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 차이

        박태연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발달연령이 3세부터 6세에 해당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에게 시각장면디스플레이(Visual Scene Displays, VSD)를 활용한 시각적 자극을 제시하고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색 선호도(선호색, 비선호색)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Visual Smoothness)과 시각적 주의집중력(Visual Attention)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와 덴버 발달 선별 검사-Ⅱ(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Ⅱ)를 통해 경증-중간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23명, 일반아동 28명을 대상자로 선별하고, 과제 실시의 적합성 및 소요시간, 반응 등을 파악하고 과제 수 조정을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선 추적 장치(Eye-Tracker)를 사용해 10가지 색들 중 가장 많이 응시한 색을 선호색, 선호색을 제외한 9개의 색들 중 랜덤으로 제시된 색을 비선호색으로 판단하여 색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그리기 발달 순서(│, ─, ○, ◇)를 기초로 하였으며, 점이 이동하는 기준값에서 대상자들의 시선 위치 값을 뺀 오차값(mean squared error) 평균을 사용하여 시각적 매끄러움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시각적 주의집중력을 알아보기 위해 문제상황 그림을 제시하였으며, 문제영역이라고 판단한 관심 영역(Area of Interst, AOI)에 색 선호도에 따른 단서(무단서, 선호색 단서, 비선호색 단서)를 제시하고 AOI를 응시한 횟수를 도출해 시각적 주의집중력 정도를 알아보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색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남자 아동의 선호색은 노란색, 여자 아동은 빨간색이 가장 많았으며 일반 남자 아동은 빨간색, 여자 아동은 노란색이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발달연령에 따른 색 선호도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3세 이상 4세 미만은 빨간색, 4세 이상 5세 미만은 청록색, 5세 이상 6세 미만은 연두색이 가장 많았으며 일반아동은 3세 이상 4세 미만이 빨간색, 4세 이상 5세 미만은 연두색, 5세 이상 6세 미만은 노란색 순으로 가장 많은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경우 수직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대부분 제시되는 색이 비선호색보다 선호색일 때 오차값 평균이 더 낮아 시각적으로 더 매끄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경우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5), 이는 일반아동은 색 선호도에 상관없이 과제 목표에 집중해서 바라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단서 종류(무단서, 비선호색 단서, 선호색 단서)에 따른 시각적 주의집중력 차이에 대해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은 문제상황 과제(문제상황 1, 문제상황 2)에서 문제영역이라고 판단한 AOI에 제시하는 단서가 선호색일 때 응시 횟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나 선호색 단서를 주시할 때 시각적 주의집중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단서 종류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5)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단서와 선호색 단서간(p=.024)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무단서와 비선호색 단서(p=.137)와 선호색 단서와 비선호색 단서간(p=.735)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시하고 색 선호도를 활용하여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을 알아보았을 때, 집중시키고자 하는 시각적 단서에 선호색을 사용한 경우 비선호색 보다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이 더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색 선호도를 활용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뿐만 아닌 일반아동, 노인 그 밖의 장애인의 색 선호도를 파악하고 시각적 자극 기반의 중재 및 환경 조성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건신 기공 훈련이 대학생의 기초체력 및 근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청나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presents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Fitness Qigong training on muscle function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involved 30 college students as subjects and conducted a 12-week intervention experiment, with assessmen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impact of competitive Qigong techniques (experimental group) versus regular Qigong techniques (control group) on muscle function and various indicato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est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leading to proposed Fitness Qigong exercise prescription for college students to enhance scientific training methods and promote healthy exercise practices. Impact of Fitness Qigong Training on Physiological Functions: Following 12 weeks of Fitness Qigong tr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heart rate or maximum heart rate among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average values for both heart rate and maximum heart rate did show a decrease, possibly due to the short duration of the experi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maximum oxygen uptake and relative oxygen uptake, but their average values did increase slightly, which may also be attributed to the short duration of the experiment. Post-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lung capacity, while the control group's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had a notable positive effect on the lung capacity of college students. Impact of Fitness Qigong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Post-train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50-meter sprint and standing long jump. From the average values: the 12-week Fitness Qigong training resulted in a decrease in average times for the 50-meter sprint and an increase in standing long jump scores, suggesting that practicing Fitness Qigong may not improve the speed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ut it can enhance the lower body strength of practitioners, though the effects are not very pronounced. In tests related to the 800-meter and 1000-meter runs, change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overall average values decreased, indicating that Fitness Qigong has a positive effect on endurance qual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persistent Fitness Qigong training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 endurance quality of college students. After 12 weeks of Fitness Qigong training, the isokinetic muscle strength tests of knee flexion and