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안현주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낙담한 초등학생들의 공격성을 낮추고 교우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격려집단상담이 공격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A광역시 소재의 B초등학교에서 6학년 54명을 대상으로 자기낙담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의 상위 30%(16명)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독립변수로 격려집단상담을, 종속변수로 공격성(30문항)과 교우관계(20문항)를 설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추수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낙담한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공격성의 하위요인인 적대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한 달 후 추수검사를 실시한 결과 감소한 적대감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낙담한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교우관계의 하위요인인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친구간의 적응, 친구간의 공동생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친구와의 공동생활의 경우에는 한 달 후 추수검사를 실시한 결과 상승한 친구간의 공동생활 지수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낙담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격성 감소와 교우관계 상승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on the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of discoura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 ways of lowering the occurrence frequency of school violence. For this study, after measuring the self-discouragement inventory(24 questions) through the survey, I tried to measure the aggression(30 questions) and peer relationship(20 questions) of top 30%(16 students) among the 54 target 6th graders from B elementary school of A metropolitan city.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I collected materials using a preliminary, post and later inspection, and analyzed them through the SPSS 24.0. The hypothesis test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aggression of the discoura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hostility, a sub-factor of the aggression. And that lowered hospitality degree stayed after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Secondly,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f the peer relationship of discoura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resence and reliability of friends, the adaption between friends, the co-living with friends. Also, in the case of the co-living with friends, improved the scale score kept the same. Form this examination, we can identify the positive effect of this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lowering the aggression and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 of discoura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아동의 자율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보혜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들의 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자율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D시 소재의 아동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취약계층 아동 5학년 남녀 1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독립변수로 현실요법 집단상담을, 종속변수로 자율성(48문항)과 자기효능감(24문항)을 설정하였다. 본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추수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취약계층 아동의 자율성과 자기효능감 상승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자율성의 하위요인인 자주적인 의사결정, 주장적인 자기표현, 자조적인 행동이행, 성찰적인 자기평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에 대한 태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속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 달 후 추수검사를 실시한 결과 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아동의 자율성과 자기효능감 상승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한 초심청소년상담자의 알아차림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내명옥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examines what kind of awareness experiences a beginner youth counselor had in the youth counseling field. This study explored what kind of internal qualitative change occurs in the adolescent counselo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in the perception experience of the beginner adolescent counsel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vey the researcher's awareness experience and reflection process, which is an inexperienced and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growing up from a novice adolescent counselor to a counseling expert through direct recall records and vivid sto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awareness experience was divided into four kinds of awareness about body sensation, emotion, desire, and inner strength, and the result was deriv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ymptoms such as chest tightness and shoulder lumps experienced in the counseling scene came from the desire to be good at counseling. Second, in the awareness of needs, I aroused a new desire to develop into a grown-up me who can support me and improve my understanding of myself by searching for myself, who is hurt and who lacks confidence, and who wants to run away. Third, in the awareness of emotions, it was found that the unsolved tasks of the researcher caused emotional anxiety, and that the counselor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unseling performance only when the counselor was able to recognize and understand his emotions well. Fourth, in the awareness of inner strength, as the researcher finds out and arouses the unique strength of the client in the role of the youth counselor, the researchers themsels vewere able to recognize that they also have their own inner streng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awareness experience of beginner youth counselors recognizes the sensitivity of counselors and the importance of awarenes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By exploring this awareness experience, self-reflective reflection, practice, and training process It was intended to help many beginner youth counselors who are preparing for youth counseling to understand actual youth counseling and to help relieve anxiety and fear in the counseling field.

