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막외 마취를 통한 무통분만이 산부의 상태불안과 주관적 분만통증에 미치는 영향

        유혜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경막외 마취를 통한 무통분만이 산부의 상태불안과 주관적 분만진통에 미치는 영향 유혜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김순덕, M.D., M.P.H., Ph.D.) 목적 : 분만1기 산부를 이해와 정상 산부의 안위를 증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경막외 마취를 통한 무통분만이 산부의 상태불안과 분만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S여성전문병원 분만실에 2008년 1월 1일부터 2009년 3월 20일까지 분만을 위해 입원한 산부로 선정기준에 맞고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를 한 자를 분만1기의 잠재기와 분만 후 6시간이후 12시간 사이에 병실에서 안정을 취할 때 연구자가 직접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불안정도 측정의 단계에서 특성불안결과가 매우 높은 3명을 제외한 분만 후 경막외 마취 시술을 받은 산부 79명을 실험군으로 시술을 받지 않은 산부 67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불안측정을 위해 Spielberger의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를 한덕웅, 이창호(2000)가 개발한 STAI-YZ형의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주관적 통증측정은 Hanson, Thompson & Varni(1987)에 의해 개발된 시각적 상사척도 (VAS : Visual Analogic Scale)를 이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dows version 12.0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x2검정,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동질한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태불안정도와 주관적 분만통증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산과적 특성에 따른 상태불안 정도와 주관적 분만통증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막외마취 시술 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불안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막외 마취 시술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실험군의 불안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경막외 마취 시술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주관적 분만통증 정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막외 마취 시술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실험군에서 주관적 분만통증 정도가 확연히 낮게 나타났다. 경막외 마취 시술을 받은 경산모와 초산모의 상태불안 정도는 시술 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시술 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막외 마취 시술을 받은 경산모와 초산모의 주관적 분만통증 정도는 시술 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시술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로 경막외 마취가 산부의 분만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켜 주는데 효과가 있어 편안한 분만이 되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며 분만 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중재라는 결과를 얻었다. 불안과 분만통증은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며 출산 산모의 요구도가 증가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이를 중재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의료진은 경막외 마취를 통한 무통분만법과 함께 적극적인 산부의 평가와 다른 중재를 함께 시행하여 출산이 불안과 고통의 과정이 아닌 축복된 경험으로 인식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 이다. 주제어 : 경막외 마취, 분만통증, 불안. Abstract Painless labor with the use of epidural anesthesia can reduce the subjective severity of labor pain and the anxiety level for women in labor HYE YEONG YOO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Soonduck Kim, M.D., M.P.H., Ph.D.)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first stage of labor and to improve the safety of women in normal labor a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ainless labor with the administration of epidural anesthesia on labor pain and the anxiety level. Methods : Pregnant women that stayed in Incheon S Women's Hospital delivery rooms between 1 January 2008 and 20 March 2009 were examined.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women who satisfied the conditions of the study and provided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omen were interviewed during the latent phase of the first stage of labor. The women were interviewed while in the comfort of the hospital bed between six and 12 hours after delivery to collect data.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rised of 79 women in labor that received epidural anesthesia, except for three women who showed very high levels of anxiety. The control group was comprised of 67 women who did not receive epidural anesthesia. Analysis tools included the STAI-YZ examination sheet developed by Duk Woong Han and Chang Ho Lee (2000), based on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for anxiety level,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of Thompson and Varni (1987) for the subjective severity of labor pai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SPSS for Windows, Version 12.0 software, with the use of the chi-squared test, t-test and ANOVA. Results : Women in labor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general demographics and pregnancy experi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nxiety level and subjective severity of labor pai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s or pregnancy experienc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anxiety level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epidural anesthesia,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nxiety level with the use of epidural anesthesia.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subjective severity of labor pain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epidural anesthesia,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ubjective severity of labor pain with the use of epidural anesthesi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d and women in labor for the first time for the anxiety level both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epidural anesthesi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d and women in labor for the first time for the subjective severity of labor pain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epidural anesthesia,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fter the administration of epidural anesthesia. Conclusion :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epidural anesthesia effectively reduces pain for women in labor and reduces the anxiety level for a more comfortable delivery and is a necessary intervention for delivery control. Anxiety and pain are caused by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but various methods of intervention can be used to satisfy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women in labor. Therefore, medical specialists can provide other types of intervention along with painless labor with the use of epidural anesthesia after a careful examination of each patient where childbirth is remembered as a glorified experience and not as a procedure of anxiety and pain. Key words : Epidural Anesthesia, Labor pain, Anxiety.

