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전남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장중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은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 및 전반적인 분석과 통계, 체계적인 목록의 미비로 연구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중 필요한 논문 목록을 찾고자 할 경우 학위 논문에 따른 적절한 통계자료가 없음으로 논문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장르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논제 분석을 통하여서 여러 각도로 논문의 연구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헌의 목록 및 기초적인 정보자료를 제공하려는 뜻에서 이 논문의 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의 교육현황, 교육목적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제출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학교별 장르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분석을 각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전공의 논문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논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아가 음악 연구자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참고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나라 논문 분석자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Whole count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student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research direction set by existent music pedagogy master's thesis tendency and general analysis and figure, unpreparedness of systematic list at research process of master's thesis in present that new research about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abuzz. Specially, there is difficulty this to find treatise data that there is no suitable statistical data by thesis in case wish to find necessary treatise list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refor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established subject of this treatise in intention to make out list by genre, and offer list and basic information data of basic literature so that can grope research direction of treatise by several angles through subject analysis. First,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ducation purpose Second, divid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course treatise by 14 genres and examined contents that is the details Third, Kwangju Cholla-nam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es that is submitted from 1983 to 2002 presenting result that analyze genre analysis, school analysis, access tendency analysis of genre subject each tables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pedagogy treatise tendency analyze. It is desir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superintendence of the degree thesis related to music education shall become the good information data for Gwangju Jeonnam music education circles. In order for our music pedagogy field to be hardened as an academic learning, our study attitude should be progressive and creative to new theories, and ceaseless study and effort to study on the ultra-modern theories of foreign countries so that they can be ours. When such efforts continue, our music pedagogy shall hvae a firm foundation.

      • 여대생과 교육대학원생의 혈액성상 비교

        박희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년생이 19.6세, 3년생이 21.7세,교육대학원생이 29.8세 였다. 신장과 체중은 2년생이 161.2㎝, 54.2㎏, 3년생이 160.5㎝, 49.6㎏, 교육대학원생이 159.5㎝, 55.8㎏으로 나타났다. 신장은 교육대학원생, 3년생, 2년생 순으로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지만, 체중은 3년생, 2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높았고, 3년생은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함량 및 AI지수는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총 단백질 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lasma nitrogen urea(PUN)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p<0.05) Uric acid(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Total bilirubin 함량도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Glutamate oxaloacetate trsaminase(GOP)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phosphokinase(CPK)함량도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서로 낮은 경향으로 특히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Alkaline phosphatase(ALP)함량은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특히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무기질 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p<0.05). 또한 calcium(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뇨 중 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뇨 중 K는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뇨 중 Na는 3년생, 교육대학원생, 2년생 순서로 높았고, 3년생은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뇨 중 Cl도 교육대학원생, 2년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교육대학원생에 비하면 현저하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신장은 낮으나 체중이 높게 나타났고,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Urinary chlorine 도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뇨 중 amylase, 총 단백질, BUN, UA, TBIL, 뇨 중 UA, 무기질, Ca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sophomor : S, n=20), Third years: T, n=20) and educational graduate school: E, n=20) were observ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were also analyzed. the mean anthrophometric values for S group, T group and E group were heights of 161cm, 160cm and 159cm, respectively, and weights of 54㎏, 49㎏ and 55㎏, respectively, weights of the T group was much lower than the E group. The mean BMI(body mass index, ㎏/㎡) and body fat rate(%), which are obe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E groups than the T group. Mean blood LDL-cholesterol, AI(altherogenic index), urinary chlorine levels of the E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T groups. But, mean blood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bililubin, inorganic phosphorous, calcium and urinary amylase, uric acid levels of E group significantly(p<0.05) lower then the S and T groups. As a result, the age went up effected the biochemical nutrtional status for the subjects.

