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들의 언어문제 및 재활에 대한 부양자들의 인식

        이혜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의료기술의 발달 및 인구절벽 등의 이유로 우리사회는 초고령화 사회로 빠른 속도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인구 비율이 증가하고 이에 대한 노인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신체적 쇠퇴에 따라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도 청력 및 뇌기능의 저하 등의 저하로 인하여 의사소통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언어재활을 통해 의사소통 기능을 유지·향상 시킨다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2차적으로 발생 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언어문제 및 그 재활에 대한 부양가족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노인 언어문제 인식, 노인 언어재활 인식, 노인 언어재활 선호를 알아보았다. 첫째, 부양가족들은 노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비율은 실제로 의사소통 문제의 비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의사소통 문제를 노화의 한 과정으로써 바라보는 관점 강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노인 언어재활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활에 대한 필요성을 느낄 경우 언어재활에 대해 매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방법을 선택하였다. 셋째, 부양가족이 갖는 노인언어재활은 보통이상의 수요를 보였으나 노인 전문가(노인 복지시설 종사자)에 비교하여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이 또한 노인 언어재활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나타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언어재활은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올 수 있는 노인 언어문제 및 그 재활에 대한 부양가족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노인 부양자가 요구하는 노인재활의 수요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따라서 노인 부양가족의 노인언어문제 및 재활에 대한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전생애적 관점으로 노인들의 언어문제를 바라보고 이에 대한 재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ue to the reasons of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so-called demographic cliff, the Korean society is advancing at a fast spe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and the resulting problems are deemed as social problems rather than the problems of individuals. Problems of communication may result from decreases of hearing and brain functions even in the normal aging process due to physical deterioration. If communication abilities are maintained and enhanced through language rehabilitati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ould be enhanced, solving possible secondary problems. This research studied the awareness toward the language problems faced by the elderly, awareness toward the language therapy of the elderly, and preferences toward the language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to explore the awareness of caregivers regarding the linguistic problems and language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Firstly, the proportion of care-giving family members recognizing the communication problems of the elderly seemed to be lower tha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actually suffering from communication problem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perspective of viewing communication problems as part of the aging process. Secondly, awareness toward linguistic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seemed to be very poor. However, when caregivers felt the necessity of rehabilitation, they chose very enthusiastic and active methods of language rehabilitation. Thirdly, the demand for the type of language rehabilitation of caregivers was above average, but was lower compared to experts of the elderly people (those working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is seemed to be arising from the lack of awareness regarding language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It was shown that they preferred direct and immediate linguistic rehabilitation. This research aims to enhance the awareness of care-giving family members regarding the linguistic problems faced by the elderly in the course of normal aging process, and to study the demand for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demand by their caregivers. Therefore, based on the awareness of care-giving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the linguistic problems of the elderly will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examining the whole life, denoting that rehabilitation programs are imperative.

