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의 FTA 활용 지원 컨설팅 과제에 관한 연구

        조규찬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DDA negotiations led by WTO is held off, causing most nations to speed up economic unification with others and propel on concluding FTA enhancement with other countries that have common interests and accord with their own profit. In order to reclaim a market oversea and export expansion, Korea simultaneously encourages FTA with 45 countries including EU, U.S and so forth. While FTA develops according to these domestic situations, standardizing the origin of products and identifying procedure remain so ambiguous and complex that in effect it is expected th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can hardly take advantage of it. Moreover, SMEs which is in short of the knowledged as to FTA have a lot difficulties optimizing with its application. With a view to relieving these fundamental challenges, recently either the governmental administrations or private organizations have projected a consulting programmes, only to seldom show up its effect. In particular it's still doubt whether the consulting programmes supporting private groups work and exert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practical fields required by SMEs. Owing to repealing the custom duty and expectable activation on export by seizing an opportunity of the effectivation which is recently major concern of SMEs focusing on trade and export, we need to grope for effective alternatives able to take advantage of practical FTA opportunity through their present conditions and the actual researches. WTO주도의 DDA협상이 각국간 첨예한 이익으로 타결이 지체되면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주변국가와 경제 통합을 가속화하고 자국의 이익과 관심사항이 맞는 국가와 FTA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세계경제 불황에 따른 수출증대와 해외시장 개척을 위하여 동시다발적으로 FTA를 추진하여 거대시장인 EU, 미국 등 45개국과 FTA를 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 사정으로 FTA가 증가하고 있으나, 협정별로 원산지 기준, 증명절차 등이 상이하여 실제 중소기업들이 FTA를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 소규모 중소기업들은 FTA에 대한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FTA활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며 또한 이에 대한 전문지식 등이 부족하여 FTA활용에 애로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공공기관이나 민간부분에서는 중소 기업의 FTA 활용 지원을 위하여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특히 공공부분에서 지원하는 컨설팅이 중소기업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분야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컨설팅이 되고 있는 지도 의문이다. 최근 수출 중소기업의 최대 관심사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를 계기로 관세가 철폐되고 수출 활성화가 기대되는 시점에서 수출 중소기업의 FTA 활용현황 등 실태조사를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FTA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효과적인 대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 쿠폰제컨설팅 지원사업 성과에 관한 연구

        최종영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쿠폰제컨설팅 지원사업을 내실화하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2007년 쿠폰제컨설팅 수진기업(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쿠폰제컨설팅 지원사업 성과평가체계 구축 및 성과분석」기초데이터)을 대상으로 쿠폰제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및 재신청 의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독립변수인 수진업체 계획 요인, 수진업체 실행 요인, 정부 요인, 컨설팅기관 요인과 쿠폰제컨설팅 만족도의 관계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각 변수들의 관계를 검정하였다. 둘째, 독립변수인 수진업체 계획요인, 수진업체 실행요인, 정부요인, 컨설팅기관요인과 쿠폰제컨설팅 재신청 의향과의 관계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각 변수들의 관계를 검정하였다. 셋째, 쿠폰제컨설팅 만족도와 쿠폰제컨설팅 재신청 의향과의 관계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각 변수들의 관계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쿠폰제컨설팅 성과요인이 만족도 및 재신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만족도가 재신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쿠폰제컨설팅 수진기업의 만족도는 투입요소와 산출(결과)요소와 직결되는 수진기업 요인과 컨설팅 기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쿠폰제컨설팅의 제도적 프로세스 등을 담당하는 정부 요인의 상관관계가 작다는 결과를 얻었다. 즉, 쿠폰제컨설팅 만족도는 추진의 주체인 컨설팅 기관과 수진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진기업의 만족도는 결국 쿠폰제컨설팅 결과가 수진기업의 필요와 기대를 얼마나 충족시켜 주는가에 달려있고, 이를 위해서는 컨설턴트가 수진기업의 니즈와 목표를 정확히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산출물에 제공하여야 하며, 수진기업은 충분한 설명을 들음으로써 산출물에 대해 이해하고 컨설팅 기관의 전문성 및 능력, 방법론 및 수행체계, 성실성 및 노력, 사후관리 등에 대해 신뢰하여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둘째, 쿠폰제컨설팅 수진기업의 쿠폰제컨설팅 재신청 의도도 만족도와 동일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만족도와 재신청 의도는 동일한 성과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만족도와 재신청 의도는 밀접한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셋째, 쿠폰제컨설팅 만족도가 쿠폰제컨설팅 재신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만족도에 따라 재신청 의도에 영향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위 결과는 쿠폰제컨설팅 수진기업의 만족도는 쿠폰제컨설팅 지원사업의 프로세스나 참여하는 과정보다는 쿠폰제컨설팅의 결과가 수진기업의 필요와 기대를 얼마나 충족시켜 주는가에 달려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쿠폰제컨설팅을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컨설턴트가 수진기업의 니즈와 목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방향으로 컨설팅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쿠폰제컨설팅 지원사업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find the ways to improve the coupon consulting programme. To this end, an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satisfaction and the re-application reasons for the SMEs which participated in the programme in 2007. Firs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n the programme and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SMEs' plan variables, implementation variables, government variables, consulting firms' variables.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ove-mentioned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application reasons. Thir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n the programme and the re-application reasons. The results show about the programme achievements' effect on the satisfaction and re-application reasons and the satisfaction's effect on the re-application reasons. First, the satisfaction of the SMEs is affected by the SMEs-related variables and consulting firms' variables, which are directly related with input and output variables. And it is less affected by the variables of the government in charge of the programme. In other words,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me is strongly related with the consulting firms and SMEs. The SMEs' satisfaction depends on how much the consulting output can satisfy the SMEs' needs and expectations. Therefore, the consultant have to identify the SMEs' needs and objectives, provide the consulting according to them, while the SMEs listen to and understand explanation, and believe in the consultant's professionalism, methodology,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system. Second, the SMEs' re-application reasons are affected by the same factors as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me. Since the satisfaction and re-application reasons have the same achievement factors, the satisfaction and re-application reasons might have strong relationship. Thir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application reasons of SMEs. This shows that according to the satisfactory level, the re-application reasons differ. The results show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SMEs depend less on the procedures but more on how much the results of the consulting can satisfy their needs and expectations. Therefore, it is showed that in order to substantialize the coupon consulting programme, the consultant must accurately identify the needs and objectives of the SMEs, and the programme must be improved in that way.