      •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 연구 : 목포권의 산업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김성원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새로운 국제기술 질서의 재편과 관련되어 우리 나라가 처해있는 경제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 발전이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의미에서 목포권의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과 산업체를 중심으로 사전 문헌고찰을 통해 산학협동의 기본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포권의 제조업체 대표와 종합대학의 산합협동과 관련있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사회과학 통계기법 가운데 하나인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목포권의 산합협동의 실태,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고 분석한 결과와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학협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는 첫째, 산학협동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학계와 산업체 모두 알고 있었다. 둘째, 산학협동에 대한 필요성과 이점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는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는 ⌜산업체에 대한 이해 및 현장감 증진의 계기⌟와 ⌜산학현장의 기술상 애로 사항 해결⌟이라고 하여 대학과 산업체와의 인적 교류 측면에서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산학협동의 중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는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이며 그 역할을 잘 이루어지고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목포권의 산학협동에 관한 실태 인식에서 잘 이루어진다라고 견해보다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견해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산학협동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의 소극적인 자세라고 응답하여 산학협동의 원칙인 자발성의 원칙이 중요시 되고 있다. 다음으로 산합협동의 문제점을 형태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수의 산업체 강의는 산업체에서 교수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둘째, 산업체 인사의 대학 강의는 학교에서 산업체 인사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에 산업체 인사 참여는 산업체에 의한 문제점보다는 대학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현장실습은 ⌜산업체와 대학의 현장실습 목포의 괴리⌟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산업체 위탁생 교육은 ⌜산업체 위탁생에 대한 학자금 보조, 근무시간 단축 등의 배려가 미흡⌟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장학금 지급은⌜선발된 우수 학생이 장학금을 받게 하고, 졸업 후에는 장학금을 지급한 산업체에 취업하도록 하는 조치가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일곱째, 대학과 산업체간의 실험기기 및 시설 대여는 ⌜산업체의 실험기기 및 시설이 이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정이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아홉째, 대학에 대한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은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하는 산업체에 대한 면세등의 혜택이 미흡⌟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권 산학협동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학 측에서 산업사회의 발전에 맞는 인력 양상을 위한 유연한 교육과정 개발에 노력해야 하며, 현장 실습의 대상 사업체 선정 기준 및 교수의 의식 전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체 측에서는 졸업학생에 대한 인턴제 활용을 통한 우수 인력 확보에 노력해야 하며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인식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인재 육성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하고, 정부에서는 중재를 위한 노력과 제도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object this thesis is to promote technical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at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achive the thesis' object, the followings have been done; first, the need for this study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n,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re surveyed, which are from the recofnition which university professors and industrial workers has abou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Mokpo Area. Next, som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are suggested. Finally the rational university-industrial cooperation methods which are outlined to the industry stucture in 21C; This Thesis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activate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system; University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a flexible curriculum which are suitable to foster industry which the intern studeunt will practice, and the professor's consciouness on cooperation system are converted. On the other side, industry should make an effort to secure an excellent worker through the intern system. And, above all, a positive evaluation on local university of industry must be made. However, the mutual efforts of both university and industry are crucial for those suggestions to be effective.

      • 목포대학교 학생들의 금융이해력과 대학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신성숙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목포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필요 영역 등 금융분야 선호도를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 및 이용교육 경험 여부와 연계하여 금융교육 제공기관으로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의 한 방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금융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이 도서관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외 금융교육의 동향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에 관한 최근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에게 필요한 금융교육 프로그램 제공기관으로서의 대학도서관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구의 대상이 되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은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대학생의 금융 분야 선호도 및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현황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은 실효성 있는 대학생의 금융교육 실태와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을 얻고자, 목포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도서관 이용실태, 금융교육의 필요성,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대학도서관 개설에 대한 타당성 등 다섯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정보 제공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사회 봉사적 역할을 강화하여, 일차적으로는 대학생들에게 나아가 여력이 된다면 지역주민에게까지 유용한 교양 프로그램 특히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둘째, 금융전문 사서가 금융교육을 담당하여 제공한다. 대학도서관은 기존의 도서관 이용교육에서 나아가 평생학습기관으로서 교육적인 역할을 강화하고, 이용자를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 일환으로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금융관련 자료를 도서관에 비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거나 또는 대학생과 지역민에게 금융전문사서가 금융교육 관련 교양 프로그램이나 학습동아리를 운영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금융교육 뿐 아니라 더욱 다양하고 유용한 교양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모색하여 대학도서관을 활성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Based on the financial education of mokpo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investigates undergraduates and then makes the financial information needed by the library as the targe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six part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est and attitude of financial sector, library’s use situation, the necessity of financial education, library’s financial knowledge. Using SPSS18.0 statistical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paper makes reliability test. In additiona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ach survey area, the paper makes range analysis of students in each specialty and in each grad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alysis are that, the more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financial education, th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financi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al, once the library opens courses in related financial education, the students, including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and regardless of high and low ages, all like to take part in the courses. According to above contents, the best solution of university library is as follows: first, strengthening library’s education function and community services, and opening financial education courses; second, financial professional official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finan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find out diversified education plans, and improve activate use of university library not only in the field of financial education, but also in all sorts of fields.