      • 언어재활사의 음성피로 및 음성위생에 관한 연구

        이지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A speech-language pathologist, also commonly known as a speech therapist, is responsible for mediating and rehabilitating patients with limited language skill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working with people of all ages, from infants to the elderly. However, they have voice fatigue associated with their jobs as they use a variety of voices in th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of a variety of voice in speech rehabilitation and to identify the status of voice hygiene and to produce data for systematic voice management. In addition, voice fatigue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 according to the type of speech impediment, speech characteristics such as speech speed, sound intensity, and strength, and voice hygiene status were investigated, through whi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voice management system for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on 103 speech-language pathologist,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including hospitals, daycare centers, welfare centers and private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investigated the voice fatigue felt b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ccording to the type of speech disorder, they responded that they were more tired while dealing with infants, and those who had speech development disorders, moderate levels and autism spectra. Second, there was no case for their speed of speech to be accelerated in all areas. They also answered that their pitch increased for infants, speech development disorders, patients with moderate levels or non-ignition targets. In the case of speech intensity, they raised their voice when they managed the patients who were infants, or who had speech development disorders, those with moderate levels, and autism spectra. Third, when asked about the status of voice hygiene, 50.5% (n=52) of the therapists had voice hygiene, while 49.5% (n=51) of the respondents didn't have it. If voice hygiene was not carried out, 47.1 percent (n=24)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did not know exactly about the related law.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voice fatigue in speech rehabilitation and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speech hygiene. Subsequent research shall be necessary that compare subjective voice fatigue with acoustical analysis factors ( jitter%, shimmer%, NHR, sF0) in consideration of hormones, drugs, etc. that affect individual speech will help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anage their speech. 언어재활사는 의사소통 대상을 중재 및 재활하는 과정에서 음성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직업적 음성 사용자로 지속적으로 음성을 사용하므로 음성 피로를 느끼기 쉬운 환경에 있다. 따라서 음성 피로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음성위생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음성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말 언어 장애 유형에 따른 언어재활사의 음성 피로, 음성특성(말속도, 음도, 강도), 음성위생 실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병원, 어린이집, 복지관, 사설 센터 등 현재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1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 언어장애 유형에 따라 언어재활사들이 느끼는 음성 피로를 알아보았을 때, 언어재활사들은 영유아, 언어발달장애, 중등도, 자폐스펙트럼이 높은 응답을 나타냈다. 둘째, 말속도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빨라지는 경우가 없음으로 나타났고 음도의 경우 영유아, 언어발달장애, 중등도, 무발화 대상일 경우 높아진다고 답하였다. 강도의 경우 영유아, 언어발달장애, 중등도, 자폐스펙트럼일 경우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성위생 실태에 대해 알아보았을 때, 음성위생을 실시하는 경우가 50.5%(52명), 실시하지 않는 경우가 49.5%(51명)으로 나타났다. 음성위생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음성 위생법에 관해 정확히 모른다 47.1%(24명)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하여 언어재활사의 음성 피로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음성위생실태를 살펴보았다. 후속 연구로 더 많은 언어재활사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음성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 복용하는 약 등을 고려하여 음향학적 분석요소(jitter%, shimmer%, NHR, sF0)와 주관적 음성 피로를 비교하여 알아본다면 언어재활사들의 음성관리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난독증 특성 및 평가와 중재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이정실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읽기’는 사회적 맥락과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학교 교과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언어재활사에게 난독증 위험 학생들을 평가하여 중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난독증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광역시와 2개의 도 중심 지역으로 사설 센터, 병원, 복지관, 어린이집 등에서 근무하는 언어재활사 1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언어재활사의 일반적 특성, 난독증 특성에 대한 인식, 난독증 평가에 대한 인식, 난독증 중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고 연령은 20대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가장 많았고, 최종학력은 학사 졸업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자격증 급수는 2급 언어재활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임상경력은 5년 이상∼10년 미만이 가장 많았다. 현재 근무지는 사설 센터가 가장 높았고, 근무 횟수는 주 5회가 가장 많았다. 한 달 총 치료 회기 수는 60회기 이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치료 대상자 유형은 언어발달장애와 단순언어장애/언어발달지체가 가장 많았다. 둘째, 난독증 특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재활사의 약 53%는 난독증이 읽기장애와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난독증이 완치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언어재활사는 약 41%에 불과했다. 셋째, 언어재활사의 42%는 난독증 평가를 해본 적이 있었으며, 약 76%의 언어재활사는 난독증 관련 연수가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참석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읽기 관련 검사 도구로는 한국어 읽기검사(KOLRA)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45%의 언어재활사는 난독증 중재를 해본 적이 있었으며, 현재 치료를 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치료도구는 음소 카드로 생각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음운인식훈련을 첫 번째 훈련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또한 시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난독바우처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난독바우처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언어재활사는 난독바우처 제공기관에서 함께 작업해야 할 제공인력으로 난독증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Reading' is very important for both social context and communication, and to speech-language pathologists's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students at risk of dyslexia very important as factors essential for curriculum instruction in schools. This study examin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ptions on dyslexia. The study included 106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orking in private centers, hospitals, welfare centers and child care centers around three metropolitans and who two provinces,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ir perceptions on the characteristic and the assessment of and intervention in dyslexia.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ere examined to show that the number of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most of them were in their 20s, unmarried and graduated from universities; most of them had second-degree certificates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5 years≤ clinical careers <10 years; most of the current work places were private centers; the number of work a week is most often five; the number of therapy sessions a month was most often less than 60; treatment subject types developental language disorders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econd, the levels of their perceptions on the characteristic of dyslexia were found to be high. About 53%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ived that dyslexia is not equivalent to reading disabilities and only 41% of them though that dyslexia cannot be perfectly cured. Third, 42%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have ever engaged in the assessment of dyslexia and 76%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oul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regarding dyslexia, if any. Most of them reported that they have used KOLRA, as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reading. Fourth, 45%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have ever made an intervention in dyslexia, and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do not engage in the therapy of it. Most of they also responded that they thought phonemic cards as a therapeutic instrument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as the first one. In additi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dyslexia voucher institution managed by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re inadequate, so active publicity for the dyslexia voucher is thought to be required. The findings above can be summarized to show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ptions on dyslexia are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since they are personnel who would work with institution providing dyslexia vouchers.

