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사군자 문화의 미적비교 연구

        JIANG YIYI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주로 한·중 양국의 사군자(매·란·국·죽) 심미문화와 회화작품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사군자는 한·중 양국 문화예술사에서 높은 지위와 연구 기반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사군자의 심미문화 역사에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4장(한국 특유의 매·란·국·죽에 해당하는 봄·여름·가을·겨울 순으로)에서는 한·중 양국의 매·란·국·죽 각각의 심미문화 발전 역사와 그 역대 회화 작품을 순서대로 정리하였다. 사군자 역시 동아시아 각국의 정신세계에 깊은 뿌리를 박고 있다. 동아시아 각국의 관점에 있어서 약간의 이견이 있더라도, 사군자에 대한 이해는 모두 일관되어 전해왔다. 즉, 매·란·국·죽은 예부터 문인들의 깊은 사랑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동아시아 각 민족이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문화의 상징이 된 것이다. 또한, 이는 바로 동아시아 각국의 수천 년 전통문화의 미적 의식과 정취를 드러내는 힘과 함축적이면서도 자강불식(自強不息)의 민족정신을 드러내는 것이다. 작금의 글로벌 문화시대는 세계 각국의 문화 교류와 홍보 활동이 점점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문화가 서로 마찰하고 충돌하며 사회 환경과 생산 및 생존 상태가 급변하면서 문화는 서로 영향을 미치고 융합하는 것이 대체적인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사군자 문화도 서로 교류하면서 끊임없이 발전하고 갱신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심미적 취향과 심미적 의식도 필연적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다. 이는 자국의 전통문화에 새로운 활력을 더하고 자국의 문화발전과 지속을 촉진할 것이다. 한편, 이미 서양문화는 동아시아 각국의 각 분야에 침투하여 동양의 전통문화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아울러 사람들은 전통예술정신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해석마저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럴 때일수록 동아시아의 문화적 맥락이 비슷한 각국이 동아시아 문화공영권(文化共營權)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동양 문화권에 있는 한·중 양국은 동일한 문화적 저력을 가지고 있으며, 밀접한 지역적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화권의 설립이 용이할 것이다. 이는 양국의 경제, 정치적 협력을 진행하는데 있어서도 더욱 조화로운 환경과 분위기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양국의 민간 문화교류와 이해를 촉진하고, 문화와 사상의 소통을 통해 가치지향의 수렴을 형성할 것이다. 양국의 이견과 마찰을 줄임으로써 양국 백성의 친선과 양국 경제문화의 발전을 이롭게 할 것이다. 이는 동양문화가 세계문화시대에서 서양문화에 동화되는 흐름을 막고, 동양문화를 보존하면서 자국만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중 양국의 경제·정치적 교류는 물론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넘어 세계의 평화·안정·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군자는 동양전통문화의 독특한 문화기호로서 동아시아인이 보편적으로 공감하는 도덕수양, 인격요구, 미적정취 등 일련의 정신적 요구를 담고 있다. 예의충효를 비롯한 군자의 도리뿐만 아니라 정직함과 강인함, 고아함 등 고상한 정조와 완벽한 인격에 대한 사회 각 계층의 폭넓은 공감대를 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군자는 동아시아 각국을 소통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공통의 군자문화를 담아 한·중 양국에 평화의 길을 열어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사군자가 나타내는 문화 메시지는 철학, 윤리, 예술 등 여러 방면에서 동양문명의 인문학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그 속에 담긴 전통문화 이념과 미적 사상은 동아시아인의 우수한 민족정신이며, 한중 양국의 동양문화 정체성과 민족자긍심을 높이고, 동양문화가 세계문화의 숲에 우뚝 설 수 있는 견고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本篇論文主要對比研究韓中兩國的四君子審美文化及其繪畫作品。鑒於其在兩國文化藝術史上的地位和研究基礎,本文從四君子的審美文化曆史入手。本文分四章(順序按照韓國特有的以梅蘭菊竹對應的春夏秋冬來排列)縱向梳理韓中兩國梅蘭竹菊各自的審美文化發展曆史及其曆代繪畫作品。 四君子可以說是深深地紮根在東亞各國人的精神世界裏,地位大約稱得上是核心象征物,不論東亞各國人在觀點上出現怎樣的分歧,但大家對這一核心象征的理解卻是一致的——花中“四君子”=梅蘭竹菊。可以說四君子不僅在過去受到了文人雅士的厚愛,今天依然是東亞各民族普遍認同的文化象征,構成了東方文化中不可或缺的印象,而這正是彰顯出東亞各國幾千年傳統文化的審美意念、情趣形態的張力和含蓄又自強不息的民族精神。 自從世界文化時代開始,世界各國的文化交流與傳播活動越來越頻繁,不同文化的互相摩擦碰撞,社會環境、生產及生存狀態激變,文化相互影響與融合是大勢所趨。四君子文化也在相互交流的過程中不斷地發展更新,人們的審美情趣與審美意識也必然會因此而產生變化,這會爲本國的傳統文化增添新的活力,促進本國文化發展和延續。 另一方面,西方強勢文化越來越多地滲透於東亞各國的經濟、政治和生活等領域,傳統東洋文化已然受到巨震,今人漸漸失去了對傳統藝術精神與文化內涵的解讀。這時東亞文化語境相似的各國建立東亞文化共榮圈就非常有必要了。同處於東方文化圈的韓中兩國有著相同的文化底蘊,對有著密切地緣關系的兩國來說建立東方文化圈會爲兩國進行經濟、政治合作提供更加和諧融洽的環境和氛圍,從而促進兩國人民之間的文化交流與理解,通過文化的交流、思想的溝通,形成價值取向的趨同,避免了兩國經濟、政治合作中的重重障礙,減少雙方的分歧和摩擦,從而利於兩國人民的友誼和兩國經濟文化的發展。這不僅可以使東方文化在世界文化時代抵禦被西方文化同化的洪流,保留東方文化的同時發展屬於本國的獨特文化;還可以作為韓中兩國在經濟、政治交流中的潤滑劑,也有利於亞太地區乃至世界的和平、穩定和發展。 四君子作爲東方傳統文化一種獨特的文化符號,承載了東亞人普遍認同的道德修養、人格要求、審美情趣等一系列精神需求。既包含知識階層倡導的禮義忠孝的君子之道,又有社會各階層對正直、堅韌、高雅等高尚情操與完美人格的廣泛共識,它是徘徊在整個東方人民心靈深處的、足以引起所有東亞人共鳴的圖騰。因此四君子能夠作爲溝通東亞各國的橋梁,承載著共同的君子文化,爲韓中兩國建立和平之路。而其所釋放出來的文化信息更是折射出東方文明在哲學、倫理、藝術等多方面的人文成果,其中包含的傳統文化理念和審美思想是東亞人民優秀的民族精神,提升韓中兩國的東方文化認同感和民族自豪感,爲東方文化立於世界文化之林打下堅固的基石。 This paper mainly compares and studies the aesthetic culture and painting works of the Four Gentlemen in South Korea and China. Given its position and research foundation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history of both countries,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aesthetic cultural history of the Four Gentlemen.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arranged in order according to the unique Korean style of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corresponding to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to vertically sort out the aesthetic and cultural development history of plum blossom, orchid, bamboo, and chrysanthemum in Korea and China, as well as their historical painting works. The Four Gentlemen can be said to be deeply rooted in the spiritual world of people in East Asia, and their status can be considered as the core symbol.