      • 지역중심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운용실태와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 목포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정용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도서관은 교육 및 학문 연구 등 대학 본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대학발전을 선도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중심 국립대학과 지방거점 국립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예산운용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지역중심 및 지방거점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 운용 실태를 분석한 후, 다시 지역중심 국립대학 중 순천대학교와 지방거점 국립대학 중 전남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현황 및 예산 운용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현황으로는 조직 및 인원, 장서개발 및 확충, 시설확충, 이용자서비스 등 4개 분야를 들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를 통해 개선방안으로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포대학교의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가 되는 4개 분야의 실태를 진단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 그리고 예산확보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및 인원을 확충해야 한다. 지역특성상 목포대학교는 해양․역사분야 주제전문사서와 디지털 도서관 인적 인프라로써의 전산전문요원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유사규모의 지역중심 국립대학의 수준에 맞추기 위해서는 장서개발 및 확충을 해야 한다. 셋째, 시설 확충 등 환경개선을 해야 하며, 지하 보존서고의 설비 개선을 해야 한다. 그리고 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 해결 및 IT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이용자를 위한 제2도서관 신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며, 학술정보 이용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유학생을 위한 도서관 이용안내 프로그램 개발과 정기적인 이용교육을 실시하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로 구축된 홈페이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열린 도서관 운영을 활성화하여 확대 실시하며 특성화자료 열람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이 대학도서관 예산확보 방안이다. 방안으로써는 먼저 목포대학교 도서관이 대학 내에서만 머물지 말고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서, 인근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이다. 다음으로는 대학구성원들에게 대학도서관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이 대학본부의 각종 예산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참여 하여 예산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중요한 사안들을 이행하기 위하여 도서관이용자의 요구도 중요하기 때문에 대학구성원들에게 주요 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한 후 이를 근거로 예산을 편성하여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동문, 기업 등을 상대로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이와 같이 4개 분야의 예산 집행의 개선방안과 위에서 언급한 예산확보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목포대학교 주변 환경의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의 예산관리 정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University libraries have assigned important duties to assist supposed functions of the universities effectively and to lead the universities prosper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esenting an improved scheme for efficient budget operation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n the future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udget operations of main universities in the region. For this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budget operation are compared with the main regional universities such as Suncheon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analyzing their actual conditions of budget operation. The present conditions includ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collection development and expansion, facility expansion, and user services are us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finding of the current problems, an efficient budget planning scheme is proposed. The four main ground data for budget operation planning were used to find problems along with an improved schemes and present a budget allocation scheme as follows. First, shoul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kpo National University needs special librarian for the ares of marine and history and computer operators for digital library according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should expand the collections to match the levels with similar size regional hub national universities. Third, should expand the facilities and boost the environments along with improvement the preservation stack rooms. The second library is required for IT environment and more space for users. Fourth, should boost the user services and academic information usage program. And need to develop a Web site with foreign languages along with guide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Also, need to activate the open library program for local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llocation scheme for the budget of the library. A scheme is to utilize the municipal government’s budget through co-working with local societ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the director of the library need to be a committee member of the university budget evaluation. Also, library users opinion are important, so deman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lanning the budget for the main projects. Other than these, the budget should be secured from alumni, companies and so on. Previously mentioned budget secure schemes and the four aspects of budget execution improvement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library budget operation planning. A policy direction for the library budget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corresponds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Mokpo National University.

