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대학생의 글쓰기 첨삭 지도 연구 : 광주여자대학교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김설화 광주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는 학생들이 체계적인 글쓰기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시작됐다. 선행 연구에서는 운영 과정과 방향 또는 글쓰기 과목의 성격 규명 등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대학에서 교양 국어가 글쓰기 체제로 전환된 것이 비교적 최근의 일로, 아직 이러한 문제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이론을 논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직접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첨삭 지도를 하고, 그에 대한 평가를 통해 글쓰기 지도가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봤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주제들을 설정했다. 연구 주제 1. '자기소개서 쓰기', '독후감 쓰기', '논설문 쓰기' 등 실용적 글쓰기 실시 후 대학생 글들이 유형별 글쓰기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 주제 2. 학생들 개인별로 이뤄진 첨삭 지도가 글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주제 3. 한 학기에 걸쳐 이뤄진 첨삭 지도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양상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주제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한 광주여자대학교 2009학번 1학년 상담심리학과, 초등특수학과, 간호학과 학생들을 선정했다. 연구 집단에게는 '자기소개서, 독후감, 논설문'이라는 실용적 글쓰기 장르를 가지고 글쓰기 시도 후 첨삭 지도를 실시했다. 연구 기간은 1학기 상담심리학과, 초등특수학과 15주, 3학기 간호학과 15주에 걸쳐서 실시했다. 첨삭은 1단계부터 4단계에 걸쳐서 실시됐고, 각 유형별 글쓰기에 따라 내용은 달리 진행됐다. 연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형별 글쓰기에 따라 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한 빈도 검사가 실시됐다. 또한 단계별 지도가 글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같은 프로그램의 T 검정이 실시됐다. 평가는 분석적 평가 방법 중 원진숙(1994)의 평가 기준을 참고하여 광주여자대학교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해서 제작한 기준표로 했다. 이 연구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소개서, 독후감, 논설문'에 따라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이 점차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표Ⅳ-32> 유형별 글쓰기 실태 총점 결과와 <표Ⅳ-33> 유형별 글쓰기 실태 총점 결과 (도표)를 보면 한 눈에 알 수 있다. 둘째, 유형별 글쓰기에 따라 각기 다른 첨삭 지도가 실시되었는데, 자기소개서와 독후감의 경우 평균이 29.09점에서 32.62점으로 3.53점이 향상되었고, 독후감에서 논설문은 평균이 32.62점에서 35.20점으로 2.58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동안 썼던 글 중 하나만 선택해서 다시 써오게 한 결과 총점이 수정 전 28.80점에서 수정 후 38.31점으로 9.51점이나 향상됐다. 이처럼 학생들에게 무조건 글을 쓸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첨삭 지도를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한 학기 동안 이뤄진 첨삭 지도에 대해 학생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은 나타냈다. <표Ⅳ-42>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약 50%의 학생들이 수업에 만족하며, 후배들에게도 적극 권유하겠다고 했다. 또한, 글쓰기 지도를 통해 61.7%의 학생들이 글쓰기 능력이 향상된 것 같다고 했다.

      •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베리어프리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대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채이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4년재 대학 중 장애학생 수가 가장 많으며, B.F 인증제 도 시행이전에 신축 완공된 국립대(전남대학교 도서관), 사립대(조선대학교 도서관) 2 곳을 분석대상으로, 현재시점에서 B.F 인증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조사 분석해 보았 을 때, B.F 항목의 적용 여부 및 인증기준과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그 분석결과를 노 후시설의 증·개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연구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장별 연구의 흐름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한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국내·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일반적 특성 등을 통해 연구의 방향 및 변별성,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정의와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B.F 인증 기준항목을 통한 분석의 틀을 정리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대학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B.F 인증기준에 따라 전남대학교, 조선대 학교 도서관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매개 시설, 내부시설, 위생 및 안내시설로 나누 어 분석하였다. 전남대와 조선대의 B.F 인증기준에 따른 종합 비교분석을 통해 두 학교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과 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매개시설을 분석한 결과 기존 접근로의 유효폭은 1,800mm 이상이 최우수 기준값으로 평가되는데, 두 학교 모두 기준치 이상으로 분석 되었다. 경계라인은 차도와 보도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으며, 특히 보행통로와 차도 는 눈에 띄는색상으로 구분하는 등 두 시설 모두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재 질 및 마감에 있어서 조선대는 석 재질을 사용한 반면, 전남대는 아스팔트로 마감하 였고, 두 학교 모두 보행 및 장애물은 없었다. 장애인 주차장은 조선대가 더 많았고 주차공간도 규격에 맞았다. 유도 및 표시, 보행안전통로를 만들어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도 주차장 이용의 어려움이 없었다. 주 출입구는 조선대가 전남대보다 유효폭과 활동공간이 훨씬 넓었으며, 전남대는 여닫이문으로 설치되었으나 조선대는 자동문으 로 설치되어 B.F 기준에 적합한 요소가 더 많았다. 