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및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안자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cultural stress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ffects the self-respect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nd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elf-respect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Do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ffect self-respec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2) Does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ffect self-respect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3) Doe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ffect the self-respect and adjustment of university life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y ar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ive universities, including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Yonsei University, Gangnam University, Namseoul University and Yongin University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6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ive universities, includi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scales, self-esteem scales, interpersonal relations scale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scales tha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tudents. A total of 53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511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s after excluding 21 parts that contained inaccurate responses. In order to collect data from 5 universities from May 30 to June 29, 2020, researchers visited 5 universities and collected questionnaires to verify the hypothesis, they used the SPSS 22 and AMOS 22 programs, and analyzed as follo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students, stress on cultural adaptati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cond,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students. Third, the Multi-Retur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the impa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self-respect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oreign students staying in Korea are influenced by self-respect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due to the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sychologic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staying in Korea. Topics: Foreign college students, cultural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respect, college life adaptation 본 연구에서는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대학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경기·충청남도 지역에 소재한 H대학교, Y대학교, K대학교, N대학교, KN대학교 등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신입 외국인 대학생들이다.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신입 외국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유학생의 일반적 특성이 포함된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대인관계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 등을 종합하여 설문지를 만들어 총 600부를 배부하였고, 총 53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그중 부정확한 응답이 담겨 있는 21부를 제외한 후 511명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 30일부터 6월 29일까지 5개 대학교에 방문하여 연구자가 직접 질문지를 배부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 적응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자기형상목표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타인배려목표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신입 외국인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자기형상목표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타인배려목표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에 체류중인 신입 외국인 대학생은 문화적응의 스트레스로 인해 자아존중감 및 대학 생활적응에 영향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본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 체류 중인 신입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주제어: 신입 외국인 대학생, 문화적응 스트레스,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대학생활적응

      • 중국 영어전공대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

        등성신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dentify the direct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English major college students in China,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based on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tendency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Second, it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autonomy support,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English major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Third, it is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order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 to June 4, 2020 for English majo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1st to the 3rd grade of L University,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Shandong, China. 59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inally 576 data were analyzed except 16 copies of questionnaire that did not answer more than 50% or that gave the same responses to all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MOS 22.0 and MPLUS 7.4 statistical program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ird, descriptive statistics an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level and normality of the study variables. Four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variables. Fift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study variab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ixth,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variables. In this process, the mediating effect was determin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study variabl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re were differences in levels for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depending on gender. The average level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majoring in Chinese Englis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strawberry among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the grade. The level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strawberry among college students seemed to be higher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an in the third grad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perceived by Chinese English major universit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had a direc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L2 motivational self system, it was found that teacher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the ideal L2 self and L2 learning experience, but no direct effect on the ought L2 self.