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의대학교 재학 중국유학생 대학생활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연구

        오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4년 9월 한중문화교류협정이 체결되면서 한국과 중국 간 파견유학이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재한 중국 유학생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 현재 53,902명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전체 재한 외국인 유학생 85,193명의 60%를 넘는 수치로서 중국 유학생의 증가는 국가차원에서도 교육을 통한 국제 교류 강화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국 유학생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이들을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는데 실제로 한국의 대학에 입학하여 학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사례들도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현황을 알아보고 중국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Berry(2001)와 Sandhu & Asraba(1994)에 의해 검증된 문화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 변인을 근거로 각 변인들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부산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142명의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최종 수집된 127부의 설문지는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응 하위요인 중 통합을 높게 인식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충격 요인을 낮게 인식할수록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그리고 대학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하위요인인 통합과 동화와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개인적응, 대학만족도의 관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적 충격 요인에 의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통합과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차별감을 느끼지 않게끔 노력해야 되고, 문화충격요인 등을 감소 시켜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東醫壽世保元』과 『藥徵』의 비교를 통한 약물 효능의 통합적 고찰

        박신형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논문에서는 『傷寒論』을 기반으로 저술된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과 吉益東洞의 『藥徵』에 나타난 藥理觀을 비교․고찰하였다. 吉益東洞의 藥物 운용 근거는 이미 『藥徵』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李濟馬가 각 藥物을 운용한 방식은 『東醫壽世保元』에 명확히 드러나 있지 않으므로 먼저 李濟馬의 著作인 『東醫壽世保元 四象草本卷』과 『東醫壽世保元 甲午舊本』 및 『東醫壽世保元 辛丑本』 등을 통해 四象體質論的 藥物운용 근거를 파악한 후, 『藥徵』의 主治 및 後世方의 견해와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李濟馬의 體質論的 藥理觀을 형성하는 데에는 『傷寒論』 뿐만 아니라 宋元明 醫家의 다양한 서적 및 『東醫寶鑑』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므로 李濟馬가 각 藥物을 운용한 근거에는 體質論的 效能 뿐만 아니라 기존 本草書를 통해 익힌 本草學的 效能이 함께 반영되어 있다. 반면 吉益東洞은 陰陽五行과 五運六氣와 같은 기존 韓醫學 이론을 전면적으로 부정하였으며, 『傷寒論』과 『金匱要略』만을 바탕으로 한 실증적인 藥物의 主治를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李濟馬는 正氣 중심의 醫學觀으로 개개인의 체질적 특성을 중시하였지만, 吉益東洞은 邪氣 중심의 醫學觀으로 인체 특성과 상관없이 病毒을 찾는 것을 중시하였다. 따라서 李濟馬의 藥物觀은 각 체질의 臟腑大小의 偏差와 正氣의 升降出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에 집중하였고, 吉益東洞의 藥物觀은 각 藥物이 치료하는 病毒의 종류와 그것을 찾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李濟馬는 초창기에 藥物을 체질별로 나눈 후 기존 본초학적인 效能을 바탕으로 새로운 처방을 구성하였으며, 後期로 갈수록 각 체질의 病證을 表裏寒熱로 범주화하여 藥物을 배속시키려는 시도를 계속하였다. 이로 인해 『東醫壽世保元』이 보다 원리론적인 관점에서 접근했다면, 『藥徵』은 실증적인 관점에서 작용결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藥物의 效能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藥物 운용방식이 달라지게 되었으나, 기존 本草書의 시각이나 현대 약리학적인 시각 및 체질별 병리기전을 통해 바라보면 실제로는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33종의 약물 중 桂․石膏․地黃․豬苓․黃蓮․澤瀉․甘遂․麻黃․桔梗․五味子․酸棗仁 등은 李濟馬의 활용 범주가 吉益東洞보다 넓었고, 杏仁은 吉益東洞의 활용 범주가 李濟馬보다 넓었으며, 附子․人蔘․朮․黃芪․白芍藥․白茯苓․滑石․梔子․柴胡․薏苡仁․大黃 등은 李濟馬와 吉益東洞의 활용 범주가 일부 겹쳤다. 乾薑과 半夏는 李濟馬와 吉益東洞이 인식한 效能 범위가 거의 동일한 반면, 葛根과 黃芩은 공통점이 거의 없었다. 이 중 李濟馬와 吉益東洞의 약물 활용범위가 겹치는 경우는 四象處方 활용 시에 『藥徵』의 내용을 借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李濟馬의 관점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藥徵』의 主治 및 旁治는 임상적 타당성을 실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의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과 진로역량교육 요구분석 : T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영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and the demands of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llege career courses and career vocational education courses.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set as what is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and what is the demand for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 it was carried out through four stages of research procedures. Phase 1 is the stage of completion of the first draft of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research tools development. The second stage is the stage of verifying content suitability and validity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he third step is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tool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Step 4 was the main survey and data analysis, and 569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online by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verification, variance analysis, and cross-analysis using the SPSS Ver.25 progra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is above the average level. This result shows that T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positively influence the successful transition of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in the short term and continuous career success in the long term.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male students showed high recognition of career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in the areas of self-understand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sign, ex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female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aking into account various life role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in relation to their careers and moving toward direction and action toward career goals.