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홍경주 경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긍정심리자본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를 파악하고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를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중재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은 2020년 10월 20일부터 2020년 11월 20일까지 이루어졌다.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4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è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학업성적, 주관적 건강상태, 학과 지원동기, 성격, 친구 관계, 가족관계,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높았다. 셋째, 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심리자본 중 특수적 자기효능감 및 회복 탄력성, 주관적 건강상태, 긍정심리자본 중 낙관주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친구 관계, 가족관계, 학과 지원동기로 주관적 행복감을 45.5%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긍정심리자본 중 특수적 자기효능감 및 회복 탄력성, 주관적 건강상태, 긍정심리자본 중 낙관주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친구 관계, 가족관계, 학과 지원동기가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한 중재를 하고자 할 때, 자기효능감과 긍정심리자본 증진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 大學生 社會奉仕活動의 再認識과 慾求調査 : 釜山地域 大學生을 中心으로

        崔明淑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대학사회봉사활동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이에 미치는 개인적 욕구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사회봉사활동의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2007년 현재 부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남ㆍ여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할당표집방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25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 하였다. 실제 분석에서는 응답자들의 설문 중에서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것과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응답을 제외한 23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대해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설문 중에서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것과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응답을 제외, 유효 표본만을 코딩의 지침에 따라 부호화 하였다. 부호화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5.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분석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y),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교차분석(CROSSTAB)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사회봉사활동 인식을 분석한 결과, 사회봉사활동은 보상을 바라지 않는 자발적인 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여름방학에 참여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한편, 구재활동과 가정방문이 많았으며,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소양과 이해 및 열의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제약요인으로는 시간부족과 프로그램 경로를 모르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사회봉사활동의 욕구를 분석한 결과, 참여에 긍정적인 응답을 한 학생이 많았으나, 필요하지 않거나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도 많아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접근성과 시간 등이 사회봉사활동의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봉사활동의 제도적 차이 분석 결과, 관리제도의 필요성에 전체 중 35.2%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활동 내용에 대해서는 각 대학 프로그램에 맞는 사회봉사 프로그램 개발과 복지시설과 연계한 사회봉사프로그램의 시행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research chose university student by population and use quota sampling and distribute questionnaire to 250 people all man and woman that is locating in Pusan area until 2007. Used 236 questionnaires except judged response in analysis finally that actuality analysis is not reliable among respondents' question. Investigation methods to use by this research are modifica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 among a tool and supplement and used that had used believability and propriety of questionnaire executing verification already in domestic·outside virtue research by questionnaire methods. This research used questionnaire that lee,suk-yel (2001) uses to measure university students' Social Voluntary Activity systematic device used questionnaire that jin, hyen-hui (2001) and Chae, seung-hui (2002) use in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ism research on actual state to measure university students' Social Voluntary Activity awareness degree. After response reclaims completed data about questionnaire, validity sample encoding according to guide of coding do. After do encoded data to input individuation on computer, handled computing according to analysis purpose using figure program SPSS Windows 15.0 Versions, analysis techniques enforced Frequency, reliability analysis, CROSSTAB. Conclusion that get on the basis of method of study is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result that analyze Social Voluntary Activity awareness by university students' special quality, Social Voluntary Activity was recognizing by voluntary action that do not desire compensation, and a student who take part in summer vacation is most. In the meantime, there were many sphere reprises and house call, and grounding and comprehension and zeal for Social Voluntary Activity is much short case. Restriction factor need countermeasure in reply because case that do not know program route with the shortage of time. Second, according to result that analyze Social Voluntary Activity agreement desire by university students' special quality, need conversion of awareness because a student who do affirmative response in participation is many, but is not necessary or have much case that respond that is usual. Also, accessibility and time etc. appeared into Social Voluntary Activity important consideration item. Third, Social Voluntary Activity systematic difference analysis result 35.2% of whole looked affirmative feedback, necessity of administration system, and correct public service program development and welfare facilities and enforcement necessity of Social Voluntary Activity programs that connect appeared highest in each university program about activity contents.

