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설공사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제도에 관한 연구

        윤한철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Direct Payment System for Payment of Subcontracting is a system to protect people who invested their efforts and costs from risks of chain reaction bankruptcies due to false of primary contractors in the dualistic system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system which are general construction business and specialty construction business, and together with the Subcontract Payment Bond System, it is playing a great role in protecting the subcontract price. In order to protect subcontractors who are actually in a weak position, in case that primary contractors are not able to pay the subcontract price due to their bankruptcies or payment suspension, or if the ordering body, primary contractor, and subcontractor agreed that the ordering body would pay the subcontract price directly,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nd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pprove the right of the subcontractors who have no direct contracts for general contract bond to directly claim the subcontract price against ordering body. For the legal nature of the Claim for Direct Payment, there were some cases that the general contract bond of primary contractor were transferred to subcontractors, but regulating that when the Claim for Direct Payment to Subcontractor takes place, the general contract bond of primary contractors and the subcontract price bond of subcontractors should be subject to lapse can be thought to specially grant preferential performance. Even if the construction payment bond of primary contractors for ordering bodies is garnisheed (sequestrated), it doesn’t affect the occurrence of the Claim for Direct Payment, but the primary range of the Claim for Direct Payment is limited to the subcontract bond with the time that the Claim for Direct Payment occurred. Regarding the case that the ordering body deposit due to concurrence of the Claim for Direct Payment to Subcontractor and garnishment, contract administration officers of public institutions and the general ordering bodies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ly, and the people who take charge of continuous and repetitive contract works should be able to do execution deposit only when they performed Fiduciary Duty well but are not able to identify who the creditor is. In case the primary contractor is a co-receiving body, individual payment claim is included in the contract on the ground of co-contractor-operated, when subcontracting with the co-receiving body, if grounds for direct payment for one of the individual members occur, the subcontractor can claim direct payment for the subcontract price corresponding to that amount of share. Even when the primary contractor performed the subcontract payment bond duty, because the general contract bond of the primary 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 bond of the subcontractor lapsed due to the occurrence of direct payment claim of the subcontractor, they can’t claim Subcontract Payment Bond Deposit for the lapse part, and for the matter of order of priority between advance payments calculation of the ordering body for the primary 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 price direct payment of the subcontractor, if there is no special agreement that subcontract price shall be calculated before advance payments, considering the nature of advance payments, it is natural that it is deducted by the remaining construction payment of the primary contractor, and if there remains any balance, it could be paid by the subcontract price. Considering the fact that Claim for Direct Payment to Subcontractor of the subcontractor against the ordering body is encouraging chaos in the actual application because it only focused on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protection for subcontractors, not being partially harmonized with other fields of law such as present Civil Execution Act, clear revision of legal regulations combined with Civil Execution Act seems to be necessary, and moreover, as direct national intervention is increasing for protection of subcontractors, autonomy and regulation should be balanced for order establishment between primary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이라는 이원적 구조의 건설산업 체계에서 자신의 노력과 비용을 투입하고도 원수급인의 부실로 인한 연쇄도산의 위험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제도는 하도급대금지급보증제도와 더불어 하도급대금 보호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도급거래공정화에관한법률(이하“하도급법”이라 한다) 및 건설산업기본법(이하“건산법”이라 한다)은 실질적으로 약자의 지위에 있는 하수급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원수급인의 파산·지급정지 등 하도급대금을 지급할 수 없는 사유가 발생하거나, 발주자·원수급인 및 하수급인간에 하도급대금을 발주자가 직접 지급하기로 합의 한 경우 원도급채권에 대하여 직접적인 계약관계가 없는 하수급인에게 발주자에게 직접 하도급대금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하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청구권”이라 한다)를 인정하고 있다. 직접지급청구권의 법적성질에 대해서는 원수급인의 원도급대금 채권이 하수급인에게 양도된 견해가 있으나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청구권이 발생하면 원수급인의 원도급대금 채권과 하수급인의 하도급대금 채권이 모두 소멸하도록 규정함으로서 이는 법률이 우선 변제적 효력을 특별히 부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원수급인의 발주자에 대한 공사대금채권이 이미 (가)압류가 경료 된 경우에도 하수급인의 직접지급청구권의 발생에는 영향이 없으나, 직접지급 청구권이 우선하는 범위는 직접지급청구권이 발생한 시점까지의 하도급채권에 한정된다.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청구권과 채권압류가 경합 하는 등의 사유로 발주자가 공탁하는 경우와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계약담당공무원과 일반적인 발주자를 달리 보아야 하며, 계속적·반복적 계약업무를 담당하는 자는 선관주의 의무를 다했음으로 불구하고 채권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경우에만 집행공탁을 할 수 있도록 제한 할 필요가 있다. 원수급인이 공동수급체인 경우 공동계약운용요령상 개별적인 대가지급 청구가 계약내용에 편입된 이상 공동수급체와 하도급 계약시 하수급인은 개개의 구성원 1인에 대하여 직접지급 사유가 발생한 경우 해당 지분에 해당하는 하도급대금에 대하여 직접지급을 요청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원수급인이 하도급대금지급보증 의무를 이행한 경우에도 하수급인의 직접지급 청구권 발생으로 원수급인의 원도급채권과 하수급인의 하도급채권이 소멸하였음으로 소멸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증기관에 하도급대금지급보증금을 청구할 수 없을 것이며, 발주자의 원수급인에 대한 선급금 정산과 하수급인의 하도급대금 직접지급과의 우선순위 문제는 당해 계약내용에 하도급대금을 선급금보다 우선하여 정산한다는 특약이 존재하지 않는 한 선급금의 성질상 당연히 원수급인의 잔여 공사대금 채권과 우선 공제되고 잔액이 있을 경우 하도급대금으로 직접 지급할 수 있을 것이다. 하수급인의 발주자에 대한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청구권은 하수급인의 보호라는 제도적 취지만을 강조한 나머지 형행 민사집행법 등 타 법률과 일부 조화되지 않아 실무상 적용에 혼란을 가져오고 있는바 민사법과 조화되는 명확한 법규정의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하수급인의 보호를 위하여 국가의 직접적인 개입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원수급인과 하수급인간 계약당사자간 자율적인 하도급거래 질서 확립에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음으로 자율과 규제가 조회되는 제도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 建設紛爭에서의 訴訟外的 解決方案

        柳正範 光云大學校 建設法務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last resort to resolve these disputes was the litigation. However, due to the excessive cost, time consumption of the court procedures, it has a limit on the relief of citizen's rights and interests. In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increasing needs of realization of administrative purposes and relief of citizen's rights by the flexible resolution of disputes, and active utilizing the dispute resolution measures rather than the litigation by the court. The interests i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which has shown in the other countries such as USA, can be said that these requests are reflected. Minimizing the da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are the most concerned in the resolution procedure. It shall minimize the cost for resolution of dispute. For this purpose, the time spent for resolving the dispute also reduced and the resolving procedures should be quickly carried out and the expenses for the procedures shall be cost less at the same time. Fair treatment in dispute resolution shall be guaranteed, Fairness is operated as a core vaiable in the accepting the result of resolution and admitting the justness of its procedures by the parties. It shall improve the relationship of the parties. With understanding the other party during the procedures, it shall reduce the possibilities of future's disputes, and be the method which can keep the peace out of the status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of the parties' routine relationship. the result of dispute resolution shall secure the stability. It should not make the parties confront again because of the execution such ad the translation or the application of dispute resolution methods. And it shall prevent from occurring similar disputes. In view of these conditions, above standards are seemed to have suggested one direction for the construction dispute resolution. Construction claim has the characteristic that it once4 filed, has the big amount claimed and various issues and complexity of case. This characteristic inevitably requires long period and much money to re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e methods which can resolve the dispute with reducing the conflict between the parties and less cost in a short period are earnest, and these requests can be met with ADR. The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ediation and arbitration mainly among the negotiation, settlement mediation and arbitration which are used as the type of ADR in Korea, and suggest the problem of those measures and improvement measures. Speciall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nstruction Dispute Concliation Committee and Architectural Dispute conciliation Committee which are the administrative arbitration institutes among various ADR methods to resolve the claims and disputes. Also there is the study on the problems and current status of private ADR sectors. Regarding the arbitration method, which is used mostly except the litigation,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selective Arbitration Clause' which is outstanding question are dealt with seriously in this syudy. Although many isstitutes for the arbitration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enactment of regulations, but their purposes are not met with them, so with considering current status, diagnosed the problems and proposed the effective operating methods of construction conflicts. In these mean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legal and systemic aspect rather than technical aspect. In there of, the following study is conducted and improved,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the industries business management.