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2 motivational self system components, both the ideal L2 self and ought L2 self were verifie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L2 learning exper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between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perceived by Chinese English major college students. Among them, teacher autonomy support indirectly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with the mediation of L2 learning experience, and indirectly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with the double mediating of the ideal L2 self and the L2 learning experience. However, ought L2 self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Key words: English Major College Students in China, Teachers’ Autonomy Support, L2 Motivational Self System, Self-Directed Learning 본 연구는 중국 영어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자기주도학습 간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파악하며,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제2언어 동기적 자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수립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자기주도학습의 전반적 경향이 어떠한지를 기술통계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둘째,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영어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자기주도학습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구조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중국 산동성 지역에 소재한 4년제 종합대학교 L대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영어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2일부터 6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응답 자료 592부 중 전체 문항의 50% 이상 응답하지 않았거나 모든 문항에 같은 응답을 한 설문지 16부를 제외한 576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SPSS 25.0, AMOS 22.0 그리고 MPLUS 7.4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한 분석절차는, 첫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분포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변인들의 수준 및 정규성을 검토하고자 기술통계와 일변량 및 다변량 정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 변인들의 수준에 대한 수준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연구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매개효과 유무를 bootstrapping을 통하여 판별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거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특성별에 따라 연구 변인들의 수준차이가 존재하였다. 성별에 따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수준차이가 존재하였다. 중국 영어전공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학습 수준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대학생들의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수준차이가 존재하였다. 3학년보다 1, 2학년이 대학생들의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와 자기주도학습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둘째, 중국 영어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자기주도학습 간에 대부분 직접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사의 자율성지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는 모두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의 관계에는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이상적 제2언어 자아, 제2언어 학습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의무적 제2언어 자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보면 이상적 제2언어 자아와 의무적 제2언어 자아는 모두 제2언어 학습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중국 영어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습자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제2언어 학습 경험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며, 또한 이상적 제2언어 자아와 제2언어 학습 경험을 이중 매개하여 자기주도학습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그러나 의무적 제2언어 자아는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하였다. 키워드: 중국 영어전공대학생, 교사의 자율성지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자기주도학습

      •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역량의 매개효과

        한중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In China, the number of university graduate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As of 2020, the number of Chinese university graduates reached 8.74 million, the highest ever. In this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entrepreneurship is one of the main policies that China is pursuing to revitalize the government as a whole. The Chinese government's start-up policy can be summarized as increasing investment in start-ups and providing policy and financial subsidies to start-ups to foster the power to encourage entrepreneurship in society. In the new socio-economic environment, it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focusing on factors and theorie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risk-taking tendency and achievement desire),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were selected as the factors to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achei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Questions 1. What are the overall trend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 2. Are there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single child, residence, academic background, etc.)?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1.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2. What factors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isk-taking tendency and achievement desir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3-3.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4.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6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1: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ve a direc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H2: College students' creative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3: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4: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have a direc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H5: College students' creative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6: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February 2020 targeting 421 students at W University located in Shandong Province, China,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verified and confirmed. The confirmed measurement tools include 4 item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cale(Cronbach's α=0.905); 7 items for the creativity competence(Cronbach's α=0.950) and 11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Cronbach's α=0.958) in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e Scale; 4 items for the achievement desire(Cronbach's α=0.877) and 3 items for the risk-taking tendency(Cronbach's α=0.827) i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cale; 7 items for the government support(Cronbach's α=0.967), 8 items for the financial support(Cronbach's α=0.940), and 8 items for university support (Cronbach's α=0.939) in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from March to April 2020 and 1,73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717 