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의 지속 가능한 디자인 교육을 위한 바이오 디자인 접근법 : 바이오디자인 챌린지에 초점 맞추어

        파린 루피아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response to the rapidly increasing global environmental challeng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sustainability across various disciplines is emphasized.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key role of bio design education in addressing crucial sustainability challenges,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South Korea's rapidly evolving bio-industry. It examines the potential of educational initiatives such as Dongseo University's semester-long program, which incorporates sustainability principle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Biodesign Challenge. Despite grow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many designers lack the skills to effectively integrate sustainability into their work,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a new Design Curriculum that provides foundational education in this field. Emplo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this research explores the Biodesign Challenge by analyzing written and visual data from the official database. Specific experimen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pet hair scrubber and a mycelium footwear kit, were conducted to provide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s. These experiments allowed students to engage in real-world design projects, interact with experts, and document their journey from ideation to final design outcomes. This process aimed to foster a deep understanding of sustainability principles and their application in design practice.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positive impact of the Biodesign Challenge in promoting students engagement with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Despite challenges and some experimental outcomes falling short of expectations, students showed increasing proficiency in integrating sustainable practices into their designs. The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s significantly enhanced their creative process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By collaborating across disciplinary boundaries and working on real-world projects, students developed innovative solutions to complex sustainability challenges.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encourag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ustainability and empowered students to critically evaluat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eir design decisions.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vital role of bio design education in nurturing a generation of designers equipped to tackle the diverse challenges of sustainability. By integrating sustainability principles into design education, initiatives like the Biodesign Challenge can inspire meaningful change and prepare dedicated global citizens committed to building a more sustainable future. A significant focus is placed on educational initiatives, exemplified by teams project, aimed at equipping students with practical skills in working with biomaterials. This thesis details the process used to design a new curriculum that integrates hands-on activities, theoretical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ensuring students are well-prepared for future challenges in biodesign. The new curriculum aims to provide students with capabilities such as innovative problem solving, sustainability-driven design thinking, and proficiency in using biomaterials, which are essential for leading the field of bio design. The anticipated effects of this curriculum include promoting a generation of bio designers capable of addressing complex environmental issues with sustainable solutions. By synthesizing insights from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s, case studies, content analysis, expert panels, and surveys, this research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continuous innovation in maximizing the impact of bio design. We contribute with the development of new coursework and a model curriculum for future design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hands-on projects, expert interactions,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ensures that students are better prepared to contribute effectively to sustainability efforts in their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급격히 증가하는 글로벌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속 가능성을 통합하는 것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 논문은 한국의 급격히 발전하는 바이오 산업의 맥락에서, 지속 가능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바이오 디자인 교육의 핵심 역할을 조사합니다. 동서대학교의 바이오디자인 챌린지 참여를 통한 지속 가능성 원칙을 통합하는 한 학기 프로그램과 같은 교육적 이니셔티브의 잠재력을 검토합니다.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디자이너들은 지속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작업에 통합하는 기술이 부족하며, 이는 이 분야의 기초 교육을 제공하는 새로운 디자인 커리큘럼의 절박한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질적 사례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이 연구는 공식 데이터베이스의 문서 및 시각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바이오디자인 챌린지를 탐구합니다. 반려동물 털 스크러버와 균사체 신발 키트 개발과 같은 특정 실험들이 실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이러한 실험들은 학생들이 실제 디자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전문가와 상호 작용하며, 아이디어 구상부터 최종 디자인 결과물까지의 과정을 기록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 과정은 지속 가능성 원칙과 그것의 디자인 실무 적용에 대한 깊은 이해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바이오디자인 챌린지가 사회적 및 환경적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도전 과제와 몇몇 실험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지속 가능한 실천을 디자인에 통합하는 데 있어서 점점 더 능숙해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실질적인 학습 경험은 그들의 창의적 과정과 문제 해결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학문적 경계를 넘나들며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은 복잡한 지속 가능성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학제적 접근은 지속 가능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장려하고, 학생들이 디자인 결정의 윤리적 함의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지속 가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이너 세대를 양성하는 데 있어 바이오 디자인 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합니다. 바이오디자인 챌린지와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디자인 교육에 지속 가능성 원칙을 통합함으로써, 의미 있는 변화를 영감을 주고 더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축하기 위해 헌신하는 글로벌 시민을 준비시킬 수 있습니다. 본 논문은 학생들이 바이오 소재를 다루는 실용적인 기술을 갖출 수 있도록 팀 프로젝트를 통해 구체화된 교육적 이니셔티브에 중점을 둡니다. 이 논문은 실습 활동, 이론적 연구 및 학제 간 협력을 통합한 새로운 커리큘럼을 설계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며, 학생들이 바이오 디자인 분야의 미래 도전에 잘 대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새로운 커리큘럼은 혁신적인 문제 해결,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사고, 바이오 소재 사용에 대한 숙련도와 같은 역량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바이오 디자인 분야를 이끌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커리큘럼의 기대 효과는 복잡한 환경 문제를 지속 가능한 해결책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 디자이너 세대를 육성하는 데 있습니다.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사례 연구, 콘텐츠 분석, 전문가 패널, 설문 조사를 통해 도출된 통찰을 종합하여, 이 연구는 바이오 디자인의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 학제 간 협력과 지속적인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본 연구는 실습 프로젝트, 전문가 상호 작용 및 학제 간 협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강의 내용 및 모델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직업적 및 개인적 삶에서 지속 가능성 노력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더 잘 준비되도록 보장합니다. 키워드: 바이오디자인 챌린지, 지속 가능한 디자인, 생체 모방 디자인, 디자인 교육, 디자인 커리큘럼.

