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특수학급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최현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711

        이 연구는 특수학급 초등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그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특수학급 아동들의 의미 있는 또래관계 변화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Y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총 5명으로, 지적장애 아동 한 명, 자폐성 장애아동 두 명, 발달지체 아동 두 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는 2021년 4월 6일부터 7월 13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은 특수학급 아동의 교과 시간인 오전 9시 50분부터 10시 30분 사이에 참여관찰 형태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문서 수집 및 비디오 녹화, 활동사진 및 관찰 일지, 특수교사 인터뷰, 동적학교생활화(KSD) 그림 검사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실행에 앞서 특수학급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사회적 기술이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에서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선행하고, 현직 특수학급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기표현, 정서조절, 대인문제해결, 사회적 상호작용의 네 가지 사회적 기술을 선발하였다. 이를 통합예술치료와 융합하여 회기를 구성하고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눈맞춤, 신체 접촉, 미소와 웃음, 의사소통 측면에서 자발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변화를 보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적으로 적절한 자기표현 방식을 습득하였고, 부정적 감정을 다양한 예술 매체를 통해 발산하고 해소하며 조절할 수 있었다. 특히, 연극 매체는 또래관계 유지에 필요한 갈등 중재 대처방안에 도움이 되었다. 둘째, 동적학교생활화(KSD) 검사 결과, 지적장애 아동 한 명과 발달지체 아동 두 명의 사전·사후 그림에서 유의미한 또래 관계 변화를 보였다. 이 연구는 통합예술치료가 특수학급 아동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예술 매체를 통한 통합예술치료 접근이 이들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process and outcomes of implementing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designed to enhance peer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pecial classes. The primary aim was to observe meaningful changes in the peer interactions of these children. Participants included five students from a special class at Y Elementary School in Seoul, consisting of one child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tw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w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April 6 to July 13, 2021, comprising 12 weekly sessions, each lasting 40 minutes, held during the children's class time from 9:50 to 10:30 AM.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d document collection, video recordings, activity photographs, observation journals, interview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Kinetic School Drawing (KSD)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began by identifying the most crucial social skills required to improve peer relationships among special class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and a preliminary survey of 11 curr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four key social skills: self-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nd social interaction. These skills were incorporated into the arts therapy sessions.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spontaneous and positive changes in eye contact, physical touch, smiles and laughter, and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sessions, they acquired socially appropriate self-expression techniques and managed negative emotions through various artistic media. Theater activities, in particular, proved helpful in mediating conflicts essential for maintaining peer relationships. Second, the KSD test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eer relationships in the pre- and post-test drawings of one child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w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in special class children and can enhance their social skills through various artistic media.

      •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에 관한 사례 연구 : 남아프리카공화국 아트 빌리지 사례를 중심으로

        최지인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문화예술이 중심이되어 도시재생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사례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트빌리지 사례를 다루고 있다. 남아공 아트빌리지의 문화예술이 도시가 발전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공간을 활성화 시키는지 연구하였다.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에서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어야 할 요소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예술은 스스로가 ‘자발성’을 띄고 그 환경 안에서 적응하고 자리 잡아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문화예술이 중심이 된 도시재생이라 할 수 있다. 문화예술은 심거나 만들어지는 데엔 한계가 따른다. 누군가가 유지하고 이를 이어나가기 위해 애써야하기 때문이다. 반면 자발적으로 이주한 예술가들은 그 마을이나 도시를 그들이 직접 택한 곳이기 때문에 더욱 애착을 쏟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예술활동들이 활발해 질수록 이웃주민들에게 어떤식으로든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술가들이 그림을 전시하거나, 워크샵을 여는 등 주민들을 향유자로 혹은 참여자로 끌어들이게 된다. 둘째, 문화예술이 도시재생이 이뤄지는 공간과 ‘이질적’이지 않아야 한다. 가령 문화예술 자체가 자연스럽지 않게 발생했을지라도 공간과 상호작용을 하는데 있어 충분한 배경이 존재해야 한다. 자연환경적인 요인이든,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이유든, 혹은 주민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주제든 무엇인가 하나는 분명히 있어야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클래런스 아트빌리지는 자연환경적 요소들이 화가들에게 영감을 불러 일으켜줄 만한 곳이기 때문에 자발성을 끌어낼 수 있었고 화가들이 주민의 일원임과 동시에 예술가로써 역할을 다 할 수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이 주민들과 예술가들 모두가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재생의 주인공은 주민들이다. 일례로 전라북도 익산 구룡마을에 가면 마을 중간에 큰 느티나무 한 그루가 있다. 약 300년 정도 된 나무로 82년에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마을 나뭇잎이 고르게 피는지에 따라 농사의 길흉을 알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주민들 모두가 공감하는 문화는 억지로 유지하려 들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유지된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문화예술은 주민들의 공감을 얻기엔 다소 무리가 따르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이 중심이 되어 도시재생이 이뤄지는 남아공의 아트빌리지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예술가 집단에 의해 해당 지역이 문화적으로 풍요로워 지고 더 나아가 경제적 측면에서 마을에 어떤 변화를 가져 오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Nowadays, 'art and cul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taion. For that, in the Republic of South Korea, art and culture-led regenerations are easily found in many of 'public policies'. However it sometimes does not meet the expectation of organizers, artists, or gentrifiers. The artificial strategy commodifies its cultural assets and displaces original artitic values of the town. Nevertheless the culture-led regeneration has been implemented all over the country. The small town called Clarens in the Free State in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can be regarded as a successful example of art and culture centred urban regeneration. There were 3 key roles found in the process of Clarens regeneration. First, the spontaneity of the main driver of urban regeneration. The spontaneity itself plays as a motive power for the town to run more than 20 years. Second, less foreignness of the art and culture to the people or the town. Third, the bond of sympathy should exist between villagers and the artists. Based on these 3 components, this study will show how the strategy of art and cultre centred urban regeneration has formed in Clarens the small art village in South Africa and hopefully can adopt such strategy in Korea and get a better results of urban regeneration.

