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 고등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양경진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일본 고등학교의 한국어 교육은 1969년 전후로 시작하여 그 수가 미비하였으나 2000년대로 들어서며 월드컵과 한류 붐의 영향으로 학습자 수는 증가하여 2009년 420개의 학교에서 8448명이 학습하고 있다.(문부과학성 2010) 하지만 그 수는 전체 일본 고등학생의 0.25%에 불과하고 2002년부터 일본대학입시시험인 센터시험에 한국어가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다음 다섯 번째로 외국어영역에 포함됐으나 2010년 센터시험 한국어 영역의 수험생의 수는 167명에 지나지 않았다. 한국어는 일본인에게 다른 외국어에 비해 학습하기 용이하다. 역으로 한국의 고등학교에서 일본어 학습자는 25만 명이 넘는다고 한다. 일본 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에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을까? 그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는 일본 고등학교의 한국어 현황과 일본 고등학생 대상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내용,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고 Ⅱ장에서는 일본 고등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첫째, 일본 고등학교의 외국어 교육 정책과 한국어 교육목표를 살펴보았고 둘째, 일본 고등학교의 한국어 학습자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셋째, 일본 고등학생 대상 한국어 평가인 대학입시센터시험의 현황과, 문항구성, 문항분석을 통해 교재와의 내용타당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일본 고등학생 대상 한국어 교재의 분석으로 첫째, 교재 분석의 필요성을 논하고 둘째, 대상 교재의 선정 및 분석 항목을 설정하여 셋째, 교재의 교수·학습 상황과 외적 구성요소, 내적 구성요소의 분석을 하였다. Ⅳ장은 Ⅲ장의 분석결과에 따른 일본 고등학교의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맞춤형 교육 목표에 대해 둘째, 문법과 의사소통의 혼합식 교수법에 관하여 셋째, 기능통합형 교재로의 전환에 대해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Ⅴ장에서는 본 연구를 정리하며 연구에 대한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Japanese high schools began around 1969. Since then, the number of schools offering Korean education and learners have increased gradually. During 2000s this trend accelerated greatly because of FIFA World Cup in 2002 and HanRyu(Korean Wave). According to official statistics in 2009, Korean education was offered in 420 high schools and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was 8,448 students. However,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s only 0.25% of total high school students. After 2002, even if Korean language was included as the fifth Foreign language(after English, German, French, Chinese) in Japanese University Entrance Test, the number of students selecting Korean was just 167 in 2010. Regardless of many individual experience that Korean language is easy for Japanese to study comparing with other foreign language and long eduction history, the demand to expand and improve Korean education in Japanese high schools is also very strong. To respond this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Japanese high school and Korean textbook and suggest its development alternatives or plan. This study consists of following contents. In the first chapter, research goal and plan is explained and prior research materials which is related with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 analysis is reviewed. In the second chapter, the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Japanese high school and its problem is explained; (1) the purpos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Japanese high school and the goal of Korean education, (2)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Korean learners, (3)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test in University Entrance Test(question composition, question analysis, its relationship with textbook). In the third chapter, the Korean textbook for Japanese high school is examined; (1) the necessity of textbook analysis, (2) the selection of textbook and analysis list, (3)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the textbook, external composition, and internal composition. In the fourth chapter, development alternatives or plan which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hird chapter is suggested; (1) personally adjusted eduction goal, (2) mixed teaching principle of grammar and communication, (3) change into function-integrating textbook. Finally, in the fifth chapter, the whole study is summarized and its contribution and limit is discussed. Key Words : Korean eduction in Japanese hish school. textbook analysis, textbook. teaching principle.

