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영순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Living in an era that has developed radically as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took place, we live by communicating directly or indirectly with each other through enormous information and various media media.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d the bad news of the COVID-19 pandemic at a time when they had to go to school and prepare for employment in their early adulthood are also called the "lost generation," and the issue of isolated young people is emerging as a social issue. College students in 2020 called "COVID-19 Student Number" did not have a smooth adjustment process to college life compared to other students, and not only Corona Student, who started college life non-face-to-face, but also existing students need to make efforts to cultivate core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ollege life.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experience,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young people who are currently isolated and do not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in Korea reaches about 540,000. This problem cannot be solved without being connected to people. Communication skills are part of the skills that everyone must have in order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and successful interactions, and companies also consider communication skills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talent. College students are learning new thing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are having an important period in their lives in general. It is also important to achieve studies and prepare for the future through college life, but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establis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ultivate individual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live a successful life in our society. There are standardized test tools and informal evaluation methods for evaluating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among language test tools, but the method of evaluating pragmatic language for adults is different for each examiner without standardized standards, and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s of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adulthood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that affect communication core competencies by major area, and also prepared basic research data on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for adult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DSM-5's diagnostic criteria for 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s and the questions of KOPLAC (Korean Children's Meta-Voice Test). Sub-detailed items were set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results, and the ability of pragmatic communication by major area was analyzed with 60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for questionnaire items for adults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the analysis model and were found to be five factors. The five factors were named conversation technology operation, communication coordination, causal relationship identification and discourse resolution, contextual explanation, and situational communication. Second, comparing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pragmatic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by major area, it was found that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those of rehabilitation science colleges, formative arts colleges, and social science colleges. When compared by factors,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those of formative arts colleges and social science colleges in terms of dialogue technology operation and explanation according to situations and opponents. In terms of communication coordination,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formative arts colleges.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social science colleges in their ability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and resolve discourse. In terms of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those of formative arts colleges, business schools, social science colleges, and rehabilitation science colle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communication skill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for general adult college students by major are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ndergraduat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s had lower scores than those of rehabilitation science colleges, formative arts colleges, and social science colleges, among which they had the lowest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refore, whether engineering students' low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are the result of learning about their major areas, and they encounter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such as counseling and meetings not only in college but also in their work lives, and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communication education or methods that can provide difficulties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산업화와 정보화가 이루어지면서 급진적으로 발전해 온 시대 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막대한 정보와 다양한 미디어 매체 속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소통하며 살아가고 있다. 성인 초기의 시기를 보내며 진학과 취업 준비를 해야 할 시기에 코로나19 펜데믹이라는 악재를 겪었던 2030세대는 ‘잃어버린 세대’로도 불리고 있으며 고립 청년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 학번’이라고 불리는 2020학번 대학생들은 다른 학번에 비해 대학 생활의 적응 과정이 원활하지 않았으며 대학 생활을 비대면으로 시작한 코로나 학번뿐 아니라 기존의 재학생들 또한 대학 생활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등과 같은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소통 경험의 부족으로 현재 국내에서 타인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갖지 못하고 고립되어있는 청년 인구의 수는 약 54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문제는 사람과 연결되지 않고서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다. 