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교양무용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전공몰입 변화

        이다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43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d changes in self-efficiency and major-commit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college liberal arts dance program to promote the role of dance education corresponding to changes in the paradigm and demands of the times in college liberal education that the students could adapt themselves to various occupational environments as the members of society in the futur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setting a hypothesis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changes in self-efficiency (General and social self-efficiency) and major-commitment (emotional factors, sense of control and behavioral factor, intellectual curiosity factor, time-flow change factors)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liberal arts dance programs. A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this study selected 174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liberal arts dance program (Performing Arts Literacy(Dance), Amusing of Performing Arts, Expression by the Body, Reading Culture through Dance, Ballet and Science) at K. College located in Seoul and measured changes in their self-efficiency and major-commitment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As for the measuring tools, this study used the self-efficiency scale adapted by Hong, Hye-young(1995) and the college students’ major-commitment scale supplemented and modified by Kim, Hye-ju(2006). As for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average, matching sampl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t the level of descriptive statistics for changes in self-efficiency and major-commit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changes in self-efficien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college liberal arts dance program through th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turned out that participation in the liberal arts dance program helped improve self-efficiency, and by the subject, the improvement was the highest in Reading Culture through Dance, followed by Ballet and Science, Expression by the Body, Performing Arts Literacy(Dance), and Amusing of Performing Arts.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changes in self-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eral arts dance program through th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higher scores i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iency in the practical classes (Expression by the Body, Reading Culture through Dance, and Ballet and Science) rather than in the theory classes (Performing Arts Literacy(Dance) and Amusing of Performing Arts). Thir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changes in major-commit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liberal arts dance program, it was noted that in the level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improvement was the highest in time-flow change factor, followed by emotional factors, a sense of control and behavioral factors, and intellectual curiosity factor. Four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major-commitment, dividing majors of the research subjects into art (Art, Architecture, and Sculpture) and non-art (Liberal Arts, Business Administration, Physical Education, Electronics/Information, Car Convergence, Social Science, Law, Economics,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in the pre-test, art majors had higher scores than non-art majors while in the post-te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difference between art majors and non-art majors. Fifth, it turned out that the self-efficiency improved by participation in the liberal arts dance program was the variable that affected major-commitment. This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re would be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iency and major-commitment by participation in the liberal arts dance program. Thu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liberal arts dance program with self-efficiency and major-commitment. This conclusion suggest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liberal arts dance programs as the education of basic competency for expertise in various jobs in the future beyond education for non-majors or complementary education in the major field.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vitalizing liberal arts dance programs and securing the excellence of dance education, such as expanding the academic prospect of dance art education and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liberal arts dance program models as well as providing theoretical basic data for the college liberal arts dance program education. 본 연구는 미래사회인으로 다양한 직업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대학 교양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는 무용교육의 역할에 대해 제고하고자 대학 교양무용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전공몰입 변화를 경험적으로 탐색하였다. 이에 교양무용 참여 전·후에 자기효능감(일반적·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몰입(정서적 요인, 통제감 및 행동적 요인, 지적 호기심 요인, 시간 흐름의 변화 요인)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K대학교 교양무용(공연예술읽기-무용, 공연줍기, 몸으로 표현하기, 춤으로 문화읽기, 발레와 과학이야기) 수강생 174명을 선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자기효능감 및 전공몰입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홍혜영(1995)이 번안한 자기효능감 척도와 김혜주(2006)가 수정·보완한 대학생 전공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기효능감 및 전공몰입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에 대해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평균 비교와 대응표본 t 검증,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교양무용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 변화를 사전·사후점수를 통해 살펴본 결과, 교양무용 참여는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주며, 과목별로는 춤으로 문화읽기>발레와 과학이야기>몸으로 표현하기>공연예술읽기-무용>공연줍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무용의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변화를 사전·사후점수를 통해 살펴본 결과, 이론수업(공연예술읽기-무용, 공연줍기)보다 실기수업(몸으로 표현하기, 춤으로 문화읽기, 발레와 과학이야기)이 자기효능감 향상도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무용 참여에 따라 전공몰입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시간 흐름의 변화 요인>정서적 요인>통제감 및 행동적 요인> 지적 호기심 요인 순으로 향상된 것을 파악하였다. 넷째, 연구대상자들의 전공계열을 예술(예술, 건축, 조형)과 비예술(문과, 경영, 체육, 전자정보, 자동차융합, 사회과학, 법과, 경상, 공과, 자연과학)로 구분하여 전공몰입의 향상 정도를 파악한 결과, 사전검사에는 예술전공이 비예술전공보다 점수가 높았으나, 사후에는 예술전공과 비예술 간의 차이가 부적상관을 이루었다. 다섯째, 교양무용 참여에 따라 향상된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양무용 참여가 자기효능감 및 전공몰입에 긍정적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함으로써, 교양무용과 자기효능감 및 전공몰입의 관계를 구명하는 실증적 연구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은 교양무용이 비전공자를 위한 교육, 또는 전공 영역의 보완교육을 넘어서 향후 다양한 직무의 전문성을 위한 기초소양 교육으로 그 의미가 재구조화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 교양무용교육을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 제공은 물론 무용예술교육의 학문적 지평확대와 다양한 교양무용 모델 개발 및 적용 등 교양무용 활성화 및 무용교육의 수월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발레전문무용수의 흉추가동성을 위한 Pilates 프로그램 개발

