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대학 내 조직과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철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나라의 대학은 현대 사회에서 차지하는 존재감과 그동안의 성장에 비해, 체계적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기는 어렵다. 대학기관에서 대학기록관 운영 및 대학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고, 대학기록관의 수는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대학 구성원의 인식, 대학기록관의 역할 등 활성화 부분은 부족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연구자는 대학기록관 자원의 특성과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분야와 산업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추구하는 사례, 그리고 대학 관련 사회적 이슈에 따른 대학조직 개편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했다. 이에 연구 목적을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제시로 설정하고, 세부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첫째,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확인하고,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분석한다. 둘째, 대학기록관 활성화를 위한 업무 분야별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의 적절한 조직과의 협력 체계 구축 및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관련 연구와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복합문화공간 및 라키비움의 융합 사례를 분석했다.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분석에서는 대학기록관과 대학도서관, 대학박물관, 대학 본부, 총학생회, 총동문회, 학부 및 학과 등과의 협력 사례를 수집 분야, 전산화 분야, 공간 분야,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이 대학 내 조직과 각 분야에서 어떤 협력을 진행하며, 협력을 통해 어떤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파악하며 시사점을 도출했다. 복합문화공간 및 라키비움의 융합 사례 분석을 통해서는 융합된 기관은 어떤 공간 구성을 갖추며, 그 속에서 기록관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파악했다. 그리고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 및 명지대학교 내 조직의 협력 사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과 대학 내 일부 조직과의 협력 가능성을 파악했다. 대학기록관 관련 연구와 협력 및 융합 사례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협력 가능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장점은 극대화하고, 아쉬운 점은 보완하는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대학사료실 활성화를 위한 업무 분야별 협력 방안은 다음과 같다. 수집 분야에서는 규정에 자료 교류 및 협력을 명문화하고, 적극적으로 찾아가는 수집 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전산화 분야에서는 규정에 기록관리 관련 전산화 부분을 명문화하고, 전산화를 수행하며, 이용자의 온라인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공간 분야에서는 대학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상업 공간·휴식 공간·메이커스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복합공간을 추구해야 한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교육 및 비교과 프로그램이나 대학의 필수 이수 과목인 채플 등과 연계한 서비스를 기획해야 한다. 대학 내 조직별 협력 체계 구축 및 확장 서비스 방안으로는 대학도서관, 대학박물관, 총학생회, 총동문회, 대학 본부 등 대학조직에 대학사료실이 먼저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지원하며 관계를 형성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리고 나아가 해당 대학조직의 기존 프로그램, 행사, 기능 등을 활용·연계하는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안했다. 연구를 통해 제안한 내용은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모든 대학기록관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오늘날 다양한 협력이 이루어지며,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다양한 협력 사례를 정리하고, 협력에 초점을 맞춰 개선방안 및 협력 방안,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안한 부분은 협력을 시도하는 기관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orean Universities are systematically unable to look back on themselves compared to their status in modern society and their growth so far.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operation of university archives and management of university records. Although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has been revised and the number of university archives has increased, there are still regrets in the activation part such as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members and the role of university archives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ality, the researcher comprehensively considers many things that includ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rchives resources, cases of pursuing synerg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various fields and industries in modern society, an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 reflecting social issues related to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decide that the study on ways to activate university archives is necessar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plan to invigorate the university archiv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the university. The detailed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The first goal is to analyze possibilities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internal organizations of university by examining various cases. Second, it is to present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ies by business fields. Third, it is to propose a solution about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r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ies and expanding the service.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related to the University Archives,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the organization within the university, and the complex cultural spaces. The analysis of cooperative cases, such as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archive,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museum, university headquarter and student council, is divided into collection, computerization, space, and service field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kind of cooperation projects the University Archives is conducting with the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 in each fields and what effect it is getting. Also, by analyzing the convergence case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larchiveum,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used institution and the role of the Archive are found out. In addi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in Myongji University's university archives and the case of collaboration in Myongji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in the university is identified. Considering research related to university archives, analysis of cooperative cases, and the situation of Myongji University's university archives, it proposes ways to cooperate and revitalize the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in the university to maximize benefits and supplement disappointments. Cooperation plans for each business field to revitalize the university archives are as follows. In the field of collection, data exchange and cooperation should be stipulated in the regulations, and data collection activit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area of computerization, the computerized part should be provided in the regulations and the online accessibility of users should be increased. In the field of space, university spaces should be efficiently utilized and complex spaces including commercial spaces, rest spaces, and makerspace should be pursued. In the service sector, services linked to user educ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a non-subject program or a required course at a university should be planned. As a wa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r each organization within universities, this study emphasized that university archives should actively approach, support, and form relationships with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museum, student council, university headquarter. Furthermore, it suggested an extension service plan utilizing the existing programs, events,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 Since the contents proposed in this study are conducted based on the case of Myongji Universit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ll university archives. However, further cooperation is taking place today, 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s highlighted. 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to organize various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and expansion service solutions with a focus on cooperation.