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in views among people in East Asia, everyone's understanding of this core symbol is consistent - the "Four Gentlemen" in the flower=plum, orchid, bamboo, and chrysanthemum. It can be said that the Four Gentlemen were not only favored by literati and scholars in the past, but they are still a cultural symbol widely recognized by various ethnic groups in East Asia today, forming an indispensable impression in Eastern culture. This precisely demonstrates the aesthetic ideas, emotional tension, and subtle yet self-improvement national spirit of thousands of years of traditional culture in 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world cultural era, cultural exchange and dissemination activities amo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come increasingly frequent, with different cultures rubbing and colliding with each other. The social environment, production, and survival status have undergone drastic changes, and cultural mutual influence and integration are the trend. The culture of the Four Gentlemen is also constantly developing and updating in the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and people's aesthetic taste and consciousness will inevitably change as a result. This will add new vitality to the traditional culture of our country, promote the development and continuation of our own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dominant Western culture is increasingly permeating the economic, political, and life fields of East Asian countries, and traditional Eastern culture has been greatly shaken. Today, people have gradually lost their understanding of the spirit and cultural connotations of traditional art. It is necessary for countries with similar cultural contexts in East Asia to establish an East Asian cultural co prosperity circle. South Korea and China, both located in the Eastern cultural circle, share the same cultural heritage. For the two countries with close geopolitical relations, establishing the Eastern cultural circle will provide a more harmonious and harmonious environment and atmosphere for economic and polit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by promoting cultural exchange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peoples. Through cultural exchange and ideological communication, a convergence of values is formed, avoiding various obstacles in economic and polit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Reducing differences and friction between the two sides is beneficial for the friendship between the two people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economies and cultures. This can not only help Eastern culture resist the assimilation of Western culture in the world cultural era, but also preserve Eastern culture while developing its own unique culture; It can also serve as a lubricant for economic and political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is conducive to peace, stability, and development in the Asia Pacific region and even the world. As a unique cultural symbol of Eastern traditional culture, the Four Gentlemen carry a series of spiritual needs widely recognized by East Asians, including moral cultivation, personality requirements, and aesthetic taste. It embodies the noble principles of propriety, righteousness, loyalty, and filial piety advocated by the intellectual class, as well as the broad consensus among various social classes on noble sentiments and perfect personalities such as integrity, resilience, and elegance. It is a totem that lingers deep in the hearts of the entire East Asian people and resonates with all East Asians. Therefore, the Four Gentlemen can serve as a bridge to communicate with East Asian countries, carrying a common culture of gentlemen and establishing a path of peace for South Korea and China. The cultural information it releases reflects the humanistic achievements of Eastern civilization in philosophy, ethics, art, and other aspects. The traditional cultural concepts and aesthetic ideas contained in it are the excellent national spirit of the East Asian people, enhancing the sense of Eastern cultural identity and national pride of South Korea and China, and laying a solid foundation for Eastern culture to stand among the world's cultures.

