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보증인 속성이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승택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보증인에 대한 긍정적인 정보유형을 접했을 때와 부정적인 정보유형을 접했을 때, 스포츠보증인 속성이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으로 하였으며, 편의표본 추출법을 통해 긍정적 정보유형 420부, 부정적 정보유형 420부, 총 840부를 표집한 후 800부를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14.0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특성 분석과 설문문항을 설명하기 위해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정보유형에서 스포츠보증인 속성(전문성, 신뢰성, 애호성, 유사성) 중 ‘신뢰성’과 ‘애호성’이 브랜드태도(인지적태도, 감성적태도, 행동적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보증인 속성 중 ‘유사성’은 행동적태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정보유형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스포츠보증인 속성,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는 긍정적 정보유형과 부정적 정보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스포츠보증인 속성 중 유사성에선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 정보유형에서 브랜드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정보유형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 conducted this study to know that Celebrity Athlete Endorser's Attribute have an effects on betwee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 compared the type that the subjects learned positive informations about sports guarantor with negative informations. The subjects of study are university students and for this study, Sampling 800 copies as available samples, I utilized Positive Information Type 420 copies, Negative Information Type 420 copies and used convenience sampling. I utilized SPSSWIN Ver.14.0 data processing and us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Trust' and 'Love' had an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of Sports Guarantors Properties and 'Similarity'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Active Attitude and I could gain a significant result in Negative Information Type too. and It was showed that Celebrity Athlete Endorser's Attribute(Specialty, Trust, Love, Similarity), Brand Attitude(Cognitive Attitude, Sensitivity Attitude, Active Attitude), Purchase Inten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according to Positive Information Type and Negative Information Type. But 'Similarity' of Sports Guarantor Attribute had no an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Brand Attitude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Positive Information Type and I could gain a significant result in Negative Information Type too.

      • 운동경력의 차이가 필드하키선수의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이승윤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선수를 대상으로 운동경력의 차이가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필드하키선수 총 90명(남자: 45명, 여자 45명)을 대상으로 남녀별 운동경력의 차이에 따라 남자 필드하키선수 중학생 집단(n=13), 고등학생 집단(n=18) 및 대학생 집단(n=14)과 여자 필드하키선수 중학생 집단(n=18), 고등학생 집단(n=12) 및 대학생 집단(n=15)으로 분류하여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남자(p=.002) 및 여자(p=.011) 필드하키선수에서 Bar-in front rotation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Lumbar-locked rotation은 중학생 집단(p=.001) 및 고등학생 집단(p=.002)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Lumbar-locked rotation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p=.013)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Shoulder gradient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Shoulder gradient는 중학생 집단(p=.011)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In-line lunge는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고등학생 집단(p=.011) 및 대학생 집단(p=.016)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Trunk Stability push-up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고등학생 집단(p=.037) 및 대학생 집단(p=.027)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Rotary stability는 중학생 집단(p=.000) 및 고등학생 집단(p=.000)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otal score는 중학생 집단(p=.013) 및 고등학생 집단(p=.009)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eep squat, Hurdle step, Shoulder mobility 및 Active straight leg raise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Trunk stability push-up은 중학생 집단(p=.001) 및 고등학생 집단(p=.003)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Rotary stability, Total score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이 연구에서 필드하키선수는 운동경력의 차이, 즉 운동경력의 증가에 따라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이 종목 특이적으로 변형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xercise history on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 in field hockey players. Subjects (n=90; M: 45, F: 45) were assigned to middle school players (M=13, F=18) high school players (M=18, F=12) and college players (n=14, F=12) by exercise history of male and female field hockey. All subjects measured the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 Bar-in front rotation in male(p=.002) and female field hockey players(p=.01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than in middle school players. Lumbar-locked rotation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01) and high school players(p=.002). Lumbar-locked rotation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than in middle school players(p=.013). Shoulder gradient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ut shoulder gradient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11). In-line lunge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school players in high school players(p=.011) and college players(p=.016). Trunk stability push-up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high school players(p=.037) and college players(p=.027)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 Rotary stability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high school players(p=.000) and college players(p=.000)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 Total score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13) and high school players(p=.009). However, Deep squat, Hurdle step, Shoulder mobility and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both sex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runk stability push-up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01) and high school players(p=.003).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Rotary stability, and Total score.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exercise history changes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s by specific to the sports.