extension showed very significant changes in peak torque and average power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dicating that both competitive and regular Qigong methods effectively enhance the lower limb muscle strength of college students. This finding provides important experimental data for the field of sports science, supporting the significance of systematic training in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universality of the research,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increasing the sample size and covering a wider variety of populations. After 12 weeks of Fitness Qigong training, there was a definite improvement in the enduranc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and long-term participation in training is likely to have positive effects. Comparative Analysis of Regular and Competitive Qigong Practices: The comparison between regular and competitive Qigong practices ha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enhancement of physical functions and qualities. In paired T-tests, it was found that the lung capacity of the competitive Qigong group was superior to that of the regular Qigong group. In terms of physical fitness, the competitive Qigong group performed better in seated forward bend, isokinetic tests for peak torque and average power, closed-eye single-leg stand, and Y-balance tests. The advantages of the competitive group in terms of training professionalism, intensity, psychological preparation, recovery strategies, and professional guidance collectively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students' physical functions and qualities, leading to superior performance in relevant indicators compared to the regular group. In contrast, the regular Qigong group excelled in the 50-meter sprint, 800-meter/1000-meter runs, and shoulder endurance tests. This is attributed to the regular Qigong training's emphasis on repetitive execution and maintenance of movements, which not only effectively improved the participants' muscular endurance and concentration but also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muscle memory and balanced muscle group growth. Fitness Qigong Training Prescription Plan for College Students: To optimize Fitness Qigong training for college students, it is advised that each exercise session should last a minimum of 40 minutes, with a weekly total of at least 150 minutes spread over three or more days to allow for proper recovery. The training regimen should consist of a 10-minute warm-up, 40-70 minutes of core Fitness Qigong exercises, and a 10-minute cool-down. Warm-up and cool-down activities should primarily focus on body stretching and fundamental breathing exercises, while the core training duration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complexity and intensity of the exercises.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a variety of techniques, such as a mix of static and dynamic movements, and alternating between regular and competitive Qigong practices to enhance overall skill development. Additionally, individual fitness level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training intensity, regular physical fitness assessments should be conducted to monitor changes in indicators like heart rate and lung capacity, and the training plan should be adjusted accordingly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participant satisfaction. By following this precise and evidence-based training prescription, college students' physical capabilities and overall well-being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fostering a greater interest in long-term Fitness Qigong practice. In summary, 12 weeks of Fitness Qigong training significantly enhanced lung capacity among college students, while the impact on heart rate, maximum heart rate, and maximum oxygen uptake was not substantial, which may be related to the training period. In terms of physical quality, although the improvements in speed and explosive power were not significant, the potential enhancement of endurance is noteworthy. Additionally, competitive and regular Qigong practices each focus on different aspects of enhancing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fering strategic choices for Fitness Qigong training with various objectives. Future research could further explore the long-term effects of different training modes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as well as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specific populations. The following measures are recommended: Firstly, extend the training period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impact of long-term training on physiological parameters. Secondly, increase the sample size and ensure sample diversity, including participants of different ages, genders, and physical fitness levels, to enhance the study's broad applicability and reliability. Continue to compare the effects of regular and competitive Qigong practices in-depth to provide specific guidance for trainers with different objectives. By implement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o improve the methodological rigor of the research, record the training intensity, frequency, and duration in detail to ensure the reproducibility of the results. Moreover, comprehensively assess the impact of training on 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inally, conduct long-term follow-up studies to evaluate the sustained benefits of Fitness Qigong. Through these measures, future research will more systematically reveal the multifaceted benefits of Fitness Qigong training, promoting its widespread adop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across a broader population. 