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민대학교 음악학과 성악전공 Recital Program에 대한 고찰 : 일반적인 Recital Program 구성과 본교 Recital Program 구성에 대한 비교분석을 중점으로

        박주성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국민대학교 대학원 과정에서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가지고 일반적인 연주 홀에서 올리는 귀국독창회 연주 프로그램과 다른 대학교에서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는 어떤 곡들을 연주했는지 도표로 정리하고 귀국독창회의 연주프로그램과 타 대학에서의 연주프로그램을 비교하여 국민대학교와 다른 연주에서는 어떤 작품을 선호하고 프로그램이 어떻게 더 짜임새 있게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고찰을 담음으로 향후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리사이틀을 하는 후배들이 그동안 본교에서는 이런 곡들을 선곡해왔고 앞으로 어떻게 프로그램(Program)을 구성하면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 제언하며, 좋은 자료로 남기 위해 작성된 논문이다. 독창회를 열 때 레퍼토리의 선택은 너무나도 중요하다는 것은 성악을 전공하는 모두에게 있어서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곡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본인이 좋아하는 곡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본인의 발성적인 역량을 고려하며 선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독창회는 한 명의 독창자가 1시간가량 되는 연주 시간 동안 혼자 이끌어가야 하고 연주자의 장점을 돋보일 수 있는 것이 최우선의 선택이기에 프로그램(Program)을 구성하는 것에 상당히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고려해야 할 조건들에 대해 7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로는 현재 성악가 커리어(Career)의 시점에 따라 준비해야 하고, 두 번째로는 연주자의 기술(Technique)을 고려해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하며, 세 번째로는 이전에 연주한 연주 홀에서 어떻게 독창회를 열었고, 그때 어떤 곡을 가지고 연주했으며, 청중들의 반응이 어떠했는지 등을 점검하고 다양성을 위해 프로그램에 어떤 변화를 줄 것인지 등에 대해 고려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네 번째로는 듣는 청중의 음악적 성향과 청중의 음악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를 고려해야 하며, 다섯 번째로는 연주 장소(공연장)의 크기를 고려해야 하며, 여섯 번째로는 다양한 스타일의 연주를 구성해야 하는데 음악에서의 스타일은 작곡가마다, 언어마다, 음악사조마다, 기타 여러 면에서 등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 마지막으로는 연주자가 음악과 문학 작품에 관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권면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요소들을 가지고 레퍼토리 구성하여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만드는 유형은 전통적인 프로그램과 특별 프로그램 2개로 나뉘어 설명할 수 있다. 전통적인 프로그램은 음악사조의 흐름 순으로 배열하고 다양한 언어의 곡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전통적인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음악 사조별 다양성과 언어의 다양성을 갖춘 능력을 보여줄 수 있고 연주자의 다양한 연구 배경을 보여줄 수 있는데 특히 학위를 마치고 갖는 데뷔 리사이틀은 이와 같은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자신의 전문성을 청중들에게 보여주기에 적합하다. 특별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프로그램의 틀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기획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특별 프로그램은 레퍼토리 선택에 있어서 전통적인 프로그램의 구성과 같이 연주자의 주관이 많이 들어갈 수 있기도 하고 곡의 구성에 대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유형이기도 하다. 최근엔 전통적인 프로그램과 다른 방법으로 학구적인 면모를 보여줄 수 있으며, 연구를 통해 해설과 강의를 하고 연주도 병행하는 해설이 있는 독창회(Lecture Recital)와 같은 연주도 행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2011년도부터 2020년도 이후 현재까지의 국민대학교의 모든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분석했다. 10년 치의 자료를 한꺼번에 정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서 2011 ~ 2016년도까지 1기, 2017 ~ 2018년도까지 2기, 2019 ~ 2020년도까지 3기 총 3개의 기간으로 나뉘어 분석하였다. 분석에 대한 순서는 모두 같은 순서로 조사해 표로 제시했으며, 해당 학년도에 연주했던 명수와 총 곡의 개수를 제시했고 이후 시대별 및 작곡가별로 구별해 어느 음악사적 시대의 노래를 많이 선곡했고 어떤 작곡자들을 많이 선곡했는지 표를 통해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장르 및 언어별로 구분해 아리아와 예술가곡의 사용 비중이 어떤지, 또 어느 언어의 노래를 많이 선곡했는지를 정리해 도표로 제시했다. 이와 같은 순서로 세종문화회관과 예술의전당에서 연주한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분석했으며, 학위 리사이틀 특성상 전통적인 프로그램 구성을 따른다는 조건에 맞춰 특별 프로그램이 제외된 전통적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따르는 귀국독창회를 위주로 분석해서 표로 제시했다. 제시된 내용은 시대별-장르별-언어권별 순서로 분류해 제시했으며, 다른 대학원에서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에서도 이와 동일한 순서로 분류해 도표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국민대학교와 귀국독창회 그리고 다른 대학원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놓고 비교하고 분석하며 국민대학교의 현주소에 대한 고찰을 담고 본 연구를 작성하는 본인을 비롯해 향후 대학원 학생들의 연주를 위해 무슨 곡을 선호했고 또 어떻게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효과적인 학위 리사이틀이 될지 본 논문에서 나온 결과물을 바탕으로 고민하고 본인의 연구 업적에 수용할 수 있도록 표본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국민대학교는 지금까지 생각보다 다양한 언어와 일반적인 대학원에서 잘 하지 않는 언어 및 작곡가의 노래들을 사용해 독특한 레퍼토리들을 사용해서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노래들에 도전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무난하고 통상적으로 따르는 구성으로 연주를 진행한 다른 대학원 리사이틀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고 이 도전정신이 상당히 고무적임을 평가했다. 그러나 학사 규정에서 벗어나는 곡들이 존재하는 점과 귀국독창회와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한쪽 시대에 편중되거나 한쪽 언어에 너무 편중되어 전문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과정은 국민대학교의 역사와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시작되었지만, 레퍼토리를 통한 프로그램의 관찰을 통하여 다양한 연구가 10여 년 동안 진행되어왔고 다른 연주프로그램과 비교해도 상당히 좋은 부분들이 많음을 돌아볼 수 있었다. 개인적인 아쉬움은 남지만 그래도 국민대학교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이 생각보다 도전적이고 실험적이며 적극적으로 연구가 되고 있다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다행으로 생각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성악이 더욱 발전하고 연구를 이어가는 모든 성악인은 클래식의 대중화를 목표로 자신의 레퍼토리를 더욱 짜임새 있게 구성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축해 때와 상황에 맞는 연주로 또는 새로운 무언가를 보여줄 수 있는 연주로 관중들 앞에 자신 있게 설 수 있기를 바라는 제언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 주제어 ] 국민대학교, 리사이틀, 프로그램, 레퍼토리, 성악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recital programs that were held at Kookmin University's graduate school with the recital programs that were generally played at a public concert hall and also with the programs of other Universities. Summarizing what songs Kookmin University has played so far, compares the recital programs with other universities, and show the popularity of songs that were more often chosen and how the songs make the program more organized. Hoping that this could help the younger generation who will need to perform a recital program at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get help on selecting their repertoire by letting them know the history of the songs that were mainly performed at this school so far and also by making a suggestion on how to make a music program more effective and well organized. Sincerely wishing that this Thesis could be remembered and used someday as a great database. It is a well-known fact for everyone majoring vocal music that the choice of repertoire is very important when holding a solo concert. When you make the choice, you can normally choose your favorite song, bu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select a song considering your vocal ability. In particular, a solo concert requires a lot of consideration when organizing a program because one solo artist has to lead for about an hour and it is most important to be able to stand out on stage. But in order to be able to do that, you should be caring and aware of 7 different things. First, the program has to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vocalist's current career, secondly the program must be prepared considering the capability of the performer’s vocal technique. Third, you have to check your latest performance, which repertoire you chose to perform and how was the result and the response of the audience and e.t.c. Fourth, the audience's musical orientation and the audience'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music should be considered, fifth, the size of the venue (performance hall) should be considered, and sixth, various styles of music should be chosen and performed, including a large range of different composers, languages, music trend, and other aspects. Fin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performer should have interest in many music and literary work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sterpiece you are going to perform. Recital programs can be created by considering such various factors. The types of recital programs could be explained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traditional programs and special programs. Traditional programs refer to programs arranged in order by the flow of music trends and by songs in various languages. Traditional programs can show the performer's ability to perform a large range of various music by it’s trend and language, and also show the performer's diverse research background, especially for people who are preparing a debut recital after finishing a degree is suitable for showing his expertise to the audience. Special programs have the advantage of reflecting more diverse planning intentions beyond the traditional program framework, and are also a type of program that allows a lot of subjectivity from the performer in repertoire selection and allows free access to the composition of the song. Recently, we could see performances named as "Lecture Recital," which provides explanations, lectures and