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운동이 무릎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 무릎인공관절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최은지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무릎인공관절수술 후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운동이 무릎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1차 실험은 무릎인공관절수술 후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운동 시 다리 근육의 근활성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2차 실험은 무릎인공관절수술 후 2주간의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운동중재가 관절운동범위, 근력, 통증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무작위로 일반 고정식자전거그룹과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그룹으로 나누었으며 1차 실험의 연구 대상자는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그룹 19명을 대상으로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운동 시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2차 실험은 일반 고정식자전거그룹 18명과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그룹 16명을 대상으로 물리치료 중재(마사지, 수동관절운동, 근력강화운동) 30분 후 고정식자전거운동 15분을 2주간 주 5회 적용하고 관절운동범위, 근력, 통증과 균형 측정 및 그룹 간 비교하였다. 그 결과 1차 실험에서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운동 시 수술 측 다리 근육(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일반 고정식자전거운동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2차 실험에서 2주 중재 후 일반 고정식자전거그룹보다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그룹에서 수술 측 무릎굽힘 관절운동범위와 수술측 무릎굽힘, 무릎폄, 발바닥굽힘 근력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5), 그룹 간 통증과 균형은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론적으로 무릎인공관절수술 후 일반 고정식자전거운동보다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운동이 수술 측 무릎관절 주변 근육의 사용을 높이며, 근력의 증가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환측사용유도 고정식자전거운동의 적용은 수술 후 초기 환자의 비대칭적인 사용을 줄이고 근력의 회복을 통하여 빠른 일상생활복귀를 도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ycle ergometer exercise inducing movement of the affected side on knee joint fun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TKA). The study consisted of two experiments. The primary experiment investigated the change of muscle activity of leg muscles during cycle ergometer exercise that induces the movement of the affected side after TKA. The second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consisting of cycle ergometer exercise inducing movement of the affected side for two weeks after TKA on the range of motion(ROM), muscle strength, pain, and balance. The research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general bicycle exercise group and cycle ergometer exercise group. The primary experiment was conducted on 19 members of the cycle ergometer exercise group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of rectusfemoris, hamstring,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 during the cycle ergometer exercise that induces the affected side's movement. In the second experiment, after receiving physiotherapeutic intervention(massage, 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for 30 minutes, general bicycle exercise group(18 subjects) and cycle ergometer exercise group(16 subjects) performed the corresponding exercise for 15 minutes, 5 times a week for 2 weeks. Then, the ROM, muscle strength, pain, and balanc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sults of the primary experiment, cycle ergometer exercise inducing movement of the affected side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increase of muscle activity of affected side leg muscles(rectusfemoris, hamstring,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than the general bicycle exercise(p<.05). In the second experiment, cycle ergometer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increase of ROM of affected side knee flexion and muscle strength of affected side knee flexion, knee extension, and plantarflexion than the general bicycle exercise(p<.05).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ain and bala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p>.05). In conclusion, cycle ergometer exercise inducing movement of the affected side increased use of muscles around the affected side knee joint after TKA more than the general bicycle exercise, producing better effects on enhancing the muscle strength. The application of cycle ergometer exercise inducing movement of the affected side is expected to reduce the patients' unbalanced use during early postoperative days and help them quickly return to normal daily life through rapid muscle strength recovery.

