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경기도 용인지역을 중심으로

        안혜원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서비스 질 수준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경기도 용인 지역에 소재한 유료노인복지시설의 종사자(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304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23부를 제외하고 총 281부가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2.82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직무요구(3.18), 조직체계(3.00), 보상부적절(2.99), 직무자율(2.78), 물리환경(2.74), 직무불안정(2.53), 직장문화(2.51), 관계갈등(2.32)순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직무요구에서는 간호사가 3.48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냈으며, 직무자율에서는 요양보호사가 3.30으로, 관계갈등에서는 사회복지사가 2.51으로, 직장문화에서는 사회복지사가 2.83으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내므로 인해 종사자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서비스 질 수준을 살펴본 결과, 평균 3.84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위영역별로는 보증성(4.03), 신뢰성(3.98), 대응성(3.97), 공감성(3.74), 유형성(3.56)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대응성에서는 요양보호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공감성에서는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 서비스 질에서는 요양보호사가 3.96으로 가장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간호사가 3.80, 사회복지사가 3.7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서비스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 수준은 낮아지며, 반대로 직무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 모든영역의 수준이 낮아지고,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이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리환경 요인은 서비스 질과 유형성, 신뢰성 영역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직무불안정 요인은 보증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조직체계요인에서는 서비스 질과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었다. 직장문화 요인에서는 대응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한편,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보상부적절 요인은 전체 서비스 질과 서비스 질 하위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서비스 질과 서비스 질 하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려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들은 직무요구에서 가장 강하게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는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업무가 과중함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더 많은 수발인력을 시설에 배치하여 업무를 줄여줘야 할 것이다. 종사자들 가운데서는 간호사가 직무요구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왔다. 간호사의 경우는 일반병원의 간호사 업무보다 노인에 대한 특수하고 전문적인 업무를 요하므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 같다. 유료노인복지시설에 근무를 하기 전에 노인에 대한 특성이나 이해를 기본으로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요양보호사의 경우에는 직무자율에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요양보호사는 간호사의 밑에서 지시를 받고 일을 하므로 직무에 대한 결정권이나 영향력 행사가 크지 않아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 같다. 노인의 직접적인 케어를 담당하는 요양보호사의 업무를 존중해주며 이 업무에 대한 전문성도 인정해주어 서로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경우에는 관계갈등과 직장문화에서 다른 종사자들보다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의 업무보다는 상사나 동료와의 관계, 직장의 분위기에 따른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왔다. 이는 업무를 하는데 있어서 협동 작업이나 커뮤니케이션이 많이 필요로 하는 직종의 특성인 것 같다. 이는 상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권위적이고 수직적이 아닌 수평적인 직장분위기 안에서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서비스 질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보면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서 유형성의 질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사자들이 생각하기에 어르신들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이나 장비가 갖춰져 있지 않으며 외관상보이는 것들도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이는 앞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유형성에 관한 항목도 포함함으로써 서비스 질을 높여야 할 것이며 종사자들도 업무가 과중하지만 복장이나 시설관리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결과 서비스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된 직무스트레스 영역, 즉 물리환경, 조직체계 요인의 스트레스를 줄이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물리환경 요인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면 깨끗하고 쾌적한 직무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할 것이며 노인을 수발함에 있어 사고나 위험요인을 줄여줘야 할 것이다. 조직체계 요인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면 업무의 과중함을 서로 이해해주고 적절한 보상이나 승진 등의 인센티브가 있어야 할 것이며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 공간, 장비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또한 타부서 간에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유동적인 조직체계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tress of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m and the impact of their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in the region of Yongin, Gyeonggi Province, who included social workers, nurses and care protector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04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281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for 23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ees of the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got a mean of 2.82 out of possible five points in job stres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they felt the most job stress about job requirements(3.18), followed by organizational system(3.00), improper reward(2.9), job autonomy(2.78), physical environments(2.74), job instability(2.53), organizational culture(2.51), and interpersonal conflicts(2.32).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 employees, they got a mean of 3.84, which was a relatively high score. In the case of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assurance(4.03) ranked first, followed by reliability(3.98), responsiveness(3.97), empathy (3.74) and tangibility(3.56). The care protectors ranked first(3.96) in the overall quality of service, followed by the nurses(3.80) and social workers(3.70). The gaps among them were significant. Third, a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job stress of the employees on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degree of job stress appeared to affect the quality of service in a negative manner. A heavier job stress led to the lower quality of service, and a less job stress was followed by the better quality of service.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on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physical environ- m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service, tangibility and reliability, and job instability affected assurance in a significant way. The organizational system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service,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empathy, and organizational culture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sponsivenes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the kind of management strategies that aim to relieve paid senior welfare facility employees involving social workers, nurses and care protectors of their job stress should be devised. Job requirements put the heaviest pressure on the employees investigated, which indicated their workload was heavy. In order to lower their job stress, employment of more personnels is requested. Second, the sort of strategies that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mapped ou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the quality of tangibility lagged behind the most. The employees didn't think that the facilities were well equipped enough to render superb service to elderly people, and the facilities weren't considered to look good enough, either. It'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angibility whe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is implemented so that the elderly could benefit from excellent service, and employees should care about their own dress and facility maintenance though they are responsible for heavy workload. Third, the quality of service was negatively affected by physical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system,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careful efforts should be made to ease their stress about physical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system. To relieve their stres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s, clean and pleasant environments should be created, and it's required to get rid of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or risk factors that they might face when take care of elderly people. As for stress about organizational system, the fact they are responsible for heavy workloa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proper incentives such as promotion or due reward should be provided. The preparation of additional personnels, spac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their successful job performance is important, and a flexible organizational system should be built to step up smooth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departments.

