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 관련 요인 : 전문직 삶의 질 중심으로

        이기봉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과 전문직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정신간호역량 관련 요인을 전문직 삶의 질 중심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정신간호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Rutledge 등이 개발한 정신간호역량 도구를 사용하였다. 전문직 삶의 질 측정을 위해 한국어판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Korean version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 K-ProQoL)를 사용하였다. 목포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와 병원의 승인을 받아 2023년 7월 약 한 달 동안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정신과 병동에서 만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간호사였으며, 총 194개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SPSS 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간호역량과 전문직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사의 공감만족이 높아질수록 정신간호역량 하위영역이 모두 증가하였고 간호사의 소진이 낮아질수록 사정역량, 중재역량, 자원 활용역량이 증가하였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권고역량이,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원 활용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신간호역량의 관련 요인으로 공감만족(β=.51, p<.001)과 정신과 근무경력(β=.31, p<.001)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9.6%이었다. 본 열구결과를 통해 공감만족과 정신과 근무경력이 정신간호역량의 유의한 관련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공감만족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근무경력을 지속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 연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constitutes a descriptive survey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nd the level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inpatient psychiatric nurses. The primary focus is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with a focus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he tool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was adapted by researchers such as Rutledge et al (2012). To measur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K-ProQoL).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hospital, data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survey for approximately one month in July 2023.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nurses who had been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for at least more than six months, and a total of 194 responses had utilized. Data analysis conducted by using SPSS WIN version 27.0, includ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ummarizing correlation between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s as follows. Higher levels of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in all subdomains of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lower levels of burnout links to higher scores in situational competency, intervention competency, and Resource adequacy competency. Higher level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ecommendation competency, while lower levels linked to higher Resource adequacy competency. Follow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Compassion satisfaction (β=.51, p<.001) and Career length in psychiatric nursing (β=.31,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39.6% of the variance in the model as the cause of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confirmed tha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areer length in psychiatric nursing a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enhanc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explore diverse strategies to sustain long-term Career length in psychiatric nursing experience, with subsequent studies validating their impact on improving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mong inpatient psychiatric nurses.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명화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사-부모 협력관계, 조직몰입 간의 관계와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사-부모 협력관계, 조직몰입에 대해 알아보고,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사-부모 협력관계, 조직몰입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M시와 M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4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40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측정하기 위해 Luthans, Youssef, Avolio(2007)의 측정도구를 조윤서(2015)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Owen, Ware, Barfoot(2000)이 교사-부모 협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제작하고, 교사-부모 협력관계는 임우영, 안선희(2011)가 번안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광혁(2011)이 수정·보완한 연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Porter와 동료들(1974)이 개발한 설문지(OrganizationalCommitment Questionnaire: OCQ)와 Lee와 동료들(2001)이 개발한 조직몰입 측정 도구를 토대로 수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사–부모 협력관계, 조직몰입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변량 분석 및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사–부모 협력관계, 조직몰입 간의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사–부모 협력관계, 조직몰입의 정도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전체평균이 3.89, 교사–부모 협력관계의 전체평균은 4.01, 조직몰입의 전체평균은 3.60으로 모두 5점 만점에서 보통 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사-부모 협력관계, 조직몰입의 관계를 보면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몰입과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이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교사-부모 협력관계와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의 하위요인 전체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이고 교사-부모 협력관계를 원만히 하여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To this end, the degre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was investig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regressed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M-city and W-gun, Jeollanam-do. Among them, 408 copies were collected excluding unreturned or collected questionnaire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m.A final analytical assay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rvey tools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developed by Luthans et al.To find out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Owen, Ware, and Barfoot (2000) and adapted by Lim Woo-young and Ahn Sun-hee (2011) was used. Developed by Allen and Mayer (1990)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Kwon Soon-oh (2001) adapted the scale and Kang Ji-young (2008)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sentenc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look at the trends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e-way quantitative analysis and Scheff's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look into this.The main results according to the problem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degre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the overall average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usually higher than 3 out of 5 points. Seco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mong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is was found to be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coope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A significant effect was found.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improve teachers' organizational com

      •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희정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J도 M시와 M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4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미회수된 2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Apple & Bredekamp, 1986; Smith & Howes, 1995)를 기초로 한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자기보고식 평정척도를 보육교사와 영유아에게 맞도록 수정한 김명신(2017)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구은미, 서보순, 강인자(2016)의 도구를 수정‧보완한 강정원(2022)의 아동권리인식 평정척도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D'Arienzo, Moraco, Krajeski(1982)가 개발한 교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신혜영(2004)이 보육교사용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집된 설문지 자료로 통계 분석을 하였다.