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립자연휴양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 개발

        유현종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국립자연휴양림 운영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을 제시하고,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 개발 전략 요인들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국립자연휴양림 및 산림레포츠 활성화 문헌 고찰을 통해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과 개발 전략 요인을 제시하였고 20명의 국립자연휴양림 및 산림레포츠 관련 전문가 대상으로 두 차례(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국립자연휴양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을 제시하고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 개발 전략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자연휴양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로 비전은 온 국민이 즐기는 지속가능한 복합산림레포츠 제공 운영, 목표는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요 창출, 대국민 산림휴양서비스 공익성 제공, 제정 건정성 확보를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제공으로 제시되었으며 과제는 복합산림레포츠를 통한 국립자연휴양림의 운영 활성화로 다양화(다양한 산림레포츠 수요충족), 사회화(적극적 산림레포츠 복지실현), 지속화(지속가능한 산림레포츠 기반 구축)로 도출되었으며 전략은 경제성, 공공성, 브랜드성, 구성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복합산림레포츠 활용 모델 개발 전략 중 경제성 항목으로 가격 적절성, 지역 상생성이 도출되었고 가격적절성 세부 전략 요인으로 강도 높은 가격 차별화, 가격탄력성 전략추진과 프로그램의 고급화 및 명품화 전략 추진으로 도출되었다. 지역 상생성 세부 전략 요인으로 산림레포츠, 문화·먹거리·용품 산업 관광 상품화와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상생발전 추진(지역발전협의체 개최), 산림레포츠 대회 및 축제 개최로 연간 이벤트 추진으로 도출되었다. 공공성 항목으로 국민, 사회, 환경이 도출되었고 국민 세부 전략 요인으로 1인 맞춤형 휴양레포츠 서비스 제공으로 도출되었다. 사회 세부 전략 요인으로 규제개선 제도적 기반 마련, 사회적 가치 구현으로 사회적약자·소외계층 맞춤형 서비스 제공, 산림레포츠 지도자 양성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로 도출되었다. 환경 세부 전략 요인으로 자연성 위주의 비교 우위 전략으로 도출되었다. 브랜드성 항목으로 상징성과 홍보마케팅이 도출되었고 상징성 세부 전략 요인으로 국립자연휴양림, 산림레포츠 고유 이미지 정립으로 브랜드 개발이 도출되었다. 홍보마케팅 세부 전략 요인으로 지역별 특성화와 연계 지자체와 공동브랜드 관리전략 수립으로 도출되었다. 구성성 항목으로 자연적 요소, 서비스요소, 안전적 요소, 시설적 요소, 프로그램 요소, 편리적 요소가 도출되었다. 자연적 세부 전략 요인으로 그대로 제대로 캠페인 추진으로 도출되었다. 서비스 요소로는 산림레포츠 전문인력 양성·확보 역량 강화 보수교육, 직원의 친절 마인드 함양 방안 마련, 고객만족도 평가로 고객 중심의 산림휴양서비스 제공 추진으로 도출되었다. 안전적 세부 전략 요인으로 안전사고 및 응급상황 예방관리 메뉴얼 구축으로 도출되었다. 시설적 요소 세부 전략 요인으로 외국의 선진시설 벤치 마킹으로 한국형 산림레포츠시설 조성, 환경친화적인 소형 시설 구축 및 우천시 실내 체험장·교육장 조성으로 도출되었다. 프로그램 세부 전략 요인으로 생애주기별 산림레포츠 프로그램의 개발, 청소년 정규 체육수업으로 산림레포츠 교육 도입, 지역 특성이 고려된 산림레포츠 종목·프로그램 개발 및 야간 체험시설 개발, 산림레포츠 인증프로그램 및 킬러콘텐츠 개발로 도출되었다. 편리적 세부전략 요인으로 첨단기술 활용한 간편 예약서비스 및 지역 볼거리 먹거리 정보 제공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rehensive model for forest recreation sports aimed at improving the management of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It explores the essential strategic factors necessary for the model's development, drawing on an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input from 14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The process was designed to refine the model and identify critical strategic factors for its development. The investigation advocates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for forest recreation sports to enhance the management of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strategic factors involved. The princip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conceptualizes a model for employing comprehensive forest recreation sports to rejuvenat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It envisions providing a sustainable and enjoyable experience for all citizens. The objectives include stimulating demand through enhanced competitiveness, delivering public forest recreation services, and providing distinctive programs to ensure fiscal stability. The challenges involve diversifying to meet a variety of forest recreation sports needs, socializing to actively realize the benefits of forest recreation, and sustaining to construct a lasting foundation for forest recreation. The strategies formulated focus on economic viability, public service, branding, and structural integrity. Secondly, the strategy for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forest recreation sports model identifies economic viability and regional collaboration as key elements. Detailed strategies for economic viability include implementing robust price differentiation and elasticity strategies, as well as enhancing and refining programs. For regional collaboration, detailed strategies involve transforming forest recreation sports, culture, food, and goods into commercial products, fostering collaborative development with local communities, which includes establishing regional development councils, and orchestrating annual forest recreation sports competitions and festivals. Public service dimensions encompass national, societal, and environmental factors. National strategies focus on providing individualized recreational services to enhance the enjoyment of forest recreation sports. Societal strategies aim at improving regulations, establishing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offering customized services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coupled with fostering youth employment through the cultivation of forest recreation sports leaders. Environmental strategies are centered on leveraging superior forest environments. Branding dimensions incorporate symbolism and promotional marketing. Symbolism strategies involve establishing a distinctive image for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forest recreation sports, leading to brand development. Promotional marketing strategies include regional specialization and the formulation of collaborative brand management strategies with local governments. Structural dimensions include natural, service, safety, facility, program, and convenience elements. Natural strategies emphasize promoting campaigns that