본 연구에서는 건신 기공이 대학생의 기초체력 및 근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연구를 수행하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을 위한 건신 기공 운동 처방 을 제안하여 건신 기공의 과학적 운동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건강한 운동 습관 습득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건신 기공이 대학생의 기초체력 및 근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여 대학생 30 명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 전후 12 주 동 안 중재 실험(干预实验)을 수행하고 실험 전후 실험조와 대조조 학생들의 다양한 근육 기능 지표의 변화 결과를 정리하고 실험 전후 수집 된 테스트 지표의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수학적 통계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1. 신체 기능 측면에 대한 건신 기공 훈련의 효과 :12 주간의 건신 기공 훈련 후 대학생의 심박수와 최대 심박수는 유의미한 감소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 생의 심박수와 최대 심박수의 평균값은 감소했으며 이는 짧은 실험 시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실험 후 최대 산소 섭취량과 상대 산소 섭취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 지만 평균값은 증가했으며, 변화가 거의 없는 이유는 짧은 실험 시간과 관련이 있 을 수 있다. 12 주간의 건신 기공 훈련 후 실험군의 폐활량은 실험 후 유의하게 증 가했으며 대조 그룹의 성장은 그렇지 않았다. 이것은 실험적 개입이 대학생의 폐활 량에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나타난다. 2. 건신 기공 수련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 실험 후 대학생의 50m 달리기와 제자 리 멀리뛰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평균값 측면에서: 12 주간의 건신 기공 수련은 피험자의 50m 달리기 성적의 평균값을 떨어뜨리고, 제자리 멀리뛰기 성적의 평균값 은 향상되어 건신 기공 수련이 대학생의 속도 소질을 향상시킬 수는 없었지만, 오 히려 연습자의 하체 근력 소질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효과는 그다지 뚜렷하지 않 다. 800m 및 1000m 달리기와 관련된 테스트에서 실험 전과 실험 후 변화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전체 평균값이 감소하여 건신 기공이 지구력 소질 향상 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난다. 이 결과는 건신 기공 수련을 장 기간 준수하면 대학생의 지구력 소질이 크게 향상 될 것임을 시사한다. 12 주간의 건신 기공 수련, 무릎 신근 및 굴근 그룹의 PT 및 AP의 등속성 근력 테스트, 실험 그룹과 대조 그룹의 테스트 전후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경기 공법과 일반 공법 모두 대학생의 하지 근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며이 결과는 대학생의 하지 근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 결과는 운동 과학 분 야에 중요한 실험 데이터를 제공하고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훈련의 중요 성을 뒷받침한다. 연구의 신뢰성과 보편성을 높이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 규 모를 늘리고 더 광범위한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12 주간의 건 신 기공 훈련은 대학생의 지구력, 근력, 유연성 및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 며 장기간 훈련에 참여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일반 공법과 경기 공법의 비교 분석 : 일반 공법과 경기 공법을 비교한 결과 신체 기능 및 체질 향상 측면에서 두 훈련 모드 간의 차이점이 밝혀졌다. 대응표본 T 검정에서 신체 기능 측면에서는 경기 공법 그룹의 폐활량이 일반 공법 그룹보다 우수했으며, 체질 측면에서는 장좌체전굴, 등속성 검사의 PT 및 AP, 눈감고 한발로 서기, Y-밸런스 검정에서 경기 공법 그룹이 일반 공법 그룹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 타났다. 훈련 전문성, 강도, 심리적 준비, 회복 전략, 전문적인 지도 측면에서 공수 도 선수단의 장점이 학생들의 신체 기능과 자질을 향상시켜 관련 지표에서 일반 그 룹보다 높은 성적을 거뒀다. 반면 일반 공법 그룹은 50m 달리기, 800m/1000m 달리 기, 회전 어깨 테스트에서 경쟁 그룹보다 더 좋았으며, 그 이유는 일반 공법 그룹의 훈련이 동작의 반복적 실행과 동작의 지속적인 유지에 더 중점을 두어 근지구력과 집중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 기억 형성과 근육 그룹의 균형 잡 힌 발달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4. 대학생을 위한 건신 기공 훈련 처방 계획: 대학생을 위한 건신 기공 훈련의 경 우, 충분한 회복을 위해 각 훈련은 40분 이상, 주당 총 훈련 시간은 3일에 걸쳐 150 분 이상 지속하는 것이 좋다. 훈련 구조는 10분의 워밍업, 40∼70분의 코어 건신 기 공 훈련, 10분의 이완 세션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워밍업과 이완 활동은 몸 스트레 칭과 기본 호흡 운동에 초점을 맞추고, 코어 운동은 훈련 내용의 강도와 숙련도에 따라 시간을 조정한다. 전반적인 능력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정공(静功) 및 동공(动 功) 조합과 같은 다양한 공법과 일반 공법 및 경기용 공법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개인별 체력에 따라 강도를 조절하고 정기적인 체력 테스트 를 통해 심박수, 폐활량 등 지표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피드백에 따라 훈련 프로그 램을 조정해 훈련 효과와 참가자의 만족도를 높이다. 이러한 정교하고 과학적인 수 련 처방을 통해 대학생들의 신체 기능과 자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장기적인 체력 기공 수련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요약하면, 12 주간의 건신 기공 훈련은 대학생의 폐활량에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있었지만 안정시 심박수, 최대 심박수, 최대 산소 섭취량 및 기타 지표에 미치는 영 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는 훈련주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체력 측면에서는 스피드과 폭발력의 향상 효과는 크지 않았지만 지구력의 잠재적인 향상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또한 경기 공법과 일반 공법은 신체 기능과 체질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어 목표가 다른 건신 기공 훈련을 위한 전략적 선택을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 는 다양한 수련 방식이 신체 기능과 자질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과 특정 인구 단 체에 적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추가로 탐구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조치가 권장된 다. 첫째, 장기적인 훈련이 생리적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평가하기 위해 훈련 주기를 연장한다. 둘째, 표본 크기를 늘리고 다양한 연령, 성별, 체력 수준의 참가자를 포괄할 수 있도록 표본 다양성을 확보하여 연구의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 과 신뢰성을 높이다. 동시에 일반 운동과 경쟁 운동의 효과를 심층적으로 비교하여 다양한 목표를 가 트레이너에게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결과의 재현성을 보장 하기 위해 훈련의 강도, 빈도 및 기간을 자세히 기록하는 무작위 대조 검정(RCT)을 실시하여 연구의 방법론적 엄격성을 개선한다. 또한 훈련이 정신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건신 및 기공의 장 기적인 이점을 평가하기 위해 장기 추적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조치를 통 해 향후 연구에서는 건신 기공 수련의 다각적인 이점을 보다 체계적으로 밝히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홍보하고 실제 적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력이 옹호간호에 미치는 영향