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권리존중인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정도를 살펴보면 영유아권리존중인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서 보통 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서 보통 3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보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은 영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이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보면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이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전체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므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지원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밝힐 수 있었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향상을 위한 다른 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The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2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Mokpo-si and Muan-gun, Jeollanam-do. Among them, 400 copie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unrecovered or recov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rvey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care teacher's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a self-report rating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Jeong-suk (2003)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rating scale (Apple & Bredekamp, 1986; Smith & Howes, 1995) was used with the childcare teacher. Kim Myeong-shin (2017)'s measurement tool modified to fit infants and toddlers was used. The research tool used to measur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was based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questions developed by Hart and Zeider through 'Children's Right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 Early Findings of a CrossNational Project' in 1993. Heo Eun (2014)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scale used in the study on 'Children's Awareness of Rights' by Seonghee Kang (1997), and the job stress scale for childcare teachers was developed by D'Arienzo, Moraco, and Krajeski (1982). A teacher's job stress measurement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hin Hye-young (2004) to suit childcare teachers was used. The survey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7.0 progra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rends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population of childcare teacher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s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sociological background.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n interaction. The mai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level of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overall average of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3 points out of 5.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level of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overall average was lower than the average 3 points out of 5. Seco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infants' interaction, awareness of infants' righ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ter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infants and toddlers' interactio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 Positive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fant-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teacher job stress, job stress appeare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fant-toddler inter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infant-toddler interactio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were observed. It was found to be a negative correl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l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infant/toddler interaction. Results showing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action were found. As the importance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reveal what variables are supported to effectively promote teacher-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o conduct research on other variables to improve teacher-infant interaction.

      •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정은희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조직건강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 요인 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후,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조직건강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공감능력, 조직건강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00부 모두를 회수하여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권수현(2014)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를 보육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홍수연(2017)의 보육교사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Davis(1980)가 개발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이상순(2008)이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직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해 윤종건(1988)이 개발한 학교 조직건강 진단검사지 (SchoolOrganizational Health Description Questionnaire, SOHDQ)를 영유아 교육기관에 맞게 수정한 조기홍(2002)의 조직 건강 도구를 다시 어린이집에 적합하도록 지은경(2018)이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공감능력, 조직건강성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조직건강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공감능력, 조직건강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조직건강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연령, 경력에 따른 조직건강성에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공감능력, 조직건강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회복탄력성과 조직건강성에 대한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조직건강성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공감능력과 조직건강성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조직건강성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공감능력이 조직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공감능력이 향상되어 어린이집 조직건강에 기여하기 위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and empathy on organizational health.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health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n performed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resilience and empathy of child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health.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health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empathy, and organizational health? 3. What is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and empathy on or ganizational health How is i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Jeollanam-do, and all 400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rvey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he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we used Hong Soo-yeon's (2017) childcare teacher resilience scale,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Kwon Soo-hyun (2014) to suit childcare teachers, and measured the empathy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measurement tool used was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developed by Davis (1980), adapted by Park Seong-hee (1997), and a questionnaire reconstructed by Lee Sang-soon (2008) for teachers. To measure tissue health, the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Description Questionnaire (SOHDQ) developed by Jong-geon Yoon (1988) was modified to suit infant and toddl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tool by Ki-hong Cho (2002) was adapted to be suitable for daycare centers. A tool reorganized by modifications and supplements by Kyung (2018) was used. The survey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BM SPSS/25.0 progra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tendencies of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empathy, and organizational health, and organizational health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and empathy ability and organizational health,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and empathy ability on organizational health. was carried out. The mai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health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rganizational health according to the age and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empathy, and organizational health, we can see that resilience is meaningful to organizational health, an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heal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bility and organizational health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higher the empathy ability of the child care teacher,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health.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and empathy on organizational health,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and empat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health.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and empathy affect organizational health.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ollow-up research was conducted to improve organizational health by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and improving empathy. I hope that they will come true.