      • 음악 감지력이 중국 대학생의 정서와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진옥곤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현대사회가 발전을 거듭할수록 대학생들의 심리문제는 더욱더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심리건강교육에 대한 연구는 일찍이 중국에서 심리학 연구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음악심리학은 음악학과 심리학을 접목한 새로운 융합학문으로서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연구 및 음악과 정서의 관계연구에 이론적 근거와 현실적 조건을 제공한다. 비록 선행연구들에서 “음악과 정서의 관계 및 영향”에 관한 연구성과들이 있지만, 변증법적 각도에서 보면 “음악과 정서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음악적 감지력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통해 음악적 감지력이 대학생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며, 실제로부터 출발하여 "대학생 정신 건강"과 “대학생 정서 관리” 및 “대학생 정서 최적화 처리”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동시대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 및 연관연구, 음악의 본질, 음악의 정서, 음악과 인격, 음악과 시간의 정서 관계 등 여섯 가지 면에서 음악 감지력이 대학생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에 대해 근원적인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고, 미래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대학생들의 성별과 문·이과 전공의 차이가 음악듣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요약하였고, 연관성 연구에서는 주로 중국 대학들의 음악교육 현황, 음악치료연구, 음악적 감지력의 정의와 음악과 심리, 정서, 인격의 상관관계를 설명하였다. 음악의 본질에 관해서는 음악의 심미, 음악의 기능, 음악의 지각 등 세 가지 차원에 기초하여 서술하였다. 음악의 정서에 관해서는 주로 정서의 기능, 정서의 중요한 의미, 음악과 정서의 대응 관계 및 정서의 다양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음악과 중국 대학생 정서 사이의 내적 관련성을 연구하고 도출하였다. 음악과 인격에 대해서는 인격의 정의와 인격의 유형 및 인격의 특성 연구를 소개하고 음악과 인격의 형성 사이의 대응관계와 음악적 감지력과 인격의 관계 및 영향을 중심으로 설계된 설문조사 A와 개별 인터뷰 B를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여 관련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과 시간의 정서 관계에서는 주로 음악과 순간적 정서 유도 사이의 관계 및 음악의 장기적 유도와 정서 사이의 관계 두 방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고 사례 분석, 데이터 연구, 설문조사, 사례 인터뷰 등 실증적 연구를 통해 충분히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그 결과 음악의 순간적 정서 유도와 장기적 음악이 대학생들의 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 새로운 연구 관점은 '대학생들의 정서와 음악적 감지력의 내적 연관성'에 실질적이고 또 현실적인 의미를 가져다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심리학에 더 적합한 연구 방법을 도입하기 위해 중국 고대 음악심리학 사상의 정수를 결합하였다. 또한, 이와 동시에 국제 최신 연구 이론과 연구 방법에 더욱 관심을 두고 변증법적 통일 사상을 주축으로 하여 문헌 분석법, 실증 연구법, 조사 설문법, 인터뷰법 등을 채용하여 음악과 정서의 연결과 발전 법칙에 대한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을 토대로 실천을 보다 중시하고, 현실 생활 가까이에서 대학생들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대학생들의 정서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다차원적인 연구 시각을 통해 음악심리학과 음악치료학에서 출발하여, 음악의 감지력과 대학생들의 정서 변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이 문제들에 관하여 해결의 견해를 제시하였고, 음악의 정서 심리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진전을 이루었다. The more developed the modern society is, the more complex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show various forms, so the research of mental health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has long become an important topic of psychological research in China.Music psychology is a new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combining musicology and psychology,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conditions for the research of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emotion.Although there are some research results o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music and emotion", in-dep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emotion" is lacking from a dialectical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nfluence of music perception on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music perception, and from reality, the problems of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mind", "student emotion management" and "emotion optimization" are effectively solved.At the same time, it also hopes to help the mental health and emotional adjustment of contemporary college students. This paper includes: first research and association research, the nature of music; the emotion of music, the music and personality; music and temporal emotional relationship studies the influence of music perception on the emotion of college students, and analyzes the root of these problems and points ou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first study mainly summarized the influence of gender and literature and science on music hearing; The association study mainly expounds the current situation of music education, music treatment research, the definition of music perception 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psychology, emotion and personality in Chinese universities; About the nature of music, It includes three dimensions of music aesthetic, music function and music perception, On this basis, it is elaborated; Emotion about music mainly include: emotional fun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emotions, music and emotion correspondence, and emotional diversity, The internal association between music and the mood of Chinese college students was studied and obtained; About Music and Personality, The definition of personality and personality typ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re introduced, Questionnaire A and case interview B were designed with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personality formation and music perception and personality as the main line, The relevant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last, In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ime, The study and case analysis are conducted mainl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instantaneous emotion indu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long-term induction and emotion, Through data studies, questionnaire surveys, and other empirical interviews, Full analysis and research reached the conclusion that musical instantaneous emotional guidance and long-term music have a positive impact on emotion.This new research perspective brings practical practical significance to the "internal connection of college student emotion and musical perception". In order to introduce a more suitable for music psychology research method, while combining the essence of ancient Chinese music psychology, pay more attention to the latest research theory and research methods, dialectical unified thought, using literature analysis, empirical research, questionnaire method, interview, etc., the law of music and emotion connection and development research, based on theory, pay more attention to practice, close to real life, to the college students practical problems as the center. In this paper, the author studied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research, starting from music psychology and music therapy, on the basis of their emotional research.Therefore, some addressed insights on these issues, and some degree of new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field of musical emotional psychology.