      •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기술 간의 관련성

        박명옥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기술 간의 관련성 박 명 옥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이 원 진, MD, MPH, Ph.D.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기술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감각처리 과정에 문제가 있는 발달장애아동의 작업수행기술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시 고려해야 할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0년 6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국립재활원과 충남 장애인 부모회 당진지회 발달센터를 내원하고 있는 발달장애아동 39명의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기술을 평가하였다.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기술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작업수행기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체 연구 집단의 작업수행기술 중 운동기술에서는 활력부족/허약 영역이(r=0.468), 처리기술에서는 활력부족/허약(r=0.377)과 시청각민감성 영역(r=0.327)이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정신지체 그룹에서는 처리기술과 감각처리능력 총점 및 (r=0.052) 촉각민감성 영역(r=0.542)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뇌성마비 그룹에서는 운동기술과 움직임민감성 영역에서 강한 상관성이 나타났으며(r=0.731), 처리기술과 청각여과하기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0.604). 전반적 발달장애 및 그 외 그룹에서는 운동기술과 활력부족/허약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0.631). 운동기술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 영역은 활력부족/허약이었으며(β=0.060, p=0.019), 처리기술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발달장애아동의 작업수행기술 중 운동기술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영역은 활력부족/허약이었고, 처리기술에는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영역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수행기술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시 감각처리과정의 어떠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반드시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발달장애, 감각처리능력, 작업수행기술 , 운동기술, 처리기술 Abstract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young-Ok Park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Won Jin Lee, MD, MPH, Ph.D.)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identify those factors that affect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Methods : Between June 2010 and February 2011, cross-sectional data was collected on 39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nd the developmental center of Chung-Nam disabled person's parents society in Dang-jin.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mo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that affect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Results :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MPS-motor skills and low energy/weak area (r=0.468), AMPS-process skills and low energy/weak (r=0.377) and visual/auditory sensitivity(r=0.327) for all subjects. The mental retardation group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AMPS-process skill, SSP total score (r=0.052), and tactile sensitivity (r=0.542). The cerebral palsy group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MPS-motor skill, and movement sensitivity (r=0.731), and a correlation between AMPS-process and auditory filtering (r=0.604).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 other group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AMPS-motor skill and low energy / weak (r=0.631). Low energy/ weak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AMPS-motor skill(β=0.060, p=0.019). Conclusion : We found the 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ist should consider sensory processing areas as a primary problem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 words : developmental disability; sensory processing ability;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 motor skill; process skill.

      • 성인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의 연관성

        조성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성인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의 연관성 조성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천 병 철, MD, MPH, PhD.) 목적: 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유무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의 연관성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내시경을 시행하여 조직검사상 H. pylori 감염 결과가 있는 76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H. pylori 감염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 두 군으로 나누어 이들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분석하였다. 연속형 변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후, 평균을 이용하여 t-test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범주형 변수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240 mg/dL를 기준으로 미만과 그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144 mg/dL, 중성지방은 156 mg/dL,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80 mg/dL를 기준으로 하여 성별, 연령, 신체질량지수를 보정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 50세 미만과 이상으로 나누어 전체 대상자에서 실시한 분석 방법으로 하부군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768명 중 양성군은 386명이며, 음성군은 382명이다. H. pylori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중성지방 수치가 156 mg/dL 이상으로 높을 위험이 1.18배였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50세 미만 대상자는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40 mg/dL 이상으로 높아질 위험이 1.03배이며,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144 mg/dL 이상으로 높아질 위험이 1.08배, 중성지방은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1.42배 156 mg/dL 이상으로 높아질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0세 이상 대상자는 중성지방 수치가 156 mg/dL 이상으로 높아질 위험이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1.03배 높아질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성인에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혈충 콜레스테롤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주제어: Helicobacter pylori,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 지질계수, 단면연구 Abstract Associ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blood cholesterol level in adults <Cho sunghee>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Byung Chul Chun, MD, MPH, Ph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lood lipid level in subjects according to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ion. Methods: A total of 768 subjects who underwent a regular health check-up was enrolled and analyzed. Each subject underwent esophagogastroduodenoscopy with gastric mucosal biopsy, and H. pylori infection was determin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 pylori positive and negative. Lipid profile were measured in all subjects. For univariate analysis, continuous variables were compared using the Student's t-test and categorical variables were compared using the chi-square test. Age, sex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adjusted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levated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identified as values greater than 240 mg/dL, 144 mg/dL, 80 mg/dL and 156 mg/dL, respectively. Dividing the age of 50 years, sub-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association in each age-group. Results: A total of 386 subjects was included in positive group and 382 subjects were included in negative group. After controlling confound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adjusted odds ratio of H. pylori infection for high triglyceride level (≥156 mg/dL) was 1.18 (P=0.34). In the subjects under 50 years of age, after controlling confound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adjusted odds ratio of H. pylori infection for high total cholesterol level (≥240 mg/dL) were 1.03 (P=0.92) in total cholesterol, 1.08 (P=0.74) in LDL-cholesterol level (≥144 mg/dL) and 1.42 (P=0.16) in high triglyceride (≥156 mg/dL), respectively. In the subjects over 50 years of age, H. pylori infection was als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lipid profiles. Conclusion: H. pylori infection was not associated lipid profiles in regular health check up data in this study. Key words: Helicobacter pylori, cholesterol level, lipid profiles, cross-sectional study