      • 인라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팅 기록과 체력 측정 변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박현주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rd and performance variable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inline roller speed skaters, and to identify the fitness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the inline roller speed skating.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he inline roller speed skaters in the K region. All subjects were composed of 8 women with no physical injury or disease. Before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all the research subjects were informed about the content, procedure, and purpose of the study. After they got familiar with the processes, they obtained agreement about the experiment participation and then experimented. In particular, this study proceeded with all procedures after obtaining permission from Dankook University IRB.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firstly in the laboratory of D university sports science center in Cheonan city, Chungnam Province and the isokinetic strength of the hip and knee was measured using Biodex. And we measured the anaerobic power using Wingate system. Approximately one week after the measurement in the laboratory was completed, a 1000m record was measured by a skilled leader using a Seiko Stopwatch (model: S-143) as a standing start in a 200m bank track of an inline roller skating rink. The 1000m recorded in the field was 95.25 ± 4.87 secon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1000m record and isokinetic and anaerobic pedaling powe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new muscle power at the 60 ° / sec angular velocity around the hip joint was significant (P<.05). In the new muscle strength at 120 ° / sec angular velocit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ak strength (p<.05) and the maximum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p<.01).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isokinetic strength of the knee and the maximum gross muscle force per body weight at the 60 ° / sec angular velocity exerted around the right knee (p<.05).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aximum pedaling power per weight and the average pedaling power per body weight (p<.05),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xtension force exerted around the hip joint, the right extension muscle strength based on the knee and the anaerobic pedaling powe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1000m record. Therefore, on - the - ground leaders and athletes need to develop and apply training programs considering these stamina variables as key training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 여자 인라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을 대상으로 기록과 경기력 관련 체력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인라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트의 1000m 기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체력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지역 고등부 및 일반부 여자 인라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트 선수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 모두 현재 신체적 부상이나 질병이 없는 상태에서 여자 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에 참가하기 전 모든 피험자들은 연구의 내용, 절차, 목적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숙지 한 후에 실험 참가 동의를 한 후 실험에 참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IRB의 허가를 받은 후 모든 절차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K지역의 A시청 및 D고교 소속 인라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트 여자 선수 8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1000m 기록(경기력)과 체력 측정 변인을 측정한 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을 기록(경기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설정하였다. 각 변인의 측정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충남시 천안 소재 D대학교 스포츠과학센터 실험실 내에서 신체 조성을 먼저 측정한 후 고관절 및 슬관절의 등속성 근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Wingate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하였다. 실험실에서의 측정이 종료된 약 1주일 이후에 인라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트장 200m 뱅크 트랙에서 1000m 기록을 스탠딩 스타트 방법으로 측정에 경험이 많은 현장 지도자가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서 측정된 1000m 기록은 95.25±4.87초로 나타났다. 1000m 기록과 등속성 근력 및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고관절을 중심으로 발휘되는 60°/sec 각속도에서의 신근력은 체중 당 최대 근력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120°/sec 각속도에서의 고관절의 신근력에서는 최대 근력(*p<.05) 및 체중 당 최대 근력(**p<.01)이 기록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슬관절의 등속성 근력 중 우측 슬관절을 중심으로 발휘되는 60°/sec 각속도에서의 체중 당 최대 신근력에서 1000m 기록과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p<.05). 마지막으로, 체중 당 최대 페달링 파워 및 체중 당 평균 페달링 파워에서 기록과의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p<.05), 나머지 변인들에서는 기록과의 상관관계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했을 때, 고관절을 중심으로 발휘되는 신근력과 슬관절을 기준으로 하는 우측 신근력 및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등이 1000m 기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기력 요인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현장의 지도자는 선수들에게 이러한 체력 변인을 핵심적인 훈련 요인으로 고려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야 한다.