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according to grade were high in the fourth grade in all sub-areas excep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a.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4th graders have a high interest in their careers and are constantly thinking ab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career goals.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it can be seen that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according to the major field differs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the major field and the suppor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areer courses by the academic advisor.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demand for career competency educatio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 university students desperately need a demand for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of each life cycle.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actively reflect college students' demands for career competenc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process suitable for each career stage and level of connec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career competency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field. This implies that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y education needs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male and female students, as well as programs that can develop female students' continuous interest and strengths in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programs such as field-oriented job experience, internships, and employment-related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and the career search program in the upper grades. Finally, the career/employment program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college students also suggests the need for a differentiated approach by major field. This study is useful in organiz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llege career courses and career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 that is practically helpful to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ults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competency education needs. We look forward to being used as data.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과 진로역량교육 요구를 알아보고 대학의 진로교과목 및 진로취업 교육과정의 개발·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1.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3.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 요구는 어떠한가? 2-1.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교육 요구는 어떠한가? 2-2.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진로역량교육 요구는 어떠한가? 2-3.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역량교육 요구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4단계의 연구절차로 진행하였다. 1단계는 선행연구분석 및 조사도구 개발 1차안 완성 단계로 대학생의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과 진로역량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구성영역을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T대학교의 핵심역량지표 및 추구하는 인재상을 바탕으로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대인관계로 구성하였다. 2단계는 전문가 자문 협의를 통한 타당도 검증단계로 2회의 전문가 자문 협의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역량 인식 및 진로역량교육 요구 조사 1차 문항 개발에 대한 수정·보완과 내용의 적합성 및 타당성 검증을 진행하였다. 전문가 자문 협의에 참여한 전문가는 최종 3명으로 모두 박사학위 소지자로서 대학 진로교육 관련 강의경력이 평균 6.6년 이상이었다. 3단계는 예비조사를 통한 조사도구 신뢰도 확인 단계로 본 조사 시행 이전에 T대학교 1학년 〜4학년 재학생 51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28일(월) 〜10월 5일(월)까지 8일간 대학생의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과 진로역량교육 요구 조사 설문지를 배부하여 실시하고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4단계는 본조사 및 자료분석 단계로 2020학년도 2학기 진로교과목 수강자 811명 중 569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조사기간은 10월 6일(화) ~ 10월 16일(금)까지 11일간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은 COVID-19로 인해 전면 비대면 수업 실시로 웹 사이트에 설문 문항을 구축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T-검증, 분산분석, 교차분석, 빈도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진로역량 수준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역량 인식 하위 영역은 대인관계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이해 영역, 진로탐색 영역, 진로설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에 대한 결과는 자기이해 영역, 진로탐색 영역, 진로설계 영역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에 대한 결과는 자기이해 영역, 진로탐색 영역, 진로설계 영역에서 4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1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에 대한 결과는 자기이해 영역에서는 인문사회대학이, 진로탐색 영역과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경영대학이, 진로설계 영역에서는 건축디자인대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 요구는 어떠한가에 대한 조사결과는 평균보다 높게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 요구 하위영역별로 조사된 결과는 진로설계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탐색 영역, 자기이해 영역, 대인관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교육 요구는 어떠한가에 대한 결과는 진로설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진로역량교육 요구는 어떠한가에 대한 결과는 진로탐색 영역과 진로설계 영역, 대인관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역량교육 요구는 어떠한가에 대한 결과는 자기이해 영역, 진로설계 영역, 대인관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 요구 선택형 문항 조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 요구 하위영역별로 활동하기에 적합한 학년에 대해서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저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이해를 위한 활동 후 결과 활용에 있어 사생활보호 및 비밀보장에 대한 의견은 활동한 부서와 학과 지도교수님과는 공유하길 원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 요구 서술형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를 정리해보면 ‘진로체험 활동’, ‘현장실습과 관련한 진로활동’, ‘진로탐색 활동’, ‘사회변화 대응 프로그램’, ‘역량개발 향상 프로그램’, ‘학생중심의 맞춤형 진로상담 서비스’ 등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진로역량 인식에 대한 전체적인 조사결과는 진로역량 수준을 보통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정지은(2017), 김경화(2012)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T대학교 학생들은 단기적으로는 졸업 후 노동시장의 성공적인 이행과 장기적으로는 지속적인 진로성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볼 수 있다. 