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환경에서 운동이 심폐기능과 유산소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민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2687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환경에서 운동을 하였을 때, 심폐기능과 유산소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K대학교 20대의 젊은 성인 남성으로 1차 실험(가을 학기) 참여자 13명, 2차 실험(봄 학기) 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참여자들은 주 2회 이상 실외에서 자발적 운동(축구)을 하는 참여자들로 구성하였다. 가을 실험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년 평균보다 낮은 농도환경, 봄 실험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년 평균 보다 높은 농도환경에서 진행되었다. 측정 항목으로는 키, 몸무게,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유산소운동능력(VO2max), 폐 기능(FVC, FEV1, FEV1/FVC),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기침과 가래의 중증도 평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 ver 22.0(SPSS Inc., Chicago, IL)을 활용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반복측정(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 분석 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을 학기와 봄 학기의 사전, 사후 증감률 비교에서는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각 학기별 반복측정 결과 봄 학기에서 통계적으로 9명일 때, FVC, FEV1, FEV1/FVC, SB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VC; F=3.339, p=0.013, FEV1: F=4.210, p=0.004, FEV1/FVC: F=4.339, p=0.003, SBP: F=2.008, p=0.039). 16명 일 때, FVC, FEV1, FEV1/FVC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VC; F=7.586, p=0.000, FEV1: F=8.759, p=0.000, FEV1/FVC: F=4.535, p=0.001). 셋째, 각 학기별 최저, 최고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가을 학기 13명에 대한 분석에서 SB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7). 봄 학기에서는 16명일 때, FVC와 FEV1/FV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014, p=0.003). 넷째, 전체 기간 비교에서는 설문지 수면과 미세먼지 상관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시기(가을 학기)와 높은 시기(봄 학기)동안 모두 생리학적 요인들이 변화량이 관찰되었으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봄 학기에 생리학적 요인들의 변화량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가래와 기침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으나, 야간 수면에 대해서는 관계가 성립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미세먼지가 높은 시기에는 운동으로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호흡기 질병 발병에 원인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erobic capacity in the fin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all and spring semesters. This study consisted of 13 male students(fall semester)and 16 male students(spring semester) attending K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nts consisted of students voluntarily playing soccer twice a week. Autum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concentration environment whe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one year average and in the spring experimen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one year average.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body mass index, aerobic exercise capacity (VO2max), pulmonary function (FVC, FEV1, FEV1/FVC)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nd questionnaire for severity of cough and sputum was conducted.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Paired t-test,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d Chi-squared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re-post-change rate factors between the autumn and spring semesters. Second, the repeated measurement results in 9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FEV1, FEV1/FVC and SBP(F=3.339, p=0.013, F=4.210, p=0.004, F=4.339, p=0.003 and F=2.008, p=0.039, respectively) and in 16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FEV1 and FEV1/FVC(F=7.586, p=0.000, F=8.759, p=0.000, F=4.535, p=0.001, respectively) Third, the Paired t-test results in 13 students for the fall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BP(p=0.027). the Paired t-test results in 16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and FEV1/FVC(p=0.014, p=0.003, respectively).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nighttime sleep of questionnaire and fine dust in the whole period comparisons (p=0.021) In conclusion, in this study, physiological factors‘ value was changed in both during the period of fall semester and spring semester, but changes in physiological factors were found to be sensitive in the spring semester when fine dust concentration was high. In addi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putum and cough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ut the relation was established for nighttime slee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ring high periods of fine dust, exercise may reduce the quality of sleep and may cause respiratory disease.

