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양성 인성교육 교육과정 비교 연구

        박정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teacher institutions in both Korea and Singapore operate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and make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essence of the school education because it influences to the issue that whether a person is nurtured to have a desirable character. Recently, in Korea, it rose up as an important part of the education dialogue, and teachers'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also making efforts to retrain teachers by looking at the role of teachers as 'character educators'.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Singap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teachers, in a point of character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a of teachers in both countries. The concepts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will be explained and we will present the personality education competences required as a character educator by sub-elements such as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 Subsequently, we will compare and analyze how teacher institutions in both countries operate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and make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two targets; ‘A’ university in Korea and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NIE) in Singapor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re based on the three criteria(‘Percent of actual credits’, ‘Composition of subjects to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and ‘Subcomponents of character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if we use ‘the actual credits’ as a criteria, then Singapore's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NIE) scored higher than Korea's A Education University. Of course, the actual credits vary depending on the advanced or optional subjects of both institutions but, in the case of ‘A’ Education University, the gap between prospective teachers who complete the curriculum is considered to be very large, as the required credits are very small, with 4 out of 74 credits(5 percent). On the other hand,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IE) emphasize character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by operating many character education subjects(45 percent on average)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to grow as character educators. Secondly, based on the 'composition of subjects to practice personality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classes at both teachers' centers that could foster teachers' ability to teach character, there were differences. Korea's ‘A’ Education University was unable to effectively increase its character education capability due to its lack of an interlinked, systematic curriculum, and limited to short-term.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NIE) strives to foster practical character educators by organizing character education courses that deal with character education goals, concepts, guidance methods, and evaluation. Finally, when we consider ‘subcompon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as a standard, Korea's ‘A’ education university stressed the ability of teachers to learn character, but did not have an analysis indicator such as the 'character educator competencies taxonomy', so there was a great shortage of subjects where subjects were too biased toward 'general knowledge' and 'education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NIE) has designed a ‘character educator competencies curriculum’ and develop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in Korea and Singapore was newly illumin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haracter education, dra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ree comparative criteria.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s growing and discussion of character education is being formed, this study should be meaningful in that teachers' education in Korea has presented directions for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chool character education. ‘인성교육’은 학교 교육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한 개인이 바람직한 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양성하는 인성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최근 교육 담론에서 인성교육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교사양성기관에서도 교사의 역할을 ‘인성교육자’로 바라보고 이를 위해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등 많은 노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교사양성 교육과정 내 인성교육 비교·분석을 통해 교사의 인성교육 역량 신장을 위한 양국의 교사교육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인성 및 인성교육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확장하여 인성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교육 역량을 지식, 기술, 성향과 같은 하위 요소별로 제시한다. 이어서 이러한 교사의 인성교육 역량을 신장하기 위하여 양국의 교사양성기관이 인성교육 교과목을 어떻게 운영하는지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사교육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한국의 A교육대학교와 싱가포르의 국립교육원(NIE)의 교육과정 내 인성교육 교과목을 세 가지 기준(‘실제 이수 학점’,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교과목 구성’, ‘인성교육 역량 하위 요소 비율’)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이수 학점’을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A교육대학교보다 싱가포르의 국립교육원(NIE)의 실제 이수 학점 비율이 높았다. 두 기관 모두 심화과정이나 선택과목에 따라 실제 이수 학점이 달라지지만, A교육대학교의 경우, 필수 학점이 74학점 중 4학점(5%)로 매우 적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예비교사들 간의 격차가 매우 클 것으로 고려된다. 반면, 국립교육원(NIE)의 일반과정과 모국어 전공 과정에서는 많은 인성교육 교과목을 필수과목(평균 45%)으로 운영함으로써 교사 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하며, 예비교사들이 인성교육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교과목 구성’을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두 교사양성기관 모두 교사의 인성교육 지도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과목들이 존재하였지만 그 정도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한국의 A교육대학교는 인성교육 지도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연계성 있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부족하고 단발적인 강의에 한정되어 효과적으로 인성교육 역량을 신장시키기 어려웠다. 반면, 국립교육원(NIE)은 인성교육 목표, 개념, 지도 방법, 평가 등을 다루는 인성교육 교과목을 체계화하여 편제함으로써 실천적인 인성교육자 양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셋째, ‘인성교육 역량 하위 요소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A교육대학교는 교사의 인성교육 역량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인성교육 역량 체계’와 같은 분석의 지표가 없기 때문에, 교과목 비중이 ‘일반적인 지식’과 ‘교육학적 지식’에 지나치게 치우치고, ‘성향’을 길러줄 수 있는 교과목이 매우 부족하였다. 반면 국립교육원(NIE)은 ‘인성교육 역량’에 대한 틀을 갖추고 ‘지식’, ‘기술’, ‘성향’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도록 인성교육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여 세 가지 비교 기준을 중심으로 유의미한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인성교육 담론이 형성되는 시점에, 보다 효과적인 학교 인성교육 실천을 위해 우리나라 교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의의를 지니길 바란다.