      •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동향과 치료중재 효과크기 검증

        김경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해 실행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음악치료 중재의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채택된 23개의 문헌을 크게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관련 특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하위항목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치료중재 효과크기는 Hedge’s의 g 산출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설정된 연구 문제에 따라 제시하였다. 첫째,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환자들은 대부분이 성인과 노인이었다. 많은 수는 아니었지만 소아 및 청소년을 위한 연구도 있었으며, 소아부터 성인까지의 투병유형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중재 관련 특성에서 중재장소 및 호스피스 유형은 입원형 호스피스가 많았으며, 치료 회기 수는 10회기 이하, 소요 시간은 20분~40분 이하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스피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중재의 효과 크기를 검증하였다. 치료중재의 효과 크기 검증을 위해 필요한 정보, 즉 t 점수, 평균, 표준편차 등을 제시한 문헌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전체 평균이 중간 이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간호사가 중재한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전문 음악치료사가 중재한 문헌에 비해서 효과크기가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한 호스피스 음악치료 중재와 관련된 국내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음악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후속 연구를 위해 필요한 연구의 방향성을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국내 음악치료의 연구 동향과 치료 중재 효과크기를 검증한 문헌이 드물었기 때문에 이 연구가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음악치료를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y the effect siz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23 final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by largely dividing into two categorie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and (2)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Hedge’s g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for hospice patients, mostly adults and the elderly were included in the study. However, although not a large number, there have been stud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types of cancer were varied. I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hospice patients, there were number of inpatient hospices in intervention site/hospice type.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herapy sessions was less than 10 sessions and the session time was 20 to 40 minutes or less. Second, the effect siz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hospice patients was verified. The literature that contains as t-scor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to present the effect size of treatment interventions.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showed a more than average effect. In the study intervened by nurses, the effect size was not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literature intervened by 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In su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y the effect size of therapy intervention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research wa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ue to the limit number of literature which associated with research trends in domestic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y the effect size, this study could be helpful in planning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 아동기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고통감내력 부족을 통한 정서도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현정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chema through distress in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non-suicidal self injury (NSSI). A total of 246 university students (59 men and 187 women)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Parent-Child Conflict Tactics Scale (PCCTS),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ASM), Leahy Emotional Schema Scale Ⅱ (LESS-Ⅱ), and Distress Tolerance Scale (D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emotional schema, distress intolerance, and non-suicidal self injury. Second,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non-suicidal self injury was fully mediated by distress intolerance.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emotional sche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intolerance and NSSI was found. Finally, emotional schema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abuse experience on NSSI through distress intoler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chema therapy would be considered as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ose who have child abuse experience and NSSI.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 부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런 매개효과를 정서도식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전국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학대 경험(PCCTS), 고통감내력 부족(DTS), 정서도식(LESS-Ⅱ), 비자살적 자해(FASM)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24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 26.0 프로그램과 Macro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고통감내력 부족, 정서도식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아동 학대의 하위차원인 신체학대에서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고통감내력 부족이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도식이 고통감내력에 대한 비자살적 자해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Process Macro model 14를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 부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통감내력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가 부적응적 정서도식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선택하는 구조적인 이해를 돕고, 부적응적 정서도식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방법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 행동의 선택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사이코드라마 대가 최헌진 선생의 치료개입 질적 사례 연구