      • K리그1 프로축구팀의 2018, 2019, 2020, 2021 시즌 스포츠 상해에 관한 연구

        김재오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K리그1 프로축구팀에 소속되어 있는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2018, 2019, 2020, 2021 4시즌 동안 스포츠 상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스포츠 상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K리그1 특정 팀의 프로축구선수 137명(2018년 34명, 2019년 34명, 2020년 34명, 2021년 35명)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연구 시작 당시 기존 스포츠 상해가 없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훈련 및 경기 수와 스포츠 상해 발생률, 스포츠 상해의 부위, 스포츠 상해의 유형 및 심각도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발생한 모든 부상은 스포츠 상해 카드를 사용하여 기록되었으며, 이는 축구 스포츠 상해 역학 연구 절차에 대한 국제 합의 협약인 FIFA의 권장 사항을 따랐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스포츠 상해의 정의는 국제 부상 합의 그룹(International Injury Consensus Group)의 규정을 따라 수집되었다. 선수가 훈련이나 경기에 완전히 참여할 수 없는 수준의 부상을 스포츠 상해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기술통계를 통해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으며, 항목별 빈도 분석과 총 빈도 대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와 방법을 기초로 얻어진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39.98건, 훈련 1,000시간당 3.99건으로 훈련보다 경기 중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면 2018시즌에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37.88건, 훈련 1,000시간당 3.36건으로 관찰되었다. 2019시즌에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37.74건, 훈련 1,000시간당 4.72건으로 관찰되었다. 2020시즌에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35.81건, 훈련 1,000시간당 3.81건으로 관찰되었다. 2021시즌에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48.48건, 훈련 1,000시간당 4.06건으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아도 훈련보다 경기 중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프로축구선수들의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넙다리 부위에 26.5%, 무릎 부위에 16.0%, 발목 부위에 15.3%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84.0%로 나타나 상지와 비교해 하지가 높은 손상을 당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시즌별로 살펴보면 2018시즌에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넙다리 부위에 29.6%, 무릎 부위에 19.7%, 종아리/ 발꿈치 힘줄 부위에 12.7%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81.7%로 관찰되었다. 2019시즌에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넙다리 부위에 28.6%, 발목 부위에 17.9%, 무릎 부위에 15.5%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90.5%로 관찰되었다. 2020시즌에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넙다리 부위에 33.8%, 발목 부위에 15.5%, 무릎 부위와 종아리/ 발꿈치 힘줄 부위에 각각 9.9%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83.1%로 관찰되었다. 2021시즌에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종아리/ 발꿈치 힘줄 부위에 20.7%, 무릎 부위에 18.4%, 발목 부위에 17.2%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80.5%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아도 상지와 비교해 하지가 높은 손상을 당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셋째,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이 46.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염좌/ 인대 손상이 23.6%, 힘줄 손상/ 파열/ 힘줄증/ 점액낭염이 8.9%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면 2018시즌에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이 47.9%, 염좌/ 인대 손상이 15.5%, 힘줄 손상/ 파열/ 힘줄증/ 점액낭염이 8.5%로 관찰되었다. 2019시즌에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좌상이 35.7%, 염좌/ 인대 손상이 27.4%, 힘줄 손상/ 파열/ 힘줄증/ 점액낭염이 17.9%로 관찰되었다. 2020시즌에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이 53.5%, 염좌/ 인대 손상이 21.1%, 혈종/ 타박/ 멍이 7.0%로 관찰되었다. 2021시즌에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이 48.3%, 염좌/ 인대 손상이 28.7%, 혈종/ 타박/ 멍이 5.7%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아도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과 염좌/ 인대 손상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넷째,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가 34.2%, 8-28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증도 스포츠 상해가 31.3%로 높게 나타났다. 시즌별로 살펴보면 2018시즌에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8-28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증도 스포츠 상해가 39.4%,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가 28.2%로 높게 나타났다. 2019시즌에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가 29.8%, 4-7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미한 스포츠 상해와 28일 이상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심각한 스포츠 상해가 각각 23.8%로 높게 나타났다. 2020시즌에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가 47.9%, 8~28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증도 스포츠 상해가 32.4%로 높게 나타났다. 2021시즌에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와 8-28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증도 스포츠 상해가 각각 32.2%로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자면 프로축구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훈련보다 격렬한 몸싸움 등을 동반하는 경기 중에 스포츠 상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스포츠 상해가 상지보다는 하지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근육 좌상 및 인대 염좌 발생률이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뒤넙다리근 