      • 정신지체아동 부모의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원방안

        남형주 백석대하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정신지체 아동과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신지체 아동 부모의 양육부담 정도와 사회적 지원 서비스 욕구 정도가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들 부모의 양육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적절한 사회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2007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아동의 학령기가 낮을수록 경제적 부담이 높았고, 정신지체 1급인 아동의 부모가 심리?정서적, 신체적, 교육 및 치료에 관한 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신지체 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부담에서는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 및 치료에 관한 부담이 높았고, 월평균 소득이 200~300만원미만인 부모의 양육부담이 높았으며, 장애자녀의 양육시간이 많을수록 경제적, 신체적 부담이 높았다. 셋째, 정신지체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욕구 수준에서는 학령기가 낮은 부모일수록 사회복지시설 및 서비스 지원, 의료적 지원, 교육 및 정보 지원,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정신지체 1급 자녀 부모와 자녀의 장애정도를 기타로 표시한 부모가 경제적 지원 욕구가 높았고, 정신지체 1급 자녀의 부모는 사회복지시설 및 서비스 지원 욕구가 높았으며, 정신지체 3급 자녀 부모는 교육 및 정보 지원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정신지체 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욕구 수준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 지지망 지원, 사회복지시설 및 서비스 지원, 의료적 지원,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욕구가 높았고, 월평균 소득이 400만원 이상인 부모가 사회복지시설 및 서비스 지원 욕구가 높았으며, 200~300만원 미만인 부모는 의료적 지원과 교육 및 정보 지원, 그리고 장애자녀 지원방안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자녀 양육시간이 많을수록 사회복지시설 및 서비스 지원 욕구가 높았다. 다섯째, 정신지체 아동 부모의 양육부담 정도와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욕구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경제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교육 및 치료, 가족갈등에 관한 부담, 양육부담이 높을수록 경제적 지원, 사회 지지망 지원, 사회복지 시설 및 서비스 지원, 의료적 지원, 교육 및 정보 지원,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정신지체 아동의 학령기 수준, 장애정도와 부모의 학력, 소득, 장애자녀 양육시간 등의 변인이 부모의 양육부담과 사회적 서비스 지원 욕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제적 부담과 교육 및 치료에 관한 부담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원방안 욕구가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정신지체 아동과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부모의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원 서비스 욕구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행해지고 있는 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적 지원에서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보다 다차원적인 사회적 지원이 이루어져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made any differences to the parenting burden of the parents and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 in a bid to seek ways of providing appropriate social support for the parents to face less pressu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a special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youth in Seoul.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whose mentally retarded children were younger were in more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parents whose children had the first-grade mental retardation faced more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hysical pressure and found it harder to educate and treat their children. Second,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burden of the parents, education and treatment put more strain on the better-educated parents. Parenting was a bigger burden to those who had a monthly mean income of less than two or three million won, and those who spent more time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were under more economic and physical pressure. Third, as for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needs for social support, the parents who had younger children asked more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welfare services, medical service, educational service, information service and social backing. The parents whose children had the first-grade mental retardation and whose children's disability level wasn't specified in the questionnaire called for more economic aid. The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the first-grade mental retardation were more in wa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welfare services, and the parents whose children had the third-grade mental retardation were more in need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Fourth,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and their needs for social backing, the better-educated parents were more in wa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elfare service, medical service and social support, and the parents whose monthly mean income was four million won or more asked more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welfare service. Those who had a monthly mean income of less than two or three million won called more for medical service, educational service, information and backing for their children. The parents who spent more time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were more in wa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welfare service. Fifth, as to relations between the parenting burden of the parents and their need for social support, those who were under more economic, psychoemotional, social and physical pressure and were more burdened with education, treatment, family conflicts and parenting were more in need of economic aid, social support, social welfare facilities, welfare service, medical service, educational service, information and social suppor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school age and disability level of the children,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rents, income and parenting time had an impact on their parenting burden and their needs for social service. Specifically, those who were in more financial difficulties and more burdened with education and treatment asked for more social support, which indicated that immed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ease their burden. Thus, the parenting burden of the parents and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 hing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m and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it implied that more multidimensional social backing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고현아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지체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통합에 관한 조사이다. 