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주거만족도 및 원룸주택 주거선호도에 관한 연구

        전효진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1993년부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선을 보이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된 것이 원룸주택이며 입지의 특성에 따라 아파트, 오피스텔, 연립주택, 다가구주택 등의 형식으로 도입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원룸형 다가구주택이다. 원룸형 다가구주택은 건물의 규모가 작고, 주로 소규모 지주들에 의해 임대전용으로 지어진다. 또한 아파트나 오피스텔보다는 경제적이며, 젊은 신세대들이 선호한다. 과거에는 자취나 하숙의 형태인 대학가 주거유형이 현대에는 자취, 하숙, 고시원에 비래 편리한 시설을 갖추었고, 독립생활이 가능한 원룸형 다가구주택으로 젊은 신세대층 거주자인 대학생들이 밀집해 있는 대학주변을 중심으로 대학가 주거의 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대학생 위주의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룸주거환경은 대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편리성과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할 원룸이 불편하고, 위생상, 보안상 여러 가지 허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사생활의 침해를 받는 경우도 있어 원룸 본래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살펴보고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거선택 만족도와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판소리 진양조장단과 세마치 장단의 비교연구 : 판소리 고법적 측면에서

        김기홍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15

        최근 판소리 공연이나 고수대회에서 세마치장단의 판소리고법은 여러 가지 형태로 연주되고 있다. 어떤 고수는 세마치장단을 치고, 다른 고수는 진양조장단의 빠른 형태인 자진 진양조장단을 치거나, 또 어떤 고수는 두 가지를 혼합해서 연주하기도 한다. 이런 점 때문에 많은 고수나 고법을 배우는 사람들은 세마치장단의 정확한 고법에 대해 혼란스러움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판소리 내드름 분석을 통해 진양조장단과 자진진양조장단, 세마치장단의 리듬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양조장단은 󰁜=40에서 50 정도의 빠르기로, 전형적인 3분박리듬과 각 박자의 1번째 단위박에 악센트가 있었고, 두 박자의 호흡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진진양조장단은 진양조장단의 속도가 빨라진 장단으로, 3분박 리듬형태에서 2분박 형태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설붙임이나 단위박의 악센트는 없었으며, 호흡의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세마치장단의 내드름 선율을 분석한 결과, 제 4박의 3번째 단위박의 음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리에 악센트가 있다는 근거로, 악보상 음의 변화는 없었지만, 앞의 박자에서도 같은 리듬일 것으로 추측된다. 왜냐하면 내드름은 장단의 원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박부터 제 4박까지 소리가 진행되면서 단위박의 악센트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 5박과 제 6박은 앞 박자의 리듬과 같은 3분박으로 표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고법 세마치장단의 제 6박에 세마치장단의 리듬구조를 대입시켜보면, 제 6박의 1번째 단위박에 악센트가 있어야 하는데, 3번째 단위박에 악센트가 나타났다. 본래 고법 세마치장단의 제 6박은 세마치장단의 제 2박 자리에 해당되기 때문에 1번째 단위박의 악센트 대신 3번째 단위박에 있다. 이것은 3번째 단위박이 호흡박이기 때문에 악센트가 있는 것이고, 또한, 다음 장단의 합박은 세마치의 매도지박인 제 3박 자리에 해당되므로 당겨 붙여 치듯이 쳐야 하기 때문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판소리 장단에서, 현재 같은 장단으로 되어 있는 자진진양조 장단과 세마치장단을 내드름에서 사용되는 2분박과 3분박의 리듬에 따라 자진진양조 장단과 세마치 장단으로 구분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세마치장단과 관련한 후속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세마치장단, 자진진양조장단, 진양조장단, 판소리고법, 고법

      • 이해조 신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 구마검, 모란병, 자유종, 홍도화를 중심으로