advocate leaving no trace. Service strategies focus on the cultivation and retention of forest recreation sports professionals, enhancing employee courtesy, and providing customer-centric forest recreation services. Safety strategies involve creating manual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afety incidents and emergencies. Facility strategies are directed towards benchmarking advanced foreign facilities to develop Korean-style forest recreation sports facilities and construc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small-scale facilities. Program strategies encompass the development of forest recreation sports programs tailored to different life stages, integrating forest recreation education into regular youth sports classes, and developing night experience facilities. Convenience strategies aim at utilizing advanced technology for straightforward reservation service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local attractions and cuisine.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애경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회복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재학생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206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해당기관의 승인을 얻어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정은이와 박용한(2009)이 개발한 도구, 회복탄력성은 양영희 등(2015)이 개발한 도구, 대인관계 유능성은 Buhrmester 등(1988)이 개발한 도구를 한나리와 이동귀(2010)가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도구,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Beck & Srivastava (1991)가 개발한 도구를 김순례와 이종은(200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평균 3.51점이었으며,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74점, 대인관계 유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45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67점이었다. 2. 대학생활적응은 간호학 선택동기(t=-3.51, p=.001), 전공만족도(F=22.88, p<.001), 지난 학기 성적(F=5.67, p=.004), 주관적 건강상태(F=8.20, p<.001), 주관적 경제상태(F=12.46,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간호학 선택동기(t=-2.95, p=.004), 전공만족도(F=26.70, p<.001), 지난 학기 성적(F=3.78, p=.025), 주관적 건강상태(F=18.36, p<.001), 주관적 경제상태(F=11.4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 유능성은 간호학 선택동기(t=-3.47, p=.001), 전공만족도(F=6.57, p=.002), 주관적 건강상태(F=4.23, p=.016), 주관적 경제상태(F=17.2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학년(t=-3.88, p<.001), 간호학 선택동기(t=3.81, p<.001), 전공만족도(F=5.42, p=.005), 주관적 건강상태(F=12.56, p<.001), 주관적 경제상태(F=4.19, p=.01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회복탄력성(r=.72, p<.001), 대인관계 유능성(r=.5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임상실습 스트레스(r=-.30,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55, p<.001), 전공만족도(=-.15, p=.005), 대인관계 유능성(=.15, p=.036)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에 의해 설명되는 총 설명력은 54.0%이었다. 이상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유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시키는 전략은 대학생활적응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college life adjustment,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who understood and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2, 2023, with approval from the relevant institution. The research tool wa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tool for college life adjustment by Jung & Park (2009), the tool for resilience by Yang et al. (2015), the tool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by Buhrmester et al. (1988) were validated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Han & Lee (2010). and the tool for clinical practice stress by Beck & Srivastava (1991)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 Lee (200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version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college life adjustment was 3.51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resilience was 3.74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3.45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2.67 points out of 5 points. 2. College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51, p=.001), major satisfaction (F=22.88, p<.001), last semester grades (F=5.67, p=.004), subjective health status (F=8.20, p<.001),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2.46, p<.001). Resil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2.95, p=.004), major satisfaction (F=26.70, p<.001), last semester grades (F=3.78, p=.025), subjective health status (F=18.36, p<.001),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1.49, p<.001), Interperson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47, p=.001), major satisfaction (F=6.57, p=.002), subjective health status (F=4.23, p=.016),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7.21, p<.001). Clinical practice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grade (t=-3.88, p<.001),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81, p<.001), major satisfaction (F=5.42, p=.005), subjective health status (F=12.56, p<.001),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4.19, p=.016). 3.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72, p<.001)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r=.57,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r=-.30, p<.001). 4. College life adjustment was shown to be influenced by resilience (β=.55, p<.001), major satisfaction (β=-.15, p=.005),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β=.15, p=.036). The power of explanation for this modal was 54.0%.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fluence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strategies to improve the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ill improve college life adjustment.