      • 지역축제 참여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전략 : 목포 도자기축제를 중심으로

        이주승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역축제는 지역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이끌어가고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주민들의 신명풀이 잔치판이자, 지역적 개성과 역사적 전통성 및 문화적 필연성을 획득하고 있는 지역공동체의 문화축제여야 한다. 그래야 지역축제가 국민적 관심을 모을 뿐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까지 불러들일 수 있는 세계적인 축제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지역축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목포 도자기축제는 1996년을 시작으로 매년 9월 목포시 갓바위 문화의 거리 일원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각종 이벤트 행사와 전시로 다채톱게 펼쳐지고 있으나개최 목적 미비·타지역 축제와차별성 미비·지역문화와 일치 하지 않는 프로그램 구성 등으로 인해 현재 지속적인 개최여부를 놓고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가지고 지역축제의 목표시장 선정과 시장세분화 전략을 2002년에 개최된 제7회 목포도자기축제에 참여하고 있는 관광객들의 참여 동기에서 찾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축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30개 항목을 선정하여 축제 참여 동기 측정항목으로 사용하였으며, 축제 참 여 동기 측정항목에 대해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하 였고, 표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MSA를 이용하였다. 또한 축제 참여 동기 측정 항 목을 단순히 변수들 간의 공통속성 관계에 따라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요약· 축약하고자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응답자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그 특성 에 따른 목표시장을 도출하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밖에 축제 참여 동기를 분석함에 있어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관광 행태적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결과를 중심으로 목포 도자기축제 방문객의 참여 동기 요인에 따른 시장세분별 분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참여 동기의 차이에 있어서 남성은 사교성과 신기성에, 여성은 탈일상성과 화 합성에 높은 값이 나타났다. 또한 성별 구성비율을 보면 남성(42.91%), 여성(57.09%)으로 나타나 여성관광객이 남성관광객 보다 14.18% 많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자기측제의 성별 주 타격 고객을 여성으로 선정하고 보다 많은 방문객이 찾아와 축제를 보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쳐야 한다. 둘째, 연령별 참여 동기 차이에 있어서 30대 이하의 경우 참여 동기가 명확치 않은 반면 40~50대의 경우가족화합과 일상에 대한스트레스를해소하기 위해 축제를찾은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축제 프로그램이나 기타 부대시설, 행사 추진을 크게 30대 이하의 젊은층과 가족단위의 방문객을 중심으로 기획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직업별 구성비율은 학생이 조사 대상자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했지만 학생들의 경우 모든 요인에 낮은 지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을 제외 한 대부분의 직업에 따른 참여 동기를 조사한 결과 모든 요인에 고르게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학생과 가족단위 방문객이 보다 더 많이 행하고 볼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 과 전시회를 좀더 포괄적이고 세분화하여 다양한 계층의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하 여야 한다. 넷째, 거주지별 참여 동기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광주·전남 외 지역의 관광객들은 탈일상성에서 높은 지각을 하였으나, 목포 관광객들은 낮은 지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지역의 관광객들은 문화성·향토성에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자 기에 대한 전시를 세계화하고, 판매 마케팅에 주력하여야 한다. 다섯째, 일반적으로 목포 도자기축제에 재 방문하는 관광객이 1회 방문 관광객에 비하여 문화성과 유희성을 제외한 참여 동기 전 항목에서 보다 높게 지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축제 주최와 기획사는 목표의식을 명확히 갖고 방문객들의 재방문을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광고 그리고 지역의 문화를 반영하고 축제 주제에 부합되는 차별화 된 새로 운 프로그램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여섯째, 추후 행해지게 될 목포 도자기축제는 축제 방문객의 참여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 화의 바탕 위에 표적시장 선정을 중심으로 성별/ 연령별/ 직업별 /결혼여부별/ 거주지 별 등등 표적별 수용자 층에 맞는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하 여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타 지역축제 특히, 경기도 이천과 강진 등 도자기관련 축제와 의 차별화를 가져야 한다. 끝으로 재미있는 축제·변화를 추구하는 축제로 만들어야 하며, 특성과 이미지가 없는 축제는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 地方議會의 議政能力 提高에 관한 硏究 : 木浦市를 中心으로