둘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내부시설을 분석한 결과 출입문은 1m 이상, 단차는 없었 고, 전면 유효거리는 조선대 1.8m 이상, 전남대 1.5m 이상으로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손잡이 및 점자표지판은 일반 기준을 만족하여 출입문은 B.F 인증 기준에 모두 충족하고 있었다. 복도 및 통로의 유효폭은 조선대가 1.8m 이상, 전남대 1.2m 이상으로 확보하고 있어 기준값을 충족했고, 계단은 두 학교 모두 보행장애물 은 없었고, 조선대가 유효폭이 1.5m 이상으로 넓은 면적을 유지하였고, 전남대는 1.2m 이상으로 일반 기준에 속하였다. 디딤판, 챌판은 두 학교 모두 일반 기준에 속 하였고, 전남대학교가 좀 더 낙후되고 불편함이 많아 보였다. 승강기의 크기는 두 시 설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활동공간은 조선대가 전면 1.5m x 1.5m 이상으로 최우 수 조건을 만족하였고, 전남대가 1.4m x 1.4m 이상으로 우수한 편에 속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셋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안내시설로 점자블록의 규격 및 색상은 0.3 x 0.3m 황색 으로 모두 우수한 기준에 속하였으며, 조선대학교는 도서관시설은 시각장애인 안내설 비인 음성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전남대학교 도서관시설에는 시각장애인 안 내설비가 없었다. 반대로 청각장애인 안내설비는 두 학교 모두 설치되어 있어서 최우 수 조건을 만족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 정리해 보면 두 시설 모두 인증평가 이전에 준공된 시설임도 불 구하고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B.F 인증평가 기준항목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 분석되었다. 다만 조선대학교에 비해 전남대학교시설이 1990년 건축물로 오래된 점을 고려할 때 장애인주차구역이 부족한 점, 복도 및 통로가 좁고은 점, 구 도서관 시설에서 장애인 화장실이 없는 건물이 있는 점, 일부 접근로가 경사진 곳에 있는 점 등은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향후 연구 과제 본 연구는 도서관 시설의 B.F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로써 광주광역시내 2곳의 대학 을 중심으로 B.F인증제도 시행 이전에 완공된 시설이 현재의 B,F인증제도 기준에 어 느정도 충족하는지 여부와 어떠한 차이점과 문제점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후공공시설의 리모델링 시 B.F인증기준에 맞도록 시설개선을 유도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이라 여겨지며, 본연구의 의미가 여기에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한정된 지역과 범위로써 분석의 다양성 을 확보하지 못한 점, 문제점으로 제기된 공간의 개선안을 제시하지 못한 점 등의 문 제는 연구의 한계로 들 수 있겠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노후 공공시설에 대 한 다양한 건축유형별 연구와 그에대한 개선안에 대한 결과물까지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와 더불어 B.F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검토와 제언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편백 혼합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선호도에 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혜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향을 이용한 뷰티 관광 상품 개발을 위해 지역민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인식과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가지 아로마 에센셜 6 오일의 향 선호도를 파악하고 감성 요인을 이용한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광, 주광역시의 관광 상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지역민 중 세 이상의 성인 중 신체 건강한 자를 대상으로 편입 20 표본 수집하였으며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설문조사를 실, 2023 10 06 2023 10 26 시하였다 설문조사 장소는 광주광역시 내의 지하철역 광주여자대학교 광주광역. , , 시 지역 내의 사회복지관 등에서 직접 대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인식에서는 아로마 향 경험 여부와 식물의 , 10 순수 정유 인지 여부 아로마 에센셜 오일 사용 경험 여부 아로마 에센셜 0% , , 오일 사용 주기에서 성별과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감성 요인을 . 이용한 광주와 어울리는 향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반적으로 향기 요소‘ ’ 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도 요소 느낌 요소 순으(M=3.66) , ‘ ’(M=3.52), ‘ ’(M=3.49) 로 나타났으며 지역민의 광주와 어울리는 향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평균 , 3.56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느낌 요소의 차분하다 강도 요소의 . , ‘ ’, 은은하다 경쾌하다 부드럽다 향기 요소의 꽃향기가 난다 물 바다 향기가 ‘ ’, ‘ ’, ‘ ’, ‘ ’, ‘ / 난다 달콤하다 에 대해서 직업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요소 ’, ‘ ’ , ,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 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로마 에(+) . 센셜 오일의 향기 선호도 조사에서 단일 향은 번 레몬 이 가장 높게 ‘1 ( )’(M=3.88) 나타났고 번 자스민 번 제라늄 번 라벤더, ‘6 ( )’(M=3.26), ‘5 ( )’(M=3.25), ‘3 ( )’(M=2.83), ‘7 번 편백 번 카모마일 로만 번 카모마일 저먼( )’(M=2.74), ‘2 ( )’(M=2.26), ‘4 ( )’(M=2.09)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일 향에 대한 평균 선호도는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2.90 . , 혼합 향에 있어서 번 레몬 편백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번 라벤더‘1 ( + )’(M=3.32) , ‘3 ( + 편백 번 자스민 편백 번 제라늄 편팩 번 카)’(M=3.25), ‘6 ( + )’(M=3.15), ‘5 ( + )’(M=3.13), ‘2 ( 모마일 로만 편백 번 카모마일 저먼 편백 순으로 나타났+ )’(M=3.07), ‘4 ( + )’(M=2.96) 으며 혼합 향에 대한 평균 선호도는 점으로 나타났다 그 외 번 제라늄 편, 3.15 . 5 ( + 백 과 번 자스민 편백 향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6 ( + ) .