      •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 관련 요인 : 전문직 삶의 질 중심으로

        이기봉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과 전문직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정신간호역량 관련 요인을 전문직 삶의 질 중심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정신간호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Rutledge 등이 개발한 정신간호역량 도구를 사용하였다. 전문직 삶의 질 측정을 위해 한국어판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Korean version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 K-ProQoL)를 사용하였다. 목포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와 병원의 승인을 받아 2023년 7월 약 한 달 동안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정신과 병동에서 만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간호사였으며, 총 194개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SPSS 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간호역량과 전문직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사의 공감만족이 높아질수록 정신간호역량 하위영역이 모두 증가하였고 간호사의 소진이 낮아질수록 사정역량, 중재역량, 자원 활용역량이 증가하였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권고역량이,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원 활용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신간호역량의 관련 요인으로 공감만족(β=.51, p<.001)과 정신과 근무경력(β=.31, p<.001)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9.6%이었다. 본 열구결과를 통해 공감만족과 정신과 근무경력이 정신간호역량의 유의한 관련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공감만족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근무경력을 지속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 연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constitutes a descriptive survey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nd the level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inpatient psychiatric nurses. The primary focus is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with a focus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he tool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was adapted by researchers such as Rutledge et al (2012). To measur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K-ProQoL).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hospital, data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survey for approximately one month in July 2023.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nurses who had been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for at least more than six months, and a total of 194 responses had utilized. Data analysis conducted by using SPSS WIN version 27.0, includ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ummarizing correlation between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s as follows. Higher levels of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in all subdomains of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lower levels of burnout links to higher scores in situational competency, intervention competency, and Resource adequacy competency. Higher level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ecommendation competency, while lower levels linked to higher Resource adequacy competency. Follow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Compassion satisfaction (β=.51, p<.001) and Career length in psychiatric nursing (β=.31,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39.6% of the variance in the model as the cause of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confirmed tha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areer length in psychiatric nursing a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enhanc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explore diverse strategies to sustain long-term Career length in psychiatric nursing experience, with subsequent studies validating their impact on improving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mong inpatient psychiatric nurses.

      • 수직농장 내 이산화탄소 시비와 반사판 설치에 따른 딸기 생장 반응과 광합성 속도에 관한 연구

        송욱진 국립목포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딸기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국내외에서 대표적인 시설원예 작물 중 하나이며 채소 중 생산액이 높은 과채류 작목이다. 국내 딸기 재배는 사계성 딸기 품종의 보급과 함께 연중 재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연중 재배에 필요한 묘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육묘 기술 및 균일한 육묘 생산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단동온실과 수직농장에서 딸기 육묘 시 재배 환경, 모주의 생육, 자묘 생산성을 비교하고, 수직농장 내 이산화탄소 시비가 딸기의 생육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직농장 내 이산화탄소 시비와 반사판 설치가 딸기의 생육, 초기 과실 수량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단동온실과 수직농장에서 기온, 상대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수집하였다. 고온기 단동온실의 경우 주간의 온실 내부 기온이 생육한계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날이 많았으며, 수직농장은 작물 생육적온을 고려하여 설정된 기온과 상대습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맑은 날을 기준으로 두 재배 환경에서의 광 환경을 조사한 결과, 일 누적광량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수직농장의 LED 광원의 광량은 딸기의 초장이 증가함에 따라 작물 상단부에 조사되는 광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딸기 모주의 초장은 단동온실에 비해 수직농장에서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엽수,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에서는 수직농장이 우수한 생육 결과를 보였다. 수직농장에서 생육한 모주는 단동형 플라스틱온실보다 주당 런너수, 자묘 발생수 및 러너를 포함한 자묘의 건물중이 더 높았다. 수직농장 내 이산화탄소 시비 유무에 따른 딸기의 생육과 광합성 속도를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시비 처리는 '설향' 딸기 육묘에서 무시비구에 비해 초장, 관부직경, 엽수, 엽면적 등 지상부 생육을 촉진하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은 이산화탄소를 시비 시 증가하였으며, 주당 런너 발생 수는 무시비구에 비해 2.5개 증가하였다. 시비구에서 주당 자묘 발생수와 러너를 포함한 자묘의 건물중에서 높은 수치를 보여 이산화탄소 시비에 의해 딸기의 동화산물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설향' 딸기 재배에서 이산화탄소 시비 처리는 초장, 관부직경, 엽수, 엽병장, 엽장, 엽폭 등의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시비구에서 높았다. 이산화탄소를 시비한 처리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였을 때, 이산화탄소를 시비한 수직농장의 경우, 1화방 과실 생산량이 약 25% 증가하였으며, 2화방 출뢰기 및 착과 시기가 촉진되었다.수직농장 내 이산화탄소 시비와 반사판 설치 여부에 따른 '설향'과 '금실' 딸기의 생육과 과실 초기수량 및 광합성 속도를 조사하였다. 수직농장 내 재배단의 전면, 측면, 후면에 반사판을 설치했을 때, 설치 전보다 PPFD 분포가 균일해지고 평균 광량이 증가하였다. 수직농장 내 '설향' 딸기 재배에서 1화방 과실 생산량은 대조구 대비 반사판 처리구에서 8%, 이산화탄소 시비와 반사판 설치 복합처리구에서 약 31% 증가하였다. 반사판 설치가 각 잎에서의 광량 증가와 군락 내 광 분포 개선에 효과적이었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수직농장은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지만, 밀폐된 환경과 인공광원 사용에 따른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이번 연구를 통해 수직농장 내 딸기 육묘 및 재배 과정에 있어 이산화탄소 시비와 광 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광합성 속도 증가와 더불어 딸기 육묘기 자묘 생산성 및 재배 시 수확량 증수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산화탄소 시비와 반사판은 수직농장을 이용한 연중 안정적인 묘 생산과 고효율 재배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수직농장 내 딸기 재배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trawberry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greenhouse crops worldwide, known for its high economic value. In South Korea, the demand for year-round cultivation has in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of everbearing strawberry varieties. This necessitates the development of uniform and efficient seedling production techniqu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ultivation environment, mother plant growth, and seedling productivity of strawberries in high-temperature single-span greenhouses and vertical farms. Additionally, the impact of carbon dioxide enrichment on plant growth and photosynthesis in vertical farming was investigate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carbon dioxide enrichment and reflector installation in vertical farms on the growth, early fruit yield, and photosynthesis of strawberrie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strawberry cultivation management in vertical farms. In high-temperature condition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hanges were monitored in single-span greenhouses and vertical farms. In the greenhouse, daytime temperatures often exceeded the growth limit temperature, while the vertical farm maintained a stabl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optimal growing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the crop. Despite similar cumulative daily light levels in both environments, the light intensity from LED sources in the vertical farm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plant height. Strawberry mother plants in the vertical farm were shorter but showed better overall growth in terms of leaf number, leaf area, and biomass compared to those in the greenhouse. The vertical farm plants also had higher runner and seedling production. The study found that carbon dioxide enrichment in vertical farms stimulated above-ground growth in 'Seolhyang' strawberry seedlings, increasing biomass and runner productio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em diameter, leaf number, petiole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leaf area and above-ground biomass were higher in the enriched group. carbon dioxide enrichment led to a 25% increase in early fruit yield and hastened flowering and fruit setting times.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arbon dioxide enrichment and light environment management in vertical farms for strawberry cultivation, showing an increase in photosynthesis rate, seedling productivity, and yield.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year-round seedling production and cultivation techniques using vertical farming.