        김종현 목포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방자치가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치입법에 관한 기능, 자치재정에 관한 기능, 주요 정책에 관한 심의·의결기능, 자치행정에 관한 감시·비판기능 등이 잘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동안 지방의회의 기능들이 어느 정도 잘 수행되어 왔는가를 평가하고 더 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이 연구는 그동안의 의정활동에 대하여 평가하여 보고, 이를 토대로 의정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와 설문지법에 의한 실증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고 있다. 제 1장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기술하였고,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의한 설문지 작성, 자료의 수집 및 처리 등 실증적 조사의 연구 설계를 토대로 설문한 결과를 분석하여 목포시 의회의 활동을 기능별로 평가하였다. 제 4장에서는 목포시 의회의 의정능력 제고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였다. 목포시 의회의 의정활동과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치입법권에 대한 행사의 미진한 점으로는 공무원과 의원 모두 「지방의회의 조례입법 범위가 지나치게 협소」하고 「의원의 입법에 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다는 데서 그 원인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치재정권 행사와 관련한 문제점으로는 공무원과 의원 모두 「의원들이 자기 선거구에 관련된 예산을 더 많이 확보하려는 경향」을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고, 다음으로 「의원들의 예산에 관한 지식부족」을 지적하고 있어 외적인 요인보다는 내적인 요인데 더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셋째, 주요 정책에 관한 심의·의결기능과 관련해서는 대체로 잘하고 있는 쪽으로 나타났으나, 「목포시의 조직개편」에 대한 심의·의결에 대해서는 공무원과 의원 모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넷째, 행정감사권 및 조사권 행사와 관련한 문제점으로는, 공무원은 「의원들의 전문지식 결여」, 「관련정보의 불충분」, 「감사 및 조사기간의 불충분」 순으로 지적하고 있고, 의원도 「의원들의 전문지식 결여」를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으나 공무원보다는 그 비율이 낮으며, 다음으로 「감사 및 조사기간의 불충분」, 「관련정보의 불충분」 순으로 지적하여, 공무원과는 약간의 견해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목포시 의호의 의정능력 향상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 확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방 자치법 제9조 제2항의 단서조항은 삭제되어야 할 것이다. 본 단서조항은 자치 사무에 대하여 법률선점론을 전제한 것으로서 자치사무마저 국가의 입법정책에 좌우될 우려가 잇기 때문이다. 둘째, 지방의회의 자치입법능력 제고를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의원들의 조례에 대한 전문지식을 키워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의정연수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포시 의회에서는 의원들의 입법제정에 관한 전문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의원들에 대한 전문적인 의원직무연찬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한국지방행정연수원과 국회의정연수원 그리고 일부 대학의 대학원에서 의원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무국의 전문위원들에게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전문위원직무연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도적으로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자치재정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적인 문제, 즉 「의원들이 자기 선거구에 관련된 예산을 더 많이 확보하려는 경향」을 갖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거구를 동 단위로 하여 의원을 뽑는 현행 제도를 폐지하고 목포시 전체를 하나의 선거구로 하여 의원을 선출하는 방안과 의원을 동 단위로 선출하는 현행 제도를 유지한다면 집행부에서 예산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동 단위별로 권형(權衡)에 맞게 배분하는 방안을 연구해 볼만하다. 그리고 「의원들이 예산에 관한 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산편성 및 예산심의 기간조정과 예산편성지침의 개선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방의회의 주요 정책에 관한 심의·의결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의원과 전문위원을 대상으로 한 전문교육기관의 설립 외에도, 전문가(專門家)의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다섯째, 자치행정에 관한 감시·비판기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의원들의 전문지식 향상」을 위한 대책마련과 아울러 「감사 및 조사기간의 충분한 확보」 및 「관련 정보의 충분한 수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1949년 목포형무소 집단탈옥사건 연구

        김양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목포형무소 탐옥사건은 1949년 9월 14일 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좌익계열에 의해 주도되었던 사건이다. 이른바 9·14사건으로도 알려져 있는 목포형무소 탈옥사건은 그 규모 및 사상자수에서 행형사상 주옥할만한 탈옥사건이다. 하지만 이 사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전국 형무소에서 집단탈옥사건이 발생한 것은 미정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 였다. 미군정기에 발생한 형무소 집단탈옥사건은 1946년 11월의 전주형무소 집단탈옥사건과 1946년 11월 광주형무소 탐옥사건, 1947년 10월 공주형무소 탈옥사건, 1946년 서울형무소 탈옥사건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 형무소 집단 탈옥사건의 배경은 미군정에 대한 국내 민족주의 세력들의 저항의 결과였다. 1948년 9월 14일에 발생한 목포형무소 탈옥사건은 이승만 정권 하에서 발 생하였다는 점과 한국전쟁 당시 전국 형무소 수형자들의 집단학살의 전주곡이 었다는 측면에서 미군정기 전국 형무소 집단탈옥사건과의 차별성을 엿볼 수 있다. 목포형무소 집단탈옥사건의 주체는 1946년 10월항정 가담자와 1948년 제주 도 4·3항정 관령 수감자 및 여순사건 관련자들이었다. 목포 형무소는 평소에 약 500여명물 수용함 수 있는 곳이었다. 그러나 당시 시국사건으로 경치범들 이 급증하면서 전국의 형무소는 수용인원을 이미 초과한 상태였으며, 목포 형 무소 역시 수용 가능인원에 3배인 약 1,400여명이 수용되어 있었다. 이러한 가 운데 1949년 9월 14일 오후 5시경 재소자 500여명이 집단 탐옥을 실행하였다. 당국은 즉시 목포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진입에 나서게 된다. 사건 발생 일주 만에 당국의 진압으로 탈목수들은 사살되거나 체포되었다. 이와 같은 목포형무소 집단 탈옥사건을 통해 이 사건이 갖는 성격을 몇 가 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사건은 이승만 정권이 1949년 반민특위 해체 및 김구암살 등으로 좌파를 비롯한 중도파름 거의 제거한 상황에서 발생하였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국 이 사건을 계기로 이승만 정권 은 반이승만 세력에 대한 탄압의 칼날을 더욱 날카롭게 세울 수 밖에 없었으 며 그 결과 한국전쟁 당시 전국 형무소 수감자들과 보도연맹원들에 대한 집단 학살로 이어졌던 것이다. 둘째, 목표형무소 집단 탈옥사건의 주도 세력은 1946 년 10월항쟁 관련자와 1948년 제주 4·3항쟁 및 여순사건 가담자였다. 이들의 대부분은 좌익세력과는 상관 없는 양민들이었다. 셋째, 목포형무소 탈옥사건 진압과정이 불법적, 비인도적이었다는 점이다. 넷째, 사건 진압과정에서 민간인 희생이 있었다는 점이다. 목포경찰서 수색대에 의해 '구룻마잔등'에 모여 살고 있던 나환자들에 대한 집중 사격으로 7명이 사살되었다는 점은 이를 됫 받침 한다. 마지막으로, 목포형무소 탈옥사건의 진압과정에서 목포정치 세력의 대립 양상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목포 형무소 집단탈옥사건은 미군정기에 발생한 춘천, 공주형무소 사건과 같은 상부구조의 모순에서 발생한 형무소 집단탐옥사건이라는 점에서 주목함 필요가 있다. The Mokpo jail breaking event was broken out by leftist prisoners in 9. 