좌상과 발목 염좌 발생률이 높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FIFA 11+ 프로그램 및 신경근 조절 훈련 프로그램 같은 축구 종목에 특화된 스포츠 상해 예방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스포츠용품의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브랜드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만진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스포츠용품의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브랜드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브랜드신뢰가 브랜드만족과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브랜드만족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용품 기업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독립변수로는 브랜드이미지, 매개변수로는 브랜드신뢰, 브랜드만족, 종속변수로는 브랜드 충성도를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사전조사를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활용하여 본조사에 활용하였으며,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 2명을 이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의 3개 대학교(S대학교, K대학교, K대학교)에 대학에 재학 중인 남, 녀 대학생 중 나이키 제품이용경험이 있는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95부가 회수되었으며, 표집한 전체 표본 395부중에서 연구에 적절치 않은 26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369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8.0을 활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스포츠용품의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브랜드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만족과의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인식된 가치와 개성이 브랜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와의 관계에서 인식된 가치, 조직의 변수만이 브랜드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에서 하위요인인 인식된 가치, 개성, 조직은 모두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만족과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에서 브랜드만족도는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에서 브랜드신뢰는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ports utilities industry's marketing strategies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the brand image on brand confidence,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o satisf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brand image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brand confidence and brand satisfaction were set as the parameter, and brand loyalty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questionnaire was formed based upon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test that was determined by the pre-survey, and it was used via self-assessment system with two trained surveyors. The target population was 40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three schools, S-University, K-University, and another K-University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have used the Nike products in the past. Out of 400 hund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395 of them were collected, and out of collected 395 of them, 369 answers that were determined to be suitable for the research, therefore used as the validity sample. SPSS WIN Ver. 18.0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for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confidence,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following: First, betwee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image, the subcategory of brand image which are recognized value and uniqueness, influenced brand satisfaction. Second,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confidence, only the recognized value and group variable influenced brand confidence. Third,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recognized value, uniqueness, and group all influenced brand loyalty. Fourth, betwee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brand satisfaction influenced brandy loyalty. Fifth, between brand confidence and brand loyalty, brand confidence influenced brand loyalty.

      • 장애인 뉴스포츠 종목 개발자의 스포츠 참여 저해요인 연구

        강경우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고 그 정도 또한 다르게 나타남으로서 장애인 생활체육은 획일화된 일부 종목을 중심으로 한 체육활동보다도 다양한 경험과 활동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과 정도를 가진 장애인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 뉴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참여 저해요인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Currently there are various types, and also varying degrees, of disabilities in Korea so leisure sports for disabled persons have to guarantee various experiences and activity opportunities rather than sports activities centered on certain uniform or standardized sports. So, to enhance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varying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ies, new sports programs have to be develope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7). In this a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bstacles to sports participation to promote new sports for disabled persons.