      • 식품 모델 시스템에서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대장균의 특성과 잠재적 위험성에 관한 연구

        이민아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Food poisoning is an infectious or toxic disease caused or determined to be caused by microorganisms or toxic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due to consuming food contaminated with food poisoning bacteria. A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occur and consumers' awareness levels increase, overall interest in food safety and quality increases significantly, and dietary patterns are also changing. Due to the increase in communal feeding, food poisoning outbreaks tended to occur periodically, and in fact, food poisoning has occurred frequently for a long time. Therefore, to effectively control infection by food poisoning bacteria, it is believed that suppressing and controlling food poisoning bacteria during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process is an effective preventive measure in terms of food safe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tu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by facility, most outbreaks occur in communal feeding or restaurants. Among the causative bacteria, pathogenic Escherichia coli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disease.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 mainly present in foods such as meat, dairy products, fruit juice, and fresh vegetables, and causes disease. Food poisoning bacteria are exposed to stressful environments during food process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such as refrigeration, freezing, heating, acid, and alkali. This stressful environment interferes with the culture of cells, and one of them is a survival strategy by stopping cell division and maintaining a filament model. Although there is no clear reason why the filament model appears. It is presumed to be a survival strategy for microorganism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ilament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the food environment, a certain amount of food poisoning bacteria was exposed to food and then the filament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was observed. A medium model of an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food was created to confirm formation conditions and general bacterial detection was performed. The method is measured in colony forming unit (CFU), but filament cells have multiple genomes in one individual, so the correct detection method can be suggested. In addition, because filament cells recover quickly, if this part is applied to food and infects food-poisoning bacteria in the form of a filament, the number of bacteria is likely to increase rapidly, maximizing the risk. This study shows that research on the filament formation phenomenon of food-poisoning bacteria is necessary in terms of food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식중독이란 식중독 균에 의해 오염된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으로 야기된다.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소비자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식품의 안전성 및 품질에 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많이 증가하여서 식생활 패턴 또한 변화되고 있다. 이로 인한 단체급식의 증가 등에 따라 식중독의 발생이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실제로도 오래전부터 빈번하게 식중독이 발병하였다. 따라서 식중독균의 감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식품 안전성 측면에서 저장 및 유통 과정 중 식중독균을 억제‧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인 예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시설별 식중독 발생 현황에서 주로 단체급식이나 음식점에서 발병이 많이 되는데. 발병원인균 중에서는 병원성 대장균이 원인균으로 발병하는 사례가 가장 많이 있었다. 병원성 대장균은 주로 육류, 유제품, 과일주스, 신선 채소 등의 식품에 존재하며 질병을 일으킨다. 식중독균은 냉장 및 냉동, 가열, 산, 알칼리 등 식품 가공 과정 및 저장, 운반 중에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된다. 이러한 스트레스 환경은 세포의 생존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데 그중 하나는 세포분열을 멈추고 필라멘트 모형을 띄면서 살아있는 생존 전략이 있다. Filament 모형을 띄는 이유는 실제로 밝혀진 분명한 이유는 없지만. 미생물의 생존 전략으로 추측되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환경에서의 식중독균의 filament화 연구를 위하여 식중독균의 일정량을 식품에 노출 시킨 뒤 식중독균의 filment화를 관찰하고, 식품과 비슷한 환경의 배지 모델을 만들어 형성조건을 확인하고, 일반적인 세균검출 방법은 colony forming unit(CFU)으로 측정하지만, filament cell은 하나의 개체에 다수의 genome을 보유하고 있어서 올바른 검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filament cell 회복성도 빨라서 이 부분을 식품에 적용하여 filament 형태가 된 식중독균에 감염되었을 때 균이 빠른 숫자로 증가하여 위험성이 극대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은 식중독균의 filament 형성에 관한 연구가 식품 안전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될 수 있다.

