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전남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장중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은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 및 전반적인 분석과 통계, 체계적인 목록의 미비로 연구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중 필요한 논문 목록을 찾고자 할 경우 학위 논문에 따른 적절한 통계자료가 없음으로 논문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장르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논제 분석을 통하여서 여러 각도로 논문의 연구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헌의 목록 및 기초적인 정보자료를 제공하려는 뜻에서 이 논문의 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의 교육현황, 교육목적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제출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학교별 장르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분석을 각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전공의 논문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논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아가 음악 연구자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참고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나라 논문 분석자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Whole count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student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research direction set by existent music pedagogy master's thesis tendency and general analysis and figure, unpreparedness of systematic list at research process of master's thesis in present that new research about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abuzz. Specially, there is difficulty this to find treatise data that there is no suitable statistical data by thesis in case wish to find necessary treatise list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refor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established subject of this treatise in intention to make out list by genre, and offer list and basic information data of basic literature so that can grope research direction of treatise by several angles through subject analysis. First,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ducation purpose Second, divid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course treatise by 14 genres and examined contents that is the details Third, Kwangju Cholla-nam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es that is submitted from 1983 to 2002 presenting result that analyze genre analysis, school analysis, access tendency analysis of genre subject each tables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pedagogy treatise tendency analyze. It is desir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superintendence of the degree thesis related to music education shall become the good information data for Gwangju Jeonnam music education circles. In order for our music pedagogy field to be hardened as an academic learning, our study attitude should be progressive and creative to new theories, and ceaseless study and effort to study on the ultra-modern theories of foreign countries so that they can be ours. When such efforts continue, our music pedagogy shall hvae a firm foundation.

      • 여대생과 교육대학원생의 혈액성상 비교

        박희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년생이 19.6세, 3년생이 21.7세,교육대학원생이 29.8세 였다. 신장과 체중은 2년생이 161.2㎝, 54.2㎏, 3년생이 160.5㎝, 49.6㎏, 교육대학원생이 159.5㎝, 55.8㎏으로 나타났다. 신장은 교육대학원생, 3년생, 2년생 순으로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지만, 체중은 3년생, 2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높았고, 3년생은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함량 및 AI지수는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총 단백질 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lasma nitrogen urea(PUN)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p<0.05) Uric acid(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Total bilirubin 함량도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Glutamate oxaloacetate trsaminase(GOP)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phosphokinase(CPK)함량도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서로 낮은 경향으로 특히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Alkaline phosphatase(ALP)함량은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특히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무기질 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p<0.05). 또한 calcium(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뇨 중 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뇨 중 K는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뇨 중 Na는 3년생, 교육대학원생, 2년생 순서로 높았고, 3년생은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뇨 중 Cl도 교육대학원생, 2년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교육대학원생에 비하면 현저하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신장은 낮으나 체중이 높게 나타났고,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Urinary chlorine 도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뇨 중 amylase, 총 단백질, BUN, UA, TBIL, 뇨 중 UA, 무기질, Ca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sophomor : S, n=20), Third years: T, n=20) and educational graduate school: E, n=20) were observ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were also analyzed. the mean anthrophometric values for S group, T group and E group were heights of 161cm, 160cm and 159cm, respectively, and weights of 54㎏, 49㎏ and 55㎏, respectively, weights of the T group was much lower than the E group. The mean BMI(body mass index, ㎏/㎡) and body fat rate(%), which are obe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E groups than the T group. Mean blood LDL-cholesterol, AI(altherogenic index), urinary chlorine levels of the E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T groups. But, mean blood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bililubin, inorganic phosphorous, calcium and urinary amylase, uric acid levels of E group significantly(p<0.05) lower then the S and T groups. As a result, the age went up effected the biochemical nutrtional status for the subjects.

      • 정보 보호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및 제시