        김태희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15

        이 논문의 목적은 이해조 신소설 속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현실대응 양상을 시대적 고찰을 통한 실증적 접근을 기본으로 하여 살펴봄으로써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소설 속 인물들의 현실대응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개화기 시대 여성개화에 앞장섰던 이해조가 소설을 통해 여성에게 어느 정도의 근대성을 일깨우고 개화기라는 과도기적 상황 속에서 작가가 취할 수밖에 없는 현실대응양상에 초점을 두고 작가의 여성관을 살펴보았다. 과도기적 시대상에서 이해조의 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은 구소설적 여성의 면모를 답습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독자가 스스로 느끼는 상황 속에서 가장 현실적으로 자신의 모습을 판단하고 스스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독자에게 인식시켜 개화기 시대의 문제를 현실로 끌어내고 있다. 하지만 작품 속 현실대응양상에 있어서는 현실의 모습과 상반되고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개화기의 여성문화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검토하였다. 조선후기에서 개화기로 넘어오면서 기본적으로 근대화가 가장 시급했고, 이를 위해서 여성을 국민으로 변화시켜야 했다. 그로인해 남성의 억압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남성의 소유물이 아닌 하나의 인격체로서 내외의 경계를 허물고 외부세계로 진입할 출구를 모색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여성의 근대화는 개화기라는 과도기적 시대상황 속에 너무 빠르게 진행되었다. 여성은 자신들 스스로 각성한 것이 아니었다. 3장에서는 2장의 여성문화의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이해조 소설 속에서 드러나는 여성상의 유형을 추출하였다. 소설 속에서 개화기의 여성교육과 인권의 문제를 드러내어 살펴보고 전통적 지배원리에 순응하는 여성상과 도전하는 여성상으로 나누고 과도기적 시대상황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양가적인 여성상의 모습과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현실대응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과도기적 시대상황 속에서 소설 속 여성들의 현실대응의 양상에는 모순점이 드러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개화기의 급격한 변화에 시대와 문화 모두 빠르게 변화해야 했고 이를 작가는 여성들을 개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했다. 4장에서는 이해조의 신소설을 통해 드러난 여성관을 추출하였다. 이해조의 소설은 이인직의 소설과는 달리 풍속과 세태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해조의 소설 속에 드러나는 여성은 대체적으로 낡은 관습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해조는 낡은 관습을 바탕으로 전근대적 여성상을 통해 개화기 시대 독자층인 여성들에게 역설적으로 다가가고 있다. 본 논문은 이해조의 신소설 속에 드러나는 개화기 여성의 현실적 모습이 시대적, 사회적으로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 시기는 개화기라는 모순적 시대상황 속에서 현실을 직관적으로 드러내며 여성의 공간이 남자의 소유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개화를 향한 모습이었으며 국가의 근대화와 가족, 개인의 틀을 벗어나기 위한 여성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 산수화에 있어서 숭고미에 관한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양현숙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 문 초 록 본인은 역대 명화의 이미지를 차용(Appropriation)하며 언어로서 표현 할 수 없는 공포감, 고통, 외로움, 이러한 내면의 감정들을 시각적 표현을 통해 본인의 작품에 ‘숭고미’를 표현하고자 한다. 거대하고 압도적인 대상이 주체로 하여금 공포를 느끼게 할 때, 주체는 단순히 이에 굴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려는 정신을 부각시키는데 이것을 ‘숭고(崇高)’라 한다. 숭고는 인식체계나 도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감정의 움직임이자 심미적 경험이다. 본인은 무한한 크기나 광할하게 펼쳐진 자연의 모습으로부터 위압감, 경외심, 두려움, 공포감을 느꼈다. 그러나 이런 의식 속에 잠재된 부정적인 감정들을 작품에 표현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정체성을 찾게 되며,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따라서 본인은 언어로서 표현 할 수 없는 공포감, 고통, 외로움, 이러한 내면의 감정들을 통해 자연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본질성과 정신성을 화면에 드러냄으로서 깊이 감 있는 숭고의 세계를 구현해 내고 그 의미를 표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의 형성 배경이 되는 ‘숭고’의 의미를 알아보며 동양의 산수화와 서양의 풍경화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또한 회화에서 숭고는 어떻게 표현 되었는지 연구하며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대표적인 화가들 작품의 선행연구와 본인 작품과의 연관성을 분석 하였다. 표현방법적인 측면에서는 소재, 기법, 구도로 조형적 요소로 나누어 작품을 연구하였으며 거비파의 화북산수화 이미지 차용을 통해 숭고를 작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인의 연구작품 분석을 통해 자연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본질과 정신성 그리고 숭고미의 가치를 현대인들에게 제시 하고자한다.