의사소통능력은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의 일부이며 기업에서도 의사소통능력을 인재 선발의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대학생들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우며, 삶의 전반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 대학 생활을 통해 학업을 성취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맺으며 학생 개인의 핵심 역량 함양은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언어 검사 도구 중 화용언어 영역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와 비공식적인 평가 방법들이 있지만 성인을 대상으로 한 화용언어 평가 방법은 표준화된 기준 없이 검사자들마다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성인기의 화용언어능력의 특성이나 중재 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소통 핵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화용의사소통능력을 전공 영역별로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화용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연구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SM-5의 사회적 화용 의사소통 장애 진단 기준과 KOPLAC(한국아동메타-화용언어검사)의 문항을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위 세부 항목을 설정하였으며, 대구·경북 지역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부생 60명을 대상으로 전공 영역별 화용의사소통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는 분석 모형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5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5개의 요인은 대화 기술 운용, 의사소통 조율, 인과관계 파악 및 담화 해결,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설명하기,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전공 영역별 화용의사소통능력의 전체 평균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공과대학이 재활과학대학과 조형예술대학 그리고 사회과학대학의 점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대화 기술 운용과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설명하기 능력에서 공과대학이 조형예술대학과 사회과학대학보다 낮았다. 의사소통 조율 능력에서 공과대학이 조형예술대학보다 낮았다. 인과관계 파악 및 담화 해결 능력에서 공과대학이 사회과학대학보다 낮았다.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에서 공과대학이 조형예술대학과 경영대학, 사회과학대학, 재활과학대학보다 낮았다.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 중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전공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과대학 학부생들의 화용의사소통능력이 재활과학대학과 조형예술대학, 사회과학대학의 점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에서 가장 유의미하게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공과대학생들의 낮은 화용의사소통능력이 전공 영역에 대한 학문을 학습하며 나오는 결과인지, 또한 대학 생활뿐 아니라 직장생활에서도 상담이나 회의 등의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을 접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을 대학 교육 과정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수 방법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손해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장애인의 고용기회 제공 및 상위기능의 프로그램 전이 등의 대표적인 기능을 가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제주)에 소재한 시설 60개소의 이용자 중 설문문항에 대한 이해가 가능한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직업재활서비스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제공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남부지역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현황을 파악한다. 셋째, 직업재활시설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에 대한 우선 순위를 조사함으로써 정책적으로 먼저 고려해야 할 욕구를 파악하여 대안 마련과 같은 탐색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서비스 만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대부분의 요인에서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직업재활시설 서비스 영역별 만족도의 경우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종사자 태도와 편의제공’에 대한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서비스 이용동기가 자신의 흥미나 욕구반영보다는 타인이나 주변 여건에 대해 의존적이거나 의사결정권이 한정적으로 나타나 직업재활서비스 만족의 직ㆍ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희망소득 121.84만원에 비해 월평균소득이 90만원 이하로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타나 장애로 인한 경제적 열악과 생계유지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셋째, 직업재활서비스 필요성에 대해 절대적으로 공감하고 있으며 직업재활서비스 영역 중에서도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종사자 태도와 편의제공에 대한 서비스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직업재활서비스 이용자 만족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첫째, 정책이나 제도와 현실 사이를 구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직업재활 프로그램 마련 및 전문 인력의 확보가 시급하다. 중증장애인이 독립적으로 생활하는데 필요한 직업훈련 및 기술습득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고 전문성 있는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직업재활시설에서 이러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전문 인력과 제도 보완이 요구 된다. 둘째, 중증장애인의 높은 취업의사와 알선에 대한 욕구에 대해 다양한 직종 개발과 직업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장애인들은 직업에 매우 민감하며 이로 인하여 직업성공의 기틀인 직업선택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적합한 직업탐색, 직업평가, 장애인의 욕구 파악 외에도 사업체 탐색 등의 전문적인 직업재활서비스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서비스 이용자를 소비자의 개념으로 적용하고 장애인의 욕구와 의사가 충분히 반영된 서비스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주기적인 이용자만족도 조사와 서비스 평가를 통해 장애인의 욕구와 의사를 확인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직업재활서비스 계획에 반영하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소비자 만족이 학계의 진부한 주제로만 남아있지 말고 장애인직업재활서비스 현장에서 실천이념과 가치가 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근로사업장의 비용-편익 분석을 통한 사회경제적 가치 연구
최동우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the costs incurred in the disabled workplace through the cost-benefit analysis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reference poin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individual with a significant disabilities in local governments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st-benefit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three-year operation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point of direction for the support policy of the local governments on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calculating the total budget including the subsidy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as the cost facto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uggested. first. Quantify the cost-benefit components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three-year cost-benefit ratio of the analysis target is