      • 모션테이핑이 중년여성의 비특이적 요통에 대한 통증, 근육, 균형에 미치는 효과

        유헌종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40대~50대 중년 여성에게 많이 일어나는 질환인 비특이적 요통에 대해 8주간 모션테이핑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 근활성도, 근경직도 및 긴장도, 기능장애, 균형에 모션테이핑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특이적 요통이 있는 성인 여성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OO시에 위치하고 있는 정형외과 두 곳의 병원에서 실시하였으며, 2022년 7월에서 9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한 대상자들에 대해 연구에 참여하기 전 연구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동의를 받았다. ‘임상실험에 대한 권고 사항’ 헬싱키 선언에 따라 진행하였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기관생명위원회의 승인(8223202206-HR-011-01)을 받았다. 환자에게 요통으로 인한 중재 방법에 대한 목적 및 내용을 설명하고, 중간 포기 의사가 있을 때, 신체 이상 등의 문제가 있을 때에는 즉시 연구 참여 철회를 할 수 있음을 사전에 설명하고 실시하였다. 총 34명의 대상자를 두 집단으로 통계 프로그램인 ‘r’을 이용하여 무작위 방법으로 나누고, 한 집단에는 물리적 인자치료 후 단순 운동치료와 모션테이핑을 함께 적용한 ‘실험군’으로, 다른 한 집단에는 물리적 인자치료 후 단순 운동치료를 적용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전문의에 의해 요통 진단을 받은 사람, 40~50대 중년 여성, 통증시상척도(VAS)가 4이상인 사람, 요통 이외에 다른 신경계 질환을 가지지 않은 사람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 비특이적 요통의 치료적 방법으로 물리치료를 실시하였다. 물리치료는 온열 치료 20분, 간섭전류치료 15분, 초음파 치료 5분을 하였다. 치료를 마치고 난 후 실험군에는 단순 운동치료를 실시함에 있어 모션테이핑을 적용하고, 대조군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치료가 종료된 후에는 테이핑을 그대로 부착하고 생활하였다. 통증의 측정을 위해서 SF-MPQ;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척추세움근(erector spinae)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근경직도 및 근긴장도는 Myoton PRO (Myoton AS, Estonia)장비를 사용하였다. 기능 장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Oswestry Disability Index를 이용하였고,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Biodex balance system을 사용하였다. 집단 별 통증, 근활성도, 근경직도 및 근긴장도, 기능장애, 균형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중재 전/후의 값을 대응표본 t-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는 중재 전, 중재 후, 중재 전-후 변화값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중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증과 관련된 한국형 단축 맥길 통증 척도 중 감정적, 정서적 항목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서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증 수치와 통증 강도 역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재에 따른 동적 근활성도 변화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앉은 자세에서의 정적 근활성도는 실험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근경직도와 근긴장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에 따른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기능장애 수치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에 따른 적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정적 균형은 실험군에서 중재에 따른 적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조군의 경우 중재에 따른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동적 균형은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조군의 경우 중재에 따른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집단 간 통계적 비교에서 통증의 경우 감정적, 정서적 항목의 수치는 중재 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통증 수치는 중재 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통증 수치는 중재 전, 중재 후 모두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적 근활성도는 중재 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적 근활성도는 중재 전, 중재 후에서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근경직도와 근긴장도는 중재 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기능장애는 중재 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재 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은 중재 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특이적 요통이 있는 중년여성에게 모션테이핑은 통증, 근활성도, 근경직도, 근긴장도, 기능장애 및 균형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는 비특이적 요통이 있는 중년여성에게 모션테이핑이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특이적 요통이 있는 중년 여성에게 모션테이핑을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임상에서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해 좋은 중재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otion taping on pain, muscle activity, muscle stiffness and tone, dysfunction, and balance when motion taping was applied for 8 weeks for non-specific low back pain, a disease that occurs frequently in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4 adult female patients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It was conducted at two orthopedic hospitals located in OO city, and was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2.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fully explained to the participant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and consent was obtained voluntarily. I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Helsinki Declaration of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Trials' and was approved by the IRB of Dongbang Culture Graduate University (8223202206-HR-011-01). The contents and purpose of the intervention method due to back ain were explained to the patient, and it was explained in advance that participation in the study could be withdrawn immediately if there was an intention to give up in the middle or if there were problems such as physical abnormalities. A total of 34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r', and one group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in which simple exercise therapy and motion taping were applied together after physical therapy, and the other group was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to which simple exercise therapy was applied after physical therapy. Subject selection criteria were follows. They had been diagnosed with low back pain by a specialist,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those who had a visual analogue scale (VAS) of 4 or higher, and those who had no other neurological disease other than back pain. Pain management through physical therapy, a non-surgical method, was administered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therapeutic method for non-specific low back pain. Physical therapy was applied for 20 minutes of thermotherapy, 15 minutes of interference current therapy, and 5 minutes of ultrasound therapy. After finishing the treatment, motion tap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performing simple exercise therapy. The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was used for pain measurement. In order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it was measured using electromyography. Myoton PRO (Myoton AS, Estonia) equipment was used for muscle stiffness and muscle tone.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was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functional impairment, and the Biodex balance system was used to measure balance. In order to analyze the pain, muscle activity, muscle stiffness and tone, dysfunction, and balance factors by group, the valu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paired-sample t-test method. The change values of pre and post interven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are as follows. In the emotional and affective factors of the short-form Korean McGill Pain Scale related to p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 intervention. Pain level and pain intensity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ynamic muscle activity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atic muscle activity in the sitting posi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Muscle stiffness and muscle ton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change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unctional disability leve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atic bala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coverage following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Dynamic bala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alues of emotional and affective items pre intervention.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ost interv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level before inter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pre and post interv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dynamic muscle activity befor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muscle activity between the two groups pre and post interv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muscle stiffness and muscle tone befor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dis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befor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iddle-aged women with non-specific back pain, motion taping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hanges in pain, muscle activity, muscle stiffness, muscle tone, dysfunction, and balance. This indicates that motion taping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 middle-aged women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tion taping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middle-aged women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and it can be suggested as a good intervention method for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clinical practice.