      •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양식장용 알루미늄 소형 선박의 선체 구조설계 민감도 평가

        이진선 국립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양식장용 알루미늄 소형 선박산업 및 양식장 기자재 산업에서는 해상 양식장에서 육상양식으로 점차 변화해가는 추세이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양식산업의 변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양식장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본 연구대상과 같은 무인 양식장 관리선이 개발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인력이 승선해서 움직이는 선박과 다르게 무인 선박의 경우 정보 획득을 위한 많은 선박 기자재가 탑재되기에 하중에 대한 영향력을 많이 받는 특징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최적의 설계를 통하여 선박의 무게를 줄이고, 민감도 해석을 통하여 부재별 선박의 안전성에 미치는 데이터를 도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실험계획법을 통하여 유한요소법 기반으로 구조강도 성능 평가를 실시하고, 선체 구조의 방진 성능 검토를 위해 추진장치의 기진력을 분석한 후 유한요소법을 기반으로 선체 구조의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새로운 형식의 알루미늄 소형 선박의 구조민감도 해석을 위해 주요 부재의 치수를 3수준 설계 인자로 고려하고 구조강도 평가 응력, 진동주파수 및 중량을 응답치로 설정하여 전인자 실험계획법, 직교 배열 실험계획법, 랜덤 실험계획법을 각각 적용하여 민감도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민감도 해석을 통해 주요 부재별 응답치에 대한 정량적 영향도를 분석하였고, 실험계획법 상의 설계 행렬로부터 최소 중량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The aluminum small ship industry for fish farms and the equipment industry for fish farms are gradually changing from marine farms to land farming, and the change in the smart aquaculture industry based on this is now approaching as an essential factor, not an option. For such technology development, an unmanned fish farm management ship such as this study subject that can automatically extract fish farm information should be developed. In general, unlike ships that move on board with personnel, unmanned ships are characterized by a lot of influence on loads because they are equipped with many ship equipment for information acquisition.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hip through optimal design while securing the safety of the ship, and to derive data that affect the safety of the ship by member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al 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through the experimental planning method, analyzed the vibration force of the propulsion device to review the vibration performance of the hull structure, and performed vibration analysis of the hull structure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For the structural sensitivity analysis of a new type of aluminum small ship, the dimensions of major members were considered as three-level design factors, and the structural strength evaluation stress, vibration frequency and weight were set as response values.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all-factor experimental planning method, the orthogonal arrangement experimental planning method, and the random experimental planning method, respectively.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quantitative impact on response values for each major member was analyzed, and a minimum weight design plan was presented from the design matrix of the experimental planning method.

