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발지구 내 학교신설 이후 학급증축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 세종시 지역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강효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Recently, as the population of Sejong New Town, a development district, accelerated, schools were newly established. Within a few years of school establishment, however, classroom expansions are occurring frequently. When classroom expansion occurs, there are inevitably various social costs such as infringement of student's right to study, duplication of construction cost, inconvenience of parents and residents, and duplication of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 placement plans based on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lassrooms by type of extension schools, and to apply them to new towns to prevent trial and error and minimize social cos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do you estimate the number of students that are the basis of the student placement plan in developing districts in anticipation of the urban development promotion situation, low birthrate and population movement, neighboring school placement or location, and the formation of business districts? Second, if classroom expansion has occurr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 placement plan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and extension and the current state of student placement? Third, what are the loc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chool where the classroom expansion occurred and those that do no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nalyzed the students' placement plans and current status of the schools where classroom expansion occurred within five years after the ope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which has been established in the Sejong Development District since 2012. First, based on the size of the school establishment in the Sejong City development district, the school's capacity to accommodate students was 29,900 as of April 2019, showing that the city was able to accommodate 6,426 students compared to 23,474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uses of classroom expansion by student incidence rate and type of student placement, and analyzed the case of the loc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chool where classroom expansion occur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fact-finding and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Sejong City development zone was sufficient as of April 2019, with 6,426 remaining, but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local classroom expansion or planned to be expanded. Second, in estimating the student incidence rate, which is the basis of the student placement plan, the new school system was established by uniformly setting the number of classes at schools in the living circle without considering the urban development promotion situation,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movement, school location, school location, formation of nearby schools and commercial districts, and housing type as suggested in the preceding study. Third, compared with the new plan, extension plan, and current status of students, which were conducted to reduce overcrowding of students, Chamsaem Elementary School, which had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nearby apartments, did not need to be expanded due to the temporary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new town(Yoon Yong-gi, 2016). According to Conflict Model I, new town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after opening and then decline again after peaking. Considering the declining number of students, no further increase in students could occu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rate was not a sharp increase, but it was extended three years after the school's opening without first considering alternatives such as adjust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readjusting the school zone between Hansol Elementary School and Mir Elementary School, and providing school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a joint school district, and the curr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resulted in a return to the level of expansion. Fourth, when comparing schools of similar size and number of households in the district to those of similar size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only one school had to increase class size with the same student inducement rate because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earby residential facilities such as private institutes, school streets, and complex communities around the apartment building, such as the residential pattern (sale, rental) of students. Even though the student placement plan was established in a fixed housing siz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student placement plan through analyzing the cause of the tendency toward the specific school. First, when establishing a student placement plan, it is desirable to calculate a comprehensive and resilient student incidence factor that takes into account the number of apartment houses in the school district, the formation of neighboring commercial districts, the student placement of neighboring schools, and the type of apartment housing(pre-sale and lease). - 100 - Second, in the case of new towns, rather than designating the location of schools belonging to a specific village from the urban design stage, the school-oriented design of the living area centered on the location of schools, parks, local governments, etc, should be considered. Third, rather than insisting on classroom expansion as the only alternative to solve the temporary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during low birth rates, measures such as coordination of school districts and designation of common school districts in multi-family housing should be considered. Last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new school design in the form of complex school facilities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sident education facility in case of surplus facilities in case of a sudden drop in school age population. I hope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viable alternative in establishing student placement plans due to the temporary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n new cities, etc., in the presently decreasing school age population. I hope that I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future predictability in the future of the education office's student placement pla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for Sejong City's 5 ~ 6 living zones and the 3rd new city construc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 hope that the new school building and extension plan will be carried out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with the flexible application of the student inducement rate for class size setting and the systematic setting of the school location. 최근 개발지구인 세종 신도시 내 인구 유입이 가속화됨에 따라 학교가 지속적으로 신설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가 설립된 지 몇 년 지나지 않아 학급 증축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학급 증축이 발생되면 불가피하게 학생의 학습권 침해, 공사비 중복, 학부모 및 주민 불편, 행정의 중복 등 여러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런 사회적 비용의 최소화를 위해 학교 신설 및 증축에 따른 학생배치계획을 증축학교의 유형별로 분석하여 향후 개발되는 신도시 등에 접목하여 시행착오를 예방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개발지구 내 학교신설계획 수립 시 학생배치계획의 기본이 되는 학생 수를 도시개발 추진 상황, 저출산 및 인구이동, 주변 학교배치나 입지 및 상권 형성 등을 예상하여 산정하고 있는가? 둘째, 학교신설 이후 학급증축이 발생했다면, 신설 당시와 증축 시 학생배치계획과, 현재 시점의 학생 배치현황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급증축이 발생한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는 어떤 입지적·환경적 요인이 있는가?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세종시 개발지구 내에 2012년도 이후 개교한 학교 중 통학구역이 설정되어있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개교 이후 5년 이내에 학급증축이 발생한 학교의 학생배치계획과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먼저, 세종시 개발지구 내 학교설립 규모를 바탕으로 학생수용 가능 여력을 비교하였으며, 2019년 4월 기준으로 세종시의 개발지구 내 학생수용 가능 규모는 총 29,900명으로 실제 재학학생수 23,474명에 비해 6,426명의 수용 여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배치를 위한 학생유발률 산정 및 유형별로 학급증축이 발생한 원인을 조사·분석하였고, 학급증축이 발생한 학교의 입지와 환경적 요인은 어떤 부분이 있는지 사례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위와 같이 실태조사와 사례연구 등을 토대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종시 개발지구 내 전체 초등학교의 학생수용 가능 여력은 19년 4월 현재 6,426명이 남아 있어 충분한 상태이지만, 현재도 국지적으로 학급증축이 발생했거나, 증축예정인 학교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신설계획 수립 시 학생배치계획의 기본이 되는 학생 유발률을 산정함에 있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도시개발 추진 상황, 저출산 및 인구이동, 통학구역, 학교 입지, 주변 학교배치 및 상권 형성 여부, 주거형태 등을 고려하지 않고 생활권 내 학교의 학급수를 획일적으로 설정하여 학교신설이 이루어졌다. 셋째, 학생 과밀 현상 해소를 위해 실시한 학급증축 학교를 대상으로 신설계획, 증축계획, 현재 학생 현황과 비교해 본 결과 주변 공동주택의 입주가 완료된 참샘초등학교는 신도시 학생 수 변동추세 모형(윤용기, 2016)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일시적 증가로 증축이 불필요하였다. 갈등모형 Ⅰ에 따르면, 신도시의 경우 개교 이후 지속 증가하다가 정점을 찍은 후 다시 감소한다고 예측하고 있기에, 학생수 감소 추세를 고려할 경우 더 이상의 학생 수 증가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었다. 또한 증가 추세 역시 급격한 증가가 아니었음 확인할 수 있었음에도 일시적 학급당 학생수 조정이나 한솔초등학교와 미르초등학교 간 통학구역 조정, 공동학구 지정에 따른 통학편의 제공 등을 통한 대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개교이후 3년이 지난 시점에 증축을 하였고, 현재 학생수가 감소하여 증축이전의 수준으로 회귀된 결과를 보였다. 넷째, 학구 내 주택 세대 수와 신설 당시 학교 규모 등이 유사한 학교들을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학생 유발률로 설립규모를 동일하게 설정했음에도 하나의 학교만 학급증축이 발생한 이유는 공동주택 주변 학원 상권, 통학거리, 복합커뮤니티 등의 주변 생활편의 시설, 공동주택의 주거형태(분양, 임대) 등의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여 학생 쏠림현상이 나타났음을 알수 있었다. 주택입주 규모가 고정된 상황에서 학생배치계획을 수립했음에도 특정학교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 분석을 통해 향후 학생배치계획 수립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배치계획 수립 시 통학구역 내 공동주택 세대수, 주변 상권 형성 여부, 인근 학교의 학생배치 현황, 공동주택 주거형태(분양, 임대) 등을 고려한 종합적이며 탄력적인 학생 유발률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신도시의 경우 도시설계 단계부터 특정 마을로 귀속된 학교부지 입지 지정이 아닌 학교와 공원, 주민자치시설 등을 중심지에 위치시키고 주변으로 공동주택 등을 건설하는 형태의 생활권 중심 지향형 학교입지 설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저출산 시대에 일시적 학생 수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급증축을 유일 대안으로 고집하기보다는 통학구역 조정 및 공동주택 내 공동학구 지정 등의 조치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학령인구 급감에 대비하여 잉여시설 발생 시 주민교육시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학교시설을 복합화하는 형태로 학교신설 설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학령인구가 급감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신도시 등의 일시적 학생 수 증가에 따른 학생배치계획 수립 시 적용 가능한 대안으로서 작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교육청의 학생배치계획 수립에 있어서 미래 예측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불어, 앞으로 추진될 세종시의 5~6생활권 및 수도권 제3기 신도시 건설 시에 본 연구결과가 참고가 되어 학급규모 설정을 위한 학생유발률의 탄력적 적용, 학교입지 등의 체계적 설정으로 학교신설 및 증축계획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추진되었으면 한다.

