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불안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선옥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inspi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It sought various ways to reduce the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ocess of self-inspiration. For this purpose,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inspiration were verified in th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employment stress, and the overall effect of the mediating effect was identifi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Daejeon, and Chungchung were sampl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major, grade, age, and student loan status. Career decision level, anxiety, employment stress, self-inspiration tools, and demographic questions were used to verify the model. 521 answers of the data were collected, and 489 answers were finally analyzed after incomplete responses and outliers were removed. The SPSS 25.0 program and PROCESS macro program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As for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performed. Direct effect,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regulated mediating effect were verifie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 anxiety, employment stress, and self-inspi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employment stress and anxie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decision level, self-inspi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decision level, and anxie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stress. Also, it was found that self-inspir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employment stress. Second, this study verified whether anxiety mediates the negative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on employment stress. The mediating effect of bootstra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result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employment stress. Third,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that was put in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self-inspi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employment stress, and anx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inspi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employment stress after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ent through anxiety. In other words,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was reduced in the group with low self-inspira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present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stress an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through anxiety. This confirm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employment stres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lthough college students' employment stress may decrease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that the negative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on employment stress was alleviated through anxiet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elf-inspiration can relieve the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riving only universities in Seoul, Daejeon, and Chungcheong-do,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generalize them to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Future study requires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Second, self-inspiration was used as a modulating variab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xiety, and employment str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inspiration was analyzed. In the analysis, it is somewhat limited in identifying the causes between major variable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oint, it is expected that the combination of studies to find out why career decision levels, anxiety, and employment stress differ in subsequent studies. Third, the main influence of self-inspirat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lower college students' employment stress by lowering anxiety and improving self-inspiration. studies to verify the practical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such as anxiety and self-inspiration and follow-up studies applied to various subjects were proposed. Key words : career decision, anxiety, employment stress, self-inspirat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와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며 구체적으로는 자기격려의 과정에 따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로결정수준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의 매개효과와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조절된 매개효과의 종합적인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광역시, 대전광역시, 충청도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성별, 전공, 학년, 연령, 학자금 대출여부를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진로결정수준, 불안, 취업스트레스. 자기격려 도구와 인구통계학적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521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거한 뒤, 최종적으로 48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평균비교분석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불안, 취업스트레스, 자기격려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취업스트레스, 불안은 진로결정수준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격려는 진로결정수준에, 불안은 취업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격려는 불안 및 취업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불안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bootstrap에 의한 매개효과는 진로결정수준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불안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과 불안,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변인으로서의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불안을 거쳐 취업스트레스 단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자기격려가 낮은 집단에서 불안의 매개효과가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취업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불안을 매개로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수준에 따라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감소되기도 하지만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결정수준과 취업스트레스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불안을 통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완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기격려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을 서울, 대전, 충청도 소재 대학만으로 도출한 결과로 전국 대학생으로 일반화한 데는 다소 무리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조절 변인으로 자기격려를 사용하였으며, 자기격려의 정도에 따른 진로결정수준, 불안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 주요 변인 간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다소 제한적이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후속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수준, 불안 및 취업스트레스 등이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병행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불안을 낮추고 자기격려를 향상시켜 대학생이 취업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를 통하여 불안과 자기격려 등 관련 변인들의 실제적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그리고 다양한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인들을 적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 진로결정수준, 불안, 취업스트레스, 자기격려, 조절된 매개효과

      •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최미라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beliefs on their instructional creativity Mi-Ra Choi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ung-Hee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and differences in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by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s 2. What are the difference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Research Questions 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layfulness and the play beliefs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5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th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D and S cities.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r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Cronbach's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One-way ANOVA and Scheffé's post-tes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s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the play beliefs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variable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the cheerfulness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the divergent thinking and behavior was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workplace type, and children age group in charg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cheerfulness, spontaneity, and imagination among the playfulness sub-factor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general knowledge and thinking-ba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s fo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areer, the improvisation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and the general knowledge and thinking-based and the specific-area knowledge-based and skill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cheerfulness and extraordinariness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s. As for the difference by the type of workplace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rovisation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and the intensively performing tasks, the motivation, and causing motivation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yfulness, the play beliefs,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ccording to the children age group in charg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it was found that the playfulness and the play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play beliefs had more influence on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than the playfulnes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verified that the child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In order to promote the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in the future, the playfulness and the play beliefs of the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keyword : playfulness, play