      • 전국 영양교사의 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분석

        경민숙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학교교육 현장에서 영양교육은 성장기 아동의 영양·건강은 물론 삶의 질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학교에서 이를 지도하는 영양교사의 역할에 대한 필요도가 커지고 있다. 이에 영양교육을 주도하는 영양교사에 대한 기초연구가 이루어져야 영양교육이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지역 영양교사의 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분석 연구(이미지,2011)를 기초로 하여, 이를 7개 지역으로 모집단을 확대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양교육에 대한 영양교사의 실태, 인식 및 요구도에 대해 좀 더 일반화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경기 175명, 인천 81명, 대전 108명, 강원도 160명, 전라도 98명, 경상도 75명, 제주 40명 총737명의 영양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인 영양교사는 7개 지역 대부분이 연령 20-39세, 대학교졸업, 10년 이상의 경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영양교육의 실태에 대한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1달에 1회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실시이유로 본인이 필요성을 느껴서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응답이 나타났다. 실시하고 있는 교육 내용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편식교정, 올바른 식생활행동 형성 등이었고, 교육 방법은 가정통신문 배포, 급식시간, 학교 홈페이지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교육 정보 급원으로는 인터넷, 연수 및 워크숍 등에서 얻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데 어려운 점으로는 업무과다 및 기회, 여건의 부족 때문이라는 응답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영양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결과는 성장기 학생들의 영양문제의 경우 가공식품 및 패스트푸드 선호와 편식이라고 하였으며, 교육하기에 적합한 시기는 전 지역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 적용하기에 적합한 교육이론으로는 사회학습이론, 합리적 행동이론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양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전 지역에서 높은 교육 필요도를 요구하였고, 필요한 이유로 양호한 식생활행동(습관) 형성 및 성장기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이 대다수로 나타났다. 교육실시 시 원하는 내용은 전국적으로 영양과 건강 분야가 높았고 교육 방법으로는 조리실습 등의 체험학습과 시청각 자료 활용 강의법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부분의 문항에서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난 것으로 보았을 때, 지역별로 실태, 인식, 요구가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영양교사의 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모든 지역이 높은 응답을 나타냈고 영양교육의 실시에 대한 어려운 부분 역시 지역별로 비슷한 것으로 보았을 때, 전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요구도는 높지만 환경적, 제도적 여건이 원활하게 마련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태가 긍정적으로 개선되길 바라며, 영양교사의 요구에 맞는 영양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청, 학교, 영양교사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겠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전 지역의 영양교사에 의한 학교 영양교육의 질적, 양적 확대를 갖고 올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As school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closely relate to the children’s health, a role of nutrition teachers is becoming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a comprehensive needs for school nutrition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in nationwid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37 school nutritions engaged in school food service of 7 Provinces. The subjects are 175 in Kyunggi-Do, 81 in Inchon, 108 in Daejeon, 160 in Kangwon-Do, 98 in Chulla-Do, 75 in Kyungsang-Do, 40 in Cheju-Do. we used SPSS program for the data analysis. Most of nutrition teachers have school food service experiences more than 10 years, and age 20-39. For the results of school nutritional education’s actual conditions, all most nutrition teachers have conducted it once a month because nutrition teachers felt the necessity of it. The contents of school nutrition education are ‘Balanced Diet’, ‘Healthy Food Behaviors’ and school nutrition methods are ‘School Newsletters’, ‘School Food Meals, School Homepage’. The school nutritional education resources are internet, Training class, workshop. The difficult things to practice the nutritional education are overwork, opportunity, shortage of condition. The nutritional problems for the growth period are preference to fast food and instant food, and deviated food habit. Also, the right period to educate students is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Lastly, the needs about school nutritional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represented highly on every districts for the reason of formation of dietary habits and normal growth development. The desiring contents at the school nutrition education are nutrition and health, and the best way of school nutrition education was activity of cooking and using media materials. To conclude the result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ach regions. However, every district school nutrition teachers said to school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for all students. We noticed that all most school nutrition teachers needs for school nutritional education, but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are not created. Wit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at school could be improved. Also, the educational offices, school, nutrition teacher’s continuous effort should be afforded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at school. Consequently, this research would be good basic source to bring the explosion of nutritional education’s both quality and quantity.