      • 한국 성인 여성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장영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한국 성인 여성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장 영 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천 병 철, MD, MPH, Ph.D.) 목적 :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암 검진 수검행동 및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암 종류별로 영향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면접조사 34,145명중 조사에 참여한 33,848명(참여율 99.1%) 가운데 성인여성 13,43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한국 암검진 권고안(유방암, 자궁경부암)에 따라 유방암은 만 35세 이상 여성으로, 자궁경부암은 만 20세 이상 여성으로 한정하였고, 그 결과 유방암검진 대상자 3,048명과 자궁경부암검진 대상자 4,153명이 선정되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암 검진 수진여부에 수검행동 및 그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Rosenstock(1966)에 의해 제시되었고, Becker(1974)에 의해 수정된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의 요인을 세 가지 조정요인(modifying factors)으로 하여 인구&#8228;사회&#8228;심리적요인(demographic sociological variables), 구조적요인(structural variables), 행동계기 요인(cause to action)을 분석해 보았으며 여성암 수검 행위에 있어 영향요인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의 판정은 유의수준 5%로 하였다. 결과 : 유방암의 경우 만 40세 이상의 여성은 만 35세 이상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낮았으며(OR=0.75), 아파트에 거주하는 여성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다(OR=1.80). 4인 이상 가족의 여성이 3인 이하 가족의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OR=1.1), 500만원 이상인 여성이 100만원 이하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다(OR=2.64). 민간보험이 있는 여성이 민간 보험이 없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낮았고(OR=0.61) 암 가족력이 있는 여성이 암 가족력이 없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다(OR=1.81). 이 외에 지역, 월평균가구소득, 주관적 체격인식, 교육수준, 직업, 결혼여부, 흡연여부, 음주여부, 일상생활 활동정도, 주관적 건강상태는 유방암 수검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자궁경부암의 경우 수검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연령, 거주형태, 가구원수, 민간보험여부, 교육수준, 우울증 등이었다(p<.005). 연령에서는 40대 여성이 20대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OR=2.18), 거주형태는 아파트에 거주하는 여성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다(OR=2.22). 가구원수에서는 4인 이상인 여성이 3인 이하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OR=1.14), 민간보험여부에서는 보험이 있는 여성이 보험이 없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낮았다(OR=0.44). 교육수준에서는 초졸이하인 여성이 고졸이하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OR=1.42), 대졸이상인 여성은 고졸이하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낮았다(OR=0.47). 우울증에서는 우울증이 없는 여성이 우울증이 있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낮았다(OR=0.45).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참조하여 향후 암 수검률이 낮은 취약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은 조기검진을 통해서 발생률을 줄일 수 있으며, 조기에 검진만 되면 완치율이 높은 암 중의 하나이므로 조기 검진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각인 시켜줄 계기가 필요하며 행동요인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조기 암 수검률이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Breast and Cervix Cancer Screening in Korean women - based on the 2005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ang, Young-eun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Chun, Byung-chul, MD, MPH, Ph.D.) Objectives : While cancer screening studies have been done by some national health community centers in Korea, they are insufficient to predict the course of the disease or clarify precipitating factor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factors influencing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Methods : Among 13,439 females recruited in the 2005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is study involved 3,048 females >35&#8208;years&#8208;of&#8208;age for breast cancer screening and 4,153 females >20&#8208;years&#8208;of&#8208;age for uterine cervical cancer screening. Differences were compared between the examined and unexamined women, and demographic sociological, structural, and causal factors were analyzed by applying modifying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Results : Age, habitation, family size, monthly income, health insurance, and cancer family histo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omen screened for breast cancer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Age, habitation, family size, health insurance, educational level, depressive episode were significant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Conclusion : Special health care administration is necessary for high risk groups and early detection of the common female cancer (breast and cervical) patients by screening tests are essential for community health care.