beliefs, instructional creativity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최 미 라 지도교수 이 성 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일반적 경향과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D광역시와 S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43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 창의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é 사후검증을 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세 변인 중 놀이신념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쾌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교수창의성은 확산적 사고와 행위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인 배경특성(연령, 경력, 학력, 근무 기관 유형, 담당 연령)에 따른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쾌활성, 즉흥성, 상상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창의성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에 따른 차이는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즉흥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창의성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 특정 영역의 지식기반과 기술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영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차이는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쾌활성, 기발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놀이신념과 교수창의성은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 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는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즉흥성과 교수창의성의 하위변인 중 집중하여 과제 수행하기, 동기와 동기유발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담당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놀이성, 놀이신념, 교수창의성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교수창의성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놀이신념이 놀이성보다 교수창의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증진 시키기 위해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를 토대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신규간호사의 역할 과부하, 동료지지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누리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역할 과부하, 동료지지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7월 26일 ~ 8월 20일까지 이루어졌고, 연구 대상자는 D시, E시, S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며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자로 총 경력 1년 이하의 신규간호사 184명이었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역할 과부하, 동료지지, 간호업무성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역할 과부하는 5점 만점에 3.21점, 동료지지는 5점 만점에 3.91점이었다. 동료지지의 하위영역별 점수는 신뢰로운 동맹 4.21점, 조언 4.05점, 애착 4.04점, 돌봄 기회 3.90점, 사회적 소속 3.34점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성과는 5점 만점에 3.54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업무 수행태도 3.69점, 간호과정적용 3.63점, 업무수준향상 3.59점, 업무수행능력 3.40점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역할 과부하, 동료지지 및 간호업무 성과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할 과부하는 성별(t=-2.51, p=.013), 근무부서(F=8.07, p=<.001), 하루평균 담당하는 환자 수(t=-4.00, p=<.001), 희망부서 배치유무(t=-3.20, p=.002), 자기계발 활동여부(t=-3.07,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업무성과에서는 자기계발 활동여부(t=3.21,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구 대상자의 역할 과부하(r=-.217, p=.003)는 간호업무성과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동료지지(r=.440, p=<.001)는 간호업무성과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동료지지(β=.408, p=<.001), 자기계발 활동여부(β=.160, p=.017), 역할 과부하(β=-.134, p=.047) 순이었고, 이 변수들이 간호업무성과를 23.3%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신규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이 동료지지, 자기계발 활동여부, 역할 과부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규간호 사의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역할 과부하를 감소시키고 동료지지 를 증가시키며 자기계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는 전략들이 개발되 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신규간호사가 간호 대상자들에게 안전 하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여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자료로 사 용하고자 한다.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aiming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ole overload and coworker support on the nursing performance of new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6 to August 20, 2023 from 184 new nurses with a total experience of 1 year or less at university hospitals in cities D, E, and S who provided an informed consent.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role overload, coworker support, and nursing performa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6.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Here is a summary of our findings. 1. The mean role overload score was 3.21 out of 5 and the coworker support score was 3.91 out of 5. In terms of domain of coworker support, the mean scores were 4.21 for trusted allies, 4.05 for advice, 4.04 for attachment, 3.90 for care opportunities, and 3.34 for social belonging. The mean nursing performance score was 3.54 out of 5, with subscale scores of 3.69 for work attitude, 3.63 for application of the nursing process, 3.59 for improvement in work quality, and 3.40 for job performance. 2.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role overload, coworker support, and nursing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le overload by gender (t=-2.51, p=.013), department (F=8.07, p=<.001), average number of patients per day (t=-4.00, p=<.001), desired department (t=-3.20, p=.002), and self- improvement activities (t=-3.07, p=.00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self- improvement activity (t=3.21, p=.002). 3. Role overload (r=-.217, p=.003)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erformance, and coworker support (r=.440, p=<.001)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erformance. 4. The predictors of nursing performance were coworker support (β=.408, p=<.001), self-improvement activities (β=.160, p =.017), and role overload (β=-.134, p =.047),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23.3% of nurs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ajor predictors of new nurses’ nursing performance are coworker support, self-improvement activities, and role overload. Therefore, strategies to reduce role overload, increase coworker support, and enhance support for self-improvement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new nurses’ nursing performance. These findings are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nursing performance of new nurses by ensuring that they provide safe and quality care to patients.

      • 중국 온라인 여행사(Online Travel Agency)의 웹사이트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 재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반기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Today, there is an increasing desire to enjoy leisure activities to get away from busy work life and relieve stress due to more developed economic environment and more open political environment in China. With the development of tourism and Internet technology, travel agencies are now expanding their online operations as well as offline business in order to increase their profits. These travel agencies that conduct business activities through online platform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nline Travel Agency(OTA). As such Internet-based travel industry has developed, there is an intense competition among Online Travel Agency(OTA) which seek to make great efforts to create and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s. As Online Travel Agency(OTA) provides non-face-to-face services in contrast to offline travel agencies, the quality of service they provide to the customers and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become more important. However, while the online consumption on traveling industry has been increasing, research on Online Travel Agency(OTA) is relatively insufficient. From this perspective, the study selected Chinese Online Travel Agency as the target and conduct a research on impacts of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 Online Travel Agency(OTA) on users' trust, intention to reu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order to maximize user’s satisfaction. And the Online Travel Agency(OTA)'s components on service quality were distinguished by information, stability, convenience, reliability and interaction.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components on customer’s trust was analyzed.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ustomer’s trust on intention to reuse. Third, the effect of customer’s trus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examined, as well. For empir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including service quality components, customer’s trust, intention to reus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general demographic survey questions.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the research methods using SPSS version 25, a statistical software. The results of the hypotheses testing are as followings. Hypothesis 1: Information, stability, convenience and interaction among the quality of service components of Online Travel Agency(OTA)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ustomer’s trust. Hypothesis 2: Customer’s trust on Online Travel Agency(OTA)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reuse. Hypothesis 3: It was investigated that customer’s trus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obtain customer’s trust in Online Travel Agency(OTA), firstly,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custom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of "Hypothesis 1-1: Information on Online Travel Agency(OTA) give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s trus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Online Travel Agency(OTA) should provide information that is accurate and updated with the latest information. Second, when a user of an Online Travel Agency(OTA) experiences a problem while using a website service, it has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problem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solve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that can support problem resolution service at any time and promptly, which would maximize customer' s satisfaction. And a rapid response for the customer to solve their discomfort and dissatisfaction is suggested as a way to increase customer 's trust and satisfaction and prevent service failure. Third,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managed safely in Online Travel Agency(OTA) to derive customer 's tru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 security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safety of customer’s information and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urth, it is advised to activate Online Travel Agency(OTA)’s bulletin board. The activation of the bulletin board should reflect the suggestions, opinions and complaints of the customers and maximize customer’s satisfaction through manager’s feedback. And it is possible by considering giving benefits such as mileage or VIP benefits for writing comments on the bulletin board. Fifth,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website of Online Travel Agency(OTA) should be easy and clear to understand by the customers.