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오늘 본 자료
이계재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이 연구는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는 이론적 모형으로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 소득수준, 지각된 유익성, 장애성, 구강증진행위의도,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지역사회환경요인들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지역은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주민 중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자의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한 주민 중 4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에 동의한 주민들에게 자가 평가 기입형 설문지를 배부하고, 설문지를 직접 작성하게 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분석 목적에 맞추어 다음과 같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로부터 각 연구도구들의 신뢰성과 각 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첨도와 왜도, t-test와 ANOVA(분산분석)등의 자료는 SPSS18.0을 이용하여분석하였다.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모형검증은 AMO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차이는 학력, 배우자 유무, 월 평균소득 그리고 흡연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는 5점만점에 2.93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차이는 학력과 배우자 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주관적 과거 구강건강관령행위는 5점만점에 3.15점이었다. 즉 학력이 높고 배우자가 있는 응답자들의 구강건강관련행위가 높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유익성의 차이는 학력요인만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지각된 유익성은 5점만점에 3.73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력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이 높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애성의 차이는 학력, 월 평균소득 그리고 흡연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장애성은 5점만점에 2.57점으로 평균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증진행위의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음주 그리고 흡연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구강증진행위의도는 5점만점에 3.42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를 보였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음주요인만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자기효능감은 5점만점에 3.18점으로 평균이상을 보였다. 7.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연령, 배우자 유무 그리고 월 평균소득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5점만점에 3.67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를 보였다.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환경의 차이는 학력, 배우자 유무, 월 평균소득 그리고 음주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지역사회환경는 5점만점에 2.96점으로 평균정도의 점수를 보였다. 9.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학력, 월 평균소득, 음주유무 그리고 흡연유무요인이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구강건강증진행위는 5점만점에 3.34점으로 평균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10. 연구모형의 분석 연구모형에서 표준화된 경로계수는 지각된 유익성의 경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요인이었다. 장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소득수준 그리고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요인이었다. 구강증진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 구강건강관련요인이었다.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 구강건강관련요인이었다.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요인이었다. 지역사회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소득수준 그리고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식생활 실천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인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 장애성, 사회적지지 그리고 지역사회환경요인이었다. 즉, 구강건강증진행위는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를 잘하고, 장애성이 낮고, 사회적지지 그리고 지역사회환경이 좋을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75.8%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activities for oral health promotion i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income level, perceived benefit, impairments, intention of activities on oral health promot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as a theoretical model to measure activities for health promotion. Also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bout oral health. The subjects are 436 resi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once we explained the purpose of survey amo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ho live in Busa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fter they filled in by themselv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ollected data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analysis as below.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o get the reliability of each analysis too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and Kurtosis and skewness, t-test and ANOVA (analysis ofvariance). AMOS win 18.0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for activities of oral health promotion and results from path analysis are following. 1.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 education, presence of spouse, monthly income and smoking status. Overall,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as 2.93 on a 5-point scale. 2.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in education and presence of spouse. Overall, subjective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was 3.15 on a 5-point scale.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had higher education level and a spouse had more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3.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perceived benefit only in education. Overall, perceived benefit was 3.73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the higher points. The higher education, the more perceived benefit. 4.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impairments in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smoking status. Overall, impairment was 2.57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the lower points than the average. 5.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intention of activities on oral health promotion in gender, age, drinking status and smoking status. Overall, intention of activities on oral health promotion was 3.42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very higher points. 6.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self-efficacy only in drinking status. Overall, self-efficacy was 3.18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higher points than the average. 7.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social support in age, the presence of spouse and average monthly income. Overall, social support was 3.67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very higher points. 8.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community environment in education, the presence of spouse, average monthly income and drinking status. Overall, community environment was 2.96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almost the average points. 9.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statistical differences of activities of oral health promotion in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drinking status and smoking status. Overall, activity of oral health promotion was 3.34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higher points than the average. 10. Analysis of Research Model In this model,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 showed significant factors in the perceived benefits wer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s in impairments wer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come level, and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 in activity of oral health promotion was the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 in self-efficacy was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s in social support wer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Significant factors in community environment wer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come level,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and dietary activity. Finally, significant factors in activity of oral health promotion that was a dependent variablewere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impairments,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 In other words, activities of oral health promotion showed the better as past oral health-related activity was done more, impairments were lower,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 were bett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75.8%.