        임준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27

        The necessity of using advanced techniques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for ballet dancers to express the intended dance, adapting to the change in modern ballet in which creative ballet performances increase. As movement techniques are developed, the intensity of the training for ballet dancers increases. Consequently,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injuries also increases. Most movement techniques in ballet consist of motions that require the excessive flexibility of the waist. Due to the use of these techniques and repetitive training, the backache is common to the ballet dancers.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eceding studies, this researcher concluded that the lumbar pain of ballet dancers is caused by the increase of abnormal movement between the lumbar vertebral bodies through the compensation of the stiff thoracic vertebra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ilates program that secures the thoracic vertebra mobility as a way to prevent a backache caused by excessive techniques and repetitive training based on the physical·psychological effects of Pilates proven in the preceding stud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concretely investigated how Pilates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rehabilitation of dancers specializing in ballet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is,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 total of four steps, including the researcher’s preparation, goal setting, the composition of a plan for the program and valid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procedures established theoretical grounds and sec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Pilates program that secures the thoracic vertebral mobility, suitable for ballet dancer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an analysis of the preceding studies, basic ballet motions, Balanced Body Pilates Method, kinematics, functional anatomy, a survey of needs and an expert group’s validation. The Pilates program that secures the thoracic vertebral mobility is recommended to be implemented a total of 10 times (for 40 minutes two times in five weeks). The composition of the period of application, time and session was presented on this researcher’s own discretion, so it can be reconstructed for the subject’s situations. The program was composed so that it c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injuries and rehabilitating ballet dancers by setting goals as follows: “Recognition and assessment of the present state” for Sessions 1-2; “Recovery of rotation” for Sessions 3-4; “Recovery of lateroflexion” for Sessions 5-6; “Recovery of extension” for Sessions 7-8; and “flexion” for Sessions 9-10 and finally securing the thoracic vertebral mobility. The program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Physical·psychological relaxation, “Securing the thoracic vertebral mobility” and “Reconstruction of the body.” As above, finally, the Pilates program was developed to secure the thoracic vertebral mobility of ballet dancers, consisting of 10 sessions. Hopefully, the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ballet dancers in the future and its positive effect will be verified. Moreover, hopefully, professional dancers who are exposed to the risk of injuries will recognize the ideal anatomical postures themselves. It is hopeful that the professional dancers who recognized the ideal postures will understand the cross-training to bring their deformed bodies to the neutral position and apply it on the stage of training for the prevention of injuries and rehabilitation and further the stage of living in ordinary tim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Pilates will come into wide use as a professional training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injuries and the recovery of wounds. Also,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ballet dancers, and its effects should be verified. In the meantim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to develop programs for the rehabilitation of more various body parts and programs utilizing various Pilates machines. 발레전문무용수들은 점차 고난도의 기술을 사용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창작 발레공연이 늘어나고 있는 현대 발레의 변화에 발맞추어 의도한 무용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동작기술이 발전 될수록 발레전문무용수의 훈련 강도는 높아지며, 그만큼 부상에 노출되는 빈도도 늘어난다. 발레의 동작기술은 허리의 과도한 유연성을 요구하는 동작들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기술의 사용 및 반복훈련으로 인해 발레전문무용수들에게 요통이 흔히 발병된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자는 발레전문무용수들의 요추 통증이 경직된 흉추의 보상작용에 의해 요추 추체 간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증가시켜 유발시킨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필라테스의 신체적·심리적 효과를 기초로 하여 무용수들의 과도한 기술 및 반복훈련으로 인한 요통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흉추가동성 확보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발레전문무용수의 재활을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은 연구자 준비, 목표설정, 프로그램 계획안 구성 및 타당도 검증, 프로그램 개발 총 4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위와 같은 절차를 거쳐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고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에 의거한 문헌고찰, 기본적인 발레동작, Balanced Body Pilates Method, 운동역학, 기능해부학, 요구도 조사,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개발된 발레전문무용수에게 적합한 흉추가동성 확보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흉추가동성 확보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5주 동안 주 2회, 40분씩 총 10회 실시하는 것을 권장한다. 적용기간 및 시간, 회차 구성은 본 연구자가 임의로 제시한 것이므로 대상자의 상황에 맞게 재구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1-2회『현 상태 인지 및 평가』를 시작으로 3-4회 흉추의『회전 기능의 회복』, 5-6회『측굴 기능의 회복』, 7-8회『신전 기능의 회복』, 9-10회『굴곡 기능의 회복』이라는 회차별 목표를 설정하여 최종적으로 흉추가동성을 확보하여 발레전문무용수의 부상 예방 및 재활에 기여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단계는『신체·심리 이완』,『흉추가동성 확보』,『신체 재구조화』의 3단계로 나뉜다. 이상과 같이 최종적으로 10회에 해당하는 발레전문무용수의 흉추가동성 확보를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추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이 실제 발레전문무용수에게 적용되어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되기를 바란다. 나아가 부상의 위험에 노출된 전문무용수들이 스스로 이상적인 해부학적 자세가 무엇인지를 인지하기를 바란다. 이상적인 자세를 인지한 전문무용수들은 변형된 자신의 몸을 중립으로 가져오려는 크로스 트레이닝(Cross-training)을 이해하고 부상의 예방과 재활을 위한 훈련 단계, 나아가 평상시의 생활 단계에서 적용하기를 바란다. 더불어 상해 예방과 부상 회복을 위한 전문적인 훈련방법으로서 필라테스가 널리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향후 실제 발레전문무용수에게 적용되어 그 효과를 검증해야 할 것이다. 한편, 보다 다양한 신체 부위의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필라테스 기구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 공헌 사례 연구