      • 건설시공사의 공사대금 회수에 관한 연구

        이제욱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건설현장의 경우 전반적으로 그 규모가 크고, 건설공사와 연관된 다수의 당사자가 복합적이고 다양한 권리․의무관계를 구성하고 있다. 금융기관 PF자금 조달을 통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 건설시공사, 건설시행사 및 금융기관간 PF약정서 및 사업약정서 등의 체결을 통하여 채권보전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그간의 관행은 금융기관이 주도적으로 약정서의 내용을 결정하여 시공사의 채권보전 방안을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시행사 도산시에 시공사가 궁극적으로 모든 손실을 부담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금융기관이 시공사의 연대보증 약정만을 의존하여 시행사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적정하게 수행하지 못한 측면이 크다. 따라서 시공사는 사업초기 약정서 체결시에 채권보전 조치를 위한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사업초기 거래 상대방을 믿고 채권보전관련 약정이 미비된 경우 향후 분쟁발생시 공사비 채권회수에 있어 상당한 손실을 보고 있으며, 금융권 PF대출의 연대보증 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엔 더욱더 심각한 국면을 맞이하게 되어 수많은 건실한 시공사들이 도산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건설시공사의 위기상황에서 효율적 해법을 제시하여 건전한 건설문화 형성에 기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심각한 문제는 시행사 대표의 횡령 등에 의한 도덕적 해이 상황인데, 책임준공 의무 및 PF대출 연대보증 의무를 부담하는 시공사는 시행사와의 여러 분쟁상황에서 문제해결을 위하여 여러 가지 법적쟁점(유치권, 저당권 설정 등기청구, 신탁, 공매, 경영권 양수 등)에 봉착하고 고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공사의 시행사에 대한 공사대금 회수관련 분쟁상황시 시공사가 취할 수 있는 조치 방법을 기술하고, 적용상의 비현실적인 부분 및 입법적 미비로 인한 방법상의 한계 및 문제점들을 적시하였다. 현행 건설시공사가 주로 취하는 회수방법상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수급인이 유치권 행사하는데 있어서 현실적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공사대금 담보를 위한 저당권 설정등기 청구의 비현실성 및 저당권 취득상의 특수한 문제로 골프장 담보가치 산정시 회원권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문제가 있다 셋째, 시공사가 공사대금 채권 담보를 위하여 신탁사의 신탁제도를 이용하게 되나 이와 관련 신탁법 제8조 사해신탁 규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골프 사업장 공매낙찰자의 영업권 양수관련 체육시설업법의 입법상 문제점과 조속한 개정의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시행사의 도덕적 해이 및 도산 등의 사태로 파탄에 이른 경우 건설시공사가 시행사의 경영권 인수를 위한 방법 중 주식 양도담보권을 행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법제도의 미비 및 시행사의 반발로 인한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해결의 방법으로 시행사 및 이해관계인과의 극단적 분쟁 상황속에서 기업회생절차를 통한 M&A도 시공사가 채권회수 및 금융권 PF대출 연대보증채무 해소를 위하여 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며 향후 추가로 연구해야 할 부분이다 In the construction work, generally the scale is massive and many parties are involved in a complex legal situation. In case of proceeding construction work by funding from banking institution, project financing contract and business contract are made among the developer, contractor, and the banking institution. contractor is supposed to do due diligence in writing project financing contract and business contract to Secure contractor loan but banking institutions are usually in a superior position in the transactions with the other parties. So, There have been business practices that banking institutions exclusively have decided the conditions and contents of the contracts without considering contractor's loan collection. Consequently, in case of the bankruptcy of developer, contractor takes over all the responsibilities of business failure and ultimately leads to sequence bankruptcy by failing to collecting loan. this result comes from that banking institutions do not do due diligence depending on solely the guarantee of the contractor. therefore, developer should take aggressive attitude when business contracts are made by banking institutions in the begin of business. If contractor does not do due diligence in making business agreement, in the future, When contractor get in dispute with developer, Contractor will have difficulty in collecting contractor loan and significant loss. even in the case of contractor's gurantee for the developer's PF, Contractor will have more serius problems and lead to bankruptcy. therefore, in this contractor's crisis situation The need for the suggesting a solution of securing contractor loan is urgen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ound construction culture.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e moral hazard of the developer by embezzle, etc. In this situation contractor is concerned about finding a solution to dispute with developer, thinking of legal issues(lien, settlement of mortgage, trust, public auction by trust company, taking over control of a company). therefore, When dispute about contractor loan collecting with developer occurs, this thesis describes appropriate general measures, pointing out the limits and problems caused by loophole in the law.

      • 建設共同受給體에 관한 法的 硏究 : 判例를 중심으로

        정경섭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Two or more construction companies cooperate through a joint venture contract. it was introduced to protect for small construction either companies or local businesses. joint venture contractors can reduce the unpredictable risks that may occur in construction projects. Joint venture are reality consisted of more than 2 members to perform potentially. Base on the construction method, joint venture can be divided into joint implementation way, sharing implementation way and prime contractor management way. According to the each type, legal relationship of joint venture can be different greatly. With respect to the legal nature of joint venture, theories of union, unincorporated division, sharing union, dichotomy are divided on the Civil law, but precedents basically regard joint venture as an union. First of all, we have to figure out how the law governs organizations, union and unincorporated division and then understand further characters of joint venture . Surrounded by joint venture, legal precedent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venture and contractor, the relationship of joint venture with the 3rd party, the issues of the effect of the contract that some members from joint venture signed, issues related to withdrawal of some members were reviewed. Related to the contract implementation responsibility of joint venture, members of joint venture have joint liability in the joint implementation way. on the other hand, each member has an individual liability in the sharing implementation way. Regard to the effect of any agreement to joint venture signed by some members. we can be divided into 4 types about the contract with subcontractors and some members. the precedents are based on the liability provisions for subcontractors of the joint venture standard agreement. In conclusion, we can prevent potential conflicts through joint venture. and to do this, we must make the most perfect operating instructions in detail. we need to think seriously whether it is possible to admit joint venture as a division. if these action do, joint venture legal dispute would be able to reduce farther more. 오늘날 건설업계에서는 2인 이상의 건설업자가 공동도급계약을 통해 공동수급체를 결성하여 공동으로 건설공사를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공동도급계약 제도는 중소건설업체와 지역 업체의 보호․육성이라는 차원에서 도입되었는데, 공동수급체는 공사의 규모가 크거나 예측 불가능한 위험 요소가 강한 건설공사에서 운전자금과 위험을 분담시키거나 기술 또는 사업자격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공동수급체란 “구성원을 2인 이상으로 하여 수급인이 당해 계약을 공동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잠정적으로 결성한 실체”를 의미한다. 공공부문 공사에 있어서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과 이를 근거로 한 기획재정부 회계예규인 ‘공동계약운용요령’이 공동수급체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공동수급체는 시공방식을 기준으로 할 때 공동이행방식과 분담이행방식, 그리고 주계약자관리방식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유형에 따라서 공동수급체의 법률관계는 크게 달라진다. 공동수급체의 법적 성질에 관하여는 민법상 조합설, 비법인 사단설, 지분적 조합설, 이분설 등 학설이 나뉘고 있으나, 판례는 기본적으로 공동수급체를 민법상 조합으로 보고 있다. 공동수급체의 법적 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 법이 단체를 어떻게규율하고 있으며, 조합과 비법인 사단의 구별기준이 무엇인가를 검토하여 보고 이를 공동수급체라는 단체에 투영시켜 공동수급체가 조합과 비법인 사단 중 어느 것과 더 유사한가를 살펴보았다. 공동수급체의 선급금반환 문제와 관련하여 판례가 기존의 공동수급체에 판단과 다른 입장을 보이는 점과 공동도급계약운용요령과 이에 첨부된 공동수급체표준약정서가 선금 등을 공동수급체 구성원에게 직접 지급하도록 한 점을 근거로 공동수급체의 법적 성질을 지분적 조합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공동도급계약운용요령과 이에 첨부된 공동수급체표준약정서의 개정취지가 공동수급체의 공사수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라는 점과, 공사대금을 구성원에게 직접 지급한다는 것이 바로 공동수급체 구성원에게 지분적 권리가 있다고 인정하기는 무리라는 점 등을 고려하면 지분적 조합설에도 문제가 있다고 보여진다. 공동수급체를 둘러 싼 법률관계에 관한 주요 쟁점들을 판례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는데, 주로 도급인과 공동수급체의 관계, 공동수급체와 제3자와의 관계, 공동수급체의 일부 구성원이 체결한 계약의 효력 문제, 그리고 공동수급체 일부구성원의 탈퇴와 관련한 문제들을 검토해 보았다. 공동수급체의 공사대금채권과 관련해서는 공동수급체의 구성원이 공사대금을 직접 청구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민법상 조합설은 이를 부정하고, 지분적 조합설은 긍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판례는 공동수급체 구성원의 공사대금 직접청구를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지만 아직까지 주류적인 판례는 이를 부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동수급체 재산에 대한 제3자의 강제집행도 이를 인정할 지에 대하여는 학설에 따라 결론이 달라지고 있으며, 판례는 이를 부정하는 것이 주류적인 입장으로 보인다. 