      • 대상의 미시적 접근을 통하여 나타난 조형적 특성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신수산나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 초록 본인의 작품은 자연의 극히 작은 일부인 나뭇잎, 열매, 나무껍질, 돌과 같은 실제 대상을 소재로 조형성을 탐구한 변형된 정물화로서, 사진이나 인쇄물의 이미지가 아닌 정물을 소재로 작품을 제작하게 된 동기는 자연물의 풍부한 색채와 구조를 자세히 탐구하기 위함이었으며, 초기에 근접하여 대상을 관찰하였으나, 대상의 형태보다는 내부구조의 추상적인 요소들에 더 관심을 갖게 되어 대상을 점점 더 미시적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본인의 대학원 석사과정 2년 동안 제작한 작품들과 관련하여, 제Ⅱ장과 제Ⅲ장에서는 이론적인 배경을, 제Ⅳ장에서는 본인 작품의 조형적 탐구를 통하여 나타난 특성을 연구한 내용이다. 첫째 제Ⅱ 장에서는 정물화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정물화의 기원은 고대 로마의 식당 벽화에 그려진 크세니아(xenia)정물화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로서 유리항아리와 과일을 그린 정물화가 있는데, 그 그림의 목적은 손님에 대한 환대의 의미와 함께 벽을 장식하는 것이었다. 그림의 특징으로서 개별적인 정물들은 객관적인 관찰에 의해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단색조로 명암을 표현하여 부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 반면, 정물들 상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면구성의 의도는 보이지 않고 있다. 정물화는 16세기 유럽에서 독립적인 장르로 나타나지만 17세기 네덜란드 바로크 시대에 세부적인 전문화와 함께 전성기를 맞는다. 꽃 정물화의 상징적 의미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이라는 기독교의 교훈적 내용을 나타내며 꽃의 시듦은 바니타스(vanitas, 덧없음 또는 허무)를 의미한다. 네덜란드 정물화의 출현은 본래 알레고리 형식으로 나타나던 종교적, 신화적 주제가 후대에 가서 일상생활의 장면을 묘사한 풍속화와 같은 형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나타난다. 특히 네덜란드의 ‘차려진 식탁’ 또는 ‘아침식사 정물화’는 정물화가 독립적인 장르로서 출현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사순절의 절제와 관련된 주제에 대한 도상적 기원을 ‘카니발과 사순절의 전투’로 볼 수 있다. 20세기 초 폴 세잔(Paul Cezanne, 1839-1906)에 이르러 정물화는 더 이상 장식이나 종교의 교훈적 상징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이, 정물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 사과, 식탁보, 과일 그릇 등과 같은 단순한 사물들이 조형성을 탐구하는 대상이 된다.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은 세잔은 자연의 풍요로운 빛의 색을 표현하기를 원했으며, 형태에 있어서는 푸생의 그림과 같이 사물의 견고함을 나타내기를 원했다. 그리하여 그는 형태와 색채를 탐구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형태와 색채는 보완관계에 있으며 불가분의 관계라고 생각함으로써 단색조의 명암법(modelling) 대신 색채로서 형태를 구축하는 명암법(modulation)을 사용하게 된다. 세잔은 그의 정물화에서 대상들을 다양한 시점을 통하여 대상 자체의 특성과 화면에서의 균형과 조화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시각적 포착이 화면에 통합됨으로써 화면 안에서 대상들은 역동적인 관계를 이룸과 동시에 화면 전체에서는 균형감을 보여주었으며, 뒤에 등장할 입체파에 큰 영향을 주었다. 둘째 제Ⅲ장에서 이론적 지식보다는 대상과의 직접적인 체험과 함께 조형성을 모색한 본인의 작품과도 관련이 있는 메를로‐퐁티(Merleau‐Ponty,1908‐61)의 현상학적 시각과 세잔의 작품을 연관시켜 설명하였다. 메를로‐퐁티의 지각(知覺)에 관한 연구는 인간의식의 본성을 체험된 경험으로 인식하는 이론으로서 지각의 불확실성을 주장하며 지각(知覺)과 사유(思惟)를 구분하였다. 메를로‐퐁티에 의하면 지각이란 세계에 대한 의미화 과정이며, 이 세계는 지각자의 외부에서 스스로 결정되어져 있는 객관적 대상이 아니라 인간과의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세계의 의미를 드러내며 진리를 창조하게 되는 기반이 된다. 여기서 지각자는 세계에 대한 선택적인 시각을 취함으로써 제한된 관점을 가지며 지각의 오류나 불확실성 등을 갖는다. 그러나 선택으로 인한 제한된 관점은 오히려 다양한 시각의 탐구에 대한 개방이며 지각의 불완전한 모호성 또한 지각의 재발견과 함께 더 완전한 진리를 발견할 수 있는 전제가 된다. 그러므로 모호성은 결함으로 여기기보다는 세계 속에서 끝없는 탐구와 새로운 발견들을 할 수 있는 기반인 것이다. 메를로‐퐁티는 지각자와 대상과의 관계에서 지각자는 수동적인 수용자도 아니고 절대적인 창조자도 아니라고 한다. 다시 말해 대상은 이미 완전하게 결정되어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지각자와의 교류를 통하여 자신을 나타내는 존재이며 지각자는 자신을 세계에로 투사 즉 개방시켜 사물의 의미를 마중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이와 같은 지각의 과정을 세잔의 작품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있다. 세잔이 그의 수채화에서 단일한 윤곽선을 포기하고 여러 겹의 윤곽선으로 겹쳐서 그린 것은 이러한 지각의 모호한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대상이 이미 결정되어있는 결과로서가 아니라 가시적인 존재로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 셋째 제Ⅳ장에서는