      • 스마트신발을 이용한 젊은이와 노인의 보행대칭성과 일관성 비교

        오민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2687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ait characteristics in young and old adults as revealed through gait speed change in young adults, and the gait speed and BMI index according to age in old adults and their affect on gait asymmetry(GA) and Phase coordination index(PCI). In addition,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ody and gait characteristics by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 selection method (stepwise) to predict PCI. The 357 analysis subjects were composed of 186 healthy young adults and 171 old adults. In order to draw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ait symmetry and consistency in young and elderly adults through gait on treadmill and on the ground were evaluated by using a shoe-type IMU syste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of all, it was revealed that SS_CV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CI, physical information and gait time-space variables,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1) The GA and PCI according to age-range in the elderly adults were divided into an under-70 years-old group and over-70 years-old group, and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y differenc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obesity degree in elderly adults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BMI < 25 kg/m2 or BMI ≥ 25 kg/m2) depending on BMI.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the GA, but PCI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distribution of gait speed in elderly adults was 0.32~1.10(m/s/height) and the median gait speed was 0.62. Depending on the median gait speed, slow gait and fast gait group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A,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CI according to gait speed.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vored gait speed, slow speed (-20%) and fast speed (+20%) in the young adults. The post hoc test result showed that slow speed (-20%) has a smaller value than favorite and fast speed (+ 2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CI. As a result of the post hoc test, it was found that the PCI decreases as gait speed increase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A and PCI according to the age of the young and old adults. Fifth, a regression model which indicates the effect of favored gait speed in young and elderly adults on the PCI is as follows. 1)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 the young adults were SS_CV, GA, and weight, and account for 38.4% of the PCI valu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CI is affected by SS_CV, GA and weight in order. The regression model of young adults is presented as follows. PCI = 1.814 + (0.540 * SS_CV) + (0.149 * GA) + (-0.01 * Weight) 2)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of the old adult was SS_CV, Age, Stride, and explain about 38.8% of the PCI.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CI was more affected by SS_CV, Age, and Stride in order. The regression model of the old adults is presented as follows. PCI = 4.146 + (0.532 * SS_CV) + (-0.027 * Age) + (-0.976 * Strid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GA and the PCI showed a stable gait index at the preferred speed and at fast-speed condition. However, when gait was performed at slow-speed condition, the ability of gait coordination deteriorated. When gait stability deteriorates, a physical phenomenon directly related to quality of life is also found. Therefore, a study which provides future guidelines and simplifies the measurement method, cost and time through gait habits and pattern analysis in elderly adults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shoe-type IMU system which measures gait symmetry and consistency is a tool for evaluating the gait coordination ability in musculoskeletal patients, as well as neurological patients, and continuous and various studies are needed. Keyword : Gait Asymmetry, Phase Coordination Index, Inertial Measurement Unit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젊은 성인의 보행 속도 변화와 노인의 연령에 따른 보행속도 및 BMI지수에 따른 젊은 성인과 노인의 보행특성이 보행불균형지수(Gait Asymmetry) 및 국면협응지수(Phase coordination index, PCI)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다중회귀분석 단계선택방식(stepwise)을 이용하여 인체특성과 보행특성을 분석하여 국면협응지수(Phase coordination index, PCI)를 예측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건강한 젊은 성인 186명과 노인 171명 총 357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도출을 위하여 신발타입 IMU시스템을 사용하여 트레이드밀보행과 지면보행을 통해 젊은 성인과 노인의 보행대칭성 및 일관성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면협응지수(PCI)와 신체정보 및 보행시공간변인과 상관이 가장 높은 변인은 단하지지지기 변동계수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1) 노인의 연령에 따른 보행불균형지수(GA), 국면협응지수(PCI)는 70세 미만그룹과 70세 이상그룹으로 나누어 차이를 분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노인의 비만도(BMI)는 체질량지수 25기준(25 이상 비만)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보행행불균형지수(GA)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국면협응지수(PC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노인의 보행 속도 분포는 0.32~1.10(m/s/height)로 보행 속도의 중앙값(Median)은 0.62로 설정하여 중앙값보다 보행 속도가 느린 그룹과 빠른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보행행불균형지수(GA)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국면협응지수(PCI)는 보행 속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젊은 성인의 보행속도는 선호속도, 느린속도(-20%), 빠른속도(+20%)로 보행 수행 시 보행불균형지수(GA)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결과 느린속도는 선호속도와 빠른속도 보다 작은값을 가진다. 국면협응지수(PCI)에서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보행속도가 증가 할수록 국면협응지수PCI)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젊은성인과 노인의 연령에 따라 보행불균형지수(GA)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국면협응지수(PCI)도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젊은 성인과 노인의 선호속도 보행이 국면협응지수(PCI)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모형식은 다음과 같다. 1) 젊은 성인의 다중선형 회귀식은 단하지 지지기의 변동계수(SS_CV), 보행 불균형지수(GA), 몸무게(Weight)로 나타났으며, 국면협응지수(PCI)의 값을 약 38.4 % 설명한다. 또한 단하지지지기 변동계수(SS_CV), 보행불균형지수(GA), 몸무게(Weight) 순으로 국면협응지수(PCI)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젊은 성인의 회귀모형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PCI = 1.814 + (0.540 * SS_CV) + (0.149 * GA) + (-0.01 * Weight) 2) 노인의 다중선형 회귀식은 단하지 지지기의 변동계수(SS_CV), 나이(Age), 활보(Stride)로 나타났으며, 국면협응지수(PCI)의 값을 약 38.8 % 설명한다. 또한 단하지지지기 변동계수(SS_CV), 나이(Age), 활보(Stride) 순으로 국면협응지수(PCI)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노인의 회귀모형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PCI = 4.146 + (0.532 * SS_CV) + (-0.027 * Age) + (-0.976 * Stride)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보행불균형지수(GA)와 국면협응지수(PCI)는 선호속도 및 빠른 속도 조건에서 안정된 보행지수가 나타났다. 그러나 느린속도 조건에서 보행을 수행 하였을 땐 보행의 협응능력이 악화되었다. 보행안정성이 나빠지게 되면 생명과도 직결되는 신체적 현상도 발견된다. 따라서, 노인들의 보행습관 및 패턴 분석을 통해 올바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향후 가이드라인 제시 및 비용, 시간, 측정의 복잡함 등을 측정방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신발타입 IMU시스템은 보행대칭성과 일관성을 간단히 측정하는 방법으로 신경계 질환자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자들의 보행협응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지속적이고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 만성요통환자의 체간근지구력 검사 시 심부복부근육 두께 변화