        이효원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문 요약 사이코드라마 대가 최헌진 선생의 치료개입 질적 사례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이효원 지도교수 주용국 본 연구는 사이코드라마 대가 최헌진 선생의 치료적 개입의 특성과 치료개입 모형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사이코드라마 대가의 선정은 기준에 의한 표집과정과 눈덩이 표집-동료지명 방법을 사용하였다. 최헌진 선생이 대가로 선정되었다. 최헌진 선생의 치료적 개입의 분석은 3명의 주인공에게서 얻은 사례 축어록을 1차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2차 분석 자료는 최헌진 선생의 저서 및 각종 학술 문헌들이다. 이들 자료를 Merriam(1988)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범주화 분석에서 19개의 의미단위, 7개의 하위범주,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모든 범주들을 포괄하면서 최헌진 선생의 치료적 개입을 함축하고 있는 핵심범주로는 '주인공의 몸과 마음의 응어리를 표현해서 생명력을 부활시킴'으로 나타났다. 범주화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최헌진 선생의 치료적 개입 모형을 분석한 결과', ‘민낯의 만남 단계', ‘주인공의 이야기를 정확하게 듣고 몸의 반응에 집중하는 단계', ‘주인공의 응어리를 터트리게 해서 마음의 밑바닥이 드러나게 하는 단계’, ‘주인공의 자기다운 나를 부활할 수 있게 지지하는 단계’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단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디렉터의 치료요인으로 '인격적 특성'과 '관계적 특성'이 발견되었다. 첫 번째 단계인‘민낯의 만남 단계’에서 디렉터의 주요 개입은 ‘누구나 주인공이 될 수 있게 경직된 집단원들의 마음을 진심과 신뢰로 완화시켜준다. 두 번째 단계인‘주인공의 이야기를 정확하게 듣고 몸의 반응에 집중하는 단계’에서는 디렉터가 마음을 비우고, 주인공의 화두'를 확인 하는 것이다. 디렉터의 말을 줄이고 주인공의 몸의 반응을 정확하게 보고 반응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인‘주인공의 응어리를 터트리게 해서 마음의 밑바닥이 드러나게 하는 단계’에서 디렉터는 주인공의 화두를 반드시 구체적으로 물어보고 감정을 끝없이 올려서 터트리게 해서, 마음속 밑바닥에 숨겨놓은 것을 끄집어내서 자유롭게 해줘야 된다. 네 번째 단계로는 ‘주인공의 자기다운 나를 부활할 수 있게 지지하는 단계’에서는 디렉터는 어떤 상황이 와도 피하지 않고 끝까지 주인공 옆에서 버텨주며 긍정의 힘으로 보호하고 홀로 자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발성을 향상시켜 자기다움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사이코드라마 대가인 최헌진 선생의 실제 치료과정을 분석 자료를 삼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성숙한 인격을 가진 좋은 디렉터가 되기 위해서는 자아확장을 위해 지속적인 자기성찰의 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이코드라마 대가의 치료개입 및 반응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교육, 상담 대가 및 전문성 연구에 경험적 자료가 된다는 데 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사이코드라마 대가, 최헌진, 치료 개입, 질적 사례연구. Doctoral Dissertation A Qualitative Case Study on Psychodrama Master Heonjin Choi's Treatment Intervention Hyowon Lee Depar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Joo, Yong-Ko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 of therapeutic intervention of psychodrama master Heonjin Choi. For the selection of psychodrama masters, a criterion-based sampling process and a snowball sampling-peer nomination method were used. Heonjin Choi was selected as a master. In the analysis of Choi Heon-jin's therapeutic intervention, the case texts obtained from the three main characters were used as the primary analysis data. The secondary analysis data were the books of Choi Heon-jin and various academic literature. Thes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Merriam's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categorization analysis, 19 semantic units, 7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y that encompasses all categories and implicates Choi Heon-jin's therapeutic intervention was 'reviving their vitality by expressing the core of the main characters' mind baggage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Choi Heon-jin's therapeutic intervention model are as follows: 'Meeting bare face', 'Listening to the main character's story accurately and focusing on her body's response', ‘The stage of bursting the client’s core and revealing the bottom of his heart’, It appeared as a ‘stage to support the main character’s self-like me to be resurrected’.In additi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as the therapeutic factors of directors that continuously affect all stages. In the first step, the ‘personal meeting phase’, the director’s main intervention ‘relaxes the rigid minds of the group members with sincerity and trust so that anyone can become the main character. In the second stage, ‘the stage of listening to the main character’s story accurately and focusing on the body’s response’, the director clears her mind, erases me, and confirms the main character’s topic’. It is to reduce words and accurately see and respond to the reaction of the main character's body. In the third stage, 'the stage of making the main character's heart burst and revealing the bottom of his heart', the director must ask the main character's topic in detail, raise his emotions endlessly, and let him explode, bringing out what is hidden in the bottom of his heart and freeing it. I have to do it. In the fourth stage, ‘the stage of supporting the main character to resurrect himself’, the director does not avoid any situation, but endures by the main character until the end, protects them with the power of positivity, and helps them to live on their own. Improve your spontaneity so that you can live as yourself.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used the actual treatment process of Dr. Choi Heon-jin, a master of psychodrama, as analysis data. In addition, in order to become a good director with a mature personality, it was found that a continuous process of self-reflection is necessary for self-expans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treatment intervention and response of psychodrama masters in detail, it becomes empirical data for psychodrama expert education, counseling masters, and professionalism research.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 master of psychodrama, Heonjin Choi, therapeutic intervention, qualitative case study.