        김종심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력이 옹호간호에 미치는 영향 김 종 심 동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김희영)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 력과 옹호간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와 J도의 정신의료기관의 정신과 병동에서 근무 하고 있는 정신과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7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8월 21일부터 9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인권감수성, 도 덕적 민감성, 공감능력, 옹호간호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정도는 전체 총합 75점 만점에 34.94±19.25점, 도덕적 민 감성은 평균 7점 만점에 4.90±0.51점, 공감능력은 4점 만점에 평균 2.31±0.38 점, 옹호간호는 5점 만점에 3.59±0.3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은 성별(t=3.48, p=.001), 최종학력 (F=6.05, p=.003), 자격사항(F=-2.61, p=.01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민감성은 연령(F=4.04, p=.008), 결혼상 태(t=2.82,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은 총 임상경력(F=3.34, p=.011), 정신 과 경력(F=2.55, p=.041), 인권교육 횟수(F=2.78, p=.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옹호간호는 연령(F=4.71, p=.003), 결혼상태 (t=2.24, p=.027), 최종학력(F=3.67, p=.027), 인권교육 경험(t=2.30, p=.023), 인권 교육 횟수(t=3.44,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대상자의 옹호간호는 인권감수성(r=.22, p=.003), 도덕적 민감성(r=.63, p<.001)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 옹호간호와 공감능력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08, p=.272)를 보이지 않았다. 7. 대상자의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단 계 모형에서 연령, 최종학력 석사과정 이상, 인권교육 횟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F=4.21, p<.001), 설명력은 14.0%로 나타났다. 2단 계 모형에서 인권감수성을 추가하였을 때 연령, 인권교육 횟수, 인권감수성 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F=4.40,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6.1%로 1단계에 비해 2.1% 증가하였다. 3단계 모형은 도덕적 민감성을 추 가하였을 때 연령, 인권교육 횟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F=14.97,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6.5%로 2단계에 비해 30.4%가 증가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덕적 민감성과 인권감수성이 옹호간호 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간호사의 옹호간 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덕적 민감성과 인권감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차별화 된 교육과 옹호간호 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주요어: 정신간호사,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공감능력, 옹호간호

      •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민열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 민 열 동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안효자) 본 연구는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재직의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정 신과 병동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J도와 G광역시의 정신의료기관의 정신과 병동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 153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8월 24일부터 9월 30일까 지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재직의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폭력경험은 5점 만점에 평균 2.03±0.65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85±0.49점, 사회적 지지는 5점 만점에 평균 3.54±0.59점, 재직의도는 5점 만 점에 평균 3.91±0.8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경험은 남성(t=2.27, p=.009), 미혼(t=2.53 p=.013), 정신건강·전문간호사(t=-2.80 p=.006)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30∼39세 미 만이 50세 이상보다 폭력경험이 높았고(F=4.31, p=.006), 정신과 업무만족도에서 불 만족이 만족보다 폭력경험이 높았다(F=3.44, p=.019).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최종학력에서 대학원 이상(t=-1.98, p=.049), 정신과 업무만족도에서 매우 만족이 보통, 불만족보다 회복탄력성이 높았다 (F=5.27, p=.00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남성(t=2.41, p=.017), 정신과 업무만 족도에서 매우 만족과 만족이 보통, 불만족보다 사회적 지지가 높았다(F=8.43, p&lt;.00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는 여성(t=-2.81, p=.023), 기혼(t=-4.64, p&lt;.001)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40∼49세 미만과 50세 이상이 24∼29세 미만의 연령 보다 재직의도가 높았다(F=5.53, p=.001). 현재 부서 근무경력 12년 이상이 1∼3년 미만 근무경력보다 재직의도가 높았다(F=2.55, p=.042). 정신과 업무만족도에서 만족 이 보통, 불만족보다 재직의도가 높았다(F=6.86, p&lt;.001). 3.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및 재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r=.57, p&lt;.001), 회복탄력성과 재직의도(r=.31, p&lt;.001)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폭력경험의 하위영역인 언어적 폭력과 재직의도(r=-18, p&lt;.05) 가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인 평가적 지 지와 재직의도(r=.20, p&lt;.05)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20, p&lt;.001), 결혼(β=.33, p&lt;.01), 정신과 업무만족도(β=26, p&lt;.001), 회복탄력성(β=.35, p&lt;.001)이 재직의도에 유의한 요인이었고(F=19.95, p&lt;.001), 설명력은 34%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결 혼, 정신과 업무만족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재직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폭 력경험과 사회적 지지는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회복탄력성은 가장 크 게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주제어: 정신의료기관, 간호사,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재직의도

      • 청각적 생채되먹임 훈련과 공차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속도와 체중지지율에 미치는 효과

        전현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청각적 생체되먹임 훈련과 공차기 훈련이 체중지지율과 보행 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하였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10명씩 일반적인 운동치료를 받은 대조군, 일반적인 운동 치료와 더불어 청각적 생체되먹임 훈련군과 공차기 훈련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주 3회 모든 환자들이 12회 실시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동일하게 4주 동안 주 3회 총 12회의 일반적인 운동치료를 받은 뒤 추후검사(follow-up-test)를 실시하였다. 10 m 보행 속도는 초시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체중지지율은 Tetrax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의성은 repeated-ANOVA를 이용해 분석 하였고, 측정시기와 그룹 간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 각 그룹별로 one-way ANOVA를 이용해 측정시기간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차이가 있을 경우 반복대비검정정을 통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청각적 생체되먹임 훈련과 공차기 훈련은 보행 속도와 체중지지율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4주 후 공차기 훈련보다 청각적 생체되먹임 훈련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8주 후 보행 속도는 공차기 훈련이 유지되었고, 체중지지율은 청각적 생체되먹임 훈련에서 유지되었다.