      •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사례연구

        곽혜신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711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organizing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reliev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nd evaluating the application result of the program.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6th to Marth 31st 2016 with five participants from G district in Seoul. The program was 12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and 12 sessions in total. Based on Dr. Youjin Hong’s projection model in Integrative Arts Therapy, the program utilized video·movie, art, literature, music, and etc. to have at least two arts genres per session. In order to evaluate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 of the participants, interview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corded tape, observational journals, creative words, pictures were used in addition to bo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the researcher observed during the session. As a result,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was discovered to let participants lower their unconscious defense and re-recognize inner trauma, and thus help them bring emotional insight and lower their depression. Especially in this case study, the use of picture and video·movie as a main arts media was effective in bringing positive reactions from the participants. This indicates that there were less psychological defense and denial in the process of projection, which promotes self-recognition and insight through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pre-checking therapeutic space and flexible response of the therapist were pointed out as to be enhanced in the process of program.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analyz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observ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relieve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er proposes the present study to be used in related fields of study and further researches to be done in Integrative Arts Therapy. Key Words: Depression, Middle-aged Women, Integrative Arts Therapy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2016년 2월 16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울시 G구의 아파트 내에서 연구대상자 5명에게 회기 당 120분씩 주 2회 총 12회기에 걸쳐 적용한 후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프로그램의 설계는 홍유진 박사(2015)에 의해 정립된 통합예술치료 이론의 투사모델을 중심으로 사진과 영상·영화, 미술, 문학, 음악 등을 활용해 회기 당 두 개 이상의 예술매체를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수집 자료는 연구대상자에게 일어난 인지·정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진행한 사전·사후 서면 인터뷰, 녹취록, 관찰일지, 창작물, 활동사진 등이 활용되었으며 연구자가 관찰한 연구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포함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그 대상자로 하여금 무의식적 방어를 낮추고 내면의 트라우마(trauma)를 탐색 및 재인지하며 정서적 통찰을 도와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진과 영상‧영화를 주 매체로 활용하거나 이와 함께 다른 예술매체를 접목 활용했을 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심리적 방어와 거부감 없이 투사가 가능해 자기이해를 통한 자기인식과 통찰의 촉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치료세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치료 공간의 사전점검 재확인과 유연한 대처도 유의해야 할 점으로 확인되었다.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 이 연구는 특히 긍정적·부정적 반응을 보인 치료세션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동일 증상이나 집단의 관련 연구에 보다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통합예술치료 학문의 이론적 발달과 임상적 적용 발전을 위해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주제어: 우울감, 중년여성, 통합예술치료