      • 대학 총학생회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이유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A university is an organization charged with publicity and has accountability to the community for the operating process. Students account for a majority of members in a university. In universities, numerous creatures are pouring out every year and university students are major producers of these records. However,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producing enormous amount of records as main agents of universities and focused concentration on produced records have not been made yet. It is reality that from the archival point of view, the importance of produced records of which main agents are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relatively underestimat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approach in archival point of view on records produced by university students, main ag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cords that university students produce such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teaching as well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various autonomy activities like clubs, students' association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 autonomyactivity process and placed emphasis on accountability securing measures on autonomy activity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To secure accountability of activities,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based. Therefore, as a way to ensure accountability of unversity students autonomy activity, we tried to present records management systematization and records utilization measures. For this, a student body, a university student autonomy organization was analyzed and a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Humanities Campus was selected as a specific target. First, to identify records management status, activities and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w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 president of the student body.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 body and examined the necessity of accountability accordingly. Also, we deriv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s to be produced at each stage by analyzing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Like this, after deriving the types of production record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accountability and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the present student body. First, to identify the general process status of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activity process by stage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And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body and responsibility principal and conducted real condition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we presented the measures to ensure accountability of a university student body in three categories such as systemat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process, 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accountability guarantee measures. This study discussed accountability on society by analyzing activities and functions of a student body, targeting a student body, an autonomy organiz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s a measure to secure accountability ofa student body, we proposed a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ettlement. But in terms that a student body is an organization operated in one year basis, there is a limit that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is hard to settle. This study pointedout this limit and was to provide clues when more ac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tudent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through presentation of student body records management model.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will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school history arrangement and conservation. 대학은 공공성을 띤 기관으로서 그 운영 과정상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accountability)을 가진다. 대학을 이루는 구성원 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학생이다. 대학에서는 매년 수많은 연구 창작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대학생은 이러한 기록물의 주요 생산자이다. 그러나 대학의 주체로서 매년 방대한 기록물을 생산해내고 있으면서도 대학생의 역할과 기능, 생산 기록물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기록학적 관점에서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한 기록에 대한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대학생이 생산하는 기록에는 연구 및 수업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뿐만 아니라 동아리, 학생회 등 각종 자치활동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대학생 자치활동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대학생의 자치활동 과정에 대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록관리가 기초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생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체계화 및 기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자치 조직인 대학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으로는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총학생회를 선정하였다. 우선 총학생회의 활동과 조직 및 기능, 기록관리 현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학생회장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활동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명책임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조직과 기능을 분석하여 각 단계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기록의 종류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총학생회의 활동과 설명책임성의 필요성, 조직 및 기능에 따른 생산 기록물의 유형을 도출한 후, 현재 총학생회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총학생회 활동의 일반 프로세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단계별 활동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방법과 책임 주체를 분석하고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기록관리 과정 체계화, 기록관리 인프라 확립, 기록 활용을 통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의 세 가지 범주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자치 조직인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총학생회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환경 정착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총학생회는 1년 단위로 운영되는 조직이라는 점에서 기록관리 환경이 정착되기 힘든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모형 제시를 통해 차후 학생기록관리 분야에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 사(史) 정리와 보전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가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민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은 대학의 기능적 측면, 사회적 측면, 개인적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대학 기능적 측면에서 학생 관련 기록물은 기록물이 생산된 시점에서의 각 구성원들의 주관적인 모습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행정기록물의 한계점을 보충하는 기제가 되며, 연구적 활용성을 가진다. 사회적 측면에서 학생 관련 기록은 새로운 관점에서 당대의 사회적 역사 및 문화를 기록할 수 있다. 