      • 고온다습환경에서 카페인 섭취가 소방관의 장애물 넘기시 하지 관절 각도에 미치는 영향

        마궈동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고온다습환경에서 카페인 섭취가 소방관의 장애물 넘기시 하지 관절 각도에 미치는 영향 마 궈 동 동신대학교 대학원 운동처방학과 (지도교수 김수근) 카페인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섭취되는 식품 및 보충제 중 하나이며, 진통제 및 이뇨제와 같은 일부 널리 사용되는 일반 의약품에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는 부작 용이 최소한인 상태에서 운동 수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기 때문이다. 소방관이 화재상항에서 넘어지거나 뛰거나 미끄러지는 발생률은 약 21% 로 높은편이며, 불에 노출된 뜨겁고 습한 환경에서 소방관이 다칠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불에서 몸의 자세 제어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소방 작업이 안전하게 완 료될 수 있다. 자세 제어는 외부 환경 및 작업 요소뿐만 아니라 외부 물질이 신경 운동계에 도입되는 것과 같은 생리학적 요소에도 영향을 받는다. 카페인은 자극제 로 작용하여 깨어 있음을 유지하고 인지 성능과 전반적인 경계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소방관은 자세 제어를 개선하고 넘어짐으로 인한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카페인을 섭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용량의 카페인이 소방관의 하지 관절 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카페인이 장애물을 넘을 때 소방관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연구하였다. 고온 다습 환경(4 0℃, 80% 상대습도)에서, 15명의 소방관이 세 가지 용량의 카페인(위약, 체중 kg당 3mg의 카페인, 체중 kg당 6mg의 카페인)을 복용하고, 세 가지 종류의 커피 용량을 설정하고, 용량에 따라 다른 높이의 장애물을 넘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6mg/kg의 용량으로 설정하고 보충할 때 하지 관절 각도가 감소하고 장애물을 넘을 때 균형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상태이고 시력 교정이 정상이며 보행 및 인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장 질환, 골반 골절, 활동성 암, 또는 뇌졸중의 경력이 없는 지린성 창춘시 야타이 소방대 소속 소방관 15명을 대상으로 하다. 무작위 배정 및 이중맹 검 방법이 채택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위약(PLAC; 다목적 밀가루), 3 mg/kg/카페 인(CAF-3) 또는 6 mg/kg/카페인(CAF-6) 중 하나에 임의로 배정되었다. 각 참가자 는 반복적으로 3세트의 실험에 참여해야 한다. 운동 캡처를 위해 IMU센서(100 Hz, MyoMotion, Noraxon U.S.A. Inc.)가 사용되었으며, IMU 지원 소프트웨어 (MyoRESEARCH 3.10.64 [MR3])가 데이터 수집 및 스켈레톤 모델링에 사용되었다. 실험 대상자들은 고온 다습 환경 (40°C, 상대습도 80%)에서 장애물을 넘어야 했으 며, 3개의 고도 조건을 설정하였다(10%, 20%, 및 30%의 LL). 세 가지 높이 조건은 임의 순서로 수행되었으며, 각 높이 조건에 대해 3개의 실험이 측정되었다. 실험 대 상자들은 완전한 회복을 위해 각 세션 간에 일주일씩 거쳤다. 세 가지 실험 단계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투여된 물질이 위약 다목적 밀가루, 3mg/kg 카페인 또는 6mg/kg 카페인 인지 여부였다. 모든 실험에서, 이러한 물질들은 불투명한 캡슐에 들어 있었으며, CAF 흡수를 위해 테스트 시작 60분 전에 투여되었다. 각 보행 조건 에 대해 T2에서 엉덩이, 무릎 및 발목 관절의 최대 각도가 계산되었습니다. T2: 발 끝에서 장애물을 건너서 발뒤꿈치로 이끌어내는 것. 장애물을 넘어갈 때, 선도하는 다리는 먼저 장애물을 넘는 하지로 정의되고, 다른 다리는 후행하는 다리로 정의됩 니다. 이 실험에서는 다른 카페인 용량 및 장애물 높이가 하지 관절 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이차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했습니다. 용량 및 장애물 높이에 대한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 (P&lt;.05), Bonferroni 유의성 검정을 사용 하여 사후 비교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통계적 유의성은 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왼쪽 다리가 선도다리로 사용될 때, 카페인 용량과 장애물의 높이 간에 왼쪽 엉덩이 굴곡 각도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P&lt;.05). 그러나 왼쪽 엉덩이 첨가/추간각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습니다(P=.982). 왼쪽 엉 덩이 회전 각도 간에도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습니다(P=.882).왼쪽 무릎 굴곡 각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습니다(P&lt;.001), 그러나 왼쪽 무릎 첨가/추간각도 간 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습니다(P=.916). 왼쪽 무릎 관절 회전 각도 간에도 유 의한 상호작용이 없었습니다(P=.916). 왼쪽 발목 관절 굴곡 각도 간에는 유의한 상 호작용이 없었습니다(P=.982). 왼쪽 발목 관절 첨가/추간각도 간에도 유의한 상호작 용이 없었습니다(P=.873). 그리고 왼쪽 발목 회전 각도에 대해서도 유의한 상호작용 이 없었습니다(P=.998). 오른쪽 다리가 선도 다리로 사용될 때, 카페인 용량과 장애물을 넘는 높이 간에 오른쪽 엉덩이 굴곡 각도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음을 나타냈습니다(P&lt;.05). 그러나 오른쪽 엉덩이 첨가/추간 각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P=.936). 오른쪽 엉덩이 관절 회전 각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P=.640). 오른쪽 다리가 가이드 다리로 사용될 때, 카페인 용량과 장애물의 높이 간에 왼쪽 무릎 관절 굴곡 각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P&lt;.05). 그리 고 오른쪽 무릎 관절 첨가/추간각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P=.946). 오른쪽 무릎 회전각도 간에도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P=.993). 오른쪽 발목 굴곡 각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P=.999). 그리고 오른쪽 발목 관절 회전각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첨가/추간 각도와 오른쪽 발목 회전각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 지 않았다(P=.472, P=.898). CAF-6은 CAF-3 및 PLAC과 비교하여, 30% 및 20%의 LL 높이의 장애물을 넘 을 때 엉덩이와 무릎 관절의 굴곡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카페인의 고용량이 엉 덩이와 무릎 관절의 굴곡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물 을 넘을 때의 엉덩이와 무릎 관절 굴곡각도는 고용량의 카페인 섭취가 장애물을 넘 을 때 하지 관절의 굴곡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즉시 동적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본 실험 결과는 카페인이 엉덩이와 무릎 관절의 첨가/추간 및 내/외회전 각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발목 관절 각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간에 관절의 각도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물의 높이 변화와 일치하 며, 장애물의 높이 증가는 관절 각도를 직접 영향을 미치고, 운동 수행을 할 때 균 형 능력에 영향을 준. 따라서 카페인 복용은 장애물의 높이 수행에 도움을 준다. 고 용량 카페인(6mg/kg)은 건강한 남성의 균형 조절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애물을 넘을 때 낙상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카페인 섭취 후 경계 수준(장애물을 넘는 데 집중 하는 능력)이 증가함에 따라 균형 성능이 향상되어 자발적인 운동 제어를 기반으로 한 좋은 자세 제어가 가능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Caffeine is one of the most widely consumed foods and supplements in the world and is found in some widely used over-the-counter medications, such as analgesics and diuretics. Because it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with minimal side effects. The incidence rate of firefighters falling, jumping or slipping in fires is about 21%.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firefighters being injured in hot and humid environments, good body posture control is required in fires to ensure safe completion of firefighting. Task. Postural control is affected not only by external environmental and task factors, but also by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substances into the neuromotor system. Caffeine acts as a stimulant, helping to keep you awake and improve cognitive performance and overall alertness. Therefore, firefighters may consider consuming caffeine to improve postural control and reduce the risk of injury from fa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different doses of caffeine on the joint angles of firefighters' lower limbs to determine whether caffeine can improve firefighters' balance ability when crossing obstacles.