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존 로스(J.Ross)의 성경 번역 과정과 번역된 성경에 나타난 한국어의 특성

        홍성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36319

        본 연구는 19세기 말 스코틀랜드 연합 장로교회에서 중국에 파견된 존 로스(1842∼1915)가 한국어로 번역한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1882),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1883), 󰡔예수셩교젼셔󰡕(1887)의 성경 번역 과정과 번역 성경의 수정 과정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양상과 특징을 논의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 자료는 로스역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1882),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1883), 󰡔예수셩교젼셔󰡕(1887)의 ‘누가복음’이다. 로스가 번역한 ‘누가복음’은 1882년, 1883년, 1887년에 각각 세 차례나 인쇄되었으며 각 판본마다 수정된 한국어 사용의 양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로스의 번역 성경이 어떠한 배경 가운데 번역되었는지를 논의하였으며, 로스역 누가복음(1882, 1883, 1887)에 나타난 한국어 특성을 문장, 어휘, 음운·표기의 층위에서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로스역 한국어 성경 번역의 배경과 기반, 그리고 로스역 성경 번역의 기준과 원칙 관하여 논의하였다. 로스역 간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던 존 로스는 본래 1872년 스코틀랜드 연합 장로교회에서 중국으로 파송된 중국 선교사였다. 1876년 그는 중국과 한국의 상인들이 왕래하는 고려문에 가서 이응찬을 만나 그에게서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어 학습서인 󰡔Corean Primer󰡕(1877)를 간행하였다. 이 시기의 한국어 학습은 이후 1882년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를 간행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1882년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가 처음으로 간행되었고, 이듬해인 1882년에 1882년본을 수정한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이 간행되었으며, 1887에는 그동안 번역한 성경을 한 권으로 묶어 󰡔예수셩교젼셔󰡕로 인쇄하였다. 󰡔예수셩교젼셔󰡕가 인쇄되기까지 매킨타이어와 이응찬, 서상륜, 백홍준 등이 조력자로 한국어 성경 번역을 도왔다. 로스는 성경의 저본으로 헬라어 성경과 영어 성경 그리고 한문 성경을 참고하였다. 로스가 참고한 헬라어 성경은 Edwin Palmer가 비평한 󰡔The Greek Testament󰡕(1881)였으며, 영어 성경은 󰡔Revised Version󰡕(1881)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한문 성경 󰡔新約全書󰡕(1853)(이하 󰡔대표자본󰡕)를 저본으로 하였다. 로스역의 번역과정은 1차적으로 한국인 조력자들은 먼저 󰡔대표자본󰡕을 참고하여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그러면 이를 로스와 다른 번역 조력자들이 헬라어 성경 󰡔The Greek Testament󰡕(1881)와 영어 성경 󰡔Revised Version󰡕(1881)과 대비하여 거듭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출간하였다. 로스역의 번역 기준과 원칙은 로스가 스코틀랜드 성서공회와 영국 성서공회와 왕래한 서신의 기록과 이 시기 로스가 투고한 잡지의 기사 자료를 참조하였다. 로스역의 기준이 된 저본은 전술하였듯이 󰡔The Greek Testament󰡕와 󰡔Revised Version󰡕이다. 번역의 방식은 직역을 기본으로 하지만 지역으로 번역된 문장이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이해가 어려울 경우 의역하고자 하였다. 언어문자 사용은 순 한글 표기를 지향하였다. 이 시기 성경과 같은 경서 문헌에서는 국한문혼용체가 보편적으로 하였음을 감안할 때 로스역의 순 한글 표기는 이 성경의 독자가 한문을 하는 소수의 지식인 계층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문을 익히기 어려운 낮은 계층의 부인, 일꾼, 아이들 등을 염두에 두고 번역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언어 문자 사용에 있어서도 고유어 사용 비율이 한자어 사용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표기의 원칙에 있어서는 중앙어 표기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신명 번역은 󰡔대표자본󰡕의 한자어를 따르지 않고 고유어 ‘하나님’을 사용하였다. 3, 4, 5장에서는 로스역 ‘누가복음’에 나타난 한국어의 특성을 문법적, 어휘적, 음운·표기의 층위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문장의 층위에서는 어순과 높임법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초기 번역 성경의 문장은 저본의 영향을 받은 번역투의 문장이 나타났다. 그러나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 󰡔예수셩교젼셔󰡕로 갈수록 자연스러운 한국어의 어순을 고려하여 수정하고자 하였다. 높임법은 주체높임과 청자높임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에서는 주체높임이 잘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예수셩교젼셔󰡕에서는 ‘말하다’류 동사에서 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으)시-’를 사용하여 ‘ᄃᆡ답ᄒᆞ샤되, 갈오샤ᄃᆡ, 일오샤ᄃᆡ, 말ᄒᆞ샤ᄃᆡ’와 같은 형태가 나타났다. 