더불어 사회적으로 창의적 자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개인적 측면에서 학생 기록은 지적 활동의 산물이며 학창 시절 기록으로써 부분적인 생애사적 기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학생 기록물이 가지는 중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학생 기록물은 서로 다른 주체가 생산해 내는 기록의 양이 방대하며, 분산되어 있고,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워,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실행 측면에서 부진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의 ‛학생 관련 기록물'의 수집·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의 체계적 수집을 통한 기록의 보존 및 효용성 제고를 위해, 학생 관련 기록물의 특성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국내외 대학의 관리 사례를 바탕으로 수집·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이 가지는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고, 국내·외 대학 사례를 분석하여 명지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관련 기록물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기록을 행정 기록과 교육 기록, 학생 활동 기록의 세 가지 기록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이 중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수집·관리 및 서비스가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 기록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 영역을 ‛학생 관련 기록물'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학생 관련 기록물'을 ‛교육 기록', 교육 기반의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될 수 있는 ‛학생 창작 및 연구 기록', 교육 외 ‛학생 활동 기록'으로 구분하였다. 세 가지 영역별로 사례를 살펴보고 명지대학교의 현황에 적합한 영역별 관리 방안과 종합적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생 관련 기록물의 관리현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결과, 다양한 학생 관련 기록물에 가치를 부여하고 체계적으로 기록을 수집·관리하는 경우는 매우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명지대학교의 생산 현황에 따른 제안을 하였지만, 이는 대부분 일반 대학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들은 대학 내 학생 기록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여 관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학생 관련 기록물을 대학 기록의 범주 안에 명확히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대학 기록관 및 도서관의 수집 정책을 성문화 시키는 것이 학생 관련 기록물 관리의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며, 디지털 형식의 기록 수집, 기관 협력과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설치 등의 방안을 통해 학생 관련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ent records in university are important for the three aspects of university – functional, social and personal. I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university, the student records help to identify the subjective aspects of each member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records,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administrative records and has research utility. From a social aspect, the student records can record the social history and culture of the present from a new perspective. In addition, it plays a role as a creative resource in society. Lastly, on the personal aspect, student records are the product of intellectual activity and can be part of life history records. However, the student records are very large and distributed in quantities produced by different subjects. Therefore, despite the great importance of the student record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but remain at a sluggish stage in terms of university performanc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in university.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serv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y collecting student related records in universit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udent related records were examined and the manage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management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in the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o present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centered on Myongji University cases. In this study, the student records consisted of three areas : administrative record, education reco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 Among these, the record area except for the area of administrative records in which the research is continuously performed was defined as 'student related record'. And 'Records related to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education record', 'student creation and research reco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 This study investigate three areas suggesting a few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the Myongji Univers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anagement of student related records, very few cases of valuing various student-related records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records. In this study, the proposal was mad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tatus of Myongji University, this can be applied to general universities as well.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value and meaning of student records in university, to empathize with the need for management, and to ensure that student related records are clearly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university records. In addition, codification of collection policies of university archives and libraries should be the basis of managing student related records. The collection of digital records, institutional collabor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digital repositories will be an effective way to systematically manage student related records.

      •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중심으로

        이창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기록 관리는 기록을 선별하고 수집하여 보존하는 것에서 이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록관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잠재적 이용자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개발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적용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선정하고 이용자 요구 및 질의 분석을 진행하였고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어 IBM Watson Conversation과 카카오톡 메신저를 통해 챗봇을 구축한 뒤, 시험 실행(Pilot run) 과정을 통해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이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 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챗봇 도입, 챗봇의 수준 결정, 이용자 요구 분석, 챗봇 구축을 위한 도구 선정, 대화식 상호작용을 위한 구문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와 기록관 챗봇 구축의 시사점에 대한 논의는 기록연구사가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여 기록관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Records management is evolving from collecting and preserving records and archives to utilizing them, but there are still many potential users who are not aware of the existence of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Therefore, this study has developed a record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hat suppor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and it examined the specific development procedure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chose the Archives of Myongji Univers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hatbot, analyzed user requests and questions, and proposed a logical structure design for Chatbot development. After building the Chatbot based on IBM Watson Conversation and KakaoTalk Messenger, we were able to find how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Chatbot interacted with the user through a pilot run process. Also,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he implication on the introduction of the Chatbot,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the Chatbot, the analysis of the user requests, the selection of the tool for the Chatbot, and the syntax setting for the interactive interaction we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s about the logical structure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ervice Chatbot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hatbot will help the archivist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applying the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o the archives.