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40℃, relative humidity 80%RH), 15 firefighters were recruited to take three doses of caffeine (placebo, 3mg/kg caffeine or 6mg/kg caffeine), and three doses of coffee were crossed Complete experiments with obstacles of different heights due to dosag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when supplemented with a dose of 6mg/kg, the joint angles of the lower limbs will be reduced and the balance ability will be improved when crossing obstacles. This study recruited 15 firefighters from the Yatai detachment in Changchun City, Jilin Province who were in good health, had normal corrected vision, and had no history of heart disease, hip fracture, active cancer, or stroke that might affect gait and/or cognitive function. A randomized, double-blind approach was adop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placebo (PLAC; all-purpose flour), 3mg/kg/caffeine (CAF-3), or 6mg/kg/caffeine (CAF-6). Each participant needs to participate in 3 sets of experiments repeatedly. An IMU sensor (100 Hz, MyoMotion, Noraxon U.S.A. Inc., Scottsdale, Arizona, USA) was used for motion capture, and IMU supporting software (MyoRESEARCH 3.10.64 [MR3])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skeletal modeling. The subjects performed obstacle-crossing actions in a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environment (40°C, 80% relative humidity), and three altitude conditions were set (10%, 20% and 30% LL). The three height conditions were performed in random order, and three experiments for each height condition were recorded. Subjects underwent three identical experimental sessions, with one week between each session to allow for full recovery.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experimental phases was whether the substance ingested was placebo all-purpose flour, 3mg/kg caffeine, or 6mg/kg caffeine. In all experiments, these substances were in opaque capsules and were ingested 60 min before the start of testing to allow for CAF absorption. For each walking condition, the maximum angles of the hip, knee, and ankle joints during T2 were calculated. T2: Lead the left or right leg from toes over the obstacle to heel striking. When crossing an obstacle, the leading leg is defined as the lower limb that first crosses the obstacle, and the other leg is defined as the trailing limb. The experiment used two-factor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explore the effects of different caffeine doses and obstacle heights on the joint angles of the lower limbs when crossing obstacles.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due to dose and obstacle height (P&lt;.05), post hoc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Bonferroni significance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lt;.05.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left leg was used as the leading leg,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affeine dose and the height of the obstacle on the left hip flexion angle (P&lt;.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left hip adduction/abduction angle (P=.982),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left hip rotation angle (P= .882);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left knee flexion angle (P&lt;.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left knee adduction/abduction angle (P=.916),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left knee joint rotation angle (P=.916);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left ankle joint flexion angle (P=.982), and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left ankle joint adduction/abduction angle (P=.873),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for left ankle rotation angle (P=.998). When the right leg is used as the leading leg,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affeine dose and obstacle crossing height on the right hip flexion angle (P&lt;.05), but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right hip adduction/abduction angle (P=.936).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right hip joint rotation angle (P=.640); when the right leg is used as the guide leg,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affeine dose and the height of the obstacle on the left knee joint flexion angle (P&lt;.05), and the right knee j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adduction/abduction angle (P=.946),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right knee rotation angle (P=.993);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right ankle flexion angle (P=0.999), and the right ankle joint rotation angle had no significant inter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dduction/abduction angle (P=.472) and right ankle rotation angle (P=.898). Compared with CAF-3 and PLAC, CAF-6 reduced the flexion of the hip and knee joints when crossing obstacles with heights of 30% and 20% LL. This result indicates that high doses of caffeine can effectively reduce the flexion of the hip and knee joints. Hip and knee flexion angles during obstacl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high-dose caffeine intake can immediately improve dynamic balance ability by reducing the flexion angles of the hip and knee joints of the lower limbs when crossing obstacles.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caffein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dduction/abduction and internal rotation/external rotation angles of the hip and knee joints, and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ngle of the ankle joint. This is not consistent with the angles of these joints in past studies.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changes in the height of the obstacle. The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obstacle will directly affect the joint angles and thus the balance ability when performing actions. Taking caffeine reduces the impact of the height of the obstacle to a certain extent. High-dose caffeine (6mg/kg) reduces the risk of falls in healthy men by improving balance control over obstacles and reducing lower extremity hip and knee angles. One possible reason is that increased alertness levels (ability to focus on crossing obstacles) after caffeine ingestion improve balance performance, allowing for good postural control based on voluntary motor control.