calculated, Thirdly. Prove the socioeconomic value through the cost-benefit analysys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policy direction of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 factors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labor cost, facility operation cost, facilities and equipment cost, business cost, and the benefit factor is total wage for disabled person, income other than labor cost, tax contribution. Second, the cost-benefit net present value and ratio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represent the net present value and the benefit ratio (+) for each year of 2016, 2017, and 2018, and more than 1 and the total benefit for three years It has proven to be an efficient program because of the same result. Third, in order to operate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fficiently, ① continuous investment should be made in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crease in investment in the business led to an increase in the output derived from the protected employment project, and the fact that the output was larger in comparison with the inpu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job opportunities for the individual with a significant disabilities, the state should increase the investment in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o that high quality jobs can be cre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st-benefit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lf-produced items and the sale of products. In order to increase the benefit factor, product profitability is important, so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efficienc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firstly, the efficiency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shown. Therefore, the state and the local government should try to make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uitable fo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reg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upport system that access to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the employee through linkage with alternative programs and social security expens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upport system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such as cost/benefit analysis other than social welfare facility evalu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define cost and benefit factors periodically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Fourth,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facilities in specific areas because there is not enough data to understand the results of the reorganization of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nd the performance of the whol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fter the local autonomy. Therefore, can not be represen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umulative effect of depreciation application and the change of the service life to the facility and equipment costs in calculating the cost factor, and the wage factor of the benef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service of the workplace is 11.5 years. These factors were not considered.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find out more detailed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overall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eopl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장애인 보호고용사업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중 근로사업장을 대상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근로사업장에 투입된 비용이 얼마나 사회경제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고, 결과를 토대로 향후 추진될 기초자치단체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방향과 기준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직업재활시설의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대상 직업재활시설(근로사업장)의 3년간의 운영성과 즉 해당 시설의 투입 대비 산출적인 측면에서 사회경제적인 효과가 얼마나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편익요인으로 산출하고 기초자치단체의 보조금을 포함한 소요된 예산총액을 비용요인으로 산정하여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및 지원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정책 방향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직업재활시설의 비용-편익 구성요소를 계량화하며, 둘째. 분석대상의 3년간의 비용-편익 비율을 산출하며, 셋째. 근로사업장 비용-편익분석을 통한 사회경제적 가치입증과 지방자치 단체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지역의 A근로사업장을 대상으로 비용과 편익효과에 대한 3년간의 행정자료를 전수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장애인근로사업장의 비용요인은 종사자 인건비, 시설운영비, 시설 및 장비비, 사업비이며 편익요인은 근로장애인 총 임금, 인건비 외 수익, 세금 기여액, 보호자의 경제활동 기여, 대안프로그램 비용이다. 둘째, 장애인근로사업장의 비용-편익 순현재가치와 비율은 2016년, 2017년, 2018년 3년간의 매년에 대한 순현재가치와 편익비도 (+)와 1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3년간의 총편익도 동일한 결과이기 때문에 효율성이 있는 프로그램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장애인근로사업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①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특히 근로사업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 져야한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듯 사업에 대한 투자의 증가는 보호고용사업으로 인해 파생하는 산출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오히려 투입에 비해 산출 규모가 더 큰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보호고용사업이 경제적인 효율성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국가는 중증장애인들의 일자리 기회확대를 위해서는 근로사업장에 대한 투자 규모를 확대하여 양질을 일자리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②직업재활시설의 비용-편익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자체 생산품목의 개발과 생산품 판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편익요인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생산품의 순이익 창출이 중요함으로 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품개발과 마케팅지원은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첫째, 장애인 근로사업장에 대한 효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지역의 실태에 적절한 근로사업장이 만들어 질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노력하여야 하며, 둘째, 편익요인이 증대될 수 있도록 대안프로그램과 연계나 사회보장비 등과 연계 등을 통해 이용자인 근로자들이 근로사업장에 접근성이 용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사회복지시설 평가 외의 비용/편익분석과 같은 효율성 평가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정기적으로 시행하여 비용요인과 편익요인을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이 연구는 직업재활시설의 유형개편과 지방자치제 이후 우리나라 전체 근로사업장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특정 지역의 시설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가 전체 근로사업장 성과를 대변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또한 비용요인 산출시 시설 및 장비비는 감가상각적용과 내용연수 변경에 따른 누적효과의 적용이 필요하고 편익의 임금요인도 근로사업장의 평균 근속 년수가 11.5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야 하나 연구분석의 한계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정책적인 차원에서 장애인근로사업장 전반의 성과 평가를 진행하여 좀 더 세부적인 분석과 이에 따른 함의를 찾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의 전환기 심리지원 요구도 조사 : 부모의 요구를 중심으로