      • 특급호텔의 문화마케팅이 호텔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인영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By entering the era of culture, companies are interested in marketing by utilizing culture and sensibility to meet the increasing expectations of customers and many companies are making use of cultural marketing actively. In spite of this tendency, researches for cultural marketing of the hotel industry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perception of the luxury hotel’s cultural marketing, how delineate the factors of luxury hotel’s cultural marketing and how this delineated factors had effects on hotel corporate image. To achieve this, six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ustomers who visited luxury hotels located in Seoul and Busan from April 11 to April 18, 2014. Total of 32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finally 28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after excluding the 46 questionnaires which had insincere response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ustomers of luxury hotels were normally aware of the cultural marketing. Second, three factors of the luxury hotels’cultural marketing were delineated(‘cultural support activity’, ‘cultural experience activity’ and ‘cultural corporate positioning effort’). Third, overall hotel image and product·service image were above the average, and cultural image was about the average. Fourth, luxury hotels’cultural marketing influences on the overall hotel image. Especially, ‘cultural corporate positioning effort’had a great effect to the overall hotel image. Fifth, luxury hotels’cultural market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service image and cultural imag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ultural marketing have significant effect on a hotel corporate image. So it is important to set up the marketing strategies with cultural elements for hotel industry. They can stimulate customers’sensitivity and improve the hotel corporate image by making the most use of the culture. Although many hotels do cultural marketing, customer’s perception is not that high. It suggests that constant efforts and active promotions are needed.

      •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경미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에 대한 실태와 인식은 어떠하며,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제적으로 필요로 하는 요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R-러닝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전국 R-러닝 대학동아리에 참여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162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하여 제작하였으며, 설문지 내용은 4개의 영역, 7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Cronbachˊs α는 .92이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뒤 유의한 변인에 대하여 Scheffé 통계량을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의 실태에 대한 결과로 예비유아교사가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을 시작하게 된 배경은 ‘새로운 교수매체에 관한 흥미’가 가장 높았고, R-러닝 경험기간이 길수록 예비유아교사들은 R-러닝에 적합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고 생활주제와 연관하여 통합적으로 계획할 줄 아는 높은 수준의 교수·학습능력을 보였다. 또한 유치원 실습 유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습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로봇활용 수업 시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러닝에 적합한 교육계획안을 창의적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로는 예비유아교사들은 R-러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 ‘교사의 로봇이해 및 활용 능력’을 선택하였으며 80.9%의 예비유아교사들이‘R-러닝 동아리활동을 통해 유아교사로서의 전문성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유는 R-러닝 동아리활동을 통해 교육계획안 작성 빈도의 증가와 멘토의 피드백을 통한 교육활동의 계획․실행능력의 향상, 첨단과학기술인 로봇의 활용을 통한 교육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에게 유치원현장에서 교육용 로봇의 필요성 유무에 대해 질문한 결과는 77.2%가‘필요하다’고 밝혔으며 그 이유는 ‘유아들도 다양한 교수매체의 경험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인식한 것이 가장 높았다. 예비유아교사에게 R-러닝을 교과목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찬반 유무에 대해 질문한 결과는 67.3%가 ‘찬성한다’고 밝혔으며 그 이유는 ‘새로운 첨단과학 신기술을 이용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인식한 것이 가장 높았다. 셋째, R-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요구를 알아본 결과로는 예비유아교사들은 멘토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으며 멘토의 역할 중에서도 ‘R-러닝 교수·학습활동의 조력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나타내어 이에 대한 지원의 요구가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R-러닝 동아리에 참여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은 ‘R-러닝 대학동아리연수 프로그램의 실시’와 ‘R-러닝을 위해 통합된 온라인 교수·학습 자료실마련’에 대한 요구를 가장 높게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러닝 대학동아리 경진대회의 구체적인 변인분석과 함께 질적 연구를 진행한다면 이후 R-러닝 대학동아리의 운영 매뉴얼 개발과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추후 연구에서는 권역별 네트워크 구성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면 R-러닝 대학동아리의 활성화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R-러닝 전문성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R-러닝 전문성이 현장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더욱 확장되는지 살펴보는 추적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 보험금청구권 소멸시효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전설안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Commercial Act §64 stipulates a five-year extinctive prescription for commercial claim and a three-year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nsurance claims. However, Commercial Act does not specifically mention the starting point to reckoni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nsurance claims, the right expires after three years from the date of the occurrence of an insurance accident. Thus, an insured or beneficiary of insurance cannot exercise an insurance claim.