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ntents of the website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maximize the customer’s satisfaction, intention to reu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conclusion, Online Travel Agency(OTA) should have high service quality on the website to obtain reliable customers. When customer's trust is high, the number of visiting for Online Travel Agency(OTA) becomes more frequent, and this will bring higher intention to reuse and recommend intention. Recently, intensity of price competition among online businesses makes it more difficult for Online Travel Agency(OTA) to generate profits through price competi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ervice quality of Online Travel Agency(OTA)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to achieve customer’s satisfaction. 오늘날 중국은 더욱 발달한 경제적 외부환경과 더욱 개방화된 정치 환경 때문에 바쁜 직장생활에서 벗어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레저 활동을 즐기려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관광업과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지금에 있는 여행사들은 수익 증대를 위하여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영업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에서 사업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여행사들의 플랫폼을 온라인 여행사(Online Travel Agency: OTA)라고 통칭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기반 여행업이 발전하면서 온라인 여행사(OTA)간에 치열한 경쟁이 존재하여 경쟁우위의 창출과 유지를 위한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온라인 여행사는 오프라인 여행사와는 달리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면에서의 차이점(비대면, 이용자의 지역성 등)이 존재하고 비대면 접촉의 서비스가 수행되므로 보다 다양한 이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 품질 관리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온라인 소비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온라인 쇼핑몰에 관한 연구도 많아지고 있지만, 선행연구에 있어 온라인 여행사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국 온라인 여행사(OTA)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온라인 여행사(OTA)가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이 이용자의 신뢰, 재이용의도 그리고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여행사(OTA)의 웹사이트 서비스품질에 관한 구성요인을 정보성, 안정성, 편리성, 상호작용성으로 구분하여 3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서비스품질 구성요인이 고객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고객신뢰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고객신뢰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크게 3개 영역으로 설계되었다. 온라인 여행사(OTA)의 서비스품질 구성요인 16문항, 고객신뢰 5문항, 재이용의도 4문항, 추천의도 3문항,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인구통계학적 특성 10문항으로 총 3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5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중 연령에 있어서는 ‘21∼30세’가 59.6%로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있어는 대학교 졸업자가 68.9%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여행사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대부분 학력이 높은 계층들이 주 고객이라고 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월평균 소득’은 3000∼5000위엔(약50만원∼80만원)이 32.8%로 가장 높고, 또한 ‘직업’에서 ‘회사원’이 31.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웹사이트 온라인 여행사로는 ‘C-trip Travel Agency’가 50.2%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려지고(劲旅智库, 2016)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웹사이트 온라인 여행사에서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로는 항공권/기차표 구매가 59.6%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 1: 온라인 여행사(OTA)의 서비스품질 구성요인 중에서 정보성, 안정성, 편리성, 상호작용성이 고객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설 2: 온라인 여행사(OTA)에 대한 고객신뢰는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가설 3: 온라인 여행사(OTA)에 대한 고객신뢰는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웹사이트 온라인 여행사(OTA)는 고객신뢰를 얻기 위하여 첫째, 가설1-1에서 “온라인 여행사(OTA)에 관한 정보성이 고객의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라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여행사(OTA)내에 올린 정보는 항상 최신 것으로 업데이트 하여 정보에 대한 신뢰성의 확보가 고객들에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들에게 여행정보가 정확하고 필요한 가치가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둘째, 온라인 여행사(OTA)의 이용자가 웹사이트 서비스를 사용 중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바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이나 콜센터에서 바로 장애문제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언제든지 이용자의 문제 해결에 우선순위를 두고, 이용자의 질문에 대하여 바로 응답이 이루어지는 신속한 반응이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고객의 불편과 불만족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서비스실패를 예방하고 고객의 신뢰도와 만족을 높이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온라인 여행사(OTA)에서 이용자의 신뢰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고객정보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보안 프로그램을 세팅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여, 이용자가 안전하다는 믿음을 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온라인 여행사(OTA) 게시판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활성화 방안으로 댓글을 쓰거나 사이트를 다른 사용자에게 팔로우하면 마일리지나 VIP혜택 등을 부여하는 혜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게시판의 활성화는 고객들과의 소통을 통하여 고객들의 제안, 의견, 불만사항을 반영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feed back)을 통하여 고객만족의 극대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온라인 여행사(OTA)의 웹사이트 컨텐츠 내용과 구성이 고객들이 접근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구성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웹사이트 컨텐츠의 차별화와 이용자들의 편리성은 고객들의 만족과 재방문, 그리고 추천의도를 극대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여행사(OTA)가 신뢰도 높은 이용자를 창출하기 위하여 웹사이트의 서비스의 품질이 높아야 하며, 이용자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해당 온라인 여행사(OTA)를 자주 이용하게 되고, 이에 따른 추천을 통한 구전이 이루어지는 연구결과로 분석되었다. 온라인 비즈니스의 가격정보에 대한 공개가 더욱 치열한 경쟁을 일으키고 있어 온라인 여행사(OTA)의 가격경쟁을 통한 수익창출이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온라인 여행사(OTA)의 웹사이트 서비스 품질이 더욱 중요한 경쟁요소로 고객만족의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미정 배재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52명이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배경 특성에 따라 원장 리더십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é 사후검증을 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 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하위변인 중에서 참여형, 위임형 리더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직무만족 하위변인 중에서는 동료들과의 관계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연령, 학력, 보육시설 유형, 보육시설의 원아 수, 보육교사 수, 유아교육기관의 총 경력, 현재 어린이집 근무 경력, 이직횟수) 어린이집 원장 리더십 유형을 살펴본 결과,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시형의 리더십에 대한 인식은 민간 보육시설의 교사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설득형, 참여형, 위임형의 리더십에 대한 인식은 직장 보육시설의 교사가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연령, 보육시설 유형, 현 보육기관 근무경력 그리고 이직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원장의 리더십 유형 중 참여형, 위임형만 직무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보육시설의 효율적인 운영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긍정적 리더십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effect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style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For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Research Questions 2. How is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s 3. What is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2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20.0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Cronb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daycare director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general trends in the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One-way ANOVA and Scheffé's post-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director and thei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s of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dership style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participatory and delegation leadership showed the highest among the leadership sub-variables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showed the highest level out of sub-variables of the job satisfaction. When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style perceived by the teachers was examined by th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factors(age, educational background, childcare facility type, the number of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the number of childcare teachers, total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urrent childcare center work experience, the number of turnovers), only according to the childcare facility typ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style was statistically different. The perception of directive leadership was highly recognized by the teachers in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perception of persuasion, participatory, and delegation leadership was highly recognized by the teachers in workplace childcare facilities.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were found by age, childcare facility type, current childcare facility work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turnov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t was found that only participatory and delegation types among the director’s leadership styl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verified that the leadership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is a variable that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future, as the leadership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i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director’s leadership.