music performing all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erformer’s research background. This sort of way is well recognised for it’s capability to show an academic aspect in a different way from various traditional program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all recital programs of Kookmin University were analyzed from 2011 to 2020. Due to the difficulty in organizing a 10-year database all at once,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one from 2011 to 2016, two from 2017 to 2018, and three from 2019 to 2020. The order of analysis was all surveyed and presented in the same order. First, the total number of songs played in each school year is presented, and after that, songs from what era were used and which composer’s songs were more commonly used is written and shown as a graph. Last of all, it was divided by genre and language, and presented in a chart to show how the proportion of aria and artistic songs were used, and which language songs were more popular to be selected. By the same order, the recital programs played at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nd the Seoul Arts Center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 a table focusing on the composition of traditional programs, excluding special programs in line with the condition that recitals which are held for a spectacular degree follows the traditional program form. The presented contents were classified and presented in the order of period, genre, and language, and recital programs that were held from other graduate schools were also classified in the same order and presented the same way. Through this, making it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cital programs of Kookmin University, and also with programs of other graduate schools to make it possible to revive and look-back what Kookmin University has been through so far. Hoping that writing this paper could help and present a sample by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ing all the students including myself who needs to perform a recital program in the future which songs were mostly performed so far and show how a music program should be made in order to make a well-organized, effective program. This research process began to find out the history of Kookmin University and how to effectively organize recital programs, but through observation of many repertoire program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more than a decade, and there were many good parts compared to other performance programs that were held at a different place. I do have some personal regret, but I am glad to be able to confirm that recital programs that are performed in Kookmin University are being studied and performed with more challenging, experimental, and passionate atmosphere than I thought. Based on this study, I really do hope all vocalists who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perform vocal music further could organize their repertoires more systematically with the aim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and build various programs to confidently stand in front of the audience with performances tailored to the exact time and situation or something new. [ Keyword ] Kookmin University, Recital, Program, Repertoire, Vocal Music

      • 대학 캠퍼스 확장에 의한 캠퍼스 타운 연계 연구 및 설계 : 국민대학교와 정릉3동 일대를 중심으로

        김태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국민대학교는 기반지역인 정릉 3동 배밭골과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와 지역의 상생관계 구축은 지역적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관계는 보통 대학로를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으로는 혜화동의 대학로나,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대학 명칭으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대학로 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역시 지역과의 관계 강화 및 체험·문화·상업 등의 커뮤니티 확장을 위한 캠퍼스 타운 및 대학로의 형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캠퍼스와 커뮤니티의 설계 기본사항에 대해 파악하기 위하여 캠퍼스마스터플랜과 커뮤니티의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후 대상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상지 분석에서는 거시적 관점의 도시 분석과 대상지의 현황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 항목은 교통과 인프라 입지에 대한 거시분석을 선행한 후 대상지 인근의 건축물, 경사, 자연요소, 휴게 및 보행 환경, 지역 인프라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대상지의 물리적 특성은 북한산과 북악산이 형성하는 구릉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경사가 심한 조건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조건이 불리하다. 이와 동시에 오래된 건축물과 낡은 도시 외부 환경, 침체된 상권 등 전제적으로 도시침체가 유지되며, 대학 캠퍼스와의 상생관계 구축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수 있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설계 전략을 7가지의 항목으로 수립하였고 첫 번째로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 개방공간, 두 번째로 보행구간 사이 낙후된 휴게 공간 정비 및 확보, 세 번째 유연한 대지경사 극복, 네 번째 대학 강의, 동아리, 연구실의 분배, 다섯 번째 지하연결을 통한 확장성 및 동선 유연성 확보, 여섯 번째 대학 인근 문화 및 상권형성, 일곱 번째 국민대의 정문으로서의 상징성 강화의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설계는 국민대학교에 부재한 중앙광장 형성을 중심으로 지하로는 캠퍼스 연결, 자상으로는 매스의 확장성을 예측하여 계획되었으며, 기존 캠퍼스의 마감계획과 경사에 순응하는 매스계획을 통해 기존 캠퍼스와의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정릉 3동 일대 부지는 대학 캠퍼스 타운과 국민대학교의 대학로의 시작점으로서 계획되었으며, 여기에는 상업 및 문화, 운동시설과 창업지원 등의 학생지원시설이 일부 배치되었다. 공통적으로 지하공간은 주차장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었고, 기존에 부족한 교내 주차공간을 확보함에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는 정릉권역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 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실제 캠퍼스를 이용하는 교직원 및 학생들의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함에 따라, 추가적 데이터 보완 및 확보가 요구된다. Kookmin University, located in Jeongneung-dong, Seongbuk-gu, has not yet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Baebatgol in Jeongneung 3-dong, the neighboring area. From a regional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foster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surrounding region. This relationship is often exemplified by the presence of a vibrant university street, such as Daehak-ro in Hyehwa-dong, or commonly known university streets like those near Hongik University and Konkuk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 campus town and university road for Kookmin University, enhancing its ties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fostering opportunities for shared experiences, culture, and commerce. To begin, the study commenced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ampus master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wa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target site. The sit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both a macro and micro perspective, encompassing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target site's buildings, slopes, natural elements, nearby recreational and pedestrian environments, and local infrastruct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situated amidst the hilly terrain formed by Bukhansan Mountain and Bukaksan Mountain, pose challenges due to severe slope conditions. Furthermore,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urba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arget site exhibits signs of decline, including aging buildings, neglected external surroundings, and stagnant commercial districts. Consequently, establish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ity campus becomes challenging. Based on the analysis, a design strategy was formulated with seven key considerations. First, Creation of campus open spaces for local residents. Second, Enhancement of underdeveloped rest areas along pedestrian routes. Third, Adaptable land slope management. Fourth, Incorporation of university lectures, clubs, and laboratories. Fifth, Prediction of underground campus connections and above-ground expansion to address the absence of a central square at Kookmin University. Sixth, Integration of the new site in Jeongneung 3-dong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university campus town and Kookmin University's version of Daehak-ro. Seventh, Provision of student support facilities, such as commercial and cultural establishments, sports facilities, and start-up support. Additionally, addressing the insufficient parking spaces at the university has been prioritized, with underground parking lots designated as a primary feature of the plan. This study utilized the Jeongneung Region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Establishment Service Report as its foundational data.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further data collection and supplementation are necessary, as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available data from faculty and students who actively use the campus.

