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시설 입소노인에 사회적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신소홍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대상자에 대한 변수와 사회적 지지(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죽음·불안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구시와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300명의 노인이 선택되었고, 본 연구의 목적과 의도를 완전히 이해하고 승낙한 상태에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인터뷰는 일반적 특성(11문항), 사회적 지지(정서적 지지 7문항, 물질적 지지 6문항, 정보적 지지 6문항, 평가적 지지 6문항) 그리고 죽음·불안(20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서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정서적 지지는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는 선택안의 번호가 높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반영되고, 연령은 높을수록,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입소기간은 길수록 낮은 정서적 지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배우자, 입소 전 동거형태, 입소시설 유형은 정서적 지지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물질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물질적 지지는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적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입소시설의 유형이 너싱홈일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높을수록, 건강이 좋을수록, 입소기간이 길수록 물질적 지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종교, 배우자, 입소 전 동거형태는 물질적 지지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보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정보적 지지는 연령이 높거나 건강상태가 건강할수록 낮게 나타나고, 입소 전 동거형태에서는 독거보다는 부부나 자식과 함께 생활할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학력, 종교, 배우자, 가족관계, 입소기간, 입소시설의 유형과는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평가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평가적 지지는 연령이 높거나, 배우자가 없거나, 건강상태가 좋거나, 입소기간이 길수록 평가적 지지는 낮아지며 경제적 수준이 여유롭거나 입소시설의 유형이 병원보다 요양원이나 실버타운 쪽일수록 높아진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평가적 지지에서 연관성이 적은 것은 성별, 학력, 종교, 입소 전 동거형태, 가족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의 연관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의 연관성은 연령이 높거나 학력이 높으면 죽음․불안의 정도는 낮게 나타나고, 입소 전 동거형태에서는 독거보다는 부부나 자식과 함께 생활한 경우, 경제수준이 높거나, 입소기간이 길수록 죽음․불안의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에서 연관성이 적은 것은 성별, 종교, 배우자 유무, 건강상태, 가족관계, 입소시설유형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죽음·불안과 사회적 지지와의 연관성 물질적 지지가 높을수록 죽음과 불안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적 지지의 점수가 높을수록 죽음·불안의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는 죽음·불안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적 지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죽음·불안에 대한 공포는 더 줄어든다. 둘째, 정보적 지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죽음·불안에 대한 공포는 더 높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죽음·불안에 대한 임상적 치료에 특별한 의미를 가질 것이며, 요양시설에서 대상자를 돌볼 때 의미있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 농촌에서의 경로당 이용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후자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 산업화의 특징인 인구의 도시 집중화와 핵가족화 그리고 평균 수명의 연장과 노인 인구의 급증은 긴 노령기를 맞이하는 현대 노인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과 사회로부터 역할 상실로 인하여 외롭게 보내야 하는 노인들의 여가 문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관심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복지 시설 중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경로당에 관하여 살펴봄으로 향후 노인 복지 발전과 노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높이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면)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65세 이상인 노인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안동시 전체 경로당 수는 493개소이며, 그 중 안동시농업기술센터에서 농촌건강장수마을로 선정된 3개 마을 152명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 도구를 완성하기 전 2011년 7월 7일부터 7월14까지 1주간 20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문항 분석과 신뢰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한 후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여 2011년 8월 5일부터 8월 30일까지 연구자가 안동시 면 지역의 경로당을 직접 방문하여 개별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for Windows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로당에서 운영한 인기 있는 프로그램, 경로당이 지역 노인에게 주는 혜택과 공동 소득 작업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로당의 이용 실태, 경로당 시설의 문제점, 경로당 여가 프로그램, 경로당의 기능, 경로당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집단 간의 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검증과 t-test 및 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부분적으로 응답하지 않은 자료는 제외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152명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포를 보면 성별은 남자 38.8%, 여자 61.2%였고, 연령은 70세 미만이 33.6%, 70세 이상이 66.4%로 70세 이상이 높았으며, 학력 수준은 무학이 53.9%, 국졸 이상이 46.1%로 나타났다. 건강 상태는 ‘나쁘다’가 36.8%이었고, ‘보통이다’가 40.8%, ‘건강하다’가 22.4% 이었으며 동거 형태는 부부 및 독거가 80.9%이었고, 가족 동거가 19.1%이었다. 월 용돈은 15만원 미만이 38.8%이었고, 15~20만원 미만이 29.6%, 20~35만원 미만이 31.6%이었다. 둘째, 경로당 이용 실태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로당 이용 이유는 성별, 학력, 건강 상태, 월 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이 낮고, 건강하고, 소득이 15~20만원 미만인 여성이 ‘친구를 만날 수 있어서’ 라는 사교적인 이유에서 경로당 이용률이 높았으며, 남자의 경우 취미, 오락을 위해 경로당을 찾는 이유가 높았다. 경로당에 머무는 시간은 5시간미만이 대다수였고, 점심 식사 해결 방법은 대부분 집에서 식사 하거나 경로당에 놀다가도 집에 가서 식사를 해결하였다. 점심 식사 방법은 월 용돈이 15만원 미만이 집안에서 식사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0~35만원 미만이었고, 다음으로 15~20만원 미만으로 집안과 집밖의 식사는 월 용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개인적인 취향이 많이 반영됨을 알 수도 있었다. 경로당 이용 후 노후 생활 만족도는 성별, 학력, 건강 상태에 따라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로당 이용 만족도는 학력이 낮고 건강 상태가 좋은 여자일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또한 건강 상태가 나쁘고 학력이 낮은 여자 경우 불만족도 높았다. 경로당 이용 후 노후 생활의 도움 정도의 차이를 보면 ‘이웃과의 관계가 원만해졌다’가 6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서’가 23.0%, ‘가족관계 원만과 여가 활력’이 14.5%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건강이 좋을수록 이웃과의 관계도 원만해 졌다고 느꼈다. 셋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경로당 문제점으로는 재정 지원 부족과 화장실 시설 불편, 경로당 공간 협소, 시설 노후, 여가 및 오락 프로그램 부족, 취사도구 부족 순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경로당의 문제점은 70세 이상의 노인이 70세 미만보다 심각하게 생각하여, 이는 70세 이상의 노인이 경로당 이용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경로당 여가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노래교실, 게이트볼, 건강, 교양강좌, 스포츠댄스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건강한 노인일수록 프로그램 운영에 만족도가 높았다. 그중 가장 있기 있는 프로그램은 건강교양강좌, 노래교실, 장기, 바둑, 게이트볼 순이었다. 다섯째, 경로당의 기능은 ‘사랑방 역할’, ‘건강 관리 장소로 기능’, ‘프로그램 제공 장소로 기능’ ‘여가 프로그램 제공 장소’로서의 기능 순이었으며 경로당의 개선 사항을 보면 ‘관리 및 운영비지원’ 희망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건물 개․보수, 무료 중식 제공, 프로그램 운영 희망, 상담사 배치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경로당 명칭 변경에 대한 견해를 보면 기존 경로당 명칭 고수가 68.3%로 절대적으로 높아 변화를 싫어하고 기존 것을 The features of the contemporary industrialization such as the centralization of the population to cities, the increasing trend of nuclear family and the increasing life expectancy along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population, are yielding more difficulties for the elderly population who are expected to go through long period of their old ages, and especially, as for the problem of the leisure times of elderly population who are often discouraged by losing their roles from their family and society, more attentions from the society is desperately demanded. Accordingly, we will examine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at are mostly prevailed among senior community facilities in our country, and contents like the following is cov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draw more attentions from the society. Thus, this research has selected the 152 people who are more than 65 years old (3 towns selected by Andong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s the Rural Health and Longevity Vill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usages-phenomenon of the senior citizen centers by