김후자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현대 산업화의 특징인 인구의 도시 집중화와 핵가족화 그리고 평균 수명의 연장과 노인 인구의 급증은 긴 노령기를 맞이하는 현대 노인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과 사회로부터 역할 상실로 인하여 외롭게 보내야 하는 노인들의 여가 문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관심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복지 시설 중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경로당에 관하여 살펴봄으로 향후 노인 복지 발전과 노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높이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면)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65세 이상인 노인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안동시 전체 경로당 수는 493개소이며, 그 중 안동시농업기술센터에서 농촌건강장수마을로 선정된 3개 마을 152명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 도구를 완성하기 전 2011년 7월 7일부터 7월14까지 1주간 20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문항 분석과 신뢰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한 후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여 2011년 8월 5일부터 8월 30일까지 연구자가 안동시 면 지역의 경로당을 직접 방문하여 개별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for Windows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로당에서 운영한 인기 있는 프로그램, 경로당이 지역 노인에게 주는 혜택과 공동 소득 작업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로당의 이용 실태, 경로당 시설의 문제점, 경로당 여가 프로그램, 경로당의 기능, 경로당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집단 간의 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검증과 t-test 및 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부분적으로 응답하지 않은 자료는 제외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152명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포를 보면 성별은 남자 38.8%, 여자 61.2%였고, 연령은 70세 미만이 33.6%, 70세 이상이 66.4%로 70세 이상이 높았으며, 학력 수준은 무학이 53.9%, 국졸 이상이 46.1%로 나타났다. 건강 상태는 ‘나쁘다’가 36.8%이었고, ‘보통이다’가 40.8%, ‘건강하다’가 22.4% 이었으며 동거 형태는 부부 및 독거가 80.9%이었고, 가족 동거가 19.1%이었다. 월 용돈은 15만원 미만이 38.8%이었고, 15~20만원 미만이 29.6%, 20~35만원 미만이 31.6%이었다. 둘째, 경로당 이용 실태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로당 이용 이유는 성별, 학력, 건강 상태, 월 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이 낮고, 건강하고, 소득이 15~20만원 미만인 여성이 ‘친구를 만날 수 있어서’ 라는 사교적인 이유에서 경로당 이용률이 높았으며, 남자의 경우 취미, 오락을 위해 경로당을 찾는 이유가 높았다. 경로당에 머무는 시간은 5시간미만이 대다수였고, 점심 식사 해결 방법은 대부분 집에서 식사 하거나 경로당에 놀다가도 집에 가서 식사를 해결하였다. 점심 식사 방법은 월 용돈이 15만원 미만이 집안에서 식사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0~35만원 미만이었고, 다음으로 15~20만원 미만으로 집안과 집밖의 식사는 월 용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개인적인 취향이 많이 반영됨을 알 수도 있었다. 경로당 이용 후 노후 생활 만족도는 성별, 학력, 건강 상태에 따라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로당 이용 만족도는 학력이 낮고 건강 상태가 좋은 여자일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또한 건강 상태가 나쁘고 학력이 낮은 여자 경우 불만족도 높았다. 경로당 이용 후 노후 생활의 도움 정도의 차이를 보면 ‘이웃과의 관계가 원만해졌다’가 6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서’가 23.0%, ‘가족관계 원만과 여가 활력’이 14.5%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건강이 좋을수록 이웃과의 관계도 원만해 졌다고 느꼈다. 셋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경로당 문제점으로는 재정 지원 부족과 화장실 시설 불편, 경로당 공간 협소, 시설 노후, 여가 및 오락 프로그램 부족, 취사도구 부족 순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경로당의 문제점은 70세 이상의 노인이 70세 미만보다 심각하게 생각하여, 이는 70세 이상의 노인이 경로당 이용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경로당 여가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노래교실, 게이트볼, 건강, 교양강좌, 스포츠댄스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건강한 노인일수록 프로그램 운영에 만족도가 높았다. 그중 가장 있기 있는 프로그램은 건강교양강좌, 노래교실, 장기, 바둑, 게이트볼 순이었다. 다섯째, 경로당의 기능은 ‘사랑방 역할’, ‘건강 관리 장소로 기능’, ‘프로그램 제공 장소로 기능’ ‘여가 프로그램 제공 장소’로서의 기능 순이었으며 경로당의 개선 사항을 보면 ‘관리 및 운영비지원’ 희망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건물 개․보수, 무료 중식 제공, 프로그램 운영 희망, 상담사 배치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경로당 명칭 변경에 대한 견해를 보면 기존 경로당 명칭 고수가 68.3%로 절대적으로 높아 변화를 싫어하고 기존 것을 The features of the contemporary industrialization such as the centralization of the population to cities, the increasing trend of nuclear family and the increasing life expectancy along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population, are yielding more difficulties for the elderly population who are expected to go through long period of their old ages, and especially, as for the problem of the leisure times of elderly population who are often discouraged by losing their roles from their family and society, more attentions from the society is desperately demanded. Accordingly, we will examine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at are mostly prevailed among senior community facilities in our country, and contents like the following is cov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draw more attentions from the society. Thus, this research has selected the 152 people who are more than 65 years old (3 towns selected by Andong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s the Rural Health and Longevity Vill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usages-phenomenon of the senior citizen centers by the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Before completion of the investigation tools of this research, we had performed the pre-survey based on 20 people as the models for a week from July 7th to July 14th of 2011. Through the pre-survey, we had analyzed the questions and investigated credibility, and based on the result, we had modified the questionnaires and took them to visit and performed the individual interview investigations when they visited the senior citizen center located in local area of Andong-Si from August 5th to August 30th of 2011. We hav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PC for Windows 10.0 Program, and we have gener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s to understand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popular programs managed from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e benefits that the centers provide for local elderly people, and joint-income work, and additionally, we also have executed x2 inspection, t-test, and ANOVA in order to study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earch subjects, usages of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e problems in the center facilities, the centers’ leisure programs, the functions of the cent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the activation policies of the centers. We have partially eliminated some data that were not answered. First, as for the gend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of 152 research subjects, 38.8% were men and 61.2% were women, and as for the age distribution, 33.6% were less than 70 whereas 66.4% were higher than 70, and as for the educational background, 53.9% had no schooling, whereas 46.1% at least finished elementary school studies. As for the health condition, 36.8% mentioned their health condition