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교육기관 홍보자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교육청을 중심으로

        박명환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학생과 학부모, 지역사회 등 교육공동체가 만족하는 교육정책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의사소통으로 호의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교육 수요자들의 의견을 청취․반영하여야 한다. 최근 공교육이 붕괴되면서 교육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무너진 공교육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공중(公衆)을 대상으로 교육홍보 활동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교육홍보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하지 못하고 있으며 홍보활동도 일반 기업에 비해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행정에서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소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교육 홍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홍보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홍보자료 실태 분석, 교육홍보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교육홍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홍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교육홍보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 교육홍보에 관한 학문적 기반을 제시하려고 주력하였다. 둘째, 교육홍보를 수행하고 있는 경상남도교육청과 직속기관, 지역교육청, 학교가 제공한 홍보자료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셋째, 실제 취재 현장에서 기자들이 교육홍보에 활성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홍보 활성화 방안이 무엇인지 인터뷰를 실시하여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남교육청은 하루 평균 홍보자료의 배부건수는 1.15건이었으며 주 5일제를 감안할 경우 1.76건을 배부하였다. 초등교육과와 중등교육과가 보도자료를 많이 양산하는 등 교육홍보 활동이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었다. 그러나 홍보자료 게재율을 분석한 결과 지방지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고 전국지와 중앙방송의 보도사례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지에 대한 의존도는 지역교육청으로 갈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지역지의 게재율 실태는 경남교육청은 69.6%인 반면 직속기관의 경우 76.9%였으며 지역교육청은 전체 3106건이 보도되었지만 92%에 해당하는 2864건이 지역지에 의해 보도된 것으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국지 게재율은 경남교육청의 경우 12%를 기록하였으며 직속기관 9.6%, 지역교육청 5.1%로 낮았고 방송역시 경남교육청 18.5%, 직속기관 13.4%, 지역교육청 2.6%로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연구결과 교육 홍보자료의 보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보도자료 전국지와 지역지, 방송을 구별하여 제공하고 둘째, 바이라인을 통한 홍보 강화 셋째, 오피니언을 활용한 주요정책 직접 홍보 넷째, 주요한 정책은 기획시리즈로 홍보 다섯째, 정례 브리핑 강화 여섯째, 참신하고 감동적인 아이템 발굴 일곱째, 통신사 및 인터넷 신문의 적극적인 활용 여덟째, 언론의 오보 및 왜곡보도에 적극 대응 아홉째, 언론사의 캠페인에 적극 동참이다.

      • 지방분권시대 광역의회 활동에 대한 지역언론보도의 특성 연구 : 경상남도 도의회 경우를 중심으로

        박태희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우리사회의 최대 화두는 지방분권이다. 수십년 동안 철옹성을 지켜오던 중앙집권적 형태를 벗어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지방의 권한과 역할을 확대하자는 것이다. 지방분권이 제대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의 활성화는 물론 이들 의회의 활동내용을 지역주민들에게 알리는 언론의 지방자치화도 함께 혹은 선행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광역의회 활동에 관한 언론보도와 관련한 선행 연구가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측면이 많았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제 신문에 보도된 기사에 대한 분석과 광역의회 의원 및 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광역의회 활동에 대한 언론보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대상은 경상남도 도의회의 활동을 중심으로《경남신문》에 게재된 기사의 내용분석과 경남도의회 광역의원 및 경남도의회를 출입하는 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광역의회 활동에 관한 언론보도는 스트레이트 유형의 보도가 많았으며, 회기 중 1일 평균 1.7개의 기사가 보도되었다. 광역의회 관련 기사 가운데 보도자료(press release)에 의존한 기사가 63.,4%, 보도자료와 발굴취재의 성격을 동시에 갖는 기사가 22.0%, 순수 발굴기사가 14.6%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역의회 의원들의 63.7%가 지방언론이 지방자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의정활동이 언론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전달되고 있으나 보도량은 더 늘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역의회 출입 기자들은 광역의회 의원들이 전문성을 가졌다고 보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 초기에 의원 자질이 부족하다던 언론보도와는 달리 지방자치제도 10여년의 역사만큼이나 의원들의 자질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광역의회 의원과 언론사 기자의 광역의회 활동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광역의원들 보다 출입기자들이 언론보도가 더욱 정확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서로 상대방이 광역의회에 대한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결여되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분권이 제대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의 활성화는 물론 이들 의회의 활동내용을 지역주민들에게 알리고 감시하는 언론의 지방자치화도 매우 중요하다. 참여민주주의로 일컬어지는 지방자치의 성패는 자유롭고 건전한 언론 활동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Recently, the most important issue of our society is decentralization. It is to expand the role and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 into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breaking out the invincible centralized politics that has been maintained for hundreds of years. To succeed the decentralization, we should accomplish not only local autonomy but also the autonomy of local press that reports activities of local parliament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ess report about local parliaments synthetically based on both the analysis on actual newspaper reports and interviews of parliament members and reporters to overcome the fact that the preceding researches has shown abstract and theoretical aspects. To do this, I analyzed reports of KyoungNamShinMoon about the activity of South Kyoungsang Province Parliament and interviewed members of the Parliament and reporters in charge of the Parliament. As a result, firstly, the press reports of the Local Parliament mostly consisted of straight news, which amounted 1.7 articles per day during the assembly session. Articles based on press release provided amounted 63.4%, ones that had both based on press release and investigation 22.0%, and original investigating ones 14.6%, etc. Secondly, 63.7% of members of Local Parliament said that local pr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local autonomy and letting citizens know activities of the Parliament, but suggested that the amount of reports be increased. Thirdly, reporters in charge of the Parliaments think that the members of the Local Parliament have professionalism, which is the opposite to reports of the earlier period of local autonomy. This tells us that an affirmative change in the quality of parliament members has occurred through out 10-years history of local autonomy. Lastly,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viewpoint of the local parliament activities of the members of the local parliaments and reporters. The reporters thought that press report was more accurate than the members of the local parliaments did and each considered that the other lacked professionalism in local parliament. Decentralizations success depends on not only the accomplishment of local autonomy but also that of the autonomy of local press that acknowledges citizens of local parliaments activities. Because the success of local autonomy that represents real democracy could be achieved through free and sound activities of the press.