the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Before completion of the investigation tools of this research, we had performed the pre-survey based on 20 people as the models for a week from July 7th to July 14th of 2011. Through the pre-survey, we had analyzed the questions and investigated credibility, and based on the result, we had modified the questionnaires and took them to visit and performed the individual interview investigations when they visited the senior citizen center located in local area of Andong-Si from August 5th to August 30th of 2011. We hav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PC for Windows 10.0 Program, and we have gener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s to understand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popular programs managed from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e benefits that the centers provide for local elderly people, and joint-income work, and additionally, we also have executed x2 inspection, t-test, and ANOVA in order to study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earch subjects, usages of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e problems in the center facilities, the centers’ leisure programs, the functions of the cent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the activation policies of the centers. We have partially eliminated some data that were not answered. First, as for the gend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of 152 research subjects, 38.8% were men and 61.2% were women, and as for the age distribution, 33.6% were less than 70 whereas 66.4% were higher than 70, and as for the educational background, 53.9% had no schooling, whereas 46.1% at least finished elementary school studies. As for the health condition, 36.8% mentioned their health condition was bad, 40.8% mentioned it was moderate, and 22.4% mentioned that they were healthy, and as for the form of living, 80.9% were either with their spouse or single, whereas 19.1% lived with family. As for the monthly allowance, 38.8% had less than 150,000 Won, 29.6% had between 150,000 ~200,000 Won and 31.6% had less than 200,000 ~ 300,000 Won. Second, the reasons for using the senior citizen centers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reflected notable differences based on factors lik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allowance, and it showed that a woman who had low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y, and received 150,000 ~ 200,000 Won for her income, had the high rate of using the center because “they can meet their friends”, whereas as for the men, they used the center for sharing hobbies, and playing games. As for the length of staying time in the center, most of them stayed less than 5 hours, and they either had their lunch at home, or just went home for lunch while they were in the centers. As for the method for eating lunch, those with monthly allowance of less than 150,000 Won had the highest rate of eating lunch at home followed by those with 200,000 to 300,000 Won, and then those with 150,000 to 200,000 Won, and we could understand that eating outside or at home depended on the monthly allowance and also that personal tastes were reflected a lot as well. As for the retirement satisfaction, it showed notable difference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on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condition. As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using the centers based on general traits, women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good health condition were highly satisfied whereas women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bad health condition had high degree of unsatisfaction. As for the degree of how much the centers helped the life after retirement, 62.5% mentio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 got better’, and 23.0% mentioned that they could ‘obtain information’, and 14.5% replied that they could ‘release tension with their family and have entertainment’. Overall, as the health condition got better, they had better relationship with neighbors. Third, the problems of the centers based on general features ranged from lack of financial support followed by inconvenience in using restroom facilities, narrow space, old facilities, lack of entertainment and leisure program, and lack of cookwares in order, and those who were older than 70 years old believed this to be much more serious than those who were under 70 years old, and this reflects that there are more people who are more than 70, who take advantage of the centers. Fourth,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leisure program of the centers, the result ranged from singing class followed by gate-ball, lectures health (exercise), lectures on general studies, and sports dance in order, and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on general features, men were more satisfied than women, and those with good health condition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with poor health condition. Among them, the most popular program was

      •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재이용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선희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서비스품질에 관한 이론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에 병원, 호텔, 금융, 소매업 등의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교육 분야의 연구는 대부분 대학교의 고등 교육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부모와 유아교육기관은 유아의 성장발달과 교육에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유아의 발달과 학습에 공동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에 부모들의 참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기관에 대해 부모가 올바르게 인식하고 판단하며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주는 것은 유아교육기관의 매우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부모가 유아의 발달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하면서 유아교육기관과 교사에 대한 긍정적 관계형성을 통해 신뢰감을 형성하고 유아의 발달과 학습의 향상,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방향 및 운영방침을 더욱 자세하게 알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들의 현재 유아교육기관의 서비스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0년 8월부터 9월까지 대구광역시 서구에 거주하는 학부모 236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신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신뢰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물리적 환경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물리적 환경은 성별, 연령, 월 평균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물리적 환경이 5점 만점에 3.37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사의 신뢰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사의 신뢰는 성별, 연령, 월평균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5점 만점에 3.46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원방법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원방법은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5점 만점에 4.27점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가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가치는 성별, 직업,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5점 만점에 3.24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6.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의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의사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계재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는 이론적 모형으로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 소득수준, 지각된 유익성, 장애성, 구강증진행위의도,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지역사회환경요인들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지역은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주민 중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자의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한 주민 중 4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에 동의한 주민들에게 자가 평가 기입형 설문지를 배부하고, 설문지를 직접 작성하게 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분석 목적에 맞추어 다음과 같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로부터 각 연구도구들의 신뢰성과 각 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첨도와 왜도, t-test와 ANOVA(분산분석)등의 자료는 SPSS18.0을 이용하여분석하였다.