was bad, 40.8% mentioned it was moderate, and 22.4% mentioned that they were healthy, and as for the form of living, 80.9% were either with their spouse or single, whereas 19.1% lived with family. As for the monthly allowance, 38.8% had less than 150,000 Won, 29.6% had between 150,000 ~200,000 Won and 31.6% had less than 200,000 ~ 300,000 Won. Second, the reasons for using the senior citizen centers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reflected notable differences based on factors lik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allowance, and it showed that a woman who had low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y, and received 150,000 ~ 200,000 Won for her income, had the high rate of using the center because “they can meet their friends”, whereas as for the men, they used the center for sharing hobbies, and playing games. As for the length of staying time in the center, most of them stayed less than 5 hours, and they either had their lunch at home, or just went home for lunch while they were in the centers. As for the method for eating lunch, those with monthly allowance of less than 150,000 Won had the highest rate of eating lunch at home followed by those with 200,000 to 300,000 Won, and then those with 150,000 to 200,000 Won, and we could understand that eating outside or at home depended on the monthly allowance and also that personal tastes were reflected a lot as well. As for the retirement satisfaction, it showed notable difference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on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condition. As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using the centers based on general traits, women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good health condition were highly satisfied whereas women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bad health condition had high degree of unsatisfaction. As for the degree of how much the centers helped the life after retirement, 62.5% mentio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 got better’, and 23.0% mentioned that they could ‘obtain information’, and 14.5% replied that they could ‘release tension with their family and have entertainment’. Overall, as the health condition got better, they had better relationship with neighbors. Third, the problems of the centers based on general features ranged from lack of financial support followed by inconvenience in using restroom facilities, narrow space, old facilities, lack of entertainment and leisure program, and lack of cookwares in order, and those who were older than 70 years old believed this to be much more serious than those who were under 70 years old, and this reflects that there are more people who are more than 70, who take advantage of the centers. Fourth,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leisure program of the centers, the result ranged from singing class followed by gate-ball, lectures health (exercise), lectures on general studies, and sports dance in order, and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on general features, men were more satisfied than women, and those with good health condition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with poor health condition. Among them, the most popular program was
임선희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서비스품질에 관한 이론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에 병원, 호텔, 금융, 소매업 등의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교육 분야의 연구는 대부분 대학교의 고등 교육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부모와 유아교육기관은 유아의 성장발달과 교육에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유아의 발달과 학습에 공동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에 부모들의 참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기관에 대해 부모가 올바르게 인식하고 판단하며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주는 것은 유아교육기관의 매우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부모가 유아의 발달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하면서 유아교육기관과 교사에 대한 긍정적 관계형성을 통해 신뢰감을 형성하고 유아의 발달과 학습의 향상,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방향 및 운영방침을 더욱 자세하게 알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들의 현재 유아교육기관의 서비스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0년 8월부터 9월까지 대구광역시 서구에 거주하는 학부모 236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신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신뢰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물리적 환경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물리적 환경은 성별, 연령, 월 평균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물리적 환경이 5점 만점에 3.37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사의 신뢰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사의 신뢰는 성별, 연령, 월평균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5점 만점에 3.46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원방법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원방법은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5점 만점에 4.27점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가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가치는 성별, 직업,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5점 만점에 3.24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6.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의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의사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요양시설 입소노인에 사회적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신소홍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대상자에 대한 변수와 사회적 지지(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죽음·불안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구시와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300명의 노인이 선택되었고, 본 연구의 목적과 의도를 완전히 이해하고 승낙한 상태에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인터뷰는 일반적 특성(11문항), 사회적 지지(정서적 지지 7문항, 물질적 지지 6문항, 정보적 지지 6문항, 평가적 지지 6문항) 그리고 죽음·불안(20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서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정서적 지지는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는 선택안의 번호가 높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반영되고, 연령은 높을수록,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입소기간은 길수록 낮은 정서적 지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배우자, 입소 전 동거형태, 입소시설 유형은 정서적 지지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물질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물질적 지지는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적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입소시설의 유형이 너싱홈일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높을수록, 건강이 좋을수록, 입소기간이 길수록 물질적 지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종교, 배우자, 입소 전 동거형태는 물질적 