      • 유아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멘토링기법이 유치원 통합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이영순 공주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유아특수교사와 통합교육교사의 멘토링기법이 유치원 통합교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이영순 지도교수 : 곽 승 철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유아특수교사와 통합교육교사의 상호 이해 및 협력관계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기법이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상호이해와 협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멘토링기법이 통합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작성한 질문지와 심층면접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이 있는 특수학급 교사를 멘토로 하고 통합교사를 멘티로 짝을 이루어 멘토링 장학을 실시하는 유치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공립유치원에 특수학급이 있는 특수교사 13명과 통합학급교사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는 유치원 방문 및 전자메일을 통해 3월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6월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은 유치원 6개원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동일 집단 전후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관계와 관련하여, 통합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멘토링기법을 적용하기 전보다 적용을 한 후에 두 교사 간의 협력관계가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멘토링 기법 적용 이후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차이 없이 상호이해 및 협력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통합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하여 장애유아 특성 이해, 개별화프로그램 운영, 문제 행동대처 모두가 통합교사에게 멘토링기법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도 통합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멘토링기법은 통합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과학교과와 기술·가정교과의 중복 및 연계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전기분야를 중심으로

        김세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Comparative Analysis on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 With Reference to Electricity - Kim Sei-Ki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o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the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specially focused on the learning contents of electricity part. We have used four 8th garde science textbooks, five 9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six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o analyze the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the contents of these two subjects. The detail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extbooks are ① list of contents about 'electricity' section in published 8th grade science textbooks, ② list of contents about 'how current works' section in published 9th grade science textbooks, ③ list of contents about 'fundamentals of electricity and electrical wiring', 'electrical lightening', 'safe usage and inspection of electricity', etc. sections in published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④ over all ordering of detail contents in electricity, and ⑤ rationality of learning order and redundantly overlapped contents among textbooks between two subjects. The analyzed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In order to find the rationality of learning order we have investigated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bout electricity part in the subjects of both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The sequence of 8th grade and 9th grad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bout electric power, voltage, resistance, voltmeter, ammeter, Ohm's law, series/parallel connection of resistance, and 9th grad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bout the electrical wiring, electrical lighting, appliances and safe types of usage and inspection, and finally leading to real life applications of electricity, etc is appropriate in the point of view of the learning order apparently. 2. The analysis of detail contents in both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hows that science subject is more emphasized on the basic theory of scientific disciplines to study clearly regarding demonstrating the significant and loyal to the basic concepts.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s more emphasized on the techniques being used in real-life consumer safe use of equipment and also including inspection and repairing electrical appliances comparatively. 3. Although the 8th grade students have learned the fundamental theory of electricity, the 9th grade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to learn the electricity par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e reason might be due to a semester gap period between 8th grade science subject and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with reference to electricity part. 4. The detail analysis between contents of all textbooks for both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s show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title of sections of among textbooks but the detail contents of each textbook are very faithful and consistency without missing concepts and basic theories of electricity reflecting every attribute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From the above results our suggestions to overcome such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on the electricity part for both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8th grade science curriculum about the electricity may be fine, but the 9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hould be continue without a long-term break from the 8th science subject to avoid losing concepts of electricity during the break and direct connecting the basic concepts to its' applications. Secondly, in order to link teaching and learning these two subjects more effectively the overlapped basic theories of electricity in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can be omitted to save the teaching time. Thirdly, the cooperation between two subjects are very important to keep students' interest on the electricity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daily life of their future. 초록 과학교과와 기술·가정교과의 중복 및 연계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전기 분야를 중심으로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김 세 기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과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 2학년 4종, 3학년 5종과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6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 3학년 과학 교과와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내용 중에서 전기 관련 내용들을 비교 분석하여 중복 및 개선할 점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각 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① 2학년 과학 교과의 ‘전기’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② 3학년 과학 교과의 ‘전류의 작용’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③ 3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전자 기술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④ 교과별 전기 관련 세부적 내용 순서 나열, ⑤ 교과별 이수 순서의 합리적 여부 및 중복의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학습 시기에 따른 순서상 문제점 고찰 결과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의 기초 이론인 전원, 전압, 저항, 전압계, 전류계, 옴의 법칙, 저항의 직렬·병렬 연결 등을 배우고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과 전기 배선과 조명, 가전 기기의 종류 및 안전한 사용법, 점검 등 실 생활의 응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학습 순서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과학 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 분야 내용을 검토한 결과 과학 교과는 기초 이론을 명확하게 학습하도록 기본 개념들에 충실하였음을 보여주고 있고, 기술·가정 교과에서는 기초 이론보다는 실생활에 사용하고 있는 가전 기기들의 안전한 사용법, 점검 및 수리 등 응용 전기 분야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학생들이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을 학습하였음에도 3학년 기술·가정 교과에서 전기 응용 분야의 내용을 어려워하는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이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을 학습한 후 한 학기만큼의 전기 분야 학습의 공백 기간이 지나서 전기 응용 분야의 학습을 하는 것이 이유인 것 같다. 4. 교과별 전기 분야의 각 교과서의 세부 내용들의 차이점들에 대한 분석 결과는 중단원들의 제목은 교과서마다 특성 있게 사용되었지만 세부 내용들은 기본 이론에서 벗어나거나 누락된 것이 없이 모든 교과서들이 충실하게 내용수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이 전기 분야의 학습을 어렵게 대하지 않고 학습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의 기초 이론 학습은 현행대로 기 본 개념을 습득하도록 진행하고, 바로 긴 공백 기간 없이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 응용 분야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연계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과학 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의 연계 학습이 이루어지면 기술·가정 교과에서 중복되어 나오는 전기 기초 이론은 삭제하여 학생들의 비효율적인 재학습 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셋째, 미래는 현재보다 더 많은 전기가 사용될 것이 명백함으로 전기 분야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두 교과는 깊이 있게 협조하여 학생들의 전기 분야 학습에 최선을 다 하여야 할 것이다.