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모형검증은 AMO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차이는 학력, 배우자 유무, 월 평균소득 그리고 흡연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는 5점만점에 2.93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차이는 학력과 배우자 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주관적 과거 구강건강관령행위는 5점만점에 3.15점이었다. 즉 학력이 높고 배우자가 있는 응답자들의 구강건강관련행위가 높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유익성의 차이는 학력요인만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지각된 유익성은 5점만점에 3.73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력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이 높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애성의 차이는 학력, 월 평균소득 그리고 흡연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장애성은 5점만점에 2.57점으로 평균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증진행위의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음주 그리고 흡연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구강증진행위의도는 5점만점에 3.42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를 보였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음주요인만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자기효능감은 5점만점에 3.18점으로 평균이상을 보였다. 7.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연령, 배우자 유무 그리고 월 평균소득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5점만점에 3.67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를 보였다.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환경의 차이는 학력, 배우자 유무, 월 평균소득 그리고 음주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지역사회환경는 5점만점에 2.96점으로 평균정도의 점수를 보였다. 9.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학력, 월 평균소득, 음주유무 그리고 흡연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구강건강증진행위는 5점만점에 3.34점으로 평균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10. 연구모형의 분석 연구모형에서 표준화된 경로계수는 지각된 유익성의 경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요인이었다. 장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소득수준 그리고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요인이었다. 구강증진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 구강건강관련요인이었다.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 구강건강관련요인이었다.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요인이었다. 지역사회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소득수준 그리고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식생활 실천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인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 장애성, 사회적지지 그리고 지역사회환경요인이었다. 즉, 구강건강증진행위는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를 잘하고, 장애성이 낮고, 사회적지지 그리고 지역사회환경이 좋을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75.8%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activities for oral health promotion i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income level, perceived benefit, impairments, intention of activities on oral health promot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as a theoretical model to measure activities for health promotion. Also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bout oral health. The subjects are 436 resi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once we explained the purpose of survey amo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ho live in Busa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fter they filled in by themselv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ollected data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analysis as below.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o get the reliability of each analysis too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and Kurtosis and skewness, t-test and ANOVA (analysis ofvariance). AMOS win 18.0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for activities of oral health promotion and results from path analysis are following. 1.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 education, presence of spouse, monthly income and smoking status. Overall,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as 2.93 on a 5-point scale. 2.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in education and presence of spouse. Overall, subjective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was 3.15 on a 5-point scale.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had higher education level and a spouse had more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3.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perceived benefit only in education. Overall, perceived benefit was 3.73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the higher points. The higher education, the more perceived benefit. 4.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impairments in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smoking status. Overall, impairment was 2.57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the lower points than the average. 5.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intention of activities on oral health promotion in gender, age, drinking status and smoking status. Overall, intention of activities on oral health promotion was 3.42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very higher points. 6.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self-efficacy only in drinking status. Overall, self-efficacy was 3.18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higher points than the average. 7.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social support in age, the presence of spouse and average monthly income. Overall, social support was 3.67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very higher points. 8.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community environment in education, the presence of spouse, average monthly income and drinking status. Overall, community environment was 2.96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almost the average points. 9.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statistical differences of activities of oral health promotion in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drinking status and smoking status. Overall, activity of oral health promotion was 3.34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higher points than the average. 10. Analysis of Research Model In this model,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 showed significant factors in the perceived benefits wer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s in impairments wer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come level, and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 in activity of oral health promotion was the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 in self-efficacy was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s in social support wer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s in community environment wer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come level,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and dietary activity. Finally, significant factors in activity of oral health promotion that was a dependent variablewere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impairments,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 In other words, activities of oral health promotion showed the better as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was done more, impairments were lower,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 were bett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75.8%.

