략에 대한 연구가 계속될 필요성이 있다. * 주요용어: 스토리텔링, 메이커 수업, 초등학생, 과학학습 동기, 과학적 태도 * 이 논문은 2020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소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이 병행되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별 피드백이 용이하면서 영재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블렌디드 러닝 프로그램 예시자료를 개발 · 보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초등수학영재에게 적용해 볼 수 있는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수 · 학습자의 반응과 특징을 분석한다. 먼저 블렌디드 러닝의 개념과 필요성, 이러닝과 에듀테크, 원격 영재교육의 특성 등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B광역시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초등수학교실 12차시 교안을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B광역시 M초등학교 5-A 일반학급 학생 25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이 학급의 영재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집중 관찰 및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 수업 장면 및 학생의 반응 등을 세 명의 영재교육원 지도 교사에게 제시한 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오프라인 수업으로만 진행했을 때보다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온 · 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높은 흥미, 관심, 의욕을 보이며 수업에 참여하였다. 또한 영재학생들은 LMS와 여러 가지 온라인 수업 도구들을 개별화 학습, 탐구과정, 협업에 적극 활용하였으며, 원격수업 시 교사의 개입 없이도 자기주도적으로 발견 · 탐구 학습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영재교육원 수업 시 교사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이러한 프로그램의 개발 · 보급이 필요하며,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에 모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과정안과 구체적인 온라인 수업도구 사용법 안내 등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키워드 : 블렌디드 러닝, 초등수학영재교육, 원격수업, LMS * 이 논문은 2020년 1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disseminate examples of blended learning programs applicable to actual gifted education sites to facilitate feedback by teacher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here on-line classes and off-line classes are mixed.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develop a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after applying that gifted education program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 analyze the rea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or and learners. After conducting precedent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blended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edu-tech and on-line gifted education, the 12 teaching plans of the elementary math class of the B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reconstructed as a 'program for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5 students in general class of 5-A at M Elementary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and was intensively observed and analyzed on five gifted students in this class. I presented development programs, class scenes, and students' responses to the guidance teacher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ccording to the study,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higher interest, attention, and motivation when they attended in organically connected programs with on and off-line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an when they conducted off-line classes alone. In addition, gifted students actively utilized LMS and various online class tools for individual learning, exploration process, and collaboration, and conducted self-directed discovery and exploration learning without the involvement of teachers in on-line classe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it was analyzed that it is urgent to develop and disseminate such programs to reduce the burden on teachers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clas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it is necessary to add a teaching course plan and detailed instructions on on-line teaching tools that can be applied to both on and off-line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Keywords: blended learning,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programs, on-line classes, LM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부산지역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박물관 활용 방안

        신명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문화는 인간이 지닌 외적 생활 양태의 총체적인 모습이란 측면과 함께 그 안에 담긴 고유한 정신이나 제도 , 관습 등을 전체적으로 지칭하고 있다. 문화는 사회구성원에 의해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변화하며 발전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개인이나 사회 집단은 지적 정신적 심미적 계발을 위해 문화적 행위를 통해 창의적 산출물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문화 활동은 문화정책을 통해 발전해 왔다. 오늘날 문화 정책은 국민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문화 환경의 조성과 여건 형성에 목표를 두면서 문화예술지원법의 제정과 함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도입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내적 문화예술 요구에 기초하여 자신을 바르게 이해하고 자신과 문화예술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소통을 형성하며 나아가 자신의 창작 활동을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실현해 가는 교육활동이다. 그러나 지금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이론적 정당성과 방향의 부재 속에 예술 영역에 한정된 기능 습득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문화교육의 산실인 박물관 교육과 연계하여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성격을 파악하고 박물관 교육과의 접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 부산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연구 학교 중에서 ‘금성초’와 ‘송운초’를 선정하였는데, ‘금성초’의 경우는 작은 학교와 대안교육의 방향 속에서 체험과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주제통합중심의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과 모델을 제시한 점과 ‘송운초’는 지리적으로는 대도시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문화 경제적으로 소외된 지역에 해당되어 정책적으로 공교육에서의 지원과 노력이 요청되는 교육복지투자지역이기 때문이다. 분석 과정에서는 연구 학교 자체 결과 보고서와 부산교육청 자료 및 활용하였다. 연구학교 운영 결과 보고서외에 실제적 운영 모습을 알아보고자 담당자와의 면담과 인터뷰 등의 방법으로 보고서의 형식성을 보완하였다. 