      • 중년기 여성의 고등교육 참여를 통한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방송통신대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철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고등교육을 통한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학령기에 배움의 꿈이 좌절된 여성이 어떠한 맥락을 통하여 고등교육을 경험하는지, 그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떤 것이며, 그 경험이 어떻게 유의미한 변화로 이어지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그들이 살아온 삶의 맥락에서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위과정을 이수한 40세 이상 60세 이하 중년기 여성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내면적 경험을 밝혀내기 위해서 성장배경, 학령기 경험, 결혼 및 가정생활, 고등교육 경험, 평생학습 경험 등을 삶의 맥락에서 도출하고,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고등교육 참여 배경은 생애경험과 매우 밀접한 인과적 관계가 있다. 둘째, 고등교육을 통한 학습경험은 낯선 대학교육의 극복과정 외에 방송대의 고유한 대학문화를 경험하고, 이를 통한 학습경험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셋째, 중년기 여성은 고등교육의 학습에서 만남과 지지의 변화과정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경쟁적 관계에서 동반자적 관계로 발전된다. 넷째, 학습 과정의 변화 양상은 ‘보상 차원의 학력성취’, ‘심미적 지식 추구’, ‘꿈의 확장과 구체화’ 단계로 발전하며, 이 과정은 나선형으로 중첩되어 발달한다. 다섯째, 고등교육에서의 학습경험은 자기 성찰을 통한 사회적 자아를 형성하여 시민적․사회적 책임감을 갖는다. 여섯째, 반성적 학습경험은 실천 차원의 ‘배움 나누기’를 통한 자아실현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중년기 여성의 학습경험이 원격대학뿐만 아니라, 일반대학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고등교육에서 중도 포기한 학습자를 포함한 잠재적인 학습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성공한 성인학습자뿐만 아니라, 학습적응에 실패한 성인학습자의 욕구도 파악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중년기 여성의 배움에 대한 의미를 올바르게 통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에게 더욱 친화적인 학습여건이 갖추어질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중년기 여성, 현상학적 연구, 고등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방송대), 학습경험 This research is about learning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higher education. It analyzed the meaning in context of their lives to know what kind of contexts helps a frustrated woman for learning experience higher education, what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process was, and how it connects with meaningful chang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is subject for inquiry, it chose 8 of women in mid-life as participants of research, having bachelor degree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over the age of 40 and less than 60. It analyzed their background of life, experience in school age, marriage and family life,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and experience of lifelong learning as phenomenological study, one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in order to reveal their internal experience. The result derivation from this research is following as below. First, the background of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of Middle-aged Women closely relates with life experience. Second, the learning experience through higher education doesn't only offer the process to overcome education in University, other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of also experience unique university culture and it appears various aspects of learning experience. Third, Middle-aged Women experience the process of changes in meeting and supporting during higher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develops from competitive relationship to partnership. Fourth, the change aspect of leaning process develops steps in 'achievement the level of education as a compensation', 'pursuing aesthetic knowledge', 'expanding of dream and materialization' and develops these being spirally overlapped. Fifth, The learning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has social and civil responsibility building social self-identity with self-examination. Sixth, the reflective learning experience appears as self-realization with 'sharing of learning' in practice level. This research suggested as following below for a follow-up study. The experience of learning in Middle-aged Women should offer diverse curriculums including cyber university also general university. And there needs research about potential learner including learner who gave up in higher education. In other words, it should understand adult learner's desire who failed in adaption for learning, as well as successful adult learner. Therefore, it can exactly have an insight into the meaning of leaning in Middle-aged Women and have more qualified and friendly learning condition for them. Key words: Middle-aged Women, phenomenological study, higher educatio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

      • 實業界 高校와 專門大學間 컴퓨터 敎科 關聯 連繫敎育의 運營實態 및 改善 方案에 關한 敎員들의 認識 硏究

        윤여춘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초록 實業界 高校와 專門大學間 컴퓨터 敎科 關聯 連繫敎育의 運營實態 및 改善 方案에 關한 敎員들의 認識 硏究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컴퓨터敎育專攻 尹汝春 본 연구는 학교간 컴퓨터 교과 관련 연계교육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계교육 운영과정, 교육과정, 컴퓨터 관련학과의 진학, 연계교육의 프로그램 등. 연계교육의 필요성, 현재실태, 문제점 및 연계교육 과정의 개선방안 등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연계교육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요소에 대한 컴퓨터 교과 관련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사이에 교원별, 지역별, 교육경력별로 인식파악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계교육에 참여여부에 관련 없이 컴퓨터 관련 교과목을 지도하고 있는 전국 각 지역의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와 전문대학의 교수들이다. 교원별, 지역별, 교육경력에 중점을 두었으며, 컴퓨터 관련 교과목을 지도하고 있는 전국 각 지역의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교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 회수 현황과 같이 질문지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253부, 전문대학의 교수 223부였고 총 476부중에서 불성실하거나 처리하기 곤란한 질문지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11부, 전문대학의 교수 6부를 제외하고, 실제 사용한 질문지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242부, 전문대학의 교수 217부 총 459부를 자료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계교육에 관련한 이론적 근거로 제시한 직업교육과정 자율운영, 연계교육을 위한 운영 체제, 직업교육의 방향설정을 참고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구안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현행 연계교육에 참여 여부에 관련 없이 컴퓨터 교과에 관련된 연계교육의 운영실태에 관한 내용,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 컴퓨터 관련학과에 진학과 재학에 관한 내용, 컴퓨터 실습환경에 관한 내용, 연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내용, 등 컴퓨터 교과를 지도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용과 질문지와 전문대학 교수용으로 총 각각 37 문항으로 되어 있다. 