추연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리지원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자 실시되었다.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의 어머니 7명을 대상으로 면담과 설문지 시행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성인 전환기 시기의 어려움과 심리지원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양육과 재활 치료 경험, 욕구 조사에 관한 설문지는 빈도분석법을 이용하고, 자녀 양육의 어려움, 재활 치료 경험, 전환 교육 요구도 조사에 관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10문항에서 총 32개의 범주, 92개의 개념정보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개념정보를 바탕으로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들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은 성인 전환기의 생활 변화에 대해 매우 혼란스러워하고, 공격적 문제 행동 및 가정에서의 고립, 재활에서의 이탈 및 거부와 같은 부적응적 행동 양식이 증가 되었다. 그러나 부모와 재활 인력들도 이에 대한 준비와 인식이 매우 부족했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성인 전환기 시기의 특수교육과 재활 치료가 질적, 양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많았다. 국가에서의 재활 치료 지원이 종료되면서 재활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고, 질적인 요구에서는 전 생애주기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과 일상생활훈련과 관련된 개입으로 재활 치료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전환 교육의 구체적인 요구는 일상생활 적응, 사회적 상호작용기술, 직업 재활, 심리상담 지원, 자립 생활 훈련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별 포트폴리오를 만들기를 원했다. 여러 분야의 재활 전문가들이 전환기라는 구체적 주제를 가지고 훈련 및 지도할 수 있도록 이정표 역할의 프로그램 및 제도가 진행되기를 희망했다. 넷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 가족지원으로는 가정 내에서 지속적인 당사자의 재활을 지원해줄 수 있는 여건들이 성공적인 전환기 생활과 연관될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었으며 부모 심리상담, 자조 모임, 생애주기별 부모교육 의무화를 희망했고 비장애 형제 상담, 여가 지원, 경제적 지원, 복지 제도 지원, 인식 홍보의 요구를 보였다. 본 연구는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경험을 통해 전환기 시기의 문제 행동의 증가와 심리적 문제, 행동 중재 및 부모 상담 등 재활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탐색하며, 전환기 시기의 필요한 심리적 개입 및 지원에 대한 요구사항을 이해하여 이후 재활심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구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 전환기 심리지원, 전환 교육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quirements of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for mothe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transition peri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from seven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adult transition period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and psychological support needs during the adult transition period. The questionnaire on parenting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experience and needs survey used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the data on child rearing difficulties, rehabilitation treatment experience, and conversion education needs survey were conducted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using 10 questions in a total of 32 categories, 92 The conceptual information of dogs wa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experienc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transition period are as follows. Firs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very confused about life changes in the adult transition period, and maladaptive behavior patterns such as aggressive problem behavior and isolation at home, departure from rehabilitation and rejection have increased. However, parents and rehabilitation personnel were also very poor in preparation and awareness of intervention. Second, there were man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ficiencies i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transition period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habilitation is often stopped when the state's support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ends, and in terms of quality, the opinion that a paradigm change in rehabilitation treatment is necessary is necessary by nurturing professional manpower capable of handling the entire life cycle and intervention related to daily life training. Third, the specific needs of transition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nted to create a continuous individual portfolio based on daily life adaptation, social skills, vocational rehabilitation,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and independent living. It was hoped that the program and system serving as a milestone would be implemented so that rehabilitation experts in various fields could train and guide with the specific theme of the transition period. Fourth, as support for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adult transition period, it was determined that conditions that could support continuous rehabilitation at home could be related to a successful transition period life, and they hoped for parental psychological counseling, self-help groups, and mandatory parent education for each life cycle. , such as counseling, leisure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for non-disabled siblings. This study explores the increase in problem behaviors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the transition period, difficultie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such as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parental counseling through the experienc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adult transition period, and demands for necessary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support in the transition period. It is meaningful to compose basic data for later rehabilitation psychology program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Key words : Adult Development Disability, Transition Psychological Support, Transition Education