      •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구어 교육 연구

        한선화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구어 교육 연구 한선화 지도교수 지 현 숙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능력 향상을 위하여 뮤직비디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한 연구이다. 한국어 구어 교육에서 뮤직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육적 효용성을 도출하고 교육적 적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에서는 구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말하기교육에서는 유창성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교수기법들을 사용해 왔고, 듣기교육 역시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유형의 활동을 시도해 왔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한국어 구어 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뮤직비디오’라는 매체를 중심으로 한 한국어 수업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중급 말하기 수업을 통해 보이고자 한다. 한국어교육에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의사소통 능력을 이루는 요인 가운데 상대방의 말을 잘 알아듣고 맥락에 맞게 말을 할 줄 아는 상호작용 능력은 현대 언어교육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구인으로 보인다.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음성 언어를 통해서 이루어지기에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상호작용 능력을 키우는 것은 기초적이고도 본질적일 것이다. 이에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한국어 학습의 능동성을 높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교재의 대화문을 단순하게 암기하는 방식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가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이 되어 구어 사용을 시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생활과 관련된 대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더불어 노래를 통한 가사 듣기 활동을 통해 청해력 향상은 물론 스토리텔링 능력의 배양과 한국 문화 학습도 가능하게 하므로 한국어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장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효용성을 기술하고 뮤직비디오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제시하며 대학 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중급 수업에서 뮤직비디오를 실제로 활용한 수업 사례를 보이고 반응을 기술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 방법 및 내용을 기술한 후, 구어 교육 연구와 외국어교육에서의 시청각 매체 활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시청각 매체 활용을 위한 이론적 전제를 마련하고자 시청각 매체 활용을 위한 이론과 교육자로로써 뮤직비디오의 가치와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한국어 구어 교육과 뮤직비디오를 접목하기 위해 뮤직비디오의 선정 기준을 밝히고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할 때 염두 해야 할 교육 원리와 활용 방법들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를 중급 수업에서 실제로 적용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은 ‘도입 단계 - 제시 단계 - 연습 단계 - 활용 단계 - 마무리 단계’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어떻게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기술하였고 그에 관한 반응을 얻기 위하여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보고하였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국어교육에서 뮤직비디오 활용이 주는 교육적 가치와 효과를 정리한 후,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에 대해 약술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매체를 활용하여 구어 교육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고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본고는 효과적인 구어 교육을 위하여 뮤직비디오를 접목하여 한국어 말하기, 듣기, 문화 수업에서의 교육적 효용성을 도출하고 교육 효과를 확인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핵심어 : 뮤직비디오, 한국어 구어 교육, 구어 상호작용, 의사소통 능력

      • 自己成長 集團相談 프로그램이 敎育福祉對象 兒童들의 自己效能感 向上과 社會性에 미치는 效果

        안성숙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自己成長 集團相談 프로그램이 敎育福祉對象 兒童들의 自己效能感 向上과 社會性에 미치는 效果 안 성 숙 지도교수 조 경 덕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자기 효능감 향상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성장 집단프로그램이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의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들을 찾아보고 분석해보며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복지대상 자기성장프로그램은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대전소재 교육복지대상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매주 1회씩 40분간 10회기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검사척도(김아영, 1977)와 사회성 검사척도(정범모, 1971)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프로그램실시 전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해서 회기별 소감문 분석을 통해서 내용을 더 요약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연구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검사 차이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발견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적용으로 교육복지대상아동들에게 변화를 불러왔음을 알 수 있다. 대전은 동서부의 지역적인 격차가 어느 정도 내재되어 있는 곳이다. 프로그램을 운용하면서 교육복지대상으로 선정된 아동들의 현실적인 상황 속에서 오는 열등감이 존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교육복지대상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 부분에 대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이 마무리되면서 자기효능감부분과 학교생활 부분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와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점은 교육복지대상자라는 선정이 아동들의 교육복지프로그램 참여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로인해 아동들이 학교생활적응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제공되는 서비스의 효과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두며 좀 더 조심스럽게 접근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on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 Efficacy Improvement and Sociality Sung-Sook An Department of Consulting and Psycholog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yung-duk 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on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 efficacy improvement and social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up the hypothesis as follows. First,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influence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elf-efficacy improvement. Second,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influence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is, previous researching studies are explored and analyzed then the program is performed by reconstructing and integrating with previous and new studies.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s performed from March 2013 to October 2013 in this study. Daejeon of the target school children, education and welfare of children in the target area of the Children's Center 40 minutes once a week program is divided into 10 sessions were conducted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n schools and local children’s centers located in Daejeon are set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the program is conducted once a week as a format of 10 sessions with 40 minutes. The examination papers for this study use ‘the generally measure self efficacy examination measurement’ (Kimahyoung, 1977) and ‘the sociality check measurement’ (Jeongbeommo, 1971). The data analysis is divided with before performing the program and after performing the program then arranged. In order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analyzing and summarizing of the researcher’s impression essays in every term are perform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analy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to the self efficacy improvement, the verification of pre-post examin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t the significance level, P<.01. Second, the effect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to the sociality of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is revealed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brings a positive change to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The East-West Daejeon is the region where has some local differential to some extent. As operating the program with three groups, the senses of inferiority of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 are detected occurred from their realistic situa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s positively not only to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ed children’s adaptation of their school life but also their self-efficacy improvement. As proved by previous research and this study, the selec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 could be the obstacle to children’s educational welfare program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selecting process may bring some negative impacts to targeted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service give them a help rather than negative impacts, therefore the accessing to the target selection needs more cautious in the process.