대학생의 배경변인 중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 인식 조사결과는 대인관계 영역을 제외한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영역에서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김봉환(2010), 최정윤(2013)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여학생은 자신의 진로와 관련하여 다양한 생애역할과 노동시장 상황을 고려하게 되며 진로목표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고실천을 위한 행동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학생의 배경변인 중 학년에 따른 진로역량 인식 조사결과는 대인관계 영역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4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이지연(2002), 강경연(2019)의 연구와 일치한다. 4학년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특성과 진로 목표 설정에 지속적인 고민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배경변인 중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은 T대학교 진로교과목 운영에서의 과제 제출 양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전공계열의 특수성과 학과 지도교수의 진로교과목 운영에 대한 지원체제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 요구 전체 조사결과는 평균보다 높게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강미영(2020), 김경화(2012), 김지효, 이정은(2016), 정은이(2014)의 연구결과에서도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T대학교 학생들은 생애주기별 진로발달 단계에 맞는 진로역량교육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게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생애단계별 진로목표에 적합한 진로역량 개발과정과 수준별로 연계성을 가지면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역량교육 요구 조사결과는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은 선행연구 강미영(2020), 김경화(2012), 김현순, 이정은(2016)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은 남녀학생에게 균등한 교육 기회 제공은물론 여학생의 진로역량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강점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저학년에서는 진로탐색에 대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고학년에서는 현장 중심의 직무를 배울 수 있는 인턴십과 취업관련 교육 등으로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끝으로 대학생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한 진로·취업 프로그램은 전공계열별로 차별화된 접근의 필요성도 시사한다. 종합하면 대학생의 진로역량교육은 겉핥기식의 단회기성 행사 위주보다는 실제 정보 및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향후 현장실습, 인턴, 취업 등과의 연계가 가능한 다회기성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변화하는 시대에 대한 대응 및 적응 능력을 갖추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 대학생의 진로역량에 대한 인식과 진로역량교육 요구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진로교과목 및 진로취업 교육과정의 개발·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및 학생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으로 구성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커피전문점 이용고객의 소비성향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정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의 소비성향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하기 위하여 독립변수 제목을 소비성향으로 정하고 변수로는 건강추구형, 휴식추구형, 실속추구형 그리고 즐거움 추구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종속변수의 제목을 행동의도로 정하고 변수로는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은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3월 13일부터 3월 26일까지 부산광역시 지역의 커피전문점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커피전문점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국의 유명 네트워크 설문조사기관인 서베이몽키를 사용하여 SNS 등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NS를 통하여 설문지를 대량 배포하여 254명의 응답을 수집 하였으나, 이중 부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243명의 유효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모형에 따라 연구가설 검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성향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을 통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모든 가설은 ‘독립변수인 소비성향이 종속변수인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였다. 먼저, 소비성향은 행동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소비성향의 독립변수인 휴식 추구형과 즐거움 추구형은 행동의도의 종속 변수인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하지만, 소비성향의 독립변수인 건강 추구형과 실속 추구형은 행동의도의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또한, 소비성향의 독립변수인 건강 추구형, 휴식 추구형 그리고 즐거움 추구형은 행동의도의 종속변수인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하지만, 소비성향의 실속 추구형은 행동의도의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몇 가지 제안 해 볼 수 있다. 첫째, 커피전문점의 건강과 실속보다는 휴식과 즐거움이 커피전문점 이용고객의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이 있다는 시사점을 말하고 있다. 둘째, 각 소비성향이 행동의도의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건강 추구형, 휴식 추구형 그리고 즐거움 추구형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속 추구형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것은 일반적인 고객이 소개를 할 때에도 실속보다는 건강, 휴식, 즐거움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으로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성향이 실속은 그 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 하고 있다. 이 논문이 시사하는 것은 일반 고객의 성향이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것보다도 커피전문점 이용할 때에 휴식과 즐거움이 다른 어느 요소보다도 우선시 되며, 실속은 그다지 우선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via a survey on the influence of the consumption trend in coffee shops on behavioral intent.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et consumption tendencies as the title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model included variables such as health-orientation, relax-orientation, value-orientation, and entertainment-orientation. As for the titles of 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er chose behavioral intent, which included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level and the intent of repurchase. The empirical analyses included regression analyses, etc.