      • 대학 정보보호 평가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소영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is an attempt to verify whether the 'University-Wide Assessments for Information Security' implemented during 2015-2018 have achieved the 'upward convergence' among universities i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t is to examine if the policy goals of upgrading the overall information security and narrowing the gap among universities have been met and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ap between the top and bottom groups has been persisting in information security despite the overall increase in the evaluation scores. We analyzed the trends of 339 universities’ information security performance comparing the actual scores (statu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growth). The‘improvement measure’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and the expected score – the average score for each assessment item for similar groups in the previous year’s assessment score. Using Palma ratio and Gini coefficients, it was found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was hardly narrowing when the‘improvement’was concerned. Second, two structural equation models - 'status' and 'value-added model' using the actual scores (statu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growth) as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 have been analyzed and merged into an 'integrated model'. For independent variables,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subjective judgement on the necessity, adequacy, and understanding of the assessment’,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utilization type’was developed and surveyed for the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s of all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2017-2018 university information security assessment. Not only the factors and paths explaining the ‘status’and the ‘growth’ were different, but the scores (status) were mediated by the different types of utilization, which influenced the degree of improvement (growth). Universities with low scores tend to use the evaluation results more, but learning-oriented use has positive (+) impact on the improvement measure (growth) while control-oriented use has negative (-) impact. The other independent variables also fit into this broad dynamic where each variable’s impact on the improvement measure is mediated through the types of use, positively by the learning-oriented use and negatively by the control-oriented use. The critical role of the‘type of utilization’has been found and highlighted. Third, the paths and influenc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differ if we divide the assessment by the two main components – information security environment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hen it comes to the field of information security environment, the lower the previous years’ scores (status), the higher the learning-oriented use of the results, leading to better ‘improvement’(growth) in the following year. However, the path of ‘previous status – type of use – current improvement’is lost in the field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stead, the previous status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the current improvement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ue to the recent legislative initiatives, legal constraint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eem to have binding effects on implementation whereas it takes time and conscientious efforts for learning to improve information security environment. Together, this study emphasizes that noticeable improvement in overall information security environment takes place when the outside assessment results are used for learning purpos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distinct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where the types of use are mostly trea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reby silent on the potential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utilization. 이 연구는 2015-2018 년에 시행 된 '대학차원의 정보보호 실태 평가'가 정보 보호 분야의 대학들 사이에서 '상향적 수렴'을 달성했는지 여부를 검증하려는 시도이다. 전반적인 정보 보안을 향상시키고 대학 간 격차를 좁히는 정책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성과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을 식별하는 데 있다. 첫째, 평가 점수의 전반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위 및 하위 그룹 간의 격차가 정보 보안에서 지속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실제 평가점수 (지위)와 향상도 (성장)를 비교한 339개 대학의 정보 보호 성과 동향을 분석하였다. '정보보호 향상 척도'는 실제 점수와 기대 점수의 차이 – 전년도 평가 점수에서 유사한 그룹에 대한 각 평가 항목의 평균 점수이다. 팔마 비율과 지니 계수를 사용하여 '향상'과 관련하여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가지 구조방정식 모형-실제 점수 (지위)와 향상도 (성장)를 각각 종속 변수로 사용하는 '지위' 및 '향상’ 모형이 분석되고, 최종적으로 '통합 모델'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의 경우, '평가의 필요성, 적절성 및 이해에 대한 주관적 판단', '조직 문화', '리더십', '활용 유형'을 측정하는 설문지가 모든 대학의 정보 보호 전문가들로부터 조사되었다. 2017-2018 대학교 정보 보호 실태평가에 참여하였다. '지위'와 '성장'을 설명하는 요소와 경로는 다를 뿐 아니라 점수 (지위)는 활용도에 따라 조정되어 향상도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평가결과점수가 낮은 대학은 평가 결과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학습 지향적 연성활용은 향상도(성장)에 긍정적 (+) 영향을 주지만 제어 지향적 경성활용은 부정적인 (-) 영향을 미친다. 다른 독립변수 또한 각 측정 변수가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이 활용 유형, 즉 학습 지향적 연성사용, 긍정적으로 제어 지향적 경성적 활용에 의해 매개되는 점은 '평가결과 활용 유형'의 중요한 역할을 찾았다고 강조할 수 있다. 셋째, 평가를 정보 보안 환경과 개인 정보 보호라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나누면 독립 변수의 경로와 영향이 서로 다르다. 정보 보안 환경 분야에서는 전년도 점수 (지위)가 낮을수록 학습 중심의 결과 활용률이 높아져 다음 해에 '향상'(성장)된다. 그러나 개인 정보 보호 분야에서는‘이전년도 지위 – 활용 유형 – 향상’경로가 사라졌다. 대신, 이전년도 지위는 개인 정보 보호의 향상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최근의 입법 이니셔티브로 인해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법적 제약은 정책시행에 구속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보 보안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학습에는 시간과 능동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외부 평가 결과가 학습 목적으로 사용될 때 전체 정보 보안 환경이 눈에 띄게 개선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활용 유형이 대부분 종속 변수로 취급되어 다른 유형의 활용의 잠재적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문헌과는 다르다.