        양정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27

        본 연구는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공헌활동 사례분석을 통해 무용예술의 사회공헌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공헌적 예술인 양성을 위한 교육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무용예술 기업 연계 콘텐츠 개발의 자료를 제시하는 이론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무용예술과 기업의 연계를 통해 무용예술의 활동영역을 넓히고 전략적으로 확장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기업 측면에서는 사회공헌활동의 콘텐츠를 다양화 할 수 있는 응용적 가치를 지닌다.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2009년부터 활동하고 있는 아츠커뮤니케이션21의 기업 연계 프로젝트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의 문화예술 교육기부 컨설팅단 프로그램, 중소·중견기업의 문화예술지원 활성화 ‘예술지원 매칭펀드’, 예술인 파견 지원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의 기준은 함성애(2015)의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 유형 분류를 기반으로 기업의 지원목적, 프로그램 유형 및 내용 등으로 세분화 하여 재구성 하였다.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공헌활동은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측면과 문화소외 계층의 간극을 줄이는 복지측면의 지원이 있다. 또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마케팅 및 임직원들의 업무능력 향상과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기업경영으로 분석되었다.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공헌활동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실행과 지속성을 위한 기업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정부 차원의 지원 및 혜택, 마지막으로 예술가 및 예술교육자들의 인식개선 및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expansion of the social contribution of dance arts through a study of the cases of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arts. This study has theoretical values that it provides pedagogical information for educating artists who contribute to society and presents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the link of dance arts with enterprises. As its applicative values, it is noted that the link of dance arts with enterprises can broaden the scope of the activities of dance arts and strategically expand them, while enterprises can diversify the contents of thei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of dance ar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ases, including Enterprise-linked Project by Arts Communication 21 in which this researcher has been active since 2009, Culture and Arts Education Donation Consulting Program by the Institute of Comprehensive Arts in Kookmin University, Art Support Matching Fund for the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Artist Dispatch Support Project. As a case analysis, the programs were restructured and summed up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the programs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Han (2015) and were subdivided by the purpose of support for enterprises, program type and contents.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arts have an aspect of education that they provid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various opportunities for cultural experience and an aspect of welfare that they reduce the gap in the culturally marginalized group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 analysis, the activities are used for marketing to build up a company’s brand image and business management to enhance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improve its organizational culture. As measur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arts, this study, first, proposed enterprises’ role for execution and sustainability; second, it proposed the government-level support and benefits; and lastly, it proposed the improvement of artists and art educators’ awareness and the directions in which they should proceed.