14, 1949. The Mokpo jail breaking event, so called 9·14 Event, is a remarkable jail breaking event of the scale and the number of casualties, but the study of it is still trifle. In the whole country, the collective breaking took place mostly in the period of the U. S. Military government, These events are as follow: Jeonju prison in November 1946, Gwangju prison in November 1946, Seoul prison in 1946, and Gongju prison breaking event in October 1947, These events are the result of the resistance against the U. S. Mlitary government. The Mokpo jail breaking event, broken out on September 14 in 1949, is different from the national prisons collective breaking events in the period of the U. S. Military government at the two points: the Mokpo jail breaking event broke out in the Lee, Seungmahn administration, and it was the shadows of the prisoners massacre in the national prisons during the Korean War. The main participants of the event are the participants of the October Struggle in 1946, the prisoners of the Jeju 4·3 Struggle, and the concerned persons of the Yeo-Sun Event. Mokpo prison can normally accommodate about 500 prisoners, but it accommodated about 1,400 at that time, It is the number of the three times, In this environment, about 500 prisoners escape from the prison around 5 o'clock on September 14 in 1949, The government immediately proclaim martial law in Ivbkpo and subdue the prisoners, And just in a week, the prisoners were killed by shooting or arres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kpo jail breaking event are as follow: First, the event takes place at the time of purging the leftists and the centrists in 1949. Eventually the Lee, Seungmahn administration must more repress the opposing group, and the repression lead to the prisoners massacre during the Korean War. Second, the main participants of the event are the participants of the October Struggle in 1946, the prisoners of the Jeju 4·3 Struggle, and the concerned persons of the Yeo-Sun Event, Third, the process of the repression is illegal and inhuman, Fourth, there are several civilian victims during the repressing. For example 7 Hansen's disease patients were killed by shooting in a small village, Finally, through the process of the subdue, the political groups in Mokpo show antagonistic relationships.

      • 목포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마영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Korea has carried out the policies related in social economy through enacting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n 2007, the project for Town Enterprise Promotion in 2011, and Basic Law of Cooperatives in 2012. As those policies focused on the job creation and supported to the individual organizations, the social economy parts could not settle down in our society. After inauguration of Moon Jae-in government, the social economical activation included in the one hundred national political agenda. The government suggested the social economy as civil economic model through res loving various social problems as good job creation, innovation of social service, and urban regeneration. It strengthens the mediation function and united the policies related in the social economy activations through founding social economy secretary. If the ex-government focused on the quantitative growth of individual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s job creation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 the current government focused on the base to grow as the subject of social innovation to resolve our social problems. Finally, we expect it will be the relief of poverty, reduction of inequality, restoration of local community civil economy model. Currently,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of Mokpo City is very weak.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s very insufficient absolutely and has a low awareness in the region. The number of social business of Mokpo city has 118 based on September, 2019; 20 social businesses, 6 village business, 86 cooperation business, and 6 self-supporting enterprise. The social economy of Mokpo city is very low compared with Yeosu city and Sunchoen city. It also didn’t establish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and private network. Though social business network established by Mokpo city Social business, the most cooperation business don’t work after establishing. Even though the social business formed a consultative group, it didn’t work. There are 2 or 3 social business acting as the enterprise size. Though Mokpo city had already prepared the law system as local government, it doesn’t have the step-by-step development strategies. In addition, it didn’t prepare the budget item related in the social economy revitalizing. Mokpo city should resolve the regional problems related with industrial-based vulnerability, decrease in population, and hyper aging. It should also recognize the main policy for fostering the social economy in order to make job creation, to reconsider region vitalization and to recover of community. It has to carry out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 and the specialized region social economy fostering model. It summarized