      •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시설유형에 따른 구분을 중심으로

        김혜미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최근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급격한 사회 환경의 변화와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로 인해 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복지서비스의 주 대상자인 클라이언트의 복지욕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질 높은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달리, 실제로 장애인, 기초수급자, 노인 등의 소외 계층을 돌보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매우 열악한 근무환경을 경험하고 있다. 사회복지서비스는 다른 분야와는 다르게 문제를 가진 개인과 가족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전달되기 때문에, 유능한 인재 확보와 효과적인 인력관리는 복지 수행의 성공 여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사회복지 대상 중 큰 영역을 차지하는 노인복지시설은 시설의 운영방식과 서비스 제공 방식 그리고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시설유형이 이용시설과 생활시설로 크게 나누어지며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그에 따른 인사관리도 크게 차이가 나므로 적절한 인사관리는 조직에 대한 몰입의 강화와 개인 역량을 형성하고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이직 예방을 위해 시설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인사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와 노인의료시설 종사자 간의 기관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노무관리를 통해 종사자들의 이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지역 사회복지재단의 종사자와 퇴사자의 인사기록카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25.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기술통계분석, X², T-test, ANOVA,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무기간의 차이로 성별과 종교 유무는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에서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이고 종교가 있는 경우 근무 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에서만 통계적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많을 때 근무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직장특성에 따른 근무기간의 차이는 재가노인복지시설의 경우 사회복지사의 비율이 5년 이상의 집단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는 5년 미만의 집단에서 기타 직종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보였다. 자격증의 개수와 연수 횟수 또한 두 유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5년 이상의 집단에서 자격증 개수가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근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각 시설별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시설별로 다른 예측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노인복지시설의 경우 근무기간 증가에 긍정적 영향요인은 입사 초 급여가 유일하였고, 근무기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자격증 개수, 입사 초 근무시간인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경우 자격증 개수, 입사초급여가 모두 근무기간 증가에 긍정적 영향 요인임을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각 시설 유형별로 종사자들의 근무기간 증가를 위해서 차별화된 요인을 확인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사회복지시설유형별로 근무기간의 요인들이 다르게 밝혀진 바, 각각의 시설 특성에 맞는 인사관리 개선책이 필요함을 주요한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사회복지시설은 휴먼서비스 기관으로 인적자원을 통하여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종사자의 근무기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인사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사회복지종사자의 근무기간의 영향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사회복지종사자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특성, 복리후생 등을 고려하여야 함이 필요함을 제언할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종사자가 속해 있는 기관의 특성과 근무환경 또한 고려되어야 하고, 시설유형 간 근무환경 차이와 그 격차가 근무기간을 설명하는 다양한 변수의 영향력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동해안 무속의례의 물질문화 연구 : 초일의 형태와 전승 실례를 중심으로