      • 국민연금 실질소득대체율 분석을 통한 연금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권형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55

        As the life expectancy is getting longer and longer with low birth rate, the National Pension fund is shrinking as time goes by and expected to face drain of fund in 2060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delay the moment of fund drain, several times of parametric reforms were executed and this led to shortfall of pension replacement rate. Even though target National Pension replacement rate is set to 40% with 40 years working periods from 2028, the National Pension real replacement is analysed under 20% through several empirical studies against 2011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data. This means aging and aged pension receivers will be faced extremely high poverty situation who lived solely by the National Pension. Issue is how to make up for shortfall of the National Pension income. As like us, some of OECD countries have already experienced same situation and have no choice reforming public pension system to curb financial unstability and to keep system's sustainability. In that respect Sweden and Germany are performed structural pension reform and Notional Defined Contribution with Premium Pension and Point System with Riester Pension replaced old public pension systems respectively. Swedish new public pension system is similar with that of Korean in respect of focusing on first pillar income structure. Trend analysis between Korean and Swedish public pension system shows no big difference in replacement rate at the early stage but NDC shows better replacement rate with the course of time though each of pension systems is quite different in fundamental structure and different in benefit structure. Some of conditions were not reflected like transitional cost and bereaved pension due to lack of data and leave much to be desired. However the trend analysis between both pension systems is helpful to guide replacement rate movement after retirement in the middle of decrement of the fund. Keywords: Longevity Risk, Pension replacement rate, NDC, Premium Pension, Riester Pens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hi-square test 본 연구는 저 출산으로 인한 경제활동인구의 감소 그리고 보건. 의료기술의 향상에 따른 기대수명 증가로 발생하는 연금지급기관의 지급불능위험(default risk)을 해소하기 위한 국민연금의 모수적(parametric)변화와 재정위기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축소된 개인의 실질소득대체율을 다양한 기준을 근거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더불어 동일한 사회. 경제적 상황 하에서 공적연금의 구조적전환을 단행한 스웨덴, 독일 등 OECD국가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연금재정위기에 직면한 국민연금이 구조적 전환을 단행할 경우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금의 연금기여방식과 지급방식의 모수를 고쳐 연금액을 조정하는 모수적변화와 전혀 새로운 제도로 이전하는 구조적변화는 연금지급기관 측면에서는 기금의 지속가능성을 통한 제도의 안정화가 가장 주요한 목적이다. 이는 불가피하게 개인의 은퇴 이후 노후소득을 축소하는 결과로 나타나고 궁극적으로 제도변화는 개인적 측면에서 소득대체율의 하락으로 인한 장수위험(longevity risk) 확대 가능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63년 공무원연금을 도입한 이래 군인연금, 사학연금 등 직역연금 중심의 공적연금 시장이 확대되고 1989년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국민연금을 시행하였다. 더불어 2005년 근로자의 퇴직급여 수급보장을 위한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함에 따라 노후소득보장체계의 틀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인구변화와 거시경제 변동성에 따른 연금기금의 축소 및 고갈예상으로 수차례에 걸친 연금보험료 인상, 연금액 축소 혹은 연금지급시기의 연장으로 대표되는 모수적변화를 단행하였으나 기금의 고갈시점만 연장되었을 뿐 근본적인 제도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보장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동일한 경제. 사회적 현상 하에서 상당수의 OECD국가들은 기존의 모수적 전환을 중단하고 연금제도를 전혀 새로운 제도로 이전하는 구조적전환을 단행하였는데, 그 목적은 기금의 지속 가능성과 재정안정화에 집중하지만 동시에 노후소득보장체계의 다양성(diversification)으로 이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소득분위별 연금가입 현황에 의하면 여전히 국민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소득이 낮을수록 개인연금에 대한 가입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3년 ‘제3차 국민연금 재정계산을 바탕으로 한 국민연금종합계획’에서 명시한 가구주가 생각하는 월평균노후생활비와 국민노후보장패널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연금을 수급하는 인구들의 실질적인 소득대체율을 제시하고 있다. 연금의 소득대체율은 계층별 다른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저소득층에서 노후소득대체율과 고소득층에서 노후소득대체율은 절대 연금액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소득층에서 연금소득대체율이 최저생활비 혹은 가구주가 생각하는 최소 노후 생활비와 어떤 비교결과를 갖는지는 저소득층의 실질적 노후생활비 확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연금전환으로 심화되는 소득대체율 하락은 곧 개인의 장수위험노출 정도의 증가이다. 불가피한 연금전환에 따른 적절한 소득대체율 향상방안은 개인에게 장수위험이 전가되지 말아야하는 당위성에서 비롯된다. 연금전환이 국가의 지급불능위험(default risk)을 축소하고자 하는 노력이라면 소득대체율 향상방안은 개인의 노후소득빈곤이라는 장수위험을 축소하고자 하는 상반된 결과로부터 시작되는 정책이다. 따라서 연금전환이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장수위험 축소와 더불어 개인의 소득대체율 축소의 최소화 혹은 향상방안은 국가와 개인의 장수위험을 동시에 축소하는 노력이다. 국가의 장수위험 축소를 위하여 구조적 연금전환을 단행한 OECD 국가의 대표적인 사례 중 스웨덴과 독일은 기존 공적연금의 구조적전환으로 인한 소득대체율의 하락을 방지하고자 추가적인 강제적 혹은 자발적 사적연금의 보완을 통하여 연금소득대체율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특히 스웨덴은 오랜 역사를 통하여 노. 사. 정의 사회적 합의하에 보편적 복지의 일환으로 공적연금 중심의 연금제도를 운영하였고 구조적전환 이후에도 공적연금 중심의 연금제도를 운영 중이다. 이는 국민연금에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와 비교할 때 , 1층 보장중심의 소득보장체계 비교대상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공적연금이 목적하는 바가 1인 1연금제도의 확립인지 혹은 공적연금의 재분배효과를 통한 복지의 개념인지에 따라 제도의 전환 방향성이 달라지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소득재분배효과라는 복지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금체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국가대비 공적연금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중요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소득대체율의 문제는 중요한 문제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 분석결과 현재 연금을 수급하는 수급자의 소득대체율은 국민연금이 2028년 목표로 하는 근로기간 40년 기준, 40%의 목표소득대체율을 크게 하회하는

      • 한국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실기 문제 분석 : 1998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수도권 4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구엄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to compile practical questions o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Korea's design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ummarize the periodical changes, analyze the trends of the examination, and present its characteristics.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university’s entrance examination is the final stage of selecting talented students for normal education, and the examination and exam questions, which are the selection systems for college entrance,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stage. The College of Design has also taken practical tests to recruit talented students. To this end, examinees usually visi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epare for practical tests because private entrance examination art education institutions were faster in analyzing and responding to entrance exams than art education at public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entrance examination art, the conventional wisdom is that the flow of entrance exams changes every five to seven years.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collected the questions every three to five years and melted them in the class, attended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riefing session, got information, prepared for the college-hosted practical competition, and organized a mock test. The design university is also aware of entrance examination art education and is constantly changing to select competitive talents along with balancing public education. Based on this status, this paper first looked at the opening of Korean universities' design education, university entrance system, and design major entrance examination. Secon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of fou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are influencing the entrance examination of other universities by leading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ubjects in the domestic desig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ird, this paper looked at what kind of talent these schools have been demanding depending on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revent unnecessary investment or prediction in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reasonable and more efficient entrance education in private institutes, while seeking the practical balance and development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practical examination of