      • 시각 정보와 소리 정보의 전환을 이용한 공공 미디어 설치에 관한 연구

        이흔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Along with the technical progress and computer technology's development, as message channel's through many kinds of media ,multimedia technologies has caused the union of visual and the sense of hearing reached a brand-new level. Many kinds of artistic forms which constitute the image and the sound emerges unceasingly. The movie, the television, the game, the network and so on multimedia technologies' products, has already penetrated into modern people's life, and has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their lives.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designs applied the multimedia technologies appeared. They brought the unprecedented sense organ experience to the people. The urban activity time's extension, causes the function of urban public space in night to strengthen day by day .The drawing, the sculpture, and the facility form were used widely in the traditional public art designs ,which in order to satisfy people's material needs. Along with economical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technical progress, people have been already not satisfied with the sense organ experience comes from the traditional art. They tend to pursue new artistic and new experience. This also set a new request for the public art design. The present paper will do the research of the multimedia art design of public space in city night.It is based on the creation element of high-rise building's window light of the night city public space nearby, through the MAX/MSP algorithm, analogies the music box pronunciation music theory, manufacture digit experiment music, and transform it into vision.t t will form the multimedia seeing and hearing environment, through lays down in the public space LED matrix feedback for the public space, and the sense of hearing and the vision and so on mthe vision and tngds, as to explores a new public special art design method. The paper takes the multimedia interactive theory as the foundation, analyzes the application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visual and the sense of hearing, researches the existing sound art ,the lighting art and the public art design work, derives the work concept, takes sound art and the turbulent waves art theory as the sense of hearing part theory basis, takes lighting theory as the theory basis of visual feedback part, unifies the city public spece design principle, and designs public art design proposal under the multimedia environment. The paper explores a new way of public art design, through multimedia environment public space designs which constitutes the sense of hearing and visual media. 과학기술의 진보와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여러 종류의 매개체가 공동으로 정보통로의 멀티미디어 기술로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 참신한 고도로 상승하도록 하였다. 각종 그림과 소리가 공동으로 구성된 예술형식이 끊임없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영화, TV, 게임, 인터넷 등 멀티미디어 기술의 산물이 이미 현대인들의 생활 속 깊이 침투되어 사람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한 부분으로 되었다. 근년에 와서, 멀티미디어 기술을 응용하여 제작한 디자인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데 사람들에게 전례가 없는 감각의 체험을 가져다준다. 도시 활동시간의 연장으로 인해 도시 공공 공간이 날로 확장 되에신 있다. 전통적인 공공 예술 디자인은 대부분 회화, 조각, 설치의 형식으로 출현되어 사람들의 물질적 수요를 만족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경제와 문화의 발전과 기술의 진보와 함께 사람들은 이미 전통적 예술이 사람들에게 가져다주는 감각의 체험에 만족하지 않게 되었는데 새로운 예술과 새로운 체험 측면에 대한 소구가 보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 예술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요구는 계속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의 야간 공공 공간의 멀티미디어 디자인을 연구하게 된다. 야간 도시 공공 공간의 근처 고층 건축물의 창구 불빛을 창작의 요소로 하고,MAX/MSP의 알고리즘(algorithm)을 통해 오르골의 원리를 이용하여 디지털 실험음악을 제작하고, 동시에 실험음악을 시각화 시켜 공공 공간에 설치한 LED를 통해 공공 공간에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청각과 시각 등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멀티미디어 시청 환경을 형성시킴으로써 새로운 하나의 공공 공간 예술디자인 수단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멀티미디어 인터랙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시각과 청각의 응용을 분석하고, 기존의 소리예술, 불빛예술과 공공 예술디자인 작품에 대해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작품의 컨셉을 도출해낸다. 소리예술의 플럭서스(Fluxus) 이론을 청각부분의 이론적 근거로 삼고 불빛예술이론을 시각적 피드백 부분의 이론적 근거로 삼아 도시의 공공 공간예술디자인원리와 결합시켜 멀티미디어 환경 하에서 공공 예술디자인의 제안을 디자인 한다. 따라서 청각, 시각 여러 매체를 통해 멀티미디어 환경의 공공 공간의 예술 디자인을 구축하여 공공 예술 디자인의 새로운 경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 백화점 전문식당공간 색채 계획에 관한 연구 : 북경시내 주요 백화점을 대상으로