        이민경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Our country information security training which is a IT powerful country in this time where the Internet use is activated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civil official of the companies, the schools and the enterprises see are efficiently accomplished still are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deficient. Therefore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to be started and from the high school in order to become connection as the university, the information protection teaching material research and operation which are systematic method must be researched. Namely, information protection subject education must be executed urgently from information relation subject of our country information high school and in spite of substantially there is not information protection relation teaching material even by or the contents is insufficient recognition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ose information anger protection relatio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is necessary in information high school center. It will be able to solve a such problem in order, the education contents which is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a system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in the hazard studying sleeping center from relation subject comparison it analyzed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contents of information high school of the entire country from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positivity of information protection talented man it presented. <국문초록> 인터넷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는 이 시기에 IT 강국인 우리나라의 정보보안교육은 개인정보 및 회사, 학교, 기업들의 정보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기에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정보 보호 교육이 고등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 대학으로 연계되도록 체계적인 정보 보호 교재 연구 및 운영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즉, 우리나라의 정보고등학교의 정보 관련 학과에서 정보 보호과목 교육이 시급히 실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보 보호관련 교재가 실질적으로 없거나 내용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정보고등학교 중심으로 정보 보호관련 교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전국의 정보고등학교의 정보 보호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관련 학과에서 정보 보호 인재의 양성을 위해 학습자 중심으로 체계적인 정보 보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 초등학교 교육목표 설정과 실천간의 연계성 분석 연구

        한평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에서 설정한 학교교육목표의 설정과정과 설정된 학교 교육목표의 교육현장에서의 실천간의 연계성을 조사 분석하여 바람직한 학교교육목표의 설정방안과 합리적인 학교교육목표 운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들이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초등 학교교육목표의 설정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 학교교육목표는 교육현장과 실천간에 연계성이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조사연구가 병행되었다. 문헌고찰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는 설문조사로 선행연구물을 근간으로 하여 작성한 초등학교 교육목표 설정과정과 실태를 조사하고 아울러 실천에 있어 교육현장과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설문지로 총 23개의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목포 및 주변지역 6학급 이하인 학교 15개교, 7학급 이상 24학급 이하인 학교 12개교, 25학급 이상인 학교 8개교의 250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중 유의수 240부를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았다. 초등학교 학교교육목표 설정과정과 그 실태를 바탕으로 실천간의 연계성에 관한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x2 검증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 하였다. 이상의 과정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학교교육목표는 대부분의 학교가 겨울방학중에 소수의 교사와 관리층의 사고에 의해 일부 수정하여 설정하고 있는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전 교직원과 학부모 등이 참여한 집단적 사고에 의해 설정되어야 하겠다. 2. 학교교육목표 설정시 반영할 요소로 국가시책이나 장학방침도 중요하지만 학교교육목표 자원요소가 골고루 방영되어야 하며 반영방법에 있어서도 개인별 설문지를 작성하여 충분하게 분석하여 설정되어야겠다. 3. 학교교육목표에는 교육과정에서 바라는 인간상 및 4개의 영역(인지, 사회, 정의, 기능)과 학교특정목표들이 골고루 반영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전인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4. 학교교육목표 추진방법은 주로 교육과정과 목표중심으로 계획 실천되고 있어 수업현장에 적용시키려는 모습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상대적으로 학교교육목표가 너무나 막연하고 실제의 교육과 거리감이 있어 형식적 구호에 그친다는 반응도 상당히 높아 보다 구체적이며 실천 가능한 계획을 세우도록 해야겠다. 5. 학교교육목표에 대하여 대부분이 꼭 필요하며 있어야 된다고 응답은 하고 있으나 교사들은 가끔씩 인식하고 교사가 보는 학부모와 아동의 학교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은 매누 낮았다. 따라서 학교교육목표 설정시 다양한 교사의 의견을 반영해야 하며 설정후에도 충분한 토의를 거쳐야 하겠으며 학부모와 아동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홍보와 학부모의 학교 참여 폭을 넓혀야 하겠다. 6. 학년목표 설정시 대체로 학교교육목표를 반영하고 학급경영목표를 설정할때도 학교교육목표와 학년목표를 반영하므로 학교교육목표가 잘 설정되어야만 연계된 다른 목표들도 잘 설정될 것이며 교육현장에서 교과, 특별, 재량활동 지도시 관련성과 계열성을 잘 분석한 뒤 표로 작성한 후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되겠다. 7. 학교교육목표 달성도를 평가할 때는 대부분의 학교가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지 않고 계량화되지 않은 언어로 구술한 것을 평가하고 있으며 평가 시기는 학기별 1회씩 실시하고 있었다. 평가 결과는 대부분의 학교가 다음해 교육계획에 반영한다고 답하고 있으나, 당수 반영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한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모든 초등학교가 학교교육목표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위원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평가시기는 평가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평가하여야 하고 평가는 계량화된 척도에 의해 정확한 평가를 하여 다음 교육계획에 반영하고 활용이 되어야 하겠다.

      • 컴퓨터 그래픽스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의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를 중심으로

        최종수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는 디자인의 시대이다. 디자인이 기술개발과 함께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양대 축으로 세계 무한 경쟁시대를 헤쳐 나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디자인에 대한 인식의 확산으로 인해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1960년대부터 디자인과가 설치되기 시작했으며 최근 시대의 변천과 사회의 요구로 인한 상업계 고등학교의 대폭적인 학과조정으로 디자인 관련학과의 신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그 양적인 신장에 비하여 질적인 향상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논문에서는 광주광역시내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디자인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컴퓨터 그래픽스 교육방법의 개선점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디자인과 컴퓨터 그래픽스에 관련된 문헌 조사를 통하여 컴퓨터 그래픽스의 개념과 활용분야를 살펴보았고, 그 교육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컴퓨터 그래픽스 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광주광역시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컴퓨터 그래픽스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조사하고, 졸업 후 학생의 진로 등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설문지와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관련 학과 교육의 운영실태를 학습자, 교사, 교육과정, 교육시설, 진로의 관점에서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다음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컴퓨터 그래픽스 교육을 운영함에 있어서 디자인 전공별 교사의 수급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력 있는 컴퓨터 그래픽스 교사 수급을 위해서는 우선 교원 선발에 있어서 외국에서처럼 실업계 교원의 자격기준으로 산업체 현장 경험과 기능·기술 자격취득을 필수 요건으로 해서 보다 전문적인 교원을 선발해야 할 것이며, 또한 현직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산업현장의 실기연수와 관련 산업체와의 실무체험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컴퓨터 그래픽스 관련 기업체의 실무자나 컴퓨터 그래픽스 아티스트 등 외부 일선의 전문가들을 강사로 초빙하여 효과적인 실무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디자인을 공부하고 컴퓨터 그래픽스를 공부할 학생의 수급에 있어서도 성적순으로 학과를 선택한다는 개념보다 조형적 재능이나, 관심도 여부에 더 많은 중점을 두어 학생들 스스로가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 내용에 있어서도 보다 학생의 입장에서, 학생의 실습환경에 맞는 내용들이 편성되어야 하며, 실기위주의 교과 내용 보다는 청소년기에 필요한 창의성과 감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교육내용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가적 차원의 직 간접적인 재정지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재정지원은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필요와 욕구의 충족 뿐 아니라 일정 수준의 교육의 질을 보장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 되는 것이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그래픽스 교육을 디자인의 한 분야로 인식하고 창조성과 예술적 조형감각을 길러서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 기능인으로서의 기초교육이 먼저 필요하다. 