fou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okmin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major categories based on practical exam questions collected from digital data and 「Entrance Examination of Art University」 and 「Art and Design」. The most basic category is Theme, Object, Expression, Material, and other areas. Among them, the Object were detailed in terms of word presentation, visual presentation, and expression condi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background, color, composition in expression, the acceptance and prohibition of specific materials, and the existence of intentional descriptions as analysis indicators. Also derive the category under the subhead of the tools used and constraints, the main concept of the theme representation, and the main concept of object representation during practical testing. Also derive the category under the subhead of the main concept of the topic representation, and the main concept of material representation, the tools used and constraints in the practical exam. Second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changes, the change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questions of four universities could be defined as 3 to 5 terms, and the basis and examples for the classification were presented. Finally, the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in charge at that time of practical examination's changes of each university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studies, this paper was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Design University entered the 2000s, it wanted talent with communication skills to convey context and multi layer messages rather than design ability to express images based on previous simple messages and visual representations. Second, in the 2010s, university education faced a period of seeking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with the subdivision of majors. Therefore, there was a development from the design ability required by the questions of entrance examination to the qualitative aspect of idea and composition for message delivery, and the quantitative aspect of material use and expression ability. Third, in the 2020s, there was a change in the trend that emphasized the basics of observing and expressing reality under the name of "basic formative ability" or "basic knowledge." Lastly, even if a new sort of practical exam is born, by 5 to 7 years, there are efforts and attempts to break away that the name of "Expression Pattern" from a particular university or practical subject . This study is worth analyzing the entrance exam questions from a 20-year-old perspective to provide a broader perspective to examinees and those in the field of entrance exams who are closed to sharing information due to unlimited competition. This also worth that the Design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figured out how to measure the basic formative capabilities that have consistently demanded, how to measure design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at reflect the times. 본 연구의 주제는 한국 수도권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 중 실기문제를 취합하여 그 변천을 정리하여 출제 동향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제시한 것이다. 해방 이후부터 줄곧 한국의 대학교 입시는 교육과정상 인재 선발의 최종단계로, 대학교 입시를 위한 선발제도인 시험과 시험문제는 각 교육단계의 교육목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왔다. 디자인 대학의 입시 역시 인재를 뽑기 위해 실기시험을 치러 왔다. 이를 위해 수험생들은 대개 사설 교육기관을 찾아 실기를 준비하는데, 그 이유는 사설 입시 디자인 및 미술 교육 기관이 공교육기관에서의 디자인 및 미술교육보다 입시 분석과 대응에는 발 빨랐기 때문이다. 입시미술 현장에서는 5년~7년 주기로 입시의 흐름이 변화한다는 통념이 일반적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3년~5년 주기로 기출문제를 취합하여 수업내용에 반영하거나, 각 대학의 입시설명회에 참석하여 정보를 얻고 대학 주최 실기대회를 실전 삼아 준비하게 하였으며, 입시미술학원 연합회를 구성하여 모의시험을 개최하는 등의 입시 교육을 해 오고 있다. 한국의 대학들 또한 입시미술교육을 인지하고 있으며 공교육과의 균형 맞추기와 더불어 경쟁력 있는 인재의 선발을 위해 입시문제 출제에 대해 고심하며 끊임없는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한국대학의 디자인교육과 대학입시제도, 디자인전공 입시의 개관을 살펴보았다. 둘째, 디자인 입시에서 실기과목 개발을 주도하여 타 대학의 입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수도권 4개 대학교의 실기문제를 취합하여 문제의 변천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이들 학교가 시대에 따라 어떠한 인재상을 요구하여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고찰을 통해, 사설학원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입시 교육에 대응함으로써, 공교육과 사교육의 실제적 균형과 발전의 도모를 꾀하면서, 사실 교육에서의 불필요한 투자나 예측을 방지하고, 합목적적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기여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수도권 대학교 중 국민대학교, 서울대학교, 건국대학교, 홍익대학교 4개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 문제 중 실기 출제 문제이다. 디지털 자료 및 국내 입시미술정보지인 월간『미대입시』와 월간『아트앤디자인』에서 취합한 문제를 기반으로 크게 세 가지의 범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장 기본적인 범주는 각 문제를 주제, 소재, 표현, 재료, 기타 영역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이 중 소재는 단어 제시, 시각 제시, 소재표현 조건의 세부 항목으로, 표현에서는 배경, 색채, 화면구성으로, 재료 영역에서는 특정 재료의 허용 및 금지, 각 학교별 제시 재료의 유무로 구분되었고, 그 외 답안으로 의도 서술 유무의 구분을 분석 지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기 시험시 사용 도구와 제한 조건, 주제 표현의 주 컨셉, 소재 표현의 주 컨셉이라는 소제목이라는 범주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로 시기별 변천의 특성으로 보면, 4개 대학의 입시 문제의 변천을 3~5시기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이런 시기 구분의 근거와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대학의 실기 변화 시기의 입시 담당 교수 인터뷰를 발췌,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본 논문은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디자인 입시에서 실기문제는 단순한 메시지와 시각적 표상 중심의 디자인 능력 제시에서 상황적 맥락과 다층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대학 교육이 전공의 세분화와 더불어 전공 간 연계를 추구하는 시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아이디어 발상과 메시지 전달을 위한 구성이라는 정성적 측면과, 재료의 사용과 표현 능력이라는 정량적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시각으로의 발전이 진행되었다. 셋째, 최근 2020년대에 들어 다시 ‘기초 조형 능력’ 또는 ‘기초 소양’이라는 이름으로 실재를 관찰, 조형성을 이끌어내어 표현하는 기본기를 중시하는 흐름으로의 변화가 보였다. 넷째, 하나의 실기과목이 새롭게 탄생한다 하여도 이미 조직화, 기업화되어 정보가 빠른 입시미술학원가의 연구에 의해 5년에서 7년이 되면 특정 대학이나 실기과목의 이름의 ‘입시용 표현 패턴’이 생기는 현실에서 탈피하기 위한 각 대학교의 각고의 노력과 시도가 발견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20년의 통시적 관점에서의 입시 문제 분석을 통하여 무한 경쟁으로 인해 정보 공유에 폐쇄적인 입시 현장에서의 수험생들과 입시미술 교육 종사자들에게 보다 확장된 시야를 제공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국내 수도권 디자인 대학에서 지속적으로 변함없이 요구하여 온 기본 조형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과 시대성을 반영하는 디자인 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 정책홍보 모형 및 정책홍보담당자 역할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국민과 정책홍보담당자 비교를 중심으로

        김현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정보학과 광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홍보를 직접 수행하고 있는 정책홍보담당자가 인식하는 홍보와 정책홍보의 대상이 되는 일반국민들이 생각하는 홍보가 다르기 때문에 전략 커뮤니케이션 목표인 홍보 효과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분석 대상은 그루닉과 헌트의 4가지 홍보모형과 PR에서 중시하고 있는 홍보담당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집단 간의 인식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활용해 양 집단 간의 인식차를 비교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행해졌던 단순한 객관적 인식을 넘어 상호지향성 개념을 도입해 인식을 입체적으로 알아보고, 이런 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까지 탐구해 보았다. 연구 결과, 모형별로 객관적 일치도, 정확도 등에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는 일반국민과 정책홍보담당자들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오해나 잘못된 판단을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이런 인식의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지속적 홍보노력이 필요하다. 다만 기존연구에서 정책홍보가 일방향적인 것에 치중한 것으로 밝혀졌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국민들이 정책홍보의 쌍방향적 특성을 어느 정도 인정한 것을 실증적으로 발견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한편 정책홍보담당자의 역할에 대한 분석에서도 양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최근 정부업무 평가에서 여론수렴, 정책홍보에 대한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는데 이런 제도적 장치로 인해 정책홍보담당자들은 쌍방향적 특성이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고 생각하는 반면, 일반국민들은 아직도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일반국민의 경우 자신의 이해관계가 정책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하는 결과를 가지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더욱 농후하다. 