      • 전산보안시스템 구축체계에서 수집한 디지털 증거의 원본성 증명에 관한 연구

        이명진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A Study on the Proof of Originality of Digital Evidence Collected in Computerized Security System Construction System Myung-Jin Lee Department of Cyber Security,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Byoung-Yup Lee) In the past, forensic concepts were used to find evidence by fingerprints, hair, DNA identification, and autopsy in the field of forensics, but with the recent development and use of various information devices, forensic concepts have developed into digital forensic. Currentl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rapid change in the information society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cases where important evidence or data of events are stored in computers and smartphones used as digital information devices. Advanced digital forensic technology is required to collect and analyze evidence. Therefore,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which are investigative agencies, have established departments to investigate digital crimes such as computer crime investigation teams, cyber terrorism response centers, and digital forensic centers. These institutions use large budgets and personnel to collect and analyze digital evidence. Due to this phenomenon, it is widely used not only in judicial institutions but also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even law firms, accounting firms and general enterprises. If it is used by judicial and administrative agencies for investigation or investigation purposes, it is used by ordinary companies to prevent leakage of corporate technology or information, and by law firms and accounting firms to exercise their client's defense rights. However, it is also a reality that digital forensic digital evidence collection is becoming difficult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security systems. It is developing into one of the most important systems for digital devices as it establishes and uses computer security systems not only in many companies but also in computers and information storage media used by individuals. As a result, the computer security system h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and digital data produced by the company will go through various security system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internally prescribed by the company. Computer security systems used by companies can be considered as security management, authentication and password called network security, system security, information leakage and content security control. In addition, for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security, corporate computer systems are managed by many security systems such as security USB, DB security, DLP, security control,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However, if the security system is divided from the perspective of a person in charge of digital forensic research, it can be seen as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DLP (Data Loss Prevention), ECM (Document Centralization) and VPN (Virtual Private Network). In the past, digital evidence collection methods were to collect all images un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computer security system, that is, all data present in digital storage devices and digital storage media. However, as extensive seizures and investigations have begun to cause problems such as large violations of personal privacy and corporate defense rights, digital evidence collection is currently using a method of collecting only data related to events called selective collection. However,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 concept of the original as a method of collecting the entire storage medium, but there was a point where digital evidence collection in selective collection or computer security system construction could cause problems. As a result, many studies are underway on methodologies for selective collection,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originality and identity of digital evidence collected from computers with computer security systems and information storage media.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digital data downloaded to local drives or external storage devices from the security system can also be viewed as the original, and whether digital data from existing original media are unconditional. Currently, digital evidence is collected by a method called screening, but the establishment of a computer security system prior to screening collection causes problems that blur the standards for digital evidence sourc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esent a digital evidence collection plan that clarifies the original standard,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digital evidence collected by the computer security system construction system. 전산보안시스템 구축체계에서 수집한 디지털 증거의 원본성 증명에 관한 연구 이 명 진 지도교수 이 병 엽 배재대학교 대학원 사이버보안학과 과거 포렌식의 개념은 법의학 분야로써 지문, 모발, DNA감식, 변사체 검시 등의 방법으로 증거를 찾는데 이용되었으나, 최근 다양한 정보기기들의 발전과 활용으로 지금의 포렌식 개념은 법의학 형태의 증거만이 아닌 디지털 증거를 다루는 디지털 포렌식으로 발전하였고 포렌식이라는 분야는 디지털 포렌식이라는 개념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정보화 사회로의 빠른 변화는 사건의 중요 증거 또는 자료가 디지털 정보기기로 이용되고 있는 컴퓨터 및 스마트폰 내에 보관되는 경우가 증가 했다. 이에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고도화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수사기관인 경찰청 및 검찰청에서 컴퓨터 범죄 수사대,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디지털 포렌식 센터 등 디지털 범죄를 수사하는 부서들이 생겨났다. 이런 기관들은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많은 예산과 인원을 사용하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사법기관은 물론 행정기관 나아가 법무법인, 회계법인, 일반 기업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법기관이나 행정기관에서는 수사나 조사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면 일반기업체에서는 기업의 기술이나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법무법인, 회계 법인 등에서는 의뢰인의 방어권을 행사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전산보안시스템의 발전으로 디지털 포렌식의 디지털 증거 수집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다수의 기업은 물론 개인이 사용하는 컴퓨터나 정보저장매체에도 전산보안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기의 매우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전산 자료를 보호하는 보안시스템은 기업의 업무 특성에 맞게 발전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전산자료 보안 규정을 두고 절차대로 기업에서 생산하는 디지털 자료가 여러 보안 시스템을 거치며 보관 하도록 변화 되었다.