또한, 계속형 교육의 입장에서는 지식 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라 직업교육의 중심축이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대학 단계로 이동한 이상, 실업계 고등학교 단계의 직업교육은 기초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기본 교육으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에 따라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따라 자유롭게 교과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 확대의 질적인 내실화를 기하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2004년 현 시점을 살아가는 우리의 젊은 세대들에게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성이 모호하다. 그 이유는 가상공간에서의 만남이 현실의 만남보다 쉽고, 게임이나 홈페이지 운영 등 가상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는 시간이 늘어남에도 있다. 또한 프로 게이머, 게임 디자이너, 웹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등등 가상공간 안에서의 업무로 현실을 이끌어 가는 직업인이 늘어남에도 그 이유를 찾아 볼 수 있다. 그만큼 사이버 공간이 현실의 공간을 채워가는 시점인 것이다. 쉬운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과 쉬운 미니홈페이지의 보급으로 인해 사이버 인구가 급증하는 이 시점에 있어서 그들의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면 텍스트는 이미 긴 문장을 짧게 줄여서 쓰는 등의 방법으로 간략화 또는 상징화 되어 있으며, 그래픽 이미지와 애니메이션이 그 구성비를 높여가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제 컴퓨터 그래픽스는 디자이너를 위한 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만의 교육이 아닌 국민 대다수를 위한 기본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픽 이미지는 이미 제2의 언어이다. 시각언어에 대한 교육적 자극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인 것이다. Modern times is said to be the era of designs. The design was thought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gether with technology development to meet the era of unlimited competition with higher interest. Cognition on designs was expanded to let vocational high schools open department of designs from the 1960's and commercial high schools open design related departments by large-scaled adjustment of departments to meet changes of the era as well as social demand. However, the quality was not improved as much as quantitative expansion.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design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s at Gwangju and to suggest improvement of computer graphics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design and computer graphics related literature to examine concepts and use of computer graphics as well a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udy examined objectives and contents of computer graphics education at design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t Gwangju, and situation of the students' courses after graduating schools,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design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by using questionnaires and online questions from point of view of learners, teachers, curriculum, educational facilities and courses, et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majoring in each design needed to be urgently supplied to manage computer graphics education system. Qualified teachers could be selected based on qualification standard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foreign countries: And, not only practical training at on-site industry but also practical experiences at associated industry was firstly required. Computer graphics workers at private companies and artists should be employed as a lecturer to do practical education effectively. Secondly, the students learning designs and computer graphics needed to be selected not by in order of academic achievement but by formative talents and interests, so that they could study by themselves. The contents of curriculum were demanded to reorganize to meet students' practical skills environment from point of view of students, an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to let the students learn initiative spirit and sensitivity for the youth rather than practical skills oriented curriculum. Thirdly, the Government was firstly demanded to give financial support directly and indirectly to improve educational conditions, an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rather than practical skills oriented curriculum to let students learn creative talent and sensitivity. Fourthly, the computer graphics subject of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be cognized to be one area of designs and to let students learn problem solving ability by creative talent as well as artistic formative sense. Therefore, basic education for professional technicians was firstly needed. From point of view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era of information society, vocational education moved its base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to colleges to let vocational education at the level of vocational high schools educate basic experts: In other words, the students should design courses depending upon each one's temperament and aptitude to select curriculum freely and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In 2004, young generation had uncertain boundary between the realities and the virtuality. This is because a meeting at virtual space would be easier than real meeting and the students spent time on games and homepage management, etc to take rest. And, jobs such as progamers, game designers, web designers and programmers, etc increased to work at a virtual space. The virtual space filled the space of the realities. Digital camera and mini-homepage were distributed. The young people made use of the communication tools to write short sentences to simplify and symbolize sentences, and to increase ratio of graphic images and animation, etc. The computer graphics should be taught not only for designers at colleges but also common people. The graphic images already became the second language. An educational stimulus for visual language was keenly needed

      • 노인대학 음악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 신안군 8개 노인대학을 중심으로