일반국민들은 정책홍보를 기업체 홍보와 비교하는 경향이 있고, 정책홍보 전 과정을 가지고 평가하나, 정책홍보담당자들은 과거 잘했던 홍보나 부서에 한정된 협의의 정책홍보로 인식하려는 경향이 있어 양 집단 간 인식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정책홍보는 홍보의 대상이 되는 정책뿐만 아니라 홍보방식 및 수준, 절차 등에 대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의 인식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tems from the doubt of whether promotion, a goal of strategy communication, is less effective because the PR perceived by the PR practitioners and that perceived by the general adults are different. The targets being analyzed are PR 4 models established by Grunig & Hunt and the PR practitioner’s role emphasized in the PR. By utilizing a coorientation model, recognition between groups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a more profound way. This study surpasses the simple objective recognition used in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it has included a more profound analysis and devised a method to overcome the recognition gap. The study results show a difference in agreement, accuracy between models. This is estimated to result in negative effects due to misunderstanding and misjudgment that may occur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general adults and PR practitioners. Therefore, to decrease this recognition difference, two-way communication must be reinforced and continuous PR effort is needed. But whil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R is done through a one-way communication sys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has empirically proven that general adults have admitted PR to be a two-way communication. It has also shown in the analysis of PR practitioners’ roles the two groups’ recognition differences. Recently public opinion gathering and PR in the government role evaluation have become more important. Due to such institutional strategy, PR practitioners think there is a two-way communication while general adults think it is not enough. This is because general adults have a tendency to evaluate policies based on how much of their interest is included. General adults tend to compare the whole process of PR with that of corporate promotion while PR practitioners look at previous successful promotions or PR limited to their department, leading to a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two parties. In the future, PR policies should not only include the object of the policy but also include promotion approaches, levels and processes through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to lessen the recognition gap.

      • 로컬리티 관점에서 본 지역문화공간으로서 대학박물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성북구 국민대학교 명원박물관을 중심으로

        김연진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지방자치제도가 본격화되고 각 지역의 구체적 현상과 특성을 다방면으로 이해하기위한 방법으로서 로컬리티에 관한 논의가 발전하게 되었다. 로컬리티는 중층적이며 관계적이고 복합적 함의를 갖는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로컬 지리적 공간 위에 그 공간을 영유하는 주체인 지역주민이 향유하는 문화와 그들이 쌓은 역사와 사회라 정의하였다. 로컬리티 관점에서 지역문화공간은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문화행위를 주고받으며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고취하고 강화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공간으로 인식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북구 지역의 로컬리티와 성북구 지역문화공간 중 전시시설인 대학박물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성북구 지역은 서울시에서 세 번째로 많은 지역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 근현대 예술인들의 주거지이자 작품 활동의 근거지로, 로컬리티가 잘 드러나는 지역이다. 게다가 성북구는 서울시에서 가장 많은 대학과 대학박물관이 위치하고 있다. 대학박물관은 전통적 기능인 발굴조사를 통해 지역문화 연구의 거점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전시와 교육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해왔다. 그러나 대학박물관의 전통적 기능이 축소되고 오늘날 박물관의 역할이 유물중심에서 지역사회 체험과 교육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대학박물관이 전통적 기능에 치중되어 있던 역량을 현대사회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에 맞추어 지역문화공간으로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성북구 지역문화공간의 거시적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적합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방법론인 PEST-SWOT 매트릭스 분석과 사례연구, 전문가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였다. PEST-SWOT 매트릭스 분석은 외부적인 요인이 미치는 광범위한 측면의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연계하여 기관의 발전을 위한 전망을 제시하는 데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도출된 요인을 국민대학교 명원박물관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활성화 방안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교육기관으로서 활성화 방안이다. 대학박물관은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의 특수한 교육환경 속에 존립하고 있으므로 학문적 접근성과 인력, 공간 활용이 용이하다. 따라서 대학박물관은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기능을 통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문화 연구기관으로서 활성화 방안이다. 대학박물관은 국·공·사립박물관에 비해 학예인력 비중이 가장 높은 박물관이다. 게다가 대학기관의 풍부한 인적 자원과 전문성을 이용하여 지역문화 연구를 수행하고 학술 및 교육활동을 지원하여 교육 지원 시설로서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지자체 협력을 통한 활성화 방안이다. 대학박물관이 지역문화공간으로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의 협력이 중요하다. 대학박물관은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 대상의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자체는 정책 및 예산 지원을 통하여 상생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 기술과 접목한 활성화 방안이다. 오늘날 기술적 환경변화에 따라 지역문화공간으로서 대학박물관은 대학 내 다양한 전공과 협업하여 디지털 문화콘텐츠를 제작하고 지역사회의 플랫폼으로서 활성화 되어야 한다. 다섯째, 접근성 제고를 통한 활성화 방안이다. 지역문화공간으로서 대학박물관은 물리적으로는 공간 내 시설과 서비스를 모든 사람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확보하여야 하며, 심리적으로는 지역주민들이 친근감을 느끼는 프로그램 개발하여 활성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지역문화공간으로서 대학박물관의 구체적 활성화 방안 제시와 더불어 대학박물관의 지역사회 재정립 기회 마련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As the local autonomy system has burgeoned and the regionalism of each region has been emphasized, discussions on locality have developed as a way to understand in a multi-layered manner the specific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a region. Locality is a concept that has multifaceted, relational, and complex implications. In this thesis, I define locality as the culture enjoyed by local residents, who own the space as well as the history and society these residents have built in the local geographical space. From a locality perspective, local cultural spaces are recognized as spac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encouraging and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ir exchange of various cultural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In this study, I look at the locality of Seongbuk-gu and the cultural spaces in the region by focusing on its exhibition facilities. The Seongbuk-gu area has the third largest number of local cultural resources in Seoul, and is a place wher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ists live and work. In addition, Seongbuk-gu has the largest number of universities and university museums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of university museums as local cultural spaces, I first examine their history and current status. As a local cultural space, the university museum has served as a base for local cultural research through traditional excavations and has contributed to the local community through exhibitions. However, as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society have been reduced and the roles of museums have shifted from relic-centered to community- and education-centered, university museums must also play a new role as local cultural spaces as the social role of modern museums changes and moves away from a focus on its traditional functions. I use the PEST-SWOT matrix analysis method, which allows me to simultaneously consider both the external environments of the local cultural spaces in Seongbuk-gu and the internal circumstances of Museum Myungwon at Kookmin University. This method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analyze and present the broad aspects of external factors and to link them to the vis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museum.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the results as well as on interviews with experts, I discuss and examine the role of the museum. This study presents the specific role of university museums as local cultural spaces and advocates for their creation and revitalization as part of the reestablishment of local communities.

      • 동시대성 지향의 디자인교육 패러다임 연구