      • 미용직업훈련학교 NCS기반 계좌제과정과 일반과정의 효과성 비교

        이연숙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NCS기반 계좌제과정과 일반과정의 효과성(자격증 취득과 취업)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경상북도 중소도시에 위치한 모 직업전문학교에서 미용사(헤어)국가자격증과 미용사(네일)국가자격증을 계좌제과정(국비)으로 이수한 수강생 245명과 과 일반과정(자비)으로 이수한 수강생 314명 총 5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수강생대상으로 살펴보았을 때 수강생들의 교육수준이 높고, 수강일수가 길며, 출석률과 수강생의 기대일치도가 높을수록 자격증 취득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수강생을 구별하여 살펴보면, 계좌제과정 수강생들과 일반과정 수강생들은 동일하게 교육수준이 높았으나, 계좌제과정 수강생들은 수강일수가 길수록 수강생의 자격증 취득이 높고, 일반과정 수강생들은 출석률이 길며 수강생의 기대일치도가 올라 갈수록 수강생들의 자격증 취득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취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자격증 취득여부였다. 자격증 취득여부는 미용 산업현장에서 실무자로 근무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다. 현대 우리 사회는 각 분야의 전문성을 중요 시 하고 지식, 기술, 태도를 바탕으로 전문성에 대한 필요도가 높아 짐에 따라 직업훈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직업훈련 과정을 이수함과 동시에 각 분야의 자격증 취득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미용 직업능력개발훈련 수강생들과 일반 수강생들의 취업에 있어서 위와 같은 전문 능력을 발휘하고, 전문적인 기술인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직무수행에 있어서 필수적인 전문지식, 기술, 태도 중 ‘전문지식과 기술’은 계좌제과정과 일반과정 모두에서 충족되어 자격증취득률을 높일 수 있으나, 직업의식에 해당되는 ‘태도’의 부분에서 일반과정은 목적의식만으로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였고, 계좌제과정은 직업훈련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자격증 취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직업의식 개선을 위한 기초소양교과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격증 취득한 수강생이 산업현장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직업훈련기관에서는 전문인력 양성에 더욱더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NCS- account system process and general course in beauty vocational training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16 to 2019 at a vocational school located in a small and medium city in Gyeongsangbuk-do, with a total of 559 trainees, 245 trainees who completed the hairdresser's national license and hairdresser's national license as an account-making process (government expense) and 314 trainees who completed the general course (compa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the subject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trainees, the longer the number of days of classes, and the higher the attendance rate and the expectation congruence of the trainees, the higher the acquisition of the license. In terms of the trainees, the trainees in account-making courses and general courses had the same level of education, but the longer the number of days of the course, the higher the certification of the trainees, the longer the attendance rate of the trainees in general courses, and the higher the expectation congruence of the trainee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mployment was whether to acquire a license. Acquisition of licens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working as a practitioner in the beauty industry. As our society has a high need for expertise based on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mand for vocational training, complete the vocational training course, and acquire the skills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as well as acquire the qualifications of each field, so that the trainees of beauty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and general trainees can demonstrate the above professional skills and gain recognition as professional technicians.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amo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essential for job performance can be satisfied in both the account making process and the general course, and the certification acquisition rate can be increased. However, in the 'attitude' part of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the general course can acquire the certification only with the purpose consciousness, and the account making process can acquire the certification due to the program called vocational tra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basic literacy curriculum to improve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government and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nurture professional manpower so that the trainees who have acquired the certification can be used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in the industrial field.