본 연구의 질문지 문항에 대한 응답의 결과에 대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전체 및 집단간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교원별, 소재지별, 교육경력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검증, t-검증, ANOVA-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간 컴퓨터 관련 연계교육 운영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연계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교육경력 연수와 교원별 모두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특히 교육 경력이 많은 10년 이상 된 교원들이 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필요하다’는 항목에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242명 중 156명으로 64.5%와, 대학교수 총217명 중 136명으로 62.7%를 차지하여 교사들이 교수들보다 연계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높게 나타났다. 연계교육의 필요 분야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175명 중 ‘교육과정 연계운영’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07명으로 61.1%이고, 교수들 164명 중 105명으로 64.0%와 차지하여 교원간 ‘교육과정 연계운영’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242명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 항목 응답에 126명으로 52.1%와, ‘직업 기초교육 강화’ 항목 응답에 32명으로 13.2%로 나타났으며, 교수 전체 217명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 항목 응답에 97명으로 44.7%와 ‘직업 기초교육 강화’에 43명으로 19.8%를 응답하여 교수들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과 ‘직업 기초교육 강화’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간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은 질 높은 심층교육에 있다는 견해가 48.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직업 기초 교육 강화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13.6%는 전문대학에서 신입생 정원확보에 있다고 조사되었다. 연계교육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에 대하여 교사들 중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전체 242명 중 ‘교육과정의 개발’ 항목 응답에 111명으로 45.9%로 나타나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인적자원의 교류’에 있다고 나타나 교육 경력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전체 217명 중 ‘재정확보’에 70명으로 32.3%를 차지하여 교사와 대학 교수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교사들 전체 242명 중 ‘활성화 정책 부재’ 항목에 105명으로 43.4%이고 ‘프로그램 개발 부족’항목 응답에 93명으로 38.4%로 나타나 연계교육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활성화 정책 부재’와 ‘프로그램 개발 부족’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전체 217명 중 ‘활성화 정책 부재’ 항목에 75명으로 34.6%이고 ‘프로그램 개발 부족’ 항목 응답에 63명으로 29.0%로 나타나 교원별, 근무소재지별, 연계교육 ‘활성화 정책 부재’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교간 컴퓨터 관련 연계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컴퓨터 관련 교과 내용 중 중복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응답자수 총242명 중 대도시는 99명이고, 대도시 교사들 중 ‘많이 중복된다’에 응답한 교사들 중 45명으로 45.5%이고, ‘일부 중복된다’에 응답한 교사들 중 30명으로 30.3%로 전체의 75.5%로 나타났다. 한편 중소도시 교사들 중에는 ‘일부 중복된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이 84명으로 58.7%이고 ‘많이 중복된다’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26명으로 18.2%로 차지한 비율은 전체의 76.9%로 나타났으며, 교수들 중 ‘일부 중복된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이 168명으로 전체의 77.4%로 나타나 교원 모두 ‘일부 중복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많이 중복된다’에 71명으로 전체의 29.3%이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전체의 5명으로 2.3%에 불과하여 교원간 견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교육 경력별 연계교육의 교과내용의 중복 정도에 대하여 분산분석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유의 확률은 .001과 전문대학 교수들의 유의 확률은 .002로써 집단간 평균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관련 어느 교과가 중복되는가에 대하여 교원들의 인식조사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워드프로세서, 엑셀, 비주얼 베이직, 전자계산일반, 인터넷 기초 및 활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워드프로세서, 엑셀, 인터넷기초 및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컴퓨터 관련 연계교과목으로 적합한가에 대하여 교원들의 인식조사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웹디자인, 전자계산일반, 컴퓨터그래픽, C 언어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전산학개론, 비주얼 베이직, 인터넷 기초 및 활용, 컴퓨터그래픽, 데이터베이스 순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을 하게 될 경우의 문제점에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학생간 기초실력 격차’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96명으로 39.7%이고 ‘실업계와 인문계 고교생간 적응도 격차’에 응답한 교사들 중 86명으로 전체의 35.5%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교수들 중 ‘학생간 기초실력 격차’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은 115명으로 53.0%와 ‘실업계와 인문계 고교생간 적응도 격차’에 응답한 교사들 중 78명으로 전체의 35.9%로 나타나 교원간 인식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컴퓨터 관련학과 진학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전문대학 컴퓨터 관련학과에 현재 재학률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 응답자수 총217명 중 재학률 ‘41~60%’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은 144명으로 차지한 비율은 66.4%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진학률은 ‘21~40%’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04명으로 차지한 비율은 43.0%로 나타나 재학률과 진학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교수들 중 학생선발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연계교육 체결학생 우선 전형’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151명으로 69.9%이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동일계 특별전형 입학제도’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19명으로 전체의 49.2%로 나타나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에서 학생선발 시 문제점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동일계 특별전형 학생 기피’와 ‘연계교육 체결학생 우선 전형 기피’에 있다는 교원간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업계열 추가에 대한 연계교육의 영향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전체 총217명 중 ‘영향을 줄 것이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12명으로 51.6%로 나타났고, 교사들 또한 ‘영향을 줄 것이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28명으로 52.9%로 조사되었다. 교원별 인식에 대한 t-검증 결과, t값은 -7.777이고 p값은 .000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두 집단간의 평균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평균은 1.8719이고, 전문대학 교수들의 평균은 2.6083으로써 실업계 교사들이 전문대 교수들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실업계열을 추가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계교육에 영향정도가 높은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컴퓨터 실습 환경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기종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응답자수 전체 교사들 중 ‘Pentium Ⅲ’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48명으로 61.2%이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Pentium Ⅲ’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51명으로 69.6%과 ‘Pentium Ⅳ’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56명으로 25.8%로 조사되어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성능보다 전문대학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별 연계교육을 위한 컴퓨터 교육시설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적합하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68명으로 