      • 국립자연휴양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 개발

        유현종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국립자연휴양림 운영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을 제시하고,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 개발 전략 요인들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국립자연휴양림 및 산림레포츠 활성화 문헌 고찰을 통해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과 개발 전략 요인을 제시하였고 20명의 국립자연휴양림 및 산림레포츠 관련 전문가 대상으로 두 차례(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국립자연휴양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을 제시하고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 개발 전략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자연휴양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로 비전은 온 국민이 즐기는 지속가능한 복합산림레포츠 제공 운영, 목표는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요 창출, 대국민 산림휴양서비스 공익성 제공, 제정 건정성 확보를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제공으로 제시되었으며 과제는 복합산림레포츠를 통한 국립자연휴양림의 운영 활성화로 다양화(다양한 산림레포츠 수요충족), 사회화(적극적 산림레포츠 복지실현), 지속화(지속가능한 산림레포츠 기반 구축)로 도출되었으며 전략은 경제성, 공공성, 브랜드성, 구성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 개발 전략 중 경제성 항목으로 가격 적절성, 지역 상생성이 도출되었고 가격적절성 세부 전략 요인으로 강도 높은 가격 차별화, 가격탄력성 전략추진과 프로그램의 고급화 및 명품화 전략 추진으로 도출되었다. 지역 상생성 세부 전략 요인으로 산림레포츠, 문화·먹거리·용품 산업 관광 상품화와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상생발전 추진(지역발전협의체 개최), 산림레포츠 대회 및 축제 개최로 연간 이벤트 추진으로 도출되었다. 공공성 항목으로 국민, 사회, 환경이 도출되었고 국민 세부 전략 요인으로 1인 맞춤형 휴양레포츠 서비스 제공으로 도출되었다. 사회 세부 전략 요인으로 규제개선 제도적 기반 마련, 사회적 가치 구현으로 사회적약자·소외계층 맞춤형 서비스 제공, 산림레포츠 지도자 양성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로 도출되었다. 환경 세부 전략 요인으로 자연성 위주의 비교 우위 전략으로 도출되었다. 브랜드성 항목으로 상징성과 홍보마케팅이 도출되었고 상징성 세부 전략 요인으로 국립자연휴양림, 산림레포츠 고유 이미지 정립으로 브랜드 개발이 도출되었다. 홍보마케팅 세부 전략 요인으로 지역별 특성화와 연계 지자체와 공동브랜드 관리전략 수립으로 도출되었다. 구성성 항목으로 자연적 요소, 서비스요소, 안전적 요소, 시설적 요소, 프로그램 요소, 편리적 요소가 도출되었다. 자연적 세부 전략 요인으로 그대로 제대로 캠페인 추진으로 도출되었다. 서비스 요소로는 산림레포츠 전문인력 양성·확보 역량 강화 보수교육, 직원의 친절 마인드 함양 방안 마련, 고객만족도 평가로 고객 중심의 산림휴양서비스 제공 추진으로 도출되었다. 안전적 세부 전략 요인으로 안전사고 및 응급상황 예방관리 메뉴얼 구축으로 도출되었다. 시설적 요소 세부 전략 요인으로 외국의 선진시설 벤치 마킹으로 한국형 산림레포츠시설 조성, 환경친화적인 소형 시설 구축 및 우천시 실내 체험장·교육장 조성으로 도출되었다. 프로그램 세부 전략 요인으로 생애주기별 산림레포츠 프로그램의 개발, 청소년 정규 체육수업으로 산림레포츠 교육 도입, 지역 특성이 고려된 산림레포츠 종목·프로그램 개발 및 야간 체험시설 개발, 산림레포츠 인증프로그램 및 킬러콘텐츠 개발로 도출되었다. 편리적 세부전략 요인으로 첨단기술 활용한 간편 예약서비스 및 지역 볼거리 먹거리 정보 제공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rehensive model for forest recreation sports aimed at improving the management of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It explores the essential strategic factors necessary for the model's development, drawing on an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input from 14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The process was designed to refine the model and identify critical strategic factors for its development. The investigation advocates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for forest recreation sports to enhance the management of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strategic factors involved. The princip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conceptualizes a model for employing comprehensive forest recreation sports to rejuvenat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It envisions providing a sustainable and enjoyable experience for all citizens. The objectives include stimulating demand through enhanced competitiveness, delivering public forest recreation services, and providing distinctive programs to ensure fiscal stability. The challenges involve diversifying to meet a variety of forest recreation sports needs, socializing to actively realize the benefits of forest recreation, and sustaining to construct a lasting foundation for forest recreation. The strategies formulated focus on economic viability, public service, branding, and structural integrity. Secondly, the strategy for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forest recreation sports model identifies economic viability and regional collaboration as key elements. Detailed strategies for economic viability include implementing robust price differentiation and elasticity strategies, as well as enhancing and refining programs. For regional collaboration, detailed strategies involve transforming forest recreation sports, culture, food, and goods into commercial products, fostering collaborative development with local communities, which includes establishing regional development councils, and orchestrating annual forest recreation sports competitions and festivals. Public service dimensions encompass national, societal, and environmental factors. National strategies focus on providing individualized recreational