공동수급체의 계약이행책임과 관련해서는 공동이행방식은 구성원이 연대하여 책임을 져야 하지만, 분담이행방식의 경우에는 각 구성원이 분담한 부분만을 책임지는 개별책임이 인정되고 있다. 공동수급체의 하도급대금채무와 관련해서 판례는 조합채무가 특히 조합원 전원을 위하여 상행위가 되는 행위로 인하여 부담하게 된 것이라면 상법 제57조 제1항을 적용하여 조합원들의 연대책임을 인정할 수 있다고 한다. 공동수급체의 일부 구성원이 체결한 계약의 효력과 관련해서는 공동수급체가 하도급계약 등을 체결하는 유형을 4가지로 나누어 그 효력이 어떻게 될 것인가를 검토해 보았고, 판례는 공동수급표준협약서의 하수급인에 대한 책임조항을 근거로 ‘제3자를 위한 계약’으로 보아 공동수급체 구성원들의 책임을 인정한 것, 공동수급체의 법적 성질이 민법상 조합이라는 점에서 나머지 구성원에도 효력이 미친다고 판시한 것들이 있다. 공동수급체의 일부 구성원이 체결한 계약의 효력에 관해서는 계약의 당사자가 누구인가를 확정하는 시각에서 당해 계약 체결의 제반사항 등을 종합 검토하여야 하는 것으로 접근하여야 한다고 본다. 공동수급체 구성원의 탈퇴와 관련한 문제 중에서는 민법 제717조가 조합원이 파산한 경우 조합에서 탈퇴하도록 하고 있는데, 공동수급협정서는 당연 탈퇴가 아닌 일정한 탈퇴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으로 하여 양자가 배치된다는 견해가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판례가 원칙적으로는 민법 제717조가 강행규정으로 우선하나, 다만 탈퇴를 시키지 않아도 파산한 조합원의 채권자를 해할 위험이 없는 경우에는 임의약정을 유효로 볼 수 있다고 하여 조화롭게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잔존구성원의 공사대금 청구 문제와 관련해서는 잔존구성원이 탈퇴한 구성원의 잔여공사를 완성한 경우 잔여공사에 대응하는 공사대금을 취득할 수 있는 법리적인 근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공동수급체의 소송수행 형태에 관해서는 공동수급체 각 구성원이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공동수급체 재산의 보존행위나 공동수급체의 통상사무에 관한 것을 제외하고는 공동수급체의 능동소송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필수적 공동소송의 형태에 의하거나, 임의적 소송담당을 이용하여 공동수급체의 대표자로 하여금 소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공동수급체를 둘러 싼 잠재적인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조치에는 무엇이 있는가를 고민해 보았는데, 공동수급체를 우리보다 먼저 활용한 선진국의 경우 대부분이 비교적 상세한 운영지침을 작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동수급체의 법률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영지침을 상세하게 작성하는 것과, 공동수급체가 독립된 사단으로 인정받지 못함으로 인하여 공사대금의 수령 등 제반사항이 운영상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공동수급체를 사단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즉, 공동수급체의 법인화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고, 위 조치들이 이루어진다면 공동수급체를 둘러 싼 법률분쟁은 상당 부분 감소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고 보았다.

      • 建設紛爭에 있어서의 訴訟外的 紛爭解決制度에 관한 硏究 : 仲裁制度를 중심으로

        김진세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Because of the many variables complicatedly entangled, once a dispute arises within construction industry the claim amount is considerably high. If the matter extends into a lawsuit, depending on the issue, high court cost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will be required to resolve the matter as well as expert knowledge in the field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ere has been a steady movement to solve these problems, replacing trials that leave grudges and settle disputes in a short period as possible with lower affordable costs through experts with extensive knowledge in the area. Amongst those the utilization of the arbitration policy is considered to be most rational betwee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and therefore aim to resolve the disputes between participating part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a rational dispute resolution focusing mainly on the arbitration policy amongst the variou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ADR). Contrary to the coercive nature of a legal procedure (lawsuit) ADR is non-judicial and is more self-regulatory, different forms of ADR are used to resolve various disputes such as conciliation, mediation, arbitration, mediate-arbitration, mini-trial, partnering, dispute resolution board etc. Korea mainly adapts mediation and arbitration policies for dispute resolutions. Especially, the arbitration policy has much higher advantage points compared to other ADR policies as it not only possesses the advantages the other policies hold but the arbitration award, decided through arbitration procedures, is analogous to a judgment in a court of law. Because the arbitration procedure is completely closed to public and that both participating parties can continue to maintain an amicable business relationship, there is a need to review its frequent use as a method of dispute resolution. Till today the legal procedure (Litigation) is preferred by most parties in a construction dispute for resolution. But considering the time, cost and the technical expertise that is required one needs to consider carefully in choosing the method of resolution for a dispute. Although considering the fact of the inequality of Korean contract customs, symbolically represented by the "buyer" and "seller" it is understandable to favor litigation through a court of law it is not necessarily yield the most rational of results. The development of the ADR policy in the US construction sector is a result of a mutual consensus that has formed betwee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judicial circles, due to the frequently reoccurring irrationality during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through litigation. But looking upon the litigationcases regards to arbitration in Korea, because of the failure to bring the dispute resolution procedure to the public sphere in order to find the rational dispute resolution method, prioritizing its consensus and the adaptation of various methods in it early stages, we are still experiencing a stage of trial and error. Particularly, the controversy over the arbitration award results projecting these problems as well as the disputes over arbitration consent only shows that the participating parties, utilizing the arbitration policy, lacks mutual consensus. Even so, the arbitration policy is a much more rational dispute resolution procedure compared to othe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ADR) as well as being efficient in cost and time consumption, it is supporte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is thesis mainly presents the general forms of construction claims and amongst the forms of ADR, the problems and course of future development of the arbitration policy, putting more weight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han the technical points. Thus if such research is to continue it will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disputes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산업은 다양한 복잡성으로 인해 분쟁이 한번 발생하면 청구금액이 크고, 재판으로 확대되면 사안의 내용에 따라 높은 소송비용과 그 해결에 장기간이 소요되며, 건설산업의 특성상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저렴한 비용으로 감정의 앙금이 남는 재판을 대체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들로 하여금 분쟁을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재제도의 활성화가 소송을 제외한 건설분쟁 해결방법으로서 가장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들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AD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제도 중에서 중재제도를 중심으로 건설산업 참여주체들 간의 합리적인 갈등해소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는 전통적 분쟁해결 방법인 재판절차(소송)의 강제적 의미에 반하여 비소송적이며 자율적인 분재해결제도는 알선, 조정, 중재, 조정-중재(Med-Arb), 간이심리(Mini-Trial), 파트너링(Partnering), 분쟁심사위원회(Dispute Resolution Board)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각종 분쟁의 해결에 이용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주로 조정, 중재 등의 분쟁해결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중재제도는 특히 재판외 분쟁해결제도가 가지는 장점과 더불어 중재절차를 통해 얻어지는 중재판정이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른 제도들보다 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중재절차에서의 비공개성과 중재가 성립된 이후에도 양당사자가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계속적으로 거래관계를 지속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이용이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금까지는 건설분쟁의 기본적인 해결절차로서 대다수의 분쟁당사자들이 소송을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감안하고 사안에 관련된 기술적 전문성을 감안한다면 소송에 따른 분쟁해결 절차의 선택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갑”․“을”로 상징되는 우리나라의 현실적인 불평등한 계약 관행에 비추어 볼 때 법원의 판결에 의한 소송을 선호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나, 소송에 의한 해결이 반드시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시키지는 못한다. 미국의 건설분야에 있어서 ADR제도가 발전한 것은 소송에 따른 분쟁해결 과정에서 도출되는 불합리가 충분히 쌓여서 건설산업계, 법조계의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중재관련 소송사례를 보면, 분쟁해결의 합리적인 절차를 모색하기 위하여 분쟁해결절차를 공론의 장으로 가져온 뒤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공감대의 형성이 우선되지 못한 상태에서 초기 여러 절차의 적용에 따른 시행착오의 과정을 아직까지 겪고 있다. 특히 중재판정의 결과에 대한 논란은 이런 문제를 반영하고 있으며 중재합의에 대한 문제 역시 아직 중재제도를 활용해야 하는 당사자간의 공감대가 미흡하다고 밖에 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재제도는 분쟁해결 절차로서 다른 소송외적 해결방안에 비하여 훨씬 합리적이고 시간과 비용의 측면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제도임은 분명하며 국내외의 사례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클레임에 대한 전반적인 유형과 건설클레임의 소송외적 해결방안에 중에서 현재 중재제도의 문제점, 발전방향을 중점적으로 제시하였고, 건설분쟁의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법적, 제도적인 측면에 연구의 비중을 두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내용이 지속적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건설산업계의 분쟁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建設共同受給體의 法律關係