      • 코로나19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 인식 및 요구 조사

        김원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특히 밀폐된 공간 안에서 대면 수업을 하는 언어재활서비스에도 마스크 착용, 서비스 중단 등의 많은 변화가 뒤따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님들의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감염병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언어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들의 부모님 6명을 심층적 조사를 통해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코로나 발생 이전부터 언어재활서비스를 받았고 현재에도 언어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들의 부모님 6명을 선정하였다. 면담 후 자료를 조사한 결과 ‘외부요인 변화’,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 ‘영향을 받은 부분’, ‘증가된 요구사항’이라는 4개의 대주제와 ‘마스크 착용’, ‘치료 횟수 감소’, ‘부모상담의 변화’, ‘치료기관 선택 기준’, ‘부모상담의 필요성과 중요도’, ‘원격치료, 온라인 치료’, ‘부모상담의 방법에 대한 인식’, ‘치료효과’, ‘부모상담의 질적 향상’, ‘치료환경’이라는 10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고, 20개의 구성 개념이 도출되었다. 코로나19 시기의 변화된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님들의 인식 변화와 경험을 통해 요구를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은 우리 일상생활에 다시 나타날 수 있으며, 언어재활서비스에 현재와 같은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본 연구가 제한적 상황에서 언어재활서비스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해 본다. COVID-19 has brought many changes to our daily live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which provides face-to-face classes in an enclosed space, has undergone many changes, such as wearing masks and stopping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time of infectious disease by in-depth investigation of parent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in-depth survey of six parents of subjects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selected six parents of subjects who had receive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are still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ata after the interview, four main themes were 'change in external factors', 'parts not affected', 'parts affected', and 'increased demands', as well as 'wearing a mask', 'reducing the number of treatments', ' Changes in Parent Counseling', 'Criteria for Selection of Treatment Institutions',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arent Counseling', 'Remote Treatment, Online Treatment', 'Perception of Parent Counseling Methods', 'Treatment Effect', 'Quality of Parent Counseling' 10 sub-themes such as 'improvement' and 'therapeutic environment' were derived, and 20 construct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the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change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during the COVID-19 era, we were able to find out in detail their needs. In modern societ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may reappear in our daily lives, an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may be subject to current restric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maintain the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in limited circumstances.