      • 과학기술분야 연구기록의 평가모형 연구 : 지질자원 분야를 중심으로

        이미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50703

        과학기술분야에서는 조사, 실험, 관측, 모니터링 등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해 정기적으로 상당한 양의 연구데이터가 생산, 활용된다. 연구데이터의 양적 증가에 따른 막대한 보존비용과 관리상의 문제는 데이터의 공공성 및 공유 확대 등의 이슈와 맞물려 이제 조직에게 무엇을 수집할지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치 있는 기록만을 보존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따라서 생산된 직접적인 목적을 넘어선 계속적 가치를 확인하는 기록의 평가는 현 시기에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과정에서 기록의 생산과 유지는 필수이다. 기록은 연구가 실행되었음을 증명하고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많이 인용되거나 활용되는 경우에는 연구자의 권위를 높이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개인과 기관의 지적재산권을 유지하고, 연구 부정행위 혐의로부터 연구자와 연구기관을 보호함은 물론, 법률과 규정 및 다른 요건을 준수했음을 증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기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부분의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막대한 예산 투입에 비례하는 충분한 연구관리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활동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역량 확대 및 연구개발기술 발전의 성과와도 그 맥을 같이 하는 만큼 이들 기관의 연구기록은 국가 과학기술의 성과이자 역사로서 그 잠재적 활용가치와 보존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기록과 관련한 연구가 학계에서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평가라는 주제로 연구기록에 접근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패러다임이 데이터 중심으로 바뀐 이 시대에 공적 연구기관에서는 어떻게 연구기록을 평가해야 하는지 올바른 방향을 정하고, 각 연구 분야에서 생산되는 기록의 특성을 분석하여 실제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사례 연구를 토대로 연구기록의 범위와 특성, 연구기록의 평가기준과 평가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기록의 생산 및 관리방식, 생산기록의 유형과 특징을 확인하고, 기록의 평가주체가 될 그들이 연구기록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과 고려사항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차원이 아니라 연구기관 단위에서 적용 가능한 평가절차와 기준을 설계하는 것이기에 지질자원이라는 하나의 연구 분야를 정하고, 이를 연구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평가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몇 가지 원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기록의 평가는 기능평가가 아닌 내용평가여야 한다. 이것은 연구기록의 지속적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이 기록을 생산한 조직의 기능이 적절하게 기록화 되었는지의 여부가 아니라 기록 내용에 담긴 정보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연구기록의 평가단위는 연구과제와 기록유형이어야 한다. 조직 위계 내에서 생산자의 위치나 기능은 더 이상 중요한 평가요소가 아니다. 연구기관의 연구부서의 경우 계층구조가 엄격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업무 단위가 유동적이어서 연구기록을 조직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연구과제를 하나의 시리즈 단위로 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며, 연구기록의 평가기준은 연구과제와 기록유형에 선택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기록 내용에 기초한 평가여야 하기에 평가주체는 연구기록의 생산자이자 전문가인 연구자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록관리자는 평가계획 및 평가기준의 수립과 전체적인 평가과정을 진행하는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즉, 연구기록 평가는 연구자라는 연구전문가와 기록관리자라는 기록관리전문가 집단의 협업이며, 전문가그룹의 협의방식으로 평가결정이 이뤄져야 한다. 넷째, 연구기록 평가를 위해선 처분일정표와 평가기준이라는 평가도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연구기록 처분일정표는 연구 분야의 특성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기록유형에 대한 충분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기록유형에 따라 구성되는 미국의 처분일정표를 연구기록 평가에 적용시켜 볼 만한다. 그리고 평가기준은 연구 가치, 역사적 가치, 유일성 등 기록 내용에 담긴 정보적 가치를 판단하는 평가요소를 포함하여 충분한 기록화 정도, 기록의 기본요건 유지여부, 비용, 기술적 고려사항, 미션과의 관련성, 공공에 대한 기여, 연구기관 차원에서의 중요 성과 등을 장기보존가치 평가영역에 포함하여야 한다. 데이터 큐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점차 대중화되는 만큼 지금의 이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필요한 만큼, 좋은 품질로 제공받길 원한다. 따라서 연구기록 평가가 적절한 프로세스와 기준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운영된다면 관리·보존의 효율성을 넘어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기록의 평가를 주제로 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연구사적 의미는 가지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모형을 실제 평가에 적용시켜 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다만 앞으로의 연구기록 생산 및 보존환경은 계속 변화할 것이며, 평가는 이런 환경에 더욱 적합하도록 탄력성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많은 적용과 실패, 변용의 과정을 거쳐 보다 합리적인 체계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 nice bit of data has been produced everyday through a variety of research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on, experimentation, observation, and monitoring. The problem of enormous preservation cost and administrative issues originated from the flood of data requires an organization to decide how to collect and preserve valuable records. In view of this, the appraisal for the evaluation of the continuous value of records is required more than ever.