        김채영 光雲大學校 建設法務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title of this paper is the Legal Relations of a Joint Construction Contract Corporation.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is universal in the construction community to activate the local economy, bolster SMEs through the expansion of construction orders, and maximize synergy effects through the cooperation among companies. However,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causes many problems because it is only used for receiving orders. Despite the problems and disputes involved in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studies on the legal relations of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are lacking. Therefore, the author needs to explore the operating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and search for and study rational solutions. Korea introduced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from overseas. Therefore, the author studied the situations, background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in foreign regions such as the US, Japan, and Europe before discussing the legal relations of Korea's joint contract work system. The author ascertained that the execution of Korea's joint contract work system is based on 'The Act on Contracts with the Nation as a Party', 'The Operation Outlines of Joint Venture Contracts' (accounting regulations of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Joint Venture Contract Operation' (notice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author also learned that the main contents of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regulate the joint contract system, compulsory joint venture contracts by local companies, the preferred system in joint venture contracts by local companies and the prescription of joint venture contract types. The author studied the operation situation of joint venture contracts based on the latest five-year statistics and types of construction joint venture contract systems. The legal relations of joint construction companies is regulated by 14 articles of 'The Operation Outlines of Joint Venture Contracts' (accounting regulation of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enacted by Article 25 of 'The Act on Contracts with the Nation as a Party', and Article 7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Contracts with the Nation as a Party' and 2 joint contract standard agreements attached to 'The Operation Outlines of Joint Venture Contracts.' However,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which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economic situations, the necessity of regulation, and the requirements of the parties concerned, caused legal disputes and cast doubt on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The theories of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contract work system are classified as an association of civil law, unincorporated association, and shared association and duality. The joint implementation is usually considered as an association in civil law. There has been not any judgement consistent in individual implementation methods. As the legal relations between contractors and joint construction companies are the relationships of concerned parties in construction work, some problems may arise involving contract implementation responsibility, construction payment bond, completion and so on. The legal relations in the joint implementation method and the individual implementation method differ in contract implementation responsibility. The legal considerations in the construction payment bond are the claim for construction payment for contractors, the compulsory execution of the claim for construction payment by third parties and the limit of the claim for construction payment by the remaining members in joint construction companies from which some members withdraw. The legal relations between third parties and joint construction companies involve the joint responsibility for construction payment in subcontracting and the validity of subcontracting in the names of some members. The validity of subcontracting in the names of some members is considered carefully when the subcontractor is or is not the representative of a joint construction company. The judical cases are not consistent according to the cases. The author studied the legal relations among contractors, joint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ird parties on appeals against court orders of credit transfer, and the countermeasures of contractors against decided provisional seizure and compulsory execution such as provisional seizure, seizure, and collection in cases of joint implementation method and individual implementation method. The author also studied the countermeasures when contractors payed the seized construction bond to the creditors of the joint construction company members in the joint implementation method. Lastly, the author studied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joint construction work system. The problems are the necessity of system, equity, uniform order method, the tool only used for receiving orders, deficiency in detailing operation guidelines, legal personalities of joint construction companies, difficulties in forcing companies in breech to withdraw, agreements, and types of joint contract. The solutions are consideration to resolve problems, improvement of ordering methods, revision of regulation standards such as joint contract operation guidelines, explicit agreements on joint construction companies, granting incorporated association status to joint construction companies and a prime contractor system. 본 논문은 그 제목을 건설공동수급체의 법률관계로 정하였다. 공동도급제도가 중소기업체의 수주기회 확대를 통해 중소기업 육성 및 지방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업체들 간의 협력을 통한 시너지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도입되어 현재는 공동도급계약형태가 건설업계에 보편화 되어 있지만, 단순 수주만을 위한 제도로 운영됨으로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등 최근 공동도급계약제도가 본래의 도입취지와는 달리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고 이를 둘러싼 분쟁이 상당히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법적 관계에 대하여는 연구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운용실태와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합리적 개선방안의 모색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였다. 우리의 공동수급체 제도의 법률관계를 논의하기 전에 우선 공동수급체 제도는 외국의 제도를 도입한 것이므로 미국, 일본, 유럽 등의 공동수급제도의 외국현황 및 도입배경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그 기능, 특성 및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 공동수급체 제도의 시행근거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과 기획재정부 회계예규인 공동도급운용요령 및 건설산업기본법과 국토해양부 고시인 공동도급 운영이라는 점과 그 주요내용이 공동계약제도, 지역의무공동도급, 지역공동도급시 우대제도, 공동도급의 유형 등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 및 최근 5년간의 통계를 통하여 그 운영 실태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동도급 제도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25조 및 시행령 제72조에 의해 제정된 기획재정부 회계예규로서 공동도급계약운용요령이 제정되어 위 예규의 본문 14개조와 이에 첨부된 2개의 공동수급표준협정서가 공동수급체의 기본적 법률관계를 정하고 있으나 그때그때의 경제현황 및 규제의 필요성, 이해관계인의 요구 등에 따라 관련법규를 마련함으로 인하여 공동수급체와 관련된 많은 법률적 분쟁이 발생하고 그와 관련하여 공동수급체의 법적 성격이 논의되고 있는데, 그에 관하여 학설은 민법상조합설, 비법인사단설, 지분적조합설, 이분설 등 견해가 나뉘어 있고, 판례는 공동이행방식의 경우에는 민법상 조합으로 보는 것이 대체적인 견해이나 분담이행방식에 의한 경우는 아직까지 판결이 없는 상태이다. 도급인과 공동수급체 사이의 법률관계에서는 건설공사의 당사자의 관계이므로 계약이행책임과 공사대금채권, 준공처리 등이 문제되는데, 계약이행책임과 관련해서는 공동이행방식과 분담이행방식이 서로 내용이 다르고, 공사대금채권과 관련해서는 도급인의 공사대금청구권, 그 공사대금청구권에 대한 제3자의 강제집행, 구성원일부가 탈퇴한 경우 잔존구성원의 공사대금청구의 범위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제3자와 공동수급체 사이의 법률관계에서는 하도급을 준 경우 공사대금채무의 연대책임여부, 일부 구성원 명의로 하도급 등의 계약을 체결한 경우의 효력 등이 주로 논의 되는데, 후자와 관련해서는 그 계약의 효력이 있는지와 관련하여 하도급계약자가 공동수급체의 대표가 아닌 경우와 하도급계약자가 공동수급체의 대표인 경우를 나누어 중요하게 논의되고 판례도 각 사례에 따라 다양하여 일관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급인, 공동수급체 및 제3자 사이의 법률관계에서는 도급인의 제3자의 공사대금채권에 대한 가압류 등 강제집행과 관련하여 가압류, 압류 및 추심 또는 전부명령 자체에 대한 불복방법, 기결정된 가압류 및 강제집행에 대한 도급인의 대응책을 분담이행방식의 경우와 공동이행방식의 경우를 나누어 고찰하였고, 공동이행방식에 있어서 도급인이 압류된 공사대금채권을 구성원의 채권자에게 지급한 경우의 대처방안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공동수급체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문제점으로는 수급체 구성원의 저조한 시공참여, 획일적인 발주방법, 수주를 위한 수단으로만 활용, 운영세부 규정의 미비, 공동수급체에 대한 법인격 문제, 불성실 업체에 대한 탈퇴 강제의 어려움, 협의나 약정의 문제점, 공동도급 유형별 문제점 등을 제시하였고, 개선 방안으로서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고려사항 제시, 공동도급 내용의 심사, 발주방법의 개선, 공동도급운용요령 등 규제기준의 개정, 공동수급체에 대한 명시적인 협의․약정, 공동수급체의 사단성 인정, 주계약자 제도의 시행 등을 제시하였다.