      • 발효커피의 항산화활성과 영양성분 및 카페인 분석

        우성욱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is study, the experiments such as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nutrients contents and the caffeine contents comparison, etc. with the coffee fermented in the solid state and the non-fermented general coffee were performed by inoculating the 2 kinds of coffee (Lampung of Indonesia and Yirgacheffe of Ethiopia) with the 3 kinds of mycelia (Phellinus linteus, Ganoderma lucidum and Monascus urber). In the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for total polyphenol, IL-P-ur, which was fermented the Lampung of Indonesia without roasting process in the solid-state with Phellinus linteu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158 mg/g and followed by the sample (EY-P-ur) having 150 mg/g, which was fermented the Yirgacheffe of Ethiopia with Phellinus linteus without roasting process. In case of roasting both coffees after solid state fermentation, the polyphenol content was increased the most in the samples, which fermented both coffees with Phellinus linteus in the solid state, and it was increased by about 40% in the IL while it was increased by about 88% in the EY. I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flavonoid contents in the samples, as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of 70.33 was measured in EY-P-ur and 57 mg/g was measured in IL-P-r, the significantly increase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han in the non-fermented coffees (IL:23.333, EY: 13.67 mg/g). For DPPH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i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ffee extract from the coffee fermented in the solid state after roast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non-fermented coffee was measured the highest in the range of concentrations investigated,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reduced in the order of Phellinus linteus, Monascus urber and Ganoderma lucidum regardless of coffee type. Fo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case of the Yirgacheffe coffee fermented in the solid state, the relatively hig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sample fermented in the solid state using Monascus urber, than in the sample not fermented. In case of general ingredient anal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xtracted liquid coffee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In case of the fee sugar, none was detected in the liquid coffee regardless of the fermentation. In the mineral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calcium was increased by 3 times in the Yirgacheffe of Ethiopia fermented using Phellinus linteus regardless of roasting, and in case of Lampung coffee of Indonesia, more than 3 times of content increase were detected only in the fermented coffee without roasting. In case of the calcium, for which largest content was detected, the small increase and decrease were detected in the fermented coffee and the calcium content in the Lampung coffee of Indonesia with Monascus urber than in the non-fermented coffe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benxopyrene content, it was not detected in all the samples measured, and in case of caffeine, it was observed that in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brewed coffee fermented in the solid state using Phellinus linteus, Ganoderma lucidum and Monascus urber, the caffeine content was reduced greatly both in Yirgacheffe of Ethiopia and Lampung of Indonesia compared to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non-fermented brewed coffee. In case of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Yirgacheffe coffee of Ethiopia, it was observed that the 84~95% of caffeine was reduced according to the type of mycelia and the 64~91% of caffeine content reduction was detected in the hot water extract of Lampung coffee of Indonesia, too. 최근 새로운 차 문화인 커피의 소비가 증가되면서 맛과 향이 더 좋은 커피를 찾기 시작하였고 항산화물질 및 카페인성분 등 건강에 더 좋으면서 해로운 성분이 적게 포함되어 덜 해로운 커피를 만들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루왁 커피를 들 수 있는데 이 커피는 사향고양이가 커피를 먹어 소화기관을 통해 발효된 커피를 말하며 일반 커피보다 향과 맛이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만큼 생산하는 양이 많지 않고 발효되는 과정이 어렵기 때문에 기업들도 쉽게 다가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커피(인도네시아 람풍, 에디오피아 예가체프)에 3종류의 균사체(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 Ganoderma lucidum과 홍국균 Monascus urber)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시킨 발효커피와 발효하지 않은 일반커피로 항산화활성 분석, 영양성분, 카페인 함량 비교 분석 등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 분석 중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는 커피 종류 인도네시아 람풍을 로스팅 하지 않고 상황버섯으로 고체 발효한 IL-P-ur에서 158 mg/g의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는 에디오피아 예가체프 커피를 로스팅 과정 없이 상황버섯으로 고체 발효시킨 샘플(EY-P-ur)에서 150 mg/g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두 종류의 커피 모두가 고체 발효 후 로스팅 한 경우 상황버섯 균사체로 고체 발효한 시료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여 IL의 경우 대략 40%의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고, EY의 경우는 대략 88%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시료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EY-P-ur에서 70.33 mg/g의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는 IL-P-r이 57 mg/g으로 높게 측정되어 비발효 커피(IL: 23.33, EY: 13.67 mg/g)보다 월등히 증가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측정되었다. DPPH radical 소거 능력의 경우 발효되지 않은 커피 샘플의 경우 커피 종류에 따른 DPPH radical 소거활성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측정된 농도범위(250~1000ppm)에서 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도 확인되지 않았다. 로스팅 후 고체 발효된 커피 추출액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는 조사된 모든 농도 범위 (250~1000 ppm)에서 발효되지 않은 커피 샘플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커피 종류에 상관없이 상황버섯>홍국균>영지버섯 순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감소하였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의 경우 발효하지 않은 두 종류 커피의 농도별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상황버섯 균사체에 의해 고체 발효된 람풍 커피 추출액은 발효되지 않은 추출액과 거의 유사한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나, 영지버섯 또는 홍국균 균사체를 이용한 고체 발효 추출액의 경우는 발효되지 않은 추출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확인되었다. 고체 발효된 예가체프 커피 추출액의 경우 홍국균 균사체를 이용한 고체 발효 샘플에서 발효되지 않은 샘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상황버섯이나 영지버섯 균사체 발효 샘플은 상대적으로 낮은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확인되었다. 일반성분 분석의 경우 추출을 한 액상커피에서는 발효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리당의 경우도 발효 유무에 상관없이 액상커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무기질 함량 분석 결과 발효되지 않은 두 종류의 커피 모두에서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게 확인되었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칼슘>나트륨>철>알루미늄 순이었다. 칼슘의 경우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에디오피아 예가체프 발효커피에서 로스팅의 유무에 상관없이 칼슘의 함량이 대략 3배정도 증가하였고, 인도네시아 람풍 커피의 경우는 로스팅하지 않은 발효커피에서만 3배 이상의 함량 증가가 확인되었다. 가장 많은 함량이 확인된 칼륨의 경우 발효커피에서 소폭의 증감이 확인되었으며, 홍국균으로 발효한 인도네시아 람풍 발효 커피에서 발효되지 않은 커피에 비해 칼륨의 함량이 2~3배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벤조피렌 함량 분석결과 측정된 모든 시료에서 벤조피렌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벤조피렌 생성에 충분한 300℃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열원방식이 직접 불이 가해지는 방식이 아닌 전기적인 열풍방식으로 원두를 로스팅하면서 벤조피렌이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카페인의 경우 상황버섯, 영지버섯 그리고 홍국균 균사체를 이용한 고체발효 원두커피 열수추출물에서 비발효 원두커피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에디오피아 예가체프와 인도네시아 람풍 커피 모두에서 카페인 함량이 큰 폭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디오피아 예가체프 커피 열수 추출물의 경우 균사체 종류에 따라 84~95%의 카페인 저하가 확인되었으며, 인도네시아 람풍 커피 열수 추출물에서도 64~91%의 카페인 함량 저하가 확인되었다.