        이태경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2687

        국문요약 만성요통환자의 체간근지구력 검사 시 심부복부근육 두께 변화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이태경 본 연구는 20대 만성요통 환자 15명(Chronic low back pain group; PG)과 건강한 성인 15명(Healthy control group; CG)을 대상으로 코어 근지구력 테스트인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시 시간에 따라 심부복부근육인 External oblique(EO), Internal oblique(IO), Transverse abdominis(TrA), Abdominal wall(TrA+IO+EO)의 두께수축비율과 두께수축비율 패턴을 비교하고 심부복부근육의 두께수축비율 패턴과 코어근지구력간의 상관관계를 확인 하였다. 그룹간 시간에 따른 두께수축비율과 두께수축비율패턴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호작용 분석2-Way 2 by 6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그룹간 유의 차이에 대한 사후검증은 대비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Prone& Supine bridge test 동안 Prone bridge는 15초, Supine bridge는 30초 마다 심부복부근육의 두께를 초음파로 측정하였고 코어 근지구력 테스트 시간을 기록하여 두께수축비율과 코어 근지구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심부복부근육의 두께수축비율과 코어 근지구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 PG와 CG의 Prone bridge시 두께수축비율은 Abdominal wall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EO, IO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EO p=.022, IO p=.055). Supine bridge시 두께수축비율역시 Abdominal wall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EO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39). 시간에 따른 두께수축비율패턴 비교에서 PG와 CG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Prone bridge시 4-5rep에서 EO, IO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EO p=.048, p=.052). PG와 CG의 시간에 따른 심부복부근육 두께수축비율과 코어 근지구력 테스트 지속시간과의 상관관계는 PG와 CG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CG에서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 지속시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G= .295, CG= .7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Prone& Supine bridge 테스트 동안 시간에 따른 PG와 CG의 Abdominal wall의 두께수축비율과 두께수축비율패턴에 차이가 없고, 두께수축비율패턴과 근지구력과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의 지속시간간의 상관분석에서 CG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왔으며, Prone bridge에서 EO, IO가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Supine bridge에서 EO가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지속 시간간의 상관관계에서 만성요통환자의 체간의 앞뒤 코어근육 간 불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낸 이유라 생각되고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시 만성요통 환자가 정상상인에 비하여 Abdominal wall의 근육수축협력 능력이 부족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bdominal muscles thickness changes during core endurance test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Kook Min general graduat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iences Lee Tae Kyou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ickness changes of deep abdominal muscles(External Oblique; EO, Internal Oblique; IO, Transverse Abdominis; TA) during core muscle endurance tests (Prone Bridge and Supine Bridge). 15 chronic low back pain participants (PG) and 15 healthy participants (CG) were volunteered for the study. Muscle thickness were measured with ultrasound at every 15 and 30 seconds during the prone bridge and supine bridge, respectively,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cle endurance and contraction thickness ratio. A 2-way 2 by 6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of the thickness activation ratio between groups and time and contrast coefficients used as post-hoc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05 and a correlation test was performed for the muscle contraction thickness ratio according to time for muscle endurance. Results showed that EO (p=.022) and IO (p =.055) muscles' contraction thickness ratio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during prone bridge while abdominal wall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Only EO (p=.039) muscle contraction thickness ratio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groups during the supine bridge.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G and CG in the time frame comparison, EO (p=.048) and IO (p=.052) muscle contraction thickness ratio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4 - 5 rep of the Prone bridge. cLBP groups may have decreased EO,IO proprioception and core muscle balance.