        주자가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21세기의 중국의 경제는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유통환경의 변화와 국제교류의 증가에 따라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끊임없이 향상되고 경제무역과 문화생활환경 또한 개선되었다. 사람들의 여가시간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경향이고, 소비자들의 수요도 이와 함께 다양화, 개성화, 그리고 고급화되어가고 있다. 수많은 ‘외식업체’의 탄생, 발전과 더불어 외식산업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고객의 수요를 어떻게 만족시켜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하고 발전해나가야 할 것인가? 우선, 고객의 수요를 우선시해야 한다. 하지만 “외식산업”의 경쟁적 환경에서 수많은 기업이 무수히 생겨났다가 소멸된다. 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보장하고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많은 백화점들에서는 음식산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고객들의 결코 단일하지 않은 쇼핑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백화점의 음식공간은 왕성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중국에서 음식문화가 오늘날까지 발전된 것이 이미 단일하게 중국전통음식문화만을 설명하는 것뿐만은 아니다. 현재 중국의 음식문화는 날로 다원화, 개성화를 표현해주고 있다. 서로 다른 지역의 문화가 음식과 함께 중국으로 오게 되었다. 문화의 도입은 소비자들의 품위와 수요를 제고시켜 주고 있기에 소비자들은 날이 갈수록 단순히 미식(美食)에만 만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고, 식사환경에 대한 요구 또한 어느 정도 높아졌다. 음식공간의 색채는 고객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시각적 충격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색채 또한 고객들에게 양호한 식사환경과 문화 예술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음식 공간”은 이미 단순하게 음식만을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 점차 문화와 예술체험의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와 미식(美食)경험은 후각을 통해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인 감각도 특히 중요하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하에서 장기간 생활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색채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색채를 통해 서로 다른 음식문화를 느껴볼 수 있다. 소비자들이 쇼핑을 하는 동시에 다른 곳으로 가서 식사를 하지 않고 백화점의 식사공간을 이용하게 된다. 그 이유는 쇼핑 자체가 단순하게 물건을 사는 것만이 아니라, 이미 하나의 여가활동으로 승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여가활동 시간에 식사를 할 때 음식 또한 유일한 수요가 아니게 되었다. 식사를 하는 동시에 음식 배후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어야 만이 고객에게 정신적으로도 생리적으로도 모두 만족을 가져다 줄 수 있게 된다. 이로부터 색채의 요소와 문화적 요소가 백화점 식사공간에서의 응용이 특별히 중요하고, 또한 서로 뗄수 없는 사이라는 점을 설명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서 음식문화와 음식색채에 관련된 이론지식을 소개하고 음식색채가 사람의 시각과 심리에 대한 느낌을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백화점 음식공간의 관련 이론을 소개하고 백화점 식사공간의 문화적 스타일과 색채의 스타일을 세우는데 관한 연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베이징 시내 가장 큰 상권 중에서의 다섯 개의 백화점의 식사공간에 대한 조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식당의 색채요소와 문화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베이징 백화점 식사 공간 내 음식문화의 색채가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백화점의 식사환경을 보다 좋게 개선하는데 참고적 자료를 제공하여,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는 고객들의 물질문화적 추구를 만족시키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will see a rapid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With the changes in circulating environment, more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exchange, the improvements of living standard and the developments in economy, trade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Chinese, nowadays, have much more leisure time than before, so the demands of consumers become more diversified, individual and advanced. As many catering enterprises are established and enjoy a boom, the competition among those companies has become fiercer. Given this circumstance, a mass of department stores adopt to catering trade in order to ensure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mselves and meet the demands of the consumers who go to department stores no longer only for shopping. As a result, the catering trade in department stores is flourishing. Besides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China’s diet culture has developed into a much more diversified and individual one. Different cultures, which flock into China with exotic food, result in the improvement in the tastes and the increasing demands of consumers. Therefore, people cannot be satisfied only by delicious food, and a better dining environment is also required. In the dining space, color is the exact element which can give consumers the most direct visual impact and create a comfortable dining environment for them. Viewed from this perspective, “dining space” is not only a place for the sale of food, but also a space to experience culture and art. Besides the taste, visual impression is also particularly important to the cultural and cuisine experience. Under the different geogra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people form different habits towards colors because of their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so we can sense different diet cultures from the usage of colors. One important reason why people don’t eat anywhere else but in the department stores where they are shopping is that the purpose of shopping is not just buying the necessities, but also a way of relax. Therefore, food is not the only demand any more. The cultural experience behind the food can meet the demands of consumers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From the above analysis, we can safely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combination of color and culture is especially vital in the dining space of department stores. This paper first introduces some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about diet culture and the usage of colors in food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that color has on people’s vision and psychology. Second, this paper gives a brief introduction of the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about the dining space in department stores, aiming at doing a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styles and color styles in them. At last, this paper record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on the dining space in five department stores in the largest CBD of Beijing. From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color and culture in those dining-halls, some problems about the usage of colors can be sensed. By exposing these problems, the dining environment of these department stores can be improved so that it can better meet people’s increasing demands both in material and culture.