      • 기린초의 일반성분 및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박지혜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선행 연구가 미진한 기린초의 식품학적 특성 및 기능성 물질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린초의 일반성분 함량 및 항산화성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1. 기린초의 일반성분 함량 측정 결과 수분은 지상부 87.68%, 지하부 60.91%였고 pH는 지상부, 지하부 각 5.10, 5.49로 측정되었으며, 당도는 지상부, 지하부 각 0.47Brix, 0.67Brix로 측정되었다. 탄수화물은 지상부 11.11%, 지하부 36.38%, 조지방은 지상부 0.84%, 지하부 1.21%, 조회분은 지상부 0.16%, 지하부 1.18%, 조단백은 0.20%, 지하부 0.32%로 전체적으로 지하부의 일반성분 비율이 지상부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지상부 폴리페놀 함량은 1.04 mg/g, 지하부 폴리페놀 함량 1.33 mg/g으로 측정되었고, 무기질은 지하부에서 Ca은 1007.76 mg/100g, Fe은 52.14 mg/100g, Al은 80.51 mg/100g으로 눈에 띄게 높았는데 이는 토양 속 많은 무기질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2. 기린초 추출물의 부위별 수율의 결과 지상부는 열수보다 에탄올이 높았고, 지하부는 열수가 에탄올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상부 열수 추출물 1.47 g/100g, 지하부 열수 추출물 1.80 g/100g,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 1.71 g/100g, 지하부 에탄올 추출물 1.80 g/100g 함유되어 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전자공여능도 높았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더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지상부보다 지하부가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소거능 효과가 높았다. SOD 유사활성은 지상부보다 지하부가,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는 지하부가 열수, 에탄올 추출물 모두 1,000 ㎍/mL 농도에서 52%의 저해효과를 보여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물의 저해효과가 전체적으로 높았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열수보다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 효과가 높게 측정되었고 환원력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지상부보다는 지하부가, 열수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로 미루어 보아 정원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린초에는 대체로 지상부보다 지하부가 유용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른 산채류들보다 Total polyphenol 함량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도 높은 결과값을 보였다. 따라서 기린초는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우수한 능력을 갖추었다고 생각된다. 이를 통해 전국 농가에서 기린초의 생산을 재개하여 물질적으로 보탬이 되고,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현대 사회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에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contents of the general components of Sedum kamtschaticum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as part of a study on its food scienc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substances with insufficient preceding studies. 1. The general components of Sedum kamtschaticum in its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were meausred as follows: 87.68 and 60.91% respectively for water; 5.10 and 5.49 respectively for pH; 0.47 and 0.67 Brix respectively for sugar contents. Ratios of the general components measured in the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were as follows: 11.11 and 36.38% respectively for carbohydrate; 0.84 and 1.21% respectively for crude fat; 0.16, 1,18% respectively for crude ash; 0.20 and 0.32% respectively for crude protein. Overall, the ratios of the general components measured in the underground part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aerial part. Moreover, polyphenol content in the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was measured as 1.04 and 1.33 mg/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minerals, Ca, Fe, and Al content in the underground part was remarkably high at 1007.76 mg/100g, 52.14 mg/100g, and 80.51 mg/100g respectively, which seems to have been affected by many minerals in the soil.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yield of extracts of Sedum kamtschaticum in each part, the yield of ethanol extracts was measured higher than that of hot water extracts in the aerial part, whereas the opposite aspect happened in the underground part. Total flavonoid contents in the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was as follows: 1.47 and 1.80 g/100g respectively for hot water extracts; 1.71 and 1.80 g/100g respectively for ethanol extracts. Electron donating ability showed the following measurement results as the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s got higher: Electron donating ability became higher.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hot water extrac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of ethanol extract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the part than in the aerial part, and both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had a high scavenging effect in low concentrations. SOD like activity in the underground part was higher than in the aerial part, and SOD lik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was measured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of ethanol extracts.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inhibition effects on xanthine oxidase of both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underground part were exceptionally high with the inhibition effect of 52% at concentration of 1,000 ㎍/mL, and those of the extracts got generally higher as their concentrations increased. Inhibition effects on tyrosinase were measured higher in ethanol extracts than in those of hot water, and as the concentrations increased, reducing power got higher while it was measured higher in the underground part and ethanol extracts than in the aerial part and hot water extracts respectively. In summery, Sedum kamtschaticum being widely used as a garden tree generally contained effective components more in the underground part than in the aerial part, and it showed higher result values not only in total polyphenol contents, but i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wild vegetables. Therefore, Sedum kamtschaticum is thought to have an excellent ability as a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It is expected from this study that Sedum kamtschaticum will be a great boon to farmers all over the country by resuming its production and be used for creating a new food in the modern society by using it as a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 국내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관한 연구