      • 3D프린터를 이용한 악력 재활 훈련용 시제품 개발 연구

        곽태헌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3D프린터를 활용하여 악력 재활 훈련용 시제품 개발을 주요한 목표로 한다. 손의 사용은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행동 중 하나이다. 하지만 노화 및 질병, 장애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선·후천적인 요인으로 인해 손의 악력이 자연스럽게 감소한다. 이로 인해 손의 운동 능력 및 범위에 제약을 받게 되며 이는 곧 삶의 질 하락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악력 훈련 도구가 판매되고 있지만 모두 수동적이며 특정한 하나의 치수만으로 제작된 기성품의 형태만을 취하고 있다. 또한 젤리,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을 채택한 경우 탄성 및 강도의 변화로 인해 소모품의 성향을 띈다.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외골격형의 손 재활훈련기기 개발 연구도 일부 있으나 형태가 복잡하여 접근성이 떨어지고 일상생활활동에 접목시키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재활훈련을 수행함에 있어서 치료사들의 개입은 필수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낮은 접근성으로 인해 적절한 재활훈련을 처방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설계도 등이 공개되지 않아 사용자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디자인에 적용할 수도 없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악력 훈련 도구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을 다루고자 한다. 본 시제품은 손등 위에 장착하는 방식이며 손끝과 서보모터 사이에 나일론사(Nylon thread)를 연결한다. 아두이노(Arduino) 기반으로 서보모터(Servo Motor)를 제어하게 되며 이를 통해 손이 신전되게끔 한다. 착용자는 손이 신전된 상태에서 반대로 굴곡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악력을 단련할 수 있게 된다. 손끝과 서보모터 연결 사이에 평면과 계단형의 내부 메커니즘을 채택하여 손가락 훈련의 범위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해당 시제품은 Autodesk社의 Inventor 2016 기반으로 외형을 제작하였으며 사용자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부속품을 즉각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모듈형태의 디자인을 채택하였다. 제품의 외형 제작을 위해 Inventor 2016에서 모델링 파일들을 표준 확장자인 stl로 저장하였으며 가장 많이 보급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FDM방식의 3D프린터를 이용하였다. 해당 연구는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에 의거하여 설계도와 회로도, 소스코드 등 모든 정보를 오픈소스의 형태로 공개하며 이를 통해 누구나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의 근 기능도와 특성에 맞게 변형된 제품을 사용하여 재활 훈련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활분야 전공자들은 전문적인 공학적 지식이 없더라도 제품의 작동 횟수와 세기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재활 훈련을 고안하고 처방하는 등 재활 의료기기 개발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이상 연구는 공학자들과 재활 치료사의 협업을 유도하는 중간 매개체이다. 향후 이들의 협업을 통해 시제품이 개선된다면 사용 대상자는 더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재활산업 분야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재활 산업 분야의 활성화와 발전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totypes of a rehabilitative device for grip strength using a 3D printer. Use of the hands is essential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However, hand grip strength naturally decreases due to factors such as aging, disease, and injury. This will result in restrictions on exercise capacity and hand range of use, leading to a decline in quality of life. To address this issue, various types of grip strength training tools are available, but all are passive, comprising only ready-made shapes in only one size. When adopting materials such as gels, rubber, or silicone, fabrication causes loss of elasticity and strength.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electronic hand rehabilitation equipment with externally mounted frames, but the shapes are complicated, accessibility is lost, and the findings could not be applied directly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tervention by therapists is indispensable in rehabilitation training. However, many rehabilitative devices are not commercially available and are difficult to use. In addition, since design drawings are proprietar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annot be applied to the device, making universal use somewhat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will address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grip training tools and consider development of a device with universal use. This prototype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hand and a nylon thread connects the fingertip with a servo motor. The servo motor control is based on the Arduino platform, and allows the hand to be extended. The wearer can extend and stretch the hand, thereby improving grip strength.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ngertip and servo motor, a flat-type and stair-type internal mechanism can be adapted to adjust the range and strength of finger training. The prototype was designed with Autodesk Inventor 2016, and a modular design was adopted to allow immediate replacement of accessories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use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construct the outline of the product, modeling files created with Inventor 2016 were saved as the standard filename extension stl, with use of the most common Fused Deposition Modeling 3D printer. Research was driven by the open source maker movement, which discloses all information such as design, schematics, and source code, making it universally accessible. Thus, us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training by using products modified according to individual muscular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rehabilitation specialists can easily control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product operation, even without professional engineering knowledge. This provides a foundation for more active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rehabilitative medical devices, enabling creation and prescription of various forms of rehabilitative training. This study used intermediary methods that promote collaboration between engineers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If this collaboration improves the prototype, patients will receive more effective rehabilitation. Ultimately, the project will generate meaningful results in the rehabilitation industry and contribute to its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백기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부터 4월까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N 재활병원에서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중에서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선별기준에 합당하고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것을 듣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38명의 대상자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는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19명과 전통적 인지기능 훈련을 적용한 대조군 19명으로 무작위 배분하였다. 치료중재는 1일 30분, 주 3회, 총 8주에 거쳐 중재를 시행하였다. 두 집단의 중재 전․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NCSE, LOTCA, K-MBI를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집단 내에서 중재 전․후 인지기능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р< .05), 두 집단 간 중재 전․후 인지기능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р> .05) 둘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집단 내에서 중재 전․후 일상생활 수행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р< .05), 두 집단 간 중재 전․후 일상생활 수행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р> .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존의 재활치료와 더불어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할 경우 대조군에 적용된 전통적 인지기능 훈련과 같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적 인지기능 훈련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환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통해 능동적인 참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재활치료와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인지기능 훈련에 효과가 있는 중재법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RAPAEL Smart Glove’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to March in 2017. The subjects of 38 were selected among stroke patients in ‘N’ rehabilitation hospital in Daegu. They met screening criteria and clearly understood about purpose of this study to agree to join i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of 19 and control group of 19 randomly. Whil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RAPAEL Smart Glove’, control group was given traditional cognitive - functional program. Each group got 30minute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a day, 3times a week for 8 weeks in total. NCSE, LOTCA and K-MBI were taken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wo group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 First, cognitive function of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p< .05). But cognitive func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not 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05). Seco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p< .05). But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not 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05).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exist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ith ‘RAPAEL Smart Glove’ together can produce good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cognitive treatmen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it is meaningful that the use of patients can be helpful in the sense that they can benefit from the cognitive function of cognitive function, provided they engage in active participation in patients ' interest and motivation.