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gitimacy of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nsurance claims, which were defined as three years.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in 2016 on an insurance dispute over "Terms for Accidental Suicide" sparked a debate ove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While recognizing the validity of 'Terms for Accidental Suicide',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nsurance claims in related cases should be regarded as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insurance accident. In accordance with Article 662 of the old Commercial Act, insurance claims had expired after two years had elapsed since the occurrence of an insurance accident (suicide). After the aforementioned ruling of the Supreme Court was presented, legal and academic debates about the duration of insurance claims and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of extinctive prescription have been actively going on in Korean society. Article 662 of the Commercial Act amended in 2014 only extends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insurance claims from 2 years to 3 years but still does not clearly stipulate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for extinctive prescription.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of an extinctive prescription is "when the insurants can exercise his or her rights," according to Article 166, paragraph 1 of the Civil Act. Current Commercial Act stipulates that even if holders of insurance claims "could not have known about the occurrence of an insured event without negligence," they cannot receive insurance money after three years. Namely, its extinctive prescription regulations for insurance claims reveal limitations in protecting insurance consumers. In Commercial Ac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riticized for being legislated, assuming that the merchant is the holder of the right. According to Article 3 of the Commercial Act, it applies even if only one of the parties falls under a Commercial Act.. However, Article 46, Paragraph 17 stipulates insurance as a commercial activity. Thus, the 5-year extinctive prescription stipulated in Article 64 of the Commercial Act is being applied to commercial claims even for claims arising from acts corresponding to commercial activities by one party. Article 64 is a system established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transactions, such as mass, standardization, and expediting. However, if the transaction relationship is not formal and prompt processing is not required, a civil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of 10 years may be applied. Furthermore, the three-year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stipulated in Article 163 of the Civil Act did not stipulate insurance claims. Therefore,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many insurants can’t exercise their rights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rights properly, showing that it is unfair to complete insurance claims due to disapproval of ownership claims with a short statute of limitations of 3 years instead of 10 years. Also, the current Commercial Act does not have any regulations regarding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Thu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roceeds from the time when the right can be exercised according to the general principles of Civil Act. However, if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fo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is interpreted as a general principle of Civil Act, disadvantages to the insurant or insurance beneficiary may occur. In this case, insurants are likely not to know that they have the right to their insurance claims within 3 years.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starting point to rekoni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should be when the insured becomes aware of the occurrence of their amount insured. In general, it will be helpful to protect household insurance policyholders unfamiliar with the extinctive prescription system and the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This thesis finds the limits of the current legal protection for the general public, who is not familiar with insurance contracts and has difficulty expressing their intentions and confronting them. This thesis evaluates the problems of Article 662 of the Commercial Act, which stipulate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insurance claims, and concludes tha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of household insurance claims should be extended to 10 years. 상법은 상사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을 5년으로 규정하고 특히 보험금청구권에 대하여는 3년의 단기소멸시효규정을 두고,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하여는 침묵하고 있다.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 기간이 보험사고가 발생한 날로부터 3년의 기간이 경과하면 권리가 소멸되어 피보험자 또는 보험수익자는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과연 보험금청구권이 3년의 단기시효로 소멸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이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2016년 ‘자살재해약관’을 둘러싼 보험 분쟁에서 대법원이 내린 판결은 보험금청구권소멸시효를 둘러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자살재해약관’의 유효성은 인정하면서도 관련 사건들의 보험금청구권 소멸시효 기산점은 보험사고 발생시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구 상법 제662조에 따라 보험사고(자살)가 발생한 때로부터 2년이 경과하여 보험금청구권은 소멸되었다고 판시하였다. 판결 이후 보험금청구권의 기간과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해 법적, 학문적 논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14년 개정 된 상법 제662조는 보험금청구권의 시효를 종전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고 있을 뿐,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규정하고 있지 않다. 