사회적지지가 언어재활사 치료역량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서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5 국내석사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의 치료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사회적지지와 치료역량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자기효능감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언어재활사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사회적지지의 중요성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이해를 높여 개인의 치료역량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언어재활사 235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치료역량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표집된 대상들의 자료는 SPSS WIN 26.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들에 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들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첨도, 왜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치료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언어재활사의 치료역량이 높아지며 하위요인의 순서를 살펴보면 가족지지, 동료지지, 관리자지지 순으로 치료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가 언어재활사의 외현적 치료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을 미치는 순서로는 가족지지, 관리자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가 언어재활사의 내현적 치료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을 미치는 순서로는 동료지지, 가족지지, 관리자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사회적지지 와 치료역량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며 그 중 동료지지와 가족지지 관계에서 매개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사회적지지와 언어재활사의 외현적 치료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관리자지지와 가족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리자지지와 동료지지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은 사회적지지와 언어재활사의 내현적 치료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동료지지, 가족지지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검증한 결과 언어재활사 개인의 치료역량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관리자지지, 동료지지, 가족지지와 같은 사회적지지가 필요하며 그 중 동료지지와 가족지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재활사 심리적 변인이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언어재활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만족을 위해서는 수준 높은 치료역량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therapeutic competence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and verifi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is relationship. Through this research, the study aim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ultimately promoting the therapeutic competence of individual SLP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35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cross the country, measuring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therapeutic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6.0.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kurtosis, and skewness of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therapeutic compete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social support was associated with higher therapeutic competence of SLPs, with family support, peer support, and managerial support influencing therapeutic competence in that order. Seco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affect the explicit therapeutic competence of SLPs, with family support and managerial support bei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ird, social support also influenced implicit therapeutic competence, with peer support, family support, and managerial support showing influence in that order. Fourth,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rapeutic competence, particularly in the relationships involving peer and family support. Fifth,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xplicit therapeutic competence, particularly with managerial and family support. However, self-efficac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s involving managerial and peer support. Sixth,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implicit therapeutic competence, particularly mediating the effects of peer and family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especially peer and family support—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rapeutic competence among SLPs.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as a psychological variable. To ensure client satisfaction in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high levels of therapeutic competence are required, emphasizing the need for program development and further research aimed at improving self-efficacy.
김성숙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In our society, the numbers of the disabled women have been remarkably increasing due to of the societal and economic growth. This segment of group of people is currently comprising about 38.6% of the total disabled population, numbering around 559,064 wom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ocational needs of the disabled women. The needs thoughts and of this specific population group were also needed to identified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many policy measures and strategies. Total 156 disabled women in Seoul, Incheon, and Kyonggi-Do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he following six basic areas: 9 demographic items, 8 economy items, 26 occupation related items, 10 were related to items employment discrimination, 20 questions of employment intervening factors and 19 item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 total of 156 usable surveys were returned by mail. Statistical analyses focused 