      • 중국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그릿의 매개효과

        HAN JUAN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그릿,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그릿 및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중국 동북 지역에 S 시에 소재한 Y 대학교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2023년 3월 8일부터 2023년 9월 8일까지 6개월 동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진로정체감 측정용 도구, 그릿 측정용 도구 그리고 진로성숙도 측정용 도구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총 450부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자 11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439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검증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정체감의 모든 하위요인(진로정체감 정서 요인, 진로정체감 인지 요인, 진로정체감 행동 요인)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 진로정체감 정서 요인과 진로정체감 행동 요인이 그릿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그릿의 모든 하위요인(열정, 끈기)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사이에서 그릿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진로정체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위요인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진로정체감 정서 요인, 진로정체감 인지 요인과 진로정체감 행동 요인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중국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정서 및 진로정체감 인지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즉 중국 대학생 진로정체감을 증진하게 시키는 교과과정을 개설 및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키우기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성이 이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자신의 강점과 관심사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적절한 진로 선택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진로성숙도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진로정체감에 대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진로정체감은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위요인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진로정체감 정서 요인과 진로정체감 행동 요인이 그릿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들의 그릿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정체감 정서 요인 향상, 진로정체감 행동 요인 강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강화와 그 적극성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들이 그릿을 키울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특히 도전적이고 자율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노력과 인내를 통해 목표를 달성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그릿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그릿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위요인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그릿의 열정과 끈기 요인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릿에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그릿을 증진하게 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대학생 진로정체감과 그릿은 진로성숙도 향상에 다양한 설명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학교 및 대학은 학생들이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그램, 진로상담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대학생의 그릿이 진로성숙도에 주는 적극적인 영향을 극대화하려면 열정 향상뿐만 아니라 끈기 향상에 대한 프로그램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넷째,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그릿은 매개 효과 역할을 하였다. 이는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아지지만, 그릿의 영향으로 진로성숙도는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하다. 즉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진로정체감과 그릿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져 취업 과정에서 적응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로정체감과 그릿의 모든 하위요인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향상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grit, and career matur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grit and career maturity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of University A located in S city in northeastern China. To proceed with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6 months from March 8, 2023 to September 8, 2023. The survey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of career identity questionnaire, grit questionnaire, and career maturity questionnaire, distributing and collecting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excluding 11 unfaithful respondents, and finally analyzing 439 copies.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ll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career identity emotional factor, career identity cognitive factor, and career identity behavior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emotional factors and career identity behavior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all sub-factors of grit (passion grit, persistence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gri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identity affects career maturit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ub-factors, the higher the emotional factor of career identity, the cognitive factor of career identity, and the behavior factor of career identity,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rough these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measures to improve the career identity sentiment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are needed.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to open and operate a curriculum that promotes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also a need to strengthen continuous and systematic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to increase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strengths and interests and to help them choose appropriate career paths based on them. Meanwhi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for career identity through the analysis of all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identity affects gri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factor of career identity and the behavior factor of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it. In order to increase the grit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improving the emotional factor of career identity and strengthening the behavior factor of career ident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can develop grit.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challenging and autonomous learning experience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hieve their goals through effort and patience. On the other hand,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all sub-factors of gri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grit affects career maturit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passion grit and persistence grit factors of the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education on the gri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that enhance the grit of students. Meanwhile,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grit provide various explanatory powers to improve career maturity. Therefore, schools and universities ne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cooperate with industries and career counseling. In order to maximize the activ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grit on career maturity through this opportunity, programs for improving not only the passion grit but also the persistence grit must be considered.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grit played a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but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due to the influence of grit. In other words,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The higher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and grit,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and the higher the adaptability in the employment proces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career maturity through the analysis of all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and grit.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분석

        송박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및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 증진 향상을 위해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중국 동북지역에 위치한 랴오닝성 S시(遼寧省S市)에 소재한 D대학의 대학생이며, 설문기간은 2022년 7월 16일부터 2022년 12월 16일까지 5개월이라는 시간을 거쳐 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와 표본추출방법은 임의 표집 방법에 따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설문지, 취업준비역량 설문지, 진로정체감 설문지로 구성하여 1,000부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응답자 37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963부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설문지 응답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석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은 탐구성, 독창성, 융통성, 몰입성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높아질수록 취업준비역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 정서 요인, 인지 요인, 행동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높으면 취업준비역량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 취업정보탐색 요인, 취업준비행동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진로정체감이 높아질수록 취업준비역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취업준비역량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취업준비역량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진로정체감은 부분 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채택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 얻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탐구성, 독창성, 융통성, 몰입성은 취업준비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탐구성, 독창성, 융통성, 몰입성에 대해 대학생 마음챙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진로정체감 정서, 진로정체감 인지, 진로정체감 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진로정체감에 주는 적극적인 영향을 극대화하려면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향상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대학생 진로정체감 향상 프로그램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셋째,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정체감은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인 취업준비행동, 취업정보탐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취업준비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정서, 진로정체감 인지, 진로정체감 행동에 대해 대학생 진로정체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취업준비역량사이에서 진로정체감은 매개효과 역할을 한다는 것을 살펴본 결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취업준비역량사이에서 진로정체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취업준비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이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진로정체감 사이의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여 이 두 변인을 모두 고려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에 중요하며,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진로정체감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intended to present a direction to improve the employment preparation capac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university student at D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Liaoning Province, located in northeastern Chin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5 months from July 16, 2022 to December 16, 2022. The research tool and sampling method consisted of a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questionnaire, a job preparation competency questionnaire, and a career identity questionnaire, and distributed 1,000 copies, excluding 37 unfaithful respondents, and finally 963 copie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collected questionnaire response data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and analyze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Specific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quiry, originality, flexibility, and immers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cognitive mind, the higher the job preparation capac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on career identity,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ident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behavioral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i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is high, employment preparation capacity is hig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Specific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ub-factors of job preparation competency, job information search factor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actor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areer identity, the higher the job preparation capacity.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overall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career identity was adopted.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In addition, inquiry, originality, flexibility, and immersion,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indfulness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quiry, originality, flexibility, and immer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ident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identity emotion, career identity perception, and career identity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active impact of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on career identity, not only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improvement programs but also career identity improvement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information search, which are sub-factors of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areer identity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emotions, career identity recognition, and career identity behavior in order to increase their job preparation capabilitie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at career identity plays a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job preparation competency, career ident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job preparation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program that considers both variabl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between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career identity in depth.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job preparation capabiliti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and career identity.

