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1급 호텔의 외식 레스토랑이미지와 성과에 관한 연구

        강정수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내외적으로 불안정한 정치적 혹은 경제적 상황변수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국내 호텔기업으로서는 제한된 객실 및 F&B 매출에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현재 직면한 위기를 타계하기가 어렵다고 본다. 이를 인식한 호텔기업들은 이미 수년전부터 예식장사업 및 외식사업부 운영을 통해 매출신장을 꾀하고 있다. 호텔 외식 레스토랑에 경쟁자인 체인형 패밀리레스토랑은 강력한 브랜드파워를 바탕으로 브랜드다각화 및 다점포전략에 따른 점포확장경쟁을 통해 고객유치를 위한 마케팅전략을 수행함으로써 호텔 외식 레스토랑에 위협적인 경쟁상대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호텔 외식 레스토랑인 경우는 체인형이 아니므로 고객이 특정 레스토랑 점포를 선택시 고객의 평가기준에서 대안적인 점포와 비교를 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브랜드뿐만이 아니라 그 특정 점포이미지가 선택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동일한 브랜드일지라도 판매되는 점포에 따라 그 브랜드의 평가가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호텔기업에서 운영하는 외식 레스토랑의 경우는 브랜드의 평가 측정보다는 개별 점포의 이미지 측정을 통해 고객의 구매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기업에서 운영하는 외식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레스토랑이 갖고 있는 점포이미지와 점포이미지에 따른 고객의 평가인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호텔 외식 레스토랑의 방문고객의 구매행동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점포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의 영향관계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외식행태의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호텔기업은 고객의 구매행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향후 외식사업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을 구축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첫째, 특1급 호텔 외식 레스토랑이미지의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위생, 시설 및 분위기, 메뉴, 가격 및 음료, 서비스인지, 서비스반응, 직원의 태도 및 용모 등 7개의 내재된 차원을 도출함으로써 학문적으로 레스토랑의 이미지척도를 개발함으로써 향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네 가지 유형의 고객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레스토랑 이미지요인은 시설 및 분위기와 메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특히 메뉴에 있어서 호텔 수준의 질적인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경쟁력있는 레스토랑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셋째, 레스토랑이미지의 가격 및 음료요인이 전반적인 만족을 제외한 비교만족, 기대만족, 가격대비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호텔 외식레스토랑을 방문하는 주 고객들의 상당수가 가격에 가치를 둔 고객이란 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값비싼 호텔 다이닝룸에서 식사를 하는 것보다는 양질의 메뉴 및 서비스를 저렴하게 만끽할 수 있다는 점이 바로 호텔 외식 레스토랑의 장점임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원가관리를 통한 수익극대화방안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넷째, 가격대비 만족측면에서 볼 때 남성고객이 여성고객에 비해 높게 지각하는 점을 고려할 때, 호텔 외식 레스토랑 마케터는 적절한 가격전략을 통해 지속적인 고객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성고객을 유인할 수 있는 전략도 필요할 것이다. 즉, 여성고객은 가격 보다는 분위기에 강하게 반응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입지에 따라서 여성을 점포의 주 고객으로 표적 마케팅 하는 전략도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인구통계적인 조절효과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호텔 외식 레스토랑의 표적시장은 40대 이상의 기혼인 남성이면서 소득수준이 월 400만원 이상인 고객층이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주지해야 할 점은 이 세분시장은 레스토랑이미지 중 서비스 반응 즉, 고객의 불평처리, 능동적인 대화, 주문된 메뉴의 적절한 시간 내 제공 등의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장이다. 즉, 불평고객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고, 만약서비스 실패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적절한 대화 및 보상으로 서비스 회복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레스토랑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경쟁력있는 레스토랑이미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호텔 외식레스토랑 마케터는 고객의 욕구에 맞는 레스토랑이미지를 개발하고 포지셔닝하여 호텔 외식레스토랑만의 경쟁우위전략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restaurant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t off-premises restaurant of super deluxe hotels in Korea. This study also attempts to inquire the rol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taurant customer behavior between the effect of restaurant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an attempt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ree hundred and twent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off-restaurants customers of super deluxe hotels and the respondents were offered incentives. The survey lasted from June 1st, 2006 until June 7th for seven days. Total 302 replies submitted to a questionnaire and 259 of those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corroborative evidence analysis, and 43 pieces of insincere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it was execu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T-test using SPSS ver. 12.0 statistics package. The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the follows: First, seven underlying dimensions of restaurant image were found. They are hygiene, interior and atmosphere, menu, price and beverage service, service recognition, service responsive, employee attitude and appearance. Second, hygiene factor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expectative satisfaction, and price-comparative satisfaction. Interior and atmosphere and menu factors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comparative customer satisfaction, expectative satisfaction and price-comparative satisfaction. Price and beverage service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comparative customer satisfaction, expectative