      • 부산아시안게임의 홍보 전략에 관한 일 연구 : 주요 상징들의 기호학적 의미해석을 중심으로

        손열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2002년 9월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제14회 아시안게임은 수도가 아닌 지방도시에서 열리기로는 일본의 히로시마에 이어 두 번째였다. 부산 대회는 38개 종목에 걸쳐 모든 아시아올림픽평의회 회원국에서 9천 9백여명의 선수가 참가한 역대 최대규모로서 여러 가지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성공으로 이끄는 것이 최대의 과제였다. 대회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홍보 즉 커뮤니케이션도 대단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부산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는 홍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시간별, 공간별, 목표별, 대상별 등으로 전략을 추진했다. 그 과정에서 상징적 기호들이 많이 활용됐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아시안게임의 홍보과정에서 이들 기호들이 기호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고 활용되었는지, 그리고 활용상의 한계는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 많은 상징적 기호들 가운데 핵심적인 것으로 엠블렘과 마스코트, 슬로건, 포스터, 대회가, 의상을 중심으로 했다. 엠블렘은 한국과 부산을 각각 상징하는 '태극'과 '바다의 푸른 물결'을 기본 모티브로 하고 아시아의 화합과 발전을 추구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마스코트는 부산의 시조(市鳥)인 갈매기를 단아하면서도 힘찬 먹선으로 처리해 한국적인 이미지를 강렬하게 표현하면서 스포츠 캐릭터가 갖고 있는 역동성과 생명력을 내포하는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슬로건은 대회이념을 나타낸 '희망과 도약 새로운 아시아'를 비롯해서 개최도시용인 '아시아를 하나로 부산을 세계로', 또 시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아시안게임은 시민의 힘으로' 등 다양하게 제작 활용됐다. 시민 참여용 슬로건은 기호학적으로 계열축과 통합축을 형성, 서로 호환성을 가지면서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변이된 것으로 분석됐다. 포스터는 기본형이 기호학적으로 부산 아시안게임의 순수한 '스포츠 정신'과 '아시아의 화합'을 상징하고 문화포스터는 부산의 대표적인 문화 예술 상징물인 '말뚝이' 와 '동래학춤', 지역성을 나타내는 '갈매기와 오륙도'를 바탕으로 해서 아시안게임이 스포츠뿐 아니라 문화와 한마당을 이루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스포츠 포스터는 각 스포츠의 몸짓을 두루 담을 수 있게 4개로 제작돼 아시안게임이 종합 스포츠 제전임을 읽을 수 있게 했다. 대회가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송신자와 수신자가 일체감을 이룰 수 있는 공유개념을 활용, 이질적인 공중을 대상으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화합과 도약을 기약하는 작용을 했다. 의상은 시각적인 홍보 커뮤니케이션으로 공중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훌륭한 지표적 기호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 기호는 부산 아시안게임을 은유와 환유로 상징하면서 상당한 호소력을 갖고 있었지만 활용도에 있어 기복이 매우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엠블렘과 슬로건 등은 활용도가 매우 높았던 반면 마스코트와 대회가, 포스터, 의상 등은 활용도가 저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징들의 홍보활용에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한계점을 보여주었다. 외부적 요인으로는 IMF 관리체제를 불러온 외환위기와 지역경제의 몰락, 월드컵 축구대회로 인한 중앙언론이나 타 지역 자치단체의 협조를 구하지 못한 점 등을 들 수 있고 내부적 요인으로는 기호 활용에 있어 기술적인 문제와 조직 내부 상층부의 잦은 인사이동 등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는 부산아시안게임 홍보 전략의 전반적인 것을 다루지 않고 상징적 기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기 때문에 일반화시키는 데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It is second time, following Hiroshima, that Asian Games is held in not one's capital city but in it's local city.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played major role in success of holding Asian Games in spite of local city's hard circumstances. However, public relations, namely communication, seems to have played utmost part in the Games. This study is aiming to find out how symbolic Signs were used in PR Communication process of Busan Asian Games. Communication of Busan Asian Games faced hardships due to the FIFA World Cup held 4 month before it. Not only the government and major medias but also other local cities where world cup was held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Asian Games. To overcome this, various communicating strategy, divided into period, region and target, were ranched. In this process, communication using symbolic signs are widely promoted. For the communication, emblem, mascot, poster, slogan, game theme song. All of these signs signifing the Busan Asian Games to receivers came to various interpretants and was perceived as new connotative meanings. Those signs were used independently or together in communication but were not used efficiently. Result of the research subject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of all, emblem, one of the main symbols of the Busan Asian Games, was created with motive such as Yun Yang Symbol and blue wave presenting Korea and Busan symbolically and it meant harmonization and development of Asia. Mascot of the Busan Asian Games was notifying the image of Busan applying sea gull, a bird representing Busan, and by extensively expressing the strength and elegance of brush line it presented image of Korea strongly. Also it was analyzed to contain sports image that sports character has such as movements with strength, liveliness and others. Slogan of the Busan Asian Games revealed to have symbolic meanings of which the Busan Asian Games is the event where hope and take-off can be realized and we can leap into the future by undergoing the event. Especially, slogans, made to induc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were analyzed to form systematic and synthesis axis systematically. Also it was found that these two axes are compatible and can be changed variously. Official poster of the Busan Asian Games was analyzed to symbolize the fair sports spirit of the Busan Asian Games and harmonization of the Asia. Especially, cultural posters of the Busan Asian Games applying Maldduki, Dongnae-hakchum and other symbols representing Busan's culture and art played its role to inform cultural image of Busan to visitors. The theme song of the Busan Asian Games applied concept of sharing in which originator and recipients could attain uniformity. It has aroused the image of Busan and the Asian games to the public participating in the Busan Asian Games. Outfit of the Busan Asian Games also aroused the image of it as visual P.R. communication. It was analyzed to function as the important index symbols arousing the public's attention. Next, major symbols of the Busan Asian Games appeared to have severe up and downs in usage according to each symbol. Emblem and slogan of the Busan Asian Games were well used and effectively publicized. However other symbols such as mascot, theme song, posters showed notably low usage. At last, limit to the P.R use of main symbols of the Busan Asian Games can be divided in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 largely. External factor was analyzed to consist of the collapse of the local economy due to the IMF, communication discord between the game organizers and holding cities, failure in marketing strategy of the Busan Asian Games, holding of the World Cup and others. And internal factor was analyzed to consist of the technical problems in the usage of main symbols, frequent replacement of secretary general, ignorance of the public and others. The research about signs used in sports communication need to be continued by the professionals in communication and scholars and I assure you it's worth it.