지지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보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정보적 지지는 연령이 높거나 건강상태가 건강할수록 낮게 나타나고, 입소 전 동거형태에서는 독거보다는 부부나 자식과 함께 생활할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학력, 종교, 배우자, 가족관계, 입소기간, 입소시설의 유형과는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평가적 지지에 대한 연관성 평가적 지지는 연령이 높거나, 배우자가 없거나, 건강상태가 좋거나, 입소기간이 길수록 평가적 지지는 낮아지며 경제적 수준이 여유롭거나 입소시설의 유형이 병원보다 요양원이나 실버타운 쪽일수록 높아진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평가적 지지에서 연관성이 적은 것은 성별, 학력, 종교, 입소 전 동거형태, 가족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의 연관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의 연관성은 연령이 높거나 학력이 높으면 죽음․불안의 정도는 낮게 나타나고, 입소 전 동거형태에서는 독거보다는 부부나 자식과 함께 생활한 경우, 경제수준이 높거나, 입소기간이 길수록 죽음․불안의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불안에서 연관성이 적은 것은 성별, 종교, 배우자 유무, 건강상태, 가족관계, 입소시설유형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죽음·불안과 사회적 지지와의 연관성 물질적 지지가 높을수록 죽음과 불안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적 지지의 점수가 높을수록 죽음·불안의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는 죽음·불안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적 지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죽음·불안에 대한 공포는 더 줄어든다. 둘째, 정보적 지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죽음·불안에 대한 공포는 더 높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죽음·불안에 대한 임상적 치료에 특별한 의미를 가질 것이며, 요양시설에서 대상자를 돌볼 때 의미있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미용직업훈련학교 NCS기반 계좌제과정과 일반과정의 효과성 비교
이연숙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본 연구는 NCS기반 계좌제과정과 일반과정의 효과성(자격증 취득과 취업)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경상북도 중소도시에 위치한 모 직업전문학교에서 미용사(헤어)국가자격증과 미용사(네일)국가자격증을 계좌제과정(국비)으로 이수한 수강생 245명과 과 일반과정(자비)으로 이수한 수강생 314명 총 5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수강생대상으로 살펴보았을 때 수강생들의 교육수준이 높고, 수강일수가 길며, 출석률과 수강생의 기대일치도가 높을수록 자격증 취득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수강생을 구별하여 살펴보면, 계좌제과정 수강생들과 일반과정 수강생들은 동일하게 교육수준이 높았으나, 계좌제과정 수강생들은 수강일수가 길수록 수강생의 자격증 취득이 높고, 일반과정 수강생들은 출석률이 길며 수강생의 기대일치도가 올라 갈수록 수강생들의 자격증 취득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취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자격증 취득여부였다. 자격증 취득여부는 미용 산업현장에서 실무자로 근무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다. 현대 우리 사회는 각 분야의 전문성을 중요 시 하고 지식, 기술, 태도를 바탕으로 전문성에 대한 필요도가 높아 짐에 따라 직업훈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직업훈련 과정을 이수함과 동시에 각 분야의 자격증 취득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미용 직업능력개발훈련 수강생들과 일반 수강생들의 취업에 있어서 위와 같은 전문 능력을 발휘하고, 전문적인 기술인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직무수행에 있어서 필수적인 전문지식, 기술, 태도 중 ‘전문지식과 기술’은 계좌제과정과 일반과정 모두에서 충족되어 자격증취득률을 높일 수 있으나, 직업의식에 해당되는 ‘태도’의 부분에서 일반과정은 목적의식만으로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였고, 계좌제과정은 직업훈련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자격증 취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직업의식 개선을 위한 기초소양교과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격증 취득한 수강생이 산업현장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직업훈련기관에서는 전문인력 양성에 더욱더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NCS- account system process and general course in beauty vocational training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16 to 2019 at a vocational school located in a small and medium city in Gyeongsangbuk-do, with a total of 559 trainees, 245 trainees who completed the hairdresser's national license and hairdresser's national license as an account-making process (government expense) and 314 trainees who completed the general course (compa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the subject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trainees, the longer the number of days of classes, and the higher the attendance rate and the expectation congruence of the trainees, the higher the acquisition of the license. In terms of the trainees, the trainees in account-making courses and general courses had the same level of education, but the longer the number of days of the course, the higher the certification of the trainees, the longer the attendance rate of the trainees in general courses, and the higher the expectation congruence of the trainee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mployment was whether to acquire a license. Acquisition of licens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working as a practitioner in the beauty industry. As our society has a high need for expertise based on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mand for vocational training, complete the vocational training course, and acquire the skills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as well as acquire the qualifications of each field, so that the trainees of beauty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and general trainees can demonstrate the above professional skills and gain recognition as professional technicians.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amo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essential for job performance can be satisfied in both the account making process and the general course, and the certification acquisition rate can be increased. However, in the 'attitude' part of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the general course can acquire the certification only with the purpose consciousness, and the account making process can acquire the certification due to the program called vocational tra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basic literacy curriculum to improve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government and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nurture professional manpower so that the trainees who have acquired the certification can be used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in the industrial field.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 일반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심상은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tru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nationwide and identifying the additional support needed in the field.