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questionnaire items. Furthermore, regression analyses, factor analyse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responded category of monthly incom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below 1,000,000-1,500,000 won. About 30.1% of disabled women received economic help from their parents or their relatives. About 31.4% of the respondents had no occupation in the past, and 73.1% of them have no occupation in the present. They expect to be professionals of the certain areas with regard to future career. Second, the result of factor analyses of vocational needs indicate that the two factor Model is appropriate: the private faculty increasement and social life. And the felt that most significant vocational being social, dimentional, discrimin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 were grouped as the following ther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Vocational Instruction, Vocational Recognition. Third, considerations of vocational choice are grouped as the showed the following factors as being significant, work environment, personnel relationship with co-worker, the hour of labor, and the wage level. Fourth,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Vocational Interruption, Vocational Need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re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Influenced income level and disability type. Their perceptions was of so influenced income level, disability type and disability cause. Their needs and perception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monthly income, an academic background and public transportation. Fourth,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connected with vocational interruption measure, vocational needs measur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measure. 여성장애인은 우리나라 전통의 가부장적인 문화와 사회 체계 속에서 장애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성차별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많은 권리와 참여가 제한된 채 이중의 고통을 겪고 살아온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여성장애인은 559,064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38.6%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1995년 출현율보다 2.17%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장애 범주의 확대와 여성의 꾸준한 사회·경제적 활동 참여 증가로 취업 욕구를 지닌 여성장애인의 수는 증가하고 있는데, 아직도 여성장애인의 사회활동 지원이나 정책 및 제도의 개선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이 경제적 직업적 특성을 구명하고, 취업과 직업재활 욕구에 관련된 요인들을 구명하며, 여성장애인들에게 있어서 직업 필요성, 직업재활욕구 그리고 취업 방해에 대한 상대적 크기와 각 척도의 성격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인천·경기의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방문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거된 자료는 총 184부 중 응답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문항에 대한 응답률이 낮거나 통계처리하기에 부적합한 것 28부를 제외하고 최종 156부를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사, 회귀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자료 분석하였다. 본 연구들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들은 다음가 같다. 첫째, 여성장애인의 경제적 특성에서 가정의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이상-150만원 이하가 28.8%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50만원 이상-100만원 이하 26.5%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균지출은 50만원 미만이 40.4%, 50만원 이상-100만원 이하가 34.0%로 나타났다. 가정에 주소득원은 30.1% 부모님 도움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여성장애인들이 아직 부모님에게 의존하고 살아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장애인의 직업적 특성으로 과거에 직업이 없던 사람이 31.4%이데 현재 직업이 없는 사람은 73.1%로 2배 이상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바라는 직업에서는 전문가 20.5%로 가장 많았다. 근무형태에서 전일제 정규직과 시간제를 원하는 사람이 많았고, 자영업을 원하는 사람도 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취업시 취업규모는 50명 이상-100명 미만 34.0%로 가장 많았고, 희망 임금은 5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이 20.5%로 가장 많았다. 이직원인으로 임금이 낮아서 19.2%로 가장 많은 나타났다. 둘째, 여성장애인이 직업 필요성에 관한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가지 영역범주로 개인의 능력 향상, 원활한 사회생활 나누어졌다. 여성장애인이 직업 필요성은 여성장애인의 개인의 능력향상과 원활한 사회생활을 위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취업 방해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4가지 영역범주로 나누어졌다. 환경적, 개인적, 차별적, 사회적 영역범주 중 여성장애인의 취업 방해에 되는 것은 개인적인 이유도 있지만 그 보다 사회 환경적 원인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장애인이 직업재활 욕구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직업재활 과정, 직업교육, 직업인식 3가지의 영역범주로 나누어졌다. 여성장애인들의 직업재활 욕구보다는 훈련과 경제적 지원에 대한 욕구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이는 여성장애인들에게 직업재활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장애인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적절한 직업재활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여성장애인 직업 선택시 고려점으로 노동환경과 상사나 동료와의 대인관계와 노동시간과 휴일, 임금수준, 직장내 편의 시설로 나타난 것은 여성장애인들이 직업을 선택시 개인적인 영향도 있지만 우선적으로 사회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척도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여성장애인에게 취업 방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장애 유형에 따라서 여성장애인의 학력이 낮고, 가정에 소득 수준이 높거나 여성장애인의 평균 임금에 따라 취업에 방해가 된다고 나타났으며, 여성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장애등급에 따라 현재 여성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직업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직업재활 욕구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직업에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장애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장애원인이 후천적일수록 직업에 필요성을 느끼며,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는 여성장애인들도 미래에 직업을 가지기 원하는 여성장애인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취업 방해 척도와 직업재활 욕구 척도, 직업 필요성 척도를 상관분석해본 결과, 세 요인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취업 방해 요인과 욕구 요인 통제시킨 상태에서 취업 필요성을 취업 필요성 요인과 욕구 요인 통제시킨 상태에서 방해요인 취업 필요성 요인 방해 요인을 통제시킨 상태에서 방해요인을 편상관분석 한 결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세 가지 모두 상관계수는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보아 서로 간에 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간의 관계가 상당히 임의적이어서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들 변수들은 의사 영향(spurious correlations) 아래에 있는 것이다.