      • 계획 행동 이론에 기초한 중국 대학생의 무술 참여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왕홍샤오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계획 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행동 의도, 무술 참여 행동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허난(河南)성 대학생 1,011명을 조사 대상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출법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지 1,011부를 회수하여 56부의 무효 표본을 제거한 955부의 유효 표본을 통계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SPSS 27.0과 AMOS0 28.0을 활용하여 자료에 관한 기술 분석, 크론바흐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차이 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무술 참여 빈도, 무술 회당 운동시간, 무술 훈련 강도는 중간 수준이다. 무술 훈련에 사용되는 소비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무술에 관한 중국 대학생의 소비 항목은 비교적 광범위하지만 무술 관련 서적이 주를 이룬다. 중국 대학생들이 무술에 참여하게 된 주요 동기는 실력향상, 의지단련, 자기방어 순서이다. 둘째, 성별 차이 결과는 성별이 다른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주관적 규범과 무술 참여 행동에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남성의 주관적 규범과 무술 참여 행동의 평균값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이 다른 중국 대학생들의 행위에 대한 태도, 지각된 행동 통제력, 행동 의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다. 학년 차이 결과 학년이 다른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에 대한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행동 의도, 무술 참여 행동에 현저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지 차이 결과에 따르면 출신지가 다른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지각된 행동 통제력과 행동 의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출신지가 다른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무술 참여 행동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월 생활비의 차이 결과는 월 생활비가 다른 중국 대학생들의 주관적 규범, 행동 의도, 무술 참여 행동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월 생활비가 다른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행위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 통제력에는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행동 의도, 무술 참여 행동 사이에는 현저한 상관관계가 있다. 넷째,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무술 참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행동 의도는 무술 참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실증 분석을 통해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에 대한 계획 행동 이론 요인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에 대한 행동 의도를 높이는 중요한 예측 변수이며, 행동 의도는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 참여 행동을 촉진하는 중요한 예측 변수임이 사실상으로 입증되었다. 중국 대학생들의 무술에 대한 행동 의도를 높이고, 무술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요인 측면에서 지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havioral intentions, and Wushu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Wushu.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011 Chinese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aking college students in Henan Province, China as the survey objects. 1,011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and apart from 56 invalid samples, 955 valid sampl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In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of data,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mainly performed using SPSS 27.0 and AMOS028.0,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Wushu, exercise time per Wushu session, and Wushu training intensity are moderate. The level of consumption used in Wushu training is relatively low. The consumption item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Wushu are relatively broad, but Wushu-related books are the main focus. The main motives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pate in Wushu are in the order of skill improvement, will training, and self-defense. Second, the results of gender difference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norms and Wushu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of different genders, and the average subjective norms and Wushu participation behaviors of men are higher than those of women.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attitud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of different genders. The results of grade difference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havioral intentions, and Wushu participation behavior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of different grades.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students' place of origin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from different places of origin.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Wushu participation behavior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from different places of origin.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monthly living expenses show that Chinese college students with different monthly living expens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norms, behavioral intentions, and Wushu participation behavior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attitud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with different monthly living expenses. Third,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havioral intentions, and Wushu participation behaviors. Fourth, the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Chines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Wushu have a positi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s. Fifth,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Chines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Wushu have a positive impact on Wushu participation behavior. Sixth,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Wushu has a positive impact on Wushu participation behavior. This study uses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theoretical factors of planned behavior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Wushu. Facts have proven that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re important predictor variables in improving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o engage in Wushu, and behavioral intention is an important predictive variable in promoting the Wushu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Wushu and promot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Wushu,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from the aspects of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actors.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지정아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를 하위변인별로 나누어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가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내담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광주·전남 대학생 총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4~50대 설문지를 제외한 344명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척도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자기자비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for SPSS(ver. 4.2) 프로그램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와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자비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불안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노력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분 매개하였고, 완벽주의적 자기노력이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사회불안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분 매개하였고,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이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사회불안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였고,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가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사회불안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이 가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특성에 따라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자원을 구축하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있는 대학생들이 자기자비를 증진하고 내면화된 수치심을 낮추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법과 심리·정서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지역사회 노인의 이동용 보조기기 유형에 따른 사용실태와 만족도, 지역사회 이동성에 관한 연구