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ssess the perceptions of 439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regarding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6 to September 19, 2023, over a period of two weeks, using a Naver Form questionnaire. The responses from all 439 participants were analyzed, excluding any missing data. The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recogniz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presence of you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through observations during their work. They expressed difficulties in early intervention due to concerns about conflicts with guardians. The teachers were also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roviding individual guidance to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Although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as positive, it was considered premature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with many areas needing significant improvement. There was also concern that non-disabled young children might suffer disadvantages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ose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education settings. Childcare teachers recognized the positive effects of providing individualized programs for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However, they reported difficulties in supporting such programs due to a lack of manpower, insufficient specialized knowledge, and challenges in tailoring guidance to the levels of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The childcare teachers stated that for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it is better to start with partial integration through mixed classes matching abilities or separate special classes for you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rather than immediate full integration.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preparation for successful full integration, which includes readying the work force environment, improving percep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collaborating with specialized agencies like comprehensive childcare support center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instituting a reduced teacher-to-child ratio and enabling childcare teachers to initially identify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through observation are crucial steps. Following this, external experts should conduct a secondary assessmen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se children, consulting with guardians to facilitate early intervention. During integra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llocate assistant staff to ensure non-disabled children are not disadvantaged, develop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e levels of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and conduct teacher training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to acquire specialized knowledg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nationwide scale, bu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d not participate in the survey, resulting in a lack of statistical data from that region. Most of the results were compiled primarily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ich have dense populations. Future research that surveys each region more evenly may reveal a variety of perceptions. In this study, teachers with less than one year of tenure were excluded, considering they might hav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you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However, including opinions of teacher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subsequent studies could provide a broader range of erceptions. Looking at the types of institutions, private childcare centers were the most numerous in this survey. Future research that evenly surveys various types of childcare centers is likely to yield more diverse information. The profession of childcare teacher has an imbalance in the gender ratio, with female opinions representing a higher proportion. However, future research that incorporates more opinions from male childcare teachers could reveal a broader range of perceptions than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future improvements in the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will facilitate the guidance of you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본 연구는 지역에 한계점을 두지 않고 전국 일반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추가적인 지원이 무엇인지 알아봄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통합교육 실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국 일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장애위험 영유아와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3년 9월 6일부터 9월 19일, 2주간 네이버 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고 회수된 439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측값은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들은 일과생활 중 관찰을 통해 장애위험 영유아들의 출현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보호자와의 갈등 우려로 조기중재에 대한 어려움을 나타냈다. 보육교사들은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 시 교사 대 아동 비율로 인해 개별 지도에 곤란을 느끼고 있었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나, 일반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기에는 시기상조이며, 부족함이 많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통합교육 시 비장애 영유아가 배려하는 과정에서 손해를 볼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개별화 프로그램을 제공했을 경우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인력 부족, 전문지식의 부족, 장애위험 영유아의 수준을 고려한 지도에 어려움이 있어 프로그램을 지원하는데 어렵다고 하였다. 보육교사들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완전통합교육보다는 능력에 맞는 혼합 학급 혹은 장애위험 영유아들로 구성된 분리 특수 학급을 통해 부분통합교육부터 실시하고, 인적 환경 준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육아종합지원센터 등 전문기관의 협력을 통해 성공적인 완전통합교육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사 대 아동 비율 축소를 제도적으로 확립하고, 보육교사들이 관찰을 통해 1차 장애위험 영유아를 선별하면, 외부 전문가가 2차로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정확한 실태를 파악해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조기중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통합교육 시 비장애 영유아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보조 인력을 배치하고, 장애위험 영유아들의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육 기관을 통해 전문지식 습득을 위한 교사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전국을 단위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나 제주특별자치도는 조사에 참여하지 않아 통계 집계를 못했고, 인구가 밀집된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서 주로 결과가 집계되어 후속 연구에서는 각 지역을 균형 있게 조사하면 다양한 인식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재직기간이 1년 미만의 교사들은 장애위험 영유아를 선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고려해 제외하였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1년 미만의 교사들 의견도 수렴하면 더 다양한 인식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근무 기관을 살펴보면 민간 어린이집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어린이집에서 균형 있게 인식을 조사하면 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라는 직업은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불균형이 있어 여성의 의견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남성 보육교사들의 의견을 더 반영하면 본 연구보다 다양한 인식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앞으로 일반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들을 지도하는 데 환경, 인적 개선을 기대한다.