      • 임신성 당뇨병 환자를 위한 IT기반 운동 교육 및 모니터링의 효과 분석

        정아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2687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IT 기반의 운동 교육(이론 교육, 운동 프로그램 제공, 운동 일지 평가, 전문가 코칭, 온라인 상담 등) 및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이에 따른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운동 습관, 혈당 조절 및 출산 결과와 신생아 예후에 대한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병원의 산부인과에서 산전관리를 받고 있던 임산부 중 임신 24∼28주 사이에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 176명이었으며, IT기반의 운동 교육을 받은 그룹(EG; exercise group, n=49, 33.6±3.3 yrs, 161.0±4.9 cm, 60.6±13.8 kg)과 고식적 치료를 받은 그룹(CG; control group, n=127, 33.0±3.5 yrs, 160.3±4.5 cm, 57.9±10.2 kg)으로 구분하였다. 의무기록을 기초로 연구 대상자 특성 및 의학검사 결과 등 실험군(EG)과 대조군(CG)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실험군(EG)과 대조군(CG) 모두 임신성 당뇨병 관리를 위한 약물요법, 식사요법, 운동요법에 대한 기본 교육을 받았으며, 정기적으로 산과와 내분비내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았다. IT기반의 운동 교육을 받는 그룹(EG)에게는 IT기반 교육 프로그램 사용방법에 대한 상세한 교육을 시행하였다. IT기반의 운동 교육을 받는 그룹(EG)은 출산 시까지 임신성 당뇨병 환자를 위해 개발된 Web site(Care-D Maternity)를 활용하여 교육받은 내용을 일상생활에서 준수하고, Web site 내에 약물 투여, 식습관, 운동습관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도록 권고하였다. IT기반 운동 프로그램은 미국당뇨병학회의 권고에 따라 하루 20∼30분, 일주일에 매일 혹은 대부분의 날에 중등도 강도의 운동(걷기, 고정식 자전거 타기, 가벼운 근력운동 등)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환자용 web site에 기록된 혈당, 인슐린 투여 내역, 식사 일지, 운동 일지에 대해 운동처방사가 매일 1회 이상 모니터링하고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일방향 권고 메시지를 발송하였다. 이와 함께, 환자가 온라인 상담을 통해 문의한 내용에 대해서는 헬스케어전문가가 24시간 이내 답변하는 구조로 환자-헬스케어전문가 간 양방향으로 소통하였다. 임신성 당뇨병 진단 시와 분만 6주 후에 시행된 모든 연구대상자의 혈액검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대상자의 분만 관련 요인 및 신생아의 예후에 대한 출산 결과를 조사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AS(ver.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속형 변수는 t-test, 범주형 변수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IT기반 운동교육 및 모니터링을 제공받은 임신성당뇨병 환자는 미국당뇨병학회에서 권고하는 운동가이드라인을 준수할 수 있었으며,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및 출산결과 그리고 신생아 예후에 있어서 IT기반 운동교육 및 모니터링이 부정적이라는 근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IT기반 운동교육 및 모니터링에 있어서 헬스케어전문가의 일방향적인 접근보다 헬스케어전문가와 환자 간의 양방향적인 소통이 운동습관을 변화시키는 방안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운동습관 관리를 위해 임상 현장에서는 IT기반 운동 교육 방식을 도입하여 적극 활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과 결과 내에 제시된 운동생리학적 요인들은 IT기반 운동 교육에 있어서 의미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U-healthcare 산업으로 이끌어주는 가교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xercise behavior, blood glucose control and birth outcome in patients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by conducting IT – based exercise education and monitoring. A total of 176 pregnant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GDM during pregnancy within 24 to 28 weeks of gest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received IT-based exercise education(EG; n=49, 33.6±3.3 yrs, 161.0±4.9 cm, 60.6±13.8 kg) and control group(CG; n=127, 33.0±3.5 yrs, 160.3±4.5 cm, 57.9±10.2 kg). All subjects performed questionnaire, physical measurement and physicians counseling. For the CG group, only the conventional treatment was performed. For the EG group, IT-based education and monitoring for gestational diabete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ubjects should be a moderate intensity exercise(walking, fixed bicycle riding, light intensity exercise, pilates, etc.) 20 to 30 minutes a day, every day or most days of the week. The IT-based group(EG) recommended using the Web site(Care-D Maternity,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lood tests were performed in patients with GDM.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factors related to birth outcome. Al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ver. 9.4) program, t-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 = .05. IT-based exercise education and monitoring were not negatively associated with blood glucose control and birth outcome and neonatal outcome in patients with gestational diabetes. Patients with GDM who received IT-based exercise education and monitoring were able to comply with the recommended exercise guidelines. The IT-based exercise education and monitoring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exercise behavior of the gestational diabetic patients in the way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communic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ful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T-based exercise education program for the GDM.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여성운동선수의 운동복귀를 위한 검사의 예측 정확도와 최적 절사값 설정에 관한 연구