        정연락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박사

        RANK : 248591

        This thesis is about Choil(making shaman's paper tools) for Byeolsingut(village ritual) and Ogugut(ritual that sends the dead into a heaven)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Various paper flowers, lanterns, a paper ship and other shamans' paper tools are decorated in the place performed DonghaeanGut(ritual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e word 'Choil' narrowly signifies making these shaman's paper tools but widely has various meaning. First, it is defined as all kinds of material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 of material culture. Second, it refers to the technique or artistic technique creating a material culture. Third, it means ways and the processes of making a material culture. As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paper is Kim's family in Busan among shaman's family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it attempted to analyze how Choil has been changed and will be passed on based on massive materials and my own experience. Choil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s been studied since 1970's. Previous researches of Choil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tudy of artistic technique and cultural meaning of Choil. These researches have been done by general researchers. In other words, because of short participant observation, these studies are restricted to delineate the root and meaning of Choil, actual its' terminology and use in Gut and classification depending on the type and ways of making shaman's paper tools. In addition, their researches' range in the regions and rituals is limitary. Therefore, to make up for these limits in previous researches, this thesis attempted to shed new light on Choil, which had been neglected as compared with shaman's songs and musics in spite of its symbolism, importance and status in Gut of Korean eastern coast. Specifically, this paper considered the conception of Choil and the influence of Buddhism and illustrated minutely characteristics of types in Choil and ways of making shaman's paper tools, inquiring materials, tools and use in Choil. And then,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present condition of Choil depending on regions and rituals. Finally, this thesis considered how Choil has been passed on and changed. Especially, this paper is differentiated in comparition with previous researches in the aspect of using records, images, pictures, in-depth interview and donated material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s research subjects from January 2008 to July 2019.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like following. In chapter 2, this paper defined and analyzed conception of 'Choil' and identified briefly the types of Choil depending rituals. Moreover, this thesis considered correlationship between decorations of Yeongsanjae(Celebration of Buddha's Sermon on Vulture Peak Mountain) and Mundabsoelboeb(song about the history of shaman's paper tools), in order to figure out the origin and history of Choil. In chapter 3, this paper examined materials and tools for Choil. Specifically, this thesis analyzed types and uses of materials for Choil based on the paper, bamboo and making tools and identified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hoil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ast. The results showed that Choil's effectiveness has been improved due to time reduction and reduction of manpower but its basic techniques have been declined because of lack of experience. In chapter 4, this paper examined type of Choil in detail. In other words, this thesis figured out characteristics of paper flowers, Daeil and other shaman's paper tools and delineated ways of making them and various materials. Moreover, this paper delineat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in Choil of contemporary DonghaeanGut and explained the process of Choil providing detailed illustrations through classification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n, this thesis examined and analyzed the artistic techniques dividing materials into the paper and bamboo. In chapter 5, this paper examined present condition of Choil, classifying DonghaeanGut into Byeolsingut and Ogugut and dividing the regions into Gangwon-do Province, Gyeongsangbuk-do Province,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Busan. Above all, this thesis identifi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decorations between Byeolsingut and Ogugut and analyzed their uses and meanings. In case of Ogugut, this thesis delineated simply decorations used both Byeolsingut and Ogugut and analyzed decorations used only for Ogugut. And then, base on the case studies of Byeolsingut and Ogugut, this thesis examined the types and present condition depending on the size and regions of DonghaeanGut. In chapter 6, this thesis focused on the continue and changes of Choil based on case studies of Byeolsingut in Hakri, Gijang-gun of Busan at 1979 and 2014.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hoil has been simplified but the symbolism of paper flowers had not been weaken and awe and the sacred had not been disappeared. In addition, this paper looked into how Choil had been passed on. Choil is a necessary process for Gut; these artistic techniques of making shaman's paper tools have been passed on only shaman family. Finally, this thesis is meaningful for analyzing types and techniques of shaman's material culture through studying Choil that has been ignored in previous researches and for suggesting the meaning of Choil in rituals of Korean shamans. Choil in DonghaeanGut showed that it had been passed on developmentally as Gut's ritual processes and contents had been developed and changed communicating customers continuously under the condition of rapidly changing period. 본 논문은 동해안 일대에서 행해지는 별신굿이나 오구굿의 초일에 대한 연구이다. 동해안굿에서는 등‧배‧지화 및 기타 무구를 제작하여 굿당에 설치한다. 초일은 좁게는 이러한 무구를 제작하는 것을 일컫는데, 넓게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 물질문화적 성격을 가진 제반의 물질을 총칭한다. 둘째, 물질문화적 창조된 기법이나 기·예능을 지칭한다. 셋째, 물질문화의 작업방식이나 과정을 지칭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해안 세습무 일가 중 부산권의 김씨 무계를 중심으로 초일의 방법과 변화과정, 전승방향성에 대하여 방대한 자료와 경험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동해안 초일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초일에 대한 연구는 크게 공예적 기법에 대한 연구와 초일의 문화적 의미에 대한 연구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외부 관찰자의 입장에서 진행되어왔다. 즉, 단기간의 참여관찰로 인하여 초일의 근원이나 의미, 실제 사용하는 용어와 용도, 유형별 분류, 제작방법을 정확하게 기술하는데 한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사의 범위가 지역적‧의례별로 매우 한정적이고 협소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해안굿에서 초일의 상징성이나 중요도, 위상에 비해 의례의 부수적인 과정이나 조형물로 치부되어 무가나 무악에 비해 객관적 평가를 받지 못했던 초일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초일의 개념과 불교와의 상관성을 검토하고, 재료와 도구를 분석하여 활용방법을 연구하며, 초일의 유형별 특징과 제작방법을 상세히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의례별, 지역별 초일의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초일 전승의 지속과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연구자가 직접 참여해 기록한 현장기록과 영상 및 사진, 제작자 심층 인터뷰 및 조사, 기증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의 내용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초일의 개념을 정의하고 분석하였으며, 의례에 따른 초일의 종류를 간단히 알아보았다. 또한 초일의 기원이나 내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불교의례인 영산재에 사용되는 장엄과 오구굿의 문답설법을 분석하여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초일에 사용되는 재료와 도구를 살펴보았다. 종이와 대나무, 제작 도구를 중심으로 각 재료별 종류와 쓰임새를 분석하였고, 과거에 비해 발전‧변화된 초일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초일은 과거에 비해 전체적으로 시간을 단축하고 품을 덜어 효율성이 높아졌지만, 기초과정에 대한 기술은 경험부족으로 인하여 점점 쇠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초일의 형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지화, 대일, 기타 무구들의 형태와 특징을 확인하고 제작 과정을 다양한 자료와 함께 상세히 정리하였다. 현재 동해안굿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초일에 대한 형태와 특징을 기술하고, 제작기법 따른 분류를 통해 구체적이고 상세한 도판을 통해 단계별로 설명하였다. 이후 초일에서 나타나는 공예적 기법을 종이와 대나무로 나누어 살펴보고, 여러 가지 공예적 기법을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초일의 형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지화, 대일, 기타 무구들의 형태와 특징을 확인하고 제작 과정을 다양한 자료와 함께 상세히 정리하였다. 현재 동해안굿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초일에 대한 형태와 특징을 기술하고, 제작기법 따른 분류를 통해 구체적이고 상세한 도판을 통해 단계별로 설명하였다. 이후 초일에서 나타나는 공예적 기법을 종이와 대나무로 나누어 살펴보고, 여러 가지 공예적 기법을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초일의 지속과 변화에 주목하였다. 1979년과 2014년의 부산 기장군 학리별신굿을 비교하여 변화를 확인하였다. 초일은 현대로 넘어오면서 간소화 되었지만, 지화의 상징성이 약화된 것은 아니며, 경외심이나 신성성이 실추되지 않았다. 또한 초일의 전승과정을 살펴보았다. 초일은 굿을 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세습무 집안의 특성 상 제작방법 및 기술은 집안 내의 식구나 일부 자손들에게만 한정적으로 전승되었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초일의 연구를 통해 물질문화의 형태와 기법에 대한 분석을 하고, 무속의례에서 초일의 의미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동해안 초일은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굿의 연행절차 및 내용이 수요층과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발전과 변화를 거듭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변화의 흐름을 수용하면서 자체적으로 발전적 계승을 거듭하고 있다.

      • 인코더 디코더 구조를 이용한 텍스트 및 비디오 분야 적용 연구

        이세리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석사

        RANK : 248591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와 비디오 분야에 인코더와 디코더 구조를 적용 및 개선하고 비디오 스타일 트랜스퍼의 성능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인코더 디코더 구조를 가진 변분 오토인코더(Variational Autoencoder)를 이용하여 차원을 축소한 잠재공간에서 텍스트를 분류하고 챗봇 자동 색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두 번째로 인코더 디코더 구조의 U-Net을 이용한 프레임 보간법(Frame Interpolation)에 어텐션 기법(Attention Mechanism)을 적용한 Attention U-Net을 이용한 프레임 보간법을 제안한다. 세 번째로 비디오 프레임 보간법에서 Convolution Layer와 Skip Connection에 변형을 가하여 비디오 글리치 효과(Glitch Effect)를 생성 및 제작할 수 있는 Interactive Tool인 UGly-Net을 제안한다. 네 번째는 기존의 비디오 스타일 트랜스퍼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의 결과 이미지를 다음 프레임의 초기 이미지로 사용하여 시간의 일관성(Temporal Consistency)을 유지하고 연산 속도도 빠르게 하는 초기 이미지를 이용한 비디오 스타일 트랜스퍼를 제안한다.