      • 한국의 경제위기에 따른 사망률 변화 :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비교

        김은혜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rtality Rate in Relation to the South Korean Economic Crisis between Asian Economic Crisis in 1998 and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Eun Hye Kim Supervising Professor : Eunil Lee. M.D., Ph.D.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Global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ortality rates in relation to the South Korean Economic Crisis between Asian economic crisis in 1998 and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To compare the health-related problems caused by the two economic crises, we compared the mortality rates from 1997 to 2003 and from 2007 to 2013.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classified into the Korean standard disease (KCD)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otal mortality, gender, and age. Methods : This study wa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 national statistical portal for statistical data over seven years from 1997 to 2003 and the causes of death over seven years from 2007 to 2013. Using the SPSS 20.1 program, the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year, cause of death, sex, and age, and the total mortality rate, sex and age - specific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es. The mortality rates for the three major causes of death in Korea were compared and these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previous studies. Results : Infant mortality rates and mortality rates for 0-9 years were increased dur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but mortality rates were increased in the 30-39 year age group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ause of death such as ‘Respiratory tuberculosis unspecified, without mention of bacteriological or histological confirmation (A169)’, 'Unspecified dementia (F03)',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 newborn (P220)', and 'Suicide (X60-X84)' were increased in both economic crises. The mortality rate due to transportation accident was decreased after the two economic crises. The mortality rates of 'malignant neoplasm', 'cerebrovascular disease', and 'heart disease', which are the major causes of death in Korea, increased steadily from 1997 to 2013. Most of the deaths did not show a similar pattern in the two economic crises.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mortality rates before and after the two economic crises differed more than those in common patterns. Thes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different age groups that were affected by the form and duration of the economic crisi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ushioning capacities of the local culture, policy, and health policy, and over time in the total pop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common causes of death, but the temporal causality was limited in this study.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in-depth study considering the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f the individual. Through these studies, we should be able to predict the health problems that will be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health policy by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in terms of health care. Key words: Economic Crisis, Mortality Rate, Suicide Rate, Asian Financial Crisis, Global Financial Crisis 국문요약 한국의 경제위기에 따른 사망률 변화: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비교 김 은 혜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 및 국제보건과학과 지도교수: 이은일 M.D., Ph.D. 목적 :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사망원인통계를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체계를 이용하여 1998년 발생한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의 사망률을 비교분석하였다. 두 경제위기에 따른 건강관련 문제를 비교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03년, 2007년부터 2013년의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사망원인통계 자료를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체계로 분류하여 전체사망률과 성별, 연령별 보정하여 사망률을 각각 비교·분석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3년간 7개년의 자료와 2007년부터 2013년의 7개년의 사망원인통계 마이크로 데이터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받았고, 이는 한국표준질병 사인분체계로 분류하였다. SPSS 20.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도별, 사망원인별, 성별, 연령별로 나누어 사망률을 비교하였고, 이때 전체 사망률과 성별, 연령별 사망률은 표준화사 망률로 각각 보정하여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주요 3대 사망원인의 사망률의 변화와 선행연구에서 경제위기전후로 사망률의 증가가 보고되었던 사망원인, 그리고 기타 공통된 패턴을 보인 사망원인을 중심으로 사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아시아 금융위기에서는 영아사망률과 0-9세의 사망률이 증가한 반면,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에는 30-39세의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질병사인별로 살펴보면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의 언급이 없는 상세불명의 호흡기 결핵(A169)'와 ‘상세불명의 치매(F03)', ‘신생아의 호흡곤란 증후군(P220)' 그리고, ‘고의적 자해(X60-X84)'의 네 가지의 사망원인이 두 경제위기에 공통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운수사고에 의한 사망률은 두 경제위기 직후 공통적으로 감소하였다.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인 ‘악성 신생물’과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의 사망률은 1997년부터 2013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사망원인은 두 경제위기에 비슷한 패턴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두 경제위기 전후의 사망률의 변화는 공통적인 패턴보다는 차이점이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경제위기의 형태와 지속시간, 그리고 해당지역의 문화와 정책, 그리고 보건정책에 따른 사회의 완충능력의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연령대가 다르기 때문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문화와 정책의 변화로 인한 것이라고 추측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공통적인 패턴을 보인 사망원인들은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시간적 인과성을 설명하기에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측면에서의 생태학적 변수와 사회적인 변수, 그리고 개인의 경제적 측면의 변수를 고려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경제위기에 영향을 받게 될 건강문제를 예측하고, 의료 보건학적 측면의 예방 대책의 수립 등 보건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겠다. 주제어 : 경제위기, 사망률, 자살률, 아시아 금융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에 따른 비용-편익 분석 : 직접비용 중심으로