      • 생활체육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병학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lifestyle,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recreational sports. For this purpose, 365 sets of data from participants of life sports in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style. Secon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Thir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lifesty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The sports-focused and self- focused lifestyles affec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leisure-focused, goal-oriented, sports-focused, self-focused, and health-focused lifestyles affe c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leisure-focused, goal-oriented, sports- focused, self-focused, and health-focused lifestyles affected educational sati sfaction. Biologic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 focused, leisure-focused lifestyles. Rest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health-focused, leisure-focused, spots-focused, and goal-oriented lifestyl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health-focused, leisure- focused, spots-focused, and goal-oriented lifestyles. Rest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focused lifestyles, and soci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focused, leisure-satisfaction, and self-focused lifestyles. Fifth, the lifesty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ially signif 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sports-focused and self-foc used lifestyles affected life satisfaction. Sixth,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 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st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affected life satisf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 그리고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생활체육참여자들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 질문지를 대상자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직접 응답하게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0년 3월 1일부터 2010년 3월 30일까지 약 1개월간에 걸쳐 이루어 졌다. 이러한 과정으로 총 40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390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39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5부를 제외한 365개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방법은 t-test와 one-way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절차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결혼유무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모든 라이프스타일 하위변수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연령에서는 50대가 건강관리추구형과 스포츠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월소득에서는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건강관리추구형과 스포츠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학력에서는 대학원졸업 이상에서 자아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연령과 월소득에서는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자아추구형에서, 학력에서는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스포츠추구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여가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결혼유무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연령에서는 50대가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월소득에서는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과 학력에서는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월소득에서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생활만족도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과 연령, 학력에서는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여가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만족에는 스포츠추구형과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적만족에는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스포츠추구형, 자아추구형 그리고 건강관리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다. 생리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여가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지향형과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리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스포츠추구형, 목표지향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휴식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회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여가추구형,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생활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포츠추구형과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건겅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만족은 생활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적만족과 휴식적만족, 사회적만족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적만족, 생리적만족, 심리적만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생활체육활동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일반인들이 여가활동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관련시설 등을 설치, 운영 등 노력과 함께 관련 생활체육프로그램의 보급 및 지도자 양성이 필요하고 아울러 홍보도 함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만성 발목불안정성 환자의 변형된 Brostrom 수술후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 재활운동이 발목관절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최인혁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 요약) 만성발목불안정성 환자의 변형된 Brostrom 수술 후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 재활운동이 발목관절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스포츠의학과 스포츠재활전공 제 출 자 : 최인혁 지도교수 : 장석암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발목불안정성 환자의 변형된 Brostrom 수술 후,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이 발목 관절의 통증지수, 발목 관절가동범위, 등속성 근기능, 동적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만성발목불안정성에 의해 변형된 Brostrom 수술을 받은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은 매일 60분씩 실시되었고 Anti-gravity treadmill 프로그램 또한 매일 15~30분간 실시되었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2.0 버전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산출하였으며 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이 실험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시각적 사상척도(VSA)를 이용한 주관적 통증지수는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발목 관절가동범위는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배측 굴곡과 저측 굴곡, 내번, 외번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3.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60°/sec (p<.001, p<.01)와 180°/sec(p<.001)의 내반력과 외반력은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건측에 대한 환측의 근결손율 변화에서는 60°/sec(p<.01, p<.001)의 내반력과 외반력, 180°/sec(p<.01)의 내반력은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180°/sec의 외반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동적 안정성은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이 발목불안정성에 의한 변형된 Brostrom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 근기능, 동정 안정성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은 기존의 전통적 재활운동 프로그램 보다 더 빠르고 안전하게 발목의 안정성회복과 스포츠 현장 및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Effect of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on Ankle Joint Function After Surgery of Modified Brostrom Operation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In-Hyuk Choi Department of Sports Medicine Graduate School of Sports Science Dankook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Suk-Am Zh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on VAS, ROM, isokinetic myofunction, and dynamic stability after surgery of modified brostrom operation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who underwent modified Brostrom operation(MBO) by the same docto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program is scheduled to perform for 60min, everyday, and also anti-gravity program performed for 15~30min, everyday. The data analysis including the mean and standard error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paired t-test using SPSS 22.0 version.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at the level of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 1. The visual analog scale(VSA)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p<.001). 2.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ROM in all of dorsal flexion, plantar flexion, inversion and eversion significantly increased(p<.05). 3. Both inversion and eversion peak torque at 60°/sec(p<.001, p<.01) and at 180°/sec(p<.001)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respectively. In muscle defect, although inversion and eversion at 60°/sec(p<.01, p<.001) and inversion at 180°/sec(p<.01) significantly decreased, eversion at 180°/sec tended to decrease bu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4. The dynamic st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has positive effect of VAS, ROM, isokinetic myofunction, and dynamic stability after surgery of modified brostrom operation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Therefore, we consider that the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which is scientific and effectively method, has effect on more faster recovery of ankle stability, play ground and normal daily activities.