      • 문정희 시에 나타난 주체의 양상 연구 :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개념을 중심으로

        김영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박사

        RANK : 2485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research on the aspect of subject that appeared in Mun Jeong-hui's poetry, with having an analytical framework as J. Kristeva's concept of 'abjection.' That is because Kristeva's concepts of 'subject' and 'abjection' well represent a poet's prosody(詩法) and language boundary that are revealed in Mun Jeong-hui's poetry, and were regarded as being appropriate for analyzing the process of exploring femininity in 'female/me'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poem writing in 'poet/me.' As abjection is the state that refuses or eliminates what is strange from me, and generates my boundary, which is always ambiguous, it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rocess that the subject performs during the course or the creation. Accordingly, it may be an effective concept framework for explaining how the boundaries between I and what is not me, namely, others, are created, and how I am formed. As Julia Kristeva brings up a problem of woman as an issue of forming subjectivity in which the identity dubbed 'female' is signified, she is - 198 - putting the focus on clarifying a meaning of power tha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being called 'woman.' This study considered 'subject' and 'abjection,' which correspond to the key concepts in Kristeva's theory, and then made an analysis after dividing the pattern of subject, which is found in Mun Jeong-hui's poetry, into three based on this. First, it inspected how a concept of boundary as the core in Mun Jeong-hui's poetry functions in the dimension of, first, 'calling of woman,' second, 'body of woman,' and third, 'practice of woman.'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interpellation of a woman and the speaking subject,' interpellation is made as the subject in those who are alienated from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system in society. Calling and naming in this way is leading to restoring the isolated women through giving a name tag in the symbolic dimension. Also, the aspect of poetry, which is disclosed a vivid critical spirit through the event-based writing and the present-type poetics, is the unique pattern as well in Mun Jeong-hui's poetry, which makes poetic exposure through making women's stories, which are hidden in the shade, turn into a case. And a mother's name and the return to maternal Chora led to being able to examine diverse mothers' name aspects with the language of a woman that is expressed by poet Mun Jeong-hui. Second, in 'body of a woman and the differentiating subject,' various subject differentiation patterns could be confirmed starting from the body of a woman in Mun Jeong-hui's poetry. First of all, it is a point that a woman's body is recovering wild nature with exposing the body of an animal. This subject differentiation can be found the phenomenon of differentiating into fire and air from water and blood in poetry. The poet's constant reason for boundary for establishing the subject was being unveiled through diverse patterns. Ultimately, this subject differentiation process can be discovered to lead to sublimating into the existence of androgyny and the space of Eros. Third, in 'practice of a woman and the subverting subject,' it clarified that a footnote in poetry, which is shown from 『Never My Love』 as Mun Jeong-hui's collection of poems following the year in 2001, appears as an important poetic device. A footnote ever designates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but shows as an effect and a device of delivering subversive voices such as poems collection·novel title, song title, tourist spot, art work, country's city, and epitaph. In addition, Mun Jeong-hui's poetry is plainly revealed sometimes the practical defiance to the world order. It objectively reminds readers of labor sites, which are distributed in the whole world, of resistance to historical absurdity, of hatred for materialism, and of human intrinsic question. But what a poet herself as 'female poet' is exploring with rolling over it along with poetry is also a point that will need to be noted. After all, in diverse subject patterns for which Mun Jeong-hui wishes, a continuous question about the process of digging into femininity of 'woman/me' and the process of prying into poetry writing of 'poet/me' can be identified to long for own desiring country of poetry. Mun Jeong-hui is proceeding with seeking and practicing a way forward as a female poet through the declaration of liberty in subject on the country of poetry. Especially, Mun Jeong-hui is suggesting with the language in the present progressive form as saying "I write, therefore I am." This linguistic consciousness originates from own true self-awareness that makes 'me' recall. Moreover, it indicates femininity as the writing existence, namely, the creative subject, not a male and a relative female. A concept as saying that even the maternal love, which has been divinely worshipped in the meantime, may be a yoke, greatly extended Mun Jeong-hui's poetry as well. The process of finding out the ceaseless subject in such boundary also coincides with abjection. This study is presenting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at a different angle from the existing analytical framework such as feminism or eco-feminism in a situation of being not made more deeply the consideration on a woman's language that Mun Jeong-hui emphasiz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aspect of female subject that is revealed in Mun Jeong-hui's poetry based on a discussion about Kristeva's abjection that shows a borderer's thinking. This is considered to be likely to be a little help for understanding aesthetic principle that penetrates into Mun Jeong-hui's general poetry 본 연구는 줄리아 크리스테바(J. Kristeva)의 ‘아브젝시옹’ 개념을 분석 틀로 삼아, 문정희 시에 나타난 주체의 양상 연구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크리스테바의 ‘주체’와 ‘아브젝시옹’ 개념들이 문정희 시에 드러나는 시인의 시법(詩法)과 언어의 경계를 잘 나타내고, ‘여성/나’의 여성성을 탐색하는 과정과 ‘시인/나’의 시쓰기의 탐색과정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아브젝시옹은 나에게서 낯선 것을 거부하거나 추방하고 언제나 모호한 나의 경계를 생성하는 상태로서, 과정 또는 생성 중의 주체가 행하는 가장 근본적인 과정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나와 나 아닌 것 즉 타자와의 경계들은 어떻게 생겨나고, 나는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하는 데 유효한 개념 틀이 될 수 있다.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여성’이라는 정체성이 의미화되는 주체성 형성의 문제로 여성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여성’이 호명되는 과정 안에 내포된 권력의 의미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크리스테바 이론의 핵심 개념인 ‘주체’와 ‘아브젝시옹’을 고찰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문정희 시에 드러나는 주체의 양상을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여성의 호명’, 둘째, ‘여성의 몸’, 셋째, ‘여성의 실천’이라는 차원에서 문정희 시의 핵심인 경계인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호명과 말하는 주체’에서는 사회의 가부장적인 이념과 체제에 소외된 자들을 주체로 호명하고 있다. 이러한 호명과 명명하기를 통해 소외된 여성들에게 상징적 차원에서의 이름표를 부여해 복원시키고 있다. 또한 사건적 글쓰기와 현재형 시학을 통해 생생한 비판 정신이 드러나는 시의 양상은 그늘 속에 가려진 여성들의 이야기를 사건화하여 시적 폭로를 하는 문정희 시의 독특한 양상이기도 하다. 그리고 어머니의 이름과 모성적 코라로의 회귀를 통해 문정희 시인이 나타내는 여성의 언어로 다양한 어머니의 이름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여성의 몸과 분화하는 주체’에서는 문정희의 시에서 여성의 육체를 시작으로 다양한 주체 분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여성의 육체에서 짐승의 육체를 드러내며 야생성을 회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주체 분화는 물과 피에서 불과 허공으로 분화하는 현상을 시에서 발견할 수 있다. 주체의 확립을 위한 시인의 끊임없는 경계의 사유가 다양한 양상을 통해 드러나고 있었다. 결국 이러한 주체분화 과정은 양성성의 존재와 에로스의 공간으로 승화시키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여성의 실천과 전복하는 주체’에서는 문정희의 2001년 이후의 시집 『오라, 거짓 사랑아』에서부터 나타나는 시의 각주가 중요한 시적 장치로써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 각주는 해당 인물들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시집·소설 제목, 노래 제목, 관광 장소, 미술작품, 나라의 도시, 묘비명 등 전복적 목소리를 전달하는 효과와 장치로 보여준다. 또한 문정희의 시는 세계질서에 대한 실천적 반항이 때로는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독자들에게 전 세계에 분포해 있는 노동의 현장, 역사적 부조리의 반항 그리고 물신주의에 대한 혐오와 인간 본연의 물음을 객관적으로 주지시키지만, 시인 스스로 ‘여성시인’으로 시와 함께 그것을 뒹굴며 탐색해 나가는 것도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결국 문정희가 바라는 다양한 주체의 양상들은 ‘여성/나’의 여성성을 탐색하는 과정과 ‘시인/나’의 시쓰기의 탐색과정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은 스스로 희망하는 시의 나라를 염원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정희는 시의 나라에 대한 주체의 자유선언을 통해 여성 시인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문정희는 “나는 쓴다, 고로 존재한다(I write, therefore I am)”는 현재진행형의 언어로 말하고 있다. 이러한 언어의식은 ‘나’를 상기시키는 스스로의 참된 자각에서 비롯된다. 또한 남성과 상대적인 여성이 아니라 쓰는 존재, 즉 창조 주체로서의 여성성을 말하는 것이다. 그동안 성스럽게 숭배한 모성애마저도 굴레일 수 있다는 개념도 문정희의 시를 크게 확장시켰다. 그러한 경계에서 끊임없는 주체를 찾는 과정도 역시 아브젝시옹과 일치한다. 본 논문은 문정희가 강조하는 여성의 언어 등에 관한 고찰이 보다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페미니즘이나 에코페미니즘 등 기존의 분석 틀과는 다른 각도로 이해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논문은 경계인의 사유를 보여주는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논의를 바탕으로 문정희 시에 드러나는 여성 주체의 양상을 살펴보았고, 이는 문정희 시 전반을 관통하는 미학적 원리를 이해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용자의 감성 발현 양상 연구