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records are essential in research activities. Research records provide the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 researchers and often grant authority if their records are much-quoted or frequently used by others. Furthermore, they can help individuals and agencies protect their intellectual properties from the scientific misconduct charges by ensuring compli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Despite such an importance of research records, most of the government-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failed to develop an effective research management system in proportion to their huge budget. Obviousl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of the government-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s are in line with the capability and advancement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 a nation. Therefore, the research records of the government-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s, the output and history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re worth preserving for their potential utilization and future value. Although few studies on this matter were carried out previously, no research has been devoted exclusively to the appraisal of research rec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appraisal model for public research institutes by setting the directions of appraisal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produc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To do this, the major factors and appraisal criteria which may affect the category, characteristics, and appraisal of research reco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methods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researchers and the appraisal criteria and major considerations were extracted therefrom. Based on the results, an appraisal model for research records of government-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proposed. 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pare the appraisal procedure and criteria applicable to an individual research institute, the ‘geo-resources’ field was chosen in this study. The principles for the appraisal underlying the proposed model were as follows: First, the appraisal of research records should be content-information-based appraisal not function-based appraisal. This means that the judgement criterion about the continuous value of research records is not the documentation about organization function but by the information in record content. Second, the appraisal unit of research records should be research projects and record types. The location of producers within the organization hierarchy is no longer an important appraisal factor because the research department hierarchy in a research institution is not permanent and the research team formation is flexible, which makes the classification by the organization meaningless. Therefore, the research project is considered as one of series units for appraisal, and thus the appraisal criteria should be applied electively to the research project and record types. Third, the appraiser for the research record should be the researcher himself, who is the producer and expert of the research records. And the record manager should take the role of a coordinator preparing the appraisal plan, appraisal criteria, and overall appraisal procedures. In other words, the appraisal for research records is the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 professionals and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and it should be carried out in consultation with the two expert groups. The research records are often appraised during or even before the production phase in the sense that they are digital data. Fourth, the essential tools in the appraisal process are the disposition schedule and the appraisal criteria. The disposition schedule should define the target to be produced and acquired based on the careful analysis about the record types. The disposition schedule of United States, which was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s types, would be accept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enough description about record type is necessary. The criteria for the appraisal has to include ‘scientific value, historical value, uniqueness, full documentation, cost, maintenance of basic requirements, technical consideration’ in terms of the individual value of research records and ‘mission alignment, legal obligation, contribution to public, institutional achievement’ in terms of the long-term value of institute. As the gradual popularization of the term ‘data curation’ suggests,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necessary data in a good quality. If the appropriate processes and criteria for the research records appraisal are managed systematically, the active data-sharing would be supported beyond the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Even if an absolute appraisal criteria or a model is not likely, the appraisal model in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e sense that it was not applied to an actual appraisal process. In the future, the environment appraisal should be adjusted in accordance to the continuing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environments. In the process, the appraisal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develop into a more orderly system with an additional efficiency and rationality through failure and renovation.