      • 직업재활기금사업 전문인력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정운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기금사업 전문인력들의 근무실태 및 직무만족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직업재활기금사업 전문인력의 직무만족도 향상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의 직업재활실시기관의 직업재활기금사업 전문인력 362명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8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189부의 설문지를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서 F-검증(Oneway ANOVA)과 T-검증(T-Test), 회귀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직무만족도 측정을 위한 직무만족척도는 스미스(Smith)와 Kendall), 훌린(Hulin)에 의해서 개발된 직무만족기술척도(JDI : Job Descriptive Idex)를 보완한 다른 연구의 설문지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직무만족도는 보통수준으로 기금사업 전문인력들의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둘째, 전문요원들은 현재의 직장은 안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 대해서는 감독자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 셋째, 남성보다는 여성이, 사명감 때문에 직업재활을 선택한 경우와 지원고용, 직업지도업무담당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근무기간에 따른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직무, 감독, 동료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1년 미만 근무자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섯째, 지역별 직무만족도의 차이에 있어서 중부지역의 실시기관이 현재의 직장이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며, 팀 내부에서 협조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수도권보다는 중부권과 호남권이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평가센터에서 근무하는 전문요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직업재활시설의 경우 낮게 나타났다.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라서 제언을 한다면 첫째, 직장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현재의 고용형태를 정규직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둘째, 평가센터의 추가적인 선정을 통하여 더 많은 장애인들에게 직업평가서비스가 제공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세째, 직업재활시설의 서비스제공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주기적으로 실시되는 기관 평가와 이원화된 관리체계 등으로 인하여 직업재활기금사업인력들의 소진이 예상되므로 이러한 점들을 후속연구에서 다루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직업재활기금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요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간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und business experts for the disabled persons,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362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rts for the disabled persons across the nation and 189 of them returned it. 189 questionnaires were studied to find out work conditions by technical analysis like frequency and average, F-test(Oneway ANOVA) and T-test,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The basic questionnaire about Job Descriptive Index produced by Smith, Kendall and Hulin was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und business experts for the disabled persons, working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 which are currently operating in the nation, was average degree job satisfaction. Seco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und business experts for the disabled persons think about currently workplace not stabled and have a supervisor understanding about Korea Employment Promote Aided Disabled.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participants were more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with comparing male participants. Those who had supported employment job, counsel job showed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th, in the terms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of duty under one year about job, supervision, associate. Fifth, the results showed that local job satisfactions different the central local, Honam local were more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with comparing a metropolis local. Sixth, the result showed that the Evaluation Center staff more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with compar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establishment. As the study result, a few are suggest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to activ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fund business. The experts who are temporary employees should be employed in regular employees in order to reduce their job leaving and stable their employment and make a meal of supported vocational service, against vocational establishment.