      • 홀리스틱 통합무용교육이론 기반 발레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류한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27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holistic, integrated dance education theory-based ballet program and apply that to the actual education site to verify its effect on university ballet majors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value in that it diagnoses the limitation of segmental education in the ballet education site and primarily provides the basic data for integrated ballet educ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application, it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and would seek the possibility of creative professional dancers through presenting a systematic ballet education model. As for research subjects, convenient sampling was conducted with 20 ballet majors at K. University in Seoul, an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is study measured changes in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As for measuring tool, the test sheet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produced by Moon & Oh (2012) was employed, and with the collected data, paired samples t-test covariance analysis,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olistic, integrated dance education theory-based balle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holistic ballet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holistic balle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dance movement skillfulness and dance movement artistry,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Third, as for the pre-and-post-correlation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with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after the program, dance movement skillfulness (r= .984, p<.01) had a correlation more than dance movement artistry did (r= .872, p<.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eaking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style of balle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vert to integrated ballet educ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exchange based on the totality of dance.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and facilitation of integrated ballet education through the presentation of a new ballet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홀리스틱 통합무용교육이론 기반 발레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대학 발레전공자의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홀리스틱 이론에 근거한 발레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일차적으로는 통합적 발레교육의 재구조화를 통한 현장적용 가능성과 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응용적으로는 무용수행능력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구명하여 체계적인 발레교육 모델 제시를 통한 창의적 전문무용인재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K대학교 발레전공생 20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무용수행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문영, 오레지나(2012)에 의해 제작된 무용수행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공분산분석, 피어슨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홀리스틱 통합무용교육이론 기반 발레프로그램은 무용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첫째, 홀리스틱 발레프로그램은 무용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홀리스틱 발레프로그램은 무용수행능력의 하위영역인 무용동작기술성과 무용동작예술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무용수행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무용수행능력은 무용동작예술성(r= .872, p<.01) 보다 무용동작기술성(r= .984, p<.01)이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레교육의 전통적 교육방식으로부터 벗어나 무용예술이 지니는 총체성을 기초로 학제 간 교류를 통한 통합적 발레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발레교육 모델 제시를 통해 통합적 발레교육의 활성화 및 수월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한국창작발레 [허난설헌-수월경화] 연구