본인은 사회통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었다. 사회통합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가설 1. 사회통합요인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고자 하였으며 하위변수로는 첫째, 인구학적 요인은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심리적 요인은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적 지지는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장애인 복지서비스는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2. 사회통합정도는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3. 인구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지지, 장애인 복지서비스, 사회통합정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크기는 어떠한가? 를 제시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연구대상자인 지체장애인들의 스스로의 삶에 대한 평가라 할 수 있는 주관적인 삶의 질이며,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등록된 지체장애인 중 1급부터 6급까지 150명 대상으로 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AS 8.2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요인의 하위요인 중 소득(β=.22, P<.001)이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개인 소득이 많을수록 삶의 질 수준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지체장애인의 소득과 관련된 전문가와 정부 · 지방자체단체의 지원 및 대책마련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통합요인 중 사회적지지(β=.22, P<.001)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체장애인의 가족, 친구, 가까운 주변 사람들의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활동이 원활하며, 삶의 질도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지체장애인의 보호 또는 제공자로서 가족의 지지 및 역할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러므로 장애인 가족들을 위한 가족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적 지지로 가족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실천이 동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연구대상자인 지체장애인들의 사회통합의 요인 중 심리적 요인인 자존감(β=.31, P<.001)이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체장애인 스스로 자기존중감을 높게 인지할 수록 삶의 질 수준도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지체장애인들의 자기 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을 전략적 개입과 대안이 요구되어진다. 넷째, 연구대상자인 사회통합정도(β=.25, P<.001)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사회통합척도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존재, 소비, 접근성, 사회활동참여, 생산적 활동, 5가지 요인을 총합으로 하여 나눈 결과이다. 이는 사회통합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연구대상자인 지체장애인들의 삶의 질에 있어서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본 결과 사회적지지, 심리적 요인, 사회통합정도, 소득 순으로 설명되어졌다. 이런 결과를 통해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대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social integration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I focused on how social integration affects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ocial integration ha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questions. Hypothesis 1. How do social integration factors affect the quality of life? Variables are First, how do demographic factors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Second, how do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Third, how does social suppor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Fourth, how do welfare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Hypothesis 2. How does social integration degree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Hypothesis 3. What's the relative size of those demographic factors, sychological factors, social supports, disabled people welfare services and social integration degree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their subjectively perceived quality of life that physically disabled people personally feel. A surve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150 physically disabled people from the first grade to the sixth grade who registered in Seou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 di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8.2. The followings are the main finding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demographic factors, income (β=.22, P<.001) was the variable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t means that the more they earn, the better their quality of life i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perts on income and the support and the countermeasures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Second, social support (β=.22, P<.001) in social integration factor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It means the more they have the support of their families, friends and close people and the higher social support becomes, the smoother their social activities are and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becomes. Therefore we can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amily's support and role as a guardian and a provider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too much. With emotional support through family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people, we should try to bring a smooth interaction in their families. Third, self-respect (β=.31, P<.001) in psychological factor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It means that the more they have their self-respect, the better their quality of life becomes. Therefore we need to have an expert take a strategic hand and make an alternative plan to raise their self-respect. Fourth, social integration degree(β=.25, P<.001) of the subject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Five factors such as presence, consumption, accessibility,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productive activities were surveyed and the total was divided by five. This result showed that social integration is a must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ifth, I studied relative importa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The result was the order of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integration degree and income. It obviously shows that social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 결혼이주여성의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미경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이다. 