copies were collected, showing a collection rate of 98.1%. For the finally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kurtosis and skewness to see the overall trend, and Pearson correlation was performed for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Lastly, structural equation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ootstrapping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ere found to be high in general. Among them, achievement desire was the highest,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financial support) was the lowest. Skewness and kurtosis showed that the main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atisfied the normal distribution assumption. Second, males, only children, first-year students, students familiar with government policies and school policies, and students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have higher levels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creativity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ntrepreneurial int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isk-taking tendency, achievement desir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creativity. Four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them, creative competency has the largest influence, followed by communication competency,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ifth, hypothesis 1 was adopted and hypothesis 4 was rejected becaus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direct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did not direct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because they were sampled only at one university in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when conducting programs and undergraduate education to improv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Keywor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Structural Equality Modeling, Mediating Effect 중국은 고등교육의 급속한 팽창으로 매년 대학 졸업생 수가 급증하고 있는 바, 2020년을 기준으로 볼 때, 중국 대졸자수는 874만 명에 이르고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환경에서 창업은 중국이 범정부적으로 활성화하고자 추진하고 있는 주요 정책 중 하나이다. 중국정부의 창업 정책 기조는 창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창업자에 대한 정책 및 재정적 보조를 실시하여 사회에 창업을 장려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대학에서는 새로운 사회경제적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모델을 구축하고 이러한 변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과 성취욕구를 구성요인으로 하는 성격특성과 정부와 대학, 그리고 재정적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창업환경인식도, 그리고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한 창업역량이 창업의지를 향상시키는 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개인배경변인(성, 외동여부, 거주지, 학력 등)에 따라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2 . 대학생의 성격특성(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창업환경인식도(정부지원, 재정지원, 학교지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중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3-3.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3-4.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번과 연구문제 4에서 설정한 대학생의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관계 및 창업역량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설정한 가설 6개는 다음과 같다. H1: 대학생의 성격특성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대학생의 창의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3: 대학생의 의사소통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4: 대학생의 창업환경인식도는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대학생의 창업역량의 창의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6: 대학생의 창업역량의 의사소통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산동성에 위치한 W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2020년 0월에 예비조사를 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확정하였다. 확정된 측정도구로는 창업의지척도 4문항(Cronbach's α=0.905), 창업역량척도에는 창의역량 7문항(Cronbach's α=0.950), 의사소통역량 11문항(Cronbach's α=0.958), 성격특성 척도에는 성취욕구가 4문항(Cronbach's α=0.877), 위험감수성향이 3문항(Cronbach's α=0.827)으로, 창업환경인식도는 정부지원이 7문항(Cronbach's α=0.967), 재정지원이 8문항(Cronbach's α=0.940), 학교지원이 8문항(Cronbach's α=0.939)으로 구성되었다. 본 조사는 2020년 0월-0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1,730부를 배포하고 1,717부를 회수하여 98.1%의 회수율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반적인 경향성을 보기 위해서 평균, 표준편차, 첨도와 왜도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서 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Stepwise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성취욕구가 가장 높았고, 재정지원에 대한 창업환경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왜도와 첨도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가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남성, 외동, 1학년 학생, 정부정책과 학교정책에 익숙한 학생과 창업의향이 있는 학생은 더욱 높은 수준의 창업환경인식도, 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를 가진다. 셋째, 창업의지는 성격특성(위험감수성향, 성취욕구), 창업환경인식도(정부지원, 학교지원, 재정지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 창의역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개인의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그 중에서 창의역량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은 의사소통역량, 창업의향, 창업환경인식도, 개인의 성격특성이다. 다섯째, 대학생들의 성격특성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창업환경인식도는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 해서 가설 1은 채택, 가설 4는 기각되었다. 여섯째,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으며,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의 한 대학에서만 표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반화의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과 학부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 창업의지, 구조모형검증, 매개효과

      • 중국 대학수업에서 교수-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 문화특징에 대한 사례연구

        방명보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amatic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hoping to awaken the classroom cultural consciousness of teachers and teaching administrators in local universities, so as to promote the classroom reform and rebuild the classroom culture of local universities in China. The questions set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are the real situation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1) What is the field experience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s of Chinese university? (2) What is the significance behind the dramatic interaction experi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s of Chinese university? Question 2. How can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be further improved in the future? (1) What are the internal strengths and weaknesses, external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2) What is the strategic direction of improving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visited H Normal University, a local university in China, and observed the interactive classroom of three professors on the spot.