        김지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Since ballet was spread in the early-20th century, South Korea’s ballet has sharply been developed repetitively. Each college has set up the Department of Ballet and produces excellent dancers every year. Various ballet companies show various works every year and often write articles on foreign invitation performances. They continue to perform brilliantly, e.g. Joining famous foreign ballet companies as well as various domestic ballet companies and winning a prize at prestige dance awards ceremonies. Considering its history, which is not that long, it seems that South Korean ballet is now on the road to development, accomplishing meaningful achievements. However,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the status of ballet in the present world of the Korean performing arts is in a quite different situation, and in reality, many ballet companies and employees in the related industries encounter real difficulties. While concerned about a measure for achieving commercial growth through the overall revitalization of the market based on the presentcapability, this researcher came to have a chance to perform the creative work of ballet, Heonansulhun-Suwolgyeonghwa. Through performing the work, an insight could be obtained, different from when the researcher had in performing the existing familiar works of classical ballet or romantic ballet. Thus, this study would aim to analyze the Korean creative work of ballet, Heonansulhun- Suwolgyeonghwa and to understand what artistic distinction and commercial possibility this work has, compared to the existing work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birth of the genre, ballet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trend and discussed the process from its introduction to South Korea till now and the details of the major ballet companies’ activities through the representative creative works. Then, by analyzing the work, Heonansulhun- Suwolgyeonghwa,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and its choreographer Kang, Hyo-hyung, this study would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who have not seen the work, of those who read this study. Next, this study conducted a phased analysis by dividing the stages in detail, from the planning of a work of ballet to the execution of its performance as follows: First, planning the performance; second, securing the work; third, marketing; fourth, preparing the performance; and lastly, executing the performance. For the details of marketing, an academic approach, of them, was needed, and for an analysis, management theory, the marketing mix theory was utilized. Like this, a phased analysis of the performance held was applied to Heonansulhun-Suwolgyeonghwa, finally. In the result drawn through the analysis, the link between artistry and audience expansion was the substantive concentration of capability on upstream activities prior to the stage of the performance, in otherwords, planning the performance, securing the work and marketing. The evidence supporting this is the very case of the success of Heonansulhun-Suwolgyeonghwa, and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much the performance upstream stage can affect the success of the work. In the genre of performing arts, the act of the performance of art is simultaneously done with the act of the audience’ acceptance, so it is a field, impossible to exist without the audience. In other words, the audience is the element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o further expand the audience, the basi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new ‘creative works’ through new ‘planning’ in addition to the activity for preparing the performance to satisfy the existing audience and ‘marketing’ that can attract new custom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quality creative works to attract new audiences, and it is judged that South Korean ballet can continuously mak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consequently, through such efforts. 20세기 초 우리나라에 발레가 전파된 이후 우리나라의 발레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각 대학에서는 발레학과를 창설하여 매년 뛰어 난 무용수들이 배출하고, 여러 발레 단체들은 해마다 다양한 작품들을 선 보이고 있으며 종종 외국 초청 공연에 대한 기사를 전해주고 있다. 이들 은 국내 여러 발레 단체들은 물론 해외 유수 발레단에 입단하여 권위 있 는 무용 시상식에서 수상을 하는 등 눈부신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길지 않은 역사를 고려해 보았을 때 우리나라 발레는 의미 있는 업적을 달성해 가며 발전 일로를 걷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상업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현재 우리나라 공연 예술계에서 발레가 차지하는 위상은 사뭇 다른 상 황으로, 많은 발레 단체들과 관련 업종 종사자들이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 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 발레가 현재의 역량을 바탕으로 전반적 시장 활성화를 통한 상업적 성장을 이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던 중 창작 발레인 [허 난설헌-수월경화]라는 작품을 공연할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해당 작품의 공연을 통해 기존의 익숙한 고전 발레나 낭만 발레 작품들의 공연 때와는 다른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창작 발레인 [허 난설헌-수월경화] 작품을 분석하고 이 작품이 기존 작품들과 어떤 측면에 서 예술적 차별성과 상업적 가능성을 지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발레라는 장르의 탄생과 사조에 따른 발전 과정을 알아 본 후, 우리나라에 도입되고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및 주요 발레단의 활동내역을 대표 창작 작품을 고찰하였다. 그 후 본 연구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허난설헌-수월경화]의 작품과 그 안무가인 강효형에 대해 분 석을 함으로써 본 연구의 접하는 이들 중 작품을 직접 관람하지 못한 이 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하나의 발레 작품이 기획에서 공 연이 실행되기까지의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단계별 분석을 실시하였 는데 그 단계는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첫 번째 공연기획, 두 번째 작품확보, 세 번째 마케팅, 네 번째 공연준비, 마지막 다섯 번째 공연 실행이 다. 이들 중 마케팅에 대한 내용은 학문적 접근이 필요했던 부분으로 분 석을 위해 경영학 이론인 마케팅 믹스 이론을 활용하였다. 이렇게 진행한 공연 단계별 분석을 최종적으로 [허난설헌-수월경화]에 적용하여 분석하 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예술성과 관객 확대 사이의 연결고리는 공 연단계 이전의 상류 활동 즉, 공연 기획, 작품 확보, 마케팅에 대한 실질 적인 역량 집중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바로 [허난 설헌-수월경화]의 성공 사례이며,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중 하나는 공연 상류의 단계가 작품의 성공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공연 예술 장르는 예술의 실연 행위와 관객의 수용 행위가 동시간적으 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객이 없이는 존립 자체가 불가능한 예술 분야이 다. 즉 관객은 공연 예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 다.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관객층을 더욱 확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 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공연 준비 활동에 더해서 새로운 ‘기획’을 통한 새 로운 ‘창작 작품’, 그리고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마케팅’ 에 대 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새로운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양질의 창작 작품 확보가 필요한데, 이러한 노력을 통해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발레는 양적, 질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 통합무용교육 참여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rts Communication21의 '아츠스토리;움직이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정민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theory of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a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combining art with da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2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rts Communication21's Arts Story: Moving Book!” a local connection program of Ggumdarak (Dream Attic) Saturday Culture School in Seoul in 2017 as the subjects, conducted a class consisting of 15 class hours (180 min. each time) and assessed the difference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from that in the control group, and of the sub-domains of self-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domain of intelligence. And yet, in all three domains, the average improved at the level of descriptive statistic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o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Second,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changes after the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elf-efficacy,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social/emotional domain. And yet, since the average improved at the level of descriptive statistics in all three domain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score after the program, it is judged that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in the domain of intelligence and social/emotional domain unlike the effect of dance education consisting only of movements by which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acy can be expected in the physical domain.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composed in terms of whole-person education showed a result that supported the conclusions of the preceding studies that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would be an educational solution for growth as the whole man, and through the conclusion that the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throughou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es in general, this study sought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connected to subject matter education, applying it to schools. Self-efficacy is an essential emotion for satisfactory life,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to various subjects, including middle/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as well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and hopefully, a broad study w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by developing danc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s that concretize the connection to other subjects as well as art and conducting empirical verification according to that 본 연구는 미술과 무용을 접목한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구명함으로써 통합무용교육 이론에 하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 서울특별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프로그램인 Arts communication21의 ‘아츠스토리;움직이는 그림책!’ 참여 학생 2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 총 15차시(180분/1회)수업을 실시하여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무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무용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전체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지적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세 영역 모두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평균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기에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통합무용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험처치 후 집단 간 사후 변화만을 비교한 결과, 전체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정서적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후 점수 또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세 영역 모두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평균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기에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신체적영역에서 자기효능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예상할 수 있는 움직임만으로 구성된 무용교육의 효과와는 달리 지적영역과 사회·정서적영역에서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전인 교육적 측면에서 구성된 본 연구의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은 통합무용교육이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적 대안이라는 선행연구들의 결론을 지지하는 결과로,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활 전반에 걸친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은 학교 현장적용으로 교과 교육과 연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자기효능감은 만족감 높은 삶을 살기 위한 필수 감정인만큼 향후 초등학생뿐만 아니라 중·고등학생, 대학생, 성인까지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시켜 연구되어야하며, 미술뿐만 아니라 타 교과목과의 접목을 구체화한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에 따른 경험적 검증으로 폭넓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청소년 인성 및 역량 증진 효과