      • 사용자 중심의 해운대 해수욕장 공공벤치 디자인

        방호근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21세기에 들어 산업화 위주의 도시발전과 팽창은 파괴와 함께 인간의 삶을 획일화하는 도시환경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환경은 인간을 삶의 터전으로부터 소외시키고 말았다.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생활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관심은 산업화에 의한 메마른 도시공간을 인간중심, 자연친화적인 도시공간으로의 변화에 대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도시해변휴양지는 도시가 시민과 관광객에게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해주는 소통의 공간이면서 시민의 대표적인 휴식 공간이다. 하지만 도시 해변휴양지의 빠른 성장과 시민들의 대표적인 휴식공간임에도 불구하고 해변구역의 공공시설의 인프라, 특히 공공벤치의 발전은 점점 해변 지역의 발전에 따라 가지 못하고 있다. 휴식공간의 시설 인프라 낙후는 도시 이미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도시해변 휴양지의 광장 인프라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해운대 해수욕장의 지역 특징을 반영하고, 사용자가 공공벤치 각 디자인 요소에 대한 수요 분석에 의하여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해운대 해수욕장 공공벤치를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배경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조사로써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개념, Street Furniture의 개념과 디자인 구성 요소 분류를 통해 공공벤치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공공벤치의 개념 및 그 디자인 구성 요소 분석을 통하여 공공벤치 디자인의 각 요소를 분류하였다. 문헌연구조사이후,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 지역의 해변벤치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해변공간의 벤치의 특징을 정의하였다. 이는 해운대 해수욕장 공공벤치의 디자인에 대한 지표를 제공해주었다. 또 해운대 해수욕장의 현황을 분석하고, 해수욕장에 있는 벤치의 장단점을 파악하며, 30명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벤치 디자인과 위치를 확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벤치의 디자인 구성요소를 분석한 후에 새로운 벤치 디자인의 근거로 삼았다. The 21st century is known as the era of modern society, has been called the information age, with the urban rapid development; people have needs for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e outdoor life than the past. The pedestrian street desig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at is to make life more comfortable in the city at outdoor. The pedestrian street is means traffic freeze area and it is just for the pedestrians. For pedestrian's public life, bench is the most important furniture, because it not only can meet pedestrian people to stay, small sitting, watching,listening and conversation as the most simple and basic activities of requirements, but also result as a starting point, inciting the other, such as walking, shopping, and a series of street events. The appropriate high-quality designed benchto will helping people's street life more exciting, this is a reflection of urban culture. What kind of outdoor public seating to meet people's needs that we need to study. Bench's shape, color, material, structure, design and other street facilities are often formed with the specific atmosphere of a certain region. At the same time can help people i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mfort and relaxation, feel the city's culture and style. The core objective is to design the specific needs of users as the center, the Haeundae Beach public seating design improvement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coastal areas and the existing design are summarized in urban coastal areas of public seating design features, and attached to the major users of public seating design elements of requirements analysis, design and strive to meet user needs Haiyun Taiwan public beach chairs, allowing users to Haeundae Beach feels comfortable in this environment. In this paper,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user-centered design, street furniture and design elements of the concept of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sea space and crowd behavior analysis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is design. Second, Chapter III, through the concept of public seating and the design elements of the analysis, the design of the major elements of public seating categories. In this guide, based on the seat and then the sea around the world to study the case, summed up the characteristics of benches in waterfront for Haeundae Beach public seat design provide direction and guidance. Finally, under the guidance of the user's requirements analysis, detailed analysis of Haeundae Beach's environmental and zoning,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existing seat design strengths and weaknesses analysis to determine the design of the proposal in this direction.