77.4%로 조사되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보통이다’ 항목에 124명으로 51.2%로 나타나 전문대학보다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시설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교육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기자재 관리 및 유지보수비 부족’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38명으로 57.0%이고 ‘소프트웨어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58명으로 24.0%로 전체의 82.0%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소프트웨어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110명으로 50.7%과 ‘기자재 관리 및 유지보수비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96명으로 44.2%로 조사되어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계교육의 프로그램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 교원 상호간 정보교류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교원의 업무과중으로 시간 부족’ 항목에 124명으로 51.2%로 조사되었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교류기회의 제공 부족’ 항목에 응답한 교수는 96명으로 44.2%와 ‘교원의 업무과중으로 시간 부족’ 항목에 응답한 54명으로 24.9%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연계교육을 전문대학으로부터 연계교육 지도를 받고 있는가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받지 않는다’ 항목에 167명으로 69.0%와 ‘지도 받고 있다’ 항목에 45명으로 18.6%로 조사되었고, 연계교육을 실업계 고등학교에 지도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지도하지 않는다’ 항목에 응답한 125명으로 57.6%와 ‘지도하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74명으로 34.1%로 나타나 학교간 연계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 중 연수교육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전문대학 교수들 전체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19명으로 54.8%이고 ‘실시하고 있다’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82명으로 37.8%로 나타났고, 교사의 전체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91명으로 78.9%와 ‘실시하고 있다’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41명으로 16.9%로 조사되어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 중 연수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중 연수교육 후 반응에 대하여 응답한 전문대 교수들 전체 93명 중 ‘반응이 좋았다’ 항목에 58명으로 62.4%이고, 응답한 실업계 교사 전체 41명 중 ‘반응이 좋았다’ 항목에 8명으로 19.5%로 응답하여 교사를 위하여 방학중 연수교육 후 반응은 교원간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컴퓨터 기자재 공동활용 여부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중 ‘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218명으로 90.1%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전체 중 ‘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64명으로 75.6%로 조사되어 학교간 컴퓨터 기자재 공동활용은 다수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 컴퓨터 관련 연계하고 있는 교과목을 조사한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인터넷기초 및 활용, 자료구조, 컴퓨터그래픽, 비주얼 베이직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전산학개론, 인터넷기초 및 활용, 비주얼 베이직, 자료구조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6) 연계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 연계교육의 여러 프로그램 중 가장 중점적인 필요 요소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의 응답자수 총217명 중 ‘방학 중 특강’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38명으로 63.6%로 나타났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전체 242명 중 ‘연계된 교육과정 실시’ 항목에 응답한 173명으로 71.5%이고, ‘방학 중 특강’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33명으로 13.6%로 조사되어 연계교육 프로그램 중 어느 요소 중 가장 중점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에 대하여 교사들 중 ‘연계된 교육과정 실시’를 선호하였으며, 대학 교수들 중 ‘방학 중 특강’을 선호하여 두 집단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방향으로는 실업계 고교의 육성정책 강화와 컴퓨터 교육 제정 투자확대와 중복교과목 배제 및 심층적인 교육을 위한 연계교육의 제도적 지원정책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Current Status between the Computer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and Its Improvement Yoon, Yeo Choon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T industry, the education related to computer needs sincerely to change the system and the method of education in order to educate experienced people. With the publication of legal support of professional educational training promotional rule and high educational enforcement's rule and ‘Educational reformation plan for establishing a new educational system (Ⅱ)’, associated actions between a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re being conducted together. But there have rarely been researches which operate successfully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oposed to improve the associated actions of the two school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ll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of large cities or small towns participated in articulation program or not. A questionnaire as a survey instrument was transmitted and collected to the teaching population by visiting, mail or e-mail. After the data screening process, 459 responses including 242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217 teachers at technical colleges, were used for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using χ2-test, t-test, ANOVA-test statistics with the SPSSWIN 10.0 software program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at 95% Confidence interval as a significant lev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ll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regardless of their position, place of residence or teaching history considered that the articulation program is needed. They recognized connec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is needed, but they thought the articulation program has not been practiced well insufficient of strategie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2.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an overlapping of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3. About forty-one to sixty percent of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of technical colleges were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preferred the special selection admission of same department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selecting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rticulation program for admission. 4. A matter of interest for the articulation program of the teachers was mostly mediocre, some of them were negative. 5. The teach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mpu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practice environment. But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gone through a deficit of computer maintenance fee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have faced difficulties of insufficiency of software. 