이공계 대학원생의 그릿(Grit)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
차유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대부분 전일제로 학업을 수행하는 이공계 대학원생은 다른 대학원생보다 더 높은 학업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아울러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실에서 동료들과 함께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들이 겪는 스트레스에는 사회적 지지와 동료의식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의 인내와 열정을 의미하는 그릿(Grit)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가 있었기에,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전국 대학원 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절차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 Macro Process의 Bootstrapping을 실시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그릿,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은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동료의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그릿 수준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이 유의한 부분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이공계 대학원생, 그릿(Grit),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 Most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who study full-time, complain of higher academic stress than other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as most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perform research tasks with their colleagues in the laboratory, social support and companionship greatly affect the stress they experience. Grit, which means individual patience and passion, and social support, a positive resourc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were previously studied as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stress. In this study, I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on the effects of grit on academic stress. Data from 206 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e main analysis procedure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cro Process's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rit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affects academic stress, and at this tim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act as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Key words: A graduate stud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의 환경변화와 원격언어재활서비스
이민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e global spread of the COVID-19 virus has changed the say of life of many people, which has also affected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of social distancing, the method of telepractice service is gradually attracting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field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perception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egarding telepractice servic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8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rom Daegu and Gyongbuk, who had experience in speech therap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interview, there are three main themes: ‘Change in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 Telepractice services’, and ‘Prediction and preparation for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after COVID-19’, and 9 sub-themes, 126 concepts were derived. Due to the epidemic of COVID-19,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ere able to find out what changes they experienced in the field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in detai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useful research data amid the growing need for remot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lepractice services.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확산은 많은 사람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켰고 이는 언어재활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거리 두기의 확산으로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방식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 현장의 변화와 원격언어재활서비스에 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언어재활사 8인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참여자는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의 언어치료 경력이 있는 대구·경북의 언어재활사를 선정했다. 면담 후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의 변화’, ‘원격언어재활서비스’, ‘코로나19 이후 언어재활서비스 환경에 대한 예측과 대비’ 총 3개의 대주제와 하위주제 9개, 12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해 언어재활사는 언어재활서비스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는지를 알아보고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염병의 확산으로 원격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유용한 연구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발전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코로나19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 인식 및 요구 조사
김원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특히 밀폐된 공간 안에서 대면 수업을 하는 언어재활서비스에도 마스크 착용, 서비스 중단 등의 많은 변화가 뒤따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님들의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감염병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언어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들의 부모님 6명을 심층적 조사를 통해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코로나 발생 이전부터 언어재활서비스를 받았고 현재에도 언어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들의 부모님 6명을 선정하였다. 면담 후 자료를 조사한 결과 ‘외부요인 변화’,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 ‘영향을 받은 부분’, ‘증가된 요구사항’이라는 4개의 대주제와 ‘마스크 착용’, ‘치료 횟수 감소’, ‘부모상담의 변화’, ‘치료기관 선택 기준’, ‘부모상담의 필요성과 중요도’, ‘원격치료, 온라인 치료’, ‘부모상담의 방법에 대한 인식’, ‘치료효과’, ‘부모상담의 질적 향상’, ‘치료환경’이라는 10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고, 20개의 구성 개념이 도출되었다. 코로나19 시기의 변화된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님들의 인식 변화와 경험을 통해 요구를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은 우리 일상생활에 다시 나타날 수 있으며, 언어재활서비스에 현재와 같은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본 연구가 제한적 상황에서 언어재활서비스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해 본다. COVID-19 has brought many changes to our daily live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which provides face-to-face classes in an enclosed space, has undergone many changes, such as wearing masks and stopping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time of infectious disease by in-depth investigation of parent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in-depth survey of six parents of subjects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selected six parents of subjects who had receive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are still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ata after the interview, four main themes were 'change in external factors', 'parts not affected', 'parts affected', and 'increased demands', as well as 'wearing a mask', 'reducing the number of treatments', ' Changes in Parent Counseling', 'Criteria for Selection of Treatment Institutions',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arent Counseling', 'Remote Treatment, Online Treatment', 'Perception of Parent Counseling Methods', 'Treatment Effect', 'Quality of Parent Counseling' 10 sub-themes such as 'improvement' and 'therapeutic environment' were derived, and 20 construct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the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change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during the COVID-19 era, we were able to find out in detail their needs. In modern societ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may reappear in our daily lives, an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may be subject to current restric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maintain the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in limited circumstances.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언어 특성 및 언어재활사의 인식 조사 연구