        손선숙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The College for the elderly is educational institution established for the welfare and re-socialization of the elderly in the aspect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facility to take charge of two functions of education and leisure activity to provide learning programs related to daily life. Due to rapid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nd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the demand for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Thus,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theoretic grounds of elderly education and comprehend the reality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then suggest direction to develop of systematic music education program and measures to vitalize which considered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elderly learners. This thesis studied statistically the data surveyed 188 people who participate in music education program among 1000 elderly college students and 20 lecturers of 8 colleges for the elderly in Sinan-gun. Among programs such as class for songs (popular songs), folk songs, janggu, ocarina etc, it was investigated and studied changes and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s by focusing on preferences of learners and lecturer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re improv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of the college for the elderly, so it is required vitalization of project to support education of relevant institutions to develop programs and expand ability to perform in the future by comprehending the desires of the elderly well. Second, all of the 8 colleges for the elderly which were surveyed managed music education program, and the lectures opened the most were program of janggu and folk songs, and generally, it was opened percussion program and vocal program equally, and considered to improve health of the elderly through music by managing music health gym program. However, it is required to limit the number of people who take the course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nd the results appeared to decrease efficiency for most of the class taught almost 70 students at the same time. Third, as a result to analyze lecturers to take charge of music education program of the college for the elderly, the gender of the lecturer is female mostly, and there were small regular lecturers who are working and it was managed in the form of part-time lecturer or volunteers. In addition, despite it was music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many lecturers who did not specialize music and it was drawn a conclusion to improve the insufficient support for the college for the elderly should be improved immediately. Fourth, most of the learners who take the music education were women, and for the cause of this, it was insufficient to draw interest of old men for it was not analyzed the demand of the elderly fully for the education program. Most of all, old men do not perceive they are the beneficiaries of the education and not accustomed to leisure activities, so it was felt that old men should make an effort to participate in music education actively and acquire attitude to enjoy music education learning for this and the concern of leader who draw demand and interest of old men is required. The age is average 70-year-old, and as for the academic background, it was appeared the people who were educated less than elementary school are the most. It is required to organize music education program by considering before and after situation of the elderly and orientation is required to educate the elderly unlike ordinary learners. Music education program would have great influence on learner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add happiness in their old ages, and find meaning of life, therefore, it should help the elderly learners experiencing abundant music world by experiencing more various music instrument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music education, and it is required to make an urgent effort of relevant institutions or teachers for this. <국문초록> 노인대학은 평생교육 차원에서 노인의 복지와 재사회화를 위해 설립된 교육기관으로서 일상생활과 관련된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교육 및 여가활동의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시설이다. 노인인구의 급증과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로 인하여 교육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태를 파악한 후, 노인학습자들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체계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신안군 8개 노인대학 강사 20명과 노인대학생 1000명 중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를 통계 연구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래(가요), 민요, 장구, 오카리나교실 들의 프로그램가운데 강사와 학습자들의 선호도를 중심으로 수강전과 수강후의 변화와 만족도를 조사 연구하였으며 그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노인의 자아 존중감 및 생활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노인들의 욕구파악이 잘 이루어져 앞으로 프로그램 개발과 실시능력의 확대를 위한 해당 기관의 교육지원사업의 활성화가 더욱 더 요구된다. 들째, 설문을 실시한 8개 노인대학에서는 모두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개설된 강좌는 장구와 민요 프로그램이며 대체적으로 타악 프로그램과 가창 프로그램이 동등한 비율로 개설되어 있었으며 음악 건강 체조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음악을 통해 노인들의 건강증진까지 고려하고 있었다. 하지만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상 수강인원의 제한을 둘 필요성이 있으며 대부분 70명에 육박하는 학생 수를 한 번에 수업하다 보니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노인대학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강사에 대한 분석결과, 강사의 성별은 여성이 대부분이며 정규직으로 일하는 강사가 적고, 시간강사 또는 자원봉사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음악 외 전공을 한 강사가 많았으며, 노인대학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점은 하루 빨리 개선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넷째, 음악교육을 수강하는 학습자는 여성이 대부분이었고,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노인들의 충분한 요구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남자노인의 관심을 끌기에 미흡한 점도 있었다. 무엇보다 남자노인들은 여가활동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과 스스로가 교육의 수혜자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남성노인들도 음악교육 학습을 향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음악학습의 참여, 태도의 습득을 위해 노력하여야 하며, 남자노인들의 요구와 흥미를 이끌기 위한 지도자의 관심도 필요로 함을 느꼈다. 연령은 평균 70세이고, 학력은 초등학교 이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전후 사정을 고려하여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 학습자와 달리 어르신들을 교육할 때 필요한 사전 교육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삶의 질 향상과 노년의 행복감을 더해주고 삶의 의미를 찾아 가는 데에 큰 영향을 준다면, 이에 음악교육의 체계적인 운영과. 노인 학습자들에게 좀 더 다양한 악기를 체험하게 하여 풍부한 음악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담당기관이나 관련 교사들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겠다.