의료기관 보건의료인들의 방사선 안전에 관한 행태 및 교육요구
김승욱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본 연구는 의료기관 보건의료인들의 방사선 안전에 관한 행태 및 교육요구를 분석하고자 대구, 경북지역 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보건의료인 26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방사선 지식의 차이는 방사선 구역 근무경험이 있는 경우 7.09점으로 없는 경우 5.80점보다 높았고(p<0.001), 방사선에 의한 건강 이상을 느낀 경험이 있는 경우 8.43점으로 없는 경우 6.24점보다 높았으며(p<0.001) 유의한 수준의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포감은 방사선에 의한 건강 이상을 느낀 경험이 있는 경우 3.01점으로 없는 경우 2.53점보다 높았으며(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방사선 지식에 대한 영향요인은 보건의료인의 직종 중 ‘방사선사’에 비하여 ‘의사’(B=0.587, p=0.035)와 방사선에 의한 건강 이상을 느낀 경험이 있는 경우(B=1.287, p<0.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공포감에 대한 영향요인은 보건의료인의 직종 중 ‘방사선사’에 비하여 ‘의사’(B=0.681, p<0.001), ‘간호직’(B=0.511, p=0.001), ‘방사선사 외 의료기사’(B=0.391, p=0.019) 그리고 ‘기타’(B=0.656, p<0.001) 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방사선에 의한 건강 이상을 느낀 경험이 있는 경우(B=0.565, p<0.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방사선 안전교육의 필요 여부는 응답자의 89.4%인 235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교육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 문항별 지식은 ‘방사선 관련 법’이 낮았고, ‘방사선 차폐’가 높았다. 또한 보건의료인들은 ‘보호구, 안전장치 취급방법 및 차폐방법’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았고, 연간 1회 2시간 정도의 교육을 원하였다. 따라서 본 내용을 기초로 하여 보건의료인 전체직종을 대상으로 방사선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법정의무교육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adiation safety behaviors of healthcare and medical practitioners in medical institutions and their demands for training. For that purpose, a total of 263 healthcare and medical practitioners currently employed in medical institutions in Daegu,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In regards to the discrepancies in knowledge of radi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demographics, it was 7.09 points for those who had had experience working at radiation sections and higher than 5.80 points of those who did not (p<0.001) and 8.43 points for those who had experienced health issues due to radiation and higher than 6.24 points of those who had not (p<0.001), with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regards to the fear of radi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demographics, it was 3.01 points for those who had experienced health issues due to radiation and higher than 2.53 points of those who had not (p=0.001), with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regards to the influence factors concerning the knowledge of radiation,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physicians (B=0.587, p=0.035)' compared to 'radiation technicians' among the healthcare and medical professions and for those who had experienced health issues due to radiation (B=1.287, p<0.001). In regards to the influence factors concerning fear, it was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physicians (B=0.681, p<0.001)', ‘nurses (B=0.511, p=0.001)', ‘technicians besides radiation technicians (B=0.391, p=0.019),' and ‘others (B=0.656, p<0.001)' compared to 'radiation technicians' among the healthcare and medical professions. I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y had experienced health issues due to radiation (B=0.565, p<0.001). In regards to the needs for radiation safety training, 235 respondents, or 89.4%, have expressed demands for training, manifesting that there is a high demand. In terms of knowledge of each question in the survey, it was low for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high for ‘radiation shield.’ Also, healthcare and medical practitioners had high demands for training on ‘how to handle and shield with protective and safety equipment’ and wanted about two hours of training per year. Therefore, it would be advisable to develop radiation safety training programs for all healthcare and medical professions and implement it as a mandatory training program.