결국 소멸시효의 기산점은 민법 제166조 제1항에 따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 부터 진행된다. 보험금청구권자가 “과실 없이 보험사고의 발생을 알 수 없었던 경우”에도 3년이 지나면 보험금을 받을 수 없게 되는 현행상법의 보험금청구권 소멸시효규정이 보험소비자보호에 한계를 드러낸다. 상법상의 단기소멸시효의 규정은 상인이 권리자인 경우를 가정하여 입법된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당사자 쌍방의 상행위로 인한 채권뿐만 아니라 상법 제3조에서 당사자 중 그 1인의 행위가 상행위인 때에는 전원에 대하여 상행위로 적용하고 있는데, 상법 제46조 17호에서 보험을 상행위로 규정하고 있어, 일방 당사자의 상행위에 해당하는 행위로 인한 채권조차 상법 제64조의 5년의 소멸시효제도의 상사채권에 적용되고 있음을 다룬다. 상법 제64조는 대량·정형·신속이라는 상거래 특유의 성질에 기인하여 마련된 제도임을 근거로 하여 이것이 거래관계가 정형적이지 아니하며 신속한 처리가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10년의 민사소멸시효기간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근거로 하고 민법 제163조의 3년의 단기소멸시효에는 보험금청구권이 규정되지 아니하였음을 다룬다. 정형화된 대량의 동일한 채권이 아니며, 권리를 제대로 알지 못해 소유 채권의 불인지로 인해 권리를 행사할 수 없었을 일반 가계보험소비자의 보험금청구권이 10년이 아닌 3년의 단기소멸시효로 완성되는 것은 부당한 것임을 지적하였다. 또한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하여 상법은 어떠한 규정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민법의 일반원칙에 따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부터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을 민법의 일반원칙처럼 해석하는 경우 피보험자 또는 보험수익자에게 불이익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보험사고의 발생 사실을 알지 못하여 보험금청구권의 행사 사실도 모른 상태에서 소멸시효가 진행되고 3년의 단기간의 시효완성으로 보험금청구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한 선행연구와 관련 판례의 태도를 분석하여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은 일반 가계보험소비자인 보험수익자 등이 근본적으로 피보험자 또는 보험수익자가 보험금청구권의 발생을 안 때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으로 소멸시효 제도와 보험금청구권의 단기소멸시효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는 가계 보험계약자들의 보호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보험계약에 대하여 잘 몰라 보험계약에 관한 의사표시와 대항을 하기 어려운 일반인에 대한 현행법적 보호의 한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를 규정한 상법 제662조의 문제점을 연구하여 가계보험의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미술매체활용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림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박사학위논문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예술매체 활용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LI LIN 교육대학원 경성대학교 지도교수 : 김미옥 이번 연구는 한국 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 적응을 위한 심리사회적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와 엔씨의 FGI(Focus Group Interview)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매체활용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해당 분야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의 관심 프로그램 효과도 실행 후 검증되어 3개의 연구 문항이 연구되었다. 먼저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매체활용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획, 구성, 실행, 평가 등의 과정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는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전문가 FGI와 현장에서 활동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목표와 목표가 정해졌다. 프로그램 구성 단계에서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존 미술매체를 활용한 상담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진행과 평가 단계에서는 전문가의 조언으로 사전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했다. 이 단계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트미디어를 활용한 상담프로그램이 개발됐다. 이 프로그램은 구성 분야와 함께 거부, 방어, 최소화, 수용, 적응, 통합의 6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전후 측정시간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참가자와 연구자들의 종합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3단계 모델 분석이 수행되고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통합되었습니다.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미술매체활용 상담프로그램은 (1)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 (2)우울 감소, (3)자기탄력성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실질적인 혜택을 전달하고 중국인 유학생들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대조군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현재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에 대한 권고사항이 논의된다. 키워드: 중국인 유학생, 문화적응, 미술매체활용 상담프로그램. Doctoral Dissertati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media to improve cultural adaptation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I LI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kim, Mi-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sychosocial factors for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based on the results of FGI (Focus Group Interview) by experts and N.C., an art media consult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effectiven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terest programs in the field was also verified after execution, an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tudied. First, processes such as planning, composi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ere carried out to develop counseling programs for the use of art media for Chinese people. In the program planning stage, the goals and goals of experts' FGI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orking in the field were set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the program composition stage, a counseling program using existing art media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as conducted. In the progress and evaluation stage, the pre-progra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expert advice. Through this stage, a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media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as developed. This program consisted of six stages of rejection, defense, minimization, acceptance, adaptation, and integration along with the constituent field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re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 before and after.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verifi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by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 three-stage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and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grated as follows. The art media counseling program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1) reducing stress to help adapt to culture, (2) reducing depression, and (3) strengthening self-elasticity. In conclusion, the program is expected to deliver practical benefits and help Chinese students adapt to the new cult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control group analysi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A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media.