      • 텍스트 시각화를 활용한 디자인 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최은희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71

        텍스트 시각화를 활용한 디자인 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오늘날 다량의 정보 속에서 텍스트의 적절한 시각화 접근은 사용자가 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하 는 단서를 제공한다. 텍스트 시각화가 갖는 장점은 복잡한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 해와 판단에 따른 결정을 도와준다는 것이며, 이는 텍스트 시각화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이 러한 흐름에서, 텍스트 시각화는 수많은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시각 형태를 통해 내재된 새로 운 의미를 제시하는 시각화 사고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텍스트 정보의 맥락을 이해하 고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도록 관계적 의미를 시각적 이미지로 창출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 이라고 할 수 있다. 원본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보를 이해하며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 지에 대한 해석적 관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 으로 전달하기 위한 텍스트의 시각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시각화에 대한 상호연관성을 인식하는데서 출발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보를 시각화하는 알베르토 카이로(Alberto Cairo)의 데이터 시각화 원칙을 바탕으로 텍 스트 수용 시 인지하는 과정을 실험하여 텍스트의 시각화 수업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한 정보 수용의 차이를 확인하고 논리적 근거에 따른 명확한 접근이 텍스트 시각화 수업 제안 과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텍스트를 시각화하기 위해 알베르토 카이로(Alberto Cairo)의 데이터 분석에 대한 연 구를 알아보고 시각화 관점에서 카이로의 데이터 시각화 원칙과 본 연구의 상관성을 짚어 보 았다. 카이로의 시각화 원칙을 연구자가 새롭게 카테고리를 나누어 수업 방법에 결합하였다. 이는 텍스트 시각화 수업사례의 예시이며 본 연구자가 제안하는 카이로의 데이터 분석 툴이 텍스트를 시각화하는 수업에 적용 가능한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는 절차이기도 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는데 양적연구에서는 IBM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와 연구자가 제안하는 내용의 타당성 을 위하여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명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 하였으며, 전문가의 자문과 전문가 인터뷰에 따른 수업 지도안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토하 였다. 텍스트의 시각화 유무에 따른 수용자의 태도에 대한 실험을 분석하여, 인지욕구와 감정 강도, 유용성과 신뢰성을 측정 변수로 사용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하여 시각화 vii 된 내용과 비시각화된 내용을 통해 신뢰성, 유용성, 선호도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지욕구가 신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 되었지만, 감정강도가 신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둘째, 감정강도가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 되었다. 하지만, 인지 욕구가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따라서 인지욕구와 감정 강도와 신뢰성과 유용성과의 영향관계를 실증한 결과 인지욕구는 신뢰성에서 감정강도는 유용 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인지욕구는 신뢰성의 속성과 연계되고 감정강도 는 유용성의 속성과 연계됨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물을 바탕으로 텍스트 시각화 수업을 세 가지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텍스트를 처음으로 시각화 할 때 텍스트의 중요성을 시각화 수업 전략에 적용하여 이 해하여야 한다. 특히 유용성의 경우 텍스트가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는 맥락의 이해와 같은 내용으로 최종 시각화 결과물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기에 맥락의 이해를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서 시각화의 범위와 문맥 파악에 영향 을 미쳤다. 따라서 효과적인 시각화 결과물을 위해서는 초기의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중요 한 부분을 요약할 필요성이 있다. 