services to enhance the enjoyment of forest recreation sports. Societal strategies aim at improving regulations, establishing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offering customized services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coupled with fostering youth employment through the cultivation of forest recreation sports leaders. Environmental strategies are centered on leveraging superior forest environments. Branding dimensions incorporate symbolism and promotional marketing. Symbolism strategies involve establishing a distinctive image for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forest recreation sports, leading to brand development. Promotional marketing strategies include regional specialization and the formulation of collaborative brand management strategies with local governments. Structural dimensions include natural, service, safety, facility, program, and convenience elements. Natural strategies emphasize promoting campaigns that advocate leaving no trace. Service strategies focus on the cultivation and retention of forest recreation sports professionals, enhancing employee courtesy, and providing customer-centric forest recreation services. Safety strategies involve creating manual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afety incidents and emergencies. Facility strategies are directed towards benchmarking advanced foreign facilities to develop Korean-style forest recreation sports facilities and construc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small-scale facilities. Program strategies encompass the development of forest recreation sports programs tailored to different life stages, integrating forest recreation education into regular youth sports classes, and developing night experience facilities. Convenience strategies aim at utilizing advanced technology for straightforward reservation service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local attractions and cuisine.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애경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회복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재학생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206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해당기관의 승인을 얻어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정은이와 박용한(2009)이 개발한 도구, 회복탄력성은 양영희 등(2015)이 개발한 도구, 대인관계 유능성은 Buhrmester 등(1988)이 개발한 도구를 한나리와 이동귀(2010)가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도구,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Beck & Srivastava (1991)가 개발한 도구를 김순례와 이종은(200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평균 3.51점이었으며,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74점, 대인관계 유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45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67점이었다. 2. 대학생활적응은 간호학 선택동기(t=-3.51, p=.001), 전공만족도(F=22.88, p<.001), 지난 학기 성적(F=5.67, p=.004), 주관적 건강상태(F=8.20, p<.001), 주관적 경제상태(F=12.46,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간호학 선택동기(t=-2.95, p=.004), 전공만족도(F=26.70, p<.001), 지난 학기 성적(F=3.78, p=.025), 주관적 건강상태(F=18.36, p<.001), 주관적 경제상태(F=11.4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 유능성은 간호학 선택동기(t=-3.47, p=.001), 전공만족도(F=6.57, p=.002), 주관적 건강상태(F=4.23, p=.016), 주관적 경제상태(F=17.2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학년(t=-3.88, p<.001), 간호학 선택동기(t=3.81, p<.001), 전공만족도(F=5.42, p=.005), 주관적 건강상태(F=12.56, p<.001), 주관적 경제상태(F=4.19, p=.01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회복탄력성(r=.72, p<.001), 대인관계 유능성(r=.5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임상실습 스트레스(r=-.30,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55, p<.001), 전공만족도(=-.15, p=.005), 대인관계 유능성(=.15, p=.036)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에 의해 설명되는 총 설명력은 54.0%이었다. 이상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유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시키는 전략은 대학생활적응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college life adjustment,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who understood and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2, 2023, with approval from the relevant institution. The research tool wa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tool for college life adjustment by Jung & Park (2009), the tool for resilience by Yang et al. (2015), the tool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by Buhrmester et al. (1988) were validated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Han & Lee (2010). and the tool for clinical practice stress by Beck & Srivastava (1991)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 Lee (200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version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college life adjustment was 3.51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resilience was 3.74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3.45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2.67 points out of 5 points. 