      • 중국의 중소기업 자금조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산동성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차오자밍 국립목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중소기업은 중국 산동성 국민 경제발전에서 급속한 송장을 하고 있으며, 중국 산동성 국민경제의 중요한 구성부분이다. 2017년에는 산동성 중소기업은 수량이 28만 업체를 증가하여 총 218만 업체를 기록하여 중국 3위에 차지하였다. 중소기업은 산동성 고용의 75%이상을 창출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전체기업 총수량의 99.9%를 차지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중국 산동성 국민 경제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측면에서 산동성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보다는 중소기업 자금조달 애로사항이 중소기업 발전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동성 중소기업 자금조달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산동성 중소기업 연감과 2017년 산동성 중소기업 통계연감을 통해 산동성 중소기업 발전의 현황과 자금조달의 애로사항을 분석하고 산동성 중소기업 자금조달 애로사항의 발생하는 원인을 검토하여 산동성 중소기업 자금조달의 애로사항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출하였다. 주로 중소기업 측면, 금융기관 측면 및 정부 측면에서 제안하는 것이다. 중국 산동성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의 애로사항을 개선하려면 반드시 전면적이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분석해야 하는 것이다. 국제경험을 삼아 기업자체, 은행 금융기관 및 정부와 사회 등 상호기관의 공동 협력이 필요하며, 중소기업 자체의 경영능력 및 건전성 향상 등과 동시에 금융제도 및 서비스를 개선하여 산동성 중소기업 자금조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합리적인 산동성 금융시스템과 투자 자금조달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산동성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곤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창업과 발전에 대한 강력한 자금과 자본을 지원하고 산동성 중소기업의 경영 효율화를 위한 R&D지원 등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MEs are rapidly making invoices in China's economic development in Shandong province and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in Shandong province. In 2017, Shandong provinc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ccounted for 2.8 million enterprises, making it a total of 2.18 million enterprises, ranking third in China. SMEs account for more than 75% of Shandong employment and SMEs account for 99.9% of the total enterprise. SM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handong province in China. However, SMEs' difficulties in financing SMEs are hampering the development of SMEs rather than their role in Shandong province in terms of SMEs. The financing of SMEs in Shandong province has many difficultie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situation of development of SMEs in Shandong province in 2017 and the statistical yearbook of Shandong provincial SMEs in 2017, analyze the difficulties in raising funds and examine the causes of difficulties in financing SMEs in Shandong province. And submitted a plan to improve the difficult situation of funding for same-sex SMEs. It is mainly proposed by the SME side, the financial institution side and the government side. In order to improve the funding situ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Shandong provi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oblems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As an international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companies themselves, bank financial institutions, government and society, and improve the management ability and soundness of SMEs themselves, as well as improve financial institutions and services to support SME financing in Shandong Province. It should strengthen and establish a reasonable Shandong financial system and investment financing system. Also,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financing the Shandong province's SM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the support of strong fund and capital for the start-up and development of SMEs and the R&D support for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Shandong province SMEs.

      •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가족건강성,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 관계분석

        방성옥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가족건강성,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 인과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 을 미치는가? 2.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가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유아의 또래유능성 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 모집단은 J도 6개 시, 군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5세 유아이다. 데이터 수집은 J도 6개 시, 군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5세 유아의 어머니가 설문에 응답한 자료 593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측정 도구는 어머니 양육불안은 오영진(2021)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버지 양육참여는 최경순(1992)의 척도를 김정(2005)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은 어은주, 유영주(1995), 유영주(2004)가 개발한 척도를 한명숙(2013)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박주희, 이은해(2001)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량, 상관관계,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가족건강성 그리고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 인과관계 검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LISR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어머니 양육불안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양육불안이 높으면 자녀인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낮아지며 어머니 양육불안이 낮으면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어머니 양육불안이 가족건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높을수록 가족의 건강성이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참여 방식 중 간단한 여가활동과 생활지도 수준, 설거지, 빨래, 침구 정리 등 단순한 가사 활동 참여는 어머니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자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는 양육참여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의미한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높아질수록 가족건강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가족건강성은 유아기 자녀의 또래유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적인 안정감과 소속감, 만족감 등 긍정적인 가정환경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가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불안은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불안이 높을 경우, 그 불안이 가족건강성에 반영되고 이는 유아기 자녀의 긍정적인 발달과 또래유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의미하고 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자녀의 발달에 관심과 지지를 가질수록 자녀는 문제에 적응력과 대처 능력이 향상되어 또래유능성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의미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가 양육에 불안이 있더라도 건강한 가족이 뒷받침되어 주면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증진되며,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머니의 양육불안을 낮추고, 아버지의 적극적이고 실제적인 양육참여 방식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하며, 가족건강성을 유지하는 방안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향상을 위한 발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가족건강성, 유아의 또래유능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family health, and infant’s peer competency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Does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family health affect infant’s peer competence? 2. Does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ffect infant’s peer competence through family health? This study's target population is infants aged 3 to 5 who are enrolled in daycare centers in 6 cities and counties in J-do. For data collection, 593 copies of data answered by mothers of infants aged 3 to 5 who are enrolled in daycare centers in 6 cities and counties in J-do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include scales for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family health. These scales were initially developed by Yoo Young-ju (2004) and later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Jeong (2005) and Han Myung-sook (2013). Specifically, the scale for mother’s parenting anxiety was further refined by Oh Young-jin (2021), the scale for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by Choi Kyung-soon (1992), and the scale for family health by Yoo Young-ju and Eo Eun-ju (1995). Additionally, the scale of infant’s peer competency developed by Park Joo-hee and Lee Eun-hye (2001) was also utiliz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covarianc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Furthermor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conduct and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family health, and infant’s peer competency, utilizing the LISREL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whether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family health affect infant’s peer competence First, in this study, mother’s parenting anxie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peer competence of infants. These results imply that high mother’s parenting anxiety lowers peer competence of infants, children, and low mother’s parenting anxiety increases the peer competence of infants. Second, in this study, mother’s parenting anxie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amily health.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higher the mother's parenting anxiety, the lower the family health. Thir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on infant’s peer compet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simple leisure activities, life guidance levels, and simple housework such as washing dishes, laundry, and bedding among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methods do no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peer competence due to lack of awareness of parenting participation. Fourth,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on family health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ese results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family health. Fifth, in this study, family healt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er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childre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family health, the more positive the family environment, such as the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emotional stability, belonging, and satisfaction, affects the infant's peer competence. In addition, the result of whether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ffect infant’s peer competence through family health First,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nxiety on the peer competence of infants through family heal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hen the anxiety about the mother's upbringing is high, the anxiety is reflected in the family health,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positive development and peer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children. Second, this study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on infant’s peer competence through family health.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ore time a father spends with his child and the more interest and support he has in his child’s development, the better his or her ability to adapt to and cope with problems, and the higher his or her peer competence. In conclusion, even if the mother is anxious about parenting, if a healthy family supports it, the infant’s peer competence is improved, and the father’s active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family health are major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 the infant’s peer competenc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advanced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lower the mother’s parenting anxiety, develop and educate the father’s active and practical parenting participation program, maintain family health, and improve the infant’s peer competence. Keywords: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family health, infant’s peer competence