즉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연구가설 1. 결혼이주여성의 고부갈등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변인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지지변인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기능변인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연구대상자인 결혼이주여성들이 스스로 지각하는 삶에 대한 평가라 할 수 있는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이며 연구대상자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 328명을 대상으로 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t-test, ANOVA,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가족지지변인은 부인 모국문화 이해노력(ß=.30 p<.001)과, 가족기능변인인 남편관계만족정도(ß=-.20 p<.001)등이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자의 가족들이 결혼이주여성 모국의 문화에 대하여 좀 더 이해를 하려고 노력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으며, 남편과의 관계가 만족할수록 삶의 만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구성원이 자신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관심을 갖고 배려하는 정성이 절실함을 호소하고 있음이다. 이에 결혼이주여성과 관련된 전문가와 정부⋅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단체는 결혼이주여성에게 부여하는 서비스 외 그들의 가족에게 인식의 전환과 문화의 다양성을 일깨우는 대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고부갈등(ß=-.38 p<.001)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남성과 결혼하는 이유가 경제 적 측면이던 아니던 여부를 떠나 고부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면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을 느끼고 살수 없음을 대변하고 있다. 이에 결혼이주여성들이 고부갈등 완화 및 해소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실천 전문가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연구대상자인 결혼이주여성들의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 각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영역에 따라 다른 차이를 보였다.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 각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친구관계영역 및 대인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행복감과 자율성 및 자아감영역에는 p<.001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친구관계영역, 대인관계영역 < 신체 및 정신 건강영역 (p<.05)<의식주 영역, 일영역, 경제영역, 여가활동영역, 결혼만족도영역 (p<.01)<가족 및 친척 영역, 행복감 영역, 자율성 및 자아감영역 (p<.001) 으로 볼 수 있다.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 각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가족 및 친척을 비롯하여 행복감과 자율성 및 자아감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고부갈등이 높을수록 행복의 만족을 느낄 수 없고 가족과 친척의 관계도 긍정적이지 못하며 개인의 자율성과 자아감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연구대상자인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본 결과 고부갈등, 남편관계만족도, 부인모국문화이해로 설명되어졌다. 이런 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대적으로 고부갈등이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conflicts between foreign female immigrants and their mother in laws influence degree of their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perform the stud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uggested. Study hypothesis 1. How do conflicts between foreign female immigrants and their mother in laws affect degree of their life satisfaction? Study hypothesis 2. How do population-sociology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tudy hypothesis 3. How do conflicts with their mother-in-laws caused by population-sociology factors influence degree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Study hypothesis 4. How do population-sociology factors and conflicts with mother in laws affect degree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relatively. Variables used for this study are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 by their self-recognizable assessment and surveys for 328 foreign female immigrants living in Kyong-gi do. Population-sociology factors have all been excluded to identity how conflicts between foreign female immigrants and their mother-in-laws influence degree of their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y t-test, ANOVA,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conflicts between foreign female immigrants and their mother in law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lives if they have problems with their mother in laws regardless of economic situations. Therefore, relevant experts need to make efforts to help foreign female immigrants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by solving their problems with their mother in laws. Second, among low ranked population-sociology factors, husbands’ efforts of understanding cultures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countries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husband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re family members try to understand foreign female immigrants’ cultures, the higher degree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is. Also, the more they feel satisfied with their husbands, the happier they are. This result implies that family members’ efforts of caring about foreign female immigrants are sincerely required. Besides services for foreign female immigrants themselves, it is necessary for relevant experts, government and civil organizations to take measures for helping the family members recognize different cultures. Third, as for low-ranked factors that affect foreign female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they influenced differently by each category. For the economic category, monthly income, reasons of marriages, the number of children additionally affected. For the marriage satisfaction category, whether or not they live with their husbands’ parents influenced additionally. Also, relationships with their mother-in-laws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each category. On the other hand, for the marriage satisfaction category, monthly income, reasons of marriages, the number of children did not influence. This shows that degree of marriage satisfaction is substantially related to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Fourth, as for degree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conflicts with their mother in laws have turned out to be very influential followed by relationships with their husbands, husbands’ understanding about their wives’ cult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factors affecting degree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s with their mother in laws were important.