      • 병원기록의 체계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오은정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병원은 보건의료서비스 기관으로서의 기능과 함께 보건의료 인력의 교육기관과 의학연구 기관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병원기록은 병원 업무 행위 과정과 결과로 생산하고 수집된 기록으로, 병원의 업무활동과 그 활동에 대한 증거 가치를 포함하며, 크게 진료기록, 교육기록, 연구기록, 행정기록으로 나눌 수 있다. 병원기록 관리의 실태를 살펴보면 국가별 혹은 병원별로 관리의 수준과 방법이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병원기록 관리라는 개념 자체가 진료기록 관리에만 국한되어 있고 진료기록이외의 기록에 대한 관리는 미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진료기록과 함께 교육기록, 연구기록, 행정기록 등 병원기록 전반에 대한 기록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어, 병원기록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병원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병원의 업무과정에서 생산․수집되는 병원기록을 관리, 서비스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병원기록과 아카이브의 이론적 고찰과 함께, 병원 아카이브의 선진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병원 아카이브의 역할에 대해 정리할 수 있었다. 병원 아카이브는 병원기록의 수집과 관리를 책임진 기관이며, 역사적 병원기록을 보존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즉, 병원 기록을 이관, 수집, 평가․선별, 정리, 보존, 서비스 하는 전문기관인 것이다. 본 연구의 사례 대상인 서울대학교병원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병원기록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및 기록관리 관련 규정이 미비하고, 기록관리 인식과 인프라가 부족한 것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겠다. 이러한 문제점과 함께 여러 가지 고려사항을 종합하여 병원 기록이 기록의 생애주기에 따라 잘 관리되기 위해서 병원 아카이브를 설치하여, 기록 유형별 레코드 센터와 병원 아카이브 운영이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병원기록관리 관련 시스템 개발, 기록관리 프로세스 정비 등의 기록관리 체계화 방안과 관련 규정의 제정을 통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관기록과 수집기록을 통합 관리하는 병원 아카이브의 관리 방안을 병원기록의 수집․관리, 활용․서비스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병원기록의 체계적인 기록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병원기록별로 보다 전문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이를 시작으로 병원기록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병원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기록관리 방안에 관한 후속연구가 나오기를 희망하며, 전문적인 형태의 병원 아카이브가 구축되기를 바란다. A hospital is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has function of medical manpower training and medical research. Hospital records are producted and collected by business activity process and result of hospital. Hospital records include business activity of hospital and values of the activity, are largely divided medical, training, research, operation records. Real condition of hospital records management is very various in level and method of management country-by-country or hospital-by-hospital. As for Korea, the fundamental concept of hospital records management is limited to medical records management, management of records except medical records is weak conditions. Therefore it is urgent conditions to manage records training, research, operation records as well as medical records. In this awareness of a problem, this study proposed plan to manage and service hospital records producted and acquisited in operation process of the hospital after construction of hospital archive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hospital records. The writer theoretically considered hospital records and archives, and analyzed advanced examples of the archives on the basis of existing studies. By the process, the writer arranged a role of the hospital archives. The hospital archives are institution to take responsibility for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hospital records, and mean place to keep historical hospital records. In other words, the hospital archives are special institution to transfer, collect, estimate, select, arrange, keep, service hospital records. The writer is able to deduce some problems as a result of analyzing records management conditio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at is this study's example. The writer can counts that systematical management system on hospital records management and regulation on record management at the hospital are inadequate, also does deficiency of records management awareness and infrastructure. The writer proposed a plan putting together these problems and various considerations. First, the hospital installs hospital archives so as to manage hospital records well according to records lifecycle. Second, the hospital operate syntagmatically record-by-record records center and hospital archives. For these, the writer proposed a development system in connection with hospital records management, a plan of organ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process and so on, systematical plan and institutional plan by legislation of relevant regulation. Especially, the writer examined plan of acquisition and management, practical use and service. Then the writer examined a management plan of the hospital archives combining and managing transferred records and collected records. This study proposed plan of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point.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Especially, this study did not proposed more professional management plan record-by-record. But based on this study, the writer hopes importance of hospital record is realized. The writer hopes succeeding studies of record management plan to manage hospital records systematically. The writer hopes to construct hospital archives of special type.