      • 방문교육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한국어지도사의 다문화 의식과 효능감 연구 : 대전,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이정희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방문교육 한국어 지도서비스는 이주민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사회통합 정책의 하나로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지도를 돕기 위해 생겨난 제도이다. 이 제도는 여성가족부의 감독하에, 한국건강가족진흥원의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전국에 있는 다문화 가족 지원센터의 주도로 시행되고 있다. 이 서비스에 종사하는 방문교육 한국어지도사는 결혼 이주여성이 한국에 입국하여 최초로 공적이며 지속적인 관계를 맺게 되는 가족 이외의 한국 원주민으로서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지도뿐만 아니라, 한국인 가족과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역할, 가족 간의 갈등을 중재하여 해결해 주는 역할, 이주여성과 상담하는 역할, 이주여성에게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역할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방문교육 한국어지도사의 다문화 의식과 다문화 효능감은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현재 방문교육 서비스를 하고 있는 한국어지도사 대상의 국가 차원의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의 다문화 의식과 다문화 효능감을 설문조사와 대면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다. 둘째, 방문교육 한국어지도사를 대상으로 행해지고 있는 국가 차원교육의 다문화 교육 내용을 분석한다. 셋째, 방문교육 한국어지도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교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알아낼 수 있었다. 첫째, 방문교육 한국어지도사들은 설문조사와 인터뷰에서 국가 차원의 교육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고 답하였으나, 실제로 그들의 서비스에는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실제로 방문교육 한국어지도사 대상의 양성교육과 보수교육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정부 다문화 정책에 대한 홍보, 결혼 이주여성의 출신국 문화에 대한 소개, 다문화 가족이나 자녀에 대한 상담기법,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해마다 다문화 교육이 다루어야 할 교육 내용은 늘어나고 있었으나, 2009년 이후로 같은 내용을 반복하고 있었다. 둘째, 방문교육 한국어 지도사들은 실제적인 서비스 활동을 통해, 다문화 가족이나 결혼 이주여성에 대해 공감하고, 한국인 원주민들에게 다문화 교육이 필요함을 실감하고 있었다. 인터뷰 결과를 통해 이들이 이미 경험적으로 일반인보다 높은 다문화 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설문조사에서는 상반된 견해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이들에게 다문화 교육, 다문화 역량,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적절히 배합된 교육을 통해 자신의 다문화 의식을 정확히 판단하고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한다. 셋째, 방문교육 한국어지도사의 다문화 의식과 다문화 효능감이 사회의 소수집단에 대한 전반적인 인권에 대한 의식고양과, 사회적인 행동의 실현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문교육 한국어지도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을 다문화 시민 교육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the visiting Korean teachers for immigrants and investigating what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establishing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for these teachers. The visiting Korean teacher service for immigrants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aid immigrant brides, as the influx of immigrant brides has increased unprecedently over the past few years. This service has been supervis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t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established by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and practiced by regional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ng centers. The visiting Korean teachers are the first Koreans who would have long-term relationships with immigrant brides other than Korean family members. These teachers teach Korean language, help immigrant brides communicate with their Korean family, consult Korean family of immigrant brides, introducing Korean culture to immigrant brides, etc. Accordingly, their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nd efficacy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which enables immigrants to fully integrate into Koreansocie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hreefold: to examine the conten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visiting Korean teachers; to evaluate th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nd efficacy of the visiting Korean teachers by means of survey and interview; and to find desirable factors for multicultural curriculum for visiting Korea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as follows: the visiting Korean teachers do not think that the education directly helps their activity as visiting teachers, though they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content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m in the survey; the visiting Korean teacher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consciousness than normal Korean people and were strongl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general Korean people;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visiting Korean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towards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항목 분류에 따른 대중문화 콘텐츠 활용 연구