satisfaction, and price-comparative satisfaction. Service recognition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ly on comparative satisfaction. Service responsive has a meaning influence on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and price-comparative satisfaction. And employee attitude and appearance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comparative customer satisfaction, and expectative satisfaction. Third, hygiene, interior and atmosphere, menu, and service recognition factors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continuous revisit intention of customer loyalty. Price and beverage service, service responsive, and employee attitude and appearance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Fourth, in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comparative customer satisfaction, expectative satisfaction, and price-comparative satisfaction influenced by restaurant image (hygiene, interior and atmosphere, menu, price and beverage service, service recognition, service responsive, employee attitude and appearanc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had a coordination role. Also in re-visit intenti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continuous revisit intention of customer loyalty influenced by restaurant image had a coordination role. Finally, restaurant customer behavior did not have a coordination role either in general customer satisfaction, comparative customer satisfaction, expectative satisfaction, and price-comparative satisfaction or re-visit intenti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continuous revisit intention of customer loyalty influenced by restaurant image. In conclusion, restaurant image has to be managed and positioned for the target market in order to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so has to be considered to position and sustain competitive restaurant image.

      • 인덕션용 1,200V Trench Gate Type Field Stop IGBT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리춘청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디바이스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이 가지고 있는 소자이며, 큰 전력을 처리하기 위해 설계하는 스위칭 디바이스로서 전원 공급 장치, 태양광 인버터, 인덕션이나 전자레인지등에 널리 사용할수 있다. 현 단계에서는 전자레인지, 주파수변환 에어컨, 차재 전자제품 등 중소출력, 고스위칭 주파수의 소비전자 분야에서 Trench 구조와 Field Stop 구조의 양쪽을 결합한 Trench Gate type Field-Stop IGBT가 주축이 되어, IGBT 분야의 연구의 새로운 화제가 되었다. Trench Gate type Field-Stop형 IGBT 는 수직형 게이트 구조(Trench-Gate) IGBT 기술을 Field Stop구조 IGBT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IGBT의 발전 방향으로 높은 Breakdown Voltage을 가지고 있고, 우수한 열 특성 및 고-전류를 처리 하는 만큼 이상적인 On state Voltage drop와 Breakdown Voltage가 이상적이고 우수한 반도체 소자의 필요 사항을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IGBT의 전기적 특성의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한 trade-off 관계를 최적화 시키고자 본 논문에서는 1,200V Trench Gate Type Field Stop IGBT 공정 시뮬 레이터인 T-CAD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Trench Gate를 설계하기 위해서 Breakdown Voltage의 가장 큰 영향을 주는 N드리프트 크기, 즉 Cell Thickness와 On-state Voltage Drop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비저항 (Resistivity)에 따른 실험 및 Field Stop Layer에 농도에 따른 Breakdown Voltage 특성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P-Base의 농도와 크기에 따른 Threshold Voltage 특성을 확인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1,200V Trench Gate Type Field Stop IGBT의 Breakdown Voltage은 1449.54V, On-state Voltage Drop는 1.327V, Threshold Voltage은 4.250V로 확인하였다. 영문초록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device is a device with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is a switching device designed to handle large power and can be widely used in power supplies, solar inverters, induction or microwave ovens. At the present stage, the Trend Gate Type Field-Stop IGBT, which combines both the Trench structure and the Field Stop structure in the consumer electronics sector of high-switching frequency, small and medium-sized outputs such as microwave ovens, frequency conversion air conditioners, and differential electronics, has become a new topic of discussion in IGBT field. Trend Gate type Field-Stop-type IGBT has a high yield voltage i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new IGBT combined with the vertical gate structure (Trench-Gate) IGBT technology, and is ideal for on-state voltage drop and yield (on state voltage drop) as it deals with excellent thermal characteristics and high current. To optimize the trade-off relationship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IGBT, this paper used T-CAD, a 1,200V Trench Gate Type Field Stop IGBT process simulator. In this paper, the yield volt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field stop layer were analyzed and the threshold volt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Base concentration and the simulation were confirmed and simulat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nd size of P-Base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N drift size, which most affected the yield voltage. As a result,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1,200V Trench Gate Type Field Stop IGBT was 1449.54V, the On-state Voltage Drop was 1.327V, and the Threshold Voltage was 4.250V.