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민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인식도 조사를 통한 지식 정도와 경험 유무 감성 요인을 이용한 지역 이미지를 이용하여 향을 이용한 뷰, 티 상품의 마케팅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편백과 가지 아로마 에센셜 . , 6 오일의 선호도 조사는 남부지방에 식재하고 있는 천연자원인 편백나무의 이용을 증진하여 지역 관광 상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 경제 . 활성화와 뷰티 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 중 관광 산업은 꾸준히 주목받고 있는 산 업이다 건강과 환경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천연자원을 이용한 지역 관광 . 상품 개발 연구는 더욱 다양하게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develop beauty tourism products using the fragranc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local resid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of six aromas of essential oils, including cypress. Among the residen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physically healthy individuals aged 20 or older,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06, 2023, through October 26, 2023. The face-to-face surveys were conducted at subway stations in Gwangju, Gwangju Women's University,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Gwangju. Meaningful results were found depending on gender and occupation in aroma essential oil recognition in 100% pure essential oil recognition of plants, experience with aroma essential oils, and cycle of aroma essential oil use. Overall, "fragrance factor" (M=3.66) was the highest in terms of scent image matching Gwangju using emotional factors, followed by "strength factor" (M=3.52) and "feeling factor" (M=3.49), and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scent image matching Gwangju averaged 3.56.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occupation and gender in terms of "calm", "light", "soft", "scent of flowers", "water/sea", and "sweet", and all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are found to be positive (+). In the aroma essential oil scent preference survey, 'Lemon' (M=3.8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Jasmine' (M=3.26), 'Geranium' (M=3.25), 'Lavender' (M=2.83), '7 (cypress)' (M=2.74), '2 (chamomile roman)' (M=2.26), and '4 (camomile german)' (M=2). As for mixed scents, 'No. 1 (lemon + cypress)' (M=3.32)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o. 3 (lavender + cypress)' (M=3.25), 'No. 6 (jasmine + cypress)' (M=3.15), 'No. 5 (geranium + cypress' (M=3.13), 'No. 2 (camomile roman + cypress)' (M=3.07) and 'No. 4 (camomile German + cinoki)' (M=2.96).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in the scents of No. 5 (geranium + cypress) and No. 6 (jasmine + cypres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data for marketing beauty products using fragrances utilizing local images using knowledge, experience, and emotional factors through the aroma of essential oils. In addition, the preference survey for cypress and six kinds of aroma essential oils is expected to promote the use of cypress, a natural resource in the southern reg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local tourism product development. Among measure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develop the beauty industry, the tourism industry is steadily attracting attention. For modern people who value health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products using natural resources needs to be explored more diversely.

      • 노인복지관 공간연계를 통한 청소년 활동프로그램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현자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노인복지관 공간연계를 통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성 명 : 김 현 자 학과명 : 실버복지경영학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불안한 사회속에서 가장 큰 피해를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엄청난 학업스트레스와 진로에 대한 불안감, 경쟁과 선택에 있어서의 자신감결여 등으로 정신적 혼돈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하기에 청소년들을 더욱 세밀하게 보살피고, 관심을 갖도록 하여 이시대에, 건전하고 건강한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지원하는데 필요한 청소년활동은 중요해지고 있다. 