이것은 알베르토 카이로의 데이터 시각화 원칙중 기능성과 진실성과 연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효과적인 시각화를 위해서는 형태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는 텍스트의 내 용을 얼마나 간략하게 잘 표현하느냐의 내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의도적으로 텍스트의 내용을 메타포적인 표현, 도표 등으로 눈을 사로잡고 초기 문맥 파악의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 로 표현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디자이너들의 아름다움과 다른 심 미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을 전공하지 않는 비전공자를 위한 수업의 제안이기 때문 에 아름다움을 위한 형태성이 아니라 본인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는 심미성이다. 셋째, 텍스트를 시각화 하여 표현 할 때 본 연구자가 나눈 카테고리 중 주제성의 내용은 빠 져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이 것은 알베르토 카이로의 시각화 원칙 중 통찰력과 계몽성과 밀 접한 연관이 있다. 본 수업을 진행하면서 텍스트의 자료로 신문을 사용한 이유도 주제의 도덕 성을 살리기 위함이었다. 정보의 다양화와 수많은 뉴스가 쏟아지는 현 사회에서 기사의 내용 을 바르게 전달하고 이것을 읽은 후 대중의 계몽은 정보의 중요한 역할이다. 특히 감정강도와 유용성의 인과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는 더 나아가 학생들이 기사를 읽고 사회를 풍자하고 본인의 생각을 표출하는 방법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 므로 시각화한 결과물에서도 텍스트의 내용을 개인의 시각화 과정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viii 사람과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시각화의 능력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개 인의 사고과정이 한 개인의 사고체제 안에서 지식으로 창출되고 변형 될 뿐만 아니라 다른 사 람의 시각적 사고 역시 고려하여 표현 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 시각화 수업을 제안한 후 디자인 프로세스의 한 방법으로 시각화 교육에 효과 적이라는 것을 1차 전문가 인터뷰와 2차 전문가 인터뷰, 실험참가자 인터뷰 통해 타당성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디자인을 전공하지 않는 비전공 학생들이 시각적 사고를 계속적으로 학습한다면 정보의 맥 락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 텍스트의 숨은 의미를 찾으며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사고의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연구 결과로 볼 때 텍스트의 시각화는 학습자의 시각적 사고를 지원하는 수업의 개발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중국 전통 길상(吉祥) 문양에 관한 연구 : 주류 포장 디자인을 중심으로

        왕비 동서대학교 디자인 & IT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세상의 어떠한 민족이든 모두 자신들만의 문화를 갖고 있다. 중화민족은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민족 중의 하나로써 풍부한 문학, 예술, 건축 등 전통적 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길상문양은 중국 전통문화 중에서 가장 대표성이 있으며 건축, 조각, 복식, 회화 등 다양한 영역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길상문양은 여전히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문양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 전통길상문양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중국 전통 길상문양을 현대의 제품 포장 디자인에 응용하는 것을 시도함으로써 기업의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중국의 제품이 국제시장으로 진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latest sale statistics of alcohol drinks, Chinese people drink more than 55 million tons of alcohol drinks in 2008, which is 20% of the world’s quantum. The market is as big as 60 billion dollars-it’s a really big market. This paper is about Chinese traditional propitious pattern in wine package design. In this paper, I studied Chinese traditional pattern and theory of package design, in order to find out a method to combine them together. With my study, I hope I can help some wine companies to improve their package and sell their goods better.