청자높임은 청자와 화자의 화계에 따라 적용하였다. 청자높임은 로스역이 저본으로 삼은 외국어 성경류(󰡔The Greek Testament󰡕(1881), 󰡔Revised Version󰡕(1881), 󰡔대표자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로스는 화자와 청자의 신분 관계에 따른 청자높임을 사용하여 번역하였음을 논의하였다. 어휘 층위에서는 품사별, 어종별, 종교 어휘로 나누어 로스역에 나타나는 어휘의 양상과 특성을 다루었다. 로스역(1882, 1883, 1887)은 고유어 사용 비율 약 60%이상 높게 나타난다. 이는 비슷한 시기 간행된 성경 문헌과 대비하였을 때 로스역의 특징으로 간주할 만큼 높은 수치였다. 로스역에 고유어 사용이 높게 나타난 것은 독자층이 일반 평민 계층이거나 그보다 더 낮은 대상까지도 수용하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종교 어휘의 경우 󰡔대표자본󰡕에 사용된 한자어를 빌려 쓰기도 하였으나 대부분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한자어를 사용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종교 어휘의 경우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에서 여러 용어가 혼용되었던 것이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 󰡔예수셩교젼셔󰡕로 갈수록 어휘를 통일하여 사용하고자 하였음을 논의하였다. 음운·표기의 층위에서는 로스역에 나타난 각 자모의 최소단위를 이루고 있는 자소체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음운의 특징으로 구개음화, 음운의 탈락 등을 통하여 로스역에 사용된 음운·표기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가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으로 수정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음운현상은 ‘ㄷ 구개음화’이었다. 82R에서는 ‘ㄷ 구개음화’ 확산 비율이 0.66%로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83R에 가서는 ㄷ 구개음화 확산 비율이 83.59%로 높게 나타났다. 󰡔예수셩교젼셔󰡕에 가서는 74.38%로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보다 약 9.21%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한자어는 ‘弟’가 ‘뎨’로 반복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ㄷ 구개음화’ 비율이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과 󰡔예수셩교젼셔󰡕에 높게 나타난 것은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에 나타나는 의주 방언을 보편적인 중앙어 표기를 의식하여 수정하고자 하였기 때문임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revealed in the translation and revision process of the first Protestant Bible translated into Korean by John Ross (1842∼1915), a missionary who was dispatched to China from the Scottish United Presbyterian Missio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Ross’s Bible transl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Bible translation. This study will discuss wha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re revealed in Ross’ translation of the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Gospel of Luke)(1882),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데쟈ᄒᆡᆼ젹>>(Gospel of Luke)(1883), and the <<예수셩교젼셔>>(Corean New Testament) (1887), followed by discussing how the sentence structure, vocabulary, and transcription in the three editions of Ross’s Gospel of Luke (1882, 1883, and 1887) were revised under which revision principles. In the sentence structure level, the study mainly deals with word order and honorifics. Issues on the word order shown in Ross’ early translations are germane to the original manuscripts. In the future revisions, the translations were revised to correspond with the word order in the Korean language. Honorifics were the aspects Ross paraphras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mongst honorifics,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superiority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 superiority of the audience. The superiority of the subject is not well shown in the 1882 edition, but it is well shown in 1887 edition, where the Korean