        이성태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박사

        RANK : 248591

        사회 관계망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는 사용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실현시키고 특정한 정보나 활동을 공유하며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고 강화한다. SNS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의견을 편리하게 표현하며 여론 형성이나 사회적 의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그러나 SNS는 사용자의 이성적 판단을 보류하고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내는 공간이 되기도 한다. 감정의 자유로운 표출은 SNS의 익명성, 개방성, 다양성, 초월성, 연결성, 극단성 등의 특징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의 욕구, 이성적 사유, 오성의 인식은 감성 발현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을 감정, 이성, 욕구를 포괄한 인간의 인식으로 정의하며 감성은 진리를 발현한다고 전제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SNS의 사용자 감성 발현 요소를 밝히고 실제 사례를 통해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SNS에서 다루는 특정 사건이나 사회적 이슈, 게시 글 등에 대한 사용자 감성 발현 행위는 정당한 행동의 기준점 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때로는 욕구를 배출하는 그 자체에 목적을 두기도 한다. 그 결과 감정 발현은 사회적 문제로 논의되거나 개인의 극단적 선택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SNS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나 감성 발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SNS 사용자의 감성 발현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 대상은 주로 페이스북 게시글로 한정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플랫폼의 게시 글도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분석은 다섯 가지 기준으로 이루어지는데 첫째, 이모지, 댓글, 공유의 양적 분석, 둘째, 서술 형식을 통한 정성적 분석, 셋째, 피해 당사자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 발현 태도, 넷째, 책임 귀인에 대한 사용자의 태도, 다섯째, 사용자의 대안 제시이다. 이러한 감성 발현 분석 기준을 통해 감성 발현의 양상을 긍정적 사례, 부정적 사례, 두 감정이 공존하는 사례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긍정적 사례는 긍정적 대상에 대한 감성 발현을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한 결과 개인적 차원에서 긍정적 감성 발현은 게시 글 대상자와 책임 귀인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사회적으로 공감을 얻고 있는 사례를 통해서도 긍정적 단어를 사용하여 감성을 표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긍정적 감성 발현의 단계적 상승을 보여주는 사례를 통해서는 사건 자체에 대한 긍정적 반응과 보상을 위한 대안을 긍정적으로 제시하거나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부정적 감성 발현을 최소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정적 사례에서는 긍정적 감성이 발현되는 유형은 발견되지 않고 개별 사안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정적 사례의 대부분은 부정적 대상자에 대한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성들이 발현된다. 두 감성이 공존하는 사례에서는 논쟁적 주제가 제기되며 이에 대한 사용자의 입장 차이를 전제로 긍정과 부정의 감성이 발현되었다.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감성 발현 사례를 통해 어떤 사건이나 사회적 이슈, 게시 글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자는 게시 글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은 상태로 이모지(emoji)를 선택하거나 부정적인 감성 발현은 구어체의 형식으로 작성된다. 또한 구어체로 작성되는 댓글은 대부분 짧은 문장으로 완성되며 존칭을 찾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비속어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댓글에 사용하는 단어들도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그러나 부정적 감성을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 관용적인 표현이나 문어체의 사용, 피해 대상자에 대한 긍정적인 감성의 발현, 문제점에 대한 대안 제시, 책임 귀인을 질타하는 감성 등의 형태로 감성 발현의 긍정적인 측면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감성 발현 양상을 통해 디지털 공간에서의 인간 행위에 대한 기준점을 마련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Social networking services(hereinafter called SNSs) enable users to materialize free communication with one another, to share particular information or activity, to build social relationships an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s. They a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without difficulty and to take active part in forming public opinions or social agenda through SNSs. However, SNSs sometimes become a space where users reserve rational judgment and reveal their feelings without any effort to keep themselves in control. The free display of emotions result from the anonymity, openness, diversity, transcendence, connectivity and extremeness of SNSs. Under the circumstances, human needs, rational thinking and wisdom are of great importance to the manifestation of sensitivity. In this study, sensitivity was defined as human awareness that is comprehensive of emotions, reason and needs, and it's assumed that sensitivity manifests truth. Based on the definition and the prem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nifestation factors of the sensitivity of SNS users and the aspects of it by analyzing actual cases. Because the act that users manifest their sensitivity about particular incidents, social issues or postings on SNSs is done without any proper standard, they sometimes aim to give vent to their desires only. As a result, the manifestation of sensitivity is discussed as one of social issues or provokes the other person to make an extreme choice. When these circumstances are taken into account, analyzing the various needs of SNS users or the aspects of their manifestation of sensitivity is a quite significant research. The subjects that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he sensitivity manifestation of SNS users were mainly confined to Facebook postings, and postings of other platforms also were analyzed when it's needed. The analyses were made by five standards: ① a quantitative analysis of emojis, comments and sharing, ②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orm of description, ③ the sensitivity manifestation attitude of users toward the victim, ④ the attitude of users toward responsibility attribution, ⑤ the alternative suggestions of users. Facebook postings were divided into three cases by these standards to look into the aspects of sensitivity manifestation. One was positive cases, and another was negative cases. The third was cases that both feelings coexisted. The positive cases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dimension and social dimension depending on the way of manifesting sensitivity toward positive objects. In the manifestation cases of positive sensitivity in personal dimension, positive responses were given both to the objects of the postings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the cases that gained social empathy also showed that positive words were used to express sensitivity. In the cases that showed the phased improvement of the manifestation of positive sensitivity,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to the incident itself, or an alternative to compensation was presented in a positive manner. Or the manifestation of negative sensitivity was minimized to change negative feelings into positive ones. In the negative cases, negative sensitivity wasn't manifested, and there was a tendency to focus on individual matters only. In the majority of the negative cases, the users manifested negative sensitivity toward negative objects. In the cases that both types of sensitivity coexisted, controversial topics were presented, an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sensitivity was revealed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their position. This study that analyzed the sensitivity manifestation cases of SNS users ascertain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on particular incidents, social issues or postings. They chose emojis without accurately grasping the content of the postings, or they wrote in a colloquial style when they manifested their negative sensitivity. In addition, comments in a colloquial style were mostly in short sentences, and it's difficult to find honorific titles. Furthermore, only slang was used in some cases, and the words of the comments had negative connotations. But even in the ways of expressing negative sensitivity,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positive aspects of sensitivity manifestation such as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or literary style, positive sensitivity toward the victim, suggesting an alternative or rebuking responsibility attribu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preparation of standard about human behaviors in the digital space by analyzing the aspects of the manifestation of the sensitivity of SNS users.