노인요양병원의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상호 관계 인식에 관한 연구
복성지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상호관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25일부터 9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달서구와 중구의 요양병원을 간호사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34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요인의 집단간 사후검증을 위해서 Scheffe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와 요양보호사간의 관계인식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존중, 공감적이해, 일치성, 존중의 무조건성, 개방성 중 일치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간호사의 관계인식과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사의 존중, 공감적 이해, 일치성, 개방성, 무조건성과 요양보호사의 존중, 공감적 이해, 일치성, 개방성, 무조건성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은 간호사의 관계인식이 높으면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도 높아지고,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이 높아지면 간호사의 관계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와 요양보호사간의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잘 나타내 주고 있으며, 간호사든 요양보호사든 서로에 대한 관계인식이 높아질수록 서로에 대한 관계인식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간호사가 객관적으로 생각하는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의식 정도는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간호사가 생각하는 간호사의 존중, 공감적 이해, 일치성, 무조건성, 개방성은 요양보호사의 존중, 요양보호사의 공감적 이해, 요양보호사의 일치성, 요양보호사의 무조건성, 요양보호사의 개방성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가 객관적으로 생각하는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의식 정도는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요양보호사가 생각하는 요양보호사의 존중, 공감적 이해, 일치성, 무조건성, 개방성은 간호사의 존중, 요양보호사의 공감적 이해, 요양보호사의 일치성, 요양보호사의 무조건성, 요양보호사의 개방성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양병원의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을 높이고 직무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개입방안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입방안은 첫째, 본 연구에서 관계인식 정도 중 개방성에서 요양보호사와 간호사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개방성이 낮은데, 이는 직위 상 모든 것을 요양보호사에게 표출할 수 없는 부분도 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노인들의 요양서비스에 있어서는 정보의 교류, 요양보호사에 대한 솔직한 마음을 전달하는 것은 필수 일 것이다. 이에 기관 보수교육 시 간호사와 요양보호사가 함께 참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간호사의 업무와 요양보호사의 업무가 중첩되는 경우가 많다. 병원 자체적으로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업무분담을 명확하게 하여 상호간의 업무를 떠넘기지 않게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에 대한 신뢰와 이해관계를 높이기 위해 단순한 보수교육이 아닌, 기관차원의 단합대회나 직원들의 소통의 장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 조사대상을 대구의 일부 요양병원으로 한정 하였으므로 이를 일반 요양병원으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오차발생 가능성을 들 수 있다.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 인식에 대한 정서적 민감성으로 인해 개인의 은폐성이 강하고 답변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실적인 의견을 얻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간호조무사를 하나의 직군으로 분류하지 못하고 일부 간호조무사를 간호사로 포함하였는데 이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임금, 근무환경의 차이를 간과한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연구의 한계에서 밝힌바와 같이 연구대상의 직군을 간호사, 간호조무사 그리고 요양보호사로 할 필요성이 있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관계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mutual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of Geriatric Hospita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25th, 2012 through September 16th, 2012, and collected 234 copies of questionnaires from the nurses and care helpers of hospitals for the elderly in Dalseo-gu and Jung-gu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conducte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by utilizing the SPSS 19.0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on th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rough the method of Scheffe for the post hoc test between groups of facto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care help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conformity among respect, sympathetic understanding, conformity, unconditionality and openness of respect.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that of care helpe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of respect, sympathetic understanding, conformity, openness, and unconditionality of nurses and those of care helpers. That is, it was found whe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gets higher,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care helpers also gets higher, and vice versa. This shows the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care helpers well, and it can be known that both nurses and care helpers have a higher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whe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gets increase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thought by nurses objectively, it was fou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ect, sympathetic understanding, conformity, unconditionality, and openness of nurses thought by nurses and all of the respect of care helpers,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care helpers, conformity of care helpers, unconditionality of care helpers, and openness of care helpers.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thought by care helpers objectively, it was fou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ect, sympathetic understanding, conformity, unconditionality, and openness of care helpers thought by care helpers and all of the respect of nurses,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care helpers, conformity of care helpers, unconditionality of care helpers, and openness of care helpers. It is intended to arrange a plan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of hospitals for the elderly and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intervention plan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intervention plans, first, it was fou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are helpers and nurses in openness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in this study, and the openness of nurses is lower. This seems to be greatly due to their not being able to express everything to care helpers because of their position. However, it must be essential for them to exchange information and to convey frank thoughts to care helpers in conduct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Hence, a program in which nurses and care helpers attend together at the supplementary education at institutions should be developed. Second, in many cases, the work of nurses and that of care helpers were overlapped. The hospitals should clearly divide the work of nurses and that of care helpers so that they will not shift their work onto each other.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trust and interest on nurses and care helpers, it is needed to arrange not a simple supplementary education but a rally to strengthen the unity at institutional level and the forum of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as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study to some hospitals for the elderly in Daegu,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is to general hospitals for the elderly. Second, an error can occur. As the respondents tend to hide and avoid responses because of the emotional sensitivity o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there is a limitation in obtaining realistic opinions. Third, this study couldn't classify nurse's aides as one job group and included some nurse's aides as nurses, and this has the limitation to overlook the difference in wages and working environment between nurses and nurse's aides. The future studies need to classify the job groups of subject of study into nurses, nurse's aides, and care helpers as clarified in the limitations of study. It seems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of nurses and nurse's aides.