      • 상담 장면에서 자평 명리학 용신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연옥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상담과 자평 명리학의 핵심 기운인 용신이라는 기운이 상호 보완하여 내담자와의 원활한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또한 상담자의 자기이해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아, 자평 명리학의 상담에의 접목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서양의 학문인 상담 심리학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가 60년이 지났다. 그러나 학문적인 발전은 이루었으나 실제 상담 현장과는 약간의 시각 차이가 있는 것을 현실적으로 부인할 수 없다. 오늘날 동양문화의 한 부분이자 학문적으로 천년이 넘게 명맥을 이어오는 자평 명리학과의 접목을 통하여 새로운 시각의 접근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신적인 삶을 조명해 온 자평 명리학이 상담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의 운명론적 시각이 아닌, 사람 중심의 이해력을 바탕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에 현재 사람 중심 상담자는 상담이론을 실제 적용하면서 제도와 문화적인 면에 따른 대입과정 상의 문제점 등 명확한 상담기법의 부재와 그에 따른 활용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한 명확한 방안이 없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자평 명리학의 용신을 통해 사람 중심 상담의 문제점들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사람 중심 상담자는 상담이론을 사용하면서 문화적, 제도적인 관점에서 명확한 상담기법의 부재와 적용상의 어려움 등을 겪고 있다. 이러한 명확한 방안이 없는 현실에서 상담학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둘째, 자평 명리학의 음, 양 오행과 명리학의 이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특히 십신에 대하여 좀 더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그 논거는 고서에 이르기를 ‘십신(육친)은 사주의 꽃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그만큼 십신의 중요성을 대변하는 것이다. 사주의 해석, 즉 통변은 십신으로 하기 때문에 십신의 중요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사람 중심 상담자가 자기이해를 참고하기 위하여 자평 명리학 용신을 적용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실제 사주를 통한 사람들의 8가지의 유형의 용신으로 실명조 풀이를 하였다. 정 팔격의 격국에 따라 식신격의 성정에서 나타나는 현상 등의 8가지 용신 격국을 설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의 자기이해를 도우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자와 내담자가 모두 자기 이해력을 높여 원만한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자평 명리학의 용신을 활용하여 상담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끝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를 위한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Japyeong MyeongRI’ on counseling  through discovering if JaPyeong MyeongRi’s key energy called ‘YongShin’ can make the counseling well-performed by mutual complement and if it helps consultant understand himself.  It has been more than 60 years since a western study ‘Counseling Psychology’ has introduced to Korea. However, there can be an academic progress but we can not deny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practical counseling and the study.  I have tried the new approach on the study by relating it with JaPyeong MyeongRi which is a part of Asian culture now and has been retaining its life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which covered Japyeong MyeongRI through a human-centered understanding rather than fatalistic sight of people studying counseling. With this fact, currently a human-centered consultant is having a hard time when applying the counseling theory on practice, because of the absence of defined counsel strategy on institutional or cultural aspects and its practical use. Not given a specific solution on such difficulties, this study covered problem on human-centered conseling through Yonshin of JaPyeong MyeongRi. First, human-centered consultant is having difficulties on applying a certain counseling strategy with its absence in cultural and institutional aspects. With the truth that there is no specific way, I have discovered the concept of Counseling study.  Second, I studied what JaPyeong MyeongRI’s Yin-Yang and Five-Elements is and the theory of MyeongRI. And I did an in-depth analysis on ‘Shipshin’. The basis of that concept lies here. According to an old book, it says ‘Shipshin(Yookchin) is a flower of Saju(fate). It stresses the importance of Shipshin. ‘Tongbyeon’, the interpretation of Saju is done by Shipshin, I studied on the importance of Shipshin. Third, I studied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Yongshin of JaPyeong MyeongRi for a human centered consultant to refer to self understanding. So I sorted 8 types of Yonshin by ‘ShilMyeongJo’ way. I explained 8 types of Yongshin GyeokGuk such as a phenomenon appeared as SeongJeong of Shikshin according to GyeokGuk of Jeong PalGyeok. And through this, I tried to help self understand for both of counselee and consultant. Through this study, I verified the connection between Yongshin of JaPyeong MyeongRi and counseling to make harmonious counseling happen by raising self understanding degree for both of counselee and consultant. Lastly, I have discussed the meaning,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ies.