2. College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51, p=.001), major satisfaction (F=22.88, p<.001), last semester grades (F=5.67, p=.004), subjective health status (F=8.20, p<.001),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2.46, p<.001). Resil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2.95, p=.004), major satisfaction (F=26.70, p<.001), last semester grades (F=3.78, p=.025), subjective health status (F=18.36, p<.001),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1.49, p<.001), Interperson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47, p=.001), major satisfaction (F=6.57, p=.002), subjective health status (F=4.23, p=.016),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7.21, p<.001). Clinical practice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grade (t=-3.88, p<.001),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81, p<.001), major satisfaction (F=5.42, p=.005), subjective health status (F=12.56, p<.001),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4.19, p=.016). 3.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72, p<.001)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r=.57,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r=-.30, p<.001). 4. College life adjustment was shown to be influenced by resilience (β=.55, p<.001), major satisfaction (β=-.15, p=.005),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β=.15, p=.036). The power of explanation for this modal was 54.0%.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fluence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strategies to improve the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ill improve college life adjustment.

      •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통합 에너지 공급 시스템 최적 설비 용량 및 운영 전략 연계 도출

        박월국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에서는 지역 단위의 전력/열 에너지 수요를 재생에너지가 주로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전환 시스템 구성을 제안하고, 그것의 최적 운영안 도출과 설비 용량 증감을 반복한 최적 용량 도출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 설비 용량 최적화 방법은 신뢰성 확보를 위해 온도, 습도, 일사량, 풍속, 전압 손실 등 복잡한 변수를 활용하지만, 최적화 과정에서 결정 변수의 수렴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간략한 최적화 모델로 최적 운영안 도출과 용량 증감의 상호 반복으로 설비 최적 용량을 도출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1년간의 에너지 공급/수요 데이터를 통해 기존 방법과 달리 전환 설비와 저장 설비의 용량 증감 기준을 각각 설정하여 최적 용량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발전원의 공급량 패턴과 전력, 열 수요에 대한 수요 패턴을 가정하고, 통합 에너지 공급 시스템 각 설비에 대한 효율 및 설치비용 등 데이터를 수집한다. 최적화 모델은 Python을 통한 선형최적화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This paper describes how to construct a system that responds to local electricity and heat demand using renewable energy, and derive the optimal capacity by iterating the optimal operation of the system and the capacity increase and decrease of each facility. Existing optimization models for deriving the optimal capacity of each facility use complex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nsolation, wind speed, and transmission voltage loss as input data to derive reliable results. These methods have the disadvantage of making the optimization problem difficult to solve and the model complex. This paper proposes a simple optimization model that improves these shortcomings and a method to derive the optimal capacity of a facility through mutual iterations of optimal operation and capacity increase and decrease. In this paper, capacity increase and decrease are performed by analyzing the system optimal operation plan for one year as a result of the system optimal operation model, and unlike the existing method, the optimal capacity is derived by setting different capacity increase and decrease criteria for conversion facilities and storage facilities.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the optimal capacity and optimal operation Strategy of each facility are analyzed by implementing the system optimal operation model through case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assume the supply pattern of power generation sources and the demand pattern of electricity and heat demand, and collect data such as efficiency and cost for the installed capacity of each facility in the integrated energy supply system. The optimization model was implemented by linear optimization through Python.