      • 地方自治團體의 觀光弘報 戰略에 관한 硏究

        조상제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thesis aims at the strategies of the tour public information activities in local self-governing communities in Korea. In the study I tried to survey the conceptual defenition and its meaning of the tour public information in local self-governing communities in order to suggest some bases to estabilish policies and strategies for the tour public information activities. For such an approach I have surveyed the most preferable tourist resorts, the preferred kinds of sightseeing, the touristic characteristics in each local resort, and the sources of the original tourist information, applying to the common adults as potential tourist consumers. I've worked out the preceding studies; surveys investigations and SAS statistics analyses of processing data applied to the citizens of Pusan. The surveyed resort places are limited to four basic local self-governing bodies in Kyongsang Nam-do ; the City of T'ongyong, the County of Hadong, the City of Miryang, and the County of Hapch'on, to extract the preferable style and touristic characteristic items as a tourist resort by the basis of the local image and cognition. I have come to reach such conclusions resulted from reference studies and field investigations. 1. It is said that the tour public information activity in local self-governing communities consists of attracting tourists, improving local images, promoting tour activities for human, cultural exchange, and suggesting tourist information for the understanding local colors and tourist accommodations. By way of various preperations the self-governing body can attain not only economic effects ; the income increase of the residents, job opportunities, community industries, and tax revenues, but also social effects ; improving exchange of local cultures, pride of home town, enlarged understanding tourist resources and increased value of local resources. 2. Whichever its local image might be preferred or not, and its cognition rate might be high or not, the tourist consumers might be affected in selecting tourist resorts. The local self-governing bodies should intensify the tour public information work for the self local image and the increased place cognition. 3. Since most tourist comsumers are favor of the resorts of natural beauties, they should transmit the advertising message as natural beauties in local places, such a synergy effect can be attained by comparing the known local touristic characteristics with the collected local tourist images, revealing its unique images as well. 4. Since imparting images by face to face communication primarily affects tourists in selecting attractive tour resorts, they should develop the know-how of making good impression to all visitors, and reinforce the tour public information activities through mass media advertising and their own tourist propaganda. To promote the commodities of to tourists they should increase the various tour public information channels. 5. As what tourists think of important might be the detailed map (traffic) or courses, the tourist guidebook (picture, description), and the kinds of food, lodging and shopping, the tourist brochure should arrange perfectly the detailed road guide, traffic information, foods, lodging places, and shopping centers.