      •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류경애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활동보조인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책과 방안을 알아보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지역 활동보조관련 활동보조인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141명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독립변수는 활동보조인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를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요약하면, 성별은 여자가 남자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서는 40∼49세의 연령층이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결혼상태는 기혼이 미혼보다 훨씬 많고, 종교는 기독교가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월수입은 70∼100만원 이상이 가장 많았고, 근무연한은 6개월∼1년미만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고, 근무동기는 경제적 도움을 얻기 위해가 절반 가량 차지하고 있다. 대상자수는 1∼2명이 가장 많고, 근무시간은 일주일에 10∼70시간이 절반이상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활동보조인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이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면, 성별이 남자이고 근무연한이 2년 이상인 활동보조인의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활동보조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성취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면, 성별이 여자이고 근무연한이 2년 이상인 활동보조인의 성취동기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활동보조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면, 성별, 연령, 학력, 결혼여부, 월수입, 근무동기, 대상자, 근무시간의 영향력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종교, 근무연한만이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 하위변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동기적 요인과 정서적요인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동기의 하위변수 중 인지적 요인만이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성취동기의 하위변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성취동기가 높은 활동보조인일 수록 과업지향성, 적절한 위험성, 자신감, 혁신적 활동성, 결과에 대한 관심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변수 중 미래지향성과 자기책임감만이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 성취동기의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만족은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와 정적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이는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가 높은 활동보조인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가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 모두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활동보조인들의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데 개발하는 기초 자료로 활동해야 한다. 둘째, 활동보조인들의 근무연한이 많을수록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은 높았다. 직접적 케어자인 활동보조인이 전문가로써의 역량을 발휘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활동보조인의 임금․복리후생, 교육, 전문성 인정, 대상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근무를 지속시킬 수 있는 활동보조인들의 보수 및 수당의 적정성 확보, 장기근속 장려를 위한 대책 마련, 중개기관과 대상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업무내용의 적절성, 자기발전 및 교육기회 제공 등이 필요하다. 이상의 제언을 통해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고 질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직접지원자인 활동보조인들의 직무의 개선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은영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모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도의 수준을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77, 소진은 2.59 로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직무만족도는 3.08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의 환자관련 스트레스는 3.33으로 보통보다 높은 편이며, 업무관련 스트레스 2.86, 경제관련 스트레스 2.56, 대인관계 스트레스 2.35 순이다. 소진의 감정적 고갈은 2.92,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는 2.49, 성취감 저하는 2.35 로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직무만족도의 업무만족도는 3.22로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직의사R은 2.94로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사항 중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 직업동기, 근무년수, 간병인수 이었다. 건강상태가 보통이하 집단, 직업동기가 경제적 동기일 때, 근무년수가 2년 이상일 때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요양보호사가 돌보는 환자가 많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일반적 사항 중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 직업동기였다. 일반적 사항 중 직무만족도에는 직업동기와 간병인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영역인 업무만족도와 이직의사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업무만족도에는 직업동기, 근무시간과 간병인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이직의사R에는 어떠한 요인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도의 하위영역인 업무만족도에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환자관련 스트레스, 경제관련 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업무관련 스트레스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요인 중 성취감 저하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직의사R에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환자관련 스트레스, 경제관련 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업무관련 스트레스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나, 소진은 어떠한 요인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영역 중 업무만족도에는 직무스트레스, 소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사R에는 직무스트레스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왔다. 전체 직무만족도에는 직무스트레스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제도적인 부분에는 첫째, 본 연구 결과에서 월평균수입이 100만원 미만이 절반 수준이며, 80% 이상이 120만원 미만이었다. 정부차원에서의 요양보호사의 급여의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급여의 지원 뿐 아니라 장기근속자, 우수직원을 위한 인센티브제도 및 포상휴가 등의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과중한 업무에 대한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요양보호사 인원 증원 및 근무시간 제한 등의 과중한 업무를 줄일 수 있는 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요양보호사들은 기존의 간병활동을 하여 근무경력이 많은 사람도 많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근무년수가 평균 1.7년으로 대다수가 2008년 1월부터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받은 후 노인복지 현장에서 근무하는 자가 많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 결과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아직까지 경험이 많지 않은 요양보호사들의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분기별로 요양보호사들의 임상상담이 의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에서 볼 수 있듯 개별적인 상담을 통하여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격려, 위로, 지지해주므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정서적 탈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시설 내 직원들을 위한 휴식공간을 마련하여 근무시간 중 1시간 이내의 운동 및 휴식시간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요양보호사들에게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을 꾸준히 하여야 할 것이다. 노인 환자들을 보다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노인의 특성과 환자의 질병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단계별 교육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