      • 전남 동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연구

        강상희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study of the Neolithic Age in the eastern of Jeollanam-do began in the late 1980s when the excavation survey was conducted by the National Gwangju Museum. Since the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outhern coast of Honam and Yeongnam coastal areas, Since 2010, excavation survey data on the eastern inland area and coastal area of Jeonnam has been accumulated. Therefore, I tried to understand the cultural aspects that show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accumulated data,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First, the status of the ruins was identifi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loc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inland area, the inner area, and the outer area. After that, it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based on the chronological plan of the pottery, and the overall cultural aspects were summarized through the functional analysis of the accompanying stoneware and bone tools after confirming the change patterns by period. The I and II periods in the eastern region Jeonnam correspond to the earliest period ~ electricity, and most of them are distributed in the outer area(far sea) except for some ruins. It is confirmed that the quantity of relics increases as the period changes from the earliest period ~ electricit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the occupancy period. The Ⅲ period corresponds to the metaphase(middle period), which is understood as a transitional nature due to changes in livelihood activities, and only a small amount of relics are identified in the two sites. Periods IV and V are the periods corresponding to the late-to-expiration period, and various remains are identified in the inland area, which is recognized as a change in livelihood activities due to sea level fluctuations. In summary, the culture of the Neolithic Age in the eastern region Jeollanam-do is confirmed mainly in the ruins of earliest period ~ electricity and late-to-expiration period, and it seems that the llivelihood activities have been gradually moved inland from the aspect of livelihood activities and foreign exchange centered on the coast according to the time. 전남 동부지역 신석기시대 연구는 1980년대 말 국립광주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돌산 송도패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호남지역과 영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남해안 일대 연구를 통한 이 지역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2010년 이후 전남 동부 내륙지역과 연안지역에 발굴조사 자료가 축적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축적된 자료에 대한 현황정리와 조사결과 및 입지 분석 등을 통해 지역적 특징을 보이는 문화양상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유적 현황을 파악하고,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내륙권, 내만권, 외양권으로 분류하여 입지를 살펴보았다. 그 후 토기의 편년안을 기준으로 5단계로 구분하고 시기별 변화양상을 확인한 후 공반되는 석기, 골각기의 기능적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문화양상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전남 동부지역의 Ⅰ기와 Ⅱ기는 조기~전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일부 유적을 제외하면 대부분 외양권에 분포하고 있다. 조기에서 전기로 시기가 변화하면서 유물의 수량이 증가하는 양상으로 확인되는데, 이는 점유기간의 증가로 해석될 수 있다. Ⅲ기는 중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생업활동의 변화에 따른 과도기적 성격으로 이해되는데, 2개소 유적에서 소량의 유물이 확인될 뿐이다. Ⅳ기와 Ⅴ기는 후기~만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내륙권에서 다양한 유적이 확인되는 단계이다. 이는 해수면 변동에 따른 생업활동의 변화로 인식된다. 이와 같은 내용을 정리하면, 전남 동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는 조기~전기와 후기~만기의 유적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시기에 따라 해안을 중심으로 한 생업활동과 대외 교류의 양상에서 점차 내륙으로 이동하여 생업활동이 변화 된 것으로 보여진다.