      • 건설공사 품질관리의 제도적 개선 방안 : 건설기술진흥법을 중심으로

        이현철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내 건설공사의 과도한 경쟁 및 품질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계속적인 대형 품질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대책 및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건설공사의 품질향상은 크게 발전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건설공사 품질관리와 관련된 법규들을 보면 건축법, 건설산업기본법 및 건설기술진흥법(구. 건설기술관리법) 등이 있다. 특히, 건설기술진흥법의 경우 2013년 5월 22일 건설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건설기술 관리체계를 규제 중심에서 관련 산업의 진흥과 지원 중심으로 전환하고, 세분화된 건설기술용역 업무 영역 및 건설기술인력 분야를 통합하여 국내 건설기술산업의 해외진출과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건설기술관리법」을「건설기술진흥법」으로 전면 개정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제도 개선을 위하여 노력을 하고는 있으나, 건설업의 품질관리 개선을 위해서는 더 많은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건설업의 품질관련 제도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품질관련 제도들이 건설 품질관리 개선에 얼마나 효율적인지를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관련 판례 및 외국사례 등을 조사·연구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건설 품질관리의 제도개선을 유도하고자 한다. 개선방안으로는 품질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하여 건설기술자 경력 구분과 선임 등에 대한 방법을 개선하고 건설공사 부실측정 대상을 확대하며, 품질관리비의 현실화를 통하여 품질관리를 우선으로 하는 품질관리 문화를 정착하고자 한다. 또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품질시험업무의 아웃소싱을 통하여 전문성 확보 및 품질시험 인력의 고용 안정성 증대에도 기여를 하고, 실질적인 품질관리계획 수립을 통한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정착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건설 품질관리에 대한 정부정책을 지원하고, 건설현장의 품질 선진화를 위한 지원과 D/B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개선을 주도할 수 있는 전문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며, 이런 제도적인 개선을 통하여 건설 품질관리의 선진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판단이 된다. Large scales of quality related incidents have been continuously occurred in the construction sector in Korea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quality management and excessive competition in the concerned sectors. A variety of measures and institutional revisions have been implemented to improve these issues, but, it is widely accepted that significant quality enhancement in construction works has not been achieved. Currently, laws and regulations on quality management for construction works are as follows: Acts on Building,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Promotion Act on Construction and Technology (Previously,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In particular, as for Promotion Act on Construction and Technology,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was fully revised into 「Promotion Act on Construction and Technology」 on May 22, 2013 with the aims of reinforcing the competitive edges of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It also emphasizes on transition from regulating the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to supporting and promoting the concerned industries, and integrating segmentalized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service areas, and its work forces to facilitate overseas expansion and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industry. Even though huge efforts have been mad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 various fields, the further improvement and modification of institutional frameworks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sector. To cater to thi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quality related regulations of construction sector and to present current issues and to suggest potential improvement measures. This paper will examine how efficient qualit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re in terms of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ector. It will draw upon the adequate improvement measures by surveying and researching relevant cases and international practices so that it would provide guideline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quali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For improvement measures to heighten the awareness of the quality management, it seems necessary to revise thecriteria for career and qualification of construction engineers, expand the target for investigation on the defective construction works, and to make quality management cost realistic in order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formulating the quality management oriented culture. Also, it seems necessary to secure expertise by outsourcing quality and test, which is normally conducted at work sites, and contribute the stability of employment of quality and test workforces. Furthermore, quality management process would be settled by formulating practical quality management plans. Finally, it seems necessary to support government policy on quality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sector, and advancement of quality at construction sites, implement DB, and establish dedicated agencies, which will initiate continuous improvement. With these institutional improvements, advancement of quali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ector can be achieved.

      • 건설공사 하도급 대금지급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심상경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법률적, 제도적 측면에서 건설업 하도급 대금 지급 제도와 그동안의 하도급자 보호를 위한 업계 및 정부 차원의 노력을 살펴보고 시장경제원칙에 부합되는 합리적인 하도급 대금 지급 제도가 마련될 수 있는 개선안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건설업의 하도급 체계에서 발생한 불공정거래 중 대금 지급 관련 문제를 대상으로 하여 원·하도급 간에 대금 관련 불공정거래를 연구 범위로 한정을 하고, 건설공사 하도급 대금 지급 상 문제점에 대한 법·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설하도급은 건설업의 근간으로서 건설산업의 발전과 고용 증대를 통하여 국민경제 성장에 기여해 왔다. 건설 분야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고 서비스업 등과 달리 전후방산업연관 효과가 큰 점을 감안할 때, 하도급 거래는 우리나라 산업구조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건설산업은 수주산업, 주문생산이며 계절변동이 큰 특성을 갖는다. 자금, 인력·시설장비 등 생산요소 보유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커 고정비 최적화가 중요한 대표적 산업이다. 또한, 역할에 따른 분업과 특화의 변이가 발달한 분야로서, 종합건설업자가 복합공사를 직접 시공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보다는, 전문공사 업종의 분야별 하도급이 효율적이어서 분업화된 생산체계가 일찍이 확립되었다. 하나의 목적물을 완성할 것을 전제로 함께 시공하는 원·하도급자간의 신뢰는 부실시공을 근절할 수 있는 기초이며, 우리의 건설산업은 이러한 원·하도급자간 상호 신뢰관계를 토대로 발전하여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1990년대 말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이러한 신뢰관계가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당시의 위기상황으로 인한 연쇄부도 등의 문제도 있겠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면허개방 및 등록 기준 완화 등에 따른 부실업체 난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실업체의 난립에 따른 시장질서 붕괴로 전통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상호간에 신뢰가 사라지고 상호 적대적인 관계로 변질됨에 따라 전문건설업체는 정상적인 하도급계약과 이에 따른 대금의 지급보장, 적기지급 등을 요구하게 되었다. 즉 지속적 거래관계에서 1회적 거래관계로 전환되면서 더 이상 신뢰관계를 토대로 한 거래 행위는 불가능해짐에 따라 법에 의한 보장을 요구하게 되고 하도급자 보호를 위한 규제가 강화되었다. 다양한 하도급 보호 법률과 제도를 통해 대금지급의 보장하도록 하고 있지만 하도급자 보호라는 명분에만 집착, 전문건설업체만을 위한 대책으로 원도급자나 전문 업체와 거래하고 있는 자재·장비업자 등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도외시함에 따라 실질적인 하도급 보호대책이 될 수 없다는 의견이 팽배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도급은 본격적인 산업사회의 등장과 함께 일관생산이 가지는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효율적인 분업적 생산방식이다.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에서도 하도급 생산은 이미 정착된 지 오래이며 앞으로 점차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도급 계약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생산의 대가 즉 하도급대금 지급과 관련한 불법행위는 건설업 나아가 우리 사회의 오랜 숙제이기도 하다. What I try to do is in this study is looking into a payment for subcontract system as a legality and institutional aspect, business worlds and governmental effort for a subcontractor protec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and finding an improvement scheme that can make a reasonable payment for subcontract system which is correspond with the market economy. This study's target is the matter of payment in unfair trade in subcontractor system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study's limitation is unfair trade in construction subcontract. And I will suggest the legality and institutional corrective remedial to drawback in payment for subcontractor system. Subcontract is a foundation of construction; it has been contributing for growth our economy through the increase of employment and construction industry's development. Construction field take a lot of importance in our economy and consider that it has lots of effect in inter-industry relation as a differ from service industry, subcontract makes foundation in our industry.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 obtain order and order production, and it has a characteristic which is seasonal variation. It is a representative industry which is important that demanding optimization because it has a huge burden in fixed costs through fund, man power, facilities etc. And also it is a field that developed in division of labor as a role and modification of specialization, so construction for division is established earlier. The trust between contracting parties that premise at complete one object can eradication a shoddy and fault construction, the fact that it makes our economy developmen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But the end of 1990s foreign exchange crisis makes collapse the trust. That can be another reason ex- chain bankruptcy but an immediate cause is license open and lowers the registration standards and insolvent enterprise. A lot of insolvent enterprise cause collapse market order so traditional trade relationship isn't maintained no longer and disappear the trust that relationship was changed, so expert construction firm request that payment guarantee which is protect with law. But they ignore the difficulty facilities owner who trade expert firm. Along these reason it isn't realistic protect policy. Construction is efficient production formula that can be conquest disutility that consistency production theory. There is a big possibility to spend this construction formula. So, we have to study about an unlawful act in payment for construction. Because payment for subcontractor is very important thing in construction contract.