      • 음악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師曉瑩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intended to present a direction to improve the employment preparation capac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music majors of A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Northeast China.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6-month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6, 2023 to February 5, 2024. The questionnaire survey consists of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scale, future identification scale, and employment preparation ability scale. A total of 34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fter excluding 30 dishonest respondents, 318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earch tools use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future identification, and employment readiness as measurement tools. The sub factors of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consist of intrinsic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and extrinsic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In additi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future identity are designed to be composed of future identity emotions, future identity cognition, and future identity actions.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ployment readiness are designed as employment readiness actions and exploration of employment information. The analysis methods include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validated at a significant level of p<0.0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has an impact on the ability to prepare for employment. From the specific results, the sub factors of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have a positive (+) impact on employment readiness. Second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has an impact on future identity. From the specific results, the sub factors of professional choice, both internal and external, have a positive (+) impact on future identity. Thirdly, occupational identity affects the ability to prepare for employment. From the specific results, the subordinate factors of occupational identity, such as emotional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action factors, have a positive (+) impact on employment readiness. Fourth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uture identity between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and employment readines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 greater the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refore, in the future educ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employment readiness by enhancing their in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strengthening their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On the one hand, in order to enhance the intrinsic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to choose maj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teaching methods that make students feel interesting and beneficial. At the same time, learners should introduce a scholarship system to enhance students' external motivation for choosing majors. Second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 higher the sense of future identity.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and improve their enthusiasm for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ractical project cases in the curriculum to enhance the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to choose majors and enhance their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Thirdly, it is understood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future identity, the higher the ability to prepare for employmen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prepar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future identity.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prepar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positive problem orientation and reasonable psychological counseling education on problem-solving techniques. Four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and employment readiness, future identity plays a mediating rol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the sense of future identity, the higher the ability to prepare for employment, and the higher the adaptability during the job search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employment readiness by analyzing all subordinate factors of occupational identity.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employabilit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more courses to enhance their internship skills. These results provide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major choice, future identity, and employment readines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urthermore, from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ability to prepare for employment, motivation for professional choice, and sense of future identity are all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solutions to continuously improve the employment prepar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enhance their motivation to choose majors, and enhance their sense of future identity. 본 연구는 음악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및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목표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연구대상은 중국 동북 지역에 S시에 소재한 A대학교 음악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2023년 8월 6일부터 2024년 2월 5일까지 6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공선택동기 척도, 진로정체감 척도, 그리고 취업준비역량 척도를 설문지로 구성하였으며, 총 348부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응답자 30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318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전공선택동기, 진로정체감, 취업준비역량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은 내재적 전공선택동기,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은 진로정체감 정서, 진로정체감 인지, 진로정체감 행동으로 구성하여 설계하였다. 그리고 취업준비역량의 하위요인은 취업준비행동, 취업 정보탐색으로 설계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와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 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고,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취업준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를 보면,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내재적 및 외재적 요인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동기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를 보면,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내재적, 외재적 요인이 진로정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를 보면,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 ‘정서’ 요인, ‘인지’ 요인, ‘행동’요인이 취업준비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역량의 사이에서 진로정체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 얻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전공선택동기가 높아질수록 취업준비역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들의 교육과정에서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를 높이고,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를 강화함으로써 취업준비역량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대학생들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를 향상하기 위해 학생들이 흥미롭고 유익함을 느끼도록 새로운 교수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수자는 장학금 제도를 도입하여 학생들의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를 제고시켜야 한다. 둘째, 전공선택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재적 전공선택동기 요인, 외재적 전공선택동기 요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를 강화하여, 전공선택동기의 적극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과 과정에 실제 프로젝트 사례를 도입하여,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를 높이고, 동시에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진로정체감이 높아질수록 취업준비역량도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정체감에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역량 향상을 위해 대학생들의 긍정적 문제지향과 합리적 문제 해결 기술에 관한 심리적 상담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역량 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은 매개효과 역할을 하였다. 이는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취업준비역량이 높아져, 구직 과정에서 적응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로정체감의 모든 하위요인 분석을 통한 취업준비역량 향상이 요구된다. 또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에 대학생들의 실습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더 많은 커리큘럼을 통합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대학생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진로정체감, 취업준비역량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또한, 연구 결과에 비춰 볼 때 취업준비역량에 대해서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정체감은 모두 중요하다. 따라서 중국 대학생을 지속해 취업준비역량을 개선하고, 전공선택동기를 높이는 방안과 중국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향상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컴퓨터활용교육 학습참여 동기와 취업역량 간의 관계 :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매개효과