      • 긍정심리자본과 핵심자기평가가 직무탈진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성구모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많은 시간을 직장에서 보내는 직장인들이 직장생활에서의 만족과 삶의 질로 이어지는 개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긍정심리자본과 핵심자기평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긍정심리자본과 핵심자기평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탈진과 행복에 대한 긍정심리자본과 핵심자기평가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하여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질문지를 작성하여 대전/세종/충남의 공기업과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424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자본과 핵심자기평가가 직무탈진과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고, 행복과는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즉, 긍정심리자본과 핵심자기평가가 직장인의 직무탈진을 경감시키고, 직장인의 행복수준을 높여주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핵심자기평가는 긍정심리자본과 직무탈진 간의 관계와 긍정심리자본과 행복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직무탈진과 행복에 대한 긍정심리자본과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 하였다. 주요어 : 긍정심리자본, 핵심자기평가, 직무탈진, 행복

      •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민기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on the smart phone addiction a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is research included 293 sample of college students in Daejeon, and used self-esteem scale, self-regulation scale, smart phone addiction scale, and anxiety scale for measurement. The research could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self-esteem influenced on smart phone addiction of the college students. Second, self-regulation influenced on the smart phone addiction in general.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pective factors of self-regulation were meaningful for the disorder of daily life, withdrawal symptoms, and tolerance.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which are short period and long period satisfactions, gave negative effects on the disorder and withdrawal symptoms.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on the addi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gative relation of self-esteem with the addiction was stronger with high self-regulation than low. Fourth, self-esteem did not influence on the anxiety of the college students. Fifth, self-regulation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anxiety of them. In addition, both short and long period satisfactions influenced negatively on the anxiety. Sixth,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on the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gative relation of self-esteem with the anxiety was stronger with high self-regulation than low.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self-esteem influenced on the smart phone addiction, but did not influenced on anxiety of the college students while self-regulation influenced on the addiction and anxiety of them. Furthermore,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on the addiction and anxiety of the college students came out to be meaningful.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대전 소재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스마트폰 중독 척도, 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인인 일상생활 장애와 내성에 미치는 회귀모형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인 금단현상에 미치는 회귀모형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이 금단현상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력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전체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통제력의 각 요인들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인인 일상생활 장애와 금단현상, 내성에 미치는 회귀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단기만족추구와 장기만족추구 모두 일상생활 장애와 금단현상, 내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과 부적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대학생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통제력은 대학생의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단기만족추구와 장기만족추구는 모두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불안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불안과 부적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아존중감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쳤으나 불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통제력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불안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상호작용효과와 불안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감정 표현적 글쓰기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최미심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감정 표현적 글쓰기 활동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대전에 거주하면서 문화센타와 복지관을 이용하는 중년여성 19명을 실험집단8명, 통제집단11명으로 나누어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감정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진행 사전과 사후에 자아존중감 척도와 행복 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은 참여하지 않은 중년여성들보다 자아존중감 향상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전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검증에서는 감정표현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이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행복에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사후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검증에서는 감정표현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행복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감정표현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은 참여하지 않은 중년여성들보다 자아존중감과 개인행복이 더 높아졌다. 차이점수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검증을 살펴본 결과에서도 감정표현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이 참여하지 않은 중년여성들보다 자아존중감과 개인행복이 더 높아졌다. 둘째, 감정표현 글쓰기 프로그램의 실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만을 갖고서 검증한 결과 감정표현 글쓰기 프로그램 참여 전 보다 참여한 후에 자아존중감과 행복의 변화에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감정 표현적 글쓰기 활동이 중년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행복의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생애발달 단계 중 전환기에 위치한 중년여성들의 삶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s of writing program for emotion expression on self-esteem and happiness in middle-aged women. For research, 19 middle-aged women who used cultural centers and welfare centers were divided into eight experimental groups and 11 controlled group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writing program,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esting self-esteem and happiness scal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emotional expressive writing programs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happiness than middle-aged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pretest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participating in the writing program for emotion expression. However,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posttest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participating in the writing program for emotion expression. In other words,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program are higher self-esteem and happier than middle-aged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ased on difference scores,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program were higher self-esteem and personal happiness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in order to test effect of writing program for emotion expression,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e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nly. As a result, self-esteem and happiness were higher after participating in the writing program for emotion expression. Findings show writing program for emotion expression help middle-aged women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positively affect happiness. Also, writing program for emotion expression posi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women in transition stag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과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재연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전 소재 인문계고 남학생 1, 2학년 256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 및 학교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김지니, 2011)를 사용하였으며, 이것은 Gryth(1992)가 개발한 (CPIC: The Children's Perceptoi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는 아동기 자녀가 부모의 갈등을 직접 평가하도록 고안된 도구로서 부부갈등과 자녀의 적응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번안하여 타당화 하고 이를 다시 류승희(2000)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것을 사용하였다 더불어, Dubow 와 Ulman(1989)의 사회적 지지 설문지, 박지원(1986), 김명숙(1994)의 사회적 지지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이경주(1997)가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설문지는 학교생활전반에 대한 적응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KEDI(2006)에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 학교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김종백, 김태은(2008)의 학교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수집된 검사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 변량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지만, 부모갈등이 높은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학교생활적응에서 부모갈등과 사회적지지의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호작용효과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학교생활에서 좀 더 적응적이지만 부모갈등이 높은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에 따른 학교적응의 증가폭이 다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학교행복감에서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본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학교생활에서 좀 더 행복감을 느끼지만, 부모갈등이 높은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에 따른 학교행복감의 증가 폭이 다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교생활 적응과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가족과정 변인과 사회·환경 변인의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해 보았다는데 큰 의의를 가지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된 것이 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중학생의 Wee 클래스 상담경험 연구