      • 우리나라 建築民願 低減制度에 관한 硏究 : 環境 紛爭調停制度를 중심으로

        이주진 光云大學校 建設法務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Chapter 1 Introduction Construc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working on noise, dust, vibration,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shows the possession of a variety of complaints filed. 70-80's "economy of scale", "growth-oriented policies]," the construction of the country pyeoon impact on the environment, it is true to some extent been overlooked, in the vicinity of construction work being performed is part of the inhabitants of this The prevailing mood, respectively. However, 7,80 's economic development in the late 90s, compared to the civil ceremony and then made a dramatic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idney and a value together than the "quality of life" is more important is the value. The fact that complaints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cheokdora can increase the number of complaints filed and other related construction disputes, litigation, etc. is increasing can be found in the statistics. Also, in modern society no longer a violation of their rights and interests of states and local governments, businesses for a particular industry, such work does not have to sacrifice yourself, enjoy their rights to demand adequate compensation for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is. Accordingly, this paper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enjoy civil rights violations as an element of a particular building, caused by, the social cost of wasteful spending and reduce disputes and construction occurred during analyzing the complaint prove beneficial in the direction of the reduction measures were in progress. Chapter 2 The concept of civil construction Construction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civil complaint filed in the calm, the lawsuit filed in the courts, to appear in the various disputes between them on the steering committee agreed on the decision and the dispute can be divided into induction. Also,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work in progress of the project parties and the potential for civil rights violations and the implied charge that the injured party receives vary,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work occurring and attribute different types of complaints are expected to . Accordingly, the complaint occurred during construction in order to reduce the totality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and construction phase of this study appear in the dual in the complaint were investigated. Construction work in progress that may occur in the construction phase of the civil parties to the principal or the construction work will appear in the form of principal and nearby residents, which include government agencies to solve the counter and showed that the most widely used. But the amicable agreement for services at government agencies and to remind ourselves that we are accomplishing the action, the actual compensation of the injured party can meet the needs of each kind of processing agency's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or law enforcement agencies. Chapter 3 Dispute Resolution System and the Environmental Dispute Coordination Commission Construction complain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processing of complaints received, and most of the agencies and the Environmental Dispute Coordination Commission, check to see the statistics of the Environmental Dispute Coordination Commission, using the data to analyze the construction of civil was considered to be valid. Environmental Dispute Coordination Commission to the analysis of complaints between the parties reached an agreement rate of 84 percent, but the Environmental Dispute Coordination Commission's decision this appeal because there is no forcing, and if you are unable to reach agreement. In addition, the complaint in the event of actual victims and to demand their rights have been violated because the material rewards, and so resolved amicable settlement and adjustment to exclude the case was declared in material rewards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bout the events concession was to investigate the cause, or protesting. Chapter 4 Curr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of the Islands Environmental Dispute Coordination Committee based on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Act is based on Article 4, and is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Buddha. Environmental Dispute Coordination Commission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Central Coordination Committee within nine casual local steering committee are a group of 20 people. Eligibility for judges, prosecutors, lawyers, or more than 10 years working for environmental affairs Kanji, an associate professor at an accredited university or research institution or the equivalent of posts or employment kanji, level 1 or equivalent of at least 3 years of employment as a civil servant is in Kanji can. Performance of the main processing operations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s time, according to data established in July 1991 to December 2009 and 2242 received a total of 2,647 gun gun handle (the fiscal adjustment, arbitration agreement), and 308 guns was terminated voluntarily withdrawn, and 97 guns are handled. 2242 processed by the gun Cause Analysis Looking at the damage caused by noise and vibration 1922 cases (86%), air pollution, 152 cases (7%), water pollution, 66 cases (3%), Marine Pollution 9 (0%) Other 93 (4%) in the field of noise and vibration that most of the events and shows bias. Chapter 5 Comparison with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system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for foreign cases against developed countrie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reviewed, the installation of Japan's environmental dispute mediation system based on administrative law governed the country in accordance with Article 3 of the institutions governing business include pollution disputes (mediation, coordination , arbitration, finance), land-use control system that can tell such. Committee organization hapuije organizations, and members of law enforcement professionals, with experience in the National Assembly with the consent shall be appointed by the Prime Minister. Ins, which consists of seven members of the Committee, adjust the target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soil pollution, noise, vibration, odor by subsidence damage to health or living environment is intended. Other administrative dispute settlement proceedings in the United States have a legal right of the three legal solu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pute, the rule challenged by negotiation, ADR can be found to have solutions. United States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Japan, construction disputes, the institutional basis for reconciliation in this country are considered likely to be enacted, result in reduced construction cost will have a big impact. Chapter 6 Development of construction disputes and environmental issues and improvement of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Environmental issues of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first, lack of operational capabilities of the dispute, second, the limitations of a binding agreement for the implementation, the third, the damage liability limits of affordability, the fourth, according to the initial lack of disclosure of environmental limits, such as complaint resolution and the like. The resulting improvement, first,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 to strengthening the organization in the field of dispute resolution through the medium and long term expansion, along with the ne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organization, which the Central Coordination Committee for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legal expertise won reinforcement, with legal expertise and with special expertise in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the introduction of a professional officer recruitment, placement agents damage to the environment, local steering committee will be responsible for the conflict staffing and training programs dedicated to specific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raised the need to begin again, and, second, judge others as a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for enhancement of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dispute settlement rules, the introduction of improved procedures and coordination required, and third, the current environment, the major dispute resolution institutions The adjusted results pointed to