        김예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이 연구는 동시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시대적인 디자이너 상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는 디자이너의 양성과 배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20세기의 산업사회에서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은 정치, 경제, 문화를 포함한 사회 모든 면에서 기술과 정보를 바탕으로 외형과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산업사회와 지식정보화 사회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급변성이다. 매순간 새로운 기술과 정보들이 쏟아지고, 새로운 분야가 생기는가 하면 기존의 분야 내에서 새로운 분야가 파생되기도 한다. 급변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디자인의 패러다임도 예외일 수는 없다. 따라서 산업과 문화의 교두보역할을 하고 있는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고찰은 동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이너 교육의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디자인 교육은 본질적으로 산학연계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국내대학들은 디자이너 양성교육에서 이러한 특수성을 간과한 채 단순히 일련의 학과 또는 세분화되고 답습된 전공의 틀 속에서 디자이너 교육을 실행해왔다. 그 결과 대학의 디자인 교육에서 산업적 요구를 수용하는 면이 미흡했고 또한 국내대학들의 난립 이후 도래한 대학의 재정적 위기도 이에 전문디자인 교육에 악재로 작용을 해왔다. 대학의 운영에 바탕이 되는 재정이라는 실질적인 면에서도 디자인 교육과 산업의 연계성은 필수적이다. 한편 대학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무시할 수는 없다. 교육, 연구, 봉사는 대학이 가진 본연적 기능이고 사회적 책임 수행의 의무이기도 하다. 이에 두 가지 대립 요소인 산업적 특수성과 대학의 본연의 기능을 융합시키는 디자인전문대학원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다. 동시대성을 지향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대학에서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의 세계적인 변화에 따라 해외 몇몇 디자인 대학원에서는 이미 선진 디자인 교육이 정착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디자인전문대학원들에서도 그 흐름에 맞추고자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물건과 서비스의 창조자’ 김현미, 시각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기업가 정신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권 6호, 2015, p.131 로서 책임을 질 수 있는, 기존과는 다른 위치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디자이너 양성을 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서 국내, 해외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전문적인 디자인 교육으로 일시적인 유행이나 시류에 편승하는 것이 아닌 지나간 시대와 다가올 시대의 시공간적 거리를 둔 ‘시차’에 의한 ‘틈’을 통해 시대를 읽고 예측해서 흐름을 선도해 갈 수 있는 디자이너의 지속적인 양성은 향후 디자이너의 위치와 역할뿐만 아니라 디자인 산업 구조를 바꿀 원동력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높여준다. 정보공유 미디어기기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발달로 인한 정보지식 기반사회로의 변화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전파와 공유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국가 간, 기업 간의 기술 격차를 줄였다. 그리하여 과거 디자인이 대기업의 전유물이었다면 이제는 일반인도 자신의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디자이너가 ‘전문가’로서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은 계속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대답을 본 연구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국내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디자인 전문 인력 부족으로 독자적인 브랜드와 디자인 등을 자력으로 개발하고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산업 현실에서 디자인 교육은 실무에 바로 투입될 뿐 아니라 디자인의 전문성과 성취의 수준을 높이는 디자인 기업가를 필요로 한다. 전통적으로 사회에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무만을 강조했던 교육에서, 스스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독립적인 경제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디자이너 동일출처 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교육으로의 이동이라는 면에 현실적으로 대학 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본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디자인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사례를 통해 디자인 전문대학원 존재와 해당교육의 당위성을 입증한다. 또한, 전문 대학원이 용역 기반의 디자인 산업 구조를 스스로 바꿔갈 수 있는 자생력을 지닌 디자이너를 양성함으로써 교육을 통한 디자인 구조를 재정립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변화에 따른 시대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디자인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동시대적인 디자인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을 예측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과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교육동향을 포함한다. 그리고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디자인 지원 사업과 산업부 과제 수행 과정 추적조사를 통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논한다. 나아가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다 학제간 융합 커리큘럼과 동시대적 디자이너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장에서는 동시대성의 이론적 고찰과 시대의 흐름에 따른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동시대성의 개념적 의미에 대해 이론적 조사를 하고 이를 통해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는 동시대적 패러다임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돕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철학자들이 연구, 토론을 하며 남겨온 동시대성과 동시대인에 대한 정의를 알아봄과 동시에 그 개념이 앞으로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제시 한다. 또한, 20세기 산업 사회의 디자인 패러다임과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가 가져온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해 조사해 보고 사회적인 패러다임이 디자인 패러다임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그로 인한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동시대성 교육 동향에 대한 내용이다. 해외 디자인 교육기관은 RISD의 다학제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과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고, 알토대의 정부 주도하의 융합교육 프로그램과 자생 가능한 디자인 생태계를 구축을 위한 학교의 노력을 알아보았다. 국내 디자인 교육기관으로는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와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의 융합디자인교육과정을 통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학제 기반 융합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4장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추구하는 동시대적 교육 사례 연구로 2009년부터 시작된 사회적 기업과 연계한 디자인 지원 사업을 살펴본다. 교육의 사회적 책임에 따른 대학의 동시대적 움직임을 통해 교육과 산업이 상생하는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하는 대학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산업부과제의 일환인 기업연계형 인재 양성프로그램 사업을 통해 산업을 주도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고자 한다. 대학은 주문-생산 형식의 현재의 디자인 용역 기반 구조를 탈피해서 주도적으로 프로젝트 발생 능력을 겸비한 디자이너 양성과 배출이 가능해야한다. 이는 앞으로의 디자인 산업 구조에 적합한 디자인 전문 이력 양성이 우리가 당면한 디자인 교육의 과제이며 그에 맞는 동시대적인 해결안을 목표로 제시한다. 기존의 산학협력체제에서 기업과 학생간의 갑-을 구조와 같은 부작용이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수 있고 현재 교육체제에 응용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환경과 관계없이 자생 가능한 디자이너를 키워내는 교육을 제안한다. 이에 산업부의 기업 연계형 인력양성프로그램 과제 수행을 통한 학교-학생-기업의 선순환 구조를 경험함으로써 주도적인 디자이너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재구성된 디자인 생태계를 제안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이 주문에서 시작되는 용역 기반의 구조였으나 교육의 기회를 통한 디자이너 스스로의 기획, 생산체계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 시대에 창조적인 디자인 사고가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의 키워드는 ‘통섭, 융합, 동시대성’이다. 비즈니스와 디자인, 디자인과 기술, 기술과 비즈니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이 동시대성을 만났을 때 우리는 새로운 시너지를 발견할 수 있다. 이질적인 영역이 융합하여 발생하는 시너지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인재양성이 우리 디자인 교육의 동시대적 해결안일 것이다. Abstract A Study of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 by Kim, Ye Eun Dep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contemporaneit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image of contemporaneous designer, and to seek a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suitable to that image. The shift from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has led to the changes of forms and paradigm in all aspect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industrial society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rapidity of changes. In every moment, new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flow out, a new area is created, and a new area in an existing area is born. In the rapidly chan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design paradigm cannot be exceptional. Thus,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examine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hich serve as bridgeheads of industry and culture. That’s because of the fact that examination of changes of design paradigms is precondition of designer education demanded by the contemporary age. As desig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industry, design education cultivating designers is essentially characterized by industry-college link. However, Korean colleges, ignoring such a special characteristics of designer cultivation education, have performed designer education in the frame of a series of departments, or divided and traditional majors. As a result,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been sufficient in accepting demands of related industries in design education. Financial crises of Korean colleges caused by emergence of too many colleges have served as negative element to special design education, as well. In the practical aspect called finances which works as the basis of college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link design education and related industries. Meanwhile, we cannot ignore the original functions and roles of college.