      •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애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석사

        RANK : 248591

        영유아 교사는 영유아들의 성장을 이끌어 주는 영향력 있는 존재이다. 전문성 있는 교사는 영유아들의 발달을 이해하며 발달수준에 적합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제시함으로서 보육의 질을 높인다. 하지만 업무에서 오는 감정노동과 열악한 근무환경들은 교사의 이직으로 이어져 영유아들의 안정적인 적응과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어려움을 준다. 이는 결국 영유아 보육의 질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따라서 영유아 교사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개선점을 찾는 것은 결국 영유아 교사들의 안정적인 보육서비스 제공으로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 하겠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교사의 근무환경과 감정노동을 각각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들로 보고 그 영향에 대해 밝히는 연구들이었다. 본 연구는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감정노동이 이 두 변수를 조절하는지 확인함으로서 유아교사의 업무수행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있다. 또한 영유아교사의 이직의도 감소를 통한 안정적인 보육서비스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대전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영유아 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이 이루어졌다.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를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근무환경과 이직의도 사이의 감정노동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절효과 양상확인을 위해 단순기울기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근무환경의 하위 변인들은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이직의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영유아교사들의 감정노동은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의 표면적 행동은 이직의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일반적 특성 변인 중 연령, 혼인유형, 자격증 종류에 따른 검증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인식된 감정노동의 수준은 30대와 40대가 2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는 20대 30대가 40대 50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유형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는 근무환경에서는 기혼이 미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격증의 종류에 대한 차이는 1급자격증 보유 교사가 2급자격증 보유 교사보다 근무환경과 감정노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물리적 환경과 인적환경에 대한 만족이 낮고 인식된 감정노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환경과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감정노동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 근무환경의 개선은 영유아교사의 이직을 줄이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안정적인 시설환경 관리, 교재․교구비 지원, 근로시간 보장, 처우 개선 등을 통해 영유아 교사들의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교사 심리 상담이나 정서적 지원프로그램의 개발 등으로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유아 교사들이 자신의 직업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권리와 직위향상을 위한 정부차원의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 대한민국 초고령 사회를 대비한 은퇴 준비에 관한 연구 : 선진국(美,獨,日)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김성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석사