      • 초고령 노인의 자기표현을 위한 연극치료 사례연구

        김수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초고령 노인의 자기표현을 위한 연극치료 사례연구 지도교수 마 수 현 연극치료전공 김 수 현 본 논문은 초고령 노인의 자기표현을 위하여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하고 그 결과를 질적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초고령 노인은 다양한 심리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초고령 노인들의 세대는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지 못하고 억압적인 환경 속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다. 그들이 사회적으로 자기표현의 기회를 얻지 못할 경우, 우울과 소외감, 무기력감을 느끼기 쉽다. 이에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초고령 노인의 자기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고령 노인의 자기표현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 설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초고령 노인의 자기표현을 위해 연극치료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경험 과정은 어떠한가? 연구자는 초고령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문헌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극치료의 대표적 이론가들을 심층 분석하고 로버트 랜디(Robert J. Landy)의 연극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투사 기법과 심리극 기법을 적용하여 본 연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경기도 P시에 위치한 S 노인요양시설에 거주 중인 초고령 노인 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치료사로 참여하여 보조 치료사 2명과 함께 매주 1회, 90분간 총 12회기에 걸쳐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매회기 녹취록, 활동사진, 창작물 및 관찰일지를 통해 수집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에 반영하였다. 본론에서는 초고령 노인의 자기표현을 위해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회기 및 연구대상별 반응을 관찰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자기표현의 하위요인 중 연구대상자가 호소한 내용을 바탕으로 활력 증진, 자존감 향상, 긍정적 정서 강화, 고독감 완화, 무기력감 완화를 증상 개선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구조화하고 투사 기법의 ‘사물’, ‘비디오’, ‘스토리텔링’ 등과 심리극 기법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연구대상자의 긍정 반응과 부정 반응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자기표현에 따른 요인인 내용적·음성적·체언적의 세 가지 요인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초고령 노인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다수의 회기에서 증상 개선 목표가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설계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활력 증진과 자존감 향상, 긍정적 정서의 강화와 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고독감과 무기력감 완화를 경험함으로써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가 시도한 초고령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표현 향상에 대한 설계 및 적용 가능성을 증명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임상자료를 제시하고 부정적 결과를 보완할 방법을 마련하였다는 점에 그 가치를 두고자 한다. A Case Study on Drama Therapy for Self-Expression in the Oldest Old Kim Soo-Hyeon Majoring in Dramatherapy Advisor Ma Soo-Hyeon This paper is a case study in which a dramatherapy program was designed and applied to reduce depression in the super elderly, and the resul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With recent increases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super elderly face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The generation of super-aged seniors is unable to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and is often placed in an oppressive environment. If they are not given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socially, they can easily feel depressed, alienated, and helpless.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analyze whether dramatherapy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in the super elderly: 1) Is it possible to design a dramatherapy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in the super elderly? and 2) What are the results of applying and analyzing a dramatherapy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in the super elderly?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 elderly and considered the subfactors of depression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s program was designed by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leading theorists in dramatherapy and applying projection and psychodrama techniques based on the dramatherapy theory of Robert J. Landy. Six super elderly people who lived S Elderly Care Facility located in P City, Gyeonggi-do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therapist and conducted a dramatherapy program with two assistant therapists once a week and 90 minutes each time for 12 sessions. The study result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research data collected at each session through transcripts, activity photos, creative works, and observation diaries. In the main body, a dramatherapy program was designed to reduce depression in the super elderly, and the responses were observed by session and subject and any changes in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bject’s complaints among the subfactors of depression, the researcher set increased vitality, improved self-esteem, strengthened positive emotions, a reduced sense of loneliness, and a reduced sense of helplessness as the goals of symptom improvement. Based on this, the program was structured by phase and designed using projective techniques such as “objects”, “videos”, and “storytelling” as well as psychodrama techniques. By applying these techniques, the subjects’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In addition, changes in the behavioral, emotional, and linguistic changes of the subjects who had exhibited the symptoms of depression in the early stage were analyzed by phase.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drama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in the super elderly, and the goals of symptom improvement were achieved in most of the sessions. By participating in the designed program, the subjects were able to obtain the outcome of improved self-expression by experiencing increased vitality, improved self-esteem, strengthened positive emotions, reduced stress, and a reduced sense of loneliness and helplessness.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design and applicability of a program for self-expression involving the super elderly, which was attempted in this study, was demonstrated. Accordingly, this study has its value in terms of presenting clinical data for follow-up studies and developing a method for compensating for the program’s negative results.