        진승화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11

        본 연구는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링컨센터에듀케이션(Lincoln Center Education)의 미적체험 핵심 교육활동과 역량요소에 기반 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청소년 인성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C중학교 1학년 116명(남학생 58명, 여학생 58명)을 대상으로 8개월 간 총 16차시의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업 참여 전·후에 청소년 인성과 역량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공분산분석, 피어슨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인성 강화와 역량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첫째,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 인성 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요인인 감성, 도덕성, 사회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 역량의 6가지 하위요인 중 갈등조절역량, 리더십역량, 시민성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사후 청소년 인성과 역량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무용교육학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학교예술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응용적 가치를 지닌다.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토대로 실제적 수업모형과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하며, 대상과 교육기간의 확대 및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후속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미적체험교육, LCE 미적체험, 무용교육 프로그램, 청소년 인성, 청소년 역량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a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LCE aesthetic experience. In concrete, this study would develop a da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ncoln Center Education’s aesthetic experiential education philosophy and core competence and apply that to the actual education site to understand its impact on youth's personality and competence.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da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LCE aesthetic experience consisting of 16 class hours was applied to 116 1st year students (58 boys and 58 girls) in middle school in Seoul for 8 months.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class, youth's personality and competency evaluations were conducted, and with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statistics software, paired samples t-test, covariance analysis,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a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LCE aesthetic experience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youth’s personality and enhancing their competency.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LCE dance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rengthening of personality,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s sub-factors, emotion, morality and sociality. Second, the LCE danc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conflict adjustment capability, leadership capability and citizenship competence, of the six sub-factors of the youth's competence. Third,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youth’s personality and competence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n sum, the above research results can strengthen the theoretical basis of research on dance education by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dance education program and has an applicative valu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school art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instructional models and programs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dance education program-based LCE aesthetic experience, and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which conduct the expansion of the subjects and perio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parallel. Key words: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LCE aesthetic experience, dance education program, youth's personality, youth's competence