        전상민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국내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의 조사, 분석에 있으며, 구체적 목적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우울의 차이를 파악,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의 상관관계를 분석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따른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서울, 부산, 대구 등의 9개 지역에 있는 대기업으로 분류된 7개 국내 제약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제약회사 영업사원 249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3개월간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의 차이 비교에서 유의한 항목은 없었으며,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감정노동 점수는 2.51이었다. 감정노동의 하부요인에서 ‘감정조절의 요구 및 규제’ 점수가 3.07로 가장 높았으며, ‘조직의 감시 및 모니터링’ 점수가 1.97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분석 결과 성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2.20이었다. 직무스트레스 하부요인에서 ‘직무불안정’은 점수 2.51로 가장 높았으며, ‘조직의 감시 및 모니터링’은 점수 1.97로 가장 낮았다.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우울은 0.61 이었으며, 일반적 특성 중 성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우울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도 우울에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우울감 사이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제약회사 영업사원들의 직무적성 및 정신보건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depression among sales representatives in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speci c objectives are to identify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depress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understand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depression with job stress as a mediating factor.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three months from July 1 to September 30, 2023, targeting 249 sales representatives working in seven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classi ied as major enterprises in regions including Seoul, Busan, and Daegu.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no signif 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overall emotional labor score for pharmaceutical sales representatives was 2.51.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showed that the 'demand and regulation of emotion' had the highest score of 3.07, while 'organization surveillance and monitoring' had the lowest score of 1.97. Analysis of differences in job stres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 cant differences in personality, with an average job stress score of 2.20. Sub-factors of job stress indicated that 'job instability' had the highest score of 2.51, while 'organization surveillance and monitoring' had the lowest score of 1.97. The depression score for pharmaceutical sales representatives was 0.61, with signif cant differences observed only in personality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ly, emotional labor showed a signif cant correlation with job stress and depression. Finally, emotional labor signif cantly influenced job stress and depression. Additionally, job stress also had a signif cant impact on depression. Job stress acted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the job suitability and mental health of pharmaceutical sales representatives in the future.

      • 대구지역 간호사의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연구

        이명희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대구지역 간호사의 노인부양의식에 대해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시에 위치한 2차 병원 중에서 노인요양병원 4곳과 일반병원 3곳에서 이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의사가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0년 6월 28일부터 2010년 8월 30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박성수(2000)의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10문항의 명목형 또는 서열형 척도로 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여 노인부양실태를 확인하였으며, 노인부양과 직장간의 역할갈등은 Scharlh(1989, 1994)와 Kramer(1995)의 측정도구를 참고로 하여 성향숙(2000)이 사용한 11문항의 5점 척도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노인부양에 대한 의식은 이영길(2006)이 사용한 도구로 명목형 척도 8문항과 경제적, 정신적, 신체적 부양의식의 3개영역 각 5문항으로 총 15문항을 사용하였고, 노인부양과 직장간의 관계는 Scharlach(1989, 1994)와 Kramer(1995)를 참고로 하여 성향숙(2000)이 사용한 5점 등간척도의 3문항과 명목형 척도 2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노인부양지원정책에 대한 욕구는 송다영(2004)이 사용한 5점 등간척도의 7문항과 명목형 척도 1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 및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거집단에 따른 노인부양의 차이는 노인요양병원과 일반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각 군 간의 주 부양자인 여성 중 며느리와 딸 간의 동거이유의 차이를 보면, 동거의 이유가 ʻ자식이니까 당연하다ʼ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ʻ부모님으로부터 가사양육 등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ʼ가 높게 나타났다. 동거시의 어려움은 두군 다 사생활의 제한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동거시의 좋은 점은 며느리의 경우는 노인요양병원 55.6%, 일반병원 66.6%로 자녀양육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가, 딸은 노인요양병원 42.2%, 일반병원 45.5%로 가사도움을 받으며 정서적 지지가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2) 부모와의 동거여부에 따른 부양실태에서는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군과 일반병원의 간호사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동거여부와 상관없이 부모의 건강상태는 ʻ두 분 모두 건강하다ʼ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건강상의 문제가 있을 때 주로 간호하거나 사적인 일을 돌봐주는 사람은 딸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며느리로써 노인을 돌보는 사람의 대다수가 여성임을 알 수 있었다. 경제적인 지원자는 아들 혹은 배우자가 많았고, 부양비는 20만원 이하가 많았다. 동거에 대한 생각은 두 군 모두 ʺ동거를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ʺ 의 비율이 높았다. 3) 부모와 동거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부양생각과 복지시설 이용견해는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군과 일반병원의 간호사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거유무와 상관없이 자녀들이 번갈아가며 혹은 능력 있는 자녀가 노인부양을 부담하고 있었으나, 노인요양병원 근무 군에서의 동거유무에 따른 바람직한 부양형태에 대한 생각에 대한 항목에서 바람직한 부양형태는 자녀와 동거하거나 혹은 자녀와 별거하면서 부모 스스로 자립하는 것이 가장 좋고, 지금까지 부모가 마련한 돈으로 생활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혹은 가족이나 자녀들이 마련한 금전으로 부양하는 것이 좋다고 여겼다. 