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with the patrons of coffee shops in Busan from March 13 to 26, 2020.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with the patrons of coffee shops was conducted using SurveyMonkey, which is a famous network survey firm of the US (ko.surveymonkey.com) over the SNS.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the SNS with the patrons of coffee shops. A total of 254 responded to the survey, and, after removing incomplete questionnaires, a total 243 of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data. The data so gathered were analyzed empirically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for windows.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study hypotheses as per the study model was as follows; The researcher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consumption tendency upon behavioral intent via hypotheses. All hypotheses assumed that consumption tendency, which was an independent variable,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behavioral intent, which was the dependent variable. First, the consumption tendency was verified to have an impact on behavioral int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consumption tendency, which were relaxation orientation and entertainment orientation, were verifi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level, which was a dependent variable of behavioral intent. However, health orientation and value orientation, which were independent variables of consumption tendency, were found to be without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level, which was a dependent variable of behavioral int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consumption tendency, which were relaxation orientation and entertainment orientation, were verifi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 of repurchase, which was a dependent variable of behavioral intent. However, value orientation, which was an independent variable of consumption tendency, was found to be without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level, which was a dependent variable of behavioral intent. Some findings of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was shown that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are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patrons of coffee shops. Second, unlike the widespread belief that each tendency of consumption would have an impact on the intent of repurchase, the impact originated from health orientation, relax orientation, and entertainment orientation. However, value orientation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 intent of repurchase. This indicates that ordinary consumers consider health,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more important than economic value, showing that it is the tendency of the patrons of coffee shops to regard economic value as of lesser importance. Overall, it is shown in this study that the general tendency of the patrons is that they value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factor, and the economic value in coffee shops is not that important, which is not like what is normally expected. This indicates that the use of coffee shops is not founded on the economic value of them.

      • <너는> : 영화 프로덕션 노트

        마틸드 샤시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작품은 연출자 본인이 동의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콘텐츠학과와 프랑스 국립 귀스타브 에펠 대학 (구 파리-에스트 대학) 웹문화기술대학원 간 석사과정 복수학위 취득을 위해 연출한 다큐 에세이 영화이다. 이 다큐 에세이 영화에서 나는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인식하고 또 나는 나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하려고 시도했다. 이 영화를 통해서 나는 사진 소설이자 사진만으로 구성된 영화인 크리스 마르케르의 『환송대』처럼 ‘포토-노블 다큐멘터리’라는 형식을 실험해볼 수 있었다. 이 영화는 나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적 다큐멘터리이 기도 하다. 나를 단지 내가 아니라 전인적으로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너’라는 2인칭 시점을 사용했다. 또한, 사진 촬영을 취미로 삼고 있는 나는 이 영화를 통해 새로운 유형의 다큐멘터리를 테스트하는 것 외에도 사진을 영상화하고 편집하는 새로운 분야의 실험을 할 수 있었다. 사운드 측면에서는 일상의 소리를 삽입함으로써 영화의 청각적 차원을 형상화했다. 이 영화를 만드는 일은 내가 아직 완전하게 숙련하지는 못했지만 이해하고 알고 싶은 분야를 시도하는 것이었다. 이 작품은 다큐 에세이 형식에 새로운 기법을 시도하고 이러한 새로운 기법으로 내가 무엇을 창조해낼 수 있는지를 시험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이 영화는 내 자신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이해하기 위한 일종의 회고전이다. This documentary is the final production and conclusion of my double degree between the Culture and Web Professions program at Gustave Eiffel University in France and Department of Cinema & Audiovisual Contents of Graduate School at Dong-eui University. In this documentary, I tried to understand how people perceived me and how I perceived myself. This documentary is an opportunity for me to test a new genre of documentary: the photo-novel documentary. A documentary made only with photos like Chris Marker's photo-novel . It is also a personal documentary because it allows me to take stock of who I am. This explains the use of "TU" which allows me to judge myself as a whole person and not just as "me". In addition to testing a new type of documentary, this one allows me to experiment in the field of photography taking a picture and editing it. Especially since photography is a hobby. I also wanted to introduce everyday sounds in my documentary. A field that I do not master but that I want to understand and know. This work is for me the opportunity to try new techniques on a documentary and also to see what I am able to produce with these new techniques. This documentary is a kind of retrospective to understand how I am perceived.