노인 당뇨병 환자의 치료지시 이행과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김재희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당화혈색소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8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내분비내과의원의 외래환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144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차이를 살펴보면, 직업유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다른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료지시 이행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1년 내 병원을 옮긴 유무 변인을 제외한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당화혈색소와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자가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상관관계수 값은 -.173으로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노인의 자가혈당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당화혈색소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치료지시 이행 정도 중 약물요법과 자가혈당이 당화혈색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라면 누구나 약물복용과 자가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고, 이와 더불어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식사조절이나 식이요법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후속적 연구에서는 당화혈색소에 치료지시 이행 정도와 함께 다른 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노인의 우울이나 생활 만족도 또한 당뇨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번 연구는 조사대상을 대구로 한정 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on diabetes and HbA1c.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8th, 2012 through August 20th, 2012, and collected 143 copies of questionnaires from the elderly 65 years old or older of the outpatients of the endocrinology hospita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9.0 for window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the difference in HbA1c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onl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upatio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variables. Second, in view of the difference in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s excluding the variables of gender, age, and the experience of moving to another hospital in the past one year.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on diabetes and HbA1c is as follows. The value of correlation number of self blood sugar test and HbA1c is -.173, which shows a weak correlation. Statistically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self blood sugar test of the elderly, the lower the HbA1c.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medication and self blood sugar test of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and HbA1c. It is not easy for patients to take medication and to regularly measure self blood sugar. Constant education will be needed for this, and an educational plan to make a change to the figure of HbA1c following diet or dietary therapy not relying on medicine should be groped. Second, a future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not only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but also other variables. For example, the depression 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ay be a variable that can have a major impact on diabetes. Third,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study to Daegu and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제조업 사업장의 정부 산재예방 보조금 수급과 산재예방효과 관련성
김영균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s and industrial accident rates by year among manufacturing workplaces that received subsidies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 2021, and analyzes the receipt of subsidies and the number of accident victims by year for industrial accidents occurring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relationship with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according to subsidy receipt, the distribution of attributable substances was highest in the subsidy group at 53.4% in ‘equipment and machinery’, and in the non-subsidy group at 25.2% in ‘parts, accessories and materials’. In addition, in terms of accident occurrence, the subsidy group was ‘stuck’ at 49.4%, which accounted for about half, while the non-subsidy group was ‘stuck’ at 37.5%,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cident rate by yea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ubsidy was received, for the subsidy recipient group, it was 1.18 in 2020, 1.15 in 2021, and 0.97 in 2022, and for the non-subsidy group, it was 0.98, 1.00, and 0.97 by year. As of 2021, when the subsidy was received, the disaster rate reduction effect was clearly observed in the subsidy recipient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accident victims by yea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the articles tha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rate of accident victims every year were ‘containers, supplies, furniture and instruments’, and the articles tha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as ‘accessories and materials’. In addition, the types of disasters that tended to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ccident victims each year were ‘crashing’, ‘striking hit’, ‘coliding’, and ‘falling’, while the types of disasters that showed a decreasing trend were ‘caught in’ and ‘falling’. It appeared as ‘falling’, ‘amputation, cutting, stabbing’, etc. 본 연구는 제조업 사업장 중 2021년에 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보조금을 수급 받은 사업장을 대상으로 연도별 사업장 특성과 산업재해율을 살펴보고, 제조업에서 발생된 산업재해자를 대상으로 보조금 수급여부와 연도별 사고재해자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산업재해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소업종은 ‘기타 금속제품 제조·금속 가공업’이 28.2%, 기인물은 ‘설비·기계’가 43.6%, 재해발생형태는 ‘끼임’이 37.9%, 산업재해 분류로는 ‘중상해’가 69.8%로 가장 높았다. 보조금 수급여부에 따른 산업재해 특성의 분석 결과, 기인물 분포는 보조금 수급 군이 ‘설비·기계’에서 53.4%로, 비수급 군이 ‘부품, 부속물 및 재료’에서 25.2%로 각각 가장 높았다. 또한, 재해발생형태에서 보조금 수급 군은 ‘끼임’이 49.4%로 절반 정도의 비율을 차지한데 반해, 보조금 비수급 군은 ‘끼임’이 37.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보조금 수급여부에 따른 연도별 사고재해율을 분석한 결과, 보조금 수급 군의 경우 2020년 1.18, 2021년 1.15 그리고 2022년 0.97로 나타났으며, 비수급 군의 경우 연도별로 0.98, 1.00 그리고 0.97로 나타나, 보조금을 수급 받은 2021년을 기준으로 이후에 보조금 수급 군에서 재해율 감소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사고재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도별 사고재해자수를 분석한 결과 성별의 경우 남성은 매년 비슷한 경향을 보인 반면, 여성은 해마다 비율이 증가하였다. 연령대는 높을수록 해마다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근속기간은 ‘1개월∼6개월 미만’인 군에서 해마다 감소하고, ‘1개월 미만’인 군과 ‘1년 이상’인 군에서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업재해 특성에 따른 연도별 사고재해자수의 분석 결과, 사고재해자수 비율이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기인물은 ‘용기·용품·가구 및 기구’였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기인물은 ‘부품·부속물 및 재료’였다. 또한, 매년 사고재해자수 비율이 대체로 증가한 경향의 재해발생형태는 ‘깔림’, ‘맞음’, ‘부딪힘’, ‘넘어짐’ 등으로 나타났으며, 감소한 경향을 보인 재해발생형태는 ‘끼임’, ‘떨어짐’, ‘절단·베임·찔림’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