      • 新世代 大學生 意識變化에 따른 寄宿舍 環境 改善에 관한 硏究

        서정훈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7

        Dormitory space in university facilities is the one in which both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the residential one should be provided(equipped). In this space, new generation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come a pillar of society in the future get their living. Therefore, this paper would like to study on the plan direction of dormitory spac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field investigation to grope for a scheme for the preparation of dormitory spac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ir consciousness inclination and to their dem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most priority demand in an individual unit room is the influx of restroom and washroom, shower room, being used jointly currently, into the unit room. Second, in the individual unit room, the division of space should be made not to secure one's privacy so that several functions of sleeping, studying, and social intercourse can be separated. Third, with the use of variable space and multi-purpose furniture, a space in which students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ccording to personal inclination should be secured. Fourth, a joint space should be divided on a large or small scale according to the size of users. In case of large-sized grouping space, only I physical training room, I exhibition space, I entrance hall and lobby, and I lounge every building need to be secured to raise the efficiency, and it is desirable that dining room and cooking room are established at a separate building. In case of small-sized grouping spaces such as resting room, party room, seminar room, library, PC room, among these spaces, library, PC room and seminar room should be secured at a quiet place being separated from noise sources.

      • 신체활동 교양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기효능감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주영 경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cor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self-conception,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take a class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rough this study, the people also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achieving success by an own positive evaluation of their body throughout their life. next, they can improve and maintain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his study would help to establish a self-conception and to cultivate a desirable sociality, besides it makes people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and to enjoy their life as well. furthermore, this study will offer basis information to bring up human-beings. To achieve the purpose to this study, I chose the subjects who wer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physical activity class, A total of 500 students were se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non-probability sampling for all th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classes at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province in 2016 Of the 5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except for 65 items that were irrelevant to the subject, inadequately responded, and missing some of the material, Only 435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statistical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using MS Excel ver2016, for Social Science ver2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 = .05. The analytical techniques used were Cronbach's α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Multi-Regression analysis for Descriptive Statistical,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i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 - conception according to the sex, which is one of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hysical activity, body fat and health factors which are sub factors of self-conception. To be specific, In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physical self-conception,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 male students are higher in body fat and the female students are more higher in healthy factors. As a result,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s a sub-factor of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majors. As a result, the major of performing arts was higher than the major of literature and the major of performing arts was higher than the major of science. Second, there are many elements from a sub-variable of physical self-conception influenced the degree of satisfactions class. The body fat, flexibility, and health are more important variables than physical fitness, physical activity, and The healthy is the greatest effect on satisfaction of body. The effects of satisfaction level on social psychological satisfaction variables is that self - efficacy are more important variables than self - confidence Lastly, self - efficacy has the greatest effect on physical satisfaction, which is a sub - variable of class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is also more important factor than confidence and a preference task difficulty. 이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교양수업을 경험한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자기효능감,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여 각 변인 간에 상관성과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신체에 대한 자기 자신의 긍정적인 평가로 인해 삶에 있어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이고,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자아개념을 확립하여 올바른 판단력과 바람직한 사회성을 길러주며,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강한 정신력을 길러주고, 삶의 여유를 즐길 줄 알며, 인간다운 인간을 양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신체활동 교양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6년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K대학교에서 신체활동 교양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전 학년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본추출 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500명을 추출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500부 중 조사 내용상 불필요한 것, 무성의하게 응답한 것, 부분적 빠진 자료 등 65부를 제외하고 435부의 설문지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MS Excel ver2016을 활용하여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동시에 진행하여 데이터의 결측치를 거쳐,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사용된 분석기법은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al),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검증(Reliability Analysis)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 