        범지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of computer aided educati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mployability,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ir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mployability. The research object is college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Northeast China.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October 8, 2022 to January 8, 2023. A total of 24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luding 27 unfaithful respondents, and 218 were ultimately analyze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validat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confirmed that the sub factors of learning participation, in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ability.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ub factor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and ex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ly, it is confirmed that negative problem-oriented factors, impulsive and casual reaction style factors, rational problem-solving skills factors, and positive problem-oriented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s sub factors. Fourthly, it is confirmed tha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mploy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job competence by enhanc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learning participation in the future computer aided education process fo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mputer aided education by analyzing all sub factors of employability. Second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e higher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solve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enthusiasm for participating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in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and ex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in order to enhance their enthusias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 o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sub factors of future college student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ly, the higher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employability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ducation on rational problem-solving skills, positive problem-orientation, avoidance response methods, and impulse-casual response method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projects to enhance students'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Fourthly,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omputer aided education and employabil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e higher the job competence, but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s a greater impact than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e higher the social problem solve ability,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and the higher the adaptability in the job search pro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by analyzing various sub factors of employabilit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컴퓨터활용교육 학습참여동기가 취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대학생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 및 취업역량 증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중국 동북지역에 S시에 소재한 A대학교 대학생이다. 2022년 10월 8일부터 2023년 1월 8일까지 3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45부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자 27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218부를 분석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이다. 통계적 유의수준 .0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 내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 외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이 취업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 내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 외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이 사회적문제해결능력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 부정적인 문제지향 요인, 충동-부주의적인 반응양식 요인, 합리적인 문제해결기술 요인, 긍정적인 문제지향 요인이 취업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참여동기와 취업역량의 사이에서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취업역량도 높아지기 때문에 향후 대학생들의 컴퓨터활용교육 과정에서 내재적 학습참여동기를 높이고 외재적 학습참여동기를 강화함으로써 취업역량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취업역량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학습참여동기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사회적문제해결능력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 외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학생들의 학습참여동기를 강화하여 그 적극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향후 대학생들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학습참여동기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이 높아질수록 취업역량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취업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문제해결기술, 긍정적인 문제지향, 회피적 반응양식과 충동-부주의적인 반응양식에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습참여동기와 취업역량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은 매개효과 역할을 하였다. 이는 학습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취업역량은 높아지지만, 참여동기는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을 통해서 취업역량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취업역량이 높아져 구직 과정에서 적응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취업역량의 모든 하위요인 분석을 통한 사회적문제해결능력 향상이 필요하다.

      • 한국인의 장례문화에 대한 의식구조 연구 : 매장, 화장, 수목장을 중심으로

        박대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jangmyo burial culture is the supply problems of the cemetery. Since the 1970s,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such as the cemetery as the city expanded to the rapid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was relocated to the suburbs. Moreover, land prices rising is more aggravating the problem of supply cemetery. Thes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encourages countries to the narrowing of the cemetery funeral policy direction, grouped at the cemetery and funeral culture into the makeup change so decided, conspired to the funeral more pressure to change a culture factor for people. The scope of the branch of this study contents, burial, cremation, natural burials,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derived and resolution of these problems and attempted to present a ways of improving. The various members of society, funeral ceremonies in the survey conducted by conducting a funeral that meet the needs of institutional understanding the flow and embrace practical to do was carried out. I.e. the funeral ceremony in the flow of rapidly changing society feel by type preferences, to study and compare their funeral to help lead the system's policy direction based on, after that, into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that allows conducts a funeral form about the preference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verall, of the three (burial, cremation, and natural burials), natural burials appeared to favor the ratio is high. Looking for a traditional approach that recognizes the percentage of negative, women were higher than men, the proportion of people below university were higher than otherwise, the proportion of business and office workers were higher than otherwise, the proportion of Christians were higher than otherwise, income ratio of less than 4 million won was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much more than graduate education, the civil service and the professions, Buddhist Confucianism or Shamanism, by religion, more than 5 million won per monthly income, if the residence and birthplace of the metropolitan city the more people recognize the positive about the traditional way,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preferred burial.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re was a case of sex with a woman more than half of 58.6%, a man was found in 41.4%, for the 50 -60 years old age, the majority were close to 40.8%, with the following 40-50 years old, 24.2%, 19.3%, 30-40 years old, 20-30 years old, 15.7% were in order. In the case of education, the school has the highest with 34.4%, 33.8% university graduation, professional college graduates is 20.8%, graduate or higher in the order of 10.9% was found, in the case of a job, the worker is 32.9%, 22.7% businessman, funeral workers are 20.5%, 17.8% professions, civil servants and construction was 6.0 percent. If religion has got Confucianism or Shamanism is the highest 37.5%, followed by Christianity 32.9%, 21.1%, Buddhism, Catholicism is showed in the order of 8.5%, in the case of marital status, most were married by a 71.3%, 25.1% are unmarried, divorced was 1.8 percent. In the case of average income, 1000000-3000000won a close majority was 46.8%. 