      •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 운영관리

        조주경 국립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초 록> 국내의 환경기초시설에서 하·폐수 및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다량의 에너지가 소모되고 있는데 환경기초시설에서 직간접으로 발생되는 온실가스배출량은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3.5% 수준이다. 그동안 하수도관리 운영 정책은 방류수로 인한 하천의 부영양화 원인중의 중요한 요소인 질소·인제거에 집중하여 에너지효율성에 대한 관심은 별로 효과가 없는 듯 하다. 2022년 전국의 하수도 통계에 의한 연간 총 에너지사용량중에서 에너지 자립율은 거의 10%이상을 차지하는 지자체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2019년 전체 하수처리시설에서 에너지자립율은 500 ㎥/day 이상 하수처시설에서 3.9%, 500 ㎥/day 미만 하수처리시설에서는 은 0.4%을 차지하고 있고, 2020년에는 500m3/day 이상 하수처리시설에서 12.9%, 500 ㎥/day 미만 하수처리시설에서는 0.4%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하수처시설에서 에너지자립율은 개선이 없는 상황으로 판단 되어진다. 하수처리시설에서는 처리공정에서 소비되고 있는 에너지절감이 매우 중요한 탄소중립정책 이며 국내 현실에서는 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 운영으로 하수처리효율을 높이고 그 결과 얻어지는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은 에너지자립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제안이 될것으로 사려된다. <Abstract> A large amount of energy is consumed in the process of sewage, wastewater and waste treatment in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in Korea, and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directly or indirectly generated from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is about 3.5% of domestic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meantime, the sewage management operation policy has focused on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among the causes of eutrophication of rivers due to discharged water, and interest in energy efficiency does not seem to be very effective. In 2022, out of the total annual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sewage statistics nationwide, the energy self-reliance rate is almost 10%, and there are few local governments that account for more than 10%.In 2019, the energy self-sufficiency rate of al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ccounted for 3.9% for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ith a capacity of 500m3/day or more and 0.4% for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ith a capacity of less than 500m3/day.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improvement in the energy self-sufficiency rate in domest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t is a very important carbon-neutral policy to reduce energy consumed in the treatment process, and in domestic reality, efficient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mproves sewage treatment efficiency, and the reuse of the resulting sewage treatment water is considered to be a proposal that can improve the energy self-reliance rate.