두 학교의 운영 사례와 분석 속에서 문화예술교육 중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 활용 방안의 모색과 활동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박물관의 열악한 조건과 학교 교사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통일된 인식과 노력, 정책적인 지원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나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예능 관련 교과와는 다른 통합교과로서의 성격과 학습자의 체험을 강조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한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교육과정 속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편성 운영되어져야하며 박물관과 학교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연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노력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Culture refers to a way of life of people and also the sum of total of spirits, systems, customs, and so on. Culture moves, changes, and develops in a dynamic way by members of society. A person or a group of people composing society have produced creative outputs through cultural activities for intellectual, spiritual, and aesthetic development. These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cultural policies. Cultural policies of today place object on establishing cultural environment and building conditions in a bid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people, and accordingly the Law for Support of Culture & Arts Education has been enacted, and culture & arts education in schools has been adopted. Culture & arts education is the education activities with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themselves based on their internal demand for culture & arts education, have communication between themselves and cultural artworks, and moreover express and realize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creative activities. However, culture &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limited to the education for acquisition skills in arts amid lack of theological justifiability and direction, and it fails to be linked to the museum education, which is a cradle of culture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culture & arts education and look into a contact point with the museum education. Especially, 'Geumseong Elementary School' and 'Songun Elementary School' have been selected out of schools for culture & arts education in Busan area, as 'Geumseong Elementary School', which aims for the small school and alternative education, has emphasized on experience and humanity education and proposed development of new education curriculum and relevant model centering on thematic integration, and 'Songun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a big city, but is i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region, as it is in the culturally and economically-underprivileged area, and thereby requiring politic support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analysis, reports of the schools related to this study and materials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have been utilized as data. In an attempt to figure out real operation status of the above-mentioned schools, meeting and interview with the persons-in-charge of those schools have been conducted to supplement the report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xamples of operation of two schools, it was found out that to devise a plan on utilization of museum and develop relevant activities, which have been overlooked comparatively, are important for cultural education. Centering on the issues appeared such as poor conditions of museums, lack of unified recognition and efforts for culture & arts education of school teachers, and insufficient politic support, I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is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noticed that culture & arts education has a characteristic as an integrated subject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art education, and thereby it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principle placing emphasis on experiences of learners. School culture & arts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in a more diversified manner, and systematic efforts should be exerted so that education by linking museums and schools can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organic collaboration between them.

      •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 운영 현황과 요구 조사

        서호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고등학교 발명영재교육의 운영 현황과 요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12개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 설치기관과 각 기관의 발명영재학급 지도교사 61명(발명영재학급 담당교사 12명, 강사 4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발명영재학급의 운영 현황, 발명영재학급 교사 실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실태, 발명영재학급 운영 개선을 위한 교사들의 의견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에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은 총 12개에 불과하였다. 영재교육원 2개와 지역공동 영재학급 3개 그리고 단위학교에 5개의 발명영재학급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 학생들을 선발하는 방법으로 추천이나 선발고사, 면접 등 3단계 이상의 과정을 거치는 곳이 6개 학급이며 5개 학급에서는 2단계 이하 과정으로 선발하고 있었다. 선발이 대부분 추천과 선발고사에 의존하고 있어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발명의 창의성이나 기술적 문제해결력 등 학생의 영재성을 바르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셋째, 발명영재학급의 학생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선발되지 않았더라도 고등학생 시절부터 선발되어도 된다고 90.5%의 교사가 응답하였고, 이는 지도교사가 발명은 창의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하며 시작 시기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발명영재학급 담당교사들이 제시한 운영상의 가장 많은 애로점은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이었다. 교사의 34.9%는 학사학위를 소지한 자이고 발명영재학급 지도경력이 2년 미만이 56.8%이며 발명관련 연수경력은 52.1%가 120시간이 되지 못하였다. 72.1%가 본인의 희망에 의해 발명영재학급을 담당하게 되었으므로 발명영재교육 연수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여 전문성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다섯째, 발명영재학급의 활동주제는 고등학생들의 지식재산권 창출에 적합하다고 92.8%의 교사가 응답하여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에서 실제 출원하는 학생들이 있고 또한 어린 나이에 지식재산권을 다루면 발명에 대한 부정적 사고가 커질 우려도 있지만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지도영역으로 지식재산권 교육이 7%로 가장 낮게 나타나 지식재산권 교육을 위한 연수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여 지식재산권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여섯째, 고등학교 발명영재교육은 발명 분야에 관심이 있는 고교 교사(54.5%)가 체계적인 발명영재교육 연수나 대학원 발명영재교육 전공을 하여(77.3%) 전문성과 자격을 갖춘 다음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있는 교사(70.5%)가 발명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운영에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2014년 11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불규칙 활용 양상 연구