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re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and its duty to the society. Accordingly, the existence of graduate school of design which can fuse industrial specifics and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is highlighted. The design education paradigm seeking contemporaneity is required in college. With the global changes toward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some graduate schools on design have already adopted advanced design education. To keep up with such a trend, Korean graduate schools on design too try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creat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urvive in the market’ and perform role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ages, and in different positions than those of previous ages. Considering such elements, this study compared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cultivation of designers who do not free-ride temporary fads and moods, but can read the age and predict the future trend, and lead the flow through ‘a crack’ of ‘time lag’ of space-time distance between the past age and the future age can not only boost the position and role of designers in the future, but raise the possibility that it will serve as energy to convert the design industrial structure. Another big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hanges into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one caused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sharing media devices and digital technology is electric wave and sharing. These two elements have narrowed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countries and between companies. Accordingly, design was monopolized by big companies in the past. But, now, common people can ‘design’ for their own businesses. In such contemporary circumstances, the question whether designer will maintain its position as ‘specialist’ has continuously existed.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Owing to lack of design-specialists, mos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have difficulty to develop and use their unique brands and designs for themselves. In such a situation in industrial places, design education needs to cultivate designer businessmen who can immediately start to work in such companies, and, raise levels of speciality and achievement of desig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college education has contributed in reality in the aspect of change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emphasizing only on practices aiming to teach knowledge and techniques needed to provide design services to the society to the education searching for and cultivating designers who can develop contents for themselves and play the role of independent economic subjects. Using the case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iming to cultivate such designers, this study proves justification of such graduate school and related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to reestablish design structure through education by cultivating designers who have potentials to convert design industry structure for themselves. By examining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age and corresponding changes of social and design paradigms, this study predicts a design education paradigm based on contemporaneous design philosophy. The research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education trends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nd other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it discusses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rough follow-up investigation of the design support project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and performance of the Ministry of Industry project. Furthermore, by showing interdisciplinary fusion curricula and contemporary designer cultivation programs, it implies that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s are changing. Chapter Ⅱ examines theories of contemporaneity and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ith the change of time. After doing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s of contemporaneity, it tries philosophical approach. It is the stage to help understand basic concepts for researches of contemporaneous paradigms. In this stage, it examines definitions of contemporaneity and contemporaneous people discussed by various philosophers in various ages, and it offers how we can apply the concep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nvestigates design paradigms of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and those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how social paradigms affect design paradigms, and how corresponding design education paradigms have changed. Chapter Ⅲ deals with contents of contemporaneity education. As desig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foreign countries, the multi-discipline-based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 on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ers of RISD, and the government-led fus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establish sustainable design eco-system of Aalto University. As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chapter deals with multi-discipline-based fusion projects in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of KAIST and the fusion design 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l Design, Hongik University. Chapter Ⅳ treats the contemporary education case study pursued by Visual Design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It is the design support project linked with social enterprise which started in 2009. We can notice efforts of universities to build a eco-system where education and industry can coexist through contemporary moves of universities according to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y try to cultivate industry-leading designers through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part of the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dustry. College should be able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create project by themselves, escaping the current design service-based structure with the form of order-production. It argues that it is our challenge to cultivate design specialists suitable to the future design industry and suggests a contemporaneous solution matching it. In the existing industry-college cooperative system, some negative effects lik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and students were revealed. Thus, the chapter offers a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can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and be applied 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an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survive for themselves regardless of environments. Based on the virtuous cycle of school-student-company through performing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this chapter offers a design ecological system where designers can display their capacities as they wish. Chapter Ⅳ inspects conversion education systems in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s global design education whose paradigms are changing.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of Aalto University and RISD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and of other universities with contemporaneous trends.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while the Korean design industry has been the service-based structure which starts with order, it can be changed into a new structure where designers make plans and make products for themselves by educating designers. The key words of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think creatively in this new age are ‘conversion, fusion, and contemporaneity’. When different fields such as business & design, design & technology, or technology & business meet together, we can discover new synergy. Cultivation of talent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solve given problems by synergy acquired from fusion of different fields may be contemporaneous solutions of Korean design education.