      • Super Junction IGBT 필러 내부의 Trench SiO2 성장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이건희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Super Junction 구조를 갖는 IGBT는 항복전압과 온-상태 전압강하의 트레이 드-오프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구조이다. 일반적인 Power MOSFET, IGBT는 오프상태에서 공핍층이 P-Base, N-Drift간 수직으로만 확장되지만 Super Junction 구조는 P-Base, N-Drift(N-Epi)간 수직 및 N-Drift(N-Epi), P-필러 간 수평방향으로 공핍층이 확장된다. Super Junction 공정중 하나인 다중 에피택셜(Multi Epitaxial) 공정은 P형의 각 필러마다 농도를 조정할 수 있어 전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Super Junction IGBT의 Half-Cell Pitch(㎛)를 5㎛로 제작하고, 열 확산 공정 이후 N-Epi(N- 필러)의 폭이 좁아져 캐리어의 이동경로가 좁아지거나 필러 간 수평방향으로 의전하가불균형해지므로P-필러의이온주입을 2㎛로 제한하였다. 본 논문은 Synopsys사의 TCAD 툴을 사용하여 SiO2가 Super Junction 구조 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Super Junction 구조의 P-필러에 인가되는 전 계를 3D Plot으로 관찰하였을 때, P-필러 내부에서 전계에 영향이 미치지 않 는 부분을 관찰할 수있는데 해당 부분을 식각한 후SiO2를 형성한 구조와 비 교하였을 때 P-필러에 인가되는 전계는 차이가 없다. 이는 동일한 항복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SiO2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Epi저항을 줄임으로써 온-상태 전 압강하를개선할수있다.

      •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이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경영성과 및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문환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15

        1인 가구의 증가, 맞벌이 세대 수의 증가, 고령사회의 진입 등의 사회적 이슈 와 HMR 전문점, 배달 서비스 등의 등장은 외식시장 구조의 확대를 불러왔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서비스업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다양한 소비자들이 유 입됨에 따라 서비스 종사자들에게 감정노동의 근원이 되는 소비자들의 역기능 적 행동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관심을 증폭시켰다. 기업에서는 이를 대응하기 위한 매뉴얼, 직원훈련 등을 통해 원칙을 마련하고 있지만, 소상공인 들에게 이러한 대응을 하기에는 경제적․물리적 여유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법적 가이드 마련, 법적 처벌 강화, 소비자 교육 등이 지속적으로 언급 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실정이며, 소상공인들의 경영 어 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상공인 외식경영자들의 경영지속을 위한 대 응방안, 외식경영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차별적인 해결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언어폭력, 과도한 요구, 무례한 행 동)이 스트레스와 소진(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성취감 저하)을 통해 경영성과 와 사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가설을 설정하 였다. 또한 역기능적 고객행동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에 따라 유 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외식업 소상공인 경영자를 대상으로 2021년 2월 22일부 터 3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363부(95.5%)가 최종분석 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모형 및 연구가설을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SEM)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기능적 고객행동 중 무례한 행동을 제외한 언어폭력과 과도한 요구 는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기능적 고객행동을 통한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소진은 경영성과의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소진은 사업지속의도에도 유의한 부(-)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경영성과는 사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기능적 고객행동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적 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이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스트레스와 소진을 불러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소상공인들은 영세하고 생계를 목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기 때문에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에 대응방안을 마련한 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관련 단체나 협회를 통해 소상공인의 의 견이 보다 신속하게 수렴되고 불합리한 고객 관행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조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을 제작, 캠페인을 조성하는 등의 