      • 연안성 조류번식지 적합성지수 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김창현 국립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연안 도서 생태계는 환경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지표적인 성격이 강하며, 생물다양성과 독특한 환경조건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간섭이 제한적으로 천혜의 자연환경 경관과 더불어 다양한 미생물과 동·식물들이 진화와 멸종을 반복하며 수 세기 동안 성장해 왔다. 섬은 영토 연장선상의 특별한 땅으로 그 주변 해역의 제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 각국이 섬을 두고 치열하게 영토 분쟁을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중 서·남해안에 위치한 연안 도서는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며 중요 이동 경로상에 있어 번식지와 월동지로 최적의 조건을 갖고 있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 생태계는 사람들에게 경관 치유의 대상으로 휴양과 관광 목적 아래 무분별한 난개발과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외부의 부분별 한 개발 및 훼손 정도가 매년 심각해지고 있다. 인간 문명의 발전과 자연보호의 경계선 사이에서, 생태계 환경을 이루는 생물들은 한정된 터전과 서식지 공간의 부재로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연안 도서 번식지 연구는 특정 국립공원이나 단일 종 현황·수집된 자료는 수년 전부터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번식지를 위한 공간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류가 번식지를 선택하는 데 어떠한 요소를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지 평가중요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 연안성 도서 조류 번식지 평가에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우선 FGI를 실시하여 기초지표를 도출하고 적합성 토론을 진행한 후 분멸된 항목을 바탕으로 AHP 전문가 설문을 통해 대·중·세분류 간의 가중치를 계상하여 평가 항목 개발을 위한 지표의 중요도를 설정하였다. 전문가 분석을 통해 대분류 2개 항목, 중분류 5개 항목, 세분류 14개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연안성 도서 조류 번식지 적합성 평가 항목 선정을 위해 FGI를 실시하여 기초지표를 도출하고 유형화를 한 결과, 대분류는’자연적 가치’와 ‘인위적 가치’2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중분류는’지형적 가치’,‘지질적 가치’,‘생태적 가치’가 자연적 가치에 포함되었으며,‘적극적 간섭’,‘소극적 간섭’이 인위적 가치에 분류되었다. 둘째, FGI 조사 방법을 통해 도출된 25개 평가 항목을 대상으로 전문가 토론을 하고 항목 소거 및 재정립 과정을 진행하여 대분류 2개 항목, 중분류 5개 항목, 세분류 14개에 대한 항목이 도출되었다. 셋째, 자연적 가치의 세분류는 섬 면적, 육지와의 거리, 표면의 각도, 갯벌의 유무, 토양 구성비, 과번식에 의한 황폐화, 식생 분포, 갯벌의 면적, 천적의 출현까지 9가지 항목으로 도출되었으며, 인위적 가치의 세분류는 토지이용, 보호구역 지정 여부, 경작지 면적, 경작 행위, 해양 양식장 면적까지 5가지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넷째, AHP 분석 기법을 통한 연안성 도서 조류 번식지 적합성 중요도 평가 결과 중 중분류는 생태적 가치(0.392), 지형적 가치(0.251), 소극적 간섭(0.124), 지질적 가치(0.120), 적극적 간섭(0.113)의 순서로 평가되었다. 다섯째, 중분류 가중치를 통하여 세분류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식생 분포(0.187), 갯벌의 면적(0.118), 갯벌 유무(0.092)의 높은 순서로 나타났다. 연안성 도서 지역에 번식하는 조류는 식생의 분포가 안정적인 종 개체 확장을 위한 필수적 선택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인간의 경제활동과 관련한 토지이용(0.033)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 분석에 의해 도출된 대·중·세분류별 평가항목은 서남해안에 분포하는 연안성 조류 번식지의 서식적합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 기준에 적용이 가능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oastal island ecosystem has a strong indicator characteristic that is sensitive to the environment, and has biodiversity and unique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limited human interference, various microorganisms, animals, and plants have grown for centuries, repeating evolution and extinction, alo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al landscape. An island is a special land as an extension of its territory and can exercise all the rights of the surrounding sea, which is why countries are fiercely engaged in territorial disputes over the island. Among them, coastal islands located on the west and south coast serve as a stopover for migratory bird and have optimal conditions as a breeding site and wintering site on an important migration route. However, natural ecosystems are subject to landscape healing such as recreation and tourism, and the degree of development and damage by external parts is becoming more serious every year for the purpose of indiscriminate reckless development and service provis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e, the organisms that make up the ecosystem are facing the threat of extinction due to the lack of limited land and habitat space. Research on coastal island breeding site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status and collected data on specific national parks or single species, but spatial research for breeding site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which factors should be prioritized for bird to choose their breeding sites. In order to select the items necessary for the evaluation of bird breeding sites on coastal islands in Korea, FGI was first conducted to derive basic indicators, conduct suitability discussions, and then the importance of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was set by calculating weights among the main category, middle class, and detailed index through AHP expert surveys. Through expert analysis, the importance of 2 main categories, 5 middle categories, and 14 detailed indexe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riving and categorizing basic indicators by conducting FGI to select the suitability evaluation items for bird breeding sites on islands off the coast of Korea, the main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2 categories: <Natural Value> and <Artificial Value>. In the middle class, <Topographic Value>, <Geological Value>, and <Ecological Value> were included in Natural Value. <Active Interference> and <Passive Interference> were classified as Artificial Value. Second, expert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25 evaluation items derived through the FGI survey method and items were eliminated and re-established to derive items for 2 main categories, 5 middle classes, and 14 detailed indexes. Third, the detailed index of Natural Value was derived into 9 categories: Island Area, Distance from Land, Angle of the Surface, Presence or Absence of Mudflats, Soil Composition Ratio, Over-Breeding Devastation, Vegetation Distribution, Area of Mudflats, and Appearance of Natural Enemies, while the detailed index of Artificial Value was derived into 5 categories: Land Use, Protected Areas, Cultivated Land Area, Cultivation Behavior and Ocean Farm Area. Fourth,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suitability of coastal island bird breeding sites through AHP analysis, the middle class was evaluated in the order of Ecological Value (0.392), Topographic Value (0.251), Passive Interference (0.124), Geological Value (0.120), and Active Interference (0.113). Fifth,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weight and priority of detailed index through middle class, Vegetation Distribution (0.187), Area of Mudflats (0.118), and Presence or Absence of Mudflats (0.092) were found in the high order. For bird breeding in coastal island areas, Vegetation Distribution has been evaluated as an essential choice for stable species expansion, Land Use related to human economic activity (0.033) was evaluated as a relatively low weight. This study aims to derive appropriate breeding site evaluation items for bird breeding on Korean coastal islands, and could be a basic study to select priorities for conservation and evaluation of coastal bird breeding sites distributed mainly on the west and south coa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