      • 오고무의 양식적 특성연구 : 국립국악원, 경기도립, 한국문화재재단 무용단 중심으로

        정수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우리나라의 전통 타악춤의 발전 과정은 시대적 성격과 흐름에 맞춰 변화되어 왔다. 전통 춤에 활용되는 많은 타악기들 가운데 북춤은 현재까지도 다양한 방식과 여러 작품으로 남아있다. 전해 내려오는 많은 북춤 가운데서도 창작 북춤의 갈래로 나누어지는 오고무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오고무의 양식적 특성을 추출하여, 실제적으로 우리나라 국·공립 단체(국립국악원· 경기도립· 한국문화재재단 무용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오고무 공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오고무의 양식적 특성을 예증하려 한다. 오고무의 양식적 특성으로는 장단의 가변성· 춤의 복합성· 구성의 공간성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장단의 가변성은 자유롭게 변하는 북의 타법 안에서 이루어지는 소리와 장단의 가변성을 의미한다. 춤의 복합성은 장단과 춤사위가 주는 시청각적 효과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공간성은 무대라는 넓은 공간 안에 북 틀이라는 제한된 새로운 공간 안에서의 다양한 공간구성을 의미 한다. 나아가 도출된 세 가지의 양식적 특성을 토대로 오늘 날의 오고무 공연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세 단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방법을 사용하여 외부적 요소(con-text)와 내부적 요소(co-text)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세 단체에서 나타나는 양식적인 특징은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공통적인 부분과 각 단체만의 양식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아직 대중적으로 많이 연구되지 않은 오고무의 양식적 특성을 도출하고 분석함으로써 오고무의 기초연구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오고무는 창작의 가능성이 방대한 만큼 더욱 신선하고 독창적인 새로운 작품들이 많이 나오길 바라며, 본 연구를 기점으로 더욱 심도 있는 후속연구와 관심을 기대해본다.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dance has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 and stream of time. The drum dance is found in various methods and art works among many percussions used in traditional dance. This study has researched Ogomu which belongs to the creative drum dance among various descendent drum dances. This study is aiming to investigate that how Ogomu performances are composed by national and pubic institutions(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Gyeonggi Provincial dance team, and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dance team) through extracting the stylistic characteristic of Ogomu, and illustrate the stylistic characteristic of Ogomu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Ogomu contained three stylistic characteristics: beat variability, dance complexity, composition spatiality. The beat variability is the variability of sound and beat which are created within changeable drum playing freely. The dance complexity expresses visual concurrent effect of the beats and dancing steps. The spatiality means various space compositions with limited new space as the drum in the large space as the stage. Based on the three deducted stylistic characteristics, the compositions of Ogomu performances by three institutions had been analyzed. The study analyzed them by dividing into con-text and co-text, and Intertextuality had been used as the analysis method. The Ogomu performances by three institutions had common stylistic characteristics as univers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different styles of each institution. This study is aiming to provide the basic research data of Ogomu by deducting and analyz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Ogomu which did not be studied enough popularly. It has high possibility that more fresh and creative work could be created by using Ogomu because of its enormous creative possibility. On the basis of this study, in-depth follow-up studies and interests would be expected.

      • 조갑녀류 '민살풀이춤' 춤사위를 활용한 무용창작 : 작품 『비움』을 중심으로

        김예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현재 한국창작춤은 우리나라 전통춤에서 파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현 시대의 21세기 융복합의 시대로 다양한 영역들을 초월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와 환경에 맞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전통춤의 고유한 가치는 지켜야 한다. 따라서 한국 춤에도 이러한 시대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요구되는 새로운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다양하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작품화되고, 기존 무용형식의 한계를 창작활동을 통해 시대에 맞게 새로운 춤 형식으로 나타나게 되는 수많은 다양한 시도 속에서 본 연구자는 한국 전통춤의 형식은 고수하며 정체성만은 잃지 않기 위해 전통춤을 재구성, 재창작하는 고유의 창작방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전통춤을 올바르게 계승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갑녀류 민살풀이춤 춤사위를 활용하여 작품을 창작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이론적 배경인 조갑녀류 민살풀이춤의 생성과정 및 형식과 미적특징을 조사하고, 시청각 자료로 한 가지를 선정하여 조갑녀류 민살풀이춤 춤사위를 호흡분석을 통한 장단별 대표적인 손사위와 발사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추출하였다. 손사위 동작에서는 주먹춤, 손목춤, 손바닥춤을 발사위 동작에서는 비정비팔, 잉애거리, 발목춤을 대표적 춤사위로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자가 선정한 조갑녀류 민살풀이춤의 장단별 대표적인 손사위와 발사위의 춤사위를 활용하여 작품 ‘비움’을 제작하였다. 조갑녀류 민살풀이춤의 대표적인 춤사위 뿐만 아니라 움직임과 무대 공간 구성도 활용하였다. 전통춤을 재구성하고 재창작하는 작업은 전통을 보존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모든 한국창작춤이 전통춤을 활용하여 창작 되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통춤이 새롭게 재창작 되는 작업을 통해 한국춤 고유의 정체성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대중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지 않은 조갑녀류 민살풀이춤의 대표적인 춤사위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기초연구자료로 제공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Now the current Korean creation dance can be thought that is derived from Korea’s national dance and it is the age of the 21st century convergence that transcends a wide range of cultures In the flow of the culture and the trends that are changing and evolving to fit the environment, the unique value of our traditional dance must be kept. Therefore, Korean dance is being crafted in a variety of creative ways to realize the new values required as times and societies change. There were various attempts to represent limitations of existing dance forms in a new form to fit the times through creative activity. I intend to establish our creative method of recogfiguring and recreating traditional dances so as not to lose the identity while keeping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form. Accordingly, the resercher wanted to create and analyze works using the ‘Jo’s Salpuri’ dance moves as a way to properly inherit traditional dnaces. The research startd with investigating the theoretical backgourds such as process of generation, form and asthetic features of the Salpuri dance. In Sequence, I selected an audio visual doocument and studied the movement of the feet and hands that are typical of each rhythm through breathing analysis. As a result, I found Bijeong-Bipal, Warp ties dance, ankle dance from feet movements as a typical movements in this dance. Rehabilitating and reproducing traditional dances is the one of the way to preserve tradition. Not all Korean creative dance should be created using traditional dances, but I think this is a way to preserve the unique identity of Korean dance through the process of reviving traditional dances. It is also significant to provide a basic research source in the future by studying Jo’s Salpuri dance that is not widely studied.