        이재복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에 따른 비용-편익 분석(직접비용 중심으로) 이 재 복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과학과 (지도교수: 최 재 욱, MD, Ph.D.) 목적 : 본 연구는 2011년 2월 입법 예고된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에 따른 비용-편익 분석을 통하여 산업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비용추정에서 80% 이상을 차지하는 ’시험 및 등록‘ 항목의 물질 당 시험단가를 직접 추정하여 성공적인 제도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비용 추정은 전체 80 %의 비중을 차지하는 ‘시험 및 등록’ 항목에 대하여 국내 GLP(Good Laboratory Practice) 기관에 직접 견적을 의뢰하여 최소비용과 최대비용을 추정하였으며, 국내에서 직접 시험이 불가능한 항목에 관해서는 외국의 GLP 기관 최대 비용을 적용하였다. 그 외의 비용 추정 항목에서는 직접 추정이 불가능하여 외국 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연구사례를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편익 추정은 산업체에 관한 편익과 사회에 관한 편익으로 구분하여 추정하였으며, 질병비용추정법의 데이터 부족으로 인하여 국내외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편익 추정을 하였다. 결과 : 1. 비용 추정은 예비등록, 시험 및 등록, 유해성 및 위해성 자료 생성, 평가, 허가 및 제한 항목으로 최저 비용은 3,877 억 원 이며, 최대 비용은 7,393 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시험 및 등록’ 항목 비용은 최소 3,474 억 원에서 최대 6,488 억 원 규모로 전체 비용 중 약 80%에 해당 되며, 성공적인 화평법 도입을 위해서 가장 최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시험단가이며, 시험단가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침서 개발 및 국내외 인프라 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 편익 추정은 작업장 근로자의 직업병 예방으로 인한 건강개선 편익과 국민건강에 대한 효과로 단순히 의료비 절감만 고려한 경우와 질병회피에 대한 지불의사(WTP)비용을 포함한 편익으로 구분하여 편익을 추정하였으며, 최소 5,859 억 원에서 최대 12,198 억 원의 편익 비용이 도출되었다. 3. B/C 비율(Benefit-Cost ratio)을 적용하면, 편익의 가치의 합을 비용의 가치의 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최소 1.50 ∼ 최대 1.65 로 1이상 비율의 값이 나왔으며 최대비용에서의 B/C 비율은 1.6 이상으로 사업을 시행하는데 있어 우수하다고 평가되며, 화평법 시행 후 최소 20년 이상이 지났을 경우에는 본격적인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 생각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에 따른 편익은 비용을 충분히 상회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 EU REACH 도입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도입에 따른 사회적 후생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시행을 서두르지 않고 충분한 기간을 두고 검토와 의견 수렴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시험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서는 국내 GLP기관의 확충이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며, 단기간에 이를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므로 화평법 시행 시기를 국내 GLP 기관의 시험능력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자료 소유자의 과도한 비용 책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는 국내 GLP 시험기관의 시험비용을 조사하여 평균 시험비용 자료를 개발하여 지침서 등을 발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성공적인 화평법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시험 단가를 정확히 규명하는 것이 선결조건이라 하겠다.