t-test,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인 체력 및 신체활동, 체지방, 건강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의한 차이가 난 신체적 자기개념의 체력 및 신체활동에서는 남학생이 체지방과, 건강요인에서는 여학생이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심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인 체력 및 신체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체능계열 전공이 보건계열 전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예체능계열 전공이 공과계열 전공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자기개념이 수업만족도의 하위 변위인 신체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체지방, 유연성, 건강은 체력 및 신체활동, 외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변위로 나타났으며 건강이 신체적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수업만족도의 하위 변위인 사회적 심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이 과제 난이도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변위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이 사회적 심리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이 수업만족도의 하위 변위인 신체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자기 조절효능감 만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으며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변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이 COVID-19로 인한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아름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첫째, 대학생들의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생활스트레스의 차이 를 비교하고, 둘째,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긍정적인 요인을 규명하여, 셋째, 코로나-19 이후 대학 생들의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일상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를 통해 규명된 긍정적 요인을 상담 장면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경호전공 대학생의 경호무도 지도특성과 수련만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전만균 경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07

        Security martial art training and training satisfa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 security martial arts leader, an important major subject of security college students, contribute to the knowledge of the carri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and job. To this end, 638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urity characteristics of a security in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using the security characteristics, training satisfaction, and carrier decision-making self-affectiv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martial arts event, training carrier, and martial arts level certificate in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a security martial arts lead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male students showed high professionalism in gender, and Yongmudo was high in expertise, likelihood, and communication in martial arts events, kumdo was high in martial art training. In other words, male students showed high gender in expertise, Yongmudo in expertise, likeability, and communication in martial art training, Kumdo in martial art training, and training career showed high likeability and Less than 2 years. In the martial arts level certificate, it was found that more than 3 level certificate of communication and more than 1 level certificate-3 level certificate less of martial art training had a high effec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martial arts events in the difference in security martial art training satisaction. In other words, gender was found to be high in male students in inner satisaction and external satisaction, and in martial arts event, Yongmudo was found to have a high influence in inner satisaction and external satisaction. In other words, gender was found to be high in male students in inner satisaction and external satisaction, and in martial arts event, Yongmudo was found to have a high influence in inner satisaction and external satisaction.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grade, martial arts event, training carrier, and martial arts level certificat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In other words, gender was high for male students in job information collection, establishing goals, and self-assessment, grade was high for 3rd graders in solving problems, and martial arts event was high for establishing goals, establishing goals, more than 2 years and less than 4 years in devise plan, and less than 2 years in self-assessment It was found that more than 3 level certificate or higher in martial arts level certificate and more than 3 level certificate or higher in solving problems had a high effec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identity gender and grad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in terms of gender, male students showed high sense of calling and believe, and the grade was found to have a high influence on the first grade in sense of calling and the first grade in belief.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security martial arts lead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aining satisfaction. In other words, external satiation was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a security martial arts leader, expertise, likeability, and communication, and Inner satiation was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expertise, likeability, and communi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security martial arts leader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In other words, job information collection was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expertise, establishing goals were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expertise and communication, establishing goals were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expertise, likeability, communication, martial art training, and properties It turned out to be insan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security martial arts leader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identity. In other words, sense of calling was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expertise and martial art training, and belief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expertise. Fifth, it was found that train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In other words, job information collection was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external satisaction and Inner satisaction, establishing goals were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Inner satisaction, solving problems were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Inner satisaction, and self-assessment alone. Sixth. it was found that train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identity. In other words, sense of calling was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only Inner satiation, and belief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only Inner satiation. In order to poster with the after graduation excellent security personnel without drop-out of security students, leaders and smooth communication and martial art training in class developing a variety of programs or practices and field security challenges are important in the field of security. 