      •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정의 효과 분석 - 2006년 지방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

        정재헌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15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Electoral Reform in Local Representative Elections: Focusing on the Electoral Outcomes in the 2006 Local Elections. by Jeong Jae Hyun By instituting direct election of local representatives by the people in 1991, Korea inaugurated the era of municipal democracy. Fifte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The fourth local election was held on May 31, 2006, in which two critical electoral institutions wer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local representatives payment system', and 'party nomination of local representatives at the lower level.' This study examined the core content of the newly introduced electoral institution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m with past institutions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local representatives from different elections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professions, and party membership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electoral outcome in 2006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newly introduced electoral system, resulting in inflating the power of the national political elite over local politics. The high wave of localization and globalization under the information-technology era demands a substantive democracy at the local level and a more extensive role of local congress for a substantive democracy. We conclude that, in order to establish a substantive democracy at the local level, the minimum requirements are as follows: 1) specialization of local representatives in critical areas such as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to improve law-making capability; 2) electoral reform in which the local elections at the primary level are carried out separately from those at the secondary level; 3) a local congress which is immune to the powerful influence of the national elite; and 4) high civic engagement by local people in local politics. 1991년 지방의회의원을 선출하면서 지방자치, 시민참여의 시대를 열어왔다.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2006년 5월 31일에는 4번째 지방정부와 의회를 구성하였으며, 제4회 전국동시지방 선거는 그동안의 지방의회 관련 선거법과는 달리 ‘지방의원 유급제’, ‘기초의원 정당 공천제’ 등 상당한 차이가 있는 개정된 선거법이 적용된 첫 선거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지방자치법과 공직선거법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였으며 이전 지방의회 관련법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각각의 선거제도에 의해 선출된 지방의회의원의 정당별, 학력별, 직업별 분포를 분석 하였다. 각각의 분포 분석 결과 개정 선거법의 기초의회 의원에 대한 정당 공천은 지방화, 시민참여자치를 위한 지방정치가 중앙정치의 당리당략적인 요소에 의하여 극심한 예속형상을 보임으로써 지방에서도 지역주의가 극대화 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지방자치의 강화와 발전은 지식정보화 시대와 세계화 속에서 더욱 강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지방의회의 역할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진정한 시민 참여와 자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지방의회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지방선거에서의 정당참여를 차등적으로 허용 내지 제한시키고, 기초와 광역의회의 선거를 분리하는 등 지방자치관련 선거법 및 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또한, 지방의회 의원의 전문성 보강을 위해서는 의정활동 지원체제의 자율적 구성․운영과 지방의원들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관심과 언론 시민단체의 평가․비판기능의 강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 분산 웹 환경에서 4족보행로봇의 움직임 제어와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김익수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15