        김정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불규칙 활용은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문법 언어 기능의 밑바탕이 되는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학습 내용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으로서 한국어 학습자가 쉽고 효과적인 불규칙 활용 학습을 하기 위하여 초급 러시아어권 학습자인 초, 중, 고 대상 분석하여 실제 활용 양상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실제 현장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하는 용언 불규칙 활용의 사용 양상을 설문 조사하였다.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불규칙 활용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 중, 고 대상으로 특히 발음오류 양상과 관련된 원인을 찾는데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초급 단계 학습자에게 가장 흔히 오류가 나타나지만 제대로 학습되지 않아서 점진적 어려움을 느끼고 학습에 흥미를 잃어가는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으로 양상 분석하였다. 여러 번의 수정과정을 거쳐 대표적인 설문을 작성한 후, 학습자의 불규칙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찾기 위하여 초급 단계 학습자 대상 면대면 설문 조사로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어 문법 교육의 불규칙 활용 양상분석 내용을 토대한 보다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 개선점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요약하면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에 관한 인식과 한국어의 용언 어간, 어미에 관한 부족한 인식으로 발음오류 양상을 보이며 모국어와 목표어의 음운체계의 차이점이 오류의 원인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불규칙 활용에 대한 학습이 시각 자료 도식화를 제시하는 것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이었다. 또한 불규칙 활용과 규칙 활용을 초급 단계부터 기초 문법 교육이 매우 유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보였다. 최근 한국은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족 단위의 이주와 장기체류 현상에 따라 한국어 교육 대상이 되는 러시아어권 학령기 자녀들의 안정적인 사회 적응을 위해 반드시 문법 교육은 초급 단계부터 체계적이고 점진적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발음오류 양상이 불규칙 활용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 너무 중요한 과제이며 어느 정도의 규칙성을 가지며, 그들에게 발견되는 한국어 문법 교육 과정의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불규칙 활용 오류 양상과 모국어의 간섭과 목표어와의 차이점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두 언어권 영역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정확한 불규칙 활용 교육을 위하여 먼저 어간과 어미의 구분의 구조적인 문법 기본 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 주는 결과로,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러시아어권 학습자만을 위한 불규칙 활용 오류 양상에 관한 연구는 소홀히 다루어졌기에 그 중요성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 키워드 : 불규칙 활용, 한국어 교육, 러시아어권 학습자, 문법 교수 방안, 난이도 * 이 논문은 2022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Irregular use of terminology is a basic and essential learning content that is the basis for communication skills and grammar language functions of Korean learners in Russian. In order to make it easy and more effective for korean learners as foreigners,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actual usage pattern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arners in beginner Russian. In this study, first, the usage pattern of irregular use, which is used at the highest frequency in real life situations was surveyed and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irregular use of Korean learners in Russian, the aspects were generally examin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analysis was in focused on finding the causes related to pronunciation errors. second, although it is most commonly used for beginners, it was survey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perceptions and difficulty of gradually experiencing difficulties and losing interest in learning. After preparing a representative model through several correction proces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tern of irregular use of learners.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an actual and in-depth teaching plan for this through a questionnaire, it was analyzed as a face-to-face survey for beginner learners. Third, the direction of teachers and improvem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for more effective irregular learning based on the irregular use of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learner questionnaire and face-to-face survey analysi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ws that Korean learners in Russian can be very helpful in learning irregular use of learners who can check the difference in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ir mother tongue and target words along with the pronunciation error pattern. These results were very positive for the schematic presentation of visual data as an explanation of irregular use. In addition, there was an opinion that appropriate basic grammar education would be very useful to the extent that the useful to the extent that the use of rules related to irregular use was not burdensome for learning form the beginning stage at the same time.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n Russian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irregular use of grammar education should be gradually systematized from the beginning to ensure stable social adaption of Russian-speaking children who are subject to Korean curriculum due to family migration ang long stay.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find out how it correlates with the irregular use of pronunciation errors in Russian learners, and it has some regularity, and it has some regularity, and to find improvement found in them.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irregular use error pattern of Korean learners in Russian and the interference of their mother tong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words, and the areas of the two languages interact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showing that structural grammar basic education of the division of words and words should be preceded for accurate irregular use education, research on irregular use error patterns only for Russian learners in Korean education has been neglected, so it was an opportunity to rethink its impor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