방안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고객의 무례한 언행과 관련된 법률적인 조언을 위한 대책과 심리적 지원체계 구축 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소상공인이 고객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도록 심리적 역량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교육 제공과 함께 이들을 보호하 고자 하는 방안들을 조직적으로 강구하여야 할 것이며, 소상공인 외식경영자 들이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교육프 로그램, 소상공인 지원 자금대출, 창업교육, 컨설팅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고 객의 부적절한 언행의 사각지대에 놓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 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비 스 기업들과는 달리 금전적 보상 등과 같은 과도한 요구가 소상공인의 스트레 스를 야기시키는 변인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둘째, 사업지속의도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경영자 또는 사업체의 내부적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이 되었으나 본 연구는 고객이라는 외부적 요인으 로 인해 사업지속의도가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연구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고객의 불합리한 언행에 대응할 외식업 소상공인의 역 량이 부족함을 인지하고 관련 단체나 협회를 통해 이를 개선해야 함을 강조하 였다는 점에서 외식업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과 스트레스의 인과관계에서 조절변수로써 회복 탄력성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외식업 소상공인들은 자본력 부족과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이를 관리하 고자 하는 시도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이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소상공인의 심리적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 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셰익스피어 희곡을 활용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리어왕, 말괄량이 길들이기 활용연구>

        고용선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셰익스피어 희곡을 활용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 개발 연구 <리어왕, 말괄량이 길들이기 활용연구> 고 용 선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기전공 현대에 이르러 사회문화적 환경변화에 따른 전 세계적인 교육의 흐름은 학교 교육을 넘어 평생교육 흐름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평생교육 에 맞추어 다양한 연령층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정드라마는 학습자들에게 드라마를 통해 직접 경험하면서 논제에 대하여 스스로 사유하고 개인별 학습수준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들을 재구성하게 되 는 교육연극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지식의 확장과 협동성, 개방적 인 마음가짐,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인 다양한 문제에 대해 스스로가 비판적 으로 바라보고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희곡 ‘리어왕’,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특성 과 교육적 가치를 활용하여 사회문화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근거한 과정드라마 를 평생교육에 맞추어 청년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한다. 과정드라마에 활용 되어질 셰익스피어의 희곡들은 현대인들에게 익숙하며 인 간의 본성에 관한 본질적인 주제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층에 맞게 교육을 설계하는데 효과적이며, 교육적 가치 또한 신뢰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과정드라마는 대화적 의미 구성 과정드라마와 비판적 의미구성 과정드라마 두 가지 접근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먼저 대화적 의미 구성 과정드라마에서는 희곡 ‘리어왕’을 활용하여 희곡 안 의 교육적 논점이 될 수 있는 신분에 대한 ‘차별’을 기준으로 두었으며, 드라 마를 통해 형성 된 의미들을 다른 학습자들과 토론함으로서 보다 폭넓은 의미 를 형성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비판적 의미 구성 과정드라마에서는 희곡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활용하여 과 거와 오늘 날의 ‘성 평등’에 대한 기준을 두고, 드라마를 통해 형성 된 의미를 토론하며, 더 나아가 형성 된 의미를 다시 한 번 비판적으로 사유하여 최종 적으로 의미 구성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셰익스피어 희곡을 활용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의 다각적 의미형 성을 도모함으로서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길 기대하며, 평생교육에 대한 교 육 프로그램 개발의 일정 부분에 영향을 미쳐 변화되는 교육 흐름에 대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더불어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으로 모든 국민들이 전반적으로 갖고 있던 소극적인 생활태도 방식을 벗어나 여유롭고 적극적인 건강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이바지 할 것이라 본다.