      • 식품 모델 시스템에서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대장균의 특성과 잠재적 위험성에 관한 연구

        이민아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Food poisoning is an infectious or toxic disease caused or determined to be caused by microorganisms or toxic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due to consuming food contaminated with food poisoning bacteria. A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occur and consumers' awareness levels increase, overall interest in food safety and quality increases significantly, and dietary patterns are also changing. Due to the increase in communal feeding, food poisoning outbreaks tended to occur periodically, and in fact, food poisoning has occurred frequently for a long time. Therefore, to effectively control infection by food poisoning bacteria, it is believed that suppressing and controlling food poisoning bacteria during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process is an effective preventive measure in terms of food safe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tu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by facility, most outbreaks occur in communal feeding or restaurants. Among the causative bacteria, pathogenic Escherichia coli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disease.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 mainly present in foods such as meat, dairy products, fruit juice, and fresh vegetables, and causes disease. Food poisoning bacteria are exposed to stressful environments during food process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such as refrigeration, freezing, heating, acid, and alkali. This stressful environment interferes with the culture of cells, and one of them is a survival strategy by stopping cell division and maintaining a filament model. Although there is no clear reason why the filament model appears. It is presumed to be a survival strategy for microorganism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ilament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the food environment, a certain amount of food poisoning bacteria was exposed to food and then the filament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was observed. A medium model of an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food was created to confirm formation conditions and general bacterial detection was performed. The method is measured in colony forming unit (CFU), but filament cells have multiple genomes in one individual, so the correct detection method can be suggested. In addition, because filament cells recover quickly, if this part is applied to food and infects food-poisoning bacteria in the form of a filament, the number of bacteria is likely to increase rapidly, maximizing the risk. This study shows that research on the filament formation phenomenon of food-poisoning bacteria is necessary in terms of food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식중독이란 식중독 균에 의해 오염된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으로 야기된다.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소비자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식품의 안전성 및 품질에 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많이 증가하여서 식생활 패턴 또한 변화되고 있다. 이로 인한 단체급식의 증가 등에 따라 식중독의 발생이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실제로도 오래전부터 빈번하게 식중독이 발병하였다. 따라서 식중독균의 감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식품 안전성 측면에서 저장 및 유통 과정 중 식중독균을 억제‧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인 예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시설별 식중독 발생 현황에서 주로 단체급식이나 음식점에서 발병이 많이 되는데. 발병원인균 중에서는 병원성 대장균이 원인균으로 발병하는 사례가 가장 많이 있었다. 병원성 대장균은 주로 육류, 유제품, 과일주스, 신선 채소 등의 식품에 존재하며 질병을 일으킨다. 식중독균은 냉장 및 냉동, 가열, 산, 알칼리 등 식품 가공 과정 및 저장, 운반 중에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된다. 이러한 스트레스 환경은 세포의 생존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데 그중 하나는 세포분열을 멈추고 필라멘트 모형을 띄면서 살아있는 생존 전략이 있다. Filament 모형을 띄는 이유는 실제로 밝혀진 분명한 이유는 없지만. 미생물의 생존 전략으로 추측되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환경에서의 식중독균의 filament화 연구를 위하여 식중독균의 일정량을 식품에 노출 시킨 뒤 식중독균의 filment화를 관찰하고, 식품과 비슷한 환경의 배지 모델을 만들어 형성조건을 확인하고, 일반적인 세균검출 방법은 colony forming unit(CFU)으로 측정하지만, filament cell은 하나의 개체에 다수의 genome을 보유하고 있어서 올바른 검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filament cell 회복성도 빨라서 이 부분을 식품에 적용하여 filament 형태가 된 식중독균에 감염되었을 때 균이 빠른 숫자로 증가하여 위험성이 극대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은 식중독균의 filament 형성에 관한 연구가 식품 안전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될 수 있다.