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used four methods to collect the required data: literature collation, classroom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material collection.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was mainly guaranteed by triangular mutual certification. Import the data into Nvivo software to encode the data, and write three case storie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o as to describe the scene deeply. Secondly, through situational analysis, this dissertation summarizes the on-site experience of theater layout, foreground performance and background design in the dramatic interactive classroom.Thirdly, through the analysis of hermeneutics, this dissertation deeply explains the ideas, values and norms of teacher-student dramatic interaction hidden behind the experience, and excav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symbol of classroom interaction. Finally, on the basis of in-depth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SWOT strategic structure of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university classrooms, comprehensively displays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the dramatic interaction classroom culture, and giv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1,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are summarized.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different styles of dramatic teacher-student interaction, namely, Professor Y's “guiding--restructured bodily organs” classroom interaction, Professor L's cooperative-constructive classroom interaction and Professor F's dialogue-debate classroom interaction.The case analysis of three different interactive performances in class shows the following results. The basic assumption of “guiding--restructured bodily organs” classroom interaction is that human body has cognitive function, and the process of knowledge acquisition shows strong physic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consciousness playing a role. Under the guidance of teachers, students learn through experience, immerse their bodies and minds in the objects, and realize the inward migration of knowledge. “Guiding--restructured bodily organs” interaction pursues deep learning, and the classroom culture it creates is an immersion classroom culture. In the immersion class, teachers should set an example, while students should practice. The basic assumption of cooperative-constructive classroom interaction is that learners have the ability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Knowledge is neither a memory of transcendental rationality nor a description of the outside world, but a learner's self-construc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s in a specific context. Cooperative-constructive classroom interaction contains the value orientation of knowledge co-constructing, emotion blending and learning while teaching, and the classroom culture it creates is a symbiotic classroom culture. In the symbiotic classroom, teachers and students must abide by the norms of sincere cooperation. The basic assumption of dialogue-debate classroom interaction is to generate wonderful ideas in dialogue and move towards human liberation in debate. Dialogue is an ideological adventur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o seek the truth. The professor encourages students to have the courage to openly use their own rationality to pursue the truth. Dialogue and debate itself contains the rational spirit of dispelling superstition. Through dialogue and debate, both teachers and students will get rid of the control of intellectual hegemony and jointly move towards the liberation of thought and humanity. The classroom culture created by this dialogue-debate interaction is the emancipatory classroom culture. In the emancipatory classroom,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follow the rules of equal dialogue. Through the analysis of a single case, it is found that the three professors' stage layouts are round table type, rice field type and module type respectively, and teachers and students use symbolic equipment such as language, expression, movement and posture at the front desk. They played diversified roles such as director, screenwriter, protagonist, supporting role, walk-on and audience in the performance. In order to make the classroom interactive performance more exciting, the three professors not only fully mobilized the dramatic elements such as suspense, adventure and conflict in the drama performance, but also integrated the concepts of embodied cognition, drama-class cooperation and dialogue teaching into the classroom through this dramatic interaction, so that the classroom has beautiful values such as immersion, symbiosis and liberation. The three professors respectively constructed the immersed classroom culture by “guiding--restructured bodily organs” interaction, the symbiotic classroom culture by cooperative-constructive interaction and the emancipatory classroom culture by dialogue-debate interaction. Three different styles of classroom interactive performances each create their own on-site experiences, and behind these experiences, there must be corresponding teaching ideas, value pursuit and established classroom behavior norms. Although they have individual differences in experience creation, values and role norms, through cross-cas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y share the same beliefs and assumptions in dramatization and symbolization, and have cultural commonalities.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akes place in the university classroom, and interaction is one of the cultural performances. The charm of interactive performance in college classroom depends on the wonderful plot and the sincerity of the actors. Different from the drama performances, the drama in college classrooms don't rely on plots to win, but on the charm of thoughts. The wonderful classroom dramatic interaction also requires the actors to perform sincerely, and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are both actors and audience. Successful interactive performance depends on the sincerity of both parties. A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most of the three professors and their students put their emotions into the performance situation, thus accumulating useful experience for the creation of classroom culture.