        RANK : 248591

        After the Korean War, the Republic of Korea became one of the world's top 10 econom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Resources were scares and due to the Korean war, most of industrial infrastructure foundations were destroyed. However, we stood strong and rebuilt the country with two simple human attributes, intelligence and diligence. However, the momentum of rapid economic growth has stalled for a while due to the rapid aging. Many generations whom led the economic growth over a multiple decades have now either retired or are retiring and the responsibility has been gradually passed down to the younger generations. Unfortunately, many of those retired didn't have solid retirement planning. In addition, life expectancy is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problem is that retirees make up too much of Korea's total popul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age group above 65 years old will account for 46.6% of the total population by year 2067, and the elderly population would gradually increase, supporting 102.4 retirees per 100 people. It is an unprecedented rate of aging in the world. Of course, from now on,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an increase in the age of the productive population through fertility rates. However, In 2018, the birthrate is marked at 0.98, which is in the lowest range according to world population data. There are many advanced countries experienced the same aging issue and we can definitely learn from them such as the US, Germany and Japan. Thanks to the rapidly changing landscape of healthcare technology, elderly population has rapidly grown and these countries also are undergoing many trial and errors as well. Issues around elderly populations may not be simple and easy to address. This issue requires everyone's attention and efforts; otherwise, the Republic of Korea could become the world's first country to face extinction, according to Dr. David Coleman. So we have to make the following arrangements. First, the government must establish a clear parenting policy. Without raising fertility rates, all policies are meaningless. Second. Measures to prevent a fiscal crunch on the national pension, which is a public pension, should be clearly taken. When the financial situation of older generation becomes unstable, they cannot solely rely on the government pension, and many social costs from retirement generation continue to pass on to the current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which adds to the difficulty. Third. State-led financial education is needed for all citizens. In 2015, Korea ranked 77th with 33 points after Africa's Gabon and Uganda. How can you prepare for retirement if you don't know finance in a capitalist society? Fourth. We should realize that public pensions, like the developed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can never be everything after retirement. Likewise, Korea's pension fund is depleted in 2054, 30 years later, according to current trends. In addition to the national pension, retirement pensions, personal pensions, and housing pensions that individuals can prepare should be activated. The government should boldly abolish restricted regulations, including tax exemptions and limits on aging-ready products. Fifth. We need to promptly receive the low growth phase caused by the world's fastest aging society, and actively and boldly invest in new businesses such as industries for the elderly and the quaternary industry. Most importantly, in implementing this, corporate regulations like this one must be abolished at the national level and help companies grow. Just like the state, individual needs to be thoroughly prepared for retirement. Most importantly, awareness of prolonged retirement is the most important. After retirement, I need to know clearly what I should do before retirement and what to do during my retirement. In addition, like the advanced nations, they must know finance well and learn finance,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finance. Older society has not been to any country yet. This is not something to be afraid of. If the state's preemptive response, right policies, and sympathy with the people come together, the crisis can be an opportunity. Korea has excellent DNA that has always overcome difficulties. Although a competitive society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has produced the result of low fertil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I am sure that the national measures and national cooperation listed above will surely be an opportunity for a leap into the world's top countries. 대한민국은 6.25 전쟁 이후 한강의 기적이라고 할 만큼 온 국민이 하나 되어 짧은 시간 안에 세계 10대 경제 대국이 되었다. 자원도 빈약했고 산업 기반시설 또한 전쟁으로 인해 아무것도 없던 국가였다. 굶주림에서 벗어나 우리도 한번 남들처럼 잘 살아보자는 국민 공감대로, 근면 성실과 뛰어난 인적자원의 힘으로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 하지만, 빠른 경제 성장의 모멘텀이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잠시 주춤거리고 있다. 경제성장의 주역이었던 많은 세대가 은퇴를 했거나, 하고 있고 그것이 고스란히 다음세대에 책임을 부여하고 있다. 은퇴 세대는 앞만 보고 달려온 나머지, 은퇴 이후의 삶을 준비할 시간도 기회도 주어지지 않았다. 거기에 의료기술의 발달로 기대수명은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대한민국의 전체 인구 중, 은퇴 층의 인구가 너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수치는 점점 더 가중 돼, 2067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46.5%를 차지하고 생산인구 100명당 102.4명을 부담해야 한다. 전 세계에서 유례없는 고령화 증가 속도이다. 물론 지금부터라도 출산율을 통한 생산가능연령인구의 증가로 이 부분을 해결할 수는 있다. 하지만 출산율 또한 2018년 기준 세계최저 수준인 0.98명을 기록하고 있다. 우리는 고령화로 인한 경기 저성장과 그로인해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우리보다 먼저 고령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선진국들을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세계 경제 1위 국가인 미국, 유럽경제 대국이면서 우리처럼 분단의 현실을 겪었던 독일, 그리고 우리나라와 고령화 추세가 가장 비슷한 일본을 통해서 말이다. 물론 그들도 의료기술 발달로 인한 급격한 고령인구의 증가로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고령 사회는 단순한 문제가 절대 아니다. 6.25 전쟁 이후 온 국민이 하나 되어 경제발전을 해 온 것 이상으로 국가와 국민이 하나로 똘똘 뭉쳐야 할 때다. 이대로 가다가는 어쩌면 세계적인 인구학자 David Coleman 박사의 말처럼 대한민국이 전 세계 인구소멸 국가 1호가 될 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하다. 첫째, 국가는 확실한 육아정책을 세워야 한다. 출산율을 올리지 않고서는 모든 정책이 사상누각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밑바탕에 전제해야 한다. 둘째.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에 대한 재정고갈 방지 대책을 확실하게 세워야 한다. 길어진 노후의 삶이 불안정해 지면, 국민은 국가를 의지할 수 없게 되고, 은퇴 세대로 인한 많은 사회적 비용이 현 세대, 그리고 그 다음세대에게 계속 전가되어 어려움이 가중된다. 셋째. 국가가 주도적으로 하는 금융 교육이 전 국민에게 필요하다. 2015년 미국의 S&P 가 조사한 세계 각국의 금융 이해력에서 한국은 아프리카 가봉, 우간다에 이어 33점으로 77위를 기록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금융을 모르는데 어떻게 국가가 국민에게 노후 준비를 설득하고, 국민은 한정된 자본으로 노후를 위한 재테크를 할 수 있겠는가? 넷째. 선진국인 미국, 독일, 일본처럼 공적연금이 은퇴 이후의 전부가 절대 될 수 없음을 깨달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역시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30여년 후인 2054년에 국민연금 재정이 고갈된다. 국민연금 외에, 개인이 준비할 수 있는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등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국가는 노후준비 상품에 대한 비과세와 한도 등 제한된 규제를 과감히 폐지해야 한다. 다섯째. 세계 최고 속도의 고령화로 인한 저성장의 국면을 신속히 받아 드리고 이에 대한 노후관련 실버산업, 4차 산업과 같은 신사업에 적극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를 시행함에 있어 지금과 같은 기업 규제는 국가적 차원에서 폐지하고 기업 성장을 도와야 한다. 국가와 마찬가지로 개인역시 노후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무엇보다 길어진 노후에 대한 인식이 가장 중요하다. 은퇴 후, 결코 짧지 않은 노후 생활을 위해 은퇴 전 내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그리고 은퇴 기간 동안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아울러 선진국민들처럼 금융을 제대로 알고 금융을 배워야 하며, 금융의 중요성에 대해 깨달아야 한다. 고령사회는 그 어떤 나라도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다. 그렇다고 마냥 두려워할 일도 아니다. 국가의 선제적인 대응과 올바른 정책, 거기에 국민과의 공감이 동반된다면 위기가 곧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은 항상 어려움을 극복해 온 우수한 DNA 가 있다. 빠른 경제성장으로 인한 경쟁적 사회가 인구 구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인 저출산의 결과를 양산했지만, 위에 나열한 국가적 대책과 국민 협조가 이루어진다면 분명 세계 일류 국가로의 도약에 전화위복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 머신러닝 기법과 가상 기지국 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격자인구 추정

        이동찬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0 국내석사

        RANK : 248591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보급의 증가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mobile data)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모바일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모바일 기지국(MS, mobile station)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지역 인구 분포와 유동성을 보여주는 유일한 데이터이며, 높은 시·공간적 해상도를 갖는 모바일 데이터는 소지역추정(SAE, small area estimation) 연구에 있어서 양질의 데이터 자원이 된다. 소지역추정이란 공간적으로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추정을 뜻하는데, 그 예로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한 격자인구(gridded population) 추정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가상 기지국 데이터를 이용하여 100m 격자(grid) 단위의 연령별, 시간대별 인구를 추정한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특별시 종로구로 설정하였다.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한 인구추정에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인 최소제곱법(OLS, ordinary least square), 영역내삽(AI, areal interpolation), 공간자기회귀모형(SAR, spatial autoregressive regression model), 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인구추정 방법으로는 랜덤포레스트회귀(RFR, random forest regression), 로지스틱회귀(logistic regression)가 있고, 추정값의 정수화를 위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