      • 제3공화국의 언론통제와 언론의 일탈행위에 관한 연구 : '이수근 간첩사건'의 신문보도 행태를 중심으로

        김세준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제3공화국 시대의 언론통제 유형을 이론적, 실제적으로 분석, 그 언론통제의 결과 당시 언론의 기능에 어떠한 악영향을 미쳤는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구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대표 사례는 ‘이수근 간첩사건’이다. 언론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존립과 발전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사회체제인 만큼 현대 헌법은 통상 언론의 자유를 중요한 기본권의 하나로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 어느 국가도 언론통제에 전혀 무관심한 예는 없다. 특히 개발도상국가나 쿠데타로 권력을 찬탈한 국가일수록 보다 심한 언론통제 형태를 드러내고 있다. 제3공화국도 유형, 무형의 언론통제 행위를 계속했다. 당시 정권은 언론의 자유보다는 언론의 책임을 강조하며, 언론의 주기능인 권력감시 기능을 제어했다. 그 결과 일부 언론은 권력에 투항함으로써 제도언론으로 추락했고, 권력에 자발적, 적극적으로 협조하며 상생하는 권언유착 관계를 맺기도 했다. 이 연구는 ‘이수근 간첩사건’의 보도행태를 사례분석하기 위하여 다음 3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1) 제3공화국 정권의 언론통제 유형, 2) ‘이수근 간첩사건’의 언론보도 유형, 3) 당시 언론통제 행위가 언론의 기능에 미친 영향 등이다. 이 연구는 위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사례조사 대상으로 8개 신문(서울 6, 부산 2)을 선정, 3년 동안의 보도기사를 표집 조사했다. 언론통제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언론통제 일반이론과 일부 선행연구를 문헌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제3공화국은 취약한 정통성을 보완하고 강력한 무단정치를 펼치는 과정에서 권위주의적 언론통제 모형에 따라 언론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장악했다. 이 과정에서 법적, 제도적 통제 및 강압적 행동통제를 병행, 세계 어느 나라보다 적극적이고 집요한 통제효과를 추구했다. 당시 일부 언론은 정권 차원의 적극적이고 강압적인 언론통제에 굴복, 자발적인 동참언론으로 추락하거나 권언 유착 관계를 맺으며 언론의 권력비판 기능을 상실했다. 나아가 언론의 일탈행위의 한 유형이라 할 발표저널리즘과 추측, 과장, 왜곡 보도의 폐해를 양산했다. 언론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 채 일탈행위를 거듭할 때 그 폐해는 크다. 자유민주주의가 뿌리내리고 있는 오늘날, 언론은 보다 독립적이고 윤리적인 자세로, ‘좋은 저널리즘’의 기준에 충실함으로써 국민의 신뢰를 받는 선진 언론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 韓國 大學弘報의 變化樣態에 관한 硏究 : 1990年과 1997年을 中心으로

        오은미 東亞大學校 言論弘報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some problems faced by th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of domestic universities in the wake of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o suggest some improvement proposal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in the divisions of structure, organization, finance, PR media and PR activities. The concerned literature concern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reality of university PR activities at home and abroad was consulted, including Ko Chin-u's (1990)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of University PR Activities." The PR managers from 110 universities in Korea were the subjects. All 75 universities hav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including 39 contained in Ko's. The results as compared with those of Ko'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 1. A gradual improvement was noticed in the position of the PR section within the university structure in the lapse of seven years. 2. The PR funding increased as a rule but there still remain some problems regarding its efficient use. 3. The PR media are getting all the more diverse, gigantic and specialized. 4. The PR activities have also become varied. Up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points can b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campus PR activities : 1. A Long-term PR strategy should be devised on the basis of each college's long-range vision and development plan. 2. The PR plans making best use of each university's characteristic ought to be pursued. 3. An analysis has to be made on the effects of the methods of PR activities. 4. Diversification is needed in the use of PR media and concerned events. 5. What matters most is realizing the limits of PR activities in upgrading the school's status and image. Namely, the effective shortcut to the success of PR activities is for all university members to be voluntarily and actively faithful to the university's roles and duties.