      •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나타난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이정일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술적인 성능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로 디자인이 부각되고 있으며, 화장품 용기 디자인 또한 과거의 단순하고 겉모습과 색상 등 시각적인 부분으로만 인식된 디자인이 이제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변할 정도로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으며, 화장품을 개발하면서 용기를 특별히 고안하거나 다른 제품과 차별화를 꾀하고 소비자의 의견을 제품 개발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단순한 내용물을 담는 개념을 넘어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경제성장과 한류에 의해 한국화장품의 인기가 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의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에는 어떤 공통분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가시키고, 구매에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용기 디자인 표현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하게 될 중국과 한국의 화장품 용기 디자인을 통해 선호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10-5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 부산 지역 및 중국 북경 지역에서는 조사도구로 설문지를 2011년 6월 3일 부터 8월20일까지 이용하였으며 총 2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200부를 분석에 이용한 유의적인 통계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1. 부산지역 10대-50대 여성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연령별로는 20~30세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30~40세, 40~50세, 10~20세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학생 및 회사원이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100~200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200~300만원, 400만원 이상, 300~400만원과 100만원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2.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구매 실태 분석 결과, 화장품 구입 시에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써 한국이 좋은 품질, 기능성, 유리와 플라스틱에 용기 재질, 매끄러움과 투명 용기 질감, 장방형 형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화장품 유형별 컬러에 구매 실태 분석 결과, 한국 여성소비자들은 평소에 선호한 색상, 화장품 용기 패키지디자인 선호에 색상, 클렌징류 화장품, 베이직류 화장품, 주름 탄력류 화장품, 미백류 화장품, 모발류 화장품 5개 구매 시에 우선 선호하는 색상은 흰색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 1. 북경 지역 10대-50대 여성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연령별로는 20~30세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30~40세, 10~20세, 40~50세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학생 및 회사원이다. 월평균 소득별로는 3000원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3000~4000원, 4000~5000원, 5000~6000원과 6000원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2.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구매 실태 분석 결과, 화장품 구입 시에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써 중국이 좋은 품질, 표기사항(제품정보)과 기능성, 유리에 용기 재질, 불투명 용기 질감, 장방형 형태와 도자기 형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화장품 유형별 컬러에 구매 실태 분석 결과, 중국 여성소비자들은 평소에 선호한 색상, 화장품 용기 패키지디자인 선호에 색상, 클렌징류 화장품, 베이직류 화장품, 주름 탄력류 화장품, 미백류 화장품, 모발류 화장품 5개 구매 시에 우선 선호하는 색상은 흰색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여성소비자가 선호하는 용기 패키지디자인은 품질에 고려요인, 기능성에 패키지 요소, 유리에 용기 재질, 불투명과 매끄러움과 투명에 용기 외관 질감, 장방형 용기 형태, 흰색 등을 표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화장품 용기 디자인이 화장품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시각적 효과와 소유욕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또한 마케팅적 관점에서 볼때, 중국인 품질과 불투명 유리 재질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은 기능성과 매끄러움과 투명 유리를 선호하기에 향후 마케팅 전략 수립에 이 같은 결과가 반영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products in order to meet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onsumers cosmetic design is now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During the cosmetic container design simple appearance, color and other visual elements of the products are now enough to represent the brand of a company, yielding a strong impression on the consumers. In the cosmetics product development process, especially in container design process, the designer should be always consistent with the consumers' opinions, which may increase the value of the brand obviously. In recent years, China's economic growth increases continuously. On the other hand the Korea's cosmetic products have been cognized by both Chinese and Korean people. From this phenomenon we can see there is a common attitude for cosmetics in Korea and China. Thus,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nsumer's common preferences in China and South Korea. From the cosmetic package design the effective package design strategies can be set up for the increase of purchasing. Thus, women at 10-50 year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xperience of using cosmetics. 270 questionnaires were released in Busan, South Korea, and Beijing, China. 200 questionnaires were taken back and statistic results are as follows. South Korea: 1. In Busan the general custom of women is to buy 10 to 50 packages. The age orders of women are from 20-30, 30-40, 40-50 and 10-20 years. The vocations orders are students, office workers. For monthly income the orders are from 1-2 million, 2-3 million, more than 4 million, 3-4 million and less than 1 million. 2. When they buy cosmetics, analysis shows that container design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Korea consumers like the containers with good quality, functional, glass and plastic, texture, smoothness, clear and rectangular shape. 3. For the color of the container, analysis shows that Korea female consumers prefer white color, some also like blue color when they buy cleansing cosmetics, basic cosmetics, change white cosmetics and protect hair cosmetics. China: 1. In Beijing the general custom of women is to buy 10 to 50 packages. The age orders of women are from 20-30, 30-40, 10-20 and 40-50 years. The vocations orders are office workers, students. For monthly income the orders are from 3000, 3000-4000, 4000-5000, 5000-6000 and more than 6000 RMB. 2. When they buy cosmetics, analysis shows that container design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Chinese consumers like the containers with good quality, writte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function, glass, opaque textures, rectangular shapes and pottery forms. 3. For the color, analysis shows that Chinese female consumers prefer white color, some also like purple color when they buy cleansing cosmetics, basic cosmetics, change white cosmetics and protect hair cosmetics. From the investigation we can get the following results: Women consumers in South Korea and China prefer to consider the elements of package design factors on the quality, functionality, glass container material, opaque and transparent, smooth and textured appearance, rectangular container shape and white color. The visual effect of the cosmetic containers will improve the possessive desires of the consumers and get positive results. Also, from the market point of view the Chinese consumers prefer the quality and opaque glass, Korean consumers prefer the functionality, smooth and clear glass. For future marketing strategies this investigation can help to get better results.