      • 학원음악교육이 학교음악교육에 미치는 영향 : 유치부·초등학교 중심으로

        김상남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음악학원의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볼 때 학원의 위상이 너무나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원의 역할을 바르게 찾는 것도 필요함을 느끼며 쓰여진 것이다. 음악학원은 사회교육기관으로써 전문화 되지 않으면 대외경쟁에서 이겨낼 수 없다. 그러기 때문에 자기 일에 대한 좀 더 깊은 연구와 긍지가 있어야겠다. 음악학원의 역할을 보면 유치부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음악을 지도하고 있으며 또 유치부의 조기교육을 통해 영재발굴에도 기여한다. 또한 순수예술음악을 대중화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며 심미적 음악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악학원이 제 역할을 다 하려면 학교음악교육과 잘 연계되어야 하며 학원음악교육이 학교수업의 연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목포시 전역에 있는 음악학원을 동별로 구분하고 또한 학교단위로 구역화시켰다. 이 자료를 학교장이 관심을 갖고 참고하여 학교내 음악수업이나 행사에 적극 활용해 주었으면 한다. 그러나 학원교육이 사설교육기관이란 인식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면은 사회와 행정을 맡고 있는 교육기관과 학부모의 새로운 관심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윤석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시행되었던 우리나라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이고 발전적인 사회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해방 후부터 현재 제6차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변천과정을 간단히 살펴보고, 특히 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된 주요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은 이전까지의 단순한 인간상 제시 방식을 탈피하여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인간상’을 설정하였다. 둘째, 학교 교육의 질 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역할 분담 체계를 개선하였다.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체제를 개선하여 국가, 시·도교육청, 학교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을 명확하게 분담하고 이를 강화하였다는 점이 커다란 교육과정의 정책 변화라 할 수 있다. 셋째, 학년제에 기초하여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을 바꾸어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년간을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으로 설정하고, 이 기간 중의 교과별 학습 내용은 종래와 같은 학교급별 개념에서 벗어나 학년제에 기초하여 모든 국민이 공통적으로 배워야 할 필수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일관성 있게 구성하였다. 넷째, 학생의 진로에 따른 선택 중심 교육과정체제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은 학교의 선택보다는 학생의 과목 선택 폭을 넓혀주기 위한 것이며, 원칙적으로 과정이나 계열의 구분 없이 운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다섯째, 교육 내용의 양과 수준을 적정화하고, 심도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수준별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여섯째,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있어 현장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재량활동 시간을 신설, 확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과 교육과정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기본적인 방향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오늘날에 접어들면서 한국사회는 황금 만능주의적 가치관이 너무나 팽배해 졌다. 따라서 우리의 사회과 교육은 인간성을 회복하고 인간의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교육이 절실하게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민주적인 정치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민주시민 교육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육에서의 민주시민은 민주주의적인 이념과 원리를 신봉하고 그에 따라서 행동하는 사람을 뜻한다. 이러한 민주시민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학교에서의 사회과 교육이다. 다가오는 미래사회는 올바른 민주시민을 필요로 하는 사회이다. 즉, 자주적이고 스스로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시민을 요구하며, 수동적인 시민이 아닌 적극적인 시민상을 요구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 셋째, 우리나라의 전통과 세계화의 조화를 도모하는 교육을 하여야 한다. 한국사회는 해방 후 지금까지 급격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변동을 하였다. 급격한 사회변동은 외국의 문물을 쉽게 받아들인 반면, 우리 문화와 역사를 소홀이 하는 경향이 너무나 많았었다. 우리의 오천년 역사는 어느나라도 따라 올 수 없는 우수한 면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지켜야 할 것은 잘 보존하여 우리의 문화, 역사적 주체성과 정체성을 지키지 않으면 안된다. 넷째, 대학입시가 최고의 가치가 되는 성적위주의 교육을 지양하여야 한다. 이러한 교육은 그동안 한국 교육을 너무나도 후퇴하게 만들고 말았다. 교육은 ‘백년대계’ 라는 말이 있다. 앞으로의 사회과 교육은 이러한 점들을 조금이라도 돌려놓기 위해서라도 입시지향적인 교육이 아닌 인성교육, 가치·태도 교육을 하여 교육 풍토를 전반적으로 바꿔 놓아야 하겠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집권자의 정치적 목적이나 행정적 요구 사항이 지나치게 반영된다는 것이다. 때문에 교육과정이 집권자의 요구에 의해서 개정되는 것을 지양하고, 국가·사회의 필요와 , 교육사조의 변천, 학문적 연구의 진전 등의 요인에 의하여 개정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사회과 통합지도를 하기 위한 교사 연수 및 교사양성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통합지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직 교사의 경우는 연수의 기회를 더욱 많이 제공하도록 하여 교사들이 통합지도에 어려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교육인적자원부와 시·도 교육청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사회과 통합지도에 실제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도 시급히 필요하다고 본다. 교육은 ‘백년대계’ 이다. 앞으로의 사회과 교육은 우리와 우리의 자손을 위한 철저한 계획을 세워서 미래사회의 특성을 반영하고,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과정에 있어서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 그리고 교육당국이 합심 노력하여 절차적, 방법적, 과정적 민주화가 이루어지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교육은 지금보다 더욱 성숙된 민주시민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사회과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the basic direction of future-oriented and developmental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transi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had been changed to the 6th since Independence, and puts great emphasis on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7th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human sought through education is the 'complex and many-sided human' instead of simple human sought in the past. Second, the system of the role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education was improved. By improving the system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llotting and strengthening definitely the roles of nation, province or city, loc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were the big change of curriculum. Third,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s of the system of a school year was composed. The 7th curriculum changed the structural way of curriculum and established 10-year course from the first grader in elementary school to the first grader in high school as 'the national common basic education term'. The learning contents of subjects during this term is consistently composed of compulsory learning elements which are based on the system of a school year instead of the concept of school or class as in the past, and which all the people must learn in common. Fourth, the option-center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udents' course was introduced. The introduction of the option-centered curriculum would be for giving students a wide choice of subjects rather than for choosing schools. And in principle, the 7th curriculum made it a basic rule to operate without dividing course or department. Fifth, the 7th curriculum made the quantity and the level of the education contents reasonable and had regard for the level of students' to be learned deeply. Sixth,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 class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was made and enlarged to secure the right of self-control in the scen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basic fixed direc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human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Nowadays, the values of that money is everything are widespread in korean society. Accordingl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oward making humanity recovered and alienation overcome is called for. Second, education for making the democratic citizen is necessary to form the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In social studies, the democratic citizens mean that they have faith in the democratic ideology and principles and act on them. It is through social studies education that the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 can be given in school. In upcoming future, the society needs right democratic citizens. That means citizens who are independent and responsible for themselves, and also who are active instead of passive. Third. education to harmonize our tradition with globalization is necessary. In our country, there has been the rapid change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ince independence. Other cultures have been accepted very easily through the rapid changes, but our own culture and history have had a tendency to be treated lightly. We should preserve the valuable things and keep our own cultural and historical identity, because there is unrivaled superiority in our 5,000-year history. Fourth, the grade-centered education that the entrance exam for university is top in value must be avoided. The education like that have made korean education retreated for the mean time. It has been said that education is a far-sighted national program. To change these things, the education