      • 직업재활시설의 작업환경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진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s that in order for healthy citizens and the disabled to be able to live in harmony, a new system is required. Government supported intern facilities along with disability welfare are among the processes to which the ideal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ility can be achieved. A numbe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be employed a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rotec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o analyze the inherent issues and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n January of 2008, Korea Association of The Welfare Institutes for The Disabled, via the postal inspector, conducted a survey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Included were items on labor facility, sheltered workshop facility and operations research. A total of 110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xtract a wealth of data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rimary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irst,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related to the work environment are a priority that must be resolved by budgetary support. Secondl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sale of the products we support are needed. Third, a link to other measures is needed for situations where a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s role and capabilities is not appropriate. Fourth, the promo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for disability accessibility, appropriate wages, and a disability workers job classification system is needed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ifth, appropriate and accessible facilities for us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disabled persons are needed. Sixth,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are needed in the social worker process. Based on this, we can draw more than a few conclusions. First, despite the level of protection afforded to the disabled, in some cases it is not enough to correct the working or vocational facilities. For many products, minimum wage at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is not enough. The establishment of proper wages is needed. Second, a special law encouraging local governments, school boards,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public enterprises and local public enterprises to purchase goods or services from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s needed. Thir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based produc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partnership employment. In this regard, cooperat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Family, Ministry of Labor and local government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duction facilities are needed based on the imperative of building and strengthening health and welfare in the future. This will lead to the required suppor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are most essential to strengthen the production base. Fourth, the structure of the facilities, amenities and facilities that employ people with disabilities, mus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ged consistent with gender, age and work or service. Expectant mothers should be made aware of the guarantees provided by law, such as promoting convenience and ameni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codes operations, proposed food hygiene laws, industrial hygiene and food-related health care facilities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the continual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s needed.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장애인이 건전한 시민으로 생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부 지원 제도나 시설운영 체계가 요구되어지며, 이러한 과정 속에 장애인복지의 이념 실현을 위한 완충적 수단으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역할이 자리 매김 할 수 있다고 보며, 보호고용제도로서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작업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토대로 작업환경개선 조사 설문지를 구성하여 2008년 1월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에 등록된 전국의 보호작업시설과 근로작업시설의 관리자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1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업재활시설의 작업환경 개선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하는 제도는 예산지원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재활시설의 생산품판매에 대한 지원방안이 강구가 필요하다. 셋째, 직업재활시설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적절한 하지 않은 경우 전이 혹은 연계가 될 수 있는 강구가 필요하다. 넷째, 직업재활시설이 지역사회 재가 장애인이 직업재활시설에 대한 접근성, 적절한 임금지급,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직급체계(승진)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직업재활 시설의 구조와 설비가 그 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인의 작업이나 서비스 특성에 맞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여섯째, 장애근로자가 사회통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회적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 일부 근로작업시설의 경우 중증장애인이 다수 근무하고 있고 직업재할사업의 생산품이 최저 임금을 줄 정도가 되지 못하여 근로직업시설임에도 보호작업시설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등 시설의 설립 목적에 부합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시설이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재활시설의 생산품이나 서비스 판매를 위하여 제정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 실효성이 있도록 국기기관, 지자체, 교육청, 정부투자기관, 공기업 및 지방공기업이 구매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셋째, 직업재활시설의 생산기반 강화를 통한 연계고용 활성화를 해야 한다. 직업재활시설의 생산기반의 구축 및 강화가 시급한데 이와 관련하여 향후 보건 복지가족부, 노동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지원을 통함 직업재활시설의 생산 기반 강화가 가장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겠다. 넷째, 시설의 구조와 설비는 그 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인의 장애유형, 정도별.성별.연령, 작업이나 서비스 특성에 맞도록 하여야 하며,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령에 의한 편의시설과 작업종류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 식품위생법등 관련 법률에서 제시하는 산업보건 및 식품위생 관련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직업재활시설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의 환경변화와 원격언어재활서비스

        이민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global spread of the COVID-19 virus has changed the say of life of many people, which has also affected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of social distancing, the method of telepractice service is gradually attracting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field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perception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egarding telepractice servic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8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rom Daegu and Gyongbuk, who had experience in speech therap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interview, there are three main themes: ‘Change in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 Telepractice services’, and ‘Prediction and preparation for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after COVID-19’, and 9 sub-themes, 126 concepts were derived. Due to the epidemic of COVID-19,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ere able to find out what changes they experienced in the field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in detai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useful research data amid the growing need for remot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lepractice services.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확산은 많은 사람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켰고 이는 언어재활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거리 두기의 확산으로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방식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 현장의 변화와 원격언어재활서비스에 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언어재활사 8인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참여자는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의 언어치료 경력이 있는 대구·경북의 언어재활사를 선정했다. 면담 후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의 변화’, ‘원격언어재활서비스’, ‘코로나19 이후 언어재활서비스 환경에 대한 예측과 대비’ 총 3개의 대주제와 하위주제 9개, 12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해 언어재활사는 언어재활서비스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는지를 알아보고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염병의 확산으로 원격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유용한 연구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발전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이공계 대학원생의 그릿(Grit)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

        차유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대부분 전일제로 학업을 수행하는 이공계 대학원생은 다른 대학원생보다 더 높은 학업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아울러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실에서 동료들과 함께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들이 겪는 스트레스에는 사회적 지지와 동료의식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의 인내와 열정을 의미하는 그릿(Grit)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가 있었기에,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전국 대학원 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절차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 Macro Process의 Bootstrapping을 실시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그릿,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은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동료의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그릿 수준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이 유의한 부분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이공계 대학원생, 그릿(Grit),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 Most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who study full-time, complain of higher academic stress than other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as most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perform research tasks with their colleagues in the laboratory, social support and companionship greatly affect the stress they experience. Grit, which means individual patience and passion, and social support, a positive resourc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were previously studied as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stress. In this study, I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on the effects of grit on academic stress. Data from 206 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e main analysis procedure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cro Process's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rit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affects academic stress, and at this tim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act as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Key words: A graduate stud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