the limitations and to enhance enforcement powers for the force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executive force 'obligations recommendations', 'obligation to submit plans' to introduce such a review is needed. Fourth, the Coordinating Committee to raise the profile of the central elevated position, such as adjustment committee chair,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specialized judges build on this expanded administrative officer of the Central Coordination Committee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Secretariat that such action is necessary. Fifth, the environmental dispute settlement system to promot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should be reinforced, to promote the aforementioned development plan should be made substantial budget increases. Chapter 7 Conclusion In this study, conducted by the foregoing, the following is to propose ways to reduce complaints. Environmental Dispute Coordination Commission jeopsugeon etiologic analysis, according to a complaint filed by the noise and vibration that may account for the highest percentage, and the specific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action is needed to investigate. Also related to the current standards are established, but the complaint has been continually postponed and that the limits of social acceptance and suitability improvements without consideration for what will be needed. Appeal by the offender in order to reduce the rate of change consciousness of the civil parties to the offender is required. Environment in which disputes the Commission's decision to have a mandatory binding measures and the perpetrator is fulfilled when the decision to provide incentives for institutions to consider bolmanhada. In addition, construction work is done mainly to a particular area and neighborhood residents because most of the injured party, construction work per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subject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residents is important. Administration for projects related to area information of local residents to ensure a claim, are a work in progress subject to the potential applied to residents near the construction mandated by regulation to appreciate about the situation, may request the cooperation and increasing affinity complaint expected to occur can be reduced. Victims of the appeal factor clearly identified was not, consequently, other factors, and the victim's claims amount compared to the actual amount of indemnity, such as multipl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ppeal of the encounter rates do appear about whether studied by determination results to facilitate a consensus to resolve the complaint to seek ways are needed anything. 제 1 장 서 론 건설공사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주위환경에 소음, 분진, 진동,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의 다양한 민원제기 소지를 나타내고 있다. 70~80년대 「규모의 경제」, 「성장위주의 정책]」을 펴온 우리나라는 건설공사의 이러한 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어느 정도 묵과해온 것이 사실이며, 건설공사가 시행되는 인근지역의 주민들도 이를 용인하는 분위기가 지배적 이였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경제발전이 7,80년대에 비해 비약적으로 이루어진 뒤 시민의식의 신장과 함께 성장과 발전이라는 가치보다 “삶의 질”의 가치가 더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건설공사에 대한 불만사항의 척도라 할 수 있는 민원제기의 횟수 증가 및 건설공사와 관련된 각종 분쟁, 소송 등이 증가되고 있다는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는 더 이상 자신의 권익을 침해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특정 업종에 대한 사업, 작업 등에 자신을 희생하지 않으며, 자신이 누릴 권익에 대한 충분한 보상을 요구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건설공사 시 발생하는 민원을 쾌적한 환경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하는 요소로 특정 짓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소모적인 논쟁과 허비되는 사회비용을 줄이고자 건설공사 시 발생한 민원을 분석하고 그 저감방안을 고찰해보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제 2 장 건축민원의 개념 건설공사에서의 민원은 행정기관에 제기되는 진정민원, 사법기관에 제기되는 소송으로 나타나며, 이들 사이에 각종 분쟁조정위원회에서 판결 및 합의를 유도하는 분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건설공사는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라 작업진행 당사자 및 민원발생 가능성을 내포한 책임자와 권익을 침해 받는 피해당사자가 다르므로, 건설공사 진행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민원의 형태 및 특성이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건설공사 시 발생하는 민원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는 이중 시공단계에 나타날 수 있는 민원에 대해 고찰하였다. 건설공사 진행 중 시공단계에 발생할 수 있는 민원의 당사자는 시공주체 또는 공사주체와 인근주민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구로는 행정기관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행정기관에서의 민원처리는 원만한 합의 및 조치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상기할 때, 실제적으로 피해당사자들의 보상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처리기관은 각 종 분쟁조정위원회 또는 사법기관이다. 제 3 장 환경 분쟁조정제도 및 환경 분쟁조정위원회 건축민원은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건축민원 중 가장 많은 접수 및 처리를 하고 있는 기관은 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이며, 통계자료를 확인해 볼 때 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의 자료를 이용하여 건설공사 민원을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되었다. 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민원 당사자간의 합의율이 84%에 이르고 있지만, 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은 강제력이 없기 때문에 이에 불복하고 합의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실제적으로 민원발생 시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것은 자신들이 침해당한 권익에 대한 물질적인 보상이므로, 원만한 합의 및 조정 등으로 해결된 사건을 배제하고 물질적 보상의 판결이 난 사건들에 대해 가해자 및 피해자가 승복하거나 불복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 4 장 환경 분쟁조정위윈회의 제도 운영현황 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의 관련 근거는 환경 분쟁조정법 제4조 규정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주관부처는 환경부이다. 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수는 중앙조정위원회 9인과 지방조정위원회 20인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 지원자격은 판사, 검사, 변호사 또는 환경관계 업무에 10년 이상 종사한자, 공인된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부교수이상 또는 상당하는 직에 재직한자, 1급 또는 상당의 공무원으로 3년 이상 재직한자로 되어 있다. 주요 처리운영실적은 중앙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설립시점인 1991년 7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총 2,647건을 접수하여 2,242건을 처리(재정․조정․중재합의)하였으며, 308건은 자진철회 종결되었고, 97건은 처리 중이다. 처리된 2,242건을 원인별로 분석하여 살펴보면 소음․진동으로 인한 피해 1,922건(86%), 대기오염 152건(7%), 수질오염 66건(3%), 해양오염 9건(0%), 기타 93건(4%)으로 소음․진동분야에 대부분의 사건이 편중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 5 장 외국 분쟁조정제도와의 비교 외국의 분쟁조정제도에 대한 사례는 미국과 일본의 선진국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일본의 환경 분쟁조정제도의 설치근거는 국가행정조직법 제3조 규정에 의하여 관장업무로는 공해분쟁제도(알선, 조정, 중재, 재정), 토지이용조정제도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원회 조직은 합의제 기구이며, 위원은 법조계의 전문가, 경력자로 국회 동의를 얻어 내각총리대신이 임명한다. 위원회의 위원은 7인으로 구성되며, 조정대상은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소음․진동․지반침하․악취에 의하여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피해를 대상으로 한다. 미국의 소송 외 행정 분쟁해결제도의 법적 근거가 되는 세 가지 법률은 행정 분쟁해결법, 협상에 의한 규칙 제정법, 대체적 분쟁해결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과 일본 등의 선진국과 같은 건설 분쟁․조정에 대한 제도적 근거가 우리나라에도 확실하게 제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건설공사비 저감하는데 큰 영향이 있을 것이다. 제 6 장 건축분쟁의 개발과 환경 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환경 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운영상 분쟁의 기능 미흡, 둘째, 합의사항이행을 위한 구속력의 한계, 셋째, 피해배상책임능력의 한계, 넷째, 정보공개부족에 따른 초기 환경민원 해결의 한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직역량 강화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분쟁조정분야의 확대를 위한 조직기반을 구축할 필요성과 함께, 이를 위해서 중앙조정위원회의 법률적 전문지식이 있는 상임위원 보강, 법률적 전문성과 환경적 전문성을 갖춘 분야별 전문심사제도의 도입 및 전문심사관 충원, 환경피해 상담원 배치, 지방조정위원회의 분쟁업무를 담당할 전담인력 배치 및 교육훈련프로그램 강화 등의 구체적인 방안이 추진될 필요성을 제기하고, 둘째, 재판 외 분쟁해결제도로써의 본연의 기능 강화를 위한 환경 분쟁조정규칙의 제정 등의 제도도입과 조정절차의 개선이 필요하며, 셋째, 현행 환경 분쟁조정제도의 주요 한계로 지적되고 있는 조정결과에 대한 강제집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강제집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의무이행권고’, ‘의무이행계획제출’ 등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조정위원회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중앙조정위원회 위원장 등의 직급 격상, 전문심사관제도의 도입에 따른 확충된 심사관들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조정위원회 사무국의 조직개편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환경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홍보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앞서 언급한 발전방안을 추진하기 위한 대폭적인 예산 확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 7 장 결 론 상기 내용에 의해 진행된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민원 저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경 분쟁조정위원회의 접수건 원인별 분석에 의하면, 소음․진동에 의한 민원제기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재도 관련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만, 지속적으로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 사회적 수용한계 등이 적합한지 개선사항은 없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해자에 의한 불복율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민원 가해자 당사자의 의식변화가 요구된다. 이는 환경분쟁위원회의 결정에 있어 강제적인 구속력을 갖게 하는 방안과 가해자가 판결에 대해 성실히 이행했을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를 고려해 볼만하다. 