climate should be generally changed through education for human nature, value and attitude instead of exam-centered education. Fifth, the government's political purpose and practical needs have affected the revision of curriculum too much. Therefore, curriculum must not be revised by the government's political purpose but by the need of one's nation or society, the change of the trend in education and the progress of academical study. Sixth, the system of the training and nurturing for teachers must so be established that they will instruct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o improve the problems of instructing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more opportunities of training for teachers should be offered to incumbent teacher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province or city offices of education must support this so as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of instructing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oo. And a variety of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re urgent to help teach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school. Education is a far-sighted national program. In the fu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society must be reflected in social studies, through making a thorough plan about the social studies for us and our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revis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eachers,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s a educational subject must try together to achieve the democracy of procedure , method and process.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n our country will contribute to make more matured democratic citizen than up to now.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예술고등학교 음악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권 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류미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예술고등학교는 예술에 뛰어난 소질과 적성을 갖고 있는 예술 영재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전문예술인으로 양성한다는 취지아래, 1953년 이화예술학교(현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선두로 2002년 12월 현재 전국에 20개교가 설립되었다. 이들 예술고등학교들이 우리나라 예술교육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으나 기존의 단편적이고 획일적인 입시위주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전문교육의 특수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교육 수준의 향상과 예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보다 높은 예술적 체험에 대한 요구 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여론을 수렴하고 현재 이루어지는 예술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평가하여 이를 새롭게 재정하고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가운데 1997년 고시된 제7차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음악과 전문 교과목의 내용 및 배경,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또 광주.전남권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 개설 전문 교과목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보통교과의 이수 단위가 전문교과의 이수 단위보다 높게 배당되어, 전문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예술고등학교에서조차 입시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들의 교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둘째, 개설된 음악 전문 교과목들의 획일성을 들 수 있다. 각 학교가 학교의 교육 특성에 알맞은 수업형태를 개발하거나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과목들을 개설하지 못하고 기존의 교과만을 반복해서 운영 하고있다. 셋째, 이론에 대한 교육이 실기에 대한 교육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며, 체계적인 이론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은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기초지식이 부족한 가운데 상급학교로 진학하고 있다. 넷째, 음악사, 음악 이론 등의 수업에서 단계적, 체계적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합창.합주, 연주 등의 수업에서는 참여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 다섯째, 연습실, 감상실 등의 시설과 음악감상, 컴퓨터와 음악 등 새로운 교과의 개설에 필요한 장비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의 특성과 문화.환경적 배경을 고려한 적극적인 교육과정 운영으로 교육 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과정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술계 고등학교의 상급학교인 음악대학과 교육부, 당사자인 예술고등학교가 삼위일체 되어 변화의 선구자가 되어야 한다. 둘째, 음악 형식, 악식 분석, 음향학, 앙상블, 화성학 등과 같은 수업을 개설하여 음악과 전문 교과목을 다양화하고 기존의 교과에서도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재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의 능력과 특성에 맞는 차별화 된 전공실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음악대학은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결과와 실기만을 합격의 기준으로 삼는 획일적인 선발에서 벗어나, 보다 발전적이고 다양한 입시 제도의 모델을 제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음악과 이론 교과목의 지도를 강화하여 이론과 실기를 고루 갖춘 전문예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비실기 전문인의 양성을 위한 교육을 전개하여야 한다. 넷째, 공개레슨이나 유명 연주자 초청 세미나, 콩쿨 참여, 각종 발표회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전공 실기 지도와 연주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음반 자료실, 음악 감상실, 연습실 등의 시설과 컴퓨터음악 등의 새로운 교과에 필요한 장비나 시스템을 갖추어 문화.예술적으로 소외된 이 지역의 예비 전문예술인들에게 보다 많은 혜택을 제공하여야 한다. The art high schools are aimed to discover and train the brilliant students who have superior character and aptitude early in order to prepare them for world-wide competitive abilities. At the present time (Desember 2002), there are 20 schools in Korea, the first having been organized at Ewha art school in 1953 (the present Seoul art high school). These art high schools take charge of a role to our country art education. Unfortunately, because the current curriculum is fragmentary and focuses on entering university, the peculiarity of art high school becomes more obscure. As the demand of the better art experience h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complement the current curriculum based on the public opin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tents, background and the change process of art high school curriculum and specialty subject of music through the 7th curriculum which is made in 1997. Also,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music specialty subjects of art high school in Kwangju and Jeonnam area. This study discovered the problems below. First, standard subjects are heavily weighted in the grading scale at present. In addition, preparation for university entry is more emphasized even in an art high school where training in the arts is important. Therefore, it adds an extra weight of the subject to the students. Second, current curriculum in art high schools lacks variety and depth. The each school does not develop the study form which is proper in education quality of the school. In addition, schools have repeated only the existing subjects without opening new subjects based on the students' demands. Third, the education of music theory is insufficient. Because of the lack of the systematic theory education, students have entered advanced schools with shortage of the fundamental knowledge and general understanding about music. Fourth, in the field of schools, there is insufficiency of performance opportunities in areas of a chorus or playing in concert. Fifth, facilities and equipments such as practice room and music appreciation which are necessary to open new subjects are not prepared well. This research is focused on exploring suggestions that will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art high school. The paper will discuss following suggestions for change. First, considering quality of the school and the environmental or cultural background, a new curriculum centered on the education consumer needs to be developed. Music college, ministry of education and art high school need to be organized and become the pioneer of changes. Second, the curriculum has to include diverse subjects such as music type, analysis of music type, acoustics, ensemble and harmony. Current curriculum needs to become much more flexible and systematic to provide adequate and discriminated practical lessons. In addition, the text and diverse programs have to be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training tailored to each students' ability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examination models and criteria for college entry. Third,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prepare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theory education as well as practicum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practice and performance choices to students such as open lesson, seminars of famous performers, concours participation or various presentation. Fifth, the art high school needs to prepare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such as music data room, music appreciation room, practice room and computer music. These advanced facilities and equipments can provide many educational chances to students.