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college classroom is a kind of cultural interaction mediated by symbols. In college classroom, both teachers and students take the a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meaning of symbols, and the meaning of symbols comes from the social interdepend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and students explain, manipulate and revise the meaning of symbols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constantly create new experiences and generate new ideas. According to Question 2, this paper gives a strategic analysis of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college classrooms. The internal advantage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college classrooms are mainly reflected in three aspects: active performance atmosphere, in-depth learning and dialogue spirit. This advantage is particularly prominent under the background of the new curriculum reform of basic education, which is forcing forcing the revolution of college classroom, so it has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stage center of college classroom. However, dramatic interaction has internal disadvantages such as difficulty in script creation and lack of performance skills, which may lead to the return of traditional teaching mode. In addition, the narrow classroom public space also makes university professors face the risk of being maliciously informed by students. Therefore, professors and colleagues can consider forming a cooperative drama class to expand the advantages of dramatic interaction with the strength of the team. Explore the effective forms of dramatic interaction, realize the sharing of resources and wisdom, and improve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ollege classrooms from the inside. The teaching management departments should establish a classroom flexibility mechanism and professor safety guarantee mechanism, which can be guaranteed and supported from the outside.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a's university classroom has got rid of the chronic diseases of shallow learning, isolation and conservatism and human oppression in monologue-indoctrination classrooms with the values of immersion thinking, cooperative symbiosis and human liberation. Based on this research, it can provide a practical reference framework for professor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who are willing to try interactive teaching reform, and also provide decision-making consultation for Chinese local universities to implement interactive teaching reform. Its deeper significance is that it will awaken the consciousness of professors and teaching administrator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to carry out classroom culture construction. Key words: Chinese University Classes, Theatrical Interaction, Symbolic Interaction, Cultural Character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지방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간 연극적 상호작용의 문화적 특징을 서술하여 지방 대학 교수와 교육 관리자의 수업 문화적 자의식을 깨우침으로써 중국 지방 대학수업 개혁과 대학수업 문화 재구축을 추진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1-1.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의 현장 경험이 어떠한가? 1-2.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의 의미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은 앞으로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가? 2-1.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상호작용의 내부적 강점, 내부적 약점, 외부적 기회, 그리고 외부적 위협이 무엇인가? 2-2.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상호작용이 어떻게 개선될 것인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중국 지방대학 ‘H 사범대학교’ 교수 세 명의 상호작용 수업을 관찰하고 사례 작성 방식으로 수업 현장의 경험을 기술하였습니다. 우선 연구자는 선행문헌 정리, 수업 관찰, 심층적 면담, 실물 수집 등 네 가지 방법으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자료의 진실성은 주로 삼각법 방식을 통해 확보되었습니다. Nvivo 소프트웨어에 데이터를 도입해 코딩하고,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에 관한 세 개의 사례를 작성하고 현장을 상세하게 기술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상황분석을 통해 연극적 상호작용 수업에서의 극장 배치, 앞무대 연극과 뒷무대 설계 등 경험을 정리하였며 해석학 분석을 통해 이러한 경험에 함축되는 교수-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 이념, 가치, 규범을 깊이 밝힘으로써 상호작용 수업의 문화적, 상징적 특징을 도출하였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근거로 대학수업 교수-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에 대한 SWOT 전략 분석을 통해 내재적 강점, 약점, 외부적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개선 방안도 제시하였습니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의 문화 특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유형의 연극적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Y교수의 ‘유도적-이전(移轉)적 수업 상호작용’, L교수의 ‘협력적-구성적 수업 상호작용’과 F교수의 ‘대화적-논변적 수업 상호작용’이다. 구체적 수업 상호작용 연극에 대해 개별적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도적-이전적 수업 상호작용’의 기본적 가설은 인간의 신체에 인지 기능이 있고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의식의 작용이 아니라 강력한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는 과정인 것이다. 학생은 교수의 지도 하에 체험적 학습을 통해 자신의 몸과 마음을 연구의 대상에 몰입하고 지식의 내부적 이전을 실현하였다. ‘유도적-이전적 수업 상호작용’의 경우, 심층 학습을 추구하고 이에 창출된 수업문화는 바로 몰입형 수업문화이다. 이 과정에서 교수는 직접적으로 시범하고 학생은 몸소 실천해야 한다. ‘협력적-구성적 수업 상호작용’의 가설은 학습자가 지신의 지식을 구축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지식이란 선행 이론을 회고하거나 외부적 세계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특정 맥락에 타인과 협력을 통해 구축한 것이다. ‘협력적-구성적 수업 상호작용’에는 지식의 공동 구축, 감정의 융합, 교육 및 학습의 상생적 가치 성향이 내포되고 이에 따른 수업문화는 바로 상생적 수업문화이다. 이 과정에서 교수와 학생은 정성, 협력이라는 규범을 공동으로 준수해야 한다. ‘대화적-변론적 수업 상호작용’의 가설은 대화에서 의미가 있는 관념을 도출하고 변론을 통해 인성의 해방을 추구하는 것이다. 대화는 교수와 학생이 진리를 탐구하기 위해 실천하는 사상적 모험인 만큼, 교수는 학생이 용기를 내서 이성을 공개적으로 표현하고 진리를 추구하는 것을 권장해야 한다. 대화와 변론 자체는 미신을 타파하는 이성적 정신을 함의한다. 대화와 변론으로 교수, 학생은 지식 패권의 지배에서 벗어나 사상과 인성의 해방을 향해 함께 나아간다. ‘대화적-변론적 수업 상호작용’이 창출하는 수업문화는 해방적 수업문화이다. 비판적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은 평등적 대화 원칙을 함께 준수해야 한다. 세 교수의 무대 배치는 각각 원탁형, 묘종형, 모듈형으로, 교수와 학생은 앞무대에서 언어, 표정, 동작, 제스처 및 기타 상징적 장비를 사용하였다. 그들의 공연에서 그들은 감독, 시나리오 작가, 주인공, 조연, 관객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세 명의 교수는 수업의 상호작용 공연을 더욱 흥미진진하게 만들기 위해 서스펜스, 모험, 갈등 등의 극적 요소를 극적 공연에 충분히 활용하였다. 또 이러한 극적 상호작용을 통해 체화된 인지, 연극단 협력, 대화형 교수방식을 수업에 통합시켜 수업이 몰입, 공생, 해방과 같은 아름다운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실감형 사유, 협력, 상생, 또는 본성의 해방 등 가치적 이념으로 독백-주입식 교육의 고유적 문제점에서 벗어나도록 하였다. 세 가지 서로 다른 상호작용 수업은 각각 자신의 현장 경험을 창출한다. 이러한 경험은 그와 대응하는 교육 이념, 가치 추구 및 일반화된 수업 행위 규범을 내포할 수 밖에 없다. 그들은 경험 창출, 가치적 이념 및 역할 규범 등 측면에 있어 개성화된 차이가 있지만 교차 사례 분석을 통해 연극화 및 상징화 두 가지 측면에 있어 같은 신념과 가설을 공유하고 문화적 공통점을 가진다.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장소는 대학 수업이다. 그 상호작용은 이 장소에서 펼쳐지는 문화적 연극이다. 대학수업 상호작용적 연극의 매력은 흥미진진한 줄거리와 정성스러운 배우의 연극에 달려 있다. 그러나 실제 연극과 달리 대학수업의 시나리오는 줄거리를 통해 성공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사상의 매력과 직결된다. 대학수업 연극은 역시 배우가 정성을 들인 퍼포먼스가 필요하다.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역할은 배우와 관객 사이에 순환된다. 따라서 상호작용의 성공 여부는 연극 양방향의 진지함에 결정된다. 연구 참여자인 교수와 학생들은 자신의 감정을 연극의 상황에 투입하고 매우 참고할 만한 경력을 창출하였다. 대학수업 중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상징을 매개체로 한다. 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은 상징적 의미에 따라 교수와 학습 행동을 한다. 상징적 의미는 사제간의 사회적 상호의존성에서 비롯되며, 사제 쌍방이 상호 작용을 통해 상징적 의미를 해석·조작·수정함으로써 새로운 경험과 사상이 끊임없이 생겨난다.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의 전략 분석을 하였다.