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산보안시스템을 분류하자면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보안, 정보유출 및 컨텐츠 보안 관제라 불리는 보안관리, 인증 및 암호 등으로 볼 수 있고, 네트워크보안에는 웹방화벽, 네트워크방화벽, IDS/IPs, 가상사설망, 통합보안시스템, 디도스차단시스템, 네트워크접근제어와 시스템보안인 시스템접근통제, 보안운영체제, 바이러스 백신 등이 있다. 또한, 정보유출방지 보안에는 보안 USB, DB보안, DLP, 보안관제, 인증 및 암호화 등 많은 보안시스템으로 기업의 전산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포렌식 조사를 하는 실무자들의 관점으로 보안시스템을 구분한다면 크게 문서보안의 용도로 사용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DLP(Data Loss Prevention)라고 하는 매체제어, 개인의 업무용 PC에 자료를 저장하지 못하게 하는 문서 중앙화(ECM), VPN(Virtual Private Network) 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과거의 디지털 증거의 수집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전산보안시스템과는 무관한 전체이미지 즉, 디지털저장장치 및 디지털저장매체 안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광범위한 압수 및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및 기업의 방어권 침해가 크다는 문제점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지금의 디지털 증거 수집은 선별 수집이라는 사건과 관련된 자료만을 수집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저장매체 전체를 수집하는 방법에서는 원본이라는 개념의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선별 수집이나 전산보안시스템 구축 안에서의 디지털 증거 수집은 원본이라는 개념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점이 생길 수 있는 요지가 있었다. 이에 선별 수집에 대한 방법론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산보안시스템이 구축되어있는 컴퓨터 및 정보저장매체에서 수집한 자료의 디지털 증거의 원본성 및 동일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즉 보안시스템에서 로컬 드라이브나 외부저장장치로 다운로드한 디지털 자료도 원본으로 볼 수 있는지 기존 원본매체의 디지털 자료가 무조건적인 원본인지에 대하여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무분별한 증거의 수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건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인 선별 방법으로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고 있으나 선별을 하여 수집하는 방법에 앞서 전산보안시스템의 구축은 디지털 증거의 원본성의 기준이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산보안시스템의 구축체계에서 수집한 디지털 증거가 기본원칙인 원본의 기준을 실무적으로 명확히 하는 디지털 증거의 수집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중국 대학의 헬스 요가 정책 및 전망

        진연가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오늘날 요가 운동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특히 스포츠의 글로벌화 는 요가의 세계화를 견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건강에 대한 인식 강화와 생활 방식이 향상됨에 따라, 요가는 중국 국민들로부터 인기종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즉 요가는 신체 단련 및 정신건강에 유 익한 종합적 운동 종목이다. 한편, 이러한 요가 활성화의 이면에는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중국의 요가 계에서는 관련 규정 및 관리체제가 미흡하여 대내․외 경쟁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요가계가 큰 혼란을 겪고 있는 데, 이는 요가의 급속한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필요악으로서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중국에서 요가의 규정 및 종목 정비는 필수 불가결한 부분 이라 할 수 있다. 헬스 요가는 중국 현지화의 산물이다. 2016년 중국 국가체육센터는 중 국 요가를 더욱 규범화하고 체계화시킴으로써 요가 프로그램이 전 국민의 신체 활동을 더욱 잘 촉진하는 데 일조하였다. 이와 같은 국가체육센터의 ‘헬스 요가'의 공식 출시와 함께 대학교수 및 현장 전문가를 초청하여 중 국 요가 업계의 표준과 관련 정책을 제정하였다. 즉, 요가의 단위제 관리, 코치, 심판, 평가관(晉段官), 헬스 요가 경기장 관리 부문에 법령과 제도 를 상세하게 제정하였다. 현지화의 산물인 헬스 요가는 결코 새로운 유형의 요가는 아니다. 이는 전통 요가를 중국인들의 기호에 맞게 만든 결과이다. 현재 중국의 헬스 요가는 중국 전역에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점차 지역사회체육에서 대학 체육으로 확산, 발전하고 있다. 국가체육총국이 요가 운동을 상세하게 규 범화하고 관리한 이후, 헬스 요가라는 개념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헬스 요가는 중국 국민의 피트니스 요구에 더욱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가 등급 증명서, 코치 등급 증명서, 심판과 평가관 등 관련 증명서의 취득과 요가 경기의 관련 관리가 더욱 규범화됨으로써 요가는 중국에서 점차 대중 스포츠로 발전하고 있다. 대학은 고등 교육을 책임지는 최고의 상아탑임과 동시에 대학생에게는 미래의 꿈, 희망, 비전을 심어주는 터전이다. 즉 대학은 한 나라의 흥망성 쇠의 열쇠를 쥐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심신 건강은 국가의 미래와 민 족의 희망과 직결된다고 볼 수 있다. 대학 체육은 대학생의 신체적, 사회 적 소양 등을 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그 발전 상황은 대학생의 심신 건강과 좋은 운동 습관의 확립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대학생 의 신체 활동 참여는 갈수록 감소하고 있으나 정신건강의 문제, 우울증 등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환경 속에 처해 있는 대학생들 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향상에 대하여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헬스 요가는 중국의 수요와 국가 정책에 부응하여 규범화된 요가 관리 시스템으로서, 학교 체육으로 적합하고 국가의 방침과 정책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스포츠로서 헬스 요가의 발전 정책과 발전 전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대학 체육 개설 과목을 다 면화하고 선택권을 확대하여 대학생의 심신 건강과 조화로운 발전을 촉진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 분석 법, 설문조사법과 전문가 인터뷰법을 사용하였다. 다수의 헬스 요가 관련 선행논문 고찰을 통해 국가, 학교 체육 관련 지침의 법령 제도, 헬스 요가 관련 관리 정책, 전문가 인터뷰를 바탕으로 헬스 요가의 정의, 배경, 발생 원인, 관련 법령, 관리 정책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 대학이 헬스 요가 관련 교육과정 을 더 개설할 것이다. 둘째, 헬스 요가 교육에 참여하는 대학 체육 교원이 증가할 것이다. 셋째, 대학 경기장 시설과 배치 조건이 더욱 개선될 것이 다. 넷째, 대학 스포츠에서 헬스 요가 발전을 위한 정책이 증가할 것이다. 다섯째, 헬스 요가 관련한 과외 자율 체육활동이 증가할 것이다. 여섯째, 헬스 요가장의 별점 인증제가 증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래 체육 관련 학과의 요가 교육과정 개설 및 체육 시장의 다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많은 요가 관련 전문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키워드: 헬스 요가, 대학 스포츠 발전, 헬스 요가 교육, 교육과정, 별점 인증제

      •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중국 물류산업의 문제점과 경쟁력 제고방안

        정문사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31