위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한 노인복지시설 공간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유휴공간 활용 및 1.3세대간의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방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전의 청소년활동은 극기훈련과 모험훈련의 정도로만 여기고 있었다면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으며, 지역내 노인복지시설의 유휴시설 공간활용을 통해 맞춤형 청소년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는데 도움이 됨과 동시에 청소년활동의 영역을 활성화 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힘이 되고자, 광주광역시내의 6개소 노인복지관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은 청소년 수련시설 뿐만이 아니라 노인복지관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광주광역시 지역 7개의 노인복지관 중에서 광산구 노인복지관에서는 이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노인복지서비스에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을 주도해 간다는 것이 무리가 아닐것으로 사료되며, 노인복지시설은 이미 확보된 공간이 있기 때문에 재정적인 부담이 덜어진다는 점에서도 장점으로 작용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노인복지관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공간 개방에 선행연구된 광산구 노인복지관은 67.5%가 찬성한 응답자가 있었으며, 본 조사결과에서도 6개소의 노인복지관의 찬성한 응답자가 33.7%라는 결과를 간과해서는 안 될것이다. 이번 기회를 계기로 청소년 지도자들과 노인복지관의 사회복지 종사자들 간의 교류 활동도 모색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셋째, 노인복지관의 공간활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활동영역으로는 문화예술활동, 과학.녹색환경활동, 가족활동, 봉사활동, 인성함양활동, 진로활동 등이 있고, 참여영역으로는 사회구성원 관계개선, 청소년 권익개선, 지역사회 역량개발, 청소년 친화적환경 만들기 등이 포함되며, 보호영역으로는 인터넷게임 중독예방, 건전한 인터넷문화조성, 유해매체환경 감시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시했던 제안들은 모두 실현 가능하다. 조사결과 현재 노인복지관에서 공간활용을 하여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들도 있다. 노인복지관의 공간에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어느 한가지 프로그램만이 아니라 이 모든 프로그램이 필요한 대상자들이기 때문이다. 노인복지관 공간 개방의 대상은 기관이 위치하고 있는 주변에 있는 청소년들이라는 것을 늘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노인복지관의 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지방자치시대를 살아가는 현 시점에서 지역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사업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정부와 노인복지관은 이 제안들을 심도있게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장들 곧, 시장과 구청장은 노인복지기관의 기관장 및 기관이용자의 대표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서로 협력하고 조직화하여 노인복지관의 공간을 활용 한다면, 청소년과 노인 1.3세대가 함께 웃을 수 있는 행복하고 살기좋은 지역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청소년활동, 노인복지관, 공간연계, 청소년시설, 유휴공간

      • 광주지역 헤어미용 종사자의 조직건강과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유미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Recently, a hair salon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s the beauty market has been diffused and become huge, the health and culture of beauty organization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has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make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beauty sal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urnover intention of hair and beauty employees in Gwangju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and settlement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culture in a beauty salon. For study methods,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tudy were explained to hair and beauty employees work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ine and off-line.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30 days from August 20 to September 20, 2020 and the questionnaire was organized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A total of 2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50 were return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Version.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air and beauty employees, the age group 20s, graduation from or attendance of junior college, and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two-three million won were the most common. The most common work characteristics were beauty career of 1-3 years or 5-7 years, designer position, an average 8-hour work day, and day-off frequency of 5-6 times per month. In particular, turnover experience was common and the most common reason of turnover was the relationship with boss or co-worker. Second, organizational heal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work characteristics in hair and beauty employees. As a result, organizational heal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working period of a present job, total beauty career, working hours, day-off frequency per month, pay types, and intention experience according to community orientation, fitness for working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vitality.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work characteris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working period of a present job, total beauty career, working hours, and intention experience according to human relationship, education, and welfare.