      • 기업 재무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쿠폰제 경영컨설팅기업을 중심으로

        전창수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중소기업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업을 통한 사업 참여 중소기업의 재무적 상황을 중심으로 사업 참여 전∙후를 비교함으로써 본 사업의 시행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쿠폰제 경영컨설팅 지원사업의 정책입안 및 시행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2005년도 중소기업 쿠폰제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중 혁신과제 컨설팅부분의 컨설팅을 수행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재무비율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사업참여 이전 및 이후의 재무상황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SPSS 15.K를 이용하여 각 년도별 재무비율을 근거로 쿠폰제 경영컨설팅 사전/후를 Wilcoxon 대응쌍 부호순위 검정법을 기초로 두 표본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그 결과 쿠폰제 경영컨설팅 수행기업들의 재무적 상황에 별다른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매출액 증가율 및 총자산 회전율 등은 오히려 낮아진 것으로 검정되었다. 다만, 부채 비율은 점차 낮아져 경영상태가 개선되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implementation objectives, project properties, supporting scale and sector,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the various economic effects of Coupon System Management Consulting(CSMC), analyzes the dimensions, implementation process, and effect evaluation measures on the coupon system management, and identifi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perspectives of safety, growth, activity, liquidity, profitability ratios through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 test. It has been over a decade since the business consulting services by SMBA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tarted in order to build up competitiveness through support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under the business environment of globalization. By the way,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SMC implemented by the SMBA fully depends on the research of consulting-receivied firms' satisfaction and ignores the improvements in management performance perspectives. And therefore, there is not the proper and empirical evaluation data of management performance revolutions.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sing the practical performance of CSMC by comparing the financial condition for a few years before and behind since the companies entered into to apply for receiving the consulting services. As a resul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research hypotheses were accepted for the most part. Specifically, the hypotheses on the safety, growth, liquidity, and profitability ratios was accepted even at the level of 10%. In the meanwhile, the activity ratios of firm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SMC at the level of 10 %. Especially total asset turnover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SMC at the level of 5 %. Concludingly, the Coupon System Management Consulting policy project seems to affect only the activity ratios of the policy-benefit-received firms but rarely provide the significant effects for them in the perspectives of safety, growth, liquidity, and profitability sectors.

      • 지역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의 전략과제에 관한 연구

        정철용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paper discusses challenges needed to support business strategies to foste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local industry. In order to derive the strategies, it refers a typ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keholders who create jobs in region. Increasing the completeness of the logic, This study were presented uncertainti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strategies task for forming systematic network. With a deductive approach, this paper investigate matters. These matters follow from the proof and empirical evaluation that determined logical bases that related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support for the local industry. This paper indicates the inductive analysis for the importance of plan that concludes detailed countermeasures. 본 연구는 효과적인 기술사업화 및 지역산업 지원사업의 수행에 필요한 전략과제 및 수행계획 도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사업화의 유형 및 지역고용 창출에 연관된 이해관계자들의 규명, 각종 위험요인들 및 불확실성 요소들의 도출, 체계적인 네트워크 조성을 위한 전략과제의 구상을 수행한 것이다. 특히, 연역적 접근법으로 기술사업화 및 지역산업 지원 사업에 관련된 제반 논거와 관련 이론들을 통해 기술사업화 전제조건 들을 규명된 이론분석 결과들을 기초로 실증 및 경험적 평가하여 각종 문제점 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세부적인 대응방안들을 도출하여 행동계획을 구상하였고, 계획의 중요도에 따라 전략과제를 설정하는 귀납적 분석을 병행하는 형태로 절충적 연구결과들을 분석하고 제시 하였다.