      • 교대간호사와 비교대간호사의 월경 전 증후군과 월경양상

        이현정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Premenstrual Syndrome and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among Nurses Working Shifts and Not Working Shifts Hyun-jung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Hae-Joon Kim, M.D., Ph.D)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premenstrual syndrome (P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among nurses working shifts and not working shifts and attempt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that influence premenstrual syndro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ervice quali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nurses as women. Methods: A total of 262 surveys were distributed to shift and non-shift nurses working at a teaching hospital located in Seoul with approval of the Korea University Kuro Hospit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items for analyz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menstruation-related characteristics. Premenstrual syndrome was measured by the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DQ) developed by Moos. Nurses who scored two or more than two were identified as PMS patients. Menstrual cycle, number of days of menstruation, menstrual cycle regularity, and level of menstrual pain were considered as the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Premenstrual syndrome was significant among shift nur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more number of shift nurses experienced irregular menstrual cycles. Shift nurses also suffered from more severe menstrual pain. When related variables were controlled, premenstrual syndrome was influenced by the type of shift work, sleep disorder, and a stress score of 2.8 or higher. The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that influenced menstrual pain were the type of shift work, sleep disorder, stress score between 1.8 and 2.8, stress score of 2.8 or higher, and PMS history. Menstrual cycle irregularity was influenced by the type of shift work, 2-5 years of work, and 10 or more years of work. Menstrual cycl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5-10 years of work, one or more deliveries, and PMS histor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hift wor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MS, menstrual pain, and menstrual cycle regularity. The amount of stress was also found to be a risk factor for PMS. Therefore, programs that help nurses to manage or respond to their stress are recommended, Keywords: Shift working nurse, PMS, Menstrual characteristics 목적: 교대 및 비교대 간호사간의 월경전증후군과 월경양상에 대해 파악하고 월경전증후군과 월경양상에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으로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키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임상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서울시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병원의 교대 및 비교대 간호사 전수를 중심으로 수집된 설문조사에서 262부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특성, 건강관련특성, 월경관련특성 등의 문항이 포함된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월경전증후군의 측정은 Moos가 개발한 MDQ(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2점을 기준으로 월경전증후군 여부를 구분하였다. 대상자의 월경양상 파악을 위해 월경주기, 월경기간, 월경의 규칙성, 월경통의 척도 등에 대하여 설문하였다. 자료 분석은 카이스퀘어검정, 로지스틱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월경전증후군은 교대간호사 군이 비교대간호사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교대간호사 및 비교대간호사의 월경양상의 차이는 교대간호사 군에서 월경이 불규칙한 경우가 더 많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4), 월경통에서도 교대 간호사군에 월경통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은 관련변수들을 보정 통제하였을 때 교대여부(OR 3.154, 95% 신뢰구간: 1.169-8.474), 수면장애여부(OR 2.659, 95% 신뢰구간: 1.360-5.181), 스트레스 양에서 2.8이상인 군(OR 5.094, 95% 신뢰구간:1.839-14.113)이었다. 월경양상 중 월경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대여부(β=0.300, p<0.001), 수면장애여부(β=0.180, p=0.005), 스트레스양 중 1,8-2.8인 군(β=0.162, p=0.021), 스트레스양 중 2.8이상인 군(β=0.175, p=0.014), 월경전증후군 과거력 (β=0.119, p=0.044)이었다. 월경의 불규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련변수들을 보정 통제하였을 때 교대여부(OR 4.504, 95% 신뢰구간: 1.724-11.765), 총 근무 기간 중 2-5년인 군(OR 5.322, 95% 신뢰구간: 1.324-21.383), 총 근무 기간 중 10년 이상인 군(OR 9.942, 95% 신뢰구간: 1.053-93.860)이었다. 월경의 주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련변수들을 보정 통제하였을 때 총 근무 기간 중 5-10년인 군(OR 19.086, 95% 신뢰구간: 1.195-304.909), 출산횟수가 1회 이상인 군(OR 21.759, 95% 신뢰구간: 2.232-212.093), 월경전증후군의 과거력이 있는 군(OR 3.255 95% 신뢰구간: 1.066-9.940)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교대근무는 월경전증후군, 월경통 및 월경의 규칙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위험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개 대학병원의 간호사 전수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지만 타 병원의 간호사들과 비교분석하는 후속연구를 통해 교대 여부와 월경전증후군의 관계를 재확인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스트레스 양이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나 간호사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거나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임을 시사 하였다. 주제어: 교대근무 간호사, 월경전증후군, 월경양상