      • 전처리 및 발아환경이 지초 종자의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김군욱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It is difficult to cultivate Lithospermum erythrorhizon due to problems such as root rot and decay due to the influence of high temperatures and weather from July to September, and problems such as a sharp decline in production. Therefore, it was carried out to create a stable production base and solve the difficulties of cultivating Lithospermum erythrorhizon during the high temperature period. Vertical farms can control temperature, humidity, light, and nutrients that affect cultivation even in abnormal climates, so they can be produced throughout the year and can grow crops regardless of external environments, enabling stable production and increased production. Currently, there is no suitable growth environment data for the year-round production and cultivation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within vertical farms in Korea, s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crease the germination rate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seeds, such as the germination environment temperature, humidity and storage, and pre-treatment effect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ype of culture medium, temperature treatment, and pre-treatment method on the germination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seeds in vertical farms and germination chambers. When Lithospermum erythrorhizon seeded in a vertical farm, the germination rate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field direct wave cultivation, which is a common cultivation method, but the method of direct-sowing to 104-hole grow foam within the vertical farm is considered a suitable cultivation method for future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the labor force and ease of growth management in seedlings. Under different light quantity intensity treatments, the germination rate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seed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rk condition, 100 µmol·m-2·s-1, 150 µmol·m-2·s-1, and 200 µmol·m-2·s-1. This suggests that Lithospermum erythrorhizon seeds can germinate equally well in both darkness and various light conditions.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he chamber were best germinated at 66.5% under 15°C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lower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In addition, treatments such as GA3 25ppm, 24-hour soaking in distilled water, and seed coat treatment improved the germination rate compared to when only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was treated. In particular, seed coat treatment was effective at 15°C and GA3 25ppm treatment at 25°C. The use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physical pre-treatments, 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holds promise for reducing germination time. With further research to refine and establish these methods, a year-round cultivation system in vertical farms could be realized. 지초는 7~9월 고온기 및 기상의 영향으로 뿌리썩음병 및 하고 현상 등 고사해버리는 문제점과 생산량이 급감하는 문제로 재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고온기 지초 재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조성하고 지초 재배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수직농장은 이상 기후의 상황에도 재배에 영향을 주는 온˙습도, 광, 양분 등을 통제할 수 있어 연중 생산이 가능하고 외부환경과 상관없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안정생산과 생산량 증대가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 수직농장 내에서 지초의 연중생산 재배하는 연구와 수직농장 내 재배를 위한 적합한 생육 환경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지초 종자의 발아 환경 온도와 습도 및 저장, 전처리 효과 등 지초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수직농장과 발아 챔버 내에서 배지의 종류와 온도처리, 전처리 방법이 지초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수직농장 내에서 지초를 파종하였을 때 일반적인 관행재배 방법인 노지 직파재배에 비해 발아율이 전체적으로 낮은 특성을 보였으나, 육묘에서 생육 관리에 드는 노동력과 용이성을 고려하여 수직농장 내에서 104구 그로우폼에 직파하는 방법이 추후 연구에 적합한 재배 방법으로 사료된다. 광량 처리조건에서 암 조건부터 100 µmol·m-2·s-1, 150 µmol·m-2·s-1, 200 µmol·m-2·s-1 에서 발아율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지 않아 암 조건, 광 조건의 차이 없이 발아가 이루어지는 종자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챔버에서 발아 특성은 15℃ 온도 조건에서 66.5%로 가장 발아가 잘 이루어졌고, 높은 온도에서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GA3 25ppm, 증류수 24시간 침종, 종피 처리 등의 처리로 챔버 내 온도만 처리했을 때 보다 더 발아율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15℃ 조건에서는 종피 처리, 25℃ 조건에서는 GA3 25ppm 처리가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생장조절제, 물리적 전처리를 이용하여 발아 시간을 단축하고, 추가 연구를 통해 수직농장에 정식 후 연중 재배할 수 있는 재배법 또한 확립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