        2016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한 세계경제포럼에서 언급으로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은 유행처럼 전 세계 키워드로 번지기 시작하였고 세계 각국은 어떤 나라가 4차 산업의 선도하게 될 것인지, 또한 무엇이 4차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인지 발전방향에 대해서 모색 중이다. 과거 3차례의 산업혁명을 통하여 대량생산에서 맞춤형 제품생산이 가능해지고, 효율화된 소량다빈도 운송으로까지 발전해 왔다. 4차 산업혁명은 물류산업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물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수집(IoT), 분석 및 처리(Big Data)와 합리적 판단(AI)이 이루어지고 이를 물류 관련 당사자에게 전달 및 지시(Cloud Computing), 에러 및 오류 없이 실행(Robot)함으로써 인간의 개입 없이 물류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물류산업 트렌드 변화에 독일,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은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중국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물류산업에 대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2009-2016년 중국 사회 물류총비용은 GDP대비 18.1%에서 15.5%로 하락했지만, 사회물류총비용이 GDP대비 약 10%를 차지하는 선진국의 비율과 비교해 볼 때 아직도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8년 세계은행이 전 세계 160여 개국 약 1,200개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평가한 자료에 따르면(World Bank, 2018) 중국의 국제물류 경쟁력지수(LPI: Logistics Performance Index)는 독일, 미국, 일본, 싱가포르와 비교했을 때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분화 된 내용을 보면 운송 가격경쟁력 지수를 제외한 통관 효율도, 물류 인프라의 질, 물류 서비스의 품질, 화물 추적 능력, 일정 달성도 지수가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현 단계 물류발전 전망은 비교적 낙관적이지만 현존하는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어떻게 물류 활용을 통해 최대한 원가를 낮추고 효율을 높이는가 하는 것은 이미 현 단계에서 절박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중국의 물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중국 물류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2018년,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혁명의 변천과 물류의 발전,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의의 및 특징, 제4차 산업혁명이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 제4차 산업혁명 관련 물류산업의 선행연구에 대하여 서술하였고 제4차 산업혁명관련 중국 물류산업에 대한 정책, 핵심경쟁력 변화, 물류산업 현황, 지능물류산업 현황을 살펴보고 독일,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의 물류정책과 거버넌스 및 주요국과 중국의 국제물류 경쟁력 평가 지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업차원에서 제4차 산업혁명 대비 알리바바의 차이냐오, 징동, 화웨이, 순펑 등 중국주요 물류기업의 물류활용 사례분석을 했으며, 미국 아마존, 독일 DHL 등 주요국 선도 물류기업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사례를 분석하였고 중국 물류산업의 문제점 및 해결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제물류 경쟁력 평가 지수 통관 효율도, 물류 인프라의 질, 물류서비스의 품질, 화물 추적 능력, 일정 달성도 등 다섯 분야의 발전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As mentioned in the World Economy Forum in Davos, Switzerland in January 2016,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gun to spread as popularity, and gradually become the key word of the whole worl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ombine physical Systems and networks (CPS: cyberg-physical Systems) together, enabling exchange of information and data among all things and human beings, resulting in the combination of physical supply chains and digitization, including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functions. Countries all around the world are constantly explo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problems, such as which country will dominate the fourth industry and what is the core of it. Als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wid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logistics industry. These includes the whole process of logistics without human intervention like Big Data collection (IoT) made in the logistic process, analysis and processing (Big Data), reasonable judgment (AI), conveying and instruction (Cloud Computing) to logistic related people, and error and correct execution (Robo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ed countries like Germany, America and Japan have been rapidly responding to the trend changes in the logistics industry. China has also endeavored to the logistics industr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2009 to 2016, the total social logistics cost in China decreased from 18.1% of GDP to 15.5%, but when compared with about 10% of GDP in developed countries, it still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According to the World Bank (2018) evaluation data of 1200 logistics enterprises in more than 160 countries, China's 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lags behind Germany, America, Japan and Singapore. Moreover, in terms of the subdivision, in addition to the transport price competitiveness index, customs clearance efficiency, quality of logistics infrastructur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s, goods tracking ability and schedule achievement index are relatively backward. The prospect of China's current logistics development is relatively optimistic, but the existing problems cannot be ignored. In conclusion,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has become an urgent problem needed to be solved now about how to minimize the cost and increase efficiency by applying log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ly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plore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solution of China's logistics industry. In order to propose a scheme that can improve China’s competitiveness of logistics industry in view of the forth industry revolution, this paper 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Using materials in 2018 and 2019, it narrates the change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act of the logistics industry made by the forth industry, and the precedent research of logistics industry relat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analyses the relevant policy of China's logistics industry, the change of the core competitiveness, the current situation of logistics industry and the current state of intelligent logistics industry, which all are relevant to the fourth industry revolution. It also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ogistics policies and regulations of Germany, America, Japan and other major countries, as well as the evaluation index of the international logistics competitiveness among major countries and China. Also, at the enterprise level, it analyzes some examples of how logistics are being flexibly used by some China’s main logistic companies such as Cainiao of Alibaba Group, Jingdong, Huawei and Shunfeng Express, which are deali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same time, it analyses the examples of that by the Amazon in the United States, the DHL in Germany and other major countries. Finally, it leads to the problems of China's logistics industry and the subject need to be solved. In the end, it provides some scheme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in the following 5 terms: the clearance efficiencyof the international logistics competitiveness index, the quality of logistics infrastructure, th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 the ability of goods tracking, and the extend of schedule achievement.