      • 대통령 탄핵 보도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조선일보·한겨례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박성수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언론은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고 건전한 정치문화를 정착시키는데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민주적 정치질서에 여론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언론의 역할은 날로 커져가고 있고, 언론의 보도태도는 국민 일반의 정치적 의사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도 하다. 언론학에서는 정치보도가 지켜야 할 기본적 원칙으로 ① 공정성, ② 정확성, ③ 다양성, ④ 사실성, ⑤ 심층성 등을 든다. 그러나 한국 언론들이 정치보도 과정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고 또는 지키겠다고 선언한 보도원칙을 잘 지키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불공정ㆍ부정확 논란이 잇따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며, 저널리즘의 정도를 잘 이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 역시 적지 않다. 이 연구는 한국 역사상 전례 없는 중요 정치적 논란사항이었던 2004년 국회의 대통령 탄핵소추안 의결 및 헌법재판소의 탄핵안 기각결정 과정의 언론의 보도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대통령 탄핵사건은 양 극단을 달리는 정치권력간의 갈등을 극적으로 드러낸 사례이며, 그런 만큼 국내 언론매체 역시 각사의 이념적 지향점과 정치․사회적 입장에 따라 보도를 했을 개연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당시 3개 지상파 TV 방송의 불공정 보도 논란은 일부 선행연구에서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신문 중 이념적 대척점에 있는 두 신문의 정치보도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신문의 공정성 여부, 나아가 ‘좋은 저널리즘’의 원칙 준수 여부를 점검하려하는 것이다. 두 연구대상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뉴스 보도의 수행 평가의 기준이 되는 ‘좋은 저널리즘’이 준수하고 지향해야 할 보도행태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대통령 탄핵사례의 보도행태를 사례분석하기 위해 다음 3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1) 두 신문의 탄핵보도는 양적으로 균등하고 공정했는가, 2) 두 신문의 탄핵보도는 질적으로 균등하고 공정했는가, 3) 만약 공정하지 못했다면 그 불공정보도의 영향은 어떠했는가, 이 연구는 위 연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국회의 탄핵안 의결 이후 정치․사회적 논쟁이 뜨거웠던 19일간과 헌법재판소의 기각 결정 전후 2일간의 보도 및 비평 기사를 표집, 조사했다. 각 영역별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단일 연구방법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려 했다. 또한 탄핵안 의결의 법률적ㆍ정치적 의미, 정치보도의 기본원칙, ‘좋은 저널리즘’의 일반이론을 분석하기 위해서 일부 선행연구와 함께 문헌연구 방법을 충분히 활용했다. 연구 결과, 두 신문의 대통령 탄핵 관련 보도는 상당 부분 언론의 공공적 성격에 바탕한 공정성 보다는 자사의 정치․사회적 입장에 따른 불공정 보도가 적지 않았다. 두 신문은 탄핵 찬반의 입장을 보도, 평론함에 있어 일방적 주장만을 대변함으로써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이라 할 공정성, 균형성을 상실했다는 지적을 받을 만 하다. 즉, 언론의 공정성과 균형성은 곧 언론 모두가 지향해야 할 조건이자 원칙이라고 할 때 두 신문이 이러한 조건과 원칙에 충실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두 신문은 탄핵 반대와 찬성의 입장을 주장, 전달하며 ‘민주주의’를 주장하곤 했으나, 진정한 민주주의를 해석하는 입장에서도 큰 편차를 드러냈다. 이러한 일부 불공정 보도는 언론의 다른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사회통합에 기여하기 보다는 한국 사회의 정치․사회적 갈등을 확산시키는 결과를 빚기도 했다. 한국 사회의 정치적, 이념적 갈등 수준이 깊고도 넓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신문의 이 같은 정치보도 태도는 앞으로의 정치적, 이념적 쟁점을 보도하는 과정에서 다시 공정성ㆍ편향성 시비를 일으킬 우려도 크다. 그런 만큼 한국 언론은 저널리즘 본연의 보도태도를 다시 점검하는 자성적 성찰을 게을리 하지 않음으로써 민주주의를 유지, 발전시키는 필수적 사회제도로서의 위상을 튼튼히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언론은 ‘좋은 저널리즘’의 원칙을 준수하고 충족할 때 공정성ㆍ편향성 논란에서 벗어나 언론의 정치ㆍ사회적 역할에 충실할 수 있으며 또한 헌법이 보장한 진정한 언론의 자유를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인터넷언론에 대한 법 적용의 한계에 관한 연구