      • 도시유출 해석을 위한 시험유역의 개발과 수문시스템 구축

        김남길 東義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시험유역을 선정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모형의 검정을 통하여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시험 유역의 위치는 부산광역시 가야동 일대의 동의대학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시험유역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형 조사와 측량을 수행하여 시험유역의 면적과 불투수층면적등 소유역별재원를 조사·정리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수계도 작성하였다. 또한 수문자료의 수집을 위해 실측 우량자료는 1998년에 동의대학교 공과대학옆 공장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환경 모니터링장치(EMS)를 이용하였으며, 실측 수위자료는 2000년 6월에 동의대학교 시험유역의 최종 유출부 지점에 설치된 자동수위 관측계(AWS-DEU)〔Automatic Waterlevel Station - DongEui Univ.]를 통해 측정하였고, 실측유속자료는 최종방류구 지점에서 측정하여 수집·정리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최종유출지점에서의 유출량을 계산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Rating Curve)을 산정하였다. 또한 모형의 검정을 위해 2000년 6∼9월 사이의 실측강우자료를 토대로 6월 26일, 7월 14일, 8월 4일, 9월 16일을 event로 선정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실측유출량를 계산하였다. 위의 계산결과를 바탕으로 event별 실측유출량을 기준으로 RRL방법, ILLUDAS모형에 대한 총유출량, 첨두유출량과 도달시간으로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위의 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장차 본 연구에서 제외된 E유역를 포함한 유출 양상과 시험유역의 발전 양상에 따른 유출변화 양상등을 연구하는데 기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collecting basic data, by selecting a test basin and checking the application, through the model of verification of those data. The location of test basin is Dong-Eui University, Gaya Dong, Pusan, Korea. For the collecting of basic hydrologic data of test basin, topography inquiry and survey was conducted, and sub-basins data, such as areas of test basin and impervious layer, were arranged. On the basis of that result, a drainage pattern was drawn up, and for the collection of hydrological data such as the rainfall data and the water-level data-EMS, installed at Dong-Eui Univ. in 1998, and AWS-DEU(Automatic Water-level Station-Dong-Eui Univ), installed at the point of the end discharge an opening of test area, are in operation, and the measurable velocity data was collected and classified at the point of the end outflow an opening. Through those process, an discharge was calculated at the point of an outflow situation, and Rating curve was drawn up.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model, the collected rainfall data, logged at 6/26, 7/14, 8/4, 9/16, 2000 were picked out as events and using Rating curve, the discharge data was computed. The discharge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total runoff, peak discharge, and travel time using by RRL method and ILLUDAS model. By analyzing those proces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hase of the runoff variation caused by change of test basin, in the future.