      • 한중 스포츠무형문화재 보호제도의 비교연구

        호효동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is a traditional culture created by a country over a long period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it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contains the memory of a country or human history development. Today, as cultural globalization continues, countries all around the world are increasingly strengthening their awareness of protection for ICH. Therefore, the standardized, systematic and sustained protection system has become an important guarantee of how ICH will continue to be transmitted and developed in the new era, which is also a constant study in academia. Korea and China (Korea-China) have created extremely rich ICH resources over a long history, and both countries have established national administrative protection systems to protect thes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Particularly, Korea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best countries in the world by enacting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1962, the ICH protection and promotion in 2016, and the relevant enforcement measures. China established a management system to protect ICH in 2006 and implemented the law in this field in 2011.Although the systematic protection started late, it developed quickly and achieved some accomplishments. But achieving standardized, systematic, and sustained protection cannot be done overnight. Based on this backgroun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civilized exchange and mutual inspection, excellent experience of Korea's ICH had been investiga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China's ICH protection system are introduced. In this study, using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of the ICH protection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the ICH's theoretical background, legal protection status, protecti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designation system, and teaching educational system were studied. What’s more, examples of specific measures to protect the ICH of Korean and Chinese sports are given. There are three findings in this dissertation: Firstly, the reality of Korea and China is different in many ways, but national ideology has had an administrative impact o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Secondly, Korea established a relatively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egal guarantee system for designation and teaching educational system of ICH, as well as generous financi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mobilized the society, encouraged the community and the public, and social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In addition, sports ICH is protected by legislation related to the 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Sports Council. The procedures and standards for designation and teaching educational system in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ICH protection are very standardized and strict. The protection system of ICH in Korea increased the importance of ICH in society, forming an intangible incentive mechanism, and promoting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greatly. Thirdly, China has formulated and implemented laws and measures to protect ICH, forming a four-level directory protection system for the state, provinces, cities and counties, including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the designation of inheritors and ICH. The transmission of sports ICH is mainly carried out by the inheritors, and the government supports certain aspects such as finance and teaching space. Howev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study with Korean sports ICH, it is found that there are no specific rules and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system of Chinese sports ICH.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inheritors and ICH are ambiguous. In addition, the teaching educational method is simple, and the power of social organizations is not exercised, but only a one-sided action by the government. In view of the three issue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China should draw on Korea's excellent experience in the formulation of special laws or administrative policies for sports ICH, improving the contents of existing ICH laws, protection system and teaching educational system. Regarding the sports ICH taxonomy, it is recommended that Korea consider a taxonomy that satisfies both job management and academic research. The link between the ICH protection and promotion laws for traditional sports will be strengthened further. The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and it include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The second chapter mainly introduces research methodology. 무형문화재(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이하 ICH라 함)는 오랜 역사발전 과정에서 만들어져 대대로 내려오는 전통문화로서, 한 나라 또는 인류의 역사발전의 기억을 담고 있다. 현재 문화 세계화가 계속되는 가운데 세계 각국은 ICH에 대한 보호의식을 점차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규범화, 체계화, 지속적인 보호제도는 ICH가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계속 계승되고 발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보장이 되고 있는 것이 학계의 오랜 관심사이기도 하다. 한국과 중국(이하 한중)이 오랜 역사 속에서 만들어낸 스포츠 ICH 자원의 보존을 위해 국가 행정 차원에서 이와 관련한 보호제도를 마련하였다. 