경호학과 대학생들의 중요 전공과목인 경호무도지도특성의 수련만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직업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함으로써 경호 분야의 지식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전문대학 및 학점은행제 그리고 4년제 대학에서 경호학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 638명을 대상으로 경호무도지도특성, 수련만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직업정체성의 설문지를 작성, 회수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SPSS를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른 경호무도지도특성의 차이에서는 성별, 무도종목, 수련경력, 무도단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별은 남학생이 전문성에서 높게 나타났고, 무도종목은 전문성, 호감, 의사소통에서 용무도가 높고, 무도수련은 검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련경력은 호감과 무도수련의 2년미만이 높게 나타났고, 무도단증은 의사소통의 3단이상과 무도수련의 1단이상~3단이하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라 수련만족의 차이에서는 성별, 무도종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별은 남학생이 내재적만족과 외재적만족에서 높게 나타났고, 무도종목은 내재적만족, 외재적만족에서 용무도가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성별, 학년, 무도종목, 수련경력, 무도단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별은 남학생이 직업정보수집, 계획수립, 자기평가에서 높게 나타났고, 학년은 문제해결에서 3학년이 높게 나타났고, 무도종목은 목표설정에서 태권도, 계획수립에서, 검도, 자기평가에서 합기도에서 높게 나타났고, 수련경력은 계획수립에서 2년이상~4년미만, 문제해결에서 2년미만에서 높게 나타났고, 무도단증은 목표설정에서 3단이상, 문제해결에서 3단이상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라 직업정체성의 성별,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나타났다. 즉, 성별은 남학생이 소명의식과 신념 모두 높게 나타났고, 학년은 소명의식에서 1학년, 신념에서 1학년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호무도지도특성이 수련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재적만족은 경호무도지도특성인 전문성, 호감, 의사소통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만족은 전문성, 호감, 의사소통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호무도지도특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업정보수집은 전문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설정은 전문성, 의사소통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획수립은 전문성, 호감, 의사소통, 무도수련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해결은 전문성, 호감, 무도수련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평가는 전문성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호무도지도특성이 직업정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명의식은 전문성, 무도수련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념은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련만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업정보수집은 외재적만족, 내재적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설정은 내재적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해결은 내재적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평가는 내재적만족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련만족이 직업정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명의식은 내재적만족만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념은 내재적만족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경호학과 학생들의 중도이탈 없이 졸업 후 훌륭한 경호 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경호무도수련 중 지도자들과 원활한 의사소통과 무도수련 수업 중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또는 실습 및 현장응용 수업을 통해 만족을 높이는 것은 경호 관련 대학뿐만 아니라 경호 분야 전에서도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겠다.

      • 대학 행정직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직무순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오준 경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employees' thoughts on job rot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wa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including self-efficacy, resilience, hope, and optimism, and overall psychological capital was evaluated and the relationship with job rotation was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there is discuss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each of the sub-dimensions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effectiveness of a single dimension combining the four constituent factors, and this study seeks to confirm the effects of each of the sub-dimensions. Job rotation i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including personal development, promotion, and abuse, and its impa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is confirm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sub-elements of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development in the job rotation system, and hope and optimism of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motion in the job rotation system.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abuse of the job rotation system. In additio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and psychological capital's self-efficacy, resilience, and hop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fairness. Among the job rotation systems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personal develop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resilience, and hop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Personal development and promotion through the job rotation system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employees' personal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apital, job rotati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job satisfaction. Difference analysis was performed on employees' personal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gender, age, years of service, employment type, position classification, and number of department transf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First,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broadl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houghts on job rotation itself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in job rotation. Second, psychological capital was divided into self-efficacy, resilience, hope, and optimism, and individual effects were confirmed. Thir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capital types was confirmed,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ory and plann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psychological capital, it was confirmed that optimism was the most effective in influencing employees' perceptions of job rotation. Fourth, variables for measuring job rotation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identified the effects of job rotation, including experience factors related to job rot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jobs and moving experience, the perception of job rotation through factor analysis, and the fairness variable of job rotation. Fifth, it is possible to plan the direction of operation by checking a more comprehensive scope of employees' thoughts on the job rotation system. Employees tend to think that job rotation is helpful for personal development, has a high correlation with promotion, or is sometimes abused.