3000000-5000000won the 34.4%, 9.7% more than five million won, 1 million won was found in 9.1% . And, Seoul metropolitan area other than the 18.1 percent, metropolitan cities is 12.4 percent. In the case of the birth area, Seoul showed the highest at 30.5% and 23.6% of the Other tha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k District showed 20.5%, for the funeral cultural awareness, the response that I do not fit in the current period 32.9% was found in the highest, and then hope that in the normal transmission of 29.9%, Slightly positive of 22.4%, it is very good of 14.8%. In addition,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the funeral facilities management and funeral form was a large proportion of thinking about the expansion of public natural forest funeral facilities and assistance may be needed,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awareness of the customs and traditional rituals do not was a small proportion of thinking about the expansion of public natural forest funeral facilities and assistance may be needed. It was predicted that a large proportion of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awarenes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spect thinks the area of grave and the stone decoration need strict regulations be needed, that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strengthening the penalty of luxurious grave, integrated funeral system(from the cradle to the grave) may be needed, funeral system should be managed by national authorities or a public institution. Finally, a proportion of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others recommended late, awareness of the favorite place, whic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a network of operations are needed are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a proportion of people with higher preferences for preference attributes funeral, whic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a network of operations are needed are decreasing. 장묘문화의 근본 문제는 묘지의 수급문제이다. 1970년대 이후 도시화, 산업화 등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화로 도시가 팽창됨에 따라 묘지가 교외로 이전되었다. 더욱이 토지가격의 상승은 묘지 수급의 문제를 더욱 가중시켰다. 이러한 사회구조의 변화는 국가에게 장묘정책의 방향을 묘지의 축소, 묘지의 집단화, 화장으로의 장묘문화 변화를 결정하게 했고, 국민들에게 장묘 문화의 변화에 대한 압력요인으로 작용했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매장, 화장, 수목장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매장, 화장, 수목장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장묘의식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장묘제도의 흐름을 이해하고 실천적 수용을 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즉,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서 장묘형태별로 느끼고 있는 선호도를 비교·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묘제도의 정책적 방향을 이끌어갈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장묘형태 선호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매장, 화장, 수목장 선호비율은 전반적으로 수목장 선호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로 여자, 학력별로 대학교 졸업이하, 직업별로 사업가, 회사원, 종교별로 기독교, 소득별로 400만원 이하, 전통방식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학력별로 대학원이상, 공무원과 전문직, 종교별로 불교, 유교 또는 무교, 월소득별로 500만원 이상, 거주지와 출생지가 광역시인 경우 전통방식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매장의 선호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에는 여자가 58.6%로 과반수 이상 이었고 남자는 41.4%로 나타났으며 연령의 경우에는 50-60세가 40.8%로 과반수 가까이 되었고 다음으로 40-50세가 24.2%, 30-40세가 19.3%, 20-30세가 15.7%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에는 고졸이 34.4%로 가장 높았고 대학교졸이 33.8%, 전문대졸이 20.8%, 대학원 이상이 10.9%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의 경우에는 회사원이 32.9%, 사업가가 22.7%, 장례종사자가 20.5%, 전문직이 17.8%, 공무원이나 공사가 6.0% 순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경우에는 유교 또는 무교가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기독교가 32.9%, 불교가 21.1%, 천주교가 8.5% 순으로 나타났으며 혼인상태의 경우에는 기혼이 71.3%로 대부분이었고 미혼이 25.1%, 이혼이 1.8%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소득의 경우에는 100-300만원이 46.8%로 과반수 가까이 되었고 300-500만원이 34.4%, 500만원 이상이 9.7%, 100만원이 9.1% 순으로 나타났으며 거주지역의 경우에는 서울이 60.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서울 이외의 수도권이 18.1%, 광역시가 12.4% 순으로 나타났다. 생지역의 경우에는 서울이 3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울 이외의 수도권이 23.6%, 광역시가 2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장례문화 인식의 경우에는 현 시대에는 맞지 않다 생각한다는 응답이 32.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보통 전승되기를 바란다 29.9%, 약간 그렇다 22.4%, 매우 좋다고 생각한다 14.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추천 정도, 안치형태 및 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공설수목장 시설의 확충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높아지고 반면에 관습 및 전통의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공설수목장 시설의 확충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친환경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묘지면적과 석물장식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타인추천 정도가 높아지면 호화분묘의 벌칙강화가 필요하다 인식과 사망에서 장례까지 종합장례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국가기관 또는 공공기관에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끝으로, 타인추천 정도, 선호장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필연적으로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높아지고 있다. 반면에 장례 선호속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 대학생의 진로교육 참여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분석

        강우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and to present directions to improv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university students from B located in S city in northeast China.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5 months from April 2022 to August 2022. The survey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about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classes and a questionnaire about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and a total of 80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excluding 69 unfaithful respondents, and finally 733 copies were analyze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were measured. As for the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0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Looking at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and achievement factors, external display factors, and non-motivation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It was found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factors, social factors, and pleasure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e factors of goal selection, problem solving, job information, and future planning,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maturity, respectively. Fourth,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play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but the more influence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crease career maturity by enhanc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in the career educat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and strengthening external sci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rough analysis in the overall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the factor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chievement, social and pleasur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 on participation motivation through analysis on the overall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d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goal selection, future plans, and problem solving in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improve career maturity through analysis for all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Fourth,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play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but the more influence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areer edu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and the higher the adaptability in the job search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career maturity through analysis for all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중국 동북지역에 W시에 소재한 B 대학교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2022년 4월부터 2022년 8월까지 5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진로교육 참여동기 설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설문 그리고 진로성숙도 설문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총 802부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자 69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733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검증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기술발달 및 성취감 요인, 외적과시 요인과 무동기 요인이 각각 진로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기술발달 및 성취감 요인, 사교 요인, 즐거움 요인이 각각 참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 요인, 문제해결 요인, 직업정보 요인과 미래계획 요인이 각각 진로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 역할을 하였다. 이는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아지지만 참여동기보다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교육 과정에서 기술발달 및 성취감을 높이고 외적과시를 강화함으로써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진로성숙도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진로교육 참여동기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발달 및 성취감 요인, 사교 요인, 즐거움 요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동기를 강화하여, 그 적극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참여동기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진로교육의 목표선택, 미래계획과 문제해결 등에서 대학생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향상이 요구된다. 넷째, 진로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 역할을 하였다. 이는 진로교육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아지지만 진로교육 참여동기보다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져 구직 과정에서 적응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향상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