6.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adding vocational department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ill influence to the articulation program.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d more considering of the influence than those of technical colleg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1.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articulation progra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so it is needed to develop a successful articulation program with the teachers of both sides. 2.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an overlapping of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so it is needed to exclude overlapping subjects and to support a policy for profound articulation program. 3.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effort for computer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 for the variation of consciousness in order to improve in the quality through the articulation program. 4. As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gone through a deficit of computer maintenance fee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have faced difficulties of insufficiency of software, it is needed for financial support. 5. In order to operate successfully the articulation program related to computer curriculum, we have to make efforts to systematize the curriculum between schools. And it is necessary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s to form the computer related subjects self-regulation. 6.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adding vocational department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ill influence to the articulation program. Therefore an activating policy for vocational education is needed not to turn the vocational education into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7. In conclusion, an administrative and a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for profound education and activating articulation progra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bove all. 8. The further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the directo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 deans of technical colleges regarding articulation program, as the final decision makers. The perceptions of them a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responses.

      •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중등 역사 교육 방안 : 국립공주박물관을 중심으로

        고지훈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A Study on the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through a museum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Gong-ju national museum - Ko Ji-Hoon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Yoon Yong-Hyuk As a collection of data in museum is one of the foremost textbooks in history education, teaching using a museum is a very useful way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history education, that is, difficulty in seeing objects in person. Museum visits and experiential programs can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and proper attitude toward cultural assets. With enhanced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 a lot of programs for students have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Despite its usefulnessof museum, junior or high school students have little, if any, opportunity of museum visits or participating in various programs due to time-limitation, the current admission-oriented curriculum, and other circumstantial reasons.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programs offered by museums, which can actually benefit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and methods to utilize these programs. The stud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Out-reach Program which is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rrently run by Gongju National Museum (GNN); then, the study tries to expand the program to secondary schools in consideration with current situation to enhance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investigates literature on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 identifies curriculum related to museum, analyzes the current educational program offered by national museums, looks at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in Gongju National Museum, and illustrates the relation between Gongju National Museum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 cont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tudy conducts a satisfaction survey and consumer demands survey on the programs currently being conducted. Since Gongju has a lot of remains of Woongjin Baekje Period excavated and Gongju National Museum displays are focused on the remains excavated in Tomb of King Muryeong, we can expect a secondary school history class can use this when cove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nd Baeje history related programs are already opened. The survey analyzing school's demands only covers students and teachers in Daejeon and Chungnam regions; thus, it has a regional limitation. Also study on Gongju National Museum might not be generally applied to other museums in nation. However, the study is still meaningful because it becomes a turning point by enabling the proposed plan to bring attention to cultural assets in secondary education field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emains. The study suggested a method to utilize museums as an effective way of histo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conducted by national museum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museums and history education. It tried to objectively analyze research and surveys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Out-reach Program; and the results, I believe, can contribute to designing a substantial plan which museums and schools cooperate together. The study, therefore,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tial data for planning and devising other educational programs. I hope a further study which implements the educational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in an actual education setting to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actual effects.