        양상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2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a return to sports, non-returned, and uninjured group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female athletes. Therefore, provide the optimized cut-off values and accurate prediction values acquired vi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The subjective questionnaire, isokinetic and functional evaluations were performed on 28 and 16 female athletes with and without knee injuries, respectively. All participants were able to perform 12 - month follow - up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Tegner activity scale, Cincinnati activity form, Cincinnati sports activity forms. Isokinetic testing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t 60 ° / sec, extensor peak torque deficit, extensor and flexor muscl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on the injured and uninjured side. Also, at the 180 ° / sec, the extensor and flexor muscl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extensor and flexor of the total Work, extensor and flexor average power in the injured and uninjured side. Limb symmetry index for one leg hop distance, one leg vertical jump height, shuttle run, carioca, dynamic Y balance anterior reach deficit, composite results of functional evaluation tes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ddition, the return to sports and non-return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egner activity scale, Cincinnati activity form, Cincinnati sports activity form scores, extensor muscle peak torque deficit at 60° / sec, extensor muscl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at 180° / sec, limb symmetry index for one leg hop distance, carioca, dynamic Y balance anterior reach deficit, dynamic Y balance composite score. ROC analysis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subjective questionnaire was very accurate for Tegner activity scale, Cincinnati activity form, and Cincinnati sports activity form. ROC analysis results for the isokinetic tes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the prediction accuracy was higher than moderate in 60 ° / sec extensor deficit rate and 180 ° / sec extensor muscl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Only dynamic Y balance test composite result for the injured and uninjured side in the functional evalua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moderate results in ROC analysis for prediction accuracy to return to sports. The optimal cut - off values for variables according to prediction accuracy ROC results were 7.5 points for Tegner activity scale, 92.5 points for Cincinnati activity form, 270 points for sports activity form, 137.8% for injured side isokinetic extensor peak torque per body weight at 180°/sec, 86.72% for dynamic Y balance injured side composite score and 89.6% for uninjured side composite score. In summary, subjective forms of Tegner activity scale, Cincinnati activity form, Cincinnati sports activity form, the isokinetic evaluation variable at 180 ° / sec extensor muscle peak torque per body weight, the dynamic Y balance composite score for injured side can be used as criteria for return to sport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female athletes. However, even though each variable can be used alone as criteria for return to sports,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should be adopted in order to prevent re-injuries after return to sports. In addi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ognostic indicators and effective evaluation feedback for patients, medical staff, and parents' satisfaction. Therefore, it can improve medical services and reduce the medical costs for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female athlete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운동선수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운동복귀 평가 시 운동복귀 그룹, 미복귀 그룹, 미 손상그룹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평가 변인의 수용자 작업특성 곡선을 통해 예측의 정확도와 최적 절사값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실시한 후 12개월 째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여성 운동선수 28명과 무릎에 손상이 없었던 여성 운동선수 16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설문 평가, 등속성 평가, 운동 기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 복귀그룹, 미복귀 그룹, 미손상 그룹에 따라 그룹 간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Tegner activity scale, Cincinnati activity form, Cincinnati sports activity form, 60°/sec에서의 건측과 환측의 체중당 굴곡, 신전근력, 체중당 신전근력 결손율, 180°/sec에서의 건측과 환측의 체중당 굴곡, 신전근력, 건측과 환측 굴곡, 신전근 총일량, 건측과 환측 굴곡, 신전근 평균파워, 한발 멀리뛰기 하지대칭지수, 한발 높이뛰기 하지대칭지수, 왕복 달리기, 지그재그 달리기, 동적 체평형 Y 발란스 검사 전방도달 결손과 건측과 환측의 복합도달계수에서 나타났으며, 운동복귀 그룹과 미복귀 그룹에서 차이를 보인 변인은 Tegner activity scale, Cincinnati activity form, Cincinnati sports activity form, 60°/sec 체중당 신전근력 결손율, 한발 멀리뛰기 하지대칭지수, 지그재그 달리기, 동적체평형 Y 발란스 전방도달 결손, 환측의 복합도달계수에서 나타났다. 둘째, 수용자 작업특성 곡선(ROC)분석에서 주관적 설문평가의 예측 정확도는 Tegner activity scale 0.97, Cincinnati activity form 0.90, Cincinnati sports activity form 0.98로 매우 정확한 검사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180°/sec 환측 체중당 신전근력에서 0.76으로 예측 정확도가 중등도 이상으로 나타났다. 운동기능평가에서는 동적 체평형 Y 발란스 건측 복합도달계수 0.79와 환측 복합도달계수 0.75로 중등도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용자 작업특성 곡선(ROC)분석을 통한 주관적 설문평가의 최적 절사값은 Tegner activity scale 7.5점, Cincinnati activity form 92.5점, sports activity form 270점이고, 등속성 평가변인 180°/sec 환측 체중당 신전근력의 최적 절사값은 137.8%로 설정하였다. 기능수행평가 변인에서 동적 체평형 Y 발란스 환측 복합도달계수의 최적 절사값 86.72%, 건측 복합도달계수 최적 절사값 89.60%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여성 운동선수의 운동복귀 평가에서 예측 정확도가 매우 높은 수준의 변인인 Tegner activity scale, Cincinnati activity form, Cincinnati sports activity form은 운동복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해 주었으며, 180°/sec 환측 체중당 신전근력과 동적체평형 Y발란스 환측의 복합도달계수도 중등도 수준의 예측 정확도와 복귀 여부에 따른 그룹간의 차이를 나타낸 여성 운동선수의 운동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변별력을 가진 검사 방법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운동복귀에 있어서는 기능해부학적 요소, 운동 기능적 요소, 심리적 요소 등 종합적인 관점으로 평가를 실시하므로 각 검사 변인들의 복귀 기준을 통한 기준치도 의미가 있지만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운동복귀에 대한 종합 평가를 통해 재 손상에 대한 두려움 및 과 사용에 대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운동복귀 기준이라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운동복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환자, 의료진, 보호자의 만족도를 높여 줄 수 예후적인 지표가 될 것이라 생각되며, 다양한 평가의 피드백을 통한 의료 서비스의 개선과 운동복귀에 있어 목표 설정 등 직ㆍ간접적 의료비 절감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초등학생의 체형인식과 운동습관 및 체력과의 관계