또한, 건설공사는 특정지역을 위주로 행해지고 피해 당사자는 인근주민들이 대부분 이므로, 건설공사 시행 주체와 인근지역 주민과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행정적으로는 지역관련 공사에 대한 인근 주민들의 정보청구권을 보장해 주고, 잠정적인 가해자인 공사 진행 주체에게 인근 주민에게 의무적으로 공사상황에 대해 이해시키도록 규정하여, 협조를 요청할 수 있고, 친화력을 높여 민원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피해자의 불복요인은 명확히 파악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다른 영향인자 및 피해자의 보상신청금액 대비 실제배상금액 등과 같은 복합적인 영향인자에 대하여 불복의 발생할 비율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판정결과에 서로 합의하여 민원을 원활히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건설기업의 회생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윤인효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나라는 회생 가능한 기업은 살리고 불가능한 기업은 신속히 시장에서 퇴출시킬 수 있는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의 제도적인 구조조정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그 동안 제도에 내재된 한계나 운용상의 문제를 선제적으로 개선하지 못하고 사후약방문식으로 개선하는데 그쳐 국민경제 전체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구조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경기침체의 지속으로 공사물량이 감소하고, 최저가낙찰제 시행 등에 따른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는 건설기업의 경우 물적자산이 거의 없는 등 제조업과는 다른 특수한 부분이 있음에도 워크아웃 등 사적구조조정제도와 달리 현행 회생제도는 개별 산업이나 기업의 특수성이 고려되지 못하여 회생절차를 통해 건설기업이 정상적으로 시장에 복귀하는 비율이 낮고, 채권자들이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데 제약이 많을 뿐만 아니라 사법심사 대상 이외의 회생사건 처리에 대한 법원의 비전문성 등으로 인하여 회생제도에 대한 채권금융기관들의 신뢰가 낮아 신규신용공여 등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상 기업회생제도에 내재되거나 운용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사전적으로 신속히 개선하여 기업의 회생 성공률을 제고하고, 건설경기 장기침체로 향후 전개될 건설업 구조조정에 따른 건설기업의 회생신청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국민경제 전체의 유한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도모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아래와 같이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부실한 경영으로 기업을 도산상태에 이르게 한 경영자에 대하여는 원칙적으로 관리인이 될 수 없도록 하되, 도산의 원인이 외부의 급격한 경제적 변동과 같이 기존의 경영자에게 책임을 묻기 어렵고, 경영노하우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채권자협의회가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기존 경영자를 관리인으로 선임하거나 불선임 결정을 하는 것으로 관리인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둘째, 현행「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상 신규신용공여의 종류는 대출에 한정되어 있고, 담보권자에 우선하는 최우선권이 보장되지 않는 등의 문제로 신규신용공여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리스계약, 자산유동화거래, 보증거래 등도 신용공여에 포함하고, 미국과 같이 해당 담보권자의 동의를 전제로 최우선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회생절차에서 신규신용공여자의 관리권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은 장래구상채권의 의결권에 대하여 구체적인 기준을 규정하고 있지 않아 많은 논란이 있으므로 장래 구상채권이나 조건부채권을 보유한 채권자를 감독하는 정부 등의 공적기관이 정한 기준인 대위변제준비금 적립기준이나 대급전환율(대위변제전환율) 또는 해당되는 채권자들의 일정기간 동안 회생기업에 대한 채권의 현실화율 데이터를 활용하여 평가기준을 신속히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파산부 법관이 사법적 심사 대상 외에 경영적, 행정적 판단이 필요한 사항까지도 담당함은 물론 모든 판사를 2∼3년 마다 교체함으로써 회생사건에 대한 법관의 전문성이 제고되지 못하여 그 정당성과 적절성, 중립성과 공정성이라는 사법 본래의 역할이 후퇴할 우려도 있으므로 도산 절차의 선진화와 세계화를 위해 회생전문법원을 설치하되, 예산 부담 등을 고려하여 우선 서울지역에 회생전문법원을 설치하고, ‘회생․파산위원회’를 대법원 행정처와는 별도의 독립된 부처로 격상시켜 사법적 심사 대상을 제외한 사항을 총괄하고, 각 지방법원에 설치된 관리위원회와 관리인 등을 감독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건설기업의 근로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생기업에 대한 신규신용공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임금채권지급보증을 도입하여 회생절차개시결정일로부터 발생하는 임금채권에 대하여 지급보증을 의무화하되, 보증기관의 보증공급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반드시 체당금 등에 대하여 보증기관이 우선하여 대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경제상황 침체로 인수합병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인수의사가 있는 자가 일정 기간 위탁경영을 한 이후 경영이 정상화되면 인수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운용하고, 민간에 의한 인수합병이 활성화되기까지 채권금융기관과 공적기관의 출연을 통해 인수합병 브릿지기관(Bridge Institution)을 설립하여 운용할 필요가 있다. Korea has an institutional restructuring system like workout or rehabilitation that revives viable firms and withdraws nonviable ones from market. The system could not so far have improved preemptively the limitation inherent in system or problems in operation, but in the way after death comes a doctor, being not able to make an efficient restructuring in terms of whole national economy. In case of construction enterprises, there are aspects different from manufacturing industry as continuous economic slump reduces construction orders, and worsened payability due to implication of lowest bidding system rarely leaves physical assets. Unlike the private restructuring system as workout, the current rehabilitation system does not consider the peculiarity of individual industry or business, resulting in the low rate that construction enterprises return to market normally through rehabilitation process and much restriction for creditors to exert practical rights. Moreover, non-professionalism of the court in dealing rehabilitation case other than judicial review cases made financial institution creditors have low confidence on rehabilitation system and DIP financing not activated.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as below to raise the success rate of enterprise rehabilitation by improving the problems which are inherent in enterprise rehabilit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or are revealed in operation, and to promote efficient allocation of limited resource in national gross economy by dealing efficiently with construction enterprises' increased application for rehabilitation according to restructuring of construction industry hereafter due to long term slump of construction market. First, the manager who led enterprise into bankruptcy due to poor management doesn't be allowed to be custodian in principle. The custodian system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The existing manager should be appointed or not be appointed for custodian just in case that it is hard to charge the existing manager with responsibility when the cause of bankruptcy is on the abrupt economic fluctuations, or in case that creditors' consultative council aggrees. Second, lease agreements, asset securitization transactions, guarantee transactions, and so on should be involved in DIP financing, DIP financing should be guaranteed as a priority on the premise of the consent by the relevant mortgagee like in the U.S.A, and the management right of DIP financing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should be consolidated, because DIP financing is inactivated by the problems that the types of DIP financing are limited to a loan and the top priority for mortgagee doesn't be guaranteed in accordance with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Third,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is controversial because it doesn't regulate specific criteria about the voting right to future claims, hence appraisal criteria should be set quickly by utilizing accumulation criteria for subrogation reserves which th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governments overseeing creditors who hold future claims or conditional claims, subrogation conversion, or rationalized rate data of the bonds in rehabilitation enterprises for a fixed period of time. Fourth, there are concerns that the original roles of jurisdiction such as legitimacy, appropriacy, neutrality and impartiality are reduced and the professionalism of judges in rehabilitation case can not be enhanced, because bankruptcy division takes charge of the cases which need managerial, administrative decision besides judical cases and all the judges are replaced by every two to three years. Accordingly, rehabilitation specialized court should be set up for modern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bankruptcy procedure. First of all, it should be set up in Seoul considering the budget burden and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committee' should be uprated to independent department separated from Supreme Court Administration, so that it could direct all the cases except for that of judical review, and oversee custodial custodian and custodial committee established in each district court. Fifth, in order to protect construction workers and activate DIP financing to rehabilitation enterprises, wage claim guarantee, which is issued on the date of rehabilitation process initiate decision, should be obliged by introducing wage claim guarantee. The guarantee institution should be able to subrogate substitute payment priorily to vitalize guaranteed supply from guarantee institution. Lastly, as mergers and acquisitions market doesn't be activated due to the recession, it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to grant the choice of acquisition to the person intending to take over after conducting consignment business for a fixed period of time until the management is normalized.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mergers and acquisitions bridge institution through funding by claim financial institution and public institutions until mergers and acquisitions by the private sector are boo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