강연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은 다양한 용어로 불려 왔으며 언어, 인지, 행동, 정서 및 사회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최근 경계선 지적 기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언어 특성 하위 영역별 중재에 관한 연구는 한정적이다. 따라서 임상 현장에서 언어재활사가 이들을 판정하는 준거 및 언어 중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언어 특성 하위 영역별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아 임상 현장에서 초등학교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을 중재하는 언어재활사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국 언어재활사 200명을 대상으로 언어재활사의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임상 경험 여부 및 실태, 언어재활사의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인식, 언어재활사의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임상 경험 및 대상자 기본 정보, 언어재활사의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언어 특성 및 효과적인 중재 방법에 관한 생각을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거의 모든 언어재활사가 3명에서 10명 사이의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임상을 경험했으며 절반 이상의 언어재활사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개념을 인지하고 있고 치료 아동 중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비중이 높아 초등학교 입학 전 만 5세에 치료 시작을 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중재를 받는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은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 운동 특성 순으로 어려움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음-모음 대응 문자를 우선으로 한 낱말해독 중재 방법, 풍부한 문맥을 제공한 어휘추론 중재 방법, 목표 어휘를 포함한 다양한 문맥을 노출하여 다의동사를 중재하는 방법, 상위언어 기술 향상에 초점을 둔 상위언어 중재 방법, 여러 가지 상황 설명 활동과 또래와의 반복적인 담화 상황을 제공하는 화용언어 중재 방법, 보조사를 포함한 문장 이해 및 산출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보조사 중재 방법, 난이도 조절을 통해 단계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직유이해 중재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언어 특성 하위 영역별 효과적인 언어 중재 방법에서 각 언어 중재 방법을 다양하게 적용하는 후속 연구와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학년별 언어 특성 및 중재 방법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지속적인 언어 중재가 필요한 초등학교 저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에게 더욱 효과적인 언어 중재가 제공될 것이라고 사료 된다.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Children have been called in various terms and show difficulties in language, cognition, behavior, emotion, and society. Recently, studies on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it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re are limited studies on the intervention by language characteristics sub-area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ity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refore, we examine whether speech rehabilitato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anguage intervention and the criteria for judging them in the clinical fiel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language rehabilitators who mediate elementary school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ildren in clinical settings by finding out what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are for each sub-area of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lower grades. This study surveyed 200 language rehabilitators on the clinical experience and statu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ildren, awareness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ildren by language rehabilitators, clinical experience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ildren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basic information on subjects, and the language rehabilitators' thoughts on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ildren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urvey, almost all speech rehabilitators have experienced clinical trial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ildren between 3 and 10, and more than half of speech rehabilitators are aware of the concept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ildren, and the proportion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children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high among the treated children, so they are recommended to start treatment at the age of 5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It was found that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ity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receiving language intervention were evenly distributed from 1st to 3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y showed difficulties in the order of cognitive, language, emotional, social, and motor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we thought that a word reading method that prioritizes consonant-vowel correspondence characters, a vocabulary reasoning method that provided a rich context, a method of mediating multiple verbs by exposing various contexts including target vocabulary, a higher language intervention method that focuses on improving higher language skills, a pragmatic language intervention method that provides various contextual explanation activities and repetitive discourse situations with peers, a supportive language intervention method that repeatedly practices sentence understanding and output, and a direct understanding intervention method that provides step-by-step data through difficulty control were effectiv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a follow-up study that applies each language intervention method in various ways and a follow-up study that studies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 methods of each grade from 1st to 3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re actively conducted, more effective language intervention will be provided to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ity in elementary school who need continuous language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