        이웅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2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correctly perceive their body weigh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perception, exercise behavior and physical fit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recruited 200 boys (9±1 yrs, 138±6 cm, 37±10 kg, 19±4 kg/m2) and 197 girls (9±1 yrs, 138±6 cm, 36±9 kg, 19±3 kg/m2). Their physical fitness such as endurance shuttle run (63±26 vs. 51±20 laps), sit-and-reach (5.8±6.5 vs. 8.8±5.6 cm), grip strength (15±3 vs. 14±3 kg), and standing long jump (137±21 vs. 123±21 cm for boys vs. girls) were measured.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reporting weight perception, exercise participation, physical activity time, physical activity preference. Their relative weight status (BMI percentile) was categorized as; underweight (<5%, UW), normal weight (5-85%, NW), and overweight/obese (85%<, OW).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More than one third (36.8%) of children misperceived their body weight compared with the actual weight. In particular, body weight misperception rate was higher in NW than UW and OW. Second, Girls considered themselves more to be overweight while boys did more to be underweight. Third, physical activity time and physical activity preference were not related to weight perception. Exercise participati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ourth, Physical fitness level was related to exercise behaviors. Physical fitness was higher for children who liked to exercise or were being active than those who did not. Endurance run and standing long jump we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preference than physical activity time, and a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conclusion, weight perception of the children was not quite accurate when compared with the actual weight percentil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ercise behaviors according to weight perception. Physical fitness level was associated with exercise behaviors. Endurance run and standing long jump we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preference than physical activity time.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R&D Program for Society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NRF-2013M3C8A2A02078508).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자신의 체형을 정확하게 인식하는지 평가하고, 체형인식과 운동습관 및 체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C지역 소재 3개 초등학교의 4학년 397명(남자 200명, 여자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형인식과 운동습관(체육시간 외 운동 참여 여부, 하루 평균 활발한 신체활동 시간, 신체활동 선호도)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신장, 체중, 체지방률, 체력(왕복오래달리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악력, 제자리멀리뛰기)은 직접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version을 활용하였으며, 각 변인별로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 피셔의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 독립표본 검정(Independent -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분석방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체중과 비교하여 자신의 체형을 잘못 인식하는 비율이 36.8%로 많은 아이들이 자신의 체형을 왜곡하여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정상체중군(5th≤ to <85th %ile)에서 체형왜곡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체형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신의 체형을 말랐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더 높았으며,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체형인식과 운동습관의 관계에서는 하루 평균 활발한 신체활동 시간, 신체활동 선호도는 체형인식과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체육시간 외 운동참여 여부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넷째, 초등학생의 운동습관에 따른 체력을 비교한 결과 하루 평균 활발한 신체활동 시간과 신체활동 선호도가 높을수록 체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지구력과 순발력은 하루 평균 활발한 신체활동 시간보다 신체활동 선호도와 더 강하게 관련되며, 용량 반응 관계(Dose-response relationship)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상당수가 실제체중과 비교하여 자신의 체형을 왜곡하여 인식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신의 체형을 과대평가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체형인식의 차이가 운동습관의 차이로 나타나지 않았다. 체력은 운동습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심폐지구력과 순발력에서는 하루 평균 활발한 신체활동 시간보다 신체활동 선호도와 더 높은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 논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사회문제해결형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3M3C8A2A02078508).