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연극적 상호작용의 내부적 강점은 주로 활발한 연극 분위기, 심층적 학습과 대화의 정신 세 가지 측면에서 드러났다. ‘기초교육 신과정개혁(基础教育新课程改革)’ 정책에 따른 중국 대학 수업방식 개혁이 퍼지고 있는 시대적 배경에서 이러한 강점의 중요성이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에 대학수업 무대의 중심적 위치에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연극적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시나리오 창작의 어려움과 연극 능력 부족 등 내부적 약점도 존재하고 이는 전통적 교수방식으로 되돌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강의실 공간이 좁은 것도 대학교수들을 학생들에게 악의적으로 고발당할 위험에 처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교수들은 협력적 연극단을 구성하여 팀워크로 연극적 상호작용의 장점을 강화해야 한다. 연극적 상호작용의 효과적인 방식을 모색하여 자원과 지혜를 공유하고 내적으로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 연극적 상호작용을 개선해야 한다. 교육 관리 부서는 유연한 수업 체제와 교수안전보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외적으로 보장과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가 검토한 중국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간 연극적 상호작용은 몰입형 생각, 협력 상생 및 인간의 본성 해방 등 가치적 이념으로 독백-주입식 수업의 피상적 학습, 고립 보수 및 인간의 본성 압박 등 오래된 문제점에서 벗어났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상호작용적 교육 개혁을 시도하고자 하는 중국 지방대학 교수들에게 실제로 적용할 만한 참조 구조를 제시하고 개혁을 추진하는 중국 지방대학에 대책과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구나 중국 지방대학 교수들과 교육 관리자들에게 수업문화를 자각적으로 구축하는 인식을 불러일으키는 데 심층적 의미가 있다고 본다. 키워드: 중국 대학수업, 연극적 상호작용, 상징적 상호작용, 문화 특징

      •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유경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과 진로관여행동, 사회적 지지와 진로관여행동의 관계 및 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해 살펴보고,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6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부적합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263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Person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진로관여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관여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진로관여행동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진로관여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회복탄력성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희망은 진로관여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관여행동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고,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평가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가 진로관여행동에 영향을 미쳤지만,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관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각각의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관여행동에 내적인 심리적 자본과 외적인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과 긍정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근거로 대학생들의 진로관여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내적, 외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지원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핵심어 : 심리적 자본, 사회적 지지, 진로관여행동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occupational engagement, social suppor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For this, we tried to examin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as variables affecting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To clarify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 total of 286 data were collected, of which 263 data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inappropriate data. In this study,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using the SPSS 27.0 statistical program, and pe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each variabl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affect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how does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affect occupational eng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ccupational engagement, and that it had a direct influence on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optimism, and resilience were influenced in the order, and hope did not affect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nd that social support had an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influenced occupational engagement, but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did not. As a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n occupational engagemen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ccupational engagement, and the influence of each sub-factor was confirmed. Through this, the importance and positive influence of internal psychological capital and external social support on the occupational engagement of college students were verified.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more diverse support and programs are needed to improve internal and external capital in order to promote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 The Effect of University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insider status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Zhen Zhang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대학은 지식의 생산과 전파의 사명을 짊어지고 있으며 특히 고등교육은 경쟁이 날로 치열해짐에 따라 조직구성원들 중에 특히 교직원들의 창의력과 조직성과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 교직원들에게 조직에 대한 몰입을 높이고, 교육과 연구의 수준을 향상과 교육의 질과 효익을 향상시켜서 높은 자질의 인재의 양성을 통하여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의 육성이 시급히 해결하여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실무적인 문제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조직정의가 조직정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직정의와 대학교직원의 조직성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매개변수로 개인특성변수인 내부자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조절 변수로 조직특성변수인 조직지원을 설정하여 대학에서 교직원의 수행하여야 하는 역할을 탐색하고 연구한다. 대학에서 교직원들이 정당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은 공정한 조직을 만든다. 이러한 좋은 조직 환경이 교직원들의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대학의 장기적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는 실증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중국의 문화적 배경하에서 조직 공정성, 내부자 신분, 조직지원과 조직성과의 구조차원에서 설정된 변수간의 상호 영향관계를 검토하고 체계적인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하기 위하여 설문지를통한 연구를 하였으며 총 426 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SPSS 21.0 과 AMOS 21.0을 이용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데이터의 검증 결과에 기초한 대학의 조직정의와 조직성과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정의와 조직성과 사이에는 부분적인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조직 정의의 하위변수들에 대한 분석에서 정보의 공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관계는 성립되지 않으며, 분배의 공정성, 절차의 공정성과 리더의 공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조직 정의의 하위 변수들 중에서 정보 공정의 영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들은 향후 분배 공정, 절차 공정, 리더공정절차를 중시하고 이에 부합하는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더욱 공정한 조직 환경을 구축해야한다. 둘째, 인식된 내부자 신분은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에 대한 가설검증결과에 따르면 내부자 신분의 인식은 조직 정의와 조직성과 사이에서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새로운 조직 환경에서 대학교들도 내부생태인지구축을 계속 강화하여 교직원들의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행복감을 부단히 제고시켜야 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셋째, 조직정의와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 지원은 부분적으로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데, 분배 공정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 지원은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지 않고 있으나, 절차 공정, 리더 공정, 정보 공정은 조직성과 사이에서 조절변수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대학에서 교직원들에게 제공하는 지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적인 조직 지원을 제공하면 조직 정의를 제고할수 있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논문은 중국 대학에 초점을 두고 내부자 신분 인식을 매개변수로 하여 매개효과의 검증을 통하여, 내부자 신분 인식을 기업에서 대학 조직으로 확장하여 조직정의와 조직성과 사이의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대학 조직에서 내부자 신분에 대한 인지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한 것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키워드: 조직정의, 인식된 내부자 신분, 조직지원, 조직성과