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work characteris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ay-off frequency per month and intention experience. Third, for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hair and beauty employees in Gwangju. In other words, high community orientation, organizational vitality, and fitness for working environment of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health were associated with low turnover intention. Moreover, high education, welfare, and human relationship of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associated with low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to change members’ consciousness such as cooperation, relationship, concerns, and mental attitude as well as technical educ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eauty salon. In addition, health and culture programs for employees should be extend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work characteristics because the participant sample was limited to hair and beauty employees in the Gwangju area. Further research should enlarge the range of participants to the whole country other than Gwangju. 최근 미용실이 확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용시장이 확산되고 거대해지는 만큼 그동안 상대적으로 등한시 되어왔던 미용조직의 건강과 문화가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미용실 내 조직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 헤어미용 종사자의 조직건강과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미용실 내 조직의 건강을 활성화하고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광주광역시에 근무하는 헤어미용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내용을 설명한 후 온·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0년 8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총 30일이며, 설문지는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총 2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뒤 2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 250부를 바탕으로 SPSS 21.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산출,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Duncan test,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의 결과 연령대는 20대, 전문대 재학/졸업, 월 소득 200-300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특성의 결과 1-3년 미만, 총 미용경력 5-7년 미만, 직위는 디자이너,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10시간, 월 평균 휴무횟수 5-6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이직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직이유를 분석한 결과 상사 또는 동료 간의 인간관계로 인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헤어미용 종사자의 근무특성에 따른 조직건강, 조직문화, 이직의도의 분석 결과 조직건강의 경우 하위요인인 공동체지향성, 근무환경 적합성, 조직 내 활기에 따라 현 직장 근무기간, 총 미용경력, 하루 평균 근무시간, 월 평균 휴일 횟수, 급여형태, 이직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인간관계, 교육, 복지에 따라 현 직장 근무기간, 총 미용경력, 하루 평균 근무시간, 이직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월 평균 휴일횟수, 이직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광주지역 헤어미용 종사자들의 조직건강과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광주지역 헤어미용 종사자의 조직 내 조직건강 중 조직공동체지향성, 조직 내 활기, 근무환경적합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주지역 헤어미용 종사자의 조직문화 중 교육, 복지, 인간관계가 높을수록 이직 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미용실 내·외부의 기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조직원들 간의 협동심, 관계, 배려, 마음가짐 등의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과 직원들의 건강과 문화에 대한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조사 대상을 광주광역시 지역의 헤어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함으로써 조사대상자의 지역 제한으로 인한 근무특성에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는 광주광역시 지역 외 전국적으로 조사 대상자의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한국어 교재에 기술된 한자어 접두사 교육 연구 : 연세대·이화여대·서강대 교재를 중심으로

        추이수거 광주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한국어 교재에 기술된 한자어 접두사 교육 연구 한국어 교육전공 추이수꺼 요즘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남에 따라 효율적인 학습법과 전문적인 교수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외국어 학습자에게 어휘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의 단어 형성원리를 교육한다면 학습자가 한국어의 어휘 구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국 한자어 접두사의 생산성이 뛰어나므로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에 도움이 되며, 특히 한국어 고급 학습자에게 어휘를 낱낱이 교육시키는 것보다 어휘의 조어법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어휘장에 대해 가르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어 접두사 및 파생어휘 교육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한자어 접두사 고급 교재의 조사·분석을 통해서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확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교재에 기술된 한자어 접두사 교육 현황을 파악해보고, 파생법을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 및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선행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한자어 접두사를 목록으로 선정하여 각 접두사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교재에 제시된 한자어 접두사 및 예문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재별 한자어 접두사의 중복도 및 파생어휘 비중을 조사했다. 