        김필영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한국 인터넷언론에 대한 현행 법 적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법과 제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의 증가추세와 함께 인터넷언론은 분명 언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인터넷언론에 적용할 현실적인 법·제도가 없어 많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인터넷언론이 갖는 문제 중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 침해, 명예훼손, 지적재산권, 정보접근권 등 언론의 기능을 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중점 분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인터넷언론이 현실적 위상을 확대시키고 있는데도 법적으로 언론의 지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간법·방송법 같은 언론관계법이 아닌, 전기통신법이나 전기통신사업법의 적용을 받음으로써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외국의 인터넷 규제정책을 살펴보며 한국의 인터넷 규제정책을 비교 분석한다. 인터넷언론은 인터넷이란 특수한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인터넷 규제정책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현행 인터넷 규제 틀 속에서 한국 인터넷언론이 현실세계와 충돌하는 사례와 법 적용상의 문제점을 중점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문헌연구 및 실증분석 결과 도출한 언론법제의 대응 틀을 법 적용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으로 나눠 정리한다. 그 결과 인터넷언론은 매체특성상 정보제공자의 범위가 모호하고, 단속이 쉽지 않으며, 독립적인 망 구축이 쉽기 때문에 사업자의 권한행사가 제한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언론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처하기가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현행 인터넷언론의 규제 틀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정간법 개정을 통한 방법과 기존 법체계가 아닌 새로운 법체계를 통한 방법을 각각 제시하였다. 이제 인터넷언론의 법제화의 당위성은 분명하다. 그리고 인터넷언론 관련 법제를 가다듬는 과정에서 현행법의 개정이든 새로운 법의 제정이든 인터넷이란 매체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도 분명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law to the Internet press in Korea and to search the improving way of laws and systems. The Internet press is absolutely carrying out the role of journalism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using the Internet. But, many social problems are happening, because there is no realistic law applicable to the Internet press. This study is to analyse some problems that could happen while the Internet press is carrying out the role of the journalism, like the freedom of expression, the interruption of privacy, defamation, the right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These problems are occurring, because the Internet press doesn't secure the right position of journalism although the Internet press is improving its position. And another reason is why the Internet press is applied to not the law related to the press, like suspension law, broadcasting law but telecommunication law, telecommunication industry law.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ulations of the Internet in other countries and to compare them with that in Korea. The Internet press can't be free from the regulation of the Internet, because its work is done through the Internet. Next,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roblems happening when the Internet press in Korea collides with the real life and the problems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to the Internet press.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problems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to the Internet press and the improving way of that after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and analysing the problems. As the result, the information giver in the Internet press is vague and the regulation of that is not so easy. Also, the exercise of a business proprietor is limited, because setting independent network is very easy in the internet. Therefore, it's very difficult to deal with various problems happening while the Internet press is carrying out the role of journalism. This study suggests the reformation of suspension law and the new regulation as the improving way of the current regulation of the Internet press. The necessity of legalizing Internet press is obvious. And it is also obvious to consider the special equality of the Internet in reforming and making the regulation of the Internet press.

      • 지역언론의 공공저널리즘 적용 가능성 연구 : 부산일보 '시민패널-후보자 토론' 보도 분석

        김관종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지역언론의 한 가능영역으로서의 공공저널리즘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공공저널리즘은 공적영역에서 시민이 소외되는 현상을 민주주의 사회에서 가장 위험한 것으로 인식한다. 공공저널리즘은 공적 영역에 시민의 참여를 증대시키고 공동체 문제에 저널리즘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저널리즘의 참된 역할이라고 본다. 특히 한국 언론의 문제점은 선거보도에서 여실히 표출된다. 역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등에서 한국 언론의 보도는 '언론중심의 보도'라는 지적을 피할 길이 없었다. 한국 언론의 보도는 그 동안 경마식 보도, 흥미위주 보도, 대결과 대립위주로 유권자의 참여를 배제하면서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선거과정은 시민의 민주적 역량을 키우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같이 중요한 선거과정에서 유권자들은 뒷전에 놓인 경우가 많았다. 이는 선거문화 전체를 부실하게 만들고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 인식아래 선거보도에 공공저널리즘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했다. 부산일보의 '시민패널-후보자 토론' 보도는 선거보도 과정에 시민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킨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지역언론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선거관련 공공저널리즘 보도를 분석해 공공저널리즘이 지역언론에 적용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일보 '시민패널단-후보자 토론' 보도의 형식·내용을 분석했다. 부산일보의 보도 사례가 공공저널리즘이 표방하는 유권자 중심의 보도인지, 지역 공동체 문제에 초점을 맞췄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부산일보의 선거관련 공공저널리즘 방식의 보도는 전통적인 저널리즘을 과감히 탈피하려 했다. 시민을 객관적인 취재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취재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의제 설정권을 시민에 넘기고 시민과 언론과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려 했다. 선거관련 취재보도의 축을 언론중심에서 시민과 유권자 중심으로 이동시켰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시민패널 보도는 지역 언론이 해당 지역의 주민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공공저널리즘 방식의 선거보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완할 점도 나타났다. 시민패널 참가자들의 계층이 더 다양해야 한다. 또 타 매체간 연대를 통해 시너지 효과도 높여야 한다. 공공저널리즘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변화, 시민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공공문제 토론조직의 상설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부산일보의 시민패널 보도는 취재 및 보도 방식의 변화를 추구하는 새로운 언론운동의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만하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Public Journalism which is one of the new trend of the press. Public Journalism is called Citizen-based journalism. Public Journalism is more active in making citizens take part in public sphere than the traditional Journalism. Public Journalism recognizes that the real role of the press is to intervene in public issues actively. Especially Korean Press has many problems in reporting election campaigns. Korean Press is criticized to report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general election for the sake of arousing the interest. This kind of report has been considered to weaken the election culture and development of democracy. This study researched the Busabllbo Citizen Panel-Candidate Debate Case. This case applied Public Journalism to the election repor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For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 How about the form of the Busabllbo Citizen Panel-Candidate Debate report? Research question 2 : How about the content of the Busabllbo Citizen Panel-Candidate Debate report? Research question 3 : How abou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Public Journalism to the local pres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The BusabIlbo Citizen Panel-Candidate Debate Case tried to break Traditional Journalism. This report is estimated to tried to reflect the voice of the citizen in news gathering process actively. In doing so, It moved an axis from media-based journalism to Citizen-based journalism. From this point The BusabIlbo Citizen Panel-Candidate Debate report is estimated to prove one form of the reformation of the press.