      •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정책과 일본어 교육의 방향

        양지승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1. 문제제기 현재 세계 정세의 흐름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이 초강대국으로서 세계를 주도하고 있지만, 지역별로는 유럽연합과 같은 블록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당연히 해당지역에서는 각 지역의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다양한 언어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외국어 교육을 개시하는 연령도 점차 조기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은 영어 일변도로 질주하고 있다.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하면 마치 세상에서 살 수 없기라도 한 듯이 압박을 가하고 있다. 당국자들은 학교에 제공되는 외국어의 수가 증가되어 왔음을 들어 외국어 교육이 확대되었다고 하지만 내용을 보면 영어 집중현상 만이 확대되고 다른 외국어 교육은 오히려 축소되었다고 해도 좋을 만큼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 영어로만 외국어 교육이 획일화되었을 때, 사회와 문화 또한 획일화되어 영어권에 종속될 위험성이 크다. 외국어 교육은 다양화되어야 한다. 다양한 언어의 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섭취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게 지원하고 사고의 폭이 넓은 인간, 조화로운 인간이 될 수 있게 한다. 본고는 영어에 집중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현황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외국어 교육정책을 위한 개선점을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과 교사에 대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일본어 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해서도 몇 가지 제안을 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바는 주로 정책적인 측면이며 우리나라의 제2외국어 교육이 본격화하는 고등학교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2.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정책의 변화와 현황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국가의 교육과정이다. 1954년에 제1차 교육과정이 제정되어 현재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지만, 그동안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은 외형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왔다. 학교에 제공되는 외국어의 수도 1차 교육과정기의 4개(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에서 8개(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로 늘었으며, 각 과목은 Ⅰ,Ⅱ등으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 분량의 적정화와 의사소통 활동중심의 외국어 교육, 문화이해 교육의 중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활동의 강조, 과목별 내용체계의 유연성을 강조하는 등 상당부분에서 바람직한 변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제2외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고교 2학년이 되어서야 실시할 수 있게 한다든지, 학생 자유선택제로 한다든지 하여 오히려 교육환경이 열악해졌고, 그나마 대학입시에 거의 반영하지 않음으로써 학교에서의 제2외국어 교육은 파행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외국어 교육의 조기화와 다양화, 그리고 실질화를 추구하고 있는 여러 다른 나라들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이며, 국제 경쟁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는 위험한 부분이다. 3. 일본어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본고는 우리나라 일본어 교육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어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일본어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본어 학습환경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생의 압도적인 다수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로 교사들은 일본어를 입시에 반영하는 대학이 많지 않다는 것을 들었고, 학생들은 영어 위주의 외국어 교육정책을 들었다. 이에 따라 일본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학생들은 한일교류를 지원하고 일본어 학습시설을 보강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교사들은 대학입시에서의 반영 및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일본어의 대학 입시 반영도가 낮아서 학생들의 관심이 적어지고 결국 고교의 일본어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학생들은 대학 입시부담이 없을 경우, 일본어를 적극적으로 공부하고 싶다는 뜻을 드러내어 현행 입시제도가 일본어 학습의 큰 장애가 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대부분 일본어를 가르친다는 사실에 만족을 표시하면서도 정부의 제2외국어 교육정책에 대해서는 커다란 불신감을 나타내었다. 4. 결 론 영어교육에 집중된 외국어 교육정책은 다른 외국어 교육의 파행을 초래한다. 그동안 제2외국어 교육이 확대되어 왔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도입된 외국어의 수만 늘었을 뿐, 교육과정이나 선택제도의 문제로 인해 제2외국어 교육은 오히려 축소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우리 사회는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을 상실하고 영어권에 종속되는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정책은 다언어주의, 다문화주의 가치관에 맞추어 제2외국어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언어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정책 가치관을 재정립하고, 제2외국어 교육을 사실상 제한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재편성하며, 학생에 의한 선택제도를 재고하여 다양한 언어들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입시에서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반영률을 확대하거나 필수화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제2외국어 교육의 정상화는 현실적으로 대학입시에서의 반영여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등학교 수준에서의 실질적인 외국어 전문학교 개설도 고려해봄직한 일일 것이다. 