제4장에서는 한국 한자어 접두사의 교육방법 및 교육모형을 제안하였다. 앞으로도 어휘 교육 및 파생어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한자어 접두사에 대한 교육도 교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광주광역시 노인 일자리사업 활성화방안 연구

        강현미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광주광역시 노인 일자리사업의 현황 분석과 관련자들의 평가를 통해 지역의 적합한 노인 일자리사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인 일자리사업과 관련된 선행 연구, 정부보고서 발표자료 등을 살펴보았으며 광주광역시 노인 일자리사업의 평가를 위해서 참가자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차이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오현숙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차이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고 검증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교수몰입, 행복감, 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라 교수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3.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라 교수창의성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라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교사의 교수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Jackson과 Eklund(2004)가 개발한 ‘몰입상태척도-수정판(Flow State Scale, FSS-2)'을 김미현(2012)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연구자가 수정하여 어린이집 교사들에게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최요원(2002)이 번안하여 사용한 Hills와 Argyle(2002)의 옥스퍼드 행복 질문지(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OHQ)척도를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교수효능감 측정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의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조부경, 서소영(2001)이 번안한 교수효능감 척도를 백영숙, 김희태(2007)가 사용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Cropley(2004)의 교사의 창의적인 수업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백영숙과 김희태(2008)가 타당화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국공립, 민간, 직장(법인), 가정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후 최종적으로 회수한 설문지 373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부호화 과정을 거쳤으며 구체적으로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로 파악하였고, 각 측정 도구의 기술통계량(descriptive statistics)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의 몰입과 행복감에 따라 일반적·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교사의 몰입과 행복감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수행하였다. 이 때 독립변수로서 각각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사 몰입 수준 및 행복감을 투입하였고, 사후검정(post hoc)을 통해 집단 간 구체적 차이를 파악하였다. 이상의 분석에서 유의수준은 , , 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몰입, 행복감, 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일반적 교수효능감에 비해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다음으로 창의적 교수 또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인지적 요인에서는 확산적 사고와 행위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의 경우 특정 영역의 지식기반과 기술의 경우 유사했다. 인성적 요인, 동기와 동기 유발,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의 경우 전반적으로 유사한 평균값을 보였다. 교수 몰입 역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 몰입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수준의 평균값을 나타냈으며, 마지막으로 교사 행복감의 경우 6점 척도로 구성되어 평균적으로 중간 이상의 행복감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살펴보면, 교사의 몰입과 행복감이 증가할수록 개인적 교수효능감 역시 전반적으로 증가하며, 두 변인 간에는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몰입의 정도가 하위집단일 경우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행복감 수준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몰입이 높을 경우에는 행복감이 낮다 하더라도 비교적 높은 개인적 교수효능감을 나타내며, 행복감이 중간일 때에는 오히려 상대적으로 낮은 개인적 교수효능감을 보였고, 행복감이 높을 때에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이는 결론적으로 교수 몰입이 중간 정도의 수준이라 하더라도 행복감 또한 중간일 경우에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저조한 양상을 보이며, 마찬가지로 행복감이 비록 낮다 하더라도 교수 몰입 이 높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개인적 교수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살펴보면 몰입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의 하위영역 중 확산적 사고와 행위 역시 높으며, 몰입과 행복감 사이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몰입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의 하위영역 중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 역시 높으며, 몰입과 행복감 사이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몰입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수 창의성의 하위영역 중 특정 영역의 지식기반과 기술 역시 높으며, 몰입과 행복감