      • 중국 대학생이 지각하는 체육 교사 역할이 수업 만족도와 재참여 의지에 미치는 영향

        왕홍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이 지각하는 대학 체육 교사의 역할이 수업 만족도와 재참여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체육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관심도와 참여율을 높이고 체육 수업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 허베이성 지역 10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중 체육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이 지각하는 체육 교사 역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출생지, 교사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 수업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 수업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과정 설정, 서비스 지원, 교사 교학, 교환 관계, 개인 노력, 학습 성과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체육 수업 재참여 의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출생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 성별에 따른 재참여 의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체육 교사의 역할은 수업 만족의 하위 요인인 과정 설정, 서비스 지원, 교사 교학, 교환 관계, 개인 노력 및 학습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체육 수업 만족도는 수업 재참여 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나 수업 시설이 중요하겠지만 그에 못지 않게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교사로서의 역할을 명확하고 건전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전문성이 결여된 체육 교사의 수업에 대해서는 대학생들의 만족도가 낮을 것이고 그것은 수업 재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쳐 전체적인 체육 수업의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대학의 체육 교사는 이론적 지식과 실기 능력을 겸비한 전문성 있고, 새로운 사생 관계를 이해하고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인성을 갖추어야만이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와 그에 따른 수업 재참여 의지도 향상되어 대학 체육 수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대학생, 체육 교사 역할, 수업 만족도, 재참여 의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help increase colleg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role of colleg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by Chinese college students on class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willingne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statistically conducting a survey of 403 college students who have take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mong 10 colleges in Hebei Province, China.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ender, grade, birthplace, and teacher gend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rse setting, service support, teacher teaching, exchange relationships, personal efforts, and learning outcom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ollege students' reparticipation willing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grade, and birthpla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urse setting, service support, teacher teaching, exchange relationship, personal effort, and learning outcomes, which are sub-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Fifth,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reparticipation willingness. In summary,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nd class facilities are important, but the role of teachers is no less important.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lasses that do not clearly and soundly recognize their roles as teachers and lack expertise will be low, which will affect their reparticipation willingness, adversely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overal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colleg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ust have expertise with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understand new private life relationships, and have the personality to accommodate students' needs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partication willingness. Key Words: college student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ole, class satisfaction, reparticipation willingness

      • 대학교육품질이 지식충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반도체 교과를 중심으로

        민형원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교육에서 품질은 중요하기 그지없다. 대학교육의 품질이 높아야 졸업 후 그들의 과업성과도 역시 높을 것이라는 기대 역시 여기에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는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고 있는 반도체 관련기업에서도 적용되기는 마찬가지이다. 특히, 반도체 관련기업에서 과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요인 중에 대학교육을 통한 지식충족수준은 실무차원에서 졸업생의 과업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짐작되어 진다. 대학교육품질이 낮다고 하는 것은 결국 실무자의 지식충족도가 낮다고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과업성과 역시 낮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품질과 과업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도체 관련기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대학교육품질, 구체적으로는 대학교육품질과 과업성과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대학교육품질이 지식충족도와 과업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관련기업에 종사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지식충족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학생자신의 노력(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충족도가 높을수록 과업성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충족도가 높을수록 지식보완 노력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식보완 노력수준이 높을수록 과업성과 역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university education quality on knowledge adequacy and business performance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graduates in Korea.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largely new employees who are graduated university within the last 5 years and the sample size is 287.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factor that have an effect on university education quality is more relative to the student himself than faculty, subjects curriculum and education facility. Second, the more sufficient their knowledge, the higher their performance. Third, the higher their knowledge sufficient, the more their effort knowledge supplement. Fourth, the higher their effort knowledge supplement, the higher their performance.