      • 취재원 비익권의 보장에 관한 연구

        이종률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theoretical feasibility of enacting a law to protect news sources' security and highlights the future direction to be headed on this issue. The enactment of a law for news source protection is necessary to realize freedom of speech, which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to enhance the public's right to know. The Constitution of Korea stipulates that the citizens have the right "to know and express what they know in pursuit of their happiness".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as a monitor and checker of the government have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such rights. In particular, the press -- the disseminator of information -- is obliged to make the public, the information recipients, know the information as well as deliver "information to the public in a timely manner with enough details and accuracy". To fulfil the mission of the press, journalists are making best efforts to secure reliable news sources and earn quality information from them. Sometimes they need to obtain information in exchange for providing security to them. Therefore, news reporting based on information offered by news sources could be said as an act of expression by the news agencies as well as self explanation of news sources. If the promise to protect news sources is easily broken on a frequent basis, news sources are not willing to offer information to the press, and then the press and journalists have to undergo lots of disadvantages. When journalists are unable to win trust from news sources, they would not get any news stories from the concerned news source and would be avoided by other news sources as well. In this situation, he or she may not perform given roles as a journalist. If the news agencies require the disclosure of ID of news sources, it may infringe on the right of a news source to remain an anonymous news provider. Such request for ID disclosure would prevent other news sources from offering information freely. In this sense, most news agencies decide that when news sources don't want to unveil their ID, it is the code of ethics and an obligation of journalists to leave their ID confidential. However, when journalists report about national secrets or illegal acts pursuant to the constitution and then refuse to disclose news sources' ID, they will get punished by law. This is where the current laws and the ethical issue of protecting news sources clash. Because of this, in countries which lack measures to protect news sources, journalists have to make decisions either against laws or ethics from time to time. This study has found three different views on this issue as follows: The legal circle is mostly negative about the enactment of a law protecting news sources' identity, while the press and journalism professors are positive about the idea. There are some efforts under way to compromise the both sides of the optimism and pessimism. Firstly, those who are positive about enactment believe that such law will become possible to create free media and empower the press to have a special right to pursue for free expression on behalf of the public. The general public do not own a news media. In the modern society, to distribute information to the society, they have to depend on a third party which owns media. The reports based on information offered by information providers are the expression of the media on one hand and the expression of information provider on the other hand. Therefore, when anonymous information providers express opinions, they would have a constitutional right to hide their ID since they have the security right (the right to be an anonymous information provider). Secondly, those opposing the enactment believe that if news sources are protected by law in hiding their identity, it is like offering a privilege to the press so that it conflicts the fundamental principle that everyone is equal in front of law. They believe that if the press asks for privileged status while emphasizing their role for the public, it can't be accepted both from the democracy perspective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believing that freedom of press is a basic right guaranteed by democracy. Thirdly, those in the middle supporting for compromise between the two views suggest finding ways to ease conflicts between the laws and the code of ethics of journalists and to boost social integration. Study on media law needs to take an approach of looking at legal phenomenon from a social science perspective. In order to make accurate researches on basic static data, which describe the general concept of the legal culture and the specific feature of the media law, and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decisions on legal rights to be protected for the