      •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극치료 사례연구

        김혜정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극치료 사례연구 지도교수 마 수 현 연극치료전공 김 혜 정 이 논문은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연극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해 자아탄력성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매년 장애인 등록자가 증가하면서 장애인 가족도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인 가족 구성원으로 인해 심리·사회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강원도 CH시에 거주하고, 장애 형제로 인해 불안감, 두려움, 위축감, 소외감 등을 겪고 있는 비장애 형제자매 초등학생 6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로버트 랜디(Landy, R.)의 역할이론을 기반으로 연극치료의 투사 기법, 심리극 기법을 적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의 자아탄력성 변화 분석을 위해 연구대상의 주 호소 문제, 자아탄력성의 5가지 하위요인 중 감정 통제력 향상과 낙관성 증진을 하위 목표로 설정하고, 주 2회씩(회당 70분), 총 12회기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초기 면담지, 영상녹화, 활동사진, 녹취록, 연구대상의 창작물, 회기별 관찰일지 등을 활용하였고, 보조 도구로 자아탄력성 척도와 동적 가족화(KFD) 검사를 사전·사후에 활용하였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연구대상자들의 회기별 반응과 자아탄력성 구성 요인별 변화를 질적 분석한 결과,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들에게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자아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자매들을 위해 다채로운 심리·정서 지원을 마련하고, 연구대상의 자아탄력성 증진 목표로 한 연극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임상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A Case Study of Drama Therapy about Ego Resilience of Non-Disabled Siblings with Disabled Siblings Hye-Jung Kim Major: Drama Therapy This thesis is a qualitative analysis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ego resilience by applying a drama therapy group program to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As the number of disabled registrants increases every year, the number of families with disabled member is also increasing, and they are experiencing psycho~ difficulties due to their disabled family memb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who lived in CH City, Gangwon-do, and were experiencing anxiety, fear, sense of shrinkage, and alienation due to their disabled siblings. The researcher designed a drama therapy program by applying the projective and psychodramatic techniques of drama therapy based on the role theory of Robert Landy (L.) to enhance the ego-resilience of the research subjects. To analyze changes in ego-resilience of the study subjects, among the fiv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which are the main complaint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sub-goal was to improve emotional control and increase optimism. A drama therapy was conducted for 12 sessions in total, 7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In this process, data such as initial interview papers, video recordings, activity photos, transcripts, creations of research subjects, observation diaries for each session were collected. The ego-resilience scale and kinetic family drawing (KFD) examinations were used before and after to measure the effeciveness of the study. After applying the drama therapy program,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ponses and changes by session of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the drama therapy program had a desirable effect on improving ego-resilience to non-disabled siblings with disabled siblings. Based on this study, variou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Can be provided for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development of a drama treatment program aimed at improving the subject's ego-resilience will be used as clinical data.

      • 지적장애성인을 위한 연극치료 사례연구

        남선미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통합예술매체를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 대상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사례연구로써 서울시내 소재 S장애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5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 주 2회 진행되었다.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은 스스로의 역할을 탐색하고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심리극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초기, 중기, 후기의 3단계로 구분한다. 초기 라포형성과 자기탐색의 단계를 거쳐 중기에서는 부정적 감정해소와 가족의 긍정적 지지를 경험하고 마지막으로 역할카드를 통해 이야기 극화 및 역할레퍼토리 확장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연극치료프로그램은 적용 후 회기일지와 관찰일지를 토대로 질적 분석하였으며 보조수단으로 프로그램 시행 전후 자기효능감 척도 설문 결과를 뒷받침 하였다.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한 결과 대상자들의 부정적 자기평가가 감소하고 적극적이며 긍정적 자기표현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조수단으로 사용한 사전·사후 설문지 검사 결과 역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남으로써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영향을 미쳤음을 뒷받침 해준다. 또한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 관계경험을 갖게 하는 연극놀이와 다양한 역할경험은 대상자들로 하여금 긍정적 반응을 일으킨 기법인 반면 내면적 감정이나 말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가면기법은 대사전달의 어려움과 대상자들에게 갑갑함을 초래하여 부정적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기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길 바라며 지속성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길 바란다. This is a case study that observed the effect of drama therapy using integrative arts on self-efficac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v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S’ welfare center for intellectually disabled. The therapy sessions were held twice a week for about three months. In order to increase self-efficacy, the program consisted of techniques from psychodrama that let the clients explore one’s own role and experience the feeling of accomplishment. The program was broken down into three steps - the beginning, the middle, and the end. Building a rapport and self-exploring were main issues in the beginning, and then in the middle, the program focused on releasing negative emotions and receiving support from family. Finally at the end, the participants dramatized their own roles and explored different roles using role profile. This drama therapy program was evaluated based on journals from each session and questionnaires for self-efficacy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structuring and running the drama therapy program, the participants showed a decrease in negatively judging themselves and an increase in positively expressing themselve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questionnai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levels of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us support that the drama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promoting the self-efficacy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lso, drama play and different experience of roles gave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using masks for searching inner feelings or words was found to be potentially inappropriate to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The participants had hard time delivering the words and felt stuffiness with the mask on. The researcher hopes the present study be used as basis for structuring drama therapy program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nd for further researches.