      •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이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금옥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15

        ABSTRACT The Effect of Functi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Competence of Foodservice Entrepreneur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 Keum-Ok, Lee Dep. of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Far East University The demand for food service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women's expanding socioeconomic participation, five-day workweeks, and changes in family structure. Consequently, as the competition accelerated with the emergence of food service companies, small-scale food service entrepreneurs face difficultie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labor and fixed costs, and the continued recession have deteriorated the environ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COVID-19 also exacerbate the difficult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of foodservice entrepreneur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to resolve difficulties of small foodservice entrepreneurs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the secure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mong functional competencies, technical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but management competencies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in terms of psycholog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optimism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Third, business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Finally,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government support polic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difficulties of entrepreneurs can be somewhat resolved through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ultimately provoking to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busines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irst, research on entrepreneur competence have been conducted mainly limited to the functional competences of business leaders of small or medium enterprise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 new research model by examining both the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of small-scaled foodservice entrepreneur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the positive function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to allow the business to continue and improve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foodservice industry. 여성의 사회진출, 주 5일 근무,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외식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업종의 외식업체들이 우후죽순 등장하면서 경쟁이 가속화됨에 따라 외식창업자들은 여러 어려움을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인건비와 고정비의 증가, 불경기의 지속은 외식산업의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발병에 따른 경제적 요인 또한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외식창업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예비 외식창업자들에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의 변인 들이 경영성과를 통해 사업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로 인한 경영성과와 사업 지속의도로 연결되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외식창업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 중 관리적 역량을 제외한 기술적 역량, 기업가적 역량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창업자의 심리적 역량 중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는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성과는 사업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식창업자의 경영성과와 사업지속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정부지원정책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외식창업자의 경영성과 및 사업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 파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 다. 또한 창업자의 경영상 어려움은 정부의 지원정책을 통해 다소 해소될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사업을 지속하려는 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앞선 연구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창업가 역량에 대한 연구는 주로 대기업, 중소기업 등 기업 리더의 기능적 역량에 국한된 연구가 중심을 이루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창업자 역량의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사업지속의도에 정부지원정책의 긍정적인 기능을 확인 하여 외식산업 전반의 경영활동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Schottky Diode 내장형 MOSFET의 Reverse Recovery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조창현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에서 역 회복 특성의 향상을 위해 Conventional MOSFET의 내부 Body Diode를 Schottky Barrier Diode로 대체시킨 Schottky Diode 내장형 MOSFET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Conventional MOSFET에 내장되어 있는 기생 PN Diode는 소수 캐리어 주입 효과에 의해 N영역에 소수캐리어인 정공이 주입되어 턴-오프 시 긴 역 회복 시간과 높은 역 회복 전류량을 갖는다. Schottky Barrier Diode의 경우 다수캐 리어에 의해 소자가 동작하며, 소수캐리어 주입으로 인한 축적효과가 없기 때 문에 짧은 역 회복 시간과 낮은 역 회복 전류량을 갖는다. MOSFET 소자 자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이고,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키 기 위해 기존 MOSFET의 Drain과 Source 사이에 Schottky Diode를 병렬로 구 성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이 경우는 기생 인덕턴스에 의해 동작효율이 크게 향상 되지 않거나 외부에 Schottky Diode의 구성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필요 로 하여 소자의 단가를 상승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chottky Diode를 외부로 연결하는 것이 아닌 Source 영역에 Trench 공정을 이용하여 기존의 Body Diode를 Schottky Diode형태로 내장한다. 