        장영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새로운 대중문화 콘텐츠를 포함한 문화항목 분류의 틀’을 마련하고, 이러한 분류의 틀에 따라 '대중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중․고급 수준의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문화 교양교재에 필요한 문화교수 요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 첫째, 교재의 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대중문화’, ‘전통예술문화’, ‘정신문화’, ‘언어문화’, ‘생활문화’, ‘사회문화’, “기타” 등 7개의 대분류 항목과 ‘대중가요/댄스/공연/K-POP’, ‘대중미술/만화/사진/웹’, ‘영화/TV드라마/TV 프로그램’, ‘신문/광고/기사/인터넷’, ‘대중예술/퓨전’ 등 최근의 대중문화 내용을 담을 수 있는 ‘기타’를 포함한 29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여 ‘새로운 대중문화 콘텐츠를 포함한 문화항목 분류의 틀’을 마련하였다. 둘째, 새로운 문화항목 분류의 틀에 따라 <공연> 조용필-hello(bounce)을 활용한 팬클럽문화(오빠부대) 소개, <TV드라마> 학교 2013(2013, KBS 2TV)을 활용한 학교 교실문화 소개, <리얼리티쇼> 슈퍼맨이 돌아왔다(2014, KBS2)를 활용한 미역국(생일)먹는 풍습 등 문화항목별로 문화 교수요목을 대중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 교수요목을 등급별 위계순서를 고려하여 재배열함으로써 중급과 고급 교재로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제안한 ‘한국 문화내용 분류의 틀’을 전문가들로부터 합의를 이끌어 완성한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문화항목 분류의 틀’에 최근의 대중문화 내용을 담아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문화 교수요목으로 완성하여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provides a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new cultural items, including popular cultural content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choose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cultural items, by using popular cultural contents and to propose a syllabus for foreign college students. In the end of the study, first, seven main categories: Pop Culture, Traditional Art and Culture, Spiritual Culture, Language and Culture, Living Culture, Society and Culture, and Others, and twenty-nine detail items: contents/item, pop/dance/performance/k-pop, Pop Art/comics/photos/picture/web, movies/TV drama/TV program, Newspaper/advertisement/article/internet, Pop Art/fusion (which can have recent popular cultural contents) and Others, were derived from textbook analysis and Delphi Technique to present classification for cultural items in inclusion of new popular culture contents. Secondly, new cultural items’ classification framework introduces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by using popular cultural contents. For example, in use of <performance> Cho-Yong-Pil’s “Hello(bounce)” to introduce fan culture(groupie), <TV drama> School 2013(2013, KBS 2TV) to introduce school and classroom culture of Korea, and <reality show> Superman is back(2014, KBS2) to introduce Korean custom of having Sea Mustard Soup for birthday celebration. Also, those selected items in implication of cultural contents are rearranged in Graded and Hierarchical Order to be applicable in intermediate & advanced level textbook. This research is largely regarded using Delphi Technique by researchers, whose consensus is to propose Korean cultural contents of classification of frameworks. In sum,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proposing classification of framework for cultural item for new popular cultural contents and syllabus for foreign college students in use of popular cultural contents.

      • 다문화교육을 위한 중등교원 연수 개선 방안 연구

        강덕임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다문화학생은 매년 6천명 이상 증가하고 있다. 2014년 현재 다문화가정 학생은 총 6만 7천여명으로 전체 학생의 1%를 훌쩍 넘었다. 다문화가정 자녀가 급격하게 증가하자 교육부는 다양한 다문화교육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방면에서 ‘다문화 친화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다문화학생의 특성을 배려한 ‘맞춤형’ 지원을 늘리고 있다. 그렇지만 정작 학교 다문화교육을 이끌어가는 교사를 위한 교육, 즉 다문화 교사교육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성장하고 진학하여 이미 공교육 현장에 들어와 있는데, 이들을 가르치는 일선 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전문성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그리고 가장 일반적인 교사교육 방법인 ‘교원 연수’를 통한 교사의 다문화교육 전문성 함양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다문화교육 교원 연수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논의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다. 한국 사회의 다문화 사회 진입에 따른 다문화 사회의 특징 및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를 분석하였다. 다문화교육 대상자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종류 및 실태를 알아보고, 다문화교육 교원 연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중등교원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현재 이루어지는 다문화교육 교원 연수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중등교원 연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다문화교육 모델 사례를 제시하여 일반 학교에서 본받아야 할 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중등교육 현장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다문화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원 연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원 연수의 개선은 내용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다문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함양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 함양에 보탬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중등교원 연수의 중요성을 강조한 현장 중심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Korean Society is fast becoming multicultural. According to statistics issued by Ministry of Educatio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outh Korea is growing by 6,000 every year. As of 2014,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about 67,000, well over 1% of all students. With the dramatic increase of the number of multicultural children,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multiculture-related policies, trying to establish a ‘multiculture-friendly’ cooperative system in many areas and provide more and more ‘personalized’ support service adapted for their special needs. However, the actual teacher education for multiculture education, which is for the teachers who are supposed to lead it in the field, has not been sufficient. While the multicultural students have already grown up and been part of public education system, the teachers’ professional skills are not pacing with the situational change. This study was initially designed on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e education. Additional focus was given to how to help teachers develop their professional skills through teacher training, the most generalized program for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and aim of the study were stated and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were discussed. In Chapter Ⅱ,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was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necessity for multiculture education were also included.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teacher education for successful multiculture education was emphasized. In Chapter Ⅲ, teacher training programs currently available were analyzed. The analysis included the types and situa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who are the recipient of the multiculture education. Followed by it was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currently available for multi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on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 In Chapter Ⅳ,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secondary teachers’ program for multiculture education were presented. At first, various education models and desirable cases for general schools were discussed. Then, suggestions were made on how to improv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e education to develop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skills. The suggestions were specified both in the aspect of contents and of government policies. Finally, in Chapter Ⅴ, what was discussed in the study was summariz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It is an urgent and important task to provide more efficient teacher training program that can broaden teachers’ professional skills for multiculture educa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some helpful tip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e in multiculture education by providing improvement plan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 field stud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successful multiculture education.