the four policy implications to foster social economy. First, most business have the financial difficulties with working funds and investment. They replied the best support project by government including Jellanamdo and Mokpo city was the subsidy support, loan of funds, and financial support. Therefore, we found out the need of support was financial, expansion of facility equipment, and market support. Second, it needs to ensure distribution channel as the business usually sell their goods to the public and backdoor selling. The enhancing of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is to ensure the price competition intensification,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should support the advertise the business products, and public purchase. Third, the business has a lot of general predicament and they need the government support as financial funds. Fourth, Mokpo city has to establish the social economy base, human capacity expansion, establishment of Human Capital Management System, and discovering and supporting regional specialized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 incubation models. Therefore, Mokpo city has to precede three parts in order to revitalize Mokpo city social economy. It should form the social economy incubation committee and foster the middle organizations. Secondly, it should discover the social economy parts and business based on the resource investigation. Finally, it should raise the awareness and educate the social economy. 우리나라는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2011년 마을기업 육성 사업,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 관련 정책을 시행했으나, 일자리 창출에 방점을 두고 개별 조직에 대한 지원 중심으로 정책이 집행되면서 사회적경제 영역이 우리 사회에 제대로 뿌리 내리지 못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정 100대 과제에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이 포함. 정부는 사회적경제 활성화 목표로 ‘협력성장, 포용성장의 새로운 주역인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좋은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혁신, 도시재생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과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을 통해 사회적경제를 시민경제 모델로 정착’을 제시. 한편, 청와대에 사회적경제 비서관을 신설하여 사회적경제 활성화 관련 정책 통합, 조정 기능 강화하고 있다. 지난 정부가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정책 방향성을 두면서 개별 사회적경제 조직의 양적 성장에 주력했다면, 현 정부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통해 사회적경제가 우리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회혁신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음. 최종적으로는 빈곤해소, 불평등 완화, 지역사회 공동체 복원 등 시민경제 모델로 성장 기대된다. 현재 목포시는 사회적경제 생태계는 매우 취약한 상태에 있음 지역 내 사회적경제 관련 조직의 양과 질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며, 지역 내 인식도 높지 않다. 목포시 사회적경제 기업수는 2019년 9월 기준 118개(2019년 9월 기준 목포시 사회적경제기업 수는 사회적기업 20개, 마을기업 6개, 협동조합 86개, 자활기업 6개이다. 목포시의 사회적경제는 여수나 순천시에 비해서 열악하며, 행정지원체계 및 민간네트워크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목포시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사회적기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나, 목포시 사회적 경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협동조합은 결성하고 활동은 거의 하지 않고 있는 조합 대부분이다. 사회적기업은 목포시 사회적경제 협의체를 구성하고 있으나, 거의 활동을 하지 않으며, 기업으로서 규모를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은 2~3개에 지나지 않는 실정이다. 목포시는 사회적경제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법제도 기반은 마련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단계적 발전전략은 부재하며, 민선 7기의 공약사항 실천계획 중 사회적경제의 활성화와 연결된 예산 항목 미비하다. 목포시는 산업기반의 취약성, 인구 감소 및 고령화 등으로 인한 지역사회에 내재된 문제를 해결하고, 고용 창출, 지역 활력 제고와 공동체 회복 등을 위해 사회적경제 육성을 주요 정책으로 인식하고, 조례 제정 및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을 시행하고, 지역에 특화된 사회적경제 육성 모델은 제시할 필요가 있다. 목포시 사회적경제 육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회적경제 기업을 운영하면서 인건비 등 운영자금 및 시설∙장비 확충 등의 투자비용 부족 등 금전적인 비용 측면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정부(전라남도, 목포시 포함) 지원 중 업체에 가장 큰 도움이 된 지원 사업은 ‘인건비 등 보조금 지원’, ‘자금대출 및 금융지원’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은 인건비 등 보조금 지원과 시설·장비 확충 지원, 판로지원 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의 주 상품(서비스) 판매 방법은 공공기관 납품과 소비자 직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어 유통망 확충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기업의 상품 경쟁력 강화는 가격 경쟁력 확보, 홍보와 마케팅 경쟁력 강화 등으로 제품 품질과 홍보 등에 있으마, 기업의 주 판로개척(확보)방식은 여전히 지인 등 개인 네트워크 활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기업 및 상품 홍보지원, 공공구매를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경제 활성화에 필요한 지원 정책 및 기업 운영 애로사항은 보조금 지원, 시설/장비 지원,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경영교육(컨설팅) 정책, 기업에 맞는 인력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목포시의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급하게 추진해야 하는 전략은 사회적경제 기반 조성, 인적역량 확충과 인적자본관리체계 구축 및 지역 특화형 사회적경제 기업 육성 모델 발굴∙지원 등 기반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포시의 사회적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크게 먼저 세 가지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사회적경제 육성 위원회 구성 및 중간조직 활성화이다. 둘째, 자원조사에 기반을 둔 사회적경제 영역 및 기업 발굴이다. 셋째, 사회적경제 교육 및 인식의 제고이다.