      • 후기수용모델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에 관한 연구-Hospitality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문지영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비대면 온라인 교육은 4차 산업혁명 이후 발전된 기존의 온라인 교육을 포함하여 COVID-19의 팬데믹 현상과 더불어 언택트 사회를 반영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비대면 온라인 교육은 원격교육과 이러닝의 개념을 통합할 뿐만 아니라 감염병의 여파로 인한 준비되지 않은 언택트의 상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의 용어 정립 및 상황의 구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줌(Zoom)을 비롯한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초기 수용 단계에서는 이용자들의 선택이 아닌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한 필수불가결의 문제였지만, 이후에는 감염병의 종식 또는 확대와 상관없이 이용자들의 경험에 따라 지속 여부가 선택의 문제로 전환될 것이다. 이에 비대면 온라인 교육 경험에 대한 만족과 기대 일치, 지속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비롯한 미래 교육 시장의 주도권을 예측하게 하며 성공적인 전략 제시에도 중요한 논점이 된다. 특히,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국내 대학들의 정원 미충원 문제와 등록금 의존에 대한 구조조정을 초래하는 현실에 대한 대비책 및 국제화 전략으로써 유학생 유치 및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고할 수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라는 특수성에 따라 내국인과 비교해 언어 능력을 비롯한 수업 이해도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유용성 인지와 사회적 적응의 문제가 더욱 민감하게 포함될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개인적, 내재적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은 유의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한국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 학업 지속 의도에 대한 문헌연구와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향후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및 중도 탈락 방지와 재등록을 이끄는 대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후기수용모델과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에 해당하는 자기 효능감, 혁신성, 사회적 특성을 활용하여 국내 대학에서 수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Hospitality 전공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전공의 특성을 따라 실습과 이론 과목을 구분하여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선호도를 파악하였으며, 일반적 사항을 구체적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1차 조사는 부산 지역의 Hospitality 관련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10일부터 2021년 5월 21일까지 수집하여, 70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1차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측정항목에 대한 타당성 검증 및 수정, 보완의 단계를 거쳐 본 조사는 2021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진행하였다.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해당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눈덩이표본추출을 통해 수집된 270부의 유효 표본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온라인 교육 수강 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플랫폼은 ‘줌(Zoom)’이며, 이용매체는 스마트폰(49.3%), 노트북(40.7%)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실습 과목 수강 시에는 선호하는 수업의 유형이 오프라인 수업이나, 이론 과목 수강 시에는 오프라인 수업과 함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파악되었다. 특히, 이론 과목에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중 실시간과 녹화를 병행하는 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아 통일된 수업 방식을 선호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습 과목에서는 녹화형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Hospitality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이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학에서는 Hospitality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습 과목 구성 시 참여형 수업에 대한 교육방법을 고려해야할 것이다. 둘째, 후기수용모델의 구성 요인인 기대 일치와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 학업 지속 의도의 영향관계는 모두 정(+)의 영향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얻었다. 개인적 변인은 혁신성을 제외한 사회적 특성과 자기 효능감이 기대 일치와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개인적 변인이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에 각각 부분매개와 완전매개의 간접효과의 영향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유용성이 학업 지속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유용함을 인지할 수 있는 교육이나 시스템 활용법에 대한 설명과 안내가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자기 효능감 고취 및 성공 경험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바탕이 되며, 포털 사이트나 커뮤니티를 통해 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 수강의 사례를 전달하고 시기적절한 교육임을 홍보하여 학습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면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성별, 한국어 능력, 아르바이트 유무, 국가이미지 인식 정도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개인적 변인과 만족도, 학업 지속 의도 등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차이를 따라 외국인 유학생을 대학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지하고 개별 변인이 학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조절변인들로 작용함을 따라 차별화된 상담 및 행정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유지와 관리의 다양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s a new educational paradigm that reflects the pandemic and contactless society caused by the spread of COVID-19, including existing onlin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prolonge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t is now time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terminology and differentiate the