        윤하늬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ssence and meaning of individual counseling experience through the individual counsel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Wee Class in order to find the basic resources for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individual program of the Wee class. To analyze the statements of study participants in the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adopte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 As for the subjec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6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at Changwon-si were selected (2 males and 4 females). They were selected among students who took more than twice of personal counselling in the individual program of the Wee Class. Two were selected from each school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Teachers in the Wee Class asked the students whether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volunteers were selected. The research data consisted of meaningful content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of the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all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were recorded and all recorded details were directly transcribed f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nalyzed data, the data were verified by 4 participants who could be contacted among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 results consisted of 13 topic groups, 37 topics and 4 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tivations to visit the counseling center varied, but counseling must be voluntary. Participants could start voluntary counseling as they had a time to think of individual counseling with the Wee Class by visiting before the counseling. The voluntary consideration could lead to the actual counseling. Secondly,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urrounding environment for convenient individual counseling in the Wee class. During the individual counseling, several other students visited the center a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interruption of the counseling together with the counseling hour. It found to be necessary to have proper counseling by developing facilities for concentrated individual counseling. Thirdly, the effect of individual counseling could be heightened if the Wee class carried out in line with students. Students took time so that they opened their mind to counseling teachers or to feel the effect of counseling. To expect the effect of individual counseling,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number of session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counseling instead of meeting at a short session. Fourthly, it is necessary to have good counseling teachers who kept confidentiality of the Wee class. Students felt distrust on confidentiality of school counseling. School has to make effort to provide the trust on confidentiality, an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professional quality of counseling teachers and to provide the counseling center environment to concentrate on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qualitative study on the individual counseling in the Wee class. There is absolutely no individual counseling in the Wee class program, but majority was the study on counseling teachers. The various desires on the individual counseling environment could be specified and examined thanks to the qualitative study. And, the Wee class program provided a need of research that examines the sub-group according to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sub-group was studied in line with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ovided as data that enabled to understand the desire of students who received individual counseling and as data to operate of the Wee class and to expand the individual counseling.

      • 학교폭력 경험 학생들의 공감능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가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경하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학교폭력 경험 학생들의 공감 능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가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공감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교폭력 경험 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공감 능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경험은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공감 능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경험은 회복탄력성을 제고시킬 것이다. 셋째, 공감 능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경험은 학교생활 적응을 높여줄 것이다. 연구가설을 확인해 보기 위해 대전 시내 M 중학교 학생 중 희망자나 학교에서 선정한 학생을 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10명씩, 총 20명을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은 공감 훈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은 3주간에 걸쳐 5차시 공감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먼저 각 변수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각 변수의 차이 점수를 살펴보았으며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차이 점수를 비교하였고 t 검증을 통해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교폭력 경험 학생들의 공감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설문지 검사 분석 결과 공감 능력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여 ‘공감 능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경험은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Ⅰ이 지지 되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력의 변화를 확인해 본 결과 프로그램 전·후 검사는 향상되었지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아 연구가설 Ⅱ와 Ⅲ은 지지되지 않았다. 공감훈련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은 타인의 관점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교육 여하에 따라 성취가 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심과 관심 또한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성장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결국, 학생-교사 관계와 공감 능력 향상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하느냐 하는 정책적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에서 교사 역할이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게 되므로 교사를 대상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체험(실습) 위주의 전문적인 연수와 교육을 강화하여 학생-교사 관계의 질적인 향상을 추구하고, 학생의 공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한다면 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행복하다고 느끼면 학교폭력, 청소년 비행과 자해 등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청소년 문제에 대한 교육적 실마리가 제공되리라 기대해 본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반화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의 수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지역과 다양한 학교급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 등 표집 대상을 다양하게 확대하고 여러 환경에서의 통계적 변인을 감안하여 조사와 변인 통제를 철저하게 한 조건에서의 실험연구를 병행해야 할 것이다. 올해처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해 학교 적응력이 점점 낮아지는 상황에서는 변인 통제가 무엇보다 절실하게 필요하였다. 또한 누가 공감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느냐에 따라 지도자 효과가 나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학생들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표방하고 관찰함으로써 체득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지도자 자신부터 올바른 역할 모범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담 지도자는 지속적인 노력과 자기 연찬으로 학생들에게 모범적인 모습을 보여줘야한다. 끝으로, 학교폭력 경험 학생들의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학교생활 적응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면 학교생활 적응력과 회복탄력성을 교육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향상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인지 정잭적 대응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공감능력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여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교육정책 지원을 통해 학교폭력 경험 학생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이 공감 능력과 회복탄력성, 학교생활 적응력을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학생들은 학교생활 적응력과 회복탄력성이 증가되어 교사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교육의 선순환 이 이루어질 것이다. * 주제어 : 공감 능력 향상 프로그램, 공감 능력, 회복탄력성, 학교생활 적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