      • 대학기록관 기술요소 적용 현황과 발전방향

        안성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기록물의 정보 이용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검색도구, 기술규칙, 자동화와 표준화에 의한 데이터 교환 등 기술적인 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통합검색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고 정확한 기술(Description)의 선행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표준화된 기술규칙을 활용하는 기록관리기관이 기술을 실제 얼마만큼 기록에 대한 정보를 잘 전달하고 있는지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의 Iowa 대학교 아카이브, Washington 대학교 아카이브와 국내의 고려대학교 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명지대학교 사료실의 웹사이트에 등록된 기록물들의 기술요소와 기술된 기술정보를 바탕으로 ISAD(G) 및 ISAAR(CPF)와 비교·분석하여 부족한 부분을 찾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추가적으로 현재 기술현황이 갖는 부족한 점이나 한계점을 RiC-CM v0.2에서 제시한 개체, 속성을 적용하여 보완된 기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 기록에 대한 기술정보 부족, 전거레코드의 부족, 디지털기록의 대비 부족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결과에 따라 제안한 보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정보 기입 작업자의 교육 및 보완된 기술요소 사용; 둘째, 전거레코드 개체 RiC-E07(Agent)의 하위 속성인 RiC-A21(History) 추가; 셋째, 디지털기록 환경을 반영하여 RiC-CM v0.2에서 새롭게 제시된 RiC-E06 (Instantiation) 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기록관의 전체 현황이 아닌 한정적인 표본을 가지고 진행하였기 때문에 완전한 기술규칙을 위해서 더 넓은 범위의 연구가 필요하지만 대학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기술요소 및 실제 등록되어있는 기술정보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s interest in the use of information in records has increased, the focus on the importance of descriptive aspects such as search tools, descriptive rules, and data exchange through automation and standardization is on the rise. An effective integrated search service requires the existence of consistent and accurate description. According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details of how well the records management agencies utilizing the rules of standardized descriptive rules are conveying the records-related information and what is lack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scriptive elements and information of records registered within Iowa University Archives, University of Washington Archives, Korea University Museum digital archives, and Myongji University Archives. The first purpos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forementioned archived data with ISAD(G) and ISAAR(CPF) to find what is lacking. In addition, the aim was to propose an enhanced descriptive solution to the deficiencies or limitations of the current descriptive status through application of the objects and properties suggested in RiC-CM v0.2.  The comparative analysis identified a lack of descriptive information for records, lack of archival authority records, and lack of contrast of digital records.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suggested points of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training of descriptive information entry personnel and the use of supplemented descriptive elements. Second, addition of RiC-A21(History), a sub-property of authority record object RiC-E07(Agent). Third, addition of RiC-E06(Instantiation) newly proposed in RiC-CM v0.2 to reflect a digital recording environment.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with limited samples rather than the entire population of university archives to facilitate a more thorough research a complete understanding of descriptive rules would require, this study can serve as meaningful basic data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 대학의 설명책임성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임정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기록은 어떠한 행위의 과정이자 결과로서 생산되며,이러한 기록은 기록화(document)된 활동이나 업무의 ‘공식적’인 증거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99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기록관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크게 진전되었으며,기록을 통한 정보의 ‘공유’와 ‘소통’의 필요성은 더욱더 증대되기에 이르렀다.더욱이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으로서 등장한 ‘설명책임(accountability)’의 개념은 다양한 기관 또는 조직으로 하여금 기록관리에 대한 방향성을 재설정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고등교육을 통한 사회공헌의 목적을 가진 ‘공적기관’으로서 대학에서의 설명책임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의 공공기관으로서의 특징과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포괄하는 의미로서의 설명책임의 개념 및 구조를 분석하였고,이를 통해 대학에서의 설명책임의 필요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또한 국외 대학의 사례를 통해 설명책임을 위한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이를 기반으로 국내 대학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국외 대학의 사례와 국내 대학의 기록관리 현황 분석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설명책임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대학기록의 범위가 재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일반적으로 설명책임의 과정은 신뢰받는 기록의 생산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비로소 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대학의 업무관련 규정이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기록은 그 생산시점에 이를 통제하지 못하면,그 기록의 진본성.신뢰성을 위험에 빠트리고 향후 그 유용성을 결정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셋째 대학기록관리 주무기관으로서 대학기록관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기록관리 업무가 연속성을 가지고,책임 있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기록관의 역할과 권한이 부여되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넷째 대학의 기록관리 프로세스가 재설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대학의 설명책임이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특성 및 설명책임 요소를 고려하여 기록관리 프로세스가 재설계되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대학의 설명책임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대학 내부적 차원에서의 기록관리 정책과 방법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대학 외부에서 대학이 설명책임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도록,이를 규제할 수 있는 제도와 절차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대학의 자발적 설명책임 이행강조는 대학으로 하여금 설명책임을 위한 소극적 행동과 조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대학이 그 기능과 역할로 인해,공공성을 가진다는 전제 하에,기록관리 환경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설명책임의 개념을 도입하여,대학의 기록관리 방향성을 재설정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이는 