      • 건강검진 수진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추이와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안산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권정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the Medical check-up examinees in a hospital -Among An-san residents - Jeong Ran kwon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Hospital Manageme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Hyeong sik Ahn M.D.,Ph.D.) The metabolic syndrome that genetic and enviromental factors cause needs steady medical check up because it is the main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ological factor and life style factor related to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 estimate the prev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the medical check-up examine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4,598 An-san residents over 20years old among 25,186 male and female who got a medical check up in Korea University hospital for 5years from January 2nd 2002 to December 31st 2006. Questionnaire and DB material of General check-up center self check-up were used to get the life style factor such as smoking, alchol and exercise and have physical measurement, blood test, and ulstasound test respectively. The averag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subjects for 5years was 13.8%. The prevalence of male(14.9%)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12,7%)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radically increase with age. In the prevalence distribution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was follows: Male were higher in Triglyceride (43.6%) and blood pressure(27.5%) while female were higher in HDL- Cholesterol (25.5%) and waist circumference(29.4%). B.M.I(Body Mass Index) and the subjects with high fatty liver had much higher physical measurement and the result of clinical research meaningfully than the subjects with non-fatty liver except HDL- Cholesterol.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radically incresed 7.24 times with age, 1.37times in smoking group and 1.74times in drinking group. Furthermore, female(0.7times), high education level(0.63times), manufacturing worker(0.46times) and higher physical activity group(0.6times) had lower risk metabolic syndrome. Namely, we can see that high education level, non-smoking, non-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are prevention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life style factor for the medical check-up examinees in a hospital shows that metabolic syndrome is a comparatively common disease and needs comprehensive management even though the 5-year average prevalence(13.5%) is lower than korea National Nutrition Survey in 2000 year(19.9%) and 2004 year(19.5%). Moreover,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fe style such as age, education level, drinking, obesity, smoking, and exercise.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make a constant research about the diagnostic lists which affect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correlation of related factors, health education for prevention and cure and health improvement. Key word :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education level, smoking drinking, exercise 국문요약 건강검진 수진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추이와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안산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 권 정 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정책 및 병원관리학과 (지도교수: 안 형식) 유전적 인자와 많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어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추이와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생활습관 요인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2년 1월 2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5년간 K대학병원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25,186명중 전산 입력결과 안산거주자로 20세이상 성인 14,598명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고, 신체 계측, 혈압측정, 혈액검사, 초음파검사는 검진센터의 DB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5년간 평균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3.8%로 나타났으며, 남자가 14.9%, 여자가 12.7%로 남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여자보다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성별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유병률 분포를 보면 남자는 중성지방 43.6%, 혈압 27.5%에서 높았고, 여자는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32.2%, 허리둘레 29.4%가 높았다. 체질량 지수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비만군의 분포가 높았으며, 지방간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에서는 지방간군이 비지방간군보다 HDL 콜레스테롤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신체계측과 임상검사 결과가 유의하게 높았다. 대사증후군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7.24배, 흡연군에서 1.37배, 음주군에서 1.78배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남자보다 여자에서 0.7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0.39배, 사무직보다 생산직에서 0.46배, 운동을 많이 할수록 0.6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즉 교육수준, 금연, 금주, 운동이 대사증후군 예방인자임을 알 수가 있다.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추이와 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5년간 평균 유병률은 13.9%로 국민건강영양조사 2000년 19.9%, 2004년 19.5%보다 낮지만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선별 및 포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대사증후군 발생 관련요인에는 보건의식형태, 즉 연령, 교육수준, 음주, 비만, 흡연, 운동 등이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진단기준 항목 및 관련요인의 상호 연관성,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보건교육,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이고 전향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대사증후군, 유병률, 교육수준, 흡연, 음주, 운동