      • 조직내 비공식 조직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목포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종오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조직내의 비공식 조직의 가입여부와 비공식 조직에서의 활동이 교직원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비공식 조직과 직무만족간에 관한 기존이론을 바탕으로 양자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을 찾아내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 후 본인이 재직하는 목포대학교내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방식을 통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1 : 비공식조직의 가입여부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 비공식조직의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 비공식조직에 대한 애착도 및 만족도는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 비공식조직에 대한 부서장의 태도는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5 :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조직 가입여부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비공식조직에 가입한 교직원이 그렇지 않은 교직원보다 급여수준과 승진제도,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이는 비공식조직 미가입률 17.9%를 분석한 것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비공식조직이 공식조직의 기능을 보완하는 순기능 역할을 한다고 하기엔 이르다 할 것이다. 둘째, 비공식조직의 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1개의 비공식조직에 가입한 교직원이 2개 이상 비공식조직에 가입한 교직원보다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비공식조직의 규모가 클수록 급여수준과 승진제도,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대표자를 가장 연장자나 직급이 높은 사람으로 하는 비공식조직의 교직원이 다른 비공식조직의 교직원보다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분기별 1회 이하 회합하는 비공식조직의 교직원이 월 1회 이상 회합하는 비공식조직의 교직원보다 승진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비공식조직의 구성기간과 직장으로부터 예산지원 유무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비공식조직을 활성화를 통한 구성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려하는 자구적 노력이 필요하며, 비공식조직 활동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비공식조직에 대한 애착 및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공식조직에 대한 애착이 높을수록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낮으며,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고, 비공식조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급여수준과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조직의 관리자는 비공식조직을 활성화하고, 공식조직을 유연하게 운영하여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비공식조직에 대한 부서장의 태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비공식조직에 대한 부서장의 태도가 호의적일수록 급여수준과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관리자는 비공식조직의 가치를 인정하고, 비공식조직의 목표와 조직목표와의 연계성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개인적 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 교직원이 여자 교직원보다 승진제도에 대한 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급여수준과 승진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기혼인 교직원이 미혼인 교직원보다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직급이 6급 이상인 교직원이 7급 이하인 교직원보다 급여수준과 승진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직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근속년수가 많은 교직원일수록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공식조직 내에서 지위가 낮은 조직구성원에 대한 관리자의 배려가 있어야 하며, 이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학력에 따라서는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has an aim that tries to search whether a staff become a member of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their activities in an informal organization in a university have influence on staffs' satisfaction in duty. Accordingly, on the basis of existing theory on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the satisfaction in duty, factors that have correlation with both sides was found, hypothesis as follows was established, and then positive analysis was executed by a way of a question intended for administrative staffs in Mokpo university where I am in office. Hypothesis 1 : The satisfaction in duty would be difference according as whether a staff become a member of an informal organization. Hypothesis 2 : The satisfaction in duty would be difference according to feature of an informal organization. Hypothesis 3 : There would be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affection as well as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in duty. Hypothesis 4 : There would be correlation between department manager's attitude toward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the satisfaction in duty. Hypothesis 5 : Degree of the satisfaction in duty would be difference according to personal feature. A summary of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n the relation between degree of the satisfaction and whether a staff become a member of an informal organization, staffs who become a member of an informal organization, had higher degree of the satisfaction in their working surroundings and satisfaction in duty than the others don't. But this analyzed the degree that a staff doesn't become a member of an informal organization so it may seem to be early that an informal organization plays a pure function with the result from this. The second, as the result that the relation between feature of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was considered, staffs who join in an informal organization ha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wages level than join in two or more, and the bigger the size of an informal organization, the higher wages level, a promotion system, satisfaction degree of human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degree of duty. Besides, staffs who are a member of an informal organization having the oldest or the highest class of his position as a representative ha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wages level than a member of another, staffs who are a member of an informal organization having a meeting under once a month ha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a promotion system than a member of above once. But It was revealed that between a term of constitution of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by the presence of a budget aid wasn't a difference. Accordingly, it will be needed the self-help effort that tries to raise members'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through boosting of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encouraged activities of an informal organization. The third, as the result that the relation between affection degree as well as degree of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duty was considered, it was revealed that the higher affection for an informal organization, the lower degree of satisfaction in surroundings being on duty, the higher affection for an informal organization,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hip, and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an informal organization,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wages level and human relationship. Accordingly, a manager of a system must encourage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achieve an aim of an organization effectively by operating flexibly a formal organization. The fourth, in correlation between department manager's attitude toward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satisfaction in duty, was it revealed that the more amicable department manager' attitude, the higher wages level, degree of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hip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The fifth, as the result that the relation between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and personal feature was considered, male staffs ha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a promotion system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than female, and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wages level and a promotion system. Besides, married staffs ha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wages level than unmarried, staffs above 6 grade ha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wages level and a promotion system than under 7 grade, the higher the official grade,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and the longer of service,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wages level and duty. Accordingly, a manager must consider lower staffs in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a institutional installation must be readied to raise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Bu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n't difference of degree of satisfaction in duty by one'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