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assessed that the number of abuses of job rotation was relatively low,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mainly perceived as a system helpful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promotion. Lastly, by confirm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fairnes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job rotation system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organization more closely. 본 연구는 대학 행정직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순환에 대한 직원들의 생각과 직무만족과 조직공정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직원들의 심리적 자본은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희망 그리고 낙관주의 등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전반적 심리적 자본을 평가하여 직무순환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심리적 자본의 하위차원들 각각의 효과와 네 가지 구성 요인을 결합한 단일차원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하위차원들 각각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직무순환은 개인발전과 승진 및 악용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직원들의 직무만족과의 조직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의 조직변화 방향 및 인적자원 관리 관련 이론적․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대학 행정직원의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소 모두 직무순환제도의 개인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자본의 희망, 낙관주의는 직무순환제도의 승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심리적 자본과 직무순환제도의 악용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자본의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희망은 조직공정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행정직원의 직무순환제도 중 개인발전은 심리적 자본의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희망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 긍정적 매개효과 기능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대학 행정직원의 직무순환제도의 개인발전과 승진은 심리적 자본의 낙관주의와 조직공정성 간의 관계에 있어 긍정적 매개효과 기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원들의 개인적 특성과 심리적 자본, 직무순환, 조직공정성 및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직원들의 개인적 특성은 성별, 연령, 근무연수, 고용형태, 직위구분, 부서이동횟수 등으로 구분하여 차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순환 자체에 대한 생각과 직무순환에 직무만족과 조직공정성 간의 관계를 폭넓게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심리적 자본을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희망 그리고 낙관주의 등으로 구분하여 개별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심리적 자본 유형들 가운데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여 조직행동이론의 발전과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기획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네 가지 차원 가운데 낙관주의가 직무순환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직무순환을 측정하기 위한 변수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선정했다. 직무순환과 관련된 경험 요인으로, 직무의 갯수 및 이동 경험, 요인분석을 통한 직무순환의 인식 및 직무순환의 공정성 변수에 이르기까지 직무순환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규명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섯째, 직무순환 제도에 대한 직원들의 생각에 대한 보다 포괄적 범위에서 확인하여 운영 방향을 기획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직무순환에 대한 직원들은 생각은 개인발전에 도움이 되거나, 승진과 관계가 높거나 때론 악용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직무순환이 악용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주로 개인발전이나 승진이 도움이 되는 제도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 행정직원의 직무순환 제도에 대한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의 효과를 확인하여 조직의 현재 상황을 보다 면밀히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 경호학과 대학생의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운동성과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형은 경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우리나라 대학 진학률은 2018년 기준 69.7%로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 절반 이상이 대학생활을 경험한다(통계청, 2018). 대학생활을 통해 대학생 자신의 개인적 특성과 대학생활 환경을 조화시키면서 대학생활을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기도 한다.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긍정적인 대학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며,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호학과 대학생의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운동성과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의 소재한 경호학과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전공적합성, 교수-학생 상호작용, 운동성과,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3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호학과 대학생의 전공적합성(전공만족, 전공이해)이 운동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수-학생 상호작용(격려, 신뢰)은 운동성과(경기성과, 운동생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운동성과(경기성과, 운동생활성과)는 대학생활적응(대학환경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전공적합성(전공만족, 전공이해)은 대학생활적응(대학환경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교수-학생 상호작용(격려, 신뢰)은 대학생활적응(대학환경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전공적합성, 교수-학생 상호작용, 운동성과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경호학과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전공적합성, 교수-학생 상호작용, 운동성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경호학과 대학생의 전공적합성, 교수-학생 상호작용, 운동성과가 대학생활적응에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호학과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개인의 전공에 만족할 수 있도록 질 높은 교육적 서비스 제공과, 교수와 학생간의 신뢰성이 기반인 유대관계를 지속할 수 있도록 대학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고, 경호학과 대학생들이 운동성과를 높일 수 있는 대학에서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Grit의 매개효과

        정장미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on Smart-Phone dependence by under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s of Grit To analysis the result of survey, SPSS22.0 program has been employed, it was analysed in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And Baron & Kenny model, Sobel test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Data were collected from 148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Kyungpook.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Smart-Phone dependence perceived undergraduate students. Second, Gri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dependenc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did not affect the child's dependence on smart-phones, but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ild's dependence on smart-phon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