      • 빅데이터를 활용한 헤어 미용분야 패러다임 변화 연구

        문소희 광주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47

        산업발달과 시장확대로 헤어 미용분야에서 마케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마케팅 문구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마케팅 문구를 어떻게 구성하여 전략적으로 배치하는가에 따라서 홍보 효과가 크게 달라진다. 홍보는 구체적으로 인터넷 포털사이트 상위권 배치, SNS의 리트윗, 오프라인의 전단, POP 등에 시각을 집중시키는 전략적이고 의도된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헤어 미용분야는 시각적으로 시술 전후의 효과가 커 온라인에서 많은 홍보 마케팅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사진과 함께 이루어지는 텍스트 마케팅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헤어 미용분야에 대한 관련 주체들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하고 분석하기 위해 온라인 검색엔진과 영상엔진에 있는 텍스트 형태의 빅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온라인 검색엔진과 영상엔진을 대표하는 네이버, 다음, 구글, 유튜브 각각에서 주로 언급되는 빅데이터 관련 주제를 데이터량, 연도별 빈도 분석, 확률적 언어 모델(N-gram), 가중치(TF-IDF), 워드클라우드, 중심성(Degree Centrality), 네트워크 그래프, Topic Modeling을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키워드 및 연도별 데이터량을 보면 2000∼2017년까지 총 18년을 기준으로 모든 키워드의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최근인 2017년을 보면 ‘헤어 > 두피·모발관리 > 헤어 컬러·염색 > 헤어 스타일링·드라이 > 헤어 커트·컷 > 헤어 샴푸·린스·트리트먼트 > 헤어 펌·퍼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메이크업, 제품, 미용실 > 스타, 디자이너, 방법 > 미용, 사용, 여자 > 여성, 연구, 답변, 사진, 컬러 > 추천, 남자 > 헤어밴드, 펌 > 컷, 이미지, 패션, 샴푸, 중심, 샵 > 인식, 헤어핀, 염색 > 웨이브, 뷰티, 안녕’ 순으로 나타났다. 헤어 키워드와 함께 중복 사용되는 헤어 분야는 컬러 > 펌 > 컷 > 샴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헤어+커트|헤어+컷’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염색, 앞머리 > 인식 > 답변, 여자, 디자이너 > 볼륨 > 메이크업 > 느낌, 댄디, 안면, 웨이브 > 투블럭, 사진 > 레이어드, 연출, 매직 > 파마, 남성, 디자인, 단발’ 순으로 나타났다. 중복 사용되는 헤어 분야는 펌 > 염색 순으로 나타났다. 커트 종류로는 앞머리 커트> 볼륨 커트 > 댄디 커트 > 웨이브 커트 > 투블럭 커트 > 레이어트 커트 > 단발 커트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최근 18년간 많이 노출된 커트의 종류를 예측할 수 있었다. 넷째, ‘헤어+펌|헤어+퍼머’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헤어, 펌, 스타일, 볼륨, 모발 > 컷 > 답변, 추천 > 단발 > 사진 > 왁스, 여자, 디지털, 시술 > 안면인식, 커트, 아이 > 자연, 앞머리 > 복구, 드라이, 정도, 미용’ 순으로 나타났다. 중복 사용되는 헤어 분야는 염색 > 컷 순으로 나타났다. 퍼머의 종류는 앞머리 웨이브 퍼머 > 매직 퍼머 > 볼륨 퍼머 > 단발 퍼머 > 디지털 퍼머 > 아이롱 퍼머 > 복구 퍼머 > 드라이 퍼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헤어+스타일링|헤어+드라이’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헤어’, ‘드라이’, ‘스타일링’, ‘머리’, ‘스타일’, ‘볼륨’, ‘제품’, ‘웨이브’ 이상 8개 단어로 확인되었다. 순위는 ‘모발, 왁스, 펌, 사용, 방법, 연출 > 샴푸, 자연 > 답변, 컷 > 앞머리 > 메이크업 > 셀프, 남자 > 이용, 미용실, 추천 > 파마, 뷰티 > 부분’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복 사용되는 헤어 분야는 샴푸 > 컷 > 퍼머 순으로 나타났다. 스타일링 및 드라이의 종류는 볼륨 드라이, 웨이브 드라이 > 앞머리 드라이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헤어+컬러|헤어+염색’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컬러, 염색약, 모발, 브라운, 추천 > 답변, 미용실 > 펌 > 탈색 > 연출 > 유행, 웨이브, 블랙, 톤 > 헤나, 셀프, 제품, 컷, 시술 > 샴푸, 디자이너, 사용, 여자, 투톤, 레드 > 갈색, 샵, 파마’ 순으로 나타났다. 중복 사용되는 헤어 분야는 펌 > 컷 > 샴푸 순으로 나타났다. 염색 컬러의 종류로는 브라운 > 탈색 > 블랙 > 헤나 > 투톤 > 레드 > 갈색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헤어+샴푸|헤어+린스|헤어+트리트먼트’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헤어트리트먼트, 방법, 트리트먼트 > 탈모, 추천 > 답변, 스타일, 정도, 효과 > 컨디셔너 > 센스 > 머리카락 > 팩, 컬러 > 영양, 에센스 > 헤어, 비듬’ 순으로 나타났다. 중복 사용되는 헤어 분야는 염색, 두피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샴푸, 린스 및 트리트먼트의 종류는 두피 및 모발관리 제품, 손상도 완화 제품 > 탈모 방지 제품 > 팩 > 컬러 전용 제품 > 에센스 > 비듬 방지 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두피관리|모발관리’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치료, 손상, 사용 > 케어, 효과 > 예방 > 답변, 머리카락, 전문 > 비듬, 중요, 필요, 상태 > 이식 > 영양 > 마사지 > 센터’ 순으로 나타났다. 중복 사용되는 분야는 의학 분야와 피부 분야로 나타나 두피 및 모발관리와 치료, 피부 관리를 동시에 검색하고 작성하는 누리꾼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중복 사용되는 헤어 분야는 샴푸로 확인되었다. 