media, using the data analysis method of social science will be efficient and useful. The study on the need to enact a law to protect news sources comes to conclusion as follows: Firstly, the enactment of a law to protect news sources is necessary to avoid conflicts between the current law and the widely adopted practices of journalists that they keep the ID of news sources secret. However, in case of failing to unveil news sources who report about national secrets or illegal acts, legal punishment will be imposed. Therefore, it goes against the ethical issue of protecting news sources. Secondly, the media has the mission of achieving freedom of speech and the right to know for the public. Today, freedom of speech is mainly about freedom of distributing information. This is a basic right necessary to achieve equality in speech among information suppliers, deliverers and consumers. Therefore, freedom of speech shall contain the right to know of the public and the security of news sources. Lastly, the most important issue in protecting security of news sources is to make it into a law. However, once this law is enacted, it shall not be abused as a tool to protect journalists themselves. 이 연구는 헌법이 보장하는 언론의 자유 신장과 국민의 알 권리 실현을 위해 취재원 비익권의 법제화가 절실함을 전제로 그 이론적 타당성 및 제도화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헌법이 부여한 ‘알게 됨으로써 표현하고, 표현함으로써 행복해질 수 있는’ 권리를 국민들이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은 권력을 위임받은 정부든, 그 권력을 감시ㆍ견제할 언론이든 공통의 책무이다. 특히 언론은 정보의 수용자인 국민들이 단순히 아는 데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제때에, 충분히, 정확하게’ 알게 해주어야 할 사명이 있다. 언론의 사명을 다하기 위해 언론종사자는 좋은 취재원을 확보하고 이들로부터 양질의 정보를 얻으려고 심혈을 기울이며 때로는 취재원의 비익을 조건으로 정보를 확보한다. 취재원의 정보에 바탕을 둔 보도는 언론기관의 표현행위임과 동시에 취재원 자신의 표현행위이기도 하다. 만약 취재원 비익 약속이 쉽게 파기되는 현상이 일상화된다면 취재원은 언론기관에 정보제공을 꺼리게 되어 언론기관이나 취재기자도 여러 가지 불이익을 감수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취재원으로부터 신뢰받지 못하는 기자는 그 취재원으로부터 뉴스거리를 공급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다른 취재원으로부터도 경원시 되어 결국 기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심대한 타격을 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기관에 취재원의 신원공개를 강제하는 것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언론활동을 하는 취재원의 익명언론권을 침해하는 것이 된다. 취재원 공개는 익명을 조건으로 다른 사람들에게도 정보제공의 억지효과를 미치게 하여 자유로운 정보유통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대부분의 언론기관은 뉴스원의 공표를 원하지 않는 경우 취재원의 보호를 위해 신원을 감춰주는 것을 기자의 윤리강령이자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법상 국가기밀이나 위법사항을 보도한 기자가 취재원 공개를 거부할 경우 법적 제재를 받게 되어 실정법과 취재원 보호라는 윤리문제의 충돌이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언론인들이 법과 도덕 사이에서 이율배반적 선택을 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취재원 비익권의 법제화에 대한 입장을 대별하면 대체로 법조계가 부정적 입장을 취하는 반면 언론계와 언론학자들은 긍정적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긍정론과 부정론의 양면을 고려한 절충론도 개진되고 있다. 첫째, 긍정론의 입장은 헌법이 보장하는 매체 자유의 창달과 ‘표현함으로서 행복해질’ 행복추구권의 실현을 위해 여론의 대의기관인 언론에 특권적 기능의 부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언론기관을 소유하지 않는 일반국민이 현대사회의 거대화에 걸맞은 대 사회적 정보전달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매체를 소유한 제3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그 정보가 확산되도록 하는 방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정보제공자가 제공한 정보에 바탕을 두는 보도는 언론기관의 표현행위임과 동시에 간접적으로는 정보제공자의 표현행위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익명의 정보제공자도 또한 표현행위를 행사하는 자로서 비익권(익명언론권)을 가지고 언론행위를 할 때 자기의 신원을 비익하는 헌법상의 이익을 갖게 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둘째, 부정론은 언론기관의 취재원 비익권을 법제화할 경우 결국 언론에 특권을 주는 결과가 되어 ‘만인의 법 앞에 평등’이라는 대원칙의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들고 있다. 언론기관의 공공적 기능만을 강조하여 특권적 지위를 요구한다면 이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라는 관점에서도, 또 언론의 자유가 민주적 기본권이라는 점에서도 수긍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셋째, 절충론은 법제와 언론윤리간의 충돌을 완화하고 사회적 통합기능에 비중을 두어 합목적적인 시각으로 볼 것을 제안한다. 언론법 연구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법 현상을 사회과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이론적 논거를 토대로 법률문화의 일반성과 언론법의 특수성을 판별하는 정태적인 기초자료의 정확한 조사를 위해서나 언론관계법상 보호받아야 할 법익의 판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발견 등에는 사회과학적 자료분석방법을 원용하는 것도 매우 효율적이고 합목적적이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라 취재원 보호의 법제화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실정법과 대다수의 언론기관이 취재원의 보호를 기자의 의무로 규정하고 있는 취재관행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함이다. 보통의 경우 국가기밀이나 위법사항을 밝힌 취재원을 밝히지 않을 때는 법적 제재를 가하게 되어 취재원 보호라는 윤리문제와 충돌하게 된다. 둘째, 매체의 자유 창달과 국민의 알 권리 충족이라는 언론 본연의 사명 완수이다. 오늘날의 언론자유는 정보유통과 관련된 모든 자유를 가장 중요하게 말하는바, 정보의 공급ㆍ전달ㆍ수요의 주체들이 서로 상대방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많은 사람의 평화와 행복을 위해 정보를 공유하는 언론평등의 과정에서 필요한 기본권이다. 그러므로 언론자유에는 국민의 알 권리와 취재원 비익의 자유도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취재원의 보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이를 명문규정으로 법제화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장치가 취재원을 보호하기보다는 언론인 보호를 위한 장치로 남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