      • 사범대학의 생물교육관련 전공 교육과정과 중등생물교사 임용고사와의 관련성 분석

        김교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사범대학의 생물교육관련 교육과정과 중등생물교사 임용고사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1개 사범대학 생물교육관련 전공의 교육과정과 최근 5년간의 임용고사 문항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중등학교의 생물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각 사범대학은 대학마다 독자적인 편제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졸업학점이나 교과목의 편제도 다양하였다. 각 사범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과목은 15~21개로 42학점 이상을 이수하도록 규정한 교원자격검정령 보다 더 많은 교과와 학점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었다. 둘째, 임용고사는 기본이수과목의 4~8개 교과에서만 주로 출제되어 고등학교의 생물Ⅱ에서 다루는 모든 분야가 포함되지 않았다. 즉, 대학에서 4년간 배운 내용을 4~8개 교과에서 15개 문항 내외로 평가하여 교사를 임용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학교 생물교육과정의 대부분은 사범대학 교육과정상의 동물생리학, 식물생리학, 생태학, 유전학, 발생학, 세포생물학, 진화학 분야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사범대학 생물교육관련 전공 교육과정의 표준화가 필요하였다. 결론적으로, 사범대학은 중등학교의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므로 생물교육 전공만의 독특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중등학교 생물교육과정과 보다 더 밀접하게 연계된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임용고사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정상화를 위하여 대학의 성적 반영 비율을 더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하고, 고사의 분야별 출제 비율에 중등학교 교육과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llege curriculum and Teachers' Appointment, and to present the plan for improvement. For this study, 11 teachers' colleges curriculum in biology education and questions of Teachers' Appointment for five year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ined through comparing with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irst, colleges of education ran unique curriculum respectively and were various in credits for graduation and the table of organization in subjects. The number of subjects that teachers' colleges ran was 15~21 and the students completed more subjects and credits than Official Approval for Teachers' Qualification in which more than 42 credits must be completed. Second, they mostly made questions from only 4~8 subjects among basic subjects, and all fields of high school biologyⅡ were not included. Namely, teachers are being appointed through exam that consists of 15 questions that are made from only 4~8 subjects among the whole curriculums in college. Third, most of Secondary School curriculums in biology were composed of animal physiology, plant physiology, ecology, genetics, embryology, cell biology, and evolutionary science. So on the basis of this, standardization of teachers' college curriculum in biology is needed. In conclusion, teachers college must develope unique curriculum for biology major because it aims at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college curriculum of biology must be standardized to be connected with Secondary School curriculum of biology. We must consider that college records must be reflected in Teachers' Appointment more than now for normalization of teachers' college,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bout proportion in Teachers' Appointment.