대학의 기록관리에 설명책임의 개념을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record is aprocess of an act and is produced asits result and this record has a meaning as 'official' evidence of documented activities or tasks. As 「the law of public records management」in 1999, social recognition of records management has developed greatly, and the need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records has been increased still more.Moreover,theconceptof ‘account ability'which has appeared asa new social paradigm isurging various institutions or structure to resetup the direct ion of records management. In these settings,the currentstudy aimed to propose the methods of records management for accountability in universities as 'official institutions'which has the purpose of social contribution through higher education. For this, first, we analyzed the notion and structure of account ability as a meaning of cover its social role and responsibility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s a public institution, and by this,we were to demonstrate the need of account ability in the university. And we were to deduce factors for accountability through cases of over seas universities, and base don this, we an alyzed the present status of records management of domestic univers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cases off oreign universitie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records management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presentstudy proposed the following 5 methodsofrecords management for account ability in the university. First,we proposed that the scope of university records needs to bereset up. Generally, the process of account ability is possible only when production of reliable records is premised necessarily. Second, we proposed that regulations related to tasks in theuniversity should beimproved : If the records are not controlled in the point of time when they are produced, the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m run into danger and it becomesd if ficulttode cide the useful ness in the future. Third, we proposed that the function of university archives should be strengthened as the institution in charge of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In order to perform it responsibly with the continuity of the task of records management, the role and authority of the university archives should be give nessentially for this. Fourth, we proposed that the process of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resetup.In order to properly realize the account ability of the university, it should be reestablish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nd factors of account ability. Fifth, in order the account ability of the university to besettled down in a right way, it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olicies and methods of records management at the internal level of the university, and we proposed that systems and procedures are necessary to regulate it so that the university can perform accountability properly in the outside ofthe university:Stressing the performance ofvoluntary accountability by the university may lead to the university's passive behavi or sand measures for account ability.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resetting up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ies' account ability introducing the not ion of account ability whichis a new paradigm in the settings of records management under the premise that they have publicity due to their functions and rol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has prepared the or etical basis to practically apply the concept of account ability to the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 동영상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방송영상자료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송태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동영상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방송영상자료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송 태 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지도교수 이 해 영 기록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발전해 왔다. 가장 처음 문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후대에 전승되었으며, 현재는 사실그대로를 담아 낼 수 있는 이미지와 영상기술의 발달로 동영상기록의 형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미디어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누구나 쉽게 동영상을 생산할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많은 형태의 동영상은 동영상기록의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현재 사회와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작되는 방송자료와 개인이 생산한 수많은 동영상 자료들은 동영상기록으로 선별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영상기록이 문자 형태의 기록과는 다른 기록정보의 구성과 객관적 사실을 기록정보로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과 그 중요성의 인식으로 동영상기록에 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시점이 온 것이다. 아직 기록에 대한 많은 연구는 문자 형태의 기록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는 시청각기록물의 범주 안에서 연구 되고 있으며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로서, 동영상기록의 특징을 살펴보고 동영상기록 관리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영상기록과 다른 유형의 기록을 비교하여 특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징과 현재 영상기록 지침 등을 종합하여 4가지 사례 분석 기준을 설계하였다. 다음 모범적인 사례를 선정하기 위해 동영상기록이 될 수 있으며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방송영상자료를 관리하고 있는 방송국 아카이브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방송국 아카이브 사례별로 면담 및 관련 자료를 토대로 사례 분석 기준을 통해 사례 현황 및 사례별 관리 방법 등을 도출 하였다. 도출 된 결과를 비교하여 4가지 사례 분석 기준에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는 관리 방법을 동영상기록 관리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동영상기록의 물리적 형태에 대한 관리 방법과 동영상기록의 기록정보가 구성되는 구조에 따라 이를 이용자가 접근 할 수 있고, 활용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내용을 주로 연구 하였다. 따라서 동영상기록이 기록적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 그러나 동영상기록에 대한 특징을 도출하여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에 동영상기록을 활용하기 위한 관리 방법을 연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