      • 쿠마 켄고 작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양미진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과거의 단순한 네모박스 형태였던 건축물들은 근대 이후로 접어들면서 예술가들의 손에 의해 기하학적인 형태와 예술성이 더욱 돋보이는 건축물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인 쿠마 켄고는 근대 건축의 상징인 콘크리트 건물을 비판하면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할 수 있는 건축물, 자연과 건축이 연결되는 건축물을 제작하는 건축가로써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쿠마 켄고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건축가로써 건축요소에 관한 논문은 많이 찾아 볼 수 있으나 패션과의 접목과 관련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의식주에서 자연적 요소가 중요시 되는 현 시점에서 쿠마 켄고의 건축 사상을 패션과 접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그의 작품에서 보여주는 조형적인 특성을 그의 건축 사상에 조명을 두고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형태, 색채, 질감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패션디자인의 모티브로써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물에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패션에 접목함에 있어 그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차 세계대전이후 활발해진 모더니즘과 1960년대에 일어난 메타볼리즘 운동, 이후에 일어난 포스트 모더니즘 등은 건축양식에서의 다양한 변화를 일으켰다. 또한 건축의 상품화를 초래하면서 공공시설만 지어오던 건축가들의 관심사가 개인 주택으로 몰리면서 콘크리트라는 새로운 재료로 많은 건축물들이 세워지게 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건축 흐름의 변화가 활발하던 시기를 겪은 쿠마 켄고는 주변과 어울리지 않고 무작위로 생겨나는 건축이 점차 사회에서 미움을 사고 부정적인 요소로 취급받고 있다고 보았다. 사람에게 필요한 존재이지만 사람에게 부정적인 요소로 보이는 건축을 긍정적인 요소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요소의 해결책으로 ‘단절’의 존재가 된 건축물을 ‘접합’의 존재로 만드는 방법을 생각했으며 그 방법은 공간의 접합, 주변의 접합, 시간적인 접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방식으로 제작되어 온 쿠마 켄고의 작품은 나무나 돌을 이용한 건축물을 중심으로 많은 작품을 선보였다 그의 작품은 외형에서 보이는 형태와 화려하지 않고 자연에 묻어나는 모던한 느낌의 색채, 그리고 자연그대로의 재료로 지은 건축물이 나타내는 질감을 통해 조형성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형태, 질감, 색채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조형성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에 있어서 쿠마 켄고 건축에 나타나는 형태의 조형성은 건축물의 겉으로 나타난 큰 외형들이 사각형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인테리어 및 외형에 장식적인 요소에서 조형적인 요소를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모티브의 반복되는 배열은 균형감을 나타내는 형태를 보여주며 하나의 면을 구성하는 형태를 하고 있다. 둘째, 반복되는 모티브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비어있는 공간의 깊이 감을 보여주는 다공성은 건물의 내·외부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기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나무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물은 따뜻한 계열의 베이지 톤으로 구성되어 건조하고 매끄럽지 못한 나무 목재의 단점을 보완하였으며, 돌로 이루어진 건축물은 세련된 느낌의 그레이 계열의 톤에 의해 반대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정리한 쿠마 켄고의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적인 요소로써 모티브의 반복적인 형태와 중첩되는 형태적인 요소를 작품 제작에 접목함에 있어 하나의 모티브를 선정하여 크기의 변화 및 반복적, 중첩적인 효과를 활용하여 부분적인 디테일의 소재개발을 통해 볼륨감과 입체적인 디테일을 잘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공성의 요소를 표현함에 있어 컷 아웃 기법과 스모킹 기법 등을 사용하여 건물 외형의 반복적인 디테일과 깊이 감을 통해 구조적인 연출을 표현할 할 수 있었다. 셋째, 자연 그대로의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울, 멜톤, 스웨이드 끈을 활용해 색채와 질감을 표현하였다. 메인컬러의 검은색과 돌, 나무의 느낌을 인용하기 위해 회색과 베이지 색채를 활용하여 건축물에서 보여주는 자연 소재의 색상을 표현하는 작품을 제작 할 수 있었다. 최근 들어 건축분야에서는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기능성을 중심으로 예술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시각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사례가 나타나고, 이러한 경향들은 패션디자인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큰 영향을 주는 추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축과 패션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서 각 분야의 발전에 있어 밀접한 관계임을 알 수 있었으며, 쿠마 켄고의 예술성이 가미된 독창적인 건축 작품들이 패션디자인뿐만 아니라 각 디자인의 연구에 있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