      •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이정희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의 효율적인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 및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현재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5개 고등학교에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8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재미요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적용하였고, 일원변량분석의 사후검증은 Scheffe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각 척도가 타당성을 보유하고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재미요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재미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학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참여기간, 참여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년, 참여기간, 참여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참여기간, 참여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학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재미요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인과관계를 규명한 결과, 재미요인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미요인은 학교생활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재미요인과 학교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to empirically explore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jump rope club activity so 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 sports clubs, development of programs and boosting school jump rope club. To achieve this goal, population was selected from students who attend 5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s of 2015 and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s.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289 students. For data processing, SPSS 21.0 and Amos 20.0 programs were su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5 for analysis following the process as below: To begin with,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fisfaction. Scheffe’s method was applied for post-hoc test for ANOV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whether each scale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as vali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enjoyment factor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ers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jump rope club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nd year of grad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Second,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ers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jump rope club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ear of grade, particip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frequency. Third,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ers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jump rope club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frequen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nd year of grade. Fourth, examin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jump rope club shows that enjoyment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lso physic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t the same time, played a partial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fact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ould be found in that it can help to confirm the value of jump rope program as a school sports club activity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provides preliminary data for boosting school sports clubs further.

      • 댄스스포츠 참여와 사회적 태도형성에 관한 연구

        최혜연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 참여와 사회적 태도형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첫째, 개인적 특성과 댄스스포츠 참여와의 관계, 둘째,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태도형성과의 관계, 셋째, 댄스스포츠 참여와 사회적 태도형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관계 모형을 설정한 다음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댄스스포츠 참가자중 층화임의추출법으로 총 604명을 표집하였다. 측정 도구는 선행 연구에 기초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각 가설은 a=.05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댄스스포츠 참여는 차이를 보였다. 즉, 개인적 특성의 변인 중에서 성별에 따라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동기 중 신체적 동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 참여정도의 모든 변인(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강도)과 성취동기를 제외한 참여동기의 모든 변인(친화성 인격형성 동기, 활동적 동기, 성취동기, 신체적 동기)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계 소득에 따라 참여기간만이, 직업유무에 따라 참여기간과 참여강도, 참여동기 중 신체적 동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태도형성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개인적 특성의 변인 중에서 연령에 따라 사회 통합적, 사회 통제적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육수준에 따라 사회 통제적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성별, 가계소득, 직업유무에 따라 사회적 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댄스스포츠 참여는 사회적 태도형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우선 참여정도에서 참여빈도는 사회 정서적, 사회 통제적 요인에 영향을 미쳤고, 참여강도는 사회적 태도형성의 모든 변인(사회 통합적, 사회 정서적, 사회 통제적)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참여동기에서 친화성 인격형성 동기는 사회적 태도형성의 모든 변인(사회 통합적, 사회 정서적, 사회 통제적)에 영향을 미쳤고, 활동적 동기는 사회 통합적, 사회 정서적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취동기는 사회 통제적 요인에, 신체적 동기는 사회 정서적, 사회 통제적 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nce sport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attitud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relational model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attitu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and social attitude, and analyzed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ing the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4 people sampled through stratified random sampling from residents in Seoul who were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The measuring tool was a questionnaire structured based on the self-reporting metho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ach hypothesis was tested at a=.05. Fro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method and procedure described above,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was different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social attitude was partially different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partially influenced on social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