pre-final ending ‘(eu)si’ was utilized within the limited range of the “say”-class verbs. The superiority of the audience has been utilized according to the social rank of the speaker and the audience as well as the context. Next, regarding the vocabulary, the study mainly discussed the translation characteristics in each parts of speech, word type and religious vocabulary. Compared to other published works around this period, Ross’ Work was revealed to use 60% more native words. In regards to the usage of religious vocabulary, the study discusses how Ross’ work translated the concepts of Christianity, which were unfamiliar to the people of Chose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1882 edition used an array of expressions to explain each religious vocabulary. This tendency, however, continued to fade in the 1883 and 1887 edition, where both editions moved towards using a single expression to explain each religious vocabulary. The 1883 edition and the 1887 edition showed a tendency to comply with the Chinese characters used in the <<Delegate Version>>. Regarding the phonological and transcription,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grapheme system that represents the smallest unit of each Korean alphabet used in Ross’ Works. Also, the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Ross’ Works through phonological features such as palatalization and elisions of phonemes.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revision shown in the 1883 edition was the palatalization of the Korean alphabet, “ㄷ” (“ㄷ”-palatalization). The “ㄷ” palatalization was virtually non-existent in the 1882 edition. However, the “ㄷ” palatalization accounted for 83.59% in the 1883 edition. In the 1887 edition, the “ㄷ” palatalization has reduced 9.21% points, resulting in 74.38% but it still maintains a high proportion when compared to the 1882 edition. The reason for the “ㄷ”-palatalization frequently appearing in the later versions is that while the 1882 edi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lects, the later editions were revised to reflect the standard language. Thus, the study mainly discussed the process of Ross’ Bible translatio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revealed in the 1882, 1883, and 1887 editions. While translating the bible, Ross emphasized the usage of the Korean orthography as well as the standard language. However, the 1882 edition was revealed to have characteristics of the Uiju dialect, which was far from Ross’ intention. So, in the 1883 e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iju dialect were revised to clos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language. In regards to the sentence structure, the revisions in the 1883 edition reflected the traits of <<Revised Version>> and <<Greek New Testament>>. In regards to vocabulary usage, Ross’ translations have shown a high proportion of native words as well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hen necessary. The religious vocabulary which used a mixture of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in the 1882 edition was revised in the 1883 edition to reach uniformity. In orthography, the “ㄷ”-palatalization which revealed the traits of the Korean dialects was mildly revised to reflect the traits of the standard language.