        좌민탁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동용 보조기기에 대한 사용실태와 사용성 만족도, 지역사회 이동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지역사회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선별검사(CIST)를 통해 대상자 60명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은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중앙보조기기센터에서 제시하는 개인 이동용 보조기기 항목을 통해 사용실태와 사용성 만족도(K-QUEST), 지역사회 이동성(K-LSA)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노인의 이동용 보조기기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동용 보조기기 사용 유형에서는 ‘지팡이’를 사용하는 자가 19명(31.7%)으로 가장 많았으며, ‘보행보조차’ 13명(21.7%), ‘보행차’ 10명(16.7%)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동용 보조기기 지원 유·무에서는 ‘지원을 받지 않은 자’ 19명(31.1%)보다 ‘지원받아 구매한 자가’ 41명(76.7%)으로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동용 보조기기 사용기간에서는 ‘2년 이상 사용한 자’가 46명(76.7%%), ‘1∼2년 사용한 자’가 7명(11.7%), ‘6개월∼1년’, ‘3개월 미만 사용한 자’ 3명(5.0%)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동용 보조기기 하루 사용 시간에서는 ‘6∼12시간’ 사용한다고 응답한 자가 24명(40%), ‘3∼6시간’ 사용한다고 응답한 자가 16명(26.7%), ‘12시간 이상’ 사용한다고 응답한 자 9명(1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노인의 이동용 보조기기 유형에 따른 사용성 만족도는 규격, 무게, 설치 용이성, 사용 용이성 측면에서 ‘지팡이’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성 측면에서는 ‘보행보조차’가 가장 높은 것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5). 셋째, 지역사회 노인의 이동용 보조기기 유형에 따른 지역사회 이동성은 집안 이동과 시내이동 항목에서 각각 ‘보행차’, ‘지팡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외부이동과 최상위 생활공간 이동성(LS-M), 보조기기 생활공간 이동성(LS-E), 독립성 생활공간 이동성(LS-I) 항목에서는 ‘보행차’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동용 보조기기 유형의 차이에서는 연령과 학력, 사회활동, 지원유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용성 만족도의 차이는 성별과 학력, 낙상유무, 결혼상태, 동거형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05), 사용성 만족도 항목 중 내구성은 성별과 학력, 종교, 결혼상태, 사회활동, 사용용이성은 연령, 장애유무, 사회활동, 안락함은 연령, 학력, 사회활동, 효과성은 연령, 학력, 사회활동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노인의 역량을 고려한 다양한 이동용 보조기기에 대한 정보제공과 적용을 통해 사회참여 능력을 증진하고 신체적, 환경적 상황과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파악한 개인 맞춤형 이동용 보조기기 제작 및 지원을 위한 작업치료의 보조공학적 접근 중재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중국 대학생의 체육참여 회피행동 분석 및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루선치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비체육 전공 대학생의 체육참여 회피행동의 영향 메커니즘을 검증하여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가 행동 의도와 회피행동 간의 격차를 메울 수 있는지와 각 요인이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지된 행동통 제, 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의도,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운동량을 측정하 여 인지된 행동통제, 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의도, 사회적 지지( 가족, 친구) 친구)는 체육참여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대상은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므로, 체육학과 대학생은 본 연 구에서 포함되지 않는다. 인턴십이나 취업 등 이유로 학교에 다니는 4학년 대학생 이 많지 않아 1학년, 2학년, 3학년 대학생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설문 지는 대학생 1학년, 2학년, 3학년을 대상으로 단순무작위추출법을 사용하여 실시하 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온라인 설문 조사 플랫폼인 "Questionnaire Star"를 이용하여 실시되었고, 총 600부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 600부가 회수되었다(회 수율 100%). 이 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 응답을 제외한 559명의 자료가 최종 분 석에서 사용되었다(유효 자료율 93.2%). 수집한 자료는 SPSS 27.0과 AMOS 2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PSS 27.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SPSS 27.0을 이용하여 신체 운동 평정 척도, 계획행동 척도, 운동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분석하였고, Cronbach's α 계수를 계 산하여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KMO를 사용하여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AMOS 28.0을 이용하여 계획행동 척도, 운동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척도, 신체 운동 평가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적합도 분석, 수렴 타당도 분석, 판별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여 측정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넷째, SPSS 27.0을 이용하여 대학생의 신체 운동행위, 대학생의 신체 운동 계획 행동 현황, 대학생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현황에 대한 기술통계 및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SPSS 27.0을 이용하여 대학생의 신체 운동해위, 계획행동, 사회적 지지 (가족, 친구)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Nvivo20을 이용하여 본 설문지에 설정된 공개질문과 답변에 대한 메타분 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AMOS 28.0을 이용하여 대학생 체육참여 회피행동 분석 및 영향 메커니 즘에 대한 적합도와 각 변수의 경로계수를 검증하였다. 여덟째, AMOS 28.0을 이용하여 대학생의 체육참여 회피행동 분석 및 영향 메커 니즘에 대한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규범, 행동 태도, 인지된 행동통제, 행동 의도, 사회적 지지(가족, 친 구) 및 회피행동에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된 행동통제,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회피행동에서는 학년에 따라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참여에 대한 행동 태도는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참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해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참여에 대한 행동통제는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체육참여에 대한 행동 의도는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지된 행동통제는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는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다. 아홉째,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는 행동 의도와 회피행동 관계 사이에서 매개효과 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에게 체육참여 회피행동이 일반적이며, 여성의 회피행동이 남성보다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 현상은 대학 3학년에 가장 뚜렷하고, 다음으로 대학 2학년에 나타났으며, 대학 1학년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 적 규범, 행동 태도, 인지된 행동통제, 회피 의도, 가족과 친구의 사회적 지원, 회피 행동 측면에서 회피자와 지속자 사이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회 피자 집단에서 남성과 여성 지표의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남성 회피자와 여성 회피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 태도, 인지된 행 동통제, 회피 의도, 가족과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모두 회피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 가 있으며, 이에 가족과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규범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행동에서는 주관적 규범이 행동 의도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운동행위에서는 각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 며, 이 중에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신체 운동행위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가족과 친구의 사회적 지지 요인을 추가하면 모형의 예측력 및 설 명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 방법을 활 용하여 가족과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행동 의도가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일부 의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계획행동이론, 체육참여 회피행동,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