      • 지역별 검무의 칼 형태에 따른 춤 양식 연구

        박미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전통은 그 자체로 보존될 가치를 가지며 시간적 흐름에 따라 유지 및 일부 변형되며 계승된다. 그 중 검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 12호로 등록되어 있는 진주검무와 중요무형문화재 제 21호로 지정되어 있는 통영검무를 비롯하여 밀양검무, 평양검무, 해주검무, 경기검무, 호남검무 등 7가지의 지역별 검무를 선택하여 칼 형태에 따른 춤 양식 연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각 지역별로 검무의 양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크게 칼의 형태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칼의 형태에 따라 검무의 양식인 춤사위, 춤 구성, 장단, 복식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검무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시대 흐름을 알고 각 보존회에서 공연한 영상자료를 선정하여 춤사위, 춤 구성, 장단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검무는 주로 짝수로 되어 있어 짝을 만들어 춤을 추고, 기본적으로 8명이서 추는 형태이다. 하지만 때에 따라 4명 또는 6명이서 추기도 한다. 그 중 밀양검무는 2명이서 춤을 추며, 경기검무는 혼자서 추는 홀 춤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검무는 한삼춤, 맨손 춤, 칼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양검무, 해주검무, 경기검무는 맨손 춤과 칼춤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무는 본래 처음 남자가 추었던 춤 이였다가 후에 여기검무로 바뀌었다. 그래서 검무는 절제되어 있으면서 여성적인 섬세한 면이 깃들어 있는 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7가지의 지역별 검무들을 영상자료와 문헌자료, 선행연구등을 통하여 정리, 분석하였으므로, 지역별로 나타나는 검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향후 각 지역별 검무를 연구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Tradition is worth preserving by itself, and it is maintained, transformed and succeed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Of them, sword dance (Geommu) has been chang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is study selects seven regional sword dances, including Miryang Geommu, Pyongyang Geommu, Haeju Geommu, Gyeonggi Geommu and Honam Geommu, as well as the representative sword dances, including Jinju Geommu,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2 and Tongyeong Geommu,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21 and aims to investigate the dance styles according to the sword styles. In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styles of sword dance differ depending on the region. Especially, the shape of the sword is similar but different. Therefore, this researcher notes that the styles of sword dance, including dancing steps, composition of dance, beat and clothing diff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word. This study would first understand the flow of time concerning where the sword dances began, select video materials performed by each preservation society and analyze the dancing steps, composition of dance and beat, etc. Sword dance mainly consists of an even number, danced in pairs, basically by eight dancers. However, sometimes, four or six dancers dance sword dance. In particular, Miryang Geommu is danced by two dancers, while Gyeonggi Geommu is a hall dance danced by one dancer. In addition, the general sword dance consists of scarf dance (Hansam-chum), naked-hand dance (Maenson-chum) and knife dance (Kal-chum), while Pyongyang Geommu, Haeju Geommu and Gyeonggi Geommu consist only of naked-hand dance and knife dance. In addition, sword dance was a dance danced by male, and later, it changed into a sword dance of dancing girls (Yeogi Geommu). Thus, sword dance is a dance with refined and delicate feminine features. Therefore, this study organized and analyzed seven regional sword dances through video materials, and literature materials, preceding studies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sword dances in the reg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a study of the sword dance of each region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