또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일본어 교육이 발전하기 위한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해 보면, 우선 대학입시에의 반영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 한일교류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일본어 학습시설을 설치하는 등 일본어 학습지원체제를 보강해야 한다는 것, 또 의사소통 기능중심의 현행 교수-학습 과정에 대해 재고가 필요하며, 가능한 한 중학과정부터 필수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일본어 교육은 일본어 교육 자체의 발전 뿐 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지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 問題提起 現在世界情勢の流れには大きい變化が現われている。アメリカが超大國として世界を主導しているが、地域別ではヨ一ロッパ連合のようなブロック化現象が著しい。當然該當地域では各地域の言語を利用した意思疎通の必要性が增大されている。これによって世界の多くの國國は多樣な言語敎育に心血を傾けているし、外國語敎育を開始する年齡も徐徐に早期化している。 しかし我が國の外國語敎育は英語一邊倒で疾走している。英語が上手に驅使することができなければまるで世の中で住むことのできないように壓迫を加えている。當局者たちは學校に提供される外國語の數が增加されて來たことを持って外國語敎育が擴がったと言うが、內容を見れば英語集中現象だけが擴がって他の外國語敎育はむしろ縮まったと言っても良いほど深刻に歪曲されている。英語にだけ外國語敎育が劃一化された時、社會と文化も劃一化されて英語圈に從屬する危險性が大きい。 外國語敎育は多樣化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多樣な言語の敎育は學生たちが多樣な文化を取って利用することができる能力を取り揃えるように支援して思考の幅が廣い人間、調和な人間にな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する。 本稿は英語に集中されている我が國の外國語敎育現況を考察して望ましい外國語敎育政策のための改善點をいくつか提案しようとする。また學生と敎師に對するアンケ一ト結果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の改善方向に對してもいくつか提案をして見ようとする。本稿で論議することは主に政策的な側面や我が國の第2外國語敎育が本格化する高等學校に對する考察を中心に敍述することにした。 2. 我が國の外國語敎育政策の現況と問題點 我が國の外國語敎育政策の變化と現況を一番よく現わすことは國家の敎育課程である。1954年に第1次敎育課程が制定されて現在第7次敎育課程が施行されているが、その間我が國の外國語敎育は外形的に大きな成長を成し遂げて來た。學校に提供される外國語の數も1次敎育課程期の 4個(英語、ドイツ語、プランス語、中國語)から8個(英語、ドイツ語、プランス語、中國語、日本語、スペイン語、ロシア語、アラビア語)に增えたし、各科目は Ⅰ、Ⅱなどに細分化された。 また 7次敎育課程では敎授-學習分量の適正化と意思疎通活動中心の外國語敎育、文化理解敎育の重視、學習者中心敎授-學習活動の强調、科目別內容體系の柔軟性を强調するなど相當部分で望ましい變化を成していることに評價される。 しかし第2外國語敎育においては高校2年生になってから實施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するとか、學生自由選擇制にするとかしてむしろ敎育環境が劣惡になったし、それさえも大學入試にほとんど反映しないことで學校での第2外國語敎育は破行に至るようになった。 このような狀況は外國語敎育の早期化と多樣化、そして實質化を追い求めている他の國國とはよほど對照的な姿であり、國際競爭力の低下をもたらすこともできる危ないどころである。 3. 日本語敎育の現況と問題點 本稿は我が國の日本語敎育に對する關係者たちの認識を把握して、これ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の改善方向を提案するために、日本語敎師と學生たちを對象でアンケ一ト調査を實施した。 日本語學習環境に對しては敎師と學生の壓倒的な多數がよく揃っていないと回答したし、その理由として敎師らは日本語を入試に反映する大學が多くないということを擧げたし、學生たちは英語を主とする外國語敎育政策を指摘した。 これによって日本語學習を效果的に支援するために必要なことで、學生たちは韓日交流を支援し,日本語學習施設を補强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回答したし、敎師らは大學入試での反映及び活用度を高めなければならないと回答した。また敎師らは日本語の大學入試反映度が低くて學生たちの關心も低くなって、結局高校の日本語授業が正常的に實施されることができないと指摘した。 そして多數の學生たちは大學入試負擔がない場合、日本語を積極的に勉强したいという意志を現わして現行入試制度が日本語學習の大きい障害になっていることを確認させてくれた。 最後に敎師らは大部分日本語を敎えるという事實に滿足を表示しながらも政府の第2外國語敎育政策に對しては大きな不信感を現わした。 4. 結論 英語敎育に集中された外國語敎育政策は他の外國語敎育の破行をもたらす。その間第2外國語敎育が擴がって來たと言うものの、實際では導入した外國語の數が增えただけで、敎育課程や選擇制度の問題によって第2外國語敎育はむしろ縮まったと言っても過言ではない。こんな狀況が持續すればうちの社會は言語と文化の多樣性を喪失して英語圈に從屬する最惡の事態にあうこともできるだろうと思う。したがって外國語敎育政策は多言語主義、多文化主義の價値觀に合わせて第2外國語敎育を活性化させる方向に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 この爲に、言語の多樣性を重視する方向に政策價値觀を再確立して、第2外國語敎育を事實上制限している敎育課程を再編し、學生による選擇制度を見直して多樣な言語が學校現場で敎育され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また入試での活用方案を硏究して反映率を擴大するとか必須化しなければならない。我が國で第2外國語敎育の正常化は現實的に大學入試での反映によって左右されるからである。そして中等學校水準での實質的な外國語專門學校開設も考えられることである。 また、アンケ一ト結果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が發展するための方向をいくつか提示して見れば、まず大學入試への反映擴大のために努力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韓日交流に對する支援をふやし、日本語學習施設を設置するなど日本語學習支援體制を補强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また意思疎通機能中心の現行敎授-學習過程に對して再考が必要であり、できるだけ中學過程から必須化を推進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點などを擧げ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と思う。それによって日本語敎育は日本語敎育自らの發展だけでなくうちの社會の多樣性を守ることにも寄與す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と思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