situati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ntegrates the concept of e-learning that emphasizes the use of electronic media and distance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distinction of existing physical distances. In addition,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unprepared non-contact situation due to the aftermath of an infectious disease. The rapid growth of video conferencing programs, including Zoom, was an indispensable issue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rather than the user's choice at the initial stage of acceptance. However, it will later become a matter of choice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regardless of the end or expans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online platform allows users to make judgments and choices about continued use in the future. Accordingly, research on satisfacti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experience predicts the future education market, including online platforms, and is an essential basis for successful strategy presentation. In particular, by in-depth study of international stude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mplications for attracting and managing international students as an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and countermeasure against the realities that cause restructuring of tuition reliance an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quota at domestic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peculiarity of being an international student, the problem of recognizing the usefulnes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nd soci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class, including language ability, will be more sensitively included compared to Koreans. Therefore,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prevent elimination, and improve the re-registration of universities through research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of non-face-to-face education experience in Korea. To this end, this paper researched the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Korea using a post-acceptance model. In addition, concerning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lf-efficiency, innovativeness, and social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learners' variables were add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a survey was conduct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hospitality management. The preference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was analyzed according to practice and theory subj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eral matters was verified. The questionnaire was first collected from May 10, 2021, to May 21, 2021,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in Busan through expert review, and 70 copies of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data, this study conducted validation,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measurement items. The period was about two months, from June to August 2021, and analyzed 270 copies were collec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targeting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relevant major without limitation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used platform for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as 'Zoom', and the medium used by learners was smartphones(49.3%) and laptops(40.7%). Offline classes were more than half of the preferred class types when taking practical classes, but when taking theory classes, real-time online classes were as preferred as offline classes. In particular, in the practical subjects, the preference for the recorded class was the lowest.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hospitality prefer class types that allow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the educational method for participatory classes when composing practical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Second, the post-acceptance model's expected confirm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Satisfaction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academic persistence,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perceived usefulnes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ersistence, an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fa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As for personal variabl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iency, excluding innovativeness, directly affected only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mediating effect test confirmed that personal variables had indirect effects of partial and complete mediation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Therefore, the explanation and guidance on how to use the education system and recognize the usefulnes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prior. Finally,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der, Korean proficiency, presence of a part-time job, and the degree of national image recognition, it was found to have different influence relationships such as personal variables,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Therefore, universities recognize international students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individual variables appear to act as critical modulating variables. It requires diversification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rough differentiated counseling and administrative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