      • 매스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은유표현 연구

        나수경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은유표현은 문학 작품에서만 쓰이는 수사적인 기법이 아닌 우리의 일상 언어에서도 널리 쓰이는 보편적인 언어 현상으로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은유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이는 우리의 삶을 반영하고 있는 매스미디어인 광고, 드라마, 영화, 신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어를 학습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학습 도구인 교재에서는 다양한 은유표현을 찾아보기 힘들다. 한국어 학습자가 교재에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은유표현을 문자적으로만 이해하게 된다면 한국어 학습자는 오류를 범하게 되고, 혼란을 겪게 된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목적은 일상회화, 학문연구, 공식 업무 처리 등 다양하지만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인에 준하는 발화 수준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고급한국어로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본 논문은 현대 한국인의 삶과 친숙한 매스미디어에서의 유형별 은유표현을 살펴보고 난이도 별로 분류하여 현장 수업에서 교재 단원의 주제나 내용에 맞는 은유표현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은유표현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통해 은유표현에 관한 전반적인 논의를 검토해 보았다. 제 Ⅱ장에서는 서울대학교 「한국어」1~4권, 한국어외국어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1〜4권, 총 2종 교재의 은유표현 현황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교재에서 은유표현이 다양하게 다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매스미디어에서의 유형별 은유표현을 분석하고 난이도 별로 분류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매스미디어에서 나타난 유형별 은유표현 중에서 대표적인 은유표현을 대상으로 그 용례와 원 개념, 관계어를 분석하여 난이도 별로 분류하여 목록화 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 은유표현은 간과해서는 안 됨을 주장하였고, 매스미디어에서 나타난 은유표현을 모두 교육에 활용하고자 함이 아닌 교재의 방향과 목적, 단원의 주제와 내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하여 학습효과와 한국어 능력 향상을 기대하고자 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다양한 교재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과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지 못 한 점을 들 수 있다. 은유표현은 언어 교육에서 언어능력향상을 위해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므로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다양하고, 체계적인 은유표현 연구가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Metaphorical expressions are used not only as rhetorical techniques in literature but also as everyday language use in our daily life, commonly used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by Korean native speakers. In addition, reflecting our lives, metaphorical expressions can be confirmed in a wide variety of mass media, such as commercial advertisements, soap operas, movies, and newspapers. However, it is hard to find these various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extbooks,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learning instrument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As such,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n make a mistake and get confused if they understand everyday metaphorical expressions only literally based from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extbook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ir goals of learning Korean can be diverse such as effective communication for everyday conversation, completing their study in Korean, and dealing with official works in Korea; however, their ultimate goal is to achieve their performance of Korean as great as corresponding to that of native Koreans and to communicate effectively in Korean in an advanced level. Therefore, in an effort to fulfill this go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seek metaphorical expressions in mass media familiar with modern Korean life, based on their types and second,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level of difficulty in order to have learners use them in a classroom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me or content of each lesson unit. To complete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s: Chapter Ⅰ presented the purpose, necessity,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lso, overall discussion on Metaphorical expressions was provided in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Chapter Ⅱ investigated metaphorical expressions used in two different textbooks such as「Korean」Vol. 1~4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n for Foreigners」Vol. 1~4 published b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etaphorical expressions were not covered diversely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pter Ⅲ analyzed types of metaphorical expressions used in mass media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level of difficulty. Chapter Ⅳ selected typical metaphorical expressions used in mass media, analyzed their examples in use, prototype and realm, and listed them after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ir level of difficulty. Chapter Ⅴ suggested that metaphorical expressions should not be overlook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mprove proficiency in Korean. In addition, it pointed out all metaphorical expressions used in mass media do no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be used in language education, but they should be made use of according to direction and objective of textbooks in addition to theme and content of lesson unit in order to achieve learning effect and proficiency in Korean. De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t could not analyze a wide range of textbooks and detailed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was not made to be present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Future study should include diverse and more systematic study on metaphorical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it is an indispensible part to improve language proficiency in language education. Key words : Metaphorical expressions, mass media, Korean textbook, Level, frequency standards, condition of metaphorical expression, universality