이러한 Schottky Diode 형태로 내장하게 되면 전계 분산효과로 인해 향상된 항복전압을 갖게 되고, Source영역의 소수캐리어 주입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향상된 역 회복 특성을 갖게 된다. Schottky Contact의 문제점인 누설 전류의 감소를 위해 Schottky Contact 영역 아래에 P-shield 영역을 추가하였 다. P-Shield 영역은 Schottky Contact의 면적을 감소시켜 누설전류를 감소시키 는 역할을 한다. Synopsys사의 T-CAD Tool을 사용하여 600V 급 SBD in MOSFET을 설계하고 공정변수(Schottky Barrier Height, Schottky Barrier Diode 의 면적, P-shield Implant Dose)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특성을 고찰하였고, Conventional MOSFET과 SBD in MOSFET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한 소자인 Schottky Diode 내장형 MOSFET은 높은 항복전압과 향상된 역 회복 특성이 측정되었고, 외부에 Diode를 병렬로 연결 할 때 보다 소자의 Chip Size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고속 스위칭 및 집적도가 높은 MOSFET 개 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창업가정신이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를 중심으로

        김정기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창업가정신이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를 중심으로 국내 외식산업의 규모는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외식산업은 신규 창업자의 진입 비율이 높고 자영업의 비율이 높은 산업으로 매출액 규모가 양적인 측면에서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지 만, 폐업률은 타 산업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특징과 함께 영업 이익률 또한 낮은 영세한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외식업의 포화상태로 인해 외식업체 간 경쟁은 점차 심화되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한 진입을 방지하고 폐업을 최소화하여 경영성과 를 유도할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들의 경영성과 개선 및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 를 제공하기 위해 외식업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의 변인들이 창업가역량과 경영성과를 통해 사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고,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 창업자의 창업가정신 구성요소 중 진취성, 혁신성은 창업가 역량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감수성은 창 업가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가역량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성과는 사업 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창업가정신,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와의 인과관계 에서 창업형태(독립/가맹)별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식업 창업자들의 창업가정신과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의 인과관계에서 창 업형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창업가정신과 창업가역량은 주로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의 사업주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는 외식산업으로 범위 를 한정하여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이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외식업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이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 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외식업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들의 역량보다도 창업가정신이 근본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가맹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창업가역량 이외 에도 창업가정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할 것이 며 이러한 교육은 사업지속의도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학습자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 및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양영민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학습자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 및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급속한 사회변화의 대응기제로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 향상 또는 고용 가능성 제고를 위한 학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외식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음료 산업은 여타 다른 직종에 비해 취업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고 연령의 제한이 적다는 점에서 성인 학습자 들의 관심이 더욱 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료관련 교육프로그램에서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 한 효과적인 학습프로그램 수립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 자의 학습 참여 동기(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가 학습 몰입을 통해 학습 만족, 학습 유용성, 학습 성취 및 학습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로 인한 몰 입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커피, 차, 와인 학습프 로그램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 차, 와인의 학습프로그램과정에서 학습 참여 동기 구성요소 인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은 모두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몰입은 학습 만족도와 학습 유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학습 몰입을 통해 인지된 학습 유용 