      • 시설보호청소년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연극치료 연구

        우유선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apply a drama therapy program for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to form a positive self-concept. The researcher(Refer to Appendix 4, p.71) selected five adolescents in their mid-teens living in M institutional care facility in S city and applied the designed program once a week, 90 minutes per a day for 12 times from June 2018 to September 2018.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program was mainly designed by an improvisation to which the projective techniques were extended. The analysis is described based on behavior change of each subject by using data of in-depth interview, recording, video, photo, creation of the subjects of study , observation diary gather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The study founds that the drama therapy program helped subjects to form a positive self-concept by relieving the main complaint of them.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echnique related to the participants’ reaction has been found during the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oviding data to follow-up studies as a case that confirms the effects of the drama therapy program on forming a positive self-concept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이 연구는 시설보호청소년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자(부록4 참조, p. 71)는 S시 소재의 M보호시설에 거주 중인 10대 중반의 청소년 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2회에 걸쳐 설계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연구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투사적 기법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분석은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된 사전면담, 녹취록, 녹화 영상, 현장사진, 연구대상의 창작물, 회기별 관찰일지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별 행동변화에 근거를 두고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시설보호청소년의 주 호소 증상을 완화시켜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과정에 나타난 연구대상의 반응을 통해 기법에 대한 적용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청소년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사례로써 후속연구에 임상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 정서행동문제 아동의 공감능력을 위한 연극치료 : EPR을 중심으로

        안승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이 논문은 정서행동문제 아동의 공감능력을 위해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자는 S시 소재 J 초등학교 저학년 중 정서행동문제 아동 6명을 선정해 2019년 10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80분씩, 총 12회기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연구대상의 주 호소 문제를 중심으로 정서행동문제 아동의 증후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에 수 제닝스(Sue Jennings)가 창안한 EPR(Embodiment Projection Role) 모델과 공감능력 하위요인을 모두 포함한 발렛–레너드(Barrett-Lennard)의 순환적 공감 모형 5단계를 유기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담당 선생님과의 사전면담, 부모 보고식의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사전검사 대비 사후 검사를 통해 연구대상의 임상적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높였다. 질적 분석 과정은 공감능력 사전사후 척도 검사, 녹화 영상, 녹취록, 회기별 사진, 연구자와 보조치료사의 관찰일지, 연구대상의 창작물 등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근거하여 개인별 행동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정서행동문제 아동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EPR에서 회기별 반응에 변화를 보였다. 놀이와 게임을 연계한 체현(Embodiment)은 연구대상의 정서와 의사소통에, 그림책, 가면, 팽이 등을 활용한 투사(Projection)는 인지와 정서에, 다양한 레파토리를 확장한 역할(Role)은 의사소통에 각각 변화를 불러왔다. 이 과정에서 연구대상은 긍정적 자아개념이 증진됨과 동시에 타인 인식까지 이루어져 상황에 맞는 자기표현이 가능하였다. 매 회기 웜업 과정에서 진행한 반복적인 한 주 돌아보기는 경청과 공감 학습의 효과를 불러와 공감능력 향상의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연구대상의 위축감, 우울감, 공격성, 과잉행동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서행동문제 아동에게 연극치료 적용은 공감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in which a drama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and applied for the empathy of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 researcher selected six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the lower grades of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 city and designed a drama therapy program once a week for 80 minut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9. This program was constructed by considering the symptoms of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nd sub-factors of empathy ability, focusing on the main appeal problem of the study subject. Here, five steps of Barrett-Lennard's empathy cycle model, including both the Embodiment– Projection–Role (EPR) model and the sub-factors of empathy created by Sue Jennings, were organically applied.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clinical criteria of the study subject was increased through pre-interview with the teacher in charge and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of the parent-reported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The qualitative analysis process focused on individual behavioral changes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s such as empathy pre/post assessment test, recorded video, transcripts, session-by-session photos, observation diaries of researchers and assistants, and creations of the study subject.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showed changes in response by session in EPR using various media. Embodyment, which connects play and games, brought changes to the emotions and communication of the study subjects; projection using picture books, masks, and tops; and role, which expanded various repertoires, brought changes to cognition and emotion, respectively. In this proces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ble to express themselves in a way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by promoting a positive self-concept and recognizing others. The repetitive week-long review conducted in the warm-up process of each session brought about the effects of listening and empathy learning,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empathy. In addition, through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K-CBCL,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reduction of atrophy, depression, aggression, and hyperactivity in the study subject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to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mpathy. Key words: drama therapy,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empathy, Sue Jennings' EPR, empathy learning, Barrett-Lennard's empathy cycle m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