특히 한국은 이미 1962년 문화재보호법, 2016년에는 일반 ICH 보호 및 진흥을 위한 특별법이 시행되었으며, 동시에 관련 패키지 시행 조치가 마련되어 세계에서 ICH 보호가 가장 좋은 국가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중국은 2006년 일반 ICH 보호 관리법을 제정하고 2011년에야 이 분야 법을 시행해 보호 제도화가 늦었지만 발전 속도가 빨라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규범화·체계화·지속적인 보호는 결코 하루아침에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반 ICH보호제도의 우수한 경험을 탐구하기 위하여 중국 ICH보호제도의 현황을 소개하고, 아울러 한중 스포츠 ICH보호제도와 현황을 탐구하여 문명적 교류를 상호감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로 인해 한중 스포츠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의 비교연구라는 주제로 다문화 비교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한중 스포츠 ICH의 이론적 배경, 법제화 보호현황, 보호의 행정기구 조직, 지정제도, 전수교육제도 등의 문제점을 비교연구하고 한중 스포츠 ICH 보호의 구체적인 조치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실정은 여러모로 다르지만 국가 이데올로기가 전통문화유산에 미치는 행정적 영향이 존재한다. 둘째, 한국은 스포츠 ICH 보호지정제도, 전수교육제도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법보장제도, 폭넓은 재정지원, 사회와 지역사회, 일반인, 사회조직단체의 참여를 장려하고 있다. 이 밖에 스포츠 ICH는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협회 관련 법제조문의 보호를 받고 있다. 스포츠 ICH보호제도의 구체적인 시행과정에서 조사, 지정, 전수교육의 절차와 기준은 매우 규범적이고 엄격하다. 한국의 스포츠 ICH보호제도는 사회 전반의 스포츠 ICH에 대한 중요도를 크게 높였고, 보이지 않는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형성하였으며, 전통문화의 전승과 발전을 크게 촉진시켰다. 셋째, 중국은 스포츠 ICH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과 시행방법을 제정하고 시행하여 국가, 성, 시, 현의 4단계 카탈로그 보호체계를 형성하였으며, 여기에는 전승자, 항목의 지정기준과 절차가 포함되어 있다. 스포츠 ICH의 전승은 주로 보유자에 의해 실시되며, 재정, 전수 공간 등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 스포츠 ICH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우선 중국 스포츠 ICH의 보호제도는 별도의 법규조문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전승자와 종목의 지정 기준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재 전수 방식은 비교적 단일하고, 민간 사회단체의 역량을 발휘하지 못한 채 국가의 일방적 행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세 가지 문제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은 스포츠 ICH에 관한 법률 또는 행정정책의 제정, 기존의 ICH 법률내용의 보완, 제도 보호 및 교육체계 표준화, 학교 교육전수 방안, 스포츠 ICH학과 신설 등에서 한국의 우수한 경험을 참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스포츠 ICH 분류체계와 관련하여, 한국이 중국의 분류법을 참고하여 작업관리와 학술연구의 분류체계를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전통 스포츠 개별법과 스포츠 ICH 보호와 촉진법 사이의 연계를 더욱 강화한다. 본 연구는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연구의 문제, 연구의 한계를 포함한다. 제2장에서는 주로 연구 방법과 연구 발상이 소개되어 있다. 제3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관련 개념의 규정, 분류 체계, 선행 연구 등을 다루고 있다. 제4장은 결과와 분석으로 각각 한중 스포츠 ICH 법제화 보호현황, 행정조직기구, 지정제도, 전승교육제도 등을 비교하고 스포츠 ICH의 보호패턴을 예로 들었다. 제5장 본 연구의 결론과 제언을 포함하고 있다.

      •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역량의 매개효과

        조은호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의 중요성과 조직역량이 경력관리행동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보여주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 조직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과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 직무만족도, 조직역량의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특성 변인에 따른 경력관리행동, 직무만족도, 조직역량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역량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현직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조영아(2015)가 개발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한 문항으로는 신선미(2019)가 사용한 문항을 본 연구의 대상과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조직역량은 권혜경(2018)이 사용한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연구 도구의 Cronbach’s a는 경력관리행동 .955, 직무만족도 .928, 조직역량 .949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별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인 보육교사의 각 변인별 경향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등으로 분석하였고 상관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특성 변인에 따른 경력관리행동, 직무만족도, 조직역량 등의 변인 간 차이 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é 사후검증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역량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 분석을 하였고, 매개효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 직무만족도, 조직역량에 대한 경향을 살펴보면 경력관리행동 전체 평균값은 3.347점으로 나타났고 하위변인들의 평균값은 경력탐색행동, 경력전략실행행동, 경력계획행동, 경력평가행동 순으로 높게 나타냈다. 직무만족도 전체 평균값은 3.704점으로 측정되었으며, 하위변인들의 평균값은 관계만족도, 보육업무 만족도, 보육환경 및 복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직역량 전체 평균값은 4.030점으로 나타났고, 하위변인들의 평균값은 조직시스템역량, 조직문제해결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경력관리행동은 직무만족도와 조직역량과 각각 정적상관이 확인되었고, 직무만족도는 조직역량과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특성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은 자격증 취득경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격증 취득경로에서 대학원 이상의 보육교사와 보육교사 양성과정수료, 2∼3년 대학 졸업 보육교사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직무만족도에서 총 경력기간과 근무기관 유형, 직위, 담당 연령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기관 유형은 국공립의 보육교사와 사회복지법인·법인단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세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고 담당 연령에서 혼합 연령과 만 3세에서 만 5세 이하의 연령의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역량은 근무기관유형, 보육교사 직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국공립과 사회복지법인·법인단체 두 집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는데, 경력관리행동은 조직역량, 직무만족도 각각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이었고, 조직역량은 경력관리행동을 정적인 방향으로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조직역량은 경력관리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 test를 통해서 그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과 연계하여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조직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보육 정책적 차원에서는 보육교사가 스스로 경력관리행동을 통해 전문적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능력개발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적·조직적 차원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을 지원하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겠다. 또한 정부 미지원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경력관리행동을 위해 국공립 수준의 재정지원과 경력관리시스템의 구축이 되도록 정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고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 활성화를 위한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겠다. 다음으로 보육 현장의 실천적 차원으로는 보육교사의 경력관리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다각적인 근무지원 환경을 조성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