      • 2014년과 2022년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비교 분석 : 클라우제비츠의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서현태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Russian and Ukrainian wars in 2014 and 2022 as the framework for analysis of the Klausevitz Trinity theory.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e war paradigm and the change in the aspects of war in 2022 were explored. To this end, hybrid warfare and trinity theory were organized into concepts and analysis frameworks through theoretical review.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ar patterns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main changes and effects in 2014 and 2022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government, Russian President Putin made a wrong political judgment that the invasion of Ukraine in 2022 was due to his belief in military success and collective thinking in the dictatorship. On the other hand, the Ukrainian government is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Russia's political goals by presenting clear political goals against Russia in 2022 and drawing people's unity, international support, and support through Zelensky's leadership. Second, in terms of the military, in 2022, the Russian military was not able to unify the weak military structure and command system centered on conscripts, and the expression of BTG capabilities was limited. In 2014, non-military subjects such as anti-government protesters and paramilitary organizations were integrated using Little Green Man. However, in 2022,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operations throughout Ukraine, the people's tendency to oppose Russia was high, and the creation of conditions for input was insufficient. It is also having difficulty in exerting combat power, with morale declining and mobilization restricted as it gives superiority to Ukraine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cognitive domain. It also failed to achieve a public advantage. On the other hand, the Ukrainian army is composed of reserves, civilians, and mercenaries with a clear purpose and is demonstrating its ability. The new way of carrying out operations, the integration of public-private forces, is well defended against Russian attacks and contributes greatly to Ukraine's survival. Third, in terms of the people, Russia expanded the war throughout Ukraine in 2022 and the pro-Russian people became a minority. In 2014, Crimea and Donbas showed a big difference compared to 90% of pro-Russian tendencies. This factor restricted the use of non-military means in hybrid warfare. On the other hand, Ukraine is preventing Russia's influence by most of the pro-Western people in 2022 and drawing support from the people with Zelensky's leadership. Due to the above factors, Russia is making the 2022 war difficult as a conventional all-out war, unlike the success of the hybrid war in 2014.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war paradigm and the changes in the aspects of war. Russia's 2014 war in Ukraine was a successful hybrid war in which the Russian government used military and non-military means to control the Ukrainian government to respond rationally and not cause original violence among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Russia's ongoing invasion of Ukraine in 2022 failed to create hybrid war conditions due to Western support and sanctions, and invaded with conventional military forces. Despite the 20-fold difference in national power with Russia, Ukraine has strengthened its military capabilities by exercising Western support, government reason, and people's violence, failing to achieve Russia's political goals. It curbed Russia's hybrid war and changed the aspects of the war to favor Ukraine.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cause of the change in the development aspec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war goals. Second, Russia's defeat in intelligence and cyber warfare. Third, it is a blind faith in military power following Russia's success in military reform. There are four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and cause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ussian and Ukrainian wars in 2014 and 2022.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changed strategic environment. Second, customized information warfare and cyber warfare are performed. Third, it i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integrated defense operations of the public-private military. Fourth, securing international support. 본 논문은 2014년과 2022년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클라우제비츠 삼위일체론을 분석의 틀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통해 2022년 전쟁패러다임과 전쟁양상의 변화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전과 삼위일체론을 이론적 검토를 통해 개념과 분석의 틀로 정리하였다. 분석의 틀로 전쟁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14년과 2022년 주요 변화와 영향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측면에서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독재체제 속에서 군사적 성공에 대한 맹신과 집단사고로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이라는 잘못된 정치적 판단을 하였다. 반면 우크라이나 정부는 2022년 러시아에 대항하여 명확한 정치적 목적을 제시하고, 젤렌스키의 리더십으로 국민들의 단결과 국제사회 지지, 지원을 이끌어 내면서 러시아의 정치적 목적 달성을 어렵게 하고 있다. 둘째, 군대 측면에서 2022년 러시아 군대는 징집병 위주의 취약한 병력구조와 지휘체계 일원화가 안되었고, BTG 능력발휘가 제한되었다. 2014년에서는 비군사적 주체인 반정부 시위대, 준군사조직 등을 리틀 그린맨을 이용하여 통합하였다. 하지만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 전역에 대한 작전시행으로 국민성향이 반러 성향이 많았으며, 투입하기 위한 여건조성이 미비하였다. 인지영역에서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에 우세를 내주면서 사기가 저하되고, 동원이 제한되는 등 전투력 발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중우세 달성에도 실패하였다. 반면 우크라이나 군대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예비군과 민간인, 용병으로 구성되어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새로운 작전수행방법인 민관군 통합작전은 러시아의 공격을 잘 방어하며, 우크라이나의 생존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셋째, 국민 측면에서 2022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역으로 전쟁을 확대하면서 친러 성향의 국민들이 소수가 되었다. 2014년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은 90%가 친러 성향이었던 것과 비교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요소는 하이브리드전의 비군사적 수단 사용을 제한하였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2022년 친서방 국민들이 대부분으로 러시아의 영향력을 방지하고, 젤렌스키의 리더십으로 국민들의 지지를 이끌어 내고 있다. 위의 요인들로 인해 러시아는 2014년에 하이브리드전의 성공과는 다르게 2022년 전쟁을 재래식 전면전으로 어렵게 진행하고 있다. 전쟁패러다임과 전쟁 양상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 정부가 군사적, 비군사적 수단을 활용하여 우크라이나 정부가 이성적으로 대응하고 국민들의 원초적 폭력성을 일으키지 않도록 통제하면서 서방의 개입을 차단한 성공한 하이브리드전이었다. 반면 2022년 진행 중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러시아가 서방의 지원과 제재로 인해 하이브리드전 여건 조성에 실패하고, 재래식 군사력으로 침공을 하게 되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20배의 국력 차이에도 서방의 지원과 정부의 이성, 국민들의 폭력성을 발휘하여 군대의 능력을 강화하여 러시아의 정치적 목적 달성을 실패하게 만들고 있다. 러시아의 하이브리드전을 억제하고 우크라이나에 유리하도록 전쟁 양상을 변경시켰다.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전개 양상 변화 원인을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쟁목표의 차이이다. 둘째, 러시아의 정보전, 사이버전 패배이다. 셋째, 러시아의 군사개혁 성공에 따른 군사력에 대한 맹신이다. 2014년과 2022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와 원인을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 네 가지이다. 첫째, 변화된 전략환경의 적용이다. 둘째, 맞춤형 정보전 및 사이버전 수행이다. 셋째, 민관군 통합방위작전개념의 발전이다. 넷째, 국제사회 지지 확보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