      • 국가대표 태권도선수의 하지 피부온 차이에 따른 근-신경 기능의 변화

        이보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2687

        국문요약 국가대표 태권도선수의 하지 피부온 차이에 따른 근-신경 기능의 변화 국민대학교 체육학과 이 보 근 본 연구는 엘리트 선수를 대상으로 하지의 피부온 차이에 따라 근-신경 기능의 변화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가대표 태권도선수 18명을 대상으로 온도 처치 전과 처치 후 근-신경 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온도에 따른 근-신경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온도 처치 전∙ 후에 H 반사(Hoffmann (H) -reflex), 정적·동적 평형성 검사, 그리고 형태가 다른 4가지 점프동작(CMJ, CMJAT, DJ, Stiffness)을 측정하였다. 사전 검사 후 9명씩 무작위 선정을 통해 냉각효과 또는 온열효과 그룹으로 나누어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냉각 효과를 위해 아이스 팩을 사용하여 평상시 하지 피부 적정 온도에서 약 20°C를 낮추었으며, 온열 효과는 핫 팩을 사용하여 하지 적정피부온도에서 약 6∼10°C 상승시키도록 처치하였다. 온도 처치 후 H-reflex (Hmax,Mmax,H/Mmaxratio)를 측정하였으며 하지 피부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추가 온도 처치를 실시 한 후, 동적·정적 평형성과 4가지 점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실은 내부 온도 23∼25도, 습도 60%이하로 유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Hmax는 사전검사에서 냉각 조건일 때 4.52±1.93 mV, 사후검사에서 5.61±1.68 mV로 냉각 조건에서 진폭의 활성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온열 조건에서는 사전·사후 간에 소폭 하락이 있었지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max는 온도 차이에 따라 사전·사후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온도 차이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Mmax의 비율의 냉각 효과는 사전검사에서 51.30±9.63, 사후검사에서 65.30±17.83으로 나타났으며(p<05), 이는 냉각 효과에서 전체 신경 풀(pool)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 효과에서는 사전·사후 검사에서 46.99±28.45, 46.24±26.61로 변화가 없음을 나타냈다. 넷째, 온도 차이에 따라 정적·동적 평형성 검사에서는 동적 평형성 검사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균형감각의 상승을 나타냈다(p<05). 정적 평형성 검사에서는 온도의 상승에도 큰 변화가 없었으며 온도의 하강은 정적·동적 평형성 모두 균형 감각이 매우 둔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형태가 다른 네 가지 점프에서는 DJ점프에서 온도가 상승했을 때 높이에 대한 증가를 보였고(p<.05), 나머지 세 가지 점프에서는 냉각과 온열 모두에서 높이에 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국가대표 태권도선수 18명을 대상으로 근-신경 기능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신경의 활성화를 알 수 있는 H reflex에서 Hmax는 피부의 냉각 효과에서 큰 신경 활성화를 보였고, 근육에 직접 작용하는 Mmax는 피부의 온도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H/Mmax의 비율에서 냉각효과가 신경 풀(pool)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성 검사와 점프 검사에서는 20°C 이상의 큰 냉각효과에는 감각신경이 매우 둔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10°C 이하의 적정 수준의 온열 효과는 동정 평형성의 균형 감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Changes of neuromuscular function among national athletes in Taekwondo to lower extremities skin temperature by Lee Bo Geu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er extremities skin temperature on neuromuscular function in elite athletes. Eighteen Taekwondo Korean national athletes were measured with neuromuscular function tests before and after the temperature treatment. We measured Hoffmann (H)-reflex (Hmax,Mmax,H/Mmaxratio),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four different jumps (CMJ, CMJAT, DJ, Stiffness) to examine the neuromuscular function in the laboratory (23∼25℃, RH 60%). After the pretes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oling or warming treatment group. We used ice packs to decrease participants’ lower extremities skin temperature for cooling effect and used hot packs to increase their skin temperature for warming effect. After the temperature treatments, we measured H-reflex and repeated the treatment again to continue the temperature effects. After re-treatment, we tested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measured four different jump tests. The results showed Firs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oling(Pre: 4.52 ± 1.93 mV and Post: 5.61 ± 1.68 mV). Hmax slightly decreased after warm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p<.05).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Mmax in both cooling and warming. Third, H/Mmax was increased after cooling (Pre: 51.30 ± 9.63 and Post: 65.30 ± 17.83). Cooling may stimulate the motor neuron pool activation. However, warming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H/Mmax (Pre: 46.99 ± 28.45 and Post 46.24 ± 26.61)(p<.05). Fourth, Dynamic balanc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warming. However, static balance was not changed after warming(p<.05). Cooling decreased static and dynamic balance performance. Fifth, Among four different jumps (CMJ, CMJAT, DJ, Stiffness), DJ jump increased after warming(p<.05) but other jump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 after cooling or warming. In conclusion, Hmax, which shows the neural activation, was increased after cooling. Mmax,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muscle neuron activation,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temperature. These two finding explains an increase in H/Mmax ratio after cooling. Therefore, cooling impacts on motor neuron pool activation. Balance and jump performances decreased after cooling, and dynamic balance increased after warming.