      • 국내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 분석 및 융복합 교육 방향성 연구

        강민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9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국내 대학 무용학과를 비롯한 타 학과들은 심각한 정원 미달 사태를 겪고 있으며 지방대를 중심으로 신입생 정원 축소, 학과 통폐합, 폐과 등 대학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기에 직면한 국내 대학들은 변화하는 시대를 인지하고 대학 교육혁신을 선언하며 앞으로의 교육환경에서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융복합 교육으로 학사제도를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맞춰 21세기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무용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의 사회 진출을 할 수 있도록 국내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무용학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융복합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전국 31개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교과과정 심층 분석을 위해 그 중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총 11개교 대학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무용-한의학 트랙, 전공트랙제도, 전공인정과목(연극뮤지컬전공), 진로개발로드맵 CDR, 자기설계융합전공, 기술-예술 융합예술학, 융합문화예술대학, 융·복합전문인 특성화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고 있다. 위와 같이 현재 국내 대학 무용학과는 기존의 교육방식과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융복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각 대학의 특성에 맞춰 무용과 타 분야를 융합한 여러 교과목들이 개설되어있지만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융복합 교과목 수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국내 대학 무용학과가 직면한 문제들을 융복합 교육을 통해 무용 인재들이 다양한 예술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예술영역 자체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첫째, 무용 전공영역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전공자들이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창의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교과목을 세분화해야 한다. 이는 전공자들이 다양한 영역으로 개인 활동 창출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틀을 재구조화하여 무용의 특수성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4차산업의 기술발전과 학제 간 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무용학과와 과학기술 관련 학과와의 협동을 통해 전공 간의 학문 지식을 공유 및 연계하여 과학기술의 기초적 활용법과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무용은 내부감각 및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해 예술적 즉흥성, 창의적 표현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학문이다. 예술의 창의적 표현(무용)과 과학적 특성(과학), 심리적 접근(심리학)을 통합하여 정신건강과 치료를 돕는 학과 간, 학문 간의 융복합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예술이 치료의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는 교과과정 개발을 통해 무용이 의·과학적으로 시야를 확장해야 한다. 넷째, 현재의 문화예술영역은 순수 창작활동의 범주를 넘어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문화산업의 콘텐츠이다. 예술적 교류 및 문화예술의 본질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새로운 산업 영역, 문화예술경영으로서의 무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2008 개정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실과와 직업 교과의 연계성 연구

        진은경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에 개정 된 실과와 직업 교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육 목표, 하위 구성 체계 및 교육 내용으로 나누어 이를 바탕으로 두 교과 내용의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교육 목표는 두 교과의 목표를 교과 목표와 총괄 목표 영역별 목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둘째, 두 교과의 하위 구성 체계는 두 교과를 구성하고 있는 영역과 단원 하위 내용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의 영역을 기준으로 기본교육과정 직업 교과의 내용 체계를 재분류하여 두 교과의 내용 체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와 직업 교과의 내용 체계를 재분류한 것을 통하여 교육 내용의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와 직업 교과의 목표는 지향하는 바가 달랐다.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는 개인생활과 가정생활을 기본으로 하여 진로의 인식과 탐색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공통 교육과정 실과 교과와 연계성을 갖고 있었으나 직업 교과는 자신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하위기능에 역점을 두었다. 둘째,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와 직업 교과의 내용 체계는 가정생활, 개인생활, 직업생활의 주제 선정은 공통적이었으나 그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데 있어 차이점을 보였다.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는 3개의 주제에 따라 영역을 구성하였고 단원을 편성하였다. 그러나 직업 교과는 3개의 주제를 각 생활 장면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단원을 구성하였다. 셋째, 진로 부분과 청소하기, 정보 생활 익히기 단원에서만 내용 구성의 유의미한 연계를 보였을 뿐 나머지 단원에서는 두 교과 간에 내용이 반복되거나 축소, 격차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와 직업 교과의 내용의 연계성은 실과 교과의 3개 영역에 의한 직업 교과의 내용의 재분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상호 연계성면에서 매우 낮은 적절성을 보였다. 이는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가 직업 교과와의 연계성보다는 국민공통 교육과정 실과 교과와의 연계성을 중심에 두고 신설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와 직업 교과의 보완할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를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각 교과의 내용 체계를 쉽게 비교하여 두 교과 교사가 상호 연계성 있게 교과를 운영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connection of the contents of practical arts revised in 2008 with these of vocational subjects by dividing into educational objective, sub-framework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First, the objective of these two subjects was divided into curricular objective, all-inclusive objective and objective in respective domain so that they are effectively analyzed. Second, the sub-framework in these two subjects analyzed the domain constituting these two subjects and a sub-unit content system. The content system of these two subject was analyzed by re-classifying the content system of vocational subjects on the basis of a domain of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Third, the vertical conne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was analyzed through re-classifying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and the content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of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was origin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vocational subjects. As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is based on personal life and home life, it has the connection with the practical arts of the national basic curriculum that is aimed at perception and finding of career but the vocational subjects focuses on the embodied sub-function that supports to choose the proper job. Second,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and the content system of the vocational subjects have similarity in selecting the topic of home life, personal life and job life but it showed a difference in terms of choosing and organizing its contents.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was constituted with a domain with three topics and organized with a number of units. However, the vocational subjects divided three topics into three domains according to respective life scene. Third, the significant connection was shown only in the unit of career, cleaning and life information acquisition but in rest of the units, the contents between these two subjects were repeated and diminished and showed the gap.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connection of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with the vocational subjects showed very low adequacy in an aspect of mutual connection when classifying the contents of the vocational subjects by three domains in the practical arts is specified as a standard. It is because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was newly made on the basis of the connection with the practical arts of the national basic curriculum rather than the connection with the vocational subjects. Besides, the parts that are improved and supplemented in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and vocational subjects were found. Namel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hat is necessary for hereafter revising the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Lastly, if easily compare the content system in the respective subjects, it will be helpful that the teachers operate these two subjects with mutual conn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