      • 읽기 텍스트를 활용한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유미정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외국어 쓰기 교육의 접근법 중 과정 중심 쓰기 접근법과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을 중심으로 읽기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어로서 한국어 쓰기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쓰기 능력 향상으로, 한국어 담화 공동체의 요구에 부합하는 학습자의 텍스트 산출이 구체적인 교육 목표가 된다. 이를 위해서는 쓰기에 관한 지식 중 한국어 텍스트의 수사학적 구조, 장르별 특징 등에 대해 전략적으로 교수․학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 텍스트를 활용하여 한국어 텍스트의 수사학적 구조, 장르별 특징을 교수․학습하고, 이를 다시 쓰기 교육으로 연계하여 학습자의 텍스트 산출을 돕는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본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 결과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교수법을 중심으로 고급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쓰기 교실 수업에서 구체적으로 활용 가능한 전략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쓰기 교육의 원리와 목표, 과정 중심 쓰기 교수법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장르 중심 쓰기 교수법 및 텍스트의 장르 구성 요소가 되는 텍스트의 유형과 구조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읽기 텍스트를 쓰기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근거로 읽기와 쓰기에서의 텍스트의 기능과 의미를 살펴보고, 읽기 및 쓰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텍스트 지식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텍스트 분석 기준을 토대로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이와 함께 읽기 텍스트 선정 원리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교육 내용 및 읽기 텍스트 선정 원리를 바탕으로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 활용할텍스트 유형별 장르 분석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들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내용, 읽기 텍스트 선정 원리, 텍스트 유형별 장르 분석 활동을 중심으로 한 장르 중심 쓰기 수업 모형을 보이고, 구체적인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담화 공동체가 요구하는 특징을 갖춘 텍스트의 생산을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실효성을 검증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며, 후속 연구로 텍스트언어학, 수사학, 대조언어학 등의 인접학문을 연계 및 활용하는 다양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 장르 중심, 쓰기 교육, 텍스트, 읽기 텍스트, 텍스트 분석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of Korean writing education utilizing reading texts. This is based on a genre-based writing approach that is integrated with a process-based writing approach. The objective of learning to write with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to improve the student's communicative writing competence to produce content that corresponds to native Korean discourse community standards. The method needs to educate the student with specific knowledge associated to writing such as rhetorical structures and genr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xt. These are significant to develop an effective writing ability for foreign students.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of genre-based Korean writing education utilizing reading texts. The content of this paper was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this study examined the purpose and need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It reviewed that most studies are for advanced students who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focus on a process-based approach. It showed that methodical studies need to be studied further.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as examined. It investigated the principles and objectives of writing education. Then, it evaluated a genre- based writing approach that was integrated with a process-based writing approach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Finally, it described the types of text associated with these writing approaches. In the third chapter, as the basis of utilizing reading text to teach writing,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It considered text as content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In the fourth chapter, this study sorted the contents to teach for a genre-based Korean writing education. Additionally, it suggested principles to help select reading text to utilize in writing. Furthermore, it showed lesson plans and teaching materials for the application of genre-based Korean writing education utilizing reading tex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suggested a methodical strategic educational method to produce Korean text with characteristics that correspond to native Korean discourse community standards. This method aim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students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owever, this study didn't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in a real class. Further studies on Korean writing educational methods need to be conducted with related sciences such as: linguistic text analysis, rhetoric, and contrastive linguistics. Key words :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text, reading text, analyzing text