두피관리 및 모발관리의 종류로는 두피관리 > 탈모관리 > 손상 관리, 케어 관리, 예방 관리, 영양 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N-gram 분석 결과 ‘헤어’ 키워드는 -헤어, 헤어-, 스타-, 미용실-, 스타일-, 온라인 게시글 관련, 기타로 나타났고, ‘헤어+커트|헤어+컷’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 -헤어, 헤어-, 스타일-, 컷, 커트-, -컷, 커트, 머리-로 나타났다. ‘헤어+펌|헤어+퍼머’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 파마, 펌-, -펌, 파마, 헤어-, -헤어, 스타일-, 머리-, 볼륨-, 남자-, 기타로 나타났고, ‘헤어+스타일링|헤어+드라이’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 크게 헤어-, -헤어, 드라이-, 스타일-, 스타일링-, 머리-, 메이크업-, 왁스-, 기타로 나타났다. ‘헤어+컬러|헤어+염색’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 염색-, -염색, 헤어-, -헤어, 컬러-, -컬러, 머리-, 기타로 나타났고, ‘헤어+샴푸|헤어+린스|헤어+트리트먼트’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 크게 헤어-, -헤어, 샴푸-,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기타로 나타났으며, ‘두피관리|모발관리’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 크게 헤어-, -헤어, 샴푸-,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기타로 나타났다. 열째, Degree Centrality 분석 결과 ‘헤어’(여성, 스타일, 사용, 모발, 머리 > 헤어 > 제품, 스타, 방법, 미용실, 미용, 메이크업 > 중심, 연구, 디자이너, 답변 > 사진 > 헤어밴드 > 샵, 남자 > 헤어, 펌, 추천, 사람), ‘헤어+커트|헤어+컷’(남자, 디자이너, 머리, 미용, 미용실, 스타일, 앞머리, 여자, 염색, 추천, 펌 > 교육, > 답변, 사진, 정도 > 남성, 단발, 여성 > 느낌, 볼륨 > 디자인 > 방법, 컬러), ‘헤어+펌|헤어+퍼머’(남자, 매직, 머리, 모발, 미용실, 볼륨, 스타일, 염색, 웨이브, 커트, 파마, 펌, 헤어 > 컷 > 미용 > 여자 > 답변, 사진, 시술, 제품, 추천 > 정도, > 앞머리), ‘헤어+스타일링|헤어+드라이’(머리, 미용실, 방법, 볼륨, 사용, 스타일, 연출, 웨이브, 제품, 컷, 펌, 헤어 > 남자, 모발, 샴푸, 왁스 > 답변, 앞머리, 자연 > 메이크업, 사진 > 추천 > 뷰티 > 가능), ‘헤어+컬러|헤어+염색’(머리, 모발, 미용실, 브라운, 사용, 스타일, 염색약, 제품, 추천, 탈색, 펌 > 답변, 색상 > 사진 > 샴푸 > 셀프, 시술 > 정도 > 갈색, 느낌, 컷), ‘헤어+샴푸|헤어+린스|헤어+트리트먼트’(관리, 두피, 머리, 머릿결, 모발, 사용, 염색, 제품, 추천, 케어 > 머리카락, 방법, 손상 > 답변, 정도, 효과 > 탈모 > 미용실, 스타일, 에센스, 컬러, 화장품 > 팩 > 성분), ‘두피관리|모발관리’(효과, 헤어, 피부, 탈모, 제품, 샴푸, 방법, 모발, 머리카락, 머리, 두피, 관리법, 관리, 건강 > 사용 > 필요, 비듬, 경우 > 치료, 때문 > 답변 > 케어, 상태 > 중요)로 나타났다. 열한번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클러스터는 ‘헤어’(‘헤어 관련 검색’, ‘남성·여성 헤어 스타일’, ‘안면인식’, ‘헤어’), ‘헤어+커트|헤어+컷’(‘추천 커트 스타일’, ‘안면인식’, ‘디자이너’, ‘남성 커트 관련’, ‘교육’, ‘퍼머 관련’, ‘남성 커트 종류’), ‘헤어+펌|헤어+퍼머’(‘펌 관련 검색’, ‘캔디 펌’, ‘펌+헤어 시술’, ‘복구 펌’,‘구매’, ‘서비스’), ‘헤어+스타일링|헤어+드라이’(‘볼륨 웨이브’, ‘메이크업+염색’, ‘제품’, ‘답변’, ‘남자 왁스’, ‘미용실’, ‘셀프 스타일링’, ‘부분 스타일링’), ‘헤어+컬러|헤어+염색’(‘헤어 컬러’, ‘스타일링’, ‘염색 제품’, ‘셀프 염색’, ‘천연 염색’, ‘남성 염색+헤어시술’, ‘샵’), ‘헤어+샴푸|헤어+린스|헤어+트리트먼트’(‘샴푸·린스·트리트먼트 관련 검색’, ‘스타일링’, ‘염색’, ‘영양 관리’, ‘케어 제품’, ‘탈모’), ‘두피관리|모발관리’(‘두피·모발관리 관련 검색’, ‘관리법’, ‘답변’, ‘머릿결 관리’, ‘모발 이식’, ‘탈모’, ‘전문 센터’)로 도출되었다. 열두번째, Topic Modeling 분석 결과 각 키워드별 10개의 모델링 그룹으로 도출되었다. 토픽은 ‘헤어’(머리 교정, 모발 제품, 미용실 검색, 헤어 액세서리, 여자 헤어 스타일, 헤어 브랜드 리뷰, 헤어 논문, 미용실 시설, 남자 헤어 스타일, 남성이 선호하는 여자 헤어 스타일), ‘헤어+커트|헤어+컷’(남성 커트 스타일, 커트 자격증, 커트 추천 미용실, 매직+파마, 안면인식, 모히칸 커트 교육, 커트+컬러 학원, 커트 화보, 소셜커머스, 커트 행사), ‘헤어+펌|헤어+퍼머’(퍼머 도구, 스타일링 제품, 미용실 지역, 일본 퍼머 스타일, 앞머리 퍼머 스타일, 아이롱 퍼머, 할인 혜택, 시술 서비스, 오클랜드 미용 대학, 퍼머 교육), ‘헤어+스타일링|헤어+드라이’(남성 스타일링, 머릿결 관리, 뿌리 볼륨 드라이, 메이크업+드라이, 헤어 드라이어, 스타일링 교육, 스타일링 관련 질문, 안면인식, 스타일링 제품 리뷰, 스타일링 제품 구입), ‘헤어+컬러|헤어+염색’(셀프 염색1, 계절에 따른 염색, 염색 교육, 염색과 어울리는 스타일, 염색 유지 및 관리 제품, 복구 염색, 탈색 관련 문의, 셀프 염색2, 천연 염색, 기타), ‘헤어+샴푸|헤어+린스|헤어+트리트먼트’(모발 및 탈모 관리, 제품 추천 문의, 제품 브랜드, 제품 명칭, 헤어 시술 후 제품 사용 문의, 염색 유지 및 관리제품, 제품 향, 퍼머 유지 및 관리 제품, 제품 제형, 기타), ‘두피관리|모발관리’(겨울철 두피·모발 관리법, 두피·모발 영양 관리, 여름철 두피·모발 관리법, 두피·모발 샴푸, 두피·모발 전문가, 탈모 관련 수술, 두피·모발 연구, 두피·모발 노폐물 문의, 두피·모발 교육, 모낭관리)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헤어 미용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의 수행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국내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자동화된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 기법(Automated Text Bigdata Analytics)을 적용한다면 헤어 미용과 관련한 주요 키워드와 Topic Modeling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헤어 미용분야 홍보 마케팅을 위한 텍스트 구성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마구잡이식의 텍스트 나열이 아닌 고객들이 많은 빈도와 중요성을 보인 텍스트를 중심으로 마케팅 문구를 설정하여 온라인의 포털사이트 상위권 배치, SNS의 리트윗, 오프라인의 전단, POP 등의 텍스트 배치를 전략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인 홍보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광주광역시 소재 일부 미용실의 공기오염도와 개인노출

        송미라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2003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 까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미용실 20곳 을 선정하여 24시간 동안 실내․외 오염물질 및 개인폭로 농도와 설문조사를 통하 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실에서 우선 해결해야 할 환경 문제는 먼지, 머리카락 등 입자상 물질과 perm제, 염모제, bleach제 등 약품 냄새가 각각 45%이었으며, 미용실에서 자각하는 증세는 목이 아프다, 눈이 아프고 침침하다, 신경이 예민해진다가 70%로 나타났다. 미용실에서 검출된 VOCs에는 아세톤, 암모니아, 에칠 아세테이트, 퍼클로에칠렌, 자일렌, 톨루엔, 부칠 아세테이트, 디클로로 벤젠, 스티렌 등이 있다. PM10의 실내․외 및 개인노출에 대한 분석결과 개인노출과 실외농도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M10의 실내농도와 건축년도는 상관성 이 있었고 개인농도는 바닥 교체시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톨루엔의 경우는 개인농도와 실내농도, 실외농도와 통계적으로 상관이 있었다. 그 리고, 건축년도에 따라 개인농도가 영향을 받는 결과를 나타냈다. 자일렌의 경우 실 내농도와 실외농도, 그리고 개인농도와 실내농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