      • 배우자 사이의 심혈관계 질환 요인의 상관성 연구

        김선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 요약 배우자 사이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의 상관성 연구 김 선 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이 원 진, MD, MPH, Ph.D.) 목적 : 공통된 생활양식 및 환경을 공유하는 배우자는 서로에게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유사한 위험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우자 사이 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의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순천향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부부 중 3,159쌍을 대상으로 한 단면연구이다. 배우자 사이의 모든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의 상관성은 피어스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일치성은 급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와 카파 (Kappa)로 분석하였다. 또한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의 Odds ratio는 남녀 배우자의 연령으로 보정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결과 : 모든 심혈관계 위험요인들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호모시스테인(ICC=0.24)을 제외하고는 배우자 사이의 일치성은 낮게 관찰되었다. C-반응 단백의 교차비는 2.15(95%CI=1.53-3.02)로 높게 증가하였으며, 당화혈색소는 2.01(95%CI= 1.09-3.69)로 교차비가 증가하였다. 다른 연령군에 비하여 50세 이상인군에서 배우자 사이의 상관성과 일치성이 많은 심혈관계 위험요인들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 : 일부분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 가운데 결혼기간이 오래된 배우자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배우자 사이에서 공유되는 환경적인 요인들이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 배우자,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 상관성, 일치성 Abstract Spousal Correlation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n-Young Kim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Won Jin Lee, MD, MPH, Ph.D.) Objectives: Shared environmental factors may confer to spouses a similar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Korean couples. Methods: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for 3159 married couples from 2004 to 2008 i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Correl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spouses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ncordance was analyzed by Intraclass correlation and Kappa index. Odds ratios were also calculated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fter adjustment for spousal ages. Results: Al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however, they had low concordance of between the spouses, except for homocysteine (ICC = 0.24). Odds ratios of C-reactive protein increased the most by 2.15 (95%CI=1.53-3.02), and that of glycosylated hemoglobin increased by 2.01 (95%CI=1.09-3.69).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couples in their 50s showed a higher correlation and concordance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n other ag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spousal concordance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articluarly for couples who have long marriage duration. This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shared environmental factors in cardiovascular diseases. Key word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nvironment, Lifestyle, Spousal, Correlation

      •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실태와 수면에 관한 연구

        최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실태와 수면에 관한 연구 최 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과학과 (지도교수 : 이은일, M.D., Ph.D.) 목적: 본 연구는 병원 근무자의 야간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실태와 수면의 질, 불면증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는 연구이며 수면과의 관계를 분석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A대학교 병원 검사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 193부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수면의 질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불면증은 AIS(Athens insomnia scale)를 활용하였으며 설문항목은 일반적 특성, 야간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시간대와 사용시간, 수면위생과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면의 질과 불면증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단변량 분석 결과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야간 사용시간이 많거나 잠자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수면의 질이 낮아지고 불면증의 심각도가 높아지는 것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로지스틱 다변량 분석 결과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오즈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만 확인되었다. 결론: 야간에 장시간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하거나 잠자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수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근무자의 디스플레이 장치 야간 사용패턴, 주말 수면습관과 수면의 질, 불면증 관련성을 분석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주요단어: 디스플레이 장치, 수면의 질, 불면증 Abstract Associations between display unit usage and sleep Jun Cho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Eunil Lee, M.D., Ph.D.)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display devices at night and the sleep quality with insomnia to provide the health effects of several display devices including cell phone, computers and TV.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laboratory workers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with analyzing 193 subjects. As for research tools,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was used for sleep quality and AIS (Athens insomnia scale) for insomni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ime and hours of using display devices at night, sleep hygiene and environ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Sleep quality and insomnia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Univariate analysis showed some significant factors affected sleep quality including use of smartphone or tablet PC at night or in bed, age, marriage status, alcoholic drinking habits and weekend sleeping time. Insomnia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e factors including use of smartphone or tablet PC in bed and marriage statu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increasing risk of sleep quality and insomnia by use of smartphone or tablet PC at nighttime or in bed, however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sleep with the longer use of a smartphone or tablet PC at night or and with the use of smartphone or tablet PC in bed. Further large study is needed to find the associations between sleep and use of other display devices including computers and TV. Keywords: Display devices, Sleep quality, Insom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