가족 수발이 필요한 경우 실제로 수발하는 경우는 가족이 힘을 모으거나 간병서비스의 도움을 받아 가족이 직접적으로 수발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시설보호를 이용할 의향은 두 군 다 유료라도 이용할 생각이 많아 앞으로는 가족이 직접 수발하는 것보다 시설 등의 이용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노인복지이용을 하지 않는 이유는 부모님이 원하지 않을 것 같아서가 가장 많이 나타나 아직까지 부모부양을 가족이 전담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노인복지이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4) 부모와 동거여부에 따른 직장생활과 노인부양은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군과 일반병원의 간호사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장생활이 노인부양비용마련에 도움이 된다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직장생활이 노인부양의 경제적 뒷받침이 되기 때문에 부양이 필요시에 사직을 하지 않겠다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사직을 했더라도 제공하는 노인서비스의 질은 크게 향상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해 사직을 할 필요가 없다고 여기고 있었다. 노인부양이 승진여부에는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지만, 노인부양이 긍정적일 때 직장일의 효율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노인부양의 부담이 감소한다면 직장 생활을 더 적극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5) 부모와 동거여부에 따른 노인부양의식과 사회제도의 필요성에서 역할갈등은 두 군 모두 부모와 동거를 한 경우가 동거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역할갈등 측정점수가 높게 나타나, 실제는 동거를 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역할갈등을 적게 느꼈다(P<0.01). 부양의식은 경제적 부양의식, 정서적 부양의

      • Mouse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Blue Honeysuckle Concentrates : 댕댕이 나무열매 (Blue honeysuckle) 농축물의 마우스 단회 경구투여독성 실험

        김형수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cute (single) oral dose toxicity information of Blue honeysuckle (Lonicera caerulea L., Caprifoliaceae) concentrated and lyophilized powder (BHcL) in female and male ICR mice as a process to develop of natural origin medicinal ingredient or food itself, after the proximate analysis and measurement of phytochemical profiles. METHO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oxicity and identify target organs, BHcL was once orally administered to female and male ICR mice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and 0 (vehicle control) mg/kg (body weights) in a volume of 20 ml/kg,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the mortality and changes on the body weight and clinical signs were monitored during 14 days after treatment with gross observation, changes on the organ weights and histopathology of principle organs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KFDA Guidelines [2013-121, 2013], as compared with those of equal genders of vehicle control mice. In addition, prior to test single dose toxicity, proximate analysis of BHcL was conducted with phytochemical profiles – contents of betaine, total phenols, flavonoids and anthocyanins in this experiment. RESULTS: At proximate analysis, energy of BHcL used in this experiment was detected as 380 kcal/100 ml, and it contains 93 g/100 ml of carbohydrate, 41 g/100 ml of sugar, 2 g/100 ml of protein and 20 mg/100 ml of sodium, but did not contains total lipids, saturated lipids, trans-fats and cholesterols as 0 mg/ 100 ml, respectively. In addition, BHcL contains 4.54±0.09% of betaine, 210.63±23.65 mg GAE/g of total phenols, 159.30±12.51 mg CE/g of total flavonoids and 133.57±4.06 mg M3GE/g of total antocyanins, respectively. As the results of single oral treatment of BHcL, no treatment related mortalities were observed within 14 days after end of treatment up to 2,000 mg/kg, the limited dosage of rodents in the both genders, and also no BHcL treatment related changes on the body and organ weights, clinical signs, necropsy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detected as compared with equal genders of vehicle control, in this experiment.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BHcL is non-toxic in mice and is therefore, likely to be safe for clinical use. The LD50 and ALD of BHcL in both female and male mice after single oral treatment were detected as over 2,000 mg/kg with no specific target organs or side effects in this experiment. 실험목적: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Blue honeysuckle (Lonicera caerulea L., Caprifoliaceae) 농축 동결건조물 (BHcL)의 일반영양학적 및 화학성분 검사를 실시한 다음, 급성 독성증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2013-121, 2013]에 의거하여, 암수 ICR마우스 단회 경구 투여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방법: 반수치사량, 개략적 치사량 (approximate lethal dosage) 및 표적 장기 등을 관찰하기 위하여, BHcL 2,000, 1,000및 500 mg/kg을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체중 kg 당 20 ml의 용량으로 암수 마우스에 단회 경구 투여하고, 투여 후14일 동안의 임상증상, 사망례,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 및 부검소견을 관찰하였으며, 투여 14일 후 14개 주요 실질 장기에 대한 장기 중량 및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별도의 암수 매체 대조군을 두어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단회 투여 독성실험을 실시하기 전, BHcL의 일반영양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phytochemical 성분 조사를 위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betaine, 총 phenol, flavonoid 및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일반영양학적 검사 결과, 본 실험에 사용한 BHcL의 평균 열량은 380 kcal/100 ml로 측정되었으며, BHcL은 탄수화물 93 g/100 ml, 당류 41 g/100 ml, 단백질 2 g/100 ml 및 나트륨 20 mg/100 ml 을 함유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지질,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0 mg/100 ml로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phytochemical로 betaine 4.54±0.09%, 총 폐놀계 화합물 210.63±23.65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159.30±12.51 mg CE/g 및 총 안토시아닌 133.57±4.06 mg M3GE/g을 각각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설치류 최대 한계투여 용량인 2,000 mg/kg까지 BHcL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았고, 암수 매체 대조군과 비교하여, BHcL 투여와 관련된 임상증상, 체중 및 장기 중량의 변화, 14개 주요장기에 대한 육안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 BHcL의 마우스에서 단회 경구 투여독성 실험의 결과, 설치류 투여 한계 용량인 2,000 mg/kg까지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아, 반수치사량 및 개략적 치사량이 각각 2,000 mg/kg 이상으로 판단되며, 별 다른 독성 증상 역시 인정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한 약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