      • 돌려차기와 뒤후려차기의 공중회전 난이도가 생체역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강동권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2687

        본 연구의 목적은 720도 돌려차기와 900도 뒤후려차기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미숙한 시범단원들에게 운동역학분석에 근거한 효과적인 훈련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회전발차기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전문 시범단원 9명을 목적표집 하였다(신장: 171.22±7.41, 체중: 68.00±5.55, 나이: 24.67±3.87, 경력: 15.67±4.39). 돌려차기 계열의 회전발차기 360도와 720도 그리고 뒤후려차기 계열의 회전발차기 540도와 900도의 운동학 및 운동역학 요인비교를 통해서 초보자들이 추구해야할 훈련방향을 도출하였다.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3차원 동작분석 카메라(Vicon MX-T10 4대, T40 6대, Vicon Ltd, UK), 지면반력기(AMTI BP4006001KNC, AMTI, USA), 근전도기(Delsys wireless EMG, Delsys Inc., USA) 4채널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1) 720도와 900도 수행 시 회전축발의 접근속도를 증가시키되, 보폭은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2) 720도와 900도 수행 시 지상동작에서 CoG의 이동거리와 속도를 증가 시키고, 회전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회전해야 한다(반 시계방향 회전 일 때 왼쪽으로 진행). 3) 720도와 900도 수행 시 지상회전의 초기동작에서 팔과 다리를 벌려 관성모멘트를 크게 유지한 채 빠르게 회전해야 한다. 4) 720도와 900도 수행 시 지상에서 몸통을 더 많이 회전한 다음 점프 해야 한다. 5) 720도와 900도 수행 시 점프동작 이후부터 관성모멘트의 크기를 줄이기 시작해야 한다. 6) 발차기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본발차기(돌려차기와 뒤후려차기) 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line of Taekwondo aerial spin kicks(720˚ and 900˚) to the novice performers. Nine expert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players(height: 171.22±7.41, weight: 68.00±5.55, age: 24.67±3.87, career: 15.67±4.39) performed 360˚, 720˚ Dollyeochagi and 540˚, 900˚ Dwihuryeochagi to compare between the differences of aerial spin kicks. 3D motion capture system, GRF(ground reaction force) and wireless EMG(electromyography) measurement systems were used for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veral factors for a better performance while demonstrating 720˚ and 900˚ aerial spin kicks such as; 1) Increasing the initial contact foot velocity and maintain constant length of first step. 2) Increasing the total CoG(center of gravity) distance and speed toward the direction of spin during the ground motion. 3) Rotating with the wide arms and leg for the large moment of inertia during the ground motion. 4) Rotate the trunk more toward the front side before the take-off. 5) Bringing the arms and legs closer to the body for the small moment of inertia during the jump motion. 6) Specialized training of Dollyeochagi and Dwihuryeochagi needed for a better ‘target kicking’ while performing 720˚ and 900˚ aerial spin kicks.

      • 초음파를 이용한 호흡에 따른 복부심부근육의 신뢰도 측정

        박병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2687

        본 연구는 피트니스에서 대표적인 복부 안정화 운동인 플랭크 운동에서 호흡에 따른 초음파 측정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기위해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K대학의 건강한 성인 남녀 33명을 대상으로 호기 흡기 무작위 호흡을 초음파 측정의 신뢰도와 두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플랭크 운동을 실시 하였다. 측정 전에 트레드밀을 통한 준비운동을 실시하였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Hook-lying 자세에서 휴식 시 복부심부근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휴식 시의 초음파 측정을 실시 한 후, 플랭크 자세에서 호기 및 흡기, 그리고 무작위 호흡을 5회씩 실시하였으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두 명의 측정자가 외복사근과 내복사근, 복횡근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각 자료는 호흡을 통제한 플랭크 운동에서 두 측정자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급내상관계수(Intra Class Correlation)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측정자내 신뢰도는 무작위 호흡에서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측정자간의 신뢰도는 호기 시에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심부복부근의 두께차이는 흡기와 무작위 호흡에서 두꼐가 감소하였으나. 호기에서 두께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플랭크 상태에서 일반적인 호흡의 조절은 심부 복부근육의 두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기와 무작위 호흡시의 초음파 측정이 추천된다. 또한 코어 안정화 운동시 호기와 동반한 플랭크 운동은 복부근들의 참여와 복압을 증가시켜 코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운동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thickness change and reliability of deep abdominal muscles during plank exercise according to the respiration phase. 33 healthy(men:21, women:12)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plank exercise while the examiner captured the deep abdominal muscle thickness with ultraound. The ultraound image were taken during exhale, inhale and randomly for 5 times with 2 examiners.   The changes in thickness of each breath during the Planking of the healthy subjects showed the highest change and reliability at the time of breathing compared to the resting time. Intra-rater re- lilability was found to be good at 0.86 for both A and B, and the reliability of inter-rater reliability was 0.74 to 0.79. In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at the time of breathing, as in previous studies, was more reliable than other breathing method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random breathing and aerobic measurement between plank performances are recommended for high reliability and activation of the abdominal muscles. Plank exercise accompanied by aerobic exercise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exercise to improve core stability by increasing abdominal pressure and abdominal pres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