      • Cooper의 모형을 이용한 대학입학사정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김창덕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functions of admissions offices of the universities through a four-dimensional model of Cooper(2004). Methodological designs for improvement will be suggested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history of the admission control system and extensive admission resources, comparison with admission systems of overseas universities, and the case-study of N University admission system. Based on this outcome of bibliographical data and analysis regarding the present status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this paper us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by applying Cooper’s four-dimensional framework of school policy analysis. The specific analysis result shows that university admission officer system enhance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autonomy system. Sub-analysis frameworks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autonomy in the normative dimension, Second, the Ministry of Education, KCUE, University organization in the structural dimension, Third, academic admissions officers and hig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career design in the constitutive dimension, Fourth, admission counseling and educational training for admissions officers in the technical dimension. As a result, this paper concludes that improvements in each dimension are essential; As per the improvements in normative dimension, the universities should clarify student selection criteria and faithfully reflect the high school curriculum. As per the improvements in the structural dimens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should support the student selection processes of universities in mutual collaboration and the universities should properly operate the admission teams and the admission officers; As per the improvements in the constitutive dimension, admissions officers should extend their expertis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career counselors are advised to enhance professionalism and develop their academic programs; As per the improvements in technical dimension, universities shoul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applicants, and expand their professionalism continuously by employing admissions officers.

      • 대학교 위탁급식업체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 J사를 대상으로

        박병국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현재 여러 형태의 단체급식 중 대학교의 중소규모 위탁급식업체를 중심으로 성공적인 운영과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모색하고자 고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이용실태를 살펴보고,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품질요인을 제시하며, 전반적인 고객 만족도에 대한 긍정적이고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위탁급식과 서비스 품질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설문지를 개발하여 J사가 운영하고 있는 충남지역의 2개 대학교 내 8개 업장을 선정하고, 2006년 6월 12일부터 19일까지 약 1주일에 걸쳐 이들 업장을 방문한 298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품질측정 및 전반적인 만족도와 이용실태를 파악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대학교 위탁급식업체의 품질측정을 위하여, Pete Stevens, Bonnie Knutson and Mark Patton(1995)이 개발한 DineServ를 우리나라 대학교 급식서비스 환경에 맞게 수정한 김현철(2006)의 척도를 원용(援用)하여 연구자가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전반적인 만족도와 이용실태 등은 최근 대학교 급식업체의 서비스 품질 평가와 관련된 문헌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자가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 통계패키지인 SPSS 11.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항목-척도 상관관계, Cronbach's α 등 다양한 계량 심리학적 평가방법을 통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실태분석을 통한 결과로 ‘인적 특성에 따른 대학급식소의 이용빈도’와 성별에 따른 ‘이용시간’, ‘점심식사의 규칙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찾아볼 수 있었다. 둘째, 고객이 인지하는 서비스 품질 특성을 요인분석한 결과 수정된 DineServ의 29가지 서비스 품질 특성이 공감성(empathy), 반응성(responsiveness), 편리성(convenience), 신뢰성(reliability), 유형성(tangibles), 메뉴(Menu)의 6개의 구성개념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든 요인들 간에서 서로에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품질은 모든 항목들이 기대도보다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고, 기대도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는 공감성(-0.74±0.999) > 편리성(-0.67±0.952) > 반응성(-0.58±969) > 유형성(-0.56±0.921) > 신뢰성(-0.41±0.980) > 메뉴(-0.19±1.008)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에 따라 위탁급식업체의 서비스 품질평가 속성요인 중 공감성, 반응성, 유형성의 요인만이 전반적인 고객만족에 유의한 관계성을 나타내었고,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특히 공감성(1.701)과 반응성(1.706)의 서비스 품질 요인이 고객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ategy for an increase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a successful management of mid-size companies that provide college contract foodservice. Henc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actual usage of the college contract foodservice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ggest particular factors that would enhance service quality assessment, and define factors that have positive and meaningful influence on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college contract foodservice and quality, defined the scope of research as 8 dining halls located in 2 universities in the area of Chung-Nam operated by Company J,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by provided by 298 customers who visited the previously defined facilities from June 12 to June 19, 2006. This study used the research tool developed by Hyun Chul Kim(2006) which is a cultural adjustment of DineServ Model developed by Pete Stevens, Bonnie Knutson and Mark Patton(1995) to analyze the quality of a company that provides college contract foodservice. The present writer has organized and analyzed the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and actual usage of contract foodservice based on the study of various publications on recent service quality assessment of companies that provide college contract foodservice. The date collected by this research was analyzed by using SPSS 11.5, a social science computer software for statistic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