      •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의 의미 대조 연구

        馮晶晶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 2017 국내박사

        RANK : 236303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의 다양한 의미들을 분석하고 의미 확장 양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각 언어 화자들의 인지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밝히는 데에 있다. 공간 개념이 그 언어의 기본적인 개념을 형성한다는 것은 언어 보편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간 개념 자체는 보편적인 것이지만 공간과 공간 관계를 인지하고 개념화하는 방식은 언어마다 차별성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공간 개념이 언어화되는 양상은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다른 언어 체계에 속하나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까닭으로 공간 개념을 나타내는 데에 있어서 많은 공통점을 보이기도 한다. 본고는 인간이 신체구조에 의해 공간을 개념화하는 방식에 따라 상하, 전후, 좌우, 측위, 내외 및 하위 개념인 표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한국어와 중국어 어휘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다양한 의미들을 대조 연구하였다. 우선 2장에서 본격적인 의미 대조 연구에 필요한 탄도체와 지표, 바탕과 윤곽, 전경과 배경, 참조틀과 시점 등 위치 개념의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봤고, 의미 확장 양상을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인지언어학의 의미 분석 방법론을 살펴봄으로써 대조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들의 공간 의미와 의미 확장 양상을 살펴봤다. 상하 위치 관계어들은 기본적으로 기준점보다 높거나 낮다는 공간 의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탄도체와 지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세분화된 양상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의미는 시간 영역과 추상 영역으로 확장하기도 하는데, 그 과정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개념적 은유의 이론으로 의미 확장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전후, 좌우, 측위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공간 의미와 의미 확장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후 위치 관계어의 공간 의미는 인간의 시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의미는 은유의 기제를 통해 시간과 추상 영역으로 투사하기도 한다. 시간 영역에서는 시간의 선후 순서를 나타내는 데에 한국어와 중국어가 공통점을 보이는데 화자의 개념화 방식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본고는 신체화 이론으로 그런 의미가 보이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좌우와 측위의 위치 개념어의 공간 의미와 추상 의미도 살펴보았는데, 이들의 공간 의미도 신체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위 위치 관계어의 의미에 있어서 한국어가 중국어보다 세분화된 개념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환유에 의해 추상 의미를 나타내는 양상도 관찰되었다. 5장에서 내외와 표리 위치 관계어의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경계’로 구분되는 내부와 외부의 공간을 나타내는 것이 한국어와 중국어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화자들이 공간을 인식하는 양상에 따라 유의 관계를 이루는 다른 위치 관계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내부 공간을 나타낼 때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지, 또한 그 깊이, 폐쇄성, 경계의 모호성에 따라 ‘속’을 선택하기도 한다. 중국어의 경우, 주로 경계의 모호성 정도에 의해 구분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치 관계어의 대립어 사이에 비대칭성을 보이기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현저성의 이론으로 비대칭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 영역의 의미를 비교해 보면, 그 다양한 의미들은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영역 간의 유사성에 의해 일정한 순서나 체계를 지니고 확장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각 영역의 의미 특성을 분석하고, 개념적 은유와 환유의 이론으로 기본의미와 확장의미 간의 관련성을 해석하였다. 의미 확장의 과정에 있어서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들은 공통점을 보이기도 하고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대조 연구는 해당 낱말의 이해뿐만 아니라 공간 개념에 관련된 언어 사용자들의 인지 체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주시경의 언어관

        임영관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1985 국내석사

        RANK : 236302

        Choo Sikyung( 周 時經 1876-1914) was one of prominent scholars in modern Korean history. He established creative theories of the Korean language, brought up many diciples through linguistic education, and began the national anguage movement. His studies were developed mostly on his own and rarely influenced by foreign linguistics or domestic scholars of his time. What enabled him to seek into the Korean language was the result of his early absorption of the new western knowledge and his way of research based on it. For example, he used the theories of English and English grammar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nd revealed his deep interest in various languages of the world in Mangukjiji(World Geography). Especially the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natural science had a great influence upon his method of theorizing the Korean grammar and helped him to from his analytical view of language. His analytical view of language is reflected in the following areas: phonological theories involve i) an acoustic phonetic approach to sounds, ii) the discovery of Kona(고나 ) phoneme and the treatment of complex sound, iii) the discovery of phonemic change Phenomena such as consonant assimilation, final law, and initial law, morphological theories included i) the principle of word classification newly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tiation of full word and form word an important feature of the Korean language, ii) Setting up neutssi( 늣씨 ) morpheme the minimum unit of meaning. In syntactic theories he attempted a hierachical analysis on some levels ranging from ssi( 씨 ) part of speech to deu( 드 ) sentence. He was concerned in political realities when the mation was at stake, and led the social reform campaign and the public education project through the national enlightment movement. His view of language formed at the time was that of the enlightment doctrine. on the whole, Choo Sikyung's most important idea was that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guage would be the way of strengthening the nation. His view of language reflects the belief that language represents Kukseong( 國性 ) (the underlying quality of a nation), that is to say, language is the essence of a nation. That reflects his nationalistic view of language. His followers nurtured by his language education have contributed much to the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His policy about the national language was to realized the exclusive use of Hanguel, the standardization of orthography, the production of new conied words, the compliation of Korean dictionary. Such movements were the manifestation of his view of language that the rediscovery and rehabilitation of national language would be the foundation of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of a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