      • 초등과정 KSL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내용 선정 연구

        이승빈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With the ultimate goal of helping Korean second language (KSL)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to adapt to Korean culture smoothly at school and in their daily life, this study aims to select appropriate content for education in Korean culture to help KSL learners develop their cultural skills. Chapter I states why this study is necessary and its purposes.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the study method and procedures were describ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ntent for education in Korean culture aimed at KSL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s. Chapter II examines th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which comprised KSL learners with migration backgrounds. We examined the concept and status of adolescents with migration backgrounds. The and education of these adolescents showed that while the number of adolesc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creased every year, enrollment rates at higher-level grades and schools had slightly declined. This was not because KSL learners lacked learning or cognitive skills, but becaus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were not adequate, which affected their knowledge of other subjects and led to poor performance. We believe that education in Korean culture should be provided to children who move to Korea from other countries during school going age, children with non-Korean parents who are born in Korea and experience linguistic and cognitive difficulties as Korean is not spoken at home, and children from minority marriage immigrant families whose teachers feel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y coping with the elementary school syllabus. It is well known that “measures to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plans and implements every year to help groups requiring study help, are not enough to help such children; this study proposes possible content categories and elements of Korean culture to include in basic education in Korean culture intended for KSL learner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Chapter III, we conduct an assessment of the and needs of KSL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determine suitable content for education in Korean culture. We examin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in three Offices of Education and four elementary schools and analyzed the content in textbooks on Korean cultural education. We then carried out a “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KSL learners to select item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which should be prioritized for KSL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s. We also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dentified and ranked the priorit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ir responses. Although they co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every elementary school KSL learner bears the psychological burden of having to adapt to Korean society, school life, and academic system. This emotional burden may cause some to deviate from the regular Korean curriculum when growing up. To help KSL learners adapt to Korean society, it is important to review Korean culture, identify which items of Korean culture should be prioritized, and teach only these selected items. This study. 본 연구는 국내 초등과정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에 있어 어려움 없이 한국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그들의 문화 능력을 키우기 위한 문화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방법과 절차를 기술하였다. 기존 연구를 통해 과거보다 학습자별 한국어(KSL) 교육과 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가 다양해진 것은 알 수 있었으나 초등과정 KSL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내용 연구는 미비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KSL 학습자 즉 이주배경청소년의 현황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이주배경청소년의 개념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들의 분포 현황과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을 때. 해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청소년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학교별 진급과 진학률이 다소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이들이 학습능력이나 인지능력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한국어 능력이 좋지 않아 정규 교과 지식 측면까지 영향이 미쳐 이로 인한 학습 부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령기에 갑작스레 한국으로 편입된 중도입국 자녀와 국내에서 출생하였지만, 부모가 모두 외국인이라 언어와 인지 능력에서 어려움이 있는 외국인가정 자녀, 소수의 결혼이민자 가정 자녀까지도 아직 한국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호소하는 만큼 이들을 위한 문화 교육이 이루어져 함을 언급하였다. 한국어 능력과 문화의 지식이 부족한 중도입국과 외국인 학생 경우,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운영 및 입국 초기 통합교육의 어려움, 이주배경·문화적 다양성을 살린 강점개발 및 정서 지원 부족, 지역사회 내 기관 간 사업 중복으로 인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매년 ‘다문화 교육 지원 대책’ 방안을 마련하여 교육의 사각 틀에 놓여 있는 소외계층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일반 초등학교에서는 교육환경과 인력 부족으로 인해 한국어학급이 편성되어 있지 않아 KSL 학습자에게 교육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기도 하다. 그래서 일반 초등학교에도 KSL 학습자가 있다면 기본적인 한국문화 교육 내용을 가지고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문화 분류 및 문화 항목을 선정하게 되었다. III장에서는 초등과정 KSL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실태 조사 및 요구 조사를 시행하였다. 먼저 3개 지역의 교육청과 4개의 초등학교의 한국어 교육 및 한국문화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한국어 교재 내 문화 교육 현황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초등과정 KSL 학습자를 위해 먼저 교수 되어야 할 한국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한국인 초등학생과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어떤 순위로 한국문화 교육을 진행하면 좋을지 대한 경향도 파악하였다. IV장에서는 한국문화 교육 항목과 내용의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고 선정의 실제를 나타내었다. 초등과정 KSL 학습자들은 출생배경이 다양할지라도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과 학교생활, 학업에도 적응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이 있다. 또한, 성장하면서 자아와 불안정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정서적 부담 또한 생기기 때문에 한국 정규교육과정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적응을 위해 한국문화를 검토하여 먼저 알아야 할 문화 항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교육현장에서 반영되어 교육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과정 KSL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고, 선정된 항목을 빈도수에 따라 차례대로 배열함으로써 우선으로 교육되어야 할 한국문화 분류와 항목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