      • 웨딩홀 서비스품질 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quality of wedding halls to the intent of actions. As for the study method, the study was centered around a research on the services in wedding halls, promotion, service level, and accessibility to the wedding halls, which were analyzed in a deeper leve. Based on these, the importance of various factors regarding wedding hall services was compared and analyzed, while their impact on the intent of actions was analyzed as well, with a view to making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wedding hall services. The model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have th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level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intent of action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earcher designed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includ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which covered sub-elements such as the amenities and facilities of the wedding hall, promotion, service level, and accessibility to the wedding hall.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was the intent of the actions, was designed to include the intent of word of mouth and the intent of signing a contract. The study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the study model.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the consumers of wedding hall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from July 12 till August 10, 2019. The researcher used Survey Monkey (ko.surveymonkey.com) to conduct an electronic survey. As a result, a total of 23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these, 206 were recovered, with a recovery rate of 86.55%. Among the recovered questionnaires, 32 with incomplete or unreliable answers were excluded, leaving a total of 206 valid questionnaires that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analyzed via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for windows, in order to conduct an analysis in the following sequence.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edding hall service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analysis. Second, to measure each variable for wedding hall services, the confidence of the tools used for this purpose was verified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Third, the researcher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relevance of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s with regard to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ncluding the facilities, amenities, promotion, service level, and accessibility, as well as the intent of actions such as the intent of word-of-mouth and the intent of signing a contract. Fourth, the concentration validity and the determination validity, which were confirm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re-verified through statistical means, while their correspondence with the structured model da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each of the variables of the wedding hall services. There were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ound out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hypothesis that several of the competence for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who use the wedding halls would have an impact on the intent of word-of-mouth showed that the facilities & amenities and promotion had an influence on the intent of the action. However, other service levels and accessibility to the wedding hall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The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the intent of word-of-mouth is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ervice level and accessibility, rather than the amenities and promotion. Overall,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factors of service level and accessibility were more important in terms of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compared to any other factors of wedding hall services. This clearly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influence is the same whether the products were for themselves or they were recommending them to others. 본 연구는 웨딩홀 서비스품질 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증분석에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웨딩홀 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해서 서비스 품질 만족도의 여러 가지 요인들, 즉 웨딩홀 내부 시설 및 편의시설, 유치 및 홍보, 서비스 수준, 웨딩홀 접근성 등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웨딩홀 서비스 중심으로 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의 중요성을 비교ㆍ분석하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후, 국내 웨딩홀 서비스와 관련하여 더 나은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형은 독립변수로 서비스 품질 만족도, 종속변수로 행동 의도로 설계하였다. 독립변수를 서비스 품질 만족으로, 웨딩홀 내부 시설 및 편의시설, 유치 및 홍보, 서비스 수준, 웨딩홀 접근성으로 설계하였다. 종속변수로의 행동의도로 구전의도와 계약의도로 정의하였다. 연구가설은 연구모형에 따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9년 7월 12일부터 8월 10일까지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웨딩홀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자는 조사자에게 서베이몽키(ko.surveymonkey.com)를 이용하여 전자설문을 시행하여, 총 238명 이상을 배포하였다. 설문지를 배포하여 206부를 회수하여 회수율 86.55%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32부를 제외하고 최종 206부 유효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수집된 설문지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분석하였다. 첫째, 웨딩홀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둘쨰, 웨딩홀 서비스에 대한 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들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셋째, 웨딩홀 서비스에 관련하여 제시된 서비스 품질 만족도에 대한 웨딩홀 내부 시설 및 편의시설, 유치 및 홍보, 서비스 수준, 웨딩홀 접근성과 행동의도의 구전의도와 계약의도 등 여러 문항들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된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통계적으로 재검증하고 구조모형 데이터와의 부합을 검증하기 위해 웨딩홀 서비스에 대한 각 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몇 가지 제안해 볼 수 있다. 첫째, 웨딩홀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서비스 품질 만족을 위한 몇 가지의 역량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분석한 결과 웨딩홀 내부 시설 및 편의시설과 유치 및 홍보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외의 서비스수준과 웨딩홀 접근성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웨딩홀 품질 서비스 만족은 웨딩홀 내부 시설 및 편의시설과 유치 및 홍보보다는 서비스 수준과 웨딩홀 접근성이 소비자의 구전의도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이 있다는 시사점을 말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이 논문에서 시사하고 있는 것은 일반 소비자가 상식으로 알고 있는 무엇보다도 웨딩홀 서비스 품질 만족은 서비스 수준과 웨딩홀의 접근성이 다른 어느 요소보다도 우선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본인이 사용할 때나 타인에게 소개할 경우에도 같은 영향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시사하고 있다.