        제안된 시스템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고수준의 복잡한 로봇어플리케이션을 분산 웹 환경에서 2대의 4족보행로봇을 동작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구성하였다. 로봇 서비스는 MSRDS의 그래픽 기반 언어(VPL)를 통하여 쉽게 멀티로봇을 제어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되는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시스템에서 멀티로봇 플랫폼으로 사용된 제니보는 15축의 모터, 카메라, 여러 가지 센서 등을 가지고 있어 네트워크 API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어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칼라 추적을 위해 칼라 추적기와 칼라 검출기를 개발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을 통해 개발된 로봇 서비스들은 분산 웹 환경 하에서 동적인 실행, 구성 및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래픽 기반 언어인 VPL로 개발된 2개의 로봇 서비스들을 사용하여 2대의 4족보행로봇을 네트워크상에서 제어하여 그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그래픽 기반 언어인 VPL을 사용한 4족보행로봇 제어를 통해 지능형로봇 교육 및 프로그램 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증명하였다.

      • 그림자의 이면을 통한 내면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전현아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15

        인간은 자신, 타자, 혹은 외부적 환경 등을 통해 무언가를 지각하고, 감각하고, 욕망하고, 소유한다. 존재하는 모든 것이 이들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실제로 인간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한편으로 우리는 그것들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진지하게 바라보게 된다. 그럼으로써 대상을 단순히 인식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것이 가지고 있는 이면에 대해 느낄 때가 있다. 우리의 삶은 현실과 이상이 공존하는 양면의 세계이고, 그러한 삶의 이중성은 언제나 불안정하고 공허하다. 이러한 구조는 대상과 그림자의 관계에서 발견할 수 있다.

      • 한국의 기부문화에 대한 연구 - 아름다운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

        배영옥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15

        이제까지 우리의 기부수준은 서구에 비해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을 뿐 아니라, 개인보다는 기업에 대부분을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기부활동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인식이 낮았고, 대부분 종교적 이유로 인한 기부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부가 갖는 의미는 이제는 일상적인 행위로 보여 질 만큼 보편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부행위의 중요성이 점차로 커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자선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민간의 자선활동이 앞으로 더욱 민간의 기부에 의한 재원조달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기대된다. 민간의 자발적인 기부로 민간이 주관하는 자선적 공익활동들이 이뤄지게 된다면 사회구성원들이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불필요하게 과다한 정부의 간섭과 개입을 피할 수 있고, 시민사회와 민간의 역할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향후 우리 사회에서도 민간부문이 사회의 공공복리를 목적으로 하는 역할이 더욱 증대되어야 한다. 현대사회의 인류복지는 민간이 주도하는 형태로 변화할 것이다. 현대 산업의 발전을 주도한 기업의 경우 수익창출이 우선되어 환경파괴, 빈인간화와 같은 문제점을 몰고 왔다. 따라서 순수한 인류복지를 말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거대화된 정부 역시 관료주의와 부정부패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급변하는 사회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민간자율의 사회복지가 점차 강조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복지의 한 부분인 우리의 기부문화와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실정을 파악하고 문제점들을 알아봄으로써 기부문화의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특히 아름다운 재단의 통하여 우리나라의 성공적인 모금 사례를 알아보면서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찾아볼 것이다. Until now, Korea donation level is very low, and depends on companies than individuals. The awareness and role of Civilian donation activity is low, and the religious reason is why most people donate. But recently, meaning of donation is spreading widely. As the importance of donation is increasing, various donation acts are completing. Therefore we expect civilian's donation acts to have influence on raising fund. If beneficial acts which civilian groups lead are completed as voluntary donation, we can remove government intervention through voluntary acts of social members, improve the role of community and civilian. Consequently we expect civilian groups to improve the role of public welfare later. The welfare in the modern society will change its form into civilian groups leading. In case of company leading industrial development, the profit of company is the most important, but causes it to make environment destroying, inhumannes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pure welfare", Also as a gigantic government makes problems that are bureaucracy, corruption, it is not easy to respond the rapidly changing social needs. So it is true that welfare being done voluntarily is emphasized. As studying differences between the donation culture of Korea, a part of social welfares and foreign donation culture, we comprehend korean donation culture, seek the projects to revitalize. Especially as studying a example of successful raising funds, BEAUTIFUL FUND, we plan to find the way that we can devel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