성은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 만족도와 학습 유용성은 학습 성취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 성취도는 학습 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다섯째, 음료관련 학습 프로그램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에 미치 는 영향력은 상호작용에 따라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학습 참여 동기 중 학습지향 학습자들의 경우 강사/학습자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할수록 학습 몰입이 높아지는 것을 나타났으며, 활동지향 학 습자들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학습 몰입이 증대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목표지향 학습자의 경우 강사/학습자간 또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학습 몰입에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료관련 학습 프로그램은 학습 참여 동기 유형에 따라 학습자가 학습에 발휘하는 능력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 의 참여 동기에 대한 파악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 었다. 또한 다양한 음료 학습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어 학습 참여 동기 를 기반으로 교육 과정과 학습 활동이 제공된다면 학습자의 깊은 몰입이 이루어지고 높은 만족도와 성취도를 통해 학습의 흥미와 의미를 얻어 학 습 지속으로 이어질 것이다. 아울러 학습 몰입향상을 위해 각 참여 동기 유형에 적합한 상호작용 학습 활동을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선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적 접근을 통해 외식산업 내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의 효과 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육설계지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 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규학습 프로그램 학습자가 아닌 자율학습참여 학습자를 대상으 로 한 초기의 조사연구로서 그 활용 가치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선택학습 참여 동기 유형별 학습프로그램 연구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제 2의 직업을 준비하거나 현장직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학습자들의 자율 학습 참여 동기 유형별 대상으로 상호조절 변인의 효율적인 역할 부여를 위한 전략을 고찰하였다는 의미에서 외식 산업 내 학습 프로그램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2. 조사 설계 및 자료 수집 ···································· 77 제 4 장 실증 분석 ···································· 83 제 1 절 측정 항목 타당성 및 신뢰성 평가 ······················· 83 1. 확인적 요인 분석 ··········································· 83 제 2 절 연구 가설 검증 ············································· 91 1.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의한 가설 검증 ··············· 91 2.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 94 3. 가설 검증 결과 ············································· 97 제 5 장 결론 ········································ 106 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106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 112 [참고문헌] ······························································ 114 [설문지] ································································ 132 [ABSTRACT] ························································· 137

      • 한국 전통연희 요소를 활용한 셰익스피어 극의 공연 사례 연구 : 극단 해보마의 <두드려라, 맥베스> 공연분석을 중심으로

        이기복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 초록 한국 전통연희 요소를 활용한 셰익스피어 극의 공연 사례 연구 –극단 해보마의 <두드려라, 맥베스> 공연분석을 중심으로 이 기 복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기전공 본 논문은 연구자가 활동하고 있는 극단 해보마의 작품인 <두드려라, 맥베스>의 분석을 통한 셰익스피어 극의 전통연희 활용과 공연방식 연 구이며, 한국 전통을 통해 우리극 또는 한국적 공연을 찾기 위한 작업이 라고 볼 수 있다. 위 작품은 2012년 초연으로부터 현재까지 지속해서 공 연되고 있는 셰익스피어 극으로서 한국 전통연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적 공연으로의 발전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긴 기간 동안 한 작품을 공연하며 시대와 관객의 코드가 변화함에 따라 매 순간 충돌을 겪었으 며, 작품의 훼손 그리고 해체와 파기 등의 과정을 겪으며 위에서 제시한 문제점들의 중심에 들어가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드려라, 맥베 스>는 2019년에도 관객과 만나고 있으며 지속해서 재구성 작업을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드려라, 맥베스>의 공연분석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 며 셰익스피어 극의 작품 수용과 해체, 변형의 과정과 그것의 세부적인 방안으로 한국 전통연희를 어떻게 투입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두드려라, 맥베스>는 원작 <맥베스>의 중심 주제를 ‘욕망’으로 설정하여 그것을 다양한 한국 전통연희로 표현하여 한국철학과 정서를 투입한 퍼포먼스 극으로 구축했으며, 타악을 중심 주제와 연계하여 극의 중심 연행으로 활용했다. 원작 플롯을 완전히 해체하여 새로운 스타일로 탈구축한 이 극은 기존의 셰익스피어 극의 관습적 무대와는 다른 무대를 창출했으며, 원전을 동양화했다는 의미를 가진다. <두드려라, 맥베스>에서 활용된 한 국 전통연희, 노래와 춤은 정확하게 한국 전통의 특정 기술이거나 한국 적인 고유의 정서를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한국 전통연희를 활용하여 표현한 장면 분석을 통해 첫 번째로 원작의 의미에 충실했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두 번째로 한국의 전통과 동시대성을 나름의 시각으 로 변용한 독자적인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극단 해보마의 작업은 결과적 으로 한국의 전통에 의존하고자 하지 않았으며, 동양적인 사유 안에서 연극을 이해하고, 한국의 대표 연출가들이 끊임없이 시도해 왔던, 서구 실험연극의 연극성을 찾고자 하는 흐름을 같이 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은 연극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계에서도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논제 이다. 2012년부터 시작된 <두드려라, 맥베스> 공연이 현재까지 지속하여 올 수 있었던 실현 과정에서 전통의 재창조와 인식은 매 순간 변화하는 시대와 관객과의 교류를 통해 필수적이었다. 전통은 살아있는 생명체이 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성격을 지녔다. <두드려라, 맥베스>를 분석하는 과정은 위와 같은 전통의 속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그것은 단 순한 공연분석과 소개를 넘어 한국 전통과 한국적 공연에 대한 지향점에 대해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