      • 국책 연구 센터의 운영과 발전 방안

        김아영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부산광역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고 기존의 주요 산업기반을 첨단 산업분야로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그 중 전자세라믹스 분야는 당시 첨단 산업분야인 생물 산업, 광산업, 신소재산업, 전자부품산업 중 생물 산업을 제외한 3대 산업 분야의 핵심 기술이다. 또 IT(정보통신)산업의 필수적인 소재 기술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이다. 당시 1999년 하반기부터 세계 최대 전자세라믹스 부품업체가 목표인 삼성전기 부산 사업장이 녹산 국가 산업 단지에 위치하고 있었고 관련업체들은 부산으로 이전 또는 신규 공자 설립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부산광역시의 전자세라믹스 관련분야 육성정책에 부응하기 위하여 전자세라믹스를 이용한 전자부품산업 혁신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전자세라믹스센터가 설립되어 국책사업을 진행하였다. 국책사업은 총 3가지로 지역협력연구센터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 지역기술혁신센터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 지역혁신센터 (Regional Innovation Center) 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국책사업을 통해 전자세라믹스센터는 많은 성과를 달성하였고 그러한 성과는 국가와 부산지역과 센터가 속해있는 동의대학교에 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국책사업을 진행했던 전자세라믹스센터의 결과를 살펴보고 이는 앞서 말했던 국가와 부산지역과 동의대학교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 센터를 운영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과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신규 센터 설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has made a lot of efforts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make the local industry more valuable and tried to turn the existing major industrial base into a high-tech industry. Among them, electronic ceramics w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three major industries, excluding biology, mining, new material technology for the IT(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and is a highly value-added field. At that time, Samsaung Electro-Mechanics Co., the world’s largest electronics parts maker, was located in Noksan Industrial Park, while related companies were relocated to Busan or newly established factorie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Busan Metropolitan or Government’s policy for promoting electronic ceramics related fileds, the Electronic Ceramic Center for Community Contribution was established and carried out a national project by establishing an innovative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y using electronic ceramics. A total of three national project were carried out: the Regional Research Center project, th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project, and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through these state-run projects, the Electronic Ceramics Center project, and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 (A) Statistical Test of Fuzzy Correlation for Power-Normal Distribution by Agreement Index

        서현아 東義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랜덤추출로부터 얻어 진 이변량 자료가 구간 자료 또는 오차를 포함한 자료이면서 정규분포를 보장 할 수 없을 때 이 자료를 이변량 power-normal(PN)분포로 변환하여 동의 지수법을 적용하고 이를 퍼지 검정법으로 두 변수 간의 독립성을 검정하였다. 먼저 주어진 자료가 퍼지자료로서 적합한지에 대한 적합성으로 정규성, 볼록성, 폐쇄성을 정의하였고, 이 데이터에 대한 연산법을 제시하였고 이 연산법으로 통계량을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가설의 기각역을 얻기 위하여 기각역에 관한 퍼지 검정 방법을 소개하였고 이변량 PN분포에 초점을 두어 적용하였다. 퍼지검정 방법으로는 퍼지 가설의 membership function을 가정하여 퍼지 기각역에 관한 동의지수법의 여러 가지 형태의 검정통계량과 기각역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동의지수법은 검정 통계량이 기각역에 흡수되는 정도의 비로서 기각과 채택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또한 퍼지수 데이터들이 정규성을 보장 할 수 없고, 이 경우 두 변수 간 독립성을 검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 데이터들을 정규 변환하기 위하여 power-normal(PN) 변환법을 적용하여고, 이 정규분포에서 적률모함수를 구였다. 이 적률모함수를 이용하여 테일러급수정리에 의하여 퍼지평균, 분산, 공분산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구해진 퍼지평균, 퍼지분산, 퍼지공분산을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구하고 그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퍼지 t-검정통계량을 구해 두 변수간의 독립성 검정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Cox와 Snell(1981)에서 고혈압 환자에 대한 자료와 동의의료센터로부터 얻어진 혈압에 대한 분포는 일반적으로 정규성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밝혀졌다. 두 혈압의 이완기와 수축기를 PN 정규변환 하여고, 두 데이터에서 평균과 분산 및 공분산을 구하여 퍼지 t-검정통계량을 유도하였다. 두 변수간의 독립성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퍼지 t-검정통계량이 퍼지유의수준에 의한 기각역에 포함되는 정도를 동의지수법으로 구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정규성이 보장되지 않는 다변량 퍼지데이터에 대한 변수간의 독립성 검정을 PN분포를 사용한 동의지수법으로 통계적 퍼지검정을 하는데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