      • 민관협력사업 프로젝트의 특성과 전략과제에 관한 연구

        최광문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새로운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원으로 대두되고 있는 해외건설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 도출을 위해 PPP/PFI의 특성, 인프라 개발시장에서 PPP프로젝트 위험 및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FDI 유치국들에 대한 위험들을 이해관계자별로, 효율성 및 사회경제적 차원에서의 측정치를 기초로 유형별 및 수준별로 구분하고, PPP프로젝트의 수행과정에서 초래될 수 있는 불확실성과 측정가능한 위험요소들을 분리하여 체계적 수행계획을 도출할 수 있도록 행위과학적 기반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사례와 수행과정에서의 제반 문제점 및 여건 규명을 통한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This study derives the supporting policies of activating the entry into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s emerging as a key growth-engines. Especially we analyze the properties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Private Finance Initiative (PPP/PFI) projects and identify the risk and determinant factors of PPP projects in the infrastructure development markets as well as the design, build or refurbish, finance and operate(DBFO) plan, and the concept, properties, and action parties of project finance. In addition, we categorize the hosting countries’ FDI risk by the stakeholders, type, and degree based on the efficiency and socioeconomic dimension metrics to generate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plans. We review and forecast the performance trends of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accesses and the regional trends of Korean overseas construction order obtaining records. Concludingly, the PPP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under the systematic plan to perform the activities based on the scientific research results.

      • 소매점포의 중요도-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비교

        김수현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정책방향 설정 및 활성화 계획 수립을 위하여 실증․분석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본 실증연구를 통하여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소비자들이 느끼는 만족도는 대형마트가 재래시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 할 만한 사항은 접근성에서 ‘주차시설’이 두 업태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점포환경이 아직 대형마트에 비해 재래시장이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재래시장은 이두 요인의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중요도-성과 분석(IPA)을 통해 유통업태별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IPA분석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이용하여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만족도가 낮은 영역이 재래시장 3개, 대형마트 1개로 나타나 재래시장이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이 비교적 많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 실시한 정부의 재래시장 활성화 종합계획의 추진으로 기존연구에 비해 많이 개선되었다는 할 수 있으나 아직 주차시설의 확보 등의 접근성, 재래시장의 환경 및 상품가격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suggests an actual analysis to set policy direction and establish invigoration strategy of Conventional Market and General Merchandise Store. This actual analysis shows that customer satisfaction of General Merchandise Store b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Market. Distinctively, accessibility to parking facilities h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m. Also, Conventional Market has yet to be decline of satisfaction compared to General Merchandise Store in store environment. The above two factors can be inferred to be necessary to increase satisfaction of Conventional Market. Strategic im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distribution categories have been drawn through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four regions using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satisfaction, Conventional Market had three lower zones and General Merchandise Store had one lower zone. It suggested that Conventional Market have relatively more focused room for improvement.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has promoted "The General Invigoration Plan for Conventional Market" which has made a number of improvement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since 2006, but consumers still demand more improvements such as accessibility of parking facilities, environment and price. It indicated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promote continuously above policy.

      • 스마트그리드 해외사업전략에 관한 연구

        김범수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비즈니스모형 기반으로 산업간 다각적 대규모 융합을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구축사업에서 지향하는 전략개발기술들의 특성과 사업전망을 분석하고, 스마트그리드사업의 성공요소 및 우리나라 정책 목적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그리드기술에 대한 혁신사업을 도출하여 블루오션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산업이 갖는 기술사업의 국제경쟁력을 국내외 기술개발 및 실용 수준 비교로 측정하고, 그에 대한 전략캔버스 작성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도의 진단과 함께 개척자사업의 요건들을 규명하였다. 제1장은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와 목적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연구방법과 내용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제2장은 국제경쟁력과 가치사슬 및 비즈니스모형을, 제3장은 녹색성장정책 및 탄소배출권과 분산전원 및 해외전력산업모형을, 제4장은 스마트그리드 시장전망과 수출산업화 전략과제를 도출하고, 제5장은 연구결과들의 요약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mplements the identification of attribute concepts and the analyses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grid as the innovative and unprecedented solution to the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the catalyst of fusion and conglomeration business, the key of the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company and SMEs, and the overall-performance optimizing tools through the inherent self-healing mechanism. As well we identify the contents and properties of smart grid destined to the optimal technologies and tools to implement the low-carbon green growth policy for decoupling economic growth from carbon emission through using less energ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moving to low-carbon energy sources, protecting the distributed power sources, designing low-carbon business models, and implementing policies and incentives which discourage carbon intensive practices. And we also analyze the outlooks for world energy demand and their relevant investment to 2035 and provide the forecasts of world, regional, and major country’s smart gird market to derive the optimal market segmentation, targeting, and positioning strategies. Especially, this paper reviews the value chain analysis, competitive triangle, and strategy canvas from micro level to macro level through meso level to derive the new business model through creation of value innovations an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diagnosis instead of the trade outcomes analysis. In conclusion, to get th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 Korean smart grid industry based on the global-leading IT position and strengthen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power industry should design and make the processes on the adequate measures to develop and reinvigorate the smart export marketing capabilities as well as the smart self-healing power grid system, building, transportation, electricity services through the inter and intra industry, large-small and medium B2B consortium. in the perspectives of rigorous cost-benefit analyses.

      •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근로복지 격차해소를 위한 연구

        오유혜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paper is looking for the way for the large and the small businesses, according to enterprise-scale polarization of Labor Welfare-level workers in the era of improved quality of life for the welfare gap resolution of the basic direction and role in welfare policy, and labor productivity in the public sector in conjunction with the Labor Welfare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Korea Labor Welfare schemes were taken to remedy the labour welfare through the abroad(USE, JAPAN)'s Labour Welfare scheme.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the Labour Welfare Corporation proposed improvements that the perform strategic tasks for the transition from the policy direction to the center of the subject, the role of the public sector,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enhancement. 본 논문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기업규모에 따른 근로복지수준의 양극화 시대에 있어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격차 해소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복지정책의 공공부문 역할 및 노동생산성과 연계된 근로복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외국(미국, 일본)의 근로복지제도 통하여 우리나라의 근로복지 개선책을 강구하였다. 주요내용은 우리나라의 근로복지 전략과제에 대하여 수행주체를 중심으로 정책방향전환에서부터, 공공부문의 역할강화, 근로복지공단의 역할기능 강화 등으로 나누어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 농촌지역의 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양갑규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의 주요 동력원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이오메스 생산을 위한 농촌의 현실 및 한계성을 도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원정책 도출을 위해 사회의 결정요인을 규명 및 바이오매스에 대한 그 효용성을 바이오매스 특성과 자원화 접근법을 통한 정의 및 기술적 현황을 도출하였다. 바이오매스 활용의 국‧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각 나라별 장‧단점 및 그 유형을 구분하여 프로젝트의 수행과정에서 초래될 수 있는 불확실성과 측정 가능한 위험요소들을 분리하고 체계적 수행계획을 도출할 수 있도록 농촌지역 바이오매스 자원화 모형과 활용전략 과제를 행위과학적 기반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제반 문제점 및 여건 규명을 통한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ality and limitations of local villages that produce biomass, major driving force of renewable energy, and coming up with polic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followings.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critical factors in society and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biomass, and its technical status.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biomass utilization and identified the good and bad points by nation and its types in order to ease the uncertainties that can occur in the process of a project and measurable risk. Thirdly, in order to come up with a systematic plan,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biomass resource model in the local village and strategic tasks for its utilization from the scientific viewpoint. In conclusion, the active and strateg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country-farm type biomass renewal energy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formulating operational tactical tasks based on the thorough analyses of case study made on the major forerunner and advanced countries and demonstration projects.

      • 중소기업 교육·훈련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김황봉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중소기업 특성에 대한 이해와 기업의 교육․훈련개발 특성 규명과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에 대한 고용 및 교육․훈련개발 지원정책 분석을 통해 중소기업 교육․훈련개발의 문제점과 부진 이유를 기초로 중소기업 종업원의 교육․훈련개발 촉진 대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교육․훈련개발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인식전환, 예산부족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고용보험 능력개발사업과 중소기업 학습조직 공동 구축 지원 사업을 이용하는 방안, 교육․훈련시의 대체인력 부족으로 인한 업무공백 개선방안으로 인터넷 통신교육․훈련과 인력 Pool제도, 사내·외 교육․훈련제도 이용의 적극적 추진을 개선책으로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eek the efficient way to encourage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the workers on the point of the problem and inactivity of the education training development in the SMEs(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through understanding of SMEs' characteristic, searching of the education training in SMEs, and analyzing of support policies for the education training in SMEs. This paper indicates improvements of making full uses of employ